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9019Y1 - 전자접촉기 - Google Patents

전자접촉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9019Y1
KR200489019Y1 KR2020150004465U KR20150004465U KR200489019Y1 KR 200489019 Y1 KR200489019 Y1 KR 200489019Y1 KR 2020150004465 U KR2020150004465 U KR 2020150004465U KR 20150004465 U KR20150004465 U KR 20150004465U KR 200489019 Y1 KR200489019 Y1 KR 20048901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vable core
yoke
bobbin
electromagnetic contactor
yok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5000446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00154U (ko
Inventor
황적성
Original Assignee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5000446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9019Y1/ko
Publication of KR2017000015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015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901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901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01H50/16Magnetic circuit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01H50/16Magnetic circuit arrangements
    • H01H50/36Stationary parts of magnetic circuit, e.g. yok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01H50/64Driving arrangements between movable part of magnetic circuit and contact
    • H01H50/648Driving arrangements between movable part of magnetic circuit and contact intermediate part being rigidly combined with armatur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lectromagne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전자접촉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가동코어의 자세에 무관하게 가동코어와 요크의 일점접촉을 방지하고 접촉면적을 최대한 확보하여 흡인력을 향상시킨 전자접촉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접촉기는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하부프레임; 플레이트로 형성되는 요크가 구비되고, 상기 하부프레임에 수용되는 보빈; 상기 보빈에 상하운동 가능하게 삽입 설치되는 가동코어; 상기 보빈과 가동코어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가동코어에 복원력을 제공하는 복귀스프링;을 포함하고, 상기 요크는 하면부에 상기 가동코어가 삽입될 수 있는 안착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전자접촉기{Electro-magnetic Contactor}
본 고안은 전자접촉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가동코어의 자세에 무관하게 가동코어와 요크의 일점접촉을 방지하고 접촉면적을 최대한 확보하여 흡인력을 향상시킨 전자접촉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자접촉기(Electro-magnetic Contactor) 또는 전자 개폐기(Magnetic Switch)는 전자석의 원리를 이용하여 기계적인 구동과 전류신호를 전달해주는 전기적인 회로 개폐 장치의 일종으로, 각종 산업용 설비, 기계 및 차량 등에 설치된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전자접촉기의 종단면도,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전자접촉기의 분해사시도이다.
종래기술에 따른 전자접촉기는 하부프레임(110), 보빈(120), 복귀스프링(130), 가동코어(140), 홀더 어셈블리(150), 상부프레임(160) 등으로 구성된다.
상부프레임(160)과 하부프레임(110)은 서로 탈착 가능하게 조립되고,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어 보빈(120), 복귀스프링(130), 가동코어(140), 홀더 어셈블리(150) 등을 수용하게 된다.
하부프레임(110)에는 보빈(120)이 안착된다. 보빈(120)에는 조작코일 회로부가 설치된다. 보빈몸체(123)에는 코일(129)이 권선된다. 보빈몸체(123)의 코어삽입부(128)에는 제1,제2요크(121,122)가 설치된다. 보빈(120)의 전면에 PCB기판(126)이 구비되고, PCB기판(126)에는 b접점 스위치(127)가 설치되어 있다.
복귀스프링(130)이 제1,제2요크(121,122)의 위에 놓여진다. 복귀스프링(130)은 외부 전원이 끊어지는 경우에 가동코어(140)를 밀어올려 접점부를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가동코어(140)는 원통형으로 형성되는 몸체부(141)와 몸체부(141) 상부에 결합되는 가동코어 플레이트(142) 및 가동코어 플레이트(142) 상면에 구비되는 결합플레이트(144)로 구성된다. 가동코어 플레이트(142)에는 전면으로 돌출 형성되는 연장부(143)가 형성되고 연장부(143) 하면에는 스위치 조작돌기(146)가 구비된다.
가동코어(140)는 보빈(120)의 중공부(124)에 상하운동 가능하게 삽입 설치되며, 제1,제2요크(121,122) 내부의 코일(129)에 자기장이 흐를 경우에는 하방으로 자기력을 받아 움직이게 된다. 가동코어(140)는 홀더 어셈블리(150)에 결합되어 있으므로 하방 운동하면서 홀더 어셈블리(150)도 하방으로 당기게 된다.
홀더 어셈블리(150)에는 각 상별로 가동접점(151)이 구비된다. 홀더 어셈블리(150)가 하방으로 움직이는 경우에는 가동접점(151)이 상부프레임(160) 내부에 설치되는 고정접점(152)에 접촉되어 전원측으로부터 부하측에 전류가 흐른다.
도 3에는 종래기술에 따른 전자접촉기에 적용되는 홀더 어셈블리와 가동코어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종래기술에 따른 전자접촉기는 가동코어(140)는 홀더 어셈블리(150)의 하부에 부착된다. 가동코어(140)의 결합플레이트(144)의 장홀(144a)에 지지판(145)이 삽입되며, 상기 지지판(145)을 통해 가동코어(140)를 홀더 어셈블리(150)에 연결할 수 있다. 상기 지지판(145)은 스트립 형태의 플레이트 구조이며, 지지판(145)의 양단부가 둥글게 벤딩되어 판스프링 역할을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홀더 어셈블리(150)의 저면에 가이드 돌기(155)가 형성되고, 가이드 돌기(155)의 내측면에 가이드 홈(155a)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지지판(145)의 양단부가 홀더 어셈블리(150)의 가이드 홈(155a)을 통해 삽입되어 결합플레이트(144)가 홀더 어셈블리(150)와 결합된다. 이로써, 가동코어(130)와 홀더 어셈블리(150)가 일체로 작동 가능하고, 가동코어(130)가 홀더 어셈블리(150)에 구비된 가동접점(151)과 기구적으로 연결되어 가동접점(151)을 고정접점(152)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도 4에는 종래기술에 따른 전자접촉기에 적용되는 제1,제2요크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제1,제2요크(121,122)는 각각 'ㄷ'자형 판상체로 형성되어 상면(121a,122a)에는 가동코어 삽입홈(121d,122d)이 형성되고, 측면(121b,122b)과 하면(121c,122c)은 편평하게 형성되어 있다.
그런데, 종래기술에 따른 전자접촉기에 있어서 가동코어(140)와 홀더 어셈블리(150)가 지지판(145)을 매개로 하여 결합되고, 홀더 어셈블리(150)는 상부프레임(160)에 결합됨으로써 유격이 발생하여 가동코어(140)는 수직하지 않은 상태로 놓일 수가 있다. 이에 따라, 가동코어(140)가 보빈(120)의 중공부(124) 내에서 상하운동할 때, 제1,제2요크(121,122)의 하면(121c,122c)에 면접촉을 이루지 못하고 도 5와 같이 점접촉을 이루는 경우가 발생한다.
가동코어(140)와 제1,제2요크(121,122)는 자기력에 의한 인력에 의해 서로 접촉을 유지하게 되는데, 위와 같이 가동코어(140)가 제1,제2요크(121,122)의 하면(121c,122c)에 점접촉을 이룰 경우에는 전자접촉기 작동시 가동코어(140)와 제1,제2요크(121,122)의 접촉 상태를 유지하기 위하여 높은 동작전압이 소요되고, 소음 및 진동이 발생할 수 있다.
본 고안과 관련한 선행기술로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2013-0124776호 '전자접촉기' 및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2014-0106011호 '전자접촉기'를 참조할 수 있다.
본 고안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가동코어와 요크의 점접촉을 방지하고 접촉면적을 가능한 한 넓게 확보하도록 하여 동작 성능을 안정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전자접촉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접촉기는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하부프레임; 플레이트로 형성되는 요크가 구비되고, 상기 하부프레임에 수용되는 보빈; 상기 보빈에 상하운동 가능하게 삽입 설치되는 가동코어; 상기 보빈과 가동코어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가동코어에 복원력을 제공하는 복귀스프링;을 포함하고, 상기 요크는 하면부에 상기 가동코어가 삽입될 수 있는 안착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요크는 종대칭인 제1,제2요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안착부는 홈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안착부는 중앙부에 중앙돌출부가 형성되어 링홈의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동코어의 하면에는 외곽부에 링형상의 외곽돌출부가 형성되고, 중앙부에는 중앙홈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안착부의 양 측면 및 상기 외곽돌출부의 양 측면은 경사면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요크의 하면부에는 상기 안착부와 중앙돌출부가 물결무늬 형상으로 유연하게 연결되는 물결무늬 홈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가동코어의 하면은 상기 물결무늬 홈부에 대응하는 물결무늬 돌출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접촉기에 의하면 요크의 하면부에 안착부이 형성되어 가동코어가 수직하지 않게 접촉하더라도 일점 접촉이 방지되어 통전성능이 충분히 보장되고 가동코어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요크의 하면부에 물결무늬 모양의 요홈부가 형성되고 가동코어의 저면에는 요홈부에 대응하는 제2요홈부가 형성되어 접촉면적을 가동코어의 수직한 자세를 보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전자접촉기의 종단면도이다.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전자접촉기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종래기술에 따른 전자접촉기에 적용되는 홀더 어셈블리와 가동코어의 사시도이다.
도 4는 종래기술에 따른 전자접촉기에 적용되는 제1,제2요크의 사시도이다.
도 5는 종래기술에 따른 전자접촉기에서 가동코어가 수직하지 않은 상태로 제1,제2요크에 접촉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접촉기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접촉기에 적용되는 제1,제2요크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접촉기에서 가동코어가 수직하지 않은 상태로 제1,제2요크에 접촉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9는 도 8에 있어서 가동코어의 가로중심면의 부분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자접촉기의 가동코어와 요크의 부분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자접촉기의 가동코어와 요크의 부분단면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전자접촉기에서 가동코어가 수직하지 않은 상태로 제1,제2요크에 접촉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되, 이는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고안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이로 인해 본 고안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 것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접촉기의 분해사시도, 도 7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접촉기에 적용되는 제1,제2요크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접촉기에서 가동코어가 수직하지 않은 상태로 제1,제2요크에 접촉한 상태를 나타낸 것이고, 도 9는 도 8에 있어서 가동코어의 가로중심면의 부분단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접촉기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접촉기는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하부프레임(10); 플레이트로 형성되는 요크(21,22)가 구비되고, 상기 하부프레임(10)에 수용되는 보빈(20); 상기 보빈(20)에 상하운동 가능하게 삽입 설치되는 가동코어(40); 상기 보빈(20)과 가동코어(40)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가동코어(40)에 복원력을 제공하는 복귀스프링(30);을 포함하고, 상기 요크(21,22)는 하면부(21c,22c)에 상기 가동코어(40)가 삽입될 수 있는 안착부(21e,22e)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하부프레임(10)은 상면이 개방된 상자형 구조로 내부에 수용공간이 마련되어 보빈(20), 스프링(30), 가동코어(40)가 수용된다. 하부프레임(10)은 홀더 어셈블리(50)가 내장되는 상부프레임(60)과 탈착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부프레임(60)의 내부에 수용되는 홀더 어셈블리(50)에는 가동접점(51)이 설치되어 있으며, 고정접점(미도시)은 상부프레임(60) 내부에 설치된다. 여기서, 고정접점(미도시)과 가동접점(51)은 복수 개로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주전원이 3상 AC 전원인 경우에 R,S,T 상 별로 전원측 및 부하측에 고정접점이 3개씩 배치될 수 있다.
보빈(20)은 중심부에 상하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보빈본체(23)가 구비되며, 상기 보빈본체(23)의 주변에 요크(21,22)가 설치된다. 보빈본체(23)의 상단부와 하단부에는 요크 삽입부(24)가 마련된다.
상기 보빈본체(23)는 내부에 중공부(25)를 가지며, 중공부(25)를 통해 가동코어(40)가 보빈본체 내부에 상하방향으로 삽입가능하다. 또한, 보빈본체(23) 외부에 코일(미도시)이 권선됨으로써, 외부전원이 상기 코일(미도시)에 인가되면 자기장을 발생시킨다.
보빈(20)의 전면에는 전자회로부가 형성되는 회로기판(26)이 구비되고, 회로기판(26)에는 b접점 스위치(27)가 설치된다. b접점 스위치(27)는 상기 코일(미도시)에 전류를 공급하거나 차단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홀더 어셈블리(50)는 상부프레임(60)의 내부에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전원측과 부하측 방향으로 나란하게 돌출형성된 가동접점(51)을 구비한다.
상기 가동접점(51)은 탄성스프링에 의해 탄성가능하게 지지되고, 각 고정접점(미도시)의 상부에 이격 배치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가동접점(51)은 상의 갯수대로 구비될 수 있다.
가동코어(40)는 원통형 구조로 이루어져 보빈(20) 내부에 삽입 설치된다. 가동코어(40)는 원통형으로 형성되는 몸체부(41)와 상기 몸체부(41)의 상부에 결합되는 가동코어 플레이트(42) 및 'ㄷ'자형 플레이트로 형성되어 상기 가동코어 플레이트(42)의 상면에 결합되는 결합플레이트(44)로 구성된다.
가동코어(40)의 몸체부(41)가 보빈(20)의 중공부(25)에 삽입되어 가동코어(40)는 상하방향으로 운동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운동력은 상기 결합플레이트(44)가 고정되는 홀더 어셈블리(50)가 제공한다.
가동코어 플레이트(42)에는 전면에 돌출 형성되는 연장부(43)가 형성되고, 상기 연장부(43)의 전면에는 후술하는 버튼(46)이 결합될 수 있는 삽입부(45)가 형성된다. 삽입부(45)는 호리병 형태의 홈으로 형성될 수 있다.
버튼(46)이 삽입부(45)에 고정 설치된다. 버튼(46)은 원통형으로 형성되는 버튼몸체(47)에 상기 삽입부(45)에 끼워질 수 있는 둘레홈이 형성된다. 버튼(46)은 가동코어 플레이트(42)에 설치되어 상하운동을 하게 된다. 버튼(46)이 하방으로 운동하면서 상기 b접점 스위치(27)의 스위치레버(미도시)를 누르게 된다.
요크(21,22)는 자로를 형성하고 가동코어(40)를 흡인하기 위하여 마련된다. 이를 위해, 요크(21,22)는 'ㅁ'자형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요크(21,22)는 설치상의 편의를 위해 제1요크(21)와 제2요크(22)로 분리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1요크(21)와 제2요크(22)는 'ㄷ'자형으로 동일하게 형성되어 서로 대칭적으로 설치될 수 있다.
제1,제2요크(21,22)는 'ㄷ'자형으로 형성되어 각각 상면부(21a,22a), 측면부(21b,22b), 하면부(21c,22c)를 포함할 수 있다. 상면부(21a)와 하면부(21c)는 수평면으로 형성되고, 측면부(21b)는 수직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면부(21a,22a)에는 가동코어(40)가 삽입될 수 있는 삽입홈(21d,22d)이 반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하면부(21c,22c)에는 안착부(21e,22e)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안착부(21e,22e)는 홈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안착부(21e,22e)의 외경은 상기 삽입홈(21d,22d)의 외경과 같거나 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안착부(21e,22e)는 중앙부에 중앙돌출부(21f,22f)가 형성되어 링홈의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중앙돌출부(21f,22f)는 하면부(21c,22c)와 같은 높이로 형성될 수 있다.
도 8에 온 동작 상태에서 가동코어(40)가 요크(21,22)에 수직하지 않은 자세로 접촉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또한, 도 9에는 도 8에 있어서 가동코어의 가로중심면의 부분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가동코어(40)가 수직하지 않은 자세로 요크(21,22)에 접촉하더라도 가동코어(40)의 몸체부(41)의 저면은 요크(21,22)의 안착부(21e,22e)와 중앙돌출부(21f,22f)에 접촉하므로 접촉점이 확대된다. 또한, 지지점이 최소한 2점 지지로 구성되어 가동코어(40)가 흔들리지 않고 요크(21,22)의 하면부(21c)에 안정되게 지지될 수 있다.
도 10에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동코어와 제1,제2요크의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 실시예에서, 제1,제2요크(21,22)의 안착부(21e,22e)는 양 측면(21g,22g)이 경사면으로 형성된다. 이 경사면은 평면 또는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가동코어(40)의 몸체부(41)의 하면에는 외곽부에 링형상의 외곽돌출부(41a)가 형성되고, 중앙부에는 중앙홈부(41b)가 형성된다. 여기서, 외곽돌출부(41a)는 제1,제2요크(21,22)의 안착부(21e,22e)에 대응되고, 중앙홈부(41b)는 제1,제2요크(21,22)의 중앙돌출부(21f,22f)에 대응될 수 있다. 즉, 가동코어(40)의 몸체부(41)가 수직상태로 제1,제2요크(21,22)의 하면부(21c,22c)에 접촉하였을 때, 외곽돌출부(41a)가 안착부(21e,22e)에 끼워지고, 중앙돌출부(21f,22f)가 중앙홈부(41b)에 끼워짐으로써 가동코어(40)의 저면은 제1,제2요크(21,22)의 하면부(21c,22c)에 완전히 밀착한 상태로 접하게 된다. 이에 따라, 접촉 면적의의 손실이 발생하지 않고 소요전압도 증대되지 않게 된다.
또한, 외곽돌출부(41a)의 양 측면(41c)도 안착부(21e,22e)의 양 측면(21g,22g)에 대응하는 경사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가동코어(40)가 소정각도로 비뚤어진 상태로 제1,제2요크(21,22)의 하면부(21c,22c)에 닿을 경우에는 보정작용이 일어나서 가동코어(40)가 수직으로 접촉할 수 있게 된다.
도 11에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동코어와 제1,제2요크의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 실시예에서, 제1,제2요크(21,22)의 하면부(21c,22c)에는 상기 안착부와 중앙돌출부가 물결무늬 형상으로 유연하게 연결되는 물결무늬 홈부(21h,22h)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동코어(40)의 저면은 상기 물결무늬 홈부(21h,22h)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물결무늬 돌출부(41d)가 형성될 수 있다.
제1,제2요크(21,22)의 하면부(21c,22c)에는 물결무늬 홈부(21h,22h)가 형성되고, 가동코어(40)의 저면에는 물결무늬 돌출부(41d)가 형성되어 가동코어(40)가 수직하지 않게 위치하더라도 요크(21,22)에 접촉하면서 물결무늬 돌출부(41d)가 물결무늬 홈부(21g)에 매끄럽게 미끄러져들어가 수직위치를 갖도록 보정동작이 일어날 수 있다.
도 12를 참조하면, 이와 같은 보정동작이 일어나지 않더라도 제1,제2요크(21,22)의 하면부(21c,22c)에 가동코어(40)의 저면이 접촉하는 부분은 점접촉이 아니라 소정면적을 이루게 된다. 이에 따라, 점접촉이 방지되고 소정의 접촉면적이 유지되어 가동코어(40)와 제1,제2요크(21,22) 사이의 인력이 유지되고, 지지가 안정적으로 보장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실시예들은 본 고안을 구현하는 실시예들로서,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고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고안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하부프레임 20 보빈
21,22 제1,제2요크 21a,22a 상면부
21b,22b 측면부 21c,22c 하면부
21d,22d 삽입홈 21e,22e 안착부
21f,22f 중앙돌출부 21g,22g 측면
21h,22h 물결무늬 홈부 23 보빈본체
24 삽입부 25 중공부
26 회로기판 27 b접점 스위치
30 복귀 스프링 40 가동코어
41 몸체부 41a 외곽돌출부
41b 중앙홈부 41c 측면
41d 물결무늬 돌출부 42 가동코어 플레이트
43 연장부 44 결합플레이트
45 버튼 삽입부 46 버튼
47 버튼몸체 50 홀더 어셈블리
51 가동접점 60 상부프레임

Claims (8)

  1.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하부프레임;
    상기 하부프레임에 수용되는 보빈;
    상기 보빈에 구비되는 요크;
    상기 보빈에 상하운동 가능하게 삽입 설치되는 가동코어;
    상기 보빈과 가동코어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가동코어에 복원력을 제공하는 복귀스프링;을 포함하고,
    상기 요크는 제1요크와 제2요크로 구성되고,
    상기 제1요크와 제2요크는 'ㄷ'자형으로 동일하게 형성되어 서로 대칭적으로 배치되고,
    상기 요크는 하면부의 상면에 상기 가동코어가 삽입될 수 있는 안착부가 형성되고,
    상기 안착부는 링홈의 형상을 하고,
    상기 안착부는 중앙부에 중앙돌출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접촉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코어의 하면에는 외곽부에 링형상의 외곽돌출부가 형성되고, 중앙부에는 중앙홈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접촉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부의 양 측면 및 상기 외곽돌출부의 양 측면은 경사면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접촉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요크의 하면부에는 상기 안착부와 중앙돌출부가 물결무늬 형상으로 유연하게 연결되는 물결무늬 홈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접촉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코어의 하면은 상기 물결무늬 홈부에 대응하는 물결무늬 돌출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접촉기.
KR2020150004465U 2015-07-02 2015-07-02 전자접촉기 KR20048901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4465U KR200489019Y1 (ko) 2015-07-02 2015-07-02 전자접촉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4465U KR200489019Y1 (ko) 2015-07-02 2015-07-02 전자접촉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0154U KR20170000154U (ko) 2017-01-11
KR200489019Y1 true KR200489019Y1 (ko) 2019-04-17

Family

ID=577975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50004465U KR200489019Y1 (ko) 2015-07-02 2015-07-02 전자접촉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9019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841047B2 (ja) * 2017-01-16 2021-03-10 富士電機機器制御株式会社 電磁接触器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9589B1 (ko) * 2013-12-19 2015-06-17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전자접촉기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504899B2 (ja) * 2010-01-12 2014-05-28 株式会社デンソー 電磁継電器
KR101247122B1 (ko) * 2011-09-15 2013-04-01 용성전기 주식회사 전자접촉기
KR101354806B1 (ko) * 2012-06-14 2014-01-23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전자개폐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9589B1 (ko) * 2013-12-19 2015-06-17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전자접촉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0154U (ko) 2017-0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25622B2 (en) Electromagnetic relay
CN111584309B (zh) 触点装置和电磁继电器
JP7022791B2 (ja) 電気機械式リレー、レール端子ブロックおよび電気機械式リレーアセンブリ
JP6168785B2 (ja) 有極電磁継電器
JP2005093118A (ja) 複合型電磁継電器
US6337612B1 (en) Switch using solenoid
KR101598421B1 (ko) 전자접촉기
US9214716B2 (en) Radio switch
KR101917885B1 (ko) 전자접촉기
EP1244127B1 (en) Electrical switching element
KR200489019Y1 (ko) 전자접촉기
EP3016125B1 (en) Crossbar structure of electromagnetic contactor
JP6389338B2 (ja) リレー
KR200484099Y1 (ko) 전자 접촉기
US10522311B2 (en) Relay
KR102518886B1 (ko) 전자접촉기
KR200446415Y1 (ko) 전자 접촉기의 가동 코어 어셈블리
CN112582209A (zh) 继电器
JP5701110B2 (ja) 電磁継電器
KR102349753B1 (ko) 다접점 직류 릴레이
EP2854150B1 (en) Electromechanical relay
KR20230081292A (ko) 전자 접촉기의 구동부
JP5835510B1 (ja) リレー
JP5880770B1 (ja) リレー
KR200251211Y1 (ko) 개선된 시소 구조를 갖는 알에프 스위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