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34530A - 연장부를 갖춘 안경 - Google Patents

연장부를 갖춘 안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34530A
KR20190034530A KR1020197001282A KR20197001282A KR20190034530A KR 20190034530 A KR20190034530 A KR 20190034530A KR 1020197001282 A KR1020197001282 A KR 1020197001282A KR 20197001282 A KR20197001282 A KR 20197001282A KR 20190034530 A KR20190034530 A KR 201900345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vity
temple
extension
temple tip
seg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012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10024B1 (ko
Inventor
프란세스카 메레라
Original Assignee
프렐 솔루션스 에스에이쥐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프렐 솔루션스 에스에이쥐엘 filed Critical 프렐 솔루션스 에스에이쥐엘
Publication of KR201900345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345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00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00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5/00Constructions of non-optical parts
    • G02C5/14Side-members
    • G02C5/20Side-members adjustable, e.g. telescopic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3/00Special supporting arrangements for lens assemblies or monocles
    • G02C3/006Arrangements for fitting and securing to the head or neck not in the position of use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5/00Constructions of non-optical parts
    • G02C5/14Side-member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5/00Constructions of non-optical parts
    • G02C5/14Side-members
    • G02C5/143Side-members having special ear piece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5/00Constructions of non-optical parts
    • G02C5/14Side-members
    • G02C5/16Side-members resilient or with resilient par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yeglasses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안경(2)은 안경(2)의 각각의 템플 팁(42)에 각각 고정되도록 구성된 한 쌍의 연장부(1)를 포함한다. 각각의 연장부(1)는 안경(2)의 각각의 템플 팁(42)에 고정되는 제1 세그먼트(53), 및 제1 세그먼트(53)에 대해 경사진 제2 세그먼트(54)를 가진 바디(5)를 포함한다. 제1 세그먼트(53)는 각각의 템플 팁(42)에 각각 연결될 때, 제2 세그먼트(54)는 서로 모여지는 방향(T)으로 각각의 템플 팁(42)으로부터 돌출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제2 세그먼트(54)는 사용자의 목에 안착되고 체인의 사용 없이 목에서 안경을 지지할 수 있다. 연장부(1)는 상이한 크기의 템플 팁(42)에 적용 가능하다.

Description

연장부를 갖춘 안경
본 발명은 안경의 기술 분야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시력 교정용 안경, 선글라스, 또는 다른 타입의 안경에 적용 가능하다. 특히, 본 발명은 한 쌍의 연장부가 적용된 안경에 대한 것이다.
공지된 안경은 프레임 프론트(frame front) 및 상기 프레임 프론트에 부착되고, 사용자의 귀 위를 통과하고 귀에 놓이도록 구성된 두 개의 템플(temple)을 포함한다. 상기 프레임 프론트는 그를 통해 사용자가 그의 시야를 개선할 수 있는, 두 개의 렌즈, 또는 단일 렌즈를 포함한다. 프레임 프론트는 또한 사용자의 코 위에 놓이도록 구성된 노즈 패드(nose pad)를 포함한다.
노즈 패드와 함께, 템플은 사용자가 렌즈를 통해 보는 안경을 사용할 때 안경이 사용자 얼굴의 제 위치에 있게 한다. 특히, 각각의 템플은 프레임 프론트에 대해 원위 단부에 템플 팁(tip)을 갖는다.
일부 상황에서 사용자는 안경을 자주 쓰고 벗을 필요가 있다. 이는 특히 읽기용 안경의 사용시와, 사용자가 물체를 멀리 그리고 가까이 번갈아 관찰해야 하는 경우, 선글라스의 사용시, 예를 들어 터널의 안과 밖으로 주행하면서 빛의 급격한 변화가 있는 경우, 일어난다.
편안한 사용을 위해, 사용자가 렌즈를 통해 보지 않을 때, 사용자는 안경을 벗을 필요 없이 간단히 다른 위치에 착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템플을 연결하고 안경이 목 주위에 착용될 수 있게 하는 체인의 사용에 의해 공지된 해법이 주어진다. 안경의 템플은 특히 상기 체인의 특정 구멍에 삽입된다.
그러나, 동일한 체인은 사용자의 얼굴 형태에 따라 매우 길어지거나 또는 매우 짧아질 수 있다. 너무 긴 체인은 사용자가 움직일 때, 사용자의 목에서 매우 흔들릴 수 있으며, 안경이 외부 물체에 부딪칠 위험이 있을 수 있다.
더욱이, 안경 체인은 안경을 쉽게 엉키게 하여, 사용자의 목에 불편을 야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전술한 문제점들을 해결하는 것이며, 특히 목 주위에 착용할 때 안경의 움직임의 가능성과 결과적으로 충격의 위험을 제한하는 것을 통해 해결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목에 안경을 착용할 수 있게 하고, 안경이 외부 물체와 엉키는 위험을 방지하는 것이다.
이들 및 다른 목적은 하기의 청구항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안경 또는 한 쌍의 안경에 의해 달성된다.
바람직하게, 사용 구성에서, 각각의 연장부의 제2 세그먼트는 사용자의 목 뒤에 안착되어, 안경을 지지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안경은 목에서 너무 늘어지지 않으며, 그 움직임이 줄어든다. 더욱이, 안경은 엉킬 수 있는 구성요소 없이 목에서 지지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특징 및 이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비-제한적인 예시에 의해 주어진, 바람직한 실시예의 하기 설명으로부터 명확해 질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안경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안경의 템플에 적용된 연장부 중 하나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연장부의 단면도이다.
도 4 및 5는 상이한 치수를 가진 안경 템플의 각각의 템플 팁과 연결된 도 2의 연장부의 단면도이다.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 안경을 위한 연장부 참조번호는 전체적으로 (1)로 나타낸다. 하기에서 더욱 자세하게 설명된 연장부(1)는 안경(2)에 적용될 수 있다.
안경(2)은 프레임 프론트(3) 및 한 쌍의 템플(4)을 포함한다. 프레임 프론트(3)는 고글(goggle)의 경우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렌즈(31), 또는 바람직하게 2개의 복수의 렌즈(31)를 포함한다. 상기 프론트 프레임은 또한 렌즈(31)를 제 위치에 유지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림(32, rim), 상기 림(32)을 연결하는 브릿지(33, bridge), 사용자의 코에 안착되도록 구성된 2개의 노즈 패드(34), 및 템플(4)에 연결되도록 구성된 2개의 단부 피스(35, end pieces)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특징은 통상의 기술자에게 공지되어 있으므로 하기에서 더이상 설명되지 않는다.
템플(4)은 서로 대칭된다. 각각의 템플(4)은 예를 들어 단부 피스(35) 중 하나에서 프레임 프론트(3)에 부착된다. 바람직하게, 각각의 템플(4)은 프레임 프론트(3)에 힌지 연결(hinged)된다. 바람직하게, 더욱이, 템플(4)은 템플(4)이 프레임 프론트(3)에 가까이 놓이는 닫힌 위치와 템플(4)이 실질적으로 평행하고 종방향(X)에서 서로 이격된 열린 위치 사이에서 전환된다.
하기 설명에서, 달리 특정되지 않는 한, 방향 및 거리는 개방 위치에서의 템플(4)을 가진 안경에 대해 나타낸다.
특히, 각각의 템플(4)은 스템(41, stem) 및 템플 팁(42)을 포함한다. 스템(41)은 실질적으로 직선이다. 스템(41)은 프레임 프론트(3)와 각각의 템플 팁(42) 사이에 배열된다. 따라서, 템플 팁(42)은 프레임 프론트(3)에 대해 원위 위치에 있다. 개방 위치에서 템플(4), 및 특히 스템(41)은 템플(4)의 평면을 정의한다.
템플 팁(42)은 상이한 형상 및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템플 팁(42)은 일반적으로 템플(4)의 단부로 정의된다. 스템(41)은 금속으로 만들어지는 경우, 템플 팁(42)은 사용자의 머리와 쾌적한 접촉을 촉진하기 위해 플라스틱 코팅(도시되지 않음)을 포함할 수 있다.
템플 팁(42)은 각각의 템플(4)의 스템(41)에 대해 경사질 수 있으며, 열린 위치에서 템플 팁(42)은 템플(4)의 스템(41)으로 정의된 평면 밖으로 연장된다. 바람직하게, 각각의 템플 팁(42)은 사용자의 귀 주위에 맞춰지도록 각각의 템플(4)의 스템(41)과 둔각을 형성한다.
각각의 템플 팁(42)은 말단부(43)를 갖는다. 상기 말단부(43), 또는 가능한 전체 템플 팁(42)은 연장부의 주 방향(Y)을 따라 주로 연장된다. 템플(4)의 템플 팁(42)이 연장부의 2개의 별개의 각각의 주 방향으로 연장된다.
도시된 실시예에 따라, 템플 팁(42)은 실질적으로 평평한 말단부(43)를 갖는다. 다시 말해서, 말단부(43)는 서로 수직하고 연장부의 주 방향(Y)에 수직한, 제1 섹션 방향(W) 및 제2 섹션 방향(Z)을 정의하는 단면을 갖는다. 특히, 말단부(43)의 단면은 제1 섹션 방향(W)의 유사한 길이에 대해 더 짧거나, 또는 무시할만한, 길이에 대해 제2 섹션 방향(Z)으로 연장된다. 일반적으로, 제2 섹션 방향(Z)은 사용자의 머리를 향해 연장되므로, 말단부(43)는 사용자에 대해 매끄러운 표면을 제공한다.
3개의 상이한 바람직한 표준 타입에 따라서, 템플 팁(42)은 각각, 3 mm, 5 mm, 및 13 mm와 같은 단면 크기를 갖는다. 특히, 얇은 타입의 템플 팁(42)을 가진 안경과 넓은 타입의 템플 팁(42)을 가진 안경이 존재한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주어진 구성요소의 섹션 치수는, 달리 나타내지 않는 한, 예를 들어, 제1 섹션 방향(W) 또는 제2 섹션 방향(Z)으로 템플 팁(42)의 연장부의 주 방향(Y)에 수직하게 측정될 수 있는 그러한 구성요소의 최대 치수를 의미하도록 항상 취해져야 한다.
본 발명의 관점에 따라, 2개의 연장부(1)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경(2)에 공동으로 적용될 수 있다. 하기 설명에서 명확해질 것처럼, 각각의 연장부(1)는, 별개의 타입, 즉, 얇을 타입과 넓은 타입의 템플 팁(42)을 가진 적어도 2개의 안경에 대해 적합할 수 있으며, 넓은 타입에 따른 템플(42)은 얇은 타입의 템플 팁(42)에 대해 더 큰 섹션 치수를 갖는다.
예를 들어, 템플 팁(42)은 그 섹션 치수가 3.5 mm 이하인 경우의 얇은 타입, 및 섹션 치수가 4.5 mm 이상의 넓은 타입으로 간주될 수 있다.
2개의 연장부(1)는 동일한 특징을 가지며, 서로 대칭이다. 다시 말해서, 연장부(1) 중 어느 하나의 형상은 평면에 대한 대칭으로 다른 연장부(1)의 형상으로부터 얻어질 수 있다.
2개의 연장부(1)는 상호 별개이며 독립된 구성요소이다. 단일 연장부(1)에 대해 또는 안경(2)의 단일 대칭하는 부분에 대해 나타낸 특징은 모든 연장부(1) 또는 안경(2)의 상응하는 대칭 부분 모두에 대해 적합한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각각의 연장부(1)는 바디(5)를 갖는다. 실시예에 따라, 바디(5)는 탄성중합체 재료로 만들어진다. 더욱 바람직하게, 바디(5)는 예를 들어, 액상 실리콘 고무 몰딩에 의해 제조된 실리콘 고무로 만들어진다. 그러한 재료는, 유연성, 저온 및 고온에 대한 저항성, 자외선 및 노화에 대한 저항성을 포함하는 상이한 바람직한 특징을 갖는다. 바람직하게, 그러한 재료는 400 % 내지 700 % 사이 범위의 신장율(elongation at break), 30 내지 70 사이의 쇼어 A 경도(Shore A hardness), 및 5 N/mm2 내지 12 N/mm2, 바람직하게 9 N/mm2 내지 11 N/mm2 사이의 인장 강도를 가질 수 있다.
바디(5)는 제1 단부(51)와 제2 단부(52) 사이에 연장된다. 바디(5)는 제1 세그먼트(53)와 제2 세그먼트(54)를 갖는다. 특히, 제1 단부(51)는 제1 세그먼트(53)에 위치하고, 제2 단부(52)는 제2 세그먼트(54)에 위치한다.
각각의 연장부(1)는 안경(2)의 각각의 템플 팁(42)에 고정되도록 구성된다. 특히, 제1 세그먼트(53)는 템플 팁(42)에 고정되게 된다.
하기 설명에서, 달리 특정되지 않은 한, 안경(2) 및 연장부(1)의 상호 위치는 2개의 연장부(1)가 각각의 템플 팁(42)(항상 템플(4)이 열린 위치에 있는)에 고정되도록 하는 것이다. 특히, 연장부(Y)의 주 방향, 제1 섹션 방향(W), 및 제2 섹션 방향(Z)에 대한 참조는 2개의 연장부(1)가 각각의 템플 팁(42)에 대해 고정되는 위치를 나타낸다.
제1 세그먼트(53)는 주로 인용한 연장부의 주 방향(Y)으로 연장된다. 바람직하게, 제1 세그먼트(53)는 템플 팁(42)을 가역 가능하게 수용하도록 구성된 공동(55)을 갖는다. 특히, 공동(55)은 연장부의 주 방향을 따라 템플 팁(42)을 수용한다.
바디(5)는 공동(55)의 템플 팁(42)의 삽입을 허용하기 위해 템플 팁(42)에 의해 관통되게 되는 제1 단부(51)에서의 개구부(56)를 갖는다. 공동(55)은 개구부(56)에 마주하는 바닥부(57)를 갖는다.
바람직하게, 개구부(56)는 템플 팁(42), 특히 그 말단부(43)를 유지하고, 템플 팁(42)에 대한 연장부(1)의 회전을 막기 위해 실질적으로 타원형을 갖는다. 특히, 개구부(56)는, 템플 팁(42)의 말단부(43)에 대해 이미 설명한 것과 유사한 방식으로, 제2 섹션 방향(Z)의 치수에 대해 더 큰 제1 섹션 방향(W)의 치수를 갖는다.
바람직하게, 템플 팁(42)이 개구부(56)를 통해 공동(55)으로 삽입될 때, 연장부(1)의 방향은 고정된다.
바람직하게, 개구부(56) 및/또는 공동(55)은 공동(55)의 템플 팁(42)의 삽입 및 보유를 허용하도록 탄성적으로 변형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사용자는 공동에서 탬플 팁(42)을 빼내기 위해 힘을 적용할 필요가 있으며, 이는 사용 중 갑작스런 분리의 위험을 방지한다.
도시된 실시예에 따라, 공동(55)은 제1 부분(58)과 제2 부분(59)을 갖는다. 공동(55)의 제1 부분(58)은 개구부(56)와 공동(55)의 제2 부분(59) 사이에 배치된다. 예를 들어,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공동(55)의 제2 부분(59)은 공동(55)의 바닥부(57)에 위치한다.
개구부(56)는 제1 부분(58)의 섹션 치수에 비해 더 작은 섹션 치수를 갖는다. 제2 부분(59)은 또한 제1 부분(58)의 섹션 치수에 비해 더 작은 섹션 치수, 예를 들어, 개구부(56)의 섹션 치수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치수를 갖는다.
상세하게, 공동(55)의 제1 부분(58)은 넓은 타입의 템플 팁(42)을 수용하게 되는 안착부를 형성한다. 더욱이, 공동(55)의 제2 부분(59)은 얇은 타입의 템플 팁(42)을 수용하게 되는 안착부를 형성한다. 그러므로, 연장부(1)는 얇은 타입의 템플 팁(42)을 가진 안경(2)과, 넓은 타입의 템플 팁(42)을 가진 안경(2) 모두에 대해 사용하기 적합하다.
그러므로, 개구부(56)와 공동(55)의 제2 부분(59)은 제1 부분(58)에 대해 공동(55)의 각각의 좁아지는 부분을 형성한다. 특히 공동(55)은 공동(55)의 제2 부분(59)에 대한 넓은 타입의 템플 팁(42)의 접근을 막도록 구성된다.
얇고 넓은 타입의 템플 팁(42)은 얇은 타입의 템플 팁(42)이 공동(55)의 제2 부분(59)으로 접근하게 되는 반면 넓은 타입의 템플 팁(42)은 제2 부분(59)에 대해서는 아닌 공동(55)의 제1 부분(58)에 대해 접근하게 되기 때문에 서로 구분될 수 있다. 특히, 넓은 타입의 템플 팁(42)은 제2 부분(59) 및/또는 개구부(56)의 섹션 치수보다 큰 섹션 치수를 갖는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예를 들어, 개구부(56)와 제2 부분(59)은 3 mm와 동일한 섹션 치수를 가지며, 공동(55)의 제1 부분(58)은 5 mm와 동일한 섹션 치수를 갖는다.
바람직하게,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넓은 템플 팁(42)은 변형될 수 있는 개구부(56)를 통해 지나갈 수 있으며, 공동(56)의 제1 부분(58)에 수용될 수 있다. 이는 공동(55)의 넓은 타입의 템플 팁의 위치의 안정성을 보장하기 충분하다.
예를 들어, 5 mm의 섹션 치수를 가진 표준 타입에 따른 템플 팁(42)은 공동(55)의 제1 부분(58)을 변형시키지 않고 제1 부분(58)에 수용되게 된다. 다시 말해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13 mm의 섹션 치수를 가진 템플 팁(42)은 공동(55)의 제1 부분(58)을 변형시키면서 제1 부분(58)에 수용되게 된다.
더욱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3 mm와 같은 섹션 치수를 가진 표준 타입에 따른, 얇은 타입의 템플 팁(42)은 공동(55)의 제2 부분(59)에 수용되게 된다. 그러므로, 얇은 타입의 템플 팁(42)은 또한 개구부(56)와 공동의 제1 부분(58)을 통해 지나간다.
바람직하게, 얇은 타입의 템플 팁(42)은 2개의 별개의 지점에서, 즉, 개구부(56) 및 공동(55)의 제2 부분(59)에서, 안정되게, 고정될 수 있다.
실질적으로 일정한 섹션을 가진 공동(55)을 갖춘 연장부(1)는 제한된 범위의 값의 섹션 치수를 가진 템플 팁(42)만을 수용하게 된다.
더욱이, 공동(55)이 단일의 좁아지는 부분(narrowing)을 형성하는 연장부(1)는 넓은 타입과 얇은 타입의 템플 팁(42)을 모두 수용할 수 있지만, 얇은 템플 팁(42)은 공동(55)에서 움직임의 과도한 자유도를 갖는다. 예를 들어, 개구부(56)가 공동(55)의 제1 부분(58)에 대해 좁아지는 부분을 형성하는 경우, 그러나 거기에 전술한 바와 같은 제2 부분(59)은 없다. 이러한 공동(55)에 삽입된 얇은 템플 팁(42)은 사실상 제1 부분(58) 내에서 회전할 수 있으며, 오직 개구부(56)에서만 위치가 유지된다.
다시 말해서, 본 발명에 따라 형성된 공동은 얇은 템플 팁(42)과 넓은 템플 팁(42) 모두를 수용하게 되어, 얇은 템플 팁(42)의 안정적인 위치를 또한 보장한다.
바람직하게, 연장부(1)는 공동(55)의 템플 팁(42)의 삽입 중 공동(55)에서 공기가 빠져나오게 하는 구멍(11)을 갖는다. 바람직하게, 공동(55)은 템플 팁(42)의 삽입에 대한 낮은 기계적인 저항성을 제공한다.
제2 세그먼트(54)는 제1 세그먼트(53)에 대해 경사진다. 제2 세그먼트(54)는 연장부의 주 방향(T)을 따라 연장된다. 특히, 제2 세그먼트(54)는 서로 별개인, 두 개의 각각의 연장부의 주 방향(T)을 따라 연장된다. 자세하게는, 각각의 제2 세그먼트(54)는 2 cm 내지 8 cm 사이, 바람직하게 3 cm와 같이 구성된 연장부를 갖는다.
제1 세그먼트(53)는 각각의 템플 팁(42)으로 각각 연결되고, 제2 세그먼트(54)는 각각의 템플 팁(42)에서 돌출된다. 더욱이, 이러한 조건에서, 제2 세그먼트(54)의 연장부의 주 방향(T)은,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모여지므로, 제2 세그먼트(54)는 사용자의 목에 안착될 수 있다.
특히, 템플 팁(42)들 사이의 거리는 각각의 연장부(1)의 제2 세그먼트(54) 사이의 거리보다 더 크다. 이러한 거리는 템플(4)이 열린 위치이며, 템플 팁(42)이 각각의 연장부(1)의 제1 세그먼트(53)에 연결된 상태로, 종방향(X)으로, 특히 템플(4)의 평면에서 측정된다.
이러한 구성에서, 각각의 제2 세그먼트(54)는 110 ° 내지 160 ° 사이의 각도 (B)로 각각의 제1 세그먼트(53)에 대해 기울어지며, 이는 2개의 템플(4), 즉, 템플의 스템(41)으로 정의된 평면에서 측정된다. 이러한 각도(B)는 상기 평면에서 특히 제1 세그먼트(53) 및 각각의 제2 세그먼트(54)의 돌출부에 의해 식별된다. 다시 말해서, 각도(B)는 제2 세그먼트(54)의 연장부의 주 방향(T)과 각각의 템플 팁(42)의 연장부의 주 방향(Y)의 템플(4)의 평면상의 투영에 의해 정의된다.
바람직하게, 연장부(1)의 부재시 사용자의 목은 안경(2)의 템플 팁(42) 사이에 구성된 공간을 쉽게 통과할 수 있지만, 연장부(1)가 있는 경우 연장부(1) 사이의 목이 지나가기 위한 충분한 공간이 없게 되어, 안경은 목에서 떨어지지 않는다.
템플 팁(42), 즉, 제1 세그먼트(53)에 대한 제2 세그먼트(54)의 전술한 방향을 보장하기 위해, 각각의 제2 세그먼트(54)의 연장부의 주 방향(T)은 각각의 템플 팁(42), 즉, 각각의 제1 세그먼트(53)의 제1 섹션 방향(W)에 실질적으로 수직한 평면에 놓인다.
바람직하게, 전술한 바와 같이, 템플 팁(42)에 대한 연장부(1)의 회전이 방지된다. 결과적으로, 제2 세그먼트(54)의 방향은 고정된다. 특히, 사용자가 목 주위에 안경을 착용할 때, 본 발명의 도시되지 않은 실시예에서, 제2 세그먼트(54)가 또한 부분적으로 아래를 향해, 즉, 사용자의 어깨 뒤로 전개하는 경우에도, 그러한 방향은 사용자의 목 뒤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향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안경(2)은 각각의 연장부(1)를 먼저 각각의 템플 팁(42)에 고정함으로써 사용될 수 있다. 특히, 이러한 고정은 개구부(56)를 통해 공동(55)에 템플 팁(42)의 말단부(43)를 삽입함으로써 수행된다. 삽입시, 연장부(1)는 템플 팁(42)의 말단부(43)의 실질적으로 평평한 형상과 개구부(56)의 타원형 형태로 인해 템플 팁(42)에 대해 지향된다.
그 후, 사용자는 템플 팁(42)이 귀에 안착되어, 연장부(1)를 가진 안경(2)을 얼굴에 착용할 수 있으며, 또는 사용자는 목 뒤에 연장부(1)의 제2 세그먼트(54)가 안착되어 있는 상태로 안경(2)을 목 주위에 착용할 수 있다.

Claims (15)

  1. - 프레임 프론트(3);
    - 상기 프레임 프론트(3)에 부착되며, 각각의 템플(4)이 각각의 템플 팁(42)을 갖는, 한 쌍의 템플(4);
    - 상기 각각의 템플 팁(42)에 각각 제거 가능하게 고정된 한 쌍의 연장부(1), 여기서, 상기 연장부(1) 각각은 제1 단부(51)와 제2 단부(52) 사이에서 연장된 바디(5)를 포함함;를 포함하는 안경(2)으로서, 상기 바디(5)는:
    - 상기 각각의 템플 팁(42)에 고정된 제1 세그먼트(53), 여기서, 상기 각각의 연장부(1)의 제1 세그먼트(53)는 각각의 템플 팁(42)을 가역적으로 수용하도록 구성된 공동(55)을 가짐;
    - 상기 공동(55)으로의 각각의 템플 팁(42)의 삽입을 허용하기 위해 각각의 템플 팁(42)에 의해 통과되는 제1 단부(51)의 개구부(56); 및
    - 상기 제1 세그먼트(53)에 대해 경사지고 연장부의 각각의 주 방향(T)을 따라 연장되는 제2 세그먼트(54);를 가지며,
    - 상기 제1 세그먼트(53)는 각각의 템플 팁(42)으로 각각 연결되고, 상기 제2 세그먼트(54)는 각각의 템플 팁(42)에서 돌출되며, 상기 제2 세그먼트(54)의 연장부의 주 방향(T)은 서로 모여들어 상기 제2 세그먼트(54)가 사용자의 목에 안착될 수 있고,
    - 상기 공동(55)은 제1 부분(58) 및 제2 부분(59)을 가지며, 공동(55)의 제1 부분(58)은 개구부(56)와 공동(55)의 제2 부분(59) 사이에 배열되고,
    - 상기 개구부(56)는 제1 부분(58)의 섹션 치수에 대해 더 작은 섹션 치수를 가지며,
    - 상기 제2 부분(59)은 제1 부분(58)의 섹션 치수에 대해 더 작은 섹션 치수를 갖는, 안경(2).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연장부(1)는 각각의 템플 팁(42)의 삽입 중 공동(55)으로부터 공기가 빠져나오게 하는 구멍(11)을 갖는, 안경(2).
  3.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56) 및 상기 공동(55) 중 적어도 하나는 공동(55)에서의 각각의 템플 팁(42)의 삽입 및 보유를 허용하도록 탄성적으로 변형가능한, 안경(2).
  4. 청구항 1 내지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연장부(1)의 개구부(56)는 타원형을 갖는, 안경(2).
  5. 청구항 1 내지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 각각의 공동(55)은 개구부(56)에 마주하는 바닥부(57)를 가지며, 및
    - 상기 제2 부분(59)은 상기 바닥부(57)에 위치하는, 안경(2).
  6. 청구항 1 내지 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개구부(56)는 공동(55)의 제2 부분(59)의 섹션 치수와 같은 치수를 갖는, 안경(2).
  7. 청구항 1 내지 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연장부(1)의 바디(5)는 탄성중합체 재료로 만들어지는, 안경(2).
  8. 청구항 1 내지 7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제2 세그먼트(54)는 2 cm 내지 8 cm 사이, 바람직하게 3 cm와 같은 연장부를 가진, 안경(2).
  9. 청구항 1 내지 8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템플 팁(42)들 사이의 거리는 각각의 연장부(1)의 제2 세그먼트(54)들 사이의 거리보다 큰, 안경(2).
  10. 청구항 1 내지7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제2 세그먼트(54)는 110 ° 내지 160 ° 사이의 각도로 각각의 제1 세그먼트(53)에 대해 경사지며, 이는 2개의 템플(4)에 의해 정의된 평면에서 측정되는, 안경(2).
  11. 청구항 4에 있어서,
    - 상기 각각의 템플 팁(42)은 실질적으로 평평한 말단부(43),
    - 상기 각각의 연장부(1)의 상기 개구부(56)는 상기 말단부(43)를 고정하고 각각의 템플 팁(42)에 대한 연장부(1)의 회전을 막기 위해 타원형 형태를 갖는, 안경(2).
  12. 청구항 1 내지 11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56) 및 공동(55)의 제2 부분(59)은 공동(55)의 제1 부분(58)에 대해 공동(55)의 각각의 좁아지는 부분을 형성하는, 안경(2).
  13. 청구항 1 내지 12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 상기 공동(55)의 제1 부분(58)은 넓은 타입의 템플 팁(42)을 수용하기 위한 안착부를 형성하며,
    - 상기 공동(55)의 제2 부분(59)은 얇은 타입의 템플 팁(42)을 수용하기 위한 안착부를 형성하고, 및
    - 상기 공동(55)은 공동(55)의 제2 부분(59)으로의 넓은 타입의 템플 팁(42)의 접근을 막기 위한 형태를 갖는, 안경(2).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공동의 제1 부분(58)은 넓은 타입의 템플 팁(42)을 수용하도록 변형 가능한, 안경(2).
  15. 청구항 13 또는 14에 따른 제1 안경(2)과 청구항 13 또는 14에 따른 제2 안경(2)을 포함하는 안경 쌍으로서, 상기 제1 안경(2)은 넓은 타입의 템플 팁(42)을 가지며 제2 안경(2)은 얇은 타입의 템플 팁(42)을 갖고, 제1 안경(2)의 템플 팁(42)은 제2 안경(2)의 템플 팁(42)에 대해 더 큰 섹션 치수를 갖는, 안경 쌍.
KR1020197001282A 2016-06-16 2017-06-15 연장부를 갖춘 안경 KR10251002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IT102016000062075 2016-06-16
ITUA2016A004428A ITUA20164428A1 (it) 2016-06-16 2016-06-16 Kit di prolunghe per occhiali
PCT/IB2017/053556 WO2017216749A1 (en) 2016-06-16 2017-06-15 Glasses with extension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4530A true KR20190034530A (ko) 2019-04-02
KR102510024B1 KR102510024B1 (ko) 2023-03-14

Family

ID=571846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01282A KR102510024B1 (ko) 2016-06-16 2017-06-15 연장부를 갖춘 안경

Country Status (13)

Country Link
US (1) US11009720B2 (ko)
EP (1) EP3472659B1 (ko)
JP (1) JP2019523911A (ko)
KR (1) KR102510024B1 (ko)
CN (1) CN109716210B (ko)
CA (1) CA3027522A1 (ko)
CH (1) CH712618B1 (ko)
DK (1) DK3472659T3 (ko)
ES (1) ES2837199T3 (ko)
IT (1) ITUA20164428A1 (ko)
PT (1) PT3472659T (ko)
RU (1) RU2740857C2 (ko)
WO (1) WO2017216749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10624B1 (ko) 2022-09-20 2023-03-15 이미진 탈부착 가능한 모듈형 안경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48574A (ja) * 1996-07-30 1998-02-20 Akashi Keita 磁石付き眼鏡
US6644808B1 (en) * 2002-08-07 2003-11-11 Chums, Inc. End fastener for eyeglass retainers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539922A (en) * 1949-04-19 1951-01-30 Eye Glass Products Inc Spectacle neck support
US3666355A (en) * 1971-02-16 1972-05-30 Arthur G Griffith Eyeglass temple
US3957361A (en) * 1974-11-07 1976-05-18 Bucciconi Engineering Co., Inc. Spring attachment for eyeglass frames
JPH0684427U (ja) * 1993-05-22 1994-12-02 オリエント眼鏡株式会社 メガネフレームのツル
IT1293363B1 (it) * 1997-05-29 1999-02-25 Killer Loop Eyewear Srl Dispositivo di interconnessione, particolarmente per occhiali
US6941619B2 (en) * 2001-11-30 2005-09-13 Snugz/Usa Incorporated Eyeglass retainer with dual use connectors
JP2005189787A (ja) * 2003-12-25 2005-07-14 Nakatani Gankyo Kk モダン
US7185982B2 (en) * 2004-05-04 2007-03-06 Gripping Eyewear, Inc. Multiple piece eyeglasses temple tip
US6843562B1 (en) * 2004-06-23 2005-01-18 Eyeconcept Limited Spectacle frame with telescopic extendable temples and integrated magnets
JP4070777B2 (ja) * 2005-04-11 2008-04-02 株式会社ビジョンメガネ 眼鏡フレーム用テンプル
JP2006323009A (ja) * 2005-05-17 2006-11-30 Kobayashi Gankyo Kogyosho:Kk 眼鏡
US7441891B2 (en) * 2006-12-28 2008-10-28 Blaine Schatz Eyeglass retainer
GB0706476D0 (en) * 2007-04-03 2007-05-09 Fairclough Max Spectacle improvement 4
JP3141598U (ja) * 2008-02-28 2008-05-08 株式会社グラスパートナー 眼鏡用テンプル構造
DE102011008966A1 (de) * 2011-01-08 2012-07-12 Walter Biendl Umhängbare Brille
AR084933A1 (es) * 2012-01-27 2013-07-10 Buch & Deichmann S A Anteojos con medios de sosten para ser retenidos en el cuello del usuario
CN103076689A (zh) * 2013-02-08 2013-05-01 戴俊 基于杠杆原理减小鼻梁所受眼镜压力的方法及其调节装置
JP3183633U (ja) * 2013-03-12 2013-05-30 株式会社ベイライン 眼鏡
CN103412413A (zh) * 2013-08-29 2013-11-27 苏州市烨铭塑胶制品厂 一种防滑落眼镜架
JP3198964U (ja) * 2015-05-19 2015-07-30 株式会社シャルマン 眼鏡
CN207380375U (zh) * 2016-06-16 2018-05-18 富莱尔方案解决有限责任公司 用于眼镜的延伸部的套件及眼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48574A (ja) * 1996-07-30 1998-02-20 Akashi Keita 磁石付き眼鏡
US6644808B1 (en) * 2002-08-07 2003-11-11 Chums, Inc. End fastener for eyeglass retainers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10624B1 (ko) 2022-09-20 2023-03-15 이미진 탈부착 가능한 모듈형 안경
WO2024063254A1 (ko) 2022-09-20 2024-03-28 이미진 탈부착 가능한 모듈형 안경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S2837199T3 (es) 2021-06-29
DK3472659T3 (da) 2020-12-21
US11009720B2 (en) 2021-05-18
JP2019523911A (ja) 2019-08-29
RU2018143891A (ru) 2020-06-11
CH712618B1 (it) 2021-01-29
CN109716210A (zh) 2019-05-03
CH712618A2 (it) 2017-12-29
PT3472659T (pt) 2020-12-24
EP3472659A1 (en) 2019-04-24
US20190137782A1 (en) 2019-05-09
CN109716210B (zh) 2020-10-02
RU2740857C2 (ru) 2021-01-21
EP3472659B1 (en) 2020-09-23
CA3027522A1 (en) 2017-12-21
KR102510024B1 (ko) 2023-03-14
RU2018143891A3 (ko) 2020-11-02
WO2017216749A1 (en) 2017-12-21
ITUA20164428A1 (it) 2017-1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06372B2 (en) Eyewear with multi-function insert chassis clips
US7926937B2 (en) Eyewear
JP7280613B2 (ja) 眼鏡、及び眼鏡支持部材
KR20150142675A (ko) 코받침 조립체 및 대응 안경테
AU730382B2 (en) Safety goggles, in particular industrial safety goggles
KR0127493Y1 (ko) 안경다리의 단부에서 또는 노우즈 피스에서 패드부분을 가지는 안경
US11281021B2 (en) Eyeglasses
KR20200125741A (ko) 안경
KR102510024B1 (ko) 연장부를 갖춘 안경
US10108025B1 (en) Eyeglass holding device
KR101942089B1 (ko) 범용 보조안경
KR200493284Y1 (ko) 안경용 연장부의 키트
TW201809805A (zh) 支架臂及製造支架臂的方法
US20050094091A1 (en) Assembling structure of a pair of glasses
JP7250322B2 (ja) 顔面装着具
JP7356699B2 (ja) 異種類レンズ用眼鏡状のフレーム
JP3225281U (ja) 保持性にすぐれたメガネ
KR102132368B1 (ko) 코 자극을 최소화하는 안경
KR20190002579U (ko) 안경 프레임의 노즈피스를 위한 삽입체
JP3107987U (ja) 眼鏡フレーム
JP2021001982A (ja) 眼鏡
JP2009128493A (ja) 遠近両用メガネ用の可変ノーズパッド
US20130329182A1 (en) Interlocking temple connectors for eyewear and associated eyewear apparatus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