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18031A - 전기기계식 릴레이, 모듈형 단자 및 전기기계식 릴레이 모듈 - Google Patents

전기기계식 릴레이, 모듈형 단자 및 전기기계식 릴레이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18031A
KR20190018031A KR1020197004039A KR20197004039A KR20190018031A KR 20190018031 A KR20190018031 A KR 20190018031A KR 1020197004039 A KR1020197004039 A KR 1020197004039A KR 20197004039 A KR20197004039 A KR 20197004039A KR 20190018031 A KR20190018031 A KR 201900180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ggle switch
connecting element
housing
coil
longitudinal axi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040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79753B1 (ko
Inventor
랄프 호프만
Original Assignee
피닉스 컨택트 게엠베하 & 컴퍼니 카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피닉스 컨택트 게엠베하 & 컴퍼니 카게 filed Critical 피닉스 컨택트 게엠베하 & 컴퍼니 카게
Publication of KR201900180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180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97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97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01H50/02Bases; Casings; Covers
    • H01H50/021Bases; Casings; Covers structurally combining a relay and an electronic component, e.g. varistor, RC circui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01H50/02Bases; Casings; Covers
    • H01H50/04Mounting complete relay or separate parts of relay on a base or inside a case
    • H01H50/047Details concerning mounting a relay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01H50/02Bases; Casings; Covers
    • H01H50/04Mounting complete relay or separate parts of relay on a base or inside a case
    • H01H50/047Details concerning mounting a relays
    • H01H50/048Plug-in mounting or socke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01H50/14Terminal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01H50/16Magnetic circuit arrangements
    • H01H50/18Movable parts of magnetic circuits, e.g. armature
    • H01H50/24Parts rotatable or rockable outside coi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9/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e.g. terminal strips or terminal blocks; Terminals or binding posts mounted upon a base or in a case; Bases therefor
    • H01R9/22Bases, e.g. strip, block, panel
    • H01R9/24Terminal blocks
    • H01R9/26Clip-on terminal blocks for side-by-side rail- or strip-mounting
    • H01R9/2625Clip-on terminal blocks for side-by-side rail- or strip-mounting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9/2633Clip-on terminal blocks for side-by-side rail- or strip-mounting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lectromagnets (AREA)
  • Switch Cases, Indication, And Locking (AREA)
  • Connection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Conduc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삽입 방향(S)으로 모듈형 단자(2)에 삽입될 수 있는 전기기계식 릴레이(1)에 관한 것이다. 릴레이(1)는 하우징(7)에 배치되고, 두 개의 토글 스위치(8, 15)를 구비한다. 토글 스위치들 각각은 연결 요소들(22 내지 27)에 연결된다. 연결 요소들(22 내지 27) 중 적어도 하나의 연결 요소가 측면에서 하우징(1) 외부로 도출되고 적어도 일부 세그먼트들에서 삽입 방향과 직교하게 연장한다.

Description

전기기계식 릴레이, 모듈형 단자 및 전기기계식 릴레이 모듈
본 발명은 모듈형 단자에 삽입하기 위한 전기기계식 릴레이, 전기기계식 릴레이의 삽입을 위해 설계된 모듈형 단자 및 이러한 전기기계식 릴레이 및 이러한 모듈형 단자를 포함하는 전기기계식 릴레이 모듈에 관한 것이다.
DE 197 05 508 C1은 로커 아마추어(rocker armature)를 갖는 자기 모듈, 작동 모듈 및 하나의 평면에 위치되는 두 개의 토글 스위치를 구비하는 전기기계식 릴레이를 개시한다. 두 개의 토글 스위치의 연결 핀들과 코일은 전기기계식 릴레이의 하우징의 기저면 상에 2열로 설계된다. 따라서 공지의 릴레이는 하나의 토클 스위치를 구비하는 전기기계식 릴레이와 비교하여 그 폭이 2배이다.
본 발명은, 하나의 토글 스위치를 구비하는 전기기계식 릴레이와 비교하여 그 설치 폭이 증가될 필요가 없고 그럼에도 불구하고 연결 요소들 간의 정해진 절연을 유지하도록 충분한 절연 및 최소 간격이 유지될 수 있는, 2개의 토글 스위치를 구비하는 전기기계식 릴레이를 생성하는 목적에 기초하고 있다. 최소 간격은 예를 들어 5.5mm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태양은 두 개의 토글 스위치를 구비하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기계식 릴레이가 설치되고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 모듈형 단자를 생성하는 것일 수 있다.
다른 태양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기계식 릴레이 및 본 발명에 따른 모듈형 단자를 포함하는 전기기계식 릴레이 모듈을 생성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핵심 사상은 토글 스위치들의 연결 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의 연결 요소 및/또는 코일이 릴레이 하우징의 측면 또는 양 측면을 통해 외부로 나간다는 것일 수 있다.
위에서 설명한 기술적 문제는 청구항 1의 피처들에 의해 해결된다.
따라서 모듈형 단자에 삽입하기 위한 전기기계식 릴레이가 생성된다. 릴레이는 종축선을 갖는 코일, 코일 코어 및 아마추어를 구비하는 자기 시스템을 구비한다. 릴레이는 모듈형 단자에 코일의 종축선과 직각으로 진행하는 플러그인(plug-in) 방향, 즉 삽입 방향으로 삽입될 수 있다. 아마추어는 코일의 종축선과 직각으로 그리고 삽입 방향과 직각으로 진행하는 축선에 대해 선회 가능하도록 제1 위치 및 제2 위치에 장착된다. 전기기계식 릴레이는 또한 서로 대향하는 제1 측면 및 제2 측면을 포함하는 하우징을 구비하며, 제1 측면 및 제2 측면 각각이 코일의 종축선과 직교하게 배치되고 그리고 제1 측면 및 제2 측면 각각이 삽입 방향과 평행하게 진행하는 종축선을 구비한다. 또한, 전기기계식 릴레이는 두 개의 고정 접점과 하나의 접촉 스프링을 포한하는 제1 토글 스위치를 구비하며, 접촉 스프링은 고정 단부, 및 접촉 요소를 유지하며 두 개의 고정 접점 사이에서 이동 가능한 세그먼트를 구비한다. 또한, 두 개의 고정 접점 및 하나의 접촉 스프링을 구비하는 제2 토글 스위치가 구비되는데, 접촉 스프링은 고정 단부, 및 두 개의 접점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며 접촉 요소를 유지하는 세그먼트를 구비하고, 제1 토글 스위치 및 제2 토글 스위치는 제1 및 제2 측면들의 종축선을 따라 하우징 내부의 서로 다른 위치들에 배치된다. 또한, 전기기계식 릴레이는 작동 장치를 포함하되, 작동 장치는 제1 및 제2 토글 스위치들의 접촉 스프링들의 가동 세그먼트들을 아마추어에 결합시키며 측면들의 종축선을 따라 이동 가능하다. 제1 토글 스위치의 하나의 고정 접점은 제1 연결 요소에 연결되고, 제1 토글 스위치의 다른 고정 접점은 제2 연결 요소에 연결된다. 제2 토글 스위치의 하나의 고정 접점은 제3 연결 요소에 연결되고, 제2 토글 스위치의 다른 고정 접점은 제4 연결 요소에 연결된다. 제2 토글 스위치의 접촉 스프링의 고정 단부는 제5 연결 요소에 연결되고, 제1 토글 스위치의 접촉 스프링의 고정 단부는 제6 연결 요소에 연결된다. 코일은 제7 및 제8 연결 요소에 연결된다. 연결 요소들 각각은 하우징 외부에 놓이는 외부 세그먼트를 구비하며, 예를 들어 연결 핀들로 구현될 수 있다. 연결 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의 연결 요소가 제1 측면 외부로 도출되고, 적어도 하나의 다른 연결 요소는 제2 측면 외부로 도출된다. 대안적으로, 연결 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의 연결 요소가 두 측면들 중 하나의 측면 외부로 도출될 수 있다.
유리한 개선예에 따르면, 하우징은 제1 및 제2 측면들에 인접하고 삽입 방향과 직각으로 배치되는 기저면을 구비한다. 연결 요소들 중 적어도 두 개의 연결 요소가 별도의 출구 지점들에서 제1 측면 외부로 도출되고, 적어도 두 개의 다른 연결 요소는 별도의 출구 지점들에서 제2 측면 외부로 도출된다.
제1 및 제2 측면들 외부로 도출되는 연결 요소들의 외부 세그먼트들 각각은 적어도 일부 세그먼트들에서 코일의 종축선을 따라 연장한다. 제1 측면의 별도의 출구 지점들은 기저면으로부터의 거리가 서로 다르고, 제2 측면의 별도의 출구 지점들도 유사하다. 제1 측면 외부로 도출되는 연결 요소들의 외부 세그먼트들 각각은 제1 측면의 출구 지점들의 기저면으로부터의 거리에 따라 증가하는, 코일의 종축선을 따르는 연장부를 구비한다. 유사하게, 제2 측면 외부로 도출되는 연결 요소들의 외부 세그먼트들 각각은 제2 측면의 출구 지점들의 기저면으로부터의 거리에 따라 증가하는, 코일의 종축선을 따르는 연장부를 구비한다.
연결 요소들 사이의 거리들을 증가시키고 그리고 연결 요소들 간의 전기적 절연을 증가시킬 수 있도록, 기저면으로부터 제1 토글 스위치까지의 거리는 기저면으로부터 제2 토글 스위치까지의 거리보다 짧을 수 있다. 이 경우, 제2 토글 스위치의 접촉 스프링의 고정 단부에 연결되는 제5 연결 요소가 제1 측면 외부로 도출되고; 제2 토글 스위치의 고정 접점들 중 하나의 고정 접점에 연결되는 제3 연결 요소는 제2 측면 외부로 도출되고; 제2 토글 스위치의 다른 고정 접점에 연결되는 제4 연결 요소는 제2 측면 외부로 도출되고; 제1 토글 스위치의 고정 접점들 중 하나의 고정 접점에 연결되는 제1 연결 요소는 제1 측면 외부로 도출된다. 제1 및 제5 연결 요소들의 외부 세그먼트들 각각은 코일의 종축선을 따라 연장하되, 제1 연결 요소의 외부 세그먼트는 기저면으로부터의 거리가 제5 연결 요소의 외부 세그먼트보다 짧고, 제1 연결 요소의 외부 세그먼트는 코일의 종축선을 따라 제5 연결 요소의 외부 세그먼트보다 짧다. 유사하게, 제3 및 제4 연결 요소들의 외부 세그먼트들 각각은 코일의 종축선을 따라 연장할 수 있는데, 제4 연결 요소의 외부 세그먼트는 기저면으로부터의 거리가 제3 연결 요소의 외부 세그먼트보다 짧고, 제4 연결 요소의 외부 세그먼트는 코일의 종축선을 따라 제3 연결 요소의 외부 세그먼트보다 짧다.
제1 토글 스위치의 접촉 스프링의 고정 단부가 제2 측면 근처에 배치되고, 제1 토글 스위치의 접촉 스프링의 가동 세그먼트의 접촉 요소 및 제1 토글 스위치의 고정 접점들이 제1 측면 근처에 배치되는 반면, 제2 토글 스위치의 접촉 스프링의 고정 단부가 제1 측면 근처에 배치되고, 제2 토글 스위치의 접촉 스프링의 가동 세그먼트의 접촉 요소 및 제2 토글 스위치의 고정 접점들이 제2 측면 근처에 배치되면, 컴팩트한 디자인이 달성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두 개의 접촉 스프링들이 두 측면 사이에서 릴레이 하우징의 전체 길이에 걸쳐 서로 본질적으로 평행하게 연장할 수 있다.
제1 및 제4 연결 요소들의 외부 세그먼트들이 코일의 종축선과 본질적으로 평행하게 진행하는 제1 평면에 놓이는 반면, 제3 및 제5 연결 요소들의 외부 세그먼트들이 코일의 종축선과 본질적으로 평행하게 진행하는 제2 평면에 놓이면, 접촉 요소들의 대칭적인 배치 형태가 달성될 수 있다. 제1 평면은 기저면으로부터의 거리가 제2 평면보다 짧다.
연결 요소들 사이의 거리 및 전기 절연을 더 개선할 수 있도록, 제1 토글 스위치의 다른 고정 접점에 연결되는 제2 연결 요소의 외부 세그먼트가 다른 출구 지점에서 제1 측면 외부로 도출될 수 있고 그리고 삽입 방향으로 연장할 수 있는 반면, 제1 토글 스위치의 접촉 스프링의 고정 단부에 연결되는 제6 연결 요소의 외부 세그먼트는 다른 출구 지점에서 제2 측면 외부로 도출되고 그리고 삽입 방향으로 연장한다. 추가 출구 지점들이 기저면과 본질적으로 평행하게 진행하는 제3 평면에 위치되는데, 제3 평면은 기저면으로부터의 거리가 제1 평면보다 짧다.
작동 장치가 제1 액추에이터 및 제2 액추에이터를 구비하는 점에 의해 컴팩트한 디자인이 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액추에이터는 제1 토글 스위치의 접촉 스프링의 가동 세그먼트에 연결되며 그리고 제2 액추에이터는 제2 토글 스위치의 접촉 스프링의 가동 세그먼트에 연결되고; 자기 시스템, 예컨대 코일 또는 코일 코어는 제1 측면과 대향하는 제1 단부면 및 제2 측면과 대향하는 제2 단부면을 구비하고; 제1 액추에이터는 제1 측면과 제1 단부면 사이에 배치되며 그리고 제2 액추에이터는 자기 시스템의 제2 단부면과 제2 측면 사이에 배치되고; 그리고 아마추어는 제1 및 제2 액추에이터들 사이에 배치되며 일측 단부가 제1 액추에이터와 계합되고 다른 단부가 제2 액추에이터와 계합되는 리프트 스프링을 구비한다. 제1 및 제2 액추에이터들은 각각 봉 또는 기둥의 형태로 설계될 수 있다.
제7 및 제8 연결 요소들의 외부 세그먼트들은 기저면 외부로 도출되고 그리고 삽입 방향으로 연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컴팩트한 디자인을 얻기 위해, 아마추어, 코일 및 접촉 스프링들이 샌드위치 구조로 배치될 수 있고, 이들 각각이 코일의 종축선을 따르는 세장형 연장부를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접촉 스프링들은 공지의 호환 가능한 접근 방식들, 예컨대 DE 197 05 508 C1에서 공지된 것과 같은 방식의 경우에서보다 큰 전기 절연이 접촉 스프링들 사이에 달성될 수 있는 방식으로 종래 기술보다 길게 설계될 수 있다.
상술한 기술적 문제는 청구항 10의 피처들에 의해서도 또한 해결된다.
따라서 두 개의 토글 스위치를 구비하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기계식 릴레이를 수용하기 위한 모듈형 단자가 제공된다. 모듈형 단자는 릴레이들 수용하도록 설계된 오목부를 갖는 하우징을 구비한다. 릴레이의 연결 요소들에 대한 전기적 연결을 위해 설계된 연결 요소들이 오목부에 배치된다.
상술한 기술적 문제는 청구항 11의 피처들에 의해서도 또한 해결된다.
따라서 이는 서로 전기적으로 그리고 기계적으로 결합될 수 있는, 본 발명에 따른 모듈형 단자 및 본 발명에 따른 전기기계식 릴레이를 구비하는 전기기계식 릴레이 모듈을 생성한다. 이를 위해, 가이드 요소들이 릴레이 하우징의 제1 및/또는 제2 측면들에 배치될 수 있고, 이 가이드 요소들은 릴레이가 모듈형 단자에 삽입될 때 모듈형 단자의 상보적인 가이드 요소들과 함께 작동한다.
제1 및 제2 측면들 각각의 횡축선이 전기기계식 릴레이의 하우징의 폭을 규정하도록 전기기계식 릴레이의 하우징과 모듈형 단자의 하우징은 본질적으로 동일한 폭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기기계식 릴레이의 하우징은 5 내지 6mm의 폭을 가지고 모듈형 단자의 하우징은 6 내지 7mm의 폭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 덕분에, 설치 폭을 변경하지 않으면서도 전기기계식 릴레이의 연결 요소들의 수가 증가될 수 있다.
아래에서 첨부 도면과 결부된 실시예에 기초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기계식 릴레이가 작업 위치에 있는 모습을 하우징의 전방벽이 제거된 상태로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릴레이가 휴지 위치에 있는 모습을 도시한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릴레이를 전방벽이 삽입된 상태로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액추에이터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전기기계식 릴레이 및 모듈형 단자를 구비하는 전기기계식 릴레이 모듈을 장착 전의 상태로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전기기계식 릴레이 모듈을 장착 상태로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전기기계식 릴레이 모듈을 단자 쉘 전방 절반부가 제거된 상태로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위치를 보다 잘 설명하기 위해, 도 1을 3차원 좌표계로 나타내는데, 도면에서 z축선이 도시 평면 밖으로 수직하게 돌출된다.
도 1은 도 7에 상세하게 도시된 모듈형 단자(2)에 삽입하기 위한 전자기계식 릴레이(1)의 예를 도시한다.
전기기계식 릴레이(1)는 자기 시스템을 구비하며, 자기 시스템은 종축선(L)을 갖는 코일(3), 코일 코어(4) 및 아마추어(5)를 구비한다. 코일의 종축선은 도 1에서 x 축선과 평행하게 진행하는 파선(L)으로 도시되어 있다. 예를 들어, 아마추어(5)는 작동 위치에 있는데, 즉 코일(3)이 전류를 운반하고 있고 아마추어는 구동된다. 릴레이(1)는 코일(3)의 종축선(L)과 직교하게 진행하는 삽입 방향(S)으로 모듈형 단자(2)에 삽입될 수 있다. 삽입 방향은 도 1에서 y 방향을 가리키는 화살표로 표시되어 있다.
아마추어(5)는 코일(3)의 종축선(L)과 직교하게 그리고 삽입 방향과 직교하게 진행하는 축선, 즉 좌표계의 z 방향에 대해 제1 위치 및 제2 위치로 선회될 수 있도록 장착되는 로커 아마추어인 것이 바람직하다. 대응하는 선회 베어링은 도 1에서 도면 번호 6으로 표시된다.
전기기계식 릴레이(1)는 서로 반대인 제1 측면(7a) 및 제2 측면(7b)을 구비하는 하우징(7)에 배치되는데, 제1 측면과 제2 측면은 각각 코일(3)의 종축선과 직교하며 그리고 각각 삽입 방향과 평행하게 진행하는 종축선을 구비한다. 따라서 측면들(7a, 7b)은 각각 y 축선과 z 축선에 걸치는 평행한 평면들에 놓인다. 두 측면(7a, 7b)은 각각 z 방향을 가리키며 전기기계식 릴레이(1)의 설치 폭을 결정하는 폭(B)의 횡축선을 구비한다. 설치 폭은 5 내지 6mm인 것이 바람직하다.
삽입 방향과 직교하며 x 방향의 종축선 및 z 방향의 횡축선을 구비하는, 바닥면이라고도 하는 기저면(7c)이 두 측면(7a, 7b)에 인접해 있을 수 있다. 기저면(7c)은 적어도 일부 부분들에서 코일(4)의 종축선과 평행하게 진행할 수 있다. 하우징(7)의 전방벽은 제거되어 있지만, 후방벽(7e)과 상측부(7d)는 도시되어 있다.
전기기계식 릴레이(1)는 2개의 고정 접점(9, 10) 및 한 개의 접촉 스프링(11)을 구비하는 제1 토글 스위치(8)를 구비한다. 접촉 스프링(11)은 고정 단부(12)와 접촉 요소(13)를 유지하며 2개의 고정 접점(8, 9) 사이에서 이동할 수 있는 세그먼트(14)를 구비한다. 전기기계식 릴레이(1)는 또한 제2 토글 스위치(15)를 구비하며, 제2 토글 스위치는 2개의 고정 접점(16, 17) 및 접촉 스프링(18)을 구비한다. 접촉 스프링(18)은 고정 단부(20b) 및 세그먼트(20)를 구비하지만, 접촉 요소(19)를 유지하며 2개의 고정 접점(16, 17) 사이에서 이동할 수 있다. 제1 토글 스위치(8)와 제2 토글 스위치(15)는 하우징(7) 내의 서로 다른 위치에서 측면들(7a, 7b)의 종축선을 따라, 즉 y 축선을 따라 배치된다.
또한, 전기기계식 릴레이(1)는 제1 토글 스위치(8)의 접촉 스프링(11)의 가동 세그먼트(14) 및 제2 토글 스위치(15)의 접촉 스프링(18)의 가동 세그먼트(20)를 아마추어(5)에 결합시키는 작동 장치(21, 21, 21b)를 구비한다. 작동 장치(21)는 측면들(7a, 7b)의 종축선들을 따라, 즉 좌표계의 y 방향으로 전후로 움직일 수 있다.
제1 토글 스위치(8)의 고정 접점(9)은 제1 연결 요소(22)에 연결된다. 제1 토글 스위치(8)의 다른 고정 접점(10)은 제2 연결 요소(23)에 연결된다. 제2 토글 스위치(15)의 고정 접점(16)은 제3 연결 요소(24)에 연결된다. 제2 토글 스위치(15)의 다른 고정 접점(17)은 제4 연결 요소(25)에 연결된다. 제2 토글 스위치(15)의 접촉 스프링(18)의 고정 단부(19)는 제5 연결 요소(26)에 연결된다. 제1 토글 스위치8)의 접촉 스프링(11)의 고정 단부(12)는 제6 연결 요소(27)에 연결된다. 코일(3)은 제7 연결 요소(31) 및/또는 제8 연결 요소(32)에 각각 연결되는 2개의 단자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연결 요소들(22 내지 27, 31, 32)은 각각 하우징 외부(7)에 위치되는 외부 세그먼트를 구비한다.
따라서 연결 요소(22)는 외부 세그먼트(22a)를 구비하고, 연결 요소(23)는 외부 세그먼트(23a)를 구비하고, 연결 요소(24)는 외부 세그먼트(24a)를 구비하고, 연결 요소(25)는 외부 세그먼트(25a)를 구비하고, 연결 요소(26)는 외부 세그먼트(26a)를 구비하고, 연결 요소(27)는 외부 세그먼트(27a)를 구비하고, 연결 요소(31)는 외부 세그먼트(31a)를 구비하고, 연결 요소(32)는 외부 세그먼트(32a)를 구비한다. 연결 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의 연결 요소, 예를 들어 연결 요소(26)가 제1 측면(7a) 외부로 도출되는 반면, 다른 연결 요소, 예를 들어 연결 요소(24)는 제2 측면(7b) 외부로 도출된다. 대안적으로, 연결 요소들(22 내지 27, 31, 32)은 2개의 측면(7a, 7b) 중 하나의 측면 외부로 도출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2개의 연결 요소가 별도의 출구 지점들(28a, 28b)에서 제1 측면(7a) 외부로 도출된다. 출구 지점들(28a, 28b)은 측면(7a)에 개구들로 구현(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연결 요소들(22, 26)은 제1 측면(7a) 외부로 도출될 수 있다. 유사하게, 적어도 2개의 다른 연결 요소, 예를 들어 연결 요소들(24, 26)이 별도의 출구 지점들(29a, 29b)에서 제2 측면(7b) 외부로 도출될 수 있다. 출구 지점들(28a, 28b) 또한 측면(7a)에서 개구들로 구현될 수 있다.
연결 요소들(22, 26)의 외부 세그먼트들(22a, 26b)은 제1 측면(7a) 외부로 도출되고, 연결 요소들(24, 25)의 외부 세그먼트들(24a, 25a)은 제2 측면(7b) 외부로 도출되며, 외부 세그먼트들 각각은 적어도 일부 세그먼트가 코일(3)의 종축선을 따라, 즉 x 및/또는 -x 방향으로 연장한다. 제1 측면(7a)의 별도의 출구 지점들(28a, 28b)은 기저면(7c)으로부터의 거리가 각기 다르다. 예를 들어, 출구 지점(28a)은 기저면(7c)으로부터의 거리가 출구 지점(28b)보다 더 짧다. 제2 측면(7b)의 별도의 출구 지점들(29a, 29b)은 기저면(7c)으로부터의 거리가 각기 다르다. 예를 들어, 출구 지점(29a)은 기저면(7c)으로부터의 거리가 출구 지점(29b)보다 더 짧다.
연결 요소들(22, 26)의 외부 세그먼트들(22a, 26a)은 제1 측면(7a) 외부로 도출되되, 외부 세그먼트들 각각은 코일(3)의 종축선을 따르는, 즉 -x 방향의 외부 연장부를 구비하며, 이 연장부는 제1 측면(7a)의 출구 지점들(22a, 26a)의 기저면(7c)까지의 거리에 따라 증가한다. 달리 말하면, 외부 세그먼트(22a)의 기저면(7c)으로부터의 거리가 외부 세그먼트(26a)의 기저면으로부터의 거리보다 짧기 때문에, 외부 세그먼트(22a)는, 측면(7a)에서 시작하여, 외부 세그먼트(22a)보다 -x 방향으로 더 연장한다.
이는 외부 세그먼트들(24a, 25a)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연결 요소들(24, 25)의 외부 세그먼트들(24a, 25a)은 제2 측면(7b) 외부로 도출되고, 외부 세그먼트들 각각은 코일(3)의 종축선을 따르는, 즉 x 방향의 연장부를 구비하며, 이 연장부는 제2 측면(7b)의 출구 지점들(24a, 25a)의 기저면(7c)까지의 거리와 함께 증가한다. 달리 말하면, 외부 세그먼트(25a)의 기저면(7c)으로부터의 거리가 외부 세그먼트(24a)의 기저면으로부터의 거리보다 짧기 때문에, 외부 세그먼트(24a)는, 측면(7b)에서 시작하여, 외부 세그먼트(25a)보다 x 방향으로 더 연장한다.
예를 들어, 연결 요소들(22, 24, 25, 26)의 경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x 축선을 따라서만 연장하는 세장형 연결 핀들을 고려하면, 외부 세그먼트(22a)는 외부 세그먼트(26a)보다 짧고 외부 세그먼트(25a)는 외부 세그먼트(24a)보다 짧다. 달리 말하면, 측면(7a)과 외부 세그먼트(22a)의 외측 단부 간의 거리가 측면(7a)과 외부 세그먼트(26a)의 외측 단부 간의 거리보다 짧다.
작동 장치(21)는 삽입 방향과 평행하게 진행하는, 즉 y 방향 및 -y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제1 액추에이터(21a) 및 제2 액추에이터(21b)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액추에이터들(21a, 21b)은 봉 형상 또는 기둥 형상으로 설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동 세그먼트(14)의 전방 단부가 제1 액추에이터(21a)의 슬롯 또는 대응하는 개구에 삽입되므로, 제1 액추에이터(21a)는 제1 토글 스위치(8)의 접촉 스프링(11)의 가동 세그먼트(14)에 연결된다. 유사하게, 가동 세그먼트(20)의 단부가 제2 액추에이터(21b)의 슬롯(51) 또는 개구에서 도출되므로, 제2 액추에이터(21b)는 제2 토글 스위치(15)의 접촉 스프링(18)의 가동 세그먼트(20)에 연결된다.
도 4는 슬롯(51)을 구비하는 액추에이터(21b)를 예시적으로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또한, 액추에이터(21b)는 추가 슬롯(51)을 구비할 수 있는데, 아마추어(5)에 부착될 수 있는 스트로크-제한 스프링(30)의 일측 단부가 이 추가 슬롯에 삽입될 수 있다. 액추에이터(21b)는 저부 영역에 오목부(52)를 구비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액추에이터(21b)는 아무런 방해도 받지 않고 연결 요소들(24, 25)을 지나서 이동할 수 있다. 액추에이터(21a)는 액추에이터(21b)와 유사하게 설계되고, 이에 따라 스트로크-제한 스프링(30)의 타측 단부를 수용할 수 있으며 그리고 아무런 방해도 받지 않고 연결 요소들(22, 26)을 지나서 이동할 수 있다. 스트로크-제한 스프링(30)은 양측에서 액추에이터(21a) 및 액추에이터(21b)에 끼워져 계합되고, 스트로크-제한 스프링과 액추에이터들은 서로에 대해 꽉 조여진다. 이에 따라 신장된 스프링 세그먼트들의 펼쳐짐에 의해 접촉력이 달성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제1 토글 스위치(8)의 기저면(7c)으로부터의 거리가 제2 토글 스위치(15)의 기저면(7c)으로부터의 거리보다 짧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배치 형태가 예시적으로 생성된다. 즉 제2 토글 스위치(15)의 접촉 스프링(18)의 고정 단부(20b)에 연결되는 제5 연결 요소(26)가 출구 지점(28b)에서 제1 측면(7a) 외부로 도출된다. 제2 토글 스위치(15)의 제2 접점(16)에 연결되는 제3 연결 요소(24)는 출구 지점(29b)에서 제2 측면(7b) 외부로 도출된다. 제2 토글 스위치(15)의 고정 접점(17)에 연결되는 제4 연결 요소(25)는 출구 지점(29a)에서 제2 측면(7b) 외부로 도출된다. 제1 토글 스위치(8)의 고정 접점(9)에 연결되는 제1 연결 요소(22)는 출구 지점(28a)에서 제1 측면(7a) 외부로 도출된다. 제1 연결 요소(22)의 외부 세그먼트(22a)와 제5 연결 요소(25)의 외부 세그먼트(26)는 각각 코일(3)의 종축선(L)을 따라 연장하고, 제1 연결 요소(22)의 외부 세그먼트(22a) 및/또는 출구 지점(28a)은 각각 제5 연결 요소(26)의 외부 세그먼트(26a) 또는 출구 지점(28b)보다 기저면(7c)으로부터의 거리가 더 짧다. 또한, 외부 세그먼트(22a)는 코일(3)의 종축선을 따라, 즉 -x 방향으로 외부 세그먼트(26a)보다 더 짧다. 제3 연결 요소(24)의 외부 세그먼트(24a) 및 제4 연결 요소(25)의 외부 세그먼트(25a)는 각각 코일(3)의 종축선을 따라, 즉 -x 방향으로 연장하고, 제4 연결 요소(25)의 외부 세그먼트(25a) 및/또는 출구 지점(29a)은 출구 지점(29b) 및/또는 제3 연결 요소(25)의 외부 세그먼트(25a)보다 기저면(7a)으로부터의 거리가 더 짧다. 또한, 외부 세그먼트(225)는 코일(3)의 종축선을 따라, 즉 x 방향으로 외부 세그먼트(24a)보다 더 짧다. 외부 세그먼트들(22a, 25a)의 길이가 동일하고 외부 세그먼트들(24a, 26a)의 그 길이가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제1 토글 스위치(8)의 접촉 스프링(11)의 고정 단부(12)는 제2 측면(7b) 근처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가동 세그먼트(14)에 부착되고 제1 토글 스위치(8)의 접촉 스프링(11)에 속하는 접촉 요소(13) 및 제1 토글 스위치(8)의 고정 접점들(9, 10)은 제1 측면(7a) 근처에 그리고 기저면(7c) 근처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토글 스위치의 접촉 스프링(18)의 고정 단부(20b)는 제1 측면 근처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제2 토글 스위치의 접촉 스프링의 가동 세그먼트의 접촉 요소 및 제2 토글 스위치의 고정 접점들은 제2 측면 근처에 배치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접촉 스프링들(11, 18)이 양 측면들(7a, 7b)에 의해 경계 지어지는 하우징의 거의 전체 길이에 걸쳐 연장한다. 두 개의 접촉 스프링(11, 18)은 x 축선, 즉 코일(3)의 종축선을 따라 본질적으로 서로 평행하게 진행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길이가 긴 접촉 스프링들이 서로에 대해 적절한 전기 절연을 보장하는 거리만큼 서로 떨어져 설치될 수 있고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조치 덕분에, 하우징(7)의 설치 폭을 변경하지 않고도 접점들 및/또는 연결 요소들의 외부 세그먼트들 간의 예를 들어 5.5mm의 표준 최소 거리가 유지될 수 있다.
제1 연결 요소(22)의 외부 세그먼트(22a) 및 제4 연결 요소(25)의 외부 세그먼트(25a)는 기저면(7c)과 본질적으로 평행하게 진행하는 제1 평면에 놓이는 것이 유리하다.
제3 연결 요소(24)의 외부 세그먼트(24a) 및 제5 연결 요소(26)의 외부 세그먼트(26a)는 기저면(7c)과 본질적으로 평행하게 진행하는 제2 평면에 놓이는 것이 유리하다. 제1 평면은 제2 평면보다 기저면(7c)으로부터의 거리가 더 짧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제1 토글 스위치(8)의 다른 고정 접점(10)에 연결되는 제2 연결 요소(23)의 외부 세그먼트(23a)가 다른 출구 지점(28c)에서 제1 측면(7a) 외부로 도출될 수 있다. 출구 지점(28c)이 출구 지점들(28a, 28b)과 비교하여 기저면(7c)로부터의 거리가 가장 짧기 때문에, 외부 세그먼트(23a)가 또한 외부 세그먼트들(22a, 26a)과 비교하여 -x 방향으로 가장 짧은 연장부를 구비하는 것이 유리하다. 유사하게, 제1 토글 스위치(8)의 고정 단부(12)에 연결되는 제6 연결 요소(270의 외부 세그먼트(27a)가 다른 출구 지점(29c)에서 제2 측면(7b) 외부로 도출될 수 있다. 출구 지점(29c)이 출구 지점들(29a, 29b)와 비교하여 기저면(7c)으로부터의 거리가 가장 짧기 때문에, 외부 세그먼트(27a)가 또한 외부 세그먼트들(25a, 24a)과 비교하여 x 방향으로 최단 연장부를 구비하는 것이 유리하다. 외부 세그먼트들(23a, 27a)의 가장 큰 부분은 삽입 방향으로, 즉 측면(7a) 및/또는 측면(7b)과 평행하게 연장한다. 외부 세그먼트(23a)와 측면(7a) 간의 거리 및 외부 세그먼트(27a)와 측면(7b) 간의 거리는 영(0)에 근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출구 지점들(28c, 29c)은 기저면과 본질적으로 평행하게 진행하고 제2 평면보다 기저면(7c)으로부터의 거리가 짧은 제3 평면에 놓일 수 있다.
외부 세그먼트들(23a, 27a) 각각의 -x 및 x 방향들로의 연장부가 동일하고, 외부 세그먼트들(22a, 25)의 길이가 동일하고 그리고 외부 세그먼트들(26a, 26a)의 길이가 동일할 때, 외부 세그먼트들의 대칭적인 배치 형태가 얻어진다. 대안적으로 외부 세그먼트들(23a, 27)이 또한 기저면(7c) 외부로 도출될 수도 있다.
자기 시스템, 특히 코일(3)또는 코일 코어(4)가 제1 측면(7a)과 대향하는 제1 단부면(90a) 및 좁은 제2 측면(7b)과 대향하는 제2 단부면(90b)을 포함함으로써, 제1 액추에이터(21a)는 제1 측면(7a) 및 제1 단부면(90a) 사이에 배치되고 제2 액추에이터(21b)는 제2 단부면(90b)과 좁은 제2 측면(7b) 사이에 배치된다. 로커 아마추어로 구현되는 아마추어(5)가 제1 액추에이터(21a)와 제2 액추에이터(21b) 사이에 배치된다.
코일(3)은 공지된 방식으로 제7 연결 요소(31) 및 제8 연결 요소(32)에 연결된다. 제7 연결 요소(31)는 외부 세그먼트(31a)를 구비하고, 제8 연결 요소(32)는 외부 세그먼트(32a)를 구비한다. 외부 세그먼트들(31a, 32a)은 하우징의 기저면(7c) 외부로 도출될 수 있다. 외부 세그먼트들은 삽입 방향, 즉 -y 방향으로 연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에 도시된 전기기계식 릴레이는 샌드위치 구조, 즉 - 특히 아마추어(5) 및 코일(3)을 포함하는 - 자기 시스템 및 접촉 스프링들(11, 18)이 각기 다른 평면들에 배치되고, 이들 각각이 본질적으로 x 축선 및 z 축선에 걸치며 y 방향에 대해 각기 다른 높이들에 배치되는 구조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달리 말하면, 아마추어(5), 코일(3) 및 접촉 스프링들(11, 18) 각각이 도시된 바와 같이 코일(3)의 종축선을 따라 x 방향으로 연장한다.
또한, 접촉 스프링들(11, 18)은 자기 시스템 아래에, 즉 y 축선에 대해 코일(3)과 기저면(7c) 사이에 배치된다. 아마추어(5)는 코일(3) 위에 놓인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촉 스프링들(11, 18)은 격벽(60)에 의해 서로 전기적으로 절연될 수 있다. 격벽(60)은 하우징(7)의 일부일 수 있다. 격벽(60)은 오목부들을 구비할 수 있고, 이 오목부들을 통해 액추에이터들(21a, 21b) 및 코일 단자들이 지나갈 수 있다.
각각의 연결 요소가 내부 세그먼트를 구비할 수 있고, 내부 세그먼트는 코일(3)의 종축선과 본질적으로 평행하게 정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점을 여기서 지적한다. 이러한 내부 세그먼트(27b)가 연결 요소(27)에 대해 도시되어 있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것과 동일한 전기기계식 릴레이(2)가 제2 아마추어 위치, 즉 휴지 위치에 있는 모습으로 도시한다. 이 경우, 코일(3)은 전류가 흐르지 않는다. 즉 연결 요소들(31, 32)에 전압이 인가되지 않는다. 휴지 위치에서 아마추어의 재설정은 스트로크-제한 스프링(30)에 의해 지원될 수 있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릴레이가 전방벽이 부착된 하우징(7) 내에 있는 상태를 도시한다. 이 도면에는 연결 요소들(22 내지 27, 31, 32)의 외부 세그먼트가 도시되어 있다.
도 5는 예시적인 모듈형 단자(2)가 장착되지 않은 상태로 하우징(70)에 있는 모습을 도시하는데, 도 3에 도시된 전기기계식 릴레이(1)가 여기서는 삽입 방향에 대해 180ㅀ로 회전된 상태로 도시되어 있다.
오목부(34)가 하우징(33)에 형성되고, 상단부에서, 즉 도 1에 도시된 좌표계에 대해 y 방향으로 개방됨으로써, 전기기계식 릴레이(1)가 모듈형 단자(2)에 삽입될 수 있다. 가이드 웹(43a) 및/또는 가이드 웹(43b)이 측면들(7a, 7b)에 구비되는데, 이들은 릴레이(1)가 모듈형 단자(2)의 오목부(80)에 삽입되고 있는 동안 하우징(70)에 형성된 상보적인 가이드 홈들(44)과 함께 작동하며, 가이드 홈들 중 하나는 도 7에 도시되어 있다.
릴레이(1)와 모듈형 단자(2)는 전기기계식 릴레이 모듈의 구성 부품들을 형성한다.
도 6은 도 5의 전기 기계식 릴레이 모듈을 장착 상태 및/또는 조립 상태로 도시한다.
도 7은 예시적인 모듈형 단자(2)를 하우징의 전방 절반부가 제거된 상태로 도시한다. 도 7은 특히 릴레이 하우징(7)의 가이드 웹(43) 및 하우징 후방 절반부(70a)의 가이드 홈(44)을 도시한다.
예를 들어, 연결 요소들(35, 36)은 즉 오목부(34)의 영역에서 릴레이 하우징(7)의 제1 측면(7a) 근처에 장착 상태로 후방 하우징 절반부(70a)에 구비된다. 연결 요소들은 릴레이(1)의 연결 요소(22, 26)의 외부 세그먼트(26a 및/또는 22a)와 짝이 된다. 연결 요소들(35, 36)은 연결 부싱들 또는 단자 클램프들로 설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기기계식 릴레이(1)의 삽입 상태에서, 연결 단자(35)는 전기기계식 릴레이의 제5 연결 요소(26)의 외부 세그먼트(26a)의 수준에 위치되고, 모듈형 단자(2)의 연결 단자(36)는 릴레이(1)의 제1 연결 요소(22)의 외부 세그먼트(22)의 수준에 위치된다. 장착 상태에서, 연결 단자(35)로부터 릴레이 하우징(7)의 측면(7a)까지의 거리는 연결 단자(36)로부터 릴레이 하우징의 측면까지의 거리보다 크다. 유사하게, 장착 상태에서, 연결 요소들(41, 42)은 릴레이 하우징(7)의 제2 측면(7b) 근처에 배치된다. 이 연결 요소들은 릴레이(1)의 연결 요소들의 외부 세그먼트들(25a 및/또는 24a)과 짝이 된다. 연결 요소들(41, 42)은 연결 부싱들 또는 단자들로 설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기기계식 릴레이(1)의 삽입 상태에서, 연결 단자(41)는 전기기계식 릴레이의 연결 요소(22)의 외부 세그먼트(22a)의 수준에 위치되고, 모듈형 단자(2)의 연결 단자(42)는 릴레이(1)의 연결 요소(26)의 외부 세그먼트(26)의 수준에 위치된다. 장착 상태에서, 연결 단자(42)로부터 릴레이 하우징(7)의 측면(7b)까지의 거리는 연결 단자(41)로부터 릴레이 하우징의 측면까지의 거리보다 크다.
도 1에 도시된 좌표계의 y 축선에 대해, 4개의 연결 부싱(37 내지 40)이 장착 상태의 하우징 후방 절반부(70a) 상에서 릴레이 하우징(7)의 기저면(7c) 아래에 배치되고, 이에 따라 장착 상태에서, 삽입 방향으로 진행하는 릴레이(1)의 연결 요소들의 외부 세그먼트들(23a, 32a, 31a, 27a)이 대응하는 연결 부싱들(37, 38, 39 및/또는 40)에 삽입된다.
연결 부싱들(37 내지 40)은 릴레이 하우징의 기저면(7c)과 평행하게 진행하고 그 아래에 놓이는 제1 평면에 놓이는 것이 바람직하다. 연결 단자들(41, 36)은 기저면(7c)과 평행하게 진행하는 제2 평면에 놓인다. 연결 단자들(35, 42)은, 역시 기저면(7c)과 평행하게 진행하지만 y 방향으로 기저면(7c)으로부터의 거리가 제2 평면보다 먼 제3 평면에 놓인다. 또한, 연결 단자들(42, 35)이 각각 연결 단자들(41, 36)보다 측면(7a) 및/또는 측면(7b)로부터 더 먼 거리에 배치된다. 연결 단자들(35, 36, 41, 42)의 거리들은 릴레이(1)의 모듈형 단자(2)에 대한 삽입시 외부 세그먼트들(23a, 22a, 27a, 25a)이 어떠한 방해도 받지 않고 연결 단자들(35, 36, 41, 42)을 지나서 안내될 수 있는 거리들이다.
모듈형 단자(2)는 외부로부터 액세스할 수 있는 다수의, 예를 들어 8개의 연결 단자들(80)을 구비하고, 단자들 각각은 연결 단자들(35 내지 42) 중 하나의 단자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제1 측면(7a)의 가로측과 제2 측면(7b)의 가로측이 릴레이 하우징(7)의 폭을 규정하도록 전기기계식 릴레이의 하우징(7)과 모듈형 단자(2)의 하우징은 본질적으로 동일한 폭을 가진다. 릴레이 하우징(7)은 5 내지 6mm의 폭을 가지고 모듈형 단자(2)의 하우징은 6 내지 7mm의 폭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적어도 일부 세그먼트들에서 릴레이 하우징(7)의 측면들(7a, 7b)을 통해 외부로 안내되는 전기기계식 릴레이의 연결 요소들의 특별한 배치 형태 덕분에, 두 개의 토글 스위치를 구비하는 전기기계식 릴레이가 5 내지 6mm의 전형적인 폭을 갖는 표준 하우징에 수용될 수 있고, 6 내지 7mm의 전형적인 폭을 갖는 하우징을 구비하는 모듈형 단자에 설치되고 전기적으로 접촉될 수 있어서 바람직하다.

Claims (14)

  1. 모듈형 단자(2)에 삽입하기 위한 전기기계식 릴레이(1)로,
    - 종축선을 갖는 코일(3), 코일 코어(4) 및 아마추어(5)를 구비하는 자기 시스템으로, 릴레이(1)가 코일(3)의 종축선(L)과 직교하게 진행하는 삽입 방향으로 모듈형 단자(2)에 삽입될 수 있고, 아마추어(5)는 코일(3)의 종축선과 직교하게 그리고 삽입 방향(S)과 직교하게 진행하는 제1 위치 및 제2 위치로 선회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자기 시스템,
    - 서로 대향하는 제1 측면(7a) 및 제2 측면(7b)을 구비하되, 제1 측면 및 제2 측면 각각이 코일(3)의 종축선과 직교하게 배치되고 그리고 제1 측면 및 제2 측면 각각이 삽입 방향(S)과 평행하게 진행하는 종축선을 가지는 하우징(7),
    - 두 개의 고정 접점(9, 10) 및 접촉 스프링(11)을 구비하되, 접촉 스프링(11)이 하나의 고정 단부(12), 및 접촉 요소(13)를 유지하며 두 개의 고정 접점(9, 10) 사이에서 이동 가능한 하나의 세그먼트(14)를 구비하는 제1 토글 스위치(8),
    - 두 개의 고정 접점(16, 17) 및 하나의 접촉 스프링(18)을 구비하되, 접촉 스프링(18)이 고정 단부(20b), 및 접촉 요소(19)를 유지하며 두 개의 고정 접점(16, 17) 사이에서 이동 가능한 세그먼트(20)를 구비하는 제2 토글 스위치(15)로, 제1 토글 스위치(8) 및 제2 토글 스위치(15)가 제1 및 제2 측면들(7a, 7b)의 종축선들을 따라 하우징(7) 내부의 서로 다른 위치들에 배치되도록 된 제2 토글 스위치, 및
    - 제1 및 제2 토글 스위치들(11, 18)의 접촉 스프링들(11, 18)의 가동 세그먼트들(14, 20)을 아마추어(5)에 결합시키고 제1 및 제2 측면들(7a, 7b)의 종축선들을 따라 이동될 수 있는 작동 장치(21, 21a, 21b)를 포함하며,
    제1 토글 스위치(8)의 하나의 고정 접점(9)이 제1 연결 요소(22)에 연결되고,
    제1 토글 스위치(8)의 다른 고정 접점(10)이 제2 연결 요소(23)에 연결되고,
    제2 토글 스위치(15)의 하나의 고정 접점(16)이 제3 연결 요소(24)에 연결되고,
    제2 토글 스위치(15)의 다른 고정 접점(17)이 제4 연결 요소(25)에 연결되고,
    제2 토글 스위치(15)의 접촉 스프링(18)의 고정 단부(20b)가 제5 연결 요소(26)에 연결되고,
    제1 토글 스위치(8)의 접촉 스프링(11)의 고정 단부(12)가 제6 연결 요소(27)에 연결되고,
    코일(3)은 제7 및 제8 연결 요소(31, 32)에 연결되고,
    연결 요소들(22 내지 27, 31, 32) 각각이 하우징(7)의 외부에 놓이는 외부 세그먼트들(22a 내지 27a, 31a, 32a)을 구비하되, 연결 요소들(22 내지 27, 31, 32) 중 적어도 하나의 연결 요소가 제1 측면(7a) 외부로 도출되고 적어도 하나의 추가 연결 요소(22 내지 27, 31, 32)가 제2 측면(7b) 외부로 도출되거나, 혹은 연결 요소들(22 내지 27, 31, 32) 중 적어도 하나의 연결 요소가 두 측면들(7a, 7b) 중 하나의 측면 외부로 도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기계식 릴레이.
  2. 청구항 1에 있어서,
    하우징(7)이 제1 및 제2 측면들(7a, 7b)에 인접하고 삽입 방향과 직교하게 배치되는 기저면(7c)을 구비하고;
    연결 요소들 중 적어도 두 개의 연결 요소(22, 26)가 별도의 출구 지점들(28a, 28b)에서 제1 측면(7a) 외부로 도출되고, 적어도 두 개의 다른 연결 요소(24, 25)가 별도의 출구 지점들(29a, 29b)에서 제2 측면(7b) 외부로 도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기계식 릴레이.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기저면(7c)로부터 제1 토글 스위치(8)까지의 거리가 기저면(7c)로부터 제2 토글 스위치(15)까지의 거리보다 작고;
    제2 토글 스위치(15)의 접촉 스프링(18)의 고정 단부(20b)에 연결되는 제5 연결 요소(26)가 제1 측면(7a) 외부로 도출되고;
    제2 토글 스위치(15)의 고정 접점들 중 하나의 접점(16)에 연결되는 제3 연결 요소(24)가 제2 측면(7b) 외부로 도출되고;
    제2 토글 스위치(15)의 고정 접점들 중 다른 접점(17)에 연결되는 제4 연결 요소(25)가 제2 측면(7b) 외부로 도출되고;
    제1 토글 스위치(8)의 고정 접점들 중 하나의 접점(9)에 연결되는 제1 연결 요소(22)가 제1 측면(7a) 외부로 도출되고;
    제1 및 제5 연결 요소들(22, 26)의 외부 세그먼트들(22a, 26a) 각각이 코일(3)의 종축선을 따라 연장하되, 제1 연결 요소(22)의 외부 세그먼트(22a)는 기저면(7c)로부터의 거리가 제5 연결 요소(26)의 외부 세그먼트(26a)의 기저면로부터의 거리보다 짧으며, 코일(3)의 종축선(L)을 따르는 제1 연결 요소(22)의 외부 세그먼트(22a)는 코일의 종축선을 따르는 제5 연결 요소(26)의 외부 세그먼트(26a)보다 짧고;
    제3 및 제4 연결 요소들(24, 25)의 외부 세그먼트들(24a, 25a) 각각이 코일(3)의 종축선을 따라 연장하되, 제4 연결 요소(25)의 외부 세그먼트(25a)는 기저면(7c)로부터의 거리가 제3 연결 요소(24)의 외부 세그먼트(24a)의 기저면로부터의 거리보다 짧으며, 코일(3)의 종축선(L)을 따르는 제4 연결 요소(25)의 외부 세그먼트(25a)는 코일의 종축선을 따르는 제3 연결 요소(24)의 외부 세그먼트(24a)보다 짧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기계식 릴레이.
  4. 청구항 3에 있어서,
    제1 토글 스위치(8)의 접촉 스프링(11)의 고정 단부(12)가 제2 측면(7b) 근처에 배치되며, 가동 세그먼트(14)에 부착되는 제1 토글 스위치(8)의 접촉 스프링(11)의 접촉 요소(13) 및 제1 토글 스위치(8)의 고정 접점들(9, 10)은 제1 측면(7a) 근처에 배치되고;
    제2 토글 스위치(15)의 접촉 스프링(18)의 고정 단부(20b)가 제1 측면(7a) 근처에 배치되며, 가동 세그먼트(20)에 부착되는 제2 토글 스위치(15)의 접촉 스프링(18)의 접촉 요소(19) 및 제2 토글 스위치(15)의 고정 접점들(16, 17)은 제2 측면(7b) 근처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기계식 릴레이.
  5. 청구항 3 또는 청구항 4에 있어서,
    제1 및 제4 연결 요소들(22, 25)의 외부 세그먼트들(22a, 25a)이 기저면(7c)과 본질적으로 평행하게 진행하는 제1 평면에 놓이고;
    제3 및 제5 연결 요소들(24, 26)의 외부 세그먼트들(24a, 26a)이 기저면(7c)과 본질적으로 평행하게 진행하는 제2 평면에 놓이되, 제1 평면은 기저면(7c)으로부터의 거리가 제2 평면보다 짧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기계식 릴레이.
  6. 청구항 5에 있어서,
    제1 토글 스위치(8)의 다른 고정 접점(10)에 연결되는 제2 연결 요소(23)의 외부 세그먼트(23a)가 다른 출구 지점(28c)에서 제1 측면(7a) 외부로 도출되고 그리고 삽입 방향으로 연장하고;
    제1 토글 스위치(8)의 접촉 스프링(11)의 고정 단부(12)에 연결되는 제6 연결 요소(27)의 외부 세그먼트(27a)는 다른 출구 지점(29c)에서 제2 측면(7b) 외부로 도출되고;
    추가 출구 지점들(28c, 29c)이 기저면(7c)과 본질적으로 평행하게 진행하는 제3 평면에 놓이고;
    제3 평면은 기저면(7c)으로부터의 거리가 제1 평면보다 짧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기계식 릴레이.
  7. 청구항 5에 있어서,
    제2 연결 요소(23)의 외부 세그먼트(23a) 및 제6 연결 요소(27)의 외부 세그먼트(27a)가 기저면(7c) 외부로 도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기계식 릴레이.
  8. 청구항 2 내지 청구항 7 중 어느 한 청구항에 있어서,
    작동 장치(21)가 제1 및 제2 액추에이터(21a, 21b)를 구비하되, 제1 액추에이터(21a)는 제1 토글 스위치(8)의 접촉 스프링(11)의 가동 세그먼트(14)에 연결되며, 제2 액추에이터(21b)는 제2 토글 스위치(15)의 접촉 스프링(18)의 가동 세그먼트(20)에 연결되고;
    자기 시스템이 제1 측면(7a)과 대향하는 단부면(90a) 및 제2 측면(7b)과 대향하는 제2 단부면(90b)을 구비하고;
    제1 액추에이터(21a)가 제1 측면(7a)과 자기 시스템의 제1 단부면(90a) 사이에 배치되며, 제2 액추에이터(21b)는 제2 단부면(90b)과 제2 측면(7b) 사이에 배치되고; 그리고
    아마추어(5)가 제1 및 제2 액추에이터들(21a, 21b) 사이에 배치되며 그리고 스트로크 제한 스프링(30)을 구비하되, 스트로크 제한 스프링의 단부들은 제1 및/또는 제2 액추에이터들(21a, 21b)과 계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기계식 릴레이.
  9. 선행하는 청구항들 중 어느 한 청구항에 있어서,
    제7 및 제8 연결 요소들(31, 32)의 외부 세그먼트들(31a, 32a)이 하우징의 기저면(7c) 외부로 도출되고 그리고 삽입 방향으로 연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기계식 릴레이.
  10. 선행하는 청구항들 중 어느 한 청구항에 있어서,
    아마추어(5), 코일(3) 및 접촉 스프링(11, 18)이 샌드위치 구조로 배치되고, 이들 각각이 코일(3)의 종축선을 따르는 세장형 연장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기계식 릴레이.
  11. 선행하는 청구항들 중 어느 한 청구항에 따른 전기기계식 릴레이(1)를 수용하기 위한 모듈형 단자(2)로,
    릴레이(1)를 수용하도록 설계된 오목부(34)를 구비하는 하우징(70)을 구비하며, 연결 요소들(35-42)이 오목부에 배치되고, 상기 요소들은 릴레이(1)의 연결 요소들(22 내지 27, 31, 32)의 외부 세그먼트들(22a 내지 27a, 31a, 32a)에 대한 전기적 결합을 위해 설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형 단자.
  12. 청구항 11에 따른 모듈형 단자(2) 및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0 중 어느 한 청구항에 따른 전기기계식 릴레이(1)를 포함하는 전기기계식 릴레이 모듈로,
    가이드 요소들(43a, 43b)이 릴레이 하우징의 제1 및/또는 제2 측면들(7a, 7b)에 배치되되, 이 가이드 요소들(43a, 43b)은 릴레이(1)의 모듈형 단자(2)에 대한 삽입시 모듈형 단자(2)의 하우징(70)에 있는 상보적인 가이드 요소(44)들과 협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기계식 릴레이 모듈.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제1 및 제2 측면들(7a, 7b) 각각의 횡축선이 전기기계식 릴레이(1)의 하우징(7)의 폭을 규정하도록 전기기계식 릴레이(1)의 하우징(7) 및 모듈형 단자(2)의 하우징(70)이 본질적으로 동일한 폭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기계식 릴레이 모듈.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전기기계식 릴레이(1)의 하우징(7)은 5 내지 6mm의 폭을 가지고 모듈형 단자(2)의 하우징(70)은 6 내지 7mm의 폭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기계식 릴레이 모듈.
KR1020197004039A 2016-07-11 2017-07-06 전기기계식 릴레이, 모듈형 단자 및 전기기계식 릴레이 모듈 KR10207975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6112663.2 2016-07-11
DE102016112663.2A DE102016112663B4 (de) 2016-07-11 2016-07-11 Elektromechanisches Relais, Reihenklemme und elektromechanische Relaisbaugruppe
PCT/EP2017/066997 WO2018011060A1 (de) 2016-07-11 2017-07-06 Elektromechanisches relais, reihenklemme und elektromechanische relaisbaugrupp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8031A true KR20190018031A (ko) 2019-02-20
KR102079753B1 KR102079753B1 (ko) 2020-02-20

Family

ID=593664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04039A KR102079753B1 (ko) 2016-07-11 2017-07-06 전기기계식 릴레이, 모듈형 단자 및 전기기계식 릴레이 모듈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0541097B2 (ko)
EP (1) EP3482410B1 (ko)
JP (2) JP6795676B2 (ko)
KR (1) KR102079753B1 (ko)
CN (1) CN109417001B (ko)
DE (1) DE102016112663B4 (ko)
WO (1) WO201801106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7891B1 (ko) * 2012-09-05 2015-02-06 한국기계연구원 트러스 구조물 제조장치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트러스 구조물
JP6471678B2 (ja) 2015-10-29 2019-02-20 オムロン株式会社 接触片ユニット及びリレー
JP6414019B2 (ja) * 2015-10-29 2018-10-31 オムロン株式会社 リレー
JP6458705B2 (ja) 2015-10-29 2019-01-30 オムロン株式会社 リレー
DE102018109861A1 (de) 2018-04-24 2019-10-24 Phoenix Contact Gmbh & Co. Kg Steckverbindungsanordnung für eine Reihenklemme
DE102019133577A1 (de) * 2019-12-09 2021-06-10 Phoenix Contact Gmbh & Co. Kg Aufnahmebauteil für elektrische Gerät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517093A (ja) * 2009-02-04 2012-07-26 クロディ エルエルシー 電磁リレーアセンブリ
WO2014142247A1 (ja) * 2013-03-14 2014-09-18 矢崎総業株式会社 電子部品の組付構造及び電気接続箱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ZA701531B (en) 1969-03-13 1971-04-28 Davall S & Sons Ltd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electrical relay devices
DE3347602A1 (de) * 1983-12-30 1985-07-11 Siemens AG, 1000 Berlin und 8000 München Polarisiertes elektromagnetisches relais
DE4121836C2 (de) * 1991-07-02 1994-07-07 Weidmueller C A Gmbh Co Reihenklemme mit Aufsteckmodul
DE19515358C2 (de) * 1994-06-08 2000-09-21 Phoenix Contact Gmbh & Co Reihenklemmenblock
DE19705508C1 (de) 1997-02-13 1998-08-20 Siemens Ag Elektromagnetisches Relais
DE19715261C1 (de) * 1997-04-12 1998-12-10 Gruner Ag Relais
DE10162585C1 (de) * 2001-12-19 2003-04-24 Gruner Ag Prellreduziertes Relais
US7109833B1 (en) * 2005-07-29 2006-09-19 Rockwell Automation Technologies, Inc. Terminal block time delay relay
JP4952325B2 (ja) * 2007-03-22 2012-06-13 オムロン株式会社 電磁継電器
DE202007004414U1 (de) 2007-03-22 2007-05-31 Wago Verwaltungsgesellschaft Mbh Elektrische Anschlußklemme oder elektrisches Gerät mit einer Auswerfervorrichtung
US7659800B2 (en) * 2007-08-01 2010-02-09 Philipp Gruner Electromagnetic relay assembly
US7710224B2 (en) * 2007-08-01 2010-05-04 Clodi, L.L.C. Electromagnetic relay assembly
US7982562B2 (en) * 2007-08-28 2011-07-19 Shanghai Bst Electrical Appliance Manufacturing Co., Ltd. Magetic latching relay
TW201029037A (en) * 2009-01-21 2010-08-01 Good Sky Electric Co Ltd Electromagnetic relay and assembling method of its electromagnet unit
US8203403B2 (en) * 2009-08-27 2012-06-19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Electrical switching devices having moveable terminals
US8514040B2 (en) * 2011-02-11 2013-08-20 Clodi, L.L.C. Bi-stable electromagnetic relay with x-drive motor
CN103797647B (zh) * 2011-06-06 2016-04-20 Idec株式会社 电气设备
DE102012006436B4 (de) * 2012-03-30 2020-01-30 Phoenix Contact Gmbh & Co. Kg Gepoltes elektromagnetisches Relais und Verfahren zu seiner Herstellung
JP5802179B2 (ja) * 2012-09-05 2015-10-28 Idec株式会社 電磁リレー
DE202014000905U1 (de) * 2014-02-04 2014-02-20 Leutron Gmbh Gerätekombination aus einem sockelartigen Unterteil und einem Steckmodul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517093A (ja) * 2009-02-04 2012-07-26 クロディ エルエルシー 電磁リレーアセンブリ
WO2014142247A1 (ja) * 2013-03-14 2014-09-18 矢崎総業株式会社 電子部品の組付構造及び電気接続箱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482410B1 (de) 2021-12-08
CN109417001B (zh) 2021-02-09
DE102016112663A1 (de) 2018-01-11
EP3482410A1 (de) 2019-05-15
DE102016112663A8 (de) 2018-03-22
CN109417001A (zh) 2019-03-01
US20190304722A1 (en) 2019-10-03
JP2019521493A (ja) 2019-07-25
KR102079753B1 (ko) 2020-02-20
JP6795676B2 (ja) 2020-12-02
JP7022791B2 (ja) 2022-02-18
WO2018011060A1 (de) 2018-01-18
DE102016112663B4 (de) 2018-04-12
JP2020188016A (ja) 2020-11-19
US10541097B2 (en) 2020-0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018031A (ko) 전기기계식 릴레이, 모듈형 단자 및 전기기계식 릴레이 모듈
JP4190379B2 (ja) 複合型電磁継電器
US10714290B2 (en) Electromagnetic relay
US20190131096A1 (en) Electromagnetic relay
KR20010040535A (ko) 전자기계식 컨택터
JP2019083175A (ja) 電磁継電器
US7268651B2 (en) Electromechanical switching device
JP2019083173A (ja) 電磁継電器
US20100109821A1 (en) Assembly of electromagnetic relay and circuit board
US20150061797A1 (en) Electronic contactor
KR20050078988A (ko) 적어도 하나의 계전기 구동기를 갖는 전자기 계전기와계전기 구동기용 리셉터클
JP2021057311A (ja) 電気コネクタ
JPH11339624A (ja) 強制案内される接点を有するリレ―
RU2232443C2 (ru) Электромеханический замыкатель
CN111295729A (zh) 电磁继电器和电磁装置
KR200489019Y1 (ko) 전자접촉기
JP7149799B2 (ja) 端子台
US3523262A (en) Relay arrangements with reed contacts
US20170352511A1 (en) Relay
KR102537934B1 (ko) 단자대
JP2019032946A (ja) 電磁継電器
KR101340182B1 (ko) 배선 덕트 접속 장치
JP7136581B2 (ja) コネクタ
JP4730108B2 (ja) 電磁リレー
CN112582219A (zh) 继电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