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54865A - 양방향 척추 내시경 수술용 수술도구세트 - Google Patents

양방향 척추 내시경 수술용 수술도구세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54865A
KR20190054865A KR1020180008451A KR20180008451A KR20190054865A KR 20190054865 A KR20190054865 A KR 20190054865A KR 1020180008451 A KR1020180008451 A KR 1020180008451A KR 20180008451 A KR20180008451 A KR 20180008451A KR 20190054865 A KR20190054865 A KR 201900548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tube
surgical
tube
surgical site
saline solu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084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21601B1 (ko
Inventor
정민호
손상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엔도비전
손상규
정민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엔도비전, 손상규, 정민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엔도비전
Priority to US15/879,825 priority Critical patent/US11331091B2/en
Priority to EP18879727.8A priority patent/EP3711690A4/en
Priority to CN201880073321.0A priority patent/CN111343933B/zh
Priority to PCT/KR2018/001243 priority patent/WO2019098457A1/ko
Publication of KR201900548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548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16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1601B1/ko
Priority to US17/659,894 priority patent/US20220240916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holding wounds open; Tractors
    • A61B17/0218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holding wounds open; Tractors for minimally invasive surger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2Surgical cutting instruments
    • A61B17/320016Endoscopic cutting instruments, e.g. arthroscopes, resectoscop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4Trocars; Puncturing needles
    • A61B17/3415Trocars; Puncturing needles for introducing tubes or catheters, e.g. gastrostomy tubes, drain cathet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0064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endoscope body
    • A61B1/00071Insertion part of the endoscope body
    • A61B1/0008Insertion part of the endoscope body characterised by distal tip features
    • A61B1/00091Nozz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0131Accessories for endoscopes
    • A61B1/00135Oversleeves mounted on the endoscope prior to inser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12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characterised by internal passages or accessories therefor
    • A61B1/015Control of fluid supply or evacu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holding wounds open; Trac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6Bone cutting, breaking or removal means other than saws, e.g. Osteoclasts; Drills or chisels for bones; Trepans
    • A61B17/1613Component parts
    • A61B17/1615Drill bits, i.e. rotating tools extending from a handpiece to contact the worked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4Trocars; Puncturing needles
    • A61B17/3494Trocars; Puncturing needles with safety means for protection against accidental cutting or pricking, e.g. limiting insertion depth, pressure sensors
    • A61B17/3496Protecting sleeves or inner probes; Retractable ti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4Trocars; Puncturing needles
    • A61B17/3498Valves therefor, e.g. flapper valves, slide val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56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18/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 A61B18/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by passing a current through the tissue to be heated, e.g. high-frequency current
    • A61B18/14Probes or electrod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18/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 A61B18/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by passing a current through the tissue to be heated, e.g. high-frequency current
    • A61B18/14Probes or electrodes therefor
    • A61B18/148Probes or electrodes therefor having a short, rigid shaft for accessing the inner body transcutaneously, e.g. for neurosurgery or arthroscop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90/00Instruments, implement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urgery or diagnosis and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A61B1/00 - A61B50/00, e.g. for luxation treatment or for protecting wound edges
    • A61B90/02Devices for expanding tissue, e.g. skin tissu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00Suction or pumping devices for medical purposes; Devices for carrying-off, for treatment of, or for carrying-over, body-liquids; Drainage systems
    • A61M1/71Suction drainage systems
    • A61M1/77Suction-irrigation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00Suction or pumping devices for medical purposes; Devices for carrying-off, for treatment of, or for carrying-over, body-liquids; Drainage systems
    • A61M1/84Drainage tubes; Aspiration tips
    • A61M1/85Drainage tubes; Aspiration tips with gas or fluid supply means, e.g. for supplying rinsing fluids or anticoagula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9/00Tubes, tube connectors, tube couplings, valves, access sites or the like,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use
    • A61M39/22Valves or arrangement of val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6Bone cutting, breaking or removal means other than saws, e.g. Osteoclasts; Drills or chisels for bones; Trepans
    • A61B17/1662Bone cutting, breaking or removal means other than saws, e.g. Osteoclasts; Drills or chisels for bones; Trepans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1B17/1671Bone cutting, breaking or removal means other than saws, e.g. Osteoclasts; Drills or chisels for bones; Trepans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the sp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2Surgical cutting instruments
    • A61B17/3209Incision instruments
    • A61B17/3211Surgical scalpels, knives; Accessori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2017/00477Coupl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holding wounds open; Tractors
    • A61B17/025Joint distractors
    • A61B2017/0256Joint distractors for the sp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2Surgical cutting instruments
    • A61B2017/320004Surgical cutting instruments abrasive
    • A61B2017/320008Scrap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56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B2017/564Methods for bone or joint treat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2018/00571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for achieving a particular surgical effect
    • A61B2018/00601Cutt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18/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 A61B18/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by passing a current through the tissue to be heated, e.g. high-frequency current
    • A61B18/14Probes or electrodes therefor
    • A61B2018/1495Electrodes being detachable from a support struct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90/00Instruments, implement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urgery or diagnosis and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A61B1/00 - A61B50/00, e.g. for luxation treatment or for protecting wound edges
    • A61B90/04Protection of tissue around surgical sites against effects of non-mechanical surgery, e.g. laser surgery
    • A61B2090/0409Specification of type of protection measures
    • A61B2090/0427Prevention of contac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217/00General characteristics of surgical instruments
    • A61B2217/002Auxiliary appliance
    • A61B2217/005Auxiliary appliance with suction drainage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217/00General characteristics of surgical instruments
    • A61B2217/002Auxiliary appliance
    • A61B2217/007Auxiliary appliance with irrigation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0Containers, covers, furniture or holders specially adapted for surgical or diagnostic appliances or instruments, e.g. sterile covers
    • A61B50/20Holders specially adapted for surgical or diagnostic appliances or instru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0Containers, covers, furniture or holders specially adapted for surgical or diagnostic appliances or instruments, e.g. sterile covers
    • A61B50/3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packaging, protecting, dispensing, collecting or disposing of surgical or diagnostic appliances or instruments
    • A61B50/33Tray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30Joints
    • A61F2/44Joints for the spine, e.g. vertebrae, spinal discs
    • A61F2/4455Joints for the spine, e.g. vertebrae, spinal discs for the fusion of spinal bodies, e.g. intervertebral fusion of adjacent spinal bodies, e.g. fusion cag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30Joints
    • A61F2/46Special tools or methods for implanting or extracting artificial joints, accessories, bone grafts or substitutes, or particular adaptations therefor
    • A61F2/4603Special tools or methods for implanting or extracting artificial joints, accessories, bone grafts or substitutes, or particular adaptations therefor for insertion or extraction of endoprosthetic joints or of accessories thereof
    • A61F2/4611Special tools or methods for implanting or extracting artificial joints, accessories, bone grafts or substitutes, or particular adaptations therefor for insertion or extraction of endoprosthetic joints or of accessories thereof of spinal prosthe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9/00Tubes, tube connectors, tube couplings, valves, access sites or the like,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use
    • A61M2039/0009Assemblies therefor design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e.g. contrast or saline injection, suction or irrig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9/00Dilators with or without means for introducing media, e.g. remedies

Abstract

본 발명은 양방향 척추 내시경 수술용 수술도구세트에 관한 것이다. 이는, 양방향 척추 내시경 수술의 진행 과정에 맞추어 선택적으로 사용되는 것으로서, 수술부위로 이어지는 두 개의 독립된 통로를 형성하는 확장관체와; 확장관체에 의해 확보된 수술공을 유지하는 일정 직경의 막대형 수술공유지기와; 상기 확장관체에 의해 확보된 통로 중, 일측통로를 통해 체내에 삽입되어 수술부위를 촬영하는 내시경장치와; 타측통로를 통해 체내의 수술부위에 도달시켜, 수술부위에 위치한 제거대상 조직을 제거하는 고주파프로브와; K-펀치와; 라운드드릴을 포함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은, 척추 수술시 진행되는 각 프로세스에 적합하도록 인체공학적으로 디자인된 다수의 단계별 소도구를 포함하므로 수술을 보다 효과적으로 진행할 수 있게 하며, 내시경 시스를 사용하여 식염수가 중력에 의해 하부로 흐르면서 수술 부위를 세척하도록 함으로써 수술 시야를 깨끗하게 유지할 수 있고, 고주파 치료시 사용되는 고주파 프로브에는 신경 손상을 방지하는 팁이 구비되어 열손상에 따른 신경 손상 위험을 줄일 수 있다. 아울러, 체내 조직을 정밀하게 제거하는 다이아몬드 드릴버와 K-펀치를 포함하여 조직 제거에 따른 부담을 덜어줄 수 있다.

Description

양방향 척추 내시경 수술용 수술도구세트{Surgical tool set for bi-directional vertebral endoscopic surgery}
본 발명은 척추 내시경 수술시 사용할 수 있는 수술도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양방향 수술시 진행되는 모든 프로세스 별로 선택 사용할 수 있는 양방향 척추내시경 수술용 수술도구세트에 관한 것이다.
인간의 척추는, 7개의 경추, 12개의 흉추, 5개의 요추, 5개의 천추가 하나로 합쳐진 천골 및 4개의 미추가 하나로 합쳐진 미골로 구성된다. 이러한 척추는 관절마디로 연결되어 있고, 각 척추 뼈는 추간판으로 이어진다.
추간판은 척추 뼈의 사이에서 몸의 하중과 충격을 흡수 및 분산시킴과 아울러, 이웃하는 척추 뼈가 어긋나지 않도록 잡아 줌은 물론, 척추 신경이 눌려 압축되지 않도록 두 척추 뼈를 분리시켜 척추 추간공의 범위를 원만히 유지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추간판이 변성되거나 파열되어 정상의 위치에서 이탈한다거나, 또는 척추 후방의 돌기로 구성된 관절이 손상 또는 변성되거나, 척추가 정상 위치로부터 변형 및 전위되는 경우, 척추관을 통과하는 신경이 압박되어 통증이 유발된다.
한편, 다양한 증상의 척추관련 수술법으로서 종래로부터 이어져온 절개술은 수술부위를 크게 절개하므로, 중요한 척추근육이 손상될 확률이 높고 출혈량이 많으며 회복 기간이 장기화되는 단점을 갖는다.
이러한 문제로, 최근에는, 내시경을 이용한 최소 침습 척추 수술 방법인 경피적 내시경하 요추 감압술(PSLD)이라는 수술방법이 시행되기도 한다. 그런데, 경피적 내시경 층간 감압술은 그 자체가 난이도가 높은 수술이며, 보조적 장비로서 현미경이나 척추 내시경을 사용함에도 불구하고 시야가 좋지 않아 수술의 어려움을 겪는 경우가 많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경피적 2포트 내시경 감압술(이하, 양방향 척추 내시경 수술)이 제안된 바 있다. 양방향 척추 내시경 수술은, 수술부위를 향하는 두 개의 구멍을 따로 형성하고 일측 구멍에는 내시경을 삽입하고 타측 구멍에는 외과적 수술도구를 삽입하여, 내시경을 통해 수술 상황을 확인하면서 진행하는 방식의 수술이다.
경피적 1포트 경막외 내시경 수술에 비해 시야가 좋아 수술 정밀도가 높을 뿐만 아니라 과거에 어려움을 겪던 여러 가지 기술적 문제를 해결할 수 있게 한다.
그런데, 양방향 척추 내시경 수술은, 1포트 내시경 감압술과 수술 방법이 다르므로, 수술을 위한 전용 수술도구가 필요하지만, 현재까지 양방향 척추 내시경 수술을 위한 전용 도구가 개발되어 있지 않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744459호에서는, 후방 2개 통로 척추 내시경 수술용 수술 기구 세트에 관해 개시하고 있으나, 수술 기구에 관해서만 일부 개시하고 있을 뿐, 척추 수술시 진행되는 각 프로세스 별로 사용되는, 말하자면 각 단계별 전용 수술도구에 대해서는 개시하고 있지 않다.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10-1774459호 (후방 2개 통로 척추 내시경 수술용 수술 기구 세트)
Percutaneous biportal endoscopic decompression for lumbar spinal stenosis: a technical note and preliminary clinical results(J Neurosurg Spine 24:602.607, 2016)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창출한 것으로서, 척추 수술시 진행되는 각 프로세스에 적합하도록 인체공학적으로 디자인된 다수의 단계별 소도구를 포함하므로 수술을 보다 효과적으로 진행할 수 있게 하는 양방향 척추 내시경 수술용 수술도구세트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또한, 수술 중 식염수의 공급이 원활하여 시야를 양호하게 유지하고, 안전한 고주파 치료와 체내 조직 제거가 가능한 양방향 척추 내시경 수술용 수술도구세트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양방향 척추 내시경 수술용 수술도구세트는, 양방향 척추 내시경 수술의 진행 과정에 맞추어 선택적으로 사용되어, 수술부위 두 개의 독립된 통로를 형성하는 것으로서, 단계별 직경 사이즈를 갖는 다수의 확장관체와; 체내에 삽입된 확장관체의 내부로 삽입되며, 확장관체가 빠진 후 그 자리에 남아, 확장관체에 의해 확보된 수술공을 유지하는 일정 직경의 막대형 수술공유지기와; 상기 확장관체에 의해 확보된 통로 중, 일측통로를 통해 체내에 삽입되어 수술부위를 촬영하는 내시경장치와; 상기 확장관체에 의해 확보된 통로 중, 타측통로를 통해 체내의 수술부위에 도달시켜, 수술부위에 위치한 제거대상 조직에 열을 가하여 제거대상을 제거하는 고주파프로브와; 상기 타측통로를 통해 체내의 수술부위에 도달시켜, 수술부위에 위치한 제거대상 조직을 물리적으로 물어 뜯어 제거하는 K-펀치와; 상기 타측통로를 통해 체내의 수술부위에 도달시켜, 수술부위에 위치하는 불필요한 뼈를 갈아내는 라운드드릴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고주파프로브는; 상기 타측통로를 통해 체내에 삽입되어 수술부위에 도달하는 삽입로드와, 상기 삽입로드의 선단부에 구비되며 외부로부터 전달받은 전력을 통해 고주파열을 출력하는 전극팁과, 상기 전극팁의 표면에 형성되며 전극팁의 표면을 체내 조직으로부터 이격시켜 열손상을 방지하는 안전돌기를 포함한다.
아울러, 상기 K-펀치는; 상기 타측통로를 통해 체내에 삽입되어 수술부위에 도달하고 그 선단부에 받침턱부가 형성되어 있는 진입로드와, 상기 진입로드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하고, 상기 받침턱부에 대해 진퇴운동하는 슬라이더와, 상기 진입로드의 후방에 고정되며,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축회전하여 상기 받침턱부의 방위를 조절하는 회전샤프트와, 그 선단부가 상기 슬라이더에 고정되고, 후단부는 회전샤프트의 후방으로 연장된 푸싱로드와, 상기 푸싱로드를 전방으로 이동시켜, 상기 펀칭부가 받침턱부측으로 가압되게 하는 손잡이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라운드드릴은; 일정 직경을 가지며 길이방향으로 연장되고, 선단부에는 길이방향에 대해 예각의 사이각을 가지도록 경사진 경사개방부가 형성되며, 상기 타측통로를 통해 수술부위에 도달하는 아우터튜브와, 상기 아우터튜브의 후단부에 고정되는 튜브홀더와, 상기 경사개방부를 통해 아우터튜브의 외부로 부분적으로 노출되는 것으로서, 그 표면에 절삭용 다이아몬드분말이 분포되어 있는 절삭팁을 갖는 드릴버를 포함하는 드릴버본체를 갖는다.
또한, 상기 내시경장치는;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며 사용시 그 선단부가 상기 일측통로를 통해 체내의 수술부위에 도달하는 중공 튜브형 부재로서, 내시경카메라의 프로브를 수용할 수 있는 가이드튜브와, 상기 가이드튜브의 후단부에 장착되어, 외부로부터 주입된 식염수를 상기 가이드튜브 내부로 유도하는 것으로서, 상기 가이드튜브의 후단부에 고정되고 주입구를 통해 유입된 식염수를 통과시켜 상기 가이드튜브로 이동하게 하는 밸브바디와, 상기 밸브바디에 장착되며 밸브바디를 통과하는 식염수의 유량을 제어하는 유량조절밸브를 포함하는 식염수유도부와, 상기 가이드튜브의 후단부에 위치하고, 사용할 내시경카메라의 프로브를 가이드튜브로 안내하는 어뎁터부 구비한다.
아울러, 상기 밸브바디와 가이드튜브의 사이에는, 밸브바디를 통과한 식염수를 받아 수용하며, 상기 가이드부로 유도하는 댐핑챔버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밸브바디는, 댐핑챔버에 대한 식염수의 공급량을 증가시킬 수 있도록, 댐핑챔버의 둘레에 다수개가 장착된다.
또한, 상기 가이드튜브의 내주면에는; 상기 가이드튜브 내부로 유입한 식염수를 가이드튜브의 길이방향으로 유도하여, 식염수가 상기 내시경카메라의 프로브 선단에 위치한 렌즈에 도달하도록 유도하는 것으로서, 가이드튜브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된 선형유도홈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선형유도홈은, 가이드튜브 내주면의 원주방향으로 다수개가 평행하게 배치되며, 각 선형유도홈의 사이에는 내시경카메라의 프로브와 접하며 프로브를 지지하는 지지돌기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가이드튜브의 선단부에는; 가이드튜브로부터 배출되는 식염수가 가이드튜브의 반지름 방향으로 유출될 수 있도록 유도하는 것으로서, 가이드튜브의 원주방향을 따라 돌출부와 홈부가 물결패턴으로 반복 형성된다.
또한, 상기 가이드튜브의 선단 측부에는; 가이드튜브로부터 배출되는 식염수를 가이드튜브의 일측 방향으로 배출하는 측부슬릿이 형성된다.
또한, 양방향 척추 내시경 수술시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함께 사용되는 것으로서, 수술 대상 부위의 뼈와 근육을 벌려, 후속 단계에 사용되는 도구의 진입로를 확보하며, 양단부에 날부와 손잡이부를 각각 구비한 근육분리기와, 상기 근육분리기에 의해 만들어진 공간에 삽입되어, 뼈 또는 확색인대로부터 신경근을 박리하거나, 근육이나 인대를 박리하며, 중앙에 손잡이가 구비되고 양단부에 팁부를 갖는 양단견인기를 포함한다.
아울러, 양방향 척추 내시경 수술시 디스크 공간에 인공디스크를 삽입할 필요가 있을 때 사용하는 도구로서, 외부에서 공급된 뼛조각을 모아 집중시키는 깔때기 형태의 수집부와, 상기 수집부에 연결되며 길이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타측통로를 통해 수술부위에 도달한 상태로 뼛조각을 디스크로 유도하는 유도관부를 구비한 본칩캐뉼러와, 상기 본칩캐뉼러에 의해 디스크공간으로 유도된 뼛조각을 디스크내에 안착시키기 위해 타격을 가하는 본칩임팩터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양방향 척추 내시경 수술용 수술도구세트는, 척추 수술시 진행되는 각 프로세스에 적합하도록 인체공학적으로 디자인된 다수의 단계별 소도구를 포함하므로 수술을 보다 효과적으로 진행할 수 있게 한다.
또한, 내시경 시스를 사용하여 식염수가 중력에 의해 하부로 흐르면서 수술 부위를 세척하도록 함으로써 수술 시야를 깨끗하게 유지할 수 있고, 고주파 치료시 사용되는 고주파 프로브에는 신경 손상을 방지하는 팁이 구비되어 열손상에 따른 신경 손상 위험을 줄일 수 있다.
아울러, 체내 조직을 정밀하게 제거하는 다이아몬드 드릴버와 K-펀치를 포함하여 조직 제거에 따른 부담을 덜어줄 수 있다.
도 1은 양방향 척추 내시경 수술의 기본 컨셉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a 및 도 2b는 도 1에 도시한 수술용 툴키트를 나타내 보인 도면이다.
도 3a 내지 도 3d는 도 2a에 도시한 근견인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a에 케이지가이더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2a에 본칩캐뉼러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2a에 도시한 절골도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2a에 도시한 본칩임팩터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2a에 도시한 종판제거기의 사시도.
도 9는 도 1에 도시한 고주파프로브의 일부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1에 도시한 K-펀치의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1에 도시한 라운드드릴의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1에 도시한 내시경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3은 상기 도 12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14는 도 12에 도시한 가이드튜브의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하나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양방향 척추 내시경 수술의 기본 컨셉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기본적으로, 양방향 척추 내시경 수술은, 수술 대상 부위에 2개의 통로, 즉, 내시경공(A)과 수술공(B)을 확보하고, 수술공(B)으로는 주로 수술도구세트(10)를 삽입하여 치료를 진행하고, 내시경공(A)으로는 주로 내시경장치(70)을 삽입하여 진행하는 수술이다. 경우에 따라, 내시경공(A)을 통해 수술도구를 삽입하거나, 반대로 수술공(B)을 통해 내시경장치(70)를 삽입할 수도 있다.
특히 내시경장치(70)를 통해 식염수(81)를 주입하여 식염수가 수술부위를 흐르도록 유도함으로써, 식염수가 수술부위의 찌꺼기들을 씻어내도록 한다. 사용된 식염수는 상기 수술공(B)을 통해 체외로 배출된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내시경장치(70)는 체내 수술부위를 육안으로 확인하는 기능 이외에, 체내에 식염수를 공급하는 기능을 겸하는 것이다.
양방향 척추 내시경 수술은, 수술도구와 내시경이 상호 다른 통로를 통해 수술부위에 접근하므로, 종전의 1개의 절개공을 형성하는 방식의 수술보다 시야의 확보가 용이하다. 척추 수술에서 시야 확보는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또한, 수술도구는 수술도구 나름대로, 내시경장치(70)와 통로를 공유하지 않으므로 통로내에서 움직임이 상대적으로 자유로워 보다 효율적인 수술을 가능케 한다.
상기 수술도구세트(10)에는 매우 다양한 종류가 있으며, 다양한 용도의 소도구가 포함되는 툴키트(20), 고주파프로브(40), K-펀치(50), 라운드드릴(60), 내시경장치(70)를 포함한다. 이러한 수술도구세트(10)는, 양방향 척추 내시경 수술의 진행 과정에 맞추어 선택적으로 사용되는 것들로서 모두가 인체공학적으로 디자인 되어 있다.
도 2a 및 도 2b는 도 1에 도시한 툴키트(20)를 나타내 보인 도면이고, 도 3a 내지 도 3d는 상기 도 2a에 도시한 근견인기(22)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또한 도 4 내지 도 8은 툴키트(20)에 포함되는 수술도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툴키트(20)에는, 수술공(B)의 크기를 확장하기 위한 확장관체(21)와, 확장된 수술공(B)을 유지하기 위한 수술공유지기(32)가 포함된다.
상기 확장관체(21)는, 양방향 척추 내시경 수술시, 수술부위에 형성한 수술공에 다른 수술도구들을 출입시키기 위한 공간을 확보하기 위한 것으로서, 크기별로 순차 삽입되어 수술공을 확장하는 도구이다. 말하자면, 수술칼 등으로 피부를 최소 크기로 절개한 후, 단계별로 삽입하여 구멍을 점차 확장하는 것이다.
상기 확장관체(21)는 상이한 직경 및 길이를 갖는 중공튜브의 형태를 취한다. 본 실시예에서, 확장관체(21)는 사이즈가 상이한 제1확장관체(21a) 부터 제6확장관체(21f)까지 6종류가 구비된다. 상기 제1확장관체(21a) 내지 제6확장관체(21f)는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사용되는 것이다.
확장관체(21)의 외주면에서는 삽입 깊이를 알려주는 눈금(미도시)이 마킹될 수 있다. 제1확장관체(21a)는 선단부가 뾰족하며 나이프로 절개 직후 수술공 및 내시경공을 확장하기 위해 사용된다.
수술공유지기(32)는 확장관체(21)에 의해 확보된 수술공을 유지하기 위하여 수술공에 삽입해 놓는 막대형 도구이다. 상기 수술공유지기(32)도 위의 표에 기재한 바와 같이, 상이한 사이즈를 갖는 제1수술공유지기(32a), 제2수술공유지기(32b), 제3수술공유지기(32c), 제4수술공유지기(32d)로 구성된다.
또한 유지코어기(32e)의 용도는 나이프로 절개 후 바로 수술공 및 내시경공을 확장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툴키트(20)에는 근육분리기(23), 양단견인기(29), 근견인기(22), 흡입기(30), 디스크세척기(31), 케이지가이더(24), 본칩캐뉼러(25), 절골도(26), 본칩임팩터(27), 종판제거기(28) 등이 더 포함된다.
근육분리기(23)는, 확보된 절개부에 삽입된 상태로 수술 대상 부위의 뼈와 근육을 벌려, 후속 수술에 사용되는 도구의 진입로 및 수술공간을 확보하는 도구이다. 즉, 근육 절단이 아닌 미세 근육의 결 사이로 삽입되는 것이다. 근육분리기(23)는 날부(23b)와 손잡이부(23a)를 갖는다. 날부(23b)는 수술부위의 상처를 최소화하기 위해 유선형의 형태를 취한다.
양단견인기(29)는 근육분리기(23)에 의해 만들어진 수술공간 사이에 삽입되어, 신경근을 뼈 또는 황인대로부터 박리하거나, 근육이나 인대를 박리하기 위해 사용되는 도구이다.
양단견인기(29)는 양측 단부에 형성된 팁부(29b)의 각도를 다양하게 하여, 신경 근처 위험요소들을 박리 및 제거하거나, 출혈 포인트에 본왁스(bone wax)를 도포하는 데 적합하다. 팁부(29b)의 각도는 5도 내지 25도 이고, 너비는 5.5mm/4mm/3mm 등으로 다양하다. 팁부(29b)의 각도 및 너비는 얼마든지 달라질 수 있다.
양단견인기(29)의 중앙에는 손잡이부(29a)가 위치한다. 손잡이부(29a)는 사용자의 손가락이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함몰된 홈 또는 마찰을 높이기 위한 일정 패턴의 요철이 형성될 수 있다.
근견인기(22)(Root retractor)는 근육을 견인하여 수술 공간 및 수술 공간의 일정한 수압을 확보하고, 수술도구를 삽입하고 제거하는 경로를 안내하는 데 이용되는 도구로서, 도 3a 내지 3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중앙에 제1절곡부(22a)가 형성되며, 일단부에는 제2절곡부(22b)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절곡부(22a)의 절곡내각의 크기는 수술도구가 삽입되었을 때 병변과 수술도구 삽입 시 인체공학 및 기구학적으로 이상적인 각도인 120도 정도이다. 또한, 제1절곡부(22a)의 바깥쪽 부분은 오목한 반관(semi-tubular) 형태를 취하며, 제2절곡부(22b)는 제1절곡부(22a)와 동일한 방향으로 절곡된 형태 또는 절반만 절곡된 형태를 취하여 근육을 신경근을 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 반관형태로 형성된 반대측 면은 인대 등의 연조직을 뜯어내거나 디스크를 절제 또는 삽입하는 수술도구 등이 삽입되거나 제거되는 경로를 안내하는 역할을 할 수도 있다.
근견인기(22)의 너비는 4mm/10mm 등으로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어 수술부위에 따라 적합한 사이즈의 근견인기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근견인기는 수술공의 개폐를 도와 수술공간 및 수압을 유지하여 집도자가 수술부위의 선명한 영상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신경근의 가압 및 감압을 조절하여 신경근의 손상이 없는 원활한 수술이 이루어지게 한다.
흡입기(30)는, 수술 중에 발생하는 조직의 찌꺼기는 물론 수술을 위해 주입되고 있는 식염수 또는 연조직을 흡출하는 도구이다. 양방향 척추 내시경 수술 중에는, 체내에 일정한 압력이 가해질 필요가 있으므로 흡입기(30)를 이용해 일정한 압력(예를 들어, 30~50 mmHg)을 유지한다. 상기 흡입기(30)의 작용에 의해 수술 중, 뼈 및 연조직 찌꺼기 등에 의한 시야 불량을 해소할 수 있다.
흡입기(30)는, 배출구가 연결되는 손잡이부(30a)와, 구부러진 형태를 취하며 선단부에 흡입공(30c)을 갖는 흡입관부(30b)로 구성된다. 상기 흡입관부(30b)의 각도는 130 도 내지 150도 정도이고, 직경은 3mm 내지 5mm 등으로 구현할 수 있다.
디스크내세척기(31)는, 디스크 공간에 인공디스크를 삽입하기 위한 공간을 만든 후 찌꺼기 등을 제거 한다거나, 디스크 공간 이외에도 디스크 주변의 구석진 출혈부에 대해 석션을 수행함으로서 출혈부위를 확인하는 용도로 사용되기도 한다.
상기 흡입기의 작용에 의해 인공디스크의 삽입 전후에 주변의 찌꺼기 등을 배출하여 체내에 남아있지 않게 함과 아울러, 충분한 시야확보를 하면서 세척부위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어 빠른 세척 및 세척수 절약이 가능하다.
상기 디스크내세척기(31)는, 세척수유입구(31d)가 형성되어 있는 손잡이부(31a)와, 사용자의 시야 확보를 위해 적절한 각도로 절곡되고 선단부에 배출공(31c)이 형성된 수관부(31b)를 갖는다. 상기 수관부(31b)의 절곡 각도는 111도 내지 130도 정도이다. 상기 절곡 각도가 111도 보다 작으면 사용자의 시야가 가려지게 된다. 또한 130도 보다 크면 배출공(31c)을 보기 위해 사용자의 시선이 낮아져야 한다.
상기 케이지가이더(24)는 케이지(미도시)를 디스크 공간에 안착시키는 데 이용되는 도구이다. 케이지가이더(24)의 일단에는 케이지를 얹을 수 있는 운반부(24b)가 형성되고 타단에는 손잡이부(24a)가 형성된다.
또한 본칩캐뉼러(25)는, 뼛조각들을 모아 케이지 내부에 삽입하는 데 이용되는 도구이다. 본칩캐뉼러(25)는, 외부에서 공급된 뼛조각을 모아 집중시키는 깔때기 형태의 수집부(25a)와, 수집부(25a)에 연결되며 길이방향으로 연장되고 수술부위에 도달한 상태로 뼛조각을 디스크로 유도하는 유도관부(25b)를 갖는다.
상기 절골도(26)는 수술 중 불필요한 뼈를 깎는데 이용되는 도구이다. 상기 절골도(26)의 선단부에는 뼈를 깍아내는 절삭날부(26b)가 형성되어 있고, 반대편에는 손잡이(26a)가 위치한다.
본칩임팩터(27)는, 디스크 공간에 삽입된 인공디스크 또는 수집된 본 머티어리얼을 정확하게 안착시키기 위해 타격을 가하는 도구이다. 상기 본칩임팩터(27)의 선단부는 타격할 대상과 접하는 팁부(27b)가 위치하고 반대편에는 손잡이부(27a)가 마련된다.
또한, 종판제거기(28)는, 척추뼈와 디스크 사이의 종판을 제거하는 도구로서 선단부가 구부러져 갈고리 형태를 취한다. 상기 곡선형 제거기의 일단이 갈고리 형상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척추와 디스크 사이에 위치하는 종판에 용이하게 접근하여 제거한다. 종판제거기(28)는 도 8a, 8b, 8c와 같이 그 선단부의 형상이 달라질 수 있다.
도 9는 도 1에 도시한 고주파프로브(40)의 일부 사시도이다.
상기 고주파프로브(40)는, 연조직, 디스크, 경막외지방, 인대에 열을 가하여 제거하는 사용되는 도구이다. 종래의 고주파프로브의 경우 고주파가 발생하는 팁부분이 수술부위에 직접 접하여 주변신경이 손상되는 등의 문제가 있었으나, 본 발명의 고주파프로브(40)는 안전돌기(도면부호 없음)를 가져 정상조직의 손상이 없다.
고주파프로브(40)는, 체내에 삽입되어 수술부위에 도달하는 삽입로드(40b)와, 삽입로드(40b)의 선단부에 구비되며 외부로부터 전달받은 전력을 통해 고주파열을 출력하는 전극팁(40a)과, 전극팁의 표면에 형성되며 전극팁의 표면을 체내 조직으로부터 이격시켜 열손상을 방지하는 안전돌기를 포함한다.
또한, 고주파프로브(40)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는 전력선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케이싱(40c)의 외측으로는 체내의 식염수를 체외로 배출시키는 배출튜브가 연장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
아울러, 전극팁(40a)은 삽입로드(40b)에 착탈 가능하게 끼움 결합할 수 있으며, 쉴드부(40f)를 포함한다. 쉴드부(40f)는 전극팁(40a)이 체내에 삽입될 때 내부 조직의 손상을 최소화하고 삽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유선형 부재이다. 쉴드부(40f)의 또 하나의 기능은 플라즈마에 의한 열이 정상조직에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는 것이다.
도 10은 도 1에 도시한 K-펀치(50)의 사시도이다.
상기 K-펀치(50)는, 뼈를 비롯하여 황색인대, 연조직 등을 뜯어내어 제거하는데 사용되는 도구로서, 진입로드(50a), 슬라이더(50c), 회전샤프트(50d), 푸싱로드(50f), 손잡이부(50e)를 구비한다.
상기 진입로드(50a)는 체내에 삽입되어 그 선단부가 수술부위에 도달하는 부재로서 선단부에 받침턱부(50b)를 갖는다. 또한 슬라이더(50c)는 진입로드(50a)의 일측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하고 받침턱부(50b)에 대해 진퇴운동 한다. 받침턱부(50b)와 슬라이더(50c)의 사이에 제거대상을 위치시킨 상태로 슬라이더(50c)를 받침턱부(50b) 측으로 가압 이동시켜 제거 대상을 물리적으로 물어 고정할 수 있다.
회전샤프트(50d)는 진입로드(50a)의 후방에 고정되며, 수술시 필요에 따라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축회전하여 받침턱부(50b)의 방향이 조절되게 한다. 상기와 같이 회전샤프트(50d)를 적용하므로 제거할 조직의 위치에 상관없이 손잡이부(50e)를 편한 각도로 파지 사용 할 수 있다.
또한 푸싱로드(50f)는 선단부가 슬라이더(50c)에 고정되고 후단부는 회전샤프트(50d)의 후방으로 연장되며, 손잡이부(50e)를 조작할 때 전진하며 슬라이더(50c)를 받침턱부(50b) 측으로 가압 이동시킨다.
도 11은 도 1에 도시한 라운드드릴(60)의 사시도이다.
상기 라운드드릴(30)은 수술시 불필요한 뼈 부분을 갈아내는 것으로서, 별도의 핸드피스(미도시)에 결합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이러한 라운드드릴(60)은, 일정 직경을 가지며 길이방향으로 연장되고, 선단부에는 길이방향에 대해 예각의 사이각(가령 38도)을 가지도록 경사진 경사개방부(60b)가 형성되어 있는 아우터튜브(60a)와, 아우터튜브(60a)의 후단부에 고정되는 튜브홀더(60d)와, 경사개방부(60b)를 통해 아우터튜브(60a)의 외부로 부분적으로 노출되는 드릴버(60c)를 구비한다.
상기 경사개방부는, 드릴버(60c)가 정상조직 부분 및 신경 부분을 손상하지 않고 불필요한 부분만을 깎기 위해 드릴버(60c)를 부분적으로 커버하기 위해 형성한 것이다.
상기 드릴버(60c)는 그 표면에 절삭용 다이아몬드분말이 분포되어 있는 절삭팁으로서 다양한 종류가 사용될 수 있다. 가령 라운드드릴버, 다이아몬드드릴버를 적용할 수 있다. 상기 다이아몬드 드릴버는 내시경 수술에 사용되는 종래 드릴버와는 달리 미세한 다이아몬드가 박혀있다. 미세한 다이아몬드가 절삭날로서 분포하므로, 뼈를 깎는 깊이를 미세하게 조정할 수 있고 출혈을 최소화할 수 있다. 아울러, 드릴버(60c)의 모양은 둥근 형태뿐만 아니라 삼각뿔 등의 다른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도 12는 도 1에 도시한 내시경장치(70)의 사시도이고, 도 13은 상기 도 12의 A-A선 단면도이다. 또한, 도 14는 도 12에 도시한 가이드튜브의 단면도이다. 상기 내시경장치(70)는, 시스장치(71)와 내시경카메라(73)를 포함한다.
내시경카메라(73)는, 체내 수술부위를 확인 및 촬영하기 위한 장치로서,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며 광케이블이 내장된 가요성(可撓性) 프로브(73a)와, 프로브(73a)의 선단부에 구비된 렌즈(73b)와, 렌즈(73b)의 후단부에 설치되는 경통(73c)으로 구성된다.
또한, 내시경카메라(73)는, 촬영이미지를 캡처하거나 영상을 녹화하는 촬영제어장치, 가이드케이블과 연결되어 촬영부위를 비추기 위한 광원, 촬영부위에 광을 조사하기 위해 내시경의 원위 말단으로 광을 운반하는 가이드케이블, 내시경카메라를 보관하고 이동을 수월하게 하는 내시경 트레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시스장치(71)는, 내시경카메라(73)와 결합하여 하나의 내시경장치(70)를 구성하며, 수술 중, 내시경카메라(73)를 지지함과 아울러 시야를 확보해 주는 역할을 한다. 사실 내시경카메라의 프로브(73a)는 매우 가늘고 잘 구부러지므로, 렌즈(73b)를 체내 목표지점에 도달시킬 수 없기 때문에 시스장치(71)를 사용하는 것이다. 시스장치(71)의 또 다른 중요한 기능은 식염수를 목표 지점으로 유도하는 것이다.
시스장치(71)는, 가이드튜브(71a), 댐핑챔버(71m), 밸브바디(71b), 어뎁터부(71s)를 포함한다.
상기 가이드튜브(71a)는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며 사용시 그 선단부가 체내의 목적부위에 도달하는 중공 튜브형 부재이다. 가이드튜브(71a)의 재질은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스테인레스스틸이나 폴리프로필렌을 포함하는 합성수지류로 제작 가능하다.
가이드튜브(71a)의 길이는 필요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러한 가이드튜브(71a)는 상기한 확장관체(21)에 의해 확보된 경로를 통해 체내에 삽입되는 것이다.
특히 상기 가이드튜브(71a)의 내주면에는 다수의 유도홈(71p)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유도홈(71p)은 가이드튜브(71a)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된 홈으로서, 외부로부터 공급된 식염수를 배출구(71f) 측으로 유도하는 유도홈이다.
아울러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각 유도홈(71p)의 사이에는 선형돌기(71r)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선형돌기(71r)는 유도홈(71p)과 나란하게 형성된 돌출부로서, 다수개가 평행하게 위치하여 유도홈(71p)을 이룬다. 선형돌기(71r)와 유도홈(71p)은 가이드튜브(71a)의 원주방향을 따라 균일한 간격을 이룬다.
아울러 선형돌기(71r)는 가이드튜브(71a)의 공간부(71n) 내부로 삽입된 프로브(73a)의 외주면과 부분적으로 접하여 프로브(73a)를 지지한다. 선형돌기(71r)의 상단부를 연결하는 가상의 원통의 직경은, 프로브(73a)의 직경보다 크다. 따라서 프로브(73a)는 공간부(71n) 내부에서 상하 좌우로 움직임이 가능하며 길이방향으로 원활하게 슬라이딩 운동 한다.
또한 가이드튜브(71a)의 선단부에는 다수의 돌출부(71h)와 홈부(71g)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돌출부(71h)는 가이드튜브(71a)의 선단방향, 즉, 식염수의 배출방향으로 돌출된 부분이고, 홈부(71g)는 그 반대방향으로 함몰된 부분이다. 특히, 상기 돌출부(71h)와 홈부(71a)는, 가이드튜브(71a)의 원주방향을 따라 물결패턴으로 반복 형성된다.
이러한 돌출부(71h)와 홈부(71a)는, 가이드튜브로부터 배출되는 식염수가, 가이드튜브의 반지름 방향으로 유출될 수 있도록 유도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테면 상기 가이드튜브(71a)의 선단부가 근육에 의해 막혔을 때, 상기 홈부(71a)를 통해 식염수가 공급되게 한다거나, 시야확보를 위한 식염수에 방향성을 부여하기 위한 것이다.
아울러, 상기 가이드튜브(71a)의 선단부 측부에는 측부슬릿(71k)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측부슬릿(71k)은 식염수의 흐름 방향성을 조절하기 위한 것이다. 말하자면, 양방향 척추 내시경 수술 중, 식염수가 중력에 의해 흐르면서 렌즈(73b)를 용이하게 세척하여 내시경의 시야 확보가 가능하도록 식염수의 흐름 방향성을 조절하는 것이다.
상기 측부슬릿(71k)은 식염수의 통로 역할을 겸한다. 가령, 위에 언급한 바와 같이, 가이드튜브(71a)의 홈부(71a) 조차 근육(Z) 등의 조직에 막혀 식염수의 배출이 어려울 때를 대비한 것이며, 시야 확보를 위한 식염수에 방향성을 부여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가이드튜브(71a)의 내부로 유입된 식염수는 중력의 작용에 의해 상기 측부슬릿(71k)을 통해 배출되어 환부의 조직이나 혈액을 씻어내어 시야를 확보해준다.
상기 어뎁터부(71s)는, 시스장치(71)에 대한 내시경카메라(73)의 위치를 유지하는 것으로서, 내시경카메라(73)를 지지하기 위한 홀더(71d)를 갖는다. 가이드튜브(71a)의 후단부는 홀더(71d)의 후방으로 개방되어 있다. 상기 프로브(73a)를 홀더(71d)를 통해 가이드튜브(71a) 내부로 완전히 삽입하면 내시경카메라(73)가 홀더(71d)에 지지되어 뒤로 빠지지 않는다.
한편, 상기 댐핑챔버(71m)는 가이드튜브(71a)의 후단부에 연통되도록 결합한 공간부로서, 주입구(71c)와 밸브바디(71b)를 통해 공급된 식염수를 그 내부에 일단 받아 수용한 후 가이드튜브(71a)로 전달한다.
상기 댐핑챔버(71m)를 적용함으로써, 가이드튜브(71a)로 공급되는 식염수 유량 편차가 가급적 적게 유지된다. 밀폐챔버(71m)가 없다면, 식염수공급튜브(도 1의 82)를 통해 공급되는 식염수의 유량변화가 가이드튜브(71a)로 곧바로 반영된다. 상기 댐핑챔버(71m)의 용량은 필요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상기 밸브바디(71b)는 댐핑챔버(71m)의 주변에 두 개가 구비되며, 각 밸브바디(71b)에는 용량조절밸브(71e)가 구비된다. 상기 용량조절밸브(71e)는 밸브바디(71b)를 통과하는 식염수의 유량을 조절하기 위한 것으로서, 사용자에 의해 조작된다.
도면부호 71c는 상기 식염수공급튜브(81)가 연결되는 주입구이다. 식염수공급튜브(81)를 통해 이동한 식염수가 상기 주입구(71c)를 통해 밸브바디(71b), 댐핑챔버(71m), 가이드튜브(71a)를 거쳐 환부에 도달하는 것이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내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10:수술도구세트 20:툴키트(Tool kit) 21:확장관체
21a:제1확장관체 21b:제2확장관체 21c:제3확장관체
21d:제4확장관체 21e:제5확장관체 21f:제6확장관체
22:근견인기 22a:제1절곡부 22b:제2절곡부
23:근육분리기 23a:손잡이부 23b:날부
24:케이지가이더 24a:손잡이부 24b:운반부
25:본칩캐뉼러 25a:수집부 25b:유도관부
26:절골도 26a:손잡이부 26b:절삭날부
27:본칩임팩터 27a:손잡이부 27b:팁부
28:종판제거기 29:양단견인기 29a:손잡이부
29b:팁부 30:흡입기 30a:손잡이부
30b:흡입관부 30c:흡입공 31:디스크세척기
31a:손잡이부 31b:수관부 31c:배출공
31d:세척수유입공 32:수술공유지기 40:고주파프로브
40a:전극팁 40b:삽입로드 40c:케이싱
40d:발열부 40e:안전돌기 50:K-펀치
50a:진입로드 50b:받침턱부 50c:슬라이더
50d:회전샤프트 50e:손잡이부 50f:푸싱로드
60:라운드드릴 60a:아우터튜브 60b:경사개방부
60c:드릴버 60d:튜브홀더 70:내시경장치
71:시스장치 71a:가이드튜브 71b:밸브바디
71c:주입구 71d:홀더 71e:유량조절밸브
71f:배출구 71g:홈부 71h:돌출부
71k:측부슬릿 71m:댐핑챔버 71n:공간부
71p:유도홈 71r:선형돌기 71s:어뎁터부
73:내시경카메라 73a:프로브 73b:렌즈
73c:경통 80:식염수공급부 81:식염수
82:공급튜브

Claims (13)

  1. 양방향 척추 내시경 수술의 진행을 위해, 수술부위로 이어지는 두 개의 독립된 통로를 형성하는 것으로서, 단계별 직경 사이즈를 갖는 다수의 확장관체와;
    체내에 삽입된 확장관체의 내부로 삽입되며, 확장관체가 빠진 후 그 자리에 남아, 확장관체에 의해 확보된 수술공을 유지하는 일정 직경의 막대형 수술공유지기와;
    상기 확장관체에 의해 확보된 통로 중, 일측통로를 통해 체내에 삽입되어 수술부위를 촬영하는 내시경장치와;
    상기 확장관체에 의해 확보된 통로 중, 타측통로를 통해 체내의 수술부위에 도달시켜, 수술부위에 위치한 제거대상 조직에 열을 가하여 제거대상을 제거하는 고주파프로브와;
    상기 타측통로를 통해 체내의 수술부위에 도달시켜, 수술부위에 위치한 제거대상 조직을 물리적으로 뜯어 제거하는 K-펀치와;
    상기 타측통로를 통해 체내의 수술부위에 도달시켜, 수술부위에 위치하는 불필요한 뼈를 갈아내는 라운드드릴을 포함하는 양방향 척추 내시경 수술용 수술도구세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주파프로브는;
    상기 타측통로를 통해 체내에 삽입되어 수술부위에 도달하는 삽입로드와,
    상기 삽입로드의 선단부에 구비되며 외부로부터 전달받은 전력을 통해 고주파열을 출력하는 전극팁과,
    상기 전극팁의 표면에 형성되며 전극팁의 표면을 체내 조직으로부터 이격시켜 열손상을 방지하는 안전돌기를 포함하는 양방향 척추 내시경 수술용 수술도구세트.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K-펀치는;
    상기 타측통로를 통해 체내에 삽입되어 수술부위에 도달하고 그 선단부에 받침턱부가 형성되어 있는 진입로드와,
    상기 진입로드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하고, 상기 받침턱부에 대해 진퇴운동하는 슬라이더와,
    상기 진입로드의 후방에 고정되며,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축회전하여 상기 받침턱부의 방위를 조절하는 회전샤프트와,
    그 선단부가 상기 슬라이더에 고정되고, 후단부는 회전샤프트의 후방으로 연장된 푸싱로드와,
    상기 푸싱로드를 전방으로 이동시켜, 상기 펀칭부가 받침턱부측으로 가압되게 하는 손잡이부를 포함하는 양방향 척추 내시경 수술용 수술도구세트.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라운드드릴은;
    일정 직경을 가지며 길이방향으로 연장되고, 선단부에는 길이방향에 대해 예각의 사이각을 가지도록 경사진 경사개방부가 형성되며, 상기 타측통로를 통해 수술부위에 도달하는 아우터튜브와,
    상기 아우터튜브의 후단부에 고정되는 튜브홀더와,
    상기 경사개방부를 통해 아우터튜브의 외부로 부분적으로 노출되는 것으로서, 그 표면에 절삭용 다이아몬드분말이 분포되어 있는 절삭팁을 갖는 드릴버를 포함하는 드릴버본체를 갖는 양방향 척추 내시경 수술용 수술도구세트.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시경장치는;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며 사용시 그 선단부가 상기 일측통로를 통해 체내의 수술부위에 도달하는 중공 튜브형 부재로서, 내시경카메라의 프로브를 수용할 수 있는 가이드튜브와,
    상기 가이드튜브의 후단부에 장착되어, 외부로부터 주입된 식염수를 상기 가이드튜브 내부로 유도하는 것으로서, 상기 가이드튜브의 후단부에 고정되고 주입구를 통해 유입된 식염수를 통과시켜 상기 가이드튜브로 이동하게 하는 밸브바디와, 상기 밸브바디에 장착되며 밸브바디를 통과하는 식염수의 유량을 제어하는 유량조절밸브를 포함하는 식염수유도부와,
    상기 가이드튜브의 후단부에 위치하고, 사용할 내시경카메라의 프로브를 가이드튜브로 안내하는 어뎁터부 구비한 양방향 척추 내시경 수술용 수술도구세트.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바디와 가이드튜브의 사이에는, 밸브바디를 통과한 식염수를 받아 수용하며, 상기 가이드부로 유도하는 댐핑챔버가 구비된 양방향 척추 내시경 수술용 수술도구세트.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바디는, 댐핑챔버에 대한 식염수의 공급량을 증가시킬 수 있도록, 댐핑챔버의 둘레에 다수개가 장착된 양방향 척추 내시경 수술용 수술도구세트.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튜브의 내주면에는;
    상기 가이드튜브 내부로 유입한 식염수를 가이드튜브의 길이방향으로 유도하여, 식염수가 상기 내시경카메라의 프로브 선단에 위치한 렌즈에 도달하도록 유도하는 것으로서, 가이드튜브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된 선형유도홈이 형성된 양방향 척추 내시경 수술용 수술도구세트.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선형유도홈은, 가이드튜브 내주면의 원주방향으로 다수개가 평행하게 배치되며, 각 선형유도홈의 사이에는 내시경카메라의 프로브와 접하며 프로브를 지지하는 지지돌기가 형성된 양방향 척추 내시경 수술용 수술도구세트.
  10.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튜브의 선단부에는;
    가이드튜브로부터 배출되는 식염수가 가이드튜브의 반지름 방향으로 유출될 수 있도록 유도하는 것으로서, 가이드튜브의 원주방향을 따라 돌출부와 홈부가 물결패턴으로 반복 형성된 양방향 척추 내시경 수술용 수술도구세트.
  11.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튜브의 선단 측부에는;
    가이드튜브로부터 배출되는 식염수를 가이드튜브의 일측 방향으로 배출하는 측부슬릿이 형성된 양방향 척추 내시경 수술용 수술도구세트.
  12. 제1항에 있어서,
    양방향 척추 내시경 수술시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함께 사용되는 것으로서,
    수술 대상 부위의 뼈와 근육을 벌려, 후속 단계에 사용되는 도구의 진입로를 확보하며, 양단부에 날부와 손잡이부를 각각 구비한 근육분리기와,
    상기 근육분리기에 의해 만들어진 공간에 삽입되어, 뼈 또는 확색인대로부터 신경근을 박리하거나, 근육이나 인대를 박리하며, 중앙에 손잡이가 구비되고 양단부에 팁부를 갖는 양단견인기를 포함하는 양방향 척추 내시경 수술용 수술도구세트.
  13. 제1항에 있어서,
    양방향 척추 내시경 수술시 디스크 공간에 인공디스크를 삽입할 필요가 있을 때 사용하는 도구로서,
    외부에서 공급된 뼛조각을 모아 집중시키는 깔때기 형태의 수집부와, 상기 수집부에 연결되며 길이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타측통로를 통해 수술부위에 도달한 상태로 뼛조각을 디스크로 유도하는 유도관부를 구비한 본칩캐뉼러와,
    상기 본칩캐뉼러에 의해 디스크공간으로 유도된 뼛조각을 디스크내에 안착시키기 위해 타격을 가하는 본칩임팩터를 포함하는 양방향 척추 내시경 수술용 수술도구세트.
KR1020180008451A 2017-11-14 2018-01-23 양방향 척추 내시경 수술용 수술도구세트 KR1021216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5/879,825 US11331091B2 (en) 2017-11-14 2018-01-25 Surgical instrument set for use during unilateral biportal endoscopy
EP18879727.8A EP3711690A4 (en) 2017-11-14 2018-01-29 BIDIRECTIONAL VERTEBRAL ENDOSCOPE OPERATING PROCEDURE AND OPERATING TOOL SET USED THEREIN
CN201880073321.0A CN111343933B (zh) 2017-11-14 2018-01-29 双向脊柱内窥镜手术方法及用于其的成套手术工具
PCT/KR2018/001243 WO2019098457A1 (ko) 2017-11-14 2018-01-29 양방향 척추 내시경 수술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수술도구세트
US17/659,894 US20220240916A1 (en) 2017-11-14 2022-04-20 Surgical instrument set for use during unilateral biportal endoscop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1636 2017-11-14
KR20170151636 2017-11-1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4865A true KR20190054865A (ko) 2019-05-22
KR102121601B1 KR102121601B1 (ko) 2020-06-10

Family

ID=66680444

Famil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62530A KR102056153B1 (ko) 2017-11-14 2017-11-30 양방향 척추 내시경 수술용 시스장치
KR1020180007729A KR102123501B1 (ko) 2017-11-14 2018-01-22 다이아몬드 드릴버 및 이를 구비한 수술용 뼈조직 제거장치
KR1020180008451A KR102121601B1 (ko) 2017-11-14 2018-01-23 양방향 척추 내시경 수술용 수술도구세트
KR1020180011939A KR102119162B1 (ko) 2017-11-14 2018-01-31 회전형 수술용 체내 조직 제거장치

Family Applications Before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62530A KR102056153B1 (ko) 2017-11-14 2017-11-30 양방향 척추 내시경 수술용 시스장치
KR1020180007729A KR102123501B1 (ko) 2017-11-14 2018-01-22 다이아몬드 드릴버 및 이를 구비한 수술용 뼈조직 제거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1939A KR102119162B1 (ko) 2017-11-14 2018-01-31 회전형 수술용 체내 조직 제거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1457909B2 (ko)
EP (1) EP3711690A4 (ko)
KR (4) KR102056153B1 (ko)
CN (1) CN111343933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09270A1 (ko) * 2022-07-07 2024-01-11 배상은 회전근개의 관절경적 근육 전진술을 위한 수술도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464648B2 (en) * 2019-09-09 2022-10-11 Amplify Surgical, Inc. Multi-portal surgical systems
KR102329901B1 (ko) * 2019-11-27 2021-11-22 전지운 물관일체형 척추내시경 장치
KR20210097060A (ko) 2020-01-29 2021-08-06 주식회사 엔도비전 의료용 블레이드 장치
KR102383999B1 (ko) * 2020-04-20 2022-04-12 (주)이롭 가스 추출부를 구비한 의료용 그래스퍼
WO2022109224A1 (en) * 2020-11-20 2022-05-27 Sanford Health Flexible slotted cannula and methods for use
KR102540237B1 (ko) * 2020-12-14 2023-06-07 주식회사 텍코드 체강 삽입 유도 기구
KR102607581B1 (ko) * 2021-03-29 2023-11-29 주식회사 엔닥 조직 제거장치
CN114305610B (zh) * 2021-12-28 2023-06-23 首都医科大学附属北京友谊医院 一种ube通道建立辅助器械
KR20240027172A (ko) * 2022-08-22 2024-03-04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흉강형하 흉관 삽입 장치 및 방법
CN115474994B (zh) * 2022-09-02 2023-05-09 苏州市立医院 一种医用骨科临床用游离体取出器
US11950770B1 (en) 2022-12-01 2024-04-09 Amplify Surgical, Inc. Multi-portal split cannulas, endoscopic hemostatic dispensers and surgical tools
CN116370048A (zh) * 2023-03-02 2023-07-04 中国人民解放军总医院第四医学中心 一种枪式脊柱微创手术通道扩充器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514037A (ja) * 1997-09-04 2001-09-11 エマニュエル、マーク・ハンス 外科内視鏡切断デバイスおよびその使用方法
US20030158545A1 (en) * 2000-09-28 2003-08-21 Arthrocare Corporation Methods and apparatus for treating back pain
US20140039480A1 (en) * 2012-08-06 2014-02-06 Electromedical Associates Llc Bipolar endoscopic tissue ablator with simple construction
KR101441320B1 (ko) * 2014-04-07 2014-09-18 주식회사 엔도비전 최소 침습 내시경 척추수술을 수행하기 위한 수술도구세트
KR20170018160A (ko) * 2015-08-06 2017-02-16 (주)세원메디텍 경피적 척추 추간공 확장술용 캐뉼러 및 상기 캐뉼러를 구비한 추간공 확장장치
KR101774459B1 (ko) 2016-01-15 2017-09-19 주식회사 티앤에스모터스 화재진압용 사륜 오토바이

Family Cites Families (4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598108A (en) * 1969-02-28 1971-08-10 Khosrow Jamshidi Biopsy technique and biopsy device
US4261346A (en) * 1979-11-23 1981-04-14 Richard Wolf Medical Instruments Corporation Endoscopes
DE8814573U1 (ko) * 1988-11-18 1990-01-11 Effner Gmbh, 1000 Berlin, De
US4973321A (en) * 1989-03-17 1990-11-27 Michelson Gary K Cannula for an arthroscope
US5395317A (en) * 1991-10-30 1995-03-07 Smith & Nephew Dyonics, Inc. Unilateral biportal percutaneous surgical procedure
US5313934A (en) * 1992-09-10 1994-05-24 Deumed Group Inc. Lens cleaning means for invasive viewing medical instruments
JP3429536B2 (ja) 1993-09-30 2003-07-22 オリンパス光学工業株式会社 内視鏡シース
US5651783A (en) * 1995-12-20 1997-07-29 Reynard; Michael Fiber optic sleeve for surgical instruments
WO1997040750A1 (de) * 1996-04-25 1997-11-06 Karl Storz Gmbh & Co. Chirurgisches instrumentensystem
JP3834370B2 (ja) 1997-01-23 2006-10-18 オリンパス株式会社 内視鏡用洗浄シース
JPH11113918A (ja) * 1997-10-15 1999-04-27 Olympus Optical Co Ltd 鉗 子
EP1259155B1 (en) * 2000-02-18 2010-12-08 Fogarty, Thomas J. Improved device for accurately marking tissue
US7041055B2 (en) * 2002-10-07 2006-05-09 Mark LoGuidice Instruments and methods for use in laparoscopic surgery
US6432064B1 (en) * 2001-04-09 2002-08-13 Ethicon Endo-Surgery, Inc. Biopsy instrument with tissue marking element
KR100423758B1 (ko) * 2001-06-28 2004-03-22 주식회사 엠지비엔도스코피 관절경 수술기 구동 시스템 및 방법
JP2004097790A (ja) * 2002-07-16 2004-04-02 Nakanishi:Kk 医療用ハンドピース及び切削工具
KR100551740B1 (ko) * 2004-07-26 2006-02-13 학교법인고려중앙학원 봉합용 비드 및 이를 이용한 장기 봉합장치
JP4766959B2 (ja) * 2005-08-26 2011-09-07 オリンパス株式会社 内視鏡用挿入補助具
ES2279733B1 (es) * 2006-11-27 2008-08-16 Rudolf Morgenstern Lopez Dispositivo para eliminacion de tejido en operaciones endoscopicas.
USD596291S1 (en) * 2007-08-31 2009-07-14 Karl Storz Gmbh & Co. Kg Medical instrument
US7766929B2 (en) * 2007-09-28 2010-08-03 Olympus Medical Systems Corp. Surgical operating apparatus
CN101579256A (zh) * 2008-05-13 2009-11-18 上海导向医疗系统有限公司 同心、可拆、可互换多功能靶向肿瘤手术刀
US8231640B2 (en) * 2008-07-31 2012-07-31 Olympus Medical Systems Corp. Suture instrument
US10080578B2 (en) 2008-12-16 2018-09-25 Nico Corporation Tissue removal device with adjustable delivery sleeve for neurosurgical and spinal surgery applications
US8939979B2 (en) 2009-05-08 2015-01-27 DePuy Synthes Products, LLC Surgical drill with curved burr attachment and method
US8486097B2 (en) * 2010-02-04 2013-07-16 Nico Corporation Tissue cutting device
US8986334B2 (en) * 2010-02-04 2015-03-24 Nico Corporation Tissue removal device with tissue grip
US8444573B2 (en) * 2010-03-30 2013-05-21 Siteselect Medical Technologies, Inc. Tissue excision device
BR112013020650A2 (pt) * 2011-02-15 2016-10-18 Smith & Nephew Inc dispositivo de resseção artroscópica
CA2832270A1 (en) 2011-04-07 2012-10-11 DePuy Synthes Products, LLC Surgical drill instrument with motor and locking mechanism to receive an attachment and a cutting burr
JP2013138790A (ja) 2012-01-05 2013-07-18 Olympus Medical Systems Corp 内視鏡用洗浄シース
CN102755675A (zh) * 2012-07-31 2012-10-31 樊光辉 清洁肠道可视肛管及其导入方法
WO2014048149A1 (zh) * 2012-09-25 2014-04-03 天津博朗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一次性内窥镜鞘
KR101302453B1 (ko) 2012-12-11 2013-09-02 박경우 추간공인대절제술에 의한 경피적 추간공 확장시술방법 및 그에 이용되는 시술도구
US9700378B2 (en) 2013-04-26 2017-07-11 Medtronic Xomed, Inc. Endoscope lens cleaning device
EP3189798B1 (en) * 2014-09-05 2019-03-20 Olympus Corporation Endoscopic treatment instrument, treatment instrument unit, and treatment system
JP6464104B2 (ja) * 2016-01-20 2019-02-06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内視鏡用コネクタ、内視鏡および内視鏡システム
KR101744459B1 (ko) 2016-11-02 2017-06-07 박상훈 후방 2개 통로 척추 내시경 수술용 수술 기구 세트
KR101762761B1 (ko) * 2016-12-12 2017-07-28 (주) 써지코어 클립 어플라이어
JPWO2018021582A1 (ja) * 2017-08-31 2020-10-15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外科手術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514037A (ja) * 1997-09-04 2001-09-11 エマニュエル、マーク・ハンス 外科内視鏡切断デバイスおよびその使用方法
US20030158545A1 (en) * 2000-09-28 2003-08-21 Arthrocare Corporation Methods and apparatus for treating back pain
US20140039480A1 (en) * 2012-08-06 2014-02-06 Electromedical Associates Llc Bipolar endoscopic tissue ablator with simple construction
KR101441320B1 (ko) * 2014-04-07 2014-09-18 주식회사 엔도비전 최소 침습 내시경 척추수술을 수행하기 위한 수술도구세트
KR20170018160A (ko) * 2015-08-06 2017-02-16 (주)세원메디텍 경피적 척추 추간공 확장술용 캐뉼러 및 상기 캐뉼러를 구비한 추간공 확장장치
KR101774459B1 (ko) 2016-01-15 2017-09-19 주식회사 티앤에스모터스 화재진압용 사륜 오토바이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Percutaneous biportal endoscopic decompression for lumbar spinal stenosis: a technical note and preliminary clinical results(J Neurosurg Spine 24:602.607, 2016)
권흠대외 1, "양방향 척추내시경 디스크제거술, 신경감압술(TED); 초기 경험", 대한척추신경외과학회 제31차 정기학술대회, 2017년 9월 16일. *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09270A1 (ko) * 2022-07-07 2024-01-11 배상은 회전근개의 관절경적 근육 전진술을 위한 수술도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711690A4 (en) 2021-07-28
CN111343933A (zh) 2020-06-26
US20200383675A1 (en) 2020-12-10
KR20190054857A (ko) 2019-05-22
EP3711690A1 (en) 2020-09-23
US11457909B2 (en) 2022-10-04
KR102119162B1 (ko) 2020-06-04
KR102056153B1 (ko) 2019-12-16
CN111343933B (zh) 2024-03-19
KR102121601B1 (ko) 2020-06-10
KR20190054864A (ko) 2019-05-22
KR102123501B1 (ko) 2020-06-16
KR20190054867A (ko) 2019-05-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054865A (ko) 양방향 척추 내시경 수술용 수술도구세트
US11903607B2 (en) Flexible surgical device for tissue removal
AU2019205969B2 (en) Minimally invasive methods for spinal facet therapy to alleviate pain and associated surgical tools, kits
US20220240916A1 (en) Surgical instrument set for use during unilateral biportal endoscopy
US8419653B2 (en) Spinal access and neural localization
US20190142407A1 (en) Method of unilateral biportal endoscopy and diamond shaver used in same
JP5855578B2 (ja) 副鼻腔を治療するためのシステム
US8821378B2 (en) Device and method for minimally invasive spinal intervention
CN101516272A (zh) 组织切除装置及使用该装置的方法
JP2013538624A (ja) カニューレ挿入型切開刀
JP2011522579A (ja) 脊椎の狭窄を処置する装置および方法
GB2430396A (en) A surgical drill
KR101737997B1 (ko) 경피적 척추 추간공 확장술용 캐뉼러 및 상기 캐뉼러를 구비한 추간공 확장장치
CN211862895U (zh) 微创椎间盘处理工具
CN110652334A (zh) 微创椎间盘处理工具
KR102494673B1 (ko) 유방 검체 절단 기구 및 유방 검체 절단 방법
KR20210008958A (ko) 단일통로 척추 수술 도구 세트 및 단일통로 척추 수술 도구 세트의 사용 방법
WO2019098444A1 (ko) 양방향 척추 내시경 수술용 시스장치
CN210612165U (zh) 一种椎间微创手术器械
CN208591112U (zh) 椎间孔镜辅助多功能导管装置
KR101831241B1 (ko) 척추 추간공 확장술용 캐뉼러와 추간공확장장치
CN214761317U (zh) 一种用于椎间孔镜下手术的骨刀
CN210903215U (zh) 一种应用于脊柱内镜的镜外骨刀
CN209863987U (zh) 一种用于椎间孔镜手术的定位器械
CN112754592A (zh) 一种用于椎间孔镜下手术的骨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