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35217A - 재작업 향상을 위한 통로 패턴이 형성된 점착 테이프 - Google Patents

재작업 향상을 위한 통로 패턴이 형성된 점착 테이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35217A
KR20190035217A KR1020170124198A KR20170124198A KR20190035217A KR 20190035217 A KR20190035217 A KR 20190035217A KR 1020170124198 A KR1020170124198 A KR 1020170124198A KR 20170124198 A KR20170124198 A KR 20170124198A KR 20190035217 A KR20190035217 A KR 201900352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nsitive adhesive
pressure
adhesive tape
weight
par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241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00925B1 (ko
Inventor
윤일구
양대관
최용준
황지수
박미희
Original Assignee
(주)메인일렉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메인일렉콤 filed Critical (주)메인일렉콤
Priority to KR10201701241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00925B1/ko
Publication of KR201900352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352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09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09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1/00Features of adhesive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J9/00, e.g. additives
    • C09J11/08Macromolecular addi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33/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09J7/22Plastics; Metallised plastics
    • C09J2201/28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2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adhesive itself
    • C09J2301/204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adhesive itself the adhesive coating being discontinuou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Adhesive Tapes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재작업 향상을 위한 통로 패턴이 형성된 점착 테이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점착제층의 하단면에 패턴이 형성되어 용제가 통과 가능한 통로를 형성함으로써, 재작업을 위해 점착 테이프를 떼어낼 때 용제가 통로로 용이하게 스며들어 잔류물 없이 손쉽게 떼어낼 수 있는 재작업 향상을 위한 용제 통로 패턴이 형성된 점착 테이프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재작업 향상을 위한 통로 패턴이 형성된 점착 테이프{ADHESIVE TAPE WITH PASSAGE PATTERN EXHIBITING IMPROVED REWORKABILITY}
본 발명은 재작업 향상을 위한 통로 패턴이 형성된 점착 테이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점착제층의 하단면에 패턴이 형성되어 용제가 통과 가능한 통로를 형성함으로써, 재작업을 위해 점착 테이프를 떼어낼 때 용제가 통로로 용이하게 스며들어 잔류물 없이 손쉽게 떼어낼 수 있는 재작업 향상을 위한 통로 패턴이 형성된 점착 테이프에 관한 것이다.
점착테이프는 전자 제품 제조 시 여러 분야에서 사용되며, 대표적으로 디스플레이의 패널(panel)과 백커버(back cover)를 접착시킬 때 혹은 패널 보호용 강화유리판과 브라켓 내측 테두리 사이에 양면 점착테이프가 사용되는데 디스플레이 패널과 백커버 사이 혹은 패널 보호용 강화유리판과 브라켓 내측 테두리 사이의 공간을 채우면서, 두 가지 구성부품을 접착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전자 제품의 제조공정에서 접착테이프로 부품을 조립한 후에 부품들이 불량인 경우 또는 조립 시 접착이 잘못된 경우 그 제품을 그대로 폐기한다면 자원소모와 환경오염의 문제 뿐만 아니라 경제적 손실도 크게 된다. 따라서 전자 제품의 제조공정에서 불량이 발생하는 경우 그 제품을 폐기하기도 하지만 경제적 손실을 줄이기 위해 구성부품별로 분리하여 재작업을 하기도 한다.
재작업을 위해 접착테이프를 제거해야 하는 경우가 발생하는데 종래의 접착테이프의 경우 부품들로부터 제거하는 것이 매우 어려운 실정이었다. 접착테이프의 발포수지의 인장강도가 낮아 쉽게 부스러질 수 있는 반면, 점착제는 상대적으로 점착력이 강하기 때문에, 부품들로부터 잔류물을 남기지 않고 한 번에 떼어내는 것이 어렵고 제거하는데 상당한 시간이 소요되었다.
또한, 종래의 접착제의 경우 재작업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점착력을 저하시키는 방법이 고려되었으나, 이러한 방법으로 제조된 점착테이프는 고온, 다습의 환경에서 그 점착성이 떨어지거나, 접착된 디스플레이 패널의 밀림현상이 발생하여 디스플레이 패널의 불량율을 높이는 문제가 있다.
이와 같이 더욱 정교한 전자 제품에 대한 수요가 늘어가고 있는 시점에서 구성 부품을 서로 안정적으로 부착시킬 수 있으면서도 불량 발생 시에는 경제적 손실을 줄이기 위해 용이하게 분리하여 재작업에 사용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양면 접착테이프가 요구되고 있다.
KR 10-1487571 KR 10-1559749
본 발명은 구성 부품을 서로 안정적으로 부착시킬 수 있으면서 필요한 경우 잔류물을 남기지 않고 용이하게 제거되어 재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점착 테이프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점착제층의 하단면에 패턴을 형성하여 용제가 통과 가능한 통로를 포함함으로써, 재작업을 위해 점착 테이프를 떼어낼 때 용제가 통로로 용이하게 스며들 수 있게 한 점착 테이프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점착 테이프는 중공탄성체를 이용하여 충격에 취약한 전자제품에 사용 시 평면뿐만 아니라 수직방향으로도 진동이나 충격을 흡수할 수 있어 우수한 충격 흡수력 및 복원력을 갖는 점착 테이프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재작업 향상을 위한 통로 패턴이 형성된 점착 테이프는 기재층 및 상기 기재층의 일면에 용제가 통과 가능하도록 패턴이 형성된 점착제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패턴은 상기 점착제층의 하단면에 형성되고, 상기 패턴은 폭이 10 내지 80 μm이고, 높이가 5 내지 30 μm으로 이루어져 용제 통로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패턴의 횡단면을 이루고 있는 형상은 삼각형, 사각형, 사다리꼴 및 라운드형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점착제층은 수지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폴리비닐알코올(poly vinyl alcohol, PVA) 비드를 0.05 내지 20 중량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점착제층은 수지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중공탄성체를 0.05 내지 30 중량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중공탄성체는 니트릴(nitrile)계 고무, 스티렌(styrene)계 엘라스토머(elastomer), 올레핀(olefin)계 엘라스토머, 우레탄(urethane)계 엘라스토머, 아미드(amide)계 엘라스토머 및 폴리에스테르(polyester)계 엘라스토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중공탄성체는 중공 비드 또는 발포 비드 중에서 각각 단독으로 또는 혼합해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점착제층의 두께는 10 내지 100 μm인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점착제층은 아크릴, 우레탄, 실리콘 및 합성고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점착제층은 수지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수용성 아크릴 점착제를 5 내지 30 중량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기재층은 폴리우레탄,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합성고무 및 천연고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재작업 향상을 위한 통로 패턴이 형성된 점착 테이프는 구성 부품을 서로 안정적으로 부착시킬 수 있으면서 필요한 경우 잔류물을 남기지 않고 용이하게 제거되어 재작업성이 뛰어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점착 테이프는 점착제층의 하단면에 패턴을 형성하여 용제가 통과 가능한 통로를 포함함으로써, 재작업을 위해 점착 테이프를 떼어낼 때 용제가 통로로 용이하게 스며들 수 있게 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점착 테이프는 중공탄성체를 이용하여 충격에 취약한 전자제품에 사용 시 평면뿐만 아니라 수직방향으로도 진동이나 충격을 흡수할 수 있어 우수한 충격 흡수력 및 복원력을 갖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재작업 향상을 위한 통로 패턴이 형성된 점착 테이프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재작업 향상을 위한 통로 패턴이 형성된 점착 테이프의 패턴 유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점착 테이프의 패턴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재작업 향상을 위한 통로 패턴이 형성된 점착 테이프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재작업 향상을 위한 통로 패턴이 형성된 점착 테이프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재작업 향상을 위한 통로 패턴이 형성된 점착 테이프의 통로 형성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 전문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 또는 기능적으로 유사한 구성 요소들을 지칭한다. 따라서, 동일한 참조 부호 또는 유사한 참조 부호들은 해당 도면에서 언급 또는 설명되지 않았더라도, 다른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될 수 있다. 또한, 참조 부호가 표시되지 않았더라도, 다른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재작업 향상을 위한 통로 패턴이 형성된 점착 테이프의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재작업 향상을 위한 통로 패턴이 형성된 점착 테이프는 기재층(100) 및 상기 기재층의 일면에 용제가 통과 가능하도록 패턴이 형성된 점착제층(2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점착테이프의 구성에 더하여, 본 발명의 재작업 향상을 위한 통로 패턴이 형성된 점착 테이프는 상기 기재층(100)의 적어도 일면에 상기 기재층의 구조적 강도를 지지하는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에스테르 필름 등의 합성 수지 필름, 종이, 부직포, 천, 발포 시트나 금속박, 및 이들의 라미네이트체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층이 더 포함될 수 있다.
기재층(100)은 상기 점착제층(200)의 구조를 지지할 수 있는 공지의 재료를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으나, 그 바람직한 예시를 들자면, 합성수지 필름, 합성수지 시트, 부직포, 섬유구조체, 유리섬유 보강재, 종이, 금속박, 발포수지 등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발포수지를 포함하는 것이 좋다.
상기 발포수지의 재질로써는, 폴리우레탄, 폴리프로릴렌, 폴리에틸렌, 합성고무, 천연고무 등의 재질로 이루어진 발포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발포수지의 조성물에는 차광효과의 효율을 높이기 위해 카본블랙, 산화철, 산화구리, 산화주석, 아조염료, 니그로신, 페릴렌, 아닐렌블랙 등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공지된 흑색안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발포수지의 조성물에는 본 발명의 궁극적인 목적을 벗어나는 범위가 아니라면, 표면윤활제, 레벨링제, 산화방지제, 광안정제, 부식방지제, 중합금지제, 유기 충전제, 무기 충전제, 금속분, 커플링제, 염료, 안료, 자외선차단제, 가공유 및 점착부여제 등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첨가제를 사용자의 용도 내지 목적에 따라 적절하게 더 첨가될 수 있다.
상기 기재층은 0.2 내지 2.5 mm의 두께를 가질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0.6 내지 1.5 mm의 두께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두께가 2.5 mm 초과하는 경우에, 두꺼워서 각종 전자기기 접합 공정 시에 사용에 제한이 생기고, 반대로 0.2 mm 미만의 두께를 갖게 되는 경우, 기재층 상에 형성되는 점착제층을 구조적으로 지지하기 어려워져 재작업성이 떨어질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점착제층(200)의 하단면에 형성된 패턴(210)은 양각과 음각으로 형성되고, 상기 패턴(210)은 폭이 10 내지 80 μm이고, 높이가 5 내지 30 μm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폭이 10 내지 80 μm로 상호연결되게 이루어져 용제 통로(220)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폭이 30 내지 60 μm로 형성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알코올 분사 시 상기 용제 통로(220)를 따라 스며들게 되어 용이하게 점착 테이프를 분리할 수 있다. 폭이 10 μm 미만인 경우 용제 통로가 너무 좁아서 알코올 분사 시 잘 스며들지 않아 점착 테이프를 용이하게 떼어내기가 어렵고, 잔류물이 많이 남는 문제가 있으며, 80 μm 초과인 경우 패턴간의 간격이 너무 넓어져서 점착력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재작업 향상을 위한 통로 패턴이 형성된 점착 테이프의 패턴 유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점착 테이프에 형성되는 패턴(210)의 횡단면을 이루고 있는 형상은 삼각형, 사각형, 사다리꼴 및 라운드형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점착 테이프의 패턴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점착제층에 형성되는 패턴은 (a)와 같이 가로, 세로 일직선으로 형성될 수 있고, (b)와 같이 빗금으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c)에서와 같이 육각형 모양의 패턴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재작업 향상을 위한 통로 패턴이 형성된 점착 테이프의 패턴은 전술한 것에 한정하지 않으며, 상호연결된 통로를 이룰 수 있는 구조라면 가능하다.
상기와 같은 패턴을 형성하기 위해 점착 이형지의 점착제가 코팅될 면에 도 2 및 3과 같은 여러가지 모양의 패턴이 엠보싱되어 있어야 한다. 이러한 이형지를 제조하는 방법은 지지대층 위에 폴리에틸렌이나 폴리프로필렌 등의 올레핀계 수지를 티-다이(T-Die)를 통해 압출 코팅한 다음, 냉각 롤(roll)을 이용하여 냉각시키고, 그 위에 실리콘을 코팅하여 건조 오븐을 이용하여 경화시킨다. 이후 엠보싱 공법으로 가로, 세로 방향의 연속된 선을 양각으로 형성시킨다. 이 위에 점착제를 코팅한 후 기재층과 합지한다. 이형지를 박리하면 이형지의 양각된 모양이 점착제층에 전사되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재작업 향상을 위한 통로 패턴이 형성된 점착 테이프의 단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점착 테이프는 점착제층(200)에 수지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중공탄성체를 0.05 내지 30 중량부로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1.0 중량부로 혼합될 수 있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0.3 내지 0.5 중량부로 혼합될 수 있다. 0.05 미만으로 포함되면 중공탄성체를 포함함으로써 얻는 내충격성과 재작업성이 낮아지고, 30 초과로 포함되면 점착제층의 점착력에 한계요인이 될 수 있다.
상기 중공탄성체(230)는 니트릴(nitrile)계 고무, 스티렌(styrene)계 엘라스토머(elastomer), 올레핀(olefin)계 엘라스토머, 우레탄(urethane)계 엘라스토머, 아미드(amide)계 엘라스토머 및 폴리에스테르(polyester)계 엘라스토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으로 제작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PMMA계, PU계, PS계 및 AN계 수지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선택해서 사용 할 수 있으며, 더 바람직하게는 발포 폴리프로필렌(EPP), 발포 폴리스티렌(EPS), 발포 폴리우레탄(EPU, ETPU),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공중합체(ABS),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SAN), 스티렌-메틸메타크릴레이트와의 공중합체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으로 제작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중공탄성체와 일반 PMMA, PS, Silicon 등 Organic계 beads와 talc , Calcium Carbonate 등 Inorganic계 bead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혼합 적용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재작업 향상을 위한 통로 패턴이 형성된 점착 테이프의 단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재작업 향상을 위한 통로 패턴이 형성된 점착 테이프는 중공탄성체(230)를 선별적으로 포함되도록 제조될 수 있다. 도 5의 (a)와 같이 기재층에 점착제층을 상단면과 하단면에 적층시켜 점착제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도 5의 (b)와 같이 제1점착제층에만 중공탄성체(230)를 포함하도록 형성할 수 있고, (c)와 같이 제1점착제층 및 제2점착제층 모두에 포함되도록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 중공탄성체(230)는 구형과 무정형 모두 사용할 수 있으며, 중공 비드(hollow bead type)와 발포 비드(expanding bead type) 각각 단독으로 또는 혼용해서 사용할 수 있다. 비드 크기는 1 ㎛ 내지 1 mm으로 제조될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150 ㎛으로 제조되어 사용 할 수 있다. 비드 크기가 1 ㎛ 미만인 경우 쿠션 기능이 떨어져 내충격성이 낮아지고, 비드 크기가 1 mm 초과인 경우 크기가 너무 커서 하중에 의해 비드가 눌려지고 찌그러져 손상될 우려가 크다. 비드 색상은 모든 색상이 구현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통로 패턴이 형성된 점착 테이프는 점착제층(200)에 수지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PVA (poly vinyl alcohol) 또는 EVA (ethylene vinyl acetate) 비드를 0.05 내지 20 중량부로 포함하여 제조할 수 있다. 이 경우 알코올 분사 시 PVA 비드가 팽윤(swelling)됨으로써, 용이하게 피착재로부터 탈착될 수 있다.
상기 PVA 비드는 점착제층(200)에 수지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PVA 비드를 0.05 내지 20 중량부로 혼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10 중량부로 혼합될 수 있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5 중량부로 혼합될 수 있다. 0.05 미만으로 포함되면 PVA 비드를 포함함으로써 얻는 팽윤성과 재작업성이 낮아지고, 20 초과로 포함되면 점착제층의 점착력에 한계요인이 될 수 있다.
PVA 비드 크기는 1 ㎛ 내지 1 mm으로 제조될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150 ㎛으로 제조되어 사용 할 수 있다. 비드 크기가 1 ㎛ 미만인 경우 알코올 분사 시, 팽윤성에 의해 탈착되는 효과를 얻기 어렵고, 비드 크기가 1 mm 초과인 경우 크기가 너무 커서 점착제의 두께에 한계요인이 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통로 패턴이 형성된 점착 테이프는 상기 중공탄성체(230)와 상기 PVA 비드 각각 단독으로 또는 혼용해서 제조될 수 있다. 이 경우, 중공탄성체와 PVA 비드에 의한 내충격성과 팽윤성 효과를 동시에 얻을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라 점착 테이프의 중공탄성체가 터짐으로써 통로가 형성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점착제층(200)에 포함된 중공탄성체(230)가 터짐(blow)으로써 그 위치에 공간이 생겨나게 되고, 용제가 통과 가능한 통로가 형성될 수 있다. 중공탄성체가 터지는 것은 온도 및 압력에 따라 조절가능하며, 필요 시 적절한 온도와 압력하에 놓임으로써, 통로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중공탄성체(230)는 외부의 압력에 복원되는 탄성력을 가질 수 있도록 내부에 기체를 함유하고 있는 폴리머 재질의 외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전술한 바와 같이 점착제층(200)의 수지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5 내지 30 중량부로 혼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1.0 중량부로 혼합될 수 있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0.3 내지 0.5 중량부로 혼합될 수 있다. 0.05 미만으로 포함되면 중공탄성체를 포함함으로써 얻는 충격 흡수력이 낮아지고, 30 초과로 포함되면 인장력이 낮아져 알코올 분사 후 떼어냈을 때 파단되어 잔류물이 많이 남아 재작업성이 떨어질 수 있다. 폴리머 재질의 중공탄성체에 함유된 기체는 구형 형태가 유지되도록 외부의 압력에 복원되는 탄성력을 가지게 하는 것으로 이를 통해 중공탄성체가 지속적인 충격 흡수력이 유지되도록 한다. 복원율이 뛰어난 기체를 함유함으로써, 제품의 경량화에 기여할 수 있다. 기체는 모든 기체가 사용될 수 있으나, 유출에 의한 폭발 등을 고려하여 안정성 측면에서 가스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점착제는 중공탄성체(230)를 이용하여 재작업성이 향상된 통로 패턴이 형성된 점착 테이프에 쿠션 기능을 부여함으로써, 평면뿐만 아니라 수직방향으로도 진동이나 충격을 흡수할 수 있도록 하여 우수한 충격 흡수와 재작업성을 동시에 구현 가능한 테이프로서 전자 제품에 사용되어 최근에 늘어가는 제품의 소형 및 경량화 요구를 충분히 만족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점착테이프에 중공탄성체를 적용하여 탄성력을 부여하게 되면 점착테이프의 층 두께에 따라 입자 크기의 선택이 가능하며, 자체의 눌림에 대한 변형 및 복원 특성이 있어 부착을 위해 감압 시 외관 돌출 현상이 개선되며, 부착하고자 하는 면에 점착성 물질이 평면으로 쉽게 밀착되어 점착력 유지 및 탄성력 유지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즉, 중공탄성체를 이용하여 내충격성 및 탄력성을 부여하게 되면 종래의 점착테이프 층 두께의 한계 및 외관적 문제 등을 해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재작업 향상을 위한 통로 패턴이 형성된 점착 테이프는 빛샘차단 효과를 위해 흑색안료를 포함한 스킨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흑색안료는 카본블랙, 산화철, 산화구리, 산화주석 및 이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스킨층은 디스플레이 패널로부터 빛이 새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외부로부터의 빛을 흡수함으로써 디스플레이 패널의 화질을 높이고, 점착되는 면이 보이지 않도록 하는 차광 효과를 가질 수 있다.
점착제층(200)은 아크릴계 점착제, 우레탄계 점착제, 실리콘계 점착제 및 고무계 점착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아크릴계 점착제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때 아크릴계 수지로써는 메텔메타아크릴레이트, 메틸아크릴레이트, 에틸아크릴레이트, 부틸아크릴레이트, 헥실아크릴레이트, n-옥틸아크릴레이트, 이소옥틸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이소보닐아크릴레이트, 라우릴아크릴레이트, 아크릴산, 아크릴아미드, 2-하이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트, 2-하이드록시프로필아크릴레이트, 2-하이드록시부틸아크릴레이트, 메타크릴산, 이타콘산, 말레산 등으로 이루어진 단량체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단량체를 포함하는 중합체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단량체를 포함하는 중합체 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단량체를 포함하는 중합체 수지를 사용하는 경우, 점착층의 응집력이 우수하고 과도한 점착력 향상을 억제할 수 있어, 디스플레이 패널뿐만 아니라 각종 전자기기, 하우징, 금속, 유리 등에 대해 양호한 밀착성과 재박리성 및 재작업성이 우수한 점착층을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통로 패턴이 형성된 점착 테이프는 점착제층(200)에 수용성 아크릴 점착제을 포함함으로써, 알코올 분사 시 피착재로부터 용이하게 탈착되도록 제조할 수 있다. 수용성 아크릴 점착제는 다른 성분의 점착제에 비해 내열성 및 내유성이 우수하고, 중합체 분자 중에 극성기를 임의로 도입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점착제의 중합 시 KOH와 Acid를 1:1로 중화시켜 친수성을 갖도록 제조하고, 킬레이트 경화제를 첨가, 블렌딩하여 제조된 수용성 아크릴 점착제를 일반 아크릴계 점착제의 30% 이하로 포함되도록 점착제층(200)을 제조하게 되면 점착력은 유지하면서 알코올 분사 시 분해되어 탈착이 용이하게 된다. 점착제층(200)에 수지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수용성 아크릴 점착제를 5 내지 30 중량부로 포함하도록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20 중량부로 포함하는 것이 좋다. 5 미만인 경우, 알코올 분사 시 분해되어 탈착되는 효과를 얻기 어렵고, 30 초과인 경우 비율이 너무 높아 점착력 저하를 발생시킬 수 있다.
폴리머 재질의 중공탄성체에 함유된 기체는 구형 형태가 유지되도록 외부의 압력에 복원되는 탄성력을 가지게 하는 것으로 이를 통해 중공탄성체가 지속적인 충격 흡수력이 유지되도록 한다. 복원율이 뛰어난 기체를 함유함으로써, 제품의 경량화에 기여할 수 있다. 기체는 모든 기체가 사용될 수 있으나, 유출에 의한 폭발 등을 고려하여 안정성 측면에서 질소가스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점착테이프는 중공탄성체를 이용하여 신장가능한 점착테이프에 쿠션 기능을 부여함으로써, 종래의 연신가능한 테이프보다 충격 흡수력 및 복원력이 매우 향상된 점착테이프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중공탄성체를 이용함으로써, 평면뿐만 아니라 수직방향으로도 진동이나 충격을 흡수할 수 있도록 하여 우수한 충격 흡수와 신장가능한 점착 기능을 동시에 구현 가능한 점착테이프로서 전자 제품에 사용되어 최근에 늘어가는 제품의 소형 및 경량화 요구를 충분히 만족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점착테이프에 중공탄성체를 적용하여 탄성력을 부여하게 되면 점착테이프의 층 두께에 따라 입자 크기의 선택이 가능하며, 자체의 눌림에 대한 변형 및 복원 특성이 있어 부착을 위해 감압 시 외관 돌출 현상이 개선되며, 부착하고자 하는 면에 점착성 물질이 평면으로 쉽게 밀착되어 점착력 유지 및 탄성력 유지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즉, 중공탄성체를 이용하여 내충격성 및 탄력성을 부여하게 되면 점착테이프 층 두께의 한계 및 외관적 문제 등을 해결할 수 있다.
상기 점착제층(200)은 두께는 10 내지 100 μm 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40 내지 70μm일 수 있다. 두께가 10 μm 미만인 경우, 구조적 강도가 매우 떨어지며, 반대로 100 μm 초과인 경우 점착력이 필요 이상으로 증가하여, 재박리성 및 재작업성의 큰 효과 증진을 기대할 수 없다.
또한, 상기 점착제층(200)을 형성할 때, 피착면과의 높은 밀착성과 재박리성 및 재작업성을 부여하기 위해 그 조성물로써 로진에스테르계 점착부여제, 로진계 점착부여제, 테르펜계 점착부여제, 석유수지계 점착부여제, (메타)아크릴레이트계 점착부여제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점착부여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재작업 향상을 위한 통로 패턴이 형성된 점착 테이프는 종래의 접착테이프에 비해 신뢰할 수 있는 우수한 재작업성을 얻을 수 있다. 구성 부품을 서로 안정적으로 부착시킬 수 있으면서 필요한 경우 잔류물을 남기지 않고 용이하게 제거되어 재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재작업 향상을 위한 통로 패턴이 형성된 점착 테이프는 점착제층의 하단면을 양각과 음각으로 구성된 패턴을 이루어 용제가 통과 가능한 통로를 형성함으로써, 재작업을 위해 점착 테이프를 떼어낼 때 용제가 통로로 용이하게 스며들 수 있게 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점착 테이프는 중공탄성체를 이용하여 충격에 취약한 전자제품에 사용 시 평면뿐만 아니라 수직방향으로도 진동이나 충격을 흡수할 수 있어 우수한 충격 흡수력 및 복원력을 갖는 효과가 있다.
이로 인해 본 발명에 따른 통로 패턴이 형성된 점착 테이프는 피착재로부터 탈착이 용이하여 현격히 향상된 재작업성을 얻을 수 있고, 접착 불량인 경우에도 구성부품을 분리하기가 용이하여 재사용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중공탄성체를 포함함으로써 충격 흡수력 및 복원력을 동시에 갖게 된다.
이하,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설명하고자 하며, 이로써 본 발명을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통로 패턴이 형성된 점착 테이프의 제조
실시예 1
폴리우레탄 기재층과 아크릴 점착제층을 접착시켜 본 발명에 따른 재작업 향상을 위한 통로 패턴이 형성된 점착 테이프를 제조하였다. 아크릴 점착제층의 하단면에 횡단면의 모양이 사각형인 양각으로 패턴을 형성하였다. 패턴의 음각에 의해 생긴 용제 통로의 폭은 50 ㎛가 되도록 형성하고, 간격은 2.0 mm가 되도록 형성하였다. 여기에 이형지를 접합하여 30 내지 35 ㎛의 두께로 점착 테이프를 형성하였다.
실시예 2
용제 통로의 폭을 10 ㎛가 되도록 제조한 점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점착 테이프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3
용제 통로의 폭을 80 ㎛가 되도록 제조한 점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점착 테이프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4
폴리우레탄 기재층과 아크릴 점착제층을 접착시켜 본 발명에 따른 재작업 향상을 위한 통로 패턴이 형성된 점착 테이프를 제조하였다. 아크릴 점착제층의 수지 조성물 100 중량부에 PVA 비드를 10 중량부로 포함하고, 아크릴 점착제층의 하단면에 횡단면의 모양이 사각형인 양각으로 패턴을 형성하였다. 패턴의 음각에 의해 생긴 용제 통로의 폭은 50 ㎛가 되도록 형성하고, 간격은 2.0 mm가 되도록 형성하였다. 여기에 이형지를 접합하여 30 내지 35 ㎛의 두께로 점착 테이프를 형성하였다.
실시예 5
아크릴 점착제층의 수지 조성물 100 중량부에 PVA 비드를 0.05 중량부로 포함하도록 제조한 점을 제외하고 실시예 4와 동일하게 점착 테이프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6
아크릴 점착제층의 수지 조성물 100 중량부에 PVA 비드를 20 중량부로 포함하도록 제조한 점을 제외하고 실시예 4와 동일하게 점착 테이프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7
아크릴 점착제층의 수지 조성물 100 중량부에 PVA 비드를 0.01 중량부로 포함하도록 제조한 점을 제외하고 실시예 4와 동일하게 점착 테이프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8
아크릴 점착제층의 수지 조성물 100 중량부에 PVA 비드를 25 중량부로 포함하도록 제조한 점을 제외하고 실시예 4와 동일하게 점착 테이프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9
폴리우레탄 기재층과 아크릴 점착제층을 접착시켜 본 발명에 따른 재작업 향상을 위한 통로 패턴이 형성된 점착 테이프를 제조하였다. 아크릴 점착제층의 수지 조성물 100 중량부에 수용성 아크릴 점착제를 20 중량부로 포함하고, 아크릴 점착제층의 하단면에 횡단면의 모양이 사각형인 양각으로 패턴을 형성하였다. 패턴의 음각에 의해 생긴 용제 통로의 폭은 50 ㎛가 되도록 형성하고, 간격은 2.0 mm가 되도록 형성하였다. 여기에 이형지를 접합하여 30 내지 35 ㎛의 두께로 점착 테이프를 형성하였다.
실시예 10
아크릴 점착제층의 수지 조성물 100 중량부에 수용성 아크릴 점착제를 5 중량부로 포함하도록 제조한 점을 제외하고 실시예 9와 동일하게 점착 테이프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11
아크릴 점착제층의 수지 조성물 100 중량부에 수용성 아크릴 점착제를 30 중량부로 포함하도록 제조한 점을 제외하고 실시예 9와 동일하게 점착 테이프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12
아크릴 점착제층의 수지 조성물 100 중량부에 수용성 아크릴 점착제를 3 중량부로 포함하도록 제조한 점을 제외하고 실시예 9와 동일하게 점착 테이프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13
아크릴 점착제층의 수지 조성물 100 중량부에 수용성 아크릴 점착제를 35 중량부로 포함하도록 제조한 점을 제외하고 실시예 9와 동일하게 점착 테이프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비교예 1
용제 통로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점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점착 테이프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2
용제 통로의 폭을 5 ㎛가 되도록 제조한 점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점착 테이프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3
용제 통로의 폭을 90 ㎛가 되도록 제조한 점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점착 테이프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4
PVA 비드를 포함하지 않은 점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4와 동일하게 점착 테이프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5
수용성 아크릴 점착제를 포함하지 않은 점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9와 동일하게 점착 테이프를 제조하였다.
실험예
실험예 1. 통로 패턴의 폭에 따른 잔류물 테스트 결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점착 테이프의 재작업성을 테스트하기 위해 피착물에 부착 후 알코올을 분사하여 떼어냈을 때 잔류물이 남는지를 시험하였다.
본 발명의 실시예 1 내지 3과 비교예 1 내지 3에 따른 점착 테이프를 20 X 20 cm로 절단하여 이형지를 떼어내고, 투명한 아크릴판에 부착하였다. 접착력 평가는 인장 접착력 시험방법을 이용하였다. 피착면에 대한 부착방법은 KS A1107의 Test 방법을 따랐으며, 부착력 평가는 부착 후 24시간 후의 결과로서 나타냈다(표 1 참조). 잔류물 테스트는 각각 10개의 시편을 만들어(n=10) 일정한 양의 알코올을 분사하여 잡아떼어냈을 때의 남아있는 잔류물을 접착면적에 대한 퍼센트로 도출한 후, 평균값을 산출하였다(표 2 참조).
용제 통로의 폭(㎛) 접착력( ㎏f /in)
실시예 1 50 ㎛ 8.7
실시예 2 10 ㎛ 9.1
실시예 3 80 ㎛ 7.9
비교예 1 0 13.3
비교예 2 5 ㎛ 13.0
비교예 3 90 ㎛ 2.9
1 2 3 4 5 6 7 8 9 10 평균값( % )
실시예 1 0.1 0.07 0.05 0.1 0.1 0.05 0.06 0.09 0.1 0.04 0.076
실시예 2 0.2 0.06 0.045 0.13 0.2 0.03 0.07 0.08 0.2 0.035 0.105
실시예 3 0.1 0.06 0.03 0.15 0.15 0.1 0.05 0.08 0.15 0.05 0.092
비교예 1 10.0 8.5 12 11 9.5 10.5 12 11 13 14.5 11.2
비교예 2 6.0 4.5 8.0 7.0 5.5 6.5 8.0 7.0 9.0 10.5 7.2
비교예 3 0.10 0.06 0.14 0.10 0.09 0.11 0.08 0.12 0.10 0.10 0.10
표 1 및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 내지 3의 잔류물 테스트 결과는 종래의 점착테이프인 용제 통로를 포함하지 않는 비교예 1에 비해 매우 낮으므로, 높은 재작업성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비교예 2와 3은 본 발명에 따른 용제 통로를 포함하고 있지만, 본 발명에 따른 임계적 의의를 갖는 범위인 용제 통로의 폭이 10 내지 80 μm를 벗어나 초과하는 경우 비교예 3과 같이 잔류물은 적으나, 점착력이 너무 낮은 문제가 있고, 소정 범위 미만인 경우 비교예 2와 같이 점착력은 높으나, 잔류물이 더 많이 남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2. PVA 비드 함유에 따른 잔류물 테스트 결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점착 테이프의 재작업성을 테스트하기 위해 피착물에 부착 후 알코올을 분사하여 떼어냈을 때 잔류물이 남는지를 시험하였다.
본 발명의 실시예 4 내지 8과 비교예 4에 따른 점착 테이프를 20 X 20 cm로 절단하여 이형지를 떼어내고, 투명한 아크릴판에 부착하였다. 접착력 평가는 인장 접착력 시험방법을 이용하였다. 피착면에 대한 부착방법은 KS A1107의 Test 방법을 따랐으며, 부착력 평가는 부착 후 24시간 후의 결과로서 나타냈다. 잔류물 테스트는 각각 10개의 시편을 만들어(n=10) 일정한 양의 알코올을 분사하여 잡아떼어냈을 때의 남아있는 잔류물을 접착면적에 대한 퍼센트로 도출한 후, 평균값을 산출하였다(표 3 참조).
PVA 비드 함유(수지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접착력(㎏f/in) 잔류물 평균값(%)
실시예 4 10 중량부 8.9 0.076
실시예 5 0.05 중량부 9.1 0.105
실시예 6 20 중량부 7.9 0.092
실시예 7 0.01 중량부 13.3 3.48
실시예 8 25 중량부 6.1 0.09
비교예 4 0 중량부 13.6 7.2
표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4 내지 8의 잔류물 테스트 결과는 PVA 비드를 포함하지 않는 비교예 4에 비해 매우 낮으므로, 높은 재작업성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실시예 7과 8은 본 발명에 따른 PVA 비드를 포함하고 있지만, 본 발명에 따른 임계적 의의를 갖는 함유범위인 PVA 비드가 0.05 내지 20 중량부를 벗어나 초과하는 경우 실시예 8과 같이 잔류물은 적으나, 점착력이 너무 낮은 문제가 있고, 소정 범위 미만인 경우 실시예 7과 같이 점착력은 높으나, 잔류물이 더 많이 남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3. 수용성 아크릴 점착제 함유에 따른 잔류물 테스트 결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점착 테이프의 재작업성을 테스트하기 위해 피착물에 부착 후 알코올을 분사하여 떼어냈을 때 잔류물이 남는지를 시험하였다.
본 발명의 실시예 9 내지 13과 비교예 5에 따른 점착 테이프를 20 X 20 cm로 절단하여 이형지를 떼어내고, 투명한 아크릴판에 부착하였다. 접착력 평가는 인장 접착력 시험방법을 이용하였다. 피착면에 대한 부착방법은 KS A1107의 Test 방법을 따랐으며, 부착력 평가는 부착 후 24시간 후의 결과로서 나타냈다. 잔류물 테스트는 각각 10개의 시편을 만들어(n=10) 일정한 양의 알코올을 분사하여 잡아떼어냈을 때의 남아있는 잔류물을 접착면적에 대한 퍼센트로 도출한 후, 평균값을 산출하였다(표 4 참조).
수용성 아크릴 점착제 함유(수지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접착력(㎏f/in) 잔류물 평균값(%)
실시예 9 20 중량부 8.9 0.076
실시예 10 5 중량부 9.1 0.105
실시예 11 30 중량부 7.9 0.092
실시예 12 1 중량부 13.3 2.50
실시예 13 35 중량부 5.9 0.09
비교예 5 0 중량부 13.6 7.2
표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9 내지 13의 잔류물 테스트 결과는 수용성 아크릴 점착제를 포함하지 않는 비교예 5에 비해 매우 낮으므로, 높은 재작업성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실시예 12과 13은 본 발명에 따른 수용성 아크릴 점착제를 포함하고 있지만, 본 발명에 따른 임계적 의의를 갖는 함유범위인 수용성 아크릴 점착제가 5 내지 30 중량부를 벗어나 초과하는 경우 실시예 13과 같이 잔류물은 적으나, 점착력이 너무 낮은 문제가 있고, 소정 범위 미만인 경우 실시예 12와 같이 점착력은 높으나, 잔류물이 더 많이 남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에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하게 또는 등가적으로 변형된 모든 것들은 본 발명의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 기재층 200: 점착제층
210: 패턴 220: 용제 통로
230: 중공탄성체 또는 PVA 비드

Claims (11)

  1. 기재층; 및
    상기 기재층의 일면에 용제가 통과 가능하도록 패턴이 형성된 점착제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작업 향상을 위한 통로 패턴이 형성된 점착 테이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패턴은 상기 점착제층의 하단면에 형성되고,
    상기 패턴은 폭이 10 내지 80 μm이고, 높이가 5 내지 30 μm으로 이루어져 용제 통로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작업 향상을 위한 통로 패턴이 형성된 점착 테이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패턴의 횡단면을 이루고 있는 형상은 삼각형, 사각형, 사다리꼴 및 라운드형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작업 향상을 위한 통로 패턴이 형성된 점착 테이프.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제층은 수지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폴리비닐알코올(poly vinyl alcohol, PVA) 비드를 0.05 내지 20 중량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작업 향상을 위한 통로 패턴이 형성된 점착 테이프.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제층은 수지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중공탄성체를 0.05 내지 30 중량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작업 향상을 위한 통로 패턴이 형성된 점착 테이프.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중공탄성체는 니트릴(nitrile)계 고무, 스티렌(styrene)계 엘라스토머(elastomer), 올레핀(olefin)계 엘라스토머, 우레탄(urethane)계 엘라스토머, 아미드(amide)계 엘라스토머 및 폴리에스테르(polyester)계 엘라스토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작업 향상을 위한 통로 패턴이 형성된 점착 테이프.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중공탄성체는 중공 비드 또는 발포 비드 중에서 각각 단독으로 또는 혼합해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작업 향상을 위한 통로 패턴이 형성된 점착 테이프.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제층의 두께는 10 내지 100 μ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작업 향상을 위한 통로 패턴이 형성된 점착 테이프.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제층은 아크릴, 우레탄, 실리콘 및 합성고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작업 향상을 위한 통로 패턴이 형성된 점착 테이프.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제층은 수지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수용성 아크릴 점착제를 5 내지 30 중량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작업 향상을 위한 통로 패턴이 형성된 점착 테이프.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층은 폴리우레탄,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합성고무 및 천연고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작업 향상을 위한 통로 패턴이 형성된 점착 테이프.
KR1020170124198A 2017-09-26 2017-09-26 재작업 향상을 위한 통로 패턴이 형성된 점착 테이프 KR1020009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4198A KR102000925B1 (ko) 2017-09-26 2017-09-26 재작업 향상을 위한 통로 패턴이 형성된 점착 테이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4198A KR102000925B1 (ko) 2017-09-26 2017-09-26 재작업 향상을 위한 통로 패턴이 형성된 점착 테이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5217A true KR20190035217A (ko) 2019-04-03
KR102000925B1 KR102000925B1 (ko) 2019-07-17

Family

ID=661651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24198A KR102000925B1 (ko) 2017-09-26 2017-09-26 재작업 향상을 위한 통로 패턴이 형성된 점착 테이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00925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57234B1 (ko) * 2019-12-19 2021-05-26 테사 소시에타스 유로파에아 발포된 psa 층을 가지고 표면이 구조화된 접착 테이프를 제조하는 방법
KR102257230B1 (ko) * 2019-12-19 2021-05-26 테사 소시에타스 유로파에아 발포된 psa 층을 가지고 표면이 구조화된 접착 테이프
KR20210081472A (ko) * 2019-12-23 2021-07-02 (주)트러스 삼투압 방식 수분 투입 박리형 이차전지 고정용 테이프 및 이의 제조 방법
WO2023040386A1 (zh) * 2021-09-15 2023-03-23 苏州德佑新材料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重工胶带及其剥离方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101609A (ko) * 1999-11-22 2001-11-14 고오사이 아끼오 용이박리성 적층체 및 그것에 사용되는 수지조성물
JP2003277701A (ja) * 2002-03-22 2003-10-02 Dainippon Printing Co Ltd 粘着シート
KR20120024929A (ko) * 2009-06-11 2012-03-14 도오꾜오까고오교 가부시끼가이샤 접착제 조성물
JP2014091774A (ja) * 2012-11-02 2014-05-19 Denki Kagaku Kogyo Kk (メタ)アクリル系樹脂組成物及び接着・解体方法
KR101487571B1 (ko) 2007-08-03 2015-01-29 린텍 가부시키가이샤 용이 첩부성 점착 시트 및 그 제조 방법
KR101559749B1 (ko) 2013-11-26 2015-10-14 김대준 위조방지문양과 보조홈문양을 포함하는 전사용 복합문양을 가진 이형지, 이를 포함하는 점착시트 및 이들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101609A (ko) * 1999-11-22 2001-11-14 고오사이 아끼오 용이박리성 적층체 및 그것에 사용되는 수지조성물
JP2003277701A (ja) * 2002-03-22 2003-10-02 Dainippon Printing Co Ltd 粘着シート
KR101487571B1 (ko) 2007-08-03 2015-01-29 린텍 가부시키가이샤 용이 첩부성 점착 시트 및 그 제조 방법
KR20120024929A (ko) * 2009-06-11 2012-03-14 도오꾜오까고오교 가부시끼가이샤 접착제 조성물
JP2014091774A (ja) * 2012-11-02 2014-05-19 Denki Kagaku Kogyo Kk (メタ)アクリル系樹脂組成物及び接着・解体方法
KR101559749B1 (ko) 2013-11-26 2015-10-14 김대준 위조방지문양과 보조홈문양을 포함하는 전사용 복합문양을 가진 이형지, 이를 포함하는 점착시트 및 이들의 제조방법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57234B1 (ko) * 2019-12-19 2021-05-26 테사 소시에타스 유로파에아 발포된 psa 층을 가지고 표면이 구조화된 접착 테이프를 제조하는 방법
KR102257230B1 (ko) * 2019-12-19 2021-05-26 테사 소시에타스 유로파에아 발포된 psa 층을 가지고 표면이 구조화된 접착 테이프
CN113004814A (zh) * 2019-12-19 2021-06-22 德莎欧洲股份公司 具有发泡的压敏胶粘剂层和在表面上结构化的胶带
CN113004827A (zh) * 2019-12-19 2021-06-22 德莎欧洲股份公司 用于制造具有发泡的压敏胶粘剂层和在表面上结构化的胶带的方法
CN113004814B (zh) * 2019-12-19 2022-11-29 德莎欧洲股份公司 具有发泡的压敏胶粘剂层和在表面上结构化的胶带
CN113004827B (zh) * 2019-12-19 2023-04-07 德莎欧洲股份公司 用于制造具有发泡的压敏胶粘剂层和在表面上结构化的胶带的方法
KR20210081472A (ko) * 2019-12-23 2021-07-02 (주)트러스 삼투압 방식 수분 투입 박리형 이차전지 고정용 테이프 및 이의 제조 방법
WO2023040386A1 (zh) * 2021-09-15 2023-03-23 苏州德佑新材料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重工胶带及其剥离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00925B1 (ko) 2019-07-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00925B1 (ko) 재작업 향상을 위한 통로 패턴이 형성된 점착 테이프
TWI487767B (zh) 黏著帶
TWI490306B (zh) 黏著帶
CN107001871B (zh) 粘合片
TWI468485B (zh) 黏膠帶
TWI424042B (zh) Double-sided adhesive tape
KR101653984B1 (ko) 점착 테이프
KR102561378B1 (ko) 양면 점착 테이프
TW201402763A (zh) 黏膠帶
KR20160058842A (ko) 점착테이프 및 전자 기기
KR20170125344A (ko) 양면 코팅 테이프
TW201502230A (zh) 黏膠帶及電子設備
KR20190003644A (ko) 박리 라이너 부착 점착 시트
KR101771515B1 (ko) 연신 분리 기능을 갖는 점착제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폼 양면 테이프
CN112088197B (zh) 用于制造用微球发泡的自胶粘剂组合物层的方法
JP6778562B2 (ja) 剥離ライナー付き粘着シート
KR20200019125A (ko) 점착 시트 및 전자 기기
KR101938751B1 (ko) 재작업성이 우수한 신장가능한 폼 점착테이프 및 이의 제작방법
KR101975283B1 (ko) 중공탄성체를 이용한 연신가능한 쿠션 테이프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