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30531B1 - 모종 이식기계의 모종 횡이송 공급장치 - Google Patents

모종 이식기계의 모종 횡이송 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30531B1
KR101930531B1 KR1020170117438A KR20170117438A KR101930531B1 KR 101930531 B1 KR101930531 B1 KR 101930531B1 KR 1020170117438 A KR1020170117438 A KR 1020170117438A KR 20170117438 A KR20170117438 A KR 20170117438A KR 101930531 B1 KR101930531 B1 KR 1019305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edling
seedlings
rotation
pushing
transfer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174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두영
Original Assignee
(주) 우진공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우진공업 filed Critical (주) 우진공업
Priority to KR10201701174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3053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05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05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11/00Transplanting machines
    • A01C11/02Transplanting machines for seedling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11/00Transplanting machines
    • A01C11/006Other parts or details or planting machin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 Y02P60/10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Transplanting Mach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종 이식기계의 모종 횡이송 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모종 이식기계를 구성하는 것으로 모종 종이송장치로부터 이송된 모종들을 횡이송시켜면서 모종 이식장치로 공급해주는 모종 횡이송 공급장치에 있어서, 모종 종이송장치로부터 이송된 모종 1세트를 거치하고, 모종 회전공급수단으로 동시에 밀어 전달하는 모종전달수단; 상기 모종전달수단으로부터 전달된 모종 1세트를 수용하는 다수개의 모종운반컵을 무한궤도 이송방식에 의해 일렬로 회전시키면서 이송시키는 모종 회전공급수단; 및 상기 모종 회전공급수단으 모종운반컵을 간헐적으로 구동하면서 모종 1세트에 포함된 모종을 하나씩 모종 이식장치로 공급하고, 모종 1세트가 모두 공급되면 상기 모종전달수단을 구동하여 다음 모종 1세트를 상기 모종운반컵으로 전달시키는 동력전달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모종 이식기계의 모종 횡이송 공급장치{Apparatus for transferring and feedding horizontally a seedling}
본 발명은 모종 이식기계의 모종 횡이송 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땅에 모종을 이식하는 모종 이식기계에 포함되어 다수개의 모종들을 횡 방향으로 회전 이송시키면서 최종적으로 모종을 이식하는 호퍼로 공급하는 모종 횡이송 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상추와 같은 식물은 발아 성공률을 높이고, 이식하기 전까지의 관리를 효율적으로 하기 위하여 일정한 모양의 모종판에 파종하여 발아시킨 다음 땅에 옮겨 심고 있다.
이와 같은 모종 이식작업을 손으로 하게 되면, 작업자가 모종을 모종판으로부터 일일이 손으로 뽑아서 옮겨 심어야 하기 때문에 긴 작업시간을 요하게 되며, 작업중 부주의하게 되면, 모종을 파손시키게 된다.
종래에는 이식작업에 소요되는 시간을 절약하기 위해 이식작업을 반자동화한 모종이식장치가 제안되었다. 이는 원판에 이식할 모종을 원형으로 배열시키고, 그 하부에는 구멍이 한 개인 셔터판을 설치하여 원판이 간헐 회전될 때 셔터판에 형성된 구멍과 일치되는 모종이 아래쪽으로 떨어지도록 구성되어 있었으며, 그 밑에서는 땅에 구멍을 내기 위한 말뚝모양의 관이 설치되어 밑으로 떨어진 모종이 이 관을 통해 낙하되고, 땅에 박힌 관의 하단부를 양측으로 벌리게 되면, 관의 하부가 개방되면서 땅에 모종이 자리 잡을 구멍이 형성되는 동시에 모종이 땅으로 떨어지게 되는데, 이때 하단부가 열린 상태의 관을 그대로 상부로 들어올리게 되면, 모종은 땅에 남게 되고, 관의 하단부를 닫아서 앞의 과정을 반복하게 되면, 모종을 차례로 이식할 수 있도록 되어 있었다.
본 출원인은 종래 기술들의 문제점을 극복하고자 아래와 같이 모종이식기계에 관련된 특허를 출원한 바 있다.
그러나 종래 제안한 구조는 한꺼번에 공급할 수 있는 모종 수가 제한되었고, 고장 및 유지보수와 작동의 신뢰성에 문제가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3-0053281(2013.5.23) "모종판 종 이송장치"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3-0050601(2013.5.16) "모종 이식 자동 작동장치"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298212(2013.8.13) "모종 식재장치"
이에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모종 종이송장치로부터 이송된 다수개의 모종을 연속적으로 회전시키면서 좌우에 구비된 호퍼로 번갈아 가며 하나씩 공급할 수 있고, 작동의 신뢰성을 보장하는 모종이식기계의 모종 횡이송 공급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 달성을 위한 본 발명에 따르면, 모종 이식기계를 구성하는 것으로 모종 종이송장치로부터 이송된 모종들을 횡이송시켜면서 모종 이식장치로 공급해주는 모종 횡이송 공급장치에 있어서, 모종 종이송장치로부터 이송된 모종 1세트를 거치하고, 모종 회전공급수단으로 동시에 밀어 전달하는 모종전달수단; 상기 모종전달수단으로부터 전달된 모종 1세트를 수용하는 다수개의 모종운반컵을 무한궤도 이송방식에 의해 일렬로 회전시키면서 이송시키는 모종 회전공급수단; 및 상기 모종 회전공급수단으 모종운반컵을 간헐적으로 구동하면서 모종 1세트에 포함된 모종을 하나씩 모종 이식장치로 공급하고, 모종 1세트가 모두 공급되면 상기 모종전달수단을 구동하여 다음 모종 1세트를 상기 모종운반컵으로 전달시키는 동력전달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모종전달수단은, 상기 모종 종이송장치로부터 이송된 모종 1세트를 수납할 수 있는 대기수납부와, 상기 대기수납부의 하측에 왕복 이동하는 푸싱블럭과, 푸싱블럭의 상부에 수직으로 결합되어 구비되어 상기 푸싱블럭의 전진에 의해 상기 대기수납부에 대기 중인 모종들을 밀어 상기 모종 회전공급수단의 모종운반컵으로 동시에 전달하는 푸싱바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모종 회전공급수단은, 상기 모종전달수단의 전방에 구비되는 베이스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상부면에 설치되고 상기 동력전달수단과 연동되어 간헐적으로 회전하는 구동스프라켓과,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상부면에 상기 구동스프라켓과 이격되어 설치되는 하나 이상의 종동스프라켓과, 상기 구동스프라켓과 종동스프라켓에 감겨 무한궤도 방식으로 회전하는 체인과, 상기 체인의 외측에 결합되어 배열되며 상기 모종전달수단으로부터 모종을 전달받는 모종운반컵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 상기 동력전달수단은, 동력발생장치로부터 동력을 입력받아 지속 회전하는 동력입력부와, 상기 동력입력부와 연동되고 상기 모종 회전공급수단의 모종운반컵을 간헐적으로 회전구동하는 모종 회전공급구동부와, 상기 동력입력부와 연동되고 상기 모종 회전공급수단에 의해 모종 1세트의 공급이 완료되면 상기 모종전달수단을 구동하여 새로운 모종 1세트를 상기 모종운반컵으로 전달하도록 하는 모종 푸싱구동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모종 회전공급구동부는, 상기 동력입력부와 연동되어 회전 가능한 모종 회전구동축과, 상기 모종 회전구동축 상에 구비되고 외주에 방사상으로 복수개의 걸림홈이 형성된 피동바퀴와, 상기 동력입력부에 결합되어 회전하고 표면에 상기 걸림홈에 삽입될 수 있는 핀롤러가 구비된 구동바퀴로 구성되어, 상기 핀롤이 상기 걸리홈에 삽입되면서 상기 피동바퀴를 일정 각도 회전시키고 이탈되면서 상기 피동바퀴는 정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모종 푸싱구동부는, 상기 동력입력부와 연동되어 회전 가능한 모종 회전구동축과, 상기 모종 회전구동축에 설치되는 단속클러치와, 상기 모종 회전구동축의 단부에 결합되는 푸싱크랭크와, 일단이 상기 푸싱크랭크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모종전달수단과 연결되는 푸싱로드로 구성되어, 상기 단속클러치는 상기 모종 회전공급수단에서 모종 1세트의 공급이 완료되면 상기 모종 회전구동축을 1 회전시켜 상기 모종전달수단이 작동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르면, 모종 종이송장치로부터 이송된 다수개의 모종들을 동시에 횡방향으로 이송시키면서 공급할 수 있어서, 농작물의 이식작업 효율이 급격하게 향상된다.
그리고 작동의 신뢰성과 유지관리성이 뛰어나다.
도 1은 모종 이식기계의 전체적인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따른 모종 이식기계의 모종 횡이송 공급장치(300)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동력전달수단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동력전달수단의 내부상세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본 발명의 모종 회전공급구동부와 모종 푸싱구동부의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모종전달수단의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모종 회전공급수단을 나타내는 사시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참고로, 도면을 참조한 설명은 본 발명을 더 쉽게 이해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주가 그것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될 경우,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모종 이식기계의 모종 횡이송 공급장치는 모종 이식기계를 구성하는 것으로 모종 종이송장치에서 이송된 복수개의 모종을 횡 방향으로 회전시키면서 모종이식장치로 공급하는 장치이다. 이를 이해하기 위해 모종 이식기계의 구조를 도 1을 참조하여 간략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모종 이식기계의 전체적인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모종 이식기계는 동력을 발생시키는 동력발생장치(100), 상기 동력발생장치(100)에서 발생된 동력을 각 장치로 분배하여 전달하는 동력분배장치(200), 상기 동력분배장치(200)로부터 분배, 전달된 동력으로 구동되며 다수개의 모종이 배열된 모종판(mp)을 일정 주기를 가지고 간헐(間歇)적 또는 단속(斷續)적으로 종 방향 이송시키는 모종 종이송장치(400), 상기 모종 종이송장치(400)로부터 이송된 모종들을 횡 방향으로 회전시키면서 모종이식장치(500)로 공급해주는 모종 횡이송 공급장치(), 상기 모종 횡이송 공급장치()에서 공급된 모종(m)을 일정한 간격으로 땅속에 묻어 이식하는 모종이식장치(500)를 포함해서 구성될 수 있다.
상술한 모종 이식기계의 전체적인 구조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도 2를 함께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따른 모종 이식기계의 모종 횡이송 공급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를 참조하면, 본 발명은 상기 모종 종이송장치(400)로부터 이송된 복수개의 모종(m)들을 포함하는 모종 1세트를 임시로 거치했다가 모종 회전공급수단(340)으로 동시에 밀어 전달하는 모종전달수단()과, 상기 모종전달수단()으로부터 전달된 복수개의 모종들을 무한궤도 이송방식에 의해 회전시키면서 일렬로 이송시키는 모종 회전공급수단(340) 및 상기 동력발생장치(100)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모종전달수단()과 모종 회전공급수단(340)으로 동력을 전달하여 각각 구동시키는 동력전달수단(31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먼저, 도 3, 4를 참조하여 상기 동력전달수단에 대해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동력전달수단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동력전달수단의 내부상세도이다.
상기 동력전달수단(310)은 상기 동력분배장치(200)에 포함되는 것으로, 크게 상기 동력발생장치(100)로부터 동력이 입력되는 동력입력부(312)와, 상기 동력입력부(312)와 연동되어 상기 모종 종이송장치(400)에서 모종판을 이송시키기 위한 모종판 이송구동부(314)와, 상기 동력입력부(312)와 연동되어 상기 모종 종이송장치(400)에서 모종을 취출하기 위한 모종 취출구동부(316), 상기 모종 회전공급수단(340)을 구동하는 모종 회전공급구동부(318) 및 상기 모종 종이송장치(400)로부터 이송된 모종(m)을 대기시켰다가 상기 모종 회전공급수단(340)으로 밀어 전달해주는 모종전달수단()을 구동하는 모종 푸싱구동부(319)가 상호 연동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동력입력부(312)는 상기 동력발생장치(100)와 직접 연동되는 동력입력기어(312a)와, 상기 동력입력기어(312a)와 연동되어 일정속도로 계속 회전하는 대기구동축(312b)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동력입력기어(312a)는 베벨기어(b)일 수 있고, 상기 대기구동축(312b)에도 상기 동력입력기어(312a)와 연동되는 베벨기어(b)가 구비되며, 상기 동력입력기어(312a)는 상기 대기구동축(312b)의 중간에 위치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대기구동축(312b)의 일측에는 상기 모종 회전공급구동부(318)로 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제1대기구동기어(312c) 및 제2대기구동기어(312d)가 구비되고, 타측에는 상기 모종판 이송구동부(314)로 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제3대기구동기어(312e)와 제4대기구동기어(312f)가 구비되며, 중앙에는 상기 모종 취출구동부(316)로 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제5대기구동기어(312g)가 구비된다.
다음으로 상기 모종판 이송구동부(314)는 상기 대기구동축(312b)과 연동되어 회전하는 모종판 이송구동축(314a)과, 상기 모종판 이송구동축(314a)에 설치되는 단속클러치(315), 상기 모종판 이송구동축(314a)의 단부에 설치되어 단속적으로 회전하는 전달크랭크(314b) 및 상기 전달크랭크(314b)과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전달링크(314c)로 구성되어, 상기 단속클러치(315)에 의해 상기 모종판 이송구동축(314a)을 간헐적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단속클러치(315)는 계속 회전하는 상기 대기구동축(312b)과 상기 모종판 이송구동축(314a)을 동력이 전달되도록 연결했다가 동력이 전달되지 않도록 차단하는 것을 일정 주기로 반복하게 하는 구성이다.
다음으로 상기 모종 취출구동부(316)는 상기 모종판 이송구동축(314a)의 전달기어(314d)와 연동되어 상기 모종 취출수단()을 구동시킨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모종 취출구동부(316)는 베벨기어(b)를 사용할 수 있고, 상기 전달기어(314d)와 일체인 베벨기어(b)와 연동되게 구성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모종 회전공급구동부와 모종 푸싱구동부의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상기 모종 회전공급구동부(318)는 모종 회전공급수단(340)을 간헐적으로 회전 구동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대기구동축(312b)과 연동되어 회전 가능한 모종 회전구동축(318a)과, 상기 모종 회전구동축(318a) 상에 구비되고 외주에 방사상으로 복수개의 걸림홈(318c)이 형성된 피동바퀴(318b)와, 디스크 형상이며 상기 대기구동축(312b)의 단부에 결합되고 표면에 상기 걸림홈(318c)에 삽입될 수 있는 핀롤러(318e)가 구비된 구동바퀴(318d)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모종 회전구동축(318a)은 상기 대기구동축(312b)의 제4대기구동기어(312f)와 연동되어 회전하고, 상기 피동바퀴(318b)는 상기 모종 회전구동축(318a)과 고정되는 것이 아니라 분리되어 공회전하도록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피동바퀴(318b)는 구동바퀴(318d)와 인접하게 배치되어 상기 핀롤러(318e)가 상기 걸림홈(318c) 안으로 이동하면서 삽입되었다가 밖으로 이탈하는 것을 반복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대기구동축(312b)이 지속 회전하면 상기 대기구동축(312b)에 결합된 핀롤러(318e)도 원을 그리면서 상기 걸림홈(318c)에 삽입되어 상기 피동바퀴(318b)를 일정 각도 회전시킨 후 다시 이탈되고, 다시 다른 걸림홈(318c)에 삽입되어 상기 피동바퀴(318b)를 또 회전시키는 과정을 반복함으로써 상기 피동바퀴(318b)를 간헐적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피동바퀴(318b)에는 베벨기어(b)가 결합되고, 이 베벨기어(b)는 상기 모종 회전공급수단(340)의 구동스프라켓(342)과 축으로 연결되어 연동된다.
여기서, 상기 걸림홈(318c)의 수에 따라 상기 핀롤러(318e)가 한 번에 상기 피동바퀴(318b)를 회전시킬 수 있는 각도가 달라진다. 본 발명에서 상기 걸림홈(318c)이 4개이므로 상기 핀롤러(318e)가 한 번 삽입되었다 이탈되면 상기 피동바퀴(318b)는 90도, 즉 0.25 회전한다.
다음으로 상기 모종 푸싱구동부(319)는 상기 모종 회전구동축(318a)에 설치되는 단속클러치(315)와, 상기 모종 회전구동축(318a)의 단부에 결합되는 푸싱크랭크(319a)와, 일단이 상기 푸싱크랭크(319a)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모종전달수단()과 연결되는 푸싱로드(319b)로 구성된다.
상기 단속클러치(315)는 상기 모종판 이송구동축(314a)에 설치된 단속클러치와 동일한 것으로 계속 회전하는 상기 대기구동축(312b)과 상기 모종 회전구동축(318a)에 동력이 전달되도록 연결했다가 동력이 전달되지 않도록 차단하는 것을 주기적으로 반복하는 구성이다. 상기 단속클러치는 본 출원인이 출원하여 등록받은 '등록특허 제10-1279921호(2013.6.24)'에 공지된 기술과 대동소이하다.
상기 단속클러치(315)는 도시된 바와 같이 가장자리가 고정되면서 상기 모종 회전구동축(318a)이 중앙을 관통하고 양측의 링형 단면에 각각 요철과 같은 형상의 제1, 2치합부()가 형성되는 고정클러치(315a)와, 일측에 제3치합부(t3)가 형성되고 타측에 제1스프링(315f)이 탄설되어 일정 폭을 두고 축 방향으로 왕복 슬라이딩 이동 가능한 제1이동클러치(315b)와, 상기 제1이동클러치(315b)의 중공관 외주에 설치되고 상기 고정클러치(315a)의 제1치합부(t1)와 제1이동클러치(315b)의 제3치합부(t3)가 맞물리는 순간 상기 제1이동클러치(315b)와 중공관 외주면에 감긴 제2스프링(내부 설치)에 의해 축 방향으로 일정 폭을 두고 왕복 슬라이딩 이동하는 제2이동클러치(315c)와, 상기 제2이동클러치(315c)와 일체로 결합되고 상기 모종 회전구동축(318a)과 스플라인 결합되어 상기 제2이동클러치(315c)와 함께 슬라이딩 이동하면서 상기 모종 회전구동축(318a)으로의 동력전달을 단속시키는 제3이동클러치(315d) 및 상기 제3이동클러치(315d)와 래칫기어 결합에 의해 상기 모종 회전구동축(318a)을 회전시키는 구동클러치기어(315e)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1이동클러치(315b)는 상기 제1대기구동기어(312c)와 연동되어 회전하고, 상기 구동클러치기어(315e)는 상기 제2대기구동기어(312d)와 연동되어 상시 회전한다.
그리고 상기 모종 회전구동축(318a)은 계속 회전하는 것이 아니라, 상기 대기구동축(312b)이 수회 회전할 때 1 회전하도록 세팅된다. 예를 들어, 상기 대기구동축(312b)이 1.25 회전(450도)하면 상기 모종 회전구동축(318a)이 1 회전하게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치합부(t1)와 제3치합부(t3)가 접촉되고 제2치합부(t2)와 제4치합부(t4)가 치합된 상태에서, 상기 대기구동축(312b)이 회전하기 시작하면 상기 구동클러치기어(315e)가 일정 속도로 공회전하고, 이때 제1이동클러치(315b)도 일정 각도 회전하다가 제3치합부(t3)가 제1치합부(t1)와 치합되면서 고정클러치(315a) 측으로 이동하여 상기 제2이동클러치(315c)를 밀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2이동클러치(315c)가 이동하게 되면서 동시에 상기 제3이동클러치(315d)도 이동하여 상기 구동클러치기어(315e)와 래칫기어 결합된다.
이로 인해, 공회전하던 구동클러치기어(315e)의 구동력이 제3이동클러치(315d)에 전달되면 제3이동클러치(315d) 회전에 의해 제3이동클러치(315d)와 스플라인 결합된 모종 회전구동축(318a)과 제2이동클러치(315c)가 동시에 회전한다.
이때, 제2이동클러치(315c) 회전으로 제4치합부(t4)와 제2치합부(t2)가 치합에서 벗어나 접촉상태가 되면 제2이동클러치(315c)가 더 이동함으로써 상기 제3이동클러치(315d)와 구동클러치()는 완벽하게 래칫기어 결합된다.
결국, 상기 고정클러치(315a)의 제1치합부(t1)와 제2치합부(t2)에 상기 제1이동클러치(315b)의 제3치합부(t3)와 제2이동클러치(315c)의 제4치합부(t4)가 각각 양측으로 최대로 밀려나간 상태에서 제3이동클러치(315d)에 의해 상기 모종 회전구동축(318a)을 1 회전시킨다.
상기 모종판 회전구동축()이 1 회전하는 동안 상기 제2이동클러치(315c)도 1 회전하면, 제2스프링()에 의해 상기 제2이동클러치(315c)가 고정클러치(315a) 측으로 다시 이동하여 제4치합부(t4)와 제2치합부(t2)는 치합된다.
이로 인해 상기 제3이동클러치(315d)도 이동하여 래칫기어 결합상태가 해제되어 상기 구동클러치기어(315e)의 구동력이 제3이동클러치(315d)로 전달되지 못해 상기 모종 회전구동축(318a)은 회전을 멈춘다. 그러나 구동클러치기어(315e)와 제1이동클러치(315b)는 여전히 회전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1이동클러치(315b)가 회전하다가 상기 제1치합부(t1)와 제3치합부(t3)가 다시 치합되면서 상기와 같은 과정을 반복하게 된다.
한편, 상기 푸싱크랭크(319a)는 상기 모종 회전구동축(318a)의 단부에 결합되어 편심 회전하게 되고, 상기 푸싱크랭크(319a)의 단부에는 상기 푸싱로드(319b)가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모종 회전구동축(318a)이 1 회전할 때 상기 푸싱크랭크(319a)의 편심 회전에 의해 상기 푸싱로드(319b)는 수평 이동하되 전진과 후진 이동을 하게 되고, 이로 인해 상기 푸싱로드(319b)에 연결된 상기 모종전달수단(330)도 전진 이동하면서 모종을 푸싱하고 후진하면서 복귀하게 된다.
다음으로 도 6을 함께 참조하여 모종 전달수단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모종전달수단의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상기 모종전달수단(330)은 상기 모종 종이송장치(400)로부터 이송된 복수개의 모종들을 포함하는 모종 1세트를 대기시켰다가 상기 모종 회전공급수단(340)의 모종운반컵(345)으로 동시에 밀어 전달해주는 구성이다.
상기 모종전달수단(330)은 크게 상기 모종 종이송장치(400)로부터 이송된 복수개의 모종들을 수납할 수 있는 대기수납부(331)와, 상기 대기수납부(331)의 일측에 구비되어 대기 중인 모종들을 밀 수 있는 푸싱바(332)와, 상기 푸싱바(332)를 지지하고 상기 푸싱로드(319b)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푸싱블럭(333)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대기수납부(331)는 모종판(mp)에 배열된 모종들의 간격과 동일한 간격으로 구획벽(331a)이 형성되고, 상기 푸싱바(332)가 인입되도록 바닥이 없는 형상일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구획벽(331a)들의 하단부가 내측으로 절곡되게 하여 폭이 좁은 형상을 이루게 함으로써 모종이 낙하하지 않고 걸린 상태를 유지하게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푸싱블럭(333)에 상기 푸싱바(332)가 동일한 간격으로 수직으로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모종 회전구동축(318a)이 1 회전하면 상기 푸싱블럭(333)이 전진하면서 모종(m) 1세트를 동시에 밀어 상기 모종 회전공급수단(340)에 일렬로 배열된 모종운반컵(345)으로 전달시키고, 후진하면서 원상태로 복귀하여 대기한다.
다음으로 도 7을 함께 참조하여 모종 회전공급수단에 대해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모종 회전공급수단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상기 모종 회전공급수단(340)은 상기 모종전달수단(330)으로부터 전달된 모종들을 모종운반컵(345)으로 회전시켜 상기 모종이식장치(500)의 호퍼(h)로 공급해주는 구성으로서, 크게 베이스플레이트(341)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341)의 상부면에 설치되고 상기 모종 회전공급구동부(318)와 연동되어 회전하는 구동스프라켓(342)과, 상기 베이스플레이트(341)의 상부면에 상호 이격되어 설치되는 종동스프라켓(343)과, 상기 구동스프라켓(342) 및 종동스프라켓(343)의 외측을 둘러 회전하는 체인(344)과, 상기 체인(344)의 외측에 결합되고 배열되는 모종운반컵(345)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구동스프라켓(342)과 3개의 종동스프라켓(343)이 대락 사각형 또는 사다리꼴형으로 배치되어 상기 체인이 사각형 또는 사다리꼴형을 이루면서 무한궤도 방식으로 회전할 수 있다.
상기 체인(344)에 결합된 상기 모종운반컵(345)은 모종(m)이 수용되지만 낙하하지 않고 클램핑된 상태로 회전 이동할 수 있도록 양측면에 탄성수용판(345a)이 구비된다. 이때 상기 탄성수용판(345a)은 하단부가 내측으로 일부 접혀진 상태가 되어 수용된 모종이 낙하하지 않도록 잡아준다.
상기 탄성수용판(345a)은 탄성이 있어 접혀진 하단부가 외측으로 펼쳐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모종이식장치(500)의 호퍼(h)에 구비된 별도의 인출고리(미도시)가 상기 모종운반컵(345) 내의 모종(m)을 걸어 강제로 하측으로 당기면 상기 탄성수용판(345a)이 벌어지면서 모종(m)이 호퍼(h)로 낙하되고 연이어 상기 호퍼(h)가 땅속에 모종(m)을 이식하도록 작동하게 된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작동과정을 설명한다.
상기 동력발생장치(100)에서 발생된 동력이 상기 동력전달수단(310)의 동력입력부(312)를 통해 입력되면 상기 대기구동축(312b)은 일정한 속도로 계속 회전한다.
그리고 상기 대기구동축(312b)과 연동된 상기 단속클러치(315)에 의해 상기 모종 회전구동축(318a)은 간헐적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푸싱크랭크(319a)와 푸싱로드(319b)에 의해 상기 모종전달수단(330)을 구동한다.
즉, 상기 푸싱크랭크(319a)가 1 회전하면 상기 푸싱로드(319b)가 전진하면서 상기 푸싱블럭(333)을 밀고, 상기 푸싱블럭(333)에 결합된 복수개의 상기 푸싱바(332)들이 상기 대기수납부(331)에 대기하고 있는 모종(m)들을 동시에 상기 모종운반컵(345) 내로 밀어 보낸다.
그리고 상기 푸싱로드(319b)가 후진하면서 상기 푸싱바(332)는 후퇴하게 되며 상기 모종 종이송장치(400)로부터 다음 모종(m)들이 이송될 때까지 대기한다.
상기 모종운반컵(345)에 수용된 모종(m)들은 상기 모종 회전공급수단(340)에 의해서 하나씩 회전하면서 운반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대기구동축(312b)에 결합된 상기 구동바퀴(318d)가 회전하면 핀롤러(318e)가 상기 피동바퀴(318b)의 걸림홈(318c)에 삽입 및 이탈을 반복하면서 상기 피동바퀴(318b)를 간헐적으로 일정 각도씩 회전시킨다.
본 발명에서 상기 걸림홈(318c)이 4개 형성된 경우, 상기 구동바퀴(318d)가 1 회전하면 상기 피동바퀴(318b)는 0.25 회전(90도씩 회전)한다.
그러면 상기 피동바퀴(318b)에 결합된 베벨기어(b)와 연동된 상기 구동스프라켓(342)도 일정한 기어비에 의해 일정 각도씩 회전한다. 만일 기어비가 1:1이면 상기 구동스프라켓(342)도 0.25 회전(90도씩 회전)한다.
상기 구동스프라켓(342)의 회전에 의해 상기 체인(344)이 이동하고 상기 체인(344)에 결합된 모종운반컵(345)도 간헐적으로 이동한다.
만일, 상기 모종이식장치(500)의 호퍼가 1개일 경우, 즉 모종 1개씩 이식할 경우에는 상기 구동스프라켓(342)의 한 번 회전할 때 상기 모종운반컵(345)도 1개씩 이동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측에서 각각 모종을 하나씩 이식할 수 있는 구조인 경우 상기 모종운반컵(345)은 한 번에 2개씩 이동하게 할 수 있다.
즉, 상기 구동스프라켓(342)이 90도 회전할 때 체인(344)에 결합된 모종운반컵(345) 2개가 한번에 이동하게 할 수 있다.
이러한 조정은 구동스프라켓의 크기, 체인의 간격, 모종운반컵의 크기나 배열간격을 등을 조절하여 선택적으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대기수납부(331)의 개수만큼 모종(모종 1세트, 본 발명의 도면에서는 5개의 모종임)이 소모되면 상기 모종전달수단(330)이 다시 구동되어 모종을 호퍼로 공급하고 비어있는 상기 모종운반컵(345)에 다시 밀어 넣는 작동을 반복하게 된다.
이상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대표적인 실시 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한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 내용을 바탕으로 본 발명의 범주 내에서 다양한 응용 및 변형을 행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 동력발생장치 200 : 동력분배장치
400 : 모종 종이송장치 500 : 모종이식장치
300 : 모종 횡이송 공급장치
310 : 동력전달수단
312 : 동력입력부 312a : 동력입력기어
312b : 대기구동축 312c : 제1대기구동기어
312d : 제2대기구동기어 312e : 제3대기구동기어
312f : 제4대기구동기어 312g : 제5대기구동기어
314 : 모종판 이송구동부 314a : 모종판 이송구동축
314b : 전달크랭크 314c : 전달링크
314d : 전달기어
315 : 단속클러치 ` 315a : 고정클러치
315b : 제1이동클러치 315c : 제2이동클러치
315d : 제3이동클러치 315e : 구동클러치기어
315f : 제1스프링
316 : 모종 취출구동부
318 : 모종 회전공급구동부 318a : 모종 회전구동축
318b : 피동바퀴 318c : 걸림홈
318d : 구동바퀴 318e : 핀롤러
319 : 모종 푸싱구동부 319a : 푸싱크랭크
319b : 푸싱로드
330 : 모종전달수단
331 : 대기수납부 331a : 구획벽
332 : 푸싱바 333 : 푸싱블럭
340 : 모종 회전공급수단
341 : 베이스플레이트 342 : 구동스프라켓
343 : 종동스프라켓 344 : 체인
345 : 모종운반컵 ` 345a : 탄성수용판
t1 : 제1치합부 t2 : 제2치합부
t3 : 제3치합부 t4 : 제4치합부
m : 모종
b : 베벨기어 h : 호퍼

Claims (6)

  1. 모종 이식기계를 구성하는 것으로 모종 종이송장치로부터 이송된 모종들을 횡이송시켜면서 모종 이식장치로 공급해주는 모종 횡이송 공급장치에 있어서,
    모종 종이송장치로부터 이송된 모종 1세트를 거치하고, 모종 회전공급수단으로 동시에 밀어 전달하는 모종전달수단;
    상기 모종전달수단으로부터 전달된 모종 1세트를 수용하는 다수개의 모종운반컵을 무한궤도 이송방식에 의해 일렬로 회전시키면서 이송시키는 모종 회전공급수단; 및
    상기 모종 회전공급수단의 모종운반컵을 간헐적으로 구동하면서 모종 1세트에 포함된 모종을 하나씩 모종 이식장치로 공급하고, 모종 1세트가 모두 공급되면 상기 모종전달수단을 구동하여 다음 모종 1세트를 상기 모종운반컵으로 전달하도록 동력을 제공하는 동력전달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종 이식기계의 모종 횡이송 공급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모종전달수단은,
    상기 모종 종이송장치로부터 이송된 모종 1세트를 수납할 수 있는 대기수납부와, 상기 대기수납부의 하측에 왕복 이동하는 푸싱블럭과, 푸싱블럭의 상부에 수직으로 결합되어 구비되어 상기 푸싱블럭의 전진에 의해 상기 대기수납부에 대기 중인 모종들을 밀어 상기 모종 회전공급수단의 모종운반컵으로 동시에 전달하는 푸싱바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종 이식기계의 모종 횡이송 공급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모종 회전공급수단은,
    상기 모종전달수단의 전방에 구비되는 베이스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상부면에 설치되고 상기 동력전달수단과 연동되어 간헐적으로 회전하는 구동스프라켓과,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상부면에 상기 구동스프라켓과 이격되어 설치되는 하나 이상의 종동스프라켓과, 상기 구동스프라켓과 종동스프라켓에 감겨 무한궤도 방식으로 회전하는 체인과, 상기 체인의 외측에 결합되어 배열되며 상기 모종전달수단으로부터 모종을 전달받는 모종운반컵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종 이식기계의 모종 횡이송 공급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수단은,
    동력발생장치로부터 동력을 입력받아 지속 회전하는 동력입력부와, 상기 동력입력부와 연동되고 상기 모종 회전공급수단의 모종운반컵을 간헐적으로 회전구동하는 모종 회전공급구동부와, 상기 동력입력부와 연동되고 상기 모종 회전공급수단에 의해 모종 1세트의 공급이 완료되면 상기 모종전달수단을 구동하여 새로운 모종 1세트를 상기 모종운반컵으로 전달하도록 하는 모종 푸싱구동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종 이식기계의 모종 횡이송 공급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모종 회전공급구동부는,
    상기 동력입력부와 연동되어 회전 가능한 모종 회전구동축과, 상기 모종 회전구동축 상에 구비되고 외주에 방사상으로 복수개의 걸림홈이 형성된 피동바퀴와, 상기 동력입력부에 결합되어 회전하고 표면에 상기 걸림홈에 삽입될 수 있는 핀롤러가 구비된 구동바퀴로 구성되어,
    상기 핀롤이 상기 걸림홈에 삽입되면서 상기 피동바퀴를 일정 각도 회전시키고 이탈되면서 상기 피동바퀴는 정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종 이식기계의 모종 횡이송 공급장치.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모종 푸싱구동부는,
    상기 동력입력부와 연동되어 회전 가능한 모종 회전구동축과, 상기 모종 회전구동축에 설치되는 단속클러치와, 상기 모종 회전구동축의 단부에 결합되는 푸싱크랭크와, 일단이 상기 푸싱크랭크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모종전달수단과 연결되는 푸싱로드로 구성되어,
    상기 단속클러치는 상기 모종 회전공급수단에서 모종 1세트의 공급이 완료되면 상기 모종 회전구동축을 1 회전시켜 상기 모종전달수단이 작동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종 이식기계의 모종 횡이송 공급장치.
KR1020170117438A 2017-09-13 2017-09-13 모종 이식기계의 모종 횡이송 공급장치 KR1019305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7438A KR101930531B1 (ko) 2017-09-13 2017-09-13 모종 이식기계의 모종 횡이송 공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7438A KR101930531B1 (ko) 2017-09-13 2017-09-13 모종 이식기계의 모종 횡이송 공급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30531B1 true KR101930531B1 (ko) 2019-03-11

Family

ID=657587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17438A KR101930531B1 (ko) 2017-09-13 2017-09-13 모종 이식기계의 모종 횡이송 공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3053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710370A (zh) * 2019-10-22 2020-01-21 湖南农业大学 一种链夹式移栽机动力传动系统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330211A (ja) * 1991-01-18 1992-11-18 Yanmar Agricult Equip Co Ltd 移植機
JP2004321043A (ja) * 2003-04-23 2004-11-18 Kantaku Tei 玉ねぎ移植機
KR20130050601A (ko) 2011-11-08 2013-05-16 이두영 모종 이식 자동 작동장치
KR20130053281A (ko) 2011-11-15 2013-05-23 이두영 모종판 종 이송장치
KR101298212B1 (ko) 2012-11-29 2013-08-22 이두영 모종 식재장치
KR20130111281A (ko) * 2012-03-29 2013-10-10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전식기의 모종 횡이송 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330211A (ja) * 1991-01-18 1992-11-18 Yanmar Agricult Equip Co Ltd 移植機
JP2004321043A (ja) * 2003-04-23 2004-11-18 Kantaku Tei 玉ねぎ移植機
KR20130050601A (ko) 2011-11-08 2013-05-16 이두영 모종 이식 자동 작동장치
KR20130053281A (ko) 2011-11-15 2013-05-23 이두영 모종판 종 이송장치
KR20130111281A (ko) * 2012-03-29 2013-10-10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전식기의 모종 횡이송 장치
KR101298212B1 (ko) 2012-11-29 2013-08-22 이두영 모종 식재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710370A (zh) * 2019-10-22 2020-01-21 湖南农业大学 一种链夹式移栽机动力传动系统
CN110710370B (zh) * 2019-10-22 2024-05-28 湖南农业大学 一种链夹式移栽机动力传动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793559B2 (ja) 育苗用播種機
KR101993474B1 (ko) 모종 이식기계의 모종 종이송장치
JP5667582B2 (ja) 播種機
KR101930531B1 (ko) 모종 이식기계의 모종 횡이송 공급장치
KR200469522Y1 (ko) 육묘상자 공급기
KR200422866Y1 (ko) 파종기용 육묘상자의 공급장치
JP5092499B2 (ja) 播種ユニット及び播種方法
KR200474717Y1 (ko) 마늘 파종기
KR101857409B1 (ko) 파종기용 잉여 복토 회수장치
CN110506473B (zh) 一种传动机构、播种装置及播种方法
KR102300489B1 (ko) 기계식 생분해성 포트 전방 식부장치
JP2013110984A (ja) 播種機
JP5451783B2 (ja) 播種機の動力伝達装置
KR101883828B1 (ko) 모종 픽업 장치를 포함한 작물 정식기
KR101996077B1 (ko) 모종이식기의 모종 종이송장치
JP2006129812A (ja) 播種機
KR101982336B1 (ko) 모종이식기의 모종 횡이송공급장치
JP5416791B2 (ja) 土供給装置
KR101816403B1 (ko) 이식기의 모종 트레이 공급장치
JP5667583B2 (ja) 播種装置
JP2012039921A (ja) 球根類の植付機
JP2009296971A (ja) 播種機
JP3531326B2 (ja) 苗移植機
KR20210045041A (ko) 중력 정렬식 마늘 파종기
JP2006025692A (ja) 播種機