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53183A - 광섬유 인선 방법 및 인선 장치 - Google Patents

광섬유 인선 방법 및 인선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53183A
KR20190053183A KR1020197006672A KR20197006672A KR20190053183A KR 20190053183 A KR20190053183 A KR 20190053183A KR 1020197006672 A KR1020197006672 A KR 1020197006672A KR 20197006672 A KR20197006672 A KR 20197006672A KR 20190053183 A KR20190053183 A KR 201900531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material
glass base
optical fiber
seal
sleeve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066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93456B1 (ko
Inventor
사토시 요시카와
이와오 오카자키
다카시 야마자키
Original Assignee
스미토모 덴키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미토모 덴키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스미토모 덴키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900531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531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934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934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37/00Manufacture or treatment of flakes, fibres, or filaments from softened glass, minerals, or slags
    • C03B37/01Manufacture of glass fibres or filaments
    • C03B37/02Manufacture of glass fibres or filaments by drawing or extruding, e.g. direct drawing of molten glass from nozzles; Cooling fins therefor
    • C03B37/025Manufacture of glass fibres or filaments by drawing or extruding, e.g. direct drawing of molten glass from nozzles; Cooling fins therefor from reheated softened tubes, rods, fibres or filaments, e.g. drawing fibres from preform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37/00Manufacture or treatment of flakes, fibres, or filaments from softened glass, minerals, or slags
    • C03B37/01Manufacture of glass fibres or filaments
    • C03B37/02Manufacture of glass fibres or filaments by drawing or extruding, e.g. direct drawing of molten glass from nozzles; Cooling fins therefor
    • C03B37/025Manufacture of glass fibres or filaments by drawing or extruding, e.g. direct drawing of molten glass from nozzles; Cooling fins therefor from reheated softened tubes, rods, fibres or filaments, e.g. drawing fibres from preforms
    • C03B37/027Fibres composed of different sorts of glass, e.g. glass optical fibres
    • C03B37/02736Means for supporting, rotating or feeding the tubes, rods, fibres or filaments to be drawn, e.g. fibre draw towers, preform alignment, butt-joining preforms or dummy parts during feed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37/00Manufacture or treatment of flakes, fibres, or filaments from softened glass, minerals, or slags
    • C03B37/01Manufacture of glass fibres or filaments
    • C03B37/02Manufacture of glass fibres or filaments by drawing or extruding, e.g. direct drawing of molten glass from nozzles; Cooling fins therefor
    • C03B37/025Manufacture of glass fibres or filaments by drawing or extruding, e.g. direct drawing of molten glass from nozzles; Cooling fins therefor from reheated softened tubes, rods, fibres or filaments, e.g. drawing fibres from preforms
    • C03B37/029Furnaces therefor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2Optical fibres with cladding with or without a coating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8Mechanical coupling means having fibre to fibre mating means
    • G02B6/3807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2205/00Fibre drawing or extruding details
    • C03B2205/60Optical fibre draw furnaces
    • C03B2205/80Means for sealing the preform entry or upper end of the furna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anufacture, Treatment Of Glass Fi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시일의 전환 시에 가스 빼냄 구멍이 동작하도록 하여, 인선로 내의 압력 변동을 억제하는 광섬유 인선 방법 및 인선 장치를 제공한다. 한쪽의 단이 더미봉(32)에 연결된 광섬유용의 유리 모재(31)를, 상기 유리 모재측으로부터 인선로(40)에 마련된 개구(45)를 통하여, 개구 근방에 마련된 시일 기구에 의해 시일하면서 인선로 내에 매달아 강하시켜 인선하는 광섬유 인선 방법에 있어서, 인선 개시 시는, 시일 기구의 제 1 시일부에 의해 광섬유용 유리 모재의 외주면에서 시일하고, 유리 모재의 테이퍼부가 제 1 시일부를 통과하기 시작하여, 제 1 시일부에 의한 시일이 효과가 없어지게 되기 이전에, 제 1 시일부의 상방에 제 2 시일부를 배설하고, 상기 제 2 시일부의 배설 직후는, 인선로의 노내와 외부를 도통시켜 노내 압력의 변동을 억제하고, 또한 유리 모재가 강하했을 때에는 도통을 차단한다.

Description

광섬유 인선 방법 및 인선 장치
본 발명은 광섬유용 유리 모재를 가열 용융하여, 광섬유를 인선(引線)하는 광섬유 인선 방법 및 인선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인선로에 의한 광섬유의 인선은 히터 등으로 광섬유용 유리 모재(이하, 유리 모재라 함)를 가열 용융하는 것에 의해 실행된다. 인선로의 노내의 온도가 2000℃ 이상으로 매우 고온이 되므로, 유리 모재를 둘러싸는 노심관 등에는, 통상, 카본이 이용된다. 이 카본은, 고온의 산소 함유 분위기 중에서는, 산화하여 소모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 인선로 내에는, 아르곤 가스나 헬륨 가스 등의 희(希) 가스나 질소 가스(이하, 불활성 가스 등이라 함)가 송입된다.
또한, 유리 모재는, 통상, 상단이 테이퍼 형상으로 축경되고, 직경이 작은 더미봉(지지봉이라고도 함)을 접속하며, 인선로의 노심관 내에 매달려 지지되지만, 직경이 크게 변화하는 테이퍼 형상의 부분 및 더미봉과의 연결 부분의 시일이 어려워, 이 개소가 인선로에 들어가는 곳에서, 기밀(氣密)을 유지하는 것이 어렵다. 이 때문에, 노심관을 상방으로 연장하는 형태로 인선로의 상방에 상부 챔버를 배치하고, 테이퍼 형상의 부분 및 더미봉과의 연결 부분을 포함하며 유리 모재를 상부 챔버 내에 수용하고, 상부 챔버의 상단에서 더미봉의 외주면을 시일하는 방법이 있다.
한편, 특허문헌 1과 같이, 인선로 상부의 시일 기구에 의해 시일하면서 광섬유를 인선하는 광섬유 인선 방법이 있다. 인선 개시 시는, 시일 기구의 제 1 시일부에 의해 광섬유용 유리 모재의 외주면에서 시일하고, 광섬유용 유리 모재의 테이퍼부 근방이 제 1 시일부를 통과하기 시작한 이후는, 제 1 시일부의 상방에 배치된 제 2 시일부로 전환하여, 제 2 시일부에 의해 더미봉의 외주를 둘러싸서 고정된 슬리브 부재의 외주면에서 시일하고 있다.
일본 특허 공개 제 2014-162671 호 공보
특허문헌 1에서 제안된 기술은, 충분한 시일 기능을 갖고 있으며, 바람직한 기술 형태이지만, 제 1 시일부로부터 제 2 시일부로 시일이 전환되는 순간은 인선로 내의 가스가 빠져나가는 곳이 없어지기 때문에, 인선로 내 압력이 변화하는 경우가 있었다. 압력의 변화는 인선로 내의 기류의 변화를 일으키기 때문에, 인선하고 있는 광섬유의 선직경에 불균일이 생길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은 이들 실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시일의 전환 시에 가스 빼냄 구멍이 동작하도록 하여, 인선로 내의 압력 변동을 억제하는 광섬유 인선 방법 및 인선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태양은, 한쪽의 단이 더미봉에 연결된 광섬유용의 유리 모재를, 상기 유리 모재측으로부터 인선로에 마련된 개구에 통하게 하고, 상기 개구 근방에 마련된 시일 기구에 의해 시일하면서 상기 인선로 내에 매달아 강하시켜 인선하는 광섬유 인선 방법에 있어서, 인선 개시 시는, 상기 시일 기구의 제 1 시일부에 의해 상기 광섬유용 유리 모재의 외주면에서 시일하고, 상기 유리 모재의 테이퍼부가 상기 제 1 시일부를 통과하기 시작하여, 상기 제 1 시일부에 의한 시일이 효과가 없어지게 되기 이전에, 상기 제 1 시일부의 상방에 제 2 시일부를 배설하고, 상기 제 2 시일부의 배설 직후는, 상기 인선로의 노내와 외부를 도통시켜 노내 압력의 변동을 억제하고, 또한 상기 유리 모재가 강하했을 때에는 상기 도통을 차단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는, 한쪽이 더미봉에 연결된 광섬유용의 유리 모재를 인선하는 광섬유 인선 장치에 있어서, 상기 더미봉과 상기 유리 모재의 외주의 일부를 덮는 슬리브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슬리브 부재에는, 상기 인선로의 노내와 외부를 도통시키는 통기 구멍이 마련되어 있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시일 전환 시에 가스 빼냄 구멍이 동작하도록 하여, 인선로 내의 압력 변동을 억제하는 광섬유 인선 방법 및 인선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의해, 인선되어 있는 광섬유의 선직경이 불균일해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한 광섬유 인선 장치의 개략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제 2 시일 부재의 조립의 개략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설명)
최초에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열기하여 설명한다.
(1) 본 발명의 일 실시태양은, 한쪽의 단이 더미봉에 연결된 광섬유용의 유리 모재를, 상기 유리 모재측으로부터 인선로에 마련된 개구에 통하게 하고, 상기 개구 근방에 마련된 시일 기구에 의해 시일하면서 상기 인선로 내에 매달아 강하시켜 인선하는 광섬유 인선 방법에 있어서, 인선 개시 시는, 상기 시일 기구의 제 1 시일부에 의해 상기 광섬유용 유리 모재의 외주면에서 시일하고, 상기 유리 모재의 테이퍼부가 상기 제 1 시일부를 통과하기 시작하여, 상기 제 1 시일부에 의한 시일이 효과가 없어지기 이전에, 상기 제 1 시일부의 상방에 제 2 시일부를 배설하고, 상기 제 2 시일부의 배설 직후는, 상기 인선로의 노내와 외부를 도통시켜 노내 압력의 변동을 억제하고, 또한 상기 유리 모재가 강하했을 때에는 상기 도통을 차단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이 실시형태에 의하면, 제 2 시일 기구가 인선로의 개구에 접합하는 순간, 환언하면 인선로가 외부 환경과 차단되는 순간에, 인선로의 노내와 외부를 도통시키는 통기 경로를 사용해, 인선로 내의 가스를 방출시켜, 인선로 내의 압력 변동을 억제한다. 압력 변동이 억제되는 것에 의해, 인선로 내에서의 기류의 변화가 억제되어, 인선되고 있는 광섬유의 선직경이 불균일해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2) 상기 (1)의 광섬유 인선 방법에 있어서, 상기 더미봉과 상기 유리 모재의 외주의 일부를 덮는 슬리브 부재를 마련하고, 상기 슬리브 부재에 마련된 통기 구멍에 의해, 상기 인선로의 노내와 외부를 도통시키고, 상기 통기 구멍을 폐색하는 것에 의해, 상기 도통을 차단하는 구성으로 한다. 이 실시형태에 의하면, 통기 구멍의 사이즈를 적절히 선택하는 것에 의해, 인선로 내로부터 통기 경로를 통하여 외부로 유출되는 가스 유량을 조정할 수 있다. 즉, 외기가 인선로 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노내 압력 변동을 억제하도록, 통기 구멍의 사이즈, 형상, 위치 등을 적절히 설계하는 것도 가능해진다.
(3) 상기 (2)의 광섬유 인선 방법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 부재는 상기 더미봉에 고정되고, 상기 제 2 시일부는 상기 슬리브 부재에 마련된 링형상 부재에 의해 상기 슬리브 부재와의 사이를 시일하는 것이며, 상기 제 2 시일부로 시일을 전환한 후에는, 상기 링형상 부재가 상기 슬리브 부재의 외주면을 미끄럼 운동하는 것에 의해 상기 개구를 시일한다. 이 실시형태에 의하면, 유리 모재의 용융·인선이 진행되어, 강하하고, 제 2 시일부로 시일이 전환된 후도, 계속해서 유리 모재를 포함하는 인선로 내와 외부를 차단할 수 있다.
(4) 본 발명의 일 실시태양은, 한쪽이 더미봉에 연결된 광섬유용의 유리 모재를 인선하는 광섬유 인선 장치에 있어서, 상기 더미봉과 상기 유리 모재의 외주의 일부를 덮는 슬리브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슬리브 부재에는, 상기 인선로의 노내와 외부를 도통시키는 통기 구멍이 마련되어 있는 구성으로 한다.
이 실시형태에 의하면, 제 2 시일 기구가 인선로의 개구에 접합하는 순간에, 인선로의 노내와 외부를 도통시키는 통기 경로를 사용해, 인선로 내의 가스를 방출시켜, 인선로 내의 압력 변동을 억제한다. 압력 변동이 억제되는 것에 의해, 인선로 내에서의 기류의 변화가 억제되어, 인선되고 있는 광섬유의 선직경이 불균일해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상세)
다음에,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광섬유 인선 장치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상이한 도면에서도 동일한 부호를 부여한 구성은 동일한 것으로 하고, 그 설명을 생략하는 경우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한 광섬유 인선 장치의 개략을 설명하는 도면이며, 유리 모재를 인선로 내로 삽입하고 있는 과정에서의 장치 전체의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제 2 시일 부재의 조립의 개략을 도시한 도면이며, 유리 모재에 제 2 시일 부재가 되는 부재를 조립할 때의 조립 순서의 일 예를 도시하고 있다. 또한, 도 2에 있어서 번잡함을 회피하기 위해, 설명에 필요한 부호만을 기재하고 있으며, 상세한 것은 도 1을 참조한다.
광섬유의 인선로는,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매달림 지지되는 광섬유용의 유리 모재(31)의 하부를 가열하고, 용융된 하단부로부터 유리 섬유가 소정의 외경이 되도록 용융 수하시키는 구조의 것이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광섬유 인선 장치(10)는 크게 나누어 3개의 구성을 갖는다. 즉, 광섬유의 소재가 되는 유리 모재(31)와, 인선로(40)와, 유리 모재(31)와, 인선로(40)의 사이를 시일하는 시일 기구이다.
(유리 모재 및 밀봉 부품류의 설명)
처음에, 유리 모재(31) 및 유리 모재(31)에 접합 등이 이뤄지는 부품류와, 시일 기구에 대해 설명한다. 또한, 이하에서는, 더미봉(32)의 하단에 유리를 퇴적, 가열하여 유리 모재(31)로 하고, 더미봉(32)을 파지하고 인선하는 형태를 예로 들어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유리 모재(31)와 더미봉(32)을 연결하고, 더미봉(32)을 지지봉 등으로 파지하고 인선하는 것이어도 좋다.
유리 모재(31)는, 예를 들면,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직동부(37)(본체부)의 상단 부분이 테이퍼부(35)를 거쳐서 축경되고, 더미봉(32)이 접속되어 있다. 더미봉(32)의 상단부는 매달림 지지 장치(도시 생략)로 파지하는 것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매달림 지지되고, 인선로 내에 삽입 수용된다. 이하, 유리 모재(31)에 구비하는 시일 기구(특히 제 2 시일부)의 조립 순서의 일 예를 설명한다.
처음에, 도 2의 (A) 및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통 형상의 제 1 캡(11)이 더미봉(32)의 상단측으로부터 유리 모재(31)의 방향으로, 더미봉(32)이 축이 되도록 배설된다. 제 1 캡(11)은 내열성이 있는 석영 유리, 금속, 카본, SiC 코팅된 카본 등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 1 캡(11)의 상단측에는 더미봉(32)을 삽입할 수 있는 개구를 가진 덮개부(11a)를 구비하고, 측면에는 핀 구멍이 되는 구멍부(11c)가 형성되어 있다.
제 1 캡(11)은, 구멍부(11c)가 더미봉(32)에 형성된 핀 구멍(33)에 대략 일치하는 소정의 위치에 도달할 때까지 하강하고, 더미봉(32)을 덮도록 배설된다. 그리고, 구멍부(11c)로부터 핀 구멍(33)에 핀(19)이 삽입되고, 제 1 캡(11)은 더미봉(32)에 고정된다.
다음에, 도 2의 (B) 및 (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슬리브 부재(15)가 더미봉(32)의 상단측으로부터 제 1 캡(11)의 외주를 덮도록 배설된다. 슬리브 부재(15)의 상단은 더미봉의 외경보다 약간 큰 개구가 마련된 덮개부(15a)로 되어 있으며, 제 1 캡(11)의 상단부에 있는 덮개부(11a)에 덮개부(15a)의 하면이 탑재된다.
슬리브 부재(15)는 유리 모재(31)의 테이퍼부(35), 더미봉(32)의 일부를 덮는 것이며, 내열성이 있는 석영 유리, 금속, 카본, SiC 코팅된 카본 등으로 형성된 원통 형상의 부재이다. 또한, 슬리브 부재(15)는, 상기한 바와 같이 제 1 캡(11)에 의해 고정하는 이외에도, 더미봉에 마련된 볼록부 등에 의해 더미봉에 고정할 수 있다.
슬리브 부재(15)의 하단에는 시일 기구를 탑재하기 위한 칼라부(15b)가 마련되며, 슬리브 부재(15) 하측의 외주면의 소정 위치에는, 원통의 외벽을 관통하는 통기 구멍(20)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통기 구멍(20)의 소정 위치 등에 대해서는, 유리 모재(31)가 강하할 때의 시일 기구와의 상호 관계에 의존하기 때문에, 상세는 후술한다.
다음에, 도 2의 (D) 및 (E)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1 링(16), 카본 링(17), 제 2 링(18)이 슬리브 부재(15)의 외연을 따라서 칼라부(15b)까지 끼워진다. 카본 링(17)은 링형상의 부재이며, 인선로(40) 내와 외부를 시일하기 위해, 슬리브 부재(15)의 외주에 대하여 간격을 가능한 한 없애도록, 슬리브 부재(15)의 외경보다 약간 큰 내경의 내주로 하고 있다. 카본 링(17)은, 이러한 고정밀도의 부재로 하기 위해, 예를 들면, 카본, SiC 코팅된 카본 등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 1 링(16)과 제 2 링(18)은, 카본 링(17)의 시일 기능을 확실히 발휘시키게 하기 위해, 카본 링(17)을 사이에 끼우도록 배치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 1 링(16)과 제 2 링(18)은 내열성이 있는 석영 유리, 금속, 카본, SiC 코팅된 카본 등으로 형성된 링형상의 부재로 하고 있다. 제 1 링(16)은 카본 링(17)의 받침대, 제 2 링(18)은 카본 링(17)의 추로서 위치 어긋남을 방지한다. 또한, 카본 링(17)이, 본 발명에 있어서의 링형상 부재에 상당하며, 슬리브 부재(15)와, 카본 링(17)으로, 제 2 시일 부재를 형성한다(슬리브 부재(15)와 카본 링(17) 사이에서 시일함).
또한, 제 2 시일 부재로서는, 상기의 형태에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카본 링(17)을 생략하고, 제 1 링(16), 제 2 링(18)을 일체화하고, 슬리브 부재(15)와, 일체화한 링형상 부재 사이의 압력 손실에 의해 밀봉하는 것에 의해, 제 2 시일 부재로 하여도 좋다.
(인선로 및 광섬유 인선 과정의 설명)
다음에, 도 1 및 광섬유 인선 과정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 3을 참조하여, 인선로를 포함한 전체 구성, 광섬유 인선 과정에 있어서의 시일 기능과 통기 구멍(20) 등의 작용·기능에 대해 설명한다. 또한, 도 3에 있어서 번잡함을 회피하기 위해, 설명에 필요한 부호만을 기재하는 동시에 일부 구성을 생략하고 있으며, 상세하게는 도 1을 참조한다. 또한, 도 3은 통기 구멍(20)을 통한 도통을 차단하는 경위를 보기 쉽게 하기 위해 통기 구멍(20)의 크기를 도 1과 비교하고 확대하여 도시하고 있다.
도 1 및 도 2의 참조와 같이, 상기한 설명과 같이 구성되고, 유리 모재(31)에 슬리브 부재(15), 제 1 링(16), 카본 링(17), 제 2 링(18)이 배치되어서, 제 2 시일부를 구성한다.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인선로(40)의 주체가 되는 가열로는, 유리 모재(31)가 삽입 공급되는 노심관(41)을 둘러싸도록 하여, 가열용의 히터(42)를 배치하고, 이 히터(42)의 열이 외부로 방산되지 않도록 카본 등의 단열재로 둘러싸고, 그 외측 전체를 노 하우징(43)으로 둘러싸서 구성된다. 노 하우징(43)의 상부측에는, 삽입되는 유리 모재(31)의 길이 등에 의해 시일 개시 위치를 조정하는 등을 위한, 원통 형상의 노심관 연장 부재(44)가 배치되어 있다. 노 하우징(43)에는 노심관(41)에 유리 모재(31)를 삽입하기 위한 개구(45)가 형성되어 있으며, 노심관 연장 부재(44)는 개구(45)를 상방으로 연장시키고 있다. 노심관 연장 부재(44)는 내열성이 있는 석영 유리, 금속, 카본, SiC 코팅된 카본 등으로 형성된 통 형상의 부재로 하고 있다.
도 3의 (A)를 참조하면, 제 2 시일부를 배치한 유리 모재(31)가 개구(45)의 바로 위에 매달려, 강하를 시작하고 있으며, 유리 모재(31)의 하측은 이미 개구(45)를 통하여 인선로(40)에 삽입되어 있다. 인선로(40) 내에는 아르곤 가스나 헬륨 가스 등의 희 가스나 질소 가스(이하, 불활성 가스 등이라 함)가 송입되어, 외부보다 가스의 압력이 높은 상태로 되어 있다. 도 3의 (A) 상태에서는, 개구(45) 또는 노심관 연장 부재(44)와 유리 모재(31)의 직동부(37) 사이에는, 유리 모재(31)를 강하시키기 위한 간격이 있지만, 노심관 연장 부재(44) 등에 마련된 제 1 시일부에 의해, 인선로(40) 내로의 외기의 유입을 방지하고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노심관 연장 부재(44)의 하부에는 제 1 시일 부재(46)가 설치되어 있다. 제 1 시일 부재(46)는, 예를 들면 유리 모재(31)의 직동부(37)의 외주에 접하는 복수의 블레이드 부재로 이루어지는 부재이며, 외측으로부터 힘을 부여하는 것에 의해, 인선로(40)의 개구부를 시일하고 있다. 또한, 제 1 시일부는, 그 시일 방법은 상관없으며, 예를 들면, 불활성 가스 등을 공급하여 시일하는 것이거나, 유리 모재의 외주면을 환상으로 둘러싸도록 배치된 카본 시트나 카본 펠트 등의 시일 부재를 시일 가스 등의 압력에 의해 유리 모재의 외주에 부세하여 시일하는 구조의 것이어도 좋다. 또한, 시일 가스 공급 스페이서에 환상 시일체 등을 배치한 구성의 것을 이용할 수도 있다.
다음에, 도 1 및 도 3의 (B)를 참조하면, 제 2 시일부가 배치된 유리 모재(31)는 도 3의 (A)의 위치보다 하강하고, 제 1 링(16)이 노심관 연장 부재(44)의 상단에 접촉한다. 또한, 이 시점에서는, 제 1 시일 부재(46)는 유리 모재(31)의 직동부(37)의 외주에 접하고 있으며, 제 1 시일 부재(46)에 의해, 인선로(40) 내는 시일되어 있다. 그리고,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슬리브 부재(15)의 상부에서는 슬리브 부재(15)가 더미봉(32)의 외주와 접촉되고 밀봉되며, 슬리브 부재(15)의 하부에서는 제 1 링(16)이 노심관 연장 부재(44)에 탑재되는 것에 의해, 노심관 연장 부재(44)와 제 1 링(16)의 사이를 밀봉하고, 또한 카본 링(17)이 슬리브 부재(15)의 외주와 접촉되고 밀봉되는 것에 의해, 인선로(40)는 제 2 시일부에 의해서도 외부에 대하여 시일되게 된다.
그렇지만, 도 3의 (A)로부터 (B) 상태로 추이(推移)되면, 그 때까지 유리 모재(31)와 제 1 시일부 사이의 간격으로부터 외부로 유출되고 있던 인선로(40) 내의 가스의 유출이 없어지기 때문에, 인선로(40) 내의 압력 상승을 일으키는 경우가 있다. 그래서, 통기 구멍(20)이, 도 3의 (B) 상태로 추이될 때에 인선로(40)와 외부를 도통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즉, 제 1 링(16)이 노심관 연장 부재(44)의 상단에 접촉한 순간에는, 통기 구멍(20)은 제 2 카본 링의 상부에 있으며, 노내와 외부가 도통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있어서, 제 2 시일부에 의해 인선로(40)의 시일이 실행되어도, 통기 구멍(20)을 통하여, 인선로(40) 내의 가스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에 의해, 인선로(40) 내에서 급격한 압력 변화가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이 실시형태에 의하면, 특히 시일 기구(제 2 시일부)가 인선로(40)의 개구(45)에 접합되는 순간, 환언하면 인선로(40)가 외부 환경과 완전히 차단되는 순간에, 통기 구멍(20)(통기 경로)을 사용해 인선로(40) 내의 가스를 방출하여, 인선로(40) 내의 압력 변동을 억제한다. 압력 변동이 억제되는 것에 의해, 인선로(40) 내에서의 기류의 변화가 억제되어, 인선되고 있는 광섬유의 선직경이 불균일해지 것을 억제할 수 있다.
통기 구멍(20)은, 인선로(40) 내로부터 통기 구멍(20)을 통하여 외부로 유출되는 가스 유량을 조정하도록, 예를 들면 구멍 직경 등을 적절히 설계·선택할 수 있다. 즉, 외기가 인선로(40) 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유리 모재(31)를 인선로(40) 내로 삽입하는 것에 따른 노내 압력 변화를 억제하도록 통기 구멍(20)의 사이즈, 형상, 위치 등을 설계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음에, 도 3의 (C)를 참조하면, 제 1 링(16), 카본 링(17), 제 2 링(18)은 노심관 연장 부재(44)의 상단부에 탑재된 그대로, 슬리브 부재(15)에 덮인 유리 모재(31)는 서서히 인선로(40) 내로 강하한다. 이 때 슬리브 부재(15)의 외주에 카본 링(17)의 내연이 미끄럼 운동하며 강하하기 때문에, 시일 기능을 계속 유지할 수 있다. 또한, 통기 구멍(20)은 서서히 폐색되게 되며, 인선로(40) 내의 압력 변동이 완화된 시점에서, 가스 유출의 작용을 종료시키고, 인선로(40) 내에 수용된다. 즉, 이 시점에서, 노내와 외부의 도통이 차단된다.
또한, 제 1 시일 부재(46)는 유리 모재(31)의 직동부(37)의 외주에 접촉하고 있던 상태에서, 테이퍼부(35)에 대향하게 되기 때문에, 제 1 시일부의 시일 기능은 없어지고, 인선로(40) 내는 제 2 시일부에 의해 시일되게 된다.
도 3의 (D)를 참조하면, 광섬유의 인선이 진행되어, 유리 모재(31)는 더욱 하강하고, 인선을 종료한다. 또한, 유리 모재(31)의 용융이 어느 위치까지 왔을 때에 인선 종료로 할지는, 임의로 설정할 수 있다. 슬리브 부재(15) 등의 재질에 따라서는, 노심관(41)에 근접 또는 삽입되는 상태가 되면, 이들 부재가 용융 손상될 우려가 있기 때문에, 재이용이 어려워질 가능성이 있지만, 카본 등의 내열 재질로 하면, 용융 손상을 방지하는 것은 가능하다.
이상으로 본 실시형태의 설명을 마치지만, 본 발명의 태양은 상기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그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이 가능하다.
10: 광섬유 인선 장치 11: 제 1 캡
15: 슬리브 부재 16: 제 1 링
17: 카본 링 18: 제 2 링
19: 핀 20: 통기 구멍
31: 유리 모재 32: 더미봉
33: 핀 구멍 35: 테이퍼부
37: 직동부 40: 인선로
41: 노심관 42: 히터
43: 노 하우징 44: 노심관 연장 부재
45: 개구 46: 제 1 시일 부재

Claims (4)

  1. 한쪽의 단이 더미봉에 연결된 광섬유용의 유리 모재를, 상기 유리 모재측으로부터 인선로에 마련된 개구에 통하게 하고, 상기 개구 근방에 마련된 시일 기구에 의해 시일하면서 상기 인선로 내에 매달아 강하시켜서 인선하는 광섬유 인선 방법에 있어서,
    인선 개시 시는, 상기 시일 기구의 제 1 시일부에 의해 상기 광섬유용 유리 모재의 외주면에서 시일하고, 상기 유리 모재의 테이퍼부가 상기 제 1 시일부를 통과하기 시작하여, 상기 제 1 시일부에 의한 시일이 효과가 없어지게 되기 이전에, 상기 제 1 시일부의 상방에 제 2 시일부를 배설하고, 상기 제 2 시일부의 배설 직후는, 상기 인선로의 노내와 외부를 도통시켜 노내 압력의 변동을 억제하고, 또한 상기 유리 모재가 강하했을 때에는 상기 도통을 차단하는
    광섬유 인선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더미봉과 상기 유리 모재의 외주의 일부를 덮는 슬리브 부재를 마련하고, 상기 슬리브 부재에 마련된 통기 구멍에 의해, 상기 인선로의 노내와 외부를 도통시켜, 상기 통기 구멍을 폐색하는 것에 의해, 상기 도통을 차단하는
    광섬유 인선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 부재는 상기 더미봉에 고정되고,
    상기 제 2 시일부는 상기 슬리브 부재에 마련된 링형상 부재에 의해 상기 슬리브 부재와의 사이를 시일하는 것이며,
    상기 제 2 시일부를 배설한 후에는, 상기 링형상 부재가 상기 슬리브 부재의 외주면을 미끄럼 운동하는 것에 의해 상기 개구를 시일하는
    광섬유 인선 방법.
  4. 한쪽이 더미봉에 연결된 광섬유용의 유리 모재를 인선하는 광섬유 인선 장치에 있어서,
    상기 더미봉과 상기 유리 모재의 외주의 일부를 덮는 슬리브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슬리브 부재에는, 상기 인선로의 노내와 외부를 도통시키는 통기 구멍이 마련되어 있는
    광섬유 인선 장치.
KR1020197006672A 2016-09-07 2017-09-04 광섬유 인선 방법 및 인선 장치 KR10239345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6174401 2016-09-07
JPJP-P-2016-174401 2016-09-07
PCT/JP2017/031834 WO2018047778A1 (ja) 2016-09-07 2017-09-04 光ファイバ線引方法および線引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3183A true KR20190053183A (ko) 2019-05-17
KR102393456B1 KR102393456B1 (ko) 2022-05-02

Family

ID=615620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06672A KR102393456B1 (ko) 2016-09-07 2017-09-04 광섬유 인선 방법 및 인선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312651B2 (ko)
JP (1) JP6973397B2 (ko)
KR (1) KR102393456B1 (ko)
CN (1) CN109689583B (ko)
RU (1) RU2740642C2 (ko)
WO (1) WO201804777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RU2745625C2 (ru) * 2016-11-30 2021-03-29 Сумитомо Электрик Индастриз, Лтд. Уплотните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ечи вытягивания оптического волокна и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оптического волокна
CN113336434A (zh) * 2021-05-20 2021-09-03 威海威信光纤科技有限公司 一种自动调节密封装置尺寸的光纤拉丝炉
CN113415988B (zh) * 2021-08-23 2021-11-16 南通裕荣电子商务有限公司 一种将光纤用玻璃母材加热熔融的拉丝炉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230978A (ja) * 2010-04-30 2011-11-17 Fujikura Ltd 光ファイバ素線の製造装置及び製造方法
CN103304135A (zh) * 2013-07-05 2013-09-18 江苏法尔胜光子有限公司 一种大直径光纤预制棒的光纤拉丝方法
JP2014162671A (ja) 2013-02-25 2014-09-08 Sumitomo Electric Ind Ltd 光ファイバ線引方法および光ファイバ線引装置
WO2015050103A1 (ja) * 2013-10-01 2015-04-09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光ファイバの製造方法
JP2016028989A (ja) * 2014-07-25 2016-03-03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光ファイバの製造方法及び製造装置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697921B2 (ja) * 1989-10-12 1998-01-19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光ファイバの製造方法
JPH06199537A (ja) * 1993-01-05 1994-07-19 Sumitomo Electric Ind Ltd 光ファイバ線引炉
KR0165211B1 (ko) * 1995-09-29 1998-12-15 김광호 광섬유의 인출 장치
JP5023016B2 (ja) 2007-08-10 2012-09-12 信越化学工業株式会社 光ファイバ製造装置および線引き炉のシール方法
CN201890844U (zh) * 2010-07-30 2011-07-06 江苏亨通光纤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直径突变光纤预制棒拉丝的拉丝炉的气封装置
JP5923997B2 (ja) 2012-01-26 2016-05-25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光ファイバ用線引炉および光ファイバ線引方法
CN203683379U (zh) * 2014-02-08 2014-07-02 江苏通鼎光电股份有限公司 一种新型光纤拉丝炉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230978A (ja) * 2010-04-30 2011-11-17 Fujikura Ltd 光ファイバ素線の製造装置及び製造方法
JP2014162671A (ja) 2013-02-25 2014-09-08 Sumitomo Electric Ind Ltd 光ファイバ線引方法および光ファイバ線引装置
CN103304135A (zh) * 2013-07-05 2013-09-18 江苏法尔胜光子有限公司 一种大直径光纤预制棒的光纤拉丝方法
WO2015050103A1 (ja) * 2013-10-01 2015-04-09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光ファイバの製造方法
JP2016028989A (ja) * 2014-07-25 2016-03-03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光ファイバの製造方法及び製造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312651B2 (en) 2022-04-26
RU2019110139A (ru) 2020-10-08
WO2018047778A1 (ja) 2018-03-15
RU2740642C2 (ru) 2021-01-19
JP6973397B2 (ja) 2021-11-24
CN109689583B (zh) 2022-07-19
US20190210910A1 (en) 2019-07-11
JPWO2018047778A1 (ja) 2019-07-25
CN109689583A (zh) 2019-04-26
KR102393456B1 (ko) 2022-05-02
RU2019110139A3 (ko) 2020-1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673094C2 (ru) Способ вытяжки оптического волокна (варианты)
JP5023016B2 (ja) 光ファイバ製造装置および線引き炉のシール方法
KR20190053183A (ko) 광섬유 인선 방법 및 인선 장치
KR102594267B1 (ko) 광 파이버의 제조 방법
JP2015074600A (ja) 光ファイバの製造方法
KR102429617B1 (ko) 광섬유용 와이어 드로잉 노의 시일 구조, 광섬유의 제조 방법
KR101986422B1 (ko) 드로잉 노의 밀봉 장치
JP6476628B2 (ja) 光ファイバの製造方法及び製造装置
WO2004113243A1 (ja) 光ファイバ線引き装置およびガスシール機構
JP6513147B2 (ja) 製造方法及びキャップ
JP6421569B2 (ja) 光ファイバ製造方法及び光ファイバ製造装置
JP6638432B2 (ja) 光ファイバの製造方法および製造装置
KR20200135357A (ko) 노내 가스 공급 장치, 광 파이버 제조 장치, 광 파이버의 제조 방법
JP2016094305A (ja) シール部材およびシール構造
JP2012148923A (ja) 光ファイバ用線引炉のシール方法及び光ファイバの線引炉
WO2020105691A1 (ja) 光ファイバ用線引炉のシール構造、光ファイバの製造方法
JP2014001114A (ja) ガラスロッドの延伸方法およびガラスロッドの延伸装置
JP2019019034A (ja) 光ファイバ用線引炉のシール構造、光ファイバ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