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46900A - 박리 장치를 사용하는 폴리카보네이트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박리 장치를 사용하는 폴리카보네이트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46900A
KR20190046900A KR1020197008707A KR20197008707A KR20190046900A KR 20190046900 A KR20190046900 A KR 20190046900A KR 1020197008707 A KR1020197008707 A KR 1020197008707A KR 20197008707 A KR20197008707 A KR 20197008707A KR 20190046900 A KR20190046900 A KR 201900469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ycarbonate
gas
raw material
stripping
hydroxy compou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087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56274B1 (ko
Inventor
미하엘 스트렝
디터 클루스
말테 브락트
Original Assignee
이피씨 엔지니어링 앤드 테크놀로지스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피씨 엔지니어링 앤드 테크놀로지스 게엠베하 filed Critical 이피씨 엔지니어링 앤드 테크놀로지스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1900469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469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562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62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64/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n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64/40Post-polymerisation treatment
    • C08G64/406Purifying; Dry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00Distillation or related exchange processes in which liquids are contacted with gaseous media, e.g. stripp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00Distillation or related exchange processes in which liquids are contacted with gaseous media, e.g. stripping
    • B01D3/009Distillation or related exchange processes in which liquids are contacted with gaseous media, e.g. stripping in combination with chemical rea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00Distillation or related exchange processes in which liquids are contacted with gaseous media, e.g. stripping
    • B01D3/34Distillation or related exchange processes in which liquids are contacted with gaseous media, e.g. stripping with one or more auxiliary substances
    • B01D3/343Distillation or related exchange processes in which liquids are contacted with gaseous media, e.g. stripping with one or more auxiliary substances the substance being a gas
    • B01D3/346Distillation or related exchange processes in which liquids are contacted with gaseous media, e.g. stripping with one or more auxiliary substances the substance being a gas the gas being used for removing vapours, e.g. transport ga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37/00Preparation of compounds having hydroxy or O-metal groups bound to a carbon atom of a six-membered aromatic ring
    • C07C37/01Preparation of compounds having hydroxy or O-metal groups bound to a carbon atom of a six-membered aromatic ring by replacing functional groups bound to a six-membered aromatic ring by hydroxy groups, e.g. by hydrolysis
    • C07C37/04Preparation of compounds having hydroxy or O-metal groups bound to a carbon atom of a six-membered aromatic ring by replacing functional groups bound to a six-membered aromatic ring by hydroxy groups, e.g. by hydrolysis by substitution of SO3H groups or a derivative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39/00Compounds having at least one hydroxy or O-metal group bound to a carbon atom of a six-membered aromatic ring
    • C07C39/12Compounds having at least one hydroxy or O-metal group bound to a carbon atom of a six-membered aromatic ring polycyclic with no unsaturation outside the aromatic rings
    • C07C39/15Compounds having at least one hydroxy or O-metal group bound to a carbon atom of a six-membered aromatic ring polycyclic with no unsaturation outside the aromatic rings with all hydroxy groups on non-condensed rings, e.g. phenylphenol
    • C07C39/16Bis-(hydroxyphenyl) alkanes; Tris-(hydroxyphenyl)alka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68/00Preparation of esters of carbonic or haloformic acids
    • C07C68/08Purification; Separation; Stabilis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69/00Esters of carboxylic acids; Esters of carbonic or haloformic acids
    • C07C69/96Esters of carbonic or haloformic aci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64/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n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64/04Aromatic polycarbonates
    • C08G64/06Aromatic polycarbonates not containing aliphatic unsatur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64/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n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64/20General preparatory processes
    • C08G64/205General preparatory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apparatus used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64/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n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64/20General preparatory processes
    • C08G64/30General preparatory processes using carbon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64/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n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64/20General preparatory processes
    • C08G64/30General preparatory processes using carbonates
    • C08G64/307General preparatory processes using carbonates and phenol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Polyesters Or Polycarbonates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의 디아릴 카보네이트를 적어도 하나의 방향족 하이드록시 화합물과 반응시켜 폴리카보네이트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이는 먼저 혼합 장치에서 혼합된 후, 감압 하에 승온에서 적어도 하나의 반응기에서 반응시켜 폴리카보네이트를 형성하기 위해 원료 혼합물 용기에 원료 혼합물로서 배치되고, 디아릴 카보네이트 및 방향족 하이드록시 화합물의 혼합물은 원료 혼합물 용기에 들어가기 전에 박리 장치에서 불활성 기체와 역류 접촉하는 정제 공정을 거친다. 본 발명은 또한 원료 혼합물 플로우를 정제하기에 특히 적합한 박리 장치, 및 폴리카보네이트의 제조 방법에서 이러한 박리 장치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박리 장치를 사용하는 폴리카보네이트의 제조 방법
본 발명은 하나 이상의 디아릴 카보네이트와 하나 이상의 방향족 하이드록시 화합물의 반응에 의해 폴리카보네이트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여기서 디아릴 카보네이트 및 방향족 하이드록시 화합물은 먼저 혼합 장치에서 혼합된 후, 원료 혼합물로서 원료 혼합물 용기에 들어가서 이후 감압 및 승온 하에 하나 이상의 반응기에서 반응하여 폴리카보네이트를 형성하고, 디아릴 카보네이트 및 방향족 하이드록시 화합물의 혼합물은 원료 혼합물 용기에 들어가기 전에 정제를 거친다. 본 발명은 또한 원료 혼합물 스트림을 정제하기에 특히 적합한 박리 장치, 및 이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는 그 우수한 기계적 및 광학적 특성으로 인해 여러 적용을 갖는 경제학적으로 흥미로운 플라스틱이다. 그 적용은, 예를 들어, 자동차 산업, 의학 기술뿐만 아니라 포장 산업 외 여러 곳에서 확인될 수 있다.
현재, 산업적 규모의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의 제조는 표면 방법 또는 용융 방법에 의해 수행된다.
소위 표면 방법에서, 방향족 하이드록실을 포스겐, 수성 알칼리 및 폴리카보네이트에 대한 용매와, 촉매의 첨가에 의해 반응하게 된다. 폴리카보네이트는 용액 중에 수득되며, 이후 여러 정제 단계에서 농축된다.
용융 방법에서, 적어도 하나 방향족 하이드록시 화합물, 바람직하게는 비스페놀 A는 적어도 하나 디아릴 카보네이트, 바람직하게는 디페닐 카보네이트와 반응하여 폴리카보네이트를 얻는다. 상기 목적을 위해, 액체 원료 스트림은 승온 및 감압에서, 촉매의 첨가와 함께 혼합되어 반응하게 되어 폴리카보네이트를 형성한다.
상기 용융 에스테르 교환 방법에 따른 폴리카보네이트의 제조는, 예를 들어, 문헌["Schnell", Chemistry and Physics of Polycarbonates, Polymer Reviews, vol. 9, Interscience Publishers, New York, London, Sydney 1964; D.C. Prevorsek, B.T. Debona and Y. Kersten, Corporate Research Center, Allied Chemical Corporation, Moristown, New Jersey 07960, "Synthesis of Poly(ester)carbonate Copolymers" in Journal of Polymer Science, Polymer Chemistry Edition, vol. 19, 75-90 (1980); D. Freitag, U. Grigo, P.R. Mueller, N. Nouvertne, BAYER AG, "Polycarbonates" in Encyclopedia of Polymer Science and Engineering, vol. 11, second edition, 1988, pages 648-718; 및 마지막으로 Dres. U. Grigo, K. Kircher and P.R. Mueller "Polycarbonate" in Becker/Braun, Kunststoff-Handbuch, volume 3/1, Polycarbonate, Polyacetale, Polyester, Celluloseester, Carl Hanser Verlag Munich, Vienna 1992, pages 117-299]에 공지되고 기재되어 있다.
비스페놀 및 디아릴 카보네이트로부터 폴리카보네이트의 제조 동안 일어나는 반응을 하기 식으로 나타낸다:
Figure pct00001
일차적으로 더 소량의 유출물로 인해 그리고 독성 포스겐을 사용할 필요가 없으므로, 최근에 용융 방법이 점점 더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고품질 폴리카보네이트를 제조할 수 있기 위해서는, 용융 방법에 있어서 고순도의 원료를 사용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불순물에는, 한 편으로, 원료 제조 방법에서 분리되지 않은 성분, 예컨대 페놀, 아세톤, 물, 촉매 잔류물, 페닐 살리실레이트, 메톡시페닐 벤조에이트, 페닐 메틸 카보네이트, 디메틸 카보네이트가 포함될 수 있다. 다른 한 편, 불순물은 원료의 분해 반응의 결과로 생성될 수 있다.
여러 가능한 불순물의 결과, 복수의 반응 경로가 발생할 수 있고, 여기서 이들은 산물에 대한 구조적 변화를 유도할 수 있다. 이들에는 특히, 사슬 구조 및/또는 사슬 길이에 영향을 미치는 변화가 포함된다. 착색제에 의해 교정될 수 있는 변색과 대비되어, 사슬 구조 및/또는 사슬 길이의 변경은 이후 구제될 수 없는 변경되거나 열화된 유동학적 특성을 야기한다; 최악의 경우, 이들 변화는 제조업체에 있어서 제조의 완전 손실을 의미한다.
소정 오염물질이 중합체 사슬의 일부가 되어 분기화 및 가교에 의해 그 선형 구조를 변경시킬 수 있음은 널리 알려져 있다. 이어서 이러한 일탈은 바람직하지 못한 변경된 기계적 및 광학적 특성을 야기한다. 이러한 문제는 일반적으로 FRIES 재배열로 알려져 있으며, BPA 중 열 분해 반응에서 형성되는 물 및 다른 휘발성 화합물의 존재와 함께 특히 문제가 된다.
또한, 촉매 잔류물은 원료의 분해 또는 전환을 유도하는 바람직하지 못한 부반응을 야기할 수 있고, 이에 의해, 카보닐 및 하이드록실 성분 간에 요구되는 특정 몰 비를 변화시킨다. 카보닐 및 하이드록시 성분 간 몰 특정 비의 변화는 기능적 말단기의 부재로 인해 요망되는 사슬 길이가 확립될 수 없다는 사실로 이어질 수 있다. 또한, 부반응에 의해 생성되는 소정 불순물 또는 성분은 이들 성분이 중합체 사슬에 결합하지만 추가적인 사슬 성장을 위해 요구되는 작용기를 제공하지 못하므로, 사슬 성장을 정지시킬 수 있다.
따라서 고품질 폴리카보네이트를 제조하기 위해, 요구되는 순도의 원료를 확보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폴리카보네이트의 커다란 산업적 중요성으로 인해, 이를 위한 여러 해결 접근법이 존재한다.
US7112703 "Production of Bisphenol-A with reduced sulfur content"는 진공 증류, 특히 후속 탈착 공정에 의한 물의 분리를 기재한다.
특허 명세서 DE11201300204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Bisphenol A"는 휘발성 불순물, 예컨대 페놀, 아세톤 및 물이 증류에 의해 분리되는 BPA의 제조 방법을 기재한다.
특허 명세서 US8247619 "BPA and Polycarbonate made from renewable materials"에서는 불순물, 특히 페놀을 감소시키기 위한 박리에 의한 BPA의 정제가 기재된다.
특허 명세서 US7078573 "Dewatering of circulatory flows in the production of Bisphenol A"는 진공 하에 작동되는 증류 컬럼에 의한 BPA로부터의 물 분리를 기재한다.
EP0475893(B1)은 이를 폴리카보네이트의 제조를 위해 사용하기 위한, 분별 용융 결정화에 의해 비스페놀 A를 정제하는 방법을 기재한다.
JP5862728(B2)은 특정 하이드록시 성분을 선택하여 불순물에 대한 감도를 감소시키거나 산물 특성을 개선하려고 시도한다.
EP1964831(AI)은 디페닐 카보네이트의 제조 및 증류에 의한 후속 다단계 정제를 기재한다.
WO2014141107(A2)은 DPC 제조의 촉매 잔류물이 증기 및 후속 침전 반응에 의해 감소됨을 기재한다.
DE2439552에서, 하이드록시 및 디아릴 성분의 조기 혼합이 폴리카보네이트 품질을 개선함이 기재된다.
이전 용액 접근의 단점은 원료 정제 시설이 종종 원료 제조 플랜트의 일부이며, 이에 따라 폴리카보네이트 제조 플랜트로부터 공간적으로 분리된다는 점이다. 이러한 공간적 거리는 원료 제조 플랜트로부터 폴리카보네이트 제조 플랜트로의 수송에 기인할 수 있는 체류 시간을 생성하며, 여기서 불순물이 다시 형성될 수 있거나 새로 도입될 수 있다.
또 다른 단점은 각각의 원료 성분이 확립된 방법에서 별도로 정제되며, 이는 다시 중간 저장 용기를 필요로 하고, 바람직하지 못한 체류 시간을 유도한다는 것이다.
추가 단점은 주요 원료 부분의 물리적 상태의 단일 또는 다중 변화가 요구되므로, 확립된 정제 시스템이 종종 매우 에너지-집약적이라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선행 기술 방법의 상기 언급된 단점을 극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목적은 하나 이상의 디아릴 카보네이트와 하나 이상의 방향족 하이드록시 화합물의 반응에 의한 폴리카보네이트의 제조 방법에 의해 수행되며, 여기서 디아릴 카보네이트 및 방향족 하이드록시 화합물은 먼저 혼합 장치에서 혼합되고, 원료 혼합물로서 원료 혼합물 용기에 들어가서 이후 감압 및 승온 하에 하나 이상의 반응기에서 반응하여 폴리카보네이트를 형성하고, 디아릴 카보네이트 및 방향족 하이드록시 화합물의 혼합물은 원료 혼합물이 원료 혼합물 용기에 들어가기 전에 역류 공정으로 기체에 의해 정제되는 박리 장치를 통과한다.
놀랍게도, 폴리카보네이트 제조의 원료 혼합물로부터 불순물의 분리를 위해 기체 성분을 포함하는 역류 공정을 사용하는 것이 유리한 것으로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원료 품질은 에너지 및 설비 요건에 대해 비교적 적은 노력 또는 영향을 미치며 개선될 수 있다.
원료의 혼합은 개선된 물질 전달을 일으키며, 이에 따라 순수한 하이드록시 화합물 원료 스트림의 경우에 비해 더 적은 설비 및 에너지 소비로 이어진다. 또한, 혼합물의 고화점은 방향족 하이드록시 화합물 성분의 고화점보다 낮아, 증발을 보상하기 위한 추가적인 열 투입이 필요하지 않음을 의미한다. 또한, 디아릴 카보네이트 성분은 방향족 하이드록시 화합물 성분을 안정화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액체 디아릴 카보네이트 스트림, 바람직하게는 디페닐 카보네이트가 혼합 장치에서 액체 방향족 하이드록시 화합물 원료 스트림, 바람직하게는 비스페놀 A와 혼합된다. 이어서, 혼합된 원료 스트림이 박리 장치 내로 도입된다. 동시에, 기체 플로우는 역류가 생성될 수 있도록, 아래로부터 박리 장치 내로 도입된다. 바람직하게는, 박리 장치는 액체 스트림을 용기 단면에 걸쳐 가능한 최대로 분배하고, 액체 스트림 및 기체성 스트림의 접촉 면적을 증가시키는 작용을 하는 특정 시설을 포함한다. 박리 장치의 압력은 기체 출구 라인에서 조절 피팅을 통해 조절된다. 특히, 휘발성 불순물은 액체 스트림의 역류로의 기체성 스트림과의 접촉에 의해 기체성 스트림 내로 전달된다. 이어서 정제된 액체 스트림은 중량측정 수송에 의해 원료 혼합물 용기 내로 전달되며, 여기에서부터 폴리카보네이트 제조 플랜트의 반응기로 공급된다.
디아릴 카보네이트 원료 스트림은 원료 스트림이 가공되는, 별도의 정제 플랜트를 포함하고 또는 포함하지 않고, 디아릴 카보네이트 제조 플랜트로부터 직접 수득될 수 있다. 방향족 하이드록시 화합물의 원료 스트림은 별도의 정제 시스템을 포함하고 또는 포함하지 않고 고체로부터 미리 용융되었을 수 있거나, 별도의 정제 시스템을 포함하고 또는 포함하지 않고 액체 스트림으로의 제조 플랜트로부터 직접 제공되었을 수 있다. 개별 원료 스트림은 혼합 장치에 의해 상이한 비로 혼합될 수 있고, 전형적으로 디아릴 카보네이트 성분 대 하이드록시 성분의 몰 비는 1 초과이다. 그러나, 1 이하의 비도 방법의 요건에 따라 고려할 수 있다. 당연히, 추가 성분이 디아릴 카보네이트 액체 스트림 및/또는 방향족 하이드록시 화합물 원료 스트림 및/또는 혼합 원료 스트림에 첨가될 수 있다.
박리 장치는 전형적으로 1을 초과하는 높이 대 지름 비를 갖는다. 이상적으로, 박리 장치는 절연되며 가열된다. 가열은 열 오일 또는 증기 가열과 함께 이중 재킷에 의해, 또는 전기 트레이스 가열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특정 시설은 파이프로서, 패킹으로서, 트레이로서, 또는 게이지 패킹으로서 설계될 수 있다. 또한, 가열 요소가 시설의 일부일 수 있다.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본 발명의 방법은 박리 장치 내 원료 스트림의 정제가 감압 하에, 특히 700 mbar a 미만; 보다 바람직하게는 600 mbar a 미만의 압력 하에;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100 mbar a 미만의 압력 하에; 가장 바람직하게는 60 mbar a 미만, 특히 50 mbar a 내지 10 mbar a의 압력 하에 일어나도록 설계된다.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하나 이상의 불활성 기체가 기체로서 사용되도록 설계된다.
특히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질소가 기체로서 사용되도록 설계된다.
그러나, 다른 불활성 성분, 예컨대 CO2, 아르곤, 헬륨이 또한 단독으로 또는 조합으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기체 스트림을 용기 내로 공급하기 전에 이를 가열하거나 냉각하는 것을 고려할 수 있다. 기체 스트림이 용기를 빠져나간 후 처리하고 이를 재순환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기체성 스트림은 예상되는 오염 및/또는 액체 플로우, 또는 플랜트의 처리량에 따라 변화될 수 있다.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박리 장치 내 원료 스트림의 정제가 승온 하에; 특히 85℃ 초과 온도; 바람직하게는 120℃ 초과 온도; 더욱 바람직하게는 145℃ 초과 온도, 가장 바람직하게는 150℃ 내지 165℃의 온도에서 일어나도록 설계된다.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박리 장치 내 원료 스트림의 정제가 승온 및 감압 하에, 특히 150℃ 내지 165℃의 온도에서 그리고 50 mbar a 내지 10 mbar a의 압력에서 일어나도록 설계된다.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박리 장치 내에서 ㎏/h로 표현되는 액체 대 기체성 물질 플로우의 비가 100 초과, 바람직하게는 1,000 초과, 보다 바람직하게는 2,500 초과, 더욱 바람직하게는 3,000 내지 113,000이도록 설계된다.
그러나, 당업자는 액체 스트림 및 기체 스트림 간 상관관계가 존재할 뿐만 아니라, 액체 스트림 및 기체 스트림 내 불순물 간 상관관계가 존재하며, 이에 따라 기체 플로우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추가로 고려해야 한다.
특히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박리 장치가 구조화된 패킹을 갖는 컬럼 구역을 포함하도록 설계된다.
컬럼 구역 내 구조화된 패킹은 액체 및 기체성 스트림 간 접촉 면적을 증가시키며, 이에 따라 정제의 효율을 증가시킨다.
특히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박리 장치에 사전가열 구역이 포함되도록 설계되며, 이는 원료 혼합물 스트림 방향으로 컬럼 구역에 대해 하류이다.
이러한 컬럼 구역 하류의 사전가열 구역은 컬럼 구역 내 기체 스트림이 액체 원료 스트림과 집중적으로 접촉하기 전에 기체 스트림의 사전가열이 일어난다는 장점을 갖는다. 박리 장치는 전형적으로 진공 하에 작동되며, 공급 라인에서의 기체 압력에 대해 기체 스트림, 전형적으로 질소의 강력한 완화가 일어난다는 사실로 인해 팽창된 기체의 심하게 과도한 냉각이 배제되므로, 이러한 사전가열 구역은 정제 방법의 효율을 유의미하게 증강시킬 수 있다.
특히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박리 장치의 컬럼 구역이 가열되도록 설계된다. 컬럼 구역의 가열도 정제 방법의 효율을 증강시킬 수 있다.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기체가 원료 혼합물 용기를 통해 박리 장치 내로 도입되도록 설계된다. 원료 스트림 및 기체 스트림 간 접촉이 박리 장치의 하류에서 일어날 것이므로, 원료 혼합물 용기를 통한 기체 스트림의 공급은 특히 우수한 결과로 이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소정 정제 효과로 이어지며, 또한 기체 스트림의 사전가열을 유도한다.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화학식 HO-Z-OH의 디하이드록시디아릴알칼이 방향족 하이드록시 화합물로서 사용되도록 설계되며, 식 중 Z는 하나 이상의 방향족 기를 함유하는 6개 내지 30개 탄소 원자를 갖는 2가 유기 잔기이다.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디-(C6 내지 C14 아릴) 카본산 에스테르가 디아릴 카보네이트로 사용되도록 설계된다.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비스페놀 A가 방향족 하이드록시 화합물로 사용되고 디페닐 카보네이트가 디아릴 카보네이트로서 사용되도록 설계된다.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본 발명의 방법은 원료 스트림을 혼합하기 위한 혼합 장치가 관의 일부로서 소위 정적 혼합기로 구성되도록 설계된다.
또한 특히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원료 스트림을 혼합하기 위한 혼합 장치가 원료 스트림이 연속적으로 또는 회분식으로 공급되고 혼합되는 원료 혼합 용기로 구성되도록 설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또한 특히 폴리카보네이트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에서 역류 공정으로 기체에 의해 원료 혼합물 스트림을 정제하기 위한, 박리 장치에 관한 것이며, 여기서 박리 장치는 구조화된 패킹을 갖는 컬럼 구역 및 기체를 사전가열하기 위한 사전가열 구역을 갖는다.
이러한 박리 장치는 특히, 폴리카보네이트의 제조 방법에서의 용도를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박리 장치는 전형적으로 1 초과의 높이 대 지름 비를 갖는다. 이상적으로, 박리 장치는 절연되고 가열된다. 가열은 열 오일 또는 증기 가열을 포함하는 이중 재킷에 의해 또는 전기 트레이스 가열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특정 시설은 파이프로서, 패킹으로서, 트레이로서 또는 게이지 패킹으로서 설계될 수 있다. 이상적으로, 구조화된 게이지 패킹이 사용된다. 또한, 가열 요소가 시설의 일부일 수 있다.
특히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박리 장치는 이것이 용접 립 씰을 통해 연결되고 진공-밀폐 방식으로 밀봉될 수 있도록 설계된다.
용접 립 씰을 통한 박리 장치의 연결은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흑연 씰에 비해 장점을 제공하는 것을 나타났다. 이는 특히 박리 장치가 전형적으로 진공 하에 작동되는 경우에 해당된다.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박리 장치는 컬럼 구역 내 하우징 및 구조화된 패킹이 스테인리스 스틸 904L, 또는 더 고품질로 제조되도록 설계된다. 특히 904L 또는 더 고품질의 스테인리스 스틸의 사용은 박리 장치의 증가된 내구성 및 부식 방지 및 원료의 변색 감소를 유도한다.
본 발명의 구현은 액체 원료 스트림의 단회 정제로 제한되지 않는다. 당연히, 원료 혼합물을 용기를 통해 다음 원료 용기로부터 연속식으로 또는 회분식으로 순환시키는 것을 고려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도식적 표시를 나타낸다. 도식적 표시는 박리 장치의 컬럼 구역 내 역류 정제의 원리를 나타낸다.
Figure pct00002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특히 바람직한 구현예를 도 2에 나타낸다:
Figure pct00003

개별 원료 스트림은 각각의 제조 플랜트(50) 및 (51)로부터 저장 용기(52) 및 (53) 내로 공급된다. 이어서 저장 용기로부터 공급된 원료 스트림이 특정 몰 비로 조합되어 혼합 장치(54)와 혼합된다. 이어서 원료 혼합물은 박리 장치(55) 내로 공급된다. 동시에, 질소 공급(57)으로부터의 질소가 아래로부터 박리 장치(55) 내로 역류 공급된다. 불순물은 액체 역류와의 접촉에 의해 질소 스트림에 축적된다. 농축된 기체 스트림은 헤드에서 박리 장치를 떠나 진공 시스템(56)으로 보내진다. 정제된 원료 스트림은 박리 장치(55)의 바닥에서 원료 혼합물 용기(58) 내로 배출된다. 원료 혼합물은 원료 펌프(59)에 의해 제1 반응 시스템(60)으로 공급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특히 바람직한 구현예를 나타내며, 여기서 박리 장치는 사전가열 구역을 가지며, 질소 형태의 기체는 원료 혼합물 용기를 통해 도입된다.

Claims (17)

  1. 하나 이상의 디아릴 카보네이트와 하나 이상의 방향족 하이드록시 화합물의 반응에 의해 폴리카보네이트를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디아릴 카보네이트 및 방향족 하이드록시 화합물이 먼저 혼합 장치에서 혼합되고, 원료 혼합물로서 원료 혼합물 용기에 들어가서 이후 감압 및 승온 하에 하나 이상의 반응기에서 반응하여 폴리카보네이트를 형성하며, 상기 디아릴 카보네이트 및 방향족 하이드록시 화합물의 혼합물은 박리 장치를 통과하고, 상기 원료 혼합물은 상기 원료 혼합물 용기에 들어가기 전에 역류 공정에서 기체에 의해 정제되는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박리 장치 내에서 원료 스트림의 정제는 감압 하에, 특히 700 mbar a 미만의 압력 하에, 보다 바람직하게는 600 mbar a 미만의 압력 하에, 더욱 바람직하게는 100 mbar a 미만의 압력 하에, 가장 바람직하게는 60 mbar a 미만, 특히 50 mbar a 내지 10 mbar a의 압력 하에 일어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불활성 기체가 기체로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질소가 기체로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박리 장치 내에서 ㎏/h로 표현되는 액체 대 기체성 물질 플로우의 비는 100 초과, 바람직하게는 1,000 초과, 보다 바람직하게는 2,500 초과, 더욱 바람직하게는 3,000 내지 113,0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박리 장치는 구조화된 패킹을 갖는 컬럼 구역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박리 장치는 원료 혼합물 스트림 방향으로 컬럼 구역에 대해 하류인 사전가열 구역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7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박리 장치의 컬럼 구역은 가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8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체는 상기 원료 혼합물 용기를 통해 상기 박리 장치 내로 도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9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화학식 HO-Z-OH의 디하이드록시디아릴알칸이 상기 방향족 하이드록시 화합물로서 사용되며, 상기 Z는 하나 이상의 방향족 기를 함유하는 6개 내지 30개 탄소 원자를 갖는 2가 유기 잔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1.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0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디-(C6 내지 C14 아릴) 카본산 에스테르가 상기 디아릴 카보네이트로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2.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1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비스페놀 A가 방향족 하이드록시 화합물로서 사용되고, 디페닐 카보네이트가 디아릴 카보네이트로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3. 특히 폴리카보네이트의 제조 방법에서 역류 공정에서 기체에 의한 원료 혼합물 스트림을 정제하기 위한 박리 장치로서, 상기 박리 장치는 구조화된 패킹을 갖는 컬럼 구역 및 기체를 사전가열하기 위한 사전가열 구역을 포함하는 박리 장치.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컬럼 구역은 가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리 장치.
  15. 청구항 13 또는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박리 장치는 용접 립 씰을 통해 연결되고 진공-밀폐 밀봉될 수 있도록 설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리 장치.
  16. 청구항 13 내지 청구항 1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컬럼 구역 내의 하우징 및 구조화된 패킹은 스테인리스 스틸 904L 또는 더 고품질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리 장치.
  17. 폴리카보네이트의 제조 방법에서의 청구항 13 내지 청구항 16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박리 장치의 용도.
KR1020197008707A 2016-08-29 2017-08-11 박리 장치를 사용하는 폴리카보네이트의 제조 방법 KR10235627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6116078.4 2016-08-29
DE102016116078.4A DE102016116078B3 (de) 2016-08-29 2016-08-29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Polycarbonats unter Einsatz einer Strippvorrichtung
PCT/EP2017/070430 WO2018041602A1 (de) 2016-08-29 2017-08-11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polycarbonats unter einsatz einer strippvorrichtun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6900A true KR20190046900A (ko) 2019-05-07
KR102356274B1 KR102356274B1 (ko) 2022-01-28

Family

ID=597026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08707A KR102356274B1 (ko) 2016-08-29 2017-08-11 박리 장치를 사용하는 폴리카보네이트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10881981B2 (ko)
EP (1) EP3504182B1 (ko)
KR (1) KR102356274B1 (ko)
CN (1) CN109641830B (ko)
DE (1) DE102016116078B3 (ko)
ES (1) ES2969582T3 (ko)
HU (1) HUE065091T2 (ko)
PL (1) PL3504182T3 (ko)
PT (1) PT3504182T (ko)
RU (1) RU2752321C2 (ko)
WO (1) WO2018041602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6284B1 (ko) 2019-11-29 2020-02-11 장현동 발포 폴리카보네이트 제품의 제조 장치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57827A (ko) * 2001-01-05 2002-07-12 빌프리더 하이더 폴리카보네이트의 제조 방법
US6545187B1 (en) * 2001-09-19 2003-04-08 General Electric Company Production of low-particulate bisphenol and use thereof in the manufacturing of polycarbonate
KR20070030719A (ko) * 2003-08-21 2007-03-16 미쓰비시 가가꾸 가부시키가이샤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의 제조 방법
US20110105708A1 (en) * 2003-11-26 2011-05-05 Abraham Benderly Process for manufacturing reduced water content (meth)acrylic acid
US8022240B2 (en) * 2007-11-20 2011-09-20 Bayer Materialscience Ag Processes for purifying diaryl carbonates
WO2016001164A1 (de) * 2014-07-03 2016-01-07 Covestro Deutschland Ag Verfahren zur reinigung von polycarbonatpolyolen und reinigungsvorrichtung hierfür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439552A1 (de) 1974-08-17 1976-02-26 Bayer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bisphenol-a-polycarbonat nach dem schmelzumesterungsverfahren
US4931146A (en) 1988-04-05 1990-06-05 Mitsui Toatsu Chemicals, Inc. Process for obtaining high-purity bisphenol A
CN1038081A (zh) * 1989-03-30 1989-12-20 黑龙江省友谊糖厂 一种用制糖滤泥湿法制水泥方法
US5243093A (en) 1990-09-07 1993-09-07 General Electric Company Process and composition
DE19903459A1 (de) * 1999-01-28 2000-08-03 Basf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hochreinem Phytantriol
DE102004005726A1 (de) 2004-02-05 2005-08-25 Bayer Materialscience Ag Entwässerung von Kreislaufströmen bei der Herstellung von Bisphenol A
DE102004005723A1 (de) 2004-02-05 2005-08-25 Bayer Materialscience Ag Herstellung von Bisphenol A mit verringertem Schwefelgehalt
AU2005252558B2 (en) * 2004-06-14 2007-09-20 Asahi Kasei Chemicals Corporation Process for producing aromatic polycarbonate of high quality
WO2006030724A1 (ja) * 2004-09-17 2006-03-23 Asahi Kasei Chemicals Corporation 副生アルコール類の工業的分離方法
US20080045755A1 (en) * 2004-09-21 2008-02-21 Shinsuke Fukuoka Industrial Process For Separating Out By-Produced Alcohol
CN101341114B (zh) 2005-12-19 2012-07-25 旭化成化学株式会社 工业规模制备高纯度碳酸二苯酯的方法
EP2135656A1 (en) * 2008-05-30 2009-12-23 Rohm and Haas Company Method for production of purified (Meth)acrylic acid
DE102008029514A1 (de) * 2008-06-21 2009-12-24 Bayer Materialscience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Diarylcarbonaten aus Dialkylcarbonaten
JP5875747B2 (ja) 2008-11-28 2016-03-02 三菱化学株式会社 ポリカーボネート原料用ジヒドロキシ化合物の保存方法
US8247619B2 (en) 2008-12-11 2012-08-21 Sabic Innovative Plastics Ip B.V. BPA and polycarbonate made from renewable materials
PL217484B1 (pl) 2012-04-16 2014-07-31 Inst Ciężkiej Syntezy Organicznej Blachownia Sposób otrzymywania bisfenolu A
KR102041268B1 (ko) 2013-03-15 2019-11-06 사빅 글로벌 테크놀러지스 비.브이. 고품질 폴리카보네이트를 제조하기 위한 디페닐 카보네이트의 정제 방법
JP2016536137A (ja) * 2013-09-19 2016-11-24 ダウ グローバル テクノロジーズ エルエルシー リッチ/リーン溶剤再生のためのストリッパー供給構成の最適化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57827A (ko) * 2001-01-05 2002-07-12 빌프리더 하이더 폴리카보네이트의 제조 방법
US6545187B1 (en) * 2001-09-19 2003-04-08 General Electric Company Production of low-particulate bisphenol and use thereof in the manufacturing of polycarbonate
KR20070030719A (ko) * 2003-08-21 2007-03-16 미쓰비시 가가꾸 가부시키가이샤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의 제조 방법
US20110105708A1 (en) * 2003-11-26 2011-05-05 Abraham Benderly Process for manufacturing reduced water content (meth)acrylic acid
US8022240B2 (en) * 2007-11-20 2011-09-20 Bayer Materialscience Ag Processes for purifying diaryl carbonates
WO2016001164A1 (de) * 2014-07-03 2016-01-07 Covestro Deutschland Ag Verfahren zur reinigung von polycarbonatpolyolen und reinigungsvorrichtung hierfü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6284B1 (ko) 2019-11-29 2020-02-11 장현동 발포 폴리카보네이트 제품의 제조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RU2752321C2 (ru) 2021-07-26
RU2019106199A (ru) 2020-09-29
CN109641830B (zh) 2022-05-03
DE102016116078B3 (de) 2018-01-04
EP3504182B1 (de) 2023-11-08
WO2018041602A1 (de) 2018-03-08
US20190209946A1 (en) 2019-07-11
ES2969582T3 (es) 2024-05-21
PT3504182T (pt) 2024-02-09
HUE065091T2 (hu) 2024-04-28
US10881981B2 (en) 2021-01-05
CN109641830A (zh) 2019-04-16
EP3504182A1 (de) 2019-07-03
KR102356274B1 (ko) 2022-01-28
RU2019106199A3 (ko) 2020-09-29
PL3504182T3 (pl) 2024-04-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55814B1 (ko) 메틸렌디(페닐아민) 및 메틸렌디(페닐 이소시아네이트)의제조 방법
EP1801095B1 (en) Process for production of high-purity diaryl carbonate
KR20070039962A (ko) 고순도 디페닐카보네이트의 공업적 제조 방법
KR20200006575A (ko) 정제된 형태의 메탄설폰산을 회수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KR20150021114A (ko) 폴리카보네이트 생산 방법 및 설비
RO118533B1 (ro) Procedeu de obtinere a bisfenolului a ultrapur si utilizarea acestuia
KR102356274B1 (ko) 박리 장치를 사용하는 폴리카보네이트의 제조 방법
KR101955064B1 (ko)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의 제조 방법 및 제조 설비
AU2016339129B2 (en)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monochloroacetic acid
KR101632771B1 (ko) 폴리카보네이트의 제조 방법
EP3484843B1 (en) Manufacture of bisphenol a
US6414198B1 (en) Method for producing bisphenol-A
JP6625613B2 (ja) ジアリールカーボネート類の製造方法
EP3679082B1 (en) A method of recovering phenol in a melt polycarbonate polymerization
DE19514946A1 (de)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6-Oxo-(6H)-dibenz-[c,e][1,2]-oxaphosphorinen
US4014755A (en) Method of refining pyromellitic acid dianhydride
JP5256687B2 (ja) ジアリールカーボネートの製造方法
WO2013157972A2 (en) Method of producing bisphenol a
EP1947077A1 (en) Process for producing bisphenol a with satisfactory hue
JP4122269B2 (ja) 芳香族ポリカーボネートの製造方法
WO2011099879A1 (en) A method to obtain polycarbonate-grade bisphenol 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