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53281A - 모종판 종 이송장치 - Google Patents

모종판 종 이송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53281A
KR20130053281A KR1020110119005A KR20110119005A KR20130053281A KR 20130053281 A KR20130053281 A KR 20130053281A KR 1020110119005 A KR1020110119005 A KR 1020110119005A KR 20110119005 A KR20110119005 A KR 20110119005A KR 20130053281 A KR20130053281 A KR 201300532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seedling
coupled
bracket
elas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190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두영
Original Assignee
이두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두영 filed Critical 이두영
Priority to KR10201101190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53281A/ko
Publication of KR201300532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5328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11/00Transplanting machines
    • A01C11/02Transplanting machines for seedling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11/00Transplanting machines
    • A01C11/006Other parts or details or planting machin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Transplanting Mach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종판 종 이송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모종판 종 이송장치는 모종탑재부; 설치브라켓부를 통해 상기 모종탑재부에 연결설치되는 왕복스크류; 상기 왕복스크류에 결합되어 축방향으로 왕복이송되며, 양측에 회전작동하는 레버를 구성한 미션부; 상기 설치브라켓부에 설치되며, 상기 미션부의 왕복이송에 따라 회전작동하는 레버에 의해 회전작동하는 회전판; 링크수단을 통해 상기 회전판에 결합되어 회전작동하는 회전축; 상기 회전축에 링크결합되어 모종탑재부에 안착된 모종판을 종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이송작동부;로 이루어진 것에 특징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을 이용하면, 왕복스크류에서 왕복이송되는 미션부에 의해 회전판이 회전작동하여 회전축을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회전축에 링크결합된 이송작동부로 모종탑재부에 안착된 모종판을 종 방향으로 자동 이송시킬 수 있어 모종을 신속하고 용이하게 심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종 방향으로 이송된 모종판은 궤도부를 통해 유인되어 배출되므로 사용한 모종판의 후 처리를 이룰 필요가 없으며, 모종판설치대와 탄성가압부에 의해 모종을 심을 시에 본 발명이 설치된 모종이식기계에 충격이 가해지더라도 모종판의 안정적인 안착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모종판 종 이송장치{Apparatus for transferring vertically a seedling plate}
본 발명은 모종판 종 이송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왕복스크류에서 왕복이송되는 미션부에 의해 회전판이 회전작동하여 회전축을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회전축에 링크결합된 이송작동부로 모종탑재부에 안착된 모종판을 종 방향으로 자동 이송시킬 수 있어 모종을 신속하고 용이하게 심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종 방향으로 이송된 모종판은 궤도부를 통해 유인되어 배출되므로 사용한 모종판의 후 처리를 이룰 필요가 없으며, 모종판설치대와 탄성가압부에 의해 모종을 심을 시에 본 발명이 설치된 모종이식기계에 충격이 가해지더라도 모종판의 안정적인 안착을 유지할 수 있는 모종판 종 이송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용된 모종판 이송장치는 한국특허등록번호 제10-0433440호, 한국실용신안공개번호 제20-2011-0004531호와 같이 다수개의 모종판을 이송장치에 설치한 후, 이송장치를 작동시켜 하나의 열씩 다수개의 모종판을 일정한 라인을 구축하여 토양 등에 설치하여 사용하였다.
하지만, 상기와 같이 이송장치에 다수개의 모종판을 장착한 후, 이송장치를 작동시켜 모종판을 토양 등에 심더라도 모조판을 이동시키는 축이 회전하는 방향으로만 모종판을 이동시키면서 모종판을 심기 때문에, 그 축이 제대로 회전하지 않을 경우에는 모종판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모종판을 이동시키는 축에 고정된 크랭크가 축에서 고정된 상태로 그 자리에서 회전만 하면서 모종판을 이송시키기 때문에, 크랭크의 상태에 따라 모종판이 제대로 움직여지지 않거나, 간격이 일정하지 않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모종판을 이송시키는 장치에서 축이 회전하여 모종판을 이송시키고, 다시 다음 열의 모종판을 이송시킬 때 사용되는 거치대 및 벨트, 호퍼, 호퍼지지대, 롤러 등을 고정시키는 장치가 없어 모종판을 이송시킬 때, 크랭크 등이 헛돌게 되거나 제대로 모종판에 걸리지 않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모종판 종 이송장치는 모종탑재부; 설치브라켓부를 통해 상기 모종탑재부에 연결설치되는 왕복스크류; 상기 왕복스크류에 결합되어 축방향으로 왕복이송되며, 양측에 회전작동하는 레버수단을 구성한 미션부; 상기 설치브라켓부에 설치되며, 상기 미션부의 왕복이송에 따라 회전작동하는 레버수단에 의해 회전작동하는 회전판; 링크수단을 통해 상기 회전판에 결합되어 회전작동하는 회전축; 상기 회전축에 링크결합되어 모종탑재부에 안착된 모종판을 종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이송작동부;로 이루어진 것에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은 왕복스크류에서 왕복이송되는 미션부에 의해 회전판이 회전작동하여 회전축을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회전축에 링크결합된 이송작동부로 모종탑재부에 안착된 모종판을 종 방향으로 자동 이송시킬 수 있어 모종을 신속하고 용이하게 심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종 방향으로 이송된 모종판은 궤도부를 통해 유인되어 배출되므로 사용한 모종판의 후 처리를 이룰 필요가 없으며, 모종판설치대와 탄성가압부에 의해 모종을 심을 시에 본 발명이 설치된 모종이식기계에 충격이 가해지더라도 모종판의 안정적인 안착을 유지할 수 있는 유용한 발명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모종판 종 이송장치가 설치된 모종이식기계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모종판 종 이송장치가 모종이식기계의 링크결합체에 결합된 상태도.
도 3은 본 발명의 모종판 종 이송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모종탑재부와 설치브라켓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미션부의 내부를 도시한 부분확대도.
도 6는 본 발명의 레버수단에 의해 회전판이 회전작동되는 상태도.
도 7, 8은 본 발명의 이송작동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9, 10은 본 발명의 이송작동부를 도시한 분리사시도.
도 11는 본 발명의 이송작동부가 작동되는 상태도.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종을 심을 시에 모종이식기계(9)에 설치되어 모종이 들어 모종판(1)을 자동공급하는 모종판 종 이송장치(150)에 관한 것으로, 도 2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종탑재부(10)와, 왕복스크류(30)와, 미션부(40)와, 회전판(50)과, 회전축(60)과, 이송작동부(70)로 구성된다.
첫째, 모종탑재부(10)는 모종판(1)이 안착되어 이송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으로써, 설치플레이트(13)와, 모종판설치대(15)와, 궤도부(17)와, 탄성가압부(19)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설치플레이트(13)는 모종판(1)의 설치를 위해 모종판설치대(15)를 받치는 구성으로써, 종 방향으로는 작동홀(11)이 관통형성된 것에 특징이 있다.
여기서, 상기 작동홀(11)을 종 방향으로 관통형성하는 것은 후술할 이송작동부(70)에 구성된 견인판(110)이 승강작동과 전후작동 할 때에 설치플레이트(13)에 걸리는 것이 방지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모종판설치대(15)는 상기 설치플레이트(13)의 상부에 결합설치되어 모종판(1)의 안착을 이루는 것으로, 모종판(1)의 종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판(15a)을 구성하여 상기 판(15a)이 다수로 묶여져 있는 모종판(1) 중 낱개의 모종판과 모종판 사이에 위치하도록 함으로써 모종판(1)이 횡 방향으로 움직이지 않게 하는 작용을 한다.
또한, 궤도부(17)는 상기 모종판설치대(15)에 일체로 형성되어 횡 방향으로 이송되는 모종판(1)을 가이드 하는 것으로, 사용이 완료된 모종판(1)이 이송작동부(70)에 의해 종 방향 이동을 이룰 시, 종 방향으로 이동되는 모종판(1)을 선회시켜 배출하는 작용을 한다.
그리고, 상기 궤도부(17)는 안정적인 설치를 위하여 통상의 연결대(17a)를 통하여 설치플레이트(13)와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탄성가압부(19)는 탄성부재(18)에 의해 모종판설치대(15)에 안착된 모종판(1)을 가압하여 모종판(1)의 안착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구성이다.
여기서, 상기 탄성가압부(19)의 설치는 회전중심축(19a)을 기준으로 회전작동하는 가압부재(19b)와, 상기 가압부재(19b)를 당겨주는 탄성부재(18)를 통해 손쉽게 이룰 수 있을 것이다.
둘째, 왕복스크류(30)는 설치브라켓부(20)를 통해 상기 모종탑재부(10)에 연결설치되는 것으로, 미션부(40)의 구동을 통해 왕복스크류(30)에 형성된 스크류를 따라 축방향 즉, 횡 방향으로 왕복이송되는 공지된 통상의 구성이다.
여기서, 상기 설치브라켓부(20)는 제1, 2, 3브라켓(21, 23, 25)으로 구성되는데, 제1브라켓(21)이 모종탑재부(10)의 설치플레이트(13)에 결합되어 구성되고, 제2브라켓(23)이 상기 제1브라켓(21)에서 연장형성되어 구성되며, 제3브라켓(25)이 상기 제2브라켓(23)이 결합되어 설치되는 것으로 한 쌍으로 구성되어 모종탑재부(10)에 연결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왕복스크류(30)는 제3설치브라켓(25)에 결합되어 설치브라켓부(20)를 통해 모종탑재부(10)에 연결설치될 수 있다.
셋째, 미션부(4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왕복스크류(30)에 결합되어 모종이식기계(9)에서 전달받은 동력에 의해 구동하는 것으로, 모종이식기계(9)의 구동부에 링크결합체(49)를 통해 힌지결합되어 구동하는 통상의 구성이며, 양측에는 회전작동하는 레버수단(44)이 각각 구성된 것에 특징이 있다.
그리고, 상기 레버수단(44)은 통상의 구성으로써, 미션부(40)의 구동축(41)에 결합고정되는 회전체(45)를 구성하고 있으며, 상기 회전체(45)의 타측에는 힌지축(46)이 구성되어 걸림돌기(47)가 힌지결합된다.
아울러, 상기 걸림돌기(47)는 탄성체(48)에 의해 회전체(45)에 결합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져 힌지축(46)에 힌지결합된 걸림돌기(47)의 움직임이 제한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불어, 미션부(40)의 양측에 각각 구성된 레버수단(44) 중 하나의 레버수단(44)에는 동력전달을 위한 링크결합체(49)가 결합되는데, 상기 링크결합체(49)는 레버수단(44)에 구성된 회전체(45)의 힌지축(46)에 힌지결합구성되어 모종이식기계(9)의 구동부(미도시)의 구동에 따라 작동한다.
따라서, 상기 링크결합체(49)에 의하면, 레버수단(44)에 구성된 회전체(45)가 미션부(40)의 구동축(41)을 중심으로 약 100˚ 정도의 일정한 각으로 왕복 회전운동하게 되며, 이로 인해 상기 회전체(45)의 힌지축(46)에 힌지결합된 걸림돌기(47)가 구동축(41)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이동된다. 그리고, 상기 걸림돌기(47)는 회전체(45)에 연결된 탄성체(48)에 의해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움직임이 제한되어 후술할 회전판(50)을 작동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링크결합체(49)에 의하면, 레버수단(44)에 결합고정된 미션부(40)의 구동축(41)이 회전하는 작동이 레버수단(44)의 회전작동과 동시에 일어나는데, 이와 같은 작동은 상기 미션부(40)의 구동축(41)에 구성된 공지된 통상의 기어(42)결합을 통해 용이하게 이룰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미션부(40)에 의해 왕복스크류(30)가 이송되는 운동은 미션부(40)의 내부에서 부드럽게 회전작동하는 통상의 스크류슬라이더(43)가 왕복스크류(30)에 결합되는 공지된 통상의 구성을 통해 용이하게 이룰 수 있으며, 상기 스크류슬라이더(43)에 의해 왕복스크류(30)의 이송시에도 미션부(40)의 회전작동없이 왕복스크류의 이송이 이루어진다.
따라서, 링크결합체(49)에 의해 회전체(45)가 구동축(41)을 중심으로 약 100˚의 각으로 시계방향 회전하면, 회전체(45)에 힌지결합된 걸림돌기(47)가 당겨지게 됨과 동시에 구동축(41)이 회전작동하여 왕복스크류(30)가 이송되게 된다.
또한, 상기 링크결합체(49)에 의해 회전체(45)가 구동축(41)을 중심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때에는 구동축(41)이 반대로 회전하는 것에 의해 왕복스크류(30)가 일 방향으로 지속적인 이동을 이루지 못하는 것이 일반적이나, 이와 같은 현상은 미션부(40)의 구동축(41)에 결합된 통상의 스프링(41a)을 통해 회전체(45)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할 때에만 클러치(미도시)결합을 이루고, 회전체(45)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할 때에는 클러치결합이 분리되는 공지된 통상의 구성을 통해 해결할 수 있을 것이다.
넷째, 회전판(50)은 상기 설치브라켓부(20)에 구성된 제2브라켓(23)에 각각 힌지결합되는 구성으로, 상기 미션부(40)의 왕복이송에 따라 미션부(40)가 회전판(50)에 접촉하였을 때에 미션부(40)에 구성된 레버수단(44)에 의해 회전하는 작동을 한다.
따라서, 상기 회전판(50)에는 레버수단(44)에 걸려 회전작동하는 걸림턱(51)이 형성되어 있어야만 하며, 후술할 회전축(60)을 링크수단(54)을 통해 회전작동시킬 수 있도록 결합축(52)이 구성된다.
다섯째, 회전축(60)은 설치브라켓부(20)에 구성된 제1브라켓(21)에 결합되는 구성으로써, 전술한 바와 같이 링크수단(54)을 통해 회전판(50)에 구성된 결합축(52)에 결합됨으로써 회전판(50)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작동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회전축(60)의 중심부근에는 이송작동부(70)를 작동시키기 위한 작동링크(61)가 구성된다.
여섯째, 이송작동부(70)는 도 3 및 도 7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전축(60)에 구성된 작동링크(61)에 링크결합되어 회전축(60)의 회전작동에 따라 모종탑재부(10)에 안착된 모종판(1)을 종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작동을 하는 것으로, 외부케이스(80)와, 내부케이스(90)와, 견인바(100)와, 견인판(110)과, 암(120)과, 탄성제어체(130)와, 탄성복귀체(140)로 이루어진 것에 특징이 있다.
먼저, 외부케이스(80)는 움직이지 않도록 모종탑재부(10)에 고정설치되어 다른 구성들의 동작을 안내하는 구성으로써, 내측에는 가이드고정구(81)를 구성하고 있다.
그리고, 외부케이스(80)의 전방 하측으로는 탄성제어체(130)에 의해 내부케이스(90)의 작동을 탄성 제어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또한, 내부케이스(90)는 상기 외부케이스(80)의 내부에 설치되는 구성으로써, 상기 가이드고정구(81)와 대응되는 위치에는 가이드고정구(81)에 롤러(91)결합되는 장공홈(93)이 종 방향으로 형성된 것에 특징이 있다. 따라서, 상기 내부케이스(90)는 장공홈(90)의 종 방향 길이만큼 이동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내부케이스(90)에는 외부케이스(80)에 설치된 탄성제어체(130)의 제어볼(133)과 대응되는 위치에 제1, 2관통공(94, 95)이 한 쌍으로 형성되는데, 상기 한 쌍의 제1, 2관통공(94, 95)은 장공홈(93)의 종 방향 거리만큼 서로 이격되어 형성되는 것에 특징이 있다.
따라서, 외부케이스(80)에 구성된 탄성제어체(130)의 제어볼(133)이 제1관통공(94)에 끼워지게 되어 탄성제어체(130)의 탄성력에 의한 제어를 받게 된다. 그리고, 상기 탄성제어체(130)의 탄성력을 넘어서는 힘을 받게 되면 내부케이스(90)가 장공홈(93)을 따라 종 방향으로 이송되어 지며, 이송이 완료된 후에는, 제1관통홀(94)의 후방에 위치한 제2관통공(95)에 끼워진다.
또한, 견인바(100)는 링크(101)를 통해 상기 회전축(60)에 구성된 작동링크(61)에 결합되는 것으로, 회전축(60)의 회전에 따라 전, 후로 이동함으로써 내부케이스(90)와 견인판(110)을 작동시키는 구성이다.
또한, 견인판(110)은 전술한 바와 같이 견인바(100)의 전, 후 이동에 따라 작동되는 것으로, 상부에는 모종탑재부(10)에 안착된 모종을 종 방향으로 이송시키기 위한 견인날개(111)가 구성된 것에 특징이 있으며, 상기 견인바(100)에 의해 내부케이스(90)와 연계 작동된다.
또한, 암(120)은 일체로 형성된 제1, 2암(121, 122)이 회전작동을 위하여 중간부분에이 내부케이스(90)에 힌지결합되는 구성으로, 제1암(121)은 견인바(100)에 힌지결합되며, 제2암(122)은 견인판(110)에 힌지결합되어 견인바(100)의 작동에 따라 견인판(110)과 내부케이스(90)가 연계되도록 회전작동된다. 그리고, 상기 암(120)은 견인판(110)의 용이한 수직승강작동을 위해 ㄱ자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탄성제어체(130)는 상기 외부케이스(80)에 고정설치되는 탄성판(131)과, 상기 탄성판(131)의 끝단부분에 형성되어 제1, 2관통공(94, 95)에 탄성결합되는 제어볼(133)로 구성된다.
그리고, 이와 같은 구성을 통하면, 회전축(60)의 회전에 따라 견인바(100)가 전진하는 초기에 제어볼(133)이 제1관통공(94)에 끼워져 있기 때문에 내부케이스(90)는 전진하지 못하고, 암(120)이 힌지결합부를 통해 회전하는 작동에 의해 견인판(110)이 수직상승하는 작동이 일어난다.
아울러, 상기 작동에 의해 견인판(110)의 수직상승작동이 완료되면, 견인바가 계속 전진 이송되려는 작동에 의해 탄성제어체(130)가 압력을 받기 때문에 탄성판(131)이 탄성작동되어 제어볼(133)이 제1관통공(94)에서 빠지게 된다.
따라서, 견인바(100)의 전진 이송에 따라 견인판(110)이 수직상승이동된 상태에서 내부케이스(90)의 전진 이송이 이루어져 모종탑재부(10)에 안착된 모종판(1)이 종 방향으로 이송되게 되게 되며, 내부케이스(90)의 전진 이송에 따라 탄성제어체(130)에 구성된 탄성판(131)의 탄성작동에 의해 제어볼(133)이 제1관통공의 후방에 위치한 제2관통공(95)에 끼워지게 된다.
또한, 탄성복귀체(140)은 내부케이스의 후단부분에 설치되어 전진 이송된 견인바를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작동을 하는 구성으로써, 상기 외부케이스(80)의 후방 하측에 고정설치되는 복귀브라켓(143)을 구성하고 있으며, 상기 복귀브라켓(143)에는 외부케이스(80)의 후방으로 이격되어 위치하는 걸고리(141)가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걸고리(141)에는 탄성복귀를 위한 스프링(145)이 설치되는데, 상기 스프링(145)은 내부케이스(90)의 후단부분에 결합되어 견인바(100)를 전진이동시키는 힘이 제거되었을 때에 견인바(100)를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작용을 한다.
아울러, 상기 견인바(100)가 원위치로 복귀될 때에는 견인바(100)의 전진이송과 반대되는 작동이 일어난다. 즉, 견인바(100)가 후진하는 초기에는 제어볼(133)이 제2관통공(95)에 끼워져 있기 때문에 내부케이스(90)는 후진하지 못하고, 암(120)이 힌지결합부를 통해 회전하는 작동에 의해 견인판(110)이 수직하강하는 작동이 일어난다.
이와 같은 작동에 의해 견인판(110)이 수직하강작동이 완료되면, 견인바(100)가 계속 후진 이송되려는 작동에 의해 탄성제어체(130)가 압력을 받기 때문에 탄성판(131)이 탄성작동되어 제어볼(133)이 제2관통공(95)에서 빠지게 된다.
따라서, 견인바(100)의 후진 이송에 따라 견인판(110)이 수직하강이동된 상태에서 내부케이스(90)의 후진 이송이 이루어지며, 견인바(100) 및 내부케이스(90)의 복귀완료 시점에는 탄성제어체(130)에 구성된 탄성판(131)의 탄성작동에 의해 제어볼(133)이 제2관통공(95)의 전방에 위치한 제1관통공(94)에 끼워지게 된다.
더불어, 견인바(100)의 복귀작동에 따라 상기 견인바(100)에 링크(101)결합된 회전축(60) 및 링크수단(54)에 의해 상기 회전축(60)에 결합되어 연동작동하는 회전판(50)이 초기상태로 복귀되는 작용이 일어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따른 작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모종이식기계(9)에 결합된 링크결합체(49)를 통해 미션부(40)에 동력이 전달되면, 미션부(40)의 양측에 구성된 레버수단(44)이 미션부(40)의 구동축(41)을 중심으로 100˚정도의 회전각으로 지속적인 왕복작동을 함과 동시에 구동축(41)이 회전작동하여 왕복스크류(30)가 미션부(40)에 구성된 스크류슬라이더에 의해 이송된다.
이와 같은 지속적인 작동으로 상기 미션부(40)의 일측에 구성된 레버수단(44)이 회전판(50)의 위치까지 이동되면, 상기 레버수단(44)의 시계방향 회전작동에 따라 회전판(50)에 구성된 걸림턱(51)이 레버수단(44)에 구성된 걸림돌기(47)에 의해 밀리면서 상기 회전판(50)이 레버수단(44)의 회전각까지 회전작동하며, 상기 회전판(50)의 회전작동에 따라 링크수단(54)을 통해 회전판(50)에 결합된 회전축(60)이 회전작동한다.
그리고, 상기 회전축(60)이 회전작동하면, 회전축(60)에 결합된 링크(101)에 의해 견인바(100)가 당겨져 전진 이동하는데, 상기 견인바(100)는 탄성복귀체(140)에 구성된 스프링(145)을 인장시키면서 전진이동하며, 견인바(100)의 전진이동에 따라 내부케이스(90)가 전진이동되려는 힘을 받는다.
그러나, 상기 내부케이스(90)는 외부케이스(80)에 고정결합된 탄성제어체(130)의 탄성판(131)과 제어볼(133)에 의해 탄성결합을 이루고 있기 때문에 내부케이스(90)가 전진이동되는 힘은 암(120)으로 전해지게 되며, 이에 따라 암(120)이 힌지결합부를 중심으로 회전작동하는 작용에 의해 견인판(110)이 수직상승하여 견인판(110)에 형성된 견인날개(111)가 횡 방향의 모종판(1)과 모종판(1) 사이에 끼워지게 된다.
아울러, 상기 견인판(110)의 최대수직상승이 이루어져 암(120)이 더 이상 회전작동하지 못하면, 견인바(100)에 의해 내부케이스(90)가 전진하려는 큰 힘을 받기 때문에 탄성제어체(130)의 탄성판(131)이 탄성작동하여 제어볼(133)이 내부케이스(90)의 후방에 위치한 제1관통공(94)에서 빠지게 되며, 이에 따라 내부케이스(90)가 전진이동되고, 내부케이스(90)의 전진이동이 완료되면, 제어볼(133)의 위치가 내부케이스(90)의 전방에 위치한 제2관통공(95)에 위치하기 때문에 탄성판(131)의 탄성작동에 의해 제어볼(133)이 전방 측 제2관통공(95)에 끼워지게 된다.
그리고, 이러한 전진이동은 상기 견인판(110)이 최대높이높이로 수직상승이동된 상태에서 내부케이스(90)의 전진에 따라 전진이동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모종판(1)이 견인날개(111)에 밀려 종 방향 이동이 이루어지며, 종 방향으로 이동되는 모종판(1)은 궤도부(17)를 따라 안내된다.
한편, 전술한 상태에서 링크결합체(49)에 의해 미션부(40)의 레버수단(44)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작동하면, 레버수단(44)을 통한 회전판(50)의 걸림턱(51)을 미는 힘이 사라지기 때문에 견인바(100)에 의해 인장된 탄성복귀체(140)의 스프링(145)이 탄성복귀하는 작용을 하며, 이에 따라 이송작동부(70)의 모든 구성이 초기상태로 복귀된다.
그리고, 상기 이송작동부(70)의 모든 구성이 초기상태로 복귀될 때에는 전술한 바와 마찬가지로 제어볼(133)이 전방에 위치한 제2관통공(95)에 끼워져 있기 때문에 암(120)이 힌지결합부를 중심으로 회전작동하는 작용이 먼저 일어나 견인판(110)이 수직하강한다. 따라서, 그 뒤로 이어서 후진하는 내부케이스(90)에 의해 종 방향으로 전진이송된 모종판(1)이 뒤로 밀리는 것이 방지되며, 내부케이스의 후진이송이 완료된 후에는 탄성판(131)의 탄성작동에 의해 제어볼(133)이 후방에 위치한 제2관통공(95)에 끼워진다.
아울러, 회전축(60)과 상기 회전축(60)에 링크수단(54)을 통해 연결되는 회전판(50)은 견인바(100)에 링크(101)결합되는 회전축(60)에 의해 자동으로 원위치 된다.
더불어, 전술한 상태에서 왕복스크류(30)가 반대 방향으로 이송되는 것은 상기 왕복스크류(30)에 형성된 스크류가 유선형으로 형성되어 반대방향으로 이송될 수 있도록 하는 공지된 통상의 구성을 통해 용이하게 이룰 수 있으며, 이와 같은 지속적인 과정을 거쳐 미션부(40)의 타측에 구성된 레버수단(44)이 회전판(50)의 위치까지 이동되면, 전술한 작용이 반복적으로 이루어진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모종판 종 이송장치(150)를 이용하면, 모종탑재부(10)에 안착된 모종판(1)을 종 방향으로 자동 이송시킬 수 있어 모종을 신속하고 용이하게 심을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특정 실시 예를 한정하여 설명하였지만, 특정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와 변형이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변화가 모두 본 특허의 권리범위에 속하게 됨은 첨부된 청구범위를 통해 알 수 있을 것이다.
10 : 모종탑재부 11 : 작동홀
13 : 설치플레이트 15 : 모종판설치대
11a : 판 17 : 궤도부
17a : 연결대 18 : 탄성부재
19 : 탄성가압부 19a : 회전중심축
19b : 가압부재 20 : 설치브라켓부;
21 : 제1브라켓 23 : 제2브라켓
25 : 제3브라켓 30 : 왕복스크류
40 : 미션부 41 : 구동축
41a : 스프링 42 : 기어
43 : 스크류슬라이더 44 : 레버수단
45 : 회전체 46 : 힌지축
47 : 걸림돌기 48 : 탄성체
49 : 링크결합체 50 : 회전판
51 : 걸림턱 52 : 결합축
54 : 링크수단 60 : 회전축
61 : 작동링크 70 : 이송작동부
80 : 외부케이스 81 : 가이드고정구
82 : 제1관통공 90 : 내부케이스
91 : 롤러 93 : 장공홈
94, 95 : 제1, 2관통공 100 : 견인바
101 : 링크 110 : 견인판
111 : 견인날개 120 : 암
121, 122 : 제1, 2암 130 : 탄성제어체
131 : 탄성판 133 : 제어볼
140 : 탄성복귀체 141 : 걸고리
143 : 복귀브라켓 150 : 모종판 종 이송장치

Claims (4)

  1. 모종탑재부(10);
    설치브라켓부(20)를 통해 상기 모종탑재부(10)에 연결설치되는 왕복스크류(30);
    상기 왕복스크류(30)에 결합되어 축방향으로 왕복이송되며, 양측에 회전작동하는 레버수단(41)을 구성한 미션부(40);
    상기 설치브라켓부(20)에 설치되며, 상기 미션부(40)의 왕복이송에 따라 회전작동하는 레버(41)에 의해 회전작동하는 회전판(50);
    링크수단(54)을 통해 상기 회전판(50)에 결합되어 회전작동하는 회전축(60);
    상기 회전축(60)에 링크결합되어 모종탑재부(10)에 안착된 모종판(1)을 종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이송작동부(70);로 이루어진 것에 특징이 있는 모종판 종 이송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모종탑재부(10)는,
    이송작동부(70)의 종 방향 작동을 위한 작동홀(11)이 관통 형성된 설치플레이트(13);
    상기 설치플레이트(13)의 상부에 결합설치되어 모종판(1)의 안착을 이루는 모종판설치대(15);
    상기 모종판설치대(15)에 일체로 형성되어 횡 방향으로 이송되는 모종판(1)을 가이드 하는 궤도부(17);
    탄성부재(18)에 의해 모종판설치대(15)에 안착된 모종판(1)을 가압하여 모종판(1)의 안착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탄성가압부(19);로 구성된 것에 특징이 있는 모종판 종 이송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설치브라켓부(20)는,
    상기 회전축(60)이 결합되는 제1브라켓(21);
    상기 제1브라켓(21)에서 연장형성되며, 회전판(50)이 결합되는 제2브라켓(23);
    상기 제2브라켓(23)에 설치되어 왕복스크류(30)가 결합되는 제3브라켓(25);으로 구성되며,
    제1, 2, 3브라켓(21, 23, 25)은 각각 한 쌍으로 구성되어 상기 모종탑재부(10)의 양측에 대칭되게 결합되는 것에 특징이 있는 모종판 종 이송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작동부(70)는,
    모종탑재부(10)에 고정설치되되, 내측에는 가이드고정구(81)를 구성하고, 전방 하측에는 탄성제어체(13)를 형성한 외부케이스(80);
    상기 외부케이스(80)의 내부에 설치되되, 상기 가이드고정구(81)와 대응되는 위치에는 가이드고정구(81)에 롤러(91)결합되는 장공홈(93)이 종 방향으로 형성되고, 장공홈(93)과 대응되는 위치에 종 방향 거리만큼 서로 이격되어 제1, 2관통공(94,95)이 한 쌍으로 형성된 내부케이스(90);
    링크(101)를 통해 상기 회전축(60)에 결합되는 견인바(100);
    모종탑재부(10)에 안착된 모종판(1)을 종 방향으로 이송시키는 견인날개(111)를 형성한 견인판(110);
    내부케이스(90)에 힌지결합되되, 제1암(121)은 견인바(100)에 힌지결합되고, 제2암(122)은 견인판(110)에 힌지결합되어 견인바(100)의 작동에 따라 견인판(110)과 내부케이스(90)가 연계되어 회전작동하는 암(120);
    상기 외부케이스(80)에 고정설치되는 탄성판(131)과, 상기 탄성판(131)의 끝단부분에 형성되어 제1, 2관통공(94, 95)에 탄성결합되는 제어볼(133)로 구성된 탄성제어체(130);
    상기 외부케이스(80)의 후방 하측에 고정설치되어 외부케이스(80)의 후방으로 이격되는 걸고리(141)를 형성한 복귀브라켓(143)과, 상기 견인바(100)와 걸고리(141)에 연결되어 견인바(100)를 복귀시키는 스프링(145)으로 구성된 탄성복귀체(140);로 이루어진 것에 특징이 있는 모종판 종 이송장치.
KR1020110119005A 2011-11-15 2011-11-15 모종판 종 이송장치 KR2013005328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9005A KR20130053281A (ko) 2011-11-15 2011-11-15 모종판 종 이송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9005A KR20130053281A (ko) 2011-11-15 2011-11-15 모종판 종 이송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53281A true KR20130053281A (ko) 2013-05-23

Family

ID=486625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19005A KR20130053281A (ko) 2011-11-15 2011-11-15 모종판 종 이송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53281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30531B1 (ko) 2017-09-13 2019-03-11 (주) 우진공업 모종 이식기계의 모종 횡이송 공급장치
KR20190030117A (ko) 2017-09-13 2019-03-21 (주) 우진공업 모종 이식기계의 모종 종이송장치
KR101982336B1 (ko) 2018-10-31 2019-05-24 (주) 우진공업 모종이식기의 모종 횡이송공급장치
KR101996077B1 (ko) 2018-09-21 2019-10-01 (주) 우진공업 모종이식기의 모종 종이송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30531B1 (ko) 2017-09-13 2019-03-11 (주) 우진공업 모종 이식기계의 모종 횡이송 공급장치
KR20190030117A (ko) 2017-09-13 2019-03-21 (주) 우진공업 모종 이식기계의 모종 종이송장치
KR101996077B1 (ko) 2018-09-21 2019-10-01 (주) 우진공업 모종이식기의 모종 종이송장치
KR101982336B1 (ko) 2018-10-31 2019-05-24 (주) 우진공업 모종이식기의 모종 횡이송공급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053281A (ko) 모종판 종 이송장치
CN108076757B (zh) 夹片式秧苗移栽机
US3136274A (en) Lawn perforator
CN208891164U (zh) 一种新型插入式高效自动播种机
WO2014026309A1 (zh) 手扶拖拉机轴传动的播种机
JP2006333722A5 (ko)
JP2007306822A (ja) 播種機
JP4971219B2 (ja) 移植機
JP5451783B2 (ja) 播種機の動力伝達装置
JP2016136903A (ja) 移植機
JP2012217368A (ja) 苗移植機
CN102783294B (zh) 一种用于杂交稻制种母本移栽的插秧机分插机构
JP2015080469A (ja) 苗移植機
CN108235847B (zh) 一种自动水稻插秧机
KR101816403B1 (ko) 이식기의 모종 트레이 공급장치
JP4168200B2 (ja) 苗移植機
JP5843031B2 (ja) 苗移植機
CN108934341B (zh) 移栽机送苗装置
CN104025785B (zh) 一种手扶插秧机的插植部总成
CN217985967U (zh) 移栽机送盘推进装置
CN209897607U (zh) 移栽机用钵苗盘导向装置
JPH0568413A (ja) 複数条植用苗植付装置の苗のせ台構造
JP3580480B2 (ja) 移植機の苗箱送り装置
JP2012249555A (ja) 苗受け装置
JP3918861B2 (ja) 苗植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