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24691A - 장식품 고정장치 및 그 고정장치에 의한 장식품 고정방법 - Google Patents

장식품 고정장치 및 그 고정장치에 의한 장식품 고정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24691A
KR20110124691A KR1020107003757A KR20107003757A KR20110124691A KR 20110124691 A KR20110124691 A KR 20110124691A KR 1020107003757 A KR1020107003757 A KR 1020107003757A KR 20107003757 A KR20107003757 A KR 20107003757A KR 20110124691 A KR20110124691 A KR 201101246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rnament
fixed
tubular
fixing
dispo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037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미치토시 이시이
Original Assignee
제이엠아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이엠아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제이엠아이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101246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2469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HAPPLIANCES OR METHODS FOR MAKING CLOTHES, e.g. FOR DRESS-MAKING OR FOR TAILOR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41H37/00Machines, appliances or methods for setting fastener-elements on garments
    • A41H37/10Setting butt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HAPPLIANCES OR METHODS FOR MAKING CLOTHES, e.g. FOR DRESS-MAKING OR FOR TAILOR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41H37/00Machines, appliances or methods for setting fastener-elements on garments
    • A41H37/04Setting snap fasten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826Assembling or join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53Means to assemble or disassem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lamps And Clips (AREA)
  • Adornments (AREA)
  • To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피고정부재인 천 소재 등에 대한 각종 장식품의 고정작업시 번거로운 조정작업을 필요로 하지 않고, 장식부품을 파손, 파괴하는 일 없이, 피고정부재인 천소재 등의 작업 스페이스를 확보할 수 있는 장식품 고정장치 및 그 고정장치에 의한 장식품 고정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고정부재인 장식품을 시트형상의 피고정부재에 고정하는 장식품 고정장치로서, 상기 피고정부재를 관통하여 배치되는 관형상부와, 상기 관형상부의 일단부에 형성되며, 상기 피고정부재의 일측 측면부측에 배치되는 일측 플랜지부와, 상기 관형상부 내에 관통하여 배치되고, 상기 관형상부의 길이보다도 긴 길이를 갖는 축부재를 가지며, 상기 축부재를 상기 관형상부의 축방향을 따라 끌어당김으로써 상기 관형상부의 타단부에 타측 플랜지부를 형성하고, 상기 일측 플랜지부와 상기 타측 플랜지부에 의해 상기 장식품을 피고정부재에 고정한다.

Description

장식품 고정장치 및 그 고정장치에 의한 장식품 고정방법{Ornamental article fixing apparatus and method of fixing ornamental article with the fixing apparatus}
본 발명은 장식품 고정장치 및 그 고정장치에 의한 장식품 고정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장식품, 예를 들면 단추나 장식구를 의복 등의 천소재나 피복재와 같은 피고정부재에 고정하는 장식품 고정장치 및 그 고정장치에 의한 장식품 고정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장식품, 예를 들면 단추나 후크와 같은 장식구 등을 의복 등의 천소재 등에 고정할 경우에는 핸드프레스기, 모터프레스기, 에어프레스기, 또는 오일프레스기 등이 사용되고 있다.
예를 들면, 종래의 핸드프레스기(90)는, 도 26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핸드프레스기 본체(91)와, 상기 핸드프레스기 본체(91)에 상하운동가능하게 지지된 피스톤(92)과, 상기 피스톤(92)의 상단을 가압할 수 있는, 상기 핸드프레스기 본체(91)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조작레버(93)를 가지며, 상기 피스톤(92)의 상단부를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상기 조작레버(93)에 의해 가압하여 하강시키고, 상기 피스톤(92)의 하단에 설치된 가압지그(94)와 상기 가압지그(94)의 하방에 설치된 장식품 받침대(95)로 장식품의 구성부품을 천소재에 대해 가압하여 고정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핸드프레스기 본체(91)에는 상기 조작레버(93)의 회동량을 규제함으로써 피스톤(92)의 하강량을 조정하는 높이조절가능하게 형성된 스톱퍼부(96)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스톱퍼부(96)는 조작레버(93)를 눌러 내릴 때, 조작레버(93)가 스톱퍼부(96)에 닿아, 피스톤(92)이 과도하게 눌러져 장식품의 구성부품에 크랙 등의 손상을 주는 것을 방지하도록 기능한다.
이 경우, 장식품, 예를 들면 단추나 후크와 같은 장식구 등에는, 금속제 단추 등과 같이 가압된 경우에 소정의 압력에도 견딜 수 있는 것도 있으며, 한편으론 유리소재, 조개, 돌 등과 같이 소정의 압력이 부여된 경우에 파단될 가능성이 있는 것도 있다.
따라서, 상기 핸드프레스기(90)를 사용하여 단추 등을 천소재 등에 고정할 경우에는, 고정할 단추 등의 소재나 종류 등에 따라, 스톱퍼부(96)의 높이 조절이 필요하며, 이 조정작업에 시간을 요하기 때문에 매우 번잡하였다.
즉, 상기 조정작업을 수행할 경우에는 상기 핸드프레스기(90)의 스톱퍼부(96)의 높이를 미세조정할 때, 장식품에 크랙 등의 손상을 가하지 않고 장식품을 천소재 등에 고정할 수 있는 적절한 가압이 이루어지도록, 장식품을 사용하여 실제로 몇 번인가 가압테스트를 실시할 필요가 있으며, 그 과정에서, 대부분의 장식품의 표면을 파손하거나 장식품 그 자체를 파괴하는 사태가 발생하고, 장식품을 천소재 등에 고정하여 제품화하는 것 그 자체가 곤란한 경우가 있을 뿐만 아니라, 많은 불량품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었다.
또한, 이와 같은 핸드프레스기(90)를 사용하여 단추 등의 장식품을 고정할 경우에는 가압시에 장식품의 표면에 손상을 주지 않도록 장식품의 표면형상에 따라 상기 장식품 받침부재(95)를 별도로 준비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각종 장식품의 표면형상에는 다양한 종류가 있기 때문에, 대응하도록 준비해야만 하는 장식품 받침부재(95)의 종류도 많아지게 되어, 고정작업에 필요한 비용이 증가하고 번거로웠다.
또한, 고정작업은 장식품의 표면에 장식품 받침부재(95)가 접촉된 상태에서 가압함으로써 이루어지기 때문에, 장식품의 표면형상에 대응하는 장식품 받침부재(95)를 사용하여도 장식품의 표면에는 손상이 가기 쉬었다.
또한, 장식품의 고정작업시에는 피고정부재의 하면측에서, 장식품의 표면은 상기 장식품 받침부재(95)와 접촉된 상태에 있으며, 고정작업시에는 장식품의 표면을 눈으로 확인할 수 없으므로, 천소재에 대한 장식품의 부착방향이나 위치조정을 확인하기 어렵고, 또, 경우에 따라서는 작업시에 상기 가압지그(94)와 상기 장식품 받침부재(95) 사이에 잘못하여 손가락이 끼이게 되는 일도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핸드프레스기(90)에서는, 천소재에 대한 장식품의 가압이 상기 피스톤(92) 및 상기 피스톤(92)의 하단부에 고정된 가압지그(94)와 상기 장식받침부재(95)와의 사이에서 이루어지기 위해, 천소재의 상방 또는 하방에는 핸드프레스기 본체(91), 상기 피스톤(92) 또는 상기 조작레버(93) 등이 존재하므로, 작업 스페이스가 좁아짐과 아울러, 장식품의 피고정부재인 천소재 등이 큰 경우에는 부착작업이 곤란하게 된다는 문제점도 있었다.
일본등록실용신안공보제3022354호
따라서, 본원 발명의 과제는 피고정부재인 천소재 등에 대한 각종 장식품의 고정작업시에 번거로운 조정작업을 필요로 하지 않으며, 장식부품을 파손, 파괴하는 일 없이 피고정부재인 천소재 등의 작업 스페이스를 확보할 수 있는 장식품 고정장치 및 그 고정장치에 의한 장식품의 고정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이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은, 고정부재인 장식품을 시트형상의 피고정부재에 고정하는 장식품 고정장치로서, 상기 피고정부재를 관통하여 배치되는 관형상부와, 상기 관형상부의 일단부에 형성되며, 상기 피고정부재의 일측 측면부쪽에 배치되는 일측 플랜지부와, 상기 관형상부 내에 관통하여 배치되고, 상기 관형상부의 길이보다도 긴 길이의 축부재를 가지며, 상기 축부재를 상기 관형상부의 축방향을 따라 끌어당김으로써 상기 관형상부의 타단부에 타측 플랜지부를 형성하고, 상기 일측 플랜지부와 상기 타측 플랜지부에 의해 상기 장식품을 피고정부재에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상기 축부재를 상기 관형상부의 축방향을 따라 끌어당김으로써 상기 관형상부의 타단부에 타측 플랜지부를 형성하고, 상기 일측 플랜지부와 상기 타측 플랜지부에 의해 상기 장식품을 피고정부재에 고정하므로, 용이하게 장식품을 피고정부재에 고정할 수 있다.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상기 관형상부는 일단부에 일측 플랜지부를 갖는 관형상부재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축부재는 상기 관형상부재의 내경보다도 큰 헤드부를 가짐과 아울러 상기 관형상부재보다도 큰 강성을 가지며, 상기 일측 플랜지부는 장식품의 외측에 배치되고 상기 헤드부는 장식품의 내측에 배치되며, 상기 피고정부재는 상기 장식품과 상기 일측 플랜지부와의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축부재가 축방향을 따라 장식품 반대방향으로 끌어당겨질 때에, 상기 헤드부가 관형상부재의 타단부를 점점 확대시킴으로써 상기 타측 플랜지부를 창출(創出)하며, 상기 일측 플랜지부가 피고정부재의 일측에 고정됨과 아울러 상기 타측 플랜지부가 상기 장식품의 내측에 고정됨으로써, 상기 관형상부재를 통해 상기 장식품을 상기 피고정부재에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상기 축부재가 축방향을 따라 장식품 반대방향으로 끌어당길 때에, 상기 헤드부가 관형상부재의 타단부를 점점 확대시킴으로써 상기 타측 플랜지부를 창출하고, 상기 일측 플랜지부가 피고정부재의 일측에 고정됨과 아울러 상기 타측 플랜지부가 상기 장식품의 내측에 고정됨으로써, 상기 관형상부재를 통해 상기 장식품을 상기 피고정부재에 고정하므로, 용이하게 장식품을 피고정부재에 고정할 수 있다.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축부재가 관통함으로써 상기 장식품이 위치결정되어 배치된 피고정부재가 놓이는 적재부와, 상기 축부재를 파지하여 끌어당기는 파지(把持)부재와, 상기 파지부재를 끌어당기도록 작동시키는 조작부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피고정부재가 놓이는 적재부가 구비되어 있으므로, 피고정부재에 대한 장식품의 고정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축부재를 파지하여 끌어당기는 파지부재를 구비하고 있으므로, 파지된 축부재를 축방향을 따라 끌어당길 수 있다.
또한, 조작부재를 조작함으로써, 상기 파지부재를 통해 상기 축부재를 축방향을 따라 인장할 수 있다.
청구항 4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장식품은 상기 피고정부재의 일측면부에 배치되는 일측 구성부 및 상기 피고정부재의 타측면부에 배치되는 타측 구성부에 의해 구성되며, 상기 관형상부는 상기 일측 구성부에 형성되고, 상기 축부재가 축방향을 따라 상기 타측 구성부 방향으로 끌어당겨질 때에, 상기 관형상부의 타단부에 타측 플랜지부를 창출하며, 상기 타측 플랜지부를 상기 타측 구성부에 결합시킴으로써, 상기 장식품을 상기 피고정부재에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청구항 4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상기 축부재가 축방향을 따라 상기 타측 구성부 방향으로 끌어당겨질 때에, 상기 관형상부의 타단부에 타측 플랜지부를 창출하고, 상기 타측 플랜지부를 상기 타측 구성부에 결합시킴으로써, 상기 장식품을 상기 피고정부재에 고정하므로, 용이하게 장식품을 피고정부재에 고정할 수 있다.
또한, 청구항 5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상기 일측 구성부는 상기 피고정부재의 상면측에, 상기 타측 구성부는 상기 피고정부재의 하면측에 각각 서로 상하방향으로 마주보게 배치되며, 상기 피고정부재가 상기 타측 구성부를 개재하여 올려 놓여지는 적재부와, 상기 일측 구성부, 피고정부재 및 상기 타측 구성부를 관통하여 배치된 상기 축부재를 파지하여 하방으로 끌어당기는 파지부재와, 상기 파지부재를 하방으로 끌어당기도록 작동시키는 조작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축부재의 헤드부는 상기 일측 구성부 상에 놓인 지그를 통해 배치되며, 상기 적재부는 상기 축부재가 하방으로 끌어당겨질 경우에 상기 관형상부의 하단부와 접촉하여 상기 하단부를 지름방향 외측으로 점점 확대시켜, 상기 타측 구성부에 결합할 수 있는 타측 플랜지부로서 형성시킬 수 있는 접촉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청구항 5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피고정부재가 상기 타측 구성부를 개재하여 올려놓여지는 적재부가 구비되어 있으므로, 피고정부재에 대한 장식품의 고정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축부재를 파지하여 하측으로 끌어당기는 파지부재를 구비하고 있으므로, 파지된 축부재를 축방향을 따라 끌어당길 수 있다.
또한, 조작부재를 조작함으로써, 상기 파지부재를 통해 상기 축부재를 축방향을 따라 끌어당길 수 있다.
또한, 상기 축부재의 헤드부는 상기 일측 구성부 상에 올려 놓여진 지그를 통해 배치되며, 상기 적재부는 상기 축부재가 하방으로 끌어당겨질 경우에, 상기 관형상부의 하단부와 접촉하여 상기 하단부를 지름방향 외측으로 점점 확대시켜, 상기 타측 구성부에 결합할 수 있는 타측 플랜지부로서 형성시킬 수 있는 접촉부를 가지므로, 용이하게 장식품을 피고정부재에 고정할 수 있다.
청구항 6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피고정부재가 상기 관형상부의 길이보다도 작은 두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7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피고정부재가 천소재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8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피고정부재가 피혁재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9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조작부재가 사람의 손을 통해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10에 기재된 발명은, 설치면 상에 고정되는 기판부와, 상기 기판부 상에 직립되게 설치되며, 내부에는 파지부재가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는 파지부와, 상기 파지부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파지부재를 하방으로 끌어당길 수 있는 조작레버와, 상기 파지부 내에 배치되며, 상기 파지부재를 항상 상방으로 탄성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탄성지지부재와, 상기 파지부의 상단부에 설치된 적재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청구항 10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피고정부재인 천소재 등에 대해 장식품을 고정할 때, 피고정부재인 천소재 등을 올려놓을 수 있는 적재부가 상기 파지부의 상단부에 마련되며, 적재부의 상방에는 장치자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피고정부재인 천소재 등을 펼치기 쉽다.
청구항 11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조작부재가 액츄에이터에 의해 작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12에 기재된 발명은 시트형상의 피고정부재에 고정부재인 장식품을 고정하는 장식품의 고정방법으로서, 관형상부를 피고정부재에 삽입관통시켜, 상기 관형상부의 일단부에 형성된 플랜지를 상기 피고정부재의 일측 측면부쪽에 배치하고, 상기 관형상부의 길이보다 긴 길이의 축부재를 상기 관형상부 내에 관통배치하며, 상기 축부재를 상기 관형상부의 축방향을 따라 끌어당김으로써 상기 관형상부의 타단부에 타측 플랜지부를 형성시키고, 상기 일측 플랜지부와 상기 타측 플랜지부에 의해 상기 장식품을 피고정부재에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청구항 12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상기 축부재를 상기 관형상부의 축방향을 따라 끌어당김으로써 상기 관형상부의 타단부에 타측 플랜지부를 형성시키고, 상기 일측 플랜지부와 상기 타측 플랜지부에 의해 상기 장식품을 피고정부재에 고정하므로, 용이하게 장식품 고정장치로 장식품을 고정할 수 있는 고정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청구항 13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관형상부는 일단부에 일측 플랜지부를 갖는 관형상부재에 의해 형성되며, 상기 축부재는 상기 관형상부재의 내경보다도 큰 헤드부를 가짐과 아울러 상기 관형상부재보다도 큰 강성을 가지며, 상기 일측 플랜지부를 장식품의 외측에 배치하고, 피고정부재를 상기 일측 플랜지부와 상기 장식품과의 사이에 배치한 상태에서, 상기 헤드부를 장식품의 내측에 배치시킴으로써 상기 축부재를 피고정부재에 관통배치시키고, 상기 축부재를 축방향을 따라 장식품 반대방향으로 끌어당기며, 상기 헤드부가 관형상부재의 타단부를 점점 확대시킴으로써 상기 타측 플랜지부를 창출시키고, 상기 일측 플랜지부가 피고정부재의 일측에 고정됨과 아울러 상기 타측 플랜지부가 상기 장식품의 내측에 고정됨으로써, 상기 관형상부재를 통해 상기 피고정부재에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청구항 13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상기 축부재를 축방향을 따라 장식품 반대방향으로 끌어당겨, 상기 헤드부가 관형상부재의 타단부를 점점 확대시킴으로써 상기 타측 플랜지부를 창출시키며, 상기 일측 플랜지부가 피고정부재의 일측에 고정됨과 아울러 상기 타측 플랜지부가 상기 장식품의 내측에 고정됨으로써, 상기 관형상부재를 통해 상기 피고정부재에 장식품 고정장치로 고정하므로, 용이하게 장식품 고정장치로 장식품을 고정할 수 있는 고정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청구항 14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장식품은 상기 피고정부재의 일측면부에 배치되는 일측 구성부 및 상기 피고정부재의 타측면부에 배치되는 타측 구성부로 구성되며, 상기 관형상부가 상기 일측 구성부에 형성된 상태에서, 상기 축부재가 축방향을 따라 상기 타측 구성부 방향으로 끌어당겨질 때에, 상기 관형상부의 타단부에 타측 플랜지부를 창출시키고, 상기 타측 플랜지부를 상기 타측 구성부에 결합시킴으로써, 상기 장식품을 상기 피고정부재에 고정하는 공정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청구항 14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상기 관형상부가 상기 일측 구성부에 형성된 상태에서, 상기 축부재가 축방향을 따라 상기 타측 구성부 방향으로 끌어당겨질 때에, 상기 관형상부의 타단부에 타측 플랜지부를 창출시키며, 상기 타측 플랜지부를 상기 타측 구성부에 결합시킴으로써, 상기 장식품을 상기 피고정부재에 고정하는 공정을 구비하고 있으므로, 용이하게 장식품 고정장치로 장식품을 고정할 수있는 고정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청구항 15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일측 구성부를 상기 피고정부재의 상면측에, 상기 타측 구성부를 상기 피고정부재의 하면측에 각각 서로 상하방향으로 마주보게 배치하며, 상기 축부재를, 헤드부가 상기 일측 구성부 상에 놓인 지그를 통해 상기 일측 구성부, 상기 피고정부재 및 상기 타측 구성부를 삽입 통과시켜 배치하고, 상기 축부재가 하방으로 끌어당겨질 경우에, 상기 관형상부의 하단부를 상기 적재부에 형성된 접촉부에 접촉시켜 상기 하단부를 지름방향 외측으로 점점 확대시키고, 상기 타측 구성부에 결합할 수 있는 타측 플랜지부로서 형성시키며, 상기 일측 플랜지부와 상기 타측 플랜지부에 의해 상기 피고정부재를 양쪽에서 지지하여 고정부재를 피고정부재에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청구항 15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상기 축부재가 하방으로 끌어당겨질 경우에, 상기 관형상부의 하단부를 상기 적재부에 형성된 접촉부에 접촉시켜 상기 하단부를 지름방향 외측으로 점점 확대시키며, 상기 타측 구성부에 결합할 수 있는 타측 플랜지부로서 형성시키고, 상기 일측 플랜지부와 상기 타측 플랜지부에 의해 상기 피고정부재를 양쪽에서 지지하여 고정부재를 피고정부재로 고정하므로, 용이하게 장식품 고정장치로 장식품을 고정할 수 있는 고정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청구항 1, 2 또는 4에 기재된 발명에 따른 장식품 고정장치에서는 상기 축부재를 상기 관형상부의 축방향을 따라 끌어당김으로써 상기 관형상부의 타단부에 타측 플랜지부를 형성하고, 상기 일측 플랜지부와 상기 타측 플랜지부에 의해 상기 장식품을 피고정부재에 고정하므로, 종래의 핸드프레스기와 같이 장식품 그 자체를 가압하도록은 구성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가압의 정도를 조정하기 위한 장치의 조정작업이 불필요하게 된다.
따라서, 피고정부재에 대한 장식품의 고정작업이 용이하며, 또한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다.
그 결과, 조정작업시에 장식품의 표면을 파손하는 일도 없으며, 또한 장식품이 유리나 합성수지 등, 가압될 때에 내성을 갖지 않는 소재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경우일지라도, 장식품을 파괴 또는 손상시키는 일 없이 고정조정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종래의 핸드프레스기를 사용하여 장식품의 고정작업을 수행할 경우와 같이, 피고정부재에 고정하는 장식품의 표면형상, 크기, 두께 또는 재질 등에 따라 별도로 장식품 받침부재를 준비할 필요가 없으며, 고정작업에 필요한 비용을 저감할 수 있음과 아울러, 고정작업에 수반되는 번거로움을 해소할 수 있다.
또한, 장식품 표면에 문자 등이 표시되어 있고 피고정부재에 대한 부착방향이 결정되어 있는 것도 있지만, 종래와 같이 피스톤을 사용하여 장식품의 상방으로부터 천소재에 대해 가압하여 고정하도록은 구성되어 있지 않으며, 피고정부재가 장식품의 하방에 배치되기 때문에, 이와 같은 장식품의 고정작업시에, 장식품의 표면을 눈으로 확인할 수 있으며, 장식품의 부착방향과 일치하는 고정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청구항 3 또는 5에 기재된 발명에 따른 장식품 고정장치에 따르면, 적재부가 구비되어, 장식품이 위치결정된 피고정부재인 천소재 등을 올려놓을 수 있으므로, 작업 스페이스가 좁아지는 일이 없으며, 작업이 하기 쉽고, 안전성이 확보된 장식품 고정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파지부재를 끌어당기도록 작동시키는 조작부재를 구비하고 있으므로, 조작부재를 조작함으로써, 상기 파지부재에 의해 상기 축부재는 축방향을 따라 끌어당겨지므로, 용이하게 장식품을 고정할 수 있는 장식품 고정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청구항 9에 기재된 발명에 따른 장식품 고정장치에서는 사람 손을 통해 조작부재를 작동시킬 수 있으므로, 모든 설비를 필요로 하지 않으며, 사람의 조작에 의해 수동으로 장식품을 상기 피고정부재인 천소재 등에 고정할 수 있다.
청구항 6에 기재된 발명에 따른 장식품 고정장치에서는 상기 피고정부재는 상기 관형상부의 길이보다 작은 치수의 두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므로, 본 발명에 따른 장식품 고정장치를 사용하여 장식품을 피고정부재에 고정할 수 있다.
또한, 청구항 7에 기재된 발명에 따른 장식품 고정장치에서는 상기 피고정부재는 천 소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므로, 본 발명에 따른 장식품 고정장치를 사용하여 장식품을 천소재에 고정할 수 있다.
또한, 청구항 8에 기재된 발명에 따른 장식품 고정장치에서는 상기 피고정부재는 피혁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므로, 본 발명에 따른 장식품 고정장치를 사용하여 장식품을 피혁재에 고정할 수 있다.
청구항 10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장치의 상단부에, 피고정부재인 천소재 등을 올려놓을 수 있는 적재부가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용이하게 피고정부재인 천소재 등을 장치 위에서 펼 수 있으며, 작업이 하기 쉽고, 또한, 고정작업에서의 조작자의 손가락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다.
청구항 11에 기재된 발명에 따른 장식품 고정장치에 따르면, 액츄에이터에 의해 조작부재를 작동시킬 수 있으므로, 액츄에이터의 작동을 이용하여 용이하게 장식품을 상기 피고정부재인 천소재 등에 고정할 수 있다.
청구항 12~15에 기재된 발명에 따른 장식품의 고정방법에서는 종래의 핸드프레스기를 이용하여 가압하여 고정하는 것은 아니므로, 가압의 정도를 조정하기 위한 장치의 조정작업이 불필요하게 된다.
그 결과, 조정작업시에 장식품의 표면을 파손하는 일도 없으며, 또한, 장식품이 유리나 합성수지 등 가압에 대한 내성을 갖지 않는 소재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경우일지라도, 장식품에 손상을 주거나 장식품을 파단하는 일 없이 고정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종래의 핸드프레스기를 사용하여 장식품의 고정작업을 수행하는 경우와 같이, 피고정부재에 고정하는 장식품의 표면형상에 따라 별도로 장식품 받침을 준비할 필요가 없으며, 고정작업에 필요한 비용을 저감할 수 있음과 아울러, 고정작업으로부터 발생하는 번거로움을 해소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장식품 고정장치의 일 실시형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장식품 고정장치의 일 실시형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장식품 고정장치의 일 실시형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장식품 고정장치의 일 실시형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장식품 고정장치의 일 실시형태를 나타낸 도 3의 DD간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장식품 고정장치의 일 실시형태를 나타낸 일부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장식품 고정장치의 일 실시형태를 나타낸 일부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장식품 고정장치의 일 실시형태를 나타낸 일부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장식품 고정장치의 일 실시형태를 나타낸 일부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장식품 고정장치를 사용하여 고정한 장식품의 일 실시형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장식품 고정장치의 수납부의 일 실시형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12의 (a), (b) 및 (c)는 본 발명에 따른 장식품 고정장치에 사용하는 적재부재의 일 실시형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13의 (a), (b), (c), (d) 및 (e)는 본 발명에 따른 장식품 고정장치를 사용하여 고정되는 장식품의 일 실시형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14의 (a) 및 (b)는 본 발명에 따른 장식품 고정장치를 사용하여 고정되는 장식품의 일 실시형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15의 (a) 및 (b)는 본 발명에 따른 장식품 고정장치에 사용하는 고정부재의 일 실시형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16의 (a) 및 (b)는 본 발명에 따른 장식품 고정장치에 사용하는 고정부재의 부착상태를 나타낸 일 실시형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장식품 고정장치의 일 실시형태를 나타낸 일부 단면도.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장식품 고정장치의 일 실시형태를 나타낸 일부 단면도.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장식품 고정장치의 일 실시형태를 나타낸 일부 단면도.
도 20은 본 발명에 다른 장식품 고정장치의 일 실시형태를 나타낸 일부 단면도.
도 21은 본 발명에 따른 장식품 고정장치를 사용하여 고정한 장식품의 일 실시형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22는 본 발명에 따른 장식품 고정장치에 사용하는 적재부재의 일 실시형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23은 본 발명에 따른 장식품 고정장치에 작업대를 장착한 상태를 나타낸 일 실시형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24는 본 발명에 따른 장식품 고정장치에 작업대를 장착한 상태를 나타낸 일 실시형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25는 본 발명에 따른 장식품 고정장치에 액츄에이터를 장착한 상태를 나타낸 일 실시형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26은 장식품을 천소재에 고정할 경우에 사용되는 종래의 핸드프레스기를 나타낸 사시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장식품 고정장치의 제 1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장식품 고정장치(10)의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장식품 고정장치(10)는 고정부재인 예를 들면 단추 등의 장식품(18)을 시트형상의 피고정부재(19)에 고정하는 장식품 고정장치(10)로서, 상기 피고정부재(19)를 관통하여 배치되는 관형상부(11)와, 상기 관형상부(11)의 일단부에 형성되며, 상기 피고정부재(19)의 일측 측면부쪽에 배치되는 일측 플랜지부(12)와, 상기 관형상부(11a) 내에 관통하여 배치되고, 상기 관형상부(11)의 길이보다도 긴 길이의 축부재(15)를 가지며, 상기 축부재(15)를 상기 관형상부(11)의 축방향을 따라 끌어당김으로써 상기 관형상부(11)의 타단부(13)에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타측 플랜지부(14)를 형성하고, 상기 일측 플랜지부(13)와 상기 타측 플랜지부(14)에 의해 상기 장식품(18)을 피고정부재(19)에 고정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도 1 및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장식품 고정장치(10)의 상기 관형상부(11)는 일단부에 일측 플랜지부(12)를 갖는 관형상부재(11a)에 의해 형성되며, 상기 축부재(15)는 상기 관형상부재(11a)의 내경보다도 큰 헤드부(16)를 가지며 또한 상기 관형상부재(11a)보다도 큰 강성을 갖는 축부재(15a)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또한, 도 1 및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일측 플랜지부(12)는 장식품(19)의 외측(A)에 배치되며, 상기 헤드부(16)는 장식품(18)의 내측(B)에 배치되고, 상기 피고정부재(19)는 상기 장식품(18)과 상기 일측 플랜지부(12) 사이에 배치된다. 도 2 및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축부재(15)가 축방향을 따라 장식품 반대방향(C)으로 끌어당겨질 때에, 상기 헤드부(16)가 관형상부재(11a)의 타단부(13)를 점점 확대시킴으로써 상기 타측 플랜지부(14)를 창출하고, 상기 일측 플랜지부(12)가 피고정부재(19)의 일측(21)에 고정됨과 아울러 상기 타측 플랜지부(14)가 상기 장식품의 내측(22)에 고정됨으로 인해, 상기 관형상부재(11a)를 통해 상기 장식품(18)을 상기 피고정부재(19)에 고정한다.
또한, 도 1 및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따른 장식품 고정장치(10)는 상기 장식품(18)이 위치결정된 피고정부재(19)가 놓이는 적재부(23)와, 상기 축부재(15)가 관통함으로써 축부재(15)를 파지하여 끌어당기는 파지부재(24a, 24b)와, 상기 파지부재(24a, 24b)를 끌어당기도록 작동시키는 조작레버(25)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장식품 고정장치의 제 2 실시형태에 대해, 상기 제 1 실시형태와 다른 점을 설명하다.
제 2 실시형태는 도 21에 나타낸 바와 같은, 예를 들면 후크 등의 장식품(18)을 피고정부재(19)에 고정할 경우의 양태를 나타낸다.
즉, 장식품(18)은 상기 피고정부재(19)의 일측면부(102)에 배치되는 일측 구성부(100), 및 상기 피고정부재(19)의 타측면부(103)에 배치되는 타측 구성부(101)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도 21에 나타낸 바와 같이, 관형상부(11)는 상기 일측 구성부(100)에 형성되며, 도 2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축부재(15)가 축방향을 따라 상기 타측 구성부(101) 방향(E)으로 끌어당겨질 때에, 도 19에 나타낸 바와 같은 상기 관형상부(11)의 타단부(13)에 도 20에 나타낸 바와 같은 타측 플랜지부(14)를 창출하고, 상기 타측 플랜지부(14)를 상기 타측 구성부(101)에 결합시킴으로써, 상기 장식품(18)을 상기 피고정부재(19)에 고정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도 1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일측 구성부(100)는 상기 피고정부재(19)의 상면(19a)측에, 상기 타측 구성부(101)는 상기 피고정부재(19)의 하면(19b)측에 각각 서로 상하방향으로 마주보게 배치되며, 상기 피고정부재(19)가 상기 타측 구성부(101)를 개재하여 올려놓여지는 적재부(34)와, 상기 일측 구성부(100), 피고정부재(19) 및 도 19에 나타낸 바와 같은 상기 타측 구성부(101)를 관통하여 배치된 상기 축부재(15)를 파지하여 하방으로 끌어당기는 파지부재(24a, 24b)와, 상기 파지부재(24a, 24b)를 하방으로 끌어당기도록 작동시키는 도 17에 나타낸 바와 같은 조작부재(25)를 구비하며, 상기 축부재(15)의 헤드부(16)는 도 19에 나타낸 바와 같은 상기 일측 구성부(100) 상에 놓인 지그(108)를 통해 배치되며, 상기 적재부(34)는 상기 축부재(15)가 하방으로 끌어당겨질 경우에, 상기 관형상부(11)의 하단부(13)와 접촉하여 상기 하단부(13)를 지름방향 외측으로 점점 확대시켜, 상기 타측 구성부(101)에 결합할 수 있는 타측 플랜지부(14)로서 형성시킬 수 있는 접촉부(106)를 갖도록 구성되어 있다.
(실시예 1)
이하, 상기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본 실시예(1)에 대해, 피고정부재로서 천 소재를 사용한 경우를 예로 들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장식품 고정장치(10)는 설치면인 고정대(26) 상에 고정할 수 있는 기판부인 좌대(27)와, 상기 좌대(27)의 상면에 직립되게 설치된 지주부(28)와, 상기 지주부(28)의 상부에 마찬가지로 직립상태로 연결형성되고, 내부에 파지부재(24a, 24b)가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배치되어 있으며, 전체적으로 대략 직육면체로 형성된 파지부(20)와, 상기 파지부(20)의 내부에 한 쌍의 상기 파지부재(24a, 24b)를 구비하는 끌어내림 구동부(29)와, 상기 끌어내림 구동부(29)의 하방에 배치되며, 상기 축부재(15a)를 수납할 수 있는 회수박스(30)와, 상기 끌어내림 구동부(29)와 연동하여 상하회동가능하게 동작할 수 있는 상기 파지부(20)에 회동가능하게 장착된 조작레버(25)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파지부(20)는, 상기 적재부(23)를 상단에 구비한 적재부재(34)를 착탈가능하게 장착할 수 있는 나사구멍(31)을 상면에 구비하며, 상기 나사구멍(31)의 하방에 끌어내림 구동부(29)가 수납되고, 상기 끌어내림 구동부(29)의 지름방향 양단부를 지지하여 수납된 상기 조작레버(25)의 상하회동동작을 방해하지 않도록 상기 파지부(20)의 길이방향 측면부를 관통하여 개구부(32a, 32b)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파지부(20)의 하단에는 하단개구부(33)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적재부(23)는 상기 축부재(15)를 삽입관통할 수 있는 적재부재(34)의 상단부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적재부재(34)는 통 형태로 형성됨과 아울러 중앙부에 축삽입관통공(60)을 가지며, 상기 나사구멍(31)과 결합가능한 연결용 관형상 나사부(35)와, 상기 연결용 관형상 나사부(35)의 상부에 형성되며, 상기 파지부(20)의 상면부와 접촉하는 관형상 스톱퍼편(36)과, 상기 연결용 관형상 나사부(35)의 하단에 형성되며, 상기 파지부(24a, 24b)의 상단부와 접촉하는 경사면을 갖는 경사면부(37)로 구성되어 있다.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적재부재(34)는 상기 연결용 관형상 나사부(35)에 의해 탈착가능하게 형성되며, 장식품(18)의 이면 형상에 따라 적절히 교환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다.
예를 들면, 도 10과 같이 장식품인 단추(18)가 천소재(19)에 부착된 상태의 이면부가 평면인 경우에는 도 12(a)에 나타낸 형태의 적재부재(67)를 사용하여, 도 13(a)와 같이 장식품인 단추(18)가 부착된 상태의 이면부가 후크의 수(雄)부재(70)인 경우에는 도 12(b)에 나타낸 형태의 적재부재(68)를 사용하고, 도 13(b)와 같은 장식품인 단추(18)가 부착된 상태의 이면이 후크의 암부재(71)인 경우에는 도 12(c)에 나타낸 형태의 적재부재(69)를 사용한다.
또한,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끌어내림 구동부(29)는 지름방향 외주 양단부에 상기 조작레버(25)를 지지할 수 있는 지지부(55)를 구비한 대략 원통형의 케이스부(38)와,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케이스부(38)의 내부에 수납된 상기 파지부재(24a, 24b)와, 상기 파지부재(24a, 24b)의 하단부에 결합가능한 밀어올림부재(39)와, 상기 케이스부(38)의 하단부에 결합가능한 나사홈을 갖는 스크류부재(40)와, 상기 밀어올림부재(39)의 하단부의 원통돌출부(42)와 스크류 부재(40)의 상단부의 원통돌출부(43) 사이에 배치된 코일형태의 코일스프링(41)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케이스부(38)의 상부 내주면은 하방을 향해 점점 확대되는 테이퍼 형상으로 형성된 내주 경사면(44)을 갖는다.
또한,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파지부재(24a, 24b)는 파지부재(24a, 24b) 전체에 걸쳐 횡단면이 대략 원뿔대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케이스부(38)가 상기 조작레버(25)에 의해 끌어 내려질 경우에, 상기 축부재(15)를 파지할 수 있는 서로 마주보는 연속적인 요철형태를 갖는 한 쌍의 파지부(45, 45)와, 각각의 상단부에 상기 적재부재(34)의 경사면부(37)와 접촉가능하게 형성된 상부 내측 경사면부(46, 46)와, 각각의 하단부에 상기 밀어올림부재(39)의 상단부와 접촉가능하게 형성된, 내측으로 경사진 하부 내측 경사면(47, 47)과, 상기 조작 레버(25)의 조작에 따라 상기 코일스프링(41)의 탄성지지력으로 상기 내주경사면(44, 44)과 접촉하면서 이동하여 상기 파지부재들(24a, 24a) 간의 간격을 줄일 수 있도록 기능하는 외주경사면(48)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따라, 상기 코일스프링(41)의 탄성지지력에 의해 상기 밀어올림부재(39)는 상기 파지부재(24a, 24b)에 압접한 상태로 끌어내림 구동부(29) 내에 수납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파지부재(24a, 24b)는 상기 끌어내림 구동부(29)의 상기 케이스부(38)의 상단부가 상기 파지부(20)의 내측면 상단과 접촉하고 있는 경우에는 상기 코일 스프링(41)의 상방으로의 탄성지지력에 의해, 상기 적재부재(34)의 경사면부(37)와 상기 파지부재(24a, 24b)의 상부 내측 경사면부(46)가 접촉함으로 인해, 상기 파지부재들(24a, 24b) 사이에 상기 축부(15)를 삽입관통할 수 있도록 틈새(S)가 형성되며, 상기 케이스부(38)가 상기 조작레버(25)에 의해 끌어 내려질 경우에, 상기 적재부재(34)의 경사면부(37)와 상기 파지부재(24a, 24b)의 상부 내측 경사면부(46)와의 접촉이 해제됨으로 인해, 파지부재(24a, 24b)에 의해 상기 축부재(15)가 파지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밀어올림부재(39) 및 상기 스크류부재(40)는 상기 축부재(15)를 삽입관통할 수 있도록, 중앙부에 삽입관통공(64, 65)을 갖는 통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3∼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조작레버(25)는 상기 끌어내림 구동부(29)의 지름방향 양단부를 측방으로부터 끼워넣어 고정하는 U자형 부재(50)와, 상기 U자형 부재(50)의 개구단부에 고정부(52)를 통해 접합고정되는 레버부(53)로 구성되어 있다.
도 3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U자형 부재(50)의 마주보는 측변부(51a, 51b)는 상기 U자형 부재(50)의 길이방향의 대략 중앙부부터 상기 U자형 부재(50)의 단부(58)측에서의 상기 파지부(20)와의 교차부에서, 도 4 및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파지부(20)의 일측의 폭방향 측면부쪽으로부터 타측 폭방향 측면부쪽으로 관통하는 지축(54)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또한, 상기 조작레버(25)의 선단부가 되는 상기 U자형 부재(50)의 단부(58)와 상기 좌대(27)와의 사이에는 코일 스프링(59)이 설치되며, 상기 조작레버(25)의 선단부(58)측은 코일스프링(59)의 탄성지지력에 의해 항상 하방으로 탄성적으로 지지되고 있음과 아울러, 상기 레버부(53)의 조작 측단부(53a)측은 상방으로 탄성적으로 지지되고 있다.
또한,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U자형 부재(50)의 마주보는 측변부(51a, 51b)는 상기 파지부(20)의 폭방향 측면부를 관통하는 개구부(32a, 32b) 내에 삽입관통되어 있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U자형 부재(50)의 길이방향 대략 중앙부와 상기 끌어내림 구동부(29)의 지름방향 양측부는 상기 측변부들(51a, 51b) 사이에 끼인 상태로 서로 결합되어 있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U자형 부재(50)의 측변부(51a, 51b)의 길이방향 대략 중앙부에는 한 쌍의 캠부(56, 56)가 형성되며, 상기 끌어내림 구동부(29)의 지름방향 양측부에는 상기 캠부(56, 56)가 배치되는 측면 직사각형 형상의 오목부(57, 57)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캠부(56, 56)는 상위 U자형 부재(50)의 폭방향 양단부에 소정의 길이로 형성되며, 상기 U자형 부재(50)의 폭방향 일반면에서부터 안쪽으로 절개하여 형성된 한 쌍의 절개부(50a, 50b)와, 이들 절개부재(50a, 50b) 사이에 형성된 원호부(50c, 50d)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원호부들(50c, 50d) 간의 간격은 상기 오목부(57, 57)의 높이보다 약간 작게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조작레버(25)의 조작측단부(53a)를 상방으로 회동시킨 경우에는 상기 원호부(50c)가 상기 오목부(57, 57)의 상측 가장자리부(57a, 57a)에 슬라이드 접촉함으로써 상기 끌어내림 구동부(29)를 상방으로 이동시키고, 조작 레버(25)의 조작측단부(53a)를 하방으로 회동시킨 경우에는 상기 원호부(50d)가 상기 오목부(57, 57)의 하측 가장자리부(57b, 57b)에 슬라이드 접촉함으로써 상기 끌어내림 구동부(29)를 하방으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도 11과 같이, 상기 회수박스(30)는 장착편(66) 및 지주부(28)의 슬릿(28a)에 의해 지주부(28)에 대해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이하, 상기 실시예 1의 작용에 대해 설명한다.
장식품 고정장치(10)를 사용하여 장식품(18)을 천소재에 고정하는 방법을 도 6∼도 10을 이용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끌어내림 구동부(29)의 내부에 형성된 파지부(24a, 24b)는 상기 코일 스프링(41)의 탄성지지력에 의해, 상기 밀어올림부재(39)를 통해 상방으로 탄성적으로 지지되어 있다.
그 결과, 상기 파지부재(24a, 24b)의 상기 상부 내측 경사면부(44)와 상기 적재부재(34)의 하단에 형성된 상기 경사면부(37)가 서로 접촉하여, 상기 마주보는 한 쌍의 파지부재(24a, 24b) 사이에는 상기 축부재(15)가 삽입될 수 있는 틈새(S)가 형성되어 있다.
장식품을 천소재에 고정할 경우에는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일단부에 일측 플랜지부(12)를 갖는 관형상부재(11a)와, 상기 관형상부재(11a)에 관통하여 배치됨과 아울러, 관형상부재(11a)의 길이보다도 긴 길이를 가지며, 또한 상기 관형상부재(11a)의 내경보다도 큰 헤드부(16)를 가지며 상기 관형상부재(11a)보다도 큰 강성을 갖는 축부재(15)를, 상기 적재부재(34)의 상기 삽입관통공(60)에 삽입관통시켜, 상기 축부재(15)의 선단부를 상기 한 쌍의 파지부재들(24a, 24b) 사이의 틈새(S)에 배치한다.
이 경우에는 상기 일측 플랜지부(12)는 상기 적재부(23) 상에 놓인다.
이어,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축부재(15)의 헤드부(16) 쪽에서부터 워셔(61)를 삽입관통시켜, 상기 적재부(23) 상에 놓인 상기 일측 플랜지부(12) 상에 배치한다. 그리고, 천소재(19)를 상기 축부재(15)의 헤드부(16) 쪽에서부터 관통시켜 상기 워셔(61) 상에 배치한다.
그리고, 상기 축부재(15)의 헤드부(16)가 장식품 내측에 배치되도록 장식품(18)의 장착구멍부(62)를 삽입함과 아울러, 장식품(18)의 표면부(63)에 문자 등이 기재되며, 부착방향을 천소재(19)와의 관계로 결정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장식품(18)의 방향을 회전시켜 조정한다.
이와 같이 조정할 때, 종래의 장식품 고정작업인 경우에는 도 1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장식품(18)의 표면은 상기 장식품 받침부재(95)에 접촉함과 아울러 상방은 피고정부재인 천소재(19)에 의해 피복되어 있기 때문에, 고정작업시에는 장식품(18)의 표면을 눈으로 확인할 수 없으므로, 장식품(18)의 부착방향이나 위치조정을 확인하는 것이 어려웠지만, 본 발명의 장식품 고정장치(10)를 사용할 경우에는 장식품(18)의 상방에는 장식품 고정장치(10)의 구성부재가 전혀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장식품(18)의 표면부(63)를 작업자가 직접 눈으로 확인할 수 있어, 장식품(18)의 부착방향을 확인하는 것이 용이하다.
이어,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장식품(18)의 상부를 사람 손으로 누르면서, 조작레버(25)를 끌어내리고, 조작레버(25)를 지축(54)을 중심으로 회동시켜, 한 쌍의 캠부(56, 56)가 상기와 같이 한 쌍의 오목부(57, 57)에 결합하면서 회동하며, 끌어내림 구동부(29)를 끌어내린다.
이 경우, 지지부(55)에 의해 지지되어 있는 케이스부(38)는 하방으로 끌어내려지고, 상기 파지부(24a, 24b)도 상기 케이스부(38)와 함께 하강하는데, 상기 끌어내림 구동부(29)의 내부에 형성된 상기 파지부(24a, 24b)는 상기 코일스프링(41)의 탄성지지력에 의해, 상기 밀어올림부재(39)를 통해 상방으로 탄성적으로 지지되고 있으므로, 상기 파지부(24a, 24b)의 외주경사면(48)과 케이스부(38)의 내주경사면(44)이 접촉하면서, 파지부(24a, 24b)가 상대적으로 상방으로 밀어올려지며, 상기 파지부재(24a, 24b)의 상기 상부 내측 경사면부(46)와 상기 적재부재(34)의 하단에 형성된 상기 경사면부(37)와의 접촉이 해제된다.
그 결과, 상기 파지부재(24a, 24b)에 의해 축부재(15)의 선단부가 파지됨과 아울러, 상기 파지부(24a, 24b)의 외주경사면(48)과 케이스부(38)의 내주경사면(44)이 접촉한 상태로 고정된다.
조작레버(25)를 다시 끌어내림으로써, 상기 파지부(24a, 24b)는 축부재(15)를 파지하면서 하강하고, 축부재(15)는 관형상부재(11a)보다도 큰 강성을 가지므로,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은 관형상부재(11a)의 타단부(13)는 조작레버(25)의 끌어내림 조작에 의해, 상기 축부재(15)가 축방향을 따라 장식품 반대방향(C)으로 끌어당겨질 때에,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축부재(15)의 헤드부(16)가 관형상부재(11a)에 압입되어 타측 플랜지부(14)가 창출된다.
이 경우, 상기 축부재(15)의 상기 헤드부(16)의 형상에 따라, 창출되는 타측플랜지부(14)의 형상은 다르다.
예를 들면, 도 15(a)에 나타낸 바와 같은, 헤드부(16)가 지름방향 외측으로 부풀어오른 팽출부(膨出部)를 갖는 전체적으로 대략 원뿔형상인 경우에는, 창출되는 타측 플랜지부(14)의 형상은 도 16(a)에 나타낸 바와 같은 지름방향으로 부풀어오른 형상이다. 또한, 도 15(b)에 나타낸 바와 같은, 헤드부(16)가 대략 원뿔형상임과 아울러 돌출홈(72)이 4군데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창출되는 타측 플랜지부(14)는 도 16(a)에 나타낸 바와 같은, 4개의 조각(14a, 14a, 14a, 14a)이 각각 4방향으로 벌어지는 형상이 된다.
그 후, 상기 조작레버(53)의 끌어내림 조작에 의해,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축부재(15)와 상기 헤드부(16)는 축부재(15a)가 상기 파지부(24a, 24b)에 의해 파지된 상태로 분리된다.
이 경우, 종래의 핸드프레스기와 같이 장식품을 가압하도록은 구성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장식품 고정장치(10)의 조정작업은 불필요하다.
천소재(19)에 대한 장식품(18)의 부착강도는 관형상부재(11a) 및 축부재(15)의 굵기 및 재질, 축부재(15)와 헤드부(16)의 파단면적 등에 의해 결정되기 때문에, 종래, 수행되었던 바와 같은 장식품 고정장치에 관한 조정작업은 불필요하며, 천소재(19)의 강도나 의복 등의 디자인 등에 따라 관형상부재(11a) 및 축부재(15)를 적절히 선택하여 사용한다.
그 후, 상기 조작레버(25)의 조작을 중지하면,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조작레버(25)의 선단부(58)와 상기 좌대(27) 사이에 설치된 코일 스프링(59)의 탄성지지력에 의해, 상기 조작레버(25)의 선단부(58)측이 하방으로 탄성적으로 지지된다.
그 결과,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끌어내림 구동부(29)의 내부에 형성된 상기 파지부(24a, 24b)는 상기 코일 스프링(39)의 탄성지지력에 의해, 상기 밀어올림부재(39)를 통해 상방으로 탄성적으로 지지되어, 상기 파지부재(24a, 24b)의 상기 상부 내측 경사면부(46)와 상기 적재부재(34)의 하단에 형성된 상기 경사면부(37)가 접촉함으로써, 상기 파지부(24a, 24b)의 축부재(15a)의 파지상태가 해제됨과 아울러, 상기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파지부재(24a, 24b) 사이에 상기 축부재(15)가 삽입관통될 수 있는 틈새(S)가 형성된다.
상기 파지부(24a, 24b)의 파지상태가 해제되며,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파지되었던 축부재(15a)는 낙하하여, 상기 밀어올림부재(39)의 삽입관통공(64)과 상기 스크류부재(40)의 삽입관통공(65)을 통과한 후, 하단 개구부(33)를 통해 회수박스(30)에 낙하한다.
회수박스(30)에 낙하한 불필요해진 축부재(15a)는 도 11과 같이 회수박스(30)가 장착편(66)에 의해 지주부(28)에 착탈가능하게 장착되어 있으므로, 불필요한 축부재(15a)의 회수가 용이하다.
축부재(15a)의 낙하 후에는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코일 스프링(59)의 탄성지지력에 의해 조작레버(25)의 조작측단부(53a)가 상방으로 탄성적으로 지지된다. 그 결과, 상기 끌어내림 구동부(29)의 내부에 형성된 상기 파지부(24a, 24b)는 코일 스프링(41)의 탄성지지력에 의해, 밀어올림부재(39)를 통해 상방으로 탄성적으로 지지되고, 상기 파지부재(24a, 24b)의 상기 상부 내측 경사면부(44)와 상기 적재부재(34)의 하단에 형성된 상기 경사면부(37)가 서로 접촉하여, 상기 마주보는 한 쌍의 파지부재(24a, 24b) 사이에 상기 축부재(15)가 삽입될 수 있는 틈새(S)가 형성된다.
이와 같이,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파지부재(24a, 24b) 사이에 상기 축부재(15)가 삽입될 수 있는 틈새(S)가 형성되어 있는 상태이므로, 다음의 관형상부재(11a) 및 축부재(15)를 상기 적재부재(34)의 상기 축삽입관통공(60)에 삽입관통시켜 배치하는 것이 용이해진다.
이와 같이 하여,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장식품(18)은 상기 관형상부재(11a)를 통해 장식품 고정장치(10)를 사용함으로써 천소재(19)에 고정된다.
또한, 도 13(a)∼(e) 및 장식품(18)의 상부가 움직일 수 있는 도 14(a), (b)에 나타낸 바와 같은 장식품(18)을 부착할 경우에도, 장식품 고정장치(10)를 사용함으로써, 도 13(a)∼(e) 및 도 14(a),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장식품(18)을 천 소재(19)에 고정할 수 있다.
따라서, 장치의 조정작업을 필요로 하지 않으며, 작업시에 장식품의 표면에 손상을 주는 일 없이, 장식품의 표면이 유리나 비드 등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경우나 장식품의 상부가 움직일 수 있는 경우에도 사용될 수 있으며, 장식품의 표면형상에 따라 별도로 장식품 받침을 준비할 필요가 없음으로 인한 비용 증대나 번거로움을 해소하고, 작업 스페이스가 좁아지는 일이 없으며, 작업이 하기 쉽고, 안전성이 확보되며, 장식품의 피고정부재로서 사용되는 천 등의 크기에 상관없이, 용이하게 장식품을 고정할 수 있는 장식품 고정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실시예 2)
이하, 상기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실시예 2에 대해, 상기 실시예 1과 다른 부분을 설명한다. 본 실시예는 장식품으로서 암후크(104)를 천소재(19)에 고정하는 경우를 나타낸다.
본 실시예 2에 있어서, 도 2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피고정부재(19)의 일측면부(102)에 배치되는 일측 구성부(100) 및 상기 피고정부재(19)의 타측면부(103)에 배치되는 타측 구성부(101)에 의해 구성되는 장식품으로 사용되는 암후크(104)를 피고정부재(19)에 장착할 수 있다.
또한, 도 1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일측 구성부(100)는 상기 피고정부재(19)의 상면(19a)측에, 상기 타측 구성부(101)는 상기 피고정부재(19)의 하면(19b)측에 각각 서로 상하방향으로 마주보게 배치되어 있다.
본 실시예 2는 도 2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암후크의 기능을 갖는 타측 구성부(101)에 타측 플랜지부(14)를 결합시킴으로써, 피고정부재(19)에 장식품으로서 사용되는 암후크(104)를 장착하는 것이다.
상기 일측 구성부(100)는 평면상 대략 고리형태로 형성되며, 도 1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면에 상측 평면부(115)를 가지며, 관형상부(11)가 상기 상측 평면부(115)의 내주연에서부터 하방으로 직립되게 연결형성되고, 피고정부재(19)에 고정되기 전에는 관형상부(11)의 선단에는 하단부(13)를 가지며, 피고정부재(19)에 고정된 후에는 도 2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관형상부(11)의 하단부(13)에 타측 플랜지부(14)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타측 구성부(101)는 평면상 대략 고리형태로 형성되고, 도 18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면에 하측 평면부(121)를 가지며, 암후크 도입관부(120)가 상기 하측 평면부(121)의 내주연에서부터 상방으로 직립되게 연결형성되고, 상기 암후크 도입관부(120)의 상단부로부터 내경방향으로 연장된 결합편(119)이 내주연에 걸쳐 형성되며, 상기 수후크 도입관부(120)의 하단부에는 암후크(104)와 쌍을 이루는 수후크를 걸어 고정할 수 있는 한 쌍의 후크 스프링부(117, 117)를 갖는다.
또한, 장식품 고정장치(10)의 적재부재(34)는 도 17의 단면도 및 도 22의 경사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통 형태로 형성됨과 아울러 중앙부에 축삽입공(60)을 가지며, 도 17에 나타낸 파지부(20)의 나사공(31)과 결합가능한 연결용 관형상 나사부(35)와, 상기 연결용 관형상 나사부(35)의 상부에 형성되며, 파지부(20)의 상면부와 접촉할 수 있는 육각 통형태의 관형상 스톱퍼편(36)과, 관형상 스토퍼편(36)의 상단부의 적재부(23)와, 상기 적재부(23)의 상부에 형성되며 장식품인 암후크(104)의 타측 구성부(101)의 장착공(116)을 관통할 수 있는 원통형의 장착부(105)와, 상기 장착부(105)의 상부에 형성되며 하방으로 경사지는 경사면을 갖는 접촉부(106)와, 상기 접촉부(106)의 상부에 연결형성되며, 상기 장착부(105)의 지름보다 작은 외경으로 이루어짐과 아울러 도 18에 나타낸 바와 같은 상기 일측 구성부(100)의 관형상부(11)의 내경보다 작은 외경으로 이루어진 원통형의 안내관부(107)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도 18에 나타낸 바와 같은 상기 구성으로 이루어진 장식품인 암후크(104)를 피고정부재(19)에 장착할 경우에는 도 19에 나타낸 바와 같은 지그(108)를 사용한다.
도 1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지그(108)는 원통형으로 형성됨과 아울러 중앙부에 구멍부(109)를 가지며, 장식품인 암후크(104)의 일측 구성부(100)의 상면부(115)와 접촉할 수 있는 압접면(113)을 갖는 원통형의 하부원통부(110)와, 상기 하부원통부(110)에 연결형성된 하부원통부(110)보다 작은 지름으로 이루어진 상부원통부(111)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구멍부(109)는 축부재(15)를 삽입관통가능하게 함과 아울러, 상기 지그(108)의 상단부에는 내주연에서부터 지름방향 내측으로 연장형성되는 상기 축부재(15)의 헤드부(16)를 고정할 수 있도록 걸림부(112)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축부재(15)를 상기 지그(108)의 구멍부(109)의 상부를 통해 삽입한 경우에, 상기 헤드부(16)를 걸어 고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멍부(109)는 상기 적재부재(34)에 상기 지그(108)를 씌운 경우에, 상기 적재부재(34)의 상기 안내관부(107)를 수납할 수 있는 공간부(114)를 갖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하, 실시예 2의 작용에 대해 설명한다.
장식품 고정장치(10)를 사용하여, 도 2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장식품인 암후크(103)를 피고정부재인 천소재(19)에 고정하는 방법을 도 17∼도 2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1에 나타낸 바와 같은 장식품인 암후크(104)를 천소재(19)에 고정할 경우에는 도 1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도 22에 나타낸 바와 같은 적재부재(34)를 상기 나사구멍(31)에 장착한다.
이어, 도 18에 나타낸 바와 같이,암후크(14)의 타측 구성부(101)의 장착공(116)을 하측 평면부(121)가 하방이 되도록 상기 적재부재(34)의 상단측으로부터 삽입관통시켜, 장착부(105)가 상기 타측 구성부(101)의 후크 스프링부(117)에 의해 지름 방향으로 고정됨과 아울러 상기 타측 구성부(101)의 하측 평면부(121)가 적재부(23)의 상면에 접하도록 장착한다.
그리고, 천소재(19)를 상기 적재부재(34)의 상단측으로부터 관통시켜 상기 타측 구성부(101)의 상방에 배치한다.
또한, 상기 일측 구성부(100)의 삽입관통공(118)을 상측 평면부(115)가 상방이 되도록 상기 적재부재(34)의 상단측으로부터 삽입관통시켜, 천소재(19)를 통해 상기 타측 구성부(101)와 마주보도록 배치하고, 상기 일측 구성부(100)의 관형상부(11)의 하단부(13) 선단이 상기 적재부재(34)의 접촉부(106)의 상단에 접촉하도록 배치한다.
그리고, 도 1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축부재(15)를 지그(108)의 구멍부(109)의 상부로부터 삽입하여 상기 축부재의 헤드부(16)를 지그(108)의 걸림부(112)에 접촉시킴으로써 지그(108)의 상부에 배치하고, 상기 지그(108)의 상부에 배치된 상기 축부재(15)를 상기 적재부재(34)의 축삽입공(60)으로 삽입함으로써, 상기 일측 구성부(100) 상에 상기 지그(108)를 올려놓고, 상기 지그(108)의 압접면(113)과 상기 일측 구성부(101)의 상측 평면부(115)를 접촉시킨다.
이어, 축부재(15)의 헤드부(16)의 상부를 사람의 손으로 누르면서 도 17에 나타낸 바와 같은 조작레버(25)의 조작측단부(53a)를 끌어내려, 도 20에 나타낸 바와 같이 끌어내림 구동부(29)를 끌어내린다.
이 경우, 상기 실시예 1과 같이, 조작 레버(25)의 끌어내림에 의해, 파지부재(24a, 24b)는 축부재(15)의 선단부를 파지하고, 또한 조작레버(25)를 끌어내림으로써, 상기 파지부재(24a, 24b)는 축부재(15)를 파지하면서 하강한다.
도 2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축부재(15)가 하방으로 끌어당겨짐으로 인한 인장력이, 헤드부(16)를 걸어 고정하고 있는 지그(108)의 걸림부(112)를 통해 상기 지그(108)의 압접면(113)으로부터 상기 암후크(104)의 일측 구성부(100)의 상측 평면부(115)를 압접하도록 작용하여, 상기 관형상부(11)를 밀어내리고, 도 19에 나타낸 바와 같은 상기 관형상부(11)의 하단부(13)는 도 20에 나타낸 바와 같이 비스듬히 외측의 경사면으로 이루어진 상기 접촉부(106)의 경사면에 접촉하여 지름방향 외측으로 점점 확대되어, 도 19에 나타낸 바와 같은 상기 타단부(13)에 도 20에 나타낸 바와 같은 타측 플랜지부(14)가 형성되고, 상기 타측 플랜지부(14)는 상기 타측 구성부(101)의 결합편(119)과 결합한다.
그리고, 도 2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조작레버(25)를 다시 끌어내림으로써, 상기 축부재(15)의 상기 헤드부(16)는 축부재(15a)가 상기 파지부재(24a, 24b)에 의해 파지된 상태로 분리된다.
이 경우, 도 2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지그(108)를 상기 적재부재(34)의 안내관부(107)의 상단측으로부터 씌운 경우에, 상기 안내관부(107)를 수납할 수 있는 공간부(114)를 가지므로, 상기 안내관부(107)가 지그(108)에 접촉하는 일은 없다.
그리고, 상기 헤드부(16)와 상기 지그(108)를 장식품 고정장치(10)의 상부로부터 제거하고, 피고정부재(19)에 고정된 장식품으로 사용되는 암후크(104)를 벗겨냄으로써 고정이 완료되며, 도 21에 나타낸 바와 같은 장식품으로 사용되는 암후크(104)를 피고정부재(19)에 고정할 수 있다.
(실시예 3)
실시예 3에 대해 상기 실시예 1 및 2와는 다른 부분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3 및 도 2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장식품 고정장치(10)에는 작업대(73)를 장착할 수 있다. 상기 작업대(73)는 판 형태로 형성되며, 세워 설치된 4개의 다리부(74) 위에 설치됨과 아울러, 상기 적재부(23)가 노출되는 개구부(75)를 가지며, 작업대(73)의 상면은 상기 적재부(23)와 대략 동일한 평면상에 배치되어 있다.
이로써, 커다란 천소재(19)를 사용하는 경우일지라도, 천소재(19)를 용이하게 취급할 수 있으므로, 용이하게 장식품(18)을 고정할 수 있다.
또한, 작업 스페이스가 좁아지는 일이 없으며, 작업이 하기 쉬운 장식품 고정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실시예 4)
실시예 4에 대해 상기 실시예 1∼3과는 다른 부분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장식품 고정장치(10)는 상기 조작레버(25)를 액튜에이터(76)에 의해 작동시킬 수 있다.
조작레버(25)의 조작레버(53)를 제거하고, 조작봉(52)의 일단부의 하측으로 끌어내림 동작가능한 공기압 실린더(76)로 이루어진 액튜에이터(76)를 구동봉(77)을 개재하여 설치한다. 공기압 실린더(76)는 풋 스위치(78)를 통해 에어 콤프레셔(79)에 에어튜브(80)로 연결되어 있다.
장식품 고정장치(10)는 상기 풋 스위치(78)를 밟음으로써, 공기압 실린더(76)가 공기압 에너지를 직선 운동으로 변환하여 조작레버(25)를 끌어내린다.
이로써, 작업자의 손의 자유도가 높아지며, 용이하게 장식품(18)을 고정할 수 있어 작업효율이 상승한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장식품의 피고정부재(19)로서 천소재를 사용한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는데, 상기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피고정부재에는 의복, 가방, 구두, 커텐 등이 포함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기재되어 있지 않지만, 본 발명에 따른 장식품 고정장치를 사용하여, 피혁재, 종이재, 합성수지재, 시트형상의 금속재 등에 대해 단추 등의 장식품을 고정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장식품 고정장치 및 그 고정장치에 의한 장식품의 고정방법에 널리 적용될 수 있다.
10 : 장식품 고정장치 11 : 관형상부
11a : 관형상부재 12 : 일측 플랜지부
13 : 관형상부의 타단부, 관형상부의 하단부
14 : 타측 플랜지부 14a : 타측 플랜지부의 조각
15 : 축부재 15a : 축부재
16 : 헤드부 18 : 장식품
19 : 피고정부재(천소재) 19a : 피고정부재(천소재)의 상면
19b : 피고정부재(천소재)의 하면 20 : 파지부
21 : 피고정부재의 일측 22 : 장식품의 내측
23 : 적재부 24a : 파지부재
24b : 파지부재 25 : 조작레버
26 : 고정대 27 : 좌대
28 : 지주부 28a : 지주부의 슬릿
29 : 끌어내림 구동부 30 : 회수박스
31 : 나사구멍 32a : 개구부
33b : 개구부 34 : 적재부재
35 : 연결용 관형상 나사부 36 : 관형상 스톱퍼편
37 : 경사면부 38 : 케이스부
39 : 밀어올림부재 40 : 스크류 부재
41 : 코일 스프링
42 : 밀어올림부재의 하단부의 원통돌출부
43 : 고정부재의 하단부의 원통돌출부
44 : 내주경사면 45 : 파지부
46 : 상부 내측 경사면부 47 : 하부 내측 경사면부
48 : 외주경사면 50 : U자형 부재
50a : 절개부 50b : 절개부
50c : 원호부 50d : 원호부
51a : 측변부 51b : 측변부
52 : 고정부 53 : 레버부
53a : 조작측단부 54 : 지축
55 : 지지부 56 : 캠부
57 : 오목부 57a : 상측 가장자리부
57b : 하측 가장자리부 58 : 조작 레버의 선단부
59 : 코일 스프링 60 : 축삽입관통공
61 : 워셔 62 : 장식품 장착공부
63 : 장식품의 표면부 64 : 삽입관통공
65 : 삽입관통공 66 : 장착편
67 : 적재부재 68 : 적재부재
69 : 적재부재 70 : 후크의 암부재
71 : 후쿠의 수부재 72 : 돌출홈
73 : 작업대 74 : 다리부
75 : 개구부 76 : 공기압 실린더, 액튜에이터
77 : 구동봉 78 : 풋 스위치
79 : 에어 콤프레셔 90 : 핸드프레스기
91 : 핸드프레스기 본체 92 : 피스톤
93 : 조작레버 94 : 가압지그
95 : 스톱퍼기구 100 : 일측 구성부
101 : 타측 구성부 102 : 일측면부
103 : 타측면부 104 : 암후크
105 : 장착부 106 : 접촉부
107 : 안내관부 108 : 지그
109 : 구멍부 110 : 하부 원통부
111 : 상부 원통부 112 : 걸림부
113 : 압접면 114 : 공간부
115 : 상측 평면부 116 : 장착공
117 : 후크 스프링부 118 : 삽입관통공
119 : 결합편 120 : 수후크 도입관부
121 : 하측 평면부 A : 장식품의 외측
B : 장식품의 내측 C : 장식품 반대방향
E : 타측 구성부 방향 S : 틈새

Claims (15)

  1. 고정부재인 장식품을 시트형상의 피고정부재에 고정하는 장식품 고정장치로서,
    상기 피고정부재를 관통하여 배치되는 관형상부와, 상기 관형상부의 일단부에 형성되며, 상기 피고정부재의 일측 측면부쪽에 배치되는 일측 플랜지부와, 상기 관형상부 내에 관통하여 배치되고, 상기 관형상부의 길이보다도 긴 길이의 축부재를 가지며,
    상기 축부재를 상기 관형상부의 축방향을 따라 끌어당김으로써 상기 관형상부의 타단부에 타측 플랜지부를 형성하고, 상기 일측 플랜지부와 상기 타측 플랜지부에 의해 상기 장식품을 피고정부재에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품 고정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관형상부는 일단부에 일측 플랜지부를 갖는 관형상부재에 의해 형성되며, 상기 축부재는 상기 관형상부재의 내경보다도 큰 헤드부를 가짐과 아울러 상기 관형상부재보다도 큰 강성을 가지며,
    상기 일측 플랜지부는 장식품의 외측에 배치되고, 상기 헤드부는 장식품의 내측에 배치되며, 상기 피고정부재는 상기 장식품과 상기 일측 플랜지부와의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축부재가 축방향을 따라 장식품 반대방향으로 끌어당겨질 때에, 상기 헤드부가 관형상부재의 타단부를 점점 확대시킴으로써 상기 타측 플랜지부를 창출하고, 상기 일측 플랜지부가 피고정부재의 일측에 고정됨과 아울러 상기 타측 플랜지부가 상기 장식품의 내측에 고정됨으로써, 상기 관형상부재를 통해 상기 장식품을 상기 피고정부재에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품 고정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축부재가 관통함으로써 상기 장식품이 위치결정되어 배치된 피고정부재가 올려 놓여지는 적재부와, 상기 축부재를 파지하여 끌어당기는 파지부재와, 상기 파지부재를 끌어당기도록 작동시키는 조작부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품 고정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장식품은 상기 피고정부재의 일측면부에 배치되는 일측 구성부 및 상기 피고정부재의 타측면부에 배치되는 타측 구성부에 의해 구성되며,
    상기 관형상부는 상기 일측 구성부에 형성되며, 상기 축부재가 축방향을 따라 상기 타측 구성부 방향으로 끌어당겨질 때에, 상기 관형상부의 타단부에 타측 플랜지부를 창출하고, 상기 타측 플랜지부를 상기 타측 구성부에 결합시킴으로써, 상기 장식품을 상기 피고정부재에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품 고정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일측 구성부는 상기 피고정부재의 상면측에, 상기 타측 구성부는 상기 피고정부재의 하면측에 각각 서로 상하방향으로 마주보게 배치되며,
    상기 피고정부재가 상기 타측 구성부를 개재하여 올려놓여지는 적재부와, 상기 일측 구성부, 피고정부재 및 상기 타측 구성부를 관통하여 배치된 상기 축부재를 파지하여 하방으로 끌어당기는 파지부재와, 상기 파지부재를 하방으로 끌어당기도록 작동시키는 조작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축부재의 헤드부는 상기 일측 구성부 상에 놓인 지그를 통해 배치되며,
    상기 적재부는 상기 축부재가 하방으로 끌어당겨질 경우에, 상기 관형상부의 하단부와 접촉하여 상기 하단부를 지름방향 외측으로 점점 확대시켜, 상기 타측 구성부에 결합할 수 있는 타측 플랜지부로서 형성시킬 수 있는 접촉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품 고정장치.
  6. 제 1 항∼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피고정부재는 상기 관형상부의 길이보다도 작은 치수의 두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품 고정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피고정부재는 천소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품 고정장치.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피고정부재는 피혁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품 고정장치.
  9. 제 3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재는 사람 손을 통해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품 고정장치.
  10. 제 1 항∼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설치면 상에 고정되는 기판부와, 상기 기판부 상에 직립되게 설치되며, 내부에는 파지부재가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는 파지부와, 상기 파지부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파지부재를 하방으로 끌어당길 수 있는 조작레버와, 상기 파지부 내에 배치되며, 상기 파지부재를 항상 상방으로 탄성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탄성지지부재와, 상기 파지부의 상단부에 마련된 적재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품 고정장치.
  11. 제 3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재는 액츄에이터에 의해 작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품 고정장치.
  12. 시트형상의 피고정부재에 고정부재인 장식품을 고정하는 장식품 고정방법으로서,
    관형상부를 피고정부재에 삽입관통시켜, 상기 관형상부의 일단부에 형성된 플랜지부를 상기 피고정부재의 일측 측면부측에 배치하며,
    상기 관형상부의 길이보다 긴 길이의 축부재를 상기 관형상부 내에 관통배치하고,
    상기 장식품을 상기 피고정부재의 타측 측면부측에서 상기 축부재에 삽입관통 배치하며,
    상기 축부재를 상기 관형상부의 축방향을 따라 끌어당김으로써 상기 관형상부의 타단부에 타측 플랜지부를 형성시키고, 상기 일측 플랜지부와 상기 타측 플랜지부에 의해 상기 장식품을 피고정부재에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품 고정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관형상부는 일단부에 일측 플랜지부를 갖는 관형상부재에 의해 형성되며, 상기 축부재는 상기 관형상부재의 내경보다도 큰 헤드부를 가짐과 아울러 상기 관형상부재보다도 큰 강성을 가지며,
    상기 일측 플랜지부를 장식품의 외측에 배치하고 피고정부재를 상기 일측 플랜지부와 상기 장식품과의 사이에 배치한 상태에서, 상기 헤드부를 장식품의 내측에 배치시킴으로써 상기 축부재를 피고정부재에 관통배치시키고,
    상기 축부재를 축방향을 따라 장식품 반대방향으로 끌어당겨 상기 헤드부가 관형상부재의 타단부를 점점 확대시킴으로써 상기 타측 플랜지부를 창출시키고, 상기 일측 플랜지부가 피고정부재의 일측에 고정됨과 아울러 상기 타측 플랜지부가 상기 장식품의 내측에 고정됨으로써, 상기 관형상부재를 통해 상기 피고정부재에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품 고정방법.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장식품은 상기 피고정부재의 일측면부에 배치되는 일측 구성부 및 상기 피고정부재의 타측면부에 배치되는 타측 구성부에 의해 구성되고,
    상기 관형상부는 상기 일측 구성부에 형성되며, 상기 축부재가 축방향을 따라 상기 타측 구성부 방향으로 끌어당겨질 때에, 상기 관형상부의 타단부에 타측 플랜지부를 창출시키고, 상기 타측의 플랜지부를 상기 타측 구성부에 결합시킴으로써, 상기 장식품을 상기 피고정부재에 고정하는 공정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품 고정방법.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일측 구성부를 상기 피고정부재의 상면측에, 상기 타측 구성부를 상기 피고정부재의 하면측에 각각 서로 상하방향으로 마주보게 배치하며,
    상기 축부재를, 헤드부가 상기 일측 구성부 상에 놓인 지그를 통해 상기 일측 구성부, 상기 피고정부재 및 상기 타측 구성부를 삽입 통과하여 배치하고,
    상기 축부재가 하방으로 끌어당겨질 경우에, 상기 관형상부의 하단부를 상기 적재부에 형성된 접촉부에 접촉시켜 상기 하단부를 지름방향 외측으로 점점 확대시켜, 상기 타측 구성부에 결합할 수 있는 타측 플랜지부로서 형성시키고, 상기 일측 플랜지부와 상기 타측 플랜지부에 의해 상기 피고정부재를 양쪽에서 지지하여 고정부재를 피고정부재에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품 고정방법.
KR1020107003757A 2009-03-02 2009-03-02 장식품 고정장치 및 그 고정장치에 의한 장식품 고정방법 KR2011012469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09/000922 WO2010100670A1 (ja) 2009-03-02 2009-03-02 装飾品固定装置及びその固定装置による装飾品の固定方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4691A true KR20110124691A (ko) 2011-11-17

Family

ID=427092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03757A KR20110124691A (ko) 2009-03-02 2009-03-02 장식품 고정장치 및 그 고정장치에 의한 장식품 고정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110302758A1 (ko)
EP (1) EP2404517A1 (ko)
KR (1) KR20110124691A (ko)
CN (1) CN101902930A (ko)
WO (1) WO201010067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01512480D0 (en) 2015-07-16 2015-08-19 Fourth Dimensional Aerospace Technology Ltd Fluid flow control for an aerofoil
KR102107441B1 (ko) * 2016-10-11 2020-05-07 와이케이케이 가부시끼가이샤 스냅 버튼 설치용 설치 부재측 다이 및 설치 부재 다리부 교정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4010427A1 (de) * 1990-03-31 1991-10-02 Prym Werke William Nietverbinder fuer flaechenmaterial, insbesondere fuer wetterfeste kleidungsstuecke
JP3566428B2 (ja) * 1995-11-20 2004-09-15 Ykkニューマックス株式会社 スナップボタンの雌体及びその取付け用の加締め型
JP3116437U (ja) * 2005-08-24 2005-12-08 高橋 勝光 釦取付用治具及び釦取付用プレス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0100670A1 (ja) 2010-09-10
EP2404517A1 (en) 2012-01-11
US20110302758A1 (en) 2011-12-15
CN101902930A (zh) 2010-1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18169B2 (en) Magnetic fabric retaining device
US7607399B2 (en) Magnetic fabric retaining device
WO2010047172A1 (ja) 固定用部材、保護部材、及び被固定部材の固定方法
KR20100135066A (ko) 압입기를 구비한 스냅링 자동조립체결장치
KR20110124691A (ko) 장식품 고정장치 및 그 고정장치에 의한 장식품 고정방법
CA1302360C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pplying a fastener to sheet material
JP4995011B2 (ja) 装飾品固定装置及びその固定装置による装飾品の固定方法
JP5859030B2 (ja) ボタン取付装置及びボタン保持ダイ
JP2005314851A (ja) 取着部材の外し力測定装置、および、挟持装置
US4538335A (en) Embroidery frame press
US2746633A (en) Eyelet forming method and apparatus
WO2011118002A1 (ja) ハトメ取付装置及びハトメ取付方法
CN102642189A (zh) 凹模套拔取器
US4757589A (en) Apparatus for removing fastener members from a garment fabric
JP3241503U (ja) ラチェットレンチと外部ラチェットブッシュ脱落防止クイックリリース構造
KR200416709Y1 (ko) 단추달이 재봉기의 단추고정장치
JP4002089B2 (ja) パンチ組立体
US4309806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pplying a snap fastener to a sheet material
JP3674421B2 (ja) 多孔板用組立保持具の固定具
CN219239957U (zh) 一种箱包缝纫设备
JPH07117603A (ja) エアバッグの吊り布縫付方法とエアバッグの吊り布縫付用ミシン
JP3144876U (ja) 芋の皮剥き機
KR101148618B1 (ko) 단추달이 재봉기
EP0136633B1 (en) Apparatus for assembling a pair of fastener elements
TW200533800A (en) Buttonhole sewing machine with buttonhole cutt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