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30175A - 차량에서 선행 차량의 가속도를 디스플레이하는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에서 선행 차량의 가속도를 디스플레이하는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30175A
KR20190030175A KR1020180108369A KR20180108369A KR20190030175A KR 20190030175 A KR20190030175 A KR 20190030175A KR 1020180108369 A KR1020180108369 A KR 1020180108369A KR 20180108369 A KR20180108369 A KR 20180108369A KR 20190030175 A KR20190030175 A KR 201900301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graphic object
acceleration
assigned
vehicl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083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16339B1 (ko
Inventor
닐스 쿠안더
Original Assignee
폭스바겐 악티엔 게젤샤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폭스바겐 악티엔 게젤샤프트 filed Critical 폭스바겐 악티엔 게젤샤프트
Publication of KR201900301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301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63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63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30/00Purpos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of systems using 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r advanced driver assistance systems for ensuring comfort, stability and safety or drive control systems for propelling or retarding the vehicle
    • B60W30/14Adaptive cruise control
    • B60W30/16Control of distance between vehicles, e.g. keeping a distance to preceding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Arrangement of adaptations of instruments
    • B60K35/22
    • B60K35/23
    • B60K35/28
    • B60K35/29
    • B60K35/85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7/00Brake-action initiating means
    • B60T7/12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automatic initiation; for initiation not subject to will of driver or passenger
    • B60T7/22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automatic initiation; for initiation not subject to will of driver or passenger initiated by contact of vehicle, e.g. bumper, with an external object, e.g. another vehicle, or by means of contactless obstacle detectors mounted on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40/0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 B60W40/02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related to ambient cond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B60W50/14Means for informing the driver, warning the driver or prompting a driver interven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3/00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e.g. radar systems; Analogous systems using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waves whose nature or wavelength is irrelevant or unspecified
    • G01S13/02Systems using reflection of radio waves, e.g. primary radar systems; Analogous systems
    • G01S13/06Systems determining position data of a target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16Anti-collision systems
    • G08G1/166Anti-collision systems for active traffic, e.g. moving vehicles, pedestrians, bikes
    • B60K2360/167
    • B60K2360/177
    • B60K2360/179
    • B60K2360/188
    • B60K2360/334
    • B60K2360/48
    • B60K2360/5915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300/00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 B60R2300/20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display used
    • B60R2300/205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display used using a head-up displa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300/00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 B60R2300/80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characterised by the intended use of the viewing arrangement
    • B60R2300/804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characterised by the intended use of the viewing arrangement for lane monito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B60W50/14Means for informing the driver, warning the driver or prompting a driver intervention
    • B60W2050/143Alarm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B60W50/14Means for informing the driver, warning the driver or prompting a driver intervention
    • B60W2050/146Display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42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type of sensors based on the principle of their operation
    • B60W2420/40Photo or light sensitive means, e.g. infrared sensors
    • B60W2420/403Image sensing, e.g. optical camera
    • B60W2420/408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42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type of sensors based on the principle of their operation
    • B60W2420/42Image sensing, e.g. optical camer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42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type of sensors based on the principle of their operation
    • B60W2420/52Radar, Lida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42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type of sensors based on the principle of their operation
    • B60W2420/54Audio sensitive means, e.g. ultrasoun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54/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objects
    • B60W2554/40Dynamic objects, e.g. animals, windblown objects
    • B60W2554/404Characteristics
    • B60W2554/4041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54/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objects
    • B60W2554/80Spatial relation or speed relative to objects
    • B60W2554/804Relative longitudinal speed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01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 G02B2027/0141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characterised by the informative content of the display

Abstract

차량에서 선행 차량의 가속도를 디스플레이하는 방법 및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은 차량(7)에서 선행 차량(F1 - F8)의 제동 동작을 디스플레이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서 상기 선행 차량(F1 - F8)이 검출된다. 상기 선행 차량(F1 - F8)의 가속도에 대한 데이터가 검출된다. 또한 상기 가속도에 대한 데이터로부터 제1 가속도를 갖는 제1 선행 차량(F6 - F8)이 결정되고, 상기 제1 가속도는 미리 결정된 임계값보다 크거나 또는 동일한 크기를 갖는 음의 가속도이다. 또한 디스플레이 표면(3.1, 6) 상에 제1 그래픽 오브젝트(8.1 - 8.3)가 생성되고, 각각의 제1 선행 차량(F6 - F8)에는 제1 그래픽 오브젝트(8.1 - 8.3)가 할당되고, 상기 제1 그래픽 오브젝트는 상기 제1 그래픽 오브젝트(8.1 - 8.3)에 할당되어 있는 상기 제1 선행 차량(F6 - F8)이 상기 제1 가속도를 갖는다는 것을 나타낸다. 본 발명은 또한 차량(7)에서 선행 차량(F1 - F8)의 가속도를 디스플레이하는 장치(1)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차량에서 선행 차량의 가속도를 디스플레이하는 방법 및 장치{METHOD AND DEVICE FOR DISPLAYING ACCELERATIONS OF PRECEDING VEHICLES IN A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에서 선행 차량의 가속도를 디스플레이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차량에서 선행 차량의 가속도를 디스플레이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높아지는 차량 및 차창의 어두워지는 경향은 작고 낮은 차량의 운전자가 특히 교통량이 많은 경우 현재 교통 상황에 대한 개요를 추적하는 것을 어렵게 만든다. 선행 차량에 대한 시야 및 시계(visual field)는 이 경우 분명히 제한되게 된다. 일반적으로 바로 선행 주행하는 차량까지만 볼 수 있게 된다. 따라서 특히 교통량이 매우 많은 도시 지역에서는 미리 예측하여 주행하는 것이 점점 더 어려워진다.
이 경우 다른 도로 사용자와의 충돌을 회피할 수 있도록 운전자를 지원하는 다양한 운전자 보조 시스템이 공지되어 있다. 이 경우 이러한 운전자 보조 시스템은 차량의 정상 운전에 적극적으로 개입하고, 필요한 경우 차량을 감속한다.
이러한 목적으로, DE 10 2014 008 897 A1호는 제1 및 제2 자동차 사이의 충돌에 대한 예상 시간을 결정하기 위한 방법을 개시한다. 이 경우, 제2 자동차에 대한 위치 데이터가 제1 자동차에 의해 검출된다. 이로부터 그리고 추가의 운동 데이터로부터 제2 자동차에 대한 미래 궤도가 결정된다.
또한, 차량의 종 방향 이동을 조절하기 위한 방법이 DE 10 2010 046 236 A1호에 공지되어 있다. 이 경우 선행 차량에 대한 거리가 결정된다. 차량의 순간 가속도에 대한 설정 값은 결정된 거리에 따라 결정된다. 차량의 가속도는 그 후 자동으로 현재 설정 값에 대해 조정된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에서의 단점은 예측 운전에 대해 운전자를 지원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예측 운전을 가능하게 하는 서두에 언급된 유형의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러한 목적은 청구항 제1항의 특징을 포함하는 방법 및 청구항 제10항의 특징을 포함하는 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유리한 실시예 및 추가의 발전예는 종속항으로부터 나타난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서, 선행 차량이 검출된다. 또한 선행 차량의 가속도에 대한 데이터가 검출된다. 가속도에 대한 데이터로부터, 제1 가속도를 갖는 제1 선행 차량이 결정되고, 여기서 제1 가속도는 미리 결정된 임계값보다 크거나 또는 동일한 크기를 갖는 음의 가속도이다. 또한, 제1 그래픽 오브젝트가 디스플레이 표면 상에 생성되고, 여기서 각각의 제1 선행 차량에는 제1 그래픽 오브젝트가 할당되고, 상기 제1 그래픽 오브젝트는 제1 그래픽 오브젝트에 할당되어 있는 제1 선행 차량이 제1 가속도를 갖는다는 것을 나타낸다.
따라서, 제1 선행 차량은 음의 가속도를 갖는다. 차량이 감속된다. 그러나, 제1 선행 차량에 대해, 감속도의 크기가 미리 결정된 임계값보다 큰 것으로 검출된다. 따라서 모든 더 느려지는 차량에 대해 제1 그래픽 오브젝트가 생성되는 것이 아니라, 음의 가속도의 크기가 임계값보다 크거나 또는 동일한 그래픽 오브젝트에 대해서만 생성된다. 이 경우, 특히 차량 브레이크를 활성화시킴으로써 차량이 능동적으로 감속될 때, 제1 차량의 음의 가속도의 크기는 임계값보다 크거나 또는 동일하다. 차량은 제동 동작을 수행하는 것이다. 후속 차량에게는 이러한 제동 동작이 특히 차량 후방의 브레이크등의 활성화에 의해 디스플레이된다.
그러므로, 특히 제1 가속도는 제1 차량이 능동적으로 감속되는 제동 동작에 의해 발생되는 것으로 결정된다. 음의 가속도는 이 경우 제동 감속도이다.
또한, 차량은 브레이크 페달의 조작에 의해 감속되지 않는 경우에도 음의 가속도를 가질 수 있다. 기어 단을 넣고 발을 가속 페달에서 떼어내면, 소위 차량의 엔진 브레이크가 작동한다. 차량은 속도가 느려지지만, 능동적으로 감속되지는 않는다. 이 경우 이에 의해 야기된 감속의 강도는 차량이 현재 주행하고 있는 기어 단에 의존한다. 운전자가 고속에서 낮은 기어 단을 넣는 경우, 차량은 운전자가 고속인 상황에서 가속 페달에서 발을 뗄 뿐 기어 단을 변경하지는 않는 경우보다 더 강하게 감속된다. 따라서, 발생된 음의 값의 가속도의 크기는 엔진 브레이크의 경우에도 임계값보다 크거나 또는 동일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그래픽 오브젝트는 또한 엔진 브레이크를 통해 감속되는 선행 차량에도 할당될 수 있다. 엔진 브레이크의 또 다른 경우는 전기 자동차의 회복에서도 발생한다.
마지막으로, 제1 선행 차량의 음의 가속도의 크기는 장애물과 충돌하는 경우에도 미리 결정된 임계값보다 크거나 또는 동일할 수 있다. 이 경우 발생하는 음의 가속도는 차량의 속도 및 장애물의 속도와 변형 가능성에 의존한다. 이러한 충돌에서 감속은 일반적으로 너무 커서, 미리 결정된 임계값보다 크거나 또는 동일하다.
미리 결정된 임계값은 이 경우 특히 0.2 m/s2 내지 0.5 m/s2의 범위 내에 있다. 바람직하게는, 미리 결정된 임계값은 0.3 m/s2이다. 그러한 낮은 임계값은 특히 스톱-앤-고(stop-and-go) 트래픽에서 특히 유리한데, 왜냐하면 이미 선행 차량이 약 5초 이내에 약 5 km/h의 비교적 낮은 속도에서 감속하여 정차할 때, 제1 그래픽 오브젝트가 생성되기 때문이다.
또한 기어 단을 넣지 않고 가속 페달이 더 이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에도 차량은 더 느려진다. 이러한 경우 차량은 롤링되어 정지된다. 그러나 음의 가속도의 크기는 이 경우 일반적으로 미리 결정된 임계값보다 크거나 또는 동일하지 않다.
차량의 운전자에게는 제1 그래픽 오브젝트를 통해 유리하게는, 음의 가속도가 바로 선행 주행하는 차량과의 충돌을 회피하기 위해 예측 가능한 미래에 자기 차량을 제동해야 한다는 사실로 이끄는 선행 차량이 디스플레이된다.
이 경우 차량에 더 가까이 위치하는 다른 선행 차량에 의해 가려져 있기 때문에, 차량의 운전자가 선행 차량을 볼 수 없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운전자는 가려진 선행 차량이 능동적으로 제동하는 경우 즉시 이를 검출할 수 없다. 운전자는 가려진 선행 차량이 제동하는 경우에만 이를 감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표면 상에 제1 그래픽 오브젝트가 생성되고, 상기 제1 그래픽 오브젝트는 제1 그래픽 오브젝트에 할당되어 있는 차량이 제동 동작을 수행하고 있다는 것을 나타낸다. 이를 통해 차량의 운전자는 앞유리를 통해 이를 검출할 수 없거나 또는 어렵게만 검출할 수 있는 경우에도 선행 차량이 제동하고 있다는 것을 인식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유리하게는 차량의 운전자가 마찬가지로 제동을 수행하기 위해 조기에 준비할 수 있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운전자가 제동하도록 준비하기 위해 사용할 수 있는 시간은 선행 차량이 제동하고 있다는 조기의 디스플레이에 의해 크게 연장될 수 있다. 따라서, 선행 차량과의 충돌에 대한 확률이 이를 통해 유리하게는 감소될 수 있다.
예측 주행을 위한 디스플레이는 또한 자율 또는 부분 자율 주행 작동을 위해 사용될 수 있으므로, 운전자에 의한 자율 또는 부분 자율 주행을 위한 승인 절차를 향상시킬 수 있다. 자율 주행하는 차량 내에 있는 승객은 이 경우 차량의 주행 조작을 보다 쉽게 이해하여, 이를 통해 시스템에 대한 신뢰를 일정하게 향상시킬 수 있다. 디스플레이가 임박한 자동 제동에 대해 유리한 방식으로 보다 양호하게 차량 탑승자를 준비시키기 때문이다.
일 실시예에서, 가속도에 대한 데이터로부터 제2 가속도를 갖는 제2 선행 차량이 결정되며, 여기서 제2 가속도는 미리 결정된 임계값보다 더 작은 크기를 갖는 음의 가속도이거나, 양의 가속도이거나 또는 0이다. 또한, 이 때 디스플레이 표면 상에 제2 그래픽 오브젝트가 생성되고, 각각의 제2 선행 차량에는 제2 그래픽 오브젝트가 할당되고, 상기 제2 그래픽 오브젝트는 제2 그래픽 오브젝트에 할당되어 있는 제2 선행 차량이 제2 가속도를 갖는다는 것을 나타낸다. 그 다음에 유리하게는 각각의 선행 차량에 대해, 그에 할당되어 있는 그래픽 오브젝트가 디스플레이 표면 상에 생성된다.
따라서, 검출된 모든 선행 차량은 분류된다. 차량이 어떤 클래스로 분류되는지는 이 경우 차량에 대해 검출된 가속도에 따라 다르다. 제1 가속도를 갖는 차량은 제1 클래스로 분류되고 제2 가속도를 갖는 차량은 제2 클래스로 분류된다. 또한, 제2 클래스의 차량은 다시 다른 클래스로 분류될 수 있다. 임계값보다 작은 크기를 갖는 음의 가속도를 갖는 제2 차량은 제3 클래스로 분류될 수 있다. 일정한 속도, 즉 가속도가 0인 제2 차량은 제4 클래스로 분류될 수 있고 그리고/또는 양의 가속도를 갖는 제2 차량은 제5 클래스로 분류될 수 있다. 이 경우 또한 제2 그래픽 오브젝트는 다시 세분되어, 임계값보다 작은 크기를 갖는 음의 가속도를 갖는 선행 차량에 대해서는 제3 그래픽 오브젝트가 생성되고, 일정한 가속도를 갖는 차량에 대해서는 제4 그래픽 오브젝트가 생성되고, 양의 가속도를 갖는 차량에 대해서는 제5 그래픽 오브젝트가 디스플레이 표면 상에 생성된다. 이를 통해 차량의 운전자에게는 유리하게는 어떤 선행 차량이 어떤 클래스에 할당되어 있는지가 디스플레이된다.
특히, 선행 차량의 서로에 대한 위치가 검출될 수 있고, 여기서 제1 및/또는 제2 그래픽 오브젝트는 디스플레이 표면 상에 배치되어, 디스플레이 표면 상의 제1 및/또는 제2 그래픽 오브젝트의 위치는 이들에게 할당되어 있는 선행 차량들의 서로에 대한 위치를 나타낸다. 이를 통해 유리하게도 운전자가 제동 차량이 어떤 위치에 위치하는지를 명확하게 할당할 수 있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운전자는 다른 선행 차량에 의해 가려지는 선행 차량들의 서로에 대한 위치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운전자는 차량 중 어떤 것이 제동 동작을 수행하는지를 보다 양호하게 추정할 수 있다.
또한, 차량에 대한 선행 차량들의 거리가 감지될 수 있고, 상기 거리는 대응하는 그래픽 오브젝트에 의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이 경우 운전자는 유리하게는 광학 거리 디스플레이에 의해 지원된다.
또한, 제1 그래픽 오브젝트의 제1 피처는 제1 그래픽 오브젝트에 할당되어 있는 제1 차량의 가속도의 크기에 의존할 수 있고 그리고/또는 제2 그래픽 오브젝트의 제1 피처는 제2 그래픽 오브젝트에 할당되어 있는 제2 차량의 가속도의 크기에 의존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운전자에 의해 특히 제1 차량의 제동 감속도의 크기가 직관적으로 검출될 수 있다. 특히, 이를 통해 운전자는 선행 차량과의 충돌을 방지하기 위해, 자신이 스스로 차량을 얼마나 강하게 감속해야 하는지를 유리하게는 조기에 보다 양호하게 결정할 수 있다.
제1 피처는 이 경우 특히 제1 및/또는 제2 그래픽 오브젝트의 크기이다. 특히 제1 및/또는 제2 그래픽 오브젝트의 크기는 가속도의 검출된 크기에 비례한다. 선행 차량의 검출된 크기가 더 클수록, 선행 차량에 할당된 그래픽 오브젝트는 디스플레이 표면 상에 더 크게 표현된다. 이는 바람직하게는 제1 차량에 할당되어 있는 제1 그래픽 오브젝트에 대해 적용된다. 이를 통해, 차량의 운전자는 특히 개별 차량의 제동 감속도를 양호하게 추정할 수 있다.
또한, 제1 그래픽 오브젝트는 제2 그래픽 오브젝트와 적어도 하나의 제2 피처가 상이할 수 있다. 제2 피처는 특히 제1 및/또는 제2 그래픽 오브젝트의 컬러, 형상 및/또는 충전 패턴을 포함한다. 이 경우 제1 그래픽 오브젝트는 특히 적색으로 착색되고, 제2 그래픽 오브젝트는 녹색으로 착색될 수 있다. 또한, 제3, 제4 및 제5 그래픽 오브젝트는 제2 피처에 의해 서로 구별될 수도 있다. 따라서 예를 들어 제3 그래픽 오브젝트는 주황색으로, 제4 그래픽 오브젝트는 짙은 청색으로 그리고 제5 그래픽 오브젝트는 녹색으로 착색될 수 있다. 특히, 컬러, 형상 및/또는 충전 패턴은 서로 조합될 수도 있다.
특히, 가속도의 변화가 검출될 때, 제2 피처는 변경된다. 예를 들어, 제1 차량이 양의 값으로 가속되기 시작하면, 제2 차량이 된다. 그러면 제1 그래픽 오브젝트가 제2 그래픽 오브젝트로 전환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 표면은 선행 차량을 볼 수 있는 시계 디스플레이의 일부이다. 제1 및/또는 제2 그래픽 오브젝트는 차량의 운전자의 시계에 투사되어, 제1 및/또는 제2 그래픽 오브젝트는 이들에게 할당된 선행 차량을 표시한다. 예를 들어 그래픽 오브젝트는 자신에게 할당된 선행 차량을 가리키는 화살표로 구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동하는 차량에 할당되는 선행 차량은 유리하게는 운전자에게 명확하게 표시된다. 특히, 화살표는 증강 현실 디스플레이(Augmented Reality Display)의 디스플레이의 일부로서 생성될 수 있다.
또한 특히 차량과 동일한 차선 상에 위치하고 있는 선행 차량이 검출된다. 또한, 차량의 바로 전방에서 주행하는 차량이, 차량의 바로 전방에서 주행하는 상기 차량의 전방에서 검출되는 차량의 적어도 일부에 대한 시계를 적어도 대부분 차단하는 것이 검출된다. 할당되어 있는 제1 그래픽 오브젝트 및/또는 제2 그래픽 오브젝트는 디스플레이 표면 상에 공간 배열로 디스플레이되어, 상기 차량에 대한 선행 차량의 상대 거리는 공간 디스플레이로부터 나타난다. 공간 배열은 특히 그래픽 오브젝트가 디스플레이 표면 상의 동일한 디스플레이 레벨로 투사되는 시계 디스플레이가 디스플레이를 위해 사용되는 경우에 유리하다. 차선이 직선의 차선 프로파일을 갖는 경우, 선행 차량의 주행 방향에 대한 횡 방향 위치는 본질적으로 동일하다. 선행 차량에 할당되어 있는 그래픽 오브젝트는 이 경우 그들에게 할당되어 있는 차량들을 표시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 표면 상의 실질적으로 동일한 위치에서 생성되어야 한다. 그러나 이러한 경우 운전자가 서로 구별하기 어려울 수 있다. 따라서, 그래픽 오브젝트들은 예를 들어 차량의 바로 전방에서 주행하는 차량에 할당되어 있는 그래픽 오브젝트가 차례로 그 차량의 전방에서 주행하는 차량에 할당되어 있는 그래픽 오브젝트를 용이하게 가리도록 배치된다. 이 그래픽 오브젝트는 차례로 그 전방에서 주행하는 차량에 할당되어 있는 다음 그래픽 오브젝트를 다시 용이하게 가린다. 따라서 운전자는 특히 자기 차량에 대한 선행 차량의 상대적인 거리를 추정할 수 있다. 특히 운전자는 이를 통해 차량 열에 있는 차량들 중 어떤 것이 제동하는지를 직관적으로 검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차량에서 선행 차량의 제동 동작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 장치는 상기 선행 차량 및 상기 선행 차량의 가속도에 대한 데이터를 검출할 수 있는 검출 장치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장치는 상기 가속도에 대한 데이터로부터 제1 가속도를 갖는 제1 선행 차량을 결정할 수 있는 결정 장치를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제1 가속도는 미리 결정된 임계값보다 크거나 또는 동일한 크기를 갖는 음의 가속도이다. 또한 상기 장치는 제어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디스플레이 표면 상에 제1 그래픽 오브젝트가 생성되도록 상기 제어 장치에 의해 활성화될 수 있고, 각각의 제1 선행 차량에는 제1 그래픽 오브젝트가 할당되고, 상기 제1 그래픽 오브젝트는 상기 제1 그래픽 오브젝트에 할당되어 있는 상기 제1 선행 차량이 제동 동작을 수행한다는 것을 나타낸다. 상기 장치는 특히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도록 구성되며, 따라서 상기 방법의 모든 장점을 포함한다.
검출 장치는 특히 차량-대-차량 통신을 위해 설계된 카메라, 레이더, 초음파 및/또는 레이저 센서 및/또는 인터페이스를 포함한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검출 장치는 GPS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모든 차량의 GPS 신호를 검출하고, 이로부터 그 위치가 계속적으로 검출될 수 있다. 이 경우 차량의 위치 변화로부터 차량의 가속도가 추가적으로 검출될 수 있다.
그러나 종래의 광학 카메라에 의해서는 이 경우 가려진 차량의 검출이 제한적으로만 가능하다. 그러나 이를 위해 다른 차량의 카메라 데이터가 차량-대-차량 통신을 통해 사용될 수 있다. 한편, 가려진 차량을 검출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레이더 및/또는 레이저 센서의 사용이 특히 유리하다. 특히 77 GHz의 작동 주파수를 갖는 레이더 센서를 사용할 수 있다. 특히 도로 표면에서의 레이더 방사선의 다중 반사를 통해 이 경우 또한 가려진 차량이 검출될 수 있다. 특히, 레이더, 초음파 및/또는 레이저 센서에 의해 검출된 다른 차량의 데이터는 또한 차량-대-차량 통신을 통해 차량으로 전송되어, 선행 차량의 가속도를 결정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여기서 특히 시계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시계 디스플레이는 여기서 특히 "증강 현실 디스플레이"로 개발될 수 있는 헤드업 디스플레이로 형성된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 표면은 차량 자체의 앞유리일 수 있거나 또는 앞유리에 배치된 디스플레이 표면일 수 있다. 디스플레이를 위해 사용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한 다른 예는 센터 콘솔 또는 차량의 계기판에 배치된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한다.
이하에서 본 발명은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에 의해 설명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장치를 갖는 차량을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 의해 생성된 디스플레이에 대한 제1 예를 도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실시예의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 의해 생성된 디스플레이에 대한 제2 예를 도시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 의해 생성된 디스플레이에 대한 제3 예를 도시한다.
도 1을 참조하여, 차량(7)에 배치되어 있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1)에 대한 일 실시예가 설명된다.
장치(1)는 예를 들어 레이더 센서로서 설계되는 검출 장치(2)를 포함한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검출 장치(2)는 카메라 및/또는 레이저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검출 장치(2)에 의해, 선행 차량이 검출될 수 있다. 또한, 검출 장치(2)에 의해 가속도에 대한 데이터 및 선행 차량의 서로에 대한 그리고 차량(7)에 대한 위치가 검출될 수 있다.
또한, 검출 장치(2)는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차량(7)이 트래픽에 참여하는 다른 차량과 네트워크로 연결될 수 있게 하는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집단 데이터가 검출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또한 검출된 데이터가 유래하는 범위를 크게 증가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특히, 선행 차량은 가속도에 대한 자신의 데이터 자체를 차량(7)에 전송할 수 있다.
가속도에 대한 데이터는 특정 검출 범위 내에서 검출될 수 있으며, 상기 검출 범위는 예를 들어 검출 장치(2)의 기술적인 조건에 의해 제한된다. 그러나 대안적으로 검출 범위는 또한 운전자 자신에 의해 또는 작업에 의해 한정될 수도 있다. 이 경우 특히 선행 차량이 검출되는 검출 반경은 값으로 사전 설정될 수 있다. 또한 동일한 차선 상의 선행 차량만이 검출되도록 설정될 수도 있다.
더욱이, 가속도에 대한 관련 데이터를 갖는 모든 선행 차량이 검출될 수 있다. 그러나, 그래픽 처리를 위해 이 경우 차량(7)의 동일한 차선에서 주행하는 차량의 데이터만이 사용될 수 있다.
가속도에 대한 데이터는 이 경우 특히 가속도의 크기 및 가속도의 부호, 즉 차량이 양으로 또는 음으로 가속되는지 여부를 포함한다. 가속도의 크기는 또한 0일 수도 있다.
장치(1)는 또한 시계 디스플레이(3)를 포함하고, 상기 시계 디스플레이는 다시 차량(7)의 앞유리에 배치된 디스플레이 표면(3.1) 및 디스플레이 표면(3.1) 상에 정보 및 그래픽 디스플레이를 투사할 수 있는 프로젝터(3.2)를 포함한다. 대안적으로, 차량(7)의 앞유리 자체가, 프로젝터(3.2)에 의해 그래픽 디스플레이가 투사될 수 있는 디스플레이 표면으로서의 역할을 할 수 있다. 특히, 시계 디스플레이(3)는 "증강 현실 디스플레이"로서 설계될 수 있다.
또한, 장치(1)는 차량(7)의 센터 콘솔에 배치되는 추가의 디스플레이 장치(6)를 포함할 수 있다. 추가의 디스플레이 장치는 또한 차량(7)의 계기판에 배치될 수 있다.
장치(1)는 또한 프로젝터(3.2) 및/또는 디스플레이 장치(6)에 연결되는 제어 장치(4)를 포함한다. 제어 장치(4)는 결정 장치(5)에 연결되고, 상기 결정 장치는 가속도에 대한 검출된 데이터로부터, 미리 결정된 임계값보다 크거나 또는 동일한 크기를 갖는 음의 가속도를 갖는 제1 선행 차량을 결정한다. 또한, 결정 장치(5)는 가속도에 대한 검출된 데이터로부터, 제2 가속도를 갖는 제2 선행 차량 가속을 결정한다. 제2 가속도는 이 경우 음의 값일 수 있으며, 음의 가속도의 크기는 이 경우 미리 결정된 임계값보다 작다. 또한, 제2 가속도는 양의 값이거나 또는 0일 수 있다. 따라서, 선행 차량은 분류되는데, 여기서 제1 차량은 제1 클래스로 분류되고 제2 차량은 제2 클래스로 분류된다. 그 후, 제어 장치는 결정 결과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3 및/또는 6)를 활성화시켜, 대응하는 그래픽 디스플레이가 디스플레이 장치(3 및/또는 6)의 디스플레이 표면 상에 생성된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 의해 생성된 디스플레이(12)에 대한 제1 실시예 및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 대한 실시예가 설명된다. 디스플레이(12)는 여기서 시계 디스플레이에 의해 차량(7)의 앞유리에 배치된 디스플레이 표면(3.1) 상으로 차량(7)의 운전자의 시계 내로 투사된다.
본 방법의 출발점은 여기서 차량(7)이 복수의 선행 차량(F1 내지 F8)의 후방에서 주행하는 교통 상황이다. 이 경우, 차량(F6)은 차량(F7, F8)을 가려서, 이들 차량은 차량(7)의 운전자가 볼 수 없거나 또는 열악하게만 볼 수 있게 된다. 차량(F7 및 F8)은 이 경우 도 2에서 점선 화살표로 표시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단계(V1)에서, 선행 차량(F1 내지 F8)은 검출 장치(2)에 의해 검출된다. 특히, 차량(F6)에 의해 가려지는 차량(F7, F8)도 검출된다.
단계(V2)에서, 개별 선행 차량(F1 내지 F8)의 가속도에 대한 데이터가 또한 검출된다. 이 경우, 먼저 개별 선행 차량(F1 내지 F8) 각각에 대해, 그것이 음인지, 양인지 또는 가속되지 않는지가 검출된다.
선행 차량(F1 내지 F8)이 음으로 가속되는 것으로 검출되면, 방법의 단계(V3)에서 음의 가속의 크기가 예를 들어 0.3 m/s2의 미리 결정된 임계값보다 큰지 여부가 결정된다. 검출된 음의 가속도의 크기가 임계값보다 큰 경우, 선행 차량(F1 내지 F8)은 제1 클래스에 할당된다. 제1 클래스는 이 경우 본 실시예에서 브레이크 페달의 작동에 의해 능동적으로 감속되는 차량(F7 및 F8)을 포함한다. 제1 클래스에 할당된 차량(F7 및 F8)은 능동 제동에 의해 감속되기 때문에, 제동 감속도를 갖는다. 이로써, 특히 차량(F1 내지 F8)의 브레이크등이 점등하는지 여부에 의해 제동 동작이 추가로 결정된다. 그러나, 이것은 차량(F6)에 의해 가려지지 않는 차량(F1 내지 F5)에 대해서만 차량(7)의 카메라에 의해 검출될 수 있다.
한편, 차량(7)과 차량(F1 - F8)이 서로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있다면, 예를 들면 또한 선행 차량(F1 - F8)의 카메라 데이터에 액세스하여, 가려진 차량(F7, F8)의 점등하는 브레이크등이 검출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 연결된 차량(F1 내지 F8)의 다른 모든 센서 데이터에 액세스하여, 이들 데이터는 차량(F1 내지 F8)이 제동 동작을 수행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다른 차량(F1 내지 F6)은 제동 동작에 의해 가속도가 발생되지 않은 차량을 포함하는 제2 클래스에 할당된다. 이 경우, 제2 클래스의 차량(F1 내지 F6)의 가속도는 음의 값, 양의 값 또는 0일 수 있지만, 음의 가속도의 크기는 임계값보다 크다.
이 방법의 단계(V4)에서, 선행 차량(F1 내지 F8)의 서로에 대한 그리고 자기 차량(7)에 대한 위치가 검출된다.
단계(V5)에서, 디스플레이 표면(3.1) 상에 디스플레이 윈도우(12)가 생성된다. 디스플레이 윈도우(12)에는 이 경우 처음에 2개의 개략적인 차선(S1, S2)이 생성되고, 여기서 차선(S1)은 차량(7)이 위치하고 있는 차선을 나타내고, 차선(S2)은 좌측으로 옆에 위치하는 차선을 나타낸다. 개략적인 차선(S1)에서, 제1 그래픽 오브젝트(8.1 및 8.2), 제2 그래픽 오브젝트(9) 및 다른 그래픽 오브젝트(10)가 생성된다. 제1 그래픽 오브젝트(8.1 및 8.2)는 이 경우 제동하는 차량(F7 및 F8)에 할당되고 적색으로 착색된다. 제1 그래픽 오브젝트(8.1 및 8.2)의 적색 착색은 이 경우 특히 경고 효과를 가지므로, 차량(7)의 운전자는 이들 2개의 그래픽 오브젝트(8.1 및 8.2)에 특별한 주의를 기울일 수 있고, 차량(F7 및 F8)이 제동하고 있다는 것을 신속하고 직관적으로 검출할 수 있다. 또한 그래픽 오브젝트(8.1 및 8.2) 옆에는 "제동"이라는 문자가 디스플레이된다. 이를 통해 차량(7)의 운전자에게 차량(F7 및 F8)이 제동하고 있다는 것이 분명히 전달된다.
또한, 제1 그래픽 오브젝트(8.1 및 8.2)는 특히 서로 크기가 다르다. 그래픽 오브젝트(8.1 및 8.2)의 크기는 이 경우 그래픽 오브젝트(8.1 또는 8.2)에 할당되어 있는 차량(F7 또는 F8)의 검출된 가속도의 크기의 크기에 의존한다. 본 실시예에서, 차량(F8)의 음의 가속도의 크기는 차량(F7)의 음의 가속도에 대한 크기보다 크다. 따라서, 차량(F8)은 차량(F7)보다 더 강하게 제동한다.
제2 그래픽 오브젝트(9)는 차량(7)의 바로 전방에서 주행하는 차량(F6)에 할당된다. 제2 그래픽 오브젝트(9)는 짙은 청색으로 착색되어 있다. 짙은 청색의 착색은 이 경우 선행 차량(F6)이 제2 클래스에 할당되어 있다는 것을 나타낸다. 예를 들면, 선행 차량(F6)은 가속하지 않는다. 이 때 일정한 속도로 움직이다. 차량(F6)의 운전자가 자신의 전방에서 주행하는 차량(F7, F8)이 제동하는 것을 이미 검출하고 그로 인해 우선 더 이상 가속 페달을 작동시키지 않으면, 제2 그래픽 오브젝트(9)는 주황색으로 착색된다. 이는 차량(F6)이 더 느리지만 아직 제동되지 않았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이 경우 그래픽 오브젝트(9)의 옆에는 문자 "롤링"이 나타난다.
추가의 그래픽 오브젝트(10)는 자기 차량(7)을 나타내며 녹색으로 착색된다. 그래픽 오브젝트(10)의 녹색 착색은 이 경우 자기 차량(7)이 양의 값으로 가속하고 있는 것을 의미한다.
제1 그래픽 오브젝트(8.1 및 8.2)는 특히 제2 그래픽 오브젝트(9) 및 추가의 오브젝트(10)와 피처 컬러가 상이하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또한 상이한 충전 패턴 또는 형상이 사용될 수도 있다.
또한, 그래픽 오브젝트(8.1, 8.2, 9 및 10)는 그들에 할당된 차량(F8, F7, F6 및 7)의 서로에 대한 결정된 위치에 따라 배치된다. 그래픽 오브젝트(8.1, 8.2, 9 및 10)는 이 경우 직선으로 직접 위아래에 배치된다. 이 경우 가장 낮은 지점에는 자기 차량(7)을 나타내는 추가의 그래픽 오브젝트(10)가 배치된다. 추가의 그래픽 오브젝트(10)의 바로 위에는, 차량(7)의 바로 전방에서 주행하는 차량(F6)을 나타내는 제2 그래픽 오브젝트(9)가 배치된다. 다시 그래픽 오브젝트(9) 바로 위에는 그래픽 오브젝트(8.2)가 배치되고, 이 그래픽 오브젝트는 차량(F6)의 바로 전방에서 주행하는 차량(F7)을 나타낸다. 마지막으로, 그래픽 오브젝트(8.2)의 바로 위에는, 그래픽 오브젝트(8.1)가 배치되고, 이 그래픽 오브젝트는 차량(F7)의 바로 전방에서 주행하는 차량(F8)에 할당된다. 따라서, 그래픽 오브젝트(8.1, 8.2, 9, 10)가 서로에 대해 상대적으로 배치됨으로써, 차량(7)의 운전자는 선행 차량(F7, F8)이 차량(F6)에 의해 가려져 있더라도 제동하고 있다는 것을 즉시 검출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차량(7)의 운전자는 필요한 제동 조작에 더 양호하게 적응할 수 있게 한다. 특히 운전자가 제동하도록 준비하기 위해 사용할 수 있는 시간은 가려진 선행 차량(F7 및 F8)이 제동하고 있다는 조기 디스플레이에 의해 상당히 증가될 수 있다. 따라서 선행 차량(F6)과의 충돌에 대한 확률이 이를 통해 유리한 방식으로 감소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윈도우(12)에서 개략적인 차선(S2) 상에는 차량(F1 및 F2)에 할당되는 그래픽 오브젝트(11)가 도시되어 있다. 그래픽 오브젝트(11)는 이 경우 회색으로 표현되어, 이로써 차량(7) 옆의 좌측 차선 상에 선행 차량(F1, F2)이 위치되어 있다는 것을 나타낼 뿐이다.
예를 들어 자기 차량(7)에 대한 차선 변경 의도가 검출되면, 그래픽 오브젝트(11)는 그들에게 할당된 차량(F1 및 F2)에 대한 검출된 가속도에 따라 착색될 수 있다.
차량(F4 및 F5)에는 디스플레이 윈도우(12) 내에서 어떠한 그래픽 오브젝트도 할당되지 않는다. 명확한 디스플레이를 보장하기 위해, 현재의 경우에, 동일한 차선 상에 차량(7)의 전방에서 주행하는 처음 3대의 차량(F6 - F8)만을 표현하는 것으로 충분하다.
디스플레이 패널(12)은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디스플레이 장치(6)의 디스플레이 표면 및/또는 계기판 내에 배치된 디스플레이 표면 상에 디스플레이될 수도 있다.
도 4를 참조하여, 헤드업 디스플레이(3.1)의 디스플레이에 대한 또 다른 실시예가 설명된다. 상기 방법은 이 경우 도 3에 도시된 방법과 본질적으로 유사하게 진행된다.
도 2의 디스플레이 윈도우(12) 대신에, 각각의 검출된 선행 차량(F1 내지 F8)에 대해 그래픽 오브젝트(8 또는 9)가 디스플레이 표면(3.1) 상에 생성된다.
차량(F6 내지 F8)에 대해 단계(V3)에서 제동 동작이 수행되고 있다고 결정된다.
또한, 단계(V4)에서, 차량(F4 내지 F8)은 차량(7)과 동일한 차선에서 직접 서로 전방에서 주행하고 있다는 것이 검출된다.
또한 이 경우, 차량(F6)은 차량(F7, F8)에 대한 시야를 적어도 대부분 가리고 있다는 것이 검출된다. 이는 예를 들어 레이더 센서(2)의 기록된 데이터를 갖는 카메라 데이터의 조정을 통해 수행될 수 있다. 카메라가 차량(F7 및 F8)을 검출할 수 없는 반면, 이들은 레이더 센서(2)에 의해 잘 검출되기 때문에, 차량(F7 및 F8)은 가려져 있다고 추론된다. 한편 이미 동일한 차선의 곡선 부분에 위치하고 있는 차량(F4 및 F5)은 두 센서에 의해 검출된다.
이러한 결정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방법의 단계(V5)에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표면(3.1) 상에 그래픽 오브젝트(8 및 9)가 생성된다.
각 차량(F6 내지 F8)에 대해, 제1 그래픽 오브젝트(8.1 내지 8.3)가 차량(7)의 앞유리의 디스플레이 표면(3.1) 상에 투사되고, 여기서 차량(F6)에는 제1 그래픽 오브젝트(8.1)가 할당되고, 차량(F7)에는 제1 그래픽 오브젝트(8.2)가 할당되고, 차량(F8)에는 제1 그래픽 오브젝트(8.3)가 할당된다. 그래픽 오브젝트(8.1 내지 8.3)는 이 경우 적색으로 착색되어, 차량(F6 내지 F8)이 제동 동작을 수행하고 있다는 것을 디스플레이한다. 또한, 화살표(8.3)는 화살표(8.1 및 8.2)보다 명확히 더 크다. 이는 차량(F8)이 차량(F6 및 F7)보다 명확히 더 강하게 제동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제1 그래픽 오브젝트(8.1 - 8.3)는 서로 전방에 공간 배열로 배치되어 있다. 이 경우 화살표(8.1)는 화살표(8.2)를 가리고 화살표(8.2)는 화살표(8.3)를 약간 가린다. 이를 통해 운전자는 우선 차량(F6)의 전방에 2대의 추가의 차량이 위치하고 있다는 것을 인식할 수 있다. 또한, 운전자는 이로부터 자기 차량(7)에 대한 차량(F6 내지 F8)의 상대적인 거리를 인식할 수 있다. 차량(F8)은 차량(F7)보다 차량(7)으로부터 더 멀리 이격되어 있고, 차량(F7)은 차량(F6)보다 차량(7)으로부터 더 멀리 이격되어 있다.
또한, 운전자는 배열로부터, 차량(F7)의 전방에 있는 제3 차량인 차량(F8)이 차량(F6 및 F7)보다 명확히 더 강하게 제동하고 있다는 것을 인식할 수 있다. 이로부터, 운전자는 차량(F6 및 F7)의 제동 감속도가 예측 가능한 미래에 더 커질 가능성이 있다고 결론을 내릴 수 있다. 특히, 운전자는 차량(F6)과 충돌 가능성을 방지하기 위해 그에 상응하는 조치를 즉시 개시할 수 있다.
화살표(8.1 내지 8.3)의 공간 배열을 통해, 특히 디스플레이 표면(3.1)에서 동일한 디스플레이 레벨로 투사되는 그래픽 오브젝트는 차량들이 특히 직선 경로에서 바로 서로에 대해 전방에서 주행할 때 상호 간에 완전히 가려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차선에서 주행 방향에 대한 차량(F6 내지 F8)의 횡 방향 위치는 실질적으로 동일하기 때문에, 그래픽 오브젝트(8.1 내지 8.3)는 또한 디스플레이 표면(3.1)의 동일한 위치에 투사되어야 한다. 공간 배열에서, 이들은 이 경우 선행 차량(F6 내지 F8)과 자기 차량(7) 간의 상대적인 거리를 나타낸다.
한편, 차량(F1 내지 F5)에 대해서는, 제동 동작이 수행되지 않은 것으로 결정된다. 차량(F1)에 대해서는 그래픽 오브젝트(9.1)가 투사되고, 차량(F2)에 대해서는 그래픽 오브젝트(9.2)가 투사되고, 차량(F3)에 대해서는 그래픽 오브젝트(9.3)가 투사되고, 차량(F4)에 대해서는 그래픽 오브젝트(9.4)가 투사되고 그리고 차량(F5)에 대해서는 그래픽 오브젝트(9.5)가 디스플레이 표면(3.1) 상으로 투사된다.
차량(F6 내지 F8) 중 하나에 대해, 다시 양의 값으로 가속되거나 또는 더 이상 제동되지 않는 것으로 검출되면, 관련된 제1 그래픽 오브젝트(8.1 내지 8.3)의 컬러는 녹색으로 변한다. 또한, 제1 그래픽 오브젝트(8.1 내지 8.3)의 위치는 이 그래픽 오브젝트에 할당되어 있는 차량(F6 내지 F8)의 위치에 대해 연속적으로 조정된다.
도 4를 참조하여, 생성된 디스플레이에 대한 제4 실시예가 설명된다.
도 4에 도시된 디스플레이는 여기서 본질적으로 도 3에 도시된 디스플레이에 대응한다.
여기서, 차량(F7, F8)에 대해서는, 음의 가속도의 크기가 임계값보다 작은 것으로 검출된다. 따라서 차량은 더 느려지지만, 능동적으로 감속되지는 않는다. 차량(F7 및 F8)은 롤링하고 있다. 이러한 경우, 차량(F7 및 F8)은 예를 들어 제2 클래스의 서브 클래스인 제3 클래스에 할당된다. 그래픽 오브젝트(8.2 및 8.3)는 이 경우 차례로 제동 동작을 수행하는 차량(F6)을 여전히 나타내는 그래픽 오브젝트(8.1)와는 상이한 컬러, 상이한 충전 패턴 및/또는 상이한 형상을 갖는다.
추가적으로, 선행 차량(F7, F8)과 차량(7)과의 거리가 검출되어, 그래픽 오브젝트(8.2, 8.3) 상에 디스플레이된다. 또한, 그래픽 오브젝트(8.2 및 8.3)의 경우 문자 "롤링"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고, 그래픽 오브젝트(8.1)에서는 문자 "제동"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또한, 그래픽 오브젝트(8.1)에는 차량(7)까지의 거리도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제1, 제2 및 제3 실시예는 이 경우 서로 결합될 수 있으므로, 제1 실시예에서는 또한 모든 검출된 선행 차량에 대한 그래픽 오브젝트가 생성될 수도 있다.
특히, 제2 실시예의 그래픽 오브젝트의 착색은, 그래픽 오브젝트에 할당되어 있는 차량이 제동 동작을 수행하거나, 롤링하거나, 또는 가속도를 갖지 않거나 또는 양의 값의 가속도를 갖는지 여부를 검출함으로써, 더욱 세분될 수 있다.
1 장치
2 검출 장치
3 헤드업 디스플레이
3.1 디스플레이 표면; 앞유리
3.2 프로젝터
4 제어 장치
5 결정 장치
6 디스플레이 장치
7 차량
8, 8.1 - 8.3 제1 그래픽 오브젝트
9, 9.1 - 9.5 제2 그래픽 오브젝트
10 추가의 그래픽 오브젝트
11 그래픽 오브젝트
12 디스플레이 윈도우
F1 - F8 선행 차량
V1 - V5 방법 단계

Claims (10)

  1. 차량(7)에서 선행 차량(F1 - F8)의 가속도를 디스플레이하는 선행 차량의 가속도 디스플레이 방법으로서,
    상기 선행 차량(F1 - F8)이 검출되는 단계,
    상기 선행 차량(F1 - F8)의 가속도에 대한 데이터가 검출되는 단계,
    상기 가속도에 대한 데이터로부터 제1 가속도를 갖는 제1 선행 차량(F6 - F8)이 결정되는 단계 - 상기 제1 가속도는 미리 결정된 임계값보다 크거나 또는 동일한 크기를 갖는 음의 가속도임 - , 및
    디스플레이 표면(3.1, 6) 상에 제1 그래픽 오브젝트(8.1 - 8.3)가 생성되는 단계 - 각각의 제1 선행 차량(F6 - F8)에는 제1 그래픽 오브젝트(8.1 - 8.3)가 할당되고, 상기 제1 그래픽 오브젝트는 상기 제1 그래픽 오브젝트(8.1 - 8.3)에 할당되어 있는 상기 제1 선행 차량(F6 - F8)이 상기 제1 가속도를 갖는다는 것을 나타냄 -
    를 포함하는, 선행 차량의 가속도 디스플레이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가속도는 상기 제1 차량(F6 - F8)이 능동적으로 감속되는 제동 동작에 의해 발생되는 것으로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행 차량의 가속도 디스플레이 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속도에 대한 데이터로부터 제2 가속도를 갖는 제2 선행 차량(F1 - F5)이 결정되고, 상기 제2 가속도는 상기 미리 결정된 임계값보다 작은 크기를 갖는 음의 가속도, 양의 가속도 또는 0이며,
    상기 디스플레이 표면(3.1, 6) 상에 제2 그래픽 오브젝트(9, 9.1 - 9.5)가 생성되고, 각각의 제2 선행 차량(F1 - F5)에는 제2 그래픽 오브젝트(9, 9.1 - 9.5)가 할당되고, 상기 제2 그래픽 오브젝트는 상기 제2 그래픽 오브젝트(9, 9.1 - 9.5)에 할당되어 있는 상기 제2 선행 차량(F1 - F5)이 상기 제2 가속도를 갖는다는 것을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행 차량의 가속도 디스플레이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선행 차량(F1 - F8)의 서로에 대한 위치가 검출되고, 상기 제1 그래픽 오브젝트(8.1 - 8.3), 제2 그래픽 오브젝트(9, 9.1 - 9.5) 또는 제1 그래픽 오브젝트 및 제2 그래픽 오브젝트는 상기 디스플레이 표면(3.1, 6) 상에 배치되어, 상기 디스플레이 표면(3.1, 6) 상에서의 상기 제1 그래픽 오브젝트(8.1 - 8.3), 제2 그래픽 오브젝트(9, 9.1 - 9.5) 또는 제1 그래픽 오브젝트 및 제2 그래픽 오브젝트의 위치는 그들에 할당된 상기 선행 차량(F1 - F8)의 서로에 대한 상기 위치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행 차량의 가속도 디스플레이 방법.
  5. 제3항에 있어서,
    제1 그래픽 오브젝트(8.1 - 8.3)의 제1 피처는 상기 제1 그래픽 오브젝트(8.1 - 8.3)에 할당되어 있는 상기 제1 차량(F6 - F8)의 상기 가속도의 크기에 의존하고, 제2 그래픽 오브젝트(9, 9.1 - 9.5)의 제1 피처는 상기 제2 그래픽 오브젝트(9, 9.1 - 9.5)에 할당되어 있는 상기 제2 차량(F1 - F5)의 상기 가속도의 크기에 의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행 차량의 가속도 디스플레이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그래픽 오브젝트(8.1 - 8.3)는 상기 제2 그래픽 오브젝트(9.1 - 9.5)와 적어도 하나의 제2 피처가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행 차량의 가속도 디스플레이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피처는 상기 제1 그래픽 오브젝트(8.1 - 8.3), 제2 그래픽 오브젝트(9, 9.1 - 9.5) 또는 제1 그래픽 오브젝트 및 제2 그래픽 오브젝트의 크기이고, 상기 제2 피처는 상기 제1 그래픽 오브젝트(8.1 - 8.3), 제2 그래픽 오브젝트(9, 9.1 - 9.5) 또는 제1 그래픽 오브젝트 및 제2 그래픽 오브젝트의 컬러, 형상 및 충전 패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행 차량의 가속도 디스플레이 방법.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표면(3.1)은 상기 선행 차량(F1 - F8)을 볼 수 있는 시계 디스플레이의 일부이고,
    상기 제1 그래픽 오브젝트(8.1 - 8.3), 제2 그래픽 오브젝트(9, 9.1 - 9.5) 또는 제1 그래픽 오브젝트 및 제2 그래픽 오브젝트는 상기 디스플레이 표면(3.1)에서 상기 차량(7)의 운전자의 시계 내로 투사되어, 상기 제1 그래픽 오브젝트(8.1 - 8.3), 제2 그래픽 오브젝트(9, 9.1 - 9.5) 또는 제1 그래픽 오브젝트 및 제2 그래픽 오브젝트는 이들에 할당되어 있는 상기 선행 차량(F1 - F8)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행 차량의 가속도 디스플레이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7)과 동일한 차선 상에 위치하는 상기 선행 차량(F6 - F8)이 검출되고,
    상기 차량(F7)의 바로 전방에서 주행하는 차량(F6)이, 상기 차량(F7)의 바로 전방에서 주행하는 상기 차량(F6)의 전방에서 검출된 상기 차량(F7, F8)의 적어도 일부에 대한 시야를 적어도 대부분 차단하는 것이 검출되고,
    상기 할당되어 있는 상기 제1 그래픽 오브젝트(8.1 - 8.3), 제2 그래픽 오브젝트(9, 9.1 - 9.5) 또는 제1 그래픽 오브젝트 및 제2 그래픽 오브젝트는 상기 디스플레이 표면(3.1, 6) 상에 공간 배열로 디스플레이되어, 상기 차량(7)에 대한 상기 선행 차량(F6 - F8)의 상대적인 거리가 공간 디스플레이로부터 나타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행 차량의 가속도 디스플레이 방법.
  10. 차량(7)에서 선행 차량(F1 - F8)의 가속도를 디스플레이하는 선행 차량의 가속도 디스플레이 장치(1)로서,
    상기 선행 차량(F1 - F8) 및 상기 선행 차량(F1 - F8)의 가속도에 대한 데이터를 검출할 수 있는 검출 장치(2),
    상기 가속도에 대한 데이터로부터 제1 가속도를 갖는 제1 선행 차량(F6 - F8)을 결정할 수 있는 결정 장치(5) - 상기 제1 가속도는 미리 결정된 임계값보다 크거나 또는 동일한 크기를 갖는 음의 가속도임 - ,
    제어 장치(4), 및
    디스플레이 장치(3, 6) -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3)의 디스플레이 표면(3.1) 상에 제1 그래픽 오브젝트(8.1 - 8.3)가 생성되도록 상기 제어 장치(4)에 의해 활성화될 수 있고, 각각의 제1 선행 차량(F6 - F8)에는 제1 그래픽 오브젝트(8.1 - 8.3)가 할당되고, 상기 제1 그래픽 오브젝트는 상기 제1 그래픽 오브젝트(8.1 - 8.3)에 할당되어 있는 상기 제1 선행 차량(F6 - F8)이 상기 제1 가속도를 갖는다는 것을 나타냄 -
    를 포함하는, 선행 차량의 가속도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180108369A 2017-09-13 2018-09-11 차량에서 선행 차량의 가속도를 디스플레이하는 방법 및 장치 KR10211633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7216215.5 2017-09-13
DE102017216215.5A DE102017216215A1 (de) 2017-09-13 2017-09-13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Anzeigen von Beschleunigungen vorausfahrender Fahrzeuge in einem Fahrzeu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0175A true KR20190030175A (ko) 2019-03-21
KR102116339B1 KR102116339B1 (ko) 2020-05-28

Family

ID=631448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08369A KR102116339B1 (ko) 2017-09-13 2018-09-11 차량에서 선행 차량의 가속도를 디스플레이하는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0654492B2 (ko)
EP (1) EP3456573B1 (ko)
KR (1) KR102116339B1 (ko)
CN (1) CN109501804B (ko)
DE (1) DE10201721621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9205865A1 (de) * 2019-04-24 2020-10-29 Elektrobit Automotive Gmbh Fahrerassistenzsystem, Verfahren zum Betrieb eines Fahrerassistenzsystems und Computerprogramm
DE102019128885A1 (de) * 2019-10-25 2021-04-29 Audi Ag 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Ermittlung und Anzeige, in einem ersten Fahrzeug, der Beschleunigung eines zweiten Fahrzeuges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13600A (ko) * 2014-03-31 2015-10-08 박원일 안전운전용 영상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KR20160037533A (ko) * 2014-09-29 2016-04-06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 제동 상태 표시 제어 장치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940723A1 (de) * 1999-08-27 2001-03-08 Daimler Chrysler Ag Verfahren zur Anzeige eines perspektivischen Bildes und Anzeigevorrichtung für mindestens einen Insassen eines Fahrzeugs
JP3838613B2 (ja) * 1999-08-31 2006-10-25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載表示装置
WO2005080120A1 (en) * 2004-02-20 2005-09-01 Sharp Kabushiki Kaisha Condition detection and display system, condition detection and display method, control program for condition detection and display system, and storage medium storing the control program
JP4453468B2 (ja) * 2004-07-16 2010-04-21 日産自動車株式会社 先行車追従走行制御装置
JP2006112962A (ja) * 2004-10-15 2006-04-27 Aisin Aw Co Ltd 運転支援方法及び運転支援装置
CN1967147B (zh) * 2005-11-09 2011-08-17 日产自动车株式会社 车辆用驾驶操作辅助装置及具有该装置的车辆
DE102006038018A1 (de) 2006-08-14 2008-02-21 Robert Bosch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Fahrerassistenz durch Erzeugung von Spurinformationen zur Unterstützung oder zum Ersatz von Spurinformationen einer videobasierten Spurinformationseinrichtung
DE102008036131B4 (de) * 2007-08-29 2023-08-24 Continental Autonomous Mobility Germany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Erkennung der Verkehrssituation in einer Fahrzeugumgebung
DE102009021476A1 (de) * 2009-05-15 2010-11-18 Audi Ag Verfahren zur automatischen Längsführung eines Kraftfahrzeugs umfassend ein adaptives Längsführungssystem (ACC-System)
DE102010046236A1 (de) 2010-09-22 2011-05-12 Daimler Ag Verfahren zur Regelung der Längsbewegung eines Fahrzeuges und Fahrerassistenzsystem
DE102012002149B3 (de) * 2012-02-04 2013-06-20 Audi Ag Verfahren zur Visualisierung des Umfelds eines Kraftfahrzeugs und zugehöriges Kraftfahrzeug
DE102013005404A1 (de) * 2013-03-28 2013-09-19 Daimler Ag Verfahren zur Unterstützung eines Fahrers eines Fahrzeuges
CN203332107U (zh) * 2013-06-28 2013-12-11 郑州宇通客车股份有限公司 一种客车自适应巡航系统
DE102014002114A1 (de) 2014-02-15 2015-08-20 Audi Ag Verfahren zum Betrieb eines zur wenigstens teilweise automatischen Fahrzeugführung ausgebildeten Fahrzeugsystems und Kraftfahrzeug
DE102014002113A1 (de) 2014-02-15 2015-08-20 Audi Ag Verfahren zum Betrieb eines Sicherheitssystems eines Kraftfahrzeugs und Kraftfahrzeug
DE102014008897A1 (de) 2014-06-14 2015-12-17 Audi Ag Verfahren zur Ermittlung eines voraussichtlichen Zeitpunktes für eine Kollision zwischen einem ersten Kraftfahrzeug und einem zweiten Kraftfahrzeug sowie zugeordnetes Kraftfahrzeug
DE102014212759A1 (de) 2014-07-02 2016-01-07 Zf Friedrichshafen Ag Verfahren zur vorausschauenden Gestaltung einer Fahrstrategie eines Kraftfahrzeuges
DE102014218565B4 (de) * 2014-09-16 2020-07-23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adaptiven Geschwindigkeits- und/oder Abstandsregelung eines Fahrzeugs
US9713956B2 (en) * 2015-03-05 2017-07-25 Honda Motor Co., Ltd. Vehicle-to-vehicle communication system providing a spatiotemporal look ahead and method thereof
KR101843773B1 (ko) * 2015-06-30 2018-05-14 엘지전자 주식회사 차량 운전 보조 장치,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 및 차량
DE102015212664A1 (de) * 2015-07-07 2017-01-12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Kraftfahrzeug mit einem automatischen Fahrsystem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13600A (ko) * 2014-03-31 2015-10-08 박원일 안전운전용 영상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KR20160037533A (ko) * 2014-09-29 2016-04-06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 제동 상태 표시 제어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9501804A (zh) 2019-03-22
US20190077418A1 (en) 2019-03-14
CN109501804B (zh) 2022-03-18
KR102116339B1 (ko) 2020-05-28
DE102017216215A1 (de) 2019-03-14
US10654492B2 (en) 2020-05-19
EP3456573B1 (de) 2022-01-05
EP3456573A1 (de) 2019-03-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81658B2 (en) Autonomous driving vehicle system
US10017116B2 (en) Image display apparatus
JP4309843B2 (ja) 車両の衝突を阻止する方法および装置
JP2018536912A (ja) 運転支援を提供するシステムおよび方法
KR20180072139A (ko) 차량 및 그 제어 방법
JP2009536132A (ja) 複雑な交通状況における車両の速度制御方法
KR101552017B1 (ko) 성능이 개선된 운전보조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20150051548A (ko) 운전자의 성향을 반영하는 운전보조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20220144003A (ko) 운전자 보조 시스템 및 그를 가지는 차량
KR102116339B1 (ko) 차량에서 선행 차량의 가속도를 디스플레이하는 방법 및 장치
CN111601279A (zh) 在车载显示器中显示动态交通态势的方法和车载系统
CN113386788B (zh) 控制装置以及车辆
JP2016224553A (ja) 車両用交通情報表示システム
CN112660018A (zh) 显示装置以及显示装置的显示方法
US11639181B2 (en) Lead vehicle braking warning system
JP2015106395A (ja) 信号情報提示装置
JP2018052406A (ja) 車両の制御装置
CN113386751B (zh) 控制装置以及车辆
WO2019044627A1 (ja) 衝突回避支援装置
KR101511859B1 (ko) 차선 인식이 향상된 운전보조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AU2019348096B2 (en) Control method and system for vehicles and vehicle
WO2023176737A1 (ja) 表示制御装置、表示制御方法
KR102276393B1 (ko) 전방 충돌 방지를 위한 차량제어시스템
EP4245607A1 (en) Annunciation method, annunciation device, and storage medium
JP2017182584A (ja) 表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