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51063A - 엘리베이터 장치, 및 저울 장치의 교정 방법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 장치, 및 저울 장치의 교정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51063A
KR20190051063A KR1020197011816A KR20197011816A KR20190051063A KR 20190051063 A KR20190051063 A KR 20190051063A KR 1020197011816 A KR1020197011816 A KR 1020197011816A KR 20197011816 A KR20197011816 A KR 20197011816A KR 20190051063 A KR20190051063 A KR 201900510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lance
car
value
weight
elev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118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리키오 곤도
히로우미 구로카와
요시타카 가리야
도시유키 바바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900510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5106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34Details, e.g. call counting devices, data transmission from car to control system, devices giving information to the control system
    • B66B1/3476Load weighing or car passenger count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2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 B66B5/14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in case of excessive load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GWEIGHING
    • G01G19/00Weighing apparatus or method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groups
    • G01G19/14Weighing apparatus or method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groups for weighing suspended loa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aintenance And Inspection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 Elevator Control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장치는, 권상기와, 쉬브와, 로프와, 엘리베이터 칸과, 균형추와, 로프의 장력 부하에 기초하여 엘리베이터 칸 중량을 검출하여 저울값으로서 출력하는 저울 장치와, 저울 장치로부터 출력되는 저울값에 의해, 엘리베이터 칸의 적재 상태를 검지하는 컨트롤러를 구비하고, 저울 장치는, 엘리베이터 칸이 무적재 상태에 있어서의 저울값을 기준으로 하여, 무적재 상태보다도 엘리베이터 칸 중량이 증가하는 경우와 저하하는 경우의 양방에 있어서, 적재 부하율의 변화에 대해서 저울값의 출력이 선형 특성을 가지는 구조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 장치, 및 저울 장치의 교정 방법
본 발명은 교정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는 저울 장치를 구비한 엘리베이터 장치, 및 저울 장치의 교정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엘리베이터 장치는, 엘리베이터 칸 내의 적재 상태를 검출하는 저울 장치가 마련되어 있다. 저울 장치의 구성으로서는, 엘리베이터 칸 내 중량에 따라서 변화하는 로프 장력에 기초하여, 적재 상태를 검출하는 방식이 있다. 또한, 저울 장치의 중요한 기능으로서, 엘리베이터의 서비스 운전 중에 있어서, 적재 상태를 검지하여, 과탑승에 의해서 엘리베이터 칸이 하강해 버리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들 수 있다.
이와 같이, 과적재에 기인하여 엘리베이터 칸이 하강해 버리는 사상을 확실히 방지하기 위해서, 저울 장치는, 정밀도를 확보할 수 있도록 교정을 할 필요가 있다. 이와 같은 교정 방법으로서는, 피트와 엘리베이터 칸을 체인으로 연결한 상태에서, 엘리베이터 칸을 상방향으로 끌어올려, 연결한 체인에 걸리는 부하 상태의 변화에 기초하여 저울 장치를 교정하는 종래 기술이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
일본 특개 2007-168938호 공보
특허문헌 1에 따른 종래 기술은, 연결 체인을 연결하는 작업, 및 조정용 로드 셀의 준비가 필요하다. 이 때문에, 교정 작업에 시간이 걸리는 것이 문제가 된다. 또한, 특허문헌 1에 따른 종래 기술은, 연결 체인으로 끌어올려지는 부하에 견딜 수 있는 피트 바닥면의 추가 구조가 필요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 저울 장치의 교정 작업을 종래보다도 용이화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 장치, 및 저울 장치의 교정 방법을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장치는, 권상기와, 권상기에 의해 구동시키는 쉬브와, 쉬브에 감겨진 로프와, 로프 중, 쉬브에 감겨진 부분을 경계로 하여 한쪽의 로프 부분에 현수된 엘리베이터 칸과, 로프 중, 쉬브에 감겨진 부분을 경계로 하여 엘리베이터 칸이 현수된 한쪽과 반대쪽의 로프 부분에 현수된 균형추와, 로프의 장력 부하에 기초하여 엘리베이터 칸 중량을 검출하여 저울값으로서 출력하는 저울 장치와, 저울 장치로부터 출력되는 저울값에 의해, 엘리베이터 칸의 적재 상태를 검지하는 컨트롤러를 구비하고, 저울 장치는, 엘리베이터 칸이 무적재 상태에 있어서의 저울값을 기준으로 하여, 무적재 상태보다도 엘리베이터 칸 중량이 증가하는 경우와 저하하는 경우의 양방에 있어서, 적재 부하율의 변화에 대해서 저울값의 출력이 선형 특성을 가지는 구조를 구비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장치에 있어서 실행되는 저울 장치의 교정 방법은, 컨트롤러에 있어서, 교정 지령에 따라서, 무적재 상태의 엘리베이터 칸을 정지 유지하도록 제어한 후, 정지 유지 상태에 있어서의 권상기 토크의 출력값을 제1 적재 부하율에 상당하는 값으로 하고, 제1 적재 부하율에 대응하는 제1 저울값을 저울 장치로부터 취득함으로써 제1 적재 부하율과 제1 저울값으로 구성되는 제1 교정 데이터를 생성하는 제1 스텝과, 엘리베이터 칸이 기계적으로 하강할 수 없는 제1 상태로 하고, 정부하(定負荷)의 권상기 토크를 미리 결정된 시간 가한 후에 제1 상태가 유지되는 경우에, 정부하의 권상기 토크를 제2 적재 부하율에 상당하는 값으로 하고, 제2 적재 부하율에 대응하는 제2 저울값을 저울 장치로부터 취득함으로써 제2 적재 부하율과 제2 저울값으로 구성되는 제2 교정 데이터를 생성하는 제2 스텝과, 제1 교정 데이터 및 제1 교정 데이터로부터 선형 특성을 교정하는 제3 스텝을 가지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로프의 장력 부하에 기초하여 엘리베이터 칸 중량을 검출하고, 로프 장력이 강해지는 경우와, 로프 장력이 약해지는 경우 양방의 상태를, 같은 교정값을 이용하여 검출할 수 있는 저울 장치를 구비하고 있다. 추가로, 이와 같은 교정을 구비한 저울 장치를 이용함으로써, 예를 들면, 엘리베이터 칸이 하강하지 않는 상태에서 권상기를 엘리베이터 칸 하강 측으로 회전 구동시켜서, 로프 장력을 저하시키고, 그 때의 권상기의 토크 값에 기초하여 저울 장치를 교정할 수 있다. 이 결과, 저울 장치의 교정 작업을 종래보다도 용이화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 장치, 및 저울 장치의 교정 방법을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따른 엘리베이터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따른 엘리베이터 장치에 있어서, 양하중에서의 저울 장치 교정시의 저울값과 적재 부하율의 관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따른 저울 장치의 구성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 따른 엘리베이터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 따른 엘리베이터 장치에 있어서, 권상기 토크의 출력값에 기초하여 저울 장치를 교정하는 구체적인 절차를 나타낸 플로차트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 따른 엘리베이터 장치에 있어서, 음하중에서의 저울 장치 교정시의 저울값과 적재 부하율의 관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a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 따른 권상기 토크 출력값의 교정 원리를 나타낸 설명도로서, 속도 패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b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 따른 권상기 토크 출력값의 교정 원리를 나타낸 설명도로서, 도 7a의 속도 패턴에 대응하는 권상기 토크의 시간 변화 패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c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 따른 권상기 토크 출력값의 교정 원리를 나타낸 설명도로서, 토크 출력과 구동 부하의 관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 따른 권상기 토크 출력값의 교정 절차를 나타낸 플로차트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3에 따른 엘리베이터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3에 따른 비상 멈춤 검사기로 실행되는 비상 멈춤 검사의 일련 처리를 나타낸 플로차트이다.
이하,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 장치, 및 저울 장치의 교정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실시 형태 1.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따른 엘리베이터 장치의 구성도이다. 엘리베이터 칸(1)과 균형추(2)를 매다는 로프(3)는, 구동 쉬브(4)에 감겨져 있다.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20)는 제어기(21)와 저울값 처리기(22)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제어기(21)가 권상기(5)를 제어함으로써, 권상기(5)와 동기하는 구동 쉬브(4)를 회전시킨다. 이 결과, 제어기(21)는, 로프(3)에 연결된 엘리베이터 칸(1)과 균형추(2)를, 승강로의 내부에서 상하 주행시킨다.
조속기(6)는 균형추(2)에 연동하여 동작하는 엘리베이터 칸(1)의 속도가, 일정 이상으로 된 것을 검지했을 경우에는, 비상 멈춤 장치(7)를 작동시키는 지령 신호를 출력한다. 비상 멈춤 장치(7)는, 조속기(6)로부터의 지령 신호에 따라, 레일(8)을 파지하여 엘리베이터 칸(1)의 하강을 기계적으로 저지한다.
저울 장치(9)는 엘리베이터 칸 내의 적재 중량을 검출하는 장치이다. 그리고, 저울 장치(9)는, 상술한 바와 같이, 검출 정밀도를 유지하기 위해서, 실하중과 대응시켜 출력값을 교정할 필요가 있다. 본 실시 형태 1에서는,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20) 내에, 저울값 처리기(22)가 마련되어 있다. 저울값 처리기(22)는, 교정 지령값을 외부로부터 입력함으로써, 저울 장치(9)를 교정한다.
권상기 회전 검지기(11)는 권상기(5)의 회전각을 검지하는 신호를 출력하는 센서이다. 검지된 신호는,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20) 내의 제어기(21)에 의해, 엘리베이터의 제어에 이용된다.
다음으로, 본 실시 형태 1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에 있어서의 저울 장치(9)와, 그 교정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따른 엘리베이터 장치에 있어서, 양(正)하중에서의 저울 장치 교정시의 저울값과 적재 부하율의 관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여기서, 적재 부하율이란, 엘리베이터 칸에 아무것도 적재되지 않은 상태를 0%, 정격 하중의 중량물이 엘리베이터 칸에 올라가 있는 상태를 100%로 한 값이다. 본 실시 형태 1에 있어서의 저울 장치(9)는, 적재 부하율의 변화에 대해서 저울값의 출력이 선형의 관계, 즉, 양자가 비례하는 관계를 구비하고 있다.
그 때문에, 엘리베이터 칸에 아무것도 적재되지 않은 상태(즉 0%의 적재 부하율에 상당하는 상태)와, 교정용의 저울추를 적재한 상태(예를 들면, 10%의 적재 부하율에 상당하는 상태)의 2 상태에 있어서의 저울값이 있으면, 양의 적재 부하율만이 아니라, 음의 적재 부하율도 정밀도 좋게 검출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관계를 이용함으로써, 보다 구체적으로는, 로프 느슨해짐을 판정하는 부하율을 기준으로서 마련해 둠으로써, 저울값의 측정 결과로부터 로프 느슨해짐 상태를 정확하게 검출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따른 저울 장치(9)의 구성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실시 형태 1에 있어서의 저울 장치(9)는 로프(3)와 엘리베이터 칸(1)의 사이에 마련되어 있고, 변위 검출기(91), 선형 압축 스프링(92), 로드(rod)(93), 고정판(94)을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엘리베이터 칸의 적재 중량이 증가하면, 선형 압축 스프링(92)이 압축된다. 이 압축의 변화를 변위 검출기(91)로 검출함으로써, 로프와 관련되는 부하의 변화를 검지할 수 있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로프(3)가 3개인 경우에는, 3개의 변위 검출기(91)로 검지한 각 로프(3)의 부하 변화의 총계에 의해, 적재 상태의 변화를 검지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은 구성을 구비한 저울 장치는, 스프링이 선형으로 변화하는 범위내에서는, 엘리베이터 칸이 아무것도 적재되지 않은 상태로부터, 추가로 로프가 느슨해진 상태를 판정할 수 있다. 그 때문에, 본 실시 형태 1에 있어서의 저울 장치는, 고정밀도로 로프 장력의 저하 방향을 검출할 수 있다. 바꿔말하면, 본 실시 형태 1에 있어서의 저울 장치는, 로프 장력이 느슨해져 있는 상태를 검지하는 기능에 응용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실시 형태 1에 따른 엘리베이터 장치에 의하면, 로프의 장력 부하에 기초하여 엘리베이터 칸 중량을 검출하고, 무적재 상태보다도 엘리베이터 칸 중량이 증가하는 경우와 저하하는 경우의 양방의 상태에 대해서, 같은 교정값을 이용할 수 있는 구성을 구비하고 있다. 이 결과, 엘리베이터 칸 내에 저울추를 올려서 교정한 저울 장치를 이용하여, 로프 장력의 느슨해짐을 고정밀도로 검지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실시 형태 1에 따른 엘리베이터 장치는, 예를 들면, 엘리베이터 칸이 하강하지 않는 상태에서 권상기를 엘리베이터 칸 하강 측으로 회전 구동시킴으로써, 로프 장력을 저하시키고, 그 때의 권상기의 토크 값에 기초하여 저울 장치를 교정할 수 있다. 그 결과, 종래 기술에 비해, 연결 체인을 연결하는 작업이나 조정용 로드 셀의 준비가 불필요하게 되어, 효율적으로 저울 장치를 교정할 수 있다.
또한, 체인 부하에 견딜 수 있는 피트 바닥면의 구조 등이 불필요하게 되어, 일반적인 엘리베이터 구성 그대로, 저울 장치를 간단하게, 또한, 고정밀도로 교정할 수 있다.
추가로, 실시 형태 1에 따른 엘리베이터 장치는, 로프 장력이 약해진 상태에 기초하여 저울 장치를 직접 교정하는 구성을 구비하고 있다. 이 때문에, 로프 장력의 저하 방향에 대해서, 보다 높은 정밀도 보증을 할 수 있어, 예를 들면, 이 교정 원리를, 로프 장력의 느슨해짐 검지 기능에 이용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엘리베이터 칸 기기나 중량 조정용의 매다는 로프 등이 탈락 함으로써 엘리베이터 칸에 걸리는 하중이 저하된 경우를, 저울 장치의 출력이 0% load 미만으로 저하한 것에 의해서 검출할 수 있다.
실시 형태 2.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 따른 엘리베이터 장치의 구성도이다. 앞의 도 1에 나타낸 실시 형태 1의 구성에서는,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20)의 저울 교정 지령을 외부로부터 입력하고 있었다. 이것에 대해서, 도 4에 나타낸 본 실시 형태 4의 구성에서는, 제어기(21)로부터 저울값 처리기(22)에 저울 교정 지령을 입력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서, 본 실시 형태 2에 따른 엘리베이터 장치는, 제어기(21)의 지령에 기초하여 저울값 처리기(22)를 직접 교정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실시 형태 2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에 있어서의 저울 장치(9)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 2에 있어서의 저울 장치(9)도, 앞의 실시 형태 1과 마찬가지로, 적재 부하율의 변화에 대해서 저울값의 출력이 선형의 관계, 즉, 양자가 비례하는 관계를 구비하고 있다. 그 때문에, 2개의 적재 상태에 있어서의 저울값이 있으면, 저울 장치(9)의 출력을 교정할 수 있다.
또한, 특히, 본 실시 형태 2에 의하면, 제어기(21)로부터 저울값 처리기(22)에 권상기 토크의 출력값을 직접 입력할 수 있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 때문에, 저울추를 이용하여 실제의 엘리베이터 칸 적재 중량을 변화시키는 일 없이, 권상기 토크의 출력값에 기초하여 저울 장치(9)를 교정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 따른 엘리베이터 장치에 있어서, 권상기 토크의 출력값에 기초하여 저울 장치(9)를 교정하는 구체적인 절차를 나타낸 플로차트이다. 우선적으로, 엘리베이터 칸(1) 내가 무인 상태인 것이 확인된 후에, 교정 작업이 개시된다.
다음으로, 스텝 S501에 있어서, 제어기(21)는, 권상기 유지 제어를 실행한다. 즉, 제어기(21)는, 엘리베이터 칸(1)이 정지 유지되도록, 권상기(5)를 제어한다. 이때의 권상기 토크의 출력값은, 0% load 상태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 칸(1)과 저울추(2)의 중량차에 상당한다.
다음으로, 스텝 S502에 있어서, 제어기(21)는, 0% Load 상태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 칸(1)과 저울추(2)의 중량차에 상당하는 권상기 토크의 출력값과, 이 상태에서의 저울 장치(9)의 출력값인 저울값을, 교정 데이터 1로서 저울값 처리기(22)에 보존한다.
다음으로, 스텝 S503에 있어서, 제어기(21)는, 엘리베이터 칸(1)에 비상 멈춤 장치를 작동시킨다. 또한, 스텝 S504에 있어서, 제어기(21)는, 비상 멈춤 장치를 동작시킨 상태에서, 엘리베이터 칸(1)이 하강하는 방향으로 정부하의 권상기 토크를 출력한다.
다음으로, 스텝 S505에 있어서, 제어기(21)는 정부하의 권상기 토크를 출력하고 있는 상태가 소정 시간 유지되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그리고, 제어기(21)는, 정부하의 권상기 토크를 출력하고 있는 상태가 소정 시간 유지되고 있는 경우에는, 엘리베이터 칸이 하강하고 있지 않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고 판단하고, 스텝 S506으로 진행된다.
또한, 제어기(21)는, 스텝 S505에 있어서, 추가로, 권상기 회전 검출기에 의해 권상기(5)가 회전하고 있지 않는 것을 함께 확인함으로써, 보다 확실히 엘리베이터 칸이 하강하고 있지 않은 것을 보증할 수 있다.
엘리베이터 칸(1)이 하강하고 있지 않은 상태에서는, 구동 쉬브(4)로부터 엘리베이터 칸(1)까지를 연결하는 로프(3)의 장력이, 0% Load의 상태보다도 저하되어 있다. 따라서, 이 상태에서는, 장력의 저하량에 상당하는 중량을 비상 멈춤 장치가 부담하고 있게 된다.
그래서, 제어기(21)는, 엘리베이터 칸이 하강하고 있지 않은 상태를 확인할 수 있었을 경우에는, 스텝 S506에 있어서, 그 때의 상태에 있어서의 권상기 토크의 출력값과, 저울 장치(9)의 출력값인 저울값을, 교정 데이터 2로서 저울값 처리기(22)에 보존한다.
한편, 스텝 S505의 판단에 있어서, 권상기가 회전하고 있었을 경우, 혹은 토크 출력이 일정값으로 안정되지 않았을 경우에는, 스텝 S508로 진행되어, 제어기(21)는, 본 처리를 에러라고 판단하고, 일련 처리를 종료한다.
스텝 S506에 있어서 교정 데이터 2의 학습이 완료된 후는, 스텝 S507로 진행되어, 저울값 처리기(22)는, 저울값의 교정 처리를 실시한다. 저울값 처리기(22)는, 이 교정 처리를 실행하는 데 있어서, 교정 데이터 1과 교정 데이터 2를 이용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 따른 엘리베이터 장치에 있어서, 음하중에서의 저울 장치 교정시의 저울값과 적재 부하율의 관계를 나타낸 도면으로, 교정 데이터 1과 교정 데이터 2의 2점의 관계를 나타내고 있다. 이 도 6의 경우에서는, 예를 들면, 교정 데이터 2에서의 권상기 토크의 출력값이 적재 중량에서 -10%에 상당하는 것으로 하고 있다.
저울값 처리기(22)는,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교정 데이터 1과 교정 데이터 2를 선형 보완함으로써, 교정 처리를 실시한다. 이 처리에 의해, 저울값 처리기(22)는, 「적재 중량 변화에 대한 저울값의 증감율」 및 「저울값의 원점(적재 중량이 없는 상태에 대응하는 저울값)」을 교정 파라미터로서 취득할 수 있다.
저울값 처리기(22)는, 이들 파라미터가 있으면, 저울값의 원점을 기준으로 하여, 그 값으로부터의 저울값 출력 변화에 대응하는 적재 중량 변화를 산출함으로써, 적재 중량 상태를 정확하게 검지할 수 있다. 이 스텝 S507의 처리로, 일련 처리가 종료한다.
이상의 처리에서는, 통상의 저울 장치로 이용하지 않는 0% Load 미만의 적재 중량(이하, 이 상태를 마이너스값이라 칭함)에 대응하는 저울값을 이용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본 실시 형태 1에 따른 엘리베이터 장치는, 저울추(2)를 적재하는 일 없이, 적재 중량에 상당하는 외부 부하 변동을 저울 장치(9)에 준 상태를 만들어 내고, 교정 데이터를 취득 이용함으로써, 저울 장치(9)의 교정을 실시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 형태 1에 따른 저울 장치와 같이, 0% laod를 걸치는 양음 양방에 대해서, 로프 장력과 저울값이 선형 특성을 가지고 있는 경우에는, 마이너스값을 이용하는 교정 방법을 채용했을 경우에도, 저울 장치(9)의 정밀도가 저하되는 일 없이, 저울 장치(9)를 고정밀도로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 1에 따른 저울 장치(9)와 같이, 적재 중량의 변화가 로프 장력의 변동과 대응하고 있는 구성에서는, 저울값의 마이너스 부하 출력의 결과를 이용하여, 로프(3)의 장력 저하를 검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마이너스 부하 출력값을 이용하는 경우에 있어서는, 로프 장력의 저하 상태에 대응하는 저울값을 이용하여, 직접적으로 저울 장치(9)를 교정하고 있다. 이 때문에, 본 실시 형태 9에 따른 저울 장치는, 교정시에 있어서의 로프 장력의 저하 상태를 검출하는 장치로서도 활용할 수 있어, 보다 높은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다.
여기서, 저울값의 교정 정밀도를 추가로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교정 원데이터가 되는 권상기의 토크 출력 자체의 정밀도를 향상시키는 대책이 강구된다. 구체적으로는, 주행 중의 권상기 토크의 변화를 물리 현상과 대응시켜 교정함으로써, 정밀도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도 7a ~ 도 7c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 따른 권상기 토크 출력값의 교정 원리를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7a는 속도 패턴을 나타내고 있고, 도 7b는 도 7a의 속도 패턴에 대응하는 권상기 토크의 시간 변화 패턴을 나타내고 있다.
이때의 권상기 토크는, 엘리베이터 칸(1)이 접속된 측에서의 로프(3)의 장력값과, 균형추(2)가 접속된 측에서의 로프(3)의 장력값의 차인, 장력 차분값에 해당한다. 주행 중의 가감속시에 구동 부하가 바뀌기 때문에, 도 7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권상기 토크도 구동 부하의 변동에 대응하여, T1, T2, T3으로 변동한다.
도 7c는 토크 출력과 구동 부하의 관계를 나타내고 있다. 이론적으로는, 토크 출력과 구동 부하는, 도 7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선형 특성을 가지고 있다. 또한, 도 7c에 있어서, 각 권상기 토크 T1, T2, T3는, 각각 구동 부하 T1', T2', T3'의 크기와 대응하고 있다. 그리고, 각 구동 부하는, 중력가속도를 G로 하여, 이하의 관계로 정할 수 있다.
T1' = (균형추 중량 - 엘리베이터 칸 중량) × G + (균형추 중량 + 엘리베이터 칸 중량) × 가속도
T2' = (균형추 중량 - 엘리베이터 칸 중량) × G
T3' = (균형추 중량 - 엘리베이터 칸 중량) × G - (균형추 중량 + 엘리베이터 칸 중량) × 가속도
이상의 관계로부터, 주행 중의 구동 부하를 특정할 수 있기 때문에, 그 크기에 맞춘 선형 특성이 되도록, 토크 출력을 교정함으로써, 고정밀화를 도모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 따른 권상기 토크 출력값의 교정 절차를 나타낸 플로차트이다. 구체적으로는, 이 도 8은, 토크 출력값 T1, T2, T3을 취득하여, 토크 출력값을 교정하는 절차를 나타내고 있다.
우선적으로, 엘리베이터 칸(1) 내가 무인 상태인 것이 확인된 후에, 스텝 S801에 있어서, 제어기(21)는 엘리베이터 칸(1)의 주행을 개시한다. 그 후의 절차는, 도 7a의 주행 패턴과 대응하고 있다.
우선, 스텝 S802, 스텝 S803에 있어서, 제어기(21)는, 주행 개시 후의 일정 가속 중에 있어서, 토크 출력 T1를 취득한다. 그 후, 마찬가지로, 제어기(21)는, 스텝 S804, 스텝 S805에 있어서, 일정속 주행 중에 토크 출력 T2를 취득하고, 스텝 S806, 스텝 S807에 있어서, 일정 가속 중에 토크 출력 T3를 취득한다.
그리고, 스텝 S808에 있어서, 제어기(21)는, 도 7c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토크 출력값과 구동 부하의 대응 관계를 이용함으로써, 권상기 토크 출력을 교정하여, 일련 처리를 완료한다.
이상과 같이, 실시 형태 2에 따른 엘리베이터 장치에 의하면, 토크 출력값에 기초하여 저울 장치의 출력값을 교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비상 멈춤을 건 상태에서 권상기에 의해 로프 장력을 저하시키고, 그 때의 권상기 토크 출력에 기초하여 저울 장치를 교정할 수 있는 교정을 구비하고 있다. 이 결과, 엘리베이터 칸 내에 저울추를 올리지 않고 저울 장치를 구성할 수 있다. 특히, 로프 장력의 저하를 직접 교정할 수 있기 때문에, 로프 장력의 저하를 검출하는 기능에 대해서도, 높은 정밀도 보증이 가능하게 된다.
실시 형태 3.
상술한 대로,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장치의 구성에서는, 0% Load의 적재 중량에서의 상태보다도, 로프 장력이 저하된 것을 정량적으로 검출할 수 있다. 그래서, 본 실시 형태 3에 있어서는, 특히, 이 로프 장력의 저하 검출 기능을, 비상 멈춤 장치의 작동 검사에 응용하는 기술에 대해 설명한다.
비상 멈춤 장치는 엘리베이터에 설치가 의무로 되어 있는 것이며, 로프(3)에 의해 엘리베이터 칸(1)을 현가(懸架)할 수 없어, 엘리베이터 칸(1)이 과대속으로 하강했을 경우에, 엘리베이터 칸(1)을 제동 유지하는 안전 장치이다. 따라서, 비상 멈춤 장치는 안전 장치로서 엘리베이터에 적절히 장착되어, 확실히 기능을 완수하는 것을 보증하기 위해서, 동작 기능의 정기 검사가 필요하다.
정기 검사에서는, 비상 멈춤 장치가 걸린 상태에서, 엘리베이터 칸(1)이 하강할 수 없는 것을 확인하고 있다. 구체적인 방법으로서, 비상 멈춤 장치가 걸린 상태에서, 엘리베이터 칸(1)이 하강하는 회전 방향으로의 권상기 토크를 권상기(5)로부터 출력한다. 그리고, 이 출력 상태에 있어서, 「권상기(5)의 쉬브 홈을 로프(3)가 미끄러지는 상태」 또는 「엘리베이터 칸(1)을 현가하는 로프(3)가 느슨해지는 상태」를 확인하고, 비상 멈춤이 작동하고 있는 것을 확인하고 있다.
그렇지만, 「쉬브 홈을 로프가 미끄러지는 상태」로 하려면, 상당히 높은 토크를 출력할 수 있는 대형의 권상기가 필요하다. 이것에 대해서, 본 실시 형태 3에 따른 엘리베이터 장치는, 본 발명의 저울 장치(9)를 이용함으로써, 비상 멈춤 장치가 걸린 상태에서 「엘리베이터 칸을 현가하는 로프가 느슨해짐」을 판단할 수 있다. 이 결과, 대형의 권상기를 구비하여 「쉬브 홈을 로프가 미끄러지는 상태」를 확인하는 일 없이, 비상 멈춤 장치의 작동 검사를 실시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3에 따른 엘리베이터 장치의 구성도이다. 이 도 9는, 저울 장치(9)를 이용하여, 「엘리베이터 칸을 현가하는 로프가 느슨해지는 상태」를 판단하고, 비상 멈춤 장치를 검사하는 엘리베이터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고 있다. 도 9의 구성은, 앞의 도 4의 구성과 비교하면, 제어기(21) 내에 비상 멈춤의 검사 절차를 실시하는 비상 멈춤 검사기(21a)를 구비하는 점만 차이가 있다. 그래서, 이 차이점을 중심으로, 이하에 설명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3에 따른 비상 멈춤 검사기(21a)로 실행되는 비상 멈춤 검사의 일련 처리를 나타낸 플로차트이다. 이 도 10을 따라서, 도 9의 구성에 의해 비상 멈춤 장치의 검사를 행하는 절차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우선적으로, 스텝 S1001에 있어서, 비상 멈춤 검사기(21a)는 비상 멈춤을 작동시킨다. 다음으로, 스텝 S1002에 있어서, 비상 멈춤 검사기(21a)는 엘리베이터 칸(1)의 하강 방향으로 소정의 권상기 토크를 출력시킨다.
그 후, 스텝 S1003에 있어서, 비상 멈춤 검사기(21a)는 저울값이 제1 임계값보다도 낮은 것을 확인한다. 여기에서는, 비상 멈춤이 작동하여 엘리베이터 칸(1)을 위로 들어 올리고 있는 상태를 확인할 필요가 있다. 이 때문에, 저울값은 적어도 0% Load 상태 미만으로 되어 있는 것이 기준이 된다. 따라서, 제1 임계값은 마이너스값으로 정할 필요가 있다.
또한, 엘리베이터 칸(1)이 비상 멈춤 이외의 요건에 의해 들어 올려지는 효과를 고려하여, 제1 임계값을 더 작게 함으로써, 비상 멈춤의 작동에 의해 확실히 엘리베이터 칸(1)이 들어 올려지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엘리베이터 칸(1)과 레일(8)의 접촉 마찰력을 고려하여, 0% Load 상태보다, 그 마찰력분 낮은 값을 제1 임계값으로서 정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스텝 S1003에서의 판단 결과가 yes이면, 다음으로, 스텝 S1004로 진행되어, 비상 멈춤 검사기(21a)는, 토크 값이 제2 임계값보다도 높은 것을 확인한다. 여기에서는, 권상기(5)의 토크가 로프(3)를 느슨해지게 하는데 충분한 정도로 출력되고 있는 것을 확인하고 있다.
또한, 스텝 S1004에서의 판단 결과가 yes이면, 다음으로, 스텝 S1005로 진행되어, 비상 멈춤 검사기(21a)는, 제2 임계값 이상의 토크를 소정 시간 유지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그리고, 스텝 S1005에서의 판단 결과가 yes이면, 비상 멈춤 검사기(21a)는, 엘리베이터 칸(1)이 하강하고 있지 않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고 판단하고, 검사를 완료한다.
또한, 도 10에는 나타내고 있지 않지만, 비상 멈춤 검사기(21a)는, 추가로, 권상기 회전 검출기에 의해 권상기(5)가 회전하고 있지 않는 것을 함께 확인함으로써, 보다 확실히 엘리베이터 칸(1)이 하강하고 있지 않은 것을 보증할 수 있다.
한편, 스텝 S1003, 스텝 S1004, 스텝 S1005 중 어느 조건에 해당하지 않아, no가 되었을 경우에는, 스텝 S1006으로 진행되어, 비상 멈춤 검사기(21a)는 검사 에러라고 판단하고, 일련의 절차를 종료한다. 이상의 절차에 의해, 비상 멈춤 검사기(21a)는, 확실히 비상 멈춤이 작동하여, 엘리베이터 칸(1)을 상방향으로 지지하고 있는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실시 형태 3에 따른 엘리베이터 장치에 의하면, 비상 멈춤 장치를 작동시킨 상태에서, 권상기의 토크를 엘리베이터 칸이 하강하는 방향으로 발생시켜, 소정 중량보다도 엘리베이터 칸 중량이 저하된 상태를 저울 장치에 의해서 검출했을 경우에, 비상 멈춤 장치의 동작 기능이 정상이라고 판단할 수 있는 구성을 구비하고 있다. 이 결과, 로프 장력의 저하에 대해서 높은 정밀도 보증을 실현할 수 있는 저울 장치를 이용함으로써, 비상 멈춤의 동작 기능을 확실히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도 1, 도 4, 도 9의 구성도에서는, 저울값 처리기(22)를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20)의 내부에 구비하는 구성으로서 설명했다. 그렇지만, 저울값 처리기(22)는, 필요한 정보를 주고받을 수 있다면, 별도의 장치로서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20)의 외부에 구비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마찬가지로, 도 9에 있어서의 비상 멈춤 검사기(21a)도, 필요한 정보를 주고받을 수 있다면, 별도의 장치로서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20)의 외부에 구비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또한, 도 5의 스텝 S503에 있어서의 절차 설명에서는, 엘리베이터 칸이 기계적으로 하강할 수 없는 상태로 하기 위해서, 비상 멈춤 장치를 작동시키는 것으로 했지만, 본 발명은, 이 절차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엘리베이터 칸이 기계적으로 하강할 수 없는 상태로 할 수 있다면, 예를 들면, 엘리베이터 칸을 최하층까지 내려서, 그 이상 하강하지 않게 하는 등의, 다른 수단을 스텝 S503으로 채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도 6에서는, 교정 데이터 2에 관해서, 적재 중량을 -10%로 하여 예시하고 있지만, 0% Load 보다도 작은 마이너스값이면, 다른 값이어도 된다.

Claims (8)

  1. 권상기와,
    상기 권상기에 의해 구동시키는 쉬브와,
    상기 쉬브에 감겨진 로프와,
    상기 로프 중, 상기 쉬브에 감겨진 부분을 경계로 하여 한쪽의 로프 부분에 현수(懸垂)된 엘리베이터 칸과,
    상기 로프 중, 상기 쉬브에 감겨진 부분을 경계로 하여 상기 엘리베이터 칸이 현수된 상기 한쪽과 반대쪽의 로프 부분에 현수된 균형추와,
    상기 로프의 장력 부하에 기초하여 엘리베이터 칸 중량을 검출하여 저울값으로서 출력하는 저울 장치와,
    상기 저울 장치로부터 출력되는 저울값에 의해, 상기 엘리베이터 칸의 적재 상태를 검지하는 컨트롤러를 구비하고,
    상기 저울 장치는, 상기 엘리베이터 칸이 무적재 상태에 있어서의 상기 저울값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무적재 상태보다도 엘리베이터 칸 중량이 증가하는 경우와 저하하는 경우의 양방에 있어서, 적재 부하율의 변화에 대해서 상기 저울값의 출력이 선형 특성을 가지는 구조를 구비하는 엘리베이터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교정 지령에 따라서, 제1 적재 부하율에 대응하는 제1 저울값을 상기 저울 장치로부터 취득함으로써 제1 교정 데이터를 생성하고, 제2 적재 부하율에 대응하는 제2 저울값을 상기 저울 장치로부터 취득함으로써 제2 교정 데이터를 생성하며, 상기 제1 적재 부하율에 대응하는 제1 교정 데이터 및 상기 제2 적재 부하율에 대응하는 제1 교정 데이터로 이루어진 2점의 교정 데이터로부터 상기 선형 특성을 교정하는 엘리베이터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무적재 상태의 상기 엘리베이터 칸을 정지 유지하도록 제어한 후, 상기 정지 유지 상태에 있어서의 권상기 토크의 출력값을 상기 제1 적재 부하율에 상당하는 값으로 하는 것과 함께, 상기 정지 유지 상태에 있어서의 상기 저울값을 취득함으로써, 상기 제1 교정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엘리베이터 칸에 장착된 비상 멈춤 장치를 작동시켜, 상기 엘리베이터 칸이 하강할 수 없는 제1 상태로 하고, 정부하(定負荷)의 권상기 토크를 상기 엘리베이터 칸이 하강하는 방향으로 가한 후에 상기 제1 상태가 유지되는 경우에, 상기 정부하의 권상기 토크를 상기 제2 적재 부하율에 상당하는 값으로 하는 것과 함께, 상기 제1 상태에 있어서의 상기 저울값을 취득함으로써, 상기 제2 교정 데이터를 생성하며,
    상기 제1 교정 데이터 및 상기 제2 교정 데이터로부터 상기 선형 특성을 교정하는 엘리베이터 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비상 멈춤 장치를 작동시킨 상태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 칸 중량을 제1저울값으로서 상기 저울 장치로부터 취득하고,
    상기 비상 멈춤 장치를 작동시키고, 또한, 상기 권상기 토크를 상기 엘리베이터 칸이 하강하는 방향으로 발생시킨 상태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 칸 중량을 제2 저울값으로서 상기 저울 장치로부터 취득하며,
    상기 제2 저울값이 상기 제1 저울값보다도 작은 값으로 되었을 경우에는, 상기 비상 멈춤 장치의 동작 기능이 정상이라고 판단하는 엘리베이터 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제2 저울값을 취득했을 때의 상기 권상기 토크의 값이, 상기 균형추의 중량과 상기 엘리베이터 칸의 중량의 차분보다도 큰 것을 검출했을 경우에, 상기 비상 멈춤 장치의 상기 동작 기능이 정상이라고 판단하는 엘리베이터 장치.
  6. 청구항 4 또는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비상 멈춤 장치를 작동시키고, 또한, 상기 권상기 토크를 상기 엘리베이터 칸이 하강하는 방향으로 발생시킨 시점을 기점으로 하여, 상기 저울 장치로부터 취득한 저울값의 천이 상태를 모니터하고, 미리 결정된 기간에 걸쳐서 상기 저울값이 저하하지 않는 경우에, 상기 비상 멈춤 장치의 상기 동작 기능이 정상이라고 판단하는 엘리베이터 장치.
  7. 청구항 3 내지 청구항 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엘리베이터를 주행시켜, 일정 가속 중에 있어서의 제1 권상기 토크와, 일정속 주행 중에 있어서의 제2의 제1 권상기 토크와, 일정 감속 중에 있어서의 제3의 제1 권상기 토크로 구성되는 3점의 권상기 토크를 취득하고,
    상기 엘리베이터 칸의 중량, 상기 균형추의 중량, 중력가속도, 상기 일정 가속 중의 가속도, 및 상기 일정 감속 중의 가속도에 기초하여, 상기 3점의 권상기 토크의 각각에 대응하는 3점의 구동 부하를 산출하고,
    상기 3점의 구동 부하와 상기 3점의 권상기 토크가 비례 관계를 가지는 것을 이용하여, 상기 3점의 구동 부하의 값에 기초하여 상기 3점의 권상기 토크를 교정 함으로써, 권상기 토크의 교정 처리를 실행하는 엘리베이터 장치.
  8. 청구항 1에 기재된 엘리베이터 장치에 있어서 실행되는 저울 장치의 교정 방법으로서,
    상기 컨트롤러에 있어서, 교정 지령에 따라서,
    상기 무적재 상태의 상기 엘리베이터 칸을 정지 유지하도록 제어한 후, 상기 정지 유지 상태에 있어서의 권상기 토크의 출력값을 제1 적재 부하율에 상당하는 값으로 하고, 상기 제1 적재 부하율에 대응하는 제1 저울값을 상기 저울 장치로부터 취득함으로써 상기 제1 적재 부하율과 상기 제1 저울값으로 구성되는 제1 교정 데이터를 생성하는 제1 스텝과,
    상기 엘리베이터 칸이 기계적으로 하강할 수 없는 제1 상태로 하고, 정부하의 권상기 토크를 미리 결정된 시간 가한 후에 상기 제1 상태가 유지되는 경우에, 상기 정부하의 권상기 토크를 제2 적재 부하율에 상당하는 값으로 하고, 상기 제2 적재 부하율에 대응하는 제2 저울값을 상기 저울 장치로부터 취득함으로써 상기 제2 적재 부하율과 상기 제2 저울값으로 구성되는 제2 교정 데이터를 생성하는 제2 스텝과,
    상기 제1 교정 데이터 및 상기 제1 교정 데이터로부터 상기 선형 특성을 교정하는 제3 스텝을 가지는 저울 장치의 교정 방법.
KR1020197011816A 2016-11-01 2016-11-01 엘리베이터 장치, 및 저울 장치의 교정 방법 KR2019005106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6/082480 WO2018083739A1 (ja) 2016-11-01 2016-11-01 エレベーター装置、および秤装置の校正方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1063A true KR20190051063A (ko) 2019-05-14

Family

ID=620769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11816A KR20190051063A (ko) 2016-11-01 2016-11-01 엘리베이터 장치, 및 저울 장치의 교정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6667659B2 (ko)
KR (1) KR20190051063A (ko)
CN (1) CN109890740B (ko)
DE (1) DE112016007403T5 (ko)
WO (1) WO201808373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974367B1 (en) * 2020-09-25 2024-01-17 KONE Corporation Method of calibraring a load weighing device of an elevator system and elevator system
CN113148799A (zh) * 2021-05-10 2021-07-23 上海爱登堡电梯贵州有限公司 易调节的轿底称重装置电梯
CN113860105B (zh) * 2021-09-27 2023-03-21 上海三菱电梯有限公司 电梯称量装置输出特性的校正方法
CN114655808A (zh) * 2022-05-25 2022-06-24 河南省矿山起重机有限公司 电梯超载保护装置检定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68938A (ja) 2005-12-20 2007-07-05 Nippon Otis Elevator Co エレベータの秤装置の調整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07030A (en) * 1993-03-04 1995-04-18 Otis Elevator Company Recalibrating an elevator loadweighing system
JPH07187542A (ja) * 1993-12-28 1995-07-25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レベータの荷重検出装置
US6286628B1 (en) * 1999-01-28 2001-09-11 Lg Otis Elevator Company Non-linear load detection and compensation for elevators
WO2003074407A1 (fr) * 2002-03-06 2003-09-12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Testeur d'arret d'urgence d'un ascenseur
JP2003335463A (ja) * 2002-05-14 2003-11-25 Hitachi Building Systems Co Ltd エレベータ制御装置
JP2006052040A (ja) * 2004-08-10 2006-02-23 Fujitec Co Ltd エレベータの荷重校正方法及び校正装置
JP4850642B2 (ja) * 2006-09-08 2012-01-11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
JP2008133096A (ja) * 2006-11-28 2008-06-12 Toshiba Elevator Co Ltd エレベータ
JP5005401B2 (ja) * 2007-03-26 2012-08-22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ー制御装置
JP2012136350A (ja) * 2010-12-28 2012-07-19 Toshiba Elevator Co Ltd エレベータの荷重補償値調整装置及びその荷重補償値調整方法
CN103373649B (zh) * 2012-04-27 2015-06-24 上海三菱电梯有限公司 电梯称量值诊断修正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68938A (ja) 2005-12-20 2007-07-05 Nippon Otis Elevator Co エレベータの秤装置の調整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12016007403T5 (de) 2019-07-11
CN109890740B (zh) 2020-11-06
JP6667659B2 (ja) 2020-03-18
WO2018083739A1 (ja) 2018-05-11
CN109890740A (zh) 2019-06-14
JPWO2018083739A1 (ja) 2019-03-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051063A (ko) 엘리베이터 장치, 및 저울 장치의 교정 방법
US20070000735A1 (en) Elevator arrangement
JP4836564B2 (ja) エレベーター用主ロープの滑り量検出方法及び滑り量検出装置
JP5904072B2 (ja) エレベータ装置及びエレベータ制御方法
JP6223586B2 (ja) エレベータロープの伸び検知装置
JP4994633B2 (ja) エレベータの自動点検装置
EP1958911B1 (en) Elevator device
CN105060053A (zh) 一种电梯平衡系数的检测方法
JP5079351B2 (ja) エレベータ装置
JP2007168938A (ja) エレベータの秤装置の調整方法
KR101487623B1 (ko) 엘리베이터의 권상력 측정방법
EP1481933B1 (en) Emergency stop testing method of elevator
RU2618862C2 (ru) Способ контроля параметров движения подъемного устройства
WO2017130271A1 (ja) エレベータの秤装置
JP2011148632A (ja) エレベータの制御システム
CN113165841B (zh) 电梯的张力测定装置
JP6452925B1 (ja) エレベーター装置および非常止め装置の試験方法
JPWO2020026439A1 (ja) 健全性診断装置
JP2006052040A (ja) エレベータの荷重校正方法及び校正装置
KR20160081456A (ko) 소음진동계를 이용한 엘리베이터의 승강카 및 균형추 자중측정방법
WO2019058510A1 (ja) エレベーターの制御装置およびかご位置検出方法
CN109693982B (zh) 电梯称量装置异常判断方法
JP7019046B2 (ja) 健全性診断装置
JP7154438B2 (ja) エレベータの張力測定装置
JP2008013279A (ja) エレベータの地震管制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0101002849;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201124

Effective date: 202107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