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49787A - 생산 지원 시스템, 표시기, 생산 지원 방법, 생산 지원 프로그램 및 기록 매체 - Google Patents

생산 지원 시스템, 표시기, 생산 지원 방법, 생산 지원 프로그램 및 기록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49787A
KR20190049787A KR1020197009382A KR20197009382A KR20190049787A KR 20190049787 A KR20190049787 A KR 20190049787A KR 1020197009382 A KR1020197009382 A KR 1020197009382A KR 20197009382 A KR20197009382 A KR 20197009382A KR 20190049787 A KR20190049787 A KR 201900497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cedure
driver
production support
work
compon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093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요시키 마스다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900497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4978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9/00Programme-control systems
    • G05B19/02Programme-control systems electric
    • G05B19/418Total factory control, i.e. centrally controlling a plurality of machines, e.g. direct or distributed numerical control [DNC], flexible manufacturing systems [FMS], integrated manufacturing systems [IMS] or computer integrated manufacturing [CIM]
    • G05B19/41865Total factory control, i.e. centrally controlling a plurality of machines, e.g. direct or distributed numerical control [DNC], flexible manufacturing systems [FMS], integrated manufacturing systems [IMS] or computer integrated manufacturing [CIM] characterised by job scheduling, process planning, material flow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9/00Programme-control systems
    • G05B19/02Programme-control systems electric
    • G05B19/04Programme control other than numerical control, i.e. in sequence controllers or logic controllers
    • G05B19/10Programme control other than numerical control, i.e. in sequence controllers or logic controllers using selector switches
    • G05B19/102Programme control other than numerical control, i.e. in sequence controllers or logic controllers using selector switches for input of programme steps, i.e. setting up sequence
    • G05B19/104Programme control other than numerical control, i.e. in sequence controllers or logic controllers using selector switches for input of programme steps, i.e. setting up sequence characterised by physical layout of switches; switches co-operating with display; use of switches in a special way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9/00Programme-control systems
    • G05B19/02Programme-control systems electric
    • G05B19/18Numerical control [NC], i.e. automatically operating machines, in particular machine tools, e.g. in a manufacturing environment, so as to execute positioning, movement or co-ordinated operations by means of programme data in numerical form
    • G05B19/416Numerical control [NC], i.e. automatically operating machines, in particular machine tools, e.g. in a manufacturing environment, so as to execute positioning, movement or co-ordinated operations by means of programme data in numerical form characterised by control of velocity,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 G05B19/4166Controlling feed or in-feed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9/00Programme-control systems
    • G05B19/02Programme-control systems electric
    • G05B19/418Total factory control, i.e. centrally controlling a plurality of machines, e.g. direct or distributed numerical control [DNC], flexible manufacturing systems [FMS], integrated manufacturing systems [IMS] or computer integrated manufacturing [CIM]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9/00Programme-control systems
    • G05B19/02Programme-control systems electric
    • G05B19/418Total factory control, i.e. centrally controlling a plurality of machines, e.g. direct or distributed numerical control [DNC], flexible manufacturing systems [FMS], integrated manufacturing systems [IMS] or computer integrated manufacturing [CIM]
    • G05B19/41865Total factory control, i.e. centrally controlling a plurality of machines, e.g. direct or distributed numerical control [DNC], flexible manufacturing systems [FMS], integrated manufacturing systems [IMS] or computer integrated manufacturing [CIM] characterised by job scheduling, process planning, material flow
    • G05B19/4187Total factory control, i.e. centrally controlling a plurality of machines, e.g. direct or distributed numerical control [DNC], flexible manufacturing systems [FMS], integrated manufacturing systems [IMS] or computer integrated manufacturing [CIM] characterised by job scheduling, process planning, material flow by tool managem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90/00Enabling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contribution to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P90/02Total factory control, e.g. smart factories, flexible manufacturing systems [FMS] or integrated manufacturing systems [IM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90/00Enabling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contribution to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P90/30Comput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Factory Administration (AREA)
  • Automatic Assembly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생산 지원 장치(2)는 제품의 조립 작업의 절차인 작업 절차를 설정하는 작업 절차 설정부(15)와, 작업 절차에 기초하여, 제품의 조립 작업에서 사용되는 부품의 사용 가부를 관리하는 부품 관리부(17)를 구비하고, 부품 관리부(17)는 작업 절차에 기초하여, 순번이 도래한 조립 작업에서 사용되는 부품을 사용 가능 상태로 한다.

Description

생산 지원 장치, 생산 지원 시스템, 표시기, 생산 지원 방법, 생산 지원 프로그램 및 기록 매체
본 발명은 생산 지원 장치, 생산 지원 시스템, 표시기, 생산 지원 방법, 생산 지원 프로그램 및 기록 매체에 관한 것이다.
특허 문헌 1에서는, 제품의 조립 작업에 있어서, 작업자가 작업 절차에 따라서 부품을 부품선반으로부터 취출할 때, 부품선반의 어느 영역으로부터 부품을 취출해야 할지를 지시기에 의해 시각적으로 지시하는 시스템이 기재되어 있다. 이 시스템은 작업자가 부품선반의 어느 영역에 액세스하여 부품을 취출했는지를 검지하는 센서를 구비하고 있다. 이 시스템은 지시기에 의해 지시받은 영역과 액세스된 영역이 상이한 경우에, 작업자가 잘못된 영역에 액세스한 것을 검출한다.
특허 문헌 1: 일본 특개 2006-99558호 공보
상기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시스템은, 작업자가 잘못된 영역으로부터 부품을 취출한 것을 검출할 수 있지만, 작업자가 잘못된 영역으로부터 부품을 취출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는 것은 곤란하다.
본 발명은 상기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제품의 조립 작업에 있어서 작업자에 의한 부품의 잘못 꺼냄을 방지 가능한 생산 지원 장치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따른 생산 지원 장치는 제품의 조립 작업의 절차인 조립 작업 절차를 설정하는 작업 절차 설정부와, 조립 작업 절차에 기초하여, 제품의 조립 작업에서 사용되는 부품의 사용 가부를 관리하는 부품 관리부를 구비하고, 부품 관리부는 조립 작업 절차에 기초하여, 순번이 도래한 조립 작업에서 사용되는 부품을 사용 가능 상태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제품의 조립 작업에 있어서 작업자에 의한 부품의 잘못 꺼냄을 방지할 수 있다고 하는 효과를 달성한다.
도 1은 실시 형태에 따른 생산 지원 시스템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2는 실시 형태에 따른 생산 지원 시스템의 배치 구성의 일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하는 부품선반의 확대도이다.
도 4는 부품선반의, 부품상자가 설치되는 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2에 도시하는 드라이버의 확대도이다.
도 6은 스프링 밸런서(spring balancer)에 마련된 기계적인 락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실시 형태에 따른 생산 지원 장치의 하드웨어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8은 실시 형태에 따른 생산 지원 장치의 기능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9는 실시 형태에 따른 생산 지원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10은 부품 정보의 입력을 접수하는 표시 화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작업 절차 정보의 입력을 접수하는 표시 화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작업 내용 입력 화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은 작업 절차 정보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는 부품 관리 화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는 드라이버의 잘못 꺼냄을 방지하는 본 실시 형태의 생산 지원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16은 3개의 드라이버에 공급되는 구동력의 시간 변화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7은 조립 작업 중에 표시기에 표시되는 조립 작업 지시 화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8은 나사 조임의 합격 여부 판정 처리에 의해 불합격이 되었을 경우의 표시기의 표시 화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9는 나사 조임 작업에 필요했던 작업시간을 측정하는 다른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0은 실시 형태에 있어서 기종별 및 작업자별의 불량 발생율의 일례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21은 변형예의 부품 공급 방법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에,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생산 지원 장치, 생산 지원 시스템, 표시기, 생산 지원 방법, 생산 지원 프로그램 및 기록 매체를 도면에 기초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덧붙여 이 실시 형태에 의해 이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 형태.
도 1은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생산 지원 시스템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생산 지원 시스템(1)은 제품의 조립 작업을 지원하는 시스템이며, 구체적으로는, 드라이버(5)에 의한 나사 조임 작업을 지원하는 시스템이다.
생산 지원 시스템(1)은 도 1에 도시하는 것처럼 구성되어 있고, 생산 지원 장치(2)와, 생산 지원 장치(2)에 접속된 표시기(3)와, 생산 지원 장치(2)에 접속된 전원(4)과, 생산 지원 장치(2)에 접속된 복수의 드라이버(5)와, 생산 지원 장치(2)에 접속된 복수의 터미널(6)과, 생산 지원 장치(2)에 접속된 버저(7)와, 생산 지원 장치(2)에 접속된 표시등(8)과, 생산 지원 장치(2)에 접속된 리더(9)와, 생산 지원 장치(2)에 접속된 입력 스위치(10)와, 생산 지원 장치(2)에 접속된 관리 서버(11)를 구비한다.
생산 지원 장치(2)는 시퀀스 프로그램에 따라서 동작하는 프로그래머블 컨트롤러이다. 생산 지원 장치(2)는 제품의 조립 작업을 위한 작업 절차 정보를 유지한다. 생산 지원 장치(2)는 작업 절차에 따라서, 복수의 드라이버(5) 및 복수의 터미널(6)을 제어한다.
표시기(3)는 케이블을 통해서 생산 지원 장치(2)에 접속되어 있다. 표시기(3)는 표시 화면을 표시하는 표시부와, 작업자로부터의 입력을 접수하는 입력부를 구비한다. 이하에서는, 표시기(3)는 표시부와 입력부가 일체화된 터치 패널 등인 것으로 하여 설명하지만, 표시부와 입력부가 별개로 마련되어 있어도 된다. 표시기(3)는 생산 지원 장치(2)로부터 출력되는 정보를 화상, 동영상 또는 텍스트로 표시한다. 또, 표시기(3)는 생산 지원 장치(2)로부터 출력되는 정보를 음성으로 알릴 수도 있다. 표시기(3)는 생산 지원 장치(2)로부터의 출력에 기초하여, 작업 절차를 표시 화면에 표시한다. 표시기(3)는 생산 지원 장치(2)에 의한 제어에 기초하여, 조립 작업의 진행에 따라 표시 화면을 전환한다.
또, 표시기(3)는 조립에 사용되는 나사의 모델명 및 개수와 작업의 주의점을 문자로 표시할 수 있다. 또한, 표시기(3)는 제품이 되는 작업 대상의 화상 상에 나사 조임의 순번을 나타내는 숫자를 겹쳐서 표시하고, 나사 조임이 완료된 지점의 숫자 표시를 지우도록 표시할 수 있다. 추가로 또, 표시기(3)는 나사 조임의 합격 여부를 표시할 수 있다.
전원(4)은 상용의 전원부이다. 전원(4)은 생산 지원 장치(2)로 전력을 공급한다. 또, 전원(4)은 복수의 드라이버(5)로 전력을 공급한다. 이 때, 생산 지원 장치(2)는 작업 절차에 따라, 복수의 드라이버(5)로의 전력의 공급을 제어한다. 즉, 생산 지원 장치(2)는 복수의 드라이버(5)가 작업 절차에 따라서 차례로 구동되도록, 도시하지 않은 릴레이를 개폐 제어함으로써, 전원(4)으로부터 복수의 드라이버(5)로의 전력의 공급을 제어한다. 이것에 의해, 작업 절차에 따라서 순번이 도래한 드라이버(5)가 사용 가능해진다.
도 2는 생산 지원 시스템의 배치 구성의 일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복수의 터미널(6)은, 도 2에 도시하는 것처럼 부품선반(12)에 마련된다. 도 1에서는, 복수의 터미널(6)로서, 터미널(6a, 6b, 6c)이 도시되어 있다. 부품선반(12)에는, 복수의 부품상자(13)가 배치된다. 부품상자(13)에는 조립에 사용되는 부품이 수납된다. 부품은 제품에 조립된다. 부품에는 나사도 포함된다. 작업자는, 예를 들면, 부품선반(12)에 배치된 부품상자(13)로부터 부품을 취출하여, 드라이버(5)를 이용하여 나사 조임 작업을 실시한다.
도 3은 부품선반(12)의 확대도이다. 도 3에 도시하는 것처럼, 터미널(6)은 부품상자(13)마다 부품상자(13)에 대응하여 설치된다. 터미널(6)은 부품의 잘못 꺼냄을 방지하는 터미널이다. 터미널(6)은 개폐 가능한 문(14) 및 문(14)을 구동하기 위한 도시하지 않은 구동 기구를 구비하고 있다. 구동 기구는 예를 들면 전동기이다. 문(14)은 터미널(6)의 본체에 장착되고, 상하로 구동된다. 문(14)은 부품상자(13)로부터 부품의 취출이 허가될 때는, 부품상자(13)로의 액세스가 가능하도록 배치되고, 부품상자(13)로부터 부품의 취출이 허가되지 않을 때에는, 부품상자(13)로의 액세스를 할 수 없게 배치된다. 또, 터미널(6)은 램프(62)를 구비하고 있다. 램프(62)는 예를 들면 LED(Light Emitting Diode) 램프이다.
문(14)의 구동 제어 및 램프(62)의 점등 제어는, 생산 지원 장치(2)에 의해 실시된다. 즉, 생산 지원 장치(2)는 작업 절차에 따라서, 순번이 도래한 조립 작업에 관한 부품이 수납된 부품상자(13)의 터미널(6)에 대해서, 램프(62)를 점등시켜 부품상자(13)를 지시함과 아울러, 터미널(6)의 문(14)을 열림 상태로 하여 부품상자(13)로부터의 부품의 취출을 허가하여, 이 부품을 사용 가능 상태로 한다.
부품상자(13)마다, 부품상자(13)에 수납되어야 할 부품이 정해져 있다. 부품선반(12)은, 복수의 부품상자(13)가 각각 배치되는 복수의 영역으로 나뉘어 있다. 도 4는 부품선반(12)에 있어서의 각 영역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부품선반(12)의, 부품상자(13)가 설치되는 면을 도시한 것으로, 부품상자(13)를 배치 가능한 영역으로서, Y1부터 Y6까지의 6개의 영역을 도시하고 있다. 이하에서는, 각 영역 등은, Y1부터 Y6의 기호에 의해 식별되고, Y1부터 Y6은 위치 정보인 것으로 하여 설명한다. 위치 정보는 부품선반(12)에 있어서의 설치 위치를 나타내는 정보이면 어떠한 정보여도 되고, 예를 들면, 부품선반(12)을 위에서 보았을 경우의 왼쪽에서 몇번째 영역인지를 나타내는 번호여도 되고, 부품선반(12)을 위에서 보았을 경우의 평면 내의 어느 기준을 원점으로 한 좌표계에 있어서의 좌표치여도 된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부품선반(12)을 위에서 보았을 경우의 왼쪽에서 몇번째 영역인지의 번호를 위치 정보로서 이용하는 경우, Y1은 "1"이고, Y2는 "2"이다. 부품선반(12)에는, 각 영역에 대응하여 라벨(131)이 마련되어 있고, 이들 라벨(131)은 각 영역에 대응하는 식별자인 제1 식별자를 나타내고 있다. 이 제1 식별자는 각 영역에 배치되는 부품상자(13)에 수납되어야 할 부품을 나타내는 식별 정보인 제1 부품 식별자를 포함하는 식별자이며, 후술하는 리더(9)에 의해 판독 가능한 형식의 정보이다. 생산 지원 장치(2)는 각 영역에 대응하는 위치 정보를 유지하고 있음과 아울러, 각 영역에 대응하는 제1 식별자를 유지하고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리더(9)는, 부품이 수납된 부품상자(13)를 부품선반(12)의 정해진 영역에 배치할 때 이용된다. 각 부품상자(13)에는, 각 부품상자(13)에 수납되어야 할 부품을 나타내는 식별 정보인 제2 부품 식별자를 포함하는 제2 식별자가 부여되어 있다. 예를 들면, 제2 식별자를 나타내는 라벨이 부품상자(13)에 부착됨으로써, 부품상자(13)에 제2 식별자가 부여된다. 또, 부품에는, 당해 부품을 나타내는 식별 정보인 제3 부품 식별자를 포함하는 제3 식별자가 부여되어 있다. 예를 들면, 제3 식별자를 나타내는 라벨이 부품에 부착됨으로써, 부품에 제3 식별자가 부여된다. 제2 식별자 및 제3 식별자는 리더(9)에 의해 판독 가능하다. 각 부품을 나타내는 식별 정보는 생산 지원 장치(2)에 의해 유지되어 있고, 부품의 타입을 나타내는 정보이다. 각 부품을 나타내는 식별 정보는 미리 정해져 있어도 되고, 후술하는 것처럼, 작업자에 의해 설정 가능해도 된다. 부품이 올바른 부품상자(13)에 수납되고, 또한 그 부품상자(13)가 올바른 영역에 배치되었을 경우, 상술한 제1 부품 식별자, 제2 부품 식별자 및 제3 부품 식별자는 일치한다. 여기서, 올바른 영역에 배치된다는 것은, 후술하는 부품 정보에 의해 정해진 영역에 배치되는 것을 나타낸다.
작업자는 조립에 사용되는 부품이 수납된 부품상자(13)를 부품선반(12)에 배치할 때, 리더(9)에 의해, 부품선반(12) 내의 영역에 부여된 제1 식별자와, 부품상자(13)에 부여된 제2 식별자와, 부품에 부여된 제3 식별자를 판독한다. 리더(9)는 제1 내지 제3 식별자에 포함되는 제1 내지 제3 부품 식별자를 생산 지원 장치(2)에 송신한다.
생산 지원 장치(2)는 제1 내지 제3 부품 식별자가 서로 일치하는 경우에는, 당해 영역에 대해서 마련된 터미널(6)의 램프(62)를 점등시키고 또한 문(14)을 열림 상태로 함으로써, 부품상자(13)가 당해 영역에 배치 가능하게 한다. 생산 지원 장치(2)는 제1 내지 제3 부품 식별자가 서로 일치하지 않는 경우에는, 당해 영역에 대해서 마련된 터미널(6)의 램프(62)를 점등시키지 않고 또한 문(14)도 닫힘 상태로 한다. 이것에 의해, 부품을 부품선반(12)의 정해진 장소에 올바르게 배치할 수 있다.
덧붙여 식별자는 바코드, 리더(9)는 바코드 리더로 할 수 있다. 다만,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식별자는 IC(Integrated Circuit) 태그, 리더(9)는 IC태그를 판독 가능한 기기로 해도 된다.
드라이버(5)는 나사 조임용의 전동 드라이버이다. 도 1에서는, 복수의 드라이버(5)로서, 드라이버(5a, 5b, 5c)가 도시되어 있다. 도 2에 도시한 배치 구성예에서는, 복수의 드라이버(5)는 복수의 스프링 밸런서(39)를 이용하여 각각 매달린다.
도 5는 드라이버(5)의 확대도이다. 드라이버(5)는, 도 5에 도시하는 것처럼, 램프(61)를 구비하고 있다. 램프(61)는, 예를 들면 LED 램프이다. 램프(61)의 점등은, 생산 지원 장치(2)에 의해서 제어된다. 즉, 생산 지원 장치(2)는 작업 절차에 따라, 순번이 도래하여 사용 가능한 드라이버(5)의 램프(61)를 점등한다. 생산 지원 장치(2)는 순번이 도래하지 않아 사용 불가인 드라이버(5)의 램프(61)는 점등하지 않는다.
램프(61)는 점등에 의한 사용할 드라이버(5)의 표시에 더하여, 드라이버(5)를 매다는 스프링 밸런서(39)에 기계적인 락을 마련하여, 생산 지원 장치(2)에 의해, 순번이 도래한 드라이버(5)에 대해서는, 락을 해제시켜 드라이버(5)를 사용 가능 상태로 하고, 순번이 도래하고 있지 않은 드라이버(5)에 대해서는, 락을 유지하여 드라이버(5)를 사용 불가 상태로 할 수도 있다. 이 때, 드라이버(5)에는 함께 전원이 공급되어 있고, 드라이버(5)에 기계적인 락을 검으로써, 복수의 드라이버(5)로의 전력의 공급을 작업 절차에 따라 제어하는 경우와 마찬가지로, 작업 절차에 따른 드라이버(5)만을 사용 가능 상태로 할 수 있다. 도 6은 스프링 밸런서(39)에 마련된 기계적인 락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에 도시하는 것처럼, 스프링 밸런서(39)의 와이어(394)를 계속 내보내는 기어 모양의 회전부(391)의 회전을 멈추는 것이 가능한 구성으로 함으로써, 와이어(394)의 길이를 일정치 이하로 제한한다. 도 6에 도시한 구성에서는, 스프링 밸런서(39)는 액츄에이터(392)에 의해 회전 가능한 억제부(393)를 구비한다. 도 6은 락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고, 억제부(393)는 회전부(391)의 중심으로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형상으로 되어 있어, 회전부(391)의 회전을 억제하고 있다. 락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는, 억제부(393)는 액츄에이터(392)에 의해 회전하여 회전부(391)의 회전을 방해하지 않는 위치에서 정지한다. 액츄에이터(392)는 생산 지원 장치(2)로부터 락할지 락을 해제할지를 나타내는 지시에 의해, 억제부(393)를 회전시킨다. 락된 상태에서는, 작업자는 와이어(394)에 접속된 드라이버(5)를 곁으로 가까이 당길 수 없게 된다. 즉, 드라이버(5)는 작업자에 의해 사용될 수 없는 상태 즉 사용 불가 상태가 된다. 덧붙여 락은 스프링 밸런서(39)에 마련하는 대신에, 드라이버(5)의 스탠드(40)에 마련해도 된다. 이 경우, 예를 들면, 스탠드(40)와 드라이버(5)를 연결하는 와이어 등을 마련하고, 스탠드(40)에 도 6에 도시한 스프링 밸런서(39)와 같은 길이를 제한하는 것이 가능한 기구를 마련한다. 또한, 스프링 밸런서(39)를 이용하지 않고, 드라이버(5)를 개별의 상자에 수용하고, 상자의 문의 개폐에 의해 기계적인 락의 상태와 락의 해제 상태를 전환하도록 해도 된다. 또, 생산 지원 장치(2)에 의해, 드라이버(5)를 온 또는 오프하는 스위치를 기계적으로 제어하여, 순번이 도래한 드라이버(5)에 대해서는, 드라이버의 스위치를 온하여 드라이버(5)를 사용 가능 상태로 하고, 순번이 도래하고 있지 않은 드라이버(5)에 대해서는, 드라이버의 스위치를 오프하여 드라이버(5)를 사용 불가 상태로 할 수도 있다.
또, 드라이버(5)는 드라이버(5)의 회전 개시시 및 드라이버(5)가 미리 정해진 토크에 도달했을 때 회전 개시 및 지정 토크 도달을 생산 지원 장치(2)로 통지하는 기능을 가진다. 여기서, 미리 정해진 토크는 나사 조임 완료시에 드라이버(5)에 발생하는 토크이다. 생산 지원 장치(2)는 회전 개시부터 미리 정해진 토크에 도달할 때까지의 회전 시간, 또는 회전 개시부터 미리 정해진 토크에 도달할 때까지의 회전수를 구한다. 회전 시간은 드라이버(5)의 회전 개시시부터 드라이버(5)가 미리 정해진 토크에 도달했을 때까지의 시간차로부터 구해진다. 회전수는 회전 시간과 회전 속도로부터 구해진다. 회전 속도는 드라이버(5)의 사양에 기초한다. 생산 지원 장치(2)는 회전 시간이 설정된 회전 시간 범위 내인지 여부에 기초하거나, 또는 회전수가 설정된 회전수 범위 내인지 여부에 기초하여, 나사 조임의 합격 여부를 판정할 수 있다.
버저(7)는 생산 지원 장치(2)의 제어에 의해 명동(鳴動)한다. 생산 지원 장치(2)는 나사 조임의 합격 여부를 판정하고, 버저(7)에 의해 나사 조임의 합격 여부의 판정 결과를 소리로 알린다. 예를 들면, 생산 지원 장치(2)는 판정 결과가 불합격이었을 경우에 버저(7)를 명동시키도록 하고, 판정 결과가 합격이었을 경우에 버저(7)를 명동시키지 않도록 해도 된다. 또는, 생산 지원 장치(2)는 판정 결과가 불합격이었을 경우에 제1 주파수의 소리로 버저(7)를 명동시키고, 판정 결과가 합격이었을 경우에 제1 주파수와는 상이한 제2 주파수로 버저(7)를 명동시키도록 해도 된다.
표시등(8)은 생산 지원 장치(2)의 제어에 의해 점등한다. 생산 지원 장치(2)는 나사 조임의 합격 여부를 판정하고, 표시등(8)에 의해 나사 조임의 판정 결과를 점등으로 알린다. 표시등(8)은 나사 조임의 판정의 합격 여부에 따라서, 상이한 색을 점등한다. 예를 들면, 나사 조임이 합격인 경우는, 표시등(8)은 녹색으로 점등하고, 나사 조임이 불합격인 경우는, 표시등(8)은 적색으로 점멸한다.
입력 스위치(10)는 작업의 종료를 나타내는 신호의 입력을 접수한다. 작업자는 작업이 종료할 때마다 입력 스위치(10)를 누른다. 작업의 종료를 나타내는 신호는, 생산 지원 장치(2)에 입력된다.
관리 서버(11)는 네트워크를 통해서 생산 지원 장치(2)와 통신 가능하게 접속된다. 생산 지원 장치(2)는 조립 작업에서 얻어지는 작업 이력 정보를 관리 서버(11)에 송신한다. 작업 이력 정보는 나사 조임시의 합격 여부에 관한 판정 결과, 작업 개시시각, 작업 종료시각 및 누적 작업시간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고 있다.
덧붙여 도 1에서는 도시가 생략되어 있지만, 일반적으로, 관리 서버(11)에는 복수의 생산 지원 장치(2)가 접속된다. 관리 서버(11)에는 복수의 생산 지원 장치(2)로부터의 작업 이력 정보가 집약된다.
다음에, 생산 지원 장치(2)의 구성의 상세한 것에 대하여 설명한다. 생산 지원 장치(2)는 시퀀스 프로그램에 따라서 동작하는 컴퓨터에 의해서 실현할 수 있다. 도 7은 생산 지원 장치(2)의 하드웨어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에 도시하는 것처럼, 생산 지원 장치(2)는 프로세서(50), 메모리(51), 입력 인터페이스(52), 출력 인터페이스(53), 통신 인터페이스(54) 및 버스(55)를 구비한다.
프로세서(50)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 메모리(51)는 RAM(Random Access Memory) 및 ROM(Read Only Memory)이 일반적이다. 입력 인터페이스(52)는 키보드 및 포인팅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도시하지 않은 입력장치로부터의 입력을 접수한다. 출력 인터페이스(53)는 표시기(3)를 포함하는 출력장치로의 출력을 접수한다. 통신 인터페이스(54)는 네트워크를 통한 통신을 행하기 위한 회로이다. 버스(55)는 프로세서(50), 메모리(51), 입력 인터페이스(52), 출력 인터페이스(53) 및 통신 인터페이스(54)를 서로 접속한다.
생산 지원 장치(2)는 시퀀스 프로그램을 컴퓨터로 실행함으로써 실현된다. 시퀀스 프로그램은 메모리(51)에 기억되고, 프로세서(50)는 메모리(51)로부터 시퀀스 프로그램을 읽어내어 실행한다. 시퀀스 프로그램은 생산 지원 프로그램이다.
도 8은 생산 지원 장치(2)의 기능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8에 도시하는 것처럼, 생산 지원 장치(2)는 제품의 작업 절차를 설정하는 작업 절차 설정부(15)와, 각종의 제어를 실시하는 제어부(16)와, 작업 절차 정보를 기억하는 기억부인 작업 절차 정보 기억부(20)와, 나사 조임의 합격 여부를 판정하기 위한 합격 여부 판정 정보를 기억하는 기억부인 합격 여부 판정 정보 기억부(24)를 구비한다. 또한, 생산 지원 장치(2)는 부품 정보(26)를 설정하는 부품 정보 설정부(22)와, 부품 정보(26)를 기억하는 기억부인 부품 정보 기억부(25)를 구비한다. 부품 정보(26)는 자세한 것은 후술하지만, 조립 작업 절차마다의, 제품의 조립 작업에서 사용되는 부품, 및 부품을 보관하는 보관 장소를 포함하는 정보이다. 제품의 작업 절차는, 제품의 조립의 작업 절차 즉 조립 작업 절차이다. 제어부(16)는 부품을 관리하는 부품 관리부(17)와, 드라이버(5)를 관리하는 드라이버 관리부(18)와, 나사 조임의 합격 여부 판정을 하는 합격 여부 판정부(19)를 구비한다. 부품 관리부(17)는 부품을 점검하는 부품 점검부(17a)를 가진다.
작업 절차 설정부(15)는 생산 지원 장치(2)의 사용자에 의한 작업 절차 정보(21)의 입력을 접수한다. 작업 절차 정보(21)는 제품의 조립 작업의 작업 절차에 관한 정보이다. 작업 절차 정보(21)는 시퀀스 프로그램의 일부 또는 시퀀스 프로그램으로부터 참조되는 데이터로서 생산 지원 장치(2)에 입력된다. 작업 절차 설정부(15)는 입력된 작업 절차 정보를 작업 절차 정보 기억부(20)에 저장한다.
부품 관리부(17)는 작업 절차 정보 기억부(20)에 격납되어 있는 작업 절차 정보(21)에 기초하여, 제품의 조립 작업에서 사용되는 부품의 사용 가부를 관리한다. 부품 관리부(17)는 작업 절차 정보 기억부(20)에 격납되어 있는 작업 절차 정보(21)에 기초하여, 순번이 도래한 조립 작업에서 사용되는 부품만을 사용 가능 상태로 한다.
순번이 도래한 조립 작업에서 사용되는 부품만을 사용 가능 상태로 하는 동작의 구체적인 예로서는, 부품 관리부(17)는 작업 절차 정보(21)에 기초하여, 순번이 도래한 조립 작업에서 사용되는 부품이 수납된 부품상자(13)의 터미널(6)에 대해서, 램프(62)를 점등시켜 부품상자(13)를 지시함과 아울러, 문(14)을 구동하여 부품상자(13)로부터 부품을 취출 가능하게 한다. 이것에 의해, 순번이 도래한 조립 작업에서 사용되는 부품만이 사용 가능 상태가 된다.
부품 점검부(17a)는 조립 작업에서 사용되는 부품이, 당해 조립 작업에서 사용되는 부품으로서 규정되어 있는 부품과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부품 점검부(17a)는 리더(9)로부터, 부품선반(12) 내의 영역에 부여된 제1 식별자와, 부품상자(13)에 부여된 제2 식별자와, 부품에 부여된 제3 식별자를 수취한다.
부품 점검부(17a)는 제1 내지 제3 식별자의 각각 포함되는 제1 내지 제3 부품 식별자를 대조하여, 제1 내지 제3 부품 식별자가 서로 일치하는 경우에만, 조립에 사용되는 부품이 수납된 부품상자(13)의 부품선반(12)으로의 배치를 가능하게 한다. 따라서, 부품선반(12)에 배치된 부품상자(13) 내의 부품은, 조립 작업에서 사용되는 부품으로서 규정되어 있는 부품과 일치하는 것이 보장된 부품이 된다.
이와 같이 하여, 부품 관리부(17)는 조립 작업에 있어서의 부품의 사용 가부를 관리한다. 또, 부품 관리부(17)는 부품선반(12)에 배치된 부품상자(13) 중의 부품이 사양에 합치하는지 여부도 판단한다.
드라이버 관리부(18)는 복수의 드라이버(5)로의 전력 공급의 순번을 규정한 작업 절차 정보(21)에 기초하여 각 드라이버(5)로의 전력의 공급을 제어한다. 드라이버 관리부(18)는 복수의 드라이버(5) 중 하나의 드라이버의 동작을 검지한 후, 작업 절차 정보(21)에 기초하여, 복수의 드라이버 중 다음 드라이버(5)에 전력을 공급한다.
드라이버(5a), 드라이버(5b), 드라이버(5c)의 순번으로 3개의 드라이버(5a, 5b, 5c)의 사용이 규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드라이버 관리부(18)는 드라이버(5a)에 전력이 공급되어 드라이버(5a)의 동작을 검지한 후, 드라이버(5b)에 전력을 공급한다. 이것에 의해, 드라이버(5b)의 사용이 가능하게 된다. 덧붙여 드라이버(5a)가 사용 중이어도, 드라이버(5a)의 동작 후에는, 드라이버(5b)에 전력이 공급되어 드라이버(5b)의 사용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드라이버 관리부(18)는 드라이버(5b)의 동작을 검지한 후, 드라이버(5c)에 전력을 공급한다. 이것에 의해, 드라이버(5c)의 사용이 가능하게 된다. 덧붙여 드라이버(5b)가 사용 중이어도, 드라이버(5b)의 동작 후에는, 드라이버(5c)에 전력이 공급되어 드라이버(5c)의 사용이 가능하게 된다.
합격 여부 판정부(19)는 합격 여부 판정 정보에 기초하여, 나사 조임의 합격 여부 판정을 한다. 상기한 것처럼, 드라이버(5)는 드라이버(5)의 회전 개시시 및 드라이버(5)가 미리 정해진 토크에 도달했을 때 회전 개시 및 지정 토크 도달을 생산 지원 장치(2)로 통지한다. 드라이버(5)가 회전 개시 및 지정 토크 도달을 생산 지원 장치(2)로 통지하는 대신에, 드라이버(5)의 회전 개시 및 지정 토크 도달을 작업자가 판정하여, 회전 개시 및 지정 토크 도달이라고 판정했을 경우에, 표시기(3)를 조작함으로써, 표시기(3)로부터 생산 지원 장치(2)로 회전 개시 및 지정 토크 도달이 통지되어도 된다. 또는, 생산 지원 장치(2)가 각 드라이버(5)로 공급하는 전력을 감시하여, 전력에 기초하여 회전 개시 및 지정 토크 도달을 판정해도 된다. 합격 여부 판정부(19)는 회전 개시시부터 미리 정해진 토크에 도달할 때까지의 회전 시간, 또는 회전 개시시부터 미리 정해진 토크에 도달할 때까지의 회전수를 구한다. 합격 여부 판정 정보는 나사 조임이 합격으로 판정되는 회전 시간 범위 또는 나사 조임이 합격으로 판정되는 회전수 범위를 나타내는 정보이다.
합격 여부 판정부(19)는 회전 시간이 회전 시간 범위에 포함되는 경우에는, 나사 조임이 합격이라고 판정하고, 회전 시간이 회전 시간 범위에 포함되지 않은 경우에는, 나사 조임이 불합격이라고 판정한다. 또, 합격 여부 판정부(19)는 회전수가 회전수 범위에 포함되는 경우에는, 나사 조임이 합격이라고 판정하고, 회전수가 회전수 범위에 포함되지 않은 경우에는, 나사 조임이 불합격이라고 판정한다.
작업 절차 설정부(15) 및 부품 정보 설정부(22)는 입력 인터페이스(52)에 의해 실현된다. 제어부(16)는 프로세서(50)에 의해 실현된다. 작업 절차 정보 기억부(20), 합격 여부 판정 정보 기억부(24) 및 부품 정보 기억부(25)는 각각 메모리(51)에 의해 실현된다. 출력 인터페이스(53)는 생산 지원 장치(2)로부터 표시기(3)로의 데이터의 출력에 사용된다. 통신 인터페이스(54)는 생산 지원 장치(2)와 관리 서버(11)의 사이에 통신에 사용된다.
덧붙여 관리 서버(11)도 제어 프로그램에 따라서 동작하는 컴퓨터에 의해서 실현된다. 관리 서버(11)의 하드웨어 구성도 도 7에 도시하는 구성과 같다.
다음에, 본 실시 형태의 동작, 즉,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생산 지원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9는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생산 지원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먼저, S0에서는, 생산 지원 장치(2)는 부품 정보(26)를 설정한다. 즉, 생산 지원 장치(2)는 부품 정보(26)의 입력을 접수한다. 도 10은 부품 정보의 입력을 접수하는 표시 화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에 나타낸 표시 화면(30)은 S0에 있어서, 부품 정보 설정부(22)에 의해서 표시기(3)에 표시되는 화면이다. 상세하게는, 표시 화면(30)은 부품상자 위치 등록 정보로서의 부품 정보의 입력을 접수하는 화면이다. 도 10은 이미, 후술하는 S2가 1회 이상 실시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상태」는 영역에 부품상자(13)가 배치되어 있는 경우는 검정 동그라미를 나타내고, 영역에 부품상자(13)가 배치되어 있지 않은 경우는 하얀 동그라미를 나타낸다. 「장소」는 부품상자(13)의 보관 장소이며, 부품상자(13)가 보관되어야 할 장소가 부품선반(12) 내의 복수의 영역에 할당된 상술한 위치 정보에 의해 나타내진다. 「모델명」은 나사인 부품의 모델명을 나타내고 있다. 「부품 식별자」는 부품을 식별하는 식별자이다. 덧붙여 여기에서는, 모델명과 부품 식별자를 별개로 나타내고 있지만, 부품 식별자로서 모델명 자체를 이용해도 된다. 도 10에 나타낸 표시 화면(30) 중, 위치 정보, 모델명 및 부품 식별자에 대해서는, 대응하는 부분의 화면을 터치함으로써, 작업자로부터의 입력이 가능하고, 「상태」는 작업자에 의한 입력은 할 수 없고, 후술하는 S2의 처리에 의해 갱신되는 정보이다. 부품 정보의 입력이 한번도 행해지지 않은 경우에는, 표시 화면(30) 내의 위치 정보, 모델명 및 부품 식별자는 모두 공란이고, 상태는 하얀 동그라미이다. 위치 정보, 모델명 및 부품 식별자에 대해서는, 대응하는 부분의 화면을 터치함으로써 선택 가능한 위치 정보, 모델명 및 식별자가 각각 일람 표시되고, 풀다운 방식에 의해 작업자에 의해 선택된다. 또는, 대응하는 부분의 화면을 터치함으로써 키보드가 표시기(3)에 표시되고, 키보드에 의한 입력을 표시기(3)가 접수하도록 해도 된다. 작업자에 의해, 등록으로 표시된 부분이 터치되면, 표시기(3)는 접수한 입력을 생산 지원 장치(2)로 송신한다. 생산 지원 장치(2)의 부품 정보 설정부(22)는 표시기(3)로부터 수취한 정보, 즉 작업자에 의해 입력된 위치 정보, 모델명 및 부품 식별자를, 부품 정보 기억부(25)로 부품 정보(26)로서 기억한다.
여기에서는, 표시기(3)를 이용하여 입력을 접수하는 예를 설명하지만, 관리 서버(11) 또는 생산 지원 장치(2)가 디스플레이 등의 표시장치와 키보드 및 마우스 등을 구비하고, 관리 서버(11) 또는 생산 지원 장치(2)의 디스플레이에 도 10과 같은 표시 화면(30)을 표시해도 된다. 이 경우, 모델명 및 부품 식별자는, 관리 서버(11) 또는 생산 지원 장치(2)의 키보드 및 마우스를 이용하여 입력된다. 표시 화면(30)의 최하단은, 표시 화면을 전환하기 위한 메뉴란을 나타내고 있고, 도 10에 나타낸 화면은 메뉴란 내의 부품 정보 등록 버튼이 터치됨으로써 표시된다. 메뉴란의 집 마크의 버튼은, 홈 버튼이며, 조립 작업시에 표시되는 화면인 후술하는 조립 지시 화면을 표시시키기 위한 버튼이다. 메뉴란의 토크 체크 버튼은, 후술하는 토크 체크 화면을 표시시키기 위한 버튼이다. 메뉴란의 시스템 설정 버튼은, 시스템 설정을 행하기 위한 버튼이고, 알람 이력은 알람의 이력을 표시하는 화면이 표시되기 위한 버튼이다. 알람의 이력을 표시하는 화면에서는, 후술하는 나사 조임에 있어서 불합격이 된 시각 및 부품 등의 이력이 표시된다.
다음에, S1에서는, 생산 지원 장치(2)는 제품의 작업 절차를 설정한다. 즉, 생산 지원 장치(2)는 작업 절차 정보(21)의 입력을 접수한다. 도 11은 작업 절차 정보의 입력을 접수하는 표시 화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에 나타낸 표시 화면(101)은, S1에 있어서, 작업 절차 설정부(15)에 의해서 표시기(3)에 표시되는 화면이다. 도 11에 나타낸 표시 화면(101)은, 작업 절차 입력 접수 영역(102)과 다음 버튼(107)을 포함한다. 다음 버튼(107)은 작업 절차 입력 접수 영역(102)에 표시된 작업에 이어지는 작업이 있는 경우에, 사용되는 작업자에 의해 터치되는 버튼이다. 도 11에 도시하는 예에서는, 순번이 3까지의 작업이 표시되어 있기 때문에, 순번이 4 이후의 작업을 입력하는 경우에, 작업자는 다음 버튼(107)을 터치함으로써 버튼(107)을 누른다. 작업 절차 설정부(15)는 표시기(3)로부터 다음 버튼(107)이 터치된 것을 통지받으면, 순번이 4 이후의 작업을 입력하기 위한 화면을 표시한다.
작업 절차 입력 접수 영역(102)은 각 작업의 순서를 나타내는 번호인 순번이 표시되고, 순번마다 즉 작업 절차마다의, 사용 부품 및 공구를 나타내는 정보의 입력을 접수하기 위한 입력창(103, 104 및 105)을 가진다. 공구를 나타내는 정보는, 드라이버(5)의 종류를 나타내는 정보이다. 사용 부품을 나타내는 정보는, 예를 들면 사용되는 부품의 모델명이다. 또, 생산 지원 장치(2)는, 도 11에 도시하는 것처럼, 사용 부품의 수량의 입력을 접수해도 된다. 또, 작업 절차 입력 접수 영역(102)은 순번마다의 작업 내용의 입력 접수 화면으로 천이하기 위한 작업 내용 입력 버튼(106)을 가진다. 작업 내용 입력 버튼(106)이 터치되면, 작업 절차 설정부(15)는 표시기(3)로 작업 내용 입력 화면을 표시한다. 도 12는 작업 내용 입력 화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에 도시하는 작업 내용 입력 화면(110)은, 나사 조임 시간의 하한치 및 상한치를 각각 입력하기 위한 입력창(111, 112)을 구비한다. 또, 작업 내용 입력 화면(110)은 조립 메시지(113) 및 주의 포인트(114)의 입력을 접수하기 위한 입력창을 구비한다. 조립 메시지(113)는 작업자에 대해서 표시하는 조립에 관한 메시지이고, 주의 포인트(114)는 작업자에 대해서 표시하는 조립시의 주의 포인트를 나타내는 메시지이다. 각 입력창에 있어서의 입력의 접수 방법은 임의의 방법을 이용할 수 있지만, 예를 들면, 각 입력창을 터치하면 키보드가 표시기(3)에 표시되어 키보드에 의해 입력을 접수하는 방법을 이용해도 되고, 선택 가능한 항목을 일람 표시하여 풀다운 방식에 의해 선택을 접수하는 방법을 이용해도 된다.
표시기(3)는 표시 화면(101)에 의해 접수한 정보와 작업 내용 입력 화면(110)에 의해 접수한 정보를 생산 지원 장치(2)로 송신한다. 생산 지원 장치(2)는 표시기(3)로부터 수취한 정보를 작업 절차 정보(21)로서 유지한다. 도 13은 작업 절차 정보(21)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에 나타내는 것처럼, 작업 절차 정보(21)는 순번, 사용 부품, 보관 장소, 공구, 작업 내용으로 구성된다. 덧붙여 도 11에 나타낸 것처럼, 사용 부품의 수량의 입력도 접수하는 경우에는, 작업 절차 정보(21)는 순번, 사용 부품, 수량, 보관 장소, 공구, 작업 내용으로 구성된다. 도 12에 나타낸 것처럼, 보관 장소에는, 상술한 부품선반(12) 내의 각 영역의 위치 정보가 격납된다. 작업 내용은 작업 내용 입력 화면(110)에 의해 접수한 정보이고, A, B, C, D는 작업 내용 입력 화면(110)에 의해 접수한 정보의 종류를 기호로 나타낸 것이고, A가 나사 조임 시간의 상한치, B가 나사 조임 시간의 하한치, C가 조립 메시지, D가 주의 포인트에 대응한다. 작업 내용 중, 나사 조임 시간의 상하한치는 합격 여부 판정 정보로서도 이용된다. 즉, 생산 지원 장치(2)는 작업 내용 중, 나사 조임 시간의 상하한치를 합격 여부 판정 정보로서 합격 여부 판정 정보 기억부(24)에 격납한다. 덧붙여 도 13에서는, 작업 절차 정보(21)에 작업 내용을 포함하게 하도록 했지만, 작업 내용은 다른 정보로서 생산 지원 장치(2)에 유지되어도 된다. 이 경우, 작업 내용은 대응하는 작업의 순서와 함께 생산 지원 장치(2)에 유지된다.
다음에, S2에서는, 생산 지원 장치(2)는 조립 작업에서 사용되는 부품이, 조립 작업에서 사용되는 부품으로서 규정되어 있는 부품과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구체적으로는, 생산 지원 장치(2)는 부품 정보(26)를 이용하여 각 부품의 상태를 확인하기 위한 부품 관리 화면을 표시한다. 도 14는 부품 관리 화면인 표시 화면(30a)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의 표시 화면(30a)은, 도 11에 나타낸 표시 화면(30)과 같지만, 「상태」의 란이 조립 작업에서 사용되는 부품으로서 규정되어 있는 부품과 일치하는지 여부가 판단 결과에 따라서 갱신되어 있다. 작업자는 각 부품이 올바른 장소에 설치되어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해서, 리더(9)에 부품선반(12)의 각 영역, 부품상자(13) 및 리더(9)에 각각 부여된 식별자를 읽어내게 한다. 리더(9)는 부품선반(12)의 각 영역에 대응하는 라벨을 읽어내어, 읽어낸 결과인 제1 식별자를 생산 지원 장치(2)로 송신한다. 리더(9)는 부품상자(13)의 라벨을 판독하여, 판독한 결과인 제2 식별자를 생산 지원 장치(2)로 송신한다. 리더(9)는 부품상자(13) 내의 부품에 부여된 제3 식별자를 판독하여, 제3 식별자를 생산 지원 장치(2)로 송신한다. 생산 지원 장치(2)의 부품 점검부(17a)는 부품선반(12) 내의 영역에 부여된 제1 식별자에 포함되는 제1 부품 식별자와 부품상자(13)에 부여된 제2 식별자에 포함되는 제2 부품 식별자와 부품에 부여된 제3 식별자에 포함되는 제3 부품 식별자를 대조함으로써, 조립 작업에서 사용되는 부품으로서 규정되어 있는 부품과 일치하는지 여부의 판단을 행한다. 제1 부품 식별자, 제2 부품 식별자 및 제3 부품 식별자가 일치했을 경우, 생산 지원 장치(2)의 부품 점검부(17a)는, 조립 작업에서 사용되는 부품으로서 규정되어 있는 부품과 일치한다고 판단한다. 이것에 의해, 부품이 잘못된 부품상자(13)에 수납되거나, 또는 부품이 수납된 부품상자(13)가 부품선반(12)의 잘못된 위치에 배치되는 것이 방지된다.
다음에, S3에서는, 생산 지원 장치(2)는, 작업 절차에 기초하여, 순번이 도래한 조립 작업에서 사용되는 부품을 특정한다.
다음에, S4에서는, 생산 지원 장치(2)는 작업 절차에 기초하여, 특정된 부품만을 사용 가능 상태로 한다. 상세하게는, 생산 지원 장치(2)는 작업 절차 정보(21)에 기초하여, 순번이 도래한 조립 작업에서 사용되는 부품이 수납된 부품상자(13)의 터미널(6)에 대해서, 램프(62)를 점등시켜 부품상자(13)를 지시함과 아울러, 문(14)을 열림 상태로 하여 부품상자(13)로부터 부품이 취출 가능하게 한다. 이것에 의해, 작업자는 순번이 도래한 조립 작업에서 사용되어야 할 부품을 부품상자(13)로부터 취출할 수 있어, 부품의 취출 실수가 방지된다.
이상, 부품의 취출 실수를 방지하기 위한 생산 지원 방법을 설명했지만, 상기의 생산 지원 방법에 더하여, 생산 지원 장치(2)는, 이하에 기술하는 것처럼, 드라이버(5)의 잘못 꺼냄을 방지하는 생산 지원 방법을 실시한다. 드라이버(5)의 잘못 꺼냄을 방지하는 생산 지원 방법은, 도 9에 나타낸 S0, S1 및 S2가 실시된 후에, S3 및 S4와 병행하여 실시된다. 또, 도 9에 나타낸 S0, S1 및 S2가 실시된 후에, S3 및 S4를 실시하지 않고, 이하에 기술하는 드라이버(5)의 잘못 꺼냄을 방지하는 생산 지원 방법을 실시해도 된다.
도 15는 드라이버(5)의 잘못 꺼냄을 방지하는 본 실시 형태의 생산 지원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15에 나타내는 처리는, 먼저, 생산 지원 장치(2)는, S11에 있어서, 복수의 드라이버(5)가 사용되는 순번 즉 복수의 드라이버(5)로의 전력 공급의 순번을 규정한 작업 절차 정보(21)에 기초하여, 복수의 드라이버(5) 중 하나의 드라이버(5)에 전력을 공급한다. 생산 지원 장치(2)는 복수의 드라이버(5)가 사용되는 순번은, 도 14에 나타낸 작업 절차 정보(21)에 있어서의 순번 및 공구에 기초하여 파악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14에 나타낸 작업 절차 정보(21)에서는, 1번째에 Z1의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드라이버(5)가 사용되고, 2번째에 Z2의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드라이버(5)가 사용되고, 3번째에 Z3의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드라이버(5)가 사용되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Zi(i=1, 2, 3, …)의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드라이버(5)를 드라이버 Zi라고 표기하기로 하면, 도 14에 나타낸 작업 절차 정보(21)의 예에서는, 복수의 드라이버(5)가 사용되는 순번은, 드라이버 Z1, 드라이버 Z2, 드라이버 Z3, …의 순으로 된다.
다음에, 생산 지원 장치(2)는, S12에 있어서, S11에서 전력을 공급한 하나의 드라이버(5)의 램프(61)를 점등시켜, 당해 하나의 드라이버(5)가 사용 가능한 것을 시각적으로 표시한다. 이것에 의해, 작업자는 당해 하나의 드라이버(5)만을 사용할 수 있어, 드라이버(5)의 잘못 꺼냄이 방지된다.
작업자는 사용 가능한 당해 하나의 드라이버(5)를 이용하여, 나사 조임을 실행할 수 있다. 이때, S13에 나타내는 것처럼, 생산 지원 장치(2)는 작업 절차 정보(21)에 기초하여, 당해 조립 작업에서 사용되어야 할 부품을 특정하고, 특정된 부품만을 사용 가능 상태로 한다. 이 처리는, 도 9의 S3 및 S4의 처리이다. 이것에 의해, 작업자에 의한 나사의 잘못 꺼냄이 방지된다.
다음에, S14에서는, 생산 지원 장치(2)는 당해 하나의 드라이버(5)가 동작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S14에서의 판정의 결과, 당해 하나의 드라이버(5)가 동작했을 경우는, 생산 지원 장치(2)는 S15의 처리로 진행한다. S14에서의 판정의 결과, 당해 하나의 드라이버(5)가 동작하고 있지 않은 경우는, 생산 지원 장치(2)는, S14의 처리로 돌아간다.
S14에서는, 생산 지원 장치(2)는 드라이버(5)가 동작했는지 여부뿐만이 아니라, 작업 절차 정보(21)의 작업 내용에 기초하여, 나사 조임의 합격 여부 판정 처리를 행해도 된다. 나사 조임의 합격 여부 판정 처리에 대해서는 후술하지만, 나사 조임의 합격 여부 판정 처리에 의해서 불합격이 되었을 경우에는, 생산 지원 장치(2)는 나사 조임 불량인 것을 작업자에게 통지하는 처리를 실시하고, S14의 처리로 돌아간다. 나사 조임의 합격 여부 판정 처리에 의해 합격이 되었을 경우에는, 생산 지원 장치(2)는, S15의 처리로 진행한다.
S15에서는, 생산 지원 장치(2)는, 당해 하나의 드라이버(5)가 동작했으므로, 작업 절차 정보(21)에 기초하여, 사용되는 순번이 당해 하나의 드라이버(5)의 다음 순번인 드라이버(5) 즉 다음 드라이버(5)에 전력을 공급한다. 작업 절차 정보(21)에서는, 작업의 순번과 작업에 사용하는 공구 즉 드라이버(5)를 나타내는 정보가 대응지어져 있기 때문에, 작업 절차 정보(21)는 드라이버(5)로 전력이 공급되는 순서를 나타내는 순번 정보이기도 하다. 또, S16에서는, 생산 지원 장치(2)는 당해 다음 드라이버(5)의 램프(61)를 점등시켜, 당해 다음 드라이버(5)가 사용 가능한 것을 시각적으로 표시한다. 이것에 의해, 작업자는 당해 다음 드라이버(5)만을 사용할 수 있어, 드라이버(5)의 잘못 꺼냄이 방지된다.
작업자는 사용 가능한 당해 다음 드라이버(5)를 이용하여, 나사 조임을 실행할 수 있다. 이 때, S17에 나타내는 것처럼, 생산 지원 장치(2)는 작업 절차 정보(21)에 기초하여, 당해 조립 작업에서 사용되어야 할 부품을 특정하여, 특정된 부품만을 사용 가능 상태로 한다. 이 처리는, 도 9의 S3 및 S4의 처리이다.
생산 지원 장치(2)는 복수의 드라이버(5)가 모두 사용될 때까지, 상기와 같은 처리를 반복한다. 즉, 생산 지원 장치(2)는 다음 드라이버(5)가 동작한 후에, 작업 절차 정보(21)에 기초하여, 추가로 다음 드라이버(5)에 전력을 공급하여 사용 가능 상태로 한다.
도 15에 나타내는 처리에 의하면, 하나의 드라이버(5)에 의한 조립 작업이 완료되기 전에, 다음 드라이버(5)에 의한 조립 작업을 개시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복수의 작업자가 각각 복수의 드라이버(5)를 사용하여 조립 작업을 할 때, 전의 조립 작업이 완료되기 전에 다음의 조립 작업을 개시시킬 수 있으므로, 작업시간이 단축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하나의 드라이버(5)의 동작이 개시되면, 하나의 드라이버(5)의 동작 중에, 다음 드라이버(5)에 전력이 공급된다.
도 16은 3개의 드라이버(5a, 5b, 5c)에 공급되는 구동력의 시간 변화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6에서는, 상단이 드라이버(5a)의 구동력의 시간 변화 Da를 나타내고, 중단이 드라이버(5b)의 구동력의 시간 변화 Db를 나타내고, 하단이 드라이버(5c)의 구동력의 시간 변화 Dc를 나타내고 있다. Da, Db, Dc는 드라이버(5a, 5b, 5c)에 각각 공급되는 전력의 시간 변화도 나타내고 있다.
도 16에 나타내는 것처럼, 드라이버(5a)는 시각 t1부터 시각 t4까지 동작한다. 즉, 시각 t1은 드라이버(5a)의 회전 개 시시각이고, 시각 t4는 드라이버(5a)의 회전 종료시각이다. 드라이버 관리부(18)는 드라이버(5a)로부터의 회전 개시 신호에 의해, 드라이버(5a)가 시각 t1에 회전을 개시한 것을 검지하면, 시각 t2부터 드라이버(5b)에 전력을 공급한다. 여기서, 시각 t2는 시각 t1보다 후이면서 또한 시각 t4보다 전인 시각이다. 즉, 드라이버 관리부(18)는 드라이버(5a)의 동작이 개시되면, 드라이버(5a)의 동작 중에, 다음 드라이버(5b)에 전력을 공급한다. 드라이버(5b)는 시각 t2부터 시각 t5까지 동작한다. 여기서, 시각 t5는 시각 t4보다 후의 시각이다. 상세하게는, 드라이버 관리부(18)는 드라이버(5a)로부터의 토크 업 신호에 의해, 드라이버(5a)에 의한 나사 조임이 완료되어, 드라이버(5a)가 시각 t4에 회전을 종료한 것을 검지하면, 시각 t5에 드라이버(5b)로의 전력을 차단한다.
또, 드라이버 관리부(18)는 드라이버(5b)로부터의 회전 개시 신호에 의해, 드라이버(5b)가 시각 t2에 회전을 개시한 것을 검지하면, 시각 t3부터 드라이버(5c)에 전력을 공급한다. 여기서, 시각 t3은 시각 t2보다 후이면서 또한 시각 t5보다 전인 시각이다. 즉, 드라이버 관리부(18)는 드라이버(5b)의 동작이 개시되면, 드라이버(5b)의 동작 중에, 다음 드라이버(5c)에 전력을 공급한다. 드라이버(5c)는 시각 t3부터 시각 t6까지 동작한다. 여기서, 시각 t6은 시각 t5보다 후의 시각이다. 상세하게는, 드라이버 관리부(18)는 드라이버(5b)로부터의 토크 업 신호에 의해, 드라이버(5b)에 의한 나사 조임이 완료되어, 드라이버(5b)가 시각 t5에 회전을 종료한 것을 검지하면, 시각 t6에 드라이버(5c)로의 전력을 차단한다.
다음에, 작업자가 조립 작업을 실시하고 있을 때 표시기(3)에 표시되는 화면에 대해서 설명한다. 즉, 도 9에서 설명한 순서도에 있어서의 S3 및 S4의 실행 중, 및 도 15에 나타낸 순서도의 실행 중에 표시기(3)에 표시되는 화면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7은 조립 작업 중에 표시기(3)에 표시되는 조립 작업 지시 화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조립 작업 지시 화면인 표시 화면(31)은, 예를 들면, 도 10에 나타낸 메뉴에 있어서 홈 버튼이 터치됨으로써 표시된다. 따라서, 도 9에서 설명한 순서도에 있어서의 S2의 후에, 작업자가 메뉴에 있어서 홈 버튼을 터치하면 조립 작업 지시 화면이 표시된다. 상세하게는, 표시 화면(31)은 조립 작업을 시각화한 것으로, 조립 작업 지시를 나타내는 화면이다. 표시 화면(31)에는 「기종명」이 「PA2300」의 제품의 화상(44)이 포함되어 있다. 나사 조임 지점(31a 내지 31d)은, 4개의 나사가 조여지는 지점이다. 나사 조임 지점(31a 내지 31d)에 나타내지는 숫자는, 나사 조임의 순번을 나타내고 있다. 나사 조임의 순서는, 작업 절차 정보(21)에 있어서의 순번이다. 나사 조임의 순번을 나타내는 숫자는 대응하는 나사 조임이 완료되면 표시되지 않게 된다. 도 17은 나사 조임 지점(31a 내지 31d)의 어느 나사 조임 지점의 나사 조임도 완료되지 않은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그 후, 예를 들면, 1번째의 나사 조임 지점인 나사 조임 지점(31a)의 숫자는, 1번째의 나사 조임 지점의 나사 조임이 완료되었다고 표시되지 않게 된다. 즉, 작업 절차가 표시되는 표시 화면인 조립 작업 지시 화면은, 조립 작업의 진척에 따라서 전환한다. 조립 작업의 진척이란, 각 작업 즉 각 조립 작업이 완료되었는지 여부를 나타낸다. 이 전환은 나사 조임 지점(31a 내지 31d)에 상술한 것처럼 숫자가 표시되는지 여부에 대한 전환이어도 되고, 나사 조임 지점(31a 내지 31d)의 색의 차에 의한 전환이어도 된다. 나사 조임 지점(31a 내지 31d)의 색의 차에 의해 전환하는 경우, 나사 조임 지점(31a 내지 31d)은 대응하는 작업이 완료된 경우와 완료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서 상이한 색으로 표시된다.
또, 표시 화면(31)에는 「생산 대수」가 「100대」, 생산이 완료된 「완료 대수」가 「24대」, 「나사 조임 개수」가 총계 「6개」, 나사 조임이 불합격인 「NG(불량) 개수」가 「0개」인 것이 표시되어 있다. 또, 드라이버(5)의 종류 「M5」를 나타내는 「드라이버」, 나사의 종류를 나타내는 「나사 종류」, 나사의 사이즈 「M5Х20」을 나타내는 「나사 사이즈」, 당해 조립 작업에서 사용되는 나사의 개수인 「4개」를 나타내는 「개수」가 도시되어 있다.
또한, 표시 화면(31)에는 드라이버(5)의 회전 시간인 「나사 조임 시간」의 하한치 「1」초, 상한치 「4」초가 도시되어 있다. 도 15를 이용하여 설명한 S14에 있어서, 나사 조임의 합격 여부 판정 처리가 실시되는 경우, 합격 여부 판정부(19)는 「나사 조임 시간」이 이 상하한치의 범위에 포함되지 않는다고 판단되면, 나사 조임이 불합격, 즉 불량이라고 판정한다. 상하한치의 범위는, 도 12에 나타낸 작업 내용 입력 화면(110)을 이용한 작업 내용의 입력에 있어서, 정상적인 나사 조임에 필요한 시간으로서 미리 등록되어 있다. 상하한치의 범위는, 상기한 회전 시간 범위이다. 회전수에 기초하여 나사 조임의 합격 여부 판정 처리를 행하는 경우에는, 작업 내용의 입력에 있어서, 회전 시간인 「나사 조임 시간」상하한치의 범위 대신에 회전수의 상하한치의 입력을 접수받는다.
「표준 작업시간」인 「30초」는 작업시간의 평균치이다. 「실측치」는 실제의 작업시간이다. 작업시간은 복수의 나사 조임을 포함하는 조립 작업에서 필요로 하는 시간이다. 「표준 작업시간」은 작업자의 페이스 메이커로서 이용 가능하다.
덧붙여 「실측치」가 「표준 작업시간」보다 큰 경우와, 「실측치」가 「표준 작업시간」의 절반 이상 또한 「표준 작업시간」이하인 경우와, 「실측치」가 「표준 작업시간」의 절반 미만인 경우에서, 「실측치」의 수치의 색을 서로 다르게 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작업 속도를 용이하게 인식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표시 화면(31)에는 「사용 부품」, 「조립 메시지」 및 「주의 포인트」가 기재되고, 나사 조임시 및 부품 장착시에 있어서의 구체적인 지시가 표시되어 있다.
작업자가 상기와 같은 조립 작업 지시를 참조하면서 작업함으로써, 작업 미스의 발생이 억제된다. 그 때문에, 신입 작업자라도, 단기간에 작업을 습득하는 것이 가능해져, 신입 교육에 걸리는 공정수를 삭감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덧붙여 표시 화면(31)은 작업자의 숙련도에 따라 복수의 모드에 대응하고 있다. 즉, 표시 화면(31)은 표준적인 작업자용의 표준 모드의 화면과, 숙련자용의 숙련 모드의 화면으로 전환 가능하다. 숙련 모드의 화면에서는, 표준 모드의 화면과 비교하여, 택트 타임을 단축화하기 위한 고안이 실시된다. 예를 들면, 표준 모드의 화면에서는, 작업 종료 후에 다음 작업으로 이행할 때, 작업자가 화면을 터치하여 화면을 갱신할 필요가 있지만, 숙련 모드의 화면에서는, 작업자에 의한 화면의 터치를 필요로 하는 일 없이,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화면이 자동적으로 갱신된다.
도 18은 나사 조임의 합격 여부 판정 처리에 의해 불합격이 되었을 경우의 표시기(3)의 표시 화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상기한 것처럼, 생산 지원 장치(2)는 S14에 있어서 나사 조임의 합격 여부를 판정하는 경우, 판정 결과를 작업자에게 통지한다. 도 18에 도시한 표시 화면(32)에서는, 「나사 조임 NG 발생」의 경고 메시지와 「확인」의 버튼이 표시되고, 나사 조임에 불량이 발생했던 것이 표시되어 있다. 또, 나사 조임 지점(31a)의 나사 조임에 불량이 발생한 것이, 나사 조임 지점(31a)의 숫자의 배경색을 나사 조임 지점(31b 내지 31d)의 숫자의 배경색과 상이하게 함으로써 표시되어 있다.
생산 지원 장치(2)는 나사 조임의 판정 결과를 버저(7), 표시등(8) 및 표시기(3)의 화면 표시에 의해, 작업자에게 통지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나사 조임에 불량 지점이 있는 상태에서, 작업이 후속 공정으로 진행하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생산 지원 장치(2)가, 조립 작업에 있어서 나사 조임 작업에 필요했던 작업시간의 측정치를 이용하여 작업 공정의 스케줄링 등을 행하거나, 측정한 값을 이용하여, 합격 여부 판정 처리에 있어서의 정상인 상하한치의 범위의 값을 보정하거나 하도록 해도 된다. 도 19는 나사 조임 작업에 필요했던 작업시간을 측정하기 위한 표시 화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9에 나타내는 표시 화면(33)은, 예를 들면, 메뉴란의 토크 체크 버튼을 터치함으로써 표시된다. 표시 화면(33)에서는, 나사 조임 작업에 필요했던 작업시간의 「측정치」가 나타내져 있다. 도 19에 나타낸 예에서는, 「측정치」는 「12345」밀리초이다. 도 19에 나타낸 「실측치」는 「12345」밀리초를 초표기로 하고, 소수점 첫째 자리를 사사오입함으로써 「12」초로 표시되어 있다. 작업자는 표시 화면(33)상에서 「등록」을 누름으로써, 「측정치」를 생산 지원 장치(2)에 등록할 수 있다.
측정치는 나사 조임의 합격 여부를 판정하기 위한 회전 시간 범위의 설정에 이용할 수 있다. 즉, 생산 지원 장치(2)는 측정치에 기초하여 평균치를 구하고, 평균치를 포함하는 일정한 범위를 회전 시간 범위로 설정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보다 실제 작업에 따른 회전 시간 범위를 나사 조임 합격 여부 판정에 이용할 수 있어, 보다 적절히 나사 조임 판정을 행할 수 있다. 덧붙여 회전 시간 범위는 작업자가 수동으로 설정할 수도 있다. 또, 측정치는 작업 공정의 스케줄링에 이용되어도 된다.
도 20은 기종별 및 작업자별의 불량 발생율의 일례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가로축은 기종 A 내지 G를 나타내고, 세로축은 불량 발생율을 나타낸다. 불량 발생율은 숙련자와 미숙자로 나누어 표시되어 있다. 이러한 그래프에 의해, 어느 기종에서 나사 조임의 불량이 발생하기 쉬운지를 알 수 있다.
또, 기종을 작업 항목으로 치환함으로써, 어느 작업 항목에서 나사 조임의 불량이 발생하기 쉬운지, 시간이 걸리고 있는 작업 항목은 어떤 것인지, 문제가 발생하기 쉬운 작업 항목은 어떤 것인지가 용이하게 특정 가능해진다. 여기서, 작업 항목은 작업 절차의 단위이다.
예를 들면, 5개의 나사 조임을 행할 때, 어느 나사의 나사 조임에 불량이 발생하기 쉬운지를 알 수 있다. 이제부터, 불량 지점이 발생하기 쉬운 것은, 설계적인 문제인지, 지그(jig)를 이용함으로써 개선되는지를 검토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와 같이, 도 20에 나타내는 그래프를 표시함으로써, 시스템 설계를 다시 보고, 작업 항목의 재검토 및 개선을 향한 구체적인 대처를 실현할 수 있다.
덧붙여 도 20에 나타내는 그래프는, 표시기(3)에 표시할 수도 있고, 관리 서버(11)의 표시부에 표시할 수도 있다. 관리 서버(11)는 복수의 생산 지원 장치(2)로부터 얻어진 작업 이력 정보를 집약하여 표시 가능하다. 이것에 의해, 생산 대수의 증감에 의한 작업자수의 조정이 필요한 경우, 작업자가 분담하는 공정을 분할 또는 결합할 때의 정보가 얻어진다.
<변형예>
이상 기술한 예에서는, 생산 지원 장치(2)는, 도 3에 도시한 것처럼, 문(14)의 개폐에 의해 각 부품을 사용 가능 상태로 할지 여부를 제어하도록 했다. 각 부품을 사용 가능 상태로 할지 여부에 대한 제어는 도 21에 도시하는 것 같은 기구를 이용하여 제어해도 된다. 도 21에 도시한 예에서는, 부품상자(13)의 상부에, 부품 공급 유닛(141)을 마련한다. 부품 공급 유닛(141)은 바닥면이 개폐 가능한 문으로 되어 있고, 생산 지원 장치(2)는 작업 절차 정보(21)에 기초하여, 부품을 사용 가능 상태로 하는 경우, 그 부품에 대응하는 부품 공급 유닛(141)의 바닥면의 문을 개방함으로써, 부품상자(13)에 부품을 공급한다. 또, 생산 지원 장치(2)는 부품을 사용 가능 상태로 하지 않는 경우, 그 부품에 대응하는 부품 공급 유닛(141)의 바닥면의 문을 닫음으로써, 부품상자(13)에 부품을 공급하지 않는다.
또, 나사 등의 금속성 부품에 대해서는, 자석을 이용하여 금속성 부품을 사용 가능 상태로 할지 여부를 제어해도 된다. 예를 들면, 자력의 온과 오프를 전환할 수 있는 자석판을 금속성 부품마다 마련하고, 각 자석판 상에, 대응하는 금속제 부품을 설치한다. 그리고, 생산 지원 장치(2)는 작업 절차 정보(21)에 기초하여, 금속성 부품을 사용 가능 상태로 하는 경우, 그 금속성 부품이 재치되어 있는 자석판의 자력을 오프로 한다. 또, 생산 지원 장치(2)는 금속성 부품을 사용 가능 상태로 하지 않는 경우, 그 금속성 부품이 재치되어 있는 자석판의 자력을 온으로 한다. 자석판은, 예를 들면, 전자석이다.
이상에 설명한 것처럼, 본 실시 형태에서는, 생산 지원 장치(2)는 제품의 작업 절차를 설정하는 작업 절차 설정부(15)와, 작업 절차에 기초하여, 제품의 조립 작업에서 사용되는 부품의 사용 가부를 관리하는 부품 관리부(17)를 구비하고, 부품 관리부(17)는 작업 절차에 기초하여, 순번이 도래한 조립 작업에서 사용되는 부품만을 사용 가능 상태로 한다. 이것에 의해, 제품의 조립 작업에 있어서 작업자에 의한 부품의 잘못 꺼냄을 방지할 수 있다.
또, 본 실시 형태에서는, 생산 지원 장치(2)는 복수의 나사 조임용 드라이버(5)로의 전력 공급의 순번을 규정한 작업 절차 정보(21)에 기초하여 전원(4)으로부터 각 드라이버(5)로의 전력의 공급을 제어하는 제어부(16)를 구비하고, 제어부(16)는 복수의 드라이버(5) 중 하나의 드라이버(5)의 동작을 검지한 후, 작업 절차 정보(21)에 기초하여, 복수의 드라이버(5) 중 다음 드라이버(5)에 전력을 공급한다. 이것에 의해, 작업자에 의한 드라이버(5)의 잘못 꺼냄을 방지할 수 있다.
또, 본 실시 형태에서는, 생산 지원 장치(2)는 합격 여부 판정부(19)를 구비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나사가 올바르게 장착되었는지를 판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실시 형태의 그 외의 효과는, 구성 및 동작의 설명과 함께 이미 설명한 바와 같다.
덧붙여 시퀀스 프로그램인 생산 지원 프로그램은, 기록 매체에 컴퓨터에 의해서 판독 가능하게 기록할 수 있다. 기록 매체는 광학적, 자기적 또는 전기적인 기록 매체이다. 기록 매체로서는, 예를 들면, CD-ROM, DVD 디스크, 하드 디스크, 광 자기 디스크, 플렉서블 디스크 또는 IC 카드이다. 또, 생산 지원 프로그램은 통신회선을 통해서 전송 가능하다. 생산 지원 프로그램은 미리 기록 매체에 기록되는 경우 외, 통신회선을 통해서 다운로드된 후에 기록 매체에 기록되는 경우도 있다.
이상의 실시 형태에 나타낸 구성은, 본 발명의 내용의 일례를 나타내는 것이며, 다른 공지의 기술과 조합하는 것도 가능하고, 본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구성의 일부를 생략, 변경하는 것도 가능하다.
1: 생산 지원 시스템 2: 생산 지원 장치
3: 표시기 4; 전원
5, 5a, 5b, 5c: 드라이버 6, 6a, 6b, 6c: 터미널
7: 버저 8: 표시등
9: 리더 10: 입력 스위치
11: 관리 서버 12: 부품선반
13: 부품상자 14: 문
15: 작업 절차 설정부 16: 제어부
17: 부품 관리부 17a: 부품 점검부
18: 드라이버 관리부 19: 합격 여부 판정부
20: 작업 절차 정보 기억부 21: 작업 절차 정보
22: 부품 정보 설정부 24: 합격 여부 판정 정보 기억부
25: 부품 정보 기억부 26: 부품 정보
30, 31, 32, 33: 표시 화면 31a, 31b, 31c, 31d: 나사 조임 지점
39: 스프링 밸런서 40: 스탠드
44: 화상 50: 프로세서
51: 메모리 52: 입력 인터페이스
53: 출력 인터페이스 54: 통신 인터페이스
55: 버스 61, 62: 램프

Claims (16)

  1. 제품의 조립 작업의 절차인 조립 작업 절차를 설정하는 작업 절차 설정부와,
    상기 조립 작업 절차에 기초하여, 상기 제품의 조립 작업에서 사용되는 부품의 사용 가부를 관리하는 부품 관리부를 구비하고,
    상기 부품 관리부는 상기 조립 작업 절차에 기초하여, 순번이 도래한 조립 작업에서 사용되는 부품을 사용 가능 상태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산 지원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부품 관리부는 상기 조립 작업에서 사용되는 부품이 당해 조립 작업에서 사용되는 부품으로서 규정되어 있는 부품과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부품 점검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산 지원 장치.
  3. 청구항 2에 기재된 생산 지원 장치와,
    상기 생산 지원 장치에 의한 제어에 기초하여, 상기 조립 작업 절차를 표시 화면에 표시하는 표시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산 지원 시스템.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부품이 수납된 부품상자가 배치된 부품선반에 상기 부품상자에 대응해서 마련되고, 램프 및 개폐 가능한 문을 가지는 터미널을 구비하고,
    상기 부품 관리부는 순번이 도래한 조립 작업에서 사용되는 상기 부품이 수납된 상기 부품상자의 터미널에 대해서, 상기 램프를 점등시켜 상기 부품상자를 지시함과 아울러, 상기 문을 열림 상태로 하여 상기 부품상자로부터 상기 부품을 취출 가능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산 지원 시스템.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부품선반 내의 영역에 부여된 제1 식별자에 포함되는 제1 부품 식별자와 상기 부품상자에 부여된 제2 식별자에 포함되는 제2 부품 식별자와 상기 부품에 부여된 제3 식별자에 포함되는 제3 부품 식별자를 판독 가능한 리더를 구비하고,
    상기 부품 점검부는 상기 리더로부터 얻어진 제1 내지 제3 부품 식별자를 대조함으로써, 상기 조립 작업에서 사용되는 부품이 당해 조립 작업에서 사용되는 부품으로서 규정되어 있는 부품과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산 지원 시스템.
  6. 청구항 3 내지 청구항 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립 작업 절차가 표시되는 표시 화면은, 상기 조립 작업의 진척에 따라서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산 지원 시스템.
  7. 복수의 나사 조임용 드라이버로의 전력 공급의 순번을 규정한 순번 정보에 기초하여 전원부로부터 각 드라이버로의 전력의 공급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드라이버 중 하나의 드라이버의 동작을 검지한 후, 상기 순번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드라이버 중 다음 드라이버에 전력을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산 지원 장치.
  8. 제품의 조립 작업의 절차인 조립 작업 절차를 설정하는 작업 절차 설정부와,
    상기 조립 작업 절차마다, 상기 제품의 조립 작업에서 사용되는 부품, 및 상기 부품을 보관하는 보관 장소를 설정하는 부품 정보 설정부와,
    상기 조립 작업 절차에 기초하여, 순번이 도래한 작업에서 사용되는 부품을 상기 보관 장소로부터 사용 가능한 상태로 하는 부품 관리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산 지원 장치.
  9. 복수의 나사 조임용 드라이버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부와,
    상기 복수의 드라이버로의 전력 공급의 순번을 규정한 순번 정보에 기초하여 각 드라이버로의 전력의 공급을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에 의한 제어에 기초하여, 상기 순번 정보를 표시 화면에 표시하는 표시기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드라이버 중 하나의 드라이버의 동작을 검지한 후, 상기 순번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드라이버 중 다음 드라이버에 전력을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산 지원 시스템.
  10. 제품의 조립 작업의 절차인 조립 작업 절차에 기초하여, 상기 제품의 조립 작업에서 사용되는 부품의 사용 가부를 관리함과 아울러, 상기 조립 작업 절차에 기초하여, 순번이 도래한 조립 작업에서 사용되는 부품만을 사용 가능 상태로 하는 생산 지원 장치에 접속되어, 상기 생산 지원 장치에 의한 제어에 기초하여, 상기 조립 작업 절차를 표시 화면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기.
  11. 생산 지원 장치가, 제품의 조립 작업의 절차인 조립 작업 절차를 설정하는 스텝과,
    상기 제품의 조립 작업에서 사용되는 부품이 당해 조립 작업에서 사용되는 부품으로서 규정되어 있는 부품과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스텝과,
    상기 조립 작업 절차에 기초하여, 순번이 도래한 조립 작업에서 사용되는 부품을 특정하는 스텝과,
    상기 조립 작업 절차에 기초하여, 상기 특정된 부품을 사용 가능 상태로 하는 스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산 지원 방법.
  12. 생산 지원 장치가, 복수의 나사 조임용 드라이버로의 전력 공급의 순번을 규정한 순번 정보에 기초하여 전원부로부터 상기 복수의 드라이버 중 하나의 드라이버에 전력을 공급하는 스텝과,
    상기 하나의 드라이버가 동작했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스텝과,
    상기 하나의 드라이버가 동작했을 경우에만, 상기 순번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드라이버 중 다음 드라이버에 전력을 공급하는 스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산 지원 방법.
  13. 제품의 조립 작업의 절차인 조립 작업 절차를 설정하는 절차와,
    상기 제품의 조립 작업에서 사용되는 부품이 당해 조립 작업에서 사용되는 부품으로서 규정되어 있는 부품과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절차와,
    상기 조립 작업 절차에 기초하여, 순번이 도래한 조립 작업에서 사용되는 부품을 특정하는 절차와,
    상기 조립 작업 절차에 기초하여, 상기 특정된 부품을 사용 가능 상태로 하는 절차를 컴퓨터에 실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산 지원 프로그램.
  14. 복수의 나사 조임용 드라이버로의 전력 공급의 순번을 규정한 순번 정보에 기초하여 전원부로부터 상기 복수의 드라이버 중 하나의 드라이버에 전력을 공급하는 절차와,
    상기 하나의 드라이버가 동작했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절차와,
    상기 하나의 드라이버가 동작했을 경우에만, 상기 순번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드라이버 중 다음 드라이버에 전력을 공급하는 절차를 컴퓨터에 실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산 지원 프로그램.
  15. 제품의 조립 작업의 절차인 조립 작업 절차를 설정하는 절차와,
    상기 제품의 조립 작업에서 사용되는 부품이 당해 조립 작업에서 사용되는 부품으로서 규정되어 있는 부품과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절차와,
    상기 조립 작업 절차에 기초하여, 순번이 도래한 조립 작업에서 사용되는 부품을 특정하는 절차와,
    상기 조립 작업 절차에 기초하여, 상기 특정된 부품을 사용 가능 상태로 하는 절차를 컴퓨터에 실행시키기 위한 생산 지원 프로그램이 상기 컴퓨터에 의해서 판독 가능하게 기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매체.
  16. 복수의 나사 조임용 드라이버로의 전력 공급의 순번을 규정한 순번 정보에 기초하여 전원부로부터 상기 복수의 드라이버 중 하나의 드라이버에 전력을 공급하는 절차와,
    상기 하나의 드라이버가 동작했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절차와,
    상기 하나의 드라이버가 동작했을 경우에만, 상기 순번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드라이버 중 다음 드라이버에 전력을 공급하는 절차를 컴퓨터에 실행시키기 위한 생산 지원 프로그램이 상기 컴퓨터에 의해서 판독 가능하게 기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매체.
KR1020197009382A 2016-10-13 2016-10-13 생산 지원 시스템, 표시기, 생산 지원 방법, 생산 지원 프로그램 및 기록 매체 KR2019004978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6/080436 WO2018070028A1 (ja) 2016-10-13 2016-10-13 生産支援装置、生産支援システム、表示器、生産支援方法、生産支援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9787A true KR20190049787A (ko) 2019-05-09

Family

ID=619053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09382A KR20190049787A (ko) 2016-10-13 2016-10-13 생산 지원 시스템, 표시기, 생산 지원 방법, 생산 지원 프로그램 및 기록 매체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6444563B2 (ko)
KR (1) KR20190049787A (ko)
CN (1) CN109804323B (ko)
WO (1) WO201807002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168165A (zh) * 2018-12-27 2021-07-23 松下知识产权经营株式会社 作业支援装置、作业支援方法、以及程序
JP7350530B2 (ja) * 2019-06-25 2023-09-26 三菱電機株式会社 作業支援装置及び作業支援管理システム
WO2021009917A1 (ja) * 2019-07-18 2021-01-21 三菱電機株式会社 作業支援システム
CN112306002A (zh) * 2019-07-26 2021-02-02 三菱电机自动化(中国)有限公司 生产辅助系统及其作业台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99558A (ja) 2004-09-30 2006-04-13 Seiko Epson Corp 生産ナビゲーションシステムおよびナビゲーション端末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283058A (ja) * 1991-03-08 1992-10-08 Hitachi Ltd 作業指示システム
JP2000047705A (ja) * 1998-07-28 2000-02-18 Hitachi Ltd 作業指示装置
JP2000084763A (ja) * 1998-09-16 2000-03-28 Fuji Heavy Ind Ltd 生産指示システム
US7110127B2 (en) * 1999-04-20 2006-09-19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Method and apparatus for product regionalization
JP2001166680A (ja) * 1999-12-10 2001-06-22 Honda Motor Co Ltd 作業習熟支援装置
JP2003058224A (ja) * 2001-08-09 2003-02-28 N Ke Kk 作業内容を画面表示する組立方法及び装置
JP4194623B2 (ja) * 2005-10-11 2008-12-10 有限会社井出計器 ネジ締め作業装置及びネジ締め作業ライン
JP2007164446A (ja) * 2005-12-13 2007-06-28 Tohoku Ricoh Co Ltd 製造工程管理システム
JP4851855B2 (ja) * 2006-06-09 2012-01-11 株式会社日立製作所 作業実績収集システム
JP2011209064A (ja) * 2010-03-29 2011-10-20 Fuji Xerox Co Ltd 物品認識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物品処理装置
JP5489000B2 (ja) * 2010-08-31 2014-05-14 株式会社安川電機 作業装置及び部品ピッキングシステム
JP2013060249A (ja) * 2011-09-12 2013-04-04 Toshiba Elevator Co Ltd エレベータ部品検索システム
JP6113631B2 (ja) * 2013-11-18 2017-04-12 東芝三菱電機産業システム株式会社 作業確認システム
CN105046472B (zh) * 2015-08-25 2019-11-05 芜湖哈特机器人产业技术研究院有限公司 一种轴承盖的包装系统及其控制方法
US10793375B2 (en) * 2016-11-08 2020-10-06 Berkshire Grey, Inc. Systems and methods for processing objects
GB201800534D0 (en) * 2018-01-12 2018-02-28 Ubisense Ltd Tool tracking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99558A (ja) 2004-09-30 2006-04-13 Seiko Epson Corp 生産ナビゲーションシステムおよびナビゲーション端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9804323B (zh) 2022-02-08
JPWO2018070028A1 (ja) 2018-10-11
CN109804323A (zh) 2019-05-24
JP6444563B2 (ja) 2018-12-26
WO2018070028A1 (ja) 2018-04-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049787A (ko) 생산 지원 시스템, 표시기, 생산 지원 방법, 생산 지원 프로그램 및 기록 매체
EP3357637B1 (en) Machine tool
EP1663586B1 (en) Inventory control system
JP6412055B2 (ja) 射出成形機管理システム
EP1909240A1 (en) System for integrally controlling automatic tablet packaging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WO2016023081A1 (en) Storage device and item management system
CA2599532C (en) Method for providing documentation information of complex machines and systems, in particular an injection molding machine
JP2007164446A (ja) 製造工程管理システム
JP5587258B2 (ja) 作業誘導システム
EP1193581B1 (en) Programmable controller system
KR20080068681A (ko) 보수 안내 표시 장치, 보수 안내 표시 방법, 보수 안내 표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
JPH03291181A (ja) レーザ加工機システムの保守時期監視装置
US5177469A (en) Safety device for an IC handler and method for its operation
JPWO2020138007A1 (ja) 作業支援装置、作業支援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1561833B1 (ko) 작업공구 관리 시스템
US20190240828A1 (en) Tool box for outputting instructions for servicing an identified target device
JP2009264884A (ja) 検体処理システム
JP2007200031A (ja) 組立ラインの品質管理方法およびその品質管理システム
JP2574726B2 (ja) 設備機械の異常検出装置
US8294575B2 (en) Reteachable non-contact switching circuit
JP2007076885A (ja) 位置案内システム
KR20120035794A (ko) 전장품 통전 검사 시스템 및 전장품 통전 검사 방법
JPH01256411A (ja) 物品仕分け設備
JP3886304B2 (ja) 自動販売機のサービス装置
JP2002356228A (ja) 配送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