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58649Y1 - 모종이식장치 - Google Patents
모종이식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258649Y1 KR200258649Y1 KR2020010022418U KR20010022418U KR200258649Y1 KR 200258649 Y1 KR200258649 Y1 KR 200258649Y1 KR 2020010022418 U KR2020010022418 U KR 2020010022418U KR 20010022418 U KR20010022418 U KR 20010022418U KR 200258649 Y1 KR200258649 Y1 KR 200258649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eedling
- frame
- unit
- punch
- cam
- Prior art date
Links
Landscapes
- Transplanting Machin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모종판으로부터 모종을 인출하여 땅에 옮겨 심을 수 있도록 한 모종이식장치에 관한 것으로, 지면(24) 위에서 이송되는 메인프레임(30), 상기 메인프레임(30)에서 전후방향으로 직선 안내되는 상부프레임(50), 상기 메인프레임(30) 위의 가이드 채널(32)에 일정한 간격으로 놓여지는 모종판(80), 상기 상부프레임(50)을 통해 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모종판(80)으로부터 모종(60)을 인출하여 낙하지점으로 투하하는 픽업유닛(90), 지면(24)에 구멍(24a)을 내기 위한 펀치유닛(100), 지면(24)에 형성된 구멍(24a)으로 모종(60)을 안내하기 위한 슈트(120), 지면(24)에 구멍(24a)을 뚫기 전부터 모종(60)이 낙하된 후까지 상기 메인프레임(30)이 이송되는 동안 상기 슈트(120)와 펀치유닛(100)을 지면에 대하여 고정시키기 위한 일시정지유닛(70), 상기 모종판(80)에 형성된 가로방향 포트로부터 모종(60)을 차례로 인출하도록 상기 픽업유닛(90)의 인출지점을 결정하기 위한 가로방향 위치결정유닛(140), 그리고 상기 모종판(80)의 가로방향 포트의 인출이 종료되면 상기 모종판(80)을 세로방향으로 1피치만큼 간헐 이송시키기 위한 모종판 간헐이송유닛(180)으로 이루어지는 모종이식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모종이식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모종판에서 기른 어린 식물(예를 들어서, 상추, 고추 모종)을 자동으로 인출하여 밭에 일정한 간격으로 옮겨 심을 수 있도록 한 모종이식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상추와 같은 식물은 발아 성공률을 높이고, 이식하기 전까지의 관리를 효율적으로 하기 위하여 일정한 모양의 모종판에 파종하여 발아시킨 다음 땅에 옮겨 심고 있다.
이와 같은 모종 이식작업을 손으로 하게 되면, 작업자가 모종을 모종판으로부터 일일이 손으로 뽑아서 옮겨 심어야 하기 때문에 긴 작업시간을 요하게 되며, 작업중 부주의하게 되면, 모종을 파손시키게 된다.
종래에는 이식작업에 소요되는 시간을 절약하기 위해 이식작업을 반자동화한 모종이식장치가 제안되었다. 이는 원판에 이식할 모종을 원형으로 배열시키고, 그 하부에는 구멍이 한 개인 셔터판을 설치하여 원판이 간헐회전될 때 셔터판에 형성된 구멍과 일치되는 모종이 아래쪽으로 떨어지도록 구성되어 있었으며, 그 밑에서는 땅에 구멍을 내기 위한 말뚝모양의 관이 설치되어 밑으로 떨어진 모종이 이 관을 통해 낙하되고, 땅에 박힌 관의 하단부를 양측으로 벌리게 되면, 관의 하부가 개방되면서 땅에 모종이 자리잡을 구멍이 형성되는 동시에 모종이 땅으로 떨어지게 되는데, 이때 하단부가 열린 상태의 관을 그대로 상부로 들어 올리게 되면, 모종은 땅에 남게 되고, 관의 하단부를 닫아서 앞의 과정을 반복하게 되면, 모종을 차례로 이식할 수 있도록 되어 있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모종이식장치는 원판 옆에서 작업자가 모종을 하나 하나 삽입하여야 되기 때문에 사용이 매우 불편하였다.
또한, 땅에 구멍을 내고 차량이 계속해서 주행하기 때문에 관이 땅을 진행방향으로 긁어서 도랑을 형성하게 되어 모종이 일직선으로 서 있지 못하고, 옆으로 기울어지거나 쓰러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 모종을 심고 난 후에는 그 주변에 있는 흙을 다져서 식물의 지탱력을 유지시켜 주어야 튼튼하게 자라게 되는데, 종래에는 모종 주변의 흙을 자동으로 다져주기 위한 장치가 없었기 때문에 이식된 모종의 지탱력이 약하여 강풍이나 자중에 의해 옆으로 눕거나 쓰러지면서 뿌리를 제대로 내리지 못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또, 원판이 간헐회전 될 때마다 한 개의 모종만을 심도록 구성되어 있었기 때문에 작업속도가 현저하게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복수의 모종을 정해진 간격으로 한꺼번에 자동 이식할 수 있는 동시에 차량 주행 중에 지면에 구멍을 낼 때 순간 정지시킴으로써 모종이 이식되는 구멍을 변형을 방지하고, 심고 난 후 모종주변의 흙을 다짐으로써 모종의 지탱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모종이식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모종이식장치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모종이식장치의 동력전달경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모종이식장치의 요부를 확대해서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픽업유닛과 펀치유닛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일시정지유닛의 구성을 보인 측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일시정지유닛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7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모종이식장치에서 픽업유닛의 인출지점을 결정하기 위한 가로방향 위치결정유닛을 개략적으로 보인 평면도,
도 8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다짐부재의 구성을 보인 평면도,
도 9는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모종이식장치에 사용되는 모종판을 나타낸 평면도,
도 10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모종이식장치에서 캠의 동작을 설명하는 타이밍선도,
도 11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모종판 간헐이송유닛에 의해 슬라이드 블록이 모종판으로부터 빠져나온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12는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모종판 간헐이송유닛에 의해 슬라이드 블록이 후퇴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13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모종판 간헐이송유닛에 의해 슬라이드 블록이 모종판으로 삽입되어 걸린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14는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모종판 간헐이송유닛에 의해 모종판이 슬라이드 블록과 함께 전진되는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15는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픽업유닛에 의해 포크가 모종을 찌른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16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픽업유닛에 의해 모종이 포트로부터 인출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17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픽업유닛에 의해 모종이 낙하지점으로 수평 이동된 상태를 나타낸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
도 18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펀치유닛에 의해 정이 지면에 구멍을 뚫은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19는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펀치유닛에 의해 정이 상승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20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픽업유닛에 의해 모종이 스톱 바의 위치까지 하강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21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픽업유닛에 의해 모종이 슈트로 떨어진 다음 지면에 형성된 구멍 내에 박힌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22는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모종판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23은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모종이식장치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24는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모종이식장치의 동력전달경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
도 25는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모종이식장치에 사용되는 모종판을 나타낸 평면도,
도 26은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모종이식장치에서 캠의 동작을 설명하는 타이밍선도,
도 27a 및 도 27b는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픽업유닛에 의해 모종이 포트로부터 인출되는 상태를 설명하는 도면,
도 28a 및 도 28b는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간헐이송유닛이 좌우방향으로 수평 이동되는 상태를 설명하는 도면,
도 29a 및 도 29b는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일시정지유닛이 일시적으로 정지되는 상태를 설명하는 도면,
도 30a 및 도 30b는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간헐이송유닛이 전후방향으로 수평 이동되는 상태를 설명하는 도면,
도 31은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슈트가 지면에 형성된 구멍 위쪽으로접근하는 상태를 설명하는 도면,
도 32a 및 도 32b는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슈트 및 펀치유닛이 동시에 수평 이동되는 상태를 설명하는 도면,
도 33은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픽업유닛의 인출 핀이 상하방향으로 이동되는 상태를 설명하는 도면,
도 34a 및 도 34b는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펀치유닛의 정에 묻은 흙을 제거하는 흙 제거수단이 구비된 펀치유닛의 사시도,
도 35a 내지 도 35c는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모종판 연속공급유닛의 작동을 설명하는 도면,
도 36은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모종판 연속공급유닛의 변형예를 설명하는 도면,
도 37은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픽업유닛의 상부 회전축을 설명하는 사시도,
도 38a 및 도 38b는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일시정지유닛의 변형예를 설명하는 도면,
도 39는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다짐부재의 변형예를 설명하는 도면,
도 40은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모종판의 변형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
1∼4:가로방향 포트 20:이송유닛 24:지면
24a:구멍 26:구동륜 30:메인프레임
32:가이드 채널 50:상부프레임 60:모종
70:일시정지유닛 71:슬라이드 봉 72:하부프레임
75:말뚝 76:말뚝 승강 캠 80:모종판
84, 86:관통구멍 90:픽업유닛 92:행거
94:포크 96:포크 전후이송 캠 97:포크 좌우이송 캠
98:스톱 바 99:포크 승강 캠 100:펀치유닛
102:정 104:정 승강 캠 106:슈트 좌우이송 캠
120:슈트 124:보조프레임 140:가로방향 위치결정유닛
149:포트 선택용 캠 160:다짐부재 162:슬라이드 블록
164:인출 핀 166:블록 승강 캠 168:블록 전후이송 캠
180:모종판 간헐이송유닛 210:메인프레임 211:모종판 가이드 부재
216:안내구멍 217:돌출 안내부 218:돌출 리브
220:캠축 221:픽업 캠 222, 227:펀치 캠
223, 225:간헐이송 캠 224:일시정지 캠 226:슈트 캠
228:체인 이송 캠 230:보조프레임 240:구동유닛
250:캐터필러 260:모종판 261:포트
263:관통구멍 270:픽업유닛 272:픽업 프레임
274:체인 275:인출 핀 280:체인 이송부
281:체인 이송 기어 290:펀치유닛 294:펀치 프레임
300:펀치부 301:가이드 부재 303:정
305:흙 제거수단 310:슈트유닛 312:슈트 프레임
320: 슈트부 330:일시정지유닛 332:브레이크 부재
350:간헐이송유닛 353, 358:제1, 제2 솔레노이드
360:간헐이송 프레임 361:돌기 362:사각링
364:이송부재 370:연속공급유닛 371:막대
372:이송톱니 M:구동모터 P1:세로방향 피치
P2:가로방향 피치
이러한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이송유닛에 의해 지면 위에서 이송되는 메인프레임, 상기 메인프레임에서 전후방향으로 직선 안내되는 상부프레임, 상기 메인프레임 위의 가이드 채널에 일정한 간격으로 놓여지는 모종판, 상기 상부프레임을 통해 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모종판으로부터 모종을 인출하여 낙하지점으로 투하하는 픽업유닛, 지면에 구멍을 내기 위한 펀치유닛, 지면에 형성된 구멍으로 모종을 안내하기 위한 슈트, 지면에 구멍을 뚫기 전부터 모종이 낙하된 후까지 상기 메인프레임이 이송되는 동안 상기 슈트와 펀치유닛을 지면에 대하여 고정시키기 위한 일시정지유닛, 상기 모종판에 형성된 가로방향 포트로부터 모종을 차례로 인출하도록 상기 픽업유닛의 인출지점을 결정하기 위한 가로방향 위치결정유닛, 그리고 상기 모종판의 가로방향 포트의 인출이 종료되면 상기 모종판을 세로방향으로 1피치만큼 간헐 이송시키기 위한 모종판 간헐이송유닛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특징으로 하는 모종이식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복수개의 캠을 구비한 캠축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메인프레임, 상기 메인프레임 상에서 전후방향으로 직선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보조프레임, 상기 메인프레임에 설치되어 상기 캠축을 회전 구동시키는 동시에 상기 메인프레임을 지면 상에서 주행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유닛, 상기 메인프레임 상에 일정한 간격으로 착탈 및 이동 가능하게 배열되며 모종을 수용할 수 있는 복수개의 포트가 바둑판식으로 형성되어 있는 모종판, 상기 캠에 의해 좌우방향으로 요동 가능하도록 상기 메인프레임 상에 설치되어 인출 핀에 의해 상기 모종판으로부터 상기 모종을 인출시키는 픽업유닛, 상기 캠에 의해 좌우, 상하방향으로 요동 가능하도록 상기 보조프레임 상에 설치되어 지면에 모종을 이식하기 위한 구멍을 형성하는 펀치유닛, 상기 캠에 의해 좌우, 상하방향으로 요동 가능하도록 상기 보조프레임 상에 설치되어 상기 픽업유닛에 의해 인출된 모종을 상기 펀치유닛에 의하여 형성된 구멍 내로 인도하는 슈트유닛, 상기 펀치유닛이 지면에 구멍을 형성하고 모종이 상기 슈트유닛에 의해 인도되어 상기 구멍으로 이식되는 동안 상기 보조프레임만을 일시적으로 정지시킬 수 있도록 상기 캠에 의해 구동되는 일시정지유닛, 그리고 상기 캠에 의해 상기 모종판을 전후, 좌우방향으로 간헐이송시키는 모종판 간헐이송유닛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종이식장치가 제공된다.
이하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모종이식장치의 구성을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모종이식장치는, 이송유닛(20)에 의해 지면(24) 위에서 이송되는 메인프레임(30), 상기 메인프레임(30)에서 전후방향으로 직선 안내되는 상부프레임(50), 상기 메인프레임(30) 위의 가이드 채널(32)에 일정한 간격으로 놓여지는 모종판(80), 상기 상부프레임(50)을 통해 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모종판(80)으로부터 모종(60)을 인출하여 낙하지점으로 투하하는 픽업유닛(90), 지면(24)에 구멍(24a)을 내기 위한 펀치유닛(100), 지면(24)에 형성된 구멍(24a)으로 모종(60)을 안내하기 위한 슈트(120), 지면(24)에 구멍(24a)을 뚫기 전부터 모종(60)이 낙하된 후까지 상기 메인프레임(30)이 이송되는 동안 상기 슈트(120)와 펀치유닛(100)을 지면에 대하여 고정시키기 위한 일시정지유닛(70), 상기 모종판(80)에 형성된 가로방향 포트(1, 2, 3, 4)로부터 모종(60)을 차례로 인출하도록 상기 픽업유닛(90)의 인출지점을 결정하기 위한 가로방향 위치결정유닛(140), 그리고 상기 모종판(80)의 가로방향 포트(1, 2, 3, 4)의 인출이 종료되면 상기 모종판(80)을 세로방향으로 1피치(P1)만큼 간헐 이송시키기 위한 모종판 간헐이송유닛(18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송유닛(20)은, 구동모터(M), 상기 구동모터(M)에 의해 구동되는 구동륜(26), 그리고 차량의 진행방향을 결정하기 위한 전륜(22)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모종판(80)으로는, 포트(1, 2, 3, 4) 중앙의 바닥면에 관통구멍(84)이 형성된 일반적인 형태의 것을 사용할 수 있다. 그밖에도,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트(1, 2, 3, 4) 중앙에 관통구멍(86)이 형성되어 있고, 내부에 물을 배출하기 위한 드레인 홀(87a)이 형성되어 있는 동시에 양단에는 플랜지부(88a, 88b)가 형성된 파이프(87)를 상기 관통구멍(86)에 헐겁게 삽입한 모종판(80)을 이용할 수도 있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픽업유닛(90)은, 각 모종판(80) 간의 가로방향 피치(P2)와 동일한 간격을 두고 상부프레임(50)에 복수로 설치되는 행거(92), 상기 행거(92)의 하단부에 설치되어 모종(60)의 뿌리부분에 응집된 흙덩이를 찌르기 위한 포크(94), 상기 상부프레임(50)을 전후방향으로 이송시키면서 모종(60)을 찌르거나 분리시켜 모종(60)을 낙하지점에 낙하시키기 위한 포크 전후이송 캠(96), 상기 상부프레임(50)을 좌우방향으로 이송시키면서 상기 포크(94)를 모종(60)이 위치된 포트(1,2,3,4)로 이송시키거나 찌른 모종(60)을 낙하지점으로 수평 이송시키기 위한 포크 좌우이송 캠(97), 상기 상부프레임(50)을 상하방향으로 승강시키면서 상기 포크(94)를 모종(60)이 위치된 포트(1,2,3,4)로 하강시키거나 찌른 모종(60)을 스톱 바(98)가 위치된 뒤쪽으로 하강시키기 위한 포크 승강 캠(99)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 3, 도 4,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펀치유닛(100)은, 상기 하부프레임(72)에서 상하, 좌우방향으로 직선운동 자유롭게 설치되는 보조프레임(124), 땅에 이식되는 모종(60)의 가로방향 간격(G)과 동일한 간격으로 상기 보조프레임(124)에 복수개 설치되는 동시에 날카로운 부분이 밑을 향하여 지면(24)에 구멍(24a)을 형성하기 위한 정(102), 상기 메인프레임(30)에 설치되어 상기 정(102)을 상하방향으로 승강시키기 위한 정 승강 캠(104), 상기 슈트(120)를 상기 정(102)에 의해 형성된 구멍(24a) 위쪽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슈트 좌우이송 캠(106)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일시정지유닛(70)은, 상기 메인프레임(30)의 좌우 양측에 각각 전후방향으로 직선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슬라이드 봉(71), 좌우 양측의 상기 슬라이드 봉(71) 사이에 가로방향으로 설치되고, 상기 펀치유닛(100)이 위치되는 하부프레임(72), 상기 메인프레임(30)과 슬라이드 봉(71)의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슬라이드 봉(71)을 초기위치로 복귀시키는 리턴 스프링(73), 상기 메인프레임(30)에 설치되어 상기 슬라이드 봉(71)의 복귀위치를 결정하는 스토퍼(74), 상기 하부프레임(72)의 양단에 수직하방으로 설치되어 지면(24)에 박히거나 빠져나올 수 있는 말뚝(75), 상기 하부프레임(72)을 승강시키는 말뚝 승강 캠(76)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 3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로방향 위치결정유닛(140)은, 상기 상부프레임(50)을 좌우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수평회동 링크(97a), 상기 상부프레임(50)의 한쪽 끝 부분에 접하고 모종판(80)의 가로방향 피치(P2)와 동일한 높이 차를 이루는 계단형태의 단턱(146)을 갖는 스톱링크(148), 상기 스톱링크(148)에 형성된 상기 단턱(146)의 수만큼 원주방향으로 턱이 형성된 포트선택용 캠(149)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 11 내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모종판 간헐이송유닛(180)은, 모종판(80)의 하부에 가로방향으로 형성된 홈(82)에 걸리고 상하, 전후방향으로 직선운동 가능한 슬라이드 블록(162), 상기 슬라이드 블록(162)으로부터 돌출되어 모종판(80)에 형성된 관통구멍(84)으로 돌출되면서 모종(60)을 밀어내는 인출 핀(164), 상기 슬라이드 블록(162)을 모종판(80)에 형성된 홈(82)으로부터 이탈되거나 걸리는 위치로 움직임을 주기 위한 블록 승강 캠(166), 모종판(80)을 세로방향 피치(P1)와 동일한 거리로 간헐 이송시키기 위한 블록 전후이송 캠(168)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 4, 도 8, 도 18 및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부프레임(72)은, 상기 정(102)의 가로방향 간격과 동일한 간격으로 선회 가능하게 힌지결합되어 있고 상기 정(102)이 지면(24)에 구멍(24a)을 낼 때 압력을 받아 이식된 모종 주변의 흙을 다질 수 있도록 설치되어 있는 복수개의 다짐부재(160)를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다짐부재(160)의 밑면에는 하부프레임(72)이 복귀될 때 흩어진 흙을 긁어모을 수 있도록 진행방향을 향하여 폭이 넓어지는 역(逆) 'V'자 모양을 가지는 리브(163, 164)가 구비되어 있다.
이하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모종이식장치의 구성을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3 내지 도 4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모종이식장치는, 복수개의 캠(221∼228)을 구비한 캠축(220)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메인프레임(210), 상기 메인프레임(210) 상에서 전후방향으로 직선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보조프레임(230), 상기 메인프레임(210)에 설치되어 상기캠축(220)을 회전 구동시키는 동시에 상기 메인프레임(210)을 지면(24) 상에서 주행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유닛(240), 상기 메인프레임(210) 상에 일정한 간격으로 착탈 및 이동 가능하게 배열되며 모종(60)을 수용할 수 있는 복수개의 포트(261)가 바둑판식으로 형성되어 있는 모종판(260), 상기 캠(221)에 의해 좌우방향으로 요동 가능하도록 상기 메인프레임(210) 상에 설치되어 인출 핀(275)에 의해 상기 모종판(260)으로부터 상기 모종(60)을 인출시키는 픽업유닛(270), 상기 캠(222, 227)에 의해 좌우, 상하방향으로 요동 가능하도록 상기 보조프레임(230) 상에 설치되어 지면(24)에 모종(60)을 이식하기 위한 구멍(24a)을 형성하는 펀치유닛(290), 상기 캠(226)에 의해 좌우, 상하방향으로 요동 가능하도록 상기 보조프레임(230) 상에 설치되어 상기 픽업유닛(270)에 의해 인출된 모종(60)을 상기 펀치유닛(290)에 의하여 형성된 구멍(24a) 내로 인도하는 슈트유닛(310), 상기 펀치유닛(290)이 지면(24)에 구멍(24a)을 형성하고 모종(60)이 상기 슈트유닛(310)에 의해 인도되어 상기 구멍(24a)으로 이식되는 동안 상기 보조프레임(230)만을 일시적으로 정지시킬 수 있도록 상기 캠(224)에 의해 구동되는 일시정지유닛(330), 그리고 상기 캠(223, 225)에 의해 상기 모종판(260)을 전후, 좌우방향으로 간헐이송시키는 모종판 간헐이송유닛(350)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
도 23, 도 27a, 도 27b 및 도 3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메인프레임(210)은, 상기 모종판(260)을 착탈 및 이동 가능하게 장착시킬 수 있는 모종판 가이드부재(211)를 더 포함하고 있다. 상기 모종판 가이드부재(211)는 본 실시예의 모종이식장치의 전후방향을 따라서 상기 픽업유닛(270)에 이르기까지 뻗어 있도록 상기 메인프레임(210) 상에 총 7개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 개수는 임의적으로 증감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제1 실시예와는 달리 모종판(260)을 세워서 장착할 수 있는 상기 모종판 가이드부재(211)는, 장착된 모종판(260)이 쓰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형성된 상하 한 쌍의 가이드 홈(213) 및 가이드 판(214)을 구비하고 있는 수평 가이드부(212)와, 상기 모종판(260)의 포트(261)에 형성된 관통구멍(263) 내로 상기 픽업유닛(270)의 인출 핀(275)이 정확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안내하는 복수개의 안내구멍(216)이 형성되어 있는 수직 가이드부(215)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수직 가이드부(215)에는, 상기 픽업유닛(270)에 의해 상기 모종판(260)의 포트(261)로부터 모종(60)이 인출되는 순간에 상기 포트(261)의 정밀한 위치결정을 보조하기 위하여 상기 포트(261)의 배면을 아래쪽으로부터 지지할 수 있도록 돌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포트(261)의 간격과 동일한 간격을 두고 설치된 복수개의 돌출 리브(218)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된 바와 같이, 상기 수직 가이드부(215)에는, 모종판(260)의 가로방향으로 총 10개의 포트(261)의 관통구멍(263)에 해당하는 10개의 안내구멍(216)이 상하방향으로 등간격 배열되어 있는데, 상기 안내구멍(216) 내로 상기 픽업유닛(270)의 인출 핀(275)이 정확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일렬로 배열된 안내구멍(216)의 양옆에는 한 쌍의 돌출 안내부(217; 도 27a 참조)가 길게 형성되어 있다. 그에 따라, 상기 픽업유닛(270)의 인출 핀(275)은 상기 한 쌍의 돌출 안내부(217) 사이에 형성된 홈을 따라서 직선 이동되어, 진동이나 충격에도 좌우로 어긋남 없이 확실한 위치결정이 가능하게 된다.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된 제1 실시예에서와 마찬가지로 본 제2 실시예의 상기 보조프레임(230)은, 상기 정(303)의 가로방향 간격과 동일한 간격으로 선회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고 상기 정(303)이 지면(24)에 구멍(24a)을 낼 때 이식된 모종 주변의 흙을 다질 수 있도록 설치되어 있는 복수개의 다짐부재(160)를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다짐부재(160)의 밑면에는 흩어진 흙을 상기 보조프레임(230)이 복귀되면서 긁어모을 수 있도록 진행방향을 향하여 폭이 넓어지는 역(逆) 'V'자 모양을 가지는 리브(163, 164)가 구비되어 있다.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구동유닛(240)은, 구동축(241a)을 가지는 엔진(241), 상기 엔진(241)의 구동축(241a)에 연동되고 제1, 제2 및 제3 전동축(243∼245)이 외부로 연장된 기어박스(242), 상기 제1 전동축(243)으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캠축(220)을 회전 구동시키는 제1 전동수단(246), 상기 제2 및 제3 전동축(244, 245)으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구동 스프로킷(251)이 구비된 좌우 한 쌍의 종동축(247a, 248a)을 회전 구동시키는 제2 및 제3 전동수단(247, 248), 그리고 상기 좌우 한 쌍의 종동축(247a, 248a)에 구비된 구동 스프로킷(251)에 의해 구동되는 좌우 한 쌍의 캐터필러(2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모종판(260)에는, 가로방향으로 10열(P0 내지 P9), 세로방향으로 20열(a 내지 t)의, 정사각뿔 형상의 오목부를 가지는 포트(261)가 바둑판식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각각의 포트(261)에는 이식될 모종(60)이 수용되어 있다. 한편, 상기 각각의 포트(261)는 일정한 거리, 즉 1피치의 거리를 두고 종횡으로 배열된다.
또한, 제1 실시예의 모종판(80)과 마찬가지로, 본 실시예의 상기 모종판(260)은 포트(261) 중앙의 바닥면에 관통구멍(263)이 형성되어 있다. 그밖에도,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트 중앙에 관통구멍(86)이 형성되어 있고, 내부에 물을 배출하기 위한 드레인 홀(87a)이 형성되어 있는 동시에 양단에는 플랜지부(88a, 88b)가 형성된 파이프(87)를 상기 관통구멍(86)에 헐겁게 삽입한 모종판을 이용할 수도 있다.
상기 모종판들(80, 260)은, 후술되는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모종이식장치에 탑재되어 사용될 때 모종(60)을 연속적으로 이식시키기 위해서 하나의 모종판 바로 뒤에 다른 하나의 모종판이 인접하여 함께 이동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러므로, 모종판(260)의 길이방향으로 양쪽 끝에 위치한 모서리부(265)는,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모종판 사이의 간격이 각각의 포트 거리, 즉 1피치의 거리(A)와 동일하게 될 수 있도록, 1피치의 절반에 해당하는 치수(A/2)를 가진다.
도 23, 도 27a 및 도 2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픽업유닛(270)은, 상기 캠축(220)의 픽업 캠(221)에 연동되어 요동 가능하도록 상기 메인프레임(210) 상에 피봇 결합된 픽업 링크(271), 상기 픽업 링크(271)에 의해 좌우방향으로 요동되는 픽업 프레임(272), 상기 픽업 프레임(272)을 초기위치로 복귀시키기 위한 리턴 스프링(273), 상기 모종판(260)의 관통구멍(263)에 삽입되어 모종(60)을 이탈시키기 위한 한 개 이상의 인출 핀(275)을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픽업 프레임(272)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복수개의 체인(274), 상기 캠축(220)이 1회전될 때마다 상기 캠축(220)에 연동되어 상기 체인(274)을 상기 모종판의 1피치에 해당하는 거리만큼 감아 올리기 위한 체인 이송부(28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제2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체인(274)은 상기 모종판 가이드부재(211)와 마찬가지로 모두 7개가 구비되어 있으며, 이 각각의 체인(274)은 상기 픽업 프레임(272)의 하부 및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회전축들(276, 277) 사이에 감겨 있다.
여기에서, 상기 하부 회전축(276)은 체인(274)이 감길 수 있는 7개의 스프로킷(276a)이 일정한 간격을 두고 구비되어 있는 하나의 긴 봉 형상을 가지고 있다. 한편, 상기 상부 회전축(277)은, 도 3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체인(274)마다 별개로 구비된다.
또한, 도 3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부 회전축(276)의 스프로킷(276a)과 동일한 직경의 스프로킷을 가지는 상기 상부 회전축(277)은, 고정핀(279a)에 의해 상기 픽업 프레임(272)의 하향돌기(272b)에 설치된 이동박스(279)에 코일스프링과 같은 탄성부재(278)를 개재하여 설치됨으로써 상기 픽업 프레임(272)에 회전 가능한 동시에 상하방향으로 이동 여유를 가질 수 있도록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복수개의 체인(274)의 길이가 완벽하게 일치되지 않는다고 하더라도 상기 탄성부재(278)에 의하여 체인(274)이 인장력을 받게 되므로, 상기 픽업유닛(270)의 인출 핀(275)은 위쪽 또는 아래쪽으로 어긋남 없이 정확하게 안내구멍(216) 내로 삽입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 인출 핀(275)에 의하여 상기 모종(60)이 인출될 때, 모종이 너무멀리 튀어나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튀어나감을 방지하는 플레이트(272a)가 상기 체인(274)에 대향되는 위치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체인 이송부(280)는, 도 3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부 회전축(276)에 일체로 구비된 체인 이송 기어(281), 상기 캠축(220)의 체인 이송 캠(228)에 연동되어 전후방향으로 요동 가능하도록 상기 메인프레임(210) 상에 피봇 결합된 제1 체인 이송 링크(283), 상기 제1 체인 이송 링크(283)에 일단이 피봇 결합되어 전후방향으로 직선 이동되는 동시에 타단에는 상기 체인 이송 기어(281)를 회전시키기 위한 돌기(286)가 부착되어 있는 제2 체인 이송 링크(285)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에서 ,상기 체인 이송 기어(281)는 모두 10개의 톱니(281a)를 가지고 있어서, 상기 캠축(220)이 10회전될 때마다 상기 체인 이송 기어(281)는 1회전된다.
도 23, 도 34a 및 도 3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실시예의 펀치유닛(290)과 마찬가지로 지면(24)에 모종(60)을 이식시키기 위한 구멍을 형성하는 제2 실시예의 상기 펀치유닛(290)은, 상기 캠축(220)의 펀치 캠(222, 227)에 연동되어 요동 가능하도록 피봇 결합된 펀치 링크(도 18의 104a, 도 32a 및 32b의 293a 및 293b 참조), 상기 펀치 링크(104a, 293a, 293b)에 의해 상하, 좌우방향으로 요동 가능하도록 상기 보조프레임(230)에 설치되어 있는 펀치 프레임(294), 상기 펀치 프레임(294)을 초기위치로 복귀시키기 위한 리턴 스프링(104b, 295a, 295b), 상기 펀치 프레임(294)에 복수개 설치되어 상기 펀치 프레임(294)이 하강됨에 따라 지면(24)에 모종(60)이 이식될 수 있는 구멍(24a)을 형성하는 펀치부(3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에서, 상기 펀치 캠(222, 227)은, 상기 캠축(220)의 양쪽에 설치된 한 쌍의 펀치 상하이동 캠(222)과, 한 개의 펀치 좌우이동 캠(227)으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상기 펀치 링크(104a, 293a, 293b)는, 상기 펀치 상하이동 캠(222)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요동 가능한 펀치 상하이동 링크(104a)와, 상기 펀치 좌우이동 캠(227)에 의해 좌우방향으로 요동 가능한 펀치 좌우이동 링크(293a, 293b)로 이루어져 있다.
본 제2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펀치 프레임(294)에 총 7개가 설치되는 상기 펀치부(300)는, 도 34a 및 도 34b에 상세하게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펀치 프레임(294)에 체결부재(302)에 의해 결합되는 중공의 사각기둥 형상의 가이드 부재(301)와, 상기 가이드 부재(301) 내에 압축 스프링(도시생략)을 개재하여 설치되며 지면(24)에 구멍(24a)을 내기 위한 정(303)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는 점에서 제1 실시예에서와 마찬가지이다.
그러나, 본 제2 실시예의 펀치부(300)는, 지면(24)에 구멍을 형성시킨 후 정(303)의 표면에 묻은 흙을 긁어내기 위한 흙 제거수단(305)을 더 포함하고 있다.
상기 흙 제거수단(305)은, 상기 사각기둥 형상의 가이드 부재(301)의 연속되는 2개의 면에 상하방향으로 직선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동시에 탄성부재(307)에 의하여 항상 위쪽으로 당겨지고 있는 로드(306)와, 상기 로드(306)의 하단 끝에 힌지결합되어 상기 정(303)의 대향되는 2개의 표면에 맞닿아 있는 동시에 탄성부재(309)에 의하여 서로 당겨지고 있는 긁음부재(308)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긁음부재(308)는 하나의 펀치부(300)에 2개가 구비됨으로써 4개의 사면을 가지는 사각뿔 형상의 정(303)의 모든 사면에 맞닿을 수 있게 된다.
도 23 및 도 3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슈트유닛(310)은, 상기 캠축(220)의 슈트 캠(226)에 연동되어 요동 가능하도록 피봇 결합된 슈트 링크(311), 상기 슈트 링크(311)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요동 가능한 동시에 상기 펀치유닛(290)의 펀치 링크(293a, 293b)에 의해 상하, 좌우방향으로 요동 가능하도록 상기 보조프레임(230)에 설치되어 있는 슈트 프레임(312), 상기 슈트 프레임(312)을 초기위치로 복귀시키기 위한 리턴 스프링(313), 상기 슈트 프레임(312)에 복수개 설치되어 상기 슈트 프레임(312)과 함께 이동하면서 상기 픽업유닛(270)에 의해 인출된 모종(60)을 상기 펀치유닛(290)에 의해 지면(24)에 형성된 구멍 내로 인도하기 위한 슈트부(3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에서, 상기 펀치 프레임(294)과 상기 슈트 프레임(312)은 각각 별개로 만들어질 수도 있고, 일체로 만들어져 함께 움직일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본 제2 실시예에서 있어서 상기 슈트 프레임(312)에 총 7개가 설치되는 상기 슈트부(320)는, 상기 슈트 프레임(312)에 체결부재(322)에 의해 결합되는 중공의 원통형상 실린더 부재(321)와, 상기 실린더 부재(321)의 상단에 일체로 부착되어 상기 픽업유닛(270)에 의해 인출되어 낙하되는 모종을 받아내는 깔때기 부재(32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 29a 및 도 2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제2 실시예의 상기 일시정지유닛(330)은, 말뚝(75; 도 5 및 6 참조)을 땅에 박아 일시적으로 정지시키는 제1 실시예의 일시정지유닛(70)과는 달리, 지면(24)에 닿아 있는 부분은 움직이지 않는 캐터필러(250)의 특성을 이용하게 된다.
상기 일시정지유닛(70)은, 상기 캠축(220)의 일시정지 캠(224)에 연동되어 요동 가능하도록 상기 메인프레임(210)에 피봇 결합된 일시정지 링크(331), 상기 일시정지 링크(331)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요동 가능하도록 상기 보조프레임(230)에 피봇 결합되어 상기 보조프레임(230)을 일시적으로 정지시키는 브레이크 부재(332), 상기 메인프레임(210)과 상기 보조프레임(230)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보조프레임(230)을 일시정지 전의 초기위치로 복귀시키는 리턴 스프링(333), 상기 메인프레임(210)에 설치되어 상기 리턴 스프링(333)에 의한 상기 보조프레임(230)의 복귀위치를 한정하는 스토퍼(도시생략)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 23, 도 28a, 도 28b, 도 30a 및 도 3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간헐이송유닛(350)은, 상기 캠축(220)의 간헐이송 캠(223, 225)에 연동되어 요동 가능하도록 피봇 결합된 간헐이송 링크(352, 355a, 355b), 상기 간헐이송 링크(352, 355a, 355b)에 의해 전후, 좌우방향으로 요동 가능하도록 상기 메인프레임(210)에 설치되어 있는 간헐이송 프레임(360), 상기 간헐이송 프레임(360)을 초기위치로 복귀시키기 위한 리턴 스프링(363), 상기 간헐이송 프레임(360)에 복수개 설치되어 상기 간헐이송 프레임(360)이 전후, 좌우방향으로 요동됨에 따라 직사각형상의 궤적으로 그리면서 상기 모종판(260)을 전방으로 1피치만큼 이송시키는 이송부재(36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에서, 상기 간헐이송 캠(223, 225)은, 한 개의 좌우방향 간헐이송캠(223)과, 상기 캠축(220)의 양쪽에 각각 설치된 한 쌍의 전후방향 간헐이송 캠(225)으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상기 간헐이송 링크(352, 355a, 355b)는, 상기 좌우방향 간헐이송 캠(223)에 의해 좌우방향으로 요동 가능한 좌우방향 간헐이송 링크(352)와, 상기 전후방향 간헐이송 캠(225)에 의해 전후방향으로 요동 가능한 전후방향 간헐이송 링크(355a, 355b)로 이루어져 있다.
본 제2 실시예의 경우에 있어서, 모종판(260)의 가로방향 1열의 포트개수는 10개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상기 간헐이송유닛(350)은 후술되는 바와 같이 상기 캠축(220)이 10회전할 때 1회 작동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캠축(220)이 10회전할 때 상기 간헐이송유닛(350)이 1회 작동하도록 하기 위한 방법은 여러 가지가 가능하지만, 본 제2 실시예에서는 마그네틱 센서(도시생략)를 이용하여 상기 픽업유닛(270)의 인출 핀(275)의 위치를 검출해서 상기 간헐이송 링크(352, 355a)에 설치되는 솔레노이드(353, 358)를 작동시킴으로써 상기 간헐이송 프레임(360)을 구동시킨다.
이를 위하여, 상기 좌우방향 간헐이송 링크(352)는, 상기 좌우방향 간헐이송 링크(352)의 길이방향으로 작동하도록 설치된 제1 솔레노이드(353)와, 상기 제1 솔레노이드(353)에 의해 상기 좌우방향 간헐이송 링크(352)의 길이를 변화시킬 수 있도록 신축 가능하게 설치된 봉(354)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전후방향 간헐이송 링크(355a, 355b)는, 일단이 상기 메인프레임(210)에 선회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전후방향 간헐이송 캠(225)에 의해 요동되는 제1 전후방향 간헐이송 링크(355a), 일단이 상기 제1 전후방향 간헐이송 링크(355a)의타단에 피봇 결합되어 연동되는 동시에 타단에 상기 간헐이송 프레임(360)에 걸림으로써 상기 간헐이송 프레임(360)을 이송시키기 위한 돌출부(357a)를 가지는 제2 전후방향 간헐이송 링크(355b), 그리고 상기 제1 전후방향 간헐이송 링크(355a)에 상기 제1 전후방향 간헐이송 링크(355a)의 길이방향으로 작동하도록 설치되어 작동시 상기 제2 전후방향 간헐이송 링크(355b)를 끌어당겨 상기 제1 및 제2 전후방향 간헐이송 링크(355a, 355b) 사이의 각도를 변화시키는 제2 솔레노이드(358)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상기 간헐이송 프레임(360)은, 상기 제1 솔레노이드(353)의 작동시 신장되는 상기 봉(354)에 걸리도록 돌출된 돌기(361)와, 상기 제2 솔레노이드(358)의 작동시 각도가 변화되는 제2 전후방향 간헐이송 링크(355b)의 돌출부(357a)가 삽입되는 사각링(362)을 구비한다.
도 35a 내지 도 3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제2 실시예의 모종이식장치는 모종판(260)을 연속적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모종판 연속공급유닛(370)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연속공급유닛(370)은, 상기 간헐이송 프레임(360)에 고정되어 함께 연동되는 기다란 막대(371)와, 상기 막대(371)에 선회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모종판(260) 배면의 포트(261) 사이에 걸리며 직각으로 절곡된 형상의 이송톱니(37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밖에도 모종판(260)을 연속적으로 이송, 공급하기 위한 방법은 여러 가지가 있을 수 있으며, 예컨대 도 3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멍(267)이 모종판(260)의 세로방향으로 긴 모서리부(266)에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되어 마치 필름과 같은 형상을 가지는 모종판(260)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세로방향으로 긴 모서리부(266)에 구멍(267)이 형성된 모종판(260)을 사용하는 경우, 상기 연속공급유닛(370)의 이송톱니(372)는, 직각으로 절곡된 형상을 가지지 않으며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부재(도시생략)를 통하여 막대로부터 소정 각도만큼 세워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선회 가능하게 설치되는 복수개의 발톱부(373)로 대체되는 것이 가능하다.
여기에서, 상기 발톱부(373)는 막대(371)를 향하여 탄성적으로 선회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으므로, 작업자가 모종판을 연속적으로 공급하고자 할 때, 모종판을 밀어 넣게 되면 상기 발톱부(373)가 젖혀지면서 모종판을 밀어 넣을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연속공급유닛(370)은, 상기 세로방향으로 긴 모서리부(266)에 형성된 구멍(267)에 맞추어 복수개의 스프로킷을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하거나, 상기 메인프레임(210)의 모종판 가이드부재(211)의 전체 길이의 적어도 일부에 걸쳐서 상기 발톱부(373)와 같은 돌기를 가지는 체인을 설치함으로써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된 바와 같은 여러 가지 형상의 모종판 연속공급유닛(370)은, 상기 간헐이송유닛(350)과 함께 연동되면서 간헐이송 작업을 보조하는 역할을 동시에 수행한다.
또한, 상기 일시정지유닛(330)은, 도 38a 및 도 3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형되는 것이 가능하다. 도 3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시정지유닛의 제1 변형예는 한 쌍의 베벨기어를 이용하는 것으로서, 상기 구동유닛(240)으로부터 동력을 전달받는 한 쌍의 베벨기어(380a, 380b), 상기 한 쌍의 베벨기어(380a, 380b) 중 종동기어(380b)의 축과 일체로 연장되어 형성된 스크루 봉(381), 그리고 상기 보조프레임(230)에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스크루 봉(381)을 선택적으로 파지하여 나사결합되는 한 쌍의 파지부(236)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일시정지유닛의 제1 변형예는, 상기 파지부(236)가 유압 등에 의해 상기 스크루 봉(381)을 파지하게 되면 스크루 봉(381)을 따라서 점진적으로 직선 이동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므로, 상기 베벨기어의 회전속도를 조절함으로써 보조프레임(230)이 정지되어 있는 것과 마찬가지의 효과를 얻게된다.
한편, 상기 파지부(236)가 파지하고 있던 스크루 봉(381)을 놓게 되면, 상기 보조프레임(230)은 리턴 스프링(도시생략)과 같은 탄성부재의 작용으로 최초 위치로 복귀되는 것이 가능하다.
도 3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시정지유닛의 제2 변형예는 한 쌍의 랙과 피니언을 이용하는 것으로서, 상기 구동유닛(240)으로부터 동력을 전달받는 피니언(386), 상기 보조프레임(230)에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피니언(386)에 선택적으로 맞물림 가능한 랙(387)을 포함한다.
이와 같이, 일시정지유닛의 제2 변형예는, 상기 랙(387)이 유압 실린더(388) 등에 의해 상승(혹은 하강)되어 구동유닛으로부터의 구동력에 의해 항상 회전되는 피니언(386)에 맞물리게 되면 랙(387)은 도면에서 볼 때 좌측으로 이동되며, 랙(387)이 선회 가능하게 설치된 보조프레임(230) 역시 점진적으로 직선 이동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므로, 상기 피니언(386)의 회전속도를 조절함으로써 보조프레임(230)이 정지되어 있는 것과 마찬가지의 효과를 얻게된다.
한편, 상기 유압 실린더(388)와 같은 승강수단에 의해 상기 랙(387)을 하강시키게 되면, 상기 피니언(386)과 랙(387) 사이의 나사결합이 해제되면서 상기 보조프레임(230)은 리턴 스프링(도시생략)과 같은 탄성부재의 작용으로 최초 위치로 복귀되는 것이 가능하다.
도 39에는 보조프레임(230)의 전방에 설치되는 상기 복수개의 다짐부재(160)를 제거한 경우에, 상기 펀치유닛(290)의 각각의 정(303)에 사각형 혹은 원형의 플랜지(303a)를 부착시키고, 메인프레임(210)의 후방에 이식된 모종(60) 주변으로 흙을 모아줄 수 있는 여러 쌍의 돌출 플레이트(219)를 부착시킴으로써, 상기 복수개의 다짐부재(160)의 역할을 대신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도 40에 도시된 모종판(260)은,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은 파이프(87)의 변형예로서, 이러한 변형예의 파이프(268) 역시, 길이방향으로 포트 내의 물을 배출하기 위한 드레인 홀(268a)이 형성되어 있는 동시에 양단에는 플랜지부(269a, 269b)가 형성되어 있는 점은 마찬가지이다. 그러나, 변형예의 파이프(268) 하단에 형성된 플랜지부(269b)는, 모종판의 관통구멍(263)으로의 조립시에 보다 용이하게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파이프(268)의 둘레로부터 약간 돌출되도록 형성되며, 그에 따라 조립시 상기 파이프(268)를 모종판의 관통구멍(263)으로 가압시키는 것만으로도 상기 파이프의 하단 플랜지부(269b)와 상기 모종판의 관통구멍(263)이 서로 가압력에 의해 수축되면서 간단하게 조립을 완료할 수 있게 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1 및 제2 실시예에 따른 모종이식장치의 작용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 실시예)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모터(M)가 구동되면, 이 구동모터(M)로부터 발생된 회전력이 구동축(12)으로 전달되면서 구동륜(26)이 회전되어 차량이 앞으로 전진하게 된다.
이때 메인프레임(30)의 전방에 설치되어 있는 전륜(22)은 차량의 진행방향을 결정하게 되는데, 구동륜(26)과 전륜(22)을 일직선상에 위치시킨 경우 차량은 직선방향으로 움직이게 된다.
위와 같이 차량이 주행하는 중에 구동모터(M)로부터 발생된 동력은 구동축(12)과 동력전달축(13) 그리고 두 개의 체인(14, 15)을 통해 제1 캠축(16)과 제2 캠축(17)으로 전달되어 이들 제1 캠축(16)과 제2 캠축(17)에 설치되어 있는 각종 캠을 구동하여, 땅에 말뚝(75)을 박은 상태에서 지면(24)에 구멍(24a)을 낸 다음 모종(60)을 모종판(80)의 포트(1, 2, 3, 4)로부터 인출하여 슈트(120)를 통해 지면(24)에 뚫은 구멍(24a)으로 떨어뜨리는 동작을 4번 반복하여 수행하고, 모종판(80)을 세로방향으로 1피치(P1) 만큼 간헐이송시켜서 앞의 과정을 반복 수행하는 동작으로 모종(60)을 이식하게 된다.
즉,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종판 간헐이송유닛(180)을 구성하고 있는 슬라이드 블록(162)이 블록 승강 캠(166)과 링크(166a)에 의해 상승하게 되면, 이 슬라이드 블록(162)에 설치되어 있는 인출 핀(164)이 포트(1, 2, 3, 4)의 바닥에형성되어 있는 관통구멍(84)을 통과해서 모종(60)을 상측으로 약간 들어올리게 되며,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크 전후이송 캠(96)이 상사점에 위치되면서 상부프레임(50)에 연결되어 있는 링크(96a)가 행거(92)와 포크(94)를 당겨서 모종(60)의 흙덩이를 찌르게 된다.
이때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크 승강 캠(99)이 상사점에 위치되면서 링크(99a)의 위에 있는 상부프레임(50)을 상측으로 들어올림으로써 행거(96)와 포크(94) 그리고 모종(60)을 포트(1, 2, 3, 4)로부터 인출하게 된다.
이후 도 7 및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크 좌우이송 캠(97)과 수평회동 링크(97a)에 의해 상부프레임(50)과 포크(94)는 항상 일정한 위치의 낙하지점에 위치된다.
즉, 포크 좌우이송 캠(97)이 상사점에 이르게 되면, 수평회동 링크(97a)가 좌측으로 이동하게 되고, 동시에 이 수평회동 링크(97a)의 끝에 'U'자 모양의 걸림쇠(97b)를 통해 연결되어 있는 상부프레임(50)이 좌측으로 직선이동 되면서 모든 행거(92)와 포크(94)가 좌측으로 이동되어 모종(60)이 일정한 낙하지점에 위치되며, 상부프레임(50)은 인장스프링(97c)에 의해 반대방향으로 인장력을 받게 된다.
이후 도 3, 도 5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말뚝 승강 캠(76)이 상사점에 이르게 되면서 링크(76a)를 통해 하부프레임(72)을 하강시켜서 말뚝(75)을 땅에 박게 되는데, 이때 슬라이드 봉(71)이 메인프레임(30)에서 전후방향으로 미끄럼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으므로 말뚝(75)이 땅에 박히더라도, 차량은 전방측으로 계속해서 진행하고, 하부프레임(72)은 정지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 승강 캠(104)이 상사점에 이르면서 링크(104a)가 아래쪽으로 기울어지게 되고, 이 링크(104a)의 끝에 접촉하고 있던 보조프레임(124)과 정(102)이 아래쪽으로 하강되면서 지면(24)에 구멍(24a)을 형성하게 된다.
이후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 승강 캠(104)이 다시 하사점에 이르면서 링크(104a)가 상측으로 상승되고, 이 링크(104a)의 끝에 접촉하고 있던 보조프레임(124)과 정(102)이 리턴 스프링(104b)에 의해 상측으로 당겨지면서 지면(24)으로부터 떨어지게 된다.
이때 도 3, 도 4, 도 6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슈트 좌우이송 캠(106)이 상사점에 이르면서 링크(106a)와 보조프레임(124)을 통해 슈트(120)를 지면(24)에 형성된 구멍(24a)의 중심과 수직선상으로 일치되는 지점으로 이송시키는 동시에,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직 포크(94)에 찍힌 상태로 있는 모종(60)은 포크 승강 캠(99)이 하사점에 위치되면서 상부프레임(50) 및 행거(92)와 함께 하강하여 스톱 바(98)의 후부에 걸치게 된다.
이 상태에서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크 전후이송 캠(96)이 하사점에 이르면서 링크(96a)에 의해 상부프레임(50)과 행거(92) 그리고 포크(94)가 전방으로 수평 이동되고, 모종(60)은 스톱 바(98)에 걸리어 포크(94)로부터 빠져나오면서 동시에 중력에 의해 슈트(120)를 향해 떨어지게 되고, 아래쪽으로 향할수록 좁아지는 이경관 형태의 슈트(120)를 통과하면서 보다 정확한 낙하지점으로 위치결정되면서 구멍(24a)에 박히게 된다.
이때 모종(60)이 떨어지기 시작된 지점과 지면(24)과의 낙차에 의해 모종(60)은 구멍(24a)에 강하게 박히게 된다.
이후 도 3, 도 5, 도 6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말뚝 승강 캠(76)이 하사점에 이르면서 땅에 박혀 있던 말뚝(75)이 하부프레임(72)과 함께 상승하게 되고, 동시에 하부프레임(72)과 말뚝(75), 보조프레임(124), 슈트(120), 정(102), 슬라이드 봉(71)이 리턴 스프링(73)의 탄성복원 작용에 의해 전방으로 급하게 당겨지면서 스토퍼(74)에 걸리고 처음 말뚝(75)이 땅에 박히기 전 차량과의 상대위치와 같은 위치로 복귀된다.
그 다음 도 3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로방향 위치결정유닛(140)을 구성하고 있는 원주방향으로 4개의 완만한 턱과 단차가 형성된 포트 선택용 캠(149)이 90°회전되면서 모종판(80)의 가로방향 피치(P2)와 동일한 높이 차를 이루는 계단형태의 단턱(146)을 갖는 스톱링크(148)를 도면 중 '2단 위치'로 위치시키게 되며, 포크(94)가 모종판(80)이 있는 위치로 이동될 때 두 번째 포트(2)를 선택할 있도록 수평회동 링크(97a)의 위치를 결정하도록 하는데 영향을 주게 된다.
즉, 모종판(80)의 가로방향 포트(1, 2, 3, 4)로부터 순차적으로 모종(60)을 인출하면서 앞의 과정을 4번 반복하게 되고, 포트 선택용 캠(149)이 90°씩 총 1회전되면서 포트(1, 2, 3, 4)를 선택할 수 있도록 스톱링크(148)의 위치를 결정하게 된다.
이후 모든 모종판(80)의 가로방향으로 형성된 4개의 포트(1, 2, 3, 4)로부터 모종(60)이 모두 인출되면, 모종판 간헐이송유닛(180)에 의해 모종판(80)이 세로방향으로 1피치(P1)만큼 이송되는데, 이 동작 순서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록 승강 캠(166)이 하사점에 이르면서 링크(166a)를 아래쪽으로 기울이게 되고, 기울어진 링크(166a)에 의해 슬라이드 블록(162)과 인출 핀(164)이 모종판(80)의 아래쪽에 형성되어 있는 홈(82)으로부터 빠져나오게 되며,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록 전후이송 캠(168)이 상사점에 이르게 되면, 슬라이드 블록(162)이 모종판(80)의 세로방향 피치(P1)와 동일한 거리만큼 후퇴하게 되며,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시 블록 승강 캠(166)이 상사점에 이르면서 링크(166a)를 상측으로 들어올리게 되고, 상측으로 들어올려진 링크(166a)에 의해 슬라이드 블록(162)이 모종판(80)의 아래쪽에 형성되어 있는 홈(82)으로 삽입되는 동시에 인출 핀(164)은 모종판(80)의 바닥면에 형성되어 있는 관통구멍(84)을 통해 상측으로 돌출되어 모종(60)을 약간 위쪽으로 들어올리게 된다.
이후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록 전후이송 캠(168)이 하사점에 이르게 되면, 슬라이드 블록(162)이 모종판(80)의 세로방향 피치(P1)와 동일한 거리만큼 전진하게 되어 처음과 같은 상태가 된다.
즉,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종판(80)의 가로방향 포트(1, 2, 3, 4)로부터 모종(60)이 순차적으로 인출되어 모든 모종(60)의 인출이 종료되면, 모종판(80)을 세로방향 피치(P1) 만큼 전진시켜서 선택된 세로방향 포트(a, b, c, d)에서 모종(60)이 인출이 순차적으로 일어나도록 하는 과정을 반복하게 된다.
한편, 도 4, 도 8, 도 18, 도 19 및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멍(24a)을 뚫기 위한 위치에서 다짐부재(160)를 평면에서 보면, 이전에 심은 모종(60)이 아직다짐부재(160)의 밑에 위치됨으로써 정(102)이 하강되어 구멍(24a)을 뚫을 때 정(102)의 끝에 형성된 플랜지(102a)에 의해 다짐부재(160)가 아래쪽으로 압력을 받으면서 이전에 심은 모종(60) 주변의 흙을 더욱 단단하게 다지게 된다.
또한, 도 3, 도 4, 도 18 및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펀치유닛(100)의 보조프레임(124)에는, 중공의 사각기둥 형상의 가이드 부재(102h)가 지면(24)에 수직한 방향으로 설치되어 있다. 상기 가이드 부재(102h) 내에는, 지면(24)에 구멍(24a)을 내기 위한 정(102)이 압축 스프링(102b)을 개재하여 설치되어 있다.
그에 따라, 지면(24)이 평평하지 않은 경우에, 지면의 볼록한 부분에 위치되는 정(102)이 오목한 부분에 위치되는 정(102)보다 먼저 지면(24)에 접촉된다 하더라도, 지면에 소정깊이의 구멍(24a)을 형성한 후에는 더 이상 무리하게 지면을 가압하지 않도록 압축 스프링(102b)이 압축됨에 따라 지면의 오목한 부분에 위치된 정(102) 역시 동일한 소정깊이의 구멍(24a)을 형성할 수 있게 된다. 즉, 지면(24)의 굴곡에 의한 높이 차를 압축스프링(102b)의 완충거리에 의해 흡수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제2 실시예)
도 23 및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자가 본 제2 실시예의 모종이식장치를 구동시키면, 엔진(241)과 함께 기어박스(242)가 작동되기 시작하면서 캐터필러(250)와 캠축(220)이 회전된다. 이때, 작업자는 상기 모종이식장치 후면에 위치하는 조작패널(도시생략)을 조작함으로써 캐터필러(250) 및 캠축(220)의 회전시기와, 좌우 캐터필러의 회전속도 조절을 통한 진행방향 조절 등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캠축(220)이 회전하게 되면, 각각의 캠(221∼228) 역시 회전되면서 이들 캠에 연동되도록 설치된 각각의 링크를 통하여 모종이식 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이식될 모종은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은 10×20열의 바둑판식 모종판(260)의 각각의 포트(261) 내에서 길러지게 되며, 소정의 크기로 자라난 모종을 본 모종이식장치를 이용하여 밭 지면에 이식하게 된다. 상기 모종판(260)의 포트(261) 크기는 가로, 세로가 동일한 치수를 가지며, 상술한 바와 같은 관통구멍(263)이 형성되어 있어, 모종을 키울 때에는 물 빠짐 구멍으로서, 모종이식 작업시에는 인출 핀이 삽입되는 모종 인출용 관통구멍으로서 이용된다.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제2 실시예의 모종이식장치는 한번에 7개의 모종을 지면에 이식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이 개수는 임의적으로 증감될 수 있다.
우선, 작업자는 상기 메인프레임(210)의 모종판 가이드부재(211)에 형성된 가이드 홈(213)과 가이드 판(214)에 맞춰서 모종판(260)을 세워 삽입시킨 후 상기 픽업유닛(270)이 설치된 위치까지 밀어넣는다.
이때, 작업자는 모종판의 가장 앞 열의 포트(261)에 형성된 관통구멍(263)과 메인프레임의 안내구멍(216)이 서로 일치되도록 한다. 이들의 일치를 보조하기 위하여, 상기 메인프레임(210)의 수직 가이드부(215)에는 포트와 동일한 간격의 돌출 리브(218)가 형성되고, 상기 간헐이송유닛(350)의 간헐이송 프레임(360)에는 복수개의 이송부재(364)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픽업유닛(270)에 의하여 상기 모종판으로부터 모종을 인출하는 과정을 도 27a 및 도 27b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술된 바와 같이 관통구멍(263)과 안내구멍(216)이 일치된 상태에서 픽업 캠(221)이 회전되면, 픽업링크(271)는 도면에서 볼 때 우측으로 선회되면서 픽업 프레임(272)을 우측으로 이동시킨다. 한편, 상기 픽업 프레임(272)에 체인(274)을 통하여 장착된 인출 핀(275)도 우측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관통구멍(263)과 안내구멍(216)을 통과하여 포트(261) 내로 삽입되며, 그에 따라 모종(60)이 인출되어 중력에 의해 아래로 떨어진다. 낙하된 모종(60)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기 슈트유닛(310)에 의해 지면으로 인도된다.
계속해서 픽업 캠(221)이 회전됨에 따라 리턴 스프링(273)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픽업 프레임(272)은 도 27a에 도시된 최초 위치로 복귀된다.
여기에서, 중력에 의하여 낙하되는 모종이 아래쪽의 모종에 의해 방해받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 모종은 가장 아래쪽에 위치된 것부터 이탈시키며, 하나의 모종이 이탈된 직후에 도 33에 도시된 체인 이송부(280)가 작동됨으로써 인출 핀(275)을 1피치만큼 위쪽으로 이송시킨다.
체인 이송부(280)는 체인 이송 캠(228)이 회전됨에 따라서 제1 및 제2 체인 이송 링크(283, 285)가 전후방향으로 요동하면서 돌기(286)에 의해 체인 이송 기어(281)를 1/10 회전시킨다.
체인(274)에는 총 3개의 인출 핀(275)이 등간격으로 설치되어 있으며, 체인의 길이는 모종 인출작업이 30회 반복될 때마다 체인이 1회전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펀치유닛(290)은 모종(60)이 인출되기 직전에, 펀치 상하이동 캠(222)과 연동되는 펀치 상하이동 링크(104a, 도 18 참조)에 의해 지면으로 하강되어 구멍(24a)을 형성한다. 이때, 상기 펀치유닛(290)과 슈트유닛(310) 등이 설치된 보조프레임(230)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일시정지유닛(330)에 의해 일시적으로 정지된 상태이다.
펀치유닛(290)에 의해 지면에 구멍을 형성하는 과정은 제1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자세하게 설명하지 않는다.
지면에 구멍을 형성한 후 리턴 스프링(104b; 도 18 참조)에 의해 최초 위치로 상승된 펀치유닛(290)과 슈트유닛(310)은, 펀치 좌우이동 캠(227)과 연동되는 펀치 좌우이동 링크(293a, 293b)에 의해 도 32b에서 볼 때 아래쪽 방향으로 직선이동된다. 상기 펀치 좌우이동 링크(293b)에 의해 상기 펀치 프레임(294)과 슈트 프레임(312)을 동시에 이동시키기 위해서 각각의 프레임에는 상기 펀치 좌우이동 링크(293b)와 맞닿는 돌기(297, 298)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펀치 프레임(294)과 슈트 프레임(312)이 이동됨으로써 상기 슈트부의 실린더 부재(321)는 정에 의해 형성된 구멍(24a) 바로 위쪽으로 이동되며, 이때 모종판으로부터 인출되어 낙하하는 모종을 상기 슈트부의 깔때기 부재(323)로 받아낸다. 그 다음, 낙하하는 모종이 구멍(24a) 내로 정확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도 31에 이점쇄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슈트 캠(226)에 의해 상기 슈트 프레임(312)은 지면 가까이 이동된다.
여기에서, 하강하는 슈트 프레임(312)은 상기 펀치부(300)의 흙 제거수단(305)의 로드(306)에 맞닿아 상기 로드(306)를 아래쪽으로 가압함으로써 상기 로드(306)와 함께 상기 긁음부재(308)가 하강되면서 정(303) 표면에 묻은 흙을 긁어낸다. 상기 긁음부재(308)가 정 (303) 표면에 밀착될 수 있도록 긁음부재(308) 사이에는 탄성부재(309)가 개재된다. 상기 긁음부재(308)는 상기 슈트 프레임(312)이 상승됨에 따라 탄성부재(307)의 탄성력에 의해 도 34a에 도시된 최초 위치로 복귀된다.
구멍(24a)에 모종이 삽입되면 리턴 스프링(313)에 의해 슈트 프레임(312)은 상승되고 리턴 스프링(295a, 295b, 296)에 의해 상기 펀치 프레임(294)과 슈트 프레임(312)은 최초 위치로 복귀되어, 다음 번 낙하되는 모종을 이식하기 위한 구멍을 형성할 준비를 한다.
위와 같이 펀치유닛의 정(303)에 의해 구멍을 형성하고 모종을 이식하는 일련의 과정 중에, 상기 보조프레임(230)은 상기 일시정지유닛(330)에 의해 일시적으로 정지되어 있게 된다.
상기된 바와 같이, 본 제2 실시예의 상기 일시정지유닛(330)은, 말뚝(75; 도 5 및 6 참조)을 땅에 박아 일시적으로 정지시키는 제1 실시예의 일시정지유닛(70)과는 달리, 지면(24)에 닿아 있는 부분은 움직이지 않는 캐터필러(250)의 특성을 이용하게 된다.
도 29a 및 도 2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일시정지유닛(70)은, 상기 캠축(220)의 일시정지 캠(224)에 연동되어 브레이크 부재(332)를 가압하여 지면 혹은 캐터필러(250)의 내면과 맞닿게 하여 상기 메인프레임(210) 상에 직선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보조프레임(230)을 일시적으로 정지시킨다.
계속해서 상기 일시정지 캠(224)이 회전됨에 따라 상기 브레이크 부재(332)가 지면 혹은 캐터필러로부터 이탈되고 상기 리턴 스프링(333, 334, 335)의 탄성력에 의해 보조프레임(230)은 최초 위치로 복귀된다. 이는 상기 제1 실시예의 경우와 마찬가지이므로 자세하게 설명하지 않는다.
도 23, 도 28a, 도 28b, 도 30a 및 도 3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동되는 상기 간헐이송유닛(350)은, 모종판(260)의 가로방향 1열의 포트개수가 10개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상기 캠축(220)이 10회전할 때 1회 작동하도록 되어 있다.
마그네틱 센서를 이용하여 체인에 설치된 인출 핀(275)의 위치를 감지해서 인출 핀이 모종판의 가로방향 1열의 모종을 모두 인출시킨 것을 확인하였을 때 상기 간헐이송유닛(350)이 작동된다.
우선, 인출 핀이 모종판의 가로방향 1열의 모종을 모두 인출시킨 것을 상기 마그네틱 센서가 감지하면, 제1 및 제2 솔레노이드(352, 358)를 작동시킨다.
상기 제1 및 제2 솔레노이드(352, 358)가 작동되기 전에는, 상기 좌우방향, 전후방향 간헐이송 링크(352, 355b)는 실질적으로 상기 간헐이송 프레임(360)에 아무런 영향도 미치지 못하고 헛돌게 된다.
상기 제1 및 제2 솔레노이드(352, 358)가 작동되면, 좌우방향 간헐이송 캠(223)과 연동되는 좌우방향 간헐이송 링크(352)의 봉(354)은 길게 신장되어 간헐이송 프레임(360)의 돌기(361)와 맞닿아 이 프레임을 도 28b에 도시된 바와 같이도면 위쪽으로 이동시킨다.
이와 동시에 전후방향 간헐이송 캠(225)과 연동되는 제1 및 제2 전후방향 간헐이송 링크(355a, 355b)의 각도가 변화되면서 제2 전후방향 간헐이송 링크의 돌출부(357a)가 도 3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간헐이송 프레임(360)의 사각링(362) 내로 삽입되어 이 프레임을 도면 오른쪽으로 이동시킨다.
그에 따라 상기 간헐이송 프레임(360)에 설치된 이송부재(364)는 상기 모종판의 포트 사이에서 빠져나와 1피치만큼 뒤로 이동된다.
그 다음 상기 간헐이송 캠(223, 225)이 계속해서 회전됨에 따라 상기 간헐이송 프레임(360)은 리턴 스프링(363, 359)의 탄성력에 의해 최초 위치로 복귀되며, 이때 상기 이송부재(364)는 1피치 뒤쪽의 포트 사이로 삽입된 후 모종판을 전방으로 끌어당기게 된다.
본 제2 실시예의 모종이식장치는 모종판(260)을 연속적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모종판 연속공급유닛(370)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연속공급유닛(370)은, 상기 간헐이송유닛(350)이 작동될 때 함께 작동되어 모종판을 1피치씩 전방으로 이동시킨다.
모종판(260)을 연속적으로 이송, 공급하기 위한 방법은 여러 가지, 예컨대 필름형상으로 모종판의 길이방향 모서리에 구멍을 형성하여 별도의 스프로킷으로 이송시키는 방법 등이 있을 수 있으며, 도 35a 내지 도 3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제2 실시예에서는 기다란 막대(371)에 이송톱니(372)를 설치함으로써 연속공급 작업을 수행한다.
상기 이송톱니(372)는, 도 35b 및 도 3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막대(371)가 전방으로 이동될 때에는 포트(261) 사이에 고정되어 모종판을 함께 이동시키고, 막대(371)가 후방으로 이동될 때에는 자유롭게 선회되어 모종판을 이동시키지 못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본 제2 실시예의 모종이식장치는,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상기 보조프레임(230)에 복수개의 다짐부재(160)를 구비하며, 그 작동은 제1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르면, 모종을 모종판으로부터 인출해서 땅에 심고 땅을 다지기까지의 전 과정을 자동으로 수행할 수 있기 때문에 적은 인원으로 신속한 이식작업이 가능하게 되는 것은 물론이고, 땅에 구멍을 낼 때 말뚝에 의해 정지되어 있는 상태에서 구멍을 뚫을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차량의 이동에 의해 구멍이 넓어지거나 모종이 쓰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고, 더욱이 땅위를 다짐부재가 쓸고 지나가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모종을 심고 난 후 그 주변을 흙을 다져서 모종의 지탱력을 보다 향상시킴으로써 뿌리내림을 빠르게 하고, 발육을 촉진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모종판이 가로 방향으로 복렬로 설치되고, 인출시 여러 개의 포크가 모종을 한꺼번에 인출하여 이식하는 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농업생산성이 크게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된 효과와 더불어, 모종판이 세워져 장착될 수 있으므로 장치의 소형화 및 에너지 절약이 가능하게 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Claims (42)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복수개의 캠(221∼228)을 구비한 캠축(220)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메인프레임(210);상기 메인프레임(210) 상에서 전후방향으로 직선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보조프레임(230);상기 메인프레임(210)에 설치되어 상기 캠축(220)을 회전 구동시키는 동시에 상기 메인프레임(210)을 지면(24) 상에서 주행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유닛(240);상기 메인프레임(210) 상에 일정한 간격으로 착탈 및 이동 가능하게 배열되며 모종(60)을 수용할 수 있는 복수개의 포트(261)가 바둑판식으로 형성되어 있는 모종판(260);상기 캠(221)에 의해 좌우방향으로 요동 가능하도록 상기 메인프레임(210) 상에 설치되어 인출 핀(275)에 의해 상기 모종판(260)으로부터 상기 모종(60)을 인출시키는 픽업유닛(270);상기 캠(222, 227)에 의해 좌우, 상하방향으로 요동 가능하도록 상기 보조프레임(230) 상에 설치되어 지면(24)에 모종(60)을 이식하기 위한 구멍(24a)을 형성하는 펀치유닛(290);상기 캠(226)에 의해 좌우, 상하방향으로 요동 가능하도록 상기 보조프레임(230) 상에 설치되어 상기 픽업유닛(270)에 의해 인출된 모종(60)을 상기 펀치유닛(290)에 의하여 형성된 구멍(24a) 내로 인도하는 슈트유닛(310);상기 펀치유닛(290)이 지면(24)에 구멍(24a)을 형성하고 모종(60)이 상기 슈트유닛(310)에 의해 인도되어 상기 구멍(24a)으로 이식되는 동안 상기 보조프레임(230)만을 일시적으로 정지시킬 수 있도록 상기 캠(224)에 의해 구동되는 일시정지유닛(330); 그리고상기 캠(223, 225)에 의해 상기 모종판(260)을 전후, 좌우방향으로 간헐이송시키는 모종판 간헐이송유닛(35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종이식장치.
-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프레임(210)은,상기 모종판(260)을 착탈 및 이동 가능하게 장착시킬 수 있는 모종판 가이드부재(211)를 더 포함하고 있으며,상기 모종판 가이드부재(211)는,장착된 모종판(260)이 쓰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형성된 상하 한 쌍의 가이드 홈(213) 및 가이드 판(214)을 구비하고 있는 수평 가이드부(212)와,상기 모종판(260)의 포트(261)에 형성된 관통구멍(263) 내로 상기 픽업유닛(270)의 인출 핀(275)이 정확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안내하는 복수개의 안내구멍(216)이 형성되어 있는 수직 가이드부(215)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종이식장치.
-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 가이드부(215)는,상기 픽업유닛(270)에 의해 상기 모종판(260)의 포트(261)로부터 모종(60)이 인출되는 순간에 상기 포트(261)의 정밀한 위치결정을 보조하기 위하여 상기 포트(261)의 배면을 아래쪽으로부터 지지할 수 있도록 돌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포트(261)의 간격과 동일한 간격을 두고 설치된 복수개의 돌출 리브(218), 그리고상기 안내구멍(216) 내로 상기 픽업유닛(270)의 인출 핀(275)이 정확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일렬로 배열된 안내구멍(216)의 양옆에 길게 형성되어 있는 한 쌍의 돌출 안내부(217)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종이식장치.
-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프레임(230)은,상기 정(303)의 가로방향 간격과 동일한 간격으로 선회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고 상기 정(303)이 지면(24)에 구멍(24a)을 낼 때 이식된 모종 주변의 흙을 다질 수 있도록 설치되어 있는 복수개의 다짐부재(160)를 포함하고 있으며,상기 다짐부재(160)의 밑면에는 흩어진 흙을 상기 보조프레임(230)이 복귀되면서 긁어모을 수 있도록 진행방향을 향하여 폭이 넓어지는 역(逆) 'V'자 모양을 가지는 리브(163, 164)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종이식장치.
-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유닛(240)은,구동축(241a)을 가지는 엔진(241), 상기 엔진(241)의 구동축(241a)에 연동되고 제1, 제2 및 제3 전동축(243∼245)이 외부로 연장된 기어박스(242),상기 제1 전동축(243)으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캠축(220)을 회전 구동시키는 제1 전동수단(246),상기 제2 및 제3 전동축(244, 245)으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구동 스프로킷(251)이 구비된 좌우 한 쌍의 종동축(247a, 248a)을 회전 구동시키는 제2 및 제3 전동수단(247, 248), 그리고상기 좌우 한 쌍의 종동축(247a, 248a)에 구비된 구동 스프로킷(251)에 의해 구동되는 좌우 한 쌍의 캐터필러(2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종이식장치.
-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모종판(260)은, 포트(261) 중앙의 바닥면에 관통구멍(263)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종이식장치.
-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포트(261) 중앙의 관통구멍(263)에는,내부의 물을 배출하기 위한 드레인 홀(87a)이 형성되어 있는 동시에 양단에는 플랜지부(88a, 88b)가 형성된 파이프(87)를 헐겁게 삽입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종이식장치.
-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모종판(260)은,각각의 모종판 사이의 간격이 각각의 포트 거리, 즉 1피치의 거리(A)와 동일하게 될 수 있도록, 모종판(260)의 길이방향으로 양쪽 끝에 위치한 모서리부(265)가 1피치의 절반에 해당하는 치수(A/2)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종이식장치.
-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픽업유닛(270)은,상기 캠축(220)의 픽업 캠(221)에 연동되어 요동 가능하도록 상기 메인프레임(210) 상에 피봇 결합된 픽업 링크(271),상기 픽업 링크(271)에 의해 좌우방향으로 요동되는 픽업 프레임(272),상기 픽업 프레임(272)을 초기위치로 복귀시키기 위한 리턴 스프링(273),상기 모종판(260)의 관통구멍(263)에 삽입되어 모종(60)을 이탈시키기 위한 한 개 이상의 인출 핀(275)을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픽업 프레임(272)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복수개의 체인(274), 그리고상기 캠축(220)이 1회전될 때마다 상기 캠축(220)에 연동되어 상기 체인(274)을 상기 모종판의 1피치에 해당하는 거리만큼 감아 올리기 위한 체인 이송부(28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종이식장치.
-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체인(274)은, 상기 픽업 프레임(272)의 하부 및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회전축들(276, 277) 사이에 감겨 있으며,상기 하부 회전축(276)은 체인(274)이 감길 수 있는 복수개의스프로킷(276a)이 일정한 간격을 두고 구비되어 있는 하나의 긴 봉 형상을 가지는 한편, 상기 상부 회전축(277)은 각각의 체인(274)마다 별개로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종이식장치.
-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회전축(277)은,고정핀(279a)에 의해 상기 픽업 프레임(272)의 하향돌기(272b)에 설치된 이동박스(279)에 코일스프링과 같은 탄성부재(278)를 개재하여 설치됨으로써 상기 픽업 프레임(272)에 회전 가능한 동시에 상하방향으로 이동 여유를 가질 수 있도록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종이식장치.
-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픽업 프레임(272)은,상기 인출 핀(275)에 의하여 상기 모종(60)이 인출될 때, 모종이 너무 멀리 튀어나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체인(274)에 대향되는 위치에 설치되는 플레이트(272a)를 더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종이식장치.
-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체인 이송부(280)는,상기 하부 회전축(276)에 일체로 구비된 체인 이송 기어(281),상기 캠축(220)의 체인 이송 캠(228)에 연동되어 전후방향으로 요동 가능하도록 상기 메인프레임(210) 상에 피봇 결합된 제1 체인 이송 링크(283), 그리고상기 제1 체인 이송 링크(283)에 일단이 피봇 결합되어 전후방향으로 직선이동되는 동시에 타단에는 상기 체인 이송 기어(281)를 회전시키기 위한 돌기(286)가 부착되어 있는 제2 체인 이송 링크(285)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종이식장치.
-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펀치유닛(290)은,상기 캠축(220)의 펀치 캠(222, 227)에 연동되어 요동 가능하도록 피봇 결합된 펀치 링크(104a, 293a, 293b),상기 펀치 링크(104a, 293a, 293b)에 의해 상하, 좌우방향으로 요동 가능하도록 상기 보조프레임(230)에 설치되어 있는 펀치 프레임(294),상기 펀치 프레임(294)을 초기위치로 복귀시키기 위한 리턴 스프링(104b, 295a, 295b), 그리고상기 펀치 프레임(294)에 복수개 설치되어 상기 펀치 프레임(294)이 하강됨에 따라 지면(24)에 모종(60)이 이식될 수 있는 구멍(24a)을 형성하는 펀치부(3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종이식장치.
-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펀치 캠(222, 227)은,상기 캠축(220)의 양쪽에 설치된 한 쌍의 펀치 상하이동 캠(222)과, 한 개의 펀치 좌우이동 캠(227)으로 이루어져 있으며,상기 펀치 링크(104a, 293a, 293b)는, 상기 펀치 상하이동 캠(222)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요동 가능한 펀치 상하이동 링크(104a)와, 상기 펀치 좌우이동캠(227)에 의해 좌우방향으로 요동 가능한 펀치 좌우이동 링크(293a, 293b)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종이식장치.
-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펀치부(300)는,상기 펀치 프레임(294)에 체결부재(302)에 의해 결합되는 중공의 사각기둥 형상의 가이드 부재(301),상기 가이드 부재(301) 내에 압축 스프링(도시생략)을 개재하여 설치되며 지면(24)에 구멍(24a)을 내기 위한 정(303), 그리고지면(24)에 구멍을 형성시킨 후 정(303)의 표면에 묻은 흙을 긁어내기 위한 흙 제거수단(305)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종이식장치.
-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흙 제거수단(305)은,상기 사각기둥 형상의 가이드 부재(301)의 연속되는 2개의 면에 상하방향으로 직선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동시에 탄성부재(307)에 의하여 항상 위쪽으로 당겨지고 있는 로드(306)와,상기 로드(306)의 하단 끝에 힌지결합되어 상기 정(303)의 대향되는 2개의 표면에 맞닿아 있는 동시에 탄성부재(309)에 의하여 서로 당겨지고 있는 긁음부재(308)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종이식장치.
-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슈트유닛(310)은,상기 캠축(220)의 슈트 캠(226)에 연동되어 요동 가능하도록 피봇 결합된 슈트 링크(311),상기 슈트 링크(311)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요동 가능한 동시에 상기 펀치유닛(290)의 펀치 링크(293a, 293b)에 의해 상하, 좌우방향으로 요동 가능하도록 상기 보조프레임(230)에 설치되어 있는 슈트 프레임(312),상기 슈트 프레임(312)을 초기위치로 복귀시키기 위한 리턴 스프링(313), 그리고상기 슈트 프레임(312)에 복수개 설치되어 상기 슈트 프레임(312)과 함께 이동하면서 상기 픽업유닛(270)에 의해 인출된 모종(60)을 상기 펀치유닛(290)에 의해 지면(24)에 형성된 구멍 내로 인도하기 위한 슈트부(3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종이식장치.
-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슈트부(320)는,상기 슈트 프레임(312)에 체결부재(322)에 의해 결합되는 중공의 원통형상 실린더 부재(321)와,상기 실린더 부재(321)의 상단에 일체로 부착되어 상기 픽업유닛(270)에 의해 인출되어 낙하되는 모종을 받아내는 깔때기 부재(323)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종이식장치.
-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일시정지유닛(330)은,상기 캠축(220)의 일시정지 캠(224)에 연동되어 요동 가능하도록 상기 메인프레임(210)에 피봇 결합된 일시정지 링크(331),상기 일시정지 링크(331)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요동 가능하도록 상기 보조프레임(230)에 피봇 결합되어 상기 보조프레임(230)을 일시적으로 정지시키는 브레이크 부재(332),상기 메인프레임(210)과 상기 보조프레임(230)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보조프레임(230)을 일시정지 전의 초기위치로 복귀시키는 리턴 스프링(333), 그리고상기 메인프레임(210)에 설치되어 상기 리턴 스프링(333)에 의한 상기 보조프레임(230)의 복귀위치를 한정하는 스토퍼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종이식장치.
-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간헐이송유닛(350)은,상기 캠축(220)의 간헐이송 캠(223, 225)에 연동되어 요동 가능하도록 피봇 결합된 간헐이송 링크(352, 355a, 355b),상기 간헐이송 링크(352, 355a, 355b)에 의해 전후, 좌우방향으로 요동 가능하도록 상기 메인프레임(210)에 설치되어 있는 간헐이송 프레임(360),상기 간헐이송 프레임(360)을 초기위치로 복귀시키기 위한 리턴 스프링(363), 그리고상기 간헐이송 프레임(360)에 복수개 설치되어 상기 간헐이송 프레임(360)이 전후, 좌우방향으로 요동됨에 따라 직사각형상의 궤적으로 그리면서 상기모종판(260)을 전방으로 1피치만큼 이송시키는 이송부재(364)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종이식장치.
- 제 31 항에 있어서,상기 간헐이송 캠(223, 225)은, 한 개의 좌우방향 간헐이송 캠(223)과, 상기 캠축(220)의 양쪽에 각각 설치된 한 쌍의 전후방향 간헐이송 캠(225)으로 이루어져 있으며,상기 간헐이송 링크(352, 355a, 355b)는, 상기 좌우방향 간헐이송 캠(223)에 의해 좌우방향으로 요동 가능한 좌우방향 간헐이송 링크(352)와, 상기 전후방향 간헐이송 캠(225)에 의해 전후방향으로 요동 가능한 전후방향 간헐이송 링크(355a, 355b)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종이식장치.
- 제 31 항에 있어서, 상기 간헐이송유닛(350)은,상기 픽업유닛(270)의 인출 핀(275)의 위치를 검출해서 상기 간헐이송 링크(352, 355a)에 설치되는 솔레노이드(353, 358)를 작동시킴으로써 상기 간헐이송 프레임(360)을 간헐적으로 작동시키는 마그네틱 센서를 더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종이식장치.
- 제 32 항에 있어서, 상기 좌우방향 간헐이송 링크(352)는,상기 좌우방향 간헐이송 링크(352)의 길이방향으로 작동하도록 설치된 제1솔레노이드(353)와,상기 제1 솔레노이드(353)에 의해 상기 좌우방향 간헐이송 링크(352)의 길이를 변화시킬 수 있도록 신축 가능하게 설치된 봉(354)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종이식장치.
- 제 32 항에 있어서, 상기 전후방향 간헐이송 링크(355a, 355b)는,일단이 상기 메인프레임(210)에 선회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전후방향 간헐이송 캠(225)에 의해 요동되는 제1 전후방향 간헐이송 링크(355a),일단이 상기 제1 전후방향 간헐이송 링크(355a)의 타단에 피봇 결합되어 연동되는 동시에 타단에 상기 간헐이송 프레임(360)에 걸림으로써 상기 간헐이송 프레임(360)을 이송시키기 위한 돌출부(357a)를 가지는 제2 전후방향 간헐이송 링크(355b), 그리고상기 제1 전후방향 간헐이송 링크(355a)에 상기 제1 전후방향 간헐이송 링크(355a)의 길이방향으로 작동하도록 설치되어 작동시 상기 제2 전후방향 간헐이송 링크(355b)를 끌어당겨 상기 제1 및 제2 전후방향 간헐이송 링크(355a, 355b) 사이의 각도를 변화시키는 제2 솔레노이드(358)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종이식장치.
- 제 31 항에 있어서, 상기 간헐이송 프레임(360)은,상기 제1 솔레노이드(353)의 작동시 신장되는 상기 봉(354)에 걸리도록 돌출된 돌기(361)와,상기 제2 솔레노이드(358)의 작동시 각도가 변화되는 제2 전후방향 간헐이송 링크(355b)의 돌출부(357a)가 삽입되는 사각링(362)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종이식장치.
- 제 11 항에 있어서,상기 간헐이송 프레임(360)에 고정되어 함께 연동되는 기다란 막대(371)와, 상기 막대(371)에 선회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모종판(260) 배면의 포트(261) 사이에 걸리며 직각으로 절곡된 형상의 이송톱니(372)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모종판(260)을 연속적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모종판 연속공급유닛(370)을 더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종이식장치.
- 제 11 항에 있어서,상기 모종판(260)은, 세로방향으로 긴 모서리부(266)에 일정한 간격으로 구멍(267)이 형성되어 필름과 같은 형상을 가지고 있으며,상기 연속공급유닛(370)은, 상기 간헐이송 프레임(360)에 고정되어 함께 연동되는 기다란 막대(371)와, 상기 모종판(260)의 구멍(267)에 삽입 가능하도록 상기 막대(371)로부터 소정 각도만큼 세워진 상태를 탄력적으로 유지할 수 있으며 상기 막대(371)를 향하여 선회 가능하게 설치되는 복수개의 발톱부(373)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으며,그에 따라 상기 모종판(260)은, 상기 발톱부(373)가 상기 구멍(267) 내에 삽입됨에 의해 1피치만큼 간헐적으로 이송되는 동시에 모종판의 연속공급이 가능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종이식장치.
-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일시정지유닛(330)은,상기 구동유닛(240)으로부터 동력을 전달받는 한 쌍의 베벨기어(380a, 380b),상기 한 쌍의 베벨기어(380a, 380b) 중 종동기어(380b)의 축과 일체로 연장되어 형성된 스크루 봉(381), 그리고상기 보조프레임(230)에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스크루 봉(381)을 선택적으로 파지하여 나사결합되는 한 쌍의 파지부(236)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종이식장치.
-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일시정지유닛(330)은,상기 구동유닛(240)으로부터 동력을 전달받는 피니언(386),상기 보조프레임(230)에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피니언(386)에 선택적으로 맞물림 가능한 랙(387)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종이식장치.
- 제 26 항에 있어서,상기 펀치부(300)의 각각의 정(303)은,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플랜지(303a)를 구비하고 있으며,상기 메인프레임(210)은, 지면을 향하여 돌출 형성되어 이식된 모종(60) 주변으로 흙을 모아줄 수 있는 여러 쌍의 돌출 플레이트(219)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종이식장치.
- 제 16 항에 있어서,상기 포트(261) 중앙의 관통구멍(263)에는, 길이방향으로 포트 내의 물을 배출하기 위한 드레인 홀(268a)이 형성되어 있는 동시에 양단에는 플랜지부(269a, 269b)가 형성된 파이프(268)를 헐겁게 삽입시키고 있으며,상기 하단의 플랜지부(269b)는, 상기 상단의 플랜지부(269a)에 비하여 크기가 작아서 상기 파이프(268)를 상기 모종판의 관통구멍(263)에 조립시킬 때 상기 파이프(268)를 모종판의 관통구멍(263)으로 가압시키는 것만으로도 상기 파이프의 하단 플랜지부(269b)와 상기 모종판의 관통구멍(263)이 서로 가압력에 의해 수축되면서 삽입되어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종이식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10022418U KR200258649Y1 (ko) | 2001-07-24 | 2001-07-24 | 모종이식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10022418U KR200258649Y1 (ko) | 2001-07-24 | 2001-07-24 | 모종이식장치 |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10044617A Division KR20010086421A (ko) | 2001-03-16 | 2001-07-24 | 모종이식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258649Y1 true KR200258649Y1 (ko) | 2001-12-28 |
Family
ID=731057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10022418U KR200258649Y1 (ko) | 2001-07-24 | 2001-07-24 | 모종이식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258649Y1 (ko)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9258155A (zh) * | 2018-10-25 | 2019-01-25 | 山东省果树研究所 | 一种甜樱桃矮化砧苗电动起苗机 |
CN115362802A (zh) * | 2022-08-31 | 2022-11-22 | 浙江理工大学 | 一种蔬菜钵苗移栽机的自动送苗装置及其送苗方法 |
CN115500253A (zh) * | 2022-09-26 | 2022-12-23 | 北京中农富通园艺有限公司 | 一种移动限位工装、水培自动化系统及其床身装置 |
-
2001
- 2001-07-24 KR KR2020010022418U patent/KR200258649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9258155A (zh) * | 2018-10-25 | 2019-01-25 | 山东省果树研究所 | 一种甜樱桃矮化砧苗电动起苗机 |
CN115362802A (zh) * | 2022-08-31 | 2022-11-22 | 浙江理工大学 | 一种蔬菜钵苗移栽机的自动送苗装置及其送苗方法 |
CN115362802B (zh) * | 2022-08-31 | 2024-06-04 | 浙江理工大学 | 一种蔬菜钵苗移栽机的自动送苗装置及其送苗方法 |
CN115500253A (zh) * | 2022-09-26 | 2022-12-23 | 北京中农富通园艺有限公司 | 一种移动限位工装、水培自动化系统及其床身装置 |
CN115500253B (zh) * | 2022-09-26 | 2023-09-12 | 北京中农富通园艺有限公司 | 一种移动限位工装、水培自动化系统及其床身装置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5557881A (en) | Seedling transplanter | |
KR960002939B1 (ko) | 야채이식기 | |
CN106664911A (zh) | 中药材幼苗移栽机 | |
CN112514763A (zh) | 用于自动栽植装置的翻转插苗器 | |
KR100813442B1 (ko) | 묘삼 이식기 | |
KR20090054668A (ko) | 버섯재배용 배지 자동 투입장치 | |
KR20010086421A (ko) | 모종이식장치 | |
KR20130050601A (ko) | 모종 이식 자동 작동장치 | |
KR200258649Y1 (ko) | 모종이식장치 | |
CN114902848A (zh) | 一种基于智慧农业的自动栽种设备 | |
KR20060128269A (ko) | 보행형 배추정식기 | |
CN204634333U (zh) | 一机适多种播种机 | |
CN2718997Y (zh) | 水稻钵苗体磁力插秧机 | |
KR200237366Y1 (ko) | 모종이식장치 | |
CN102379180B (zh) | 水稻钵苗铳插机 | |
JP3502188B2 (ja) | 野菜移植機 | |
KR100576067B1 (ko) | 정식기의 플러그묘 취출장치 | |
KR0183961B1 (ko) | 육묘이식기 | |
CN112243613A (zh) | 一种能够减少生姜嫩芽损伤的生姜种植装置 | |
CN218125430U (zh) | 一种手提式水稻补苗机 | |
JP4381562B2 (ja) | 苗移植機 | |
CN117796205B (zh) | 一种市政园林种植装置 | |
CN219843994U (zh) | 一种花生种植装置 | |
CN218388664U (zh) | 一种移栽装置 | |
CN220402603U (zh) | 沙漠植树机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U107 |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