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13350A - 화상형성장치 - Google Patents

화상형성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13350A
KR20190013350A KR1020170097833A KR20170097833A KR20190013350A KR 20190013350 A KR20190013350 A KR 20190013350A KR 1020170097833 A KR1020170097833 A KR 1020170097833A KR 20170097833 A KR20170097833 A KR 20170097833A KR 20190013350 A KR20190013350 A KR 201900133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roller
nip forming
guide
guide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978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승섭
김현우
김용재
조영기
Original Assignee
에이치피프린팅코리아 유한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이치피프린팅코리아 유한회사 filed Critical 에이치피프린팅코리아 유한회사
Priority to KR10201700978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13350A/ko
Priority to EP18841090.6A priority patent/EP3601120B1/en
Priority to US16/633,881 priority patent/US11117765B2/en
Priority to PCT/KR2018/002425 priority patent/WO2019027116A1/en
Priority to CN201880044591.9A priority patent/CN110869301B/zh
Publication of KR201900133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1335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5/00Feeding articles separated from piles; Feeding articles to machines
    • B65H5/06Feeding articles separated from piles; Feeding articles to machines by rollers or balls, e.g. between rollers
    • B65H5/062Feeding articles separated from piles; Feeding articles to machines by rollers or balls, e.g. between rollers between rollers or ba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5/00Feeding articles separated from piles; Feeding articles to machines
    • B65H5/26Duplicate, alternate, selective, or coacting fee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5/00Feeding articles separated from piles; Feeding articles to machines
    • B65H5/36Article guides or smoothers, e.g. movable in ope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5/00Feeding articles separated from piles; Feeding articles to machines
    • B65H5/36Article guides or smoothers, e.g. movable in operation
    • B65H5/38Article guides or smoothers, e.g. movable in operation immovable in ope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9/00Registering, e.g. orientating, articles; Devices therefor
    • B65H9/004Deskewing sheet by abutting against a stop, i.e. producing a buckling of the sheet
    • B65H9/006Deskewing sheet by abutting against a stop, i.e. producing a buckling of the sheet the stop being formed by forwarding means in stand-b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40Type of handling process
    • B65H2301/44Moving, forwarding, guiding material
    • B65H2301/443Moving, forwarding, guiding material by acting on surface of handled material
    • B65H2301/4431Moving, forwarding, guiding material by acting on surface of handled material by means with operating surfaces contacting opposite faces of material
    • B65H2301/44318Moving, forwarding, guiding material by acting on surface of handled material by means with operating surfaces contacting opposite faces of material between ro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2/00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handling apparatus
    • B65H2402/30Supports; Subassemblies; Mountings thereof
    • B65H2402/31Pivoting support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4/00Parts for transporting or guiding the handled material
    • B65H2404/10Rollers
    • B65H2404/13Details of longitudinal profile
    • B65H2404/133Limited number of active elements on common axi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4/00Parts for transporting or guiding the handled material
    • B65H2404/10Rollers
    • B65H2404/14Roller pairs
    • B65H2404/144Roller pairs with relative movement of the rollers to / from each ot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4/00Parts for transporting or guiding the handled material
    • B65H2404/60Other elements in face contact with handled material
    • B65H2404/63Oscillating, pivoting around an axis parallel to face of material, e.g. divert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801/00Application field
    • B65H2801/03Image reproduction devic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0362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relating to the copy medium handling
    • G03G2215/00535Stable handling of copy medium
    • G03G2215/00679Conveying means details, e.g. rolle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21/00Processes not provided for by group G03G2215/00, e.g. cleaning or residual charge elimination
    • G03G22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 G03G2221/1672Paper handling
    • G03G2221/1675Paper handling jam treat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eeding Of Articles By Means Other Than Belts Or Rollers (AREA)
  • Delivering By Means Of Belts And Rollers (AREA)

Abstract

화상형성장치가 개시된다. 화상형성장치는, 급지 유닛; 인쇄매체에 화상을 형성하는 현상 유닛; 급지 유닛으로부터 이송된 인쇄매체를 현상 유닛으로 투입하는 제1 및 제2 롤러를 구비한 투입 유닛; 및 급지 유닛으로부터 투입 유닛으로 이동하는 인쇄매체를 가이드하고, 제1 롤러를 제2 롤러에 선택적으로 가압하도록 제1 롤러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마련된 가이드 유닛;을 포함한다.

Description

화상형성장치 {IMAGE FORMING APPARATUS}
본 발명은 편의성이 개선된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이다.
화상형성장치는 입력된 화상신호를 현상 유닛을 통해 인쇄매체에 인쇄하는 장치를 말하며, 프린터, 복사기, 팩시밀리 또는 이들의 기능을 하나의 장치로 통합한 복합기 등이 이에 해당한다.
일반적인 화상형성장치는 현상 유닛으로 인쇄매체를 공급하기 위한 급지 유닛을 구비하며, 급지 유닛에 적재된 인쇄매체는 복수의 롤러로 구성된 이송 유닛을 통해 이송경로를 따라 현상 유닛으로 이동할 수 있다.
급지 유닛으로부터 현상 유닛으로 이동한 인쇄매체는 현상 유닛에 근접하게 배치된 투입 유닛을 통해 현상 유닛으로 투입될 수 있으며, 현상 유닛을 통해 화상이 형성된 인쇄매체는 정착 유닛 및 배지 유닛을 통과함으로써 인쇄가 완료된다.
급지 유닛으로부터 공급된 인쇄매체가 이송 경로를 따라 이동하는 과정에서 인쇄매체의 상태, 내부 구성부품의 마모 등 다양한 원인으로 인쇄매체가 이송 유닛 또는 투입 유닛에 걸리는 현상, 이른바 잼(jam)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러한 잼 발생시, 걸린 인쇄매체를 제거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잼 제거가 용이한 화상형성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급지 유닛; 인쇄매체에 화상을 형성하는 현상 유닛; 상기 급지 유닛으로부터 이송된 인쇄매체를 상기 현상 유닛으로 투입하는 제1 및 제2 롤러를 구비한 투입 유닛; 및 상기 급지 유닛으로부터 상기 투입 유닛으로 이동하는 인쇄매체를 가이드하고, 상기 제1 롤러를 상기 제2 롤러에 선택적으로 가압하도록 상기 제1 롤러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마련된 가이드 유닛;을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가이드 유닛은, 상기 제1 롤러와 상기 제2 롤러 사이에 닙을 형성하도록 상기 제2 롤러를 향해 상기 회전축을 가압하는 제1 위치와 상기 닙을 해제하는 제2 위치 사이에서 회전 가능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유닛은, 상기 회전축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급지 유닛으로부터 이송된 인쇄매체를 상기 투입 유닛으로 가이드하는 가이드 플레이트;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의 상측에 배치되어, 상기 회전축과 평행한 회전중심을 기준으로 회전하는 적어도 하나의 닙 형성 부재;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닙 형성 부재와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닙 형성 부재가 제1 회전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회전축을 가압하도록 상기 닙 형성 부재에 탄성력을 가하는 탄성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닙 형성 부재는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와 연결된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를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상기 닙 형성 부재는 일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회전축과 접하는 접촉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는 상기 접촉부의 반대측에 배치된 상기 닙 형성 부재의 타단부와 상기 접촉부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탄성 부재는 상기 타단부와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접촉부가 상기 회전축을 가압하도록 상기 타단부에 탄성력을 가할 수 있다.
상기 닙 형성 부재는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와 함께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고, 상기 닙 형성 부재가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함에 따라 상기 접촉부가 상기 회전축을 가압하는 방향이 전환될 수 있다.
상기 접촉부는, 상기 회전축의 외주면의 일부와 접하고, 상기 회전축의 외주면의 일부로부터 상기 회전축의 중심을 향하는 방향으로 상기 회전축을 가압할 수 있다.
상기 접촉부는 상기 회전축의 외주면의 일부를 감싸는 후크(hook) 형상일 수 있다.
상기 접촉부는, 상기 제1 위치에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제2 롤러를 향하는 제1 방향으로 상기 회전축을 가압하고, 상기 제2 위치에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닙을 해제할 수 있다.
상기 접촉부는, 상기 닙 형성 부재가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일정 각도 회전함에 따라, 상기 제1 방향에서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상기 일정 각도만큼 회전한 제2 방향으로 상기 회전축을 가압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유닛은, 제1 내지 제3 닙 형성 부재; 및 상기 제1 내지 제3 닙 형성 부재의 각 타단부를 연결하는 연결 플레이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닙 형성 부재는 상기 연결 플레이트가 가압됨에 따라 상기 제1 회전방향과 반대되는 제2 회전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회전축과 이격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는, 상기 닙 형성 부재를 향해 돌출되고 상기 회전축의 축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관통 형성된 삽입홀을 구비한 적어도 하나의 고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는 상기 삽입홀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는 적어도 하나의 삽입돌기를 포함하며, 상기 닙 형성 부재는 상기 삽입돌기를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상기 삽입홀은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된 장공의 형상이고, 상기 삽입돌기는 상기 탄성 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삽입홀의 상단에 배치되어 상기 삽입홀의 상단을 가압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는 상기 제1 위치에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급지 유닛으로부터 이송된 인쇄매체를 상기 투입 유닛으로 가이드하는 가이드 경로를 형성하고, 상기 제2 위치에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가이드 경로를 개방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는 상기 회전축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후크부를 포함하고, 상기 후크부는 상기 회전축의 외주면의 일부를 감쌀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내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도 1 에 표시된 Ⅰ 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가이드 유닛, 투입 유닛 및 이송 가이드 부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가이드 유닛, 투입 유닛 및 이송 가이드 부재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가이드 유닛, 투입 유닛 및 이송 가이드 부재를 Ⅰ-Ⅰ 선을 따라 자른 단면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3에 도시된 가이드 유닛, 투입 유닛 및 이송 가이드 부재를 Ⅱ-Ⅱ 선을 따라 자른 단면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7a는 가이드 유닛이 제1 위치에 배치된 상태에서 투입 유닛에 진입한 인쇄매체가 걸린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b는 도 7a에 도시된 가이드 유닛이 제1 롤러의 제1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제2 위치에 배치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a는 투입 유닛을 통과하는 인쇄매체가 걸린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b는 도 8a에 도시된 연결 플레이트가 가압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a는 도 3에 도시된 가이드 플레이트로부터 닙 형성 부재를 분리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b는 도 9a에 도시된 닙 형성 부재가 가이드 플레이트로부터 분리된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c는 닙 형성 부재가 분리된 가이드 플레이트가 회전하는 모습을 도 9b에 도시된 Ⅲ-Ⅲ 선을 따라 자른 단면을 통해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9d는 도 9c에 도시된 가이드 플레이트를 투입 유닛으로부터 분리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 설명되는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인 특징을 이해하기에 가장 적합한 실시 예들을 기초로 하여 설명될 것이며, 설명되는 실시 예들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특징이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이하, 설명되는 실시 예들과 같이 본 발명이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예시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아래 설명된 실시 예들을 통해 본 발명의 기술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기술 범위 내에 속한다 할 것이다. 그리고 이하 설명되는 실시 예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첨부된 도면에 기재된 부호에 있어서, 각 실시 예에서 동일한 작용을 하는 구성요소 중 관련된 구성요소는 동일 또는 연장 선상의 숫자로 표기하였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실제 축척대로 도시된 것이 아니라 일부 구성요소의 치수가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1)의 내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화상형성장치(1)는 프린터, 복사기, 스캐너 및 팩시밀리 등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프린터, 복사기, 스캐너 및 팩시밀리의 기능이 하나의 장치를 통해 복합적으로 구현되는 복합기(Multi Function Peripheral; MFP)일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상형성장치(1)는 외관을 형성하는 본체(10), 인쇄매체의 저장 및 공급을 위한 급지 유닛(20), 급지 유닛(20)에 적재된 인쇄매체를 한 장씩 픽업하는 제1 및 제2 픽업 롤러(31, 32), 제1 및 제2 픽업 롤러(31, 32)에 의해 픽업된 인쇄매체를 이송경로를 따라 이송하는 다수의 이송 롤러(R1 내지 R5), 급지 유닛(20)을 통해 공급된 인쇄매체에 화상을 형성하는 현상 유닛(40), 현상 유닛(40)에 토너를 공급하는 토너 유닛(50), 현상 유닛(40)의 감광체(41)에 정전잠상을 형성하는 노광 유닛(60), 감광체(41)의 토너화상을 인쇄매체에 전사하는 전사 롤러(70), 인쇄매체에 형성된 화상을 정착하는 정착 유닛(80), 화상형성이 완료된 인쇄매체를 본체(10)의 외부로 배출하는 배지 유닛(90)을 포함한다.
급지 유닛(20)은 본체(10)의 하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 카세트 타입의 제1 급지 유닛(21) 및 본체(10)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인쇄매체를 수동으로 공급하는 MP 트레이(multipurpose tray) 타입의 제2 급지 유닛(2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급지 유닛(21)은 본체(10)의 하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됨으로써 개폐 가능하며, 인쇄매체(S)가 적재될 수 있는 수용공간을 내부에 구비한 카세트 본체(2101), 카세트 본체(2101)의 수용 공간 내에서 일단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인쇄매체를 지지하는 녹업 플레이트(2102) 및 녹업 플레이트(2102)의 타단을 지지하는 녹업 탄성부재(2103)를 포함한다.
녹업 플레이트(2102)의 타단의 상측에는 제1 픽업 롤러(31)가 배치될 수 있다.
녹업 플레이트(2102)는 녹업 탄성부재(2103)의 탄성력을 통해 적재된 인쇄매체를 제1 픽업 롤러(31)를 향해 탄성 지지할 수 있으며, 제1 픽업 롤러(31)는 녹업 플레이트(2102)에 적재된 인쇄매체를 한 장씩 픽업할 수 있다.
본체(10)의 내부에는 다수의 이송 롤러(R1 내지 R5)가 배치될 수 있으며, 다수의 이송 롤러(R1 내지 R5)는 각각 한 쌍의 롤러로 구성될 수 있다.
제1 픽업 롤러(31)를 통해 픽업된 인쇄매체는 제1 픽업 롤러(31)에 근접하게 배치된 제1 이송 롤러(R1)를 통해 제1 이송경로(P1)를 따라 현상 유닛(40)으로 이송될 수 있다.
제1 이송 롤러(R1)를 통해 이송되는 인쇄매체는 제2 이송 롤러(R2)를 지나 이송 가이드 부재(300), 가이드 유닛(100) 및 투입 유닛(200)을 통해 현상 유닛(40)으로 이송될 수 있다.
제2 급지 유닛(22)은 본체(10)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트레이 본체(2201)를 포함한다.
트레이 본체(2201)가 회전함으로써 본체(10)의 일측이 개방되면, 트레이 본체(2201)에 인쇄매체(미도시)가 적재될 수 있으며, 적재된 인쇄매체는 제2 픽업 롤러(32)를 통해 한 장씩 픽업될 수 있다.
제2 픽업 롤러(32)를 통해 픽업된 인쇄매체는 제2 이송경로(P2)를 따라 현상 유닛(40)으로 이송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픽업 롤러(32)를 통해 픽업된 인쇄매체는 제2 픽업 롤러(32)에 근접하게 배치된 제3 이송 롤러(R3)를 통해 이송 가이드 부재(300), 가이드 유닛(100) 및 투입 유닛(200)을 지나 현상 유닛(40)으로 이송될 수 있다.
전술한 제1 이송경로(P1)와 제2 이송경로(P2)는 투입 유닛(200)에서 제3 이송 경로(P3)로서 합류되며, 투입 유닛(200)을 통과한 인쇄매체는 제3 이송경로(P3)를 따라 현상 유닛(40)으로 공급될 수 있다.
전술한 급지 유닛(20)은 제1 및 제2 급지 유닛(21, 22) 외에도 3개 이상의 급지 유닛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단일의 급지 유닛으로 구성되는 구조도 가능하다.
현상 유닛(40)은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 감광체(41) 및 토너를 감광체(41)에 전달하는 현상 롤러(42)를 포함한다.
토너 유닛(50)은 현상 유닛(40)에 결합되며, 인쇄매체에 화상을 형성하기 위한 토너를 수용 및 보관하고, 인쇄가 진행될 때 토너를 현상 유닛(40)으로 공급한다.
노광 유닛(60)은 화상정보가 포함된 광을 감광체(41)에 주사하여 감광체(41)의 표면에 정전잠상을 형성한다.
현상 롤러(42)는 정전잠상이 형성된 감광체(41)에 토너를 공급함으로써 감광체(41)에 토너화상을 형성한다.
이를 통해, 감광체(41)의 표면에는 가시적인 토너화상이 형성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감광체(41) 및 현상 롤러(42)는 단일로 구성됨으로써 단일 색상의 토너화상이 감광체(41)에 형성되는 구조를 일 예로서 도시하였으나, 현상 롤러는 시안(C, cyan), 마젠타(M, magenta), 옐로우(Y, yellow) 및 블랙(K, black) 색상의 토너를 각각 포함하는 4개의 현상 롤러로 구성될 수 있으며, 감광체 역시 4개의 현상 롤러와 대응하여 4개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4개의 감광체의 각 표면에는 시안(C), 마젠타(M), 옐로우(Y) 및 블랙(K) 색상의 가시적인 토너화상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인쇄매체에 컬러 토너화상을 형성할 수 있다.
전사 롤러(70)는 감광체(41)와 접하여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며, 이를 통해, 감광체(41) 사이에 전사 닙(nip)을 형성한다.
인쇄매체는 회전하는 감광체(41)와 전사 롤러(70) 사이에 형성된 전사 닙을 통과한다. 따라서, 감광체(41)에 형성된 토너화상은 인쇄매체에 전사될 수 있다.
정착 유닛(80)은 제1 및 제2 정착 롤러(81, 82)를 포함한다. 정착 유닛(80)은 회전하는 제1 및 제2 정착 롤러(81, 82) 사이를 통과하는 인쇄매체를 가압 및 가열함으로써 인쇄매체에 전사된 토너화상을 정착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1 정착 롤러(81)는 인쇄매체를 가열하는 가열 롤러로 구성될 수 있으며, 제2 정착 롤러(82)는 제1 정착 롤러(81)를 가압하여 회전 구동하는 가압 롤러로 구성될 수 있다. 제1 정착 롤러(81)는 내부에 할로겐 램프 등과 같은 열원을 구비한다. 또한, 제1 정착 롤러(81)는 롤러의 형상 외에도 벨트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배지 유닛(90)은 제1 및 제2 배지 롤러(91, 92)를 포함한다. 정착 유닛(80)에 의해 토너화상이 정착된 인쇄매체는 회전하는 제1 및 제2 배지 롤러(91, 92) 사이를 통과함으로써 화상형성장치(1)의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아울러,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착 유닛(80)과 배지 유닛(90) 사이에는 제4 및 제5 이송 롤러(R4, R5)가 배치됨으로써 정착 유닛(80)을 통과한 인쇄매체를 제3 이송경로(P3)를 따라 이송할 수 있다.
도 1에는 제1 내지 제5 이송 롤러(R1 내지 R5)를 일 예로서 도시하였으나, 인쇄매체를 이송하는 이송 롤러는 개수의 제한 없이 5개 미만 또는 5개 초과로도 구성될 수 있다.
전술한 화상형성장치(1)의 급지 유닛(20), 제1 및 제2 픽업 롤러(31, 32), 현상 유닛(40), 토너 유닛(50), 전사 롤러(70), 정착 유닛(80) 및 배지 유닛(90)은 종래의 기술과 동일하거나 유사하므로 보다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는 도 1 에 표시된 Ⅰ 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제1 및 제2 급지 유닛(21, 22)으로부터 이송된 인쇄매체가 제1 및 제2 경로(P1, P2)를 통해 현상 유닛(40)으로 이동하는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경로(P1, P2)를 통해 현상 유닛(40)으로 이동하는 인쇄매체는 제1 롤러(210)와 제2 롤러(220)를 구비한 투입 유닛(200)을 통해 현상 유닛(40)으로 투입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투입 유닛(200)은 현상 유닛(40)의 근방에 배치되어 급지 유닛(20)으로부터 현상 유닛(40)으로 이동하는 인쇄매체를 한 장씩 현상 유닛(40)으로 투입한다.
투입 유닛(200)은 서로 접하여 회전하는 제1 및 제2 롤러(210, 220)를 포함하며, 급지 유닛(20)으로부터 이송된 인쇄매체는 회전하는 제1 및 2 롤러(210, 220) 사이를 통과함으로써 현상 유닛(40)으로 이동할 수 있다.
제1 및 제2 롤러(210, 220)는 각각 제1 및 제2 회전축(211, 221)과 제1 및 제2 회전축(211, 221)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적어도 하나의 제1 및 제2 롤러 부재(212, 222)를 포함한다.
제1 및 제2 롤러(210, 220)를 구비한 투입 유닛(200)은 제1 및 제2 롤러(210, 220)를 회전 및 정지시킴으로써 급지 유닛(20)으로부터 이송된 인쇄매체를 정렬하여 현상 유닛(40)에 투입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및 제2 롤러(210, 220)는 정지한 상태에서 제1 및 제2 급지 유닛(21, 22)을 통해 이송된 인쇄매체의 선단을 정렬하고, 이후, 제1 및 제2 롤러(210, 220)가 회전함으로써 정렬된 인쇄매체를 현상 유닛(40)으로 투입한다.
급지 유닛(20)으로부터 이송된 인쇄매체를 정렬하여 현상 유닛(40)으로 투입하는 투입 유닛(200)은 레지스트레이션 유닛으로 지칭할 수 있으며, 제1 및 제2 롤러(210, 220)는 각각 제1 및 제2 레지스트레이션 롤러(210, 220)로 지칭될 수 있다.
다만, 제1 및 제2 롤러(210, 220)를 구비한 투입 유닛(200)은 현상 유닛(40)에 근접하게 배치되어 현상 유닛(40)으로 정렬된 인쇄매체를 투입하는 구조 외에도, 본체(10) 내부의 다양한 위치에 배치됨으로써 이송된 인쇄매체를 이송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급지 유닛(20)은 제1 및 제2 급지 유닛(21, 22)을 포함한다.
이를 통해, 제1 및 제2 급지 유닛(21, 22)에 적재된 인쇄매체는 각각 서로 다른 이송 경로를 따라 이동할 수 있으며, 제1 및 제2 이송경로(P1, P2)를 통해 현상 유닛(40)으로 이동할 수 있다.
제1 및 제2 이송경로(P1, P2)를 통해 이동하는 인쇄매체는 이송 가이드 부재(300)를 향해 이동하고, 이송 가이드 부재(300) 및 가이드 유닛(100)을 통해 투입 유닛(200)으로 이송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및 제2 이송경로(P1, P2)를 따라 이동하는 인쇄매체는 이송 가이드 부재(300)에 의해 가이드됨으로써 현상 유닛(40)을 향하는 방향으로 이송 방향이 전환될 수 있으며, 이송 가이드 부재(300)를 따라 이동하는 인쇄매체는 가이드 유닛(100)에 의해 가이드됨으로써 투입 유닛(200)으로 용이하게 이송될 수 있다.
투입 유닛(200)으로 이송된 인쇄매체는 제1 및 제2 롤러(210, 220)를 통과함으로써 제3 경로(P3)를 따라 현상 유닛(40)으로 투입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및 제2 경로(P1, P2)는 제1 및 제2 롤러(210, 220) 사이에서 제3 경로(P3)로 합류될 수 있다.
이송 가이드 부재(300)는 제1 급지 유닛(21)으로부터 제1 이송경로(P1)를 따라 이동하는 인쇄매체를 가이드하는 제1 가이드 면(301) 및 제2 급지 유닛(22)으로부터 제2 이송경로(P2)를 따라 이동하는 인쇄매체를 가이드하는 제2 가이드 면(302)을 포함한다.
제1 및 제2 가이드 면(301, 302)은 투입 유닛(200)에 근접한 일단에서 서로 근접하게 배치됨으로써, 제1 및 제2 가이드 면(301, 302)을 따라 이동하는 인쇄매체는 투입 유닛(200)을 향하는 측으로 이송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가이드 면(301, 302)은 제1 및 제2 급지 유닛(21, 22)으로부터 이송된 인쇄매체를 투입 유닛(200)을 향하는 방향으로 가이드하는 곡면의 형상일 수 있다.
아울러, 제1 가이드 면(301)은 이송 가이드 부재(300)의 하측에 배치되고, 제2 가이드 면(302)은 가이드 부재(300)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다만, 가이드 부재(300)와 제1 및 제2 가이드 면(301, 302)의 형상은 도 2에 도시된 구조 외에도 다양한 형상으로 변경될 수 있다.
이송 가이드 부재(300)는 투입 유닛(200)으로부터 일정 간격으로 이격 배치된다.
가이드 유닛(100)은 이송 가이드 부재(300)와 투입 유닛(200) 사이에 배치되어, 이송 가이드 부재(300)로부터 투입 유닛(200)으로 이송되는 인쇄매체를 가이드할 수 있다.
아울러, 가이드 유닛(100)은 후술하는 제1 롤러(210)의 제1 회전축(211)을 중심으로 회전함으로써 이송 가이드 부재(300)로부터 투입 유닛(200)으로 이송되는 인쇄매체를 가이드하는 가이드 경로(GP)를 선택적으로 형성 또는 개방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 유닛(100)은 투입 유닛(200)과 가이드 부재(300) 사이에서 제2 가이드 면(302)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1 가이드 면(301)을 따라 이동하는 인쇄매체는 제1 가이드 면(301)을 지나, 가이드 유닛(100)의 가이드 플레이트(110)의 하단부를 따라 투입 유닛(200)으로 이송될 수 있으며, 제2 가이드 면(302)을 따라 이동하는 인쇄매체는 제2 가이드 면(302)과 가이드 플레이트(110)의 하단부 사이를 통해 투입 유닛(200)으로 이송될 수 있다.
가이드 플레이트(110)를 구비한 가이드 유닛(100)의 구체적인 구조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가이드 유닛(100), 투입 유닛(200) 및 이송 가이드 부재(300)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가이드 유닛(100), 투입 유닛(200) 및 이송 가이드 부재(300)의 분해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가이드 유닛(100), 투입 유닛(200) 및 이송 가이드 부재(300)의 세부구조에 대해 상술한다.
가이드 유닛(100)은 급지 유닛(20)으로부터 투입 유닛(200)으로 이동하는 인쇄매체를 가이드하고, 제2 롤러(220)를 향해 제1 롤러(210)를 선택적으로 가압하도록 제1 롤러(210)의 제1 회전축(211)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마련된다.
이를 통해, 가이드 유닛(100)은 제1 롤러(210)와 제2 롤러(220) 사이에 닙을 형성하도록 제2 롤러(220)를 향해 제1 회전축(211)을 가압하는 제1 위치(도 5 내지 도 7a 참조)와 닙을 해제하는 제2 위치(도 7b 참조) 사이에서 회전이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5 내지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 유닛(100)이 이송 가이드 부재(300)로부터 투입 유닛(200)으로 이송되는 인쇄매체를 가이드하는 가이드 경로(GP)를 형성하는 위치를 제1 위치로 정의하며,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 유닛(100)이 제1 위치에서 제1 롤러(210)의 제1 회전축(211)을 중심으로 회전함으로써 가이드 경로(GP)를 개방한 위치를 제2 위치로 정의한다.
구체적으로, 가이드 유닛(100)은 가이드 플레이트(110), 가이드 플레이트(1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적어도 하나의 닙 형성 부재(120) 및 적어도 하나의 닙 형성 부재(120)에 탄성력을 가하는 적어도 하나의 탄성 부재(130)를 포함한다.
가이드 플레이트(110)는 제1 롤러(210)의 제1 회전축(211)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투입 유닛(200)과 이송 가이드 부재(300) 사이에 배치되어 제1 및 제2 가이드 면(301, 302)을 따라 이송된 인쇄매체를 투입 유닛(200)으로 가이드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가이드 플레이트(110)는 투입 유닛(200)과 가이드 부재(300) 사이에서 제2 가이드 면(302)의 상측에 배치되어 급지 유닛(20)으로부터 이송된 인쇄매체를 투입 유닛(200)으로 가이드하는 가이드 경로(GP)를 형성할 수 있다.
아울러, 가이드 플레이트(110)는 양측에 배치된 한 쌍의 후크부(1111, 1112)를 포함하며, 한 쌍의 후크부(1111, 1112)는 제1 회전축(211)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한 쌍의 후크부(1111, 1112)는 제1 회전축(211)의 외주면의 일부를 감싸는 후크(hook)의 형상일 수 있다.
이를 통해, 한 쌍의 후크부(1111, 1112)는 제1 회전축(211)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제1 회전축(211)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닙 형성 부재(120)는 가이드 플레이트(110)의 상측에 배치되어 제1 회전축(211)과 평행한 회전중심을 기준으로 회전할 수 있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닙 형성 부재(120)는 다수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일 예로서, 가이드 유닛(100)은 제1 내지 제3 닙 형성 부재(121 내지 12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내지 제3 닙 형성 부재(121 내지 123)는 가이드 플레이트(110)의 상측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며, 제1 내지 제3 닙 형성 부재(121 내지 123)는 각각 가이드 플레이트(110)와 연결된 제1 내지 제3 연결부(1213 내지 1233, 도 9a 참조)를 중심으로 가이드 플레이트(110) 상에서 회전할 수 있다.
제1 내지 제3 닙 형성 부재(121 내지 123)는 각각 가이드 플레이트(110)의 상측에서 제1 내지 제3 연결부(1213 내지 1233)를 중심으로 시소(seesaw) 운동할 수 있다.
제1 내지 제3 닙 형성 부재(121 내지 123)의 제1 내지 제3 연결부(1213 내지 1233)는 가이드 플레이트(110)의 상면에 배치된 제1 내지 제3 고리부(1121 내지 1123)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제1 내지 제3 닙 형성 부재(121 내지 123)는 제1 내지 제3 연결부(1213 내지 1233)를 기준으로 시소 운동 할 수 있다.
제1 내지 제3 닙 형성 부재(121 내지 123)는 각각, 일단부에 형성되어 제1 회전축(211)과 접하는 제1 내지 제3 접촉부(1211 내지 1231)를 포함한다.
제1 내지 제3 닙 형성 부재(121 내지 123)의 구체적인 구조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제1 내지 제3 닙 형성 부재(121 내지 123)와 가이드 플레이트(110) 사이에는 제1 내지 제3 탄성 부재(131 내지 133)가 배치된다.
제1 내지 제3 탄성 부재(131 내지 133)는 제1 내지 제3 닙 형성 부재(121 내지 123)가 제1 회전방향(C1, 도 6 참조)으로 회전하여 제1 회전축(211)을 가압하도록 제1 내지 제3 닙 형성 부재(121 내지 123)에 각각 탄성력을 가할 수 있다.
제1 내지 제3 탄성 부재(131 내지 133)의 일단은 각각 제1 내지 제3 닙 형성 부재(121 내지 123)의 제1 내지 제3 타단부(1212 내지 1232)의 하측에 결합되고, 제1 내지 제3 탄성 부재(131 내지 133)의 타단은 각각 가이드 플레이트(110)의 상면에 형성된 제1 내지 제3 돌기(1141 내지 1143)에 결합될 수 있다.
제1 내지 제3 탄성 부재(131 내지 133)는 압축 스프링일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제1 내지 제3 닙 형성 부재(121 내지 123)를 가이드 플레이트(110)로부터 상측으로 가압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내지 제3 닙 형성 부재(121 내지 123)는 제1 내지 제3 연결부(1213 내지 1233)를 기준으로 제1 회전방향(C1)으로 회전하여 제1 회전축(211)을 가압할 수 있다.
아울러, 가이드 유닛(100)은 제1 내지 제3 닙 형성 부재(121 내지 123)의 제1 내지 제3 타단부(1212 내지 1232)를 서로 연결하는 연결 플레이트(140)를 포함한다.
투입 유닛(200)은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롤러(210, 220)를 포함한다.
제1 롤러(210)는 제2 롤러(220)의 상측에 배치된다.
제1 롤러(210)와 제2 롤러(220)는 닙 형성 부재(120)를 통해 닙을 형성함으로써 급지 유닛(20)으로부터 이송된 인쇄매체를 현상 유닛(40)으로 투입할 수 있다.
제1 및 제2 롤러(210, 220)는 각각 제1 및 제2 회전축(211, 221)과 제1 및 제2 회전축(211, 22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적어도 하나의 제1 및 제2 롤러 부재(212, 222)를 포함한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롤러 부재(212, 222)는 다수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인쇄매체는 회전하는 다수의 제1 롤러 부재(212)와 회전하는 다수의 제2 롤러 부재(222) 사이를 통과함으로써 현상 유닛(40)으로 투입될 수 있다.
다수의 제1 롤러 부재(212)와 다수의 제2 롤러 부재(222) 사이에는 전술한 닙이 형성될 수 있다.
제2 롤러(220)는 별도의 구동부(미도시)를 통해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할 수 있으며, 제2 회전축(221)이 구동부에 연결되어 회전하고, 제2 롤러 부재(222)는 제2 회전축(221)에 고정되어 제2 회전축(221)과 함께 회전할 수 있다.
또한, 제1 롤러(210)는 제2 롤러(220)와 접하여 회전하는 제2 롤러(220)에 의해 회전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1 롤러 부재(212)는 제1 회전축(211)에 고정되지 않고 제1 회전축(21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투입 유닛(200)은 제1 및 제2 회전축(211, 221)을 지지하는 롤러 브라켓(23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롤러 브라켓(230)은 한 쌍의 지지부(2311, 2312)와 한 쌍의 지지부(2311, 2312)를 서로 연결하는 브라켓 플레이트(232)를 포함한다.
한 쌍의 지지부(2311, 2312)는 제1 및 제2 회전축(211, 221)의 양단과 각각 결합한다.
이를 위해, 한 쌍의 지지부(2311, 2312)는 각각, 제1 회전축(211)의 양단이 결합되는 제1 회전축 홀(2311a, 2312a)과 제2 회전축(212)의 양단이 결합되는 제2 회전축 홀(2311b, 2312b)을 포함한다.
한 쌍의 지지부(2311, 2312)와 브라켓 플레이트(232)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이송 가이드 부재(300)는 제1 및 제2 롤러(210, 220)에 근접하게 배치되며, 제2 가이드 면(302)이 형성된 이송 가이드 부재(300)의 상측에는 가이드 플레이트(110)가 배치될 수 있다.
아울러, 이송 가이드 부재(300)의 상단부에는 한 쌍의 걸림 부재(311, 312)가 배치된다.
한 쌍의 걸림 부재(311, 312)는 가이드 플레이트(110)의 양측에 형성된 한 쌍의 걸림부(1131, 1132)와 간섭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가이드 플레이트(110)를 고정할 수 있다.
한 쌍의 걸림 부재(311, 312)는 각각 이송 가이드 부재(300) 상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한 쌍의 걸림부(1131, 1132)를 선택적으로 고정할 수 있다.
아울러, 한 쌍의 걸림 부재(311, 312)는 각각, 한 쌍의 걸림 부재(311, 312)가 한 쌍의 걸림부(1131, 1132)와 결합하는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한 쌍의 걸림 부재(311, 312)에 탄성력을 가하는 토션 스프링(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가이드 유닛(100), 투입 유닛(200) 및 이송 가이드 부재(300)를 Ⅰ-Ⅰ 선을 따라 자른 단면을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3에 도시된 가이드 유닛(100), 투입 유닛(200) 및 이송 가이드 부재(300)를 Ⅱ-Ⅱ 선을 따라 자른 단면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가이드 유닛(100)이 제1 위치에 배치된 상태에서 제1 롤러(210)와 제2 롤러(220) 사이에 닙을 형성하는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 유닛(100)이 제1 위치에 배치된 상태에서 가이드 플레이트(110)는 투입 유닛(200)과 가이드 부재(300) 사이에서 제2 가이드 면(302)의 상측에 배치되며, 이를 통해, 급지 유닛(20)으로부터 이송된 인쇄매체를 투입 유닛(200)으로 가이드하는 가이드 경로(GP)를 형성한다.
이를 통해, 제1 및 제2 이송경로(P1, P2)를 따라 이송 가이드 부재(300)를 통과한 인쇄매체는 가이드 플레이트(110)의 하부를 따라 가이드됨으로써 제1 롤러(210)와 제2 롤러(220) 사이에 형성된 닙으로 진입할 수 있다.
가이드 플레이트(110)가 제1 위치에 배치된 상태에서 가이드 플레이트(110)의 한 쌍의 후크부(1111, 1112)의 각 선단(1111a, 1112b)은 브라켓 플레이트(232)의 하부에 의해 지지된다.
아울러, 가이드 플레이트(110)의 한 쌍의 걸림부(1131, 1132)는 한 쌍의 걸림 부재(311, 312)에 걸림으로써 고정될 수 있다.
한 쌍의 걸림 부재(311, 312)의 형상은 한 쌍의 걸림부(1131, 1132)와 간섭되어 한 쌍의 걸림부(1131, 1132)를 걸어줄 수 있는 다양한 형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가이드 플레이트(110)는 제1 위치에서 브라켓 플레이트(232) 및 한 쌍의 걸림 부재(311, 312)에 의해 그 위치가 고정되며, 브라켓 플레이트(232) 및 한 쌍의 걸림 부재(311, 312)에 의해 상측으로의 이동이 제한될 수 있다.
아울러, 가이드 플레이트(110)의 한 쌍의 후크부(1111, 1112)가 제1 회전축(211)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더라도, 가이드 플레이트(110)는 제1 위치에서 브라켓 플레이트(232) 및 한 쌍의 걸림 부재(311, 312)에 의해 고정됨으로써 제1 회전축(211)을 중심으로의 회전이 제한된다.
제1 내지 제3 닙 형성 부재(121 내지 123)는 각각 일단부에 형성되어 제1 회전축(211)과 접하는 제1 내지 제3 접촉부(1211 내지 1231)를 포함하고, 제1 내지 제3 접촉부(1211 내지 1231)와 반대측에 배치된 제1 내지 제3 타단부(1212 내지 1232)에는 연결 플레이트(140)가 결합된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제1 닙 형성 부재(121)의 구조를 중심으로 제1 내지 제3 닙 형성 부재(121 내지 123)의 구조를 설명하겠으며, 제2 내지 제3 닙 형성 부재(122, 123)의 구체적인 구조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제1 닙 형성 부재(121)의 구조와 동일하므로 중복되는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아울러,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이하에서 설명하는 제1 닙 형성 부재(121)는 제1 내지 제3 닙 형성 부재(121 내지 123)를 통칭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제1 닙 형성 부재(121)의 일단부에 형성된 제1 접촉부(1211)는 제1 회전축(211)의 외주면의 일부와 접할 수 있으며, 제1 회전축(211)의 외주면의 일부를 감싸는 후크의 형상일 수 있다.
따라서, 가이드 플레이트(110)는 한 쌍의 후크부(1111, 1112)를 통해 제1 회전축(211)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으며, 가이드 플레이트(110)에 결합된 제1 닙 형성 부재(121) 역시 제1 접촉부(1211)를 통해 제1 회전축(211)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따라서, 가이드 플레이트(110)와 제1 닙 형성 부재(121)는 제1 회전축(211)을 중심으로 함께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를 회전할 수 있다.
또한, 제1 닙 형성 부재(121)는 가이드 플레이트(110)와 연결된 제1 연결부(1213)를 중심으로 가이드 플레이트(110) 상에서 회전할 수 있다.
제1 연결부(1213)는 제1 닙 형성 부재(121)의 제1 접촉부(1211)의 반대측에 배치된 제1 닙 형성 부재(121)의 제1 타단부(1212)와 제1 접촉부(1211) 사이에 배치된다.
이를 통해, 제1 닙 형성 부재(121)는 제1 연결부(1213)를 중심으로 가이드 플레이트(110)의 상측에서 회전할 수 있으며, 제1 닙 형성 부재(121)의 제1 접촉부(1211)와 제1 타단부(1212)는 제1 연결부(1213)를 중심으로 시소 운동 할 수 있다.
시소 운동이란 제1 닙 형성 부재(121)가 제1 연결부(1213)를 중심으로 제1 회전방향(C1) 및 제1 회전방향(C1)과 반대되는 제2 회전방향(C2, 도 8b)으로 회전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가이드 플레이트(110)는 제1 내지 제3 닙 형성 부재(121 내지 123)를 향해 돌출된 제1 내지 제3 고리부(1121 내지 1123)를 포함한다.
제1 내지 제3 고리부(1121 내지 1123)는 제1 내지 제3 닙 형성 부재(121 내지 123)의 제1 내지 제3 연결부(1213 내지 1233)와 각각 연결될 수 있으며, 제1 내지 제3 연결부(1213 내지 1233)는 제1 내지 제3 고리부(1121 내지 1123)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1 내지 제3 닙 형성 부재(121 내지 123)는 가이드 플레이트(110)의 상측에서 제1 내지 제3 연결부(1213 내지 1233)를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고리부(1121)는 가이드 플레이트(110)의 상면으로부터 제1 닙 형성 부재(121)를 향해 돌출 형성되며, 제1 닙 형성 부재(121)의 제1 연결부(1213)가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는 제1 삽입홀(1121H)을 포함한다.
제1 고리부(1121)의 제1 삽입홀(1121H)은 제1 회전축(211)의 축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관통 형성된 구멍일 수 있으며, 가이드 플레이트(110)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된 장공(long hole)의 형상일 수 있다.
제1 닙 형성 부재(121)의 제1 연결부(1213)는 제1 고리부(1121)의 제1 삽입홀(1121H)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는 제1 삽입돌기(12131, 도 9a 참조)를 포함하며, 제1 닙 형성부재(121)는 제1 삽입돌기(12131)를 중심으로 가이드 플레이트(110)의 상측에서 회전할 수 있다.
아울러, 제1 삽입돌기(12131)는 후술하는 제1 탄성 부재(131)의 탄성력에 의해 장공 형상의 제1 삽입홀(1121H)의 상단에 배치되어 제1 삽입홀(1121H)의 상단을 가압할 수 있다.
또한, 제1 탄성 부재(131)는 제1 닙 형성 부재(121)의 제1 타단부(1212)와 가이드 플레이트(110) 사이에 배치되어 제1 닙 형성 부재(121)의 제1 접촉부(1211)가 제1 회전축(211)을 가압하도록 제1 닙 형성 부재(121)의 제1 타단부(1212)에 탄성력을 가한다.
따라서, 제1 닙 형성 부재(121)는 제1 탄성 부재(131)의 탄성력에 의해 제1 연결부(1213)를 중심으로 제1 회전방향(C1)으로 회전하며, 이를 통해 제1 닙 형성 부재(121)의 제1 접촉부(1211)는 제1 회전축(211)을 가압한다.
따라서, 제1 롤러(210)와 제2 롤러(220) 사이에는 닙이 형성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접촉부(1211)는 제1 회전축(211)의 외주면의 일부를 감싸는 후크의 형상일 수 있는바, 제1 접촉부(1211)에 의해 감싸지는 제1 회전축(211)의 외주면의 일부로부터 제1 회전축(211)의 중심(211C)을 향하는 방향으로 제1 회전축(211)을 가압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접촉부(1211)는 가이드 유닛(100)이 제1 위치에 배치된 상태에서 제2 롤러(220)를 향하는 제1 방향(D1)으로 제1 회전축(211)을 가압함으로써, 제1 롤러(210)와 제2 롤러(220) 사이에 닙을 형성한다.
따라서, 가이드 유닛(100)이 제1 위치에 배치된 상태에서 제1 닙 형성 부재(121)의 제1 접촉부(1211)는 제1 회전축(211)을 제2 롤러(222)를 향하는 제1 방향(D1)으로 가압하며, 이를 통해, 제1 롤러(210)와 제2 롤러(220) 사이에 닙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투입 유닛(200)으로 진입한 인쇄매체는 정지된 제1 및 제2 롤러(210, 220)에 의해 선단이 정렬된 이후, 회전하는 제1 및 제2 롤러(210, 220)에 의해 닙을 통과함으로써 현상 유닛(40)으로 투입될 수 있다.
아울러, 제1 닙 형성 부재(121)는 가이드 플레이트(110)와 함께 제1 회전축(211)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고, 제1 닙 형성 부재(121)가 제1 회전축(211)을 중심으로 회전함에 따라 제1 접촉부(1211)가 제1 회전축(211)을 가압하는 방향이 전환될 수 있다.
전술한 제1 닙 형성 부재(121)의 구체적이 구조는 제2 내지 제3 닙 형성 부재(122, 123)의 구조와 동일하며, 제1 내지 제3 닙 형성 부재(121 내지 123)는 가이드 플레이트(110)의 상측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제1 내지 제3 탄성 부재(131 내지 133)에 의해 제1 회전방향(C1)으로 회전함으로써 제1 회전축(211)을 가압할 수 있다.
제1 접촉부(1211)가 제1 회전축(211)을 중심으로 회전함으로써 제1 회전축(211)을 가압하는 방향이 전환되는 구조에 대해서는 이하에서 후술한다.
도 7a는 가이드 유닛(100)이 제1 위치에 배치된 상태에서 투입 유닛(200)에 진입한 인쇄매체(J)가 걸린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7b는 도 7a에 도시된 가이드 유닛(100)이 제1 롤러(210)의 제1 회전축(211)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제2 위치에 배치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 7a 및 도 7b를 참조하여, 가이드 유닛(100)을 제1 회전축(211)을 중심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제1 롤러(210)와 제2 롤러(220) 사이의 닙을 해제하는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 유닛(100)이 제1 위치에 배치된 상태에서 제1 닙 형성 부재(121)의 제1 타단부(1212)는 제1 탄성 부재(131)로부터 상측으로 탄성력을 인가받고, 제1 접촉부(1211)는 제2 롤러(220)를 향하는 제1 방향(D1)으로 제1 회전축(211)을 가압한다.
이를 통해, 제1 롤러(210)와 제2 롤러(220)는 닙을 형성한다.
다만, 이송 가이드 부재(300) 및 가이드 유닛(100)을 통해 가이드됨으로써 닙으로 진입한 인쇄매체(J)는 닙을 통과하는 과정에서 인쇄매체(J)의 상태, 내부 구성부품의 마모 등 다양한 원인에 의해 잼(jam)이 발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쇄매체(J)가 제1 롤러(210)와 제2 롤러(220) 사이로 진입하는 과정에서 인쇄매체(J)의 선단으로부터 잼이 발생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 유닛(100)을 제1 회전축(211)을 중심으로 회전시켜 제2 위치로 전환함으로써 제1 롤러(210)와 제2 롤러(220) 사이의 닙을 해제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잼이 발생한 인쇄매체(J)를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가이드 플레이트(110)는 한 쌍의 걸림부(1131, 1132)가 한 쌍의 걸림 부재(311, 312)에 의해 간섭됨으로써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므로,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걸림 부재(311, 312)를 회전시킴으로써 한 쌍의 걸림부(1131, 1132)에 대한 고정을 해제한 뒤, 가이드 유닛(100)을 제2 위치로 회전시킬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닙 형성 부재(121)의 제1 접촉부(1211)는 제1 회전축(211)의 외주면의 일부를 감싸는 형상으로서, 제1 접촉부(1211)에 의해 감싸지는 제1 회전축(211)의 외주면의 일부로부터 제1 회전축(211)의 중심(211C)을 향하는 방향으로 제1 회전축(211)을 가압할 수 있다.
아울러, 제1 위치에 배치된 상태에서 제1 접촉부(1211)는 제1 회전축(211)을 제1 방향(D1)으로 가압함으로써, 제1 롤러(210)와 제2 롤러(220) 사이에 닙을 형성하는바, 제1 닙 형성 부재(121)가 제1 회전축(211)을 중심으로 회전함에 따라 제1 접촉부(1211)가 제1 회전축(211)을 가압하는 방향이 전환된다.
구체적으로, 제1 접촉부(1211)는 제1 위치에 배치된 상태에서 제1 닙 형성 부재(121)가 제1 회전축(211)을 중심으로 일정 각도 회전함에 따라, 제1 방향(D1)에서 제1 회전축(211)을 중심으로 일정 각도만큼 회전한 제2 방향(D2)으로 제1 회전축(211)을 가압한다.
더욱 구체적으로,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 유닛(100)이 제1 회전축(211)을 중심으로 일정 각도 회전함으로써 제2 위치에 배치되면, 가이드 플레이트(110)와 제1 닙 형성 부재(121) 역시 제1 회전축(211)을 중심으로 일정 각도만큼 회전함으로써 제2 위치에 배치된다.
따라서, 제2 위치에서 제1 접촉부(1211)에 의해 감싸지는 제1 회전축(211)의 외주면의 일부는 제1 위치에서 제1 접촉부(1211)에 의해 감싸지는 제1 회전축(211)의 외주면의 일부와 상이하며, 제2 위치에서 제1 접촉부(1211)는 제1 접촉부(1211)에 의해 감싸지는 제1 회전축(211)의 외주면의 일부로부터 제1 회전축(211)의 중심(211C)을 향하는 제2 방향(D2)으로 제1 회전축(211)을 가압할 수 있다.
즉, 제1 접촉부(1211) 역시 제1 회전축(211)을 중심으로 일정 각도만큼 회전한 제2 방향(D2)으로 제1 회전축(211)을 가압한다.
따라서, 제2 방향(D2)은 제1 회전축(211)으로부터 제2 롤러(220)를 향하는 제1 방향(D1)과 상이하므로, 제1 롤러(210)와 제2 롤러(220) 사이에 닙이 해제될 수 있다.
제1 롤러(210)와 제2 롤러(220) 사이의 닙이 해제될 수 있도록, 제2 방향(D2)은 제1 방향(D1)으로부터 제1 회전축(211)을 중심으로 45° 이상 회전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90° 이상 회전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아울러,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 플레이트(110)는 제2 위치에 배치된 상태에서 가이드 경로(GP)를 개방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개방된 가이드 경로(GP)를 통해 잼이 발생한 인쇄매체(J)를 더욱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다.
이처럼, 가이드 유닛(100)이 제1 회전축(211)을 중심으로 제2 위치로 회전함으로써 제1 롤러(210)와 제2 롤러(220) 사이에 닙이 해제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선단부가 닙에 걸림으로써 잼이 발생된 인쇄매체(J)를 제1 및 제2 이송경로(P1, P2) 상에서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다.
도 8a는 투입 유닛(200)을 통과하는 인쇄매체(J)가 걸린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8b는 도 8a에 도시된 연결 플레이트(140)가 가압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a 및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쇄매체(J)가 제1 롤러(210)와 제2 롤러(220) 사이에 형성된 닙을 통과하는 과정에서, 인쇄매체(J)의 후단부가 닙에 걸림으로써 잼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연결 플레이트(140)를 하측으로 가압함으로써 제1 롤러(210)와 제2 롤러(220) 사이의 닙을 해제할 수 있으며, 잼이 발생한 인쇄매체(J)를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닙 형성 부재(121)의 제1 타단부(1212)와 가이드 플레이트(110) 사이에 배치된 제1 탄성 부재(131)는 제1 닙 형성 부재(121)의 제1 타단부(1212)를 상측으로 밀어줌으로써, 제1 닙 형성 부재(121)를 제1 연결부(1213)를 중심으로 제1 회전방향(C1)으로 회전시킨다. 이를 통해, 제1 닙 형성 부재(121)의 제1 접촉부(1211)는 제1 회전축(211)을 제1 방향(D1)으로 가압하여 제1 롤러(210)와 제2 롤러(220) 사이에 닙을 형성한다.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닙 형성 부재(121)의 제1 타단부(1212)가 제1 탄성 부재(131)의 탄성력의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가압되면, 제1 닙 형성 부재(121)는 제1 회전방향(C1)과 반대되는 제2 회전방향(C2)으로 제1 연결부(1213)를 중심으로 회전한다.
이를 통해, 제1 닙 형성 부재(121)의 제1 접촉부(1211)는 상측으로 이동함으로써, 제1 회전축(211)으로부터 이격된다.
따라서, 제1 회전축(211)은 제1 닙 형성 부재(121)에 의한 가압이 해제되고, 제1 롤러(210)와 제2 롤러(220) 사이에 닙이 해제된다.
아울러, 연결 플레이트(140)는 제1 내지 제3 닙 형성 부재(121 내지 123)의 제1 내지 제3 타단부(1212 내지 1232)를 연결하므로, 연결 플레이트(140)가 가압됨으로써 제1 내지 제3 닙 형성 부재(121 내지 123)는 제2 회전방향(C2)으로 동시에 회전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1 롤러(210)와 제2 롤러(220) 사이의 닙이 용이하게 해제될 수 있다.
이처럼, 연결 플레이트(140)를 통해 제1 내지 제3 닙 형성 부재(121 내지 123)를 제1 회전축(211)으로부터 분리시킴으로써, 제1 롤러(210)와 제2 롤러(220) 사이에 닙이 용이하게 해제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인쇄매체(J)의 후단부가 닙에 걸림으로써 잼이 발생한 인쇄매체(J)를 제3 이송경로(P3) 상에서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다.
도 9a는 도 3에 도시된 가이드 플레이트(110)로부터 닙 형성 부재(120)를 분리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9b는 도 9a에 도시된 닙 형성 부재(120)가 가이드 플레이트(110)로부터 분리된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9c는 닙 형성 부재(120)가 분리된 가이드 플레이트(110)가 회전하는 모습을 도 9b에 도시된 Ⅲ-Ⅲ 선을 따라 자른 단면을 통해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9d는 도 9c에 도시된 가이드 플레이트(110)를 투입 유닛(200)으로부터 분리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9a 내지 도 9d를 참조하여, 투입 유닛(200)으로부터 가이드 유닛(100)을 분리하는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급지 유닛(20)으로부터 이송된 인쇄매체가 투입 유닛(200)을 통해 현상 유닛(40)으로 투입되는 과정에서 잼이 발생할 수 있으며, 잼이 발생한 인쇄매체를 제거하는 과정에서 인쇄매체의 일부가 찢어질 수 있다. 이렇게 찢어진 인쇄매체의 일부는 가이드 유닛(100)과 투입 유닛(200) 사이에 끼임으로써 제거가 어려울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가이드 유닛(100)은 투입 유닛(200)으로부터 용이하게 분리 가능함으로써, 가이드 유닛(100)과 투입 유닛(200) 사이에 끼인 인쇄매체의 일부를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내지 제3 닙 형성 부재(121 내지 123)는 각각, 제1 내지 제3 접촉부(1211 내지 1231)와 제1 내지 제3 타단부(1212 내지 1232) 사이에 배치된 제1 내지 제3 연결부(1213 내지 1233)를 포함한다.
제1 내지 제3 연결부(1213 내지 1233)는 각각 한 쌍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한 쌍의 제1 내지 제3 연결부(1213 내지 1233)와 결합하는 제1 내지 제4 고리부(1121 내지 1123) 역시 한 쌍의 제1 내지 제3 고리부(1121 내지 1123)로 구성될 수 있다.
도 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제1 연결부(1213)는 각각 제1 삽입돌기(12131) 및 제1 삽입돌기(12131)의 선단부에 결합된 제1 걸림돌기(12132)를 포함한다.
제1 삽입돌기(12131)는 제1 고리부(1121)의 장공 형상의 제1 삽입홀(1121H)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며, 제1 탄성 부재(131)의 탄성력에 의해 제1 삽입홀(1121H)의 상단에 배치되어 제1 삽입홀(1121H)의 상단을 가압할 수 있다.
아울러, 제1 걸림돌기(12132)는 제1 삽입홀(1121H)을 관통하는 제1 삽입돌기(12131)의 선단부로부터 상측으로 돌출 형성된다.
이를 통해, 제1 걸림돌기(12132)는, 제1 삽입돌기(12131)가 제1 삽입홀(1121H)에 삽입된 상태에서 제1 고리부(1121)와 간섭될 수 있으며, 따라서, 제1 연결부(1213)는 제1 삽입홀(1121H)로부터 이탈됨이 없이 제1 고리부(112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닙 형성 부재(121)는, 하측으로 가압된 상태에서 제1 삽입돌기(12131)가 제1 삽입홀(1121H)에 삽입되는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가압됨으로써, 제1 고리부(1121)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닙 형성 부재(121)가 하측으로 가압됨으로써 제1 삽입홀(1121H)의 상단에 배치된 제1 삽입돌기(12131) 및 제1 걸림돌기(12132)는 장공 형상의 제1 삽입홀(1121H)을 따라 하측으로 이동한다.
이를 통해, 제1 고리부(1121)에 간섭되던 제1 걸림돌기(12132)는 제1 삽입홀(1121H)을 통과할 수 있도록 제1 고리부(1121)와의 간섭이 해제된다.
이후, 제1 닙 형성 부재(121)가 제1 삽입돌기(12131)가 제1 삽입홀(1121H)에 삽입되는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가압되어 이동함으로써, 제1 삽입돌기(12131) 및 제1 걸림돌기(12132)는 제1 삽입홀(1121H)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1 닙 형성 부재(121)는 제1 고리부(1121)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내지 제3 닙 형성 부재(121 내지 123)는 동일한 구조로 구성될 수 있으며, 제1 내지 제3 고리부(1121 내지 1123) 역시 제1 내지 제3 연결부(1213 내지 1233)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연결 플레이트(140)를 하측으로 가압한 뒤, 제1 내지 제3 삽입돌기가 제1 내지 제3 삽입홀에 삽입되는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가압하여 연결 플레이트(140) 및 제1 내지 제3 닙 형성 부재(121 내지 123)를 이동시킴으로써, 제1 내지 제3 닙 형성 부재(121 내지 123)를 가이드 플레이트(110)로부터 용이하게 분리시킬 수 있다.
이를 통해,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내지 제3 닙 형성 부재(121 내지 123), 제1 내지 제3 닙 형성 부재(121 내지 123)에 결합된 제1 내지 제3 탄성 부재(131 내지 133) 및 제1 내지 제3 닙 형성 부재(121 내지 123)를 연결하는 연결 플레이트(140)는 가이드 플레이트(110)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이후, 도 9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내지 제3 닙 형성 부재(121 내지 123)가 분리된 가이드 플레이트(110)를 제1 회전축(211)을 중심으로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를 향해 회전시킬 수 있다.
도 9c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1 위치에 배치된 가이드 플레이트(110)와 제2 위치를 향해 제1 회전축(211)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가이드 플레이트(110)를 함께 도시하였으며, 가이드 플레이트(110)를 고정하거나 고정을 해제하기 위해 걸림 부재(312)가 회전하는 모습을 함께 도시하였다.
가이드 플레이트(110)는 제1 위치에 배치된 상태에서 한 쌍의 걸림부(1131, 1132)가 한 쌍의 걸림 부재(311, 312)에 의해 간섭됨으로써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므로, 한 쌍의 걸림 부재(311, 312)를 회전시킴으로써 한 쌍의 걸림부(1131, 1132)에 대한 고정을 해제한 뒤, 가이드 플레이트(110)를 제2 위치를 향해 회전시킬 수 있다.
가이드 플레이트(110)가 제2 위치를 향해 회전함에 따라, 가이드 플레이트(110)의 한 쌍의 후크부(1111, 1112)의 선단부(1111a, 1112a)는 브라켓 플레이트(232)로부터의 지지가 해제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도 9d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 플레이트(110)는 제1 회전축(211)으로부터 분리되며, 브라켓 플레이트(232)의 하부와 제1 회전축(211) 사이를 통해 투입 유닛(200)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이처럼, 가이드 유닛(100)은 연결 플레이트(140)를 하측으로 가압한 뒤, 제1 내지 제3 삽입돌기가 제1 내지 제3 삽입홀에 삽입된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연결 플레이트(140)를 가압함으로써, 제1 내지 제3 닙 형성 부재(121 내지 123)를 가이드 플레이트(110)로부터 용이하게 분리시킬 수 있다.
이후, 가이드 플레이트(110)를 제1 회전축(211)을 중심으로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를 향해 회전시킴으로써 제1 회전축(211)으로부터 용이하게 분리시킬 수 있다.
이를 통해, 가이드 유닛(100)은 투입 유닛(200)으로부터 분리되는바, 가이드 유닛(100)과 투입 유닛(200) 사이에 걸린 인쇄매체의 일부를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가이드 유닛(100)은 제1 롤러(210)와 제2 롤러(220) 사이의 닙을 형성함과 동시에 제1 회전축(211)으로부터 회전 가능하게 마련됨으로써 1 롤러(210)와 제2 롤러(220) 사이의 닙을 선택적으로 형성 및 해제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가이드 유닛(100)을 회전시키는 간단한 구조만으로 제1 롤러(210)와 제2 롤러(220) 사이에 닙을 형성하거나 잼이 발생한 인쇄매체를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다.
아울러, 다수의 닙 형성 부재(121 내지 123)의 각 타단부(1212 내지 1232)를 연결하는 연결 플레이트(140)를 가압함으로써 제1 롤러(210)와 제2 롤러(220) 사이의 닙을 용이하게 해제할 수 있는바, 이를 통해서도 잼이 발생한 인쇄매체를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다.
또한, 가이드 유닛(100)은 제1 내지 제3 닙 형성 부재(121 내지 123) 및 가이드 플레이트(110)를 제1 회전축(211)으로부터 순차적으로 분리시킴으로써,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는바, 가이드 유닛(100)과 투입 유닛(200) 사이에 끼인 찢겨진 인쇄매체의 일부분 역시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를 각각 개별적으로 설명하였으나, 각 실시 예들은 반드시 단독으로 구현되어야만 하는 것은 아니며, 각 실시 예들의 구성 및 동작은 적어도 하나의 다른 실시 예들과 조합되어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서는 안될 것이다.
1; 화상형성장치 10; 본체
20; 급지 유닛 31, 32; 제1 및 제2 픽업 롤러
40; 현상 유닛 50; 토너 유닛
60; 노광 유닛 70; 현상 롤러
80; 정착 유닛 90; 배지 유닛
100; 가이드 유닛 110; 가이드 플레이트
120; 닙 형성 부재 130; 탄성 부재
140; 연결 플레이트 200; 투입 유닛
210; 제1 롤러 220; 제2 롤러
230; 롤러 브라켓 300; 이송 가이드 부재

Claims (15)

  1. 급지 유닛;
    인쇄매체에 화상을 형성하는 현상 유닛;
    상기 급지 유닛으로부터 이송된 인쇄매체를 상기 현상 유닛으로 투입하는 제1 및 제2 롤러를 구비한 투입 유닛; 및
    상기 급지 유닛으로부터 상기 투입 유닛으로 이동하는 인쇄매체를 가이드하고, 상기 제1 롤러를 상기 제2 롤러에 선택적으로 가압하도록 상기 제1 롤러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마련된 가이드 유닛;을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유닛은, 상기 제1 롤러와 상기 제2 롤러 사이에 닙을 형성하도록 상기 제2 롤러를 향해 상기 회전축을 가압하는 제1 위치와 상기 닙을 해제하는 제2 위치 사이에서 회전 가능한 화상형성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유닛은,
    상기 회전축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급지 유닛으로부터 이송된 인쇄매체를 상기 투입 유닛으로 가이드하는 가이드 플레이트;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의 상측에 배치되어, 상기 회전축과 평행한 회전중심을 기준으로 회전하는 적어도 하나의 닙 형성 부재;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닙 형성 부재와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닙 형성 부재가 제1 회전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회전축을 가압하도록 상기 닙 형성 부재에 탄성력을 가하는 탄성 부재;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닙 형성 부재는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와 연결된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를 중심으로 회전하는 화상형성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닙 형성 부재는 일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회전축과 접하는 접촉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는 상기 접촉부의 반대측에 배치된 상기 닙 형성 부재의 타단부와 상기 접촉부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탄성 부재는 상기 타단부와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접촉부가 상기 회전축을 가압하도록 상기 타단부에 탄성력을 가하는 화상형성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닙 형성 부재는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와 함께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고, 상기 닙 형성 부재가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함에 따라 상기 접촉부가 상기 회전축을 가압하는 방향이 전환되는 화상형성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부는, 상기 회전축의 외주면의 일부와 접하고, 상기 회전축의 외주면의 일부로부터 상기 회전축의 중심을 향하는 방향으로 상기 회전축을 가압하는 화상형성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부는 상기 회전축의 외주면의 일부를 감싸는 후크(hook) 형상인 화상형성장치.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부는, 상기 제1 위치에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제2 롤러를 향하는 제1 방향으로 상기 회전축을 가압하고, 상기 제2 위치에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닙을 해제하는 화상형성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부는, 상기 닙 형성 부재가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일정 각도 회전함에 따라, 상기 제1 방향에서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상기 일정 각도만큼 회전한 제2 방향으로 상기 회전축을 가압하는 화상형성장치.
  11.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유닛은,
    제1 내지 제3 닙 형성 부재; 및
    상기 제1 내지 제3 닙 형성 부재의 각 타단부를 연결하는 연결 플레이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닙 형성 부재는 상기 연결 플레이트가 가압됨에 따라 상기 제1 회전방향과 반대되는 제2 회전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회전축과 이격되는 화상형성장치.
  12.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는, 상기 닙 형성 부재를 향해 돌출되고 상기 회전축의 축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관통 형성된 삽입홀을 구비한 적어도 하나의 고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는 상기 삽입홀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는 적어도 하나의 삽입돌기를 포함하며,
    상기 닙 형성 부재는 상기 삽입돌기를 중심으로 회전하는 화상형성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홀은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된 장공의 형상이고,
    상기 삽입돌기는 상기 탄성 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삽입홀의 상단에 배치되어 상기 삽입홀의 상단을 가압하는 화상형성장치.
  1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는 상기 제1 위치에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급지 유닛으로부터 이송된 인쇄매체를 상기 투입 유닛으로 가이드하는 가이드 경로를 형성하고, 상기 제2 위치에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가이드 경로를 개방하는 화상형성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는 상기 회전축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후크부를 포함하고,
    상기 후크부는 상기 회전축의 외주면의 일부를 감싸는 화상형성장치.
KR1020170097833A 2017-08-01 2017-08-01 화상형성장치 KR20190013350A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7833A KR20190013350A (ko) 2017-08-01 2017-08-01 화상형성장치
EP18841090.6A EP3601120B1 (en) 2017-08-01 2018-02-28 Printing medium guide
US16/633,881 US11117765B2 (en) 2017-08-01 2018-02-28 Printing medium guide
PCT/KR2018/002425 WO2019027116A1 (en) 2017-08-01 2018-02-28 PRINT SUPPORT GUIDE
CN201880044591.9A CN110869301B (zh) 2017-08-01 2018-02-28 打印介质引导件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7833A KR20190013350A (ko) 2017-08-01 2017-08-01 화상형성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3350A true KR20190013350A (ko) 2019-02-11

Family

ID=652338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97833A KR20190013350A (ko) 2017-08-01 2017-08-01 화상형성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1117765B2 (ko)
EP (1) EP3601120B1 (ko)
KR (1) KR20190013350A (ko)
CN (1) CN110869301B (ko)
WO (1) WO201902711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492223B2 (en) * 2019-01-21 2022-11-08 Ricoh Company, Ltd. Sheet convey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incorporating the sheet conveying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104546A (ja) * 1987-10-16 1989-04-21 Minolta Camera Co Ltd シート搬送路のジャム処理装置
JPH0286522A (ja) 1989-04-05 1990-03-27 Canon Inc シート搬送装置
JPH1026851A (ja) * 1996-07-11 1998-01-27 Canon Inc 記録装置
JPH10120234A (ja) * 1996-10-22 1998-05-12 Seiko Epson Corp シート搬送装置
KR20000000068U (ko) 1998-06-01 2000-01-15 구자홍 인쇄장치의 용지걸림 제거장치
KR100419221B1 (ko) * 2002-01-04 2004-02-21 삼성전자주식회사 화상형성장치의 용지이송장치
US8478182B2 (en) * 2007-06-15 2013-07-02 Samsung Electronics Co., Ltd. Printing medium alignment device with rollers attached and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JP5953912B2 (ja) 2012-05-01 2016-07-20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記録装置
US9162488B2 (en) 2012-06-26 2015-10-20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Media guide
KR102047904B1 (ko) * 2013-09-26 2019-11-22 휴렛-팩커드 디벨롭먼트 컴퍼니, 엘.피. 인쇄매체공급장치 및 이를 갖는 화상형성장치
JP2016177093A (ja) 2015-03-19 2016-10-06 株式会社リコー 定着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US10048632B2 (en) * 2015-04-15 2018-08-14 Sharp Kabushiki Kaisha Sheet transport apparatus, automatic document feeder, and image forming apparatus
KR102215455B1 (ko) 2015-05-22 2021-02-10 휴렛-팩커드 디벨롭먼트 컴퍼니, 엘.피. 화상형성장치
JP2017100313A (ja) * 2015-11-30 2017-06-08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装置
KR101797840B1 (ko) 2016-01-12 2017-11-15 주식회사 빅솔론 인쇄 장치
JP2017194610A (ja) * 2016-04-21 2017-10-26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KR200492188Y1 (ko) * 2018-06-29 2020-08-25 세명전기공업(주) 전선용 스페이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027116A1 (en) 2019-02-07
EP3601120A1 (en) 2020-02-05
US20200239253A1 (en) 2020-07-30
CN110869301B (zh) 2021-10-26
EP3601120B1 (en) 2023-10-25
US11117765B2 (en) 2021-09-14
CN110869301A (zh) 2020-03-06
EP3601120A4 (en) 2021-04-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29881B2 (en) Process cartridge and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JP5134347B2 (ja) 画像形成装置
JP5145839B2 (ja) 定着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US10040652B2 (en) Sheet feeding apparatus, sheet conveyance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20100232832A1 (en) Developing cartridge, process cartridge, and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JP2013189309A (ja) 原稿搬送装置、画像読取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US10962918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a mountable unit for discharging developer
JP7346145B2 (ja) シート給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KR20100105318A (ko) 반송로 구조 및 화상형성장치
US10046931B2 (en) Sheet conveying apparatus, image forming apparatus, and image reading apparatus
KR20190013350A (ko) 화상형성장치
JP2003287973A (ja) 画像形成装置
JP5549312B2 (ja) 定着装置、片面用画像形成装置及び両面用画像形成装置
JP4645745B2 (ja) 画像形成装置
JP5638039B2 (ja) 画像形成装置
JP5144233B2 (ja) 画像形成装置
JP3907597B2 (ja) 画像形成装置
JP4579394B2 (ja) 中間転写体ユニット及び画像形成装置
JP7229718B2 (ja) 画像形成装置
JP5558532B2 (ja) 押圧機構と画像形成装置
US11550255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developing cartridge
JP7423209B2 (ja) シート給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5152550B2 (ja) 画像形成装置
JP2023065015A (ja) シート搬送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H09258507A (ja) カラー画像形成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