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82336B1 - 모종이식기의 모종 횡이송공급장치 - Google Patents

모종이식기의 모종 횡이송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82336B1
KR101982336B1 KR1020180132357A KR20180132357A KR101982336B1 KR 101982336 B1 KR101982336 B1 KR 101982336B1 KR 1020180132357 A KR1020180132357 A KR 1020180132357A KR 20180132357 A KR20180132357 A KR 20180132357A KR 101982336 B1 KR101982336 B1 KR 1019823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edling
disk
driving
sprocket
seedling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323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두영
이병래
Original Assignee
(주) 우진공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우진공업 filed Critical (주) 우진공업
Priority to KR10201801323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8233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23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23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11/00Transplanting machines
    • A01C11/02Transplanting machines for seedling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11/00Transplanting machines
    • A01C11/006Other parts or details or planting mach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7/00Conveyors having an endless traction element, e.g. a chain, transmitting movement to a continuous or substantially-continuous load-carrying surface or to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Endless-chain conveyors in which the chains form the load-carrying surface
    • B65G17/12Conveyors having an endless traction element, e.g. a chain, transmitting movement to a continuous or substantially-continuous load-carrying surface or to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Endless-chain conveyors in which the chains form the load-carrying surface comprising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fixed, or normally fixed, relative to traction el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3/00Driving gear for endless conveyors; Belt- or chain-tensioning arrangements
    • B65G23/24Gearing between driving motor and belt- or chain-engaging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35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kind or type of conveyors
    • B65G2812/02Belt or chain conveyors
    • B65G2812/02267Conveyors having endless traction elements
    • B65G2812/02277Common features for chain conveyors
    • B65G2812/02287Driv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kind or type of conveyors
    • B65G2812/02Belt or chain conveyors
    • B65G2812/02267Conveyors having endless traction elements
    • B65G2812/02415Conveyors having endless traction elements with load-carrying surfaces supported by traction means
    • B65G2812/02613Conveyors having endless traction elements with load-carrying surfaces supported by traction means the load-carrying surfaces being separated from each other, e.g. individual load carriers
    • B65G2812/02673Conveyors having endless traction elements with load-carrying surfaces supported by traction means the load-carrying surfaces being separated from each other, e.g. individual load carriers the load-carriers being arranged above, between or beside the traction means
    • B65G2812/02683Conveyors having endless traction elements with load-carrying surfaces supported by traction means the load-carrying surfaces being separated from each other, e.g. individual load carriers the load-carriers being arranged above, between or beside the traction means and fixed or non-movably linked to the traction mean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Transplanting Mach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종이식기의 모종 횡이송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모종이식기를 구성하는 것으로 모종 종이송장치로부터 전달된 모종들을 순차적으로 횡이송시키면서 모종 이식장치로 공급해주기 위하여 다수개의 모종운반컵을 무한궤도 이송방식에 의해 일렬로 회전시키는 모종회전공급부 및 상기 모종운반컵을 회전시키도록 상기 모종회전공급부에 동력을 제공하는 동력전달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모종 횡이송공급장치에 있어서, 상기 모종회전공급부는, 상기 동력전달부의 상부에 구비되는 베이스플레이트; 상기 베이스플레이트를 관통하여 설치되고 상기 동력전달부와 연동되어 회전하는 구동스프라켓을 포함하는 회전구동수단;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상부면에 상기 구동스프라켓과 이격되어 설치되는 하나 이상의 종동스프라켓; 상기 구동스프라켓과 종동스프라켓에 권취되어 무한궤도 방식으로 회전하는 체인; 및 상기 체인의 외측에 결합되어 배열되며 상기 모종 종이송장치로부터 모종을 전달받는 모종운반컵;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모종이식기의 모종 횡이송공급장치{Apparatus for transferring and feeding horizontally a seedling}
본 발명은 모종이식기의 모종 횡이송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땅에 모종을 이식하는 모종이식기에 포함되어 다수개의 모종들을 횡 방향으로 회전 이송시키면서 최종적으로 모종을 이식하는 호퍼로 공급하는 모종 횡이송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상추와 같은 식물은 발아 성공률을 높이고, 이식하기 전까지의 관리를 효율적으로 하기 위하여 일정한 모양의 모종판에 파종하여 발아시킨 다음 땅에 옮겨 심고 있다.
이와 같은 모종 이식작업을 손으로 하게 되면, 작업자가 모종을 모종판으로부터 일일이 손으로 뽑아서 옮겨 심어야 하기 때문에 긴 작업시간을 요하게 되며, 작업중 부주의하게 되면, 모종을 파손시키게 된다.
종래에는 이식작업에 소요되는 시간을 절약하기 위해 이식작업을 반자동화한 모종이식기가 제안되었다. 이는 원판에 이식할 모종을 원형으로 배열시키고, 그 하부에는 구멍이 한 개인 셔터판을 설치하여 원판이 간헐 회전될 때 셔터판에 형성된 구멍과 일치되는 모종이 아래쪽으로 떨어지도록 구성되어 있었으며, 그 밑에서는 땅에 구멍을 내기 위한 말뚝모양의 관이 설치되어 밑으로 떨어진 모종이 이 관을 통해 낙하되고, 땅에 박힌 관의 하단부를 양측으로 벌리게 되면, 관의 하부가 개방되면서 땅에 모종이 자리 잡을 구멍이 형성되는 동시에 모종이 땅으로 떨어지게 되는데, 이때 하단부가 열린 상태의 관을 그대로 상부로 들어올리게 되면, 모종은 땅에 남게 되고, 관의 하단부를 닫아서 앞의 과정을 반복하게 되면, 모종을 차례로 이식할 수 있도록 되어 있었다.
본 출원인은 종래 기술들의 문제점을 극복하고자 아래와 같이 모종이식기계에 관련된 특허를 출원한 바 있다.
그러나 종래 제안한 구조는 모종운반컵이 이송되고 일정시간 동안 정지하도록 단속적으로 작동되는데, 부드럽게 회전하는 것이 아니라 이송의 흐름이 끊기는 단점이 있고 이로 인해 작동의 신뢰성이 낮아져 고장 및 유지보수의 문제가 발생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3-0053281(2013.5.23) "모종판 종 이송장치"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3-0050601(2013.5.16) "모종 이식 자동 작동장치"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298212(2013.8.13) "모종 식재장치"
이에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모종 종이송장치로부터 이송된 다수개의 모종을 간헐적으로 회전시키되, 이송의 흐름이 끊어지지 않고 부드럽게 이송되어 작동의 신뢰성을 보장하는 모종이식기의 모종 횡이송공급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 달성을 위한 본 발명에 따르면, 본 발명은 모종이식기를 구성하는 것으로 모종 종이송장치로부터 전달된 모종들을 순차적으로 횡이송시키면서 모종 이식장치로 공급해주기 위하여 다수개의 모종운반컵을 무한궤도 이송방식에 의해 일렬로 회전시키는 모종회전공급부 및 상기 모종운반컵을 회전시키도록 상기 모종회전공급부에 동력을 제공하는 동력전달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모종 횡이송공급장치에 있어서, 상기 모종회전공급부는, 상기 동력전달부의 상부에 구비되는 베이스플레이트; 상기 베이스플레이트를 관통하여 설치되고 상기 동력전달부와 연동되어 회전하는 구동스프라켓을 포함하는 회전구동수단;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상부면에 상기 구동스프라켓과 이격되어 설치되는 하나 이상의 종동스프라켓; 상기 구동스프라켓과 종동스프라켓에 권취되어 무한궤도 방식으로 회전하는 체인; 및 상기 체인의 외측에 결합되어 배열되며 상기 모종 종이송장치로부터 모종을 전달받는 모종운반컵;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회전구동수단은, 상기 동력전달부와 연동되어 회전하는 전달축; 상기 전달축에 결합되어 회전하는 원호형상의 캠; 상기 캠의 외측 궤적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구비되는 복수개의 스토퍼; 상기 전달축의 상단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구동기어; 상기 구동기어의 상부에 결합되는 구동축; 상기 각 스토퍼 사이에 구비되고 상기 구동기어와 연동된 상태에서 상기 캠에 의해서 순차적으로 일정 각도 회전함으로써 교대로 상기 구동기어를 회전시키는 순차회전구동체; 및 상기 구동축의 상단에 결합되는 구동스프라켓;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순차회전구동체는, 인접하는 상기 각 스토퍼 사이에 각각 수직으로 구비되는 디스크축과, 상기 각 디스크축에 결합되고 상부면에 래칫이 형성된 디스크와, 상기 디스크의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캠과 구름 접촉하는 롤러와, 상기 디스크축이 삽입되어 아이들 회전하게 구비되고 하부면에 래칫이 형성되어 상기 디스크의 래칫과 치결합되며 상기 구동기어와 연동되는 피니언과, 상기 각 디스크의 일측과 인접하는 상기 각 스토퍼 사이를 연결하는 스프링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르면, 캠이 회전하면서 각 순차회전구동체를 끊어짐 없이 교대로 회전 구동하므로 구동스프라켓을 부드럽게 회전시킬 수 있고, 롤러가 캠 상에 구름 접촉하는 동안에는 구동스프라켓이 정지하므로 모종운반컵을 단속적으로 이송시키는 작동이 우수하다.
따라서, 고장의 우려가 크게 감소하므로 유지보수의 문제가 해결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따른 모종이식기의 모종 횡이송공급장치의 전체적인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회전구동수단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회전구동수단의 내부구조를 나타내는 내부사시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회전구동수단의 평면도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순차회전구동체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6a 내지 도 6d는 본 발명의 작동상태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참고로, 도면을 참조한 설명은 본 발명을 더 쉽게 이해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주가 그것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될 경우,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우선, 모종이식기에 대해 간략하게 설명하자면, 동력을 발생시키는 동력발생장치, 상기 동력발생장치에서 발생된 동력을 각 장치로 분배하여 전달하는 동력분배장치, 상기 동력분배장치로부터 분배, 전달된 동력으로 구동되며 다수개의 모종이 배열된 모종판을 일정 주기를 두고 간헐(間歇)적 또는 단속(斷續)적으로 종방향을 따라 이송시키면서 취출한 모종을 모종 횡이송공급장치로 전달하는 모종 종이송장치(1), 상기 모종 종이송장치(1)로부터 전달된 모종들을 수평으로 회전시키면서 모종이식장치로 공급해주는 모종 횡이송공급장치, 상기 모종 횡이송공급장치에서 공급된 모종을 일정한 간격으로 땅속에 식부하는 모종 이식장치를 포함해서 구성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모종이식기를 구성하는 구성들 중에서 모종 횡이송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외관을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따른 모종이식기의 모종 횡이송공급장치의 전체적인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모종이식기의 모종 횡이송공급장치는 상기 모종 종이송장치로부터 병렬로 전달된 1세트의 모종들을 순차적으로 회전시키면서 횡이송시키고 반대측에 구비된 모종 이식장치의 호퍼로 모종들을 공급해주는 모종회전공급부(100)와 상기 모종회전공급부에 동력을 제공하는 동력전달부(2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상기 모종회전공급부(100)는 다수개의 모종운반컵(150)을 무한궤도 이송방식에 의해 일렬로 회전시키도록 베이스플레이트(110), 회전구동수단(120), 종동스프라켓(130), 체인(140), 모종운반컵(150)을 포함해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10)는 상기 동력전달부(200)의 상측에 수평으로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회전구동수단(120), 종동스프라켓(130), 체인(140), 모종운반컵(150)을 지지한다.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10)는 대략 직사각형 또는 사다리꼴 형상일 수 있고 강도가 충분한 금속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회전구동수단(120)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10)를 관통하여 설치되고 상기 동력전달부(200)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모종회전공급부(100)를 구동한다.
즉, 상기 회전구동수단(120)의 상단에는 구동스프라켓(127)이 수평으로 구비되어 회전한다. 이때, 상기 구동스프라켓(127)은 사다리꼴 형상의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10)의 어느 하나의 모서리 측에 설치될 수 있다.
또 상기 종동스프라켓(130)도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10)의 상부에 수평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종동스프라켓(130)은 3개가 구비되어 사다리꼴 형상의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10)의 네 모서리 중 나머지 세 모서리 측에 설치될 수 있다. 즉, 상기 구동스프라켓(127)과 종동스프라켓(130)은 각각 서로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설치된다.
상기 체인(140)은 상기 구동스프라켓(127)과 종동스프라켓(130) 각각의 외측을 둘러 권취되도록 설치된다. 즉, 상기 체인(140)은 무한궤도 방식으로 회전하게 된다.
또 상기 체인(140)의 외측에는 복수개의 모종운반컵(150)이 일렬로 결합된다.
즉, 상기 모종운반컵(150)은 모종을 수용하지만 낙하하지 않고 클램핑한 상태로 회전 이동할 수 있도록 양측면에 탄성수용판이 구비된다. 이때 상기 탄성수용판은 하단부가 내측으로 일부 접혀진 상태가 되어 수용된 모종이 낙하하지 않도록 잡아준다.
이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져 상기 구동스프라켓(127)이 회전하면 상기 구동스프라켓(127)에 감긴 체인이 상기 종동스프라켓(130)을 돌리면서 수평으로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체인(140)에 부착된 모종운반컵(150)도 모종을 클램핑한 상태로 이동하여 모종을 개별적으로 회전 이송하며, 반대측에 구비된 호퍼(미도시)까지 이동시키게 된다.
구체적으로 도 2 내지 5를 함께 참조하여 본 발명의 핵심인 상기 회전구동수단에 대해 좀 더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회전구동수단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회전구동수단의 내부구조를 나타내는 내부사시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회전구동수단의 평면도,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순차회전구동체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상기 회전구동수단(120)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10)를 관통하면서 설치되는데, 구체적으로 전달축(121), 캠(122), 스토퍼(123), 구동기어(124), 구동축(125), 순차회전구동체(126), 구동스프라켓(127)으로 구성될 수 있고 상기 각 구성들을 수용하는 하우징(128)이 구비된다.
상기 전달축(121)은 상기 동력전달부(200)와 연동되어 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회전구동수단(120)을 회전시키는 구성으로서,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10)를 관통하여 수직으로 설치된다. 이때, 상기 전달축(121)의 하단에는 베벨기어(b)가 결합되어 상기 동력전달부(200)의 베벨기어(b)와 치결합함으로서 동력이 전달되게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전달축(121) 상에 캠(122)이 결합된다.
상기 캠(122)은 대략 원호 또는 부채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상기 전달축(121)과 함께 회전한다.
바람직한 것은 상기 캠(122)의 각도는 후술하는 순차회전구동체(126)의 개수에 따라 달라진다. 즉, 도시된 바와 같이 순차회전구동체(126)의 개수가 3개이면 상기 캠(122)은 360°/3으로 도출되어 120°의 부채꼴 형상을 가지도록 구비된다.
또 상기 캠(122)의 외측에는 복수개의 스토퍼(123)가 고정된다. 즉, 상기 스토퍼(123)는 상기 하우징(128) 내에 고정되도록 배치되되, 상기 캠(122)의 회전 궤적을 형성하면서 충돌하지 않고 안내되도록 내면이 원호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스토퍼(123)는 각각 서로 이격되어 방사상으로 배치된다.
상기 전달축(121)의 상단에는 구동기어(124)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다시 말해서, 상기 구동기어(124)의 내부에 상기 전달축(121)의 상단 일부가 삽입되고 그 사이에 베어링이 개재됨으로써 상기 전달축(121)과 구동기어(124)는 독립적으로 구동된다.
상기 구동기어(124)의 상부에는 구동축(125)이 수직으로 결합되며 상기 구동축(125)의 상단에 상기 구동스프라켓(127)이 결합된다.
한편, 상기 각 스토퍼(123) 사이에는 순차회전구동체(126)가 구비된다.
즉, 상기 순차회전구동체(126)는 상기 스토퍼(123)의 개수와 동일한 수가 구비되는데, 상기 구동기어(124)와 연동된 상태에서 상기 캠(122)의 회전에 따라 순차적으로 일정 각도만큼 회전함으로써 상기 구동기어(124)를 회전 구동하게 하는 구성으로서, 도 3 및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크축(126a), 디스크(126b), 롤러(126d), 피니언(126e), 스프링(미도시)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디스크축(126a)은 인접하는 상기 스토퍼(123) 사이에 수직으로 설치된다. 즉, 상기 하우징(128) 내에 입설되며 회전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디스크축(126a)에는 디스크(126b)가 결합되어 함께 회전된다. 상기 디스크(126b)는 하나일 수 있으나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디스크(1261b) 및 하부디스크(1262b) 한 쌍이 상하로 이격되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상부디스크(1261b)의 상부면에는 일방향 회전만 가능하게 할 수 있도록 직사각형 단면 형상을 가지는 다수개의 래칫(126c)이 상향 돌출되어 형성된다.
그리고 상부디스크(1261b)와 하부디스크(1262b) 사이에 스프링의 일단을 걸어 고정하기 위한 스프링걸이(126g)가 형성된다.
또 상기 상부디스크(1261b)와 하부디스크(1262b) 사이에 롤러(126d)가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다.
상기 롤러(126d)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디스크(126b)의 외주면보다 더 돌출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캠(122)이 회전할 때 상기 캠(122)의 외주면과 구름 접촉되면서 밀려 상기 디스크축(126a)이 회전하도록 유도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스프링걸이(126g)는 상기 디스크(126b)의 외측에 형성되고 상기 롤러(126d)는 상기 디스크(126b)의 내측에 형성되는 것이 좋다.
한편, 상기 각 디스크축(126a)의 상부에는 피니언(126e)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즉, 상기 피니언(126e)에 상기 디스크축(126a)이 삽입되어 아이들 기어와 같이 회전할 수 있으며 각 피니언(126e)은 모두 상기 구동기어(124)에 치결합되어 연동된다.
이때, 상기 피니언(126e)의 하부면에는 상기 디스크(126b)의 래칫(126c)과 래칫(lachet) 결합될 수 있도록 대응되는 래칫(126f)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디스크(126b)가 일방향으로 회전할 경우 상기 피니언(126e)은 함께 회전할 수 있지만, 상기 디스크(126b)가 타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에는 상기 피니언(126e)은 회전하지 않게 된다.
상기 각 디스크(126b)와 바로 인접하는 스토퍼(123) 사이에는 스프링(미도시)이 설치된다. 즉, 상기 스프링의 일단은 상기 디스크(126b)에 형성된 스프링걸이(126g)에 걸리고 타단은 상기 스토퍼(123)에 형성된 스프링홀(123a)에 걸리게 설치함으로써, 상기 디스크(126b)가 일측으로 회전하더라도 탄성력에 의해 다시 원위치로 복원되게 한다.
이하에서, 도 6a 내지 도 6d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작동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6a 내지 도 6d는 본 발명의 작동과정을 나타내는 작동상태도이다.
동력발생장치에서 발생된 동력은 상기 동력전달부(200)에서 감속되어 상기 전달축(121)으로 전달되므로 상기 전달축(121)은 일정한 속도로 회전하게 된다.
상기 전달축(121)이 회전하면 상기 캠도 함께 회전하게 되는데, 상기 캠(122)의 회전에 따라 상기 롤러(126d)는 순차적으로 상기 캠(122)에 접촉하면서 밀려난다. 참고로 상기 각 순차회전구동체(126)의 롤러(126d)는 스프링에 의해 왼쪽에 위치하는 스토퍼(123)에 걸린 상태로 고정된다.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하는 상기 캠(122)이 먼저, 상기 제1순차회전구동체의 제1롤러(1261d)에 접촉하게 되면 상기 제1롤러(1261d)는 밀리면서 상기 제1디스크(1261b)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기 시작한다.
이때, 상기 제1디스크(1261b)의 래칫(126c)과 제1피니언(1261e)의 래칫(126f)은 도 5에서와 같이 서로 물려있는 상태이므로 상기 제1피니언(1261e)도 함께 회전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1피니언(1261e)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제1피니언(1261e)에 연동된 상기 구동기어(124)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상기 구동기어(124)의 회전으로 인해 상기 구동기어(124)에 연동된 제2순차회전구동체의 제2피니언(1262e)과 제3순차회전구동체의 제3피니언(1263e)도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는데 이때, 제2, 3피니언(1262e, 1263e)의 래칫(126f)과 제2, 3디스크(1262b, 1263b)의 래칫(126c)은 서로 미끄러지면서 상기 제2, 3피니언(1262e, 1263e)의 래칫(126f)이 제2, 3디스크(1262b, 1263b)의 래칫(126c)을 타고 넘어가므로 상기 제2, 3디스크(1262b, 1263b)는 회전하지 않는다.
따라서, 상기 제2, 3롤러(1262d, 1263d)는 정지한 상태를 유지한다.
다음으로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캠(122)이 더 회전하면, 상기 캠(122)의 외주면에 상기 제1롤러(1261d)가 완전히 올라탄 상태에서 구름 접촉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캠(122)이 상기 제1롤러(1261d)를 완전히 벗어날 때까지는 상기 제1디스크(1261b)가 회전하지 않고 정지한 상태를 유지하므로 상기 구동기어도 회전하지 않고 일정시간 동안 정지한다.
다음으로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캠이 제2순차회전구동체의 제2롤러(1262d)에 접촉하게 되면, 상기 제2롤러(1262d)는 밀리면서 상기 제2디스크(1262b)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기 시작한다. 이때, 상기 제2디스크(1262b)의 래칫(126c)과 제2피니언(1262e)의 래칫(126f)은 서로 물려있는 상태이므로 상기 제2피니언(1262e)도 함께 회전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2피니언(1262e)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제2피니언(1262e)에 연동된 상기 구동기어(124)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여기서, 도 6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캠(122)이 상기 제1롤러(1261d)를 이탈하고 상기 제2롤러(1262d)를 가압하는 순간, 스프링에 의해 상기 제1디스크(1261b)는 원래의 위치로 복귀한다. 즉, 상기 제1디스크(1261b)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제1롤러(1261d)는 왼쪽의 스토퍼(123)에 걸린 상태가 된다.
이때는, 상기 제1피니언(1261e)은 상기 제1디스크(1261b)와 함께 회전하지 않게 되므로 상기 제1피니언(1261e)은 상기 구동기어(124)에 연동된 상태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마찬가지로, 상기 캠(122)의 외주면에 상기 제2롤러(1262d)가 완전히 올라탄 상태에서 구름 접촉하다가 상기 캠(122)이 제2롤러(1262d)를 완전히 벗어날 때까지 상기 제2디스크(1262b)가 회전하지 않고 정지한 상태를 유지하므로 상기 구동기어도 회전하지 않고 일정시간 동안 정지한다.
동일하게 상기 캠(122)이 상기 제3롤러(1263d)를 가압하여 회전시킬 때 상기 제2롤러(1262d)도 원래 위치로 복귀하여 상기 제2피니언(1262e)은 상기 제2디스크(1262b)와 함께 회전하지 않게 되므로 상기 제2피니언(1262e)은 상기 구동기어(124)에 연동된 상태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또 상기 제3롤러(1263d)가 상기 캠(122)의 외주면 상에서 구름 접촉하는 동안에는 상기 제3디스크(1263b)도 회전하지 않으므로 구동기어도 회전하지 않는다.
이러한 방식으로 상기 전달축(121)이 계속 회전하더라도, 상기 캠(122)에 의해 상기 순차회전구동체(126)가 각각 상기 구동기어(124)를 일정 각도만큼 회전시킨 후 일정시간 동안 정지하고, 다시 일정 각도만큼 회전시키고 다시 일정시간 정지하는 방식으로 구동한다.
따라서, 상기 구동기어(124)는 단속적으로 작동이 되어 상기 구동기어의 구동축에 결합된 상기 구동스프라켓(127)이 상기 체인(140)을 단속적으로 이송하게 된다.
결국, 상기 체인(140)에 결합된 상기 모종운반컵(150)은 1피치 이송되고 일정기간 멈췄다가 다시 1피치씩 이송되도록 작동된다.
이상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대표적인 실시 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한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 내용을 바탕으로 본 발명의 범주 내에서 다양한 응용 및 변형을 행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 모종회전공급부
110 : 베이스플레이트
120 : 회전구동수단 121 : 전달축
122 : 캠 123 : 스토퍼
123a : 스프링홀 124 : 구동기어
125 : 구동축 126 : 순차회전구동체
126a : 디스크축 126b : 디스크
126c : 래칫 126d : 롤러
126e : 피니언 126f : 래칫
126g : 스프링걸이 127 : 구동스프라켓
128 : 하우징
130 : 종동스프라켓
140 : 체인
150 : 모종운반컵
200 : 동력전달부
1 : 모종 종이송장치 b : 베벨기어

Claims (3)

  1. 모종이식기를 구성하는 것으로 모종 종이송장치로부터 전달된 모종들을 순차적으로 횡이송시키면서 모종 이식장치로 공급해주기 위하여, 다수개의 모종운반컵을 무한궤도 이송방식에 의해 일렬로 회전시키는 모종회전공급부 및 상기 모종운반컵을 회전시키도록 상기 모종회전공급부에 동력을 제공하는 동력전달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모종 횡이송공급장치에 있어서,
    상기 모종회전공급부는,
    상기 동력전달부의 상부에 구비되는 베이스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를 관통하여 설치되고, 상기 동력전달부와 연동되어 회전하는 구동스프라켓을 포함하는 회전구동수단;과,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상부면에 상기 구동스프라켓과 이격되어 설치되는 하나 이상의 종동스프라켓;과, 상기 구동스프라켓과 종동스프라켓에 권취되어 무한궤도 방식으로 회전하는 체인; 및 상기 체인의 외측에 결합되어 배열되며 상기 모종 종이송장치로부터 모종을 전달받는 모종운반컵;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회전구동수단은, 상기 동력전달부와 연동되어 회전하는 전달축;과, 상기 전달축에 결합되어 회전하는 원호형상의 캠;과, 상기 캠의 외측 궤적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구비되는 복수개의 스토퍼;와, 상기 전달축의 상단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구동기어;와, 상기 구동기어의 상부에 결합되는 구동축;과, 상기 각 스토퍼 사이에 구비되고 상기 구동기어와 연동된 상태에서 상기 캠에 의해서 순차적으로 일정 각도 회전함으로써 교대로 상기 구동기어를 회전시키는 순차회전구동체; 및 상기 구동축의 상단에 결합되는 구동스프라켓;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종 횡이송공급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순차회전구동체는,
    인접하는 상기 각 스토퍼 사이에 각각 수직으로 구비되는 디스크축과,
    상기 각 디스크축에 결합되고 상부면에 래칫이 형성된 디스크와,
    상기 디스크의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캠과 구름 접촉하는 롤러와,
    상기 디스크축이 삽입되어 아이들 회전하게 구비되고 하부면에 래칫이 형성되어 상기 디스크의 래칫과 치결합되며 상기 구동기어와 연동되는 피니언과,
    상기 각 디스크의 일측과 인접하는 상기 각 스토퍼 사이를 연결하는 스프링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종 횡이송공급장치.
KR1020180132357A 2018-10-31 2018-10-31 모종이식기의 모종 횡이송공급장치 KR1019823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2357A KR101982336B1 (ko) 2018-10-31 2018-10-31 모종이식기의 모종 횡이송공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2357A KR101982336B1 (ko) 2018-10-31 2018-10-31 모종이식기의 모종 횡이송공급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82336B1 true KR101982336B1 (ko) 2019-05-24

Family

ID=666803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32357A KR101982336B1 (ko) 2018-10-31 2018-10-31 모종이식기의 모종 횡이송공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82336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90558A (en) * 1993-05-03 1995-02-21 Weinberg; Morgan W.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JP2005058063A (ja) * 2003-08-11 2005-03-10 Iseki & Co Ltd 苗植機の苗供給装置
JP2011000099A (ja) * 2009-06-22 2011-01-06 Yanmar Co Ltd 苗移植機
KR20130050601A (ko) 2011-11-08 2013-05-16 이두영 모종 이식 자동 작동장치
KR20130053281A (ko) 2011-11-15 2013-05-23 이두영 모종판 종 이송장치
KR101298212B1 (ko) 2012-11-29 2013-08-22 이두영 모종 식재장치
JP2014000003A (ja) * 2012-06-15 2014-01-09 Iseki & Co Ltd 苗移植機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90558A (en) * 1993-05-03 1995-02-21 Weinberg; Morgan W.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JP2005058063A (ja) * 2003-08-11 2005-03-10 Iseki & Co Ltd 苗植機の苗供給装置
JP2011000099A (ja) * 2009-06-22 2011-01-06 Yanmar Co Ltd 苗移植機
KR20130050601A (ko) 2011-11-08 2013-05-16 이두영 모종 이식 자동 작동장치
KR20130053281A (ko) 2011-11-15 2013-05-23 이두영 모종판 종 이송장치
JP2014000003A (ja) * 2012-06-15 2014-01-09 Iseki & Co Ltd 苗移植機
KR101298212B1 (ko) 2012-11-29 2013-08-22 이두영 모종 식재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667582B2 (ja) 播種機
KR101993474B1 (ko) 모종 이식기계의 모종 종이송장치
KR20020014246A (ko) 마늘의 직립 파종장치
CN100356828C (zh) 控制扇型豆类植株朝向的种带及设备和播种方法
US3374752A (en) Transplanter
JP5092499B2 (ja) 播種ユニット及び播種方法
KR101982336B1 (ko) 모종이식기의 모종 횡이송공급장치
CN110506473B (zh) 一种传动机构、播种装置及播种方法
JP4820082B2 (ja) 播種機
KR101930531B1 (ko) 모종 이식기계의 모종 횡이송 공급장치
US4104975A (en) Transplanting apparatus
KR101996077B1 (ko) 모종이식기의 모종 종이송장치
JP5176712B2 (ja) 播種機
CN210610287U (zh) 一种传动机构及播种装置
JP5416791B2 (ja) 土供給装置
KR20220034399A (ko) 모판픽업유닛을 갖춘 모판 이송 시스템
JPH09205830A (ja) 土詰播種方法および装置
KR20120129404A (ko) 마늘 파종기
JP2010193863A (ja) 播種機
KR101158634B1 (ko) 밭작물 씨앗의 파종용 씨앗공급장치
JP2009296971A5 (ko)
KR200165405Y1 (ko) 마늘 파종기
JP2006025692A (ja) 播種機
JP3616310B2 (ja) 種芋植付機、及びこれに設置される種箱
JPS63237708A (ja) 播種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