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38913A - 스냅 버튼 설치용 설치 부재측 다이 및 설치 부재 다리부 교정 방법 - Google Patents

스냅 버튼 설치용 설치 부재측 다이 및 설치 부재 다리부 교정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38913A
KR20190038913A KR1020197007442A KR20197007442A KR20190038913A KR 20190038913 A KR20190038913 A KR 20190038913A KR 1020197007442 A KR1020197007442 A KR 1020197007442A KR 20197007442 A KR20197007442 A KR 20197007442A KR 20190038913 A KR20190038913 A KR 201900389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ring
passing direction
pressing
mounting
p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074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07441B1 (ko
Inventor
히로아키 가나자와
류사쿠 와타나베
Original Assignee
와이케이케이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와이케이케이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와이케이케이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900389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389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074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074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HAPPLIANCES OR METHODS FOR MAKING CLOTHES, e.g. FOR DRESS-MAKING OR FOR TAILOR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41H37/00Machines, appliances or methods for setting fastener-elements on garments
    • A41H37/04Setting snap faste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39/00Application of procedures in order to connect objects or parts, e.g. coating with sheet metal otherwise than by plating; Tube expanders
    • B21D39/02Application of procedures in order to connect objects or parts, e.g. coating with sheet metal otherwise than by plating; Tube expanders of sheet metal by folding, e.g. connecting edges of a sheet to form a cylinder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HAPPLIANCES OR METHODS FOR MAKING CLOTHES, e.g. FOR DRESS-MAKING OR FOR TAILOR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41H37/00Machines, appliances or methods for setting fastener-elements on garments
    • A41H37/001Method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7/00Press-button or snap fasteners
    • A44B17/0011Press-button fasteners in which the elastic retaining action is obtained by a spring working in the plane of the faste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JFORGING; HAMMERING; PRESSING METAL; RIVETING; FORGE FURNACES
    • B21J15/00Riveting
    • B21J15/02Riveting procedures
    • B21J15/04Riveting hollow rivets mechanically
    • B21J15/046Riveting hollow rivets mechanically by edge-cur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JFORGING; HAMMERING; PRESSING METAL; RIVETING; FORGE FURNACES
    • B21J15/00Riveting
    • B21J15/10Riveting machines
    • B21J15/36Rivet sets, i.e. tools for forming heads; Mandrels for expanding parts of hollow rivet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300/00Details of garments
    • A41D2300/30Closures
    • A41D2300/324Closures using snap fastener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7/00Press-button or snap fasteners
    • A44B17/0041Press-button fasteners consisting of two pa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lide Fasteners, Snap Fasteners, And Hook Fasteners (AREA)

Abstract

설치 부재측 다이(40)는, 교정 부재(61)와, 압박 부재(63)와, 교정 부재와 압박 부재 사이에 배치되는 제1 스프링(62)을 구비하고, 교정 부재는, 설치 부재(20)의 다리부(22) 중 적어도 하나가 정상 위치보다 반경 방향 내측으로 구부러져 있는 비정상 위치에 있는 경우에, 설치 부재(20)의 개구(23)를 통과할 때에 비정상 위치에 있는 다리부(22b)를 정상 위치로 교정하고, 압박 부재가 통과 방향에 있어서의 최전방 위치에 있을 때, 교정 부재는, 제1 스프링에 의해 천(1)과 접촉 가능한 통과 방향에 있어서의 최전방 위치까지 도달하는 스냅 버튼 설치용 설치 부재측 다이.

Description

스냅 버튼 설치용 설치 부재측 다이 및 설치 부재 다리부 교정 방법
본 발명은, 스냅 버튼 설치용 설치 부재측 다이 및 설치 부재 다리부 교정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수형 스냅 또는 암형 스냅인 스냅 부재와 복수의 다리부를 갖는 설치 부재로 이루어지는 스냅 버튼을 의류 등의 천에 설치할 때, 설치 부재가 세트되는 측의 다이와, 설치 부재의 다리부의 반경 방향 내측의 구부러짐을 교정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어 유아복 등에는, 서로 탈착되는 한 쌍의 수형 스냅 및 암형 스냅(스냅 부재)과 설치 부재로 이루어지는 스냅 버튼이 다용되고 있다. 도 1은, 스냅 부재로서의 암형 스냅(10)을, 복수의 다리부(22)를 구비하는 금속제의 설치 부재(20)를 사용하여 유아복 등의 천(1)에 설치하기 직전의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2는, 암형 스냅(10)을 천(1)에 설치한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암형 스냅(10)은, 예를 들어 금속제의 판을 드로잉 가공하거나 하여 형성되고, 수형 스냅(도시하지 않음)의 결합 돌기를 수용하여 이것과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기 위한 중앙 통부(11)와, 중앙 통부(11)의 하단(암형 스냅(10) 및 설치 부재(20)에 대해, 상하는 도 1 내지 도 4의 지면에 기초함)으로부터 반경 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는 플랜지(14)를 구비한다. 중앙 통부(11)는, 선단으로부터 반경 방향 내측으로 되접힌 내측 팽출부(12)와, 복수의 슬릿(13)을 포함한다. 복수의 슬릿(13)은, 중앙 통부(11)의 주위 방향으로 나열되도록 배치된다. 또한, 복수의 슬릿(13) 각각은, 내측 팽출부(12)의 선단으로부터 중앙 통부(11)의 하방까지 형성된다. 플랜지(14)는, 중앙 통부(11)의 하단으로부터 반경 방향 외측으로 상방으로 연장되고, 이어서 하방이면서 반경 방향 내측으로 C자 형상으로 구부러져 종단된다. 플랜지(14)의 말단(14a)과, 반경 방향 내측의 플랜지 부분(14b)(플랜지(14)에 있어서의 중앙 통부(11)의 하단과 연결되는 기단부(14b)) 사이에는, 환상의 간격(15)이 형성된다. 이 간격(15)은, 후술하지만 천(1)을 관통한 설치 부재(20)의 다리부(22)를 플랜지(14)의 내부에 수용하는 다리부 수용구(15)가 된다.
설치 부재(20)는, 예를 들어 금속제의 판을 드로잉 가공하거나 하여 형성되고, 원환상의 기부(21)와, 기부(21)의 반경 방향 내측 단부로부터 연속적으로 상방으로 기립하는, 일례로서 5개의 다리부(22)를 구비한다. 기부(21)는, 원형의 개구(23)를 규정한다. 각 다리부(22)는, 기부(21)로부터 선단(22a)으로 폭이 점차 좁아지도록 연장되어, 선단(22a)은 예리해진다. 암형 스냅(10)의 천(1)에의 설치 시에는, 일반적으로 상방 다이(30)에 암형 스냅(10)을 보유 지지시키고, 하방 다이(설치 부재측 다이)(40)에 설치 부재(20)를 세트하고, 또한 설치 부재(20)의 상방에 천(1)을 배치한 후, 상방 다이(30)를 하방 다이(40)를 향해 강하시킨다. 이에 의해, 설치 부재(20)의 각 다리부(22)는 천(1)을 상방으로 관통하고, 이어서 암형 스냅(10)의 다리부 수용구(15)로부터 플랜지(14)의 내부로 들어가, 플랜지(14)의 내측면을 따라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만곡 형상으로 코킹된다. 이에 의해, 암형 스냅(10)이 천(1)에 고정된다. 도 2는, 암형 스냅(10)이 천(1)에 정상적으로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다. 도시는 하지 않지만, 수형 스냅도 암형 스냅(10)과 마찬가지의 플랜지를 포함하고, 즉, 수형 스냅도 다리부 수용구(15)를 포함하는 플랜지(14)를 갖는다. 그 때문에, 수형 스냅도 동일한 설치 부재(20)를 사용하여 천에 설치된다.
특히 유아복에 있어서는, 스냅 버튼이 무언가의 원인으로 정상적으로 설치되어 있지 않으면, 아기의 피부에 상처를 입힐 우려가 있어, 이러한 불량 설치가 발생하지 않도록 만전을 기할 필요가 있다. 스냅 버튼이 정상적으로 설치되지 않는 일 양태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설치 부재(20)의 하나 이상 다리부(22b)가 도 1에 도시한 정상 위치보다 반경 방향 내측으로 구부러져 있는 경우에 일어날 수 있다. 이 경우, 이러한 다리부(22b)는, 천(1)에의 암형 스냅(10)의 설치 시에 있어서,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천(1)을 상방으로 관통한 후(또는 관통하지 않고), 암형 스냅(10)의 다리부 수용구(15)로부터 플랜지(14) 내로 들어가는 일 없이, 중앙 통부(11)의 하단을 넘어 암형 스냅(10)의 중심을 향해 반경 방향 내측으로 구부러진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바와 같은 설치 부재의 다리부가 정상 위치보다 반경 방향 내측으로 구부러져 있는 경우에 있어서도 스냅 버튼을 정상적으로 설치할 수 있는 스냅 버튼 설치용 설치 부재측 다이 및 설치 부재 다리부 교정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하면, 개구를 규정하는 환상의 기부와 기부로부터 연장되는 복수의 다리부를 갖는 설치 부재에 의해 스냅 부재를 천에 설치할 때에 상기 설치 부재가 세트되는 스냅 버튼 설치용 설치 부재측 다이이며, 상기 설치 부재를 보유 지지시키는 보유 지지부와, 상기 보유 지지부에 보유 지지된 상기 설치 부재의 기부의 개구에 통과시키기 위한 교정 부재와, 상기 교정 부재를, 상기 설치 부재의 기부의 개구에 통과시키는 통과 방향으로 압박하여 이동시키기 위한 압박 부재와, 상기 교정 부재와 상기 압박 부재 사이에 배치되는 제1 스프링을 구비하고, 상기 교정 부재는, 상기 설치 부재의 다리부 중 적어도 하나가 정상 위치보다 반경 방향 내측으로 구부러져 있는 비정상 위치에 있는 경우에, 상기 설치 부재의 개구를 통과할 때에 상기 비정상 위치에 있는 다리부를 정상 위치로 교정할 수 있고, 상기 압박 부재가 상기 통과 방향에 있어서의 최전방 위치에 있을 때, 상기 교정 부재는, 상기 제1 스프링에 의해 상기 천과 접촉 가능한 상기 통과 방향에 있어서의 최전방 위치까지 도달하는 스냅 버튼 설치용 설치 부재측 다이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관한 스냅 버튼 설치용 설치 부재측 다이에서는, 압박 부재에 의해 교정 부재를 통과 방향으로 압박하여 설치 부재의 기부의 개구에 통과시킴으로써, 비정상 위치에 있는 다리부를 정상 위치로 교정할 수 있다. 즉, 비정상 위치에 있는 다리부는 교정 부재에 의해 반경 방향 외측을 향해 교정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압박 부재가 통과 방향에 있어서의 최전방 위치까지 오면, 교정 부재는, 제1 스프링에 의해 천과 접촉 가능한 통과 방향에 있어서의 최전방 위치까지 도달한다. 이 점에 대해, 설치 부재의 모든 다리부가 비정상 위치에 있지 않은 경우(i)와, 설치 부재의 하나 이상 다리부가 비정상 위치에 있는 경우(ii)로 나누어 설명한다. (i)의 경우, 압박 부재는 제1 스프링을 통해 교정 부재를 설치 부재의 개구에 통과시켜, 압박 부재가 통과 방향에 있어서의 최전방 위치에 도달하는 동시에, 교정 부재도 그 최전방 위치에 도달한다. 교정 부재는 그 최전방 위치(도 12에 있어서 최상방 위치)에 있어서, 천(1)과 접촉 가능하여, 즉, 교정 부재의 선단과 천 사이에 간극이 발생하지 않는다. (ii)의 경우, 압박 부재가 제1 스프링을 통해 교정 부재를 통과 방향으로 압박하면, 교정 부재가 설치 부재의 비정상 위치에 있는 다리부와 접하여 저항을 받는다. 이 저항에 의해, 교정 부재는 통과 방향으로의 이동이 일시적으로 정지하거나 또는 이동 속도가 저하된다. 이에 의해, 제1 스프링이 일시적으로 압축된다. 이어서, 압박 부재가 통과 방향에 있어서의 최전방 위치에 도달할 때, 교정 부재가 설치 부재의 개구를 통과한다(도 10 참조). 이에 의해, 설치 부재의 비정상 위치에 있는 다리부가 정상 위치로 교정되고, 이것에 수반하여, 압축되어 있던 제1 스프링이 복원되어 교정 부재를 상기 (i)와 동일한 최전방 위치까지 이동시킨다(도 11 및 도 12 참조). 교정 부재는 그 최전방 위치에 있어서 천(1)과 접촉하여, 교정 부재의 선단과 천 사이에 간극은 없다. 이에 의해, 설치 부재에 있어서 정상 위치로 교정된 다리부가 스프링백에 의해 반경 방향 내측으로 되돌아가려고 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상기 교정 부재는, 상기 제1 스프링의 일단부측을 수용하는 제1 스프링 수용부를 갖고, 상기 압박 부재는, 상기 제1 스프링의 타단부측을 수용하는 제2 스프링 수용부를 갖고, 상기 교정 부재가 상기 통과 방향과는 역방향으로 힘을 받고 있지 않은 비부하 상태에 있어서, 상기 제1 스프링은 상기 통과 방향에 있어서 가장 신장되는 초기 상태에 있고, 또한 상기 교정 부재와 상기 압박 부재 사이에 간극이 존재한다. 여기서, 「상기 교정 부재가 상기 통과 방향과는 역방향으로 힘을 받고 있지 않은 비부하 상태」라 함은, 교정 부재가, 통과 방향으로의 이동을 방해하는 저항이나 통과 방향과는 역방향의 하중을 받고 있지 않은 상태를 말하며, 예를 들어 교정 부재가 설치 부재의 비정상 위치에 있는 다리부와 접하여 저항을 받거나, 설치 부재의 코킹 시에 상방 다이측으로부터 통과 방향과는 역방향의 힘을 받거나 하고 있지 않은 상태이다. 이 교정 부재의 비부하 상태에 있어서 제1 스프링은 통과 방향에 있어서 가장 신장되는 초기 상태에 있고, 또한 교정 부재와 압박 부재 사이에 간극이 존재한다. 교정 부재가 통과 방향과는 역방향의 저항이나 힘을 받으면, 제1 스프링은, 교정 부재와 압박 부재 사이에서 초기 상태로부터 통과 방향으로 압축되고, 이것에 수반하여, 교정 부재와 압박 부재 사이의 간극도 통과 방향으로 축소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상기 교정 부재는, 상기 비정상 위치에 있는 다리부에 접하면, 상기 통과 방향으로의 이동이 일시적으로 정지하거나 또는 이동 속도가 저하되고, 이에 의해 상기 제1 스프링이 상기 통과 방향에 있어서 압축됨과 함께, 상기 간극이 축소된다. 교정 부재가 설치 부재의 비정상 위치에 있는 다리부에 접하면, 이것이 저항이 되어 교정 부재의 통과 방향으로의 이동이 일시 정지 상태로 되거나 또는 이동 속도가 느려진다. 이에 비해, 압박 부재의 통과 방향으로의 이동은 계속되므로, 교정 부재와 압박 부재 사이에서 제1 스프링이 초기 상태로부터 압축되고, 또한 교정 부재와 압박 부재 사이의 간극도 축소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상기 제1 스프링이 상기 통과 방향에 있어서 가장 압축된 최대 압축 상태가 되면, 상기 압박 부재가, 상기 통과 방향으로의 이동이 일시적으로 정지되어 있었던 상기 교정 부재를 상기 통과 방향으로 강제적으로 압박하여 상기 설치 부재의 개구에 통과시킨다. 교정 부재가 설치 부재의 비정상 위치에 있는 다리부에 접하여, 교정 부재의 통과 방향으로의 이동이 일시 정지 상태가 된 경우, 이동을 계속하는 압박 부재와의 사이에서 제1 스프링이 압축되지만, 이 스프링의 압축이 최대가 된 경우(최대 압축 상태), 통과 방향으로 계속 이동하는 압박 부재가 최대 압축 상태인 제1 스프링을 통해 교정 부재를 강제적으로 통과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이에 의해, 교정 부재의 일시 정지 상태는 해제되고, 교정 부재가 설치 부재의 개구를 통과하여, 비정상 위치에 있는 다리부를 정상 위치로 교정한다. 제1 스프링의 최대 압축 상태로서, 제1 스프링 자체가 그 이상 압축될 수 없는 상태에 있는 경우와, 교정 부재의 제1 스프링 수용부에 일단부측이, 압박 부재의 제2 스프링 수용부에 타단부측이 수용된 제1 스프링에 대해, 교정 부재와 압박 부재가 서로 접함으로써, 제1 스프링이 그 이상 압축될 여지가 없는 상태에 있는 경우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상기 제1 스프링의 상기 최대 압축 상태에 있어서, 상기 간극은 없어지고, 상기 교정 부재와 상기 압박 부재가 접촉한다. 이 경우, 교정 부재가 설치 부재의 비정상 위치에 있는 다리부에 접하여 일시 정지 상태가 되었을 때, 제1 스프링이 최대 압축 상태가 되면, 교정 부재와 압박 부재 사이의 간극이 없어져 교정 부재와 압박 부재가 접한다. 이에 의해, 압박 부재가 직접 교정 부재를 통과 방향으로 압박하여 설치 부재의 개구에 통과시킨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상기 통과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보유 지지부에 의한 상기 설치 부재의 보유 지지를 해제함과 함께, 상기 설치 부재의 다리부의 코킹 시에 상기 설치 부재를 지지하는 지지 부재를 구비한다. 지지 부재는, 통과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보유 지지부와 결합되어 보유 지지부로부터 설치 부재를 해방시킨다. 또한, 스냅 부재측 다이와의 사이에서 스냅 부재를 천에 설치하기 위해 설치 부재의 다리부를 코킹할 때에 설치 부재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 보유 지지부에 의한 설치 부재의 해제는, 교정 부재가 설치 부재의 개구를 통과할 때와 거의 동시에 행해진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상기 지지 부재는 원통 형상의 부재이며, 상기 교정 부재 및 상기 압박 부재는, 상기 지지 부재의 내강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배치된다. 지지 부재는 원통 형상의 부재에 있어서의 환상의 상단면에서 보유 지지부와 결합되어 설치 부재를 보유 지지부로부터 해방시키고, 또한 상기 환상의 상단면에서 코킹 시에 설치 부재를 지지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상기 보유 지지부는, 한 쌍의 보유 지지 부재와, 상기 한 쌍의 보유 지지 부재를 서로 근접하는 방향으로 가압하는 탄성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한 쌍의 보유 지지 부재는, 상기 지지 부재와 결합됨으로써, 상기 탄성 부재의 가압에 저항하여 서로 이격되는 방향으로 어긋나는 경사면을 갖는다. 지지 부재가 통과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한 쌍의 보유 지지 부재의 경사면에 접함으로써, 지지 부재가 한 쌍의 보유 지지 부재를, 탄성 부재의 가압에 저항하여 서로 이격되는 방향으로 어긋나게 하여, 이에 의해 보유 지지부로부터 설치 부재가 해방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상기 압박 부재를 상기 통과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후방 부재와, 상기 교정 부재가 상기 최전방 위치에 도달 가능해지는 시점에서 상기 후방 부재의 상기 통과 방향으로의 이동을 제한하는 스토퍼를 구비한다. 압박 부재는, 후방 부재에 의해 통과 방향으로 이동하여 교정 부재를 통과 방향으로 압박한다. 후방 부재가 스토퍼에 의해 이동 방향으로의 이동이 제한되면, 압박 부재가 정지하고, 이 시점에서 교정 부재는 통과 방향에 있어서의 최전방 위치로 온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상기 지지 부재를 상기 통과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플런저를 구비한다. 플런저는 하사점과 상사점 사이를 왕복 이동할 수 있다. 플런저의 상사점에서 지지 부재는 통과 방향에 있어서의 최전방 위치로 와서, 코킹 시의 설치 부재를 지지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상기 플런저는, 제2 스프링을 통해 상기 후방 부재를 상기 통과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의하면, 개구를 규정하는 환상의 기부와 기부로부터 연장되는 복수의 다리부를 갖는 설치 부재에 의해 스냅 부재를 천에 설치할 때, 상기 설치 부재의 다리부 중 적어도 하나가 정상 위치보다 반경 방향 내측으로 구부러져 있는 비정상 위치에 있는 경우에, 상기 비정상 위치에 있는 다리부를 교정하는 방법이며, 상기 설치 부재를 보유 지지부에 보유 지지시키는 공정과, 압박 부재에 의해 교정 부재를, 상기 설치 부재의 기부의 개구에 통과시키는 통과 방향으로 압박하여 이동시키는 공정을 포함하고, 상기 교정 부재는, 상기 설치 부재의 다리부 중 적어도 하나가 정상 위치보다 반경 방향 내측으로 구부러져 있는 비정상 위치에 있는 경우에, 상기 설치 부재의 개구를 통과할 때에 상기 비정상 위치에 있는 다리부를 정상 위치로 교정하는 설치 부재 다리부 교정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상기 교정 부재가 상기 비정상 위치에 있는 다리부에 접하면, 상기 통과 방향으로의 이동이 일시적으로 정지하거나 또는 이동 속도가 저하됨과 함께, 상기 제1 스프링이 상기 통과 방향에 있어서 압축되는 공정과, 상기 제1 스프링이 상기 통과 방향에 있어서 가장 압축된 최대 압축 상태가 되면, 상기 압박 부재가, 상기 통과 방향으로의 이동이 일시적으로 정지되어 있었던 상기 교정 부재를 상기 통과 방향으로 강제적으로 압박하여 상기 설치 부재의 개구에 통과시키는 공정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상기 제1 스프링의 상기 최대 압축 상태에 있어서, 상기 교정 부재와 상기 압박 부재가 접촉한다. 이 경우, 압박 부재가 직접 교정 부재를 통과 방향으로 이동시켜 설치 부재의 개구에 통과시킨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상기 최대 압축 상태가 된 제1 스프링이 복원됨으로써, 상기 교정 부재를, 상기 천과 접촉 가능한 상기 통과 방향에 있어서의 최전방 위치까지 도달시키는 공정을 포함한다. 교정 부재는 그 최전방 위치에 있어서 천(1)과 접촉하여, 교정 부재의 선단과 천 사이에 간극은 없다. 이에 의해, 설치 부재에 있어서 정상 위치로 교정된 다리부의 스프링백에 의한 반경 방향 내측으로의 복귀를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설치 부재의 하나 이상의 다리부가 정상 위치보다 반경 방향 내측으로 구부러져 있는 비정상 위치에 있는 경우에 있어서, 압박 부재에 의해 교정 부재를 통과 방향으로 압박하여 설치 부재의 기부의 개구에 통과시킴으로써, 비정상 위치에 있는 다리부를 정상 위치로 교정할 수 있다. 또한, 압박 부재가 통과 방향에 있어서의 최전방 위치까지 오면, 교정 부재는, 제1 스프링에 의해 천과 접촉 가능한 통과 방향에 있어서의 최전방 위치까지 도달한다. 이에 의해, 설치 부재에 있어서의 정상 위치로 교정된 다리부가 스프링백에 의해 반경 방향 내측으로 되돌아가려고 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도 1은 천에 설치하기 직전의 암형 스냅과 설치 부재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2는 천에 설치한 상태의 암형 스냅과 설치 부재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3은 정상 위치보다 반경 방향 내측으로 구부러진 비정상 위치의 다리부를 갖는 설치 부재에 의해 암형 스냅을 천에 설치하기 직전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한 설치 부재에 의해 암형 스냅을 천에 설치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관한 스냅 버튼 설치용 설치 부재측 다이로서의 하방 다이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며, 상방 및 하방 구조체는 최하방의 초기 위치에 있다.
도 6은 도 5의 보유 지지부 부근의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5의 초기 위치로부터 교정 핀이 상승하여 설치 부재의 비정상 위치에 있는 다리부에 접하여, 교정 핀이 일시 정지 상태가 된 시점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7의 시점부으로터 압박 핀이 더욱 상승하여 제1 스프링이 최대 압축 상태가 되어, 교정 핀과 압박 핀 사이의 간극이 없어진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8의 설치 부재 부근의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8의 시점으로부터 압박 핀이 교정 핀을 강제적으로 들어올려 교정 핀의 상단부가 설치 부재의 개구를 통과하여 비정상 위치의 다리부를 교정한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1은 지지 부재의 상단이 한 쌍의 보유 지지 부재의 경사면과 결합되어 한 쌍의 보유 지지 부재를 서로 이격되는 방향으로 어긋나게 하여 보유 지지부로부터 설치 부재가 해방된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며, 교정 핀은 최상방 위치에 있다.
도 12는 도 11의 설치 부재 부근의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도 13은 교정 핀이 최상방 위치에서 코킹 직전의 설치 부재를 지지하고 있는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4는 도 13의 설치 부재 부근의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그러한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청구범위 및 균등의 범위에서 변경 등이 가능하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관한 스냅 버튼 설치용 설치 부재측 다이로서의 하방 다이(40)의 단면도이다. 도 5에 있어서, 하방 다이(40)는 후술하는 상방 및 하방 구조체(50, 60)가 최하방의 초기 위치에 있고, 또한 설치 부재(20)가 후술하는 보유 지지부(70)에 보유 지지되어 있다. 또한, 설치 부재(20)와 함께 천(1)에 설치되는 암형 스냅(10) 또는 수형 스냅은 상방 다이(30)(도 1, 도 13 등 참조)에 보유 지지된다. 이하, 상하 방향은 도 5 내지 도 14의 지면에 기초한다.
하방 다이(40)는, 원통 형상의 하우징 프레임(41)과, 하우징 프레임(41) 내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수용되는 플런저(51)를 포함하는 하방 구조체(50)와, 하방 구조체(50)에 의해 상방(청구범위에 있어서의 「통과 방향」)으로 들어 올려지는 상방 구조체(60)와, 하우징 프레임(41)의 상방 개구에 연결되고, 상방 구조체(60)의 상방으로의 이동을 안내하는 원통 형상의 상방 가이드(42)와, 상방 가이드(42)의 상면에 설치되는, 설치 부재(20)를 보유 지지시키는 보유 지지부(70)를 구비한다. 하우징 프레임(41)과 상방 가이드(42)는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지 않는 정지 구조체이다.
상방 구조체(60)는, 설치 부재(20)의 기부(21)의 개구(23)(도 1 참조)에 상단부(61a)를 통과시키는 교정 부재로서의 가늘고 긴 원기둥 형상의 교정 핀(61)과, 원통 형상 혹은 코일 형상의 제1 스프링(62)과, 제1 스프링(62)의 하방에 배치되고, 제1 스프링(62)을 통해 교정 핀(61)을 상방으로 밀어올리는 압박 부재로서의 가늘고 긴 원기둥 형상의 압박 핀(63)과, 상단측을 제외한 교정 핀(61)과 제1 스프링(62)과 압박 핀(63)을 둘러싸는 원통 형상의 지지 부재(64)를 구비한다. 도 5의 초기 위치에 있어서, 교정 핀(61)은 그 상방 부분을 제외하고 지지 부재(64)의 내강에 배치되고, 압박 핀(63)은 하단의 약간의 부분을 제외하고 지지 부재(64)의 내강에 배치된다. 교정 핀(61), 제1 스프링(62), 압박 핀(63), 하우징 프레임(41), 플런저(51) 등은 공통의 축선을 갖는다. 이하, 이 축선을 따르는 방향을 축 방향이라고 하고,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축 방향은 상하 방향과 동일한 의미이다. 또한, 상기 축선에 수직인 임의의 면을 수평이라고 한다. 도 5의 초기 위치에 있어서, 교정 핀(61)의 상단면은, 상방 가이드(42)의 상단면보다 약간 하방에 있다. 교정 핀(61)은, 그 하단면(61b)으로부터 상방으로 원기둥 형상으로 오목하게 들어가는 제1 스프링 수용부로서의 상방 스프링 수용부(61c)를 갖는다. 압박 핀(63)은, 그 상단면(63a)으로부터 하방으로 원기둥 형상으로 오목하게 들어가는 제2 스프링 수용부로서의 하방 스프링 수용부(63b)를 갖는다. 제1 스프링(62)은, 제1 스프링(62)의 상방 부분이 교정 핀(61)의 상방 스프링 수용부(61c)에 수용되고, 하방 부분이 압박 핀(63)의 하방 스프링 수용부(63b)에 수용된다. 도 5의 초기 위치에 있어서, 제1 스프링(62)은 상하 방향(축 방향)으로 가장 신장되는 초기 상태에 있고, 또한 교정 핀(61)의 하단면(61b)과 압박 핀(63)의 상단면(63a) 사이는 간극(C)이 존재한다. 제1 스프링(62)은, 교정 핀(61)이 통과 방향(상방)과는 역방향(하방)으로 힘을 받고 있지 않은 비부하 상태에 있어서 초기 상태를 유지하고, 간극(C)의 상하 방향 길이는 최대가 된다.
교정 핀(61)과 압박 핀(63)은 동일한 외경이며, 이 외경은, 설치 부재(20)의 기부(21)의 개구(23)의 직경보다 조금 작다. 더욱 상세하게는, 설치 부재(20)의 모든 다리부(22)가 비정상 위치에 있지 않은 경우, 교정 핀(61)의 상단부(61a)는 설치 부재(20)의 개구(23)를 설치 부재(20)와 접하는 일 없이 통과할 수 있다. 한편, 설치 부재(20)의 하나 이상 다리부(21)가 비정상 위치에 있는 경우, 교정 핀(61)의 상단부(61a)가 설치 부재(20)의 개구(23)를 상방으로 통과할 때, 비정상 위치의 다리부(22b)(도 9 등 참조)가 상단부(61a)의 외주면에 접촉한 후, 비정상 위치의 다리부(22b)를 정상 위치로 교정한다(도 10 참조). 바꾸어 말하면, 비정상 위치의 다리부(22b)는, 교정 핀(61)에 의해, 반경 방향 외측을 향해 교정된다. 교정 후에 있어서도, 교정 핀(61)의 상단부(61a)는 정상 위치로 교정된 다리부(후술하는 부호 22c)와 접촉하고, 이 접촉의 마찰에 의해 설치 부재(20)는 상단부(61a)와 함께 상방으로 이동한다(도 11 등 참조). 또한, 지지 부재(64)의 내경은, 설치 부재(20)의 기부(21)의 개구(23)과 거의 동일하고, 교정 핀(61) 및 압박 핀(63)의 외경보다 조금 크다. 지지 부재(64)의 외경은 상방 가이드(42)의 내경보다 조금 작다.
압박 핀(63)은, 하방 구조체(50)로부터 들어 올려짐으로써 상승하고, 제1 스프링(62)을 통해 교정 핀(61)을 밀어올린다. 교정 핀(61)은, 스냅 버튼의 천(1)에의 설치 시에, 보유 지지부(70)에 보유 지지된 설치 부재(20)의 기부(21)의 개구(23)로부터 상방으로 통과시키는 상단부(61a)를 갖는다. 상단부(61a)의 상단면은 수평을 따르는 원형의 면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단부(61a)를 포함하는 교정 핀(61)의 외경은, 설치 부재(20)의 기부(21)의 개구(23)보다 조금 작아지도록 설정된다. 그 때문에, 설치 부재(20)의 모든 다리부(22)가, 도 1에 도시한 정상 위치에 있는 경우(및, 도시는 하지 않지만 설치 부재(20)의 하나 이상 다리부(22)가 정상 위치보다 반경 방향 외측으로 구부러져 있는 경우), 교정 핀(61)의 상단부(61a)는 다리부(22)로부터 저항을 받는 일 없이 설치 부재(20)의 개구(23)를 통과할 수 있다. 한편, 설치 부재(20)의 하나 이상 다리부(22)가 정상 위치보다 반경 방향 내측으로 구부러져 있는 비정상 위치에 있는 경우(도 6 등에 있어서의 다리부(22b) 참조), 교정 핀(61)의 상단부(61a)가 설치 부재(20)의 개구(23)를 통과하려고 할 때, 상단부(61a)의 상단이 비정상 위치의 다리부(22b)에 접촉하고(도 7 참조), 이것이 상방으로 이동하려고 하는 교정 핀(61)에 대한 저항으로서 작용한다. 즉, 설치 부재(20)의 비정상 위치에 있는 하나 이상의 다리부(22b)가, 설치 부재(20)의 개구(23)를 상방으로 통과하려고 하는 교정 부재(61)의 상단부(61a)의 상단과 접촉하여, 상단부(61a)의 개구(23)의 통과를 일시적으로 저지한다. 이에 의해, 교정 핀(61)의 상방으로의 이동이 일시적으로 정지 상태가 된다. 또한, 비정상 위치의 다리부(22b)의 반경 방향 내측으로의 구부러짐 정도에 따라서는, 교정 부재(61)의 상단부(61a)가 다리부(22b)에 접하여 저항을 받아도, 정지하는 일 없이, 상단부(61a)가 개구(23)를 통과하는 속도가(압박 핀(63)의 상승 속도에 비해) 저하되는 경우도 있지만, 이하, 교정 핀(61)이 설치 부재(20)의 비정상 위치의 다리부(22b)에 접하여 저항을 받은 경우, 교정 핀(61)의 상방으로의 이동이 일시적으로 정지하는 예에 대해 설명한다.
압박 핀(63)은, 제1 스프링(62)을 통해 교정 핀(61)을 밀어올린다. 보유 지지부(70)에 보유 지지된 설치 부재(20)의 모든 다리부(22)가 비정상 위치에 있지 않은 경우, 교정 핀(61)과 압박 핀(63)은 제1 스프링을 통해, 교정 핀(61)의 상단이 천(1)에 접하는 최전방 위치인 최상방 위치(도 11 참조)까지 실질적으로 동일 속도로 함께 상승한다. 이 경우, 도 5의 초기 위치로부터 도 11의 최상방 위치까지, 교정 핀(61)과 압박 핀(63) 사이의 간극(C)은 축 방향으로 거의 축소되는 일 없이, 거의 일정한 상태 그대로이다. 또한, 압박 핀(63)은 후술하는 스토퍼(54)가 하우징 프레임(41)의 하단에 접하여 그 이상의 상승이 제한되는 도 11의 위치까지 상승 가능하다. 한편, 보유 지지부(70)에 보유 지지된 설치 부재(20)의 하나 이상의 다리부(22)가 비정상 위치에 있는 경우, 상술한 바와 같이 설치 부재(20)의 개구(23)를 통과하려고 하는 교정 핀(61)이 설치 부재(20)의 비정상 위치에 있는 다리부(22b)와 접하여(도 7 참조) 당해 다리부(22b)로부터 저항을 받는다. 이에 의해, 교정 핀(61)의 상방으로의 이동이 일시 정지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이 교정 핀(61)의 상승이 일시 정지 상태로 된 후에도 압박 핀(63)은 하방 구조체(50)로부터 들어 올려져 계속해서 상승한다. 그 때문에, 일시 정지 상태의 교정 핀(61)과 계속해서 상승하는 압박 핀(63) 사이에서 제1 스프링(62)이 초기 상태로부터 축 방향으로 점차 압축되어, 교정 핀(61)의 하단면(61b)과 압박 핀(63)의 상단면(63a) 사이의 간극(C)이 점차 축 방향으로 축소된다. 즉, 제1 스프링(62)은, 교정 핀(61)이 설치 부재(20)의 비정상 위치에 있는 다리부(22b)로부터 받는 저항에 의해 압축되도록 설정된다. 이어서,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교정 핀(61)의 하단면(61b)과 압박 핀(63)의 상단면(63a)이 접하여, 제1 스프링(62)이 최대 압축 상태가 됨과 동시에 간극(C)이 없어진다. 여기서의 제1 스프링(62)의 「최대 압축 상태」라 함은, 교정 핀(61)과 압박 핀(63)이 접촉함으로써, 제1 스프링(62)이 그 이상으로 압축되지 않는 상태에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에 의해, 하방 구조체(50)로부터 들어올려져 상승을 계속하는 압박 핀(63)이 교정 핀(61)을 직접 들어올리기 시작한다. 이에 의해, 교정 핀(61)은 압박 핀(63)에 의해 강제적으로 상방으로 이동되어,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단부(61a)가 비정상 위치의 다리부(22b)의 저항에 저항하여 설치 부재(20)의 개구(23)를 통과한다. 이때, 교정 핀(61)의 상단부(61a)가 설치 부재(20)의 비정상 위치에 있는 다리부(22b)를 정상 위치로 교정하도록 기능한다. 도 10 내지 도 12에 있어서, 비정상 위치로부터 정상 위치로 교정된 다리부를 참조 번호 22c로 나타낸다. 또한, 후술하지만, 비정상 위치에 있는 다리부(22b)가 교정 핀(61)의 상단부(61a)에 의해 교정된 후, 도 10 내지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설치 부재(20)는 상단부(61a)와의 사이의 마찰에 의해 상단부(61a)와 함께 들어올려진다.
도 6은, 보유 지지부(70) 부근의 확대 단면도이다. 보유 지지부(70)는, 좌우(좌우는 도 5, 도 6 등의 지면에 기초함) 한 쌍의 대략 원호상의 보유 지지 부재(71)와, 이들 보유 지지 부재(71)를 서로 근접하는 방향으로 가압하는 환상의 탄성 부재(도시하지 않음)를 포함한다. 각 보유 지지 부재(71)는 서로 대향하는 측에, 설치 부재(20)의 기부(21)의 일부를 수용하는 홈부(72)와, 상승하는 지지 부재(64)의 상단과 결합되는 경사면(73)을 갖는다. 각 경사면(73)은, 하방으로 점차 직경 확대되도록 경사진다. 상방 가이드(42)의 상면에는, 보유 지지부(70) 이외에 한 쌍의 천 지지부(74)도 설치된다. 각 천 지지부(74)는, 각 보유 지지 부재(71)의 전후 및 상방을 일본어 コ자 형상으로 둘러싸고, 각 보유 지지 부재(71)의 상면보다 높은 천 지지면(74a)을 갖는다.
지지 부재(64)는, 외경이 확대되는 하단부(64a)를 갖는다. 지지 부재(64)는, 하방 구조체(50)의 플런저(51)로부터 들어올려져, 상방 가이드(42)에 의해 축 방향 상방으로 안내된다. 지지 부재(64)가 상승하면, 그 상단이 한 쌍의 보유 지지 부재(71)의 경사면(73)에 접한다(도 10 참조). 이어서, 도 11 내지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지 부재(64)의 상단이 각 경사면(73)에 접하면서 계속 상승하고, 이에 의해 탄성 부재의 가압에 저항하여 한 쌍의 보유 지지 부재(71)를 서로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이에 의해 한 쌍의 보유 지지 부재(71) 사이에서 보유 지지되어 있던 설치 부재(20)가 해방된다. 이 보유 지지부(70)로부터 해방되기 직전(또는 거의 동시)에, 모든 다리부(22)가 정상 위치에 있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다리부(22)가 비정상 위치에 있는 설치 부재(20)의 개구(23)를 교정 부재(61)의 상단부(61a)가 통과하여, 설치 부재(20)가 보유 지지부(70)로부터 교정 부재(61)의 상단부(61a)에 전달된다. 지지 부재(64)는, 도 13에 도시한 최상방 위치까지 상승하고, 이 위치에서, 상방 다이(30)측의 암형 스냅(10) 또는 수형 스냅에 대해 코킹되는 설치 부재(20)를 지지 부재(64)의 원환상의 상단면으로 지지한다.
하방 구조체(50)는, 도시하지 않은 구동부로부터 구동되어 상방으로 이동하는 대략 원통 형상의 플런저(51)와, 플런저(51)의 원기둥 형상의 내강에 수용되고, 플런저(51)의 상승에 의해, 제2 스프링(52)을 통해 상승하는 후방 부재로서의 가늘고 긴 원기둥 형상의 하방 핀(53)과, 도 5의 초기 위치에 있어서 플런저(51) 및 하우징 프레임(41)으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되는 하방 핀(53)의 하단부에 고정되고, 하방 핀(53)의 상방으로의 이동을 제한하는 스토퍼(54)를 구비한다. 하방 핀(53)의 상단부(53a)의 외경은, 압박 핀(63)의 외경보다 크고, 지지 부재(64)의 하단부(64a)를 제외한 부분의 외경과 거의 동등하다. 제2 스프링(52)은 하방 핀(53)의 외주에 배치된다. 스토퍼(54)의 직경은 하우징 프레임(41)의 내경보다 크다.
플런저(51)는, 지지 부재(64)의 하단부(64a)의 저면을 지지하는 상단면을 갖는다. 또한, 플런저(51)의 하단면에는, 제2 스프링(52)의 하단을 수용하는 원환상의 스프링 수용판(55)이 복수 개의 볼트(56)로 고정된다. 스프링 수용판(55)은, 하방 핀(53)을 통과시키는 중앙 구멍(55a)을 갖는다. 또한, 스프링 수용판(55)의 직경은 하우징 프레임(41)의 내경보다 작다. 제2 스프링(52)의 상단은, 하방 핀(53)에 있어서의 상방으로 단차 형상으로 직경 확대되는 상단부(53a)의 하단에 의해 수용된다.
다음으로, 이상과 같이 구성된 하방 다이(40)를 사용하여, 스냅 버튼을 천(1)에 설치할 때, 설치 부재(20)의 비정상 위치에 있는 다리부(22b)를 교정하는 공정을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설치 부재(20)는 비정상 위치에 있는 다리부(22b)를 하나 갖는 것으로 하고, 이 다리부(22b)를 「비정상 다리부(22b)」라고 한다.
도 5에 있어서, 상방 및 하방 구조체(60, 50)는 최하방의 초기 위치에 있고, 또한 설치 부재(20)가 보유 지지부(70)에 보유 지지되어 있다. 플런저(51)는 도 5의 하사점과 도 13의 상사점 사이를 상하 이동한다. 도시하지 않은 구동부가 초기 위치의 플런저(51)를 구동하면, 플런저(51)가 상승하기 시작한다. 이에 의해,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플런저(51)가 지지 부재(64)를 상방으로 이동시킨다. 또한, 플런저(51)의 상승에 수반하여, 제2 스프링(52)을 통해 하방 핀(53)도 상승하기 시작한다. 이에 의해, 압박 핀(63)이 들어올려지고, 압박 핀(63)이 제1 스프링(62)을 통해 교정 핀(61)을 상방으로 밀어올린다. 그리고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교정 핀(61)의 상단이 보유 지지부(70)에 보유 지지된 설치 부재(20)의 비정상 다리부(22b)에 접함으로써 저항을 받아, 교정 핀(61)의 상승이 일시적으로 정지한다.
교정 핀(61)의 상승이 일시 정지된 후에도 플런저(51)는 계속 상승하고, 이에 의해 지지 부재(64)가 계속 상승함과 함께, 하방 핀(53)에 의한 압박 핀(63)의 들어올림도 계속된다. 그 때문에, 일시 정지 상태의 교정 핀(61)과 계속 상승하는 압박 핀(63) 사이에서 제1 스프링(62)이 축 방향으로 점차 압축되어, 교정 핀(61)과 압박 핀(63)의 간극(C)이 축소되고, 이어서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교정 핀(61)의 하단면(61b)과 압박 핀(63)의 상단면(63a)이 접촉하여 간극(C)이 없어진다. 도 9는 도 8의 설치 부재(20) 부근의 부분 확대도이다. 교정 핀(61)과 압박 핀(63)의 접촉에 의해, 상승을 계속하는 압박 핀(63)이 교정 핀(61)을 직접 들어올리기 시작한다. 이에 의해, 교정 핀(61)은 강제적으로 상방으로 이동되고, 상단부(61a)가 비정상 다리부(22b)의 저항에 저항하여 설치 부재(20)의 개구(23)를 계속 통과한다(도 10 참조). 이때, 교정 핀(61)의 상단부(61a)가 설치 부재(20)의 비정상 다리부(22b)를 정상 위치로 교정하도록(다리부(22c) 참조) 기능한다. 또한, 비정상 다리부(22b)가 교정 핀(61)의 상단부(61a)에 의해 교정된 후, 도 10 내지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설치 부재(20)는, 상단부(61a)의 외주면과 교정된 다리부(22c) 사이의 마찰에 의해 상단부(61a)와 함께 도 11 및 도 12의 최상방 위치까지 들어올려진다. 또한, 교정 핀(61)의 상단부(61a)가 설치 부재(20)의 개구(23)를 통과함과 거의 동시에, 지지 부재(64)에 의해 보유 지지부(70)에 의한 설치 부재(20)의 보유 지지가 해제된다. 설치 부재(20)의 모든 다리부(22)가 비정상 위치에 있지 않은 경우는, 설치 부재(20)는, 지지 부재(64)에 의해 보유 지지부(70)로부터 해방되면, 지지 부재(64)의 상단면에 탑재되어, 지지 부재(64)에 의해 상방으로 들어올려진다. 도 12는 도 11의 설치 부재(20) 부근의 부분 확대도이다. 교정 핀(61)은 도 11 및 도 12에 있어서 최상방 위치에 있고, 이 위치에서 설치 부재(20)는 각 다리부(22)의 선단(22a)이 천(1)에 접하는 위치에 있다.
교정 핀(61)의 선단부(61a)가 설치 부재(20)의 개구(23)를 통과한 도 10의 시점으로부터 교정 핀(61)이 최상방 위치에 있는 도 11의 시점에 있어서, 압축 상태에 있던 제1 스프링(62)이 복원되어 교정 핀(61)과 압박 핀(63) 사이에 간극(C)이 다시 나타난다. 또한, 제1 스프링(62)의 복원력에 의해, 도 10의 위치로부터 도 11의 위치로의 교정 핀(61)의 상승은 순시에 행해진다. 설치 부재(20)가 비정상 다리부(22b)를 갖고 있지 않은 경우, 교정 핀(61)은 다리부(22)로부터 저항을 받는 일 없이 최상방 위치까지 들어올려진다. 이 경우, 교정 핀(61)과 압박 핀(63) 사이의 간극(C)은 거의 일정하고, 교정 핀(61)은 압박 핀(63)과 함께 상승한다.
교정 핀(61)이 최상방 위치에 도달하기 직전인 도 10의 시점에서, 하방 핀(53)의 하단부에 고정된 스토퍼(54)가 하우징 프레임(41)의 하단에 접하여, 하방 핀(53)의 더 한층의 상승이 제한된다. 이에 의해, 압박 핀(63)의 상승도 정지한다. 즉, 도 10이 압박 핀(63)의 최상방 위치이다. 스토퍼(54) 및 압박 핀(63)의 상승이 정지한 도 10의 시점 직후,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스프링(62)이 복원되어 교정 핀(61)이 도 11 및 도 12에 도시한 최상방 위치로 순시에 들어올려진다. 이때, 설치 부재(20)는, 정상 위치로 교정된 다리부(22c)는 비정상 위치로 되돌아가려고 하는 반경 방향 내측으로의 힘(스프링백)이 발생하고, 이 힘에 의해, 설치 부재(20)는 교정 핀(61)을 보유 지지하면서 교정 핀(61)과 함께 최상방 위치까지 상승한다. 이때, 설치 부재(20)의 다리부(22)의 선단(22a)은 교정 핀(61)의 선단과 거의 동일한 상하 방향 위치에 있다. 교정 핀(61)은 그 최상방 위치에서 천(1)에 접한다. 제1 스프링(62)은, 압박 핀(63)이 그 최상방 위치에 있을 때, 교정 핀(61)의 선단이 천(1)을 약한 힘으로 압박하여 천(1)에 접하도록 설정된다. 도 12를 참조하여, 교정 핀(61)은 그 최상방 위치에서 천(1)에 접하여, 교정 핀(61)과 천(1) 사이에 간극이 발생하지 않는다. 이에 의해, 설치 부재(20)에 있어서 정상 위치로 교정된 다리부(22c)가 스프링백에 의해 반경 방향 내측으로 되돌아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스토퍼(54)가 하우징 프레임(41)의 하단에 접한 후에도 플런저(51)의 상승은 계속되고, 이에 의해 지지 부재(64)도 상방으로의 이동을 계속한다. 지지 부재(64)는, 도 10의 시점에서 상단이 한 쌍의 보유 지지 부재(71)의 경사면(73)에 접한다. 이어서, 지지 부재(64)는, 도 11 및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경사면(73)에 접하면서 상승한다. 이에 의해, 한 쌍의 보유 지지 부재(71)는, 탄성 부재(도시하지 않음)의 가압에 저항하여 서로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하고(도 12 참조), 이에 의해 보유 지지부(70)에 의한 설치 부재(20)의 보유 지지가 해제된다. 비정상 위치의 다리부(22b)를 갖는 설치 부재(20)는, 한 쌍의 보유 지지 부재(71) 사이로부터 해방되자마자, 설치 부재(20)의 개구(23)를 통과하는 교정 핀(61)의 상단부(61a)의 외주면에 마찰에 의해 수취된다. 비정상 위치의 다리부(22b)를 갖지 않는 설치 부재(20)의 경우, 한 쌍의 보유 지지 부재(71) 사이로부터 해방되면, 지지 부재(64)의 상단면에 수납된다. 보유 지지부(70)에 의한 설치 부재(20)의 보유 지지를 해제한 후, 지지 부재(64)는 도 13의 최상방 위치까지 더욱 상승한다. 도 14는 도 13의 설치 부재(20) 부근의 부분 확대도이다. 또한, 도 13 및 도 14에 있어서, 암형 스냅(10)을 보유 지지한 상방 다이(30)의 하방 부분이 도시된다. 도 14의 시점에서, 설치 부재(20)의 다리부(22)(다리부(22c)를 포함함)는, 천(1)을 상방으로 관통하여, 암형 스냅(10)의 다리부 수용구(15)로 들어가기 직전이다. 이 후, 설치 부재(20)의 다리부(22)는 암형 스냅(10)의 다리부 수용구(15)로부터 플랜지(14)의 내부로 들어가, 플랜지(14)의 내측면을 따라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만곡 형상으로 코킹된다. 이 코킹 시에 있어서, 도시는 하지 않지만, 상방 다이(30)로부터 암형 스냅(10) 및 천(1)을 통해 교정 핀(61)이 하방으로 압박되고, 이에 의해 제1 스프링(62)이 축 방향으로 약간 축소됨과 함께, 압박 핀(63)이 압하되어, 제2 스프링(52)도 축 방향으로 조금 축소된다. 이 제1 및 제2 스프링(62, 52)의 수축에 의해, 코킹 시에 하방 다이(40)에 가해지는 부하를 흡수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교정 핀(61)이 비정상 다리부(22b)에 접하여 일시적으로 상승이 정지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비정상 다리부(22b)의 반경 방향 내측으로의 구부러짐이 조금인 경우, 교정 부재(61)의 상단부(61a)가 비정상 다리부(22c)에 접하여 저항을 받아도, 교정 부재(61)가 정지하는 일 없이, 상승 속도가 다소 저하되면서 상단부(61a)가 설치 부재(20)의 개구(23)를 통과하는 경우도 있다. 이 경우, 제1 스프링(62)은 축 방향으로 다소 압축되지만, 교정 핀(61)과 압박 핀(63)이 접하는 최대 압축 상태까지는 이르지 않는 경우도 생각된다. 이 경우라도, 압박 핀이 제1 스프링(62)을 통해 교정 핀(61)을 들어올려, 교정 핀의 상단부(61a)가 설치 부재(20)의 개구(23)를 통과함으로써, 비정상 다리부(22b)가 정상 위치로 교정된다.
10 : 암형 스냅(스냅 부재)
20 : 설치 부재
21 : 기부
22 : 다리부
22b : 비정상 위치의 다리부(비정상 다리부)
23 : 개구
30 : 상방 다이
40 : 하방 다이
41 : 하우징 프레임
42 : 상방 가이드
50 : 하방 구조체
51 : 플런저
52 : 제2 스프링
53 : 하방 핀(후방 부재)
54 : 스토퍼
60 : 상방 구조체
61 : 교정 핀(교정 부재)
61c : 상방 스프링 수용부(제1 스프링 수용부)
62 : 제1 스프링
63 : 압박 핀(압박 부재)
63b : 하방 스프링 수용부(제2 스프링 수용부)
64 : 지지 부재
70 : 보유 지지부
71 : 보유 지지 부재
73 : 경사면
C : 간극

Claims (15)

  1. 개구(23)를 규정하는 환상의 기부(21)와 기부(21)로부터 연장되는 복수의 다리부(22)를 갖는 설치 부재(20)에 의해 스냅 부재(10)를 천(1)에 설치할 때에 상기 설치 부재(20)가 세트되는 스냅 버튼 설치용 설치 부재측 다이(40)이며,
    상기 설치 부재(20)를 보유 지지시키는 보유 지지부(70)와, 상기 보유 지지부(70)에 보유 지지된 상기 설치 부재(20)의 기부(21)의 개구(23)에 통과시키기 위한 교정 부재(61)와, 상기 교정 부재(61)를, 상기 설치 부재(20)의 기부(21)의 개구(23)에 통과시키는 통과 방향으로 압박하여 이동시키기 위한 압박 부재(63)와, 상기 교정 부재(61)와 상기 압박 부재(63) 사이에 배치되는 제1 스프링(62)을 구비하고,
    상기 교정 부재(61)는, 상기 설치 부재(20)의 다리부(22) 중 적어도 하나가 정상 위치보다 반경 방향 내측으로 구부러져 있는 비정상 위치에 있는 경우에, 상기 설치 부재(20)의 개구(23)를 통과할 때에 상기 비정상 위치에 있는 다리부(22b)를 정상 위치로 교정할 수 있고,
    상기 압박 부재(63)가 상기 통과 방향에 있어서의 최전방 위치에 있을 때, 상기 교정 부재(61)는, 상기 제1 스프링(62)에 의해 상기 천(1)과 접촉 가능한 상기 통과 방향에 있어서의 최전방 위치까지 도달하는, 스냅 버튼 설치용 설치 부재측 다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교정 부재(61)는, 상기 제1 스프링(62)의 일단부측을 수용하는 제1 스프링 수용부(61c)를 갖고, 상기 압박 부재(63)는, 상기 제1 스프링(62)의 타단부측을 수용하는 제2 스프링 수용부(63b)를 갖고, 상기 교정 부재(61)가 상기 통과 방향과는 역방향으로 힘을 받고 있지 않은 비부하 상태에 있어서, 상기 제1 스프링(62)은 상기 통과 방향에 있어서 가장 신장되는 초기 상태에 있고, 또한 상기 교정 부재(61)와 상기 압박 부재(63) 사이에 간극(C)이 존재하는, 스냅 버튼 설치용 설치 부재측 다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교정 부재(61)는, 상기 비정상 위치에 있는 다리부(22b)에 접하면, 상기 통과 방향으로의 이동이 일시적으로 정지하거나 또는 이동 속도가 저하되고, 이에 의해 상기 제1 스프링(62)이 상기 통과 방향에 있어서 압축됨과 함께, 상기 간극(C)이 축소되는, 스냅 버튼 설치용 설치 부재측 다이.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스프링(62)이 상기 통과 방향에 있어서 가장 압축된 최대 압축 상태가 되면, 상기 압박 부재(63)가, 상기 통과 방향으로의 이동이 일시적으로 정지되어 있었던 상기 교정 부재(61)를 상기 통과 방향으로 강제적으로 압박하여 상기 설치 부재(20)의 개구(23)에 통과시키는, 스냅 버튼 설치용 설치 부재측 다이.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스프링(62)의 상기 최대 압축 상태에 있어서, 상기 간극(C)은 없어지고, 상기 교정 부재(61)와 상기 압박 부재(63)가 접촉하는, 스냅 버튼 설치용 설치 부재측 다이.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과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보유 지지부(70)에 의한 상기 설치 부재(20)의 보유 지지를 해제함과 함께, 상기 설치 부재(20)의 다리부(22)의 코킹 시에 상기 설치 부재(20)를 지지하는 지지 부재(64)를 구비하는, 스냅 버튼 설치용 설치 부재측 다이.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부재(64)는 원통 형상의 부재이며, 상기 교정 부재(61) 및 상기 압박 부재(63)는, 상기 지지 부재(64)의 내강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배치되는, 스냅 버튼 설치용 설치 부재측 다이.
  8.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보유 지지부(70)는, 한 쌍의 보유 지지 부재(71)와, 상기 한 쌍의 보유 지지 부재(71)를 서로 근접하는 방향으로 가압하는 탄성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한 쌍의 보유 지지 부재(71)는, 상기 지지 부재(64)와 결합됨으로써, 상기 탄성 부재의 가압에 저항하여 서로 이격되는 방향으로 어긋나는 경사면(73)을 갖는, 스냅 버튼 설치용 설치 부재측 다이.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압박 부재(63)를 상기 통과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후방 부재(53)와, 상기 교정 부재(61)가 상기 최전방 위치에 도달 가능해지는 시점에서 상기 후방 부재(53)의 상기 통과 방향으로의 이동을 제한하는 스토퍼(54)를 구비하는, 스냅 버튼 설치용 설치 부재측 다이.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부재(64)를 상기 통과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플런저(51)를 구비하는, 스냅 버튼 설치용 설치 부재측 다이.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플런저(51)는, 제2 스프링(52)을 통해 상기 후방 부재(53)를 상기 통과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스냅 버튼 설치용 설치 부재측 다이.
  12. 개구(23)를 규정하는 환상의 기부(21)와 기부(21)로부터 연장되는 복수의 다리부(22)를 갖는 설치 부재(20)에 의해 스냅 부재(10)를 천(1)에 설치할 때, 상기 설치 부재(20)의 다리부(22) 중 적어도 하나가 정상 위치보다 반경 방향 내측으로 구부러져 있는 비정상 위치에 있는 경우에, 상기 비정상 위치에 있는 다리부(22b)를 교정하는 방법이며,
    상기 설치 부재(20)를 보유 지지부(70)에 보유 지지시키는 공정과,
    압박 부재(63)에 의해 교정 부재(61)를, 상기 설치 부재(20)의 기부(21)의 개구(23)에 통과시키는 통과 방향으로 압박하여 이동시키는 공정을 포함하고,
    상기 교정 부재(61)는, 상기 설치 부재(20)의 다리부(22) 중 적어도 하나가 정상 위치보다 반경 방향 내측으로 구부러져 있는 비정상 위치에 있는 경우에, 상기 설치 부재(20)의 개구(23)를 통과할 때에 상기 비정상 위치에 있는 다리부(22b)를 정상 위치로 교정하는, 설치 부재 다리부 교정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교정 부재(61)가 상기 비정상 위치에 있는 다리부(22b)에 접하면, 상기 통과 방향으로의 이동이 일시적으로 정지하거나 또는 이동 속도가 저하됨과 함께, 제1 스프링(62)이 상기 통과 방향에 있어서 압축되는 공정과,
    상기 제1 스프링(62)이 상기 통과 방향에 있어서 가장 압축된 최대 압축 상태가 되면, 상기 압박 부재(63)가, 상기 통과 방향으로의 이동이 일시적으로 정지되어 있었던 상기 교정 부재(61)를 상기 통과 방향으로 강제적으로 압박하여 상기 설치 부재(20)의 개구(23)에 통과시키는 공정을 포함하는, 설치 부재 다리부 교정 방법.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스프링(62)의 상기 최대 압축 상태에 있어서, 상기 교정 부재(61)와 상기 압박 부재(63)가 접촉하는, 설치 부재 다리부 교정 방법.
  15. 제13항 또는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최대 압축 상태가 된 제1 스프링(62)이 복원됨으로써, 상기 교정 부재(61)를 상기 천(1)과 접촉 가능한 상기 통과 방향에 있어서의 최전방 위치까지 도달시키는 공정을 포함하는, 설치 부재 다리부 교정 방법.
KR1020197007442A 2016-10-11 2016-10-11 스냅 버튼 설치용 설치 부재측 다이 및 설치 부재 다리부 교정 방법 KR10210744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6/080152 WO2018069983A1 (ja) 2016-10-11 2016-10-11 スナップボタン取付用の取付部材側ダイ及び取付部材脚部矯正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8913A true KR20190038913A (ko) 2019-04-09
KR102107441B1 KR102107441B1 (ko) 2020-05-07

Family

ID=619053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07442A KR102107441B1 (ko) 2016-10-11 2016-10-11 스냅 버튼 설치용 설치 부재측 다이 및 설치 부재 다리부 교정 방법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11882892B2 (ko)
EP (1) EP3527094B1 (ko)
JP (1) JP6953417B2 (ko)
KR (1) KR102107441B1 (ko)
CN (1) CN109788818B (ko)
MY (1) MY195131A (ko)
TW (1) TWI622366B (ko)
WO (1) WO201806998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847725B2 (ja) * 2017-03-23 2021-03-24 Ykk株式会社 雌型ボタン、及び雌型ボタンと雄型ボタンの組み合わせ品
EP3659458B1 (en) * 2018-11-30 2022-11-23 Carmo Holding ApS Metal eyelet
CN113953363B (zh) * 2021-11-17 2023-05-16 浙江哈尔斯真空器皿股份有限公司 一种立式翻边机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73368A (ja) * 2002-08-13 2004-03-11 Takeda Seiki Kk スナップファスナー取付け機
JP2010096330A (ja) * 2008-10-20 2010-04-30 Ykk Corp 固定用部材、保護部材、及び被固定部材の固定方法
WO2011077571A1 (ja) * 2009-12-25 2011-06-30 Ykk株式会社 ボタン取付用上金型
WO2014097483A1 (ja) * 2012-12-21 2014-06-26 Ykk株式会社 ボタン類取付装置及びボタン類取付方法
JP5859030B2 (ja) * 2012-02-08 2016-02-10 Ykk株式会社 ボタン取付装置及びボタン保持ダイ
JP5969008B2 (ja) * 2012-04-06 2016-08-10 Ykk株式会社 ボタン側ダイ、ボタン取付装置及びボタン取付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594541C (de) * 1930-07-21 1934-03-19 United Shoe Machinery Corp OEseneinsetzmaschine
DE631733C (de) * 1932-11-12 1936-06-26 William Prym G M B H Verfahren zum Lochen und gleichzeitigen Setzen zweiteiliger OEsen in Gummistoffe
US2310008A (en) * 1939-05-16 1943-02-02 Scovill Manufacturing Co Apparatus for setting buttons and the like
US3013271A (en) * 1960-12-19 1961-12-19 Scovill Manufacturing Co Fastener setting dies
US3013272A (en) * 1961-02-13 1961-12-19 Scovill Manufacturing Co Fastener setting tool
US3992765A (en) 1974-12-05 1976-11-23 Rau Fastener, A Division Of U.S. Industries, Inc. Registration systems adapted for use with snap fastener attaching machine and the like
JPS5922094Y2 (ja) * 1979-12-13 1984-07-02 ワイケイケイ株式会社 釦取付装置
JPS5823909A (ja) * 1981-07-31 1983-02-12 株式会社かめお 掛ぶとん等の衿カバ−取付部材形成方法
DE4117767A1 (de) * 1991-05-31 1992-12-03 Schaeffer Gmbh Maschine zum ansetzen von knoepfen, nieten oder dergleichen, vorzugsweise an bekleidungsstuecken
US5781989A (en) * 1996-11-27 1998-07-21 Eastlex Machine Corporation Fastener attaching apparatus
KR20100060808A (ko) * 2008-11-28 2010-06-07 (주)티에이치엔 정션박스 하측 접속단자 검사장치
KR20110124691A (ko) * 2009-03-02 2011-11-17 제이엠아이 주식회사 장식품 고정장치 및 그 고정장치에 의한 장식품 고정방법
JP5847954B2 (ja) 2012-09-28 2016-01-27 Ykk株式会社 検査部材、検査装置、検査方法、及び取付装置
CN104703494B (zh) 2012-10-18 2016-11-09 Ykk株式会社 支承冲模、铆接判断方法以及纽扣安装构件
US20150007412A1 (en) * 2013-07-02 2015-01-08 Patagonia, Inc. System and method for thermally bonding grommets to fabric
DE102015013345B4 (de) * 2015-10-14 2022-05-05 Ykk Corporation Vorrichtung zur befestigung eines objektes an einem oder mehreren trägerstoffen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73368A (ja) * 2002-08-13 2004-03-11 Takeda Seiki Kk スナップファスナー取付け機
JP2010096330A (ja) * 2008-10-20 2010-04-30 Ykk Corp 固定用部材、保護部材、及び被固定部材の固定方法
WO2011077571A1 (ja) * 2009-12-25 2011-06-30 Ykk株式会社 ボタン取付用上金型
JP5859030B2 (ja) * 2012-02-08 2016-02-10 Ykk株式会社 ボタン取付装置及びボタン保持ダイ
JP5969008B2 (ja) * 2012-04-06 2016-08-10 Ykk株式会社 ボタン側ダイ、ボタン取付装置及びボタン取付方法
WO2014097483A1 (ja) * 2012-12-21 2014-06-26 Ykk株式会社 ボタン類取付装置及びボタン類取付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9788818B (zh) 2021-02-26
EP3527094B1 (en) 2022-11-23
TW201813536A (zh) 2018-04-16
TWI622366B (zh) 2018-05-01
MY195131A (en) 2023-01-11
US20190307195A1 (en) 2019-10-10
EP3527094A1 (en) 2019-08-21
EP3527094A4 (en) 2020-06-03
CN109788818A (zh) 2019-05-21
US11882892B2 (en) 2024-01-30
WO2018069983A1 (ja) 2018-04-19
KR102107441B1 (ko) 2020-05-07
JP6953417B2 (ja) 2021-10-27
JPWO2018069983A1 (ja) 2019-03-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038913A (ko) 스냅 버튼 설치용 설치 부재측 다이 및 설치 부재 다리부 교정 방법
US9611964B2 (en) Connector
US11655839B2 (en) Biased blind side temporary fasteners, systems and methods
CN112895995B (zh) 用于将儿童座椅支撑在基底上的支撑腿和儿童座椅
US20130066353A1 (en) Safety lancet for doubly preventing reuse thereof
JP5340892B2 (ja) 操作スイッチ
US11517681B2 (en) Disposable injection needle
JP5543017B2 (ja) ハトメ取付装置及びハトメ取付方法
US9596900B2 (en) Upper die for fastening button
KR20200086308A (ko) 지지 구조체
US9934914B2 (en) Heart-shaped self-locking button
CN111214245A (zh) 采血笔
JP6560268B2 (ja) 自己注射器
US20020165501A1 (en) Safety Syringe
JP6579918B2 (ja) シリンジ型噴出器
KR102211557B1 (ko) 약물 전달 장치용 약물 용기 조립체
US20160052430A1 (en) Seat for vehicle
KR102158063B1 (ko) 설치 부재를 사용하여 천에 대하여 피설치 부재를 설치하는 설치 장치 및 방법
CN216789066U (zh) 制动主缸的活塞总成
CN111658898B (zh) 自毁式安全注射器
JP3964837B2 (ja) 無段変速機用ベルトの組立装置
KR200215734Y1 (ko) 환풍기용 스위치
CN111379255A (zh) 一种连接件
CN110561347A (zh) 制动卡钳缸孔内卡簧压装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