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41438B1 - 엠보싱 처리된 친환경 이형지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엠보싱 처리된 친환경 이형지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41438B1
KR102541438B1 KR1020220079058A KR20220079058A KR102541438B1 KR 102541438 B1 KR102541438 B1 KR 102541438B1 KR 1020220079058 A KR1020220079058 A KR 1020220079058A KR 20220079058 A KR20220079058 A KR 20220079058A KR 102541438 B1 KR102541438 B1 KR 1025414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per
release
paper substrate
eco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790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윤상
Original Assignee
한신화성(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신화성(주) filed Critical 한신화성(주)
Priority to KR10202200790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4143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14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14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27/00Special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made by multi-step processes
    • D21H27/001Release pap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FMECHANICAL WORKING OR DEFORMATION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F1/00Mechanical deformation without removing material, e.g. in combination with laminating
    • B31F1/07Embossing, i.e. producing impressions formed by locally deep-drawing, e.g. using rolls provided with complementary profiles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19/00Coated paper; Coating material
    • D21H19/36Coatings with pigments
    • D21H19/44Coatings with pigments characterised by the other ingredients, e.g. the binder or dispersing agent
    • D21H19/56Macromolecular organic compounds or oligomers thereof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19/00Coated paper; Coating material
    • D21H19/36Coatings with pigments
    • D21H19/44Coatings with pigments characterised by the other ingredients, e.g. the binder or dispersing agent
    • D21H19/64Inorganic compounds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21/00Non-fibrous material added to the pulp, characterised by its function, form or properties; Paper-impregnating or coating material, characterised by its function, form or properties
    • D21H21/14Non-fibrous material added to the pulp, characterised by its function, form or properties; Paper-impregnating or coating material, characterised by its function, form or properties characterised by function or properties in or on the paper
    • D21H21/18Reinforcing agents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25/00After-treatment of paper not provided for in groups D21H17/00 - D21H23/00
    • D21H25/04Physical treatment, e.g. heating, irradiating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27/00Special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made by multi-step processes
    • D21H27/02Patterned paper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5/00Special paper or cardboar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5/0075Anti-friction, anti-abrasive or release paper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5/00Special paper or cardboar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5/02Patterned pape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Paper (AREA)

Abstract

올레핀 계열의 합성수지를 사용하지 않더라도 엠보스 패턴을 구비할 수 있어 친환경적이며, 단순한 구조를 적용하여 생산성이 향상된 엠보싱 처리된 친환경 이형지가 개시된다. 이를 위하여 종이 기재와, 상기 종이 기재의 상면에 구비되며, 점착제층으로부터 쉽게 박리되도록 수용성 실리콘수지가 포함된 이형층, 및 상기 종이 기재나, 종이 기재 및 이형층에 엠보싱 가공을 통해 형성된 엠보스 패턴을 포함하는 엠보싱 처리된 친환경 이형지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올레핀 계열의 합성수지를 사용하지 않더라도 엠보스 패턴을 구비할 수 있으므로 생산성이 향상되고 제조단가를 낮출 수 있으며, 종이 기재에 대한 재활용이 가능하다.

Description

엠보싱 처리된 친환경 이형지 및 이의 제조방법{ECO-FRIENDLY EMBOSSED RELEASE PAPE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점착제층을 통하여 베이스지가 피착물에 부착할 때 피착물과 베이스지에 존재하는 공기의 원활한 흐름을 유도할 수 있도록 베이스지에 엠보스 패턴을 형성하는 엠보싱 처리된 친환경 이형지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인테리어 시트지, 광고표지 등의 점착제층에 피착물에 대한 접착력을 제공할 점착제층을 보호하고, 점착제층에 엠보스 패턴을 형성하며, 점착제층으로부터 쉽게 탈착될 수 있는 엠보싱 처리된 친환경 이형지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건축물의 외부, 인테리어 및 광고 등에 다양한 패턴이 인쇄된 점착시트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점착시트는 압연 또는 캐스팅 공정을 통하여 제조된 베이스지와, 상기 베이스지의 상부에 구비된 점착제층, 및 상기 점착제층에 의하여 베이스지에 합지되어 베이스지를 보호하는 이형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베이스지를 피착물에 부착하기 위해서는 먼저 이형지를 베이스지 및 점착제층으로부터 탈착시켜 제거해야 하며, 점착체층으로부터 이형지를 쉽게 분리하기 위해 이형지에는 이형제층이 포함된다. 이와 같은 용도로 사용되는 이형지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엠보스 패턴이 형성된 종래의 이형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의 선 A-A를 따라 절취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종래의 점착시트(100)는 이형지(110)와 베이스지(120) 및 점착제층(130)을 포함하며, 상기 이형지(110)는 종이 기재(112)와 올레핀계 수지층(114) 및 수용성 실리콘수지층(116)을 포함한다.
상기 올레핀계 수지층(114)은 종이 기재(112)의 표면에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등의 올레핀계의 수지를 코팅한 후 금속 엠보싱 롤에 통과시켜 엠보스 패턴이 형성되며, 수용성 실리콘수지층(116)은 엠보스 패턴이 형성된 올레핀계 수지층(114)의 표면에 실리콘계의 약품을 코팅하여 구성된다. 이때, 수용성 실리콘수지층(116)은 1미크론(㎛) 이하의 두께로 형성되기 때문에 금속 엠보싱 롤을 통과하지 않더라도 올레핀계 수지층(114)의 엠보스 패턴을 따라 엠보스 패턴을 형성한다.
이와 같이, 점착시트(100)는 점착제층(130)을 통하여 베이스지(120)와 이형지(110)가 합지되어 구성된다.
이후, 베이스지(120)에서 이형지(110)를 분리할 경우, 점착제층(130)과 이형지(110)의 이형제층(116)이 분리됨으로써 베이스지(120) 상에는 점착제층(130)이 잔류하게 되며, 상기 점착제층(130)을 통하여 베이스지(120)는 피착물에 부착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이형지(110)의 표면에는 연속적으로 형성된 다수의 오목 엠보스 패턴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이형지(110)의 이형제층(116) 상에 밀착된 점착제층(130)의 표면에는 볼록 엠보스 패턴이 형성된다.
특히, 도 3과 같이 베이스지(120)와 접촉된 점착제층(130)의 일면은 평탄한 면으로 이루어지나, 피착물(200)에 부착되는 또 다른 면은 볼록한 엠보스 패턴이 연속적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형상의 점착제층(130)과 베이스지(120)를 피착물(1)에 부착할 때, 가압 수단이 베이스지(120)를 가압하면서 이동하면, 점착제층(12)이 눌려지면서 점착제층(130)과 피착물 사이에 존재하는 공기가 2개의 엠보 사이에 형성된 통로(132)로 이동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가압 수단이 베이스지(120)를 계속적으로 가압하면서 이동하면, 각 통로(132) 내로 이동하는 공기는 외부로 빠져 나가게 되며, 따라서 베이스지(120)와 피착물(200)의 사이에 공기가 존재하지 않은 상태에서 베이스지(120)는 피착물(200)에 완전하게 부착된다.
그러나, 이형지(110)의 구성 중에서 중간 코팅층으로 사용되고 있는 올레핀계 수지층(114)은 석유화학레진이고 물에 용해되지 않기 때문에, 리사이클이 어렵고 사용 후 폐기되어 소각 및 매립되고 있다. 특히, 이형지의 매립은 올레핀계 수지의 분해시간이 약 50년 이상 소요되는 것에 기인하여 환경문제를 발생시키는 요인 중의 하나로 지적되고 있다.
따라서, 최근에는 엠보스 패턴의 주축인 올레핀계 수지를 사용하지 않더라도 엠보스 패턴을 갖는 이형지를 제작할 수 있는 방법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82190호(2012.09.13 공고)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025343호(2019.09.25 공고)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562878호(2015.10.23 공고)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63672호(2012.11.16 공고)
따라서, 본 발명의 제1 목적은 올레핀 계열의 합성수지를 사용하지 않더라도 엠보스 패턴을 구비할 수 있어 친환경적이며, 단순한 구조를 적용하여 생산성이 향상된 엠보싱 처리된 친환경 이형지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2 목적은 종이 기재의 표면에 이형층을 형성하는 과정 중 별도의 압출라인을 필요로 하지 않기 때문에 작업설비나 공정이 단순화되어 생산성이 향상되는 엠보싱 처리된 친환경 이형지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제1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종이 기재와, 상기 종이 기재의 상면에 구비되며, 점착제층으로부터 쉽게 박리되도록 수용성 실리콘수지가 포함된 이형층, 및 상기 종이 기재나, 종이 기재 및 이형층에 엠보싱 가공을 통해 형성된 엠보스 패턴을 포함하는 엠보싱 처리된 친환경 이형지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2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종이 기재의 상면에 수용성 실리콘수지가 포함된 이형제를 도포하는 코팅단계와, 상기 이형제를 건조시켜 이형층을 형성하는 건조단계, 및 엠보스롤과 프레스롤 사이로 상기 이형층이 형성된 종이 기재를 통과시켜 종이 기재 및 이형층에 엠보스 패턴을 형성하는 엠보싱 가공단계를 포함하는 엠보싱 처리된 친환경 이형지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아울러, 본 발명의 제2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엠보스롤과 프레스롤 사이로 종이 기재를 통과시켜 종이 기재에 엠보스 패턴을 형성하는 엠보싱 가공단계와, 상기 엠보스 패턴이 형성된 종이 기재의 상면에 수용성 실리콘수지가 포함된 이형제를 도포하는 코팅단계, 및 상기 이형제를 건조시켜 이형층을 형성하는 건조단계를 포함하는 엠보싱 처리된 친환경 이형지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올레핀 계열의 합성수지를 사용하지 않더라도 엠보스 패턴을 구비할 수 있으므로 생산성이 향상되고 제조단가를 낮출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엠보스 패턴의 형성에 올레핀 계열의 합성수지를 사용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이형층의 형성에 수용성 실리콘수지를 사용하기 때문에 이형지를 폐기하는 경우, 이형지를 물에 접촉시키는 과정을 통해 종이 기재를 이형지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으므로, 종이 기재의 재사용이 가능해지며 산업폐기물의 발생을 감소시킬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올레핀계열의 합성수지에 엠보스 패턴을 형성하는 대신 종이 기재에 엠보스 패턴을 형성하기 때문에 이형지의 구성에 올레핀계열의 중간코팅층을 생략할 수 있으므로, 이형지를 이용한 제품 제조시 롤의 두께가 얇아져 취급이 용이하며, 운송비를 절감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열에 취약한 올레핀계역의 합성수지를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이형층의 형성 과정 중에 엠보스 패턴의 형태가 변형되는 문제가 발생되지 않는다.
도 1은 엠보스 패턴이 형성된 종래의 이형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선 A-A를 따라 절취한 이형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은 이형지가 탈착된 점착시트가 피착물에 부착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이형지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친환경 이형지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이형지의 제조공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친환경 이형지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서 종이 기재에 대한 엠보싱 가공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의한 엠보싱 처리된 친환경 이형지(이하, '친환경 이형지'라고 약칭함)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이형지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이형지는 종이 기재(10)와, 상기 종이 기재(10)의 상면에 구비된 이형층(20), 및 상기 종이 기재(10)에 단독으로 형성되거나 종이 기재(10)와 함께 이형층(20)에 형성된 엠보스 패턴(30)을 포함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각 구성요소별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이형지는 종이 기재(10)를 포함한다.
상기 종이 기재(10)는 엠보싱 가공 시 엠보스 패턴(30)이 형성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것으로, 내유성 종이, 그라프트지(kraftpaper), 상질지(上質紙), 순백 롤지, 글라신지(glassine paper) 등을 사용할 수 있으나, 내유성 종이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내유성 종이로 구성된 종이 기재(10)는 내부 공극을 줄여주어 액체의 통과를 억지시킬 수 있기 때문에 이형층(20)에 포함된 수용성 실리콘수지가 종이 기재(10)를 통과해 종이 기재(10)의 하면으로 누출되는 문제를 예방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종이 기재(10)는 30 내지 250 ㎛의 두께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종이 기재(10)의 두께가 30 ㎛ 미만이면 엠보스 패턴(30)이 필요한 수준의 깊이로 형성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으며, 종이 기재(10)의 두께가 250 ㎛를 초과하면 친환경 이형지의 휨성을 저하시키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종이 기재(10)에는 표면지질개선층(미도시)이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표면지질개선층은 이형층(20)과 마주보는 종이 기재(10)의 상부에 구비되는 것으로, 종이 기재(10)의 기공 및 요철을 매워주어 이형지의 표면조도의 편차를 줄여주고 매끄러운 표면을 형성하며, 상기 종이 기재(10)에 대한 수용성 실리콘수지의 흡수를 제한한다.
일 실시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표면지질개선층은 아크릴계 고분자수지와 같은 수분산성 코팅제에 클레이, 탈크, 탄산칼슘 등의 충전제를 첨가한 코팅제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충전제로는 클레이, 탈크, 탄산칼슘,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표면지질개선층은 폴리비닐알코올 또는 수성아크릴에멀젼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표면지질개선층 0.2 내지 20.0 ㎛의 두께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표면지질개선층의 두께가 0.2 ㎛ 미만이면 종이 기재(10)의 상부에 매끄러운 표면을 형성할 수 있으며 수용성 실리콘수지의 흡수 제한 기능을 충분히 제공할 수 없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그리고 표면지질개선층의 두께가 20.0 ㎛를 초과하면 친환경 이형지의 휨성을 저하시키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이형지는 이형층(20)을 포함한다.
상기 이형층(20)은 종이 기재(10)의 상면에 구비되는 것으로, 점착시트의 점착제층으로부터 이형지가 쉽게 박리되도록 수용성 실리콘수지가 포함되어 구성된다. 이때, 수용성 실리콘으로는 아크릴 실리콘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이형층(20)은 0.2 내지 3.0 ㎛의 두께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이형층(20)의 두께가 0.2 ㎛ 미만이면 이형지가 점착시트로부터 원활히 탈착되지 않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으며, 이형층(20)의 두께가 3.0 ㎛를 초과하면 수용성 실리콘수지와 같이 이형층(20)을 형성하는 소재가 이형층(20)의 건조과정 중 종이 기재(10)에 지나치게 흡수되어 종이 기재(10)의 하면 및 측면으로 유출되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이형지는 엠보스 패턴(30)을 포함한다.
상기 엠보스 패턴(30)은 종이 기재(10)나, 종이 기재(10) 및 이형층(20)에 엠보싱 가공을 통해 형성되는 것으로, 점착시트의 점착제층에 밀착되는 과정 중 점착제층의 표면에는 엠보스 패턴이 형성시키는 기능을 제공한다.
이러한 엠보스 패턴(30)으로는 점착제층에 공기가 이동하여 외부로 배출되는 통로를 형성할 수 있는 패턴이라면 어떠한 패턴을 사용하더라도 무방하며, 바람직하게는 점착제층에 볼록형 엠보스 패턴을 형성할 수 있는 오목형 엠보스 패턴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일 실시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엠보스 패턴(30)은 엠보싱 가공이 처리된 종이 기재(10)에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이형층(20)은 엠보스 패턴(30)이 형성된 종이 기재(10)의 상면에 균일하게 코팅되어 엠보스 패턴(30)과 동일한 패턴을 형성한다.
다른 실시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엠보스 패턴(30)은 엠보싱 가공이 처리된 종이 기재(10) 및 이형층(20)에 함께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엠보싱 가공에 사용되는 엠보스 가공장치는 요철 패턴의 주형을 표면에 갖는 엠보스롤(50) 및 상기 엠보스롤(50)과의 사이로 투입된 종이 기재(10)를 가압하는 프레스롤(60)을 포함하며, 엠보스 가공이 실시되어 있지 않은 띠형상으로 연장되는 종이 기재(10)를 연속적으로 공급하는 원지 공급장치(미도시)와 종이 기재(10)에 엠보싱 가공을 실시하여 이루어진 이형지를 감아서 회수하는 이형지 회수장치(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엠보싱 가공에 사용되는 엠보스 가공장치는 엠보스롤(50) 및 프레스롤(60)을 사용하지 않고, 평판형 엠보스판을 이용하여 프레스로 엠보스 가공을 실시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친환경 이형지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이형지의 제조방법은 종이 기재(10)의 상면에 이형층(20)을 형성하는 이형제를 도포하는 코팅단계(S110)와, 상기 이형제를 건조시켜 이형층(20)을 형성하는 건조단계(S210), 및 종이 기재(10) 및 이형층(20)에 엠보스 패턴(30)을 형성하는 엠보싱 가공단계(S310)를 포함한다.
상기 코팅단계(S110)는 종이 기재(10)의 상면에 수용성 실리콘수지가 포함된 이형제를 롤 코팅, 그라비아 코팅, 압출 코팅, 나이프 코팅, 미야 바 코팅, 딥 코팅 등을 제공하는 코팅장치(40)를 통해 도포하는 단계로, 종이 기재(10)의 상면에 30 내지 250㎛의 두께의 이형제를 도포한다.
필요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이형지의 제조방법은 상기 코팅단계 이전에 전처리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처리단계는 종이 기재(10)의 상면에 표면지질개선층을 형성하는 단계로, 종이 기재(10)의 상면에 표면지질개선제를 도포한 후 경화시킨다. 이러한 표면지질개선제는 종이 기재(10)의 기공 및 요철을 매워주어 매끄러운 표면을 형성하며, 수용성 실리콘수지의 흡수를 제한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상기 건조단계(S210)는 종이 기재(10)의 상면에 도포된 이형제가 경화되어 이형층(20)을 형성하도록 건조시키는 단계로, 80 내지 90℃의 온도를 제공하는 건조로에 이형제가 도포된 종이 기재(10)를 10초 내지 30초 동안 통과시킨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이형지의 제조공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상기 엠보싱 가공단계(S310)는 이형지에 엠보스 패턴(30)이 구비되도록 종이 기재(10) 및 이형층(20)에 엠보스 패턴(30)을 형성하는 단계로, 도 6과 같이 엠보스롤(50)과 프레스롤(60) 사이로 이형층(20)이 형성된 종이 기재(10)를 통과시킨다. 이때, 프레스롤(60)로는 고무롤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엠보싱 가공에 사용되는 엠보싱 장치는 엠보스롤(50) 및 프레스롤(60)이 포함되며, 선택적으로 프레스롤(60)이나 엠보롤에 밀착되어 가압하는 프레스 보조롤(70)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이때, 프레스 보조롤(70)로는 고무롤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친환경 이형지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에서 종이 기재에 대한 엠보싱 가공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이형지의 제조방법은 종이 기재(10)에 엠보스 패턴(30)을 형성하는 엠보싱 가공단계(S120)와, 상기 엠보스 패턴(30)의 상면에 이형층(20)을 형성하는 이형제를 도포하는 코팅단계(S220), 및 상기 이형제를 건조시켜 이형층(20)을 형성하는 건조단계(S320)를 포함한다.
상기 엠보싱 가공단계(S120)는 종이 기재(10)에 엠보스 패턴(30)이 구비되도록 종이 기재(10)에 엠보스 패턴(30)을 형성하는 단계로, 도 8과 같이 엠보스롤(50)과 프레스롤(60) 사이로 종이 기재(10)를 통과시킨다.
필요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이형지의 제조방법은 상기 엠보싱 가공단계(S120) 이전에 전처리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전처리단계는 종이 기재(10)의 상면에 표면지질개선층을 형성하는 단계로, 종이 기재(10)의 상면에 표면지질개선제를 도포한 후 경화시킨다. 이러한 표면지질개선제는 종이 기재(10)의 기공 및 요철을 매워주어 매끄러운 표면을 형성하며, 수용성 실리콘수지의 흡수를 제한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상기 코팅단계(S220)는 상기 엠보스 패턴(30)이 형성된 종이 기재(10)의 상면에 수용성 실리콘수지가 포함된 이형제를 롤 코팅, 그라비아 코팅, 압출 코팅, 나이프 코팅, 미야 바 코팅, 딥 코팅 등을 제공하는 코팅장치(40)를 통해 도포하는 단계로, 종이 기재(10)의 상면에 30 내지 250㎛의 두께의 이형제를 도포한다.
상기 건조단계(S320)는 종이 기재(10)의 상면에 도포된 이형제가 경화되어 이형층(20)을 형성하도록 건조시키는 단계로, 80 내지 90℃의 온도를 제공하는 건조로에 이형제가 도포된 종이 기재(10)를 10초 내지 30초 동안 통과시킨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 종이 기재 20 : 이형층
30 : 엠보스 패턴 40 : 코팅장치
50 : 엠보스롤 60 ; 프레스롤
70 : 프레스 보조롤

Claims (10)

  1. 액체의 통과를 억지시킬 수 있도록 내유성 종이로 구성된 종이 기재;
    상기 종이 기재의 상면에 구비되며, 점착제층으로부터 쉽게 박리되도록 수용성 실리콘수지가 포함된 이형층;
    상기 이형층과 마주보는 종이 기재의 상부에 구비되고, 종이 기재의 기공 및 요철을 매워주어 매끄러운 표면을 형성하며, 상기 종이 기재에 대한 수용성 실리콘수지의 흡수를 제한하는 표면지질개선층; 및
    상기 종이 기재 및 이형층에 엠보싱 가공을 통해 형성된 엠보스 패턴을 포함하는 엠보싱 처리된 친환경 이형지.
  2. 삭제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지질개선층은
    수분산성 코팅제에 클레이, 탈크, 탄산칼슘, 또는 이들의 혼합물인 충전제를 첨가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엠보싱 처리된 친환경 이형지.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지질개선층은
    폴리비닐알코올 또는 수성아크릴에멀젼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엠보싱 처리된 친환경 이형지.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종이 기재는 30 내지 250㎛의 두께로 형성되고, 상기 이형층은 0.2 내지 3㎛의 두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엠보싱 처리된 친환경 이형지.
  6. 삭제
  7. 액체의 통과를 억지시킬 수 있는 내유성 종이로 구성된 종이 기재의 상면에 종이 기재의 기공 및 요철을 매워주어 매끄러운 표면을 형성하며 수용성 실리콘수지의 흡수를 제한하는 표면지질개선제를 도포하고, 상기 표면지질개선제를 건조시키는 전처리단계;
    종이 기재의 상면에 수용성 실리콘수지가 포함된 이형제를 도포하는 코팅단계;
    상기 이형제를 건조시켜 이형층을 형성하는 건조단계; 및
    엠보스롤과 프레스롤 사이로 상기 이형층이 형성된 종이 기재를 통과시켜 종이 기재 및 이형층에 엠보스 패턴을 형성하는 엠보싱 가공단계를 포함하는 엠보싱 처리된 친환경 이형지의 제조방법.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20220079058A 2022-06-28 2022-06-28 엠보싱 처리된 친환경 이형지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5414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9058A KR102541438B1 (ko) 2022-06-28 2022-06-28 엠보싱 처리된 친환경 이형지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9058A KR102541438B1 (ko) 2022-06-28 2022-06-28 엠보싱 처리된 친환경 이형지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41438B1 true KR102541438B1 (ko) 2023-06-13

Family

ID=867626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79058A KR102541438B1 (ko) 2022-06-28 2022-06-28 엠보싱 처리된 친환경 이형지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41438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2231A (ko) * 1998-06-18 2000-01-15 김현중 실리콘 이형면을 형성한 폴리에칠렌포장지 및 그 제조방법
KR20020040962A (ko) * 2000-11-25 2002-05-31 (주)그라코 수용성 실리콘 이형지의 제조방법
KR20040111413A (ko) * 2002-03-15 2004-12-31 더 프록터 앤드 갬블 캄파니 패턴 형성된 요소와, 엠보싱 및 접착제 도포 방법과,엠보싱되고 접착제 코팅된 기재와, 고속 엠보싱 및 접착제인쇄 방법
KR20090009389U (ko) * 2008-03-14 2009-09-17 (주)엘지하우시스 이형지 및 이를 포함한 점착 시트
KR101182190B1 (ko) 2010-07-30 2012-09-13 유종성 친환경적인 수성 아크릴 에멀젼을 이용하여 제조된 이형지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562878B1 (ko) 2007-10-05 2015-10-23 다이니폰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엠보스 패턴 이형지 및 그 제조 방법
KR101828031B1 (ko) * 2017-07-18 2018-03-22 주식회사 가야 양면 폴리비닐알코올 이형지를 포함하는 점착 코팅지 및 그 제조 방법
KR102025343B1 (ko) 2018-11-02 2019-09-25 이상헌 합성피혁 엠보전사용 이형지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2231A (ko) * 1998-06-18 2000-01-15 김현중 실리콘 이형면을 형성한 폴리에칠렌포장지 및 그 제조방법
KR20020040962A (ko) * 2000-11-25 2002-05-31 (주)그라코 수용성 실리콘 이형지의 제조방법
KR20040111413A (ko) * 2002-03-15 2004-12-31 더 프록터 앤드 갬블 캄파니 패턴 형성된 요소와, 엠보싱 및 접착제 도포 방법과,엠보싱되고 접착제 코팅된 기재와, 고속 엠보싱 및 접착제인쇄 방법
KR101562878B1 (ko) 2007-10-05 2015-10-23 다이니폰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엠보스 패턴 이형지 및 그 제조 방법
KR20090009389U (ko) * 2008-03-14 2009-09-17 (주)엘지하우시스 이형지 및 이를 포함한 점착 시트
KR200463672Y1 (ko) 2008-03-14 2012-11-16 (주)엘지하우시스 이형지 및 이를 포함한 점착 시트
KR101182190B1 (ko) 2010-07-30 2012-09-13 유종성 친환경적인 수성 아크릴 에멀젼을 이용하여 제조된 이형지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828031B1 (ko) * 2017-07-18 2018-03-22 주식회사 가야 양면 폴리비닐알코올 이형지를 포함하는 점착 코팅지 및 그 제조 방법
KR102025343B1 (ko) 2018-11-02 2019-09-25 이상헌 합성피혁 엠보전사용 이형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693405A (en) Masking film having embossed areas and unembossed areas
US20080185092A1 (en) Tip printing embossed surfaces
KR101702455B1 (ko) 부착성 및 박리성이 우수한 점착 필름 및 그 제조 방법
ATE242355T1 (de) Verfahren zum beiderseitigen behandeln eines blattes
KR102541438B1 (ko) 엠보싱 처리된 친환경 이형지 및 이의 제조방법
US6361702B1 (en) Device for producing material having optically varying effects and method of producing the same
KR100801774B1 (ko) 엠보싱 점착 시트 및 그 제조방법
KR101559749B1 (ko) 위조방지문양과 보조홈문양을 포함하는 전사용 복합문양을 가진 이형지, 이를 포함하는 점착시트 및 이들의 제조방법
KR20170110996A (ko) 3d 홀로그램 입체 라벨 제조방법
CN100400287C (zh) 水性环保雷射膜及其制法
US7490548B2 (en) Method for manufacturing water-based laser hologram paper
KR20200012829A (ko) 이미지 전사 시트, 이미지 전사 시트의 제조 방법, 이미지 전사 방법
JP6534961B2 (ja) 剥離紙の製造方法
KR102055448B1 (ko) 수분리 라벨
KR101081720B1 (ko) 에어프리 접착폼보드
JP2018529799A (ja) 部分的に埋め込まれている繊維を有するウェブの製造方法
KR101771567B1 (ko) 터널 현상이 개선된 점착 필름 및 그 제조 방법
KR20120055855A (ko) 엠보 유지가 우수한 장식 시트 및 그 제조 방법
US20190084265A1 (en) System for creating a relief pattern on a substrate
JPH07256752A (ja) 化粧シート及びこの製造に用いる冷却ロール
KR200348943Y1 (ko) 접착시트
JPS57156212A (en) Preparation of decorative material having rugged pattern
JP2001134189A (ja) リターナブルタックラベル
JP4605611B2 (ja) 樹脂成形品の加飾方法
KR100541743B1 (ko) 이중원지를 이용한 발포벽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