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59749B1 - 위조방지문양과 보조홈문양을 포함하는 전사용 복합문양을 가진 이형지, 이를 포함하는 점착시트 및 이들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위조방지문양과 보조홈문양을 포함하는 전사용 복합문양을 가진 이형지, 이를 포함하는 점착시트 및 이들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59749B1
KR101559749B1 KR1020130144638A KR20130144638A KR101559749B1 KR 101559749 B1 KR101559749 B1 KR 101559749B1 KR 1020130144638 A KR1020130144638 A KR 1020130144638A KR 20130144638 A KR20130144638 A KR 20130144638A KR 101559749 B1 KR101559749 B1 KR 1015597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ttern
embossed
counterfeit
auxiliary
press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446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60330A (ko
Inventor
김광석
손경옥
김태희
김대준
Original Assignee
김대준
김태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대준, 김태희 filed Critical 김대준
Priority to KR10201301446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59749B1/ko
Publication of KR201500603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603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597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597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4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release lin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3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chemical, physico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of the adhesive or the carrie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Credit C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위조방지문양과 보조홈문양의 전사용 복합문양을 가진 이형지, 이를 포함하는 점착시트 및 이들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점착시트에 있어서 점착제층과 이형지의 접하는 각각의 양표면에 위조방지문양과 보조홈문양으로 이루어진 상호 대칭되는 복합문양이 형성되어 있는 위조방지문양과 보조홈문양의 전사용 복합문양을 가진 이형지, 이를 포함하는 점착시트 및 이들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위조방지문양과 보조홈문양의 전사용 복합문양을 가진 이형지는 상기 복합문양은 음각의 위조방지문양과, 상기 위조방지문양을 관통하여 이를 상호 연결하고 있는 양각의 보조홈문양;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위조방지문양과 보조홈문양의 전사용 복합문양을 가진 이형지의 제조방법은 이형지 기재를 준비하는 제 1단계; 상기 기재의 한면에 이형제를 코팅처리하는 제 2단계; 양각의 위조방지문양과 이를 관통하여 상호 연결하고 있는 음각의 보조홈문양으로 이루어진 복합문양이 조각된 복합문양 전사용 엠보롤을 준비하는 제 3단계; 상기 이형제 처리가 된 상기 기재의 이형 처리면에 상기 엠보롤을 이용하여 전사용 복합문양을 형성시키는 제 4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위조방지문양과 보조홈문양의 전사용 복합문양을 가진 이형지를 포함하는 점착시트는 기재시트와, 상기 기재시트의 한면에 점착제가 도포되어 있는 점착제층과, 상기 점착제층을 외부로부터 보호하는 이형지; 를 포함하되, 상기 이형지가 음각의 위조방지문양과 이를 관통하여 상호 연결하고 있는 양각의 보조홈문양으로 이루어진 전사용 복합문양;을 포함하고, 상기 점착제층이 상기 전사용 복합문양을 가진 이형지로부터 전사된 양각의 위조방지문양과 이를 관통하여 상호 연결하고 있는 음각의 보조홈문양으로 이루어진 복합문양;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위조방지문양과 보조홈문양의 전사용 복합문양을 가진 이형지를 포함하는 점착시트의 제조방법은 이형지 기재를 준비하는 제 1단계; 상기 기재의 한면에 이형제를 코팅처리하는 제 2단계; 양각의 위조방지문양과 이를 관통하여 상호 연결하고 있는 음각의 보조홈문양으로 이루어진 복합문양이 조각된 전사용 엠보롤을 준비하는 제 3단계; 상기 이형제가 코팅처리 된 이형지의 이형 처리면에 상기 엠보롤을 이용하여 전사용 복합문양을 전사 형성시키는 제 4단계; 상기 이형지의 전사용 복합문양이 형성된 면에 점착제를 코팅하여 상기 전사용 복합문양을 가진 이형지로부터 전사된 양각의 위조방지문양과 이를 관통하여 상호 연결하고 있는 음각의 보조홈문양으로 이루어진 복합문양을 가진 점착제층이 형성되는 제 5단계; 상기 점착제층의 복합문양이 형성된 면과 다른 한면에 기재시트를 부착하는 제 6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해결 수단에 의해, 본 발명의 전사용 복합 문양을 가진 이형지를 포함하는 점착시트는 점착제층과 이형지가 접한 양측 표면에 위조 방지 문양 와 보조홈문양으로 이루어진 상호 대칭되는 복합 문양을 각각 부여하여 제품의 식별력을 향상시켜 유사품 및 위조품등으로부터 불법 권리 침해를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점착제층에 형성된 복합 문양에 음각의 보조홈문양은 양각의 위조 방지문양을 확장된 개구부를 가지고 관통하며 이를 격자형태로 상호 연결하고 있어서 피착제에 부착시 점착제의 유동성과 함께 양각의 위조 방지문양의 평탄화를 용이하게 하여 점착시트의 평활한 표면을 얻을 수 있으며, 또한 이 음각 보조홈문양을 통하여 공기의 배출을 쉽게하여 부착시공의 용이성을 높이는 효과가 함께 있다.

Description

위조방지문양과 보조홈문양을 포함하는 전사용 복합문양을 가진 이형지, 이를 포함하는 점착시트 및 이들의 제조방법 {Release liner with complex pattern for transfer comprising forgery preventing mark and groove mark, and Adhesive sheet comprising the same,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s}
본 발명은 위조방지문양과 보조홈문양의 전사용 복합문양을 가진 이형지, 이를 포함하는 점착시트 및 이들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점착시트에 있어서 점착제층과 이형지의 접하는 각각의 양표면에 위조방지문양과 보조홈문양으로 이루어진 상호 대칭되는 복합문양이 형성되어 있는 위조방지문양과 보조홈문양의 전사용 복합문양을 가진 이형지, 이를 포함하는 점착시트 및 이들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점착시트는 광고용, 식별용, 건축 내부 장식용,페인트 대용품, 표면 보호용, 공정작업용, 각종 테이프 등의 다양한 부분에 적용 된다.
일반적으로 점착시트는 이형지와 점착제 및 기재시트의 구조로 구성되어 있다. 즉, 피착제에 부착할 경우 이형지를 제거 하고 점착제층을 피착체에 점착하여 사용한다.
이러한 점착시트는 기재시트와 점착제의 성분, 특성 또는 용도에 따른 물성에 있어서 특수성이 요구 되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특수성을 가진 점착시트 중 일부 제품은 유사품 및 위조품이 난립하여 본래의 제품과 소비자가 많은 피해를 입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각 업체에서는 유사 위조품으로 부터 자사의 제품을 보호하기 위해 이형지 외측 표면에 자사의 제품의 고유 식별 표시로 회사명, 로고, 제품명 등을 인쇄하거나, 기재시트의 표면에 물로 지울수 있는 잉크등으로 식별 고유 표시를 인쇄하여 시공 후에 물로 지울수 있게 한다. 또한, 기재시트 표면에 직접 제품의 식별표시로 간단한 로고나 고유 표시를 엠보싱으로 문양을 형성시켜 자사 제품의 식별 인지도를 높여 유사 위조품으로 부터 보호를 하고 있다.
그러나 이형지 외측 표면에 식별 인쇄를 하는 것은 간단하여 쉽게 유사 위조품의 제조가 가능하며, 기재시트 표면에 물로 지울 수 있는 식별표시 인쇄는 시공후 다시 제거 해야 하는 불편이 있고, 기재시트 표면에 식별 표시의 엠보 문양을 형성하는 것은 표면에 이질적인 문양이 돌출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한국실용신안 공개번호 제 20-2009-0009389호 는 이형지 및 이를 포함하는 점착시트에 관한 것으로, 상기 고안에 따른 이형지는 이형제층이 형성된 표면에 다수의 오목 엠보와 이웃하는 엠보 사이에 격벽이 형성되며, 격벽이 만나는 교차부에 소정 면적의 평면부를 형성된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또한 상기 고안 에 따른 점착시트는 이와 같은 구조를 가진 이형층위에 형성된 점착층 및 점착층에 부착된 베이스지를 포함하고 있으며, 이와 같은 엠보 이형지에 의해서 베이스지 표면상의 점착제 층에는 다수의 볼록 엠보가 형성되며, 이웃하는 엠보 사이의 경계부에는 통로가 형성 되고, 통로가 만나는 교차부는 소정의 면적의 공간부를 형성함으로써 점착제층과 피착물 사이에 존재하는 공기는 통로를 통하여 공간으로 유입된후 효과적으로 외부로 배출 될수 있게 하는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으나, 이는 특징적인 식별성이 없어 본 발명에서 얻고자하는 위조 방지의 효과를 얻을 수 없다, 따라서 효과적이고 진보된 위조 방지 방법이 요구 되어지고 있다.
한국실용신안 공개번호 제 20-2009-0009389호.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발명된 것으로서, 점착시트의 위조방지를 위하여 점착제층과 이형지의 접한 각 양면에 위조방지문양과 보조홈문양의 상호 대칭되는 복합문양을 부여하여 제품의 식별력을 향상시켜 유사품 제조 및 위조를 방지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접착제층 표면의 복합 문양에 위조 방지문양을 상부 확장된 개구부를 가지고 관통하며 이를 격자형태로 상호 연결하고 있는 보조홈문양이 있어, 이것이 부착 시공시에 점착제의 유동성과 함께 위조방지문양을 평탄화하며, 공기의 제거도 쉽게하여 부착작업 용이성 및 표면의 평활성을 얻는 데 그 목적이 함께 있다.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위조방지문양과 보조홈문양의 전사용 복합문양을 가진 이형지는 상기 복합문양은 음각의 위조방지문양과, 상기 위조방지문양을 관통하여 이를 상호 연결하고 있는 양각의 보조홈문양;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위조방지문양과 보조홈문양의 전사용 복합문양을 가진 이형지의 제조방법은 이형지 기재를 준비하는 제 1단계; 상기 기재의 한면에 이형제를 코팅처리하는 제 2단계; 양각의 위조방지문양과 이를 관통하여 상호 연결하고 있는 음각의 보조홈문양으로 이루어진 복합문양이 조각된 복합문양 전사용 엠보롤을 준비하는 제 3단계; 상기 이형제 처리가 된 상기 기재의 이형 처리면에 상기 엠보롤을 이용하여 전사용 복합문양을 형성시키는 제 4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위조방지문양과 보조홈문양의 전사용 복합문양을 가진 이형지를 포함하는 점착시트는 기재시트와, 상기 기재시트의 한면에 점착제가 도포되어 있는 점착제층과, 상기 점착제층을 외부로부터 보호하는 이형지; 를 포함하되, 상기 이형지가 음각의 위조방지문양과 이를 관통하여 상호 연결하고 있는 양각의 보조홈문양으로 이루어진 전사용 복합문양;을 포함하고, 상기 점착제층이 상기 전사용 복합문양을 가진 이형지로부터 전사된 양각의 위조방지문양과 이를 관통하여 상호 연결하고 있는 음각의 보조홈문양으로 이루어진 복합문양;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위조방지문양과 보조홈문양의 전사용 복합문양을 가진 이형지를 포함하는 점착시트의 제조방법은 이형지 기재를 준비하는 제 1단계; 상기 기재의 한면에 이형제를 코팅처리하는 제 2단계; 양각의 위조방지문양과 이를 관통하여 상호 연결하고 있는 음각의 보조홈문양으로 이루어진 복합문양이 조각된 전사용 엠보롤을 준비하는 제 3단계; 상기 이형제가 코팅처리 된 이형지의 이형 처리면에 상기 엠보롤을 이용하여 전사용 복합문양을 전사 형성시키는 제 4단계; 상기 이형지의 전사용 복합문양이 형성된 면에 점착제를 코팅하여 상기 전사용 복합문양을 가진 이형지로부터 전사된 양각의 위조방지문양과 이를 관통하여 상호 연결하고 있는 음각의 보조홈문양으로 이루어진 복합문양을 가진 점착제층이 형성되는 제 5단계; 상기 점착제층의 복합문양이 형성된 면과 다른 한면에 기재시트를 부착하는 제 6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해결 수단에 의해, 본 발명의 전사용 복합 문양을 가진 이형지를 포함하는 점착시트는 점착제층과 이형지가 접한 양측 표면에 위조 방지 문양 와 보조홈문양으로 이루어진 상호 대칭되는 복합 문양을 각각 부여하여 제품의 식별력을 향상시켜 유사품 및 위조품등으로부터 불법 권리 침해를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점착제층에 형성된 복합 문양에 음각의 보조홈문양은 양각의 위조 방지문양을 확장된 개구부를 가지고 관통하며 이를 격자형태로 상호 연결하고 있어서 피착제에 부착시 점착제의 유동성과 함께 양각의 위조 방지문양의 평탄화를 용이하게 하여 점착시트의 평활한 표면을 얻을 수 있으며, 또한 이 음각 보조홈문양을 통하여 공기의 배출을 쉽게하여 부착시공의 용이성을 높이는 효과가 함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위조방지문양과 보조홈문양의 복합문양을 포함하는 점착시트의 실시예 단면도.
도 2는 이형지의 이형제가 코팅 처리된 면에 형성된 위조방지문양과 보조홈문양(수직 수평 직교 교차 격자형)의 전사용 복합문양을 나타내는 실시예 평면도.
도 3은 점착제층 표면에 전사 형성된 위조방지문양과 보조홈문양(수직 수평 직교 교차 격자형)의 복합문양의 실시예 평면도.
도 4는 점착제층 표면에 전사 형성된 위조방지문양과 보조홈문양(경사 교차 격자형)의 복합문양의 또다른 실시예 평면도.
도 5는 점착제층 표면에 전사 형성된 개별 위조방지문양과 보조홈문양의 복합문양(도 3의 A)을 확대하여 보여주는 실시예 평면도.
도 6은 점착제층 표면에 전사 형성된 위조방지문양과 보조홈문양(도5의"B"부)의 예시용 확대 평면도.
도 7은 도6의 a- a'부 의 점착제층 표면에 전사 형성된 위조 방지 문양과 보조홈문양의 예시용 단면도.
도 8은 점착제 표면에 형성 되는 보조홈문양의 여러가지 형태의 예시용 단면도.
도 9는 점착제 표면에 형성 되는 보조홈문양이 위조방지문양을 관통하는 부분의 확장된 개구부를 예시하는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따른 위조방지문양과 보조홈문양을 포함하는 전사용 복합문양을 가진 이형지의 제조방법을 보여주는 순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따른 위조방지문양과 보조홈문양의 전사용 복합문양을 가진 이형지를 포함하는 점착시트 제조방법을 보여주는 순서도.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대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과제의 해결 수단, 발명의 효과를 포함한 구체적인 사항들은 다음에 기재할 실시예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점착시트는 도 1과 같이 이형지(6), 복합문양(Z), 점착제층(1), 기재시트(5) 구조로 이루어져 있고 점착시트에서 이형지를 분리하면 이형지와 점착제층이 접한 각 경계 양면에 위조방지문양과 보조홈문양으로 구성된 상호 대칭되는 복합문양(Z)을 각각 가지고 있다.
상기 복합문양을, 점착제층은 양각의 위조방지문양과 음각의 보조홈문양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이형지는 점착제층의 것과 상호 대칭되는 음각의 위조방지문양과 양각의 보조홈문양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우선적으로, 점착제층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위조방지문양과 보조홈문양의 복합문양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상기 위조방지문양(2)은 도 3, 도 4의 점착제층 표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품의 고유 식별 효과를 가질 수 있는 회사의 로고나 제품명, 비밀표시등을 단독 혹은 복합으로 포함한다. 위조 방지 표시 문양의 디자인은 통상적인 디자인업계의 디자인 범위 안에서는 제한 받지 않는다.
도 1 및 도 7과 같이 점착제층(1)을 기준으로 하여 양각의 위조방지문양(2)은 점착제층(1)의 표면에서 높이(h)를 3㎛ 내지 10㎛ 의 양각으로 형성 하는 것이 식별성을 높이고 평탄화 하기가 용이하다. 양각의 높이가 3㎛보다 낮으면 식별에 어려움이 있고 10㎛가 넘으면 시공 후 표면에 위조 방지 문양의 흔적을 남길 수 있다.
보다 더 용이한 식별성 위해 도 6과 같이 상기 양각의 폭(W3)은 보조홈의 상부 확장된 개구부 폭(W2)의 2배 이상에서 5mm 미만의 범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양각의 폭(W3)이 보조홈의 확장 개구부의 폭(W2)의 2배 보다 좁아 관통 후 잔존부의 폭(W3-2×W2)이 너무 좁으면 문양의 인식이 어렵고, 5mm보다 넓으면 평탄화에 용이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양각의 위조방지문양(2)의 평탄화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개별 위조방지문양(A)의 양각의 표면적은 개별 위조방지문양이 차지하는 면적 범위의 10 내지 40% 로 하는 것이 유리하다. 10%보다 적으면 식별효과가 적어지고 40%를 넘으면 평탄화에 어려움이 있을 수 있다.
도 3의 개별 위조방지문양(A) 면적은 너무 크면 평탄화에 보다 더 많은 손질이 필요하며, 표면에 흔적을 남기기 쉽고, 너무 작으면 식별성이 떨어지므로, 그 면적 크기는 육안 식별이 용이한 범위인 25㎟ 내지 600㎟가 바람직하다.
상기 위조방지문양의 배치와 상호 간격은 통상적인 디자인 범위 내에서 임의로 조정 가능하나, 상호 10 내지 50㎝의 간격이 바람직하다,
도 1에서 점착제층(1)의 보조홈 문양은 위조방지문양을 관통하지 않는 부분의 보조홈 문양(3)과 위조방지문양을 관통하는 부분에서는 상부 개구부가 확장된 보조홈 문양(4)의 형태로 음각으로 형성되며, 이 음각의 보조홈문양은 도1 에서 도시된 보조홈문양(3,4)과 같이 상부 개구부를 가진 V,U, 역사다리꼴 또는 이들과 유사한 형태의 상부 개구부를 가진 보조홈 중 단독 또는 복합으로 조합하여 형성할 수 있다. 상기 V,U, 및 역사다리꼴 형태는 도 8에 예시 하였다.
상기 보조홈문양의 각 형태는 유사한 수준의 기능효과를 나타냄으로 무관하게 사용 가능하나, 이들 중에서 문양의 조각 및 형태 전사 등에 관련하여 보았을 때 V형태가 가장 적용이 용이하다.
또한 점착제층(1) 표면에 형성된 보조홈문양(3,4)들은 임의로 배치되어 있는 양각의 각 위조방지문양(2)들을 도 9와 같은 확장된 개구부를 가지고 관통하며 격자형태로 이들을 상호 연결 하고 있어, 피착제에 부착하여 시공 시에 점착제의 유동성과 함께 도 1 및 도 7에서 나타낸 양각의 위조방지문양(2)의 평탄화를 쉽게하고, 부착 작업시 발생하는 공기 제거가 용이하여 시공이 편리하며, 부착 후 점착시트의 표면을 평활하게 한다.
상기 보조홈문양은 점착시트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도 3에 도시된 수개의 수직 수평 직교 교차 격자형의 음각 보조홈문양(31) 또는 도 4에 도시된 좌우 30 내지 60도 경사각도의 경사교차 격자형의 음각 보조홈문양(32)의 형태로 위조방지문양을 관통하여 상호 연결하게 형성하는 것이 시공시 밀착 작업과 공기제거가 용이하여 점착시트의 표면의 평활화가 쉬워진다. 상기 보조홈문양은 제품의 양 끝단까지 형성되도록 한다.
도 1, 도 7의 상기 위조 방지 문양을 관통하지 않는 부분의, 보조홈문양(3)의 상부 개구부의 열린 윗면의 폭(W1)은 10 내지 60㎛로 한다. 상기 열린 윗면의 폭(W1)이 10㎛ 미만 일 경우 공기 제거의 어려움이 있고, 위조 방지 표시문양을 관통하는 확장부를 고려하여 60㎛미만으로 하는 것이 시트표면을 평활화 하는데 유리하다,
또한 상기 보조홈 문양에 있어서 도 1, 도 7에 나타낸 위조 방지 표시 문양을 관통하는 음각의 보조홈문양(4)의 상부 확장된 개구부의 열린 윗면의 폭(W2)은 개구부의 상부를 확장하여 13㎛ 내지 70㎛으로 형성 하는 것이 양각의 위조 방지 문양을 평탄화 하기가 용이하다,
상기 음각 보조홈문양(3)의 깊이(d1)는 점착제의 두께보다는 적은 3㎛ 내지 30㎛으로 한다. 상기 보조홈문양의 깊이를 3㎛미만으로 할 경우 기포제거에 어려움이 있으며, 상기 보조홈문양(3)의 깊이가 30㎛를 초과하면 위조방지문양 관통부분의 상부 확장된 음각의 보조홈(도9)의 깊이(d2=d1+h)가 최대40㎛을 초과하게 되어 위조방지 문양부위의 기재시트의 표면을 평활하게 하는데 어려움이 있을수 있다.
도 3 및 도 4에 나타낸 보조홈문양의 동일 방향에 대한 격자선의 간격 pitch는 50㎛ 내지 2mm로 한다. 50㎛미만이면 피착제에 부착시에 점착면적이 적어 초기 점착력이 저하되고, 2mm를 초과하면 부착시 발생하는 공기의 제거가 용이하지 않게 된다.
도 3과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음각의 보조홈문양(31,32)에 의해 높이(h)가 3 내지 10㎛ 의 양각으로 형성된 위조방지문양(2)은 도 5와 같이 격자 구조로 관통되어 매쉬화된 형태의 문양으로 나타나 식별 인식된다.
상기 보조홈문양의 격자선들은 종횡과 좌우가 같거나 상이해도 무관하다. 또한 상기 보조홈문양의 직교 교차 격자선 또는 경사 교차 격자선 어느 것이라도 위조 방지 문양들을 상부 확장된 개구부를 갖고 관통하며 이들을 상호 연결 시키고 있다면, 위조 방지 양각 문양의 평탄화와 공기 제거등의 시공 용이성과 양호한 표면을 얻을 수 있다.
상기 언급한 바와 같이 상기 점착제층(1)의 복합문양의 양각과 음각문양은 이형지(6)의 이형 처리면 위에는 상기 양각과 음각의 문양과 각각 역으로 음각과 양각으로 상호 대칭되는 전사용 복합문양으로 형성된다.
도 1에서 상기의 점착제층(1)의 경계면에 양각의 위조방지문양(2)과 음각의 보조홈문양(3,4)을 가진 복합 문양(Z)의 형성 방법은 관용적인 여러 가지 방법이 있으나, 도 2의 이형지의 이형처리면 위에 전사용 복합문양이 형성된 면 위에 점착제를 코팅하여 점착제층의 표면에 상기 이형지의 전사용 복합 문양을 전사 형성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이다.
구체적으로, 양각 위조방지문양과 이를 관통하여 상호 연결하고 있는 음각 보조홈문양의 복합 문양이 조각된 엠보롤을 이용하여 통상적인 엠보 공법으로, 상기 엠보롤의 복합문양을 이형지의 이형 처리면 위에 전사하여 1차 전사용 복합문양(도2)을 형성한 후, 상기 1차 전사용 복합문양이 형성된 이형 처리층 위에 동 업계에서 통상 사용하는 코팅 방식으로 점착제를 코팅하여 점착제층(1)의 한면에 상기 복합 문양을 2차 전사 형성 시키고, 상기 점착제층의 복합문양이 형성된 면과 다른 한면에 기재시트를 부착 합판 시켜서 도 1과 같이 이형지(6)/복합문양(Z)/ 점착제층(1)/기재시트(5) 형태의 구조를 가진 위조 방지문양 과 보조홈문양의 전사용 복합 문양(Z)을 가진 이형지를 포함한 점착시트를 제조할 수 있다.
하기에서는 이와 같은 위조방지문양과 보조홈문양의 전사용 복합문양을 가진 이형지및 이를 포함한 점착시트의 제조방법을 구체적으로 서술한다.
먼저, 전사용 복합문양을 가진 이형지의 제조방법을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전사용 복합문양을 가진 이형지의 제조방법>
먼저, 제 1단계(S110)에서는 이형지의 기재를 준비한다. 구체적으로, 이형지의 재료가 될 기재를 준비하며, 상기 이형지(6)는 일반적으로 이형지 기재로 사용되는 모든 재질의 것이 사용가능하다.
이형지 제조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이형지 기재는 주로 표면에 열가소성 플라스틱 수지로 코팅 되거나 적층 가공된 종이류, 각종 플라스틱 시트, 필름 등 주로 두께가 50 내지 400 ㎛의 것을 사용한다. 종이류는 종이 위에 폴리에틸렌 수지를 통상적으로 30㎛ 내지 50㎛두께로 압출 코팅하여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다음으로, 제 2단계(S120)에서는 상기 이형지 기재의 한면에 이형제를 코팅하여 이형처리 한다. 구체적으로 점착제의 양호한 이형을 위해 이형지 위에 처리하는 이형처리제는 일반적으로 이형 특성을 지닌 실리콘계 수지를 사용한다. 실리콘계 수지를 0.5㎛정도 코팅하여 사용하는 것이 최적의 이형효과를 얻을수 있다.
다음으로, 제 3단계(S130)에서는 양각의 위조방지문양(2)과 이를 관통하여 상호 연결하고 있는 음각의 보조홈문양(3,4)으로 이루어진 복합문양이 조각된 복합문양 전사용 엠보롤을 준비한다. 구체적으로, 이형지에 복합문양을 전사하기 위해 양각의 위조방지문양과 이를 관통하여 상호 연결하고 있는 음각의 보조홈문양으로 이루어진 복합문양이 조각된 전사용 엠보롤을 준비한다.
다음으로, 제 4단계(S140)에서는 상기 복합문양 전사용 엠보롤을 이용하여 상기 이형처리된 이형지의 이형처리면 위에 전사용 복합문양을 형성한다. 구체적으로, 양각의 위조방지문양과 이를 관통하여 상호 연결하고 있는 음각의 보조홈문양으로 조각된 복합문양 전사용 엠보롤을 이용한, 통상적인 엠보공법으로 상기 이형처리면 위에 음각의 위조방지문양과 이를 관통하여 상호 연결하고 있는 양각의 보조홈문양의 전사용 복합문양이 형성되도록 한다.
상기 엠보공법은 통상적으로 이형지의 이형처리가 된 표면을 100 내지 180℃로 예열한 후 복합문양 전사용 엠보롤과 백킹 고무롤 사이에 이형지를 압착 통과시키면서 엠보롤 상의 복합문양을 이형지의 이형처리면 위에 전사 형성한 후 냉각드럼을 접촉하여, 냉각시키며 통과하여 전사용 복합문양이 형성된 이형지를 완성한다.
따라서, 상기 엠보롤에 위조방지문양(2)은 양각, 보조홈문양(3,4)은 음각으로 조각하여 엠보하면 이형지에 전사형성된 위조방지문양은 음각, 보조홈문양은 양각으로 상기 엠보롤의 것과 상호 대칭되는 전사용 복합문양이 형성되어 나타난다.
하기에서는 도 11을 참고하여, 상기 완성된 위조방지문양과 보조홈문양의 전사용 복합문양을 가진 이형지를 포함하는 점착시트의 제조방법을 설명한다.
<전사용 복합문양을 가진 이형지를 포함하는 점착시트 제조방법>
전사용 복합문양을 가진 이형지를 포함하는 점착시트 제조방법의 제 1단계(S210), 제 2단계(S220), 제 3단계(S230) 및 제 4단계(S240)는 상기 이형지의 제조방법과 동일하게 진행된다.
다음으로, 제 5단계(S250)에서는 상기 전사용 복합문양이 형성된 이형지(6) 위에 점착제를 코팅하여 점착제층(1)을 형성하는 동시에 점착제층에 상기 복합문양(Z)을 전사 형성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이형지의 전사용 복합문양이 엠보 형성된 면에 점착제를 코팅하여 점착제층이 형성되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이형지의 음각의 위조방지문양과 양각의 보조홈문양이 상기 점착제층에는 양각의 위조방지문양과 음각의 보조홈문양으로 각각 대칭되어 전사 형성된다.
상기 전사용 복합문양이 형성 되어 있는 이형지 위에 점착제를 코팅하여 상기 이형지의 전사용 복합문양을 점착제층의 표면에 전사 형성하는 방법은, 업계의 통상적인 코팅방법으로, 콤마 코팅기 등에서 전사용 복합문양이 형성된 이형처리면 위에 선정된 점착제를 코팅하여 건조 후의 두께를 15 내지 100㎛로 형성하여 상기 복합 문양을 전사 형성 시킬 수 있다. 또한 점착제층의 코팅 두께는 제품 요구 물성에 따라 조절 가능하다
상기 사용하는 점착제는 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고무계, 아크릴계, 실리콘계 등에서 어느 하나로 사용 가능하다.
다음으로, 제 6단계(S260)에서는 상기 점착제층(1)의 복합문양이 형성된 면과 다른 한면에 기재시트(5)를 부착 합판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점착제층이 이형지와 접하여 복합문양을 가진 면이 아닌, 다른 한면에 기재시트를 2개의 프레스 롤을 이용하여 부착 합판하여 이형지와 점착제가 접합된 양표면에 위조 방지문양과 보조홈문양의 상호 대칭되는 복합문양이 각각 형성된 전사용 복합문양을 가진 이형지를 포함하는 점착시트를 제조 완성한다.
상기 기재시트(5)의 종류로는 통상적으로 점착시트에 사용 될수 있는 모든 재질의 것이 사용 가능하며 코팅된 종이류, 합성지, 플라스틱 필름과 시트, 금속 foil 등을 그 예로 들 수 있다.
상기 기재 시트의 두께는 주로 25 내지 400㎛으로 다양하게 사용 가능하다.
필요시에는 기재시트와 점착제의 접착을 향상시키기 위해 기재시트에 샌드블라스팅(sand blasting)처리, 코로나 방전처리, 화염처리, 적정한 프라이머의 코팅처리 등 여러가지 방법의 표면처리가 가능하다.
상기 제조방법을 통하여 이형지(6)제조, 점착제층(1)의 코팅, 기재시트(5) 합판 순으로 이루어지는 상기 이형지 와 점착제층이 접하는 양면에 위조 방지문양과 보조홈문양의 상호 대칭되는 복합문양(Z)이 각각 형성되어진 전사용 복합문양을 가진 이형지를 포함하는 점착시트가 제조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점착시트를 피착제에 부착 사용하기 위해 이형지(6)를 제거 하면 점착제층(1)과 이형지(6)가 접한 경계 양면에서 각각 상호 대칭되게 형성된 위조방지문양을 확인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으며, 상기 점착제층의 위조방지문양(2)을 상부 확장된 개구부를 가지고 관통하며 이를 상호 연결하고 있는 격자형태의 음각의 보조홈(3,4)이 본 발명의 점착시트를 피착체에 부착 시공시에 점착제의 유동성과 함께 양각의 위조 방지 표시를 쉽게 평탄화하며, 시공 시 발생하는 공기 주머니도 쉽게 제거 가능하게 하여 시공이 용이하고 양호한 표면 상태를 가질수 있는 위조방지문양과 보조홈문양의 전사용 복합 문양을 가진 이형지를 포함하는 점착시트를 제조 할 수 있게 한다.
상기 점착제층(1)의 표면에 형성되어 있는 양각의 위조방지문양(2)과 음각의 보조홈문양(3,4)은 부착기재에 부착후 손가락이나, 부착도구(squeezer)로 압력을 주어 압착하면 양각의 위조방지문양(2)은 점착제의 유동성과 함께 상부 확장된 개구부를 가진 보조홈(4)에 의해 쉽게 평탄화가 이루어지고, 공기는 음각의 격자형태의 보조홈문양(3,4,31,32)을 통해 배출 제거되면서 보조홈문양이 소멸되어 평면화가 되며 부착된 점착시트는 평활한 표면과 충분한 밀착력 및 점착력을 가지게 된다.
[실시예 1 내지 5 및 비교예 1 내지 5]
이형지 기재용 110g/㎡의 종이 위에 폴리에틸렌 수지를 40㎛ 적층한 후 이형제용 실리콘 수지를 폴리에틸렌 면에 0.5㎛ 코팅처리하여 이형지를 준비하고, 또한 아래 표1(실시예) 과 표 2(비교예)와 같이 점착제층의 표면에 형성된 여러 가지 형태의 위조 방지문양과 보조홈 문양의 복합문양이 조각된 엠보 롤을 준비한다. 위조 방지문양의 양각의 폭(W3)은 디자인의 식별성과 평탄화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보조홈문양의 상부 확장된 개구부의 폭(W2)의 2배이상 내지 5㎜가 넘지 않도록 하였다, 그리고 상기 준비된 이형지의 이형처리 표면을 110℃로 가열하여 상기 준비된 복합문양 전사용 엠보롤과 백킹 고무롤 사이로 통과하면서 압착 엠보싱한 후 냉각시켜 이형처리된 면에 전사용 복합문양이 형성된 이형지를 제조한다.
다음 단계로, 상기 이형지의 전사용 복합문양이 형성된 이형 처리층 위에 시중의 아크릴 점착제를 코팅한후 건조하여 50㎛ 두께의 복합문양이 전사 형성된 점착제 층을 얻을수 있다,상기 접착제층의 복합문양이 형성된 면과 다른 한면에 150㎛ 뚜께의 연질 PVC 재질의 기재시트를 부착 합판하여 위조방지문양과 보조홈문양의 전사용 복합 문양을 가진 이형지를 포함하는 점착시트를 각각 제조하여 아래에 기술된 시험 방법에 따라 위조 방지문양 식별력, 표면 평활도, 기포 제거성, 점착력을 비교 시험하였다
구체적으로 상기 실시예와 비교예에서 비교 시험한 점착제층 표면에 형성된 복합문양의 각각의 형태를 표1과 표2에서 나타내고 그 적용 내용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구분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실시예4 실시예5
점착제층의
위조방지문양
양각높이h(㎛) 3 4 5 6 8
개별면적 (㎟) 25 100 200 400 500
양각표면적 (%) 35 30 30 30 25
상호간격 (cm) 10 25 30 25 30
점착제층의 보조홈문양
개구부 W1 (㎛) 15 40 40 30 50
확장부 W2 (㎛) 18 44 45 36 58
깊이 d1(㎛) 5 15 30 20 25
피치 p 100㎛ 200㎛ 400㎛ 1mm 2mm
경사각도
θA,θB
수직,
수평
45도 수직,
수평
45도 수직,
수평
[ 실시예 1 ]
실시예 1은 상기 제조방법을 바탕으로 위조방지문양의 양각높이(h)를 3㎛, 양각의 개별면적 25mm2, 양각 표면적 35%, 문양의 상호 간격 10cm로 하고, 보조홈 문양을 개구부(W1) 15㎛, 확장부(W2) 18㎛, 깊이(d1) 5㎛, 피치(p) 100㎛, 경사교차 격자형 보조홈이 점착시트의 길이 방향에 대한 좌우 경사 각도(θA,θB)를 각각 수직, 수평이 되게 하여 제조한 복합 문양을 포함하는 점착시트이다.
[ 실시예 2 ]
실시예 2는 상기 제조방법을 바탕으로 위조 방지 문양의 양각 높이(h)를 4㎛, 양각의 개별면적 100mm2, 양각 표면적 30%, 문양의 상호 간격 25cm로 하고, 보조홈 문양을 개구부(W1) 40㎛, 확장부(W2) 44㎛, 깊이(d1)15㎛, 피치(p) 200㎛, 경사교차 격자형 보조홈의 길이 방향에 대한 좌우 경사 각도(θA,θB)가 45도를 이루도록 하여 제조한 복합 문양을 포함하는 점착시트이다.
[ 실시예 3 ]
실시예 3은 상기 제조방법을 바탕으로 위조 방지 문양의 양각 높이(h)를 5㎛,양각의 개별면적 200mm2,양각 표면적 30%, 문양의 상호 간격 30cm로 하고, 보조홈 문양을 개구부(W1) 40㎛, 확장부(W2) 45㎛, 깊이(d1) 30㎛, 피치(p) 400㎛, 경사교차 격자형 보조홈의 길이 방향에 대한 좌우 경사 각도(θA,θB)를 각각 수직, 수평이 되게 하여 제조한 복합 문양을 포함하는 점착시트이다.
[ 실시예 4 ]
실시예 4는 상기 제조방법을 바탕으로 위조 방지 문양의 양각 높이(h)를 6㎛ 개별면적 400mm2,양각 표면적 30%, 문양의 상호 간격 25cm로 하고, 보조홈 문양을 개구부(W1) 30㎛, 확장부(W2) 36㎛, 깊이(d1) 20㎛, 피치(p) 1mm, 경사교차 격자형 보조홈의 길이 방향에 대한 좌우 경사 각도(θA,θB)가 45도를 이루도록 하여 제조한 복합 문양을 포함하는 점착시트이다.
[ 실시예 5 ]
실시예 5는 상기 제조방법을 바탕으로 위조 방지 문양의 양각 높이(h)를 8㎛, 양각의 개별면적 500mm2,양각 표면적 25%, 문양의 상호 간격 30cm로 하고, 보조홈 문양을 개구부(W1) 50㎛, 확장부(W2) 58㎛, 깊이(d1) 25㎛, 피치(p) 2mm, 경사교차 격자형 보조홈이 점착시트의 길이 방향에 대한 좌우 경사 각도(θA,θB)를 각각 수직, 수평이 되게 하여 제조한 복합 문양을 포함하는 점착시트이다.
구분 비교예1 비교예2 비교예3 비교예4 비교예5
점착제층의
위조방지문양
양각높이h(㎛) 없음 4 12 5 6
개별면적 (㎟) 없음 100 200 1400 800
양각표면적 (%) 없음 30 30 30 85
상호간격 (cm) 없음 25 30 25 30
점착제층의 보조홈문양
개구부 W1 (㎛) 없음 없음 40 60 80
확장부 W2 (㎛) 없음 없음 40 65 86
깊이 d1(㎛) 없음 없음 30 45 25
피치 p 없음 없음 30㎛ 400㎛ 3mm
경사각도
θA,θB
없음 없음 수직,
수평
45도 수직,
수평
[ 비교예 1 ]
비교예 1은 상기 제조방법을 바탕으로 점착시트를 제조하되, 특히 이형지와 점착제층이 접하는 경계 양표면에 위조 방지 문양과 보조홈문양을 형성하지 않았다.
[ 비교예 2 ]
비교예 2는 상기 제조방법을 바탕으로 점착시트를 제조하되, 위조방지 문양의 양각의 높이(h)4㎛,양각의 개별면적100㎟, 양각 표면적 30%,상호간격 25㎝ 으로 하고 보조홈문양을 형성하지 않았다.
[ 비교예 3 ]
비교예 3은 상기 제조방법을 바탕으로 점착시트를 제조하되, 위조 방지 문양의 양각의 높이(h)를 보다 더 높게 12㎛로, 이를 통과하는 부분의 보조홈문양의 상부 개구부(W2)를 확장 하지 않고, 보조홈문양의 피치(p)를 30㎛으로 하였다.
[ 비교예 4 ]
비교예 4는 상기 제조방법을 바탕으로 점착시트를 제조하되, 특히 개별 위조 방지 문양의 크기 면적을 1400mm2으로 보조홈의 깊이(d1)를 45㎛ 로 하여 제조하였다.
[ 비교예 5 ]
비교예 5는 상기 제조방법을 바탕으로 점착시트를 제조하되, 특히 위조방지 표시문양의 양각의 개별면적을 800㎟,양각의 표면적을 85%, 보조홈 문양의 개구부(W1)를 80㎛,확장부(W2)를 86㎛, 피치(P)를 3mm로 하여 제조하였다.
상술한 바와 같은 실시예 1~5 및 비교예 1~5 각각의 위조 방지 문양식별력, 표면 평활도와 기포 제거성,점착력을 아래 기술된 시험방법에 따라 시험하여 그 결과를 표 3 및 표 4와 같이 나타내었다.
1.위조 방지 문양의 식별력 평가
각 시험 시편의 1㎡를 이형지를 분리하여 1m 거리에서 점착제층과 이형지의 경계 양표면에서 대칭되어 나타나는 위조 방지 표시 문양을 육안으로 식별하여, 식별이 용이한 것을 양호한 기준으로, 양호를 "o", 비양호를 "x"로 판정하였다.
2.부착후 기재시트의 기포제거 상태와 표면 평활도 평가
각 시험 시트를 50cmx50cm 의 유리판에 스퀴즈(squeezer)를 이용 밀착하면서 부착한 후 30분 경과 후에 시트의 표면을 육안으로 관찰 평가하여 표면에 기포 자욱과 요철이 없이 평활한 것을 양호한 기준으로, 양호를 "o", 비양호를 "x"로 판정하였다.
3, 점착력 평가
시험은 KS T1028 점착테이프 및 점착시트의 시험 방법 방법에 준하여 점착 후 30분 후에 인장 시험기를 이용하여 300㎜/분 속도로 180도 peeling하여 점착력을 측정 하였다. 점착력은 1.0 kg/in 이상을 양호한 기준으로, 양호를 "o", 비양호를 "x"로 판정하였다.
구분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 5
평가



위조 방지 문양 식별력 o o o o o
표면평활도 o o o o o
기포제거성 o o o o o
접착력 o o o o o
종합판정 o o o o o
구분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 5
평가



위조 방지 문양 식별력 x o o o x
표면평활도 x x x x x
기포제거성 x x x x x
접착력 o o x x x
종합판정 x x x x x
상기 표 1, 표 2와 같이 제조한 실시예 1~5, 비교예1~5를 테스트한 결과를 정리한 표 3과 표 4에서 알수 있는 것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위조 방지 문양과 보조홈문양의 전사용 복합문양을 가진 이형지를 포함하는 점착시트는 시공 사용시에 이형지를 제거하면 점착제층과 이형지의 접한 양표면에 상호 대칭되게 형성되어 있는 위조방지문양을 확인 할수 있어 제품의 식별이 가능하기 때문에 본 위조 방지문양에 의해 제품의 유사품 피해와 위조를 방지 할 수 있고, 또한 점착시트를 피착제 위에 놓고 손이나 스퀴즈(squeezer)등으로 압력을 가하며 밀착하면서 부착할 때, 양각의 위조방지문양(2)은 점착제의 유동성과 함께, 상부 확장된 개구부를 가지고 관통하며 격자형태로 상호 연결하고 있는 보조홈(3,4)에 의해 쉽게 평탄화가 이루어지고, 공기는 음각의 보조홈문양(3,4,31,32)을 통해 배출 제거되어 잔류 기포의 발생이 방지되면서 보조홈문양이 소멸되어 평면화가 되며 부착된 점착시트는 평활한 표면과 충분한 밀착력 및 점착력을 가지게 된다는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술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나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점착제층.
2. 위조방지문양
3. 위조 방지 문양을 관통하지 않는 부분의 보조홈 문양.
4. 위조 방지문양을 관통하는 부분의 개구부의 상부가 확장된 보조홈 문양.
5. 기재시트.
6. 이형지.
31. 점착제층 표면의 수직 수평 직교 교차격자형 보조홈문양.
32. 점착제층 표면의 경사 교차 격자형 보조홈문양.
A. 점착제층 표면의 개별 위조방지문양.
B, 점착제층 표면의 보조홈이 위조 방지표시문양을 관통하는 부분
C. 점착시트 중앙선.
↑. 점착시트 길이 방향
P. 보조홈문양의 pitch.
Z. 복합문양.
h. 점착제층 표면의 위조방지문양 양각 높이.
d1. 점착제층 표면의 보조홈문양 깊이.
d2. 점착제층 표면의 위조 방지표시문양을 관통하는 부분의 상부 확장된 보조홈 문양의 깊이(d1+h)
W1. 점착제층 표면의 보조홈문양 개구부 윗면 폭.
W2. 점착제층 표면의 보조홈문양 상부 확장된 개구부 윗면 폭.
W3. 점착제층 표면의 위조방지문양의 양각 폭.
θA,θB. 경사교차 격자형 보조홈의 길이 방향에 대한 좌우 경사 각도.
S110. 이형지 기재를 준비하는 제 1단계.
S120. 상기 기재의 한면에 이형제를 코팅 처리하는 제 2단계.
S130. 양각의 위조방지문양과 이를 관통하여 상호 연결하고 있는 음각의 보조홈문양으로 이루어진 복합문양이 조각된 전사용 엠보롤을 준비하는 제 3단계.
S140. 상기 이형제가 코팅 처리된 상기 기재의 이형처리면에 상기 복합문양 전사용 엠보롤을 이용하여 전사용 복합문양을 전사 형성시키는 제 4단계.
S210. 이형제 기재를 준비하는 제 1단계.
S220. 상기 기재의 한면에 이형제를 코팅처리하는 제 2단계.
S230. 양각의 위조방지문양과 이를 관통하여 상호 연결하고 있는 음각의 보조홈문양으로 이루어진 복합문양이 조각된 전사용 엠보롤을 준비하는 제 3단계.
S240. 상기 이형제가 코팅처리된 상기 기재의 이형처리면에 상기 복합문양 전사용 엠보롤을 이용하여 전사용 복합문양을 전사 형성시키는 제 4단계.
S250. 상기 이형지의 전사용 복합문양이 전사 형성된 면에 점착제를 코팅하여 양각의 위조방지문양과 이를 관통하여 상호 연결하고 있는 음각의 보조홈문양으로 이루어진 상기 이형지에서 전사된 복합문양을 포함하는 점착제층이 형성되는 제 5단계.
S260. 상기 점착제층의 복합문양이 형성된 면과 다른 한면에 기재시트를 부착하는 제 6단계.

Claims (10)

  1. 전사용 복합문양;을 포함하고,
    상기 전사용 복합문양은,
    음각의 위조방지문양과,
    상기 위조방지문양을 관통하여 이를 상호 연결하고 있는 양각의 보조홈문양;을 포함하고,
    상기 위조방지문양은 회사의 로고, 제품명, 비밀표시를 단독 혹은 복합으로 포함하되,
    상기 위조방지문양의 높이는 3 내지 5㎛이고,
    상기 보조홈문양의 깊이는 3 내지 3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조방지문양과 보조홈문양의 전사용 복합문양을 가진 이형지.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홈 문양은 V, U,역사다리꼴 또는 이들과 유사한 형태의 상부 개구부를 가진 보조홈 형태 중 어느하나 이상의 형태로 구성되되,
    상기 보조홈 문양은 상기 위조방지문양을 관통하는 확장된 개구부를 가지고 이를 격자형태로 상호 연결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조방지문양과 보조홈문양의 전사용 복합문양을 가진 이형지.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형지는 양각의 위조 방지 문양과 음각의 보조홈문양의 복합문양이 조각된 복합문양 전사용 엠보롤을 이용하여 전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조방지문양과 보조홈문양의 전사용 복합문양을 가진 이형지.
  5. 이형지 기재를 준비하는 제 1단계;
    상기 기재의 한면에 이형제를 코팅처리하는 제 2단계;
    양각의 위조방지문양과 이를 관통하여 상호 연결하고 있는 음각의 보조홈문양으로 이루어진 복합문양이 조각된 복합문양 전사용 엠보롤을 준비하는 제 3단계;
    상기 이형제 처리가 된 상기 기재의 이형 처리면에 상기 복합문양 전사용 엠보롤을 이용하여 전사용 복합문양을 형성시키는 제 4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위조방지문양의 높이는 3 내지 5㎛이고,
    상기 보조홈문양의 깊이는 3 내지 3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조방지문양과 보조홈문양의 전사용 복합문양을 가진 이형지의 제조방법.
  6. 기재시트와,
    상기 기재시트의 한면에 점착제가 도포되어 있는 점착제층과,
    상기 점착제층을 외부로부터 보호하는 이형지;를 포함하되,
    상기 이형지가 음각의 위조방지문양과 이를 관통하여 상호 연결하고 있는 양각의 보조홈문양으로 이루어진 전사용 복합문양;을 포함하고,
    상기 점착제층이 상기 이형지로부터 전사된 양각의 위조방지문양과 이를 관통하여 상호 연결하고 있는 음각의 보조홈문양으로 이루어진 복합문양;을 포함하며,
    상기 위조방지문양은 회사의 로고, 제품명, 비밀표시를 단독 혹은 복합으로 포함하되,
    상기 위조방지문양의 높이는 3 내지 5㎛이고,
    상기 보조홈문양의 깊이는 3 내지 3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조방지문양과 보조홈문양의 전사용 복합문양을 가진 점착시트.
  7. 삭제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홈 문양은 V, U,역사다리꼴 또는 이들과 유사한 형태의 상부 개구부를 가진 보조홈 형태 중 어느 하나 이상의 형태로 구성되되,
    상기 보조홈 문양은 상기 위조방지문양을 관통하는 확장된 개구부를 가지고 이를 격자형태로 상호 연결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조방지문양과 보조홈문양의 전사용 복합문양을 가진 이형지를 포함하는 점착시트.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이형지는 양각의 위조 방지 문양과 음각의 보조홈문양의 복합 문양이 조각된 전사용 엠보 롤을 이용하여 전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조방지문양과 보조홈문양의 전사용 복합문양을 가진 이형지를 포함하는 점착시트.
  10. 이형지 기재를 준비하는 제 1단계;
    상기 기재의 한면에 이형제를 코팅처리하는 제 2단계;
    양각의 위조방지문양과 이를 관통하여 상호 연결하고 있는 음각의 보조홈문양으로 이루어진 복합문양이 조각된 전사용 엠보롤을 준비하는 제 3단계;
    상기 이형제가 코팅처리된 이형지의 이형 처리면에 상기 복합문양 전사용 엠보롤을 이용하여 전사용 복합문양을 전사 형성시키는 제 4단계;
    상기 이형지의 전사용 복합문양이 전사 형성된 면에 점착제를 코팅하여 상기 이형지로부터 전사된 양각의 위조방지문양과 이를 관통하여 상호 연결하고 있는 음각의 보조홈문양으로 이루어진 복합문양을 포함하는 점착제층이 형성되는 제 5단계;
    상기 점착제층의 복합문양이 형성된 면과 다른 한면에 기재시트를 부착하는 제 6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위조방지문양은 회사의 로고, 제품명, 비밀표시를 단독 혹은 복합으로 포함하되,
    상기 위조방지문양의 높이는 3 내지 5㎛이고,
    상기 보조홈문양의 깊이는 3 내지 3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조방지문양과 보조홈문양의 전사용 복합문양을 가진 점착시트 제조방법.

KR1020130144638A 2013-11-26 2013-11-26 위조방지문양과 보조홈문양을 포함하는 전사용 복합문양을 가진 이형지, 이를 포함하는 점착시트 및 이들의 제조방법 KR1015597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4638A KR101559749B1 (ko) 2013-11-26 2013-11-26 위조방지문양과 보조홈문양을 포함하는 전사용 복합문양을 가진 이형지, 이를 포함하는 점착시트 및 이들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4638A KR101559749B1 (ko) 2013-11-26 2013-11-26 위조방지문양과 보조홈문양을 포함하는 전사용 복합문양을 가진 이형지, 이를 포함하는 점착시트 및 이들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60330A KR20150060330A (ko) 2015-06-03
KR101559749B1 true KR101559749B1 (ko) 2015-10-14

Family

ID=535049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44638A KR101559749B1 (ko) 2013-11-26 2013-11-26 위조방지문양과 보조홈문양을 포함하는 전사용 복합문양을 가진 이형지, 이를 포함하는 점착시트 및 이들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5974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35217A (ko) 2017-09-26 2019-04-03 (주)메인일렉콤 재작업 향상을 위한 통로 패턴이 형성된 점착 테이프
KR102072761B1 (ko) * 2019-04-22 2020-02-03 권정희 위변조 불가한 검사합격증지 제조 시스템 및 방법, 그리고, 상기 방법에 따라 제조된 위변조 불가한 검사합격증지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344719A1 (en) * 2015-09-02 2018-07-11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Adhesive articl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99001B1 (ko) 2011-01-17 2011-12-28 경기디자인시스템(주) 위변조 방지용 홀로그램 스티커가 부착된 쓰레기 봉투 및 그 제조방법
JP4910599B2 (ja) 2006-09-26 2012-04-04 凸版印刷株式会社 回折構造転写箔及び偽造防止媒体の製造方法
KR101320300B1 (ko) 2013-02-15 2013-10-23 광성기업 주식회사 공기배출통로가 형성된 감압성 접착 시트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910599B2 (ja) 2006-09-26 2012-04-04 凸版印刷株式会社 回折構造転写箔及び偽造防止媒体の製造方法
KR101099001B1 (ko) 2011-01-17 2011-12-28 경기디자인시스템(주) 위변조 방지용 홀로그램 스티커가 부착된 쓰레기 봉투 및 그 제조방법
KR101320300B1 (ko) 2013-02-15 2013-10-23 광성기업 주식회사 공기배출통로가 형성된 감압성 접착 시트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35217A (ko) 2017-09-26 2019-04-03 (주)메인일렉콤 재작업 향상을 위한 통로 패턴이 형성된 점착 테이프
KR102072761B1 (ko) * 2019-04-22 2020-02-03 권정희 위변조 불가한 검사합격증지 제조 시스템 및 방법, 그리고, 상기 방법에 따라 제조된 위변조 불가한 검사합격증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60330A (ko) 2015-06-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320480B2 (ja) 像が形成された物品及びその作製方法
KR101559749B1 (ko) 위조방지문양과 보조홈문양을 포함하는 전사용 복합문양을 가진 이형지, 이를 포함하는 점착시트 및 이들의 제조방법
JP2018508382A (ja) 様々な光沢度を持つ耐磨耗層を製造する方法
SE449144B (sv) Identitetskort med en reliefliknande yta samt forfarande for framstellning av detsamma
PL210165B1 (pl) Tłoczona płyta ozdobna
RU2010116723A (ru)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напольной панели с высокими противоскользящими свойствами
KR101320300B1 (ko) 공기배출통로가 형성된 감압성 접착 시트
US20190024390A1 (en) Recyclable synthetic resin til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JP2016069800A (ja) 化粧シート及び化粧材
KR102614947B1 (ko) 필름, 그것을 사용한 성형 전사박, 필름 롤, 및 필름의 제조 방법
JP2019126914A (ja) 化粧シート
RU2379183C2 (ru)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композитного материала для запечатывающих элементов, а также его применение
US20150266262A1 (en) Perforated adhesive assembly with removable non-perforated bonding layer
RU2628914C2 (ru) Защищенный документ, содержащий осязаемую метку и текстурированную зону, и способ его изготовления
US11879081B2 (en) Release liner for repositionable adhesive articles
KR102316616B1 (ko) 개선된 포일 내구성을 지닌 보안 문서
JP6534961B2 (ja) 剥離紙の製造方法
KR20190139866A (ko) 핫스탬핑 박, 핫스탬핑 박의 제조 방법, 및 적층 광학 장식체를 구비한 인쇄체
CN106398577A (zh) 具有防伪钥匙与防伪锁功能的预涂膜
CN206204210U (zh) 具有防伪钥匙与防伪锁功能的预涂膜
KR102541438B1 (ko) 엠보싱 처리된 친환경 이형지 및 이의 제조방법
JPH10157018A (ja) 化粧シート
JP7484066B2 (ja) 合成樹脂表皮材、合成樹脂表皮材形成用金型の製造方法及び合成樹脂表皮材の製造方法
JP7383222B2 (ja) 化粧紙、化粧材、及び化粧紙の製造方法
KR20040102542A (ko) 동조인쇄층을 함유하는 장식 시트 및 이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