KR20190061930A - 메모리 시스템 및 그것의 동작 방법 - Google Patents

메모리 시스템 및 그것의 동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61930A
KR20190061930A KR1020170160827A KR20170160827A KR20190061930A KR 20190061930 A KR20190061930 A KR 20190061930A KR 1020170160827 A KR1020170160827 A KR 1020170160827A KR 20170160827 A KR20170160827 A KR 20170160827A KR 20190061930 A KR20190061930 A KR 201900619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ndom access
memory
flag information
access memory
contro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608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23278B1 (ko
Inventor
박병규
오익성
지승구
홍성관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608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23278B1/ko
Priority to US16/034,924 priority patent/US10698786B2/en
Priority to TW107129770A priority patent/TW201926333A/zh
Priority to CN201811105141.4A priority patent/CN109840222B/zh
Publication of KR201900619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61930A/ko
Priority to US16/884,240 priority patent/US11366736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232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232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1/00Error detection; Error correction; Monitoring
    • G06F11/30Monitoring
    • G06F11/34Recording or statistical evaluation of computer activity, e.g. of down time, of input/output operation ; Recording or statistical evaluation of user activity, e.g. usability assessment
    • G06F11/3409Recording or statistical evaluation of computer activity, e.g. of down time, of input/output operation ; Recording or statistical evaluation of user activity, e.g. usability assessment for performance assessment
    • G06F11/3419Recording or statistical evaluation of computer activity, e.g. of down time, of input/output operation ; Recording or statistical evaluation of user activity, e.g. usability assessment for performance assessment by assessing tim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3/00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13/14Handling requests for interconnection or transfer
    • G06F13/16Handling requests for interconnection or transfer for access to memory bus
    • G06F13/1668Details of memory controll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6Digital input from, or digital output to, record carriers, e.g. RAID, emulated record carriers or networked record carriers
    • G06F3/0601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storage systems
    • G06F3/0628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storage systems making use of a particular technique
    • G06F3/0655Vertical data movement, i.e. input-output transfer; data movement between one or more hosts and one or more storage devices
    • G06F3/0659Command handling arrangements, e.g. command buffers, queues, command schedul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2/00Accessing, addressing or allocating within memory systems or architectures
    • G06F12/02Addressing or allocation; Relocation
    • G06F12/0223User address space allocation, e.g. contiguous or non contiguous base addressing
    • G06F12/023Free address space management
    • G06F12/0238Memory management in non-volatile memory, e.g. resistive RAM or ferroelectric memory
    • G06F12/0246Memory management in non-volatile memory, e.g. resistive RAM or ferroelectric memory in block erasable memory, e.g. flash memor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2/00Accessing, addressing or allocating within memory systems or architectures
    • G06F12/02Addressing or allocation; Relocation
    • G06F12/08Addressing or allocation; Relocation in hierarchically structured memory systems, e.g. virtual memory systems
    • G06F12/0802Addressing of a memory level in which the access to the desired data or data block requires associative addressing means, e.g. caches
    • G06F12/0866Addressing of a memory level in which the access to the desired data or data block requires associative addressing means, e.g. caches for peripheral storage systems, e.g. disk cache
    • G06F12/0868Data transfer between cache memory and other subsystems, e.g. storage devices or host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2/00Accessing, addressing or allocating within memory systems or architectures
    • G06F12/02Addressing or allocation; Relocation
    • G06F12/08Addressing or allocation; Relocation in hierarchically structured memory systems, e.g. virtual memory systems
    • G06F12/10Address transl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2/00Accessing, addressing or allocating within memory systems or architectures
    • G06F12/02Addressing or allocation; Relocation
    • G06F12/08Addressing or allocation; Relocation in hierarchically structured memory systems, e.g. virtual memory systems
    • G06F12/10Address translation
    • G06F12/1009Address translation using page tables, e.g. page table structures
    • G06F12/1018Address translation using page tables, e.g. page table structures involving hashing techniques, e.g. inverted page tabl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2/00Accessing, addressing or allocating within memory systems or architectures
    • G06F12/02Addressing or allocation; Relocation
    • G06F12/08Addressing or allocation; Relocation in hierarchically structured memory systems, e.g. virtual memory systems
    • G06F12/10Address translation
    • G06F12/1027Address translation using associative or pseudo-associative address translation means, e.g. translation look-aside buffer [TLB]
    • G06F12/1036Address translation using associative or pseudo-associative address translation means, e.g. translation look-aside buffer [TLB] for multiple virtual address spaces, e.g. segment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6Digital input from, or digital output to, record carriers, e.g. RAID, emulated record carriers or networked record carriers
    • G06F3/0601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storage systems
    • G06F3/0602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storage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achieve a particular effect
    • G06F3/061Improving I/O performance
    • G06F3/0611Improving I/O performance in relation to response tim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6Digital input from, or digital output to, record carriers, e.g. RAID, emulated record carriers or networked record carriers
    • G06F3/0601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storage systems
    • G06F3/0668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storage systems adopting a particular infrastructure
    • G06F3/0671In-line storage system
    • G06F3/0673Single storage device
    • G06F3/0679Non-volatile semiconductor memory device, e.g. flash memory, one time programmable memory [OTP]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2/00Accessing, addressing or allocating within memory systems or architectures
    • G06F12/02Addressing or allocation; Relocation
    • G06F12/08Addressing or allocation; Relocation in hierarchically structured memory systems, e.g. virtual memory systems
    • G06F12/10Address translation
    • G06F12/1009Address translation using page tables, e.g. page table struc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2/00Accessing, addressing or allocating within memory systems or architectures
    • G06F12/02Addressing or allocation; Relocation
    • G06F12/08Addressing or allocation; Relocation in hierarchically structured memory systems, e.g. virtual memory systems
    • G06F12/10Address translation
    • G06F12/1027Address translation using associative or pseudo-associative address translation means, e.g. translation look-aside buffer [TLB]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2/00Accessing, addressing or allocating within memory systems or architectures
    • G06F12/02Addressing or allocation; Relocation
    • G06F12/08Addressing or allocation; Relocation in hierarchically structured memory systems, e.g. virtual memory systems
    • G06F12/10Address translation
    • G06F12/1027Address translation using associative or pseudo-associative address translation means, e.g. translation look-aside buffer [TLB]
    • G06F12/1045Address translation using associative or pseudo-associative address translation means, e.g. translation look-aside buffer [TLB] associated with a data cach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2/00Accessing, addressing or allocating within memory systems or architectures
    • G06F12/02Addressing or allocation; Relocation
    • G06F12/08Addressing or allocation; Relocation in hierarchically structured memory systems, e.g. virtual memory systems
    • G06F12/10Address translation
    • G06F12/1027Address translation using associative or pseudo-associative address translation means, e.g. translation look-aside buffer [TLB]
    • G06F12/1045Address translation using associative or pseudo-associative address translation means, e.g. translation look-aside buffer [TLB] associated with a data cache
    • G06F12/1054Address translation using associative or pseudo-associative address translation means, e.g. translation look-aside buffer [TLB] associated with a data cache the data cache being concurrently physically addresse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2/00Accessing, addressing or allocating within memory systems or architectures
    • G06F12/02Addressing or allocation; Relocation
    • G06F12/08Addressing or allocation; Relocation in hierarchically structured memory systems, e.g. virtual memory systems
    • G06F12/10Address translation
    • G06F12/1081Address translation for peripheral access to main memory, e.g. direct memory access [DM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12/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ccessing, addressing or allocation within memory systems or architectures
    • G06F2212/10Providing a specific technical effect
    • G06F2212/1016Performance improvement
    • G06F2212/1024Latency reduc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12/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ccessing, addressing or allocation within memory systems or architectures
    • G06F2212/21Employing a record carrier using a specific recording technology
    • G06F2212/214Solid state disk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12/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ccessing, addressing or allocation within memory systems or architectures
    • G06F2212/65Details of virtual memory and virtual address transl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12/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ccessing, addressing or allocation within memory systems or architectures
    • G06F2212/65Details of virtual memory and virtual address translation
    • G06F2212/657Virtual address space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12/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ccessing, addressing or allocation within memory systems or architectures
    • G06F2212/68Details of translation look-aside buffer [TLB]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12/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ccessing, addressing or allocation within memory systems or architectures
    • G06F2212/68Details of translation look-aside buffer [TLB]
    • G06F2212/683Invalid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12/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ccessing, addressing or allocation within memory systems or architectures
    • G06F2212/72Details relating to flash memory management
    • G06F2212/7209Validity control, e.g. using flags, time stamps or sequence num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Techniques For Improving Reliability Of Sto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메모리 시스템은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 호스트 장치로부터 수신된 언맵(unmap) 리퀘스트에 대응하여, 언맵 리퀘스트의 대상이 되는 언맵 어드레스가 언맵되었음을 나타내는 플래그 정보를 저장하도록 구성된 랜덤 액세스 메모리 및 플래그 정보를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로 플러쉬(flush)하도록 구성된 컨트롤 유닛을 포함할 수 있고, 컨트롤 유닛은, 제1 조건을 만족하는 때, 플래그 정보를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로 플러쉬할 수 있다.

Description

메모리 시스템 및 그것의 동작 방법{MEMORY SYSTEM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를 저장 매체로 사용하는 메모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메모리 시스템은 외부 장치의 라이트 요청에 응답하여, 외부 장치로부터 제공된 데이터를 저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메모리 시스템은 외부 장치의 리드 요청에 응답하여, 저장된 데이터를 외부 장치로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외부 장치는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는 전자 장치로서, 컴퓨터, 디지털 카메라 또는 휴대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 시스템은 외부 장치에 내장되어 동작하거나, 분리 가능한 형태로 제작되어 외부 장치에 연결됨으로써 동작할 수 있다.
메모리 장치를 이용한 메모리 시스템은 기계적인 구동부가 없어서 안정성 및 내구성이 뛰어나며 정보의 액세스 속도가 매우 빠르고 전력 소모가 적다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장점을 갖는 메모리 시스템은 USB(Universal Serial Bus) 메모리 장치, 다양한 인터페이스를 갖는 메모리 카드, UFS(Universal Flash Storage) 장치,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Solid State Drive, 이하, SSD라 칭함)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호스트 장치의 언맵(unmap) 리퀘스트 및 언맵 어드레스에 대한 리드 리퀘스트를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메모리 시스템 및 그것의 동작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메모리 시스템은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 호스트 장치로부터 수신된 언맵(unmap) 리퀘스트에 대응하여, 언맵 리퀘스트의 대상이 되는 언맵 어드레스가 언맵되었음을 나타내는 플래그 정보를 저장하도록 구성된 랜덤 액세스 메모리 및 플래그 정보를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로 플러쉬(flush)하도록 구성된 컨트롤 유닛을 포함할 수 있고, 컨트롤 유닛은, 제1 조건을 만족하는 때, 플래그 정보를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로 플러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메모리 시스템은 메모리 유닛을 포함하는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 메모리 유닛의 어드레스가 언맵되었음을 나타내는 플래그 정보를 저장하도록 구성된 랜덤 액세스 메모리 및 호스트 장치로부터 리드 리퀘스트를 수신한 때, 리드 리퀘스트에 대응하는 리스펀스를 호스트 장치로 전송하도록 구성된 컨트롤 유닛을 포함할 수 있고, 컨트롤 유닛은, 호스트 장치로부터 언맵 어드레스에 대한 리드 리퀘스트를 수신한 때, 플래그 정보를 참조하여 언맵 리스펀스를 호스트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메모리 시스템의 동작 방법은 호스트 장치로부터 언맵(unmap) 리퀘스트를 수신하는 단계, 언맵 리퀘스트의 대상이 되는 언맵 어드레스가 언맵되었음을 나타내는 플래그 정보를 랜덤 액세스 메모리에 저장하는 단계 및 제1 조건을 만족하는 때, 컨트롤 유닛에서, 플래그 정보를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로 플러쉬(flush)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메모리 시스템은 호스트 장치의 언맵 리퀘스트를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다.
또한, 호스트 장치의 리드 요청에 대응하여, 요청된 언맵 어드레스에 대한 정보를 신속하게 전송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메모리 시스템을 예시적으로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플래그 정보가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로 플러쉬되는 과정을 예시적으로 도시한다.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메모리 시스템이 호스트 장치로부터 수신한 리퀘스트에 대한 응답을 출력하는 과정을 예시적으로 도시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메모리 시스템의 동작 방법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메모리 시스템의 동작 방법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메모리 시스템의 동작 방법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SSD를 포함하는 데이터 처리 시스템을 예시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메모리 시스템을 포함하는 데이터 처리 시스템을 예시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메모리 시스템을 포함하는 데이터 처리 시스템을 예시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메모리 시스템을 포함하는 네트워크 시스템을 예시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메모리 시스템에 포함된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를 예시적으로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통해 설명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에서 설명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들에 있어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도시된 특정 형태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며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과장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며, 의미 한정이나 특허 청구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및/또는'이란 표현은 전후에 나열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된다. 또한, '연결되는/결합되는'이란 표현은 다른 구성 요소와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다른 구성 요소를 통해서 간접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된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또한,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 또는 '포함하는'으로 언급된 구성 요소, 단계, 동작 및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 요소, 단계, 동작 및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의미한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메모리 시스템을 예시적으로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메모리 시스템(100)은 휴대폰, MP3 플레이어, 랩탑 컴퓨터, 데스크탑 컴퓨터, 게임기, TV, 차량용 인포테인먼트(in-vehicle infotainment) 시스템 등과 같은 호스트 장치(400)에 의해서 액세스되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 시스템(100)은 호스트 장치(400)와의 전송 프로토콜을 의미하는 호스트 인터페이스에 따라서 다양한 종류의 저장 장치들 중 어느 하나로 제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메모리 시스템(100)은 SSD, MMC, eMMC, RS-MMC, micro-MMC 형태의 멀티 미디어 카드(multimedia card), SD, mini-SD, micro-SD 형태의 시큐어 디지털(secure digital) 카드, USB(universal storage bus) 저장 장치, UFS(universal flash storage) 장치, PCMCIA(personal computer memory card international association) 카드 형태의 저장 장치, PCI(peripheral component interconnection) 카드 형태의 저장 장치, PCI-E(PCI express) 카드 형태의 저장 장치, CF(compact flash) 카드, 스마트 미디어(smart media) 카드, 메모리 스틱(memory stick) 등과 같은 다양한 종류의 저장 장치들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메모리 시스템(100)은 다양한 종류의 패키지(package) 형태들 중 어느 하나로 제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메모리 시스템(100)은 POP(package on package), SIP(system in package), SOC(system on chip), MCP(multi chip package), COB(chip on board), WFP(wafer-level fabricated package), WSP(wafer-level stack package) 등과 같은 다양한 종류의 패키지 형태들 중 어느 하나로 제조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메모리 시스템(100)은 컨트롤러(200)를 포함할 수 있다. 컨트롤러(200)는 컨트롤 유닛(210), 랜덤 액세스 메모리(220), 호스트 인터페이스 유닛(230) 및 메모리 컨트롤 유닛(240)을 포함할 수 있다.
컨트롤 유닛(210)은 마이크로 컨트롤 유닛(micro control unit)(MCU), 중앙 처리 장치(central processing unit)(CPU)로 구성될 수 있다. 컨트롤 유닛(210)은 호스트 장치로부터 전송된 리퀘스트를 처리할 수 있다. 컨트롤 유닛(210)은, 리퀘스트를 처리하기 위해서, 랜덤 액세스 메모리(220)에 로딩된 코드 형태의 명령(instruction) 또는 알고리즘, 즉, 펌웨어(FW)를 구동하고, 내부의 기능 블록들 및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300)를 제어할 수 있다.
랜덤 액세스 메모리(220)는 동적 랜덤 액세스 메모리(DRAM) 또는 정적 랜덤 액세스 메모리(SRAM)와 같은 랜덤 액세스 메모리로 구성될 수 있다. 랜덤 액세스 메모리(220)는 컨트롤 유닛(210)에 의해서 구동되는 펌웨어(FW)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랜덤 액세스 메모리(220)는 펌웨어(FW)의 구동에 필요한 데이터, 예를 들면, 메타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즉, 랜덤 액세스 메모리(220)는 컨트롤 유닛(210)의 동작 메모리(working memory)로서 동작할 수 있다.
호스트 인터페이스 유닛(230)은 호스트 장치(400)와 메모리 시스템(100)을 인터페이싱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호스트 인터페이스 유닛(230)은 USB(universal serial bus), UFS(universal flash storage), MMC(multimedia card), PATA(parallel advanced technology attachment), SATA(serial advanced technology attachment), SCSI(small computer system interface), SAS(serial attached SCSI), PCI(peripheral component interconnection), PCI-E(PCI expresss)와 같은 표준 전송 프로토콜들 중 어느 하나, 즉, 호스트 인터페이스(HIF)를 이용해서 호스트 장치(400)와 통신할 수 있다.
메모리 컨트롤 유닛(240)은 컨트롤 유닛(210)의 제어에 따라서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300)를 제어할 수 있다. 메모리 컨트롤 유닛(240)은 메모리 인터페이스 유닛으로도 불릴 수 있다. 메모리 컨트롤 유닛(240)은 제어 신호들을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300)로 제공할 수 있다. 제어 신호들은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300)를 제어하기 위한 커맨드, 어드레스, 제어 신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 컨트롤 유닛(240)은 데이터를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300)로 제공하거나,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300)로부터 데이터를 제공 받을 수 있다.
메모리 시스템(100)은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300)를 포함할 수 있다.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300)는 커맨드, 어드레스, 제어 신호들과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신호 라인을 포함하는 채널(CH)을 통해서 컨트롤러(200)와 연결될 수 있다.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300)는 메모리 시스템(100)의 저장 매체로 사용될 수 있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플래그 정보가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로 플러쉬되는 과정을 예시적으로 도시한다. 이하에서, 도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메모리 시스템을 설명한다.
랜덤 액세스 메모리(220)와 비휘발성 메모리에 저장된 맵핑 정보의 일치를 위한 동작은, 랜덤 액세스 메모리(220)에 저장된 맵핑 정보와 비휘발성 메모리에 저장된 맵핑 정보의 비교 동작, 랜덤 액세스 메모리(220)에 저장된 맵핑 정보를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300)로 플러쉬(flush) 또는 백업(backup)하는 동작, 랜덤 액세스 메모리(220)에 저장된 맵핑 정보의 위치 정보와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300)에 저장된 맵핑 정보를 관리하기 위한 메타 정보를 업데이트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기 때문에, 많은 리소스를 소모할 수 있고, 오랜 시간이 소모될 수 있다.
따라서, 메모리 시스템(100)은 호스트 장치(400)의 언맵 리퀘스트를 1차 언맵 처리와 2차 언맵 처리로 구분하여 단계적으로 처리할 수 있다. 즉, 메모리 시스템(100)은 랜덤 액세스 메모리(220)에서 언맵 어드레스를 우선적으로 언맵시킬 수 있다. 그리고, 메모리 시스템(100)은,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300)의 업데이트가 필요한 시점에,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300)에서 언맵 어드레스를 최종적으로 언맵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메모리 시스템(100)은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300), 호스트 장치(400)로부터 수신된 언맵(unmap) 리퀘스트에 대응하여, 언맵 리퀘스트의 대상이 되는 언맵 어드레스가 언맵되었음을 나타내는 플래그 정보(UNM)를 저장하도록 구성된 랜덤 액세스 메모리(220) 및 플래그 정보(UNM)를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300)로 플러쉬(flush)하도록 구성된 컨트롤 유닛(210)을 포함할 수 있고, 컨트롤 유닛(210)은, 제1 조건을 만족하는 때, 플래그 정보(UNM)를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300)로 플러쉬할 수 있다. 이 때 플래그 정보(UNM)는, 대응하는 어드레스(ADD)가 맵핑되었는지 언맵핑되었는지를 나타낼 수 있다. 예시적으로, 맵핑(MP)으로 표시(flagged)된 플래그 정보는 대응하는 어드레스가 맵핑된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언맵핑(UNM)으로 표시된 플래그 정보는 대응하는 어드레스(ADD)가 언맵되었음을 의미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여 예를 들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메모리 시스템(100)은 (a)호스트 장치(400)로부터 수신된 제1 어드레스(ADD1)에 대한 언맵 리퀘스트에 대응하여, 랜덤 액세스 메모리(220)에 플래그 정보(UNM)가 저장될 수 있다. (b)랜덤 액세스 메모리(220)에 플래그 정보(UNM)가 저장된 후, 호스트 장치(400)의 다른 리퀘스트에 대응한 데이터들이 랜덤 액세스 메모리(220)에 저장될 수 있다. 즉, 플래그 정보(UNM)가 랜덤 액세스 메모리(220)에 저장된 후, 곧바로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300)로 플러쉬되지 않을 수 있다. (c)플래그 정보(UNM)가 랜덤 액세스 메모리(220)에 저장된 후, 호스트 장치(400)로부터 플러쉬 리퀘스트를 수신한 때, 컨트롤 유닛(210)의 제어에 의하여 플래그 정보(UNM)가 랜덤 액세스 메모리(220)에서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300)로 플러쉬될 수 있다. 즉, 제1 조건은 호스트 장치(400)로부터 플러쉬 리퀘스트를 수신하는 것일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여 예를 들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메모리 시스템(100)은 도 2의 실시 예와 마찬가지로, (a)호스트 장치(400)로부터 수신된 제1 어드레스(ADD1)에 대한 언맵 리퀘스트에 대응하여, 랜덤 액세스 메모리(220)에 플래그 정보(UNM)가 저장될 수 있고, (b)랜덤 액세스 메모리(220)에 플래그 정보(UNM)가 저장된 후, 호스트 장치(400)의 다른 리퀘스트에 대응한 데이터들이 랜덤 액세스 메모리(220)에 저장될 수 있다. , 랜덤 액세스 메모리(220)가 가득 찬 때, 컨트롤 유닛(210)의 제어에 의하여 플래그 정보(UNM)가 랜덤 액세스 메모리(220)에서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300)로 플러쉬될 수 있다. 즉, 제1 조건은 랜덤 액세스 메모리(220)가 가득 찬 것일 수 있다. (c)플래그 정보(UNM)가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300)로 플러쉬된 후, 랜덤 액세스 메모리(220)에 저장된 데이터는 삭제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메모리 시스템이 호스트 장치로부터 수신한 리퀘스트에 대한 응답을 출력하는 과정을 예시적으로 도시한다. 도 4 내지 도 6에서, (S10)~(S13), (S20)~(S24), (S30)~(S34) 각각은 시계열적 순서에 따른 리퀘스트(Request) 또는 리스펀스(Response)라고 가정한다. 도1,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메모리 시스템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메모리 시스템(100)은 메모리 유닛을 포함하는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300), 메모리 유닛의 어드레스가 언맵되었음을 나타내는 플래그 정보(UNM)를 저장하도록 구성된 랜덤 액세스 메모리(220) 및 호스트 장치(400)로부터 리드 리퀘스트를 수신한 때, 리드 리퀘스트에 대응하는 리스펀스를 호스트 장치(400)로 전송하도록 구성된 컨트롤 유닛(210)을 포함할 수 있고, 컨트롤 유닛(210)은, 호스트 장치(400)로부터 언맵 어드레스에 대한 리드 리퀘스트를 수신한 때, 플래그 정보(UNM)를 참조하여 언맵 리스펀스를 호스트 장치(400)로 전송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여 예를 들면, 컨트롤러(200)는 호스트 장치(400)로부터 제1 데이터(DT1)에 대한 라이트 리퀘스트를 수신할 수 있다(S10). 컨트롤러(200)는 호스트 장치(400)로부터 수신한 라이트 리퀘스트에 응답하여,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300)로 제1 데이터(DT1)에 대한 라이트 명령을 출력할 수 있고, 제1 데이터(DT1)는,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300)의 페이지들 중 제1 어드레스(ADD1)에 대응되는 페이지에 저장되었다고 가정한다(미도시). 이후 컨트롤러(200)는, 호스트 장치(400)로부터 제1 어드레스(ADD1)에 대한 언맵 리퀘스트를 수신할 수 있다(S11). 컨트롤 유닛(210)은, 언맵 리퀘스트에 대응하여 랜덤 액세스 메모리(220)에 플래그 정보(UNM)를 저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랜덤 액세스 메모리(220)에 제1 어드레스(ADD1)에 대한 업맵 플래그 정보(UNM)가 저장된 후, 호스트 장치(400)로부터 제1 어드레스(ADD1)에 대응되는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300)의 페이지에 저장된 제1 데이터(DT1)에 대한 리드 리퀘스트를 수신한 때(S12), 컨트롤 유닛(210)은, 랜덤 액세스 메모리(220)에 저장된 플래그 정보(UNM)를 참조하여 언맵 리스펀스를 호스트 장치(400)로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컨트롤러(200)는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300)에 별도의 명령을 내리지 않고, 랜덤 액세스 메모리(220)에 저장된 플래그 정보(UNM)를 참조하여 호스트 장치(400)로 언맵 리스펀스를 전송할 수 있다(S13).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메모리 시스템(100)은, 언맵 어드레스에 대한 플래그 정보(UNM)가 랜덤 액세스 메모리(220)에 저장되고, 제1 조건을 만족한 경우 플래그 정보(UNM)가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300)로 플러쉬될 수 있는데, 도 4는 플래그 정보(UNM)가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300)로 아직 플러쉬되지 않은 시점에서 호스트 장치(400)로부터 언맵 어드레스에 대한 리드 리퀘스트를 수신한 경우의 예를 설명한다.
도 5를 참조하여 예를 들면, 컨트롤러(200)는 호스트 장치(400)로부터 제1 데이터(DT1)에 대한 라이트 리퀘스트를 수신할 수 있다(S20). 컨트롤러(200)는 호스트 장치(400)로부터 수신한 라이트 리퀘스트에 응답하여,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300)로 제1 데이터(DT1)에 대한 라이트 명령을 출력할 수 있고, 제1 데이터(DT1)는,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300)의 페이지들 중 제1 어드레스(ADD1)에 대응되는 페이지에 저장되었다고 가정한다(미도시). 이후 컨트롤러(200)는, 호스트 장치(400)로부터 제1 어드레스(ADD1)에 대한 언맵 리퀘스트를 수신할 수 있다(S21). 컨트롤 유닛(210)은, 언맵 리퀘스트에 대응하여 랜덤 액세스 메모리(220)에 플래그 정보(UNM)를 저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랜덤 액세스 메모리(220)에 플래그 정보(UNM)가 저장된 후, 제1 조건을 만족하는 때, 컨트롤 유닛(210)은, 플래그 정보(UNM)를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300)로 플러쉬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5에서는 제1 조건이 호스트 장치(400)로부터 플러쉬 리퀘스트를 수신하는 것으로 예시하였으나(S22), 제1 조건은 랜덤 액세스 메모리(220)가 가득찬 것일 수 있고, 이 외에도 제1 조건은 언제든지 설정 및 변경이 가능할 것이다.
플래그 정보(UNM)가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300)로 플러쉬된 후, 호스트 장치(400)로부터 제1 어드레스(ADD1)에 대응되는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300)의 페이지에 저장된 제1 데이터(DT1)에 대한 리드 리퀘스트를 수신한 때(S23), 컨트롤 유닛(210)은, 랜덤 액세스 메모리(220)에 저장된 플래그 정보(UNM)를 참조하여 언맵 리스펀스를 호스트 장치(400)로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컨트롤러(200)는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300)에 별도의 명령을 내리지 않고, 랜덤 액세스 메모리(220)에 저장된 플래그 정보(UNM)를 참조하여 호스트 장치(400)로 언맵 리스펀스를 전송할 수 있다(S24).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메모리 시스템(100)은, 언맵 어드레스에 대한 플래그 정보(UNM)가 랜덤 액세스 메모리(220)에 저장되고, 제1 조건을 만족한 경우 플래그 정보(UNM)가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300)로 플러쉬될 수 있는데, 도 5는 플래그 정보(UNM)가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300)로 플러쉬된 시점에서 호스트 장치(400)로부터 언맵 어드레스에 대한 리드 리퀘스트를 수신한 경우일지라도, 랜덤 액세스 메모리(220)에 저장된 플래그 정보(UNM)를 참조하여 언맵 리스펀스를 호스트 장치(400)로 전송할 수 있는 메모리 시스템(100)의 예를 설명한다.
도 6을 참조하여 예를 들면, 컨트롤러(200)는 호스트 장치(400)로부터 제1 데이터(DT1)에 대한 라이트 리퀘스트를 수신할 수 있다(S30). 컨트롤러(200)는 호스트 장치(400)로부터 수신한 라이트 리퀘스트에 응답하여,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300)로 제1 데이터(DT1)에 대한 라이트 명령을 출력할 수 있고, 제1 데이터(DT1)는,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300)의 페이지들 중 제1 어드레스(ADD1)에 대응되는 페이지에 저장되었다고 가정한다(미도시). 이후 컨트롤러(200)는, 호스트 장치(400)로부터 제1 어드레스(ADD1)에 대한 언맵 리퀘스트를 수신할 수 있다(S31). 컨트롤 유닛(210)은, 언맵 리퀘스트에 대응하여 랜덤 액세스 메모리(220)에 플래그 정보(UNM)를 저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랜덤 액세스 메모리(220)에 플래그 정보(UNM)가 저장된 후, 제1 조건을 만족하는 때, 컨트롤 유닛(210)은, 플래그 정보(UNM)를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300)로 플러쉬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6에서는 제1 조건이 호스트 장치(400)로부터 플러쉬 리퀘스트를 수신하는 것으로 예시하였으나(S32), 제1 조건은 랜덤 액세스 메모리(220)가 가득찬 것일 수 있고, 이 외에도 제1 조건은 언제든지 설정 및 변경이 가능할 것이다.
컨트롤 유닛(210)은, 제2 조건을 만족하는 때, 플래그 정보(UNM)를 랜덤 액세스 메모리(220)에서 삭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2 조건은 랜덤 액세스 메모리(220)가 가득 찬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고 언제든지 설정 및 변경 가능하다. 제2 조건을 만족하여 랜덤 액세스 메모리(220)에서 플래그 정보(UNM)가 삭제된 후, 호스트 장치(400)로부터 제1 어드레스(ADD1)에 대응되는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300)의 페이지에 저장된 제1 데이터(DT1)에 대한 리드 리퀘스트를 수신한 때(S33), 컨트롤러(200)는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300)로 제1 어드레스(ADD1)에 저장된 데이터에 대한 리드 명령을 출력할 수 있고(미도시), 이에 대응하여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300)는 제1 어드레스(ADD1)에 대한 플래그 정보(UNM)를 컨트롤러(200)로 전송할 수 있으며(미도시), 컨트롤 유닛(210)은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300)로부터 리드된 플래그 정보(UNM)를 참조하여 언맵 리스펀스를 호스트 장치(400)로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S34).
즉,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메모리 시스템(100)은, 언맵 어드레스에 대한 플래그 정보(UNM)가 랜덤 액세스 메모리(220)에 저장되고, 제2 조건을 만족한 경우 플래그 정보(UNM)가 랜덤 액세스 메모리(220)에서 삭제될 수 있는데, 도 6은 플래그 정보(UNM)가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300)로 플러쉬되고, 랜덤 액세스 메모리(220)에 저장된 플래그 정보(UNM)가 삭제된 후의 시점에서 호스트 장치(400)로부터 언맵 어드레스에 대한 리드 리퀘스트를 수신한 경우,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300)로부터 리드된 플래그 정보(UNM)를 참조하여 언맵 리스펀스를 호스트 장치(400)로 전송할 수 있는 메모리 시스템(100)의 예를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메모리 시스템의 동작 방법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메모리 시스템의 동작 방법은 호스트 장치로부터 언맵(unmap) 리퀘스트를 수신하는 단계(S100), 언맵 리퀘스트의 대상이 되는 언맵 어드레스가 언맵되었음을 나타내는 플래그 정보를 랜덤 액세스 메모리에 저장하는 단계(S200) 및 제1 조건을 만족하는 때, 컨트롤 유닛에서, 플래그 정보를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로 플러쉬(flush)하도록 제어하는 단계(S300, S40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조건은, 호스트 장치로부터 플러쉬 리퀘스트를 수신하는 것일 수 있고, 랜덤 액세스 메모리가 가득찬 것일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고 언제든지 설정 및 변경이 가능할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메모리 시스템의 동작 방법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메모리 시스템의 동작 방법은, 호스트 장치로부터 언맵 어드레스에 대한 리드 리퀘스트를 수신하는 단계(S500) 및 컨트롤 유닛에서, 랜덤 액세스 메모리에 저장된 플래그 정보를 참조하여 언맵 리스펀스를 호스트 장치로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단계(S6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메모리 시스템의 동작 방법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메모리 시스템의 동작 방법은, 제2 조건을 만족하는 때, 컨트롤 유닛에서, 플래그 정보를 랜덤 액세스 메모리에서 삭제하도록 제어하는 단계(S410, S420) 및 플래그 정보가 랜덤 액세스 메모리에서 삭제된 이후에 리드 리퀘스트를 수신한 때(S430), 컨트롤 유닛에서,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로부터 리드된 플래그 정보를 참조하여 언맵 리스펀스를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단계(S4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제2 조건은 랜덤 액세스 메모리가 가득 찬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고 언제든지 설정 및 변경 가능하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SSD를 포함하는 데이터 처리 시스템을 예시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데이터 처리 시스템(1000)은 호스트 장치(1100)와 SSD(1200)를 포함할 수 있다.
SSD(1200)는 컨트롤러(1210), 버퍼 메모리 장치(1220),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들(1231~123n), 전원 공급기(1240), 신호 커넥터(1250) 및 전원 커넥터(1260)를 포함할 수 있다.
컨트롤러(1210)는 SSD(1200)의 제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컨트롤러(1210)는 호스트 인터페이스 유닛(1211), 컨트롤 유닛(1212), 랜덤 액세스 메모리(1213), 에러 정정 코드(ECC) 유닛(1214) 및 메모리 인터페이스 유닛(1215)을 포함할 수 있다.
호스트 인터페이스 유닛(1211)은 신호 커넥터(1250)를 통해서 호스트 장치(1100)와 신호(SGL)를 주고 받을 수 있다. 여기에서, 신호(SGL)는 커맨드, 어드레스, 데이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호스트 인터페이스 유닛(1211)은, 호스트 장치(1100)의 프로토콜에 따라서, 호스트 장치(1100)와 SSD(1200)를 인터페이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호스트 인터페이스 유닛(1211)은, 시큐어 디지털(secure digital), USB(universal serial bus), MMC(multi-media card), eMMC(embedded MMC), PCMCIA(personal computer memory card international association), PATA(parallel advanced technology attachment), SATA(serial advanced technology attachment), SCSI(small computer system interface), SAS(serial attached SCSI), PCI(peripheral component interconnection), PCI-E(PCI Expresss), UFS(universal flash storage)와 같은 표준 인터페이스 프로토콜들 중 어느 하나를 통해서 호스트 장치(1100)와 통신할 수 있다.
컨트롤 유닛(1212)은 호스트 장치(1100)로부터 입력된 신호(SGL)를 분석하고 처리할 수 있다. 컨트롤 유닛(1212)은 SSD(1200)를 구동하기 위한 펌웨어 또는 소프트웨어에 따라서 내부 기능 블록들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랜덤 액세스 메모리(1213)는 이러한 펌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를 구동하기 위한 동작 메모리로서 사용될 수 있다.
에러 정정 코드(ECC) 유닛(1214)은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들(1231~123n)로 전송될 데이터의 패리티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생성된 패리티 데이터는 데이터와 함께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들(1231~123n)에 저장될 수 있다. 에러 정정 코드(ECC) 유닛(1214)은 패리티 데이터에 근거하여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들(1231~123n)로부터 독출된 데이터의 에러를 검출할 수 있다. 만약, 검출된 에러가 정정 범위 내이면, 에러 정정 코드(ECC) 유닛(1214)은 검출된 에러를 정정할 수 있다.
메모리 인터페이스 유닛(1215)은, 컨트롤 유닛(1212)의 제어에 따라서,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들(1231~123n)에 커맨드 및 어드레스와 같은 제어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메모리 인터페이스 유닛(1215)은, 컨트롤 유닛(1212)의 제어에 따라서,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들(1231~123n)과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다. 예를 들면, 메모리 인터페이스 유닛(1215)은 버퍼 메모리 장치(1220)에 저장된 데이터를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들(1231~123n)로 제공하거나,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들(1231~123n)로부터 읽혀진 데이터를 버퍼 메모리 장치(1220)로 제공할 수 있다.
버퍼 메모리 장치(1220)는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들(1231~123n)에 저장될 데이터를 임시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버퍼 메모리 장치(1220)는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들(1231~123n)로부터 읽혀진 데이터를 임시 저장할 수 있다. 버퍼 메모리 장치(1220)에 임시 저장된 데이터는 컨트롤러(1210)의 제어에 따라 호스트 장치(1100)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들(1231~123n)로 전송될 수 있다.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들(1231~123n)은 SSD(1200)의 저장 매체로 사용될 수 있다.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들(1231~123n) 각각은 복수의 채널들(CH1~CHn)을 통해 컨트롤러(1210)와 연결될 수 있다. 하나의 채널에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가 연결될 수 있다. 하나의 채널에 연결되는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들은 동일한 신호 버스 및 데이터 버스에 연결될 수 있다.
전원 공급기(1240)는 전원 커넥터(1260)를 통해 입력된 전원(PWR)을 SSD(1200) 내부에 제공할 수 있다. 전원 공급기(1240)는 보조 전원 공급기(1241)를 포함할 수 있다. 보조 전원 공급기(1241)는 서든 파워 오프(sudden power off)가 발생되는 경우, SSD(1200)가 정상적으로 종료될 수 있도록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보조 전원 공급기(1241)는 대용량 캐패시터들(capacitors)을 포함할 수 있다.
신호 커넥터(1250)는 호스트 장치(1100)와 SSD(1200)의 인터페이스 방식에 따라서 다양한 형태의 커넥터로 구성될 수 있다.
전원 커넥터(1260)는 호스트 장치(1100)의 전원 공급 방식에 따라서 다양한 형태의 커넥터로 구성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메모리 시스템을 포함하는 데이터 처리 시스템을 예시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데이터 처리 시스템(2000)은 호스트 장치(2100)와 메모리 시스템(2200)을 포함할 수 있다.
호스트 장치(2100)는 인쇄 회로 기판(printed circuit board)과 같은 기판(board)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비록 도시되지 않았지만, 호스트 장치(2100)는 호스트 장치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내부 기능 블록들을 포함할 수 있다.
호스트 장치(2100)는 소켓(socket), 슬롯(slot) 또는 커넥터(connector)와 같은 접속 터미널(2110)을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 시스템(2200)은 접속 터미널(2110)에 마운트(mount)될 수 있다.
메모리 시스템(2200)은 인쇄 회로 기판과 같은 기판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메모리 시스템(2200)은 메모리 모듈 또는 메모리 카드로 불릴 수 있다. 메모리 시스템(2200)은 컨트롤러(2210), 버퍼 메모리 장치(2220),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2231~2232), PMIC(power management integrated circuit)(2240) 및 접속 터미널(2250)을 포함할 수 있다.
컨트롤러(2210)는 메모리 시스템(2200)의 제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컨트롤러(2210)는 도 10에 도시된 컨트롤러(1210)와 동일하게 구성될 수 있다.
버퍼 메모리 장치(2220)는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들(2231~2232)에 저장될 데이터를 임시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버퍼 메모리 장치(2220)는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들(2231~2232)로부터 읽혀진 데이터를 임시 저장할 수 있다. 버퍼 메모리 장치(2220)에 임시 저장된 데이터는 컨트롤러(2210)의 제어에 따라 호스트 장치(2100)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들(2231~2232)로 전송될 수 있다.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들(2231~2232)은 메모리 시스템(2200)의 저장 매체로 사용될 수 있다.
PMIC(2240)는 접속 터미널(2250)을 통해 입력된 전원을 메모리 시스템(2200) 내부에 제공할 수 있다. PMIC(2240)는, 컨트롤러(2210)의 제어에 따라서, 메모리 시스템(2200)의 전원을 관리할 수 있다.
접속 터미널(2250)은 호스트 장치의 접속 터미널(2110)에 연결될 수 있다. 접속 터미널(2250)을 통해서, 호스트 장치(2100)와 메모리 시스템(2200) 간에 커맨드, 어드레스, 데이터 등과 같은 신호와, 전원이 전달될 수 있다. 접속 터미널(2250)은 호스트 장치(2100)와 메모리 시스템(2200)의 인터페이스 방식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접속 터미널(2250)은 메모리 시스템(2200)의 어느 한 변에 배치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메모리 시스템을 포함하는 데이터 처리 시스템을 예시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데이터 처리 시스템(3000)은 호스트 장치(3100)와 메모리 시스템(3200)을 포함할 수 있다.
호스트 장치(3100)는 인쇄 회로 기판(printed circuit board)과 같은 기판(board)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비록 도시되지 않았지만, 호스트 장치(3100)는 호스트 장치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내부 기능 블록들을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 시스템(3200)은 표면 실장형 패키지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메모리 시스템(3200)은 솔더 볼(solder ball)(3250)을 통해서 호스트 장치(3100)에 마운트될 수 있다. 메모리 시스템(3200)은 컨트롤러(3210), 버퍼 메모리 장치(3220) 및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3230)를 포함할 수 있다.
컨트롤러(3210)는 메모리 시스템(3200)의 제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컨트롤러(3210)는 도 10에 도시된 컨트롤러(1210)와 동일하게 구성될 수 있다.
버퍼 메모리 장치(3220)는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3230)에 저장될 데이터를 임시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버퍼 메모리 장치(3220)는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들(3230)로부터 읽혀진 데이터를 임시 저장할 수 있다. 버퍼 메모리 장치(3220)에 임시 저장된 데이터는 컨트롤러(3210)의 제어에 따라 호스트 장치(3100)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3230)로 전송될 수 있다.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3230)는 메모리 시스템(3200)의 저장 매체로 사용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메모리 시스템을 포함하는 네트워크 시스템을 예시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네트워크 시스템(4000)은 네트워크(4500)를 통해서 연결된 서버 시스템(4300) 및 복수의 클라이언트 시스템들(4410~4430)을 포함할 수 있다.
서버 시스템(4300)은 복수의 클라이언트 시스템들(4410~4430)의 요청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서비스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서버 시스템(4300)은 복수의 클라이언트 시스템들(4410~4430)로부터 제공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서버 시스템(4300)은 복수의 클라이언트 시스템들(4410~4430)로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서버 시스템(4300)은 호스트 장치(4100) 및 메모리 시스템(4200)을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 시스템(4200)은 도 1의 메모리 시스템(100), 도 10의 SSD(1200), 도 11의 메모리 시스템(2200), 도 12의 메모리 시스템(3200)로 구성될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메모리 시스템에 포함된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를 예시적으로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300)는 메모리 셀 어레이(310), 행 디코더(320), 데이터 읽기/쓰기 블록(330), 열 디코더(340), 전압 발생기(350) 및 제어 로직(360)을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 셀 어레이(310)는 워드 라인들(WL1~WLm)과 비트 라인들(BL1~BLn)이 서로 교차된 영역에 배열된 메모리 셀(MC)들을 포함할 수 있다.
행 디코더(320)는 워드 라인들(WL1~WLm)을 통해서 메모리 셀 어레이(310)와 연결될 수 있다. 행 디코더(320)는 제어 로직(360)의 제어에 따라 동작할 수 있다. 행 디코더(320)는 외부 장치(도시되지 않음)로부터 제공된 어드레스를 디코딩할 수 있다. 행 디코더(320)는 디코딩 결과에 근거하여 워드 라인들(WL1~WLm)을 선택하고, 구동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행 디코더(320)는 전압 발생기(350)로부터 제공된 워드 라인 전압을 워드 라인들(WL1~WLm)에 제공할 수 있다.
데이터 읽기/쓰기 블록(330)은 비트 라인들(BL1~BLn)을 통해서 메모리 셀 어레이(310)와 연결될 수 있다. 데이터 읽기/쓰기 블록(330)은 비트 라인들(BL1~BLn) 각각에 대응하는 읽기/쓰기 회로들(RW1~RWn)을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 읽기/쓰기 블록(330)은 제어 로직(360)의 제어에 따라 동작할 수 있다. 데이터 읽기/쓰기 블록(330)은 동작 모드에 따라서 쓰기 드라이버로서 또는 감지 증폭기로서 동작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데이터 읽기/쓰기 블록(330)은 쓰기 동작 시 외부 장치로부터 제공된 데이터를 메모리 셀 어레이(310)에 저장하는 쓰기 드라이버로서 동작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데이터 읽기/쓰기 블록(330)은 읽기 동작 시 메모리 셀 어레이(310)로부터 데이터를 독출하는 감지 증폭기로서 동작할 수 있다.
열 디코더(340)는 제어 로직(360)의 제어에 따라 동작할 수 있다. 열 디코더(340)는 외부 장치로부터 제공된 어드레스를 디코딩할 수 있다. 열 디코더(340)는 디코딩 결과에 근거하여 비트 라인들(BL1~BLn) 각각에 대응하는 데이터 읽기/쓰기 블록(330)의 읽기/쓰기 회로들(RW1~RWn)과 데이터 입출력 라인(또는 데이터 입출력 버퍼)을 연결할 수 있다.
전압 발생기(350)는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300)의 내부 동작에 사용되는 전압을 생성할 수 있다. 전압 발생기(350)에 의해서 생성된 전압들은 메모리 셀 어레이(310)의 메모리 셀들에 인가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그램 동작 시 생성된 프로그램 전압은 프로그램 동작이 수행될 메모리 셀들의 워드 라인에 인가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소거 동작 시 생성된 소거 전압은 소거 동작이 수행될 메모리 셀들의 웰-영역에 인가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읽기 동작 시 생성된 읽기 전압은 읽기 동작이 수행될 메모리 셀들의 워드 라인에 인가될 수 있다.
제어 로직(360)은 외부 장치로부터 제공된 제어 신호에 근거하여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300)의 제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 로직(360)은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300)의 읽기, 쓰기, 소거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방법과 관련하여서는 전술한 시스템에 대한 내용이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방법과 관련하여, 전술한 시스템에 대한 내용과 동일한 내용에 대하여는 설명을 생략하였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구체적인 실시 예를 통해 설명되고 있으나, 본 발명은 그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할 수 있음은 잘 이해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상술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 및 이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 또는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고 본 발명의 구조가 다양하게 수정되거나 변경될 수 있음은 잘 이해될 것이다.
100 : 메모리 시스템
200 : 컨트롤러
210 : 컨트롤 유닛
220 : 랜덤 액세스 메모리
230 : 호스트 인터페이스 유닛
240 : 메모리 컨트롤 유닛
300 :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
400 : 호스트 장치

Claims (15)

  1.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
    호스트 장치로부터 수신된 언맵(unmap) 리퀘스트에 대응하여, 상기 언맵 리퀘스트의 대상이 되는 언맵 어드레스가 언맵되었음을 나타내는 플래그 정보를 저장하도록 구성된 랜덤 액세스 메모리; 및
    상기 플래그 정보를 상기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로 플러쉬(flush)하도록 구성된 컨트롤 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컨트롤 유닛은, 제1 조건을 만족하는 때, 상기 플래그 정보를 상기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로 플러쉬하는 메모리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조건은, 상기 호스트 장치로부터 플러쉬 리퀘스트를 수신하는 것인 메모리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조건은, 상기 랜덤 액세스 메모리가 가득 찬 것인 메모리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랜덤 액세스 메모리는,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으로 구성된 메모리 시스템.
  5. 메모리 유닛을 포함하는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
    상기 메모리 유닛의 어드레스가 언맵되었음을 나타내는 플래그 정보를 저장하도록 구성된 랜덤 액세스 메모리; 및
    호스트 장치로부터 리드 리퀘스트를 수신한 때, 상기 리드 리퀘스트에 대응하는 리스펀스를 상기 호스트 장치로 전송하도록 구성된 컨트롤 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컨트롤 유닛은, 상기 호스트 장치로부터 언맵 어드레스에 대한 리드 리퀘스트를 수신한 때, 상기 플래그 정보를 참조하여 언맵 리스펀스를 상기 호스트 장치로 전송하는 메모리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 유닛은,
    제2 조건을 만족하는 때, 상기 플래그 정보를 상기 랜덤 액세스 메모리에서 삭제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플래그 정보가 상기 랜덤 액세스 메모리에서 삭제된 이후에 상기 언맵 어드레스에 대한 리드 리퀘스트를 수신한 때, 상기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로부터 리드된 상기 플래그 정보를 참조하여 언맵 리스펀스를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메모리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상기 제2 조건은, 상기 랜덤 액세스 메모리가 가득 찬 것인 메모리 시스템.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랜덤 액세스 메모리는,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으로 구성된 메모리 시스템.
  9. 호스트 장치로부터 언맵(unmap) 리퀘스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언맵 리퀘스트의 대상이 되는 언맵 어드레스가 언맵되었음을 나타내는 플래그 정보를 랜덤 액세스 메모리에 저장하는 단계; 및
    제1 조건을 만족하는 때, 컨트롤 유닛에서, 상기 플래그 정보를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로 플러쉬(flush)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메모리 시스템의 동작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조건은, 상기 호스트 장치로부터 플러쉬 리퀘스트를 수신하는 것인 메모리 시스템의 동작 방법.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조건은, 상기 랜덤 액세스 메모리가 가득 찬 것인 메모리 시스템의 동작 방법.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호스트 장치로부터 상기 언맵 어드레스에 대한 리드 리퀘스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컨트롤 유닛에서, 상기 랜덤 액세스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플래그 정보를 참조하여 언맵 리스펀스를 상기 호스트 장치로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메모리 시스템의 동작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제2 조건을 만족하는 때, 상기 컨트롤 유닛에서, 상기 플래그 정보를 상기 랜덤 액세스 메모리에서 삭제하도록 제어하는 단계; 및
    상기 플래그 정보가 상기 랜덤 액세스 메모리에서 삭제된 이후에 상기 리드 리퀘스트를 수신한 때, 상기 컨트롤 유닛에서, 상기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로부터 리드된 상기 플래그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언맵 리스펀스를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메모리 시스템의 동작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조건은, 상기 랜덤 액세스 메모리가 가득 찬 것인 메모리 시스템의 동작 방법.
  15.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랜덤 액세스 메모리는,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으로 구성된 메모리 시스템의 동작 방법.
KR1020170160827A 2017-11-28 2017-11-28 메모리 시스템 및 그것의 동작 방법 KR1024232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0827A KR102423278B1 (ko) 2017-11-28 2017-11-28 메모리 시스템 및 그것의 동작 방법
US16/034,924 US10698786B2 (en) 2017-11-28 2018-07-13 Memory system using SRAM with flag information to identify unmapped addresses
TW107129770A TW201926333A (zh) 2017-11-28 2018-08-27 記憶體系統及其操作方法
CN201811105141.4A CN109840222B (zh) 2017-11-28 2018-09-21 存储器系统及其操作方法
US16/884,240 US11366736B2 (en) 2017-11-28 2020-05-27 Memory system using SRAM with flag information to identify unmapped addresse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0827A KR102423278B1 (ko) 2017-11-28 2017-11-28 메모리 시스템 및 그것의 동작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1930A true KR20190061930A (ko) 2019-06-05
KR102423278B1 KR102423278B1 (ko) 2022-07-21

Family

ID=666332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60827A KR102423278B1 (ko) 2017-11-28 2017-11-28 메모리 시스템 및 그것의 동작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2) US10698786B2 (ko)
KR (1) KR102423278B1 (ko)
CN (1) CN109840222B (ko)
TW (1) TW201926333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85966A (ko) 2019-01-07 2020-07-16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데이터 저장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168013A1 (en) * 1993-10-01 2004-08-26 Fujitsu Limited Of Kawasaki, Japan Method of writing, erasing, and controlling memory for memory device
US20080005471A1 (en) * 2000-01-06 2008-01-03 Super Talent Electronics, Inc. Flash Memory Controller For Electronic Data Flash Card
US20100268869A1 (en) * 2009-04-20 2010-10-21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mory system comprising nonvolatile memory device and controller
US20150331624A1 (en) * 2014-05-19 2015-11-19 Kabushiki Kaisha Toshiba Host-controlled flash translation layer snapshot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33158A (en) * 1997-09-09 1999-08-03 Compaq Computer Corporation Use of a link bit to fetch entries of a graphic address remapping table
US5914730A (en) * 1997-09-09 1999-06-22 Compaq Computer Corp. System and method for invalidating and updating individual GART table entries for accelerated graphics port transaction requests
US9208071B2 (en) * 2010-12-13 2015-12-08 SanDisk Technologies, Inc.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accessing memory
JP5882467B2 (ja) * 2012-03-13 2016-03-09 株式会社日立製作所 不揮発半導体メモリを含んだ不揮発半導体記憶デバイスを有するストレージシステム
US20130326161A1 (en) 2012-05-31 2013-12-05 Oren Cohen Method and Host Device for Assessing Execution of Trim Commands
KR102068342B1 (ko) * 2013-03-07 2020-01-20 삼성전자주식회사 메모리 제어기 및 그것을 포함하는 메모리 시스템
TWI514142B (zh) 2013-11-26 2015-12-21 Synology Inc 儲存系統及其控制方法
US9575853B2 (en) 2014-12-12 2017-02-21 Intel Corporation Accelerated data recovery in a storage system
KR20170053278A (ko) * 2015-11-06 2017-05-16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데이터 저장 장치 및 그것의 동작 방법
JP6517685B2 (ja) * 2015-12-22 2019-05-22 東芝メモリ株式会社 メモリシステムおよび制御方法
KR102395538B1 (ko) 2017-04-28 2022-05-10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데이터 저장 장치 및 그것의 동작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168013A1 (en) * 1993-10-01 2004-08-26 Fujitsu Limited Of Kawasaki, Japan Method of writing, erasing, and controlling memory for memory device
US20080005471A1 (en) * 2000-01-06 2008-01-03 Super Talent Electronics, Inc. Flash Memory Controller For Electronic Data Flash Card
US20100268869A1 (en) * 2009-04-20 2010-10-21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mory system comprising nonvolatile memory device and controller
US20150331624A1 (en) * 2014-05-19 2015-11-19 Kabushiki Kaisha Toshiba Host-controlled flash translation layer snapsho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23278B1 (ko) 2022-07-21
CN109840222B (zh) 2023-06-09
US10698786B2 (en) 2020-06-30
US20190163602A1 (en) 2019-05-30
TW201926333A (zh) 2019-07-01
CN109840222A (zh) 2019-06-04
US11366736B2 (en) 2022-06-21
US20200285552A1 (en) 2020-09-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097026A (ko) 불휘발성 메모리 장치, 그것을 포함하는 데이터 저장 장치 및 데이터 저장 장치의 동작 방법
US10546618B2 (en) Nonvolatile memory device, data storage device including the sam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US20190220220A1 (en) Data storage device, operating method thereof and nonvolatile memory device
US10629275B2 (en) Data storage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US11748025B2 (en) Nonvolatile memory device, data storage device including the sam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CN109582483B (zh) 数据存储装置及其操作方法
US20200150898A1 (en) Memory system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KR20200089939A (ko) 메모리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KR20190106005A (ko) 메모리 시스템, 그것의 동작 방법 및 전자 장치
KR20220104486A (ko) 메모리 시스템, 그것의 동작 방법 및 컴퓨팅 시스템
KR20190085642A (ko) 메모리 시스템
KR20210121660A (ko) 메모리 시스템 및 그것의 동작 방법
KR20210068734A (ko) 데이터 저장 장치 및 그것의 동작 방법
US11366736B2 (en) Memory system using SRAM with flag information to identify unmapped addresses
US20220179581A1 (en) Memory system and controller of memory system
KR20160025377A (ko) 반도체 메모리 장치, 그것의 동작 방법 및 그것을 포함하는 데이터 저장 장치
KR20230134288A (ko) 메모리 시스템 및 그것의 동작 방법
KR20180121733A (ko) 데이터 저장 장치 및 그것의 동작 방법
KR20180077872A (ko) 불휘발성 메모리 장치의 동작 방법 및 그것을 포함하는 데이터 저장 장치의 동작 방법
US10776008B2 (en) Memory system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KR102416939B1 (ko) 데이터 저장 장치 및 그것의 동작 방법
KR20200093363A (ko) 메모리 시스템
KR20190059633A (ko) 데이터 저장 장치, 그것의 동작 방법 및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의 동작 방법
KR20190069966A (ko)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 이를 이용하는 메모리 시스템 및 그것의 동작 방법
KR20210094773A (ko) 메모리 시스템 및 그것을 포함하는 데이터 처리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