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29715A - 전기 도체용 접속 장치를 위한 액추에이터 - Google Patents

전기 도체용 접속 장치를 위한 액추에이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29715A
KR20190029715A KR1020197004857A KR20197004857A KR20190029715A KR 20190029715 A KR20190029715 A KR 20190029715A KR 1020197004857 A KR1020197004857 A KR 1020197004857A KR 20197004857 A KR20197004857 A KR 20197004857A KR 20190029715 A KR20190029715 A KR 201900297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tuator
insulator
conductor
ramp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048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47289B1 (ko
Inventor
이리나 뢰트케만
안드레아스 뤼터
Original Assignee
하르팅 에렉트릭 게엠베하 운트 코우. 카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하르팅 에렉트릭 게엠베하 운트 코우. 카게 filed Critical 하르팅 에렉트릭 게엠베하 운트 코우. 카게
Publication of KR201900297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297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72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72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28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 H01R4/48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utilising a spring, clip, or other resilient member
    • H01R4/4809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utilising a spring, clip, or other resilient member using a leaf spring to bias the conductor toward the busbar
    • H01R4/48185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utilising a spring, clip, or other resilient member using a leaf spring to bias the conductor toward the busbar adapted for axial insertion of a wire end
    • H01R4/48275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utilising a spring, clip, or other resilient member using a leaf spring to bias the conductor toward the busbar adapted for axial insertion of a wire end with an opening in the housing for insertion of a release tool
    • H01R4/4827
    • H01R4/4836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28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 H01R4/48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utilising a spring, clip, or other resilient member
    • H01R4/4809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utilising a spring, clip, or other resilient member using a leaf spring to bias the conductor toward the busbar
    • H01R4/4828Spring-activating arrangements mounted on or integrally formed with the spring housing
    • H01R4/48365Spring-activating arrangements mounted on or integrally formed with the spring housing with integral release means
    • H01R4/4845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28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 H01R4/48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utilising a spring, clip, or other resilient member
    • H01R4/4809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utilising a spring, clip, or other resilient member using a leaf spring to bias the conductor toward the busbar
    • H01R4/48455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utilising a spring, clip, or other resilient member using a leaf spring to bias the conductor toward the busbar insertion of a wire only possible by pressing on the spring

Abstract

본 발명의 과제는, 설치된 상태에서도 현장에서 분리될 수 있는, 다시 말하자면 절연체(5)가 이미 장착 하우징에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도, 전기 도체(6, 61)가 간단한 공구(7)에 의해 수동으로 로킹 해제될 수 있는 접속 장치(4)를 형성하는 데에 있다. 이 목적을 위해, 인접하는 맞물림 에지(12) 및 맞물림 계단부(13)를 갖는 맞물림 경사부(11)를 구비하는 액추에이터(1)가 제안되며, 상기 맞물림 경사부에 의해 액추에이터(1)는 슬롯 헤드 스크루 드라이버(7)에 의해서 단 한 번의 지렛대 동작으로 절연체(5)로부터, 더 상세하게 말하자면 케이블 접속 측(41)으로부터 들어 올려질 수 있다.

Description

전기 도체용 접속 장치를 위한 액추에이터
본 발명은, 독립 청구항 1의 전제부에 따른 전기 도체용 접속 장치를 위한 액추에이터로부터 출발한다.
이와 같은 액추에이터는, 전기 도체, 특히 연선 도체(stranded conductor)를 접속 장치 내부에서 전기 접속 접촉부와, 예컨대 핀 접촉부(pin contact) 또는 도체 바(conductor bar) 등과 가역적으로 전기적으로 그리고 기계적으로 접촉시키기 위해서 그리고 이와 같은 접촉을 필요에 따라 재차 해제하기 위해서 필요하다.
종래 기술에는, 전기 도체, 특히 연선 도체용의 복수의 접속 장치가 공지되어 있다.
간행물 EP 1 742 299 A2호는, 연선 도체용의 일반적인 접속 장치를 기술한다. 이 간행물에는, 변위 가능한 슬라이드 요소를 갖는 챔버가 각각의 연선을 위한 절연체 내에 제공되어 있다. 이 슬라이드 요소는 삽입된 연선 도체를 갖는 클램핑 슬리브와 함께 핀 접촉부의 접속 영역 위로 미끄러진다. 이 경우에, 연선은 핀 접촉부의 클램핑 쇼울더와 클램핑 슬리브 사이에 클램핑 되고, 핀 접촉부와 전기 전도성으로 접속된다. 슬라이드 요소는 자신의 케이블 접속 영역에 측 방향으로 기울어진 V자 형상의 리세스를 구비하며, 플러그 형태로 삽입된 상태에서 예컨대 스크루 드라이버와 같은 상응하는 평평한 공구부가 플러그 형태로 삽입된 슬라이드 요소를 절연체로부터 재차 들어올리기 위해 상기 리세스 내부로 삽입될 수 있다. 공구의 사용을 위해, 각각의 챔버 내에서 하우징 벽면의 내측에 경사부가 제공되어 있다. 절연체 측면에 작용하는 공구에 의해서 로킹 해제가 이루어지기 때문에, 절연체가 플러그형 커넥터의 장착 하우징 내에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는 통상적으로 로킹 해제가 일어날 수 없다.
간행물 DE 20 2010 010 620 U1호는, 스프링 접촉 요소에 대한 도체의 간단한 접속 및 분리를 가능하게 하는 케이지 클램프를 포함하는 어셈블리를 제안한다. 플러그형 커넥터에 대한 도체의 접속 및 분리는 보조 수단 또는 공구 없이 그리고 많은 힘을 소비하지 않고서도 가능하다.
간행물 DE 20 2014 010 621 U1호는, 작동 수단을 제1 최종 위치와 제2 최종 위치 사이에서 선형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볼 포인트 펜 기구와 유사한 탄성 푸시-푸시-기구를 작동 수단에 배열하는 것을 제안한다.
간행물 DE 10 2014 115 009 B3호는, 절연체, 절연체 내에 수용된 하나 이상의 전기 접촉부, 그리고 제1 작동 핀 및 제2 작동 핀으로 이루어진 전기 접촉용 작동 메커니즘으로 이루어진 플러그형 커넥터를 개시한다. 전기 접촉부는, 제1 작동 핀에 의해서 개방 및 폐쇄되는, 전기 도체 또는 케이블을 접촉시키기 위한 스프링 접촉 요소를 구비한다. 제2 작동 핀은 스프링 접촉 요소를 개방하기 위해 제공되어 있다. 이로 인해, 스프링 접촉 요소를 폐쇄할 때에 뿐만 아니라 개방할 때에도 공구 또는 다른 보조 수단이 필요치 않게 된다.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경우에는, 상기와 같은 유형의 절연체가, 사전 설정된 치수를 갖는 그로밋 하우징(grommet housing) 또는 장착 하우징 내에 설치되는 경우에, 상응하는 구조적 형상의 크기로 인해 단점이 발생할 수 있다. 이 목적을 위해서는, 절연체의 치수가 사전 설정된 하우징 치수에 매칭되어야만 한다. 그와 동시에, 이 목적을 위해서는, 이와 같은 절연체를 장착 하우징 내에 설치한 후에도, 전체 절연체를 재차 장착 하우징으로부터 제거할 필요 없이, 특히 케이블 접속 측으로부터 도체의 로킹 해제를 수행할 필요가 존재한다. 또한, 개별 접촉 챔버들 사이에 케이블 접속 측 스위칭 브릿지를 사용할 수 있는 가능성도 요구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과제는, 종래 기술에 존재하는 전술된 단점 및 시장의 요구를 고려하는 데에 있으며, 한 편으로는 절연체의 가급적 작은 형성을 허용하는 동시에 절연체가 이미 장착 하우징 내에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도 전기 도체의 수동 분리를 가능하게 하고, 더 나아가서는 케이블 접속 측에서 2개 연선의 전기 전도성 접속 및 이로써 당연히 또한 관련 접촉부들의 전기 전도성 접속을 위해 점퍼(jumper)의 사용을 허용하는 구조적 형상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또한, 기계 장치도 당연히 가급적 견고하게 그리고 저렴하게 형성되어야만 한다.
상기 과제는, 도입부에 언급된 유형의 액추에이터에 의해, 독립 청구항 1의 특징부의 특징들에 의해서 해결된다.
전기 도체용 접속 장치를 위한 액추에이터는, 비-작동 상태에서 절연체 내부로의 전기 도체의 삽입을 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그리고 작동 상태에서 전기 접속 접촉부에 대해 전기 도체를 고정시키고 전기적으로 접촉시키기 위하여 이용된다.
전기 접속 접촉부는, 케이블 접속 측에는 바람직하게 도체 바를 포함할 수 있고, 플러그 측에는 접촉 핀 또는 접촉 부시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이 경우에는, 예를 들어 케이블 접속 측 클램핑 쇼울더를 갖는 핀 접촉부도 사용될 수 있다. 전기 도체는 특히 연선 도체일 수 있다. 연선 도체의 피복 제거된 영역에는 케이블 단부 슬리브가 제공될 수 있다. 그러나 솔리드 도체(solid conductor)도 사용될 수 있다.
액추에이터는 다음과 같은 수단들을 구비한다.
- 액추에이터를 비-작동 상태로부터 작동 상태로 전환시키기 위한 수단, 및
- 액추에이터를 작동 상태로부터 비-작동 상태로 전환시키기 위한 수단.
액추에이터를 작동 상태로부터 비-작동 상태로 전환시키기 위한 수단은, 맞물림 경사부 및 이 경사부에 인접하는 맞물림 에지 그리고 특히 이 맞물림 에지에서 시작하여 둔각으로 맞물림 경사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정렬된 맞물림 계단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은 종속 청구항들에 명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예컨대 통상적인 슬롯 헤드 스크루 드라이버와 같은 공구를 이용하여 액추에이터를 작동 상태로부터 비-작동 상태로 전환시킴으로써, 케이블 접속 측의 방향으로부터 로킹 해제가 이루어진다는, 더 상세하게 말하자면 절연체가 이미 장착 하우징 내에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도 로킹 해제가 이루어질 수 있다는 특별한 장점을 갖는다. 그에 상응하게, 로킹 해제를 위한 공구는 먼저 케이블 접속 면에 대해 거의 수직으로, 즉 케이블 접속 방향으로부터 액추에이터와 절연체 외벽 사이의 작동 개구 내부로 삽입된다.
그 다음에, 공구는 먼저 맞물림 경사부의 전체 길이에 걸쳐 맞물림 경사부와 기계적으로 접촉하게 되고, 그 후의 지렛대 동작 중에 액추에이터를 제1 거리만큼 절연체로부터 외부로 들어올린다. 그 후에, 공구가 천이부 없이 자동으로, 이미 제1 거리만큼 절연체로부터 외부로 들어 올려진 액추에이터의 맞물림 에지에 그리고/또는 맞물림 계단부에 안착하고, 지렛대 동작의 추가 진행 중에 동일한 지렛대 동작에 의해 액추에이터를 제2 거리만큼 절연체로부터 외부로 들어올림으로써, 결과적으로 그 다음에는 액추에이터가 자신의 비-작동 상태에 있게 된다. 상기 지렛대 동작의 추가 진행 중에는, 공구가 훨씬 더 비스듬하게 그리고 이 과정의 마지막에는 자신의 최초 방향에 대해 심지어 거의 직각으로 절연체에 맞물리지만, 이와 같은 상황은 아무런 문제가 되지 않는데, 그 이유는 이 단계에서는, 절연체가 장착 하우징 내에 설치된 경우에도, 상기와 같이 공구가 액추에이터의 맞물림 에지 또는 맞물림 계단부에 비스듬하게 안착하는 동작이 가능하게 될 정도로, 액추에이터가 이미 절연체로부터 외부로 들어 올려져 있기 때문이다.
특히, 맞물림 에지가 또한 라운딩 처리될 수 있고, 이로써 예컨대 한 편으로는 접합부(seam) 없이 맞물림 경사부로 그리고/또는 다른 한 편으로는 접합부 없이 맞물림 계단부로 넘어갈 수 있음으로써, 결과적으로 맞물림 에지라는 용어는 다시 말해 또한 이와 관련해서 기능적으로 동일하게 작용하는 맞물림 라운딩부도 포함하게 된다.
슬롯 헤드 스크루 드라이버의 사용 가능성에 의해서는, 상응하는 접속 장치가 현장에서 조립될 수 있고, 전술된 바와 같이 심지어 장착 하우징 내에 설치된 상태에서도 현장에서 분리될 수 있는데, 다시 말하자면 삽입된 전기 도체가 특수 공구 없이도 수동으로 로킹 해제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황이 특히 바람직한 이유는, 로킹 해제를 위해서도 특수 공구가 전혀 필요치 않기 때문이다.
또한, 본 발명은, 구조적 형상이 기하학적으로 콤팩트하게 형성되어 있다는, 즉 절연체가 비교적 적은 치수를 가짐으로써 기존의 플러그형 커넥터 하우징, 특히 상응하게 적은 치수를 갖는 그로밋 하우징 및 장착 하우징에 아무 문제 없이 사용될 수 있다는 장점을 갖는다.
또한, 이와 같은 구조적 형상은, 접촉부들이 케이블 접속 측에서 브릿지 연결될 수 있다는, 즉 하나 또는 복수의 스위칭 브릿지를 통해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다는 장점을 갖는다.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 액추에이터는 비-작동 상태로부터, 즉 자신의 비-작동 위치로부터 작동 상태로, 즉 자신의 작동 위치로 전환하기 위해 공구를 안착시키기 위한 리세스를 구비하며, 이 경우 리세스는 예를 들어 슬롯 헤드 스크루 드라이버를 안착시키기 위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슬롯 형상으로 구현되어 있으며, 그리고/또는 예컨대 핀을 안착시키기 위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원통형으로 구현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현은 전술된 현장 조립 가능성을 위해 유리한데, 그 이유는 이와 같은 공구가 통상적으로는 상응하는 당업자 자신에 의해서 운반되기 때문이다.
또 다른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 액추에이터는 인장 경사부를 갖는 작동 리 세스를 구비하고, 케이지 클램프를 작동시키기 위한 인장 쇼울더를 상기 작동 리세스에 인접하게 구비한다.
상기 실시예가 바람직한 이유는, 상기와 같은 구현을 통해 케이지 클램프가 작동되어 인장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기 때문이며, 그 이유는 이와 같은 상황이 적은 구조 크기의 구조적 형상을 가능하게 하기 때문이다.
특히, 접속 장치는 도체 바를 갖는 전기 접속 접촉부, 전기 도체를 삽입하기 위한 케이블 삽입 개구 및 작동 개구를 갖는 절연체, 그리고 실질적으로 작동 개구와 케이블 삽입 개구 사이에 배열된 케이지 클램프를 포함하며, 이 경우 케이지 클램프는 자신을 케이블 삽입 개구 내에 배열시키는 윈도우 리세스를 자신의 측에 갖고, 액추에이터와 상호 작용하기 위하여 작동 개구의 영역에 배열되어 있는 인장 레그를 구비한다.
액추에이터가 자신의 작동 상태에 있으면, 더 상세하게 말해 절연체의 작동 개구 내에서 자신의 작동 위치에 있으면, 케이지 클램프의 인장 레그는 액추에이터의 작동 리세스 내로 잠기게 된다. 그 다음에 케이지 클램프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이완된다. 그와 동시에, 케이지 클램프는 자신의 윈도우 리세스를 이용하여 전기 도체를 둘러싸고, 전기 도체를 도체 바와 전기적으로 접촉시키기 위해 전기 도체를 도체 바를 향해 끌어당긴다.
접속 장치를 로킹 해제시키기 위해, 이제 공구가 케이블 접속 측으로부터 절연체 외벽과 액추에이터 사이의 작동 개구 내로 삽입된다. 그 다음에는, 추후에 천이부 없이 맞물림 에지에 그리고 이후의 진행 중에는 가급적 또한 이미 제1 거리만큼 절연체로부터 외부로 들어 올려진 액추에이터의 맞물림 계단부에도 안착시키기 위하여 그리고 액추에이터를 제2 거리만큼 절연체로부터 외부로 들어올리기 위하여, 더 상세하게 말하자면 케이블 접속 측의 방향으로 들어올리기 위하여, 그리고 이로써 결국에는 액추에이터를 자신의 비-작동 상태로 전환시키기 위하여, 공구가 자신의 전체 길이에 걸쳐 맞물림 경사부와 기계적으로 접촉하게 되고, 액추에이터를 제1 거리만큼 절연체로부터 외부로, 즉 케이블 접속 측의 방향으로 들어올리게 된다. 이 경우에 특히 바람직한 것은, 액추에이터가 스크루 드라이버의 단 1회의 지렛대 동작에 의해서 2개의 거리를 통과한다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로킹 해제 과정 동안에는, 액추에이터가 자신의 작동 리세스의 인장 경사부에 의해 케이지 클램프의 인장 레그를 따라 미끄러짐으로써 케이지 클램프를 인장시키며, 이로 인해 케이지 클램프의 윈도우 리세스는 케이블 삽입 개구 내부로 더 깊이 삽입되고, 이로써 이들에 의해 형성된 클램핑 접촉부는, 이전에 케이지 클램프에 의해 도체 바를 향해 가압된 전기 도체를 재차 릴리스하기 위하여 개방된다.
특히 액추에이터를 절연체 내부로 가압할 때에 작동력을 가급적 적게 유지하기 위하여 그리고 이로써 조작 가능성을 개선하기 위하여, 바람직한 일 개선예에서는, 하나 이상의 마찰 파트너, 특히 액추에이터 및/또는 절연체를 특히 바람직한 마찰 공학적 특성을 갖는 재료로 제조함으로써, 결과적으로는 상응하는 마찰 계수가 감소되는 것이 제안되었다. 더 나아가, 이와 같은 실시예는, 상기와 같은 제조로 인해 또한 마찰 파트너의 비용 소비적인 소위 "그리징(greasing)", 즉 마찰 파트너의 표면을 개별 마찰 영역에서 적합한 윤활제로 도포하는 과정이 생략되기 때문에도 특히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적합한 비율의 폴리테트라플루오르에틸렌(PTFE)을 갖는 폴리카보네이트(PC)가 액추에이터 및/또는 절연체를 위한 상기와 같은 재료로서 사용될 수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보완적으로는, 폴리아미드(PA), 폴리옥시메틸렌(POM) 및 우수한 마찰 공학적 특성을 갖는 상응하는 첨가제를 함유하는 그리고 함유하지 않는 유사한 물질들도 사용될 수 있다.
케이지 클램프는 통상적으로 금속, 특히 탄성 강으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매우 특별한 일 개선예에서는, 또한 케이지 클램프가 플라스틱으로부터 형성되는 것도 생각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전술된 재료 특성이 당연히 케이지 클램프에 대해서도 적용되는데, 다시 말하자면 적합한 비율의 PTFE를 갖는 폴리카보네이트가 케이지 클램프용으로 사용될 수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보완적으로는, PA, POM 그리고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있고 우수한 마찰 공학적 특성을 갖는 상응하는 첨가제를 함유하는 그리고 함유하지 않는 또 다른 재료들도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가 도면에 도시되어 있고, 이하에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된다. 도면부에서,
도 1a, 도 1b 및 도 1c는 액추에이터를 다양한 시각에서 그리고 단면도로 도시하고,
도 2a, 도 2b 및 도 2c는 액추에이터의 상부를 다양한 시각에서 그리고 단면도로 도시하며,
도 3은 도체 바 및 접촉 핀 그리고 도체 바에 배열된 케이지 클램프와의 전기 접속 접촉부를 도시하고,
도 4a 및 도 4b는 케이블 접속 측을 바라본 상태에서 접속 장치를 비스듬한 평면도로 그리고 단면도로 도시하며,
도 5a 및 도 5b는 로킹 해제 과정을 단면도로 도시한다.
도면부는, 부분적으로 간소화된 개략적인 도면들을 포함한다. 유사하지만 경우에 따라 동일하지 않은 요소들에 대해서는, 부분적으로 동일한 참조 부호들이 사용된다. 동일한 요소들의 다양한 도면들은 상이하게 크기 조정될 수 있다.
도 1a는, 맞물림 경사부(11)를 바라본 상태에서 액추에이터(1) 및 상기 액추에이터에 인접하는 맞물림 에지(12)를 보여준다. 또한, 상부 영역에는 공구 삽입 개구(19)가 있다.
도 1b는, 액추에이터(1)를 측면도로 보여준다. 이와 같은 시각에서는, 인장 경사부(15)를 갖는 특별한 작동 리세스(14)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인장 경사부에 인접하여, 액추에이터(1)는 인장 쇼울더(16)를 구비한다.
도 1c는, 선행하는 도면과 동일한 관점으로부터 액추에이터(1)를 단면도로 보여준다. 본 도면에서는, 공구 삽입 개구(19) 그리고 맞물림 경사부(11), 맞물림 에지(12) 및 맞물림 계단부(13)도 명확하게 볼 수 있다. 이들은, 액추에이터(1)를 자신의 작동 상태로부터 자신의 비-작동 상태로 전환시키기에 적합하다.
도 2a, 도 2b 및 도 2c는, 액추에이터(1)의 상부 영역을 비스듬한 평면도로, 또 다른 단면도로 그리고 평면도로 보여준다. 맞물림 경사부(11)의 형상은 도 2a에서 특히 명확하게 볼 수 있다. 도 2b에서는 맞물림 계단부(13)를 특히 명확하게 볼 수 있고, 도 2c에서는 공구 삽입 개구(19)의 형상 및 위치를 매우 명확하게 볼 수 있다. 또한, 3개의 모든 도면에는, 슬롯형 리세스(17) 및 원통형 리세스(18)가 도시되어 있다. 이들 리세스는, 액추에이터(1)를 비-작동 상태로부터 작동 상태로 전환시키기 위해서 이용된다. 예를 들어, 액추에이터(1)를 아래로 가압하기 위해서는, 본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슬롯 헤드 스크루 드라이버(7)가 슬롯형 리세스(17)에 안착될 수 있다. 원통형 리세스(18)는 오히려 핀 등을 안착시키기 위해서 제공될 수 있다.
도 3은, 플러그 측 접촉 핀(20), 본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절연체(5) 내에 또는 절연체 상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 클램프(22), 및 케이지 클램프(3)의 평평한 접촉 면(31)이 넓은 범위에 걸쳐 접하는 케이블 접속 측 도체 바(21)를 갖는 전기 접속 접촉부(2)를 보여준다. 또한, 케이지 클램프(3)는 윈도우 리세스(30)를 구비하며, 이 윈도우 리세스에 의해서는 케이지 클램프가, 자신의 접촉 면(31)에 인접하고 약간 구부러져 있는, 자유롭게 서있는 단부 및 더 나아가서는 접촉 핀(20)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정렬되어 있고 구부러진 도체 바(21)의 단부를 둘러싸게 되며, 이로써 케이지 클램프는 자신의 탄성력을 이용하여 자신의 접촉 면(31)을 도체 바(21)를 향해 가압하게 된다.
케이지 클램프(3)는 접촉 면(31)으로부터 멀리 떨어진 영역에 인장 레그(34)를 구비하며, 이 인장 레그는 케이지 클램프(3)가 본 도면에서 취하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이완된 상태에서 이미 액추에이터(1)의 작동 리세스(14)의 윤곽을 확인할 수 있게 해준다. 실제로, 케이지 클램프(3)는, 자신의 인장 레그(34)에 의해 액추에이터(1)의 작동 리세스(14) 내부에 잠기기 위해서 그리고 액추에이터의 작동 리세스와 기계적으로 상호 작용하기 위해서 제공되어 있다.
도 4a는, 접속 측(41)을 바라본 상태에서 접속 장치(4)를 3D 도면으로 보여준다. 도 4b는, 대칭 평면을 통해 절단한 상태에서 접속 장치(4)를 약간 다른 관점으로부터 보여준다.
접속 장치(4)는 절연체(5)를 포함한다. 절연체(5)는, 액추에이터(1)가 자신의 비-작동 위치에서 삽입되어 있는 작동 개구(51), 케이지 클램프(3)의 윈도우 리세스(30)가 위치하는 케이블 삽입 개구(52)를 포함하며, 이 경우 단면도에 의해서는 다만 윈도우 리세스(30)의 후방 영역만 도면에서 볼 수 있다. 단면이 반사 대칭으로 구성된 접속 장치(4)의 대칭 평면을 통과하기 때문에, 본 도면으로부터는 비-작동 상태에서 케이블 삽입구(52) 내에서의 윈도우 리세스(30)의 위치가 명확하게 드러난다.
또한, 케이블 삽입 개구(52) 내에는 접속 접촉부(2)의 도체 바(21)가 배열되어 있다. 이로써, 케이지 클램프(3)가 실질적으로 작동 개구(51)와 케이블 삽입 개구(52) 사이에 배열되어 있다는 것을 명확하게 알 수 있으며, 이와 같은 상황은, 한 편으로는 액추에이터(1)의 작동 중에 케이지 클램프의 인장 레그(34)가 또한 액추에이터의 작동 리세스(14) 내에 그리고 이로써 절연체(5)의 작동 개구(51) 내에도 잠길 수 있는 상황, 그리고 다른 한 편으로는 케이지 클램프(3)가 자신의 윈도우 리세스(30)에 의해 케이블 삽입 개구(52)에 맞물리거나, 상기 윈도우 리세스(30) 상에 위치하는, 자유롭게 서있는 자신의 제2 단부에 의해 적어도 비-작동 상태에서 심지어 상기 케이블 삽입 개구를 관통하는 상황도 포함한다.
또한, 절연체(5)는 지렛대 윤곽부(531)를 갖는 외벽(53)을 구비한다.
도 5a 및 도 5b는, 액추에이터(1)가 자신의 작동 상태, 즉 절연체(5) 내의 자신의 작동 위치로부터 자신의 비-작동 상태, 즉 절연체(5) 내의 자신의 비-작동 위치로 전환되는 로킹 해제 과정을 도시한다.
도 5a는, 액추에이터(1)를 자신의 작동 상태에서, 즉 자신의 작동 위치에서 보여준다. 케이지 클램프(3)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이완되어 있는데, 그 이유는 케이지 클램프의 인장 레그(34)가 도면의 하부 가장자리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추에이터(1)의 작동 리세스(14) 내부에 잠기기 때문이다. 그와 동시에, 케이지 클램프(3)는 자신의 윈도우 리세스(30)에 의해서 전기 도체(6)의 피복 제거된 영역(61), 본 경우에는 연선을 도체 바(21)를 향해 끌어당기며, 이로 인해 전기 도체가 도체 바와 전기 전도성으로 접속된다.
로킹 해제를 위해, 이제는 공구(7), 즉 본 경우에는 슬롯 헤드 스크루 드라이버가 액추에이터(1)의 공구 삽입 개구(19)를 통해 작동 개구(51) 내부로 그리고 이로써 절연체(5)의 외벽(35)과 액추에이터(1) 사이로 삽입된다. 슬롯 헤드 스크루 드라이버(7)는, 이제 한 편으로는 액추에이터(1)의 맞물림 면(11)에 전체 길이에 걸쳐 맞물린다. 다른 한 편으로는, 슬롯 헤드 스크루 드라이버가 외벽(53)의 특별한 지렛대 윤곽부(531)와 기계적으로 접촉된다.
화살표 방향으로의 지렛대 동작에 의해서, 슬롯 헤드 스크루 드라이버는 액추에이터(1)를 제1 거리만큼 위로, 즉 작동 개구로부터 외부로 가압한다. 특별한 지렛대 윤곽부(531)에 의해서는, 상기 과정 동안 액추에이터(1)의 로킹 해제 방향으로 지렛대 회전 축의 변경도 발생하며, 이로 인해서는 공구(7)가 최적의 정렬 상태에서 작동 경사부(11)에 맞물리게 되는 섹션이 연장된다. 슬롯 헤드 스크루 드라이버(7)가 상기 방향으로의 추가 지렛대 동작 중에는 맞물림 에지(12)에 맞물리지만, 스크루 드라이버가 약간 다른 형상을 갖는 경우에는 맞물림 계단부(13)에도 맞물릴 수 있다는 것을 쉽게 알 수 있다.
도 5b는, 액추에이터(1)를 자신의 비-작동 상태에서, 즉 비-작동 위치에서 보여준다. 슬롯 헤드 스크루 드라이버(7)는, 지렛대 윤곽부(531)의 상부 맞물림 에지(12)를 통해 들어 올려지며, 이 경우 액추에이터(1)의 맞물림 에지(12)에 맞물린다.
케이지 클램프(3)의 인장 레그(34)는, 사전에 이미 인장 경사부(15)로부터 도체 바(21)의 방향으로 이동된 후에, 액추에이터(1)의 인장 쇼울더(16)에 의해서 도체 바의 방향으로 고정되며, 이로써 전기 도체(6)의 피복 제거된 영역(61)을 릴리스 한다.
1: 액추에이터
11: 맞물림 경사부
12: 맞물림 에지
13: 맞물림 계단부
14: 작동 리세스
15: 인장 경사부
16: 인장 쇼울더
17: 슬롯형 리세스
18: 원통형 리세스
19: 공구 삽입 개구
2: 전기 접속 접촉부
20: 접촉 핀
21: 도체 바
22: 고정 클램프
3: 케이지 클램프
30: 윈도우 리세스
34: 인장 레그
4: 접속 장치
41: 접속 장치의 케이블 접속 측
5: 절연체
51: 작동 개구
52: 케이블 삽입 개구
53: 절연체 외벽
531: 지렛대 윤곽부
6: 전기 도체
61: 피복 제거된 영역 / 연선
7: 공구 / 슬롯 헤드 스크루 드라이버

Claims (8)

  1. - 비-작동 상태에서 절연체(5) 내부로의 전기 도체(6)의 삽입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그리고
    - 작동 상태에서 전기 도체(6)를 전기 접속 접촉부(2)에 고정시키고 전기적으로 접촉시키기 위한, 전기 도체(6)용 접속 장치(4)를 위한 액추에이터(1)이며, 상기 액추에이터는
    - 액추에이터(1)를 비-작동 상태로부터 작동 상태로 전환시키기 위한 수단, 및
    - 액추에이터(1)를 작동 상태로부터 비-작동 상태로 전환시키기 위한 수단을 구비하는, 상기 액추에이터에 있어서,
    - 액추에이터(1)를 작동 상태로부터 비-작동 상태로 전환시키기 위한 수단은 맞물림 경사부(11) 및 상기 맞물림 경사부에 인접하는 맞물림 에지(1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추에이터.
  2. 제1항에 있어서, 액추에이터(1)를 작동 상태로부터 비-작동 상태로 전환시키기 위한 수단은, 또한 맞물림 에지(12)에서 시작하여 둔각으로 맞물림 경사부(11)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정렬된 맞물림 계단부(1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추에이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액추에이터(1)를 비-작동 상태로부터 작동 상태로 전환시키기 위한 수단은 공구(7)를 안착시키기 위한 하나 이상의 리세스(17, 18)를 포함하며, 리세스(17, 18)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슬롯 형상으로(17) 그리고/또는 원통형으로(18) 구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추에이터.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액추에이터(1)는 또한 인장 경사부(15)를 갖는 작동 리세스(14)를 구비하고, 케이지 클램프(3)를 작동시키기 위한 인장 쇼울더(16)를 상기 작동 리세스에 인접하게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추에이터.
  5. 접속 장치(4)로서, 상기 접속 장치는
    -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액추에이터(1),
    - 도체 바(21)를 포함하는 전기 접속 접촉부(2),
    - 전기 도체(6, 61)를 삽입하기 위한 케이블 삽입 개구(52) 및 작동 개구(51)를 갖는 절연체(5), 및
    - 실질적으로 작동 개구(51)와 케이블 삽입 개구(52) 사이에 배열된 케이지 클램프(3)를 포함하며, 상기 케이지 클램프는, 자신을 적어도 액추에이터(1)의 비-작동 상태에서 케이블 삽입 개구(52) 내에 배열시키는 윈도우 리세스(30), 및 액추에이터(1)와 상호 작용하기 위하여 작동 개구(51)의 영역에 배열되어 있는 인장 레그(34)를 구비하는, 접속 장치(4).
  6. 제5항에 있어서,
    - 케이지 클램프(3)의 인장 레그(34)는 액추에이터(1)의 작동 상태에서 액추에이터의 작동 리세스(14)와 기계적으로 접촉하며, 그리고
    - 이때 전기 도체(6, 61)를 둘러싸는 윈도우 리세스(30)를 갖는 케이지 클램프(3)는, 전기 도체(6, 61)를 클램프 접촉부의 형태로 접속 접촉부(2)와 전기 전도성으로 접속하기 위해, 전기 도체를 도체 바(21)를 향해 끌어당기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 장치(4).
  7. 제5항 또는 제6항에 따른 접속 장치(4)를 로킹 해제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a) 공구(7)가 케이블 접속 측(41)의 방향으로부터 절연체(5)의 외벽(53)과 액추에이터(1) 사이에 있는 작동 개구(51) 내부로 삽입되는 단계,
    b) 공구(7)는 먼저 맞물림 경사부(11)의 전체 길이에 걸쳐 맞물림 경사부와 기계적으로 접촉하게 되고, 그 후에 지렛대 동작에 의해 액추에이터(1)를 제1 거리만큼 절연체(5)로부터 외부로 들어올리는 단계, 및
    c) 그 후에, 공구(7)는 천이부 없이 자동으로, 제1 거리만큼 절연체(5)로부터 외부로 들어 올려진 액추에이터(1)의 맞물림 에지(12)에 안착하고, 지렛대 동작의 추가 진행 중에 동일한 지렛대 동작에 의해 액추에이터(1)를 제2 거리만큼 절연체(5)로부터 외부로 들어올림으로써, 결과적으로 액추에이터(1)를 자신의 비-작동 상태로 전환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접속 장치의 로킹 해제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b) 및 c) 동안, 액추에이터(1)는 자신의 작동 리세스(14)의 인장 경사부(15)에 의해 케이지 클램프(3)의 인장 레그(34)를 따라 미끄러짐으로써 케이지 클램프(3)를 인장시키며, 이로 인해 윈도우 리세스(30)는, 케이지 클램프(3)에 의해 이전에 케이블 삽입 개구(52) 내부에 클램핑 된 전기 도체(6, 61)를 재차 릴리스하기 위하여, 상기 케이블 삽입 개구 내부로 더 깊이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 장치의 로킹 해제 방법.
KR1020197004857A 2016-07-28 2017-07-24 전기 도체용 접속 장치를 위한 액추에이터 KR10214728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6113974.2 2016-07-28
DE102016113974.2A DE102016113974B4 (de) 2016-07-28 2016-07-28 Anschlusseinrichtung, Betätiger für die Anschlusseinrichtung und Verfahren zum Entriegeln der Anschlusseinrichtung
PCT/DE2017/100613 WO2018019329A1 (de) 2016-07-28 2017-07-24 Betätiger für eine anschlusseinrichtung für elektrische leit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9715A true KR20190029715A (ko) 2019-03-20
KR102147289B1 KR102147289B1 (ko) 2020-08-25

Family

ID=596833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04857A KR102147289B1 (ko) 2016-07-28 2017-07-24 전기 도체용 접속 장치를 위한 액추에이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855002B2 (ko)
EP (1) EP3491699B1 (ko)
KR (1) KR102147289B1 (ko)
CN (1) CN109478730B (ko)
DE (1) DE102016113974B4 (ko)
WO (1) WO201801932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8101381A1 (de) 2018-01-23 2019-07-25 Harting Electric Gmbh & Co. Kg Steckverbinder mit Federkontakt
DE102019104704A1 (de) * 2019-02-25 2020-08-27 Harting Electric Gmbh & Co. Kg Anschlusseinrichtung für elektrische Leiter
EP3858658B1 (en) * 2020-01-31 2023-08-16 Jabil Inc. Electromechanical actuator having a safety unlocking mechanism
DE102020118578A1 (de) 2020-07-14 2022-01-20 Bürkert Werke GmbH & Co. KG Baugruppe aus einem Feldgerät und einem Steckeradapter
DE102022102812A1 (de) 2022-02-07 2023-08-10 Harting Electric Stiftung & Co. Kg Platzsparender Betätiger für eine Anschlusseinrichtung
WO2023177805A1 (en) * 2022-03-16 2023-09-21 Hubbell Incorporated Electrical wiring devices with screwless wire terminals
US20230299511A1 (en) * 2022-03-16 2023-09-21 Hubbell Incorporated Electrical wiring devices with screwless wire terminals
WO2023177814A1 (en) * 2022-03-16 2023-09-21 Hubbell Incorporated Electrical wiring devices with screwless wire terminals
US20230327377A1 (en) * 2022-03-16 2023-10-12 Hubbell Incorporated Electrical wiring devices with screwless wire terminals
WO2023177809A1 (en) * 2022-03-16 2023-09-21 Hubbell Incorporated Electrical wiring devices with screwless wire terminals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7009082A1 (de) * 2006-03-02 2007-09-06 Industria Lombarda Materiale Elettrico I.L.M.E. S.P.A. Mehrpoliger elektrischer Verbinder mit Federkontakten
DE202012103581U1 (de) * 2012-04-01 2012-11-15 Xiamen Wain Electrical Co., Ltd Leitungsverbinder mit verformbaren harten Metallbändern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4239480A1 (de) 1992-11-21 1994-05-26 Wago Verwaltungs Gmbh Federkraftklemme mit Betätigungsdrücker
US5494456A (en) * 1994-10-03 1996-02-27 Methode Electronics, Inc. Wire-trap connector with anti-overstress member
EP1181745B1 (de) * 1999-05-14 2002-12-18 WIELAND ELECTRIC GmbH Schraubenlose anschlussklemme
ES2266059T3 (es) * 2000-09-25 2007-03-01 WEIDMULLER INTERFACE GMBH & CO. Borne en fila con contactos de corte y piezas de accionamiento del contacto.
FR2824960B1 (fr) * 2001-05-15 2003-08-15 Entrelec Dispositif de raccordement a poussoir
ATE496406T1 (de) * 2002-04-12 2011-02-15 Weidmueller Interface Anschlussvorrichtung für leiter
DE20308863U1 (de) * 2003-06-06 2003-08-21 Ria Btr Prod Gmbh Anschlussklemme
DE202004019109U1 (de) * 2004-12-10 2006-04-13 Weidmüller Interface GmbH & Co. KG Anschlussvorrichtung für elektrische Leiter mit Betätigungsvorrichtung
US7249980B2 (en) 2005-07-05 2007-07-31 Harting Electric Gmbh & Co., Kg Connecting device for bunched conductors
DE102007036295B4 (de) * 2007-07-31 2009-10-08 Phoenix Contact Gmbh & Co. Kg Steckbare Printklemme
DE202008014469U1 (de) * 2008-10-31 2010-03-18 Weidmüller Interface GmbH & Co. KG Anschlussklemme zum Anschluss von Leiterenden
DE202010010620U1 (de) 2010-07-24 2011-11-10 Wolfgang Heinz Bodenabdeckung
ITMI20121974A1 (it) 2012-11-20 2014-05-21 Ilme Spa Connettore elettrico multipolare perfezionato con contatti a molla
ITMI20130200A1 (it) 2013-02-12 2014-08-13 Ilme Spa Dispositivo di connessione elettrica con elemento di connessione a molla e attuatore compatto e connettore multipolare comprendente una pluralita' di detti contatti a molla
DE202013103149U1 (de) * 2013-07-15 2014-10-16 Weidmüller Interface GmbH & Co. KG Zugfederklemme mit einem Druckkörper
DE102013108952A1 (de) * 2013-08-20 2015-03-12 Phoenix Contact Gmbh & Co. Kg Betätigungselement und Anschlussklemme
US9553387B2 (en) * 2014-07-15 2017-01-24 Industria Lombarda Materiale Elettrico—I.L.M.E. S.P.A. Electrical connecting device with spring connection element and compact actuator and multi-pole plug connector comprising a plurality of said spring contacts
DE202014010621U1 (de) * 2014-10-16 2016-02-11 Harting Electric Gmbh & Co. Kg Steckverbinder
DE202014010620U1 (de) * 2014-10-16 2016-02-11 Harting Electric Gmbh & Co. Kg Steckverbinder
DE102014115009B3 (de) * 2014-10-16 2016-02-25 Harting Electric Gmbh & Co. Kg Steckverbinder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7009082A1 (de) * 2006-03-02 2007-09-06 Industria Lombarda Materiale Elettrico I.L.M.E. S.P.A. Mehrpoliger elektrischer Verbinder mit Federkontakten
DE202012103581U1 (de) * 2012-04-01 2012-11-15 Xiamen Wain Electrical Co., Ltd Leitungsverbinder mit verformbaren harten Metallbänder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02016113974A1 (de) 2018-02-01
EP3491699A1 (de) 2019-06-05
CN109478730B (zh) 2020-12-25
WO2018019329A1 (de) 2018-02-01
US10855002B2 (en) 2020-12-01
EP3491699B1 (de) 2021-03-03
CN109478730A (zh) 2019-03-15
KR102147289B1 (ko) 2020-08-25
DE102016113974B4 (de) 2018-06-07
US20190221951A1 (en) 2019-07-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029715A (ko) 전기 도체용 접속 장치를 위한 액추에이터
KR102438953B1 (ko) 스프링 부하형 클램핑 연결부
US4340270A (en) Electrical terminal unit
US11552413B2 (en) Spring force terminal for conductors
CN109314324B (zh) 用于导体的弹簧力端子
US6120315A (en) Terminal block assembly with insulation penetrating means
EP0632529B1 (en) Spring clamp connector
JP2016127009A (ja) 電気的接続端子の改良構成
US7909664B2 (en) Wire termination apparatus and method
CN112514168B (zh) 端子
US20160149319A1 (en) Electrical terminal and method
US7419401B2 (en) Terminal contact for electric conductors
US7462060B2 (en) Cable connector
US20150349478A1 (en) Crimping tool and crimping die
US20220190493A1 (en) Spring terminal for conductor
JPH11345638A (ja) ばね力クランプ接続部を有する大電流端子
JP2023503069A (ja) 接続装置、接続クランプ、および電子デバイス
JP3202871U (ja) 電気的接続端子の改良構成
CN109690874B (zh) 连接元件
JP7419527B2 (ja) 接続構成体および電子デバイス
JP2015046245A (ja) 中継端子および中継コネクタ
CN214849349U (zh) 用于连接电导线的连接装置
JP2023505022A (ja) 接続装置、接続クランプ、及び電子装置
CN100429827C (zh) 用于与电缆电接触的电缆连接器以及连接器接线板
JP2012169114A (ja) 電線接続用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