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57061A - 액체 재료 토출 장치 - Google Patents

액체 재료 토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57061A
KR20190057061A KR1020197007920A KR20197007920A KR20190057061A KR 20190057061 A KR20190057061 A KR 20190057061A KR 1020197007920 A KR1020197007920 A KR 1020197007920A KR 20197007920 A KR20197007920 A KR 20197007920A KR 20190057061 A KR20190057061 A KR 201900570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quid
liquid delivery
liquid material
delivery path
dischar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079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29039B1 (ko
Inventor
가즈마사 이쿠시마
Original Assignee
무사시 엔지니어링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무사시 엔지니어링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무사시 엔지니어링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900570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570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90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90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5/00Details of spraying plant or spray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ccessories
    • B05B15/50Arrangements for cleaning; Arrangements for preventing deposits, drying-out or blockage; Arrangements for detecting improper discharge caused by the presence of foreign mat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11/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in groups B05C1/00 - B05C9/00
    • B05C11/10Storage, supply or control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Recovery of excess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 B05C11/1002Means for controlling supply, i.e. flow or pressure,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the applying apparatus, e.g. valves
    • B05C11/1026Valves
    • B05C11/1031Gate valves; Sliding val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5/00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projected, poured or allowed to flow on to the surface of the wor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5/00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projected, poured or allowed to flow on to the surface of the work
    • B05C5/02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projected, poured or allowed to flow on to the surface of the work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being discharged through an outlet orifice by pressure, e.g. from an outlet device in contact or almost in contact, with the work
    • B05C5/0225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projected, poured or allowed to flow on to the surface of the work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being discharged through an outlet orifice by pressure, e.g. from an outlet device in contact or almost in contact, with the work characterised by flow controlling means, e.g. valves, located proximate the outle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015Ink jet characterised by the jet generation process
    • B41J2/04Ink jet characterised by the jet generation process generating single droplets or particles on demand
    • B41J2/045Ink jet characterised by the jet generation process generating single droplets or particles on demand by pressure, e.g.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 B41J2/04501Control methods or devices therefor, e.g. driver circuits, control circuits
    • B41J2/04588Control methods or devices therefor, e.g. driver circuits, control circuits using a specific wavefor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02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designed to produce a jet, spray, or other discharge of particular shape or nature, e.g. in single drops, or having an outlet of particular shape
    • B05B1/08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designed to produce a jet, spray, or other discharge of particular shape or nature, e.g. in single drops, or having an outlet of particular shape of pulsating nature, e.g. delivering liquid in successive separate quantities ; Fluidic oscillators
    • B05B1/083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designed to produce a jet, spray, or other discharge of particular shape or nature, e.g. in single drops, or having an outlet of particular shape of pulsating nature, e.g. delivering liquid in successive separate quantities ; Fluidic oscillators the pulsating mechanism comprising movable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11/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in groups B05C1/00 - B05C9/00
    • B05C11/10Storage, supply or control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Recovery of excess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11/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in groups B05C1/00 - B05C9/00
    • B05C11/10Storage, supply or control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Recovery of excess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 B05C11/1002Means for controlling supply, i.e. flow or pressure,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the applying apparatus, e.g. valves
    • B05C11/1034Means for controlling supply, i.e. flow or pressure,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the applying apparatus, e.g. valves specially designed for conducting intermittent application of small quantities, e.g. drops, of coating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5/00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projected, poured or allowed to flow on to the surface of the work
    • B05C5/001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projected, poured or allowed to flow on to the surface of the work incorporating means for heating or cooling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5/00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projected, poured or allowed to flow on to the surface of the work
    • B05C5/02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projected, poured or allowed to flow on to the surface of the work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being discharged through an outlet orifice by pressure, e.g. from an outlet device in contact or almost in contact, with the work
    • B05C5/0225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projected, poured or allowed to flow on to the surface of the work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being discharged through an outlet orifice by pressure, e.g. from an outlet device in contact or almost in contact, with the work characterised by flow controlling means, e.g. valves, located proximate the outlet
    • B05C5/0237Fluid actuated val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1/00Processe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 B05D1/26Processe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performed by applying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from an outlet device in contact with, or almost in contact with, the surfa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202/00Embodiments of or processes related to ink-jet or thermal heads
    • B41J2202/01Embodiments of or processes related to ink-jet heads
    • B41J2202/05Heads having a valve

Landscapes

  • Coating Apparatus (AREA)
  • Filling Or Emptying Of Bunkers, Hoppers, And Tanks (AREA)
  • Application Of Or Painting With Fluid Materials (AREA)
  • Feeding, Discharge, Calcimining, Fusing, And Gas-Generation Devices (AREA)
  •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AREA)
  • Sampling And Sample Adjus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봉형체로 이루어지는 토출용 부재와, 토출용 부재보다 폭이 넓고, 토출용 부재의 선단부가 배치되는 액실과, 액실과 연통하는 토출구와, 액실과 액체 재료 저류 용기를 연통하는 액체 송출로와, 토출용 부재를 구동하는 구동 장치와, 본체를 포함한 액체 재료 토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액실과 상기 액체 재료 저류 용기의 연통을 차단하지 않고, 상기 액체 송출로에 당겨서 제거 가능하게 삽입되는 가늘고 긴 삽입 부재를 구비하는 액체 재료 토출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액체 재료 토출 장치
본 발명은, 세정 시에 폐기하는 액체 재료의 양을 적게 하면서, 세정성이 양호한 액체 재료 토출 장치에 관한 것이다.
기판 상에 접착제 등의 원하는 패턴으로 액체 재료를 도포하기 위한 토출 장치로서는, 왕복 이동하는 봉형체(棒形體)(플런저)를 이용하여 소량의 액체 재료를 토출구로부터 토출시키는 토출 장치나 봉형체의 표면의 축 방향으로 나선형으로 칼라가 형성된 스크류를 회전시키고, 이 스크류의 회전에 의해 칼라가 액체 재료를 반송하여 액체를 토출하는 토출 장치가 알려져 있다.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에서는, 액재를 토출하는 토출구를 가지는 액실(液室)과, 액실보다 폭이 좁은 플런저 및 맞닿음부를 가지고, 플런저의 선단부가 액실 내를 진퇴 이동하는 압출 부재와, 압출 부재의 플런저와 반대 측에 인접하여 설치되고, 피스톤 및 맞닿음부와 대향하는 충돌부를 가지는 충돌 부재와, 압출 부재 및 충돌 부재를 진퇴 이동시키는 구동 수단을 포함하고, 충돌부를 맞닿음부에 충돌시키는 것에 의해, 압출 부재를 고속 전진시켜 액재를 토출하는 토출 장치를 출원인은 개시하고 있다.
예를 들면, 특허문헌 2에서는, 실린더 표면에 선단으로부터 길이 방향을 향하여 나선형의 날개를 구비한 스크류와, 스크류를 회전시키는 모터와, 액체 재료가 공급되는 액재 유입구 및 스크류가 관통하는 스크류 관통공 및 스크류의 토출구 측 선단을 덮는 하우징을 구비하는 본체와, 하우징의 선단에 장착되고 하우징의 내부와 연통(連通)한 노즐로 구성되며, 스크류의 회전에 의해 액재를 토출하는 스크류식 토출 장치에 있어서, 스크류와 하우징 내벽면에 간극을 존재시켜 이루어지는 액체 재료의 토출 장치를 출원인은 개시하고 있다.
국제공개 제2008/126373호 팜플렛 일본공개특허 제2002-326715호 공보
액체 재료 토출 장치에서 사용하는 액체 재료의 종류를 변경할 때는, 장치 내의 유로의 세정이 행해진다. 이 세정 시에는, 유로 내에 잔류한 액체 재료를 폐기할 필요가 있는 바, 고가인 액체 재료의 폐기를 가능한 한 적게 하고 싶다는 요구가 있다.
토출용 부재가 동작하는 액실에 액체 재료를 공급하는 액체 송출로를 포함하는 액체 재료 토출 장치에 있어서는, 액체 송출로를 좁게 함으로써 세정 시에 폐기되는 액체 재료의 양을 적게 하는 것이 시도되고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의 도 1 참조).
그러나, 액체 송출로를 좁게 하면 액체 송출로 내에 잔류한 액체 재료의 제거가 어려워진다는 과제가 생긴다. 액체 송출로를 가지는 부재를 초음파 세정기에 의해 세정하는 것도 행해지고 있지만, 가늘고 긴 액체 송출로를 가지는 부재의 세정에는 긴 시간이 걸린다는 과제가 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세정 시에 폐기하는 액체 재료의 양을 적게 하면서, 세정성이 양호한 액체 재료 토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시린지 등의 저류(貯留) 용기가 본체의 측방에 배치되는 액체 재료 토출 장치에 있어서는, 일정한 길이를 가진 액체 송출로를 설치할 필요가 있다. 여기에서, 세정성 등을 높이기 위해 액체 송출로를 굵게 구성하면 잔류 액체 재료의 과제가 발생한다.
발명자는 예의 연구한 결과, 상기 액체 송출로에 당겨서 제거 가능하게 삽입되는 가늘고 긴 삽입 부재를 설치함으로써, 전술한 과제를 해결하고, 본 발명의 창작을 이루었다. 즉, 본 발명은 이하의 기술 수단에 의해 구성된다.
본 발명의 액체 재료 토출 장치는, 봉형체로 이루어지는 토출용 부재와, 토출용 부재보다 폭이 넓고, 토출용 부재의 선단부가 배치되는 액실과, 액실과 연통하는 토출구와, 액실과 액체 재료 저류 용기를 연통하는 액체 송출로와, 토출용 부재를 구동하는 구동 장치를 포함한 액체 재료 토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액실과 상기 액체 재료 저류 용기의 연통을 차단하지 않고, 상기 액체 송출로에 당겨서 제거 가능하게 삽입되는 가늘고 긴 삽입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액체 재료 토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액체 송출로가 단부(端部) 개구를 가지는 직선형의 유로에 의해 구성되고, 상기 삽입 부재가 상기 액체 송출로에 삽입되는 삽입부와, 상기 단부 개구를 막는 충전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해도 된다.
상기 액체 재료 토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삽입 부재가 상기 액체 송출로의 길이 L의 1/2∼1배의 길이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해도 된다.
상기 액체 재료 토출 장치에 있어서, 상기 구동 장치 중 적어도 일부를 구비하고, 상기 토출용 부재가 삽통(揷通)되는 관통공을 가지는 본체와, 상기 액체 송출로가 형성된 연장부를 가지고, 상기 본체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는 액체 송출 부재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해도 된다.
상기 액체 송출 부재를 포함하는 액체 재료 토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액체 송출 부재가 상기 액실의 일부를 구성하는 공간과, 상기 토출용 부재가 삽통되는 밀봉 부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해도 된다.
상기 액체 송출 부재를 포함하는 액체 재료 토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액체 송출 부재가 저류 용기와 연통되는 상부 개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해도 된다.
상기 액체 송출 부재를 포함하는 액체 재료 토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액체 송출 부재가 저류 용기를 위치결정하여 연결하는 용기 연결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해도 된다.
상기 액체 송출 부재를 포함하는 액체 재료 토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액체 송출 부재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가 분리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해도 된다.
상기 액체 재료 토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삽입 부재가 길이 방향의 표면에 형성된 요철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해도 된다.
상기 요철부를 가지는 삽입 부재를 포함하는 액체 재료 토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요철부가, 상기 액체 송출로의 내주면과 맞닿는 복수의 융기부와 융기부 사이에 위치하는 홈에 의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해도 되고, 또한, 상기 융기부 사이에 위치하는 홈이 나선형 홈에 의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해도 된다.
상기 액체 재료 토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삽입 부재가, 길이 방향으로 배치된 복수의 교반 날개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해도 된다.
상기 액체 재료 토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삽입 부재의 적어도 표면이, 상기 액체 송출로의 내주면보다 부드러운 재질에 의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해도 되고, 또한, 상기 삽입 부재의 적어도 표면이, 고무 또는 수지에 의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해도 된다.
상기 액체 재료 토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삽입 부재가, 단면적이 상이한 복수의 삽입 부재로 이루어지고, 선택된 하나의 삽입 부재를 상기 액체 송출로에 당겨서 제거 가능하게 삽입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해도 된다.
상기 액체 재료 토출 장치에 있어서, 상기 토출용 부재가, 선단부가 액실 내를 진퇴 이동하는 플런저, 또는, 선단부가 액실 내에서 회동하는 스크류에 의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해도 된다.
상기 액체 재료 토출 장치에 있어서, 상기 토출용 부재가 연직 방향으로 연장되는 플런저이고, 상기 구동 장치가 상기 토출용 부재를 진퇴 이동시키는 구동 장치이며, 진출 이동하는 플런저를 액실의 내측 바닥면에 구성된 밸브 시트에 충돌시키거나, 또는, 진출 이동하는 플런저를 상기 밸브 시트에 충돌하기 직전에 정지하여, 토출구보다 액적을 비상 토출시키는 제트식의 토출 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해도 된다.
본 발명의 액체 재료의 토출 방법은, 상기 액체 재료 토출 장치를 이용한 액체 재료의 토출 방법이다.
다른 관점에서의 본 발명의 액체 재료의 토출 방법은, 상기 복수의 교반 날개를 포함하는 액체 재료 토출 장치를 이용하여, 필러를 함유하는 액체 재료를 토출하는 액체 재료의 토출 방법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세정 시에 폐기하는 액체 재료의 양을 적게 하면서, 세정성이 양호한 액체 재료 토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1] 제1 실시형태의 액체 재료 토출 장치의 정면 단면도(삽입 부재 삽입 시)이다.
[도 2] 제1 실시형태의 액체 재료 토출 장치의 정면 단면도(삽입 부재 제거 시)이다.
[도 3] 액체 송출로의 세정 방법을 설명하는 정면 단면도이고, 도 3의 (a)는 삽입 부재 삽입 시, 도 3의 (b)는 삽입 부재 제거 시, 도 3의 (c)는 면봉 준비 시, 도 3의 (d)는 면봉을 액체 송출로의 중앙까지 삽입했을 때, 도 3의 (e)는 면봉을 액체 송출로의 종단 부근까지 삽입했을 때를 나타내고 있다.
[도 4] 제2 실시형태의 액체 재료 토출 장치의 요부 정면 단면도이다.
[도 5] 제3 실시형태의 삽입 부재의 정면도이다.
[도 6] 제3 실시형태의 액체 재료 토출 장치의 요부 정면 단면도이다.
[도 7] 제4 실시형태의 삽입 부재의 정면도이다.
[도 8] 제4 실시형태의 액체 재료 토출 장치의 요부 정면 단면도이다.
[도 9] 도 9의 (a)는 제5 실시형태의 삽입 부재의 정면도이고, 도 9의 (b)는 제6 실시형태의 삽입 부재의 정면도이다.
[도 10] 도 10의 (a)는 제7 실시형태의 삽입 부재의 정면도이고, 도 10의 (b) 제8 실시형태의 삽입 부재의 정면도이다.
[도 11] 종래의 액체 재료 토출 장치의 정면 단면도이다.
<<종래예>>
도 11에 나타내는 종래의 액체 재료 토출 장치는 본체 상부(81)와, 본체 중부(82)와, 제1 액체 송출 부재(83)와, 제2 액체 송출 부재(84)와, 본체 하부(85)와, 노즐 부재(86)를 주로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체 상부(2)에 형성된 피스톤실(15)에는, 토출용 부재(11)의 후부와 연결되는 피스톤(16)이 상하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피스톤실(15)에는, 전자(電磁) 전환 밸브(61) 및 압력 조정기(레귤레이터)(62)를 통하여, 에어 공급원(63)으로부터 가압 에어가 공급된다.
토출용 부재(11)는 끝이 가늘어지는 형상의 봉형체이고, 선단부가 제1 액체 송출 부재(83), 본체 하부(85) 및 노즐 부재(86)에 형성된 액실(87) 내에 위치하고 있다. 토출용 부재(11)가, 에어 공급원(63)으로부터의 가압 에어 및 스프링(17)의 작용에 의해 왕복 이동함으로써, 노즐 부재(86)의 하단에 형성된 토출구로부터 액체 재료를 토출한다.
액실(87)은 액실(87)의 상부 측면에 형성된 개구에 의해 액체 송출로(88)와 연통하고 있다.
액체 송출로(88)의 액실(87)과 반대 측의 단부에 형성된 측부 개구에는, 마개(89)가 나사결합되어 있다. 액체 송출로(88)에 액체 재료를 충전할 때는, 마개(89)를 분리해 놓고, 기포를 제거한다.
액체 송출로(88)는 배관에 의해 저류 탱크(91)와 연통되어 있다. 저류 탱크(91)의 상부 공간에는, 감압 밸브(92)에 의해 조압된 에어 공급원(93)으로부터의 가압 에어가 공급되고 있다.
종래의 액체 재료 토출 장치는, 일반적인 공업용 면봉을 삽입할 수 없는 정도로 액체 송출로(88)가 가늘기 때문에, 액체 송출로 내에 잔류한 액체 재료의 제거가 어렵다는 과제가 있다.
<<제1 실시형태>>
도 1에 나타내는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관한 액체 재료 토출 장치(1)는 본체 상부(2)와, 본체 하부(3)와, 액체 송출 부재(4)와, 노즐 고정구(5)와, 노즐 부재(6)와, 제어부(64)를 주로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체 상부(2)는 직육면체형의 블록형 부재이고, 내부에 피스톤실(15)이 형성되어 있다. 피스톤실(15)에는, 토출용 부재(11)의 후부와 연결되는 피스톤(16)이 상하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피스톤(16)의 측면에는, 밀봉 부재(22)가 환형으로 설치되어 있고, 이에 의해 피스톤실(15)의 상방 공간과 하방 공간의 기밀성이 유지되고 있다. 피스톤실(15)의 바닥면에 형성된 오목부에는 환형의 밀봉 부재(21)가 끼워넣어져 있다. 피스톤실(15) 바닥면의 오목부의 중심에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관통공(23)이 형성되어 있다. 밀봉 부재(21) 및 관통공(23)에는 토출용 부재(11)가 삽통되고 있다.
피스톤실(15)의 하방 공간에는, 전자 전환 밸브(61)로부터 가압 에어가 공급된다. 전자 전환 밸브(61)는 압력 조정기(레귤레이터)(62)를 통하여, 가압 에어를 공급하는 에어 공급원(63)과 연통한다. 압력 조정기(62)는, 예를 들면 감압 밸브 또는 감압 밸브와 버퍼 탱크의 조합으로 구성된다. 전자 전환 밸브(61)는 제어부(64)로부터의 지령에 기초하여, 압력 조정기(62)와 피스톤실(15)의 하방 공간을 연통하는 제1 위치와, 피스톤실(15)의 하방 공간과 외계(대기)를 연통하는 제2 위치를 바꾸도록 작동한다. 전자 전환 밸브(61)가 제1 위치를 취하면 가압 에어의 작용에 의해 토출용 부재(11)가 후퇴 이동하고, 제2 위치를 취하면 스프링(17)의 가압력에 의해 토출용 부재(11)가 진출 이동한다. 즉, 전자 전환 밸브(61) 및 스프링(17)이 토출용 부재(11)를 구동하는 구동 장치를 구성한다.
제어부(64)는 전자 전환 밸브(61)의 동작을 제어하는 컴퓨터이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전자 전환 밸브(61)를 본체 상부(2)에 직접 고정하고 있지만, 관(압송관) 등을 통하여 본체 상부(2)와 떨어진 위치에 배치해도 된다.
토출용 부재(11)는 원기둥형의 밸브체이고, 본체 상부(2), 본체 하부(3) 및 액체 송출 부재(4)를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여 연장되어 있다. 토출용 부재(11)의 하단부는 액실(12)에 위치하고 있고, 토출용 부재(11)가 액실(12)의 내측 바닥면에 구성된 밸브 시트로부터 이격되면 토출구(7)와 액실(12)이 연통하여 액체 재료가 토출되고, 토출용 부재(11)가 밸브 시트에 착좌하면 토출구(7)와 액실(12)의 연통이 차단되어 토출이 정지된다. 토출용 부재(11)의 직경은 액실(12)의 직경보다 작으므로, 토출용 부재(11)의 측주위면이 액실(12)의 내측면과 맞닿는 일은 없다. 토출용 부재(11)의 측주위면에 생기는 마찰이 최소한으로 되어 있으므로, 토출용 부재(11)를 고속으로 이동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의 토출 장치(1)과는 상이하게, (a) 밸브 시트에 밸브체(토출용 부재)를 충돌시켜 액체 재료를 토출구로부터 비상 토출시키는 착좌 타입의 제트식, 또는 (b) 밸브체(토출용 부재)를 이동시키고, 이어서 급격하게 정지하여, 밸브 시트에 밸브체(토출용 부재)를 충돌시키지 않고 토출구로부터 비상 토출시키는 비착좌 타입의 제트식에도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적용하는 것은 당연히 가능하다. 제트식의 토출 장치에 있어서도, 토출용 부재를 고속으로 진퇴 이동시키기 위하여, 액실보다 선단부가 폭이 좁은 토출용 부재를 사용한다.
도 1에서는, 토출용 부재(11)의 선단의 형상을 평면으로 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구형으로 하거나, 오목형으로 하거나, 끝이 가늘어지는 형상으로 하거나, 토출구(7)와 대향하는 위치에 돌기를 형성하거나 해도 된다. 토출용 부재(11)는 원기둥형의 밸브체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회전하는 스크류에 의해 구성되는 경우도 있다. 본 발명이 대상으로 하는 토출용 부재에는, 연직 방향으로 연장되는 봉형의 부재이고, 왕복 진퇴 이동 또는 회전 운동하는 것에 의해 액실 내의 액체 재료를 토출구로부터 토출하는 것이 포함된다. 토출용 부재를 구동하는 구동 장치로서는 모터, 피에조 소자, 스프링 등의 탄성체와 가압 에어의 전환 밸브, 공기압식 액추에이터가 예시된다.
토출용 부재(11)의 후부는 피스톤(16)과 연결되어 있고, 피스톤(16)은 스프링(17)에 의해 하방으로 가압되고 있다. 스프링(17)은 코일 스프링이고, 스프링(17)의 내부 공간에는 토출용 부재(11)의 후단부와 스트로크 조정 나사(19)가 대향 배치되어 있다. 스트로크 조정 나사(19)는, 본체 상부(2)의 상면에 삽입된 손잡이부(18)와 연결되어 있고, 손잡이부(18)를 회전하는 것에 의해 토출용 부재(11)의 최후퇴 위치를 조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체 상부(2)의 하방에는, 직육면체형의 블록형 부재인 본체 하부(3)가 배치되어 있다. 본체 하부(3)를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는 관통공은 토출용 부재(11)보다 대경(大徑)이고, 토출용 부재(11)가 삽통되고 있다. 본체 하부(3)의 하방에는, 본체 하부(3)보다 수평 방향으로 폭이 있는 액체 송출 부재(4)가 설치되어 있다. 액체 송출 부재(4)의 하방에는 노즐 고정구(5)가 설치되어 있다. 노즐 고정구(5)는 바닥면에 개구를 가진 사발형이고, 개구에 삽입된 노즐 부재(6)의 플랜지부를 유지하여 액체 송출 부재(4)와 노즐 부재(6)를 연결하고 있다. 액체 송출 부재(4) 및 노즐 부재(6)는 본체 하부(3) 및 노즐 고정구(5)로부터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
액체 송출 부재(4)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단(段)이 있는 관통공을 가지고 있다. 단이 있는 관통공의 단부에는 환형의 밀봉 부재(14)가 설치되어 있고, 단이 있는 관통공의 밀봉 부재(14) 하방의 공간은 액실(12)의 일부를 구성한다. 액실(12)의 폭(직경)은 토출용 부재(11)의 폭(직경)보다 크기 때문에, 토출용 부재(11)의 측주위면이 액실(12)의 내측면과 맞닿는 일은 없다. 밀봉 부재(14)가 가지는 토출용 부재(11)와 실질적으로 같은 직경의 구멍에는, 토출용 부재(11)가 삽통되고 있다.
액체 송출 부재(4)는, 본체(2, 3) 측면의 연장선 부분으로부터 수평 방향으로 곧게 연장되는 연장부(41)를 구비하고 있다. 연장부(41)의 내부에는, 수평 방향으로 곧게 연장되는 액체 송출로(13)가 형성되어 있다. 액체 송출로(13)는 전체 길이에 걸쳐 동일한 직경이다. 연장부(41)는 저류 용기(51)의 교환이 용이하게 되는 길이로 구성되어 있다. 도 11에 나타내는 종래예와 같이, 연장부(41)를 본체(2, 3) 측면의 연장선 부분에서 착탈 가능하게 구성해도 된다[즉, 도 11의 제2 액체 송출 부재(84)에 의해 연장부(41)를 구성해도 됨].
액체 송출 부재(4)의 높이(상하 방향의 폭)는, 본체 상부(2) 및 본체 하부(3)의 어떠한 높이(상하 방향의 폭)보다도 작게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의 액체 송출 부재(4)는 상하 방향으로 컴팩트(두께가 얇게)하게 구성되어 있으므로, 초음파 세정기에 의한 세정에 적합하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와는 상이하게, 경사 방향으로 곧게 연장되는 액체 송출로가 내부에 형성된 액체 송출 부재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다만, 상하 방향의 폭은 커짐).
액실(12)은, 액실(12)의 상부 측면에 형성된 개구에 의해 액체 송출로(13)와 연통하고 있다. 액체 송출로(13)의 직경은 공업용 면봉을 삽입할 수 있는 크기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예를 들면, 2.5㎜∼10㎜(바람직하게는 3㎜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4㎜ 이상)이다. 일반적으로 공업용 면봉은, 헤드부의 직경이 5㎜ 정도인 것이 많다.
액체 송출로(13)의 액실(12)과는 반대 측의 단부 부근의 상면에 형성된 상부 개구(44)는 저류 용기(51)와 연통하고 있고, 저류 용기(51) 내의 액체 재료가 상부 개구(44)를 통하여 액체 송출로(13)에 공급된다.
저류 용기(51)는 시판되고 있는 수지제 또는 금속제의 시린지이고, 용기 연결구(43)에 의해 액체 송출 부재(4)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용기 연결구(43)는 저류 용기(51)의 하단부를 액체 송출 부재(4)의 연장부(41)에 연결하고, 저류 용기(51)가 본체(2, 3)의 측방에 위치하도록 위치 결정한다. 저류 용기(51)의 상부 개구에는, 감압 밸브(53)와 배관으로 연통되는 어댑터(52)가 장착되어 있다. 저류 용기(51)의 상부 공간에는, 감압 밸브(53)에 의해 조압된 에어 공급원(54)으로부터의 가압 에어가 공급되고 있다.
액체 송출로(13)의 액실(12)과는 반대 측의 단부에 형성된 측부 개구(45)에는 삽입 부재(30)가 삽통되고 있다. 측부 개구(45) 부근의 액체 송출로(13)의 내주면에는, 나사 홈(42)이 형성되어 있다.
삽입 부재(30)는 스틱형의 삽입부(31)와, 삽입부(31)의 단부에 형성된 충전부(32)와, 삽입부(31) 및 충전부(32)와 연결된 손잡이부(33)를 구비하고 있다.
삽입부(31)는 액체 송출로(13)의 직경보다 소경(小徑)의 원기둥형 부재이고, 액체 송출로(13)의 길이 L의 1/2∼1배(바람직하게는 2/3∼1배)의 길이를 가지고 있다. 삽입부(31)의 삽입 및 제거 시에 액체 송출로(13)의 내주면을 상처입히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삽입부(31) 중 적어도 표면은 액체 송출로(13)의 내주면보다 부드러운 재질에 의해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예를 들면 액체 송출로(13)의 내주면이 금속으로 이루어지는 경우에 삽입부(31)의 표면(또는 전체)을 고무 또는 수지에 의해 구성하는 것이 개시된다.
제1 실시형태에서는, 액체 송출로(13)의 직경을 3㎜, 삽입부(31)의 직경을 2㎜로 하였다. 또한, 제1 실시형태에서는, 삽입부(31)의 단면 형상을 액체 송출로(13)의 단면 형상의 닮은꼴로 하고 있다. 삽입부(31)를 액체 송출로(13)에 삽입하여 손잡이부(33)를 회전하여 나사결합하면, 삽입부(31)는 액체 송출로(13)의 중심축 상에 위치한 상태로 고정된다.
스틱형의 삽입부(31)를 액체 송출로(13)에 삽입하고, 액체 송출로(13)의 용적을 감소시키는 것에 의해, 액체 송출로(13) 내에 잔류하는 액체 재료의 양을 감소시킬 수 있으므로, 액체 송출 부재(4)의 세정 시에 폐기되는 액체 재료의 낭비를 삭감할 수 있다. 상이한 단면적의 삽입부(31)를 가지는 삽입 부재(30)를 복수 개 준비하여 둠으로써, 용도에 따라서 액체 송출로(13)로부터 액실(12)에 공급하는 액체 재료의 양을 조절하는 것도 가능해진다. 예를 들면, 점도가 높은 액체 재료를 사용할 때는, 점도가 낮은 액체 재료로 사용하고 있었던 삽입 부재(30)보다 삽입부(31)의 단면적이 작은 삽입 부재(30)를 사용하는 것이 개시된다. 삽입부(31)의 단면적을 제로로 하는 것이 바람직한 토출 작업이 혼재하는 경우에는, 종래예의 마개(89)를 복수의 삽입 부재(30)의 하나로서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충전부(32)는 삽입부(31)보다 직경이 확대된 원기둥형의 부위이고, 표면에 나사 홈이 형성되어 있다. 충전부(32)는 측부 개구(45)에 연결되는 유로를 막는 길이로 구성되어 있고, 측부 개구(45)에 연결되는 유로에 기포가 잔류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그리고, 충전부(32)에 나사 홈을 형성하지 않고, 고정구에 의해 삽입 부재(30)를 액체 송출 부재(4)에 고정해도 된다.
손잡이부(33)는 충전부(32)보다도 직경이 확대된 원기둥형의 부위이고, 표면에 미끄럼 방지 가공이 실시되어 있다. 액체 송출 부재(4)의 측면에 형성된 측부 개구(45)에 삽입 부재(30)를 삽입하고, 손잡이부(33)를 손으로 잡고 제1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충전부(32) 표면의 나사 홈과 나사 홈(42)이 나사결합되고, 제2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나사결합 상태가 해제되어, 삽입 부재(30)를 당겨서 제거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액체 송출 부재(4)의 측면에 형성된 측부 개구(45)는, 토출 작업의 개시 전에 액체 송출로(13)에 액체 재료를 충전할 때 기포 제거구로서도 이용된다. 액체 송출로(13)에 액체 재료를 충전할 때는, 삽입 부재(30)를 액체 송출 부재(4)로부터 분리하여 놓고, 토출구로부터 액체 재료의 유출이 확인된 후, 삽입 부재(30)를 장착한다.
도 2는, 삽입 부재(30)를 당겨서 제거할 때의 액체 재료 토출 장치(1)의 정면 단면도이다. 뽑아내어진 삽입부(31)의 표면(주면)에는, 도시하지 않은 액체 재료가 부착되어 있다. 당겨서 제거할 때에 액체 송출로(13) 내에 잔류하는 액체 재료의 양을 적게 하기 위하여, 삽입부(31)의 표면에 요철을 형성하거나, 긁어내기용의 환형 융기부를 형성해도 된다(후술하는 제3 실시형태도 참조).
도 3은, 액체 송출로(13)의 세정 방법을 설명하는 정면 단면도이다. 도 3의 (a)는 삽입 부재(30)를 액체 송출로(13)에 삽입한 상태를 나타내고, 도 3의 (b)는 삽입 부재(30)를 액체 송출로(13)로부터 당겨서 제거한 상태를 나타내고, 도 3의 (c)는 면봉(70)을 액체 송출로(13)에 삽입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내고, 도 3의 (d)는 면봉(70)을 액체 송출로(13)의 중앙까지 삽입한 상태를 나타내고, 도 3의 (e)는 면봉(70)을 액체 송출로(13)의 종단 부근까지 삽입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3 중, 잔류한 액체 재료는 회색으로 도시하고 있다. 도 3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삽입 부재(30)를 액체 송출로(13)로부터 당겨서 제거했을 때 액체 송출로(13)에 잔류하는 액체 재료는 소량이다.
도 3의 (d) 및 도 3의 (e)에 나타낸 바와 같이, 면봉(70)을 액체 송출로(13)에 삽입하여 진퇴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 액체 송출로(13)를 용이하게 세정할 수 있다.
면봉(70)에 의한 세정 후, 액체 송출 부재(4)를 초음파 세정기에 의해 세정할 때에도, 세정 시간을 단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당겨서 제거한 삽입 부재(30)도 초음파 세정기에 의해 세정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제1 실시형태의 액체 재료 토출 장치(1)에 의하면, 삽입 부재(30)에 의해 액실(12)에 공급하는 액체 재료의 양을 조절하면서, 액체 송출 부재(4)의 세정 시에 폐기되는 액체 재료의 낭비를 삭감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삽입 부재(30)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와 비교하여 액체 송출로(13)의 단면적을 크게 할 수 있으므로, 액체 송출로(13)의 세정 시간을 단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나아가, 액체 송출로(13)를 종래보다도 대경으로 구성할 수 있으므로, 세정 후의 육안에 의한 확인도 용이하다.
<<제2 실시형태>>
도 4에 나타내는 제2 실시형태의 액체 재료 토출 장치(1)는, 연장부(41)가 단부 외주에 형성된 나사 홈(42)을 구비하고, 삽입 부재(30)가 홈(34)에 형성된 나사 홈(35)을 구비하는 점에서 제1 실시형태와 주로 상이하다. 이하에서는, 제1 실시형태와의 상위점을 중심으로 설명하고, 공통되는 요소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제2 실시형태의 연장부(41)는 단부에 소경의 통부(46)를 가지고, 통부(46)의 외주에 나사 홈(42)이 형성되어 있다. 삽입 부재(30)는, 손잡이부(33)의 내측에 형성된 환형의 홈(34)을 구비하고 있다. 홈(34)의 외주에는 나사 홈(35)이 형성되어 있고, 연장부(41)의 나사 홈(42)과 나사 결합되어 삽입 부재(30)를 고정할 수 있다.
그 외의 구성에 대해서는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제2 실시형태의 액체 재료 토출 장치(1)에 의해서도,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한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나사 홈(35, 42)이 액체 재료에 접촉하지 않기 때문에, 나사 홈에 건조된 액체 재료가 고착된다는 문제가 생기지 않는다.
<<제3 실시형태>>
도 5에 나타내는 제3 실시형태의 삽입 부재(30)는, 융기부(36) 및 나선 홈(37)이 삽입부(31)의 외주에 형성되어 있는 점에서 제1 실시형태와 주로 상이하다. 이하에서는, 제1 실시형태와의 상위점을 중심으로 설명하고, 공통되는 요소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제3 실시형태의 삽입부(31)는, 복수의 융기부(36) 및 나선 홈(37)이 외주에 형성되어 있다. 복수의 융기부(36)는 같은 폭이며, 나선 홈(37)의 폭도 시점으로부터 종점까지 같은 폭이다. 삽입부(31)가 액체 송출로(13)에 삽입되면, 융기부(36)와 액체 송출로(13)의 내주면이 맞닿고, 나선 홈(37)이 액체 재료를 액실(12)에 공급하는 유로의 역할을 이루어낸다. 도 6은, 삽입 부재(30)를 액체 송출로(13)에 장착한 상태를 나타낸 정면 단면도이다[O링(38)은 도시하지 않음].
제3 실시형태에서는, 융기부(36)가 액체 송출로(13)의 내주면과 맞닿으므로, 내주면에 상처를 내는 일이 없도록, 적어도 융기부(36)를 고무 또는 수지 등의 저경도 재료에 의해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충전부(32)와 손잡이부(33)의 단차 부분에는, O링(38)이 배치되어 있다.
그 외의 구성에 대해서는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제3 실시형태의 삽입 부재(30)에 의해서도,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한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제3 실시형태에서는, 융기부(36)에 의한 긁어내기 작용이 이루어지므로, 액체 송출로(13) 내에 잔류하는 액체 재료의 양을 제1 실시형태보다 적게 할 수 있다.
<<제4 실시형태>>
도 7에 나타내는 제4 실시형태의 삽입 부재(30)는, 삽입부(31)가 액체 송출로(13)의 하면과 맞닿도록 구성되어 있는 점에서 제1 실시형태와 주로 상이하다. 이하에서는, 제1 실시형태와의 상위점을 중심으로 설명하고, 공통되는 요소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제4 실시형태의 삽입부(31)는, 삽입 부재(30)의 중심축보다 하방에 배치되어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삽입부(31)의 하단과 충전부(32)의 하단이 일치하도록 삽입부(31)를 배치하고 있다.
도 8은, 삽입 부재(30)를 액체 송출로(13)에 장착한 상태를 나타낸 정면 단면도이다[O링(38)은 도시하지 않음]. 제4 실시형태에서도, 삽입부(31)에 의해 액체 송출로(13)의 용적을 감소시킴으로써, 액실(12)에 공급하는 액체 재료의 양을 감소시킬 수 있다.
제4 실시형태에서는, 삽입부(31)가 액체 송출로(13)의 내주면과 맞닿으므로, 내주면에 상처를 내는 일이 없도록, 삽입부(31)를 고무 또는 수지 등의 저경도 재료에 의해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충전부(32)와 손잡이부(33)의 단차 부분에는, O링(38)이 배치되어 있다.
그 외의 구성에 대해서는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제4 실시형태의 삽입 부재(30)에 의해서도,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한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제5 실시형태>>
도 9의 (a)에 나타내는 제5 실시형태의 삽입 부재(30)는, 삽입부(31)가 끝이 가늘어지는 테이퍼 형상으로 구성되어 있는 점에서 제1 실시형태와 상이하다.
그 외의 구성에 대해서는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제5 실시형태의 삽입 부재(30)에 의해서도,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한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제6 실시형태>>
도 9의 (b)에 나타내는 제6 실시형태의 삽입 부재(30)는, 삽입부(31)가 끝이 두꺼워지는 테이퍼 형상으로 구성되어 있는 점에서 제1 실시형태와 상이하다. 또한, 제6 실시형태의 삽입 부재(30)는, 삽입부(31)의 선단이 구형으로 구성되어 있는 점에서도 제1 실시형태와 상이하다.
그 외의 구성에 대해서는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제6 실시형태의 삽입 부재(30)에 의해서도,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한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제7 실시형태>>
도 10의 (a)에 나타내는 제7 실시형태의 삽입 부재(30)는, 단면이 C자형의 융기부(36) 및 연통 홈(39)이 삽입부(31)의 외주에 형성되어 있는 점에서 제1 실시형태와 주로 상이하다. 이하에서는, 제1 실시형태와의 상위점을 중심으로 설명하고, 공통되는 요소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제7 실시형태의 융기부(36)는 단면이 C자형이고, 액체 송출로(13)의 내주면과 맞닿는 높이(상하 폭)로 구성되어 있다. 융기부(36)의 C자의 개구는 가늘고 긴 연통 홈(39)을 구성한다. 연통 홈(39)은 저류 용기로부터 공급되는 액체 재료를 액실(12)에 공급하는 유로의 역할을 이루어낸다.
제7 실시형태에서는, 융기부(36)가 액체 송출로(13)의 내주면과 맞닿으므로, 내주면에 상처를 내는 일이 없도록, 적어도 융기부(36)를 고무 또는 수지 등의 저경도 재료에 의해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충전부(32)와 손잡이부(33)의 단차 부분에는, O링(38)이 배치되어 있다.
그 외의 구성에 대해서는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제7 실시형태의 삽입 부재(30)에 의해서도,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한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제7 실시형태에서는, 삽입 부재(30)를 회전시키면서 당겨서 제거할 때 융기부(36) 및 연통 홈(39)에 의한 긁어내기 작용이 이루어진다.
<<제8 실시형태>>
도 10의 (b)에 나타내는 제8 실시형태의 삽입 부재(30)는, 길이 방향으로 배치된 복수의 교반 날개(40)를 구비하는 점에서 제1 실시형태와 주로 상이하다. 이하에서는, 제1 실시형태와의 상위점을 중심으로 설명하고, 공통되는 요소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제8 실시형태의 삽입부(31)는, 복수의 교반 날개(40)를 길이 방향으로 연결함으로써 구성되어 있다. 교반 날개(40)의 연결 개수는 예시의 개수에 한정되지 않고, 삽입부(31)가 가늘고 긴 형상(실질적으로 스틱형 또는 직선형)으로 되도록 임의의 형상의 교반 날개를 임의의 매수(바람직하게는 3장 이상) 배치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의 교반 날개(40)의 표면은 매끈한 면에 의해 구성되어 있지만, 이것과는 다르게 교반 날개의 표면에 요철을 형성해도 된다.
제8 실시형태의 삽입 부재(30)를 액체 송출로(13)에 장착함으로써, 액체 송출로(13)를 통과하는 액체 재료는 교반 날개(40)에 의해 교반되면서 액실(12)에 도달하게 된다.
충전부(32)와 손잡이부(33)의 단차 부분에는, O링(38)이 배치되어 있다.
그 외의 구성에 대해서는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제8 실시형태의 삽입 부재(30)에 의해서도,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한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제8 실시형태는, 액체 송출로(13) 내에서 액체 재료가 교반되기 때문에, 필러를 포함하는 액체 재료(예를 들면, 납땜 페이스트)의 토출에 호적하다.
이상, 본 발명이 바람직한 실시형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상기 실시형태의 기재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실시형태예에는 다양한 변경·개량을 더하는 것이 가능하고, 그와 같은 변경 또는 개량을 더한 형태의 것도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포함된다.
1 : 토출 장치
2 : 본체 상부
3 : 본체 하부
4 : 액체 송출 부재
5 : 노즐 고정구
6 : 노즐 부재
7 : 토출구
11 : 토출용 부재
12 : 액실
13 : 액체 송출로
14 : 밀봉 부재
15 : 피스톤실
16 : 피스톤
17 : 스프링
18 : 손잡이부
19 : 스트로크 조정 나사
21 : 밀봉 부재
22 : 밀봉 부재
30 : 삽입 부재
31 : 삽입부
32 : 충전부
33 : 손잡이부
34 : 홈
35 : 나사 홈
36 : 융기부
37 : 나선 홈
38 : O링
39 : 연통 홈
40 : 교반 날개
41 : 연장부
42 : 나사 홈
43 : 용기 연결구
44 : 상부 개구
45 : 측부 개구
46 : 통부
51 : 저류 용기
52 : 어댑터
53 : 감압 밸브
54 : 에어 공급원
61 : 전자 전환 밸브
62 : 압력 조정기
63 : 에어 공급원
64 : 제어부
70 : 면봉
81 : 본체 상부
82 : 본체 중부
83 : 제1 액체 송출 부재
84 : 제2 액체 송출 부재
85 : 본체 하부
86 : 노즐 부재
87 : 액실
88 : 액체 송출로
89 : 마개
91 : 저류 탱크
92 : 감압 밸브
93 : 에어 공급원

Claims (19)

  1. 봉형체(棒形體)로 이루어지는 토출용 부재;
    상기 토출용 부재보다 폭이 넓고, 토출용 부재의 선단부가 배치되는 액실(液室);
    상기 액실과 연통(連通)하는 토출구;
    상기 액실과 액체 재료 저류(貯留) 용기를 연통하는 액체 송출로; 및
    상기 토출용 부재를 구동하는 구동 장치;
    를 포함하는 액체 재료 토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액실과 상기 액체 재료 저류 용기의 연통을 차단하지 않고, 상기 액체 송출로에 당겨서 제거(freely removable) 가능하게 삽입되는 가늘고 긴 삽입 부재를 포함하는 액체 재료 토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 송출로가, 단부(端部) 개구를 가지는 직선형의 유로에 의해 구성되고,
    상기 삽입 부재가, 상기 액체 송출로에 삽입되는 삽입부와, 상기 단부 개구를 막는 충전부를 구비하는, 액체 재료 토출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 부재가, 상기 액체 송출로의 길이 L의 1/2∼1배의 길이를 가지는, 액체 재료 토출 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장치 중 적어도 일부를 구비하고, 상기 토출용 부재가 삽통(揷通)되는 관통공을 가지는 본체; 및
    상기 액체 송출로가 형성된 연장부를 가지고, 상기 본체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는 액체 송출 부재;를 더 포함하는, 액체 재료 토출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 송출 부재가, 상기 액실의 일부를 구성하는 공간과, 상기 토출용 부재가 삽통되는 밀봉 부재를 구비하는, 액체 재료 토출 장치.
  6.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 송출 부재가, 상기 저류 용기와 연통되는 상부 개구를 구비하는, 액체 재료 토출 장치.
  7. 제4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 송출 부재가, 상기 저류 용기를 위치결정하여 연결하는 용기 연결구를 구비하는, 액체 재료 토출 장치.
  8. 제4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 송출 부재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가 분리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액체 재료 토출 장치.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 부재가 길이 방향의 표면에 형성된 요철부를 가지는, 액체 재료 토출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요철부가, 상기 액체 송출로의 내주면과 맞닿는 복수의 융기부와 융기부 사이에 위치하는 홈에 의해 구성되는, 액체 재료 토출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융기부 사이에 위치하는 홈이 나선형 홈에 의해 구성되는, 액체 재료 토출 장치.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 부재가 길이 방향으로 배치된 복수의 교반 날개를 구비하는, 액체 재료 토출 장치.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 부재의 적어도 표면이, 상기 액체 송출로의 내주면보다 부드러운 재질에 의해 구성되는, 액체 재료 토출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 부재의 적어도 표면이 고무 또는 수지에 의해 구성되는, 액체 재료 토출 장치.
  15.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 부재가, 단면적이 상이한 복수의 삽입 부재로 이루어지고,
    선택된 하나의 삽입 부재를 상기 액체 송출로에 당겨서 제거 가능하게 삽입할 수 있는, 액체 재료 토출 장치.
  16. 제1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용 부재가, 선단부가 액실 내를 진퇴 이동하는 플런저, 또는, 선단부가 액실 내에서 회동하는 스크류에 의해 구성되는, 액체 재료 토출 장치.
  17. 제1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용 부재가 연직 방향으로 연장되는 플런저이고,
    상기 구동 장치가 상기 토출용 부재를 진퇴 이동시키는 구동 장치이며,
    진출 이동하는 플런저를 액실의 내측 바닥면에 구성된 밸브 시트에 충돌시키거나, 또는, 진출 이동하는 플런저를 상기 밸브 시트에 충돌하기 직전에 정지하여, 토출구로부터 액적을 비상 토출시키는 제트식의 토출 장치인, 액체 재료 토출 장치.
  18. 제1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액체 재료 토출 장치를 이용한 액체 재료의 토출 방법.
  19. 제12항에 기재된 액체 재료 토출 장치를 이용하여, 필러를 함유하는 액체 재료를 토출하는 액체 재료의 토출 방법.
KR1020197007920A 2016-09-20 2017-09-08 액체 재료 토출 장치 KR10232903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6-183247 2016-09-20
JP2016183247A JP6778426B2 (ja) 2016-09-20 2016-09-20 液体材料吐出装置
PCT/JP2017/032395 WO2018056072A1 (ja) 2016-09-20 2017-09-08 液体材料吐出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7061A true KR20190057061A (ko) 2019-05-27
KR102329039B1 KR102329039B1 (ko) 2021-11-18

Family

ID=616908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07920A KR102329039B1 (ko) 2016-09-20 2017-09-08 액체 재료 토출 장치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11059069B2 (ko)
EP (1) EP3517220B1 (ko)
JP (1) JP6778426B2 (ko)
KR (1) KR102329039B1 (ko)
CN (1) CN109715296B (ko)
MY (1) MY193344A (ko)
PH (1) PH12019550040A1 (ko)
SG (1) SG11201901703YA (ko)
TW (1) TWI783948B (ko)
WO (1) WO201805607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778426B2 (ja) * 2016-09-20 2020-11-04 武蔵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液体材料吐出装置
FR3101261B3 (fr) * 2019-09-30 2021-10-08 Daher Aerospace Dispositif et procédé pour l’application automatique d’un produit visqueux
WO2021070602A1 (ja) * 2019-10-07 2021-04-15 株式会社スリーボンド 吐出装置、移動部材及び流通制御方法
CN114074059A (zh) * 2020-08-12 2022-02-22 诺信公司 计量分配组件和包括它的涂布系统
JP7257078B1 (ja) 2022-04-05 2023-04-13 株式会社ナカリキッドコントロール ノズルプレートおよび液体吐出装置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59029A (en) * 1982-01-06 1984-07-10 Etablissements G. Pivaudran, S.A.R.L. Device for mixing and for dose-feeding a product, and application to feeding especially epoxy-resin based adhesives
KR20010078735A (ko) * 1998-06-11 2001-08-21 추후제출 액적 분사 장치 및 방법
JP2002326715A (ja) 2001-05-01 2002-11-12 Musashi Eng Co Ltd 液体材料の吐出方法およびその装置
JP2005324189A (ja) * 2004-04-16 2005-11-2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流体噴射方法及び流体噴射装置ならびにディスプレイパネル
WO2008126373A1 (ja) 2007-03-30 2008-10-23 Musashi Engineering, Inc. 液材吐出装置および液材吐出方法
JP2016030242A (ja) * 2014-07-30 2016-03-07 武蔵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シリンジ着脱機構および当該機構を備える装置

Family Cites Families (7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28225Y2 (ko) * 1972-10-21 1975-08-20
US4350187A (en) * 1980-06-25 1982-09-21 Pneumatic Scale Corporation Filling machine
US5193580A (en) * 1991-05-30 1993-03-16 Wass Lloyd G Crash proof solenoid controlled valve with manual override valve
US5277344A (en) * 1992-10-05 1994-01-11 Nordson Corporation Flow control device for fluid dispenser
US5467899A (en) * 1994-02-08 1995-11-21 Liquid Control Corporation Dispensing device for flowable materials
US6253957B1 (en) * 1995-11-16 2001-07-03 Nordson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ensing small amounts of liquid material
US6267266B1 (en) * 1995-11-16 2001-07-31 Nordson Corporation Non-contact liquid material dispenser having a bellows valve assembly and method for ejecting liquid material onto a substrate
US6514569B1 (en) * 2000-01-14 2003-02-04 Kenneth Crouch Variable volume positive displacement dispensing system and method
US6761290B2 (en) * 2000-05-16 2004-07-13 Nordson Corporation Device for applying fluid material on a substrate, and application valve
JP4663894B2 (ja) * 2001-03-27 2011-04-06 武蔵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液滴の形成方法および液滴定量吐出装置
KR100592500B1 (ko) * 2001-06-16 2006-06-23 무사시 엔지니어링 가부시키가이샤 액체의 정량 토출장치
EP1437181B1 (en) * 2001-10-17 2012-05-09 Musashi Engineering, Inc. Liquid material delivering method and device therefor
JP4036431B2 (ja) * 2001-10-25 2008-01-23 武蔵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液材の吐出方法およびその装置
US7121287B2 (en) * 2002-06-28 2006-10-17 Nestec S.A. Sanitary manifold system and method for hygienically dispensing fluids
EP1654072A4 (en) * 2003-07-14 2007-10-03 Nordson Corp DEVICE AND METHOD FOR DISPENSING INDIVIDUAL QUANTITIES OF VISCOSEM MATERIAL
JP3998204B2 (ja) * 2003-09-17 2007-10-24 壽一 久保 光ファイバ配線方法およびその装置
US7647883B2 (en) * 2004-04-16 2010-01-19 Panasonic Corporation Fluid injection method and apparatus and display panel
JP4704710B2 (ja) * 2004-08-26 2011-06-22 武蔵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液体定量吐出装置
JP4711328B2 (ja) * 2005-01-18 2011-06-29 武蔵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液体吐出方法および装置
US8763860B2 (en) * 2005-10-21 2014-07-01 Musashi Engineering, Inc. Liquid material ejector
MY151624A (en) * 2005-11-30 2014-06-30 Musashi Engineering Inc Method for adjusting nozzle clearance of liquid application apparatus, and liquid application apparatus
CN101370599B (zh) * 2006-01-12 2010-11-03 武藏工业株式会社 液体材料排出装置
JP4724570B2 (ja) * 2006-02-20 2011-07-13 武蔵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液体移送装置
US8397955B2 (en) * 2006-02-21 2013-03-19 Musashi Engineering, Inc. Liquid material discharge device with debubbling mechanism
CN101663103B (zh) * 2007-04-10 2014-08-06 武藏工业株式会社 粘性液体材料的排出方法及装置
KR101446296B1 (ko) * 2007-04-11 2014-10-01 무사시 엔지니어링 가부시키가이샤 잉크젯 토출 헤드 및 그 장치
CN101678391B (zh) * 2007-05-18 2013-02-20 武藏工业株式会社 液体材料吐出方法以及装置
US8588958B2 (en) * 2007-09-04 2013-11-19 Musashi Engineering, Inc. Moving program making-out program and device
US7900800B2 (en) * 2007-10-19 2011-03-08 Nordson Corporation Dispensing apparatus with heat exchanger and method of using same
JP5280702B2 (ja) * 2008-02-18 2013-09-04 武蔵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液体材料の塗布方法、その装置およびそのプログラム
KR101641115B1 (ko) * 2008-02-22 2016-07-20 무사시 엔지니어링 가부시키가이샤 토출량 보정 방법 및 도포 장치
JP5638768B2 (ja) * 2009-04-24 2014-12-10 武蔵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ノズル回転機構およびそれを備える塗布装置
JP5460132B2 (ja) * 2009-06-03 2014-04-02 武蔵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液体定量吐出方法および装置
JP5419556B2 (ja) * 2009-06-15 2014-02-19 武蔵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高粘性材料の定量吐出装置および方法
US8809075B2 (en) * 2009-06-15 2014-08-19 Musashi Engineering, Inc. Method for applying liquid material utilizing capillary phenomenon
JP5783670B2 (ja) * 2009-08-11 2015-09-24 武蔵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液体材料の塗布方法、塗布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JP5419616B2 (ja) * 2009-09-25 2014-02-19 武蔵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気泡混入防止機構および該機構を備える液体材料吐出装置並びに液体材料吐出方法
JP5441644B2 (ja) * 2009-12-01 2014-03-12 武蔵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卓上型作業装置
JP5646196B2 (ja) * 2010-03-30 2014-12-24 武蔵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吐出装置および液体分注装置並びに液体分注方法
CN102247943B (zh) * 2010-05-18 2013-07-03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点胶装置
JP5779353B2 (ja) * 2011-01-19 2015-09-16 武蔵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液体材料の塗布方法、塗布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JP5675393B2 (ja) * 2011-01-31 2015-02-25 武蔵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動作プログラムの自動生成プログラムおよび装置
JP5806868B2 (ja) * 2011-07-11 2015-11-10 武蔵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液滴吐出装置および方法
US9346075B2 (en) * 2011-08-26 2016-05-24 Nordson Corporation Modular jetting devices
JP5986727B2 (ja) * 2011-10-07 2016-09-06 武蔵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液体材料の吐出装置および方法
US8708246B2 (en) * 2011-10-28 2014-04-29 Nordson Corporation Positive displacement dispenser and method for dispensing discrete amounts of liquid
JP5865692B2 (ja) * 2011-12-13 2016-02-17 武蔵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流路接続部のシール構造
US9254642B2 (en) * 2012-01-19 2016-02-09 AdvanJet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ensing high-quality drops of high-viscosity material
JP5917925B2 (ja) * 2012-01-27 2016-05-18 武蔵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液滴形成装置および液滴形成方法
MY169189A (en) * 2012-02-06 2019-02-25 Musashi Eng Inc Liquid material discharge device and discharge method
JP5792652B2 (ja) * 2012-02-07 2015-10-14 武蔵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攪拌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る吐出装置並びに吐出方法
JP6006509B2 (ja) * 2012-03-08 2016-10-12 武蔵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液体定量吐出装置および塗布装置
JP6041421B2 (ja) * 2012-03-15 2016-12-07 武蔵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液体材料吐出機構および液体材料吐出装置
JP6098807B2 (ja) * 2012-04-20 2017-03-22 Tdk株式会社 塗布ヘッド及び液滴塗布装置
JP6084376B2 (ja) * 2012-06-19 2017-02-22 武蔵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液体材料吐出装置の洗浄装置および洗浄方法
JP2014014790A (ja) * 2012-07-10 2014-01-30 Hitachi Ltd ペースト塗布装置
DE102012109123A1 (de) * 2012-09-27 2014-03-27 Vermes Microdispensing GmbH Dosiersystem, Dosierverfahren und Herstellungsverfahren
CN108580180B (zh) * 2012-10-01 2021-09-03 武藏工业株式会社 分配器用柱塞、分配器及液体材料的吐出方法
WO2014142239A1 (ja) * 2013-03-14 2014-09-18 武蔵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液体材料吐出装置、その塗布装置および塗布方法
SG10201710388RA (en) * 2013-08-09 2018-01-30 Musashi Eng Inc Focus adjustment method and device therefor
CN104415883B (zh) * 2013-09-02 2017-04-12 深圳市腾盛工业设备有限公司 一种喷射点胶阀及其点胶方法
JP6168932B2 (ja) * 2013-09-09 2017-07-26 武蔵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液滴吐出装置
JP5934161B2 (ja) * 2013-09-09 2016-06-15 武蔵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ノズルおよび該ノズルを備える液体材料吐出装置
JP6364168B2 (ja) * 2013-09-30 2018-07-25 武蔵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液体材料吐出装置および塗布方法
TWI644808B (zh) * 2013-10-05 2018-12-21 武藏工業股份有限公司 液體材料填充裝置及方法
JP6180283B2 (ja) * 2013-11-06 2017-08-16 武蔵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液体材料吐出装置および方法
KR102314565B1 (ko) * 2014-03-10 2021-10-18 무사시 엔지니어링 가부시키가이샤 도포 장치 및 도포 방법
JP6452147B2 (ja) * 2015-01-19 2019-01-16 武蔵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液体材料吐出装置
US10016778B2 (en) * 2015-04-03 2018-07-10 Musashi Engineering, Inc. Droplet discharge device
JP6538465B2 (ja) * 2015-07-24 2019-07-03 武蔵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固体粒子を含有する液体材料の吐出装置および塗布装置並びに塗布方法
JP6541489B2 (ja) * 2015-07-24 2019-07-10 武蔵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液体材料吐出装置
KR102269578B1 (ko) * 2016-01-16 2021-06-24 무사시 엔지니어링 가부시키가이샤 액체 재료 토출 장치
JP6626364B2 (ja) * 2016-02-24 2019-12-25 武蔵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固体粒子を含有する液体材料の吐出装置および吐出方法並びに塗布装置
JP6778426B2 (ja) * 2016-09-20 2020-11-04 武蔵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液体材料吐出装置
JP6793397B2 (ja) * 2017-02-24 2020-12-02 武蔵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シール構造および該シール構造を備える装置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59029A (en) * 1982-01-06 1984-07-10 Etablissements G. Pivaudran, S.A.R.L. Device for mixing and for dose-feeding a product, and application to feeding especially epoxy-resin based adhesives
KR20010078735A (ko) * 1998-06-11 2001-08-21 추후제출 액적 분사 장치 및 방법
JP2002326715A (ja) 2001-05-01 2002-11-12 Musashi Eng Co Ltd 液体材料の吐出方法およびその装置
JP2005324189A (ja) * 2004-04-16 2005-11-2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流体噴射方法及び流体噴射装置ならびにディスプレイパネル
WO2008126373A1 (ja) 2007-03-30 2008-10-23 Musashi Engineering, Inc. 液材吐出装置および液材吐出方法
JP2016030242A (ja) * 2014-07-30 2016-03-07 武蔵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シリンジ着脱機構および当該機構を備える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517220B1 (en) 2024-04-03
PH12019550040A1 (en) 2019-07-24
EP3517220A4 (en) 2020-06-10
WO2018056072A1 (ja) 2018-03-29
MY193344A (en) 2022-10-06
TWI783948B (zh) 2022-11-21
JP2018047410A (ja) 2018-03-29
US20190358664A1 (en) 2019-11-28
CN109715296A (zh) 2019-05-03
CN109715296B (zh) 2021-10-08
KR102329039B1 (ko) 2021-11-18
US11059069B2 (en) 2021-07-13
EP3517220A1 (en) 2019-07-31
JP6778426B2 (ja) 2020-11-04
SG11201901703YA (en) 2019-03-28
TW201815480A (zh) 2018-05-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057061A (ko) 액체 재료 토출 장치
JP5986727B2 (ja) 液体材料の吐出装置および方法
TWI537057B (zh) Droplet discharge device and method
KR20160053922A (ko) 노즐 및 이 노즐을 구비하는 액체 재료 토출 장치
KR102389654B1 (ko) 액체 재료 토출 장치
JP5089969B2 (ja) 液体材料吐出装置
KR20180103884A (ko) 액체 재료 토출 장치
JP2018047410A5 (ko)
KR102640158B1 (ko) 액체 재료 토출 장치
JP6177291B2 (ja) 液滴吐出装置および方法
JP6285510B2 (ja) 液体材料の吐出装置および方法
JP4618739B2 (ja) 液材の吐出方法およびその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