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11557B1 - 약물 전달 장치용 약물 용기 조립체 - Google Patents

약물 전달 장치용 약물 용기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11557B1
KR102211557B1 KR1020197002547A KR20197002547A KR102211557B1 KR 102211557 B1 KR102211557 B1 KR 102211557B1 KR 1020197002547 A KR1020197002547 A KR 1020197002547A KR 20197002547 A KR20197002547 A KR 20197002547A KR 102211557 B1 KR102211557 B1 KR 1022115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dial
assembly
cap
drug delivery
delivery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025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22772A (ko
Inventor
브라이언 맥스필드
Original Assignee
에스에이치엘 메디컬 아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에이치엘 메디컬 아게 filed Critical 에스에이치엘 메디컬 아게
Publication of KR201900227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227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15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15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24Ampoule syringes, i.e. syringes with needle for use in combination with replaceable ampoules or carpules, e.g. automatic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20Automatic syringes, e.g. with automatically actuated piston rod, with automatic needle injection, filling automaticall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002Packag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for syringes or needles, kits for diabe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129Syringe barrels
    • A61M5/3134Syringe barre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distal end, i.e. end closest to the tip of the needle cannul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2Needles; Details of needles pertaining to their connection with syringe or hub; Accessories for bringing the needle into, or holding the needle on, the body; Devices for protection of needles
    • A61M5/3202Devices for protection of the needle before use, e.g. ca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2Needles; Details of needles pertaining to their connection with syringe or hub; Accessories for bringing the needle into, or holding the needle on, the body; Devices for protection of needles
    • A61M5/3202Devices for protection of the needle before use, e.g. caps
    • A61M5/3204Needle cap remover, i.e. devices to dislodge protection cover from needle or needle hub, e.g. deshield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24Ampoule syringes, i.e. syringes with needle for use in combination with replaceable ampoules or carpules, e.g. automatic
    • A61M2005/2403Ampoule inserted into the ampoule holder
    • A61M2005/2407Ampoule inserted into the ampoule holder from the rea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24Ampoule syringes, i.e. syringes with needle for use in combination with replaceable ampoules or carpules, e.g. automatic
    • A61M2005/2433Ampoule fixed to ampoule holder
    • A61M2005/2437Ampoule fixed to ampoule holder by clamp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2005/3103Leak prevention means for distal end of syringes, i.e. syringe end for mounting a needle
    • A61M2005/3107Leak prevention means for distal end of syringes, i.e. syringe end for mounting a needle for need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7/00Methods of manufacture, assembly or produc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iabetes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개시는 약물 전달 장치용 약물 용기 조립체(11)에 관련되며, 약물 용기 조립체는 약물 용기(17)를 수용하도록 구성되고, 몸체(3)의 축 방향으로 연장하는 반경 방향으로 가요성인 제 1 그리퍼 아암(3f) 및 몸체(3)의 축 방향으로 연장하는 대향 배열된 반경 방향으로 가요성인 제 2 그리퍼 아암(3g)이 제공되는 세장형 몸체(3)로서, 제 1 그리퍼 아암(3g) 및 제 2 그리퍼 아암(3f)이 약물 용기의 목 부분을 지지하도록 구성되는, 세장형 몸체(3); 및 제 1 그리퍼 아암(3f) 및 제 2 그리퍼 아암(3g)의 반경 방향 외측에 배열되어 제 1 그리퍼 아암(3f) 및 제 2 그리퍼 아암(3g)을 반경 방향 내측으로 가압함으로써 약물 용기의 기단 변위를 방지하는 클램프 부재(13)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약물 전달 장치용 약물 용기 조립체
본 개시는 일반적으로 의료 장치에 관련된다. 특히, 본 개시는 약물 전달 장치용 약물 용기 홀더, 그러한 약물 용기 홀더를 포함하는 약물 전달 장치, 및 약물 전달 장치의 조립 방법에 관련된다.
약물 전달 장치는 약물 용기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하우징 또는 몸체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서, 약물 전달 장치는 약물 용기를 하우징 내측의 제자리에 유지시키는 약물 용기 홀더를 가질 수 있다.
WO 2013/156346 A2 호는 가동 플런저(movable plunger), 목 부분(neck portion) 및 전달 부재 유닛을 포함한 약물 용기를 포함하는 약물 전달 장치를 개시한다. 약물 전달 장치는 또한, 기단 개방 단부 및 대향하는 말단 개방 단부를 갖는 하우징, 하우징의 말단 단부에 배열되고 가동 플런저에 힘을 가하도록 구성된 구동 유닛, 및 C 형상 관형 몸체를 가지며, C 형상 관형 몸체는 C 형상 관형 몸체가 용기 유닛을 형성하는 약물 용기의 목 부분에 부착될 수 있도록 종 방향으로 연장하는 슬릿/갭(slit/gap)을 포함한다. C 형상 관형 몸체는 약물 용기의 목 부분 및 전달 부재 유닛과 상호 작용하여 약물 용기가 C 형상 관형 몸체에 부착된 후에 약물 용기가 C 형상 관형 몸체에 대해 이동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구성된 내부 지지 수단, 및 하우징의 대응 지지 수단과 상호 작용하여 용기 유닛이 말단 개방 단부를 통해 하우징 내부에 배열된 후에 C 형상 관형 몸체가 하우징에 대해 이동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구성된 외부지지 수단을 더 포함한다.
WO 2013/156346 A2 호에 개시된 C 형상 관형 몸체는 조립 중에 기단 방향으로 밀릴 때 약물 용기의 목 부분 위로 팽창하여 약물 용기의 목 부분으로부터 주 몸체로 말단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는 하우징 내측의 약물 용기 및 그에 따른 전달 부재의 위치를 잠재적으로 변화시킬 수 있으며, 이는 부정확한 관통 깊이에서 약물 방출을 초래할 수 있다.
위의 관점에서, 본 개시의 일반적인 목적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거나 적어도 경감시키는 약물 전달 장치용 약물 용기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개시의 제 1 양태에 따라서 약물 전달 장치용 약물 용기 조립체가 제공되며, 약물 용기 조립체는 약물 용기를 수용하도록 구성되고, 몸체의 축 방향으로 연장하는 반경 방향으로 가요성인 제 1 그리퍼 아암 및 몸체의 축 방향으로 연장하는 대향 배열된 반경 방향으로 가요성인 제 2 그리퍼 아암이 제공되는 세장형 몸체로서, 제 1 그리퍼 아암 및 제 2 그리퍼 아암이 약물 용기의 목 부분을 지지하도록 구성되는, 세장형 몸체; 및 제 1 그리퍼 아암 및 제 2 그리퍼 아암의 반경 방향 외측에 배열되어 제 1 그리퍼 아암 및 제 2 그리퍼 아암을 반경 방향 내측으로 가압함으로써 약물 용기의 기단 변위를 방지하는 클램프 부재를 포함한다.
클램프 부재는 제 1 그리퍼 아암 및 제 2 그리퍼 아암에 반경 방향의 압력을 제공하도록 구성됨으로써, 클램프 부재가 그리퍼 아암 주위에 장착될 때 그들의 반경 방향 위치를 유지한다. 따라서, 제 1 그리퍼 아암 및 제 2 그리퍼 아암은 약물 용기에 기단 방향으로 압력이 제공되는 경우에, 반경 방향 외측으로 팽창할 수 없다. 따라서, 약물 용기가 약물 용기 조립체에 정확하게 설치될 때, 약물 용기는 기단 방향으로 이동할 수 없다.
일 실시예에 따라서, 몸체는 몸체의 대향 내부 표면들 사이에서 연장하여 내부 표면에 제공되는 지지 구조물을 가지며, 지지 구조물은 약물 용기를 수용하기 위해 축 방향으로 연장하는 관통 개구가 제공된 중앙 관형 부분을 가지며, 제 1 그리퍼 아암 및 제 2 그리퍼 아암은 관형 부분의 일부를 형성한다.
일 실시예에 따라서, 클램프 부재는 중앙 관형 부분을 수용하도록 구성된 관통 개구를 가진다.
일 실시예에 따라서, 제 1 그리퍼 아암은 그의 말단부에 제공된 그리퍼 부분을 가진다.
일 실시예에 따라서, 제 2 그리퍼 아암은 그의 말단부에 제공된 그리퍼 부분을 가진다.
일 실시예에 따라서, 클램프 부재는 관형이다.
일 실시예에 따라서, 클램프 부재는 반경 방향 내측으로 연장하고 제 1 그리퍼 아암의 기단부 면 및 제 2 그리퍼 아암의 기단부 면을 지탱하도록 구성되는 기단부 플랜지를 가진다.
본 개시의 제 2 양태에 따라서, 약물 전달 장치용 하위-조립체가 제공되며, 하위-조립체는 제 1 양태에 따른 약물 용기 조립체, 및 약물 전달 장치용 캡 조립체를 포함하며, 캡 조립체는 축 방향으로 연장하는 말단 개구를 한정하고 약물 전달 장치의 기단부에 장착되도록 구성되는 관형 몸체를 갖는 캡으로서, 캡이 말단 개구의 기단부를 한정하는 바닥 구조물을 가지며, 바닥 구조물이 관형 몸체의 내측에 제공된 캠 구조물을 가지며, 반경 방향 오목부가 제공된 내부 벽을 관형 몸체가 가지는, 캡; 및 관형 몸체의 말단 개구에 수용되도록 구성되며 전달 부재 차폐물을 수용하도록 구성된 종 방향으로 연장하는 채널을 가지는 세장형 압착 부재로서, 압착 부재가 반경 방향으로 가요성이고 채널의 벽의 일부를 형성하는 반경 방향 아암을 가지는 세장형 압착 부재를 포함하며, 압착 부재가 캡의 캠 구조물과 협동하도록 구성된 기단부 면을 가짐으로써, 기단부 면이 캠 구조물에 대해 지탱되는 제 1 위치로부터 압착 부재가 캡에 의해 추가로 수용되는 제 2 위치로 압착 부재의 축 방향 변위로 인해 캡에 대한 압착 부재의 회전을 유발하며, 반경 방향 아암은 압착 부재의 제 1 위치에서 관형 몸체의 각각의 반경 방향 오목부와 맞물리도록 구성되며, 반경 방향 아암은 압착 부재가 제 1 위치로부터 제 2 위치로 변위되어 회전될 때 각각의 반경 방향 오목부로부터 분리되도록 구성됨으로써, 가요성 반경 방향 아암이 관형 몸체의 내벽에 의해 채널 내로 가압되어 채널의 횡단면적을 감소시키며, 캡 조립체는 약물 용기 조립체의 몸체와 조립되도록 구성된다.
일 실시예에 따라서, 캠 구조물은 반경 방향 평면에서 환형이고, 복수의 융기 부분을 포함하며, 융기 부분은 캠 구조물의 원주 방향으로, 융기 부분의 각각의 인접한 쌍 사이에 제공된 대향 경사면을 갖는 절개부를 가진다.
일 실시예에 따라서, 압착 부재의 기단부 면은 복수의 융기 부분을 포함하며, 융기 부분은 압착 부재의 원주 방향으로, 기단부 면의 융기 부분의 각각의 인접한 쌍 사이에 제공된 대향 경사면을 갖는 절개부를 가진다.
일 실시예에 따라서, 압착 부재의 각각의 융기 부분은 압착 부재의 제 1 위치에서 절개부의 최저 융기 지점보다 캠 구조물의 융기 부분에 더 가까운 캠 구조물의 절개부의 영역에 대해 지탱되도록 구성된다.
일 실시예에 따라서, 압착 부재의 융기 부분은 압착 부재의 제 2 위치에서 캠 구조물의 절개부와 맞물리도록 구성된다.
일 실시예에 따라서, 반경 방향 아암의 적어도 2 개는 압착 부재의 반경 방향 평면에서 서로 대향되게 배열되어, 2 개의 반경 방향 아암이 압착 부재의 제 2 위치에서 서로를 향해 이동하게 한다.
일 실시예에 따라서, 반경 방향 아암의 2 개는 압착 부재의 제 1 반경 방향 평면에 배열되며, 2 개의 다른 반경 방향 아암은 제 1 반경 방향 평면으로부터 축 방향으로 이격된 제 2 반경 방향 평면에 배열된다.
일 실시예에 따라서, 제 1 평면에 배열된 2 개의 반경 방향 아암은 제 2 평면에 배열된 2 개의 아암에 대해 원주 방향으로 90도 오프셋되게 배열된다.
일 실시예에 따라서, 반경 방향 오목부는 압착 부재가 제 1 위치로부터 제 2 위치로 변위되는 동안 회전될 때 반경 방향 아암이 분리되게 하는 경사면을 원주 방향으로 가진다.
일 실시예에 따라서, 반경 방향 아암은 그들의 부착 지점으로부터 그들의 단부 부분을 향하는 방향으로 증가하는 두께를 가지며, 각각의 단부 부분의 두께는 채널의 벽 두께보다 더 두껍다.
일 실시예에 따라서, 반경 방향 오목부는 관형 몸체의 내부 벽의 대부분의 길이를 따라 종 방향으로 연장한다.
본 개시의 제 3 양태에 따라서, 제 1 양태에 따른 약물 용기 조립체를 포함하는 약물 전달 장치가 제공된다.
일 실시예는 하우징을 포함하며, 약물 용기 조립체의 몸체는 하우징이다.
일 실시예는 캡 조립체를 포함하며, 캡 조립체는 축 방향으로 연장하는 말단 개구를 한정하고 약물 전달 장치의 기단부에 장착되도록 구성되는 관형 몸체를 갖는 캡으로서, 캡이 말단 개구의 기단부를 한정하는 바닥 구조물을 가지며, 바닥 구조물이 관형 몸체의 내측에 제공된 캠 구조물을 가지며, 반경 방향 오목부가 제공된 내부 벽을 관형 몸체가 가지는, 캡; 및 관형 몸체의 말단 개구에 수용되도록 구성되며 전달 부재 차폐물을 수용하도록 구성된 종 방향으로 연장하는 채널을 가지는 세장형 압착 부재로서, 압착 부재가 반경 방향으로 가요성이고 채널의 벽의 일부를 형성하는 반경 방향 아암을 가지는 세장형 압착 부재를 포함하며, 압착 부재가 캡의 캠 구조물과 협동하도록 구성된 기단부 면을 가짐으로써, 기단부 면이 캠 구조물에 대해 지탱되는 제 1 위치로부터 압착 부재가 캡에 의해 추가로 수용되는 제 2 위치로 압착 부재의 축 방향 변위로 인해 캡에 대한 압착 부재의 회전을 유발하며, 반경 방향 아암은 압착 부재의 제 1 위치에서 관형 몸체의 각각의 반경 방향 오목부와 맞물리도록 구성되며, 반경 방향 아암은 압착 부재가 제 1 위치로부터 제 2 위치로 변위되어 회전될 때 각각의 반경 방향 오목부로부터 분리되도록 구성됨으로써, 가요성 반경 방향 아암이 관형 몸체의 내벽에 의해 채널 내로 가압되어 채널의 횡단면적을 감소시키며, 캡 조립체는 약물 용기 조립체의 몸체와 조립되도록 구성된다.
일 실시예는 전달 부재가 제공되고 몸체 내에 배열되도록 구성된 약물 용기 및 전달 부재를 차폐하도록 구성된 전달 부재 차폐물을 포함하며, 전달 부재 차폐물은 압착 부재에 의해 수용되도록 구성된다.
본 개시의 제 4 양태에 따라서 약물 전달 장치용 하위-조립체의 조립 방법이 제공되며, 상기 방법은 A) 제 1 양태에 따른 약물 용기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 B) 몸체의 말단부 개구로부터 몸체 내에 전달 부재 차폐물을 포함하는 약물 용기를 삽입하고, 약물 용기의 목 부분이 제 1 그리퍼 아암 및 제 2 그리퍼 아암의 말단부를 지나서 이동하고 전달 부재 차폐물이 몸체의 기단 개구를 통해 연장할 때까지 기단 방향으로 약물 용기를 이동시키는 것, C) 전달 부재 차폐물 위로 클램프 부재를 이동시키고, 몸체의 기단 개구를 통해 몸체 내로 클램프 부재를 삽입하는 것, 및 D) 제 1 그리퍼 아암 및 제 2 그리퍼 아암 위의 말단 방향으로 클램프 부재를 이동시키고, 클램프 부재가 단부 위치에 도달하고 제 1 그리퍼 아암 및 제 2 그리퍼 아암이 약물 용기의 목 부분 주위에 스냅 결합될 때까지 말단으로 약물 용기를 미는 것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는 a) 캡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 b) 캡의 말단 개구 내로 압착 부재를 삽입하고, 압착 부재의 기단부 면이 압착 부재의 제 1 위치를 얻기 위해 바닥 구조물과 접촉할 때까지 바닥 구조물을 향해 압착 부재를 이동시키는 것, 및 c) 압착 부재가 전달 부재 차폐물에 수용되도록 약물 용기 조립체와 내부에 배열된 압착 부재를 갖춘 캡을 조립하는 것을 포함하며, 캡 조립체는 축 방향으로 연장하는 말단 개구를 한정하고 약물 전달 장치의 기단부에 장착되도록 구성되는 관형 몸체를 갖는 캡으로서, 캡이 말단 개구의 기단부를 한정하는 바닥 구조물을 가지며, 바닥 구조물이 관형 몸체의 내측에 제공된 캠 구조물을 가지며, 반경 방향 오목부가 제공된 내부 벽을 관형 몸체가 가지는, 캡; 및 관형 몸체의 말단 개구에 수용되도록 구성되며 전달 부재 차폐물을 수용하도록 구성된 종 방향으로 연장하는 채널을 가지는 세장형 압착 부재로서, 압착 부재가 반경 방향으로 가요성이고 채널의 벽의 일부를 형성하는 반경 방향 아암을 가지는 세장형 압착 부재를 포함하며, 압착 부재가 캡의 캠 구조물과 협동하도록 구성된 기단부 면을 가짐으로써, 기단부 면이 캠 구조물에 대해 지탱되는 제 1 위치로부터 압착 부재가 캡에 의해 추가로 수용되는 제 2 위치로 압착 부재의 축 방향 변위로 인해 캡에 대한 압착 부재의 회전을 유발하며, 반경 방향 아암은 압착 부재의 제 1 위치에서 관형 몸체의 각각의 반경 방향 오목부와 맞물리도록 구성되며, 반경 방향 아암은 압착 부재가 제 1 위치로부터 제 2 위치로 변위되어 회전될 때 각각의 반경 방향 오목부로부터 분리되도록 구성됨으로써, 가요성 반경 방향 아암이 관형 몸체의 내벽에 의해 채널 내로 가압되어 채널의 횡단면적을 감소시킨다.
일 실시예에 따라서, c) 단계는 압착 부재가 제 1 위치로부터 제 2 위치로 캡의 내측에서 기단으로 이동하게 하고 반경 방향 아암이 전달 부재 차폐물을 압착하게 하도록, 클램프 부재의 기단 표면을 향해 압착 부재의 말단부 면을 이동시키는 것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라서, 전달 부재 차폐물은 강성 바늘 차폐물이다.
일반적으로, 청구범위에서 사용된 모든 용어는 본 명세서에서 명시적으로 달리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 분야에서 이들 용어의 일상적인 의미에 따라 해석되어야 한다. 요소, 장치, 구성요소, 수단 등에 대한 모든 기준은 명시적으로 달리 언급되지 않는 한, 요소, 장치, 구성요소, 수단 등의 적어도 하나의 예에 관한 참조로서 개방적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이제, 본 발명의 개념의 특정 실시예가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예로서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활성화 조립체가 없는 약물 전달 장치의 예의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의 약물 전달 장치의 분해도를 도시하며;
도 3은 캡 조립체의 예를 도시하며;
도 4는 캡의 평면도이며;
도 5는 도 4의 캡의 종단면도이며;
도 6은 압착 부재의 제 1 위치에 있는 캡에 배열된 압착 부재를 도시하며;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캡 조립체의 평면도이며;
도 8은 압착 부재의 제 2 위치에 있는 캡에 배열된 압착 부재의 종단면도이며;
도 9는 도 8에 도시된 캡 조립체의 평면도이며;
도 10은 약물 용기 조립체의 예의 사시도를 도시하며;
도 11은 약물 용기 조립체의 세장형 몸체의 기단 부분의 종단면도를 도시하며;
도 12는 조립 중인 캡 조립체 및 약물 용기 조립체를 포함하는 하위-조립체의 종단면도를 도시하며;
도 13은 캡 조립체 및 약물 용기 조립체가 조립되었을 때 도 12의 하위-조립체의 종단면도를 도시하며;
도 14는 캡 조립체 및 약물 용기 조립체를 포함하는 하위-조립체의 조립 방법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며;
도 15는 캡 조립체 및 약물 용기 조립체를 포함하는 하위-조립체의 조립 방법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개념은 이제, 예시적인 실시예가 도시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이후에 더 완전하게 설명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개념은 많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으로서 해석되어서는 안 되며; 오히려, 이들 실시예는 본 개시가 철저하고 완전하며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개념의 범주를 충분히 전달할 수 있도록 예로서 제공된다. 동일한 부호는 설명 전반에 걸쳐서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캡 조립체와 관련하여 사용될 때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바와 같은 용어 "기단부(proximal end)"는 캡 조립체가 약물 전달 장치에 적절히 장착될 때 약물 전달 장치의 기단부로부터 가장 멀리 있는 캡 조립체의 그 단부를 지칭한다. 약물 전달 장치의 기단부는 약물 주사 중에 주사 부위 쪽을 가리키는 그 단부이다. 동일한 고려 사항이 또한, 캡 조립체의 임의의 구성요소를 지칭할 때 적용된다. "말단부(distal end)"는 기단부에 대한 반대 단부이다. "기단 방향(proximal direction)", 그리고 동등하게 "기단으로(proximally)"란 안전 메커니즘의 중심축을 따라 말단부로부터 기단부 쪽으로의 방향을 의미한다. "말단 방향" 또는 "말단으로"란 "기단 방향"과 반대 방향을 의미한다. 동일한 정의가 또한, 약물 용기 및 그의 임의의 구성요소에 적용된다.
본 개시는 약물 전달 장치용 캡 조립체에 관련된다. 캡 조립체는 캡 및 세장형 압착 부재를 포함한다. 캡은 약물 전달 장치의 기단부, 예를 들어 약물 전달 장치의 하우징 또는 몸체에 장착되도록 구성된다. 캡은 관형 몸체의 중심축을 따라 연장하는 말단 개구를 갖는 관형 몸체를 가진다.
관형 몸체는 말단 개구의 기단부 벽을 한정하는 바닥 구조물을 가진다. 바닥 구조물은 관형 몸체 내측, 특히 말단 개구 내측에 제공된 캠 구조물을 가진다. 관형 몸체는 내부 벽, 즉 반경 방향 오목부가 제공된 말단 개구의 내부 벽을 가진다.
압착 부재는 관형 몸체, 특히 말단 개구에 수용되도록 구성된다. 압착 부재는 전달 부재 차폐물을 수용하도록 구성된 종 방향 연장 채널을 가진다. 압착 부재는 또한, 반경 방향으로 가요성을 갖는 반경 방향 아암을 가진다. 반경 방향 아암은 채널 벽(들)의 일부를 형성한다. 압착 부재는 또한, 캡의 캠 구조물과 협동하도록 구성된 기단부 면을 가진다. 압착 부재는 기단부 면이 캠 구조물에 대해 지탱되는 제 1 위치로부터 압착 부재가 캡에 의해 추가로 수용되는 제 2 위치까지 축 방향으로 변위 가능하게 구성된다. 이러한 축 방향 변위는 캡에 대한 압착 부재의 회전을 유발하고 압착 부재의 협동하는 기단부 면과 캡의 캠 구조물로 인해 얻어진다.
반경 방향 아암은 압착 부재가 제 1 위치에 배열될 때 압착 부재의 외부 표면의 반경 방향 외측으로 연장한다. 제 1 위치에서, 각각의 반경 방향 아암은 관형 몸체의 각각의 반경 방향 오목부에 의해 수용된다. 압착 부재가 회전될 때 반경 방향 아암은 반경 방향 오목부로부터 분리되며, 압착 부재가 회전하여 반경 방향 아암이 그들 각각의 반경 방향 오목부로부터 이격되게 원주 방향으로 이동됨에 따라서 반경 방향 아암은 관형 몸체의 내부 벽에 의해 반경 방향 내측으로 가압된다. 이는 반경 방향 아암이 압착 부재의 채널의 내부 표면의 반경 방향 내측으로 연장하게 하여 채널의 횡단면적을 감소시킨다. 반경 방향 아암은 압착 부재에 의해 수용된 전달 부재 차폐물에 반경 방향 압력을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캡 조립체는 캡 조립체가 약물 전달 장치로부터 제거될 때 전달 부재 차폐물이 동시에 제거되도록 전달 부재 차폐물과 맞물릴 수 있다.
도 1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캡 조립체의 예가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도시된 예가 약물 전달 장치(1)의 말단부에 장착될 활성화 조립체를 포함하지 않기 때문에, 본 경우에 약물 전달 장치의 하위-조립체로서 또한 볼 수 있는 약물 전달 장치(1)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1에 도시된 예시된 약물 전달 장치(1)는 기단부(1a) 및 말단부(1b)를 가지며 몸체 또는 하우징(3) 및 캡 조립체(5)를 포함한다.
이제, 도 2를 참조하면, 약물 전달 장치(1)의 분해도가 도시된다. 약물 전달 장치(1)는 캡(7) 및 압착 부재(9)를 포함하는 캡 조립체(5), 그리고 몸체(3) 및 클램프 부재(13)를 포함하는 약물 용기 조립체(11)를 포함한다. 약물 전달 장치(1)는 전달 부재 차폐물(15) 및 전달 부재(19)를 포함하는 약물 용기(1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예에 따라서, 약물 용기(17)는 주사기이며 전달 부재(19)는 바늘이다. 또한, 예시된 전달 부재 차폐물(15)은 전달 부재(19)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가요성 내부 부재(15a) 및 가요성 내부 부재(15a)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강성 외부 부재(15b)를 포함한다. 강성 외부 부재(15b)는 전달 부재 차폐물(15)의 종 방향으로 서로 평행하게 연장하는 챔퍼 가공된(chamfered) 외부 표면(15c)을 가진다. 예시된 전달 부재 차폐물(15)은 강성 바늘 차폐물이지만, 대안적으로 가요성 바늘 차폐물일 수 있다.
도 3은 캡 조립체(5)의 상세도를 도시한다. 예시된 캡(7)은 외부 몸체(7a) 및 외부 몸체와 동축으로 배열된 내부 관형 몸체(7b)를 가진다. 관형 몸체(7b)는 축 방향으로 연장하는 말단 개구(7c)를 가진다. 관형 몸체(7b)는 말단 개구(7c) 내에 압착 부재(9)를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관형 몸체(7b)는 복수의 반경 방향 오목부(7d)를 가진다. 반경 방향 오목부(7d)는 관형 몸체(7b) 및 그에 따라 말단 개구(7c)의 대부분의 축 방향 길이를 따라서 종 방향으로 연장한다.
압착 부재(9)는 세장형이고 관형 형상을 가진다. 압착 부재(9)는 압착 부재(9)를 통해 종 방향으로 연장하고 전달 부재 차폐물(15)을 수용하도록 구성된 채널(9d)을 가진다.
압착 부재(9)는 또한, 복수의 융기 부분(9b)을 포함하는 기단부 면(9a)을 가진다. 인접한 융기 부분(9b) 쌍들의 각각의 쌍 사이에는 대향하는 경사면 또는 슬로프 표면(sloping surface)을 갖는 절개부(9c)가 있다. 따라서, 기단부 면(9a)에는 점진적으로 증감하는 높이를 갖는, 압착 부재(9)의 원주 방향으로 복수의 치형이 제공된다.
압착 부재(9)는 반경 방향으로 가요성을 갖는 복수의 반경 방향 아암(9d)을 포함한다. 반경 방향 아암(9d)은 압착 부재(9)의 주 몸체로부터 원주 방향으로 연장하고 압착 부재(9)의 주 몸체에 대한 부착지점에 대해 그들의 단부 부분 쪽으로 증가하는 두께를 가진다. 여기에서, 각각의 반경 방향 아암의 단부 두께는 채널 벽의 두께보다 실질적으로 더 두껍다.
반경 방향 아암(9e)은 채널 벽의 일부를 형성한다. 반경 방향 아암(9e)은 기본적으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착 부재(9)의 외부 표면으로부터 반경 방향 외측으로 굴곡되도록 구성된다. 여기에서, 외력이 반경 방향 아암(9e)에 가해지지 않을 때, 반경 방향 아암(9e)은 압착 부재(9)의 주 몸체의 외부 표면으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돌출한다. 압착 부재(9)가 관형 몸체(7b)의 말단 개구(7c)에서 선형으로 이동될 때 반경 방향 아암(9e)은 캡(7)의 각각의 반경 방향 오목부(7d)에서 축 방향으로 활주하도록 구성된다. 반경 방향 오목부(7d)가 원주 방향으로 경사면을 가지므로, 압착 부재(9)가 말단 개구(7c)에서 제 1 위치로부터 제 2 위치로 변위되는 동안 회전될 때 반경 방향 아암(9e)이 반경 방향 오목부(7d)로부터 분리되게 한다. 반경 방향 오목부(7d) 및 반경 방향 아암(9e)은 압착 부재(9)가 반경 방향 오목부(7d)로부터 분리되고 압착 부재(9)가 회전될 때 반경 방향 아암(9e)이 반경 방향 내측으로 가요성을 갖는 래칫 구성(ratchet configuration)을 형성하는 것으로 보일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예에 따라서, 압착 부재(9)는 압착 부재(9)의 축 방향을 따라서 제 1 반경 방향 평면에 있는 복수의 아암(9e), 및 제 1 평면으로부터 축 방향으로 이격된 제 2 평면에 있는 복수의 반경 방향 아암(9e)을 가진다. 따라서, 예시된 압착 부재(9)는 압착 부재(9)의 축 방향으로 반경 방향 아암(9e)의 여러 층을 가진다.
도 4는 특히, 캡(7)의 말단부로부터 본 캡(7)의 평면도를 도시한다. 캡(7)은 말단 개구(7c)의 말단부 벽 또는 표면을 한정하는 바닥 구조물(7e)을 가진다. 바닥 구조물(7e)은 본 예에 따라서 반경 방향 평면에서 환형인 캠 구조물(7f)을 가진다. 캠 구조물(7f)은 압착 부재(9)의 기단부 면(9a)과 협동하도록 구성된다.
도 5는 캡(7)의 종단면을 도시한다. 캠 구조물(7f)은 복수의 경사면을 가짐으로써, 원주 방향으로 점진적으로 증감하는 치형 구조물을 형성한다. 여기서, 캠 구조물(7f)은 그 중 하나를 도 5에서 볼 수 있는 복수의 융기 부분(7g) 및 대향 배열된 경사면을 갖는 절개부(7h)를 가진다. 인접한 융기 부분(7g)의 각각의 쌍 사이에는 절개부(7h)가 제공된다. 캠 구조물(7f)의 이러한 구성은 다음에서 더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압착 부재(9)의 기단부 면(9a)의 대응하는 구조물과의 협동을 가능하게 한다.
도 6은 캡(7)의 관형 몸체(7b) 내측에 배열된 압착 부재(9)를 도시한다. 압착 부재(9)는 캡(7)에 대해 제 1 위치에 배열된다. 여기서, 압착 부재(9)의 기단부 면(9a)은 관형 몸체(7b) 내측에 배열된 캠 구조물(7f)에 대해 지탱된다. 압착 부재(9)의 각각의 융기 부분(9b)은 절개부(7h)의 최저 융기 지점보다 캠 구조물(7f)의 융기 부분에 더 가까운 절개부(7h)의 각각의 상부 부분에 대해 지탱된다.
도 7의 평면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착 부재(9)의 각각의 반경 방향 아암(9e)은 압착 부재(9)가 제 1 위치에 있을 때 관형 몸체(7b)의 내벽의 각각의 반경 방향 오목부(7d)에 배열된다.
도 8은 제 2 위치에 있는 압착 부재(9)를 도시한다. 제 2 위치에서, 압착 부재(9)는 도 6에 도시된 제 1 위치에 대해 축 방향으로 변위된다. 특히, 압착 부재(9)는 관형 몸체(7b)에 의해 추가로 수용된다. 압착 부재(9)의 이러한 기단 변위로 인해, 기단부 면(9a)과 캠 구조물(7f)이 협동하여, 압착 부재(9)가 캡(7)에 대해 회전하게 한다. 여기에서, 기단부 면(9a)의 융기 부분(9b)은 캠 구조물(7f)의 절개부(7h)의 최저 융기 지점까지 활주하여 내려간다. 또한, 캠 구조물(7f)의 융기 부분(7g)은 압착 부재(9)의 기단부 면(9a)의 절개부(9c)에 의해 완전히 수용된다.
도 9에서, 도 8에 도시된 상황의 평면도가 도시된다. 반경 방향 아암(9e)은 압착 부재(9)가 제 1 위치로부터 제 2 위치로 기단으로 이동될 때 반경 방향 오목부(7d)로부터 분리되어서, 회전을 나타내는 화살표에 의해 나타낸 바와 같이 압착 부재(9)가 회전하게 한다. 이는 반경 방향 아암(9e)이 관형 몸체(7b)의 중심축에 반경 방향으로 더 가까운 반경 방향 오목부(7d) 외측의 관형 몸체(7b)의 내벽에 대해 지탱되게 한다. 따라서, 반경 방향 아암(9e)은 반경 방향 내측으로 가압되거나 굴곡된다. 반경 방향 아암(9e)은 채널(9d)의 벽 두께보다 더 두꺼운 단부 부분을 가지므로, 반경 방향 아암(9e)이 채널(9d) 내로 가압되어 채널(9d)의 횡단면적을 감소시킨다. 전달 부재 차폐물(15)이 채널(9d) 내에 배열될 때, 반경 방향 아암(9e)은 전달 부재 차폐물(9d)의 외부 표면과 맞물리거나 그에 대해 가압된다.
도 10은 약물 용기 조립체(11)를 도시한다. 이후에 설명되는 것과 다른 약물 용기 조립체가 이전에 설명된 캡 조립체(5)와 함께 사용될 수 있음을 주목해야 한다. 유사하게, 아래에 설명되는 약물 용기 조립체(11)는 예시된 캡 조립체(5)와 다른 캡 조립체와 함께 사용될 수 있다.
예시된 약물 용기 조립체(11)는 몸체(3) 및 클램프 부재(13)를 포함한다.
클램프 부재(13)는 관형이고 클램프 부재(13)의 종 방향으로 연장하는 관통 개구(13a)를 가진다. 클램프 부재(13)는 또한, 반경 방향 내측으로 연장하는 기단부 플랜지(13) 또는 지지 표면을 가진다.
몸체(3)는 세장형 형상을 가지고 약물 용기(17)를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몸체(3)는 기단부(3a)와 말단부(3b), 및 말단부(3b)보다 기단부(3a)에 더 가까운 몸체(3) 내측에 배열된 지지 구조물(3c)을 가진다. 지지 구조물(3c)은 몸체(3)의 대향 내부 표면들 사이에서 연장한다. 지지 구조물(3c)은 몸체(3)의 대향 내부 표면에 제공되거나 그에 부착된다. 지지 구조물(3c)은 약물 용기(17)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축 방향으로 연장하는 관통 개구(3e)가 제공된 중앙 관형 부분(3d)을 가진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3)는 또한, 반경 방향으로 가요성인 제 1 그리퍼 아암(gripper arm)(3f) 및 제 1 그리퍼 아암(3f)에 대해 반대로 배열된 반경 방향으로 가요성인 제 2 그리퍼 아암(3g)을 가진다. 제 1 그리퍼 아암(3f) 및 제 2 그리퍼 아암(3g)은 몸체(3)의 축 방향으로 연장한다.
제 1 그리퍼 아암(3f) 및 제 2 그리퍼 아암(3g)은 약물 용기(17)의 목 부분을 지지하도록 구성된다. 도 11에 도시된 예에 따라서, 제 1 그리퍼 아암(3f) 및 제 2 그리퍼 아암(3g)은 관형 부분(3d)의 일부를 형성한다.
제 1 그리퍼 아암(3f)은 제 1 그리퍼 아암(3f)의 말단부에 제공되고 반경 방향 내측으로 연장하는 그리퍼 부분(3h)을 가진다. 제 2 그리퍼 아암(3g)은 제 2 그리퍼 아암(3g)의 말단부에 제공되고 반경 방향 내측으로 연장하는 그리퍼 부분(3i)을 가진다.
클램프 부재(13)는 몸체(3)의 관형 부분(3d)을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특히, 클램프 부재(13)는 몸체(3)의 기단부(3a)로부터 관형 부분(3d) 주위로 도입되어 관형 부분(3d) 주위에서 이동함으로써, 제 1 그리퍼 아암(3f) 및 제 2 그리퍼 아암(3g)이 클림프 부재(13)에 의해 수용되어 클램프 부재(13)의 내부 표면에 의해 반경 방향 내측으로 가압되도록 구성된다. 클램프 부재(13)가 조립 중에 그의 단부 위치에 설정될 때, 클램프 부재(13)의 기단부 플랜지(13b)는 관형 부분(3d)의 기단부에 대해 지탱된다.
도 12 내지 도 15를 참조하여, 하위-조립체의 조립 방법이 이제 설명될 것이다.
도 12는 하위-조립체의 예의 종단면을 도시한다. 하위-조립체(21)는 캡 조립체(5) 및 약물 용기 조립체(11)를 포함한다. 도 12는 조립 중인 하위-조립체(21)를 도시한다. 압착 부재(9)는 캡(7)의 관형 몸체(7b) 내측의 제 1 위치에 있으며, 전달 부재 차폐물(15)은 압착 부재(9)의 채널 내에 배열된다. 약물 용기(17)는 몸체(3)의 내측에 배열되고 관형 부분(3d)의 관통 개구(3e)를 통해 연장하며, 여기서 약물 용기(17)의 목 부분(17a)은 관형 부분(3d)을 넘어 기단으로 연장한다. 전달 부재(19)는 전달 부재 차폐물(15) 내에 배열된다.
도 13에서, 하위-조립체(21)는 조립된 상태로 도시된다. 압착 부재(9)의 말단부 면은 캡 조립체(5)와 약물 용기 조립체(11)가 서로를 향해 이동됨에 따라 클램프 부재(13)의 기단부 플랜지(13b)를 향해 가압되어, 압착 부재(9)가 제 1 위치로부터 제 2 위치로 이동되고 그에 의해 캡(7)의 캠 구조물(7f)과 압착 부재(9)의 기단부 면(9a) 사이의 협동으로 인해 회전되게 한다. 따라서, 압착 부재(9)의 반경 방향 아암(9e)은 이들이 반경 방향 오목부(7d) 외측의 관형 몸체(7b)의 내부 벽 쪽으로 가압됨에 따라 반경 방향 내측으로 이동되어, 반경 방향 아암(9e)이 전달 부재 차폐물(15)과 맞물리게 한다.
도 14는 하위-조립체, 예를 들어 하위-조립체(21)의 조립 방법의 흐름도를 도시한다.
a) 단계에서, 캡 조립체(5)가 제공된다.
b) 단계에서, 압착 부재(9)는 캡(7)의 관형 몸체(7b)의 말단 개구(7c)에 삽입된다. 압착 부재(9)는 압착 부재(9)의 기단부 면(9a)이 바닥 구조물(7e)과 접촉할 때까지 관형 몸체(7b)의 바닥 구조물(7e) 쪽으로 이동되며, 여기서 압착 부재(9)의 각각의 융기 부분(9b)은 캡(7)의 대응 절개부(7h)의 최저 융기 지점보다 캠 구조물(7f)의 융기 부분(7g)에 더 가깝게 배열된다. 따라서, 압착 부재(9)는 제 1 위치에 설정된다.
c) 단계에서, 그 내부에 배열된 압착 부재(9)를 갖는 캡(7)은 약물 용기 조립체, 예를 들어 약물 용기(17)와 전달 부재 차폐물(15)을 포함하는 약물 용기 조립체(11)와 조립된다.
캡 조립체(5)가 약물 용기 조립체(11)와 조립되는 예에서, 압착 부재(9)의 말단부는 몸체(3)의 지지 구조물(3c) 주위에 제공된 클램프 부재(13)의 기단부 플랜지(13b)에 대해 가압되고 말단 방향으로 이동되어서, 압착 부재(9)가 제 1 위치로부터 제 2 위치까지 기단 방향으로 이동되게 한다. 따라서, c) 단계에서의 조립 중에, 압착 부재(9)는 제 1 위치로부터 제 2 위치로 이동하는 캡(7) 내로 추가로 밀려 들어가서, 압착 부재(9)가 회전하여 전달 부재 차폐물(15)을 파지하게 한다.
압착 부재를 제 1 위치로부터 제 2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해, 압착 부재의 말단부 면이 조립 중에 밀릴 수 있는 지지 표면을 약물 용기 조립체가 가지면, 캡 조립체(5)는 대안으로 다른 유형의 약물 용기 조립체와 조립될 수 있음을 주목해야 한다.
약물 용기 조립체(11)는 도 15의 흐름도에 의해 설명된 방법에 따라서 조립될 수 있다.
따라서, A) 단계에서 약물 용기 조립체(11)가 제공된다.
B) 단계에서, 약물 용기(17)는 몸체(3)의 말단부 개구로부터 삽입되며, 여기서 전달 부재(19)는 기단 방향으로 지향되며 전달 부재 차폐물(15)은 전달 부재(19)에 제공된다.
약물 용기(17)는 약물 용기(17)의 목 부분(17a)이 제 1 그리퍼 아암(3f) 및 제 2 그리퍼 아암(3g)의 말단부를 지나 이동할 때까지 기단 방향으로 이동되며, 전달 부재 차폐물(15)은 몸체(3)의 기단 개구를 통해 기단으로 연장한다.
C) 단계에서, 클램프 부재(13)는 전달 부재 차폐물(15) 위로 이동되고 그의 기단 개구를 통해 몸체(3) 내로 이동된다.
D) 단계에서, 클램프 부재(13)는 관형 부분(3d) 위로, 따라서 제 1 그리퍼 아암(3f) 및 제 2 그리퍼 아암(3g) 위로 말단 방향으로 이동된다. 제 1 그리퍼 아암(3f) 및 제 2 그리퍼 아암(3f)은 그에 의해 클램프 부재(13)의 내부 표면 또는 벽에 의해 반경 방향 내측으로 구부러지거나 굴곡된다.
D) 단계에서, 약물 용기(17)는 클램프 부재(13)가 단부 위치에 도달할 때까지, 즉 기단부 플랜지(13b)가 관형 부분(3d)의 기단부에 대해 지탱될 때 말단으로 추가로 밀릴 수 있으며, 제 1 그리퍼 아암(3f) 및 제 2 그리퍼 아암(3g)은 약물 용기(17)의 목 부분(17a) 주위에 스냅 결합됨으로써, 목 부분(17a)의 지지를 제공한다.
캡 조립체(5)가 예시된 약물 용기 조립체(11)와 조립되는 경우에, a) 단계 내지 c) 단계 및 A) 단계 내지 D) 단계는 c) 단계 이전에 약물 용기 조립체(11)가 전형적으로 A) 단계 내지 C) 단계에 따라 조립되는 반면에, D) 단계 및 c) 단계가 동시에 수행될 수 있다는 의미에서 서로 연결된다. 따라서, D) 단계에서, 전달 부재 차폐물(15)이 압착 부재(9) 내에 배열되며 캡(7)이 몸체(3)의 기단부 쪽으로 말단으로 이동됨에 따라서, 클램프 부재(13)는 압착 부재(9)에 의해 말단으로 밀릴 수 있으며 약물 용기(17) 및 전달 부재 차폐물(15)은 캡(7)에 의해 말단으로 밀릴 수 있다.
본 발명의 개념은 주로 몇몇 예를 참조하여 위에서 설명되었다. 그러나, 당업자에 의해 쉽게 이해될 수 있듯이,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지는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개념의 범주 내에서 위에서 개시된 것 이외의 다른 실시예도 동일하게 가능하다.

Claims (26)

  1. 약물 전달 장치(1)용 약물 용기 조립체(11)에 있어서,
    약물 용기(17)를 수용하도록 구성되고, 몸체(3)의 축 방향으로 연장하는 반경 방향으로 가요성인 제 1 그리퍼 아암(3f) 및 몸체(3)의 축 방향으로 연장하는 대향 배열된 반경 방향으로 가요성인 제 2 그리퍼 아암(3g)이 제공되는 세장형 몸체(3)로서, 상기 제 1 그리퍼 아암(3f) 및 제 2 그리퍼 아암(3g)이 약물 용기(17)의 목 부분(17a)을 지지하도록 구성되는, 세장형 몸체(3); 및
    제 1 그리퍼 아암(3f) 및 제 2 그리퍼 아암(3g)의 반경 방향 외측에 배열되어 제 1 그리퍼 아암(3f) 및 제 2 그리퍼 아암(3g)을 반경 방향 내측으로 가압함으로써 약물 용기(17)의 기단 변위를 방지하는 클램프 부재(13)를 포함하고,
    상기 클램프 부재(13)는 반경 방향 내측으로 연장하고 제 1 그리퍼 아암(3f)의 기단부 면 및 제 2 그리퍼 아암(3g)의 기단부 면을 지탱하도록 구성되는 기단부 플랜지(13b)를 가지는
    약물 전달 장치용 약물 용기 조립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3)는 몸체(3)의 대향 내부 표면들 사이에서 연장하여 상기 내부 표면에 제공되는 지지 구조물(3c)을 가지며, 상기 지지 구조물(3c)은 약물 용기(17)를 수용하기 위해 축 방향으로 연장하는 관통 개구(3e)가 제공된 중앙 관형 부분(3d)을 가지며, 상기 제 1 그리퍼 아암(3f) 및 제 2 그리퍼 아암(3g)은 관형 부분(3d)의 일부를 형성하는
    약물 전달 장치용 약물 용기 조립체.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 부재(13)는 중앙 관형 부분(3d)을 수용하도록 구성된 관통 개구(13a)를 가지는
    약물 전달 장치용 약물 용기 조립체.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그리퍼 아암(3f)은 그의 말단부에 제공된 그리퍼 부분(3h)을 가지는
    약물 전달 장치용 약물 용기 조립체.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그리퍼 아암(3g)은 그의 말단부에 제공된 그리퍼 부분(3i)을 가지는
    약물 전달 장치용 약물 용기 조립체.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 부재(13)는 관형인
    약물 전달 장치용 약물 용기 조립체.
  7. 삭제
  8. 약물 전달 장치(1)용 하위-조립체(21)에 있어서,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약물 용기 조립체(11), 및
    약물 전달 장치(1)용 캡 조립체(5)를 포함하며, 상기 캡 조립체(5)는,
    축 방향으로 연장하는 말단 개구(7c)를 한정하고 약물 전달 장치(1)의 기단부에 장착되도록 구성되는 관형 몸체(7b)를 갖는 캡(7)으로서, 상기 캡(7)이 말단 개구(7c)의 기단부를 한정하는 바닥 구조물(7e)을 가지며, 상기 바닥 구조물(7e)이 관형 몸체(7b)의 내측에 제공된 캠 구조물(7f)을 가지며, 상기 관형 몸체(7b)가 반경 방향 오목부(7d)가 제공된 내부 벽을 가지는, 캡(7), 및
    관형 몸체(7b)의 말단 개구(7c)에 수용되도록 구성되며 전달 부재 차폐물(15)을 수용하도록 구성된 종 방향으로 연장하는 채널(9d)을 갖고, 반경 방향으로 가요성이고 채널(9d)의 벽의 일부를 형성하는 반경 방향 아암(9e)을 가지는, 세장형 압착 부재(9)를 포함하며,
    상기 압착 부재(9)가 캡(7)의 캠 구조물(7f)과 협동하도록 구성된 기단부 면(9a)을 가짐으로써, 기단부 면(9a)이 캠 구조물(7f)에 대해 지탱되는 제 1 위치로부터 압착 부재(9)가 캡(7)에 의해 추가로 수용되는 제 2 위치로 압착 부재(9)의 축 방향 변위로 인해 캡(7)에 대한 압착 부재(9)의 회전을 유발하며,
    상기 반경 방향 아암(9e)은 압착 부재(9)의 제 1 위치에서 관형 몸체(7b)의 각각의 반경 방향 오목부(7d)와 맞물리도록 구성되며, 반경 방향 아암(9e)은 압착 부재(9)가 제 1 위치로부터 제 2 위치로 변위되어 회전될 때 각각의 반경 방향 오목부로부터 분리되도록 구성됨으로써, 상기 반경 방향 아암(9e)이 관형 몸체(7b)의 내벽에 의해 채널(9d) 내로 가압되어 채널(9d)의 횡단면적을 감소시키며,
    캡 조립체(5)는 약물 용기 조립체(11)의 몸체(3)와 조립되도록 구성되는
    약물 전달 장치용 하위-조립체.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캠 구조물(7f)은 반경 방향 평면에서 환형이고, 복수의 융기 부분(7g)을 포함하며, 상기 융기 부분은 캠 구조물(7f)의 원주 방향으로, 융기 부분(7g)의 각각의 인접한 쌍 사이에 제공된 대향 경사면을 갖는 절개부(7h)를 갖춘
    약물 전달 장치용 하위-조립체.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압착 부재(9)의 기단부 면(9a)은 복수의 융기 부분(9b)을 포함하며 상기 융기 부분은 압착 부재(9)의 원주 방향으로, 기단부 면(9a)의 융기 부분(9b)의 각각의 인접한 쌍 사이에 제공된 대향 경사면을 갖는 절개부(9c)를 갖춘
    약물 전달 장치용 하위-조립체.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압착 부재(9)의 각각의 융기 부분(9b)은 압착 부재(9)의 제 1 위치에서 절개부(7h)의 최저 융기 지점보다 캠 구조물(7h)의 융기 부분(7g)에 더 가까운 캠 구조물(7f)의 절개부(7h)의 영역에 대해 지탱되도록 구성되는
    약물 전달 장치용 하위-조립체.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압착 부재(9)의 융기 부분(9b)은 압착 부재(9)의 제 2 위치에서 캠 구조물(7f)의 절개부(7h)와 맞물리도록 구성되는
    약물 전달 장치용 하위-조립체.
  13.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반경 방향 아암(9e)의 적어도 2 개는 압착 부재(9)의 반경 방향 평면에서 서로 대향되게 배열되어, 2 개의 반경 방향 아암(9e)이 압착 부재(9)의 제 2 위치에서 서로를 향해 이동하게 하는
    약물 전달 장치용 하위-조립체.
  14.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반경 방향 아암(9e)의 2 개는 압착 부재(9)의 제 1 반경 방향 평면에 배열되며, 상기 2 개의 다른 반경 방향 아암(9e)은 제 1 반경 방향 평면으로부터 축 방향으로 이격된 제 2 반경 방향 평면에 배열되는
    약물 전달 장치용 하위-조립체.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반경 방향 평면에 배열된 2 개의 반경 방향 아암(9e)은 제 2 반경 방향 평면에 배열된 2 개의 아암(9e)에 대해 원주 방향으로 90도 오프셋되게 배열되는
    약물 전달 장치용 하위-조립체.
  16.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반경 방향 오목부(7d)는 압착 부재(9)가 제 1 위치로부터 제 2 위치로 변위되는 동안 회전될 때 반경 방향 아암(9e)이 분리되게 하는 경사면을 원주 방향으로 가지는
    약물 전달 장치용 하위-조립체.
  17.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반경 방향 아암은 그들의 부착 지점으로부터 그들의 단부 부분을 향하는 방향으로 증가하는 두께를 가지며, 각각의 단부 부분의 두께는 채널(9d)의 벽 두께보다 더 두꺼운
    약물 전달 장치용 하위-조립체.
  18.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반경 방향 오목부(7d)는 관형 몸체(7b)의 내부 벽의 길이를 따라 종 방향으로 연장하는
    약물 전달 장치용 하위-조립체.
  19. 약물 전달 장치(1)로서,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약물 용기 조립체(11)를 포함하는
    약물 전달 장치.
  20. 제 19 항에 있어서,
    하우징을 포함하며, 상기 약물 용기 조립체(11)의 몸체(3)는 하우징인
    약물 전달 장치.
  21. 제 19 항에 있어서,
    캡 조립체(5)를 포함하며, 상기 캡 조립체(5)는,
    축 방향으로 연장하는 말단 개구(7c)를 한정하고 약물 전달 장치(1)의 기단부에 장착되도록 구성되는 관형 몸체(7b)를 갖는 캡(7)으로서, 상기 캡(7)이 말단 개구(7c)의 기단부를 한정하는 바닥 구조물(7e)을 가지며, 상기 바닥 구조물(7e)이 관형 몸체(7b)의 내측에 제공된 캠 구조물(7f)을 가지며, 상기 관형 몸체(7b)가 반경 방향 오목부(7d)가 제공된 내부 벽을 가지는, 캡(7), 및
    관형 몸체(7b)의 말단 개구(7c)에 수용되도록 구성되며 전달 부재 차폐물(15)을 수용하도록 구성된 종 방향으로 연장하는 채널(9d)을 갖고, 반경 방향으로 가요성이고 채널(9d)의 벽의 일부를 형성하는 반경 방향 아암(9e)을 가지는, 세장형 압착 부재(9)를 포함하며,
    상기 압착 부재(9)가 캡(7)의 캠 구조물(7f)과 협동하도록 구성된 기단부 면(9a)을 가짐으로써, 기단부 면(9a)이 캠 구조물(7f)에 대해 지탱되는 제 1 위치로부터 압착 부재(9)가 캡(7)에 의해 추가로 수용되는 제 2 위치로 압착 부재(9)의 축 방향 변위로 인해 캡(7)에 대한 압착 부재(9)의 회전을 유발하며,
    상기 반경 방향 아암(9e)은 압착 부재(9)의 제 1 위치에서 관형 몸체(7b)의 각각의 반경 방향 오목부(7d)와 맞물리도록 구성되며, 반경 방향 아암(9e)은 압착 부재(9)가 제 1 위치로부터 제 2 위치로 변위되어 회전될 때 각각의 반경 방향 오목부로부터 분리되도록 구성됨으로써, 상기 반경 방향 아암(9e)이 관형 몸체(7b)의 내벽에 의해 채널(9d) 내로 가압되어 채널(9d)의 횡단면적을 감소시키며,
    캡 조립체(5)는 약물 용기 조립체(11)의 몸체(3)와 조립되도록 구성되는
    약물 전달 장치.
  22. 제 21 항에 있어서,
    전달 부재(19)가 제공되고 몸체(3) 내에 배열되도록 구성된 약물 용기(17) 및 전달 부재(19)를 차폐하도록 구성된 전달 부재 차폐물(15)을 포함하며, 상기 전달 부재 차폐물(15)은 압착 부재(9)에 의해 수용되도록 구성되는
    약물 전달 장치.
  23. 약물 전달 장치용 하위-조립체(21)의 조립 방법에 있어서,
    A)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약물 용기 조립체(11)를 제공하는 것,
    B) 몸체(3)의 말단부 개구로부터 몸체(3) 내에 전달 부재 차폐물(15)을 포함하는 약물 용기(17)를 삽입하고, 약물 용기(17)의 목 부분(17a)이 제 1 그리퍼 아암(3f) 및 제 2 그리퍼 아암(3g)의 말단부를 지나서 이동하고 전달 부재 차폐물(15)이 몸체(3)의 기단 개구를 통해 연장할 때까지 기단 방향으로 약물 용기(17)를 이동시키는 것,
    C) 전달 부재 차폐물(15) 위로 클램프 부재(13)를 이동시키고, 몸체(3)의 기단 개구를 통해 몸체(3) 내로 클램프 부재(13)를 삽입하는 것, 및
    D) 제 1 그리퍼 아암(3f) 및 제 2 그리퍼 아암(3g) 위의 말단 방향으로 클램프 부재(13)를 이동시키고, 클램프 부재(13)가 단부 위치에 도달하고 제 1 그리퍼 아암(3f) 및 제 2 그리퍼 아암(3g)이 약물 용기(17)의 목 부분(17a) 주위에 스냅 결합될 때까지 말단으로 약물 용기(17)를 미는 것을 포함하는
    약물 전달 장치용 하위-조립체의 조립 방법.
  24. 제 23 항에 있어서,
    a) 캡 조립체(5)를 제공하는 것,
    b) 캡(7)의 말단 개구(7c) 내로 압착 부재(9)를 삽입하고, 압착 부재(9)의 기단부 면(9a)이 압착 부재(9)의 제 1 위치를 얻기 위해 바닥 구조물(7e)과 접촉할 때까지 바닥 구조물(7e)을 향해 압착 부재(9)를 이동시키는 것, 및
    c) 압착 부재(9)가 전달 부재 차폐물(15)에 수용되도록 약물 용기 조립체(11)와 내부에 배열된 압착 부재(9)를 갖춘 캡(7)을 조립하는 것을 포함하며, 상기 캡 조립체(5)는
    축 방향으로 연장하는 말단 개구(7c)를 한정하고 약물 전달 장치(1)의 기단부에 장착되도록 구성되는 관형 몸체(7b)를 갖는 캡(7)으로서, 상기 캡(7)이 말단 개구(7c)의 기단부를 한정하는 바닥 구조물(7e)을 가지며, 상기 바닥 구조물(7e)이 관형 몸체(7b)의 내측에 제공된 캠 구조물(7f)을 가지며, 상기 관형 몸체(7b)가 반경 방향 오목부(7d)가 제공된 내부 벽을 가지는, 캡(7), 및
    관형 몸체(7b)의 말단 개구(7c)에 수용되도록 구성되며 전달 부재 차폐물(15)을 수용하도록 구성된 종 방향으로 연장하는 채널(9d)을 가지는 세장형 압착 부재(9)로서, 상기 압착 부재(9)가 반경 방향으로 가요성이고 채널(9d)의 벽의 일부를 형성하는 반경 방향 아암(9e)을 가지는 세장형 압착 부재(9)를 포함하며,
    상기 압착 부재(9)가 캡(7)의 캠 구조물(7f)과 협동하도록 구성된 기단부 면(9a)을 가짐으로써, 기단부 면(9a)이 캠 구조물(7f)에 대해 지탱되는 제 1 위치로부터 압착 부재(9)가 캡(7)에 의해 추가로 수용되는 제 2 위치로 압착 부재(9)의 축 방향 변위로 인해 캡(7)에 대한 압착 부재(9)의 회전을 유발하며,
    상기 반경 방향 아암(9e)은 압착 부재(9)의 제 1 위치에서 관형 몸체(7b)의 각각의 반경 방향 오목부(7d)와 맞물리도록 구성되며, 반경 방향 아암(9e)은 압착 부재(9)가 제 1 위치로부터 제 2 위치로 변위되어 회전될 때 각각의 반경 방향 오목부로부터 분리되도록 구성됨으로써, 상기 가요성 반경 방향 아암(9e)이 관형 몸체(7b)의 내벽에 의해 채널(9d) 내로 가압되어 채널(9d)의 횡단면적을 감소시키는
    약물 전달 장치용 하위-조립체의 조립 방법.
  25.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압착 부재(9)가 제 1 위치로부터 제 2 위치로 캡(7)의 내측에서 기단으로 이동하게 하고 반경 방향 아암(9e)이 전달 부재 차폐물(15)을 압착하게 하도록, 클램프 부재(13)의 기단 표면을 향해 압착 부재(9)의 말단부 면을 이동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약물 전달 장치용 하위-조립체의 조립 방법.
  26.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전달 부재 차폐물(15)은 강성 바늘 차폐물인
    약물 전달 장치용 하위-조립체의 조립 방법.
KR1020197002547A 2016-07-27 2017-07-07 약물 전달 장치용 약물 용기 조립체 KR10221155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5/220,552 US10583255B2 (en) 2016-07-27 2016-07-27 Medicament container assembly for a medicament delivery device
US15/220,552 2016-07-27
PCT/EP2017/067107 WO2018019548A1 (en) 2016-07-27 2017-07-07 Medicament container assembly for a medicament delivery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2772A KR20190022772A (ko) 2019-03-06
KR102211557B1 true KR102211557B1 (ko) 2021-02-04

Family

ID=593841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02547A KR102211557B1 (ko) 2016-07-27 2017-07-07 약물 전달 장치용 약물 용기 조립체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0583255B2 (ko)
EP (1) EP3490646B1 (ko)
JP (1) JP6887486B2 (ko)
KR (1) KR102211557B1 (ko)
CN (1) CN109475701B (ko)
TW (1) TWI654006B (ko)
WO (1) WO201801954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39009A1 (en) * 2018-08-21 2020-02-27 Novo Nordisk A/S Shield remover for a syringe
EP4275722A1 (de) * 2022-05-12 2023-11-15 Ypsomed AG Autoinjektor mit produktbehälteraufnahmevorrichtung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500746A (ja) * 2009-07-31 2013-01-10 エス・ホー・エル・グループ・アクチボラゲット 薬剤容器ホルダ構成
WO2014146209A1 (de) 2013-03-22 2014-09-25 Tecpharma Licensing Ag Substanzabgabevorrichtung mit signalvorrichtung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02537A (en) * 1989-10-23 1991-03-26 Gte Products Corporation Hypodermic syringe
EP1124600B1 (en) * 1998-10-29 2005-02-23 Medtronic MiniMed, Inc. Compact pump drive system
WO2009040603A1 (en) * 2007-09-25 2009-04-02 Becton Dickinson France Autoinjector with deshielder comprising tamper evidence means
SI2240222T1 (en) * 2008-01-11 2018-08-31 Ucb Biopharma Sprl SYSTEMS FOR MEDICATION OF PATIENTS WITH REVOMATOID ARTS
EP3427779B1 (en) * 2010-02-01 2020-11-25 Sanofi-Aventis Deutschland GmbH Cartridge holder, drug delivery device and method for securing a cartridge in a cartridge holder
KR101638261B1 (ko) * 2011-07-05 2016-07-08 에스에이치엘 그룹 에이비 바늘 외피 제거기 조립체
WO2013058697A1 (en) * 2011-10-17 2013-04-25 Shl Group Ab Device for removing delivery member shields
DK2836260T3 (en) * 2012-04-10 2016-08-01 Carebay Europe Ltd HOOD DEVICE
RU2606492C2 (ru) 2012-04-17 2017-01-10 Кэрбей Юроп Лтд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доставки лекарственного вещества
JP2015516850A (ja) * 2012-04-18 2015-06-18 ケアベイ・ヨーロッパ・リミテッドCarebay Europe Limited 薬剤送達装置
GB201212190D0 (en) * 2012-07-09 2012-08-22 Oval Medical Technologies Ltd Injector device with mechanism for preventing accidental activation
FR3011186B1 (fr) * 2013-09-30 2017-12-08 Rexam Healthcare La Verpillier Dispositif de reception pour une seringue d'injection comprenant un capuchon de protection de l'aiguille
EP2923716A1 (en) * 2014-03-28 2015-09-30 Sanofi-Aventis Deutschland GmbH Cap having a sheath removal mechanism
TW201707741A (zh) * 2015-06-03 2017-03-01 賽諾菲阿凡提斯德意志有限公司 針頭護罩之抓握器、蓋子、自動注射器及製造抓握器之方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500746A (ja) * 2009-07-31 2013-01-10 エス・ホー・エル・グループ・アクチボラゲット 薬剤容器ホルダ構成
WO2014146209A1 (de) 2013-03-22 2014-09-25 Tecpharma Licensing Ag Substanzabgabevorrichtung mit signalvorrichtung
JP2016512767A (ja) * 2013-03-22 2016-05-09 テクファーマ・ライセンシング・アクチェンゲゼルシャフト 信号装置を備える自動注射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2772A (ko) 2019-03-06
EP3490646A1 (en) 2019-06-05
EP3490646B1 (en) 2022-12-07
US20180028756A1 (en) 2018-02-01
TWI654006B (zh) 2019-03-21
TW201808371A (zh) 2018-03-16
JP2019521807A (ja) 2019-08-08
JP6887486B2 (ja) 2021-06-16
US10583255B2 (en) 2020-03-10
CN109475701B (zh) 2021-04-13
WO2018019548A1 (en) 2018-02-01
CN109475701A (zh) 2019-03-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33015B1 (ko) 약물 전달 장치용 캡 조립체
JP6227109B2 (ja) 小型自動注射装置用後退機構
JP7235743B2 (ja) 医療注射器用の注射器ホルダーおよび医療注射器アセンブリを形成する方法
KR102211557B1 (ko) 약물 전달 장치용 약물 용기 조립체
KR20200063271A (ko) 약물 전달 장치를 위한 투여 메커니즘
KR102189083B1 (ko) 컨테이너 홀더 조립체
AU2017298342B2 (en) Medicament container holder for a medicament delivery device and method of assemblying a medicament delivery device
US10980949B2 (en) Cap assembly for a medicament delivery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