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35768A - 로크장치 - Google Patents

로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35768A
KR20190035768A KR1020197005218A KR20197005218A KR20190035768A KR 20190035768 A KR20190035768 A KR 20190035768A KR 1020197005218 A KR1020197005218 A KR 1020197005218A KR 20197005218 A KR20197005218 A KR 20197005218A KR 20190035768 A KR20190035768 A KR 201900357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d
slider
base
knob
receiving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052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32133B1 (ko
Inventor
고우지 곤도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Publication of KR201900357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357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321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321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3/00Vehicle lock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types of wing or vehicle
    • E05B83/28Locks for glove compartments, console boxes, fuel inlet covers or the like
    • E05B83/30Locks for glove compartments, console boxes, fuel inlet covers or the like for glove compart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7/00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 B60R7/04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in driver or passenger space, e.g. using racks
    • B60R7/06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in driver or passenger space, e.g. using racks mounted on or below dashboard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00Knobs or handles for wings; Knobs, handles, or press buttons for locks or latches on wings
    • E05B1/0038Sliding handles, e.g. push butt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79/00Mounting or connecting vehicle locks or parts thereof
    • E05B79/10Connections between movable lock parts
    • E05B79/20Connections between movable lock parts using flexible connections, e.g. Bowden cabl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79/00Mounting or connecting vehicle locks or parts thereof
    • E05B79/10Connections between movable lock parts
    • E05B79/22Operative connections between handles, sill buttons or lock knobs and the lock unit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00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rectilinearly
    • E05C1/08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rectilinearly with latching action
    • E05C1/12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rectilinearly with latching action with operating handle or equivalent member moving otherwise than rigidly with the latch
    • E05C1/14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rectilinearly with latching action with operating handle or equivalent member moving otherwise than rigidly with the latch the handle or member moving essentially towards or away from the plane of the wing or fram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21/00Arrangements or combinations of wing fastening, securing, or holding devices, not covered by a single preceding main group; Locking ki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9/00Arrangements of simultaneously actuated bolts or other securing devices at well-separated positions on the same w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9/00Arrangements of simultaneously actuated bolts or other securing devices at well-separated positions on the same wing
    • E05C9/02Arrangements of simultaneously actuated bolts or other securing devices at well-separated positions on the same wing with one sliding bar for fastening when moved in one direction and unfastening when moved in opposite direction; with two sliding bars moved in the same direction when fastening or unfasten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9/00Arrangements of simultaneously actuated bolts or other securing devices at well-separated positions on the same wing
    • E05C9/04Arrangements of simultaneously actuated bolts or other securing devices at well-separated positions on the same wing with two sliding bars moved in opposite directions when fastening or unfasten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9/00Arrangements of simultaneously actuated bolts or other securing devices at well-separated positions on the same wing
    • E05C9/04Arrangements of simultaneously actuated bolts or other securing devices at well-separated positions on the same wing with two sliding bars moved in opposite directions when fastening or unfastening
    • E05C9/041Arrangements of simultaneously actuated bolts or other securing devices at well-separated positions on the same wing with two sliding bars moved in opposite directions when fastening or unfastening with rack and pinion mechanism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9/00Arrangements of simultaneously actuated bolts or other securing devices at well-separated positions on the same wing
    • E05C9/04Arrangements of simultaneously actuated bolts or other securing devices at well-separated positions on the same wing with two sliding bars moved in opposite directions when fastening or unfastening
    • E05C9/042Arrangements of simultaneously actuated bolts or other securing devices at well-separated positions on the same wing with two sliding bars moved in opposite directions when fastening or unfastening with pins engaging slo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9/00Arrangements of simultaneously actuated bolts or other securing devices at well-separated positions on the same wing
    • E05C9/04Arrangements of simultaneously actuated bolts or other securing devices at well-separated positions on the same wing with two sliding bars moved in opposite directions when fastening or unfastening
    • E05C9/043Arrangements of simultaneously actuated bolts or other securing devices at well-separated positions on the same wing with two sliding bars moved in opposite directions when fastening or unfastening with crank pins and connecting rod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9/00Arrangements of simultaneously actuated bolts or other securing devices at well-separated positions on the same wing
    • E05C9/08Arrangements of simultaneously actuated bolts or other securing devices at well-separated positions on the same wing with a rotary bar for actuating the fastening mea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7/00Accessories in connection with locks
    • E05B17/0041Damping mea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47/0001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 E05B2047/0014Constructional features of actuators or power transmissions therefor
    • E05B2047/0018Details of actuator transmissions
    • E05B2047/002Geared transmiss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과제) 수납장치의 로크장치에 있어서 두께를 작게 한다.
(해결수단) 박스(2)의 개구(2A)를 닫는 리드(3)를 구비한 수납장치(1)의 로크장치(30)로서, 리드에 장착되는 베이스(31)와; 베이스의 전방부에 변위 가능하게 지지된 파지부(36B) 및 파지부에 대해서 후방으로 돌출된 암부(36C)를 구비한 노브(36)와; 베이스의 후방부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며, 노브의 변위에 따라서 암부에 눌려져서 슬라이드 이동하는 슬라이더(46)와; 베이스에 있어서의 슬라이더보다도 전방측의 부분에 상하로 나란하게 또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며, 박스에 형성된 1쌍의 걸림구멍(11, 12)에 각각 걸림-이탈 가능한 제 1 로드(57) 및 제 2 로드(62)와; 슬라이더와 제 1 로드 및 제 2 로드의 사이에 설치되며, 슬라이더의 이동에 따라서 제 1 로드 및 제 2 로드를 슬라이드 이동시키는 동력전달기구;를 가진다.

Description

로크장치
본 발명은 박스 및 리드를 구비한 수납장치의 로크장치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의 글로브 박스의 로크장치로서, 리드에 설치되는 베이스와; 베이스에 좌우로 연장되는 축선을 중심으로 하여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노브와; 베이스에 상하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노브의 회동에 따라서 하방으로 이동하는 플레이트와; 플레이트의 전방측 및 후방측에 설치되며, 경사면인 캠을 통해서 플레이트와 슬라이드 접촉하고, 플레이트의 상하 이동에 따라서 좌우로 서로 반대방향으로 이동하는 전후 1쌍의 스테이와; 기단부에 있어서 각 스테이에 결합되며, 좌우로 서로 반대방향으로 연장되고 선단부가 글로브 박스의 박스에 형성된 결합구멍에 삽입 가능한 좌우 1쌍의 로드;를 가지는 것이 공지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이 로크장치는, 통상시에 있어서는 좌우 양방의 로드가 결합구멍에 걸어맞춰져서 리드가 닫힌 상태로 유지되고, 노브가 조작되었을 때에 좌우 양방의 로드가 결합구멍에서 이탈하여 리드가 박스에 대해서 이동 가능하게 된다.
특허문헌 1 : 일본국 특허 제5608280호 명세서
상기한 바와 같은 로크장치는 수납장치의 리드에 설치되기 때문에, 자신의 두께가 크면, 이것에 따라서 리드도 두꺼워지게 되어 수납장치의 수용공간이 축소되기 때문에, 얇은 것이 바람직하다. 특허문헌 1에 관한 로크장치에서는 플레이트의 전후 각각에 스테이가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전후 두께가 크다는 문제가 있다. 한편, 회동하는 노브에 의해서 플레이트를 슬라이드 이동시키는 구성에서는, 노브의 회동 중심과 플레이트의 거리가 작으면, 노브의 조작량에 대한 플레이트 및 각 로드의 이동량이 작아지게 되어 로크의 해제에 필요로 하는 노브의 조작량이 커지게 된다는 문제가 있다.
이상의 배경을 감안하여, 본 발명은 수납장치의 로크장치에 있어서 전후 두께를 작게 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형태는, 전방으로 개구된 박스 및 상기 박스의 개구를 닫는 리드를 구비한 수납장치의 로크장치로서, 상기 리드에 장착되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의 전방부에 변위 가능하게 지지되며, 상기 리드의 전면에 배치되는 파지부 및 상기 파지부에 대해서 후방으로 돌출된 암부를 구비한 노브와; 상기 베이스의 후방부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며, 상기 노브의 변위에 따라서 상기 암부에 눌려져서 슬라이드 이동하는 슬라이더와; 상기 베이스에 있어서의 상기 슬라이더보다도 전방측의 부분에 상하로 나란하게 또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며, 서로 평행하게 또한 상기 베이스에서 서로 상반되는 방향으로 연장되고, 슬라이드 이동함에 의해서 상기 박스에 형성된 1쌍의 걸림부에 각각 걸림-이탈 가능한 제 1 로드 및 제 2 로드와; 상기 슬라이더와 상기 제 1 로드 및 상기 제 2 로드의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슬라이더의 이동에 따라서 상기 제 1 로드 및 상기 제 2 로드를 슬라이드 이동시키는 동력전달기구;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 1 로드 및 제 2 로드는 걸림부에 직접 걸려 고정되어도 좋고, 걸림부에 다른 부재를 통해서 걸려 고정되어도 좋다.
이 형태에 의하면, 제 1 로드 및 제 2 로드의 양방이 슬라이더의 전방측에 배치되고, 또한 제 1 로드 및 제 2 로드가 상하방향으로 겹쳐져서 배치되기 때문에, 제 1 로드 및 제 2 로드의 배치에 필요로 하는 전후 폭이 작아지게 되어, 베이스 및 로크장치의 전후 폭이 작아지게 된다. 또, 슬라이더가 베이스에 있어서 제 1 로드 및 제 2 로드보다도 후방에 배치되어 전방부에 설치되는 노브와의 사이에 거리가 확보되기 때문에, 노브의 변위 형태가 회동인 경우에도, 노브의 조작량에 대한 슬라이더, 제 1 로드 및 제 2 로드의 이동량을 크게 할 수 있다.
또, 상기한 형태에 있어서, 상기 노브는 상기 제 1 로드 및 상기 제 2 로드보다도 전방에 위치하는 축선을 중심으로 하여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으면 좋다.
이 형태에 의하면, 파지부와 노브의 회동 중심의 거리에 대해서, 슬라이더와 노브의 회동 중심의 거리가 길어지게 되어, 노브의 조작량에 대한 슬라이더의 이동량이 커지게 된다.
또, 상기한 형태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기구는, 상기 슬라이더의 전면에 오목하게 형성되되 상기 슬라이더의 슬라이드 이동방향에 대해서 경사지게 연장되는 캠홈과, 상기 제 1 로드의 후면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캠홈에 걸어맞춰지는 핀을 가지면 좋다.
이 형태에 의하면, 동력전달기구를 간소한 구성으로 할 수 있다.
또, 상기한 형태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기구는, 상기 슬라이더의 전면에 형성되되 상기 슬라이더의 슬라이드 이동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는 제 1 래크와, 상기 제 2 로드에 형성되되 상기 제 2 로드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는 제 2 래크와, 상기 베이스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며 상기 제 1 래크 및 상기 제 2 래크에 맞물리는 피니언을 가지면 좋다.
이 형태에 의하면, 슬라이더의 크기를 작게 할 수 있다. 슬라이더의 이동에 대해서 제 1 로드 및 제 2 로드를 서로 상반되는 방향으로 이동시킬 경우에 있어서, 각 로드에 대해서 각각 캠홈을 형성하는 것으로 하면, 캠홈의 연장방향이 서로 평행하게 되지 않기 때문에, 간섭을 피하기 위해서 슬라이더를 크게 할 필요가 있다. 그렇기 때문에, 제 2 로드에 대해서는 캠홈 대신에 제 1 래크, 피니언 및 제 2 래크로 이루어지는 기어 기구를 형성함에 의해서 슬라이더를 작게 함으로써 로크장치 전체를 소형화할 수 있다.
또, 상기한 형태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기구는, 길이방향에 있어서의 중앙부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길이방향에 있어서의 각 단부에 있어서 상기 제 1 로드 및 상기 제 2 로드의 기단부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링크를 가지면 좋다.
이 형태에 의하면, 동력전달기구를 간소한 구성으로 할 수 있다.
또, 상기한 형태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는, 상기 노브를 상하로 연장되는 축선을 중심으로 하여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고, 상기 슬라이더를 상하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고, 상기 제 1 로드 및 상기 제 2 로드를 좌우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고 있으면 좋다.
이 형태에 의하면, 좌우로 연장되는 축선을 중심으로 하여 회동 가능한 리드에 적합한 로크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 상기한 형태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는 그 측방 가장자리에 상하방향에 대해서 경사진 캠면을 가지며, 상기 캠면에 있어서 상기 암부에 눌려지면 좋다.
이 형태에 의하면, 간소한 구성에 의해 노브의 회동을 슬라이더의 슬라이드 이동으로 변환할 수 있다.
또, 상기한 형태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는, 전후로 연장되며, 상기 암부를 회동 가능하게 수용하는 암부수용구멍을 가지면 좋다.
이 형태에 의하면, 암부가 베이스 내를 통과하기 때문에, 베이스를 피할 수 있도록 암부 및 슬라이더를 대형화시킬 필요가 없다. 이것에 의해서, 로크장치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 상기한 형태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는 상하로 연장되며 상기 슬라이더를 상하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수용하는 슬라이더 수용구멍과, 좌우로 연장되며 상기 제 1 로드를 좌우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수용하는 제 1 로드 수용구멍과, 좌우로 연장되며 상기 제 2 로드(62)를 좌우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수용하는 제 2 로드 수용구멍을 가지며, 상기 슬라이더 수용구멍은 상기 암부수용구멍, 상기 제 1 로드 수용구멍 및 상기 제 2 로드 수용구멍의 각각에 접속되어 있으면 좋다.
이 형태에 의하면, 슬라이더, 제 1 로드 및 제 2 로드가 베이스에 안정성 좋게 지지된다.
또, 상기한 형태에 있어서, 상기 제 1 로드 또는 상기 제 2 로드의 상기 걸림부 측의 단부에 설치되며, 상기 리드에 대해서 상기 제 1 로드 및 상기 제 2 로드를 대응하는 상기 걸림부 측으로 탄지하는 탄지부재를 가지면 좋다.
이 형태에 의하면, 탄지부재가 베이스로부터 떨어진 부분에 설치되기 때문에, 베이스의 소형화가 가능하게 된다. 또, 탄지부재가 제 1 로드 또는 제 2 로드의 걸림부 측의 단부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탄지부재의 탄지력이 제 1 로드 또는 제 2 로드의 선단부에 확실하게 전달되며, 제 1 로드 또는 제 2 로드와 걸림부 간의 흔들림이 억제된다.
또, 상기한 형태에 있어서, 상기 리드에 설치되며, 상기 제 1 로드 또는 상기 제 2 로드의 상기 걸림부 측의 단부가 통과하는 가이드구멍을 구비한 가이드 부재를 가지며, 상기 탄지부재는 상기 제 1 로드 또는 상기 제 2 로드와 상기 가이드 부재의 사이에 설치되어 있으면 좋다.
이 형태에 의하면, 제 1 로드 또는 제 2 로드가 가이드 부재에 지지되므로 이동 궤적이 안정하다.
이상의 구성에 의하면, 수납장치의 로크장치에 있어서 전후 두께를 작게 할 수 있다.
도 1은 실시형태와 관한 로크장치를 구비한 글로브 박스의 사시도
도 2는 로크장치의 사시도
도 3은 로크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베이스를 투시하여 노브, 슬라이더, 제 1 로드 및 제 2 로드의 위치 관계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베이스를 투시하여 노브, 슬라이더, 제 1 로드 및 제 2 로드의 위치 관계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6은 베이스를 투시하여 노브, 슬라이더, 제 1 로드 및 제 2 로드의 위치 관계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7은 변형 실시형태에 관한 로크장치에 있어서, 베이스를 투시하여 노브, 슬라이더, 제 1 로드 및 제 2 로드의 위치 관계를 나타내는 정면도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로크장치를 자동차의 글로브 박스에 적용한 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납장치인 글로브 박스(1)는 일방의 측방으로 향해서 개구된 박스(2)와 당해 박스(2)의 개구(2A)를 닫는 리드(3)를 가진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도 1을 기준으로 하여 박스(2)의 개구(2A)가 전방을 향하여 개구되고, 리드(3)가 박스(2)에 대해서 전방부에 설치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또한, 개구(2A)가 개구되는 방향은 사용형태에서의 방향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글로브 박스(1)가 자동차의 인스트루먼트 패널의 조수석에 대응한 부분에 설치되는 경우, 글로브 박스(1)는 자동차를 기준으로 하여 개구(2A)가 후방을 향하도록 배치된다.
박스(2)는 좌우 1쌍의 박스 측벽(2B)과, 좌우의 박스 측벽(2B) 사이에 걸쳐진 박스 상벽(2C), 박스 내벽(2D) 및 박스 하벽을 가지며, 전방으로 향해서 개구된 내부 공간(5)을 가진다. 개구(2A)는 좌우의 박스 측벽(2B), 박스 상벽(2C) 및 박스 하벽의 전방측 가장자리에 의해서 획정되어 있다. 좌우의 박스 측벽(2B)의 내면의 전방측 가장자리 상부에는 각각 좌우 외방으로 향해서 오목한 좌측 걸림구멍(11) 및 우측 걸림구멍(12)이 형성되어 있다.
리드(3)는 판형상으로 형성된 전방측 측판(14)과, 상기 전방측 측판(14)의 후방부에 설치되되 상방으로 개구된 버킷(15)을 가진다. 리드(3)는 버킷(15)의 좌우 측부의 각각의 하부에 있어서, 좌우의 박스 측벽(2B)의 내면에 좌우로 연장되는 축선을 중심으로 하여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리드(3)는 버킷(15) 전체가 내부 공간(5) 내에 배치되며, 전방측 측판(14)이 개구(2A)를 닫는 폐쇄위치와 전방측 측판(14)이 개구(2A)에 대해서 전방으로 이동하여 버킷(15)의 일부가 개구(2A)보다도 외부에 위치하는 개방위치의 사이에서 회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전방측 측판(14)은 외측에 배치된 외측판(16)과 내측에 배치된 내측판(17)을 서로 결합시킴에 의해서 중공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전방측 측판(14)은 전후로 두께를 가지며, 내측판(17)의 좌우 폭이 외측판(16)의 좌우 폭에 대해서 현격하게 작게 형성되어 있다. 리드(3)가 폐쇄위치에 있을 때, 전방측 측판(14)의 내측판(17)의 좌우의 단면은 좌우의 박스 측벽(2B)의 내면에 대향하고, 전방측 측판(14)의 외측판(16)의 좌우측 가장자리부의 후방을 향하는 면은 좌우의 박스 측벽(2B)의 전방을 향하는 단면에 대향한다.
외측판(16)의 좌측 상부에는 두께방향으로 관통하는 구멍인 노브구멍(21)이 형성되어 있다. 외측판(16)의 전면에 있어서의 노브구멍(21)의 우측에는 후방으로 향해서 오목하고 또한 노브구멍(21)에 연이어진 조작용 오목부(22)가 형성되어 있다.
리드(3)의 전방측 측판(14)에는 리드(3)를 박스(2)에 대해서 폐쇄위치에 유지시키기 위한 로크장치(30)가 설치되어 있다. 도 2 및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로크장치(30)는 전방측 측판(14)에 장착되는 베이스(31)를 가진다. 베이스(31)는 블록형상으로 형성되며, 그 주연부의 적소에는 전후로 관통하는 나사관통구멍(32)이 형성되어 있다. 베이스(31)는 나사관통구멍(32)을 통과하는 나사에 의해서 외측판(16)의 후면 및 내측판(17)의 전면의 적어도 일방에 체결된다.
베이스(31)는 그 전면에 있어서 노브구멍(21)과 대응하는 부분에 전방으로 돌출된 상하 1쌍의 지지편(33)을 가진다. 상하의 지지편(33) 사이에는 상하로 연장되는 지지축(34)이 걸쳐져 있다. 지지축(34)에는 노브(36)의 일부를 구성하는 노브 베이스부(36A)가 지지축(34)을 중심으로 하여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1쌍의 지지편(33) 및 노브 베이스부(36A)의 전단은 노브구멍(21)을 통과하여 외측판(16)의 전방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노브 베이스부(36A)의 전단에는 판편(板片)형상의 파지부(36B)가 결합되어 있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파지부(36B)는 조작용 오목부(22) 내에 끼워져 있다.
도 2 및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노브 베이스부(36A)는 그 후방부에 후방으로 향해서 연장되는 암부(36C)를 가진다. 베이스(31)는 그 상부에 있어서의 암부(36C)와 대응하는 부분에 전후로 관통하며 또한 좌우로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암부수용구멍(41)을 가진다. 암부(36C)는 암부수용구멍(41) 내에 끼워지며, 상하로 연장되는 축선을 중심으로 하여 소정의 범위에서 회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노브(36)는 그 파지부(36B)의 대부분이 조작용 오목부(22) 내에 위치하며, 파지부(36B)의 전면이 외측판(16)의 전면과 거의 일치되게 배치되는 초기위치와, 파지부(36B)의 선단이 조작용 오목부(22)의 외방으로 인출된 조작후 위치의 사이에서 회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노브 베이스부(36A)가 베이스(31)의 전면에 맞닿음으로써 초기위치가 결정되고, 암부(36C)가 암부수용구멍(41)의 우단부에 맞닿음으로써 조작후 위치가 결정된다. 초기위치와 조작후 위치는 15°∼35°의 각도를 가지면 좋다. 노브(36)가 초기위치에 있을 때에 암부(36C)는 대략 전후로 연장되고, 노브(36)가 초기위치에서 조작후 위치로 이동하면, 암부(36C)의 선단부(후단부)는 우측방향으로 이동한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노브 베이스부(36A)와 지지축(34) 사이에는 지지축(34)에 대한 노브 베이스부(36A)의 회전을 감쇠하는 회전댐퍼(43)가 장착되어 있다. 회전댐퍼(43)는 예를 들면 점성 유체가 봉입된 통형의 댐퍼이어도 좋다. 노브 베이스부(36A)와 베이스(31) 사이에는 노브(36)를 초기위치로 향해서 탄지하는 제 1 탄지부재(44)가 설치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1 탄지부재(44)는 공지의 비틀림 코일 스프링이며, 지지축(34)에 지지된 코일부와 베이스(31)에 걸려 고정된 일단과 노브 베이스부(36A)에 걸려 고정된 타단을 가진다.
베이스(31)의 후방부에는 상하로 관통하는 구멍인 슬라이더 수용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슬라이더 수용구멍에는 슬라이더(46)가 상측위치와 하측위치 사이에서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수용되어 있다. 슬라이더(46)는 주된 면이 전후를 향하는 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슬라이더(46)는 그 상부 좌측 가장자리에 상방으로 향해서 우측으로 경사진, 즉 상하방향에 대해서 경사진 경사면인 상부 캠면(46A)을 가진다. 슬라이더(46)는 그 전면의 상부에 후방으로 향해서 오목하게 형성되고 또한 상방으로 향해서 우측으로 경사지게 연장되는 캠홈(46B)을 가진다. 캠홈(46B)은 상부 캠면(46A)의 하방에 슬라이더(46)의 슬라이드 이동방향인 상하에 대해서 경사지게 연장되어 있다.
슬라이더(46)는 그 전면에 있어서의 캠홈(46B)보다도 하측 부분에 후방으로 향해서 오목하게 형성된 슬라이더 오목부(46C)를 가진다. 슬라이더 오목부(46C)는 상하로 연장되며, 그 하단이 슬라이더(46)의 하측 가장자리에 도달하고 있다. 슬라이더 오목부(46C)를 획정하는 좌측의 측벽은 상하로 연장되며, 그 오목부 측의 측면에 톱니가 우측방향을 향하되 상하로 연장된 제 1 래크(46D)를 가진다. 슬라이더(46)는 슬라이더 오목부(46C)의 저부의 중앙에 두께방향(전후)으로 관통하며 또한 상하로 연장된 관통구멍(46E)을 가진다.
베이스(31)는 그 하부에 있어서의 슬라이더 수용구멍의 전방에 피니언 수용구멍(48)을 가진다. 피니언 수용구멍(48)은 슬라이더 수용구멍의 하부 전방측과 접속되어 있다. 피니언 수용구멍(48)에는 피니언(51)이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는 축선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 가능하게 수용되어 있다. 피니언(51)은 전방측의 대경부(大徑部)(51A)와 당해 대경부(51A)의 후방측에 동축적으로 형성된 소경부(小俓部)(51B)를 가진다. 소경부(51B)는 슬라이더(46)의 관통구멍(46E)을 통과하여 베이스(31)의 후방부에 형성된 축받이구멍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어 있다. 대경부(51A)의 후단부는 베이스(31)의 전방부에 형성된 관통구멍인 축받이구멍에 회전 가능하게 또한 전후로 이동 불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대경부(51A)는 그 전단에 축받이구멍보다도 직경이 큰 플랜지부(51C)와, 플랜지부(51C)에서 소경부(51B) 측으로 거리를 두고서 돌출 형성된 복수의 탄성 돌조를 가지며, 플랜지부(51C)와 복수의 탄성 돌조의 사이에 축받이구멍의 구멍가장자리를 걸어 끼운다. 전방측에서 피니언(51)을 축받이구멍에 삽입할 때에, 탄성 돌조는 직경방향 내측으로 휘어지면서 축받이구멍을 통과하고, 그 후 복귀하여 축받이구멍의 구멍가장자리에 걸리게 된다. 대경부(51A)는 그 외주면에 톱니를 가지며, 평기어를 구성하고 있다. 도 4 및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대경부(51A)는 그 후방부 측에 있어서 슬라이더 오목부(46C) 내에 끼워짐과 아울러 제 1 래크(46D)와 맞물려 있다.
슬라이더 수용구멍의 상부는 암부수용구멍(41)의 후방부와 접속되어 있다. 암부(36C)의 선단은 암부수용구멍(41)에서 슬라이더 수용구멍 내로 끼워지며, 상부 캠면(46A)과 슬라이드 접촉하도록 슬라이더(46)의 좌측 상부에 배치된다.
베이스(31)는 그 좌단면에서 우측으로 향해서 오목하게 형성된 제 1 로드 수용구멍을 가진다. 제 1 로드 수용구멍은 슬라이더 수용구멍의 전방측에 좌우로 연장되며, 후방부에 있어서 슬라이더 수용구멍과 접속되어 있다. 도 2 및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로드 수용구멍에는 좌우로 연장되는 제 1 로드(57)의 기단부(우단부)가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제 1 로드 수용구멍에 삽입된 제 1 로드(57)의 기단부는 슬라이더(46)의 전방측에 배치되며, 그 후면에 후방으로 돌출되어 캠홈(46B)에 걸어맞춰지는 핀(57A)을 가진다. 핀(57A)과 캠홈(46B)의 걸어맞춤에 의해서 슬라이더(46)의 상하 이동에 따라 제 1 로드(57)가 좌우로 이동한다. 제 1 로드(57)는 베이스(31)에서부터 좌방으로 연장되며, 그 선단은 베이스(31)에서 좌방으로 돌출되고, 또한 전방측 측판(14)의 후방부의 좌단면에 형성된 관통구멍을 통과 가능하게 되어 있다.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로드(57)의 선단(좌단)은 전방측 측판(14)의 좌단면에서 돌출된 상태에서 좌측의 박스 측벽(2B)에 형성된 좌측 걸림구멍(11)에 끼워진다. 즉, 제 1 로드(57)는 걸림부를 이루는 좌측 걸림구멍(11)에 걸려 고정된다. 제 1 로드(57)의 선단부가 전방측 측판(14)의 좌단면에서 좌방으로 완전히 돌출된 위치를 제 1 로드(57)의 돌출위치라 하고, 제 1 로드(57)의 선단부가 전방측 측판(14) 내로 완전히 퇴각한 위치를 제 1 로드(57)의 퇴각위치라 한다. 제 1 로드(57)는 돌출위치와 퇴각위치 사이를 슬라이드 이동함으로써 좌측 걸림구멍(11)에 걸림-이탈 가능하게 되어 있다. 제 1 로드(57)의 선단부의 후방부는 선단측으로 향해서 전방으로 경사진 경사면으로 되어 있다.
도 2 및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베이스(31)는 그 우단면에서 좌방으로 향해서 오목하게 형성된 제 2 로드 수용구멍(61)을 가진다. 제 2 로드 수용구멍(61)은 슬라이더 수용구멍의 전방측에 좌우로 연장되며, 후방부에 있어서 슬라이더 수용구멍과 접속함과 아울러 하부에 있어서 피니언 수용구멍(48)과 접속되어 있다. 제 2 로드 수용구멍(61)에는 좌우로 연장되는 제 2 로드(62)의 기단부(좌단부)가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제 2 로드(62)는 베이스(31)에서부터 우방으로 연장되어 있다. 제 1 로드(57) 및 제 2 로드(62)는 서로 평행하게 또한 베이스(31)에서 서로 상반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또, 제 1 로드(57) 및 제 2 로드(62)는 상하에 나란히 배치되어 있다. 제 1 로드(57)와 제 2 로드(62)는 상측에서 보았을 때에 서로 겹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전후방향에 있어서, 슬라이더(46)보다도 전방에 제 1 로드(57) 및 제 2 로드(62)가 배치되고, 제 1 로드(57) 및 제 2 로드(62)보다도 전방에 노브(36)의 회동축선이 배치되어 있다.
도 4 및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로드 수용구멍(61)에 삽입된 제 2 로드(62)의 기단부는 슬라이더(46)의 전방측에 또한 피니언(51)의 상측에 배치되며, 그 하면에 하방으로 향해서 돌출되는 톱니를 좌우로 연장되게 구비하는 제 2 래크(62A)를 가진다. 피니언(51)은 대경부(51A)의 전방측 부분에 있어서 제 2 래크(62A)와 맞물려 있다. 이것에 의해서, 슬라이더(46)의 상하 이동에 따라서 제 1 래크(46D)와 맞물리는 피니언(51)이 회전하고, 상기 피니언(51)과 맞물리는 제 2 로드(62)가 좌우로 이동한다. 제 2 로드(62) 및 제 2 래크(62A)는 제 1 래크(46D)에 대해서 전방으로 오프셋되게 배치되어 제 1 래크(46D)와의 접촉을 피하고 있다. 슬라이더(46)와 제 1 로드(57)를 연결하는 캠홈(46B) 및 핀(57A), 슬라이더(46)와 제 2 로드(62)를 연결하는 제 1 래크(46D), 피니언(51) 및 제 2 래크(62A)는 슬라이더(46)의 이동에 따라서 제 1 로드(57) 및 제 2 로드(62)를 슬라이드 이동시키는 동력전달기구를 구성한다.
제 2 로드(62)의 선단은 베이스(31)에서 우방으로 돌출되며, 또한 전방측 측판(14)의 후방부의 우단면에 형성된 관통구멍을 통과 가능하게 되어 있다. 제 2 로드(62)의 선단은 전방측 측판(14)의 우단면에서 돌출된 상태에서 우측의 박스 측벽(2B)에 형성된 우측 걸림구멍(12)에 끼워진다. 즉, 제 2 로드(62)는 걸림부를 이루는 우측 걸림구멍(12)에 걸려 고정된다. 제 2 로드(62)의 선단부가 전방측 측판(14)의 우단면에서 우방으로 완전히 돌출된 위치를 제 2 로드(62)의 돌출위치라 하고, 제 2 로드(62)의 선단부가 전방측 측판(14) 내로 완전히 퇴각한 위치를 제 2 로드(62)의 퇴각위치라 한다. 제 2 로드(62)는 돌출위치와 퇴각위치 사이를 슬라이드 이동함으로써 우측 걸림구멍(12)에 걸림-이탈 가능하게 되어 있다. 제 2 로드(62)의 선단부의 후방부는 선단측으로 향해서 전방으로 경사진 경사면으로 되어 있다.
도 2 및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로드(62)의 우측 걸림구멍(12) 측의 단부는 전방측 측판(14)에 설치된 가이드 부재(70)에 의해서 지지되어 있다. 가이드 부재(70)는 좌우로 관통하는 가이드구멍(70A)을 가지며, 외측판(16)의 후면 및 내측판(17)의 전면의 적어도 일방에 나사에 의해서 체결된다. 제 2 로드(62)의 우측 걸림구멍(12) 측의 단부는 가이드구멍(70A)을 통과하며, 선단부가 가이드구멍(70A)의 외방으로 돌출된다. 제 2 로드(62)는 가이드구멍(70A)에 지지됨으로써 자신의 휘어짐이 억제되어 선단부의 위치가 안정된다.
가이드 부재(70)와 제 2 로드(62) 사이에는 상기 제 2 로드(62)를 리드(3)에 대해서 돌출위치로 향해서 탄지하는 제 2 탄지부재(71)가 설치되어 있다. 제 2 탄지부재(71)는 공지의 비틀림 코일 스프링이며, 가이드 부재(70)에 지지된 코일부와 가이드 부재(70)에 걸려 고정된 일단과 제 2 로드(62)의 우측 걸림구멍(12) 측의 단부에 걸려 고정된 타단을 가진다. 제 2 탄지부재(71)에 의해 제 2 로드(62)가 돌출위치로 향해서 탄지됨에 의해서 동력전달기구를 통해 슬라이더(46)가 상측위치로 향해서 탄지됨으로써, 상부 캠면(46A)에 있어서 암부(36C)와 맞닿는다. 또, 동력전달기구에 의해서 슬라이더(46)에 연결된 제 1 로드(57)가 돌출위치로 탄지된다.
이상과 같이 구성한 로크장치(30)의 작용 및 효과에 대해서 설명한다.
사용자가 노브(36)를 조작하지 않는 상태에서는 제 1 탄지부재(44)에 의해서 노브(36)가 초기위치에 있다. 또, 제 2 탄지부재(71)에 의해서 제 1 로드(57) 및 제 2 로드(62)는 돌출위치에 있고, 슬라이더(46)는 상측위치에 있고, 상부 캠면(46A)에 있어서 암부(36C)와 맞닿아 있다. 이 상태에서는, 리드(3)가 폐쇄위치에 있으면, 제 1 로드(57)의 선단부가 좌측 걸림구멍(11)에 걸려 고정됨과 아울러 제 2 로드(62)의 선단부가 우측 걸림구멍(12)에 걸려 고정되므로 리드(3)가 폐쇄위치에 유지된다.
제 1 로드(57) 및 제 2 로드(62)가 돌출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리드(3)를 개방위치에서 폐쇄위치로 이동시키면, 제 1 로드(57)의 선단부 및 제 2 로드(62)의 선단부는 그 후방부의 경사면에 있어서 좌우의 박스 측벽(2B)의 전방측 가장자리에 눌려지므로 제 2 탄지부재(71)의 탄지력에 저항하여 퇴각위치로 이동한다. 이때, 슬라이더(46)는 암부(36C)로부터 떨어져서 하측위치로 이동하며, 노브(36)는 회동하지 않는다. 그리고, 제 1 로드(57)의 선단부 및 제 2 로드(62)의 선단부가 각각 좌측 걸림구멍(11) 및 우측 걸림구멍(12)와 대응하는 위치까지 이동하면, 제 2 탄지부재(71)의 탄지력에 의해서 제 1 로드(57) 및 제 2 로드(62)가 각각 돌출위치로 이동함으로써 좌측 걸림구멍(11) 및 우측 걸림구멍(12)에 걸려 고정된다.
도 4∼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사용자가 노브(36)의 파지부(36B)를 잡고서 전방으로 당기면, 지지축(34)을 중심으로 하여 노브(36)가 회동하고, 암부(36C)가 후방으로 연장된 상태에서 우측방향으로 회동한다. 암부(36C)가 우측방향으로 이동할 때, 암부(36C)는 상부 캠면(46A)을 슬라이드 접촉하며, 슬라이더(46)는 암부(36C)에 의해서 하측위치로 향해서 눌려진다. 슬라이더(46)의 하방으로의 이동에 의해서 캠홈(46B)에 걸어맞춰진 핀(57A)이 캠홈(46B) 내를 우측으로 이동함으로써, 제 1 로드(57)가 퇴각위치로 이동한다. 또, 제 1 래크(46D), 피니언(51), 제 2 래크(62A)를 통해서 슬라이더(46)에 연결된 제 2 로드(62)가 슬라이더(46)의 하방으로의 이동에 의해서 퇴각위치로 이동한다. 이것에 의해서, 리드(3)가 폐쇄위치에 있을 때에는 제 1 로드(57)의 선단부가 좌측 걸림구멍(11)에서 이탈함과 동시에 제 2 로드(62)의 선단부가 우측 걸림구멍(12)에서 이탈함으로써 리드(3)의 개방위치로의 이동이 가능하게 된다.
로크장치(30)는 제 1 로드(57) 및 제 2 로드(62)의 양방이 슬라이더(46)의 전방측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로크장치(30)의 전후방향에 있어서의 두께를 작게 할 수 있다. 제 1 로드(57) 및 제 2 로드(62)가 상하방향으로 겹쳐져서 배치되기 때문에, 제 1 로드(57) 및 제 2 로드(62)의 배치에 필요로 하는 전후 폭이 작아지게 되어, 베이스(31) 및 로크장치(30)의 전후 폭이 작아지게 된다.
슬라이더(46)가 베이스(31)에 있어서 제 1 로드(57) 및 제 2 로드(62)보다도 후방에 배치되어 전방부에 설치되는 노브(36)와의 사이에 거리가 확보되기 때문에, 암부(36C)의 길이를 베이스(31) 내에 있어서 가능한 한 길게 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서, 노브(36)의 회동량에 대한 슬라이더(46)의 이동량을 크게 할 수 있어 제 1 로드(57) 및 제 2 로드(62)의 이동량을 크게 할 수 있다.
슬라이더(46)와 제 1 로드(57)의 연결을 캠홈(46B) 및 핀(57A)에 의해서 연결하고, 슬라이더(46)와 제 2 로드(62)의 연결을 제 1 래크(46D), 피니언(51) 및 제 2 래크(62A)에 의해서 연결하기 때문에, 슬라이더(46)의 크기를 작게 할 수 있다. 슬라이더(46)의 이동에 대해서 제 1 로드(57) 및 제 2 로드(62)를 서로 상반되는 방향으로 이동시킬 경우에 있어서, 만일 슬라이더(46)와 제 2 로드(62)의 연결을 캠홈 및 핀에 의해서 연결하면, 제 1 로드(57)에 대응하는 캠홈(46B)과 제 2 로드(62)에 대응하는 캠홈의 연장방향이 서로 평행하게 되지 않기 때문에, 간섭을 피하기 위해서 슬라이더(46)를 크게 할 필요가 있다.
제 2 로드(62)는 가이드 부재(70)에 지지됨으로써 이동 궤적이 안정하며, 그 선단부가 원활하게 우측 걸림구멍(12)에 끼워진다. 제 2 탄지부재(71)가 베이스(31)로부터 떨어진 부분에 설치되기 때문에, 베이스(31)의 소형화, 즉 로크장치(30)의 전후 두께의 축소가 가능하게 된다. 또, 제 2 탄지부재(71)가 제 2 로드(62)의 우측 걸림구멍(12) 측의 단부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제 2 탄지부재(71)의 탄지력이 제 2 로드(62)의 선단부에 확실하게 전달되며, 제 2 로드(62)와 우측 걸림구멍(12) 간의 흔들림이 억제된다.
이상으로 구체적인 실시형태의 설명을 마치지만,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형태에 한정하는 일 없이 폭 넓게 변형 실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슬라이더(46)의 이동에 따라서 제 2 로드(62)를 이동시키는 동력전달기구는 제 1 래크(46D), 피니언(51) 및 제 2 래크(62A) 대신에 요동 링크로 하여도 좋다. 예를 들면,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베이스(31)에 링크(75)를 설치하면 좋다. 링크(75)는 그 길이방향에 있어서의 중앙부에 있어서 베이스(31)에 전후로 연장되는 축선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길이방향에 있어서의 각 단부에 있어서 제 1 로드(57) 및 제 2 로드(62)의 기단부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링크(75)의 회전축은 슬라이더(46)의 관통구멍(46E) 내에 배치하면 좋다.
또, 상기한 실시형태에서는 노브(36)가 베이스(31)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으나, 다른 실시형태에서는 노브(36)를 베이스(31)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지지시켜도 좋다. 예를 들면, 베이스(31)의 전면에 노브(36)를 좌우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지지시켜도 좋다. 이 경우, 노브(36)가 우방으로 이동함으로써 암부(36C)가 상부 캠면(46A)에 있어서 슬라이더(46)를 하방으로 향해서 눌러 내린다.
1 : 글로브 박스 2 : 박스
2A : 개구 3 : 리드
11 : 좌측 걸림구멍 12 : 우측 걸림구멍
30 : 로크장치 31 : 베이스
36 : 노브 36A : 노브 베이스부
36B : 파지부 36C : 암부
41 : 암부수용구멍 46 : 슬라이더
46A : 상부 캠면 46B : 캠홈
46D : 제 1 래크 46E : 관통구멍
51 : 피니언 57 : 제 1 로드
57A : 핀 61 : 제 2 로드 수용구멍
62 : 제 2 로드 62A : 제 2 래크
75 : 링크

Claims (11)

  1. 전방으로 개구된 박스 및 상기 박스의 개구를 닫는 리드를 구비한 수납장치의 로크장치로서,
    상기 리드에 장착되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의 전방부에 변위 가능하게 지지되며, 상기 리드의 전면에 배치되는 파지부 및 상기 파지부에 대해서 후방으로 돌출된 암부를 구비한 노브와,
    상기 베이스의 후방부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며, 상기 노브의 변위에 따라서 상기 암부에 눌려져서 슬라이드 이동하는 슬라이더와,
    상기 베이스에 있어서의 상기 슬라이더보다도 전방측의 부분에 상하로 나란하게 또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며, 서로 평행하게 또한 상기 베이스에서 서로 상반되는 방향으로 연장되고, 슬라이드 이동함에 의해서 상기 박스에 형성된 1쌍의 걸림부에 각각 걸림-이탈 가능한 제 1 로드 및 제 2 로드와,
    상기 슬라이더와 상기 제 1 로드 및 상기 제 2 로드의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슬라이더의 이동에 따라서 상기 제 1 로드 및 상기 제 2 로드를 슬라이드 이동시키는 동력전달기구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크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노브는 상기 제 1 로드 및 상기 제 2 로드보다도 전방에 위치하는 축선을 중심으로 하여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크장치.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기구는, 상기 슬라이더의 전면에 오목하게 형성되되 상기 슬라이더의 슬라이드 이동방향에 대해서 경사지게 연장되는 캠홈과, 상기 제 1 로드의 후면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캠홈에 걸어맞춰지는 핀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크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기구는, 상기 슬라이더의 전면에 형성되되 상기 슬라이더의 슬라이드 이동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는 제 1 래크와, 상기 제 2 로드에 형성되되 상기 제 2 로드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는 제 2 래크와, 상기 베이스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며 상기 제 1 래크 및 상기 제 2 래크에 맞물리는 피니언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크장치.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기구는, 길이방향에 있어서의 중앙부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길이방향에 있어서의 각 단부에 있어서 상기 제 1 로드 및 상기 제 2 로드의 기단부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링크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크장치.
  6.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는, 상기 노브를 상하로 연장되는 축선을 중심으로 하여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고, 상기 슬라이더를 상하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고, 상기 제 1 로드 및 상기 제 2 로드를 좌우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크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는 그 측방 가장자리에 상하방향에 대해서 경사진 캠면을 가지며, 상기 캠면에 있어서 상기 암부에 눌려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크장치.
  8. 청구항 6 또는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는, 전후로 연장되며, 상기 암부를 회동 가능하게 수용하는 암부수용구멍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크장치.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는, 상하로 연장되며 상기 슬라이더를 상하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수용하는 슬라이더 수용구멍과, 좌우로 연장되며 상기 제 1 로드를 좌우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수용하는 제 1 로드 수용구멍과, 좌우로 연장되며 상기 제 2 로드를 좌우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수용하는 제 2 로드 수용구멍(61)을 가지며,
    상기 슬라이더 수용구멍은 상기 암부수용구멍, 상기 제 1 로드 수용구멍 및 상기 제 2 로드 수용구멍의 각각에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크장치.
  10.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9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로드 또는 상기 제 2 로드의 상기 걸림부 측의 단부에 설치되며, 상기 리드에 대해서 상기 제 1 로드 및 상기 제 2 로드를 대응하는 상기 걸림부 측으로 탄지하는 탄지부재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크장치.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리드에 설치되며, 상기 제 1 로드 또는 상기 제 2 로드의 상기 걸림부 측의 단부가 통과하는 가이드구멍을 구비한 가이드 부재를 가지며,
    상기 탄지부재는 상기 제 1 로드 또는 상기 제 2 로드와 상기 가이드 부재의 사이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크장치.
KR1020197005218A 2016-09-08 2017-08-30 로크장치 KR10213213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6-175822 2016-09-08
JP2016175822A JP6599830B2 (ja) 2016-09-08 2016-09-08 ロック装置
PCT/JP2017/031045 WO2018047684A1 (ja) 2016-09-08 2017-08-30 ロック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5768A true KR20190035768A (ko) 2019-04-03
KR102132133B1 KR102132133B1 (ko) 2020-07-08

Family

ID=615614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05218A KR102132133B1 (ko) 2016-09-08 2017-08-30 로크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454054B2 (ko)
JP (1) JP6599830B2 (ko)
KR (1) KR102132133B1 (ko)
CN (1) CN109690002B (ko)
DE (1) DE112017004511B4 (ko)
WO (1) WO201804768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771037B (zh) * 2017-12-21 2022-03-29 索斯科公司 门闩锁
KR101996289B1 (ko) * 2017-12-22 2019-07-04 주식회사 니프코코리아 글로브박스용 댐퍼의 유동방지장치
JP7152835B2 (ja) * 2019-09-30 2022-10-13 株式会社ニフコ ロック装置
US20220364395A1 (en) * 2019-10-09 2022-11-17 Southco, Inc. Electronically actuated and locking glove box system
CN111794612A (zh) * 2020-07-08 2020-10-20 北京汽车集团越野车有限公司 一种车辆防暴锁及车辆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8280B2 (ko) 1973-06-19 1981-02-23
JPS6046765U (ja) * 1983-09-08 1985-04-02 白木金属工業株式会社 グラブドアロック装置
KR100674442B1 (ko) * 2002-06-03 2007-01-25 가부시키가이샤 파이오락꾸스 사이드 록크 장치
JP2016084001A (ja) * 2014-10-24 2016-05-19 豊田合成株式会社 グラブボックス

Family Cites Families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932909C2 (de) * 1989-10-03 1995-03-16 Bayerische Motoren Werke Ag Handschuhkasteneinrichtung für Kraftfahrzeuge
DE19754880C5 (de) * 1997-12-10 2004-10-21 W. Hautau Gmbh Gegenläufiges Getriebe mit Offset-Getriebekasten
DE10036945A1 (de) * 2000-07-28 2002-02-07 Volkswagen Ag Verschluss, insbesondere Handschuhkastenverschluss für ein Kraftfahrzeug
JP3896028B2 (ja) * 2002-04-19 2007-03-22 小島プレス工業株式会社 開閉ロック装置
JP4197942B2 (ja) * 2002-12-27 2008-12-17 小島プレス工業株式会社 開閉ロック装置
JP4310227B2 (ja) 2003-04-17 2009-08-05 株式会社パイオラックス サイドロック装置
US7182373B2 (en) * 2003-04-17 2007-02-27 Piolax, Inc. Side lock apparatus for storages
JP4699160B2 (ja) * 2005-10-03 2011-06-08 株式会社パイオラックス サイドロック装置
JP4716864B2 (ja) * 2005-12-21 2011-07-06 株式会社パイオラックス サイドロック装置
EP2090468B1 (en) * 2008-02-12 2010-08-25 Fiat Group Automobiles S.p.A. Glove box assembly for a dashboard of a motor vehicle
JP5367281B2 (ja) * 2008-03-07 2013-12-11 株式会社パイオラックス 開閉ロック装置
EP2105353B1 (en) * 2008-03-26 2014-10-08 Fiat Group Automobiles S.p.A. Glove compartment for a motor vehicle
JP5003554B2 (ja) * 2008-03-27 2012-08-15 豊田合成株式会社 サイドロック装置
DE102008041724B4 (de) * 2008-08-29 2013-09-05 Faurecia Innenraum Systeme Gmbh Verschluss für ein Staufach eines Kraftfahrzeugs
WO2010038716A1 (ja) * 2008-10-01 2010-04-08 株式会社パイオラックス サイドロック装置
KR100956483B1 (ko) 2008-12-09 2010-05-07 덕양산업 주식회사 자동차용 글로브박스의 개폐장치
KR20110126423A (ko) * 2010-05-17 2011-11-23 주식회사 니프코코리아 자동차용 트레이의 커버 열림 방지 장치
JP5629131B2 (ja) * 2010-06-09 2014-11-19 株式会社ニフコ ロック装置
KR101237162B1 (ko) * 2011-05-26 2013-02-25 주식회사 니프코코리아 트레이 록킹해제장치
JP5823792B2 (ja) * 2011-09-22 2015-11-25 株式会社ニフコ ロック装置
EP2653638B1 (en) * 2012-04-19 2014-07-30 Faurecia Innenraum Systeme GmbH Locking mechanism for a glove box
GB2516802B (en) * 2012-06-15 2019-02-13 Piolax Inc Lock device for opening/closing body
JP6227370B2 (ja) 2013-10-16 2017-11-08 株式会社ニフコ ロック装置
JP5608280B1 (ja) 2013-10-21 2014-10-15 大同工業株式会社 チェーン用軸受部、その製造方法、及びそれを用いたチェーン
KR102095568B1 (ko) * 2013-11-12 2020-03-31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의 글로브 박스
JP6169487B2 (ja) * 2013-12-10 2017-07-26 小島プレス工業株式会社 ドア用ロック機構
WO2015125774A1 (ja) * 2014-02-21 2015-08-27 株式会社パイオラックス ロック装置
DE112014007267T5 (de) * 2014-12-19 2017-08-31 Faurecia Interior Systems India Pvt. Ltd. Verriegelungsvorrichtung, umfassend ein gespanntes elastisches Element, das zur Entriegelung der Verriegelungsvorrichtung angeordnet ist
CN204590868U (zh) * 2015-03-31 2015-08-26 北京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手套箱锁机构及汽车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8280B2 (ko) 1973-06-19 1981-02-23
JPS6046765U (ja) * 1983-09-08 1985-04-02 白木金属工業株式会社 グラブドアロック装置
KR100674442B1 (ko) * 2002-06-03 2007-01-25 가부시키가이샤 파이오락꾸스 사이드 록크 장치
JP2016084001A (ja) * 2014-10-24 2016-05-19 豊田合成株式会社 グラブボックス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9690002A (zh) 2019-04-26
JP6599830B2 (ja) 2019-10-30
DE112017004511B4 (de) 2024-02-01
US11454054B2 (en) 2022-09-27
US20190203509A1 (en) 2019-07-04
JP2018040189A (ja) 2018-03-15
KR102132133B1 (ko) 2020-07-08
CN109690002B (zh) 2021-03-02
WO2018047684A1 (ja) 2018-03-15
DE112017004511T5 (de) 2019-06-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035768A (ko) 로크장치
WO2016125768A1 (ja) 進退移動装置
US10214946B2 (en) Locking device
KR101593321B1 (ko) 로크 기구
EP3633128B1 (en) Device for doors
EP2007268B1 (en) Device for dispensing a washing agent in a washing machine, particularly a dishwasher
US20150130193A1 (en) Glove box for an automobile
JP2009215740A (ja) 開閉ロック装置
JP2016112979A (ja) コンソールボックス
JP5862343B2 (ja) ドア装置
KR100968034B1 (ko) 리드장치
JP2007107301A (ja) 引戸などのガイド装置
JP2017048655A (ja) リッド用ロック装置
KR101114070B1 (ko) 이동체의 구동장치
JP6100103B2 (ja) コンソール用ドア装置
JP5150134B2 (ja) 自由扉用ラッチ錠
KR20160143513A (ko) 개폐체의 잠금 장치
JP7265105B2 (ja) リッドロックユニットの取付構造
JP6836190B2 (ja) 両開き収納装置
JP2010162325A (ja) パチンコ機のヒンジ装置
KR101470245B1 (ko) 수납장치
JP2013159965A (ja) スライドヒンジ
JP5887670B2 (ja) ドアストッパーの間隔調整装置及びドア係止装置
KR20170120298A (ko) 미닫이 도어용 댐퍼 및 걸쇠장치
JP2009143375A (ja) 開閉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