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30117A - 모종 이식기계의 모종 종이송장치 - Google Patents

모종 이식기계의 모종 종이송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30117A
KR20190030117A KR1020170117437A KR20170117437A KR20190030117A KR 20190030117 A KR20190030117 A KR 20190030117A KR 1020170117437 A KR1020170117437 A KR 1020170117437A KR 20170117437 A KR20170117437 A KR 20170117437A KR 20190030117 A KR20190030117 A KR 201900301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edling
transferring
seedlings
shaft
dri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174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93474B1 (ko
Inventor
이두영
Original Assignee
(주) 우진공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우진공업 filed Critical (주) 우진공업
Priority to KR10201701174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93474B1/ko
Publication of KR201900301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301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34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34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11/00Transplanting machines
    • A01C11/02Transplanting machines for seedling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11/00Transplanting machines
    • A01C11/006Other parts or details or planting machin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 Y02P60/10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Transplanting Mach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종 이식기계의 모종 종이송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모종 이식기계를 구성하는 것으로 모종판에 배열된 모종을 종 방향으로 이송시켜 모종 횡이송 공급장치로 전달하는 모종 종이송장치에 있어서, 다수개의 모종이 배열된 모종판을 탑재하여 모종판을 간헐적으로 이송시키는 모종판 이송수단; 상기 모종판 이송수단에서 이송되는 모종판의 한 행에 배열된 모종 1세트를 동시에 취출하여 모종 횡이송 공급장치로 전달하는 모종 취출수단; 및 상기 모종판 이송수단(320)을 간헐적으로 구동시키고, 상기 모종판 이송수단이 정지한 상태에서 상기 모종 취출수단이 상승, 회전, 클램핑, 복귀, 하강 과정을 통해 모종 1세트를 동시에 취출하도록 동력을 제공하는 동력전달수단(31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모종 이식기계의 모종 종이송장치{Apparatus for transferring vertically a seedling}
본 발명은 모종 이식기계의 모종 종이송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땅에 모종을 이식하는 모종 이식기계에 포함되어 모종판에 배열된 모종을 종 방향으로 이송하여 공급할 수 있는 모종 종이송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상추와 같은 식물은 발아 성공률을 높이고, 이식하기 전까지의 관리를 효율적으로 하기 위하여 일정한 모양의 모종판에 파종하여 발아시킨 다음 땅에 옮겨 심고 있다.
이와 같은 모종 이식작업을 손으로 하게 되면, 작업자가 모종을 모종판으로부터 일일이 손으로 뽑아서 옮겨 심어야 하기 때문에 긴 작업시간을 요하게 되며, 작업중 부주의하게 되면, 모종을 파손시키게 된다.
종래에는 이식작업에 소요되는 시간을 절약하기 위해 이식작업을 반자동화한 모종이식장치가 제안되었다. 이는 원판에 이식할 모종을 원형으로 배열시키고, 그 하부에는 구멍이 한 개인 셔터판을 설치하여 원판이 간헐 회전될 때 셔터판에 형성된 구멍과 일치되는 모종이 아래쪽으로 떨어지도록 구성되어 있었으며, 그 밑에서는 땅에 구멍을 내기 위한 말뚝모양의 관이 설치되어 밑으로 떨어진 모종이 이 관을 통해 낙하되고, 땅에 박힌관의 하단부를 양측으로 벌리게 되면, 관의 하부가 개방되면서 땅에 모종이 자리 잡을 구멍이 형성되는 동시에 모종이 땅으로 떨어지게 되는데, 이때 하단부가 열린 상태의 관을 그대로 상부로 들어올리게 되면, 모종은 땅에 남게 되고, 관의 하단부를 닫아서 앞의 과정을 반복하게 되면, 모종을 차례로 이식할 수 있도록 되어 있었다.
본 출원인은 종래 기술들의 문제점을 극복하고자 아래와 같이 모종이식기계에 관련된 특허를 출원한 바 있다.
그러나 종래 제안한 구조는 한꺼번에 공급할 수 있는 모종 수가 제한되었고, 고장 및 유지보수와 작동의 신뢰성에 문제가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3-0053281(2013.5.23) "모종 종이송장치"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3-0050601(2013.5.16) "모종 이식 자동 작동장치"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298212(2013.8.13) "모종 식재장치"
이에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복수개의 모종을 모종판으로부터 동시에 취출하여 전달 및 공급할 수 있고, 작동의 신뢰성을 보장하는 모종이식기계의 모종 종이송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 달성을 위한 본 발명에 따르면, 모종 이식기계를 구성하는 것으로 모종판에 배열된 모종을 종 방향으로 이송시켜 모종 횡이송 공급장치로 전달하는 모종 종이송장치에 있어서, 다수개의 모종이 배열된 모종판을 탑재하여 모종판을 간헐적으로 이송시키는 모종판 이송수단; 상기 모종판 이송수단에서 이송되는 모종판의 한 행에 배열된 모종 1세트를 동시에 취출하여 모종 횡이송 공급장치로 전달하는 모종 취출수단; 및 상기 모종판 이송수단을 간헐적으로 구동시키고, 상기 모종판 이송수단이 정지한 상태에서 상기 모종 취출수단이 상승, 회전, 클램핑, 복귀, 하강 과정을 통해 모종 1세트를 동시에 취출하도록 동력을 제공하는 동력전달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모종판 이송수단은, 모종이 배열된 모종판이 탑재되는 거치대와, 상기 거치대의 하측에 마주보도록 구비되는 스프라켓 형상의 이송휠과, 상기 이송휠을 관통하여 지지하는 이송축과, 일단이 단속회전체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동력전달수단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레버 및 상기 이송축과 레버 사이에 장착되어 상기 이송휠을 1피치씩 간헐적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모종판을 전진 이송시키는 단속회전구동체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단속회전구동체는, 상기 이송휠에 고정되고 상기 이송축이 관통하는 고정래칫판과, 상기 이송축이 관통하고 상기 고정래칫판에 래칫결합이 단속될 수 있는 회전래칫판과, 상기 이송축을 수용하는 원통형이고 축 방향으로 왕복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며 단부에 상기 회전래칫판이 결합되는 왕복슬라이더와, 상기 이송축의 단부와 상기 왕복슬라이더 사이에 개재되는 복귀스프링 및 상기 왕복슬라이더의 외주면과 스플라인 결합되고 외측에 상기 레버가 결합되는 가동구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모종 취출수단은, 상기 모종판 이송수단에서 이송되는 모종 1세트를 모종판으로부터 동시에 클램핑하여 취출한 후 모종 횡이송 공급장치로 전달하는 모종취출부와, 상기 모종취출부를 일정 각도 회전시켜 상기 모종판 이송수단으로 향하게 했다가 복귀하도록 왕복 구동하는 경사구동부와, 상기 모종취출부를 상하로 일정한 거리 내에서 왕복 승강 구동하는 승강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모종취출부는, 상기 승강부에 결합되어 승강되고 상하로 긴 홀 형상의 안내홀이 복수개 형성된 지지플레이트와,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후면에 가로로 설치되고 전면에는 상기 안내홀에 삽입되어 상하로 안내되는 스프레더를 구비한 클램핑플레이트와,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전면에 상기 각 스프레더를 수용하도록 상기 안내홀에 걸쳐 설치되는 복수개의 클램핑집게와, 상기 승강부 하측에 결합되어 상기 클램핑플레이트의 하강을 정지시키는 하강스토퍼와,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상측에 결합되어 상기 클램핑플레이트의 상승을 정지시키는 상승스토퍼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 상기 경사구동부는, 상기 승강부에 연동되어 회전하는 한 쌍의 경사구동축과, 상기 각 경사구동축의 양측에 결합되는 캠과, 중앙에 상기 승강부의 일단이 삽입될 수 있는 긴 홀(long hole) 형상의 장공이 형성되고 일측에 반원형의 삽입홈이 형성되는 캠종동부재와, 상기 캠종동부재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설치되어 번갈아 가며 상기 캠과 접동하는 캠롤러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승강부는, 상기 동력전달수단과 연동되어 회전하는 승강전달축과, 상기 승강전달축과 연동되어 회전하는 승강구동축과, 상기 승강구동축의 양단에 결합되어 회전하는 승강크랭크과, 상기 승강크랭크와 연결되는 승강로드와, 상기 승강구동축의 양측에 상기 승강구동축이 관통하면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길이방향을 따라 긴 홀(long hole) 형상의 승강안내로가 형성되는 승강프레임과, 상기 승강로드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승강안내로를 따라 슬라이딩 되는 승강슬라이더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동력전달수단은, 동력발생장치로부터 동력을 입력받아 지속 회전하는 동력입력부와, 상기 동력입력부와 연동되고 상기 모종판 이송수단을 간헐적으로 이송 구동하는 모종판 이송구동부와, 상기 동력입력부와 연동되어 상기 모종 취출수단이 상승하고 모종판을 향해 회전하며 모종 1세트를 동시에 클램핑하고 복귀한 후 하강하면서 상기 모종 횡이송 공급장치에 전달하도록 구동하는 모종 취출구동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모종판 이송구동부는, 상기 동력입력부와 연동되어 회전 가능한 모종판 이송구동축과, 상기 모종판 이송구동축에 설치되는 단속클러치와, 상기 모종판 이송구동축의 단부에 설치되어 단속적으로 회전하는 전달크랭크 및 일단이 상기 전달크랭크과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모종판 이송수단과 연결되는 전달링크로 구성되어, 상기 단속클러치는 상기 모종 취출수단이 모종을 취출하면 상기 모종판 이송구동축을 1 회전시켜 상기 모종판 이송수단이 작동되게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르면, 모종판에 배열된 복수개의 모종들을 동시에 취출하여 종 방향으로 이송하여 공급할 수 있어서 농작물의 이식작업의 효율이 급격하게 향상된다.
그리고 작동의 신뢰성과 유지 관리성이 뛰어나다.
도 1은 모종 이식기계의 전체적인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따른 모종 이식기계의 모종 종이송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동력전달수단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동력전달수단의 내부상세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단속클러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모종판 이송수단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7은 도 6에 도시된 본 발명의 단속회전구동체를 나타내는 단면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모종 취출수단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9는 도 8에 도시된 본 발명의 승강부 및 경사구동부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는 구조도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경사구동부의 작동 구조를 나타내는 작동상태도
도 11은 도 8에 도시된 본 발명의 모종취출부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본 발명의 클램핑집게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작동상태도
도 14는 모종판을 나타내는 사시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참고로, 도면을 참조한 설명은 본 발명을 더 쉽게 이해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주가 그것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될 경우,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모종 이식기계의 모종 종이송장치는 모종 이식기계를 구성하는 것으로 다수개의 모종이 가로, 세로로 배열된 모종판을 간헐적으로 종방향으로 이송하여 공급하는 장치이다. 이를 이해하기 위해 모종 이식기계의 구조를 도 1을 참조하여 간략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모종 이식기계의 전체적인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모종 이식기계는 동력을 발생시키는 동력발생장치(100), 상기 동력발생장치(100)에서 발생된 동력을 각 장치로 분배하여 전달하는 동력분배장치(200), 상기 동력분배장치(200)로부터 분배, 전달된 동력으로 구동되며 다수개의 모종이 배열된 모종판을 일정 주기를 가지고 간헐(間歇)적 또는 단속(斷續)적으로 종 방향 이송시키는 모종 종이송장치(300), 상기 모종 종이송장치(300)로부터 이송된 모종들을 회전시키면서 모종이식장치로 공급해주는 모종 횡이송 공급장치(400), 상기 모종 횡이송 공급장치(400)에서 공급된 모종을 일정한 간격으로 땅속에 묻어 이식하는 모종 이식장치(500)를 포함해서 구성될 수 있다.
상술한 모종 이식기계의 전체적인 구조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도 2를 함께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따른 모종 이식기계의 모종 종이송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를 참조하면, 본 발명은 다수개의 모종이 배열된 모종판을 탑재하여 모종판을 간헐적으로 이송시키는 모종판 이송수단(320)과, 상기 모종판 이송수단(320)에서 이송되는 한 행에 배열된 복수개의 모종들(모종 1세트)을 한꺼번에 취출하여 상기 모종 횡이송 공급장치(400)로 전달하는 모종 취출수단(330) 및 상기 동력발생장치(100)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모종판 이송수단(320)과 모종 취출수단(330)으로 동력을 전달하여 각각 구동시키는 동력전달수단(31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먼저, 도 3, 4를 참조하여 상기 동력전달수단에 대해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동력전달수단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동력전달수단의 내부상세도이다.
상기 동력전달수단(310)은 상기 동력분배장치(200)에 포함되는 것으로, 크게 상기 동력발생장치(100)로부터 동력이 입력되는 동력입력부(312)와, 상기 동력입력부(312)와 연동되어 상기 모종판 이송수단(320)을 구동하는 모종판 이송구동부(314)와, 상기 동력입력부(312)와 연동되어 상기 모종 취출수단(330)을 구동하는 모종 취출구동부(316) 및 상기 모종 횡이송 공급장치(400)를 구동하는 모종 회전공급구동부(318)가 상호 연동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동력입력부(312)는 상기 동력발생장치(100)와 직접 연동되는 동력입력기어(312a)와, 상기 동력입력기어(312a)와 연동되어 일정속도로 계속 회전하는 대기구동축(312b)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동력입력기어(312a)는 베벨기어(b)일 수 있고, 상기 대기구동축(312b)에도 상기 동력입력기어(312a)와 연동되는 베벨기어(b)가 구비되며, 상기 동력입력기어(312a)는 상기 대기구동축(312b)의 중간에 위치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대기구동축(312b)의 일측에는 상기 모종판 이송구동부(314)로 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제1대기구동기어(312c) 및 제2대기구동기어(312d)가 구비되고, 상기 모종 취출구동부(316)로 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제3대기구동기어(312e)가 구비된다.
또 상기 대기구동축(312b)의 타측에는 상기 모종 횡이송 공급장치(400)로 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제4대기구동기어(312f)가 구비된다.
다음으로 상기 모종판 이송구동부(314)는 상기 대기구동축(312b)과 연동되어 간헐적으로 회전하는 모종판 이송구동축(314a)과, 상기 모종판 이송구동축(314a)에 설치되는 단속클러치(315), 상기 모종판 이송구동축(314a)의 단부에 설치되어 단속적으로 회전하는 전달크랭크(314b) 및 상기 전달크랭크(314b)과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전달링크(314c)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모종판 이송구동축(314a)의 일단에는 상기 제3대기구동기어(312e)와 연동하여 회전하고 그 동력을 상기 모종 취출수단(330)으로 전달하는 전달기어(314d)가 구비되는데, 상기 전달기어(314d)에는 베벨기어(b)가 결합되어 상기 모종 취출수단(330)을 구동하는 베벨기어(b)와 연동된다.
그리고 상기 모종판 이송구동축(314a)의 타단에는 전달크랭크(314b)가 결합되어 편심회전을 유도한다. 또 상기 전달크랭크(314b)에 일단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 전달링크(314c)의 타단은 후술하는 상기 모종판 이송수단(320)의 이송휠(322)과 연동된다.
따라서 상기 모종판 이송구동축(314a)이 1 회전할 때 상기 전달크랭크(314b)의 편심회전에 의해 상기 전달링크(314c)는 수평 이동되고, 이로 인해 상기 이송휠(322)이 일정각도 회전하게 한다. 상기 이송휠(322)의 회전은 이하에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상기 단속클러치(315)는 계속 회전하는 상기 대기구동축(312b)과 상기 모종판 이송구동축(314a)에 동력이 전달되도록 연결했다가 동력이 전달되지 않도록 차단하는 것을 일정 주기로 반복하게 하는 구성이다.
상기 단속클러치(315)는 본 출원인이 출원하여 등록받은 '등록특허 제10-1279921호(2013.6.24)'에 공지된 기술과 대동소이하다. 따라서, 도 5를 참조하여 간략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단속클러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상기 단속클러치(315)는 도시된 바와 같이 가장자리가 고정되면서 상기 모종판 이송구동축(314a)이 중앙을 관통하고 양측의 링형 단면에 각각 요철과 같은 형상의 제1, 2치합부()가 형성되는 고정클러치(315a)와, 일측에 제3치합부(t3)가 형성되고 타측에 제1스프링(315f)이 탄설되어 일정 폭을 두고 축 방향으로 왕복 슬라이딩 이동 가능한 제1이동클러치(315b)와, 상기 제1이동클러치(315b)의 중공관 외주에 설치되고 상기 고정클러치(315a)의 제1치합부(t1)와 제1이동클러치(315b)의 제3치합부(t3)가 맞물리는 순간 상기 제1이동클러치(315b)와 중공관 외주면에 감긴 제2스프링(내부 설치)에 의해 축 방향으로 일정 폭을 두고 왕복 슬라이딩 이동하는 제2이동클러치(315c)와, 상기 제2이동클러치(315c)와 일체로 결합되고 상기 모종판 이송구동축(314a)과 스플라인 결합되어 상기 제2이동클러치(315c)와 함께 슬라이딩 이동하면서 상기 모종판 이송구동축(314a)으로의 동력전달을 단속시키는 제3이동클러치(315d) 및 상기 제3이동클러치(315d)와 래칫기어 결합에 의해 상기 모종판 이송구동축(314a)을 회전시키는 구동클러치기어(315e)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1이동클러치(315b)는 상기 제1대기구동기어(312c)와 연동되어 회전하고, 상기 구동클러치기어(315e)는 상기 제2대기구동기어(312d)와 연동되어 상시 회전한다.
그리고 상기 모종판 이송구동축(314a)은 계속 회전하는 것이 아니라, 상기 대기구동축(312b)이 수회 회전할 때 1 회전하도록 세팅된다. 예를 들어, 상기 대기구동축(312b)이 1.25 회전(450도)하면 상기 모종판 이송구동축(314a)이 1 회전하게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치합부(t1)와 제3치합부(t3)가 접촉되고 제2치합부(t2)와 제4치합부(t4)가 치합된 상태에서, 상기 대기구동축(312b)이 회전하기 시작하면 상기 구동클러치기어(315e)가 일정 속도로 공회전하고, 이때 제1이동클러치(315b)도 일정 각도 회전하다가 제3치합부(t3)가 제1치합부(t1)와 치합되면서 고정클러치(315a) 측으로 이동하여 상기 제2이동클러치(315c)를 밀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2이동클러치(315c)가 이동하게 되면서 동시에 상기 제3이동클러치(315d)도 이동하여 상기 구동클러치기어(315e)와 래칫기어 결합된다.
이로 인해, 공회전하던 구동클러치기어(315e)의 구동력이 제3이동클러치(315d)에 전달되면 제3이동클러치(315d) 회전에 의해 제3이동클러치(315d)와 스플라인 결합된 모종판 이송구동축(314a)과 제2이동클러치(315c)가 동시에 회전한다.
이때, 제2이동클러치(315c) 회전으로 제4치합부(t4)와 제2치합부(t2)가 치합에서 벗어나 접촉상태가 되면 제2이동클러치(315c)가 더 이동함으로써 상기 제3이동클러치(315d)와 구동클러치()는 완벽하게 래칫기어 결합된다.
결국, 상기 고정클러치(315a)의 제1치합부(t1)와 제2치합부(t2)에 상기 제1이동클러치(315b)의 제3치합부(t3)와 제2이동클러치(315c)의 제4치합부(t4)가 각각 양측으로 최대로 밀려나간 상태에서 제3이동클러치(315d)에 의해 상기 모종판 이송구동축(314a)을 1 회전시킨다.
상기 모종판 이송구동축(314a)이 1 회전하는 동안 상기 제2이동클러치(315c)도 1 회전하면, 제2스프링()에 의해 상기 제2이동클러치(315c)가 고정클러치(315a) 측으로 다시 이동하여 제4치합부(t4)와 제2치합부(t2)는 치합된다.
이로 인해 상기 제3이동클러치(315d)도 이동하여 래칫기어 결합상태가 해제되어 상기 구동클러치기어(315e)의 구동력이 제3이동클러치(315d)로 전달되지 못해 상기 모종판 이송구동축(314a)은 회전을 멈춘다.
그러나 구동클러치기어(315e)와 제1이동클러치(315b)는 여전히 회전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1이동클러치(315b)가 회전하다가 상기 제1치합부(t1)와 제3치합부(t3)가 다시 치합되면서 상기와 같은 과정을 반복하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모종 취출구동부(316)는 상기 모종판 이송구동축(314a)의 전달기어(314d)와 연동되어 상기 모종 취출수단(330)을 구동시킨다. 이때, 상기 전달기어(314d)는 상기 모종판 이송구동축(314a)과 연동되지 않고 상기 대기구동축(312b)에 연동되어 지속 회전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모종 취출구동부(316)는 베벨기어(b)를 사용할 수 있고, 상기 전달기어(314d)와 일체인 베벨기어(b)와 연동되게 구성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6을 함께 참조하여 모종판 이송수단(320)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모종판 이송수단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상기 모종판 이송수단(320)은 다수개의 모종들이 가로, 세로로 배열된 모종판을 간헐적으로 종 방향으로 전진 이송시켜 상기 모종 취출수단(330)에 1행씩 공급할 수 있는 수단으로서, 크게 모종판이 탑재되는 거치대(321)와, 상기 거치대(321)의 하측에 마주보도록 구비되는 스프라켓 형상의 이송휠(322)과, 상기 이송휠(322)을 관통하여 지지하는 이송축(323)과, 일단이 단속회전체()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모종판 이송구동부(314)의 전달링크(314c)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레버(324) 및 상기 이송축(323)과 레버(324) 사이에 장착되어 상기 이송휠(322)을 1피치씩 간헐적으로 회전시키는 단속회전구동체(325)를 포함해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거치대(321), 이송휠(322)은 도시된 예와 같이 별도의 프레임에 결합, 설치되어 작동될 수 있다.
먼저, 상기 거치대(321)는 직사각형 형상의 모종판을 탑재하여 지지할 수 있는 평판 형상의 구성으로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모종판()에 배열된 모종의 열수에 대응하여 전진 이송을 안내하는 구획벽(321a)이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1행에 5개의 모종이 배열된 모종판을 사용한다고 했을 때 5열이 되므로 상기 구획벽(321a)은 4개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이송휠(322)은 한 쌍이 양측에 마주보도록 구비될 수 있으며, 중앙에 이송축(323)이 결합된다. 상기 이송축(323)은 상기 이송휠(322)을 관통하여 외측으로 돌출되게 되며 돌출된 부분에 상기 레버(324)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이송휠(322)의 스프라켓치(teeth)는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종판()의 양측에 형성된 홀에 삽입된 상태로 회전하면 모종판()이 전진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레버(324)는 상기 전달링크(314c)에 연결되어 상기 전달링크(314c)의 전후진에 의해 일정 각도 내에서 왕복 회전하도록 작동된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본 발명의 단속회전구동체를 나타내는 단면사시도이다.
상기 단속회전구동체(325)는 상기 이송휠(322)에 고정되고 상기 이송축(323)이 관통하는 고정래칫판(325a)과, 상기 이송축(323)이 관통하고 상기 고정래칫판(325a)에 래칫결합이 단속될 수 있는 회전래칫판(325b)과, 상기 이송축(323)을 수용하는 원통형이고 축 방향으로 왕복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며 단부에 상기 회전래칫판(325b)이 결합되는 왕복슬라이더(325c)와, 상기 이송축(323)의 단부와 상기 왕복슬라이더(325c) 사이에 개재되는 복귀스프링(325d) 및 상기 왕복슬라이더(325c)의 외주면과 스플라인 결합되고 외측에 상기 레버(324)가 결합되는 가동구(325e)를 포함해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전달링크(314c)의 전진을 통해 상기 레버(324)가 밀어져 일정 각도 회전하면 상기 왕복슬라이더(325c)도 일정 각도 회전하고 이와 결합된 상기 회전래칫판(325b)도 일정 각도만 회전한다.
상기 회전래칫판(325b)이 회전하면 래칫결합된 상기 고정래칫판(325a)도 일정 각도만 회전하므로 결국 상기 고정래칫판(325a)과 결합된 상기 이송휠(322)이 회전한다. 이때 상기 이송휠(322)의 톱니 1개가 회전(1피치 회전)함으로써 상기 이송휠(322)의 톱니에 끼워진 모종판이 1피치만큼 전진하게 된다.
연이어, 상기 전달링크(314c)가 후진하게 되면 상기 레버(324)가 당겨져 원래 위치로 복귀하게 된다. 그러면 상기 왕복슬라이더(325c) 및 회전래칫판(325b)도 반대로 회전하여 복귀하는데, 이때 상기 회전래칫판(325b)의 래칫은 상기 고정래칫판(325a)의 래칫과 걸리는 것이 아니라 서로 경사진 래칫면을 타고 넘기 때문에 상기 회전래칫판(325b)은 밀려나게 되고 상기 왕복슬라이더(325c)도 슬라이딩 되면서 밀려난다. 이때 상기 복귀스프링(325d)은 압축되면서 상기 왕복슬라이더(325c)를 탄지한다.
이때 상기 가동구(325e)는 상기 왕복슬라이더(325c)와 스플라인 결합하기 때문에 축 방향으로 이동되지는 않는다.
상기 회전래칫판(325b)이 최대로 회전하여 복귀하면 상기 회전래칫판(325b)의 래칫이 상기 고정래칫판(325a)의 래칫을 완전히 타고 넘어 다음 래칫과 위치하는 순간, 상기 복귀스프링(325d)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왕복슬라이더(325c)는 다시 슬라이딩 되어 복귀하면서 상기 회전래칫판(325b)이 상기 고정래칫판(325a)과 다시 래칫결합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반복되어 상기 이송휠(322)은 상기 일정한 주기로 1피치씩 회전하여 탑재된 모종판을 전진, 이송시키고, 일정 시간 정지했다가 다시 이송시킨다. 즉, 모종판()에서 모종을 1행씩 이송하게 된다.
다음으로 도 8을 함께 참조하여 모종 취출수단(330)에 대해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모종 취출수단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상기 모종 취출수단(330)은 상기 모종판 이송수단(320)에서 이송중인 모종판으로부터 모종 1세트를 취출하여 상기 모종 횡이송 공급장치(400)로 전달해주는 구성이다.
이하에서, 모종판의 한 행에 배열된 복수개의 모종들을 모종 1세트라고 지칭한다. 본 발명의 도면에는 5개의 모종을 1세트로 한다.
상기 모종 취출수단(330)은 상기 동력전달수단(310)의 상측에 위치하고, 상기 동력전달수단(310)의 모종취출구동부()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구동되는 것으로서, 크게 상기 모종판 이송수단(320)에서 이송되는 복수개의 모종을 모종판으로부터 한꺼번에 클램핑하여 취출한 후 모종 횡이송 공급장치(400)로 전달하는 모종취출부(340)와, 상기 모종취출부(340)의 방향이 일정 각도 내에서 상기 모종판 이송수단(320)으로 향하게 했다가 상기 모종 회전공급부()을 향하도록 왕복 구동하는 경사구동부(334)와, 상기 모종취출부(340)를 상하로 일정한 거리 내에서 왕복 승강 구동하는 승강부(332)를 포함해서 구성될 수 있다.
도 9는 도 8에 도시된 본 발명의 승강부 및 경사구동부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는 구조도이다.
먼저, 상기 승강부(332)는 상기 모종취출구동부()의 베벨기어(b)와 연동되어 회전하는 승강전달축(332a)과, 상기 승강전달축(332a)과 연동되어 회전하는 승강구동축(332b)과, 상기 승강구동축(332b)의 양단에 결합되어 회전하는 승강크랭크(332c)과, 상기 승강크랭크(332c)와 연결되는 승강로드(332d)와, 상기 승강구동축(332b)의 양측에 상기 승강구동축(332b)이 관통하면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길이방향을 따라 긴 홀(long hole) 형상의 승강안내로(332f)가 형성되는 승강프레임(332e)과, 상기 승강로드(332d)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승강안내로(332f)를 따라 슬라이딩 되는 승강슬라이더(332h)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승강전달축(332a)과 승강구동축(332b)은 1:1의 회전비로 회전하고, 상기 승강구동축(332b)에 결합된 승강크랭크(332c)도 1회전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승강크랭크(332c)의 1회전에 의해 상기 승강슬라이더(332h)는 상기 승강안내로(332f)를 따라 상하로 1회 왕복하며, 상기 승강슬라이더(332h)에는 상기 모종취출부(340)가 결합되어 있어 결국, 상기 모종취출부(340)가 상하로 1회 왕복하게 구동된다.
그리고 상기 각 승강프레임(332e)의 내측면에는 후술하는 경사구동부(334)의 삽입홈(334e)에 걸릴 수 있는 걸림롤러(332g)가 구비된다.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경사구동부의 작동 구조를 나타내는 작동상태도이다.
여기서, 도 10(a)는 승강프레임이 수직일 경우, (b)는 승강프레임이 캠에 의해 회전하여 경사를 이루는 상태를 나타낸다.
도시된 바를 참조하면, 상기 경사구동부(334)는 상기 승강전달축(332a)에 연동되어 회전하는 한 쌍의 경사구동축(334a)과, 상기 각 경사구동축(334a)의 양측에 결합되는 캠(334b)과, 중앙에 상기 승강구동축(332b)의 단부가 삽입될 수 있는 긴 홀(long hole) 형상의 장공(334d)이 형성되고 일측에 반원형의 삽입홈(334e)이 형성되는 캠종동부재(334c)와, 상기 캠종동부재(334c)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설치되어 번갈아 가며 상기 캠(334b)과 접동하는 캠롤러(334f)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캠롤러(334f)를 안내하는 롤가이드부재()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승강전달축(332a)과 승강구동축(332b)은 2:1의 비로 회전한다. 즉 상기 승강전달축(332a)이 2회전할 때 상기 승강구동축(332b) 및 이에 결합된 캠(334b)은 1회전한다.
그리고 상기 캠(334b)의 캠면이 상측에 위치하면 상부에 있는 상기 캠롤러(334f)가 접동되어 상기 캠종동부재(334c)는 상승하고, 상기 캠면()이 회전하여 하측에 오면 하부에 있는 상기 캠롤러(334f)가 접동되어 상기 캠종동부재(334c)는 하강한다. 그 상승과 하강의 왕복행정거리는 상기 장공(334d)의 길이와 대응한다.
여기서, 상기 걸림롤러(332g)는 상기 승강구동축(332b)으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되도록 위치한다. 따라서, 상기 캠종동부재(334c)의 승강에 따라 상기 캠종동부재(334c)의 삽입홈(334e)에 삽입된 상기 걸림롤러(332g)에도 힘이 작용한다. 이 힘은 상기 승강프레임(332e)이 상기 승강구동축(332b)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하는 모멘트로 작용하기 때문에 상기 승강프레임(332e)은 수직 위치에서 전방으로 회전하여 일정 각도만큼 경사지게 된다.
즉, 상기 캠(334b)이 1회전할 때마다 상기 승강프레임(332e)도 일정 각도 내에서 한번 씩 회전하고 복귀한다.
도 11은 도 8에 도시된 본 발명의 모종취출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다음으로 상기 모종취출부(340)는 상기 승강슬라이더(332h)에 결합되어 상기 승강슬라이더(332h)와 함께 승강하며 상기 모종판의 모종들을 클램핑하여 전달하는 구성이다.
상기 모종취출부(340)는 상기 승강슬라이더(332h)에 결합되어 승강되고 상하로 긴 홀 형상의 안내홀(342)이 복수개 형성된 지지플레이트(341)와, 상기 지지플레이트(341)의 후면에 가로로 설치되고 전면에는 상기 안내홀(342)에 삽입되어 상하로 안내되는 스프레더(344)를 구비한 클램핑플레이트(343)와, 상기 지지플레이트(341)의 전면에 상기 각 스프레더를 수용하도록 상기 안내홀(342)에 걸쳐 설치되는 복수개의 클램핑집게(345)와, 상기 승강프레임(332e) 하측에 결합되어 상기 클램핑플레이트(343)의 하강을 정지시키는 하강스토퍼(346)와, 상기 지지플레이트(341)의 상측에 결합되어 상기 클램핑플레이트(343)의 상승을 정지시키는 상승스토퍼(347)를 포함한다.
상기 지지플레이트(341)의 안내홀(342)은 모종판에 1행당 배열된 모종의 개수와 대응되며,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5개의 모종이 한 행에 배열된 모종판을 사용하는 경우, 상기 안내홀(342)은 5개가 상기 모종들의 간격과 동일한 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클램핑플레이트(343)는 가로로 긴 바(bar) 형상이고 상기 안내홀(342) 사이의 간격과 동일하게 복수개의 스프레더(344)가 고정된다. 상기 스프레더(344)는 도시된 바와 같이 양측에 테이퍼진 테이퍼면(344a)이 형성되어 대략 단면이 삼각형과 유사한 형상일 수 있다. 또 상기 스프레더(344)는 각각 상기 안내홀(342)에 삽입된 상태가 되어 상기 클램핑플레이트(343)는 상기 안내홀(342)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상하로 움직일 수 있다.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본 발명의 클램핑집게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상기 클램핑집게(345)는 실제 모종을 클램핑할 수 있는 구성으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좌집게(345a)와 우집게(345b)가 상기 안내홀(342)의 양측에 회전 가능하게 각각 힌지 결합되고, 좌집게(345a)와 우집게(345b) 사이에 압축스프링(345c)이 개재되어 강제로 벌어진 상태를 유지하게 한다. 이때, 상기 좌집게(345a)와 우집게(345b) 상단에는 상기 스프레더(344)의 테이퍼면(344a)과 접동될 수 있도록 스프레딩롤러(345d)가 구비된다. 참고로 상기 클램핑집게(345)는 모종을 뚫고 들어가도록 끝이 뾰족한 형상일 수 있다.
또 상기 하강스토퍼(346)는 대략 'ㄴ'과 같은 형상을 가져 상기 클램핑플레이트(343)가 하강하다가 걸리도록 하여 더 이상 하강하지 않게 정지시킨다.
또한, 상기 상승스토퍼(347)도 대략 'ㄴ'과 같은 형상을 가지며 상기 지지플레이트(341)의 상측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상승스토퍼(347)의 상단과 지지플레이트(341) 사이에 스프링()이 구비되어 상기 상승스토퍼(347)는 탄성적으로 복원 가능하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작동과정을 설명한다. 도 13은 작동과정을 나타내는 작동상태도이다.
i) 도 13(a)의 경우, 상기 동력전달수단(310)에서 전달된 동력이 상기 승강전달축(332a)을 구동하고 연동된 상기 승강구동축(332b)이 회전하게 된다. 상기 승강구동축(332b)에 결합된 상기 승강크랭크(332c)가 12시 방향에 도달하면 상기 승강슬라이더(332h)는 최상점에 위치한다.
그리고 상기 승강슬라이더(332h)에 결합된 상기 지지플레이트(341)와 클램핑집게(345)도 최상점에 위치한다. 이때, 상기 클램핑플레이트(343)는 상기 안내홀(342)의 하측에 위치하고 상기 하강스토퍼(346)에 걸려 정지하고, 상기 클램핑집게(345)는 벌어진 상태이다.
또 상기 캠(334b)은 3시 혹은 9시 방향에 위치하므로 상기 승강프레임(332e)은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이다.
ii) 도 13(b)의 경우, 상기 승강크랭크(332c)가 180도 회전하여 6시 방향에 도달하면, 상기 승강슬라이더(332h)는 최하점에 위치하고, 상기 지지플레이트(341)와 클램핑집게(345)도 최하점에 위치한다.
동시에 상기 캠(334b)은 90도 회전하여 12시 방향에 위치하므로 상기 승강프레임(332e)은 일정각도 회전하여 상기 모종판() 측으로 경사를 이루면서 모종판()에 근접한다. 따라서, 상기 지지플레이트(341)와 클램핑집게(345)도 경사를 이루게 되며 상기 클램핑집게(345)는 벌어진 상태에서 상기 모종판()의 모종으로 접근하면서 삽입된다.
이때, 상기 클램핑플레이트(343)도 하강하지만 상기 지지플레이트(341)가 최하점에 도달하기 전에 상기 상승스토퍼(347)에 걸리게 되어 더이상 하강하지 않는다.
그러나 상대적으로 상기 지지플레이트(341)와 클램핑집게(345)는 최하점에 도달할 때까지 계속 하강하게 되며, 이로 인해 상기 스프레더(344)가 상기 좌집게(345a)의 스프레딩롤러(345d)와 우집게(345b)의 스프레딩롤러(345d) 사이로 삽입되면서 상기 테이퍼면(344a)이 스프레딩롤러(345d)를 벌어지게 한다.
따라서, 상기 좌집게(345a)와 우집게(345b)의 하단부는 서로 모아지면서 모종을 클램핑하게 된다.
iii) 도 13(c)의 경우는, 다시 상기 승강크랭크(332c)가 180도 회전하여 12시 방향에 도달하면, 상기 승강슬라이더(332h)는 최상점에 위치하고, 상기 지지플레이트(341)와 클램핑집게(345)는 최상점에 위치한다. 그리고 상기 클램핑집게(345)는 모종을 클램핑하고 있는 상태이다.
동시에 상기 캠(334b)은 90도 회전하여 9시 또는 3시 방향에 위치하므로 상기 승강프레임(332e)은 역회전하여 수직 위치로 복귀하게 된다. 이때, 상기 클램핑플레이트도() 함께 상승한다.
한편, 이때 상기 이송휠(322)은 1피치 회전하여 다음 모종을 대기시킨다.
iv) 도 13(d)의 경우, 상기 승강크랭크(332c)가 6시 방향에 위치하면, 상기 승강슬라이더(332h)는 최하점에 위치하고, 상기 지지플레이트(341)와 클램핑집게(345)도 최하점으로 하강한다.
그리고 상기 캠(334b)은 6시 방향에 위치하게 되고, 상기 클램핑플레이트(343)도 하강한다.
이때, 상기 클램핑집게(345)에 클램핑된 모종은 하측에 위치한 모종 횡이송 공급장치의 전달컵(c)에 내부에 안착된 상태가 된다.
여기서, 상기 승강크랭크(332c)가 구동되어 도 13(a) 와 같은 상태로 진행이 되면서 상기 승강슬라이더(332h) 및 클램핑집게(345)가 상승한다. 상기 승강슬라이더(332h)가 상승하면서 상기 스프레더(344)가 상기 스프레딩롤러(345d) 사이에서 이탈되어 상기 클램핑집게(345)가 벌어지면서 모종을 전달컵(c)에 남겨두고 상승한다.
이후, 도 13(a) 상태로 복귀하고 이 과정은 반복된다.
이상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대표적인 실시 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한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 내용을 바탕으로 본 발명의 범주 내에서 다양한 응용 및 변형을 행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 동력발생장치 200 : 동력분배장치
400 : 모종 횡이송 공급장치 500 : 모종이식장치
300 : 모종 종이송장치
310 : 동력전달수단 312 : 동력입력부
312a : 동력입력기어 312b : 대기구동축
312c : 제1대기구동기어 312d : 제2대기구동기어
312e : 제3대기구동기어 312f : 제4대기구동기어
314 : 모종판 이송구동부 314a : 모종판 이송구동축
314b : 전달크랭크 314c : 전달링크
314d : 전달기어 315 : 단속클러치
315a : 고정클러치 315b : 제1이동클러치
315c : 제2이동클러치 315d : 제3이동클러치
315e : 구동클러치기어 315f : 제1스프링
315g : 제2스프링 316 : 모종 취출구동부
318 : 모종 회전공급구동부
320 : 모종판 이송수단
321 : 거치대 321a : 구획벽
322 : 이송휠 323 : 이송축
324 : 레버 325 : 단속회전구동체
325a : 고정래칫판 325b : 회전래칫판
325c : 왕복슬라이더 325d : 복귀스프링
325e : 가동구
330 : 모종 취출수단
332 : 승강부 332a : 승강전달축
332b : 승강구동축 332c : 승강크랭크
332d : 승강로드 332e : 승강프레임
332f : 승강안내로 332g : 걸림롤러
332h : 승강슬라이더
334 : 경사구동부 334a : 경사구동축
334b : 캠 334c : 캠종동부재
334d : 장공 334e : 삽입홈
334f : 캠롤러
340 : 모종취출부 341 : 지지플레이트
342 : 안내홀 343 : 클램핑플레이트
344 : 스프레더 344a : 테이퍼면
345 : 클램핑집게 345a : 좌집게
345b : 우집게 345c : 압축스프링
345d : 스프레딩롤러 346 : 하강스토퍼
347 : 상승스토퍼
t1 : 제1치합부 t2 : 제2치합부
t3 : 제3치합부 t4 : 제4치합부
b : 베벨기어 c : 전달컵
mp : 모종판

Claims (9)

  1. 모종 이식기계를 구성하는 것으로 모종판에 배열된 모종을 종 방향으로 이송시켜 모종 횡이송 공급장치로 전달하는 모종 종이송장치에 있어서,
    다수개의 모종이 배열된 모종판을 탑재하여 모종판을 간헐적으로 이송시키는 모종판 이송수단;
    상기 모종판 이송수단에서 이송되는 모종판의 한 행에 배열된 모종 1세트를 동시에 취출하여 모종 횡이송 공급장치로 전달하는 모종 취출수단; 및
    상기 모종판 이송수단(320)을 간헐적으로 구동시키고, 상기 모종판 이송수단이 정지한 상태에서 상기 모종 취출수단이 상승, 회전, 클램핑, 복귀, 하강 과정을 통해 모종 1세트를 동시에 취출하도록 동력을 제공하는 동력전달수단(31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종 이식기계의 모종 종이송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모종판 이송수단은,
    모종이 배열된 모종판이 탑재되는 거치대와, 상기 거치대의 하측에 마주보도록 구비되는 스프라켓 형상의 이송휠과, 상기 이송휠을 관통하여 지지하는 이송축과, 일단이 단속회전체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동력전달수단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레버 및 상기 이송축과 레버 사이에 장착되어 상기 이송휠을 1피치씩 간헐적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모종판을 전진 이송시키는 단속회전구동체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종 이식기계의 모종 종이송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단속회전구동체는,
    상기 이송휠에 고정되고 상기 이송축이 관통하는 고정래칫판과, 상기 이송축이 관통하고 상기 고정래칫판에 래칫결합이 단속될 수 있는 회전래칫판과, 상기 이송축을 수용하는 원통형이고 축 방향으로 왕복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며 단부에 상기 회전래칫판이 결합되는 왕복슬라이더와, 상기 이송축의 단부와 상기 왕복슬라이더 사이에 개재되는 복귀스프링 및 상기 왕복슬라이더의 외주면과 스플라인 결합되고 외측에 상기 레버가 결합되는 가동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종 이식기계의 모종 종이송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모종 취출수단은,
    상기 모종판 이송수단에서 이송되는 모종 1세트를 모종판으로부터 동시에 클램핑하여 취출한 후 모종 횡이송 공급장치로 전달하는 모종취출부와, 상기 모종취출부를 일정 각도 회전시켜 상기 모종판 이송수단으로 향하게 했다가 복귀하도록 왕복 구동하는 경사구동부와, 상기 모종취출부를 상하로 일정한 거리 내에서 왕복 승강 구동하는 승강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종 이식기계의 모종 종이송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모종취출부는,
    상기 승강부에 결합되어 승강되고 상하로 긴 홀 형상의 안내홀이 복수개 형성된 지지플레이트와,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후면에 가로로 설치되고 전면에는 상기 안내홀에 삽입되어 상하로 안내되는 스프레더를 구비한 클램핑플레이트와,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전면에 상기 각 스프레더를 수용하도록 상기 안내홀에 걸쳐 설치되는 복수개의 클램핑집게와, 상기 승강부 하측에 결합되어 상기 클램핑플레이트의 하강을 정지시키는 하강스토퍼와,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상측에 결합되어 상기 클램핑플레이트의 상승을 정지시키는 상승스토퍼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종 이식기계의 모종 종이송장치.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구동부는,
    상기 승강부에 연동되어 회전하는 한 쌍의 경사구동축과, 상기 각 경사구동축의 양측에 결합되는 캠과, 중앙에 상기 승강부의 일단이 삽입될 수 있는 긴 홀(long hole) 형상의 장공이 형성되고 일측에 반원형의 삽입홈이 형성되는 캠종동부재와, 상기 캠종동부재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설치되어 번갈아 가며 상기 캠과 접동하는 캠롤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종 이식기계의 모종 종이송장치.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부는,
    상기 동력전달수단과 연동되어 회전하는 승강전달축과, 상기 승강전달축과 연동되어 회전하는 승강구동축과, 상기 승강구동축의 양단에 결합되어 회전하는 승강크랭크과, 상기 승강크랭크와 연결되는 승강로드와, 상기 승강구동축의 양측에 상기 승강구동축이 관통하면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길이방향을 따라 긴 홀(long hole) 형상의 승강안내로가 형성되는 승강프레임과, 상기 승강로드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승강안내로를 따라 슬라이딩 되는 승강슬라이더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종 이식기계의 모종 종이송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수단은,
    동력발생장치로부터 동력을 입력받아 지속 회전하는 동력입력부와, 상기 동력입력부와 연동되고 상기 모종판 이송수단을 간헐적으로 이송 구동하는 모종판 이송구동부와, 상기 동력입력부와 연동되어 상기 모종 취출수단이 상승하고 모종판을 향해 회전하며 모종 1세트를 동시에 클램핑하고 복귀한 후 하강하면서 상기 모종 횡이송 공급장치에 전달하도록 구동하는 모종 취출구동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종 이식기계의 모종 횡이송 공급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모종판 이송구동부는,
    상기 동력입력부와 연동되어 회전 가능한 모종판 이송구동축과, 상기 모종판 이송구동축에 설치되는 단속클러치와, 상기 모종판 이송구동축의 단부에 설치되어 단속적으로 회전하는 전달크랭크 및 일단이 상기 전달크랭크과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모종판 이송수단과 연결되는 전달링크로 구성되어,
    상기 단속클러치는 상기 모종 취출수단이 모종을 취출하면 상기 모종판 이송구동축을 1 회전시켜 상기 모종판 이송수단이 작동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종 이식기계의 모종 횡이송 공급장치.
KR1020170117437A 2017-09-13 2017-09-13 모종 이식기계의 모종 종이송장치 KR1019934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7437A KR101993474B1 (ko) 2017-09-13 2017-09-13 모종 이식기계의 모종 종이송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7437A KR101993474B1 (ko) 2017-09-13 2017-09-13 모종 이식기계의 모종 종이송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0117A true KR20190030117A (ko) 2019-03-21
KR101993474B1 KR101993474B1 (ko) 2019-06-27

Family

ID=660369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17437A KR101993474B1 (ko) 2017-09-13 2017-09-13 모종 이식기계의 모종 종이송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93474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972244A (zh) * 2020-07-30 2020-11-24 周建飞 一种栽树机器人
CN112075169A (zh) * 2020-05-09 2020-12-15 邱荣奎 一种农作物移栽机
WO2021026722A1 (zh) * 2019-08-12 2021-02-18 尹飞龙 一种自动上苗系统
CN113599722A (zh) * 2021-08-03 2021-11-05 中科领航医疗科技有限公司 一种手术导航与放射性植入系统用植入针夹具及使用方法
CN116406547A (zh) * 2023-04-25 2023-07-11 湖南农业大学 一种拔苗分苗输送装置
CN117099547A (zh) * 2023-10-20 2023-11-24 泰州市强达不锈钢丝绳有限公司 一种基于农业种植的小型幼苗移栽机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330211A (ja) * 1991-01-18 1992-11-18 Yanmar Agricult Equip Co Ltd 移植機
JPH10164916A (ja) * 1996-12-05 1998-06-23 Kubota Corp 移植方法及び移植機
JP2004321043A (ja) * 2003-04-23 2004-11-18 Kantaku Tei 玉ねぎ移植機
KR20130050601A (ko) 2011-11-08 2013-05-16 이두영 모종 이식 자동 작동장치
KR20130053281A (ko) 2011-11-15 2013-05-23 이두영 모종판 종 이송장치
KR101298212B1 (ko) 2012-11-29 2013-08-22 이두영 모종 식재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330211A (ja) * 1991-01-18 1992-11-18 Yanmar Agricult Equip Co Ltd 移植機
JPH10164916A (ja) * 1996-12-05 1998-06-23 Kubota Corp 移植方法及び移植機
JP2004321043A (ja) * 2003-04-23 2004-11-18 Kantaku Tei 玉ねぎ移植機
KR20130050601A (ko) 2011-11-08 2013-05-16 이두영 모종 이식 자동 작동장치
KR20130053281A (ko) 2011-11-15 2013-05-23 이두영 모종판 종 이송장치
KR101298212B1 (ko) 2012-11-29 2013-08-22 이두영 모종 식재장치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26722A1 (zh) * 2019-08-12 2021-02-18 尹飞龙 一种自动上苗系统
CN112075169A (zh) * 2020-05-09 2020-12-15 邱荣奎 一种农作物移栽机
CN111972244A (zh) * 2020-07-30 2020-11-24 周建飞 一种栽树机器人
CN113599722A (zh) * 2021-08-03 2021-11-05 中科领航医疗科技有限公司 一种手术导航与放射性植入系统用植入针夹具及使用方法
CN113599722B (zh) * 2021-08-03 2024-04-09 中科领航医疗科技有限公司 一种手术导航与放射性植入系统用植入针夹具及使用方法
CN116406547A (zh) * 2023-04-25 2023-07-11 湖南农业大学 一种拔苗分苗输送装置
CN116406547B (zh) * 2023-04-25 2024-02-06 湖南农业大学 一种拔苗分苗输送装置
CN117099547A (zh) * 2023-10-20 2023-11-24 泰州市强达不锈钢丝绳有限公司 一种基于农业种植的小型幼苗移栽机
CN117099547B (zh) * 2023-10-20 2024-02-09 泰州市强达不锈钢丝绳有限公司 一种基于农业种植的小型幼苗移栽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93474B1 (ko) 2019-06-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93474B1 (ko) 모종 이식기계의 모종 종이송장치
CN113383628A (zh) 一种高速钵苗定植机
KR200422866Y1 (ko) 파종기용 육묘상자의 공급장치
JP5092499B2 (ja) 播種ユニット及び播種方法
JP6181624B2 (ja) 移植機
KR20130050601A (ko) 모종 이식 자동 작동장치
CN108422189A (zh) 相框自动组装线
KR101930531B1 (ko) 모종 이식기계의 모종 횡이송 공급장치
KR101996077B1 (ko) 모종이식기의 모종 종이송장치
EP0020222A1 (fr) Machine automatique d'assemblage d'ailettes particulièrement pour échangeurs de chaleur ou radiateurs
CN113170639B (zh) 一种自动钵苗移栽机
CN109328574B (zh) 一种自动钵苗定植机
JP2005034108A (ja) 移植機
JP2016010334A (ja) 移植機
CN116210412B (zh) 一种钵体苗成型机及其钵体苗制作方法
RU2800822C1 (ru) Автомат для подачи рассады к посадочному аппарату
JP4018042B2 (ja) 移植機
JPS6313644B2 (ko)
CN114303866B (zh) 一种茶树幼苗的种植装置
JP4018041B2 (ja) 移植機の植付カップ駆動機構
JP3555898B2 (ja) 苗植機
CN106717361B (zh) 芋头直立播种机
JP2007202465A (ja) 移植装置
CN118120416A (zh) 一种党参种苗移栽装置
JPH0434649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