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11047A - 변속 장치를 포함하는 차량 - Google Patents

변속 장치를 포함하는 차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11047A
KR20190011047A KR1020170093459A KR20170093459A KR20190011047A KR 20190011047 A KR20190011047 A KR 20190011047A KR 1020170093459 A KR1020170093459 A KR 1020170093459A KR 20170093459 A KR20170093459 A KR 20170093459A KR 20190011047 A KR20190011047 A KR 201900110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ift lever
automatic
manual
shift
insertion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934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81747B1 (ko
Inventor
홍기범
우승현
안대윤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934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81747B1/ko
Priority to US15/802,620 priority patent/US10215274B2/en
Priority to CN201711145466.0A priority patent/CN109296742B/zh
Publication of KR201900110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110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817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817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1/00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 F16H61/18Preventing unintentional or unsafe shift, e.g. preventing manual shift from highest gear to reverse gea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02Selector apparatus
    • F16H59/0204Selector apparatus for automatic transmissions with means for range selection and manual shifting, e.g. range selector with tiptronic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02Selector apparatus
    • F16H59/0278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selector lever, e.g. grip parts, mounting or manufactu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02Selector apparatus
    • F16H59/08Range selector apparatus
    • F16H59/10Range selector apparatus comprising le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1/00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 F16H61/22Locking of the control input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02Selector apparatus
    • F16H2059/0239Up- and down-shift or range or mode selection by repeated move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02Selector apparatus
    • F16H59/04Ratio selector apparatus
    • F16H2059/047Ratio selector apparatus with essentially straight linear movement for gear selection, e.g. straight selection movement using detent mechanism for improving fee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1/00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 F16H61/26Generation or transmission of movements for final actuating mechanisms
    • F16H61/28Generation or transmission of movements for final actuating mechanisms with at least one movement of the final actuating mechanism being caused by a non-mechanical force, e.g. power-assisted
    • F16H61/32Electric motors actuators or related electrical control means therefor
    • F16H2061/326Actuators for range selection, i.e. actuators for controlling the range selector or the manual range valve in the transmiss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Devices For Change-Speed Gearing (AREA)

Abstract

자동 변속레버와 수동 변속레버를 분리하여 자동 변속 조작과 수동 변속 조작의 차이가 명확해지고, 운전자의 오조작을 방지할 수 있는 변속장치를 포함하는 차량을 제공할 수 있다. 차량은 변속 명령을 입력 받는 변속레버 및 상기 변속레버가 입력 받은 상기 변속 명령에 따라 변속을 수행하는 변속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변속레버는, 직선 이동하여 자동 변속 명령을 입력 받는 자동 변속레버와, 상기 자동 변속레버를 회전축으로 회전하여 수동 변속 명령을 입력 받는 수동 변속레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변속 장치를 포함하는 차량{VEHICLE COMPRISING TRANSMISSION APPARATUS}
본 발명은 차량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자동 변속 조작은 슬라이드 조작으로 이루어지고, 수동 변속 조작은 회전 조작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변속장치를 포함하는 차량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변속기란 엔진에 의해 발생된 동력을 차량의 주행 상태에 알맞도록 회전력과 속도를 바꾸어 구동 바퀴에 전달하는 장치로 수동 변속기와 자동 변속기로 구분될 수 있다.
차량을 운전하는 운전자는 운전석 주위의 콘솔면 또는 핸들에 장착된 변속레버를 조작하여 수동 변속기 또는 자동 변속기의 변속단을 자신이 원하는 변속단으로 변경할 수 있다.
수동 변속기는 운전자가 변속레버를 이용하여 자동차의 주행 상태에 맞는 기어를 선택하면 케이블이나 로드 등을 통해 운전자가 원하는 움직임을 변속기에 전달하는 방식으로 작동되고, 자동 변속기는 운전자가 변속레버를 움직이면 케이블을 통해 인히비터 스위치를 구동시켜 운전자가 원하는 움직임을 변속기에 전달하는 방식으로 작동될 수 있다.
최근의 차량에는 SBW(Shift-by-Wire) 방식의 변속 레버가 사용되고 있다. SBW 방식의 변속 레버는 종래의 기계식 변속 레버와는 다르게, 다양한 방식의 조작 방법을 통해 변속 명령을 입력 받을 수 있다.
SBW 방식의 변속레버는 기계식 변속레버와 달리 기계적인 케이블 연결구조가 없고, 레버 조작력이나 조작감이 우수하여 그 조작이 간편하다는 장점이 있다.
SBW 방식의 변속레버의 종류로는 차량의 콘솔면 위에 돌출되어 있는 변속레버를 앞뒤로 조작하는 방식의 레버 타입 변속레버, 차량의 콘솔면 상에 장착되어 있는 원통 형상의 변속레버를 좌우로 돌려서 조작하는 다이얼 타입 변속레버, 차량의 핸들 측면에 장착된 변속레버를 상하로 조작하는 컬럼 타입 변속레버 및 차량의 변속단이 표시된 버튼을 눌러서 조작하는 버튼 타입 변속레버 등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자동변속레버와 수동변속레버를 분리하여 자동 변속 조작과 수동 변속 조작의 차이가 명확해지고, 이를 통해 운전자의 오조작을 방지할 수 있는 변속장치를 포함하는 차량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은 자동 변속 조작은 슬라이드 조작으로 이루어지고, 수동 변속 조작은 회전 조작으로 이루어지도록 하여 자동 변속 조작과 수동 변속 조작의 차이가 명확해지고, 이를 통해 운전자의 오조작을 방지할 수 있는 변속장치를 포함하는 차량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차량은 변속 명령을 입력 받는 변속레버 및 상기 변속레버가 입력 받은 상기 변속 명령에 따라 변속을 수행하는 변속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변속레버는, 직선 이동하여 자동 변속 명령을 입력 받는 자동 변속레버와, 상기 자동 변속레버를 회전축으로 회전하여 수동 변속 명령을 입력 받는 수동 변속레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자동 변속레버는 P, R, N, D 변속단 중 어느 하나의 변속단에 위치하고, 상기 자동 변속레버의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자동 변속 명령을 입력 받을 수 있다.
상기 수동 변속레버는 제1방향 또는 상기 제1방향과 반대인 제2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수동 변속레버가 상기 제1방향으로 소정 각도 회전하면, 시프트 다운(-) 변속 명령을 입력 받을 수 있다.
상기 수동 변속레버가 상기 제2방향으로 소정 각도 회전하면, 시프트 업(+) 변속 명령을 입력 받을 수 있다.
상기 자동 변속레버가 상기 D 변속단에 위치하였을 때, 상기 수동 변속레버는 회전이 허용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자동 변속레버가 상기 P, R, N 변속단 중 어느 하나에 위치하였을 때, 상기 수동 변속레버의 회전이 제한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변속레버는 상기 자동 변속레버와 상기 수동 변속레버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는 상기 자동 변속레버와 상기 수동 변속레버 각각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자동 변속레버는, 상기 자동 변속레버의 일 면으로부터 상기 자동 변속레버의 내측으로 함몰되어 형성되는 삽입홈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는 상기 수동 변속레버가 제1방향으로 소정 각도 이상 회전하면 상기 삽입홈에 삽입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가 상기 삽입홈에 삽입되면, 상기 수동 변속레버와 상기 자동 변속레버는 함께 회전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수동 변속레버와 상기 자동 변속레버가 함께 상기 제1방향으로 소정 각도 회전하면, 시프트 다운(-) 변속 명령을 입력 받을 수 있다.
상기 수동 변속레버와 상기 자동 변속레버가 함께 상기 제1방향과 반대인 제2방향으로 소정 각도 회전하면, 시프트 업(+) 변속 명령을 입력 받을 수 있다.
상기 연결부가 상기 삽입홈에 삽입되었을 때, 상기 수동 변속레버가 상기 제1방향과 반대인 제2방향으로 소정 각도 이상 회전하면 상기 연결부가 상기 삽입홈으로부터 이탈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삽입홈은, 상기 삽입홈의 테두리에 경사지게 마련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연결부가 상기 삽입홈에 삽입되는 것과 상기 연결부가 상기 삽입홈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가이드할 수 있다.
상기 연결부는 상기 자동 변속레버와 상기 수동 변속레버 각각에 대해 교차하는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자동 변속레버와 상기 수동 변속레버는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자동 변속레버와 수동 변속레버를 분리하여 자동 변속 조작과 수동 변속 조작의 차이가 명확해지고, 이를 통해 운전자의 오조작을 방지할 수 있는 변속장치를 포함하는 차량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자동 변속 조작은 슬라이드 조작으로 이루어지고, 수동 변속 조작은 회전 조작으로 이루어지도록 하여 자동 변속 조작과 수동 변속 조작의 차이가 명확해지고, 이를 통해 운전자의 오조작을 방지할 수 있는 변속장치를 포함하는 차량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외관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에서, 변속레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에서, 자동 변속레버의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에서, 자동 변속모드에서 수동 변속모드로 변환하는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에서, 수동 변속레버의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에서, 수동 변속모드에서 자동 변속모드로 변환하는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개시된 발명의 바람직한 일 예에 불과할 뿐이며, 본 출원의 출원시점에 있어서 본 명세서의 실시예와 도면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의 각 도면에서 제시된 동일한 참조번호 또는 부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부품 또는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개시된 발명을 제한 및/또는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으며,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한편, 하기의 설명에서 사용된 용어 "전방", "후방", "상부" 및 "하부" 등은 도면을 기준으로 정의한 것이며, 이 용어에 의하여 각 구성요소의 형상 및 위치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하기의 설명에서 차량은 인간, 물건 또는 동물 등과 같은 피운송체를 출발지에서 목적지로 이동시키는 다양한 장치를 의미한다. 차량은 도로 또는 선로를 주행하는 차량, 바다나 강 위로 이동하는 선박 및 공기의 작용을 이용하여 창공을 비행하는 비행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로 또는 선로를 주행하는 차량은 적어도 하나의 차륜의 회전에 따라 소정의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삼륜 또는 사륜 자동차, 건설기계, 이륜 자동차, 원동기 장치, 자전거 및 선로를 주행하는 열차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외관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과 같이, 차량의 일 실시예는 차량(1)의 외관을 형성하는 본체(10), 차량(1)을 이동시키는 차륜(21, 22), 차량(1) 내부를 외부로부터 차폐시키는 도어(14), 차량(1) 내부의 운전자에게 차량(1) 전방의 시야를 제공하는 전면 유리(17), 운전자에게 차량(1) 후방의 시야를 제공하는 사이드 미러(18, 19)를 포함한다.
차륜(21, 22)은 차량의 전방에 마련되는 전륜(21), 차량의 후방에 마련되는 후륜(22)을 포함하며, 전륜(21) 또는 후륜(22)은 후술할 구동부(700)로부터 회전력을 제공받아 본체(10)를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도어(14)는 본체(10)의 좌측 및 우측에 회동 가능하게 마련되어 개방 시에 운전자가 차량(1)의 내부에 탑승할 수 있도록 하며, 폐쇄 시에 차량(1)의 내부를 외부로부터 차폐시킨다.
전면 유리(17)는 본체(10)의 전방 상측에 마련되어 차량(1) 내부의 운전자가 차량(1) 전방의 시각 정보를 획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서, 윈드쉴드 글라스(Windshield Glass)라고도 한다.
또한, 사이드 미러(18, 19)는 본체(10)의 좌측에 마련되는 좌측 사이드 미러(18) 및 우측에 마련되는 우측 사이드 미러(19)를 포함하며, 차량(1) 내부의 운전자가 차량(1) 측면 및 후방의 시각 정보를 획득할 수 있도록 한다.
아울러, 차량은 시야 확보 내지는 주행 경로를 외부에 알리기 위한 램프(30)가 전면 및/또는 후면에 마련될 수 있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1)은 운전자 등이 탑승하는 시트(210)와, 기어 박스(220), 센터페시아(230) 및 조향 휠(240) 등이 마련된 대시보드(Dashboard; 250) 를 포함할 수 있다.
대시보드(250)에 마련된 조향 휠(240)은 차량(1)의 주행 방향을 조절하기 위한 장치로, 운전자에 의해 파지되는 림(241) 및 차량(1)의 조향 장치와 연결되고 림(241)과 조향을 위한 회전축의 허브를 연결하는 스포크(242)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서 스포크(242)에는 차량(1) 내의 각종 장치, 일례로 오디오 장치 등을 제어하기 위한 조작 장치(242a, 242b)가 형성될 수 있다.
클러스터(243)는 차량의 속도를 나타내는 속도 게이지와 차량의 RPM을 나타내는 RPM 게이지를 표시할 수 있다. 운전자가 한 눈에 차량에 관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클러스터(243)는 차량(1)에 관한 정보, 특히 차량(1)의 주행에 관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클러스터(243)는 잔여 연료량에 기초한 주행 가능 거리나, 내비게이션 정보, 오디오 정보 등을 표시할 수 있다.
운전자가 운전 중에 시선을 전방으로부터 과도하게 이탈시키지 않고서도 차량에 관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클러스터(243)는 대시보드(250)의 영역 중 조향 휠(240)과 대면하는 영역에 마련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대시보드(250)에는 운전자에게 제공되는 시각적 정보가 전면 유리(17)에 표시되도록 하는 HUD(Head Up Display)가 마련될 수도 있다.
대시보드(250)에 마련된 센터페시아(230)에는 공조 장치(231), 시계(232), 오디오 장치(233) 및 디스플레이(234) 등이 설치될 수 있다.
공조 장치(231)는 차량(1) 내부의 온도, 습도, 공기의 청정도, 공기의 흐름을 조절하여 차량(1)의 내부를 쾌적하게 유지한다. 공조 장치(231)는 센터페시아(230)에 설치되고 공기를 토출하는 적어도 하나의 토출구(231a)를 포함할 수 있다. 센터페시아(230)에는 공조 장치(231) 등을 제어하기 위한 버튼이나 다이얼 등이 설치될 수 있다. 운전자 등의 탑승자는 센터페시아(230)에 배치된 버튼을 이용하여 공조 장치(231)를 제어할 수 있다.
시계(232)는 공조 장치(231)를 제어하기 위한 버튼이나 다이얼 주위에 마련될 수 있다.
오디오 장치(233)는 오디오 장치(233)의 기능 수행을 위한 다수의 버튼들이 마련된 조작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오디오 장치(233)는 라디오 기능을 제공하는 라디오 모드와 오디오 파일이 담긴 다양한 저장매체의 오디오 파일을 재생하는 미디어 모드를 제공할 수 있다.
오디오 장치(233)는 스피커(260)를 통해 오디오 파일을 음향으로 출력할 수 있다. 도 2에서 스피커(260)가 도어 내측에 마련되는 경우를 예시하였으나, 스피커(260)가 마련되는 위치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디스플레이(234)는 차량과 직, 간접적으로 관련된 각종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234)는 차량의 내비게이션 정보, 차량의 상태 정보와 같은 직접 정보와, 차량 내, 외부로부터 제공받은 사진, 동영상을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정보와 같은 간접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디스플레이(234)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LED(Light Emitting Diode), PDP(Plasma Display Panel),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 CRT(Cathode Ray Tube) 등으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기어 박스(220)에는 차량(1) 변속을 위한 변속레버(100)와, 차량(1)의 기능 수행을 제어하기 위한 다이얼 조작부(223)가 설치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자동 변속레버(110)와 수동 변속레버(120)가 분리되어 마련되는 변속레버(100)를 포함하는 차량(1)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에서, 변속레버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에서, 자동 변속레버의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1)은 변속 명령을 입력 받는 변속레버(100)와, 상기 변속레버(100)가 입력 받은 변속 명령에 따라 변속을 수행하는 변속 장치(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변속레버(100)는 자동 변속 명령을 입력 받는 자동 변속레버(110)와 수동 변속 명령을 입력 받는 수동 변속레버(12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동 변속레버(110)는 직선 이동하여 자동 변속 명령을 입력 받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자동 변속레버(110)는 전진 또는 후진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으나, 이와 달리, 측방으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될 수도 있다.
자동 변속레버(110)는 복수의 변속단 중 어느 하나에 위치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복수의 변속단은 P, R, N, D 단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달리, 복수의 변속단은 P, R, N, D 단 중 일부만을 포함하거나 그 밖에 다른 변속단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P 단은 별도의 버튼으로 마련될 수 있고, 자동 변속레버(110)는 R, N, D 단 중 어느 하나에 위치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에서, 자동 변속모드에서 수동 변속모드로 변환하는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동 변속레버(120)는 회전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수동 변속레버(120)는 자동 변속레버(110)를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수동 변속레버(120)는 자동 변속레버(110)를 회전축으로 회전하여 자동 변속레버(110)의 상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즉, 수동 변속레버(120)는 자동 변속레버(110)의 상측으로 들어올려질 수 있다. 수동 변속레버(120)가 자동 변속레버(110)의 상측으로 들어올려지면, 변속 장치는 자동 변속모드에서 수동 변속모드로 변속모드를 전환할 수 있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에서, 수동 변속레버의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수동 변속레버(120)가 자동 변속레버(110)의 상측으로 들어올려지면, 수동 변속레버(120)는 자동 변속레버(110)와 함께 회전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 때, 수동 변속레버(120)가 회전하면, 자동 변속레버(110)가 수동 변속레버(120)와 함께 회전하게 된다. 수동 변속레버(120) 및 자동 변속레버(110)의 회전에 따라 시프트 업(+) 또는 시프트 다운(-)의 변속 조작이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수동 변속레버(120) 및 자동 변속레버(110)의 회전 방향에 따라 시프트 업(+) 또는 시프트 다운(-) 변속 명령을 변속 장치에 전달할 수 있다. 변속 장치는 전달 받은 변속 명령에 따라 변속을 수행할 수 있다.
수동 변속레버(120)는 자동 변속레버(110)가 위치한 변속단에 따라 회전이 제한되거나 허용될 수 있다.
자동 변속레버(110)가 D 단에 위치하였을 때, 수동 변속레버(120)는 회전이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달리 표현하면, 수동 변속레버(120)는 자동 변속레버(110)가 D 단에 위치하였을 때에만 회전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즉, 자동 변속레버(110)가 P, R, N 중 어느 하나의 변속단에 위치하였을 때에는 수동 변속레버(120)의 회전이 제한될 수 있다. 수동 변속레버를 통한 수동 변속모드의 조작은 D 단에서 이루어지기 때문에 D 단이 아닌 변속단에서 수동 변속레버가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면, 사용자는 현재의 변속단이 D 단이 아님에도 불구하고 D 단이라고 착각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수동 변속레버는 D 단에서만 회전이 허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변속레버(100)는 자동 변속레버(110)와 수동 변속레버(120)를 연결하는 연결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부(130)는 한 쌍으로 마련될 수 있다. 연결부(130)는 제1연결부(131)와 제2연결부(13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연결부(131)와 제2연결부(132)는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연결부(130)는 자동 변속레버(110)와 수동 변속레버(120) 각각에 대해 수직하게 배치될 수 있다. 자동 변속레버(110)와 수동 변속레버(120)가 연결부(130)에 의해 연결됨으로써 자동 변속레버(110)와 수동 변속레버(120)는 서로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제1연결부(131)는 자동 변속레버(110)의 일 단과 수동 변속레버(120)의 일 단을 연결할 수 있다. 제1연결부(131)는 자동 변속레버(110)의 일 단과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제1연결부(131)는 수동 변속레버(120)의 일 단과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즉, 제1연결부(131)는 자동 변속레버(110)의 일 단과 수동 변속레버(120)의 일 단 각각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제2연결부(132)는 자동 변속레버(110)의 타 단과 수동 변속레버(120)의 타 단을 연결할 수 있다. 제2연결부(132)는 자동 변속레버(110)의 타 단과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제2연결부(132)는 수동 변속레버(120)의 타 단과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즉, 제2연결부(132)는 자동 변속레버(110)의 타 단과 수동 변속레버(120)의 타 단 각각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자동 변속레버(110)는 연결부(130)가 삽입되도록 마련되는 삽입홈(111)을 포함할 수 있다.
삽입홈(111)은 자동 변속레버(110)의 양 단에 마련될 수 있다. 삽입홈(111)은 제1삽입홈(112)과 제2삽입홈(113)을 포함할 수 있다.
제1삽입홈(112)은 자동 변속레버(110)의 일 단에 마련될 수 있다. 달리 표현하면, 제1삽입홈(112)은 자동 변속레버(110)의 일 측면에 마련될 수 있다. 삽입홈(111)은 제1연결부(131)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제1삽입홈(112)은 자동 변속레버(110)의 일 측면이 내측으로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2삽입홈(113)은 자동 변속레버(110)의 타 단에 마련될 수 있다. 달리 표현하면, 제2삽입홈(113)은 자동 변속레버(110)의 타 측면에 마련될 수 있다. 제2 삽입홈(111)은 제2연결부(132)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제2삽입홈(113)은 자동 변속레버(110)의 타 측면이 내측으로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삽입홈(111)은 가이드부(114)를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부(114)는 삽입홈(111)의 양 단이 경사지게 마련되어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부(114)는 연결부(130)가 삽입홈(111)에 삽입되는 것을 가이드할 수 있다. 가이드부(114)는 연결부(130)가 삽입홈(111)으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가이드할 수 있다. 연결부(130)는 경사지게 마련된 가이드부(114)를 따라 스무스하게 삽입홈(111)에 삽입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연결부(130)는 가이드부(114)를 따라 스무스하게 삽입홈(111)으로부터 이탈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수동 변속레버(120)가 자동 변속레버(110)의 상측으로 들어올려지면, 수동 변속레버(120)는 자동 변속레버(110)와 함께 회전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연결부(130)가 삽입홈(111)에 삽입되면, 소정 각도 범위 내에서 수동 변속레버(120)는 자동 변속레버(110)와 함께 회전할 수 있다. 연결부(130)가 삽입홈(111)에 삽입되었더라도, 소정 각도 이상으로 수동 변속레버(120)가 자동 변속레버(110)와 함께 회전하면, 연결부(130)가 삽입홈(111)으로부터 이탈될 수 있다. 연결부(130)가 삽입홈(111)으로부터 이탈되면, 수동 변속레버(120)와 자동 변속레버(110)는 함께 회전하지 않을 수 있다.
이하에서는, 자동 변속레버(110)가 D 단에 위치할 때, 자동 변속모드에서 수동 변속모드로 전환하는 과정과 수동 변속모드에서의 변속 조작 과정에 대해 상술한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에서, 자동 변속모드에서 수동 변속모드로 변환하는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에서, 수동 변속모드에서 자동 변속모드로 변환하는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수동 변속레버(120)가 회전 가능한 상태일 때, 즉, 자동 변속레버(110)가 D 단에 위치할 때, 수동 변속레버(120)는 자동 변속레버(110)를 회전축으로 하여 제1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수동 변속레버(120)가 제1방향으로 소정 각도 이상 회전하면, 연결부(130)가 삽입홈(111)에 삽입될 수 있다. 연결부(130)가 삽입홈(111)에 삽입되면, 자동 변속모드에서 수동 변속모드로 전환될 수 있다.
연결부(130)가 삽입홈(111)에 삽입되어 수동 변속모드로 전환되면, 수동 변속레버(120)와 자동 변속레버(110)가 함께 회전할 수 있다.
수동 변속레버(120) 및 자동 변속레버(110)가 제1방향으로 소정 각도로 회전하면, 시프트 다운(-) 변속 명령을 입력 받을 수 있다. 변속 장치는 상기 변속 명령에 따라 수동 변속모드에서 시프트 다운(-) 변속을 수행할 수 있다.
수동 변속레버(120) 및 자동 변속레버(110)가 제1방향과 반대인 제2방향으로 회전하면, 시프트 업(+) 변속 명령을 입력 받을 수 있다. 변속 장치는 상기 변속 명령에 따라 수동 변속모드에서 시프트 업(+) 변속을 수행할 수 있다.
사용자가 수동 변속모드에서 자동 변속모드로 변경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수동 변속레버(120)를 제2방향으로 소정 각도 이상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동 변속레버(120)가 소정 각도(θ) 이상으로 회전하면, 연결부(130)는 삽입홈(111)으로부터 이탈될 수 있다. 연결부(130)가 삽입홈(111)으로부터 이탈되면, 수동 변속모드에서 자동 변속모드로 전환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차량은 자동 변속레버와 수동 변속레버가 분리되어 마련될 수 있다. 사용자는 자동 변속레버를 직선 이동 시켜 P, R, N, D 변속단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자동 변속레버가 D 단에 위치하였을 때, 사용자는 수동 변속레버를 회전 이동 시켜 수동 변속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수동 변속모드로 전환한 후에는 사용자가 수동 변속레버를 회전 이동 시켜 시프트 업(+) 또는 시프트 다운(-) 조작을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자동 변속 조작과 수동 변속 조작의 차이가 명확해지고, 사용자의 오조작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특정의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상기한 실시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1 : 차량 100 : 변속레버
110 : 자동 변속레버 111 : 삽입홈
120 : 수동 변속레버 130 : 연결부

Claims (13)

  1. 변속 명령을 입력 받는 변속레버; 및
    상기 변속레버가 입력 받은 상기 변속 명령에 따라 변속을 수행하는 변속 장치; 를 포함하고,
    상기 변속레버는,
    직선 이동하여 자동 변속 명령을 입력 받는 자동 변속레버와,
    상기 자동 변속레버를 회전축으로 회전하여 수동 변속 명령을 입력 받는 수동 변속레버를 포함하는 차량.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 변속레버는 P, R, N, D 변속단 중 어느 하나의 변속단에 위치하고, 상기 자동 변속레버의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자동 변속 명령을 입력 받는 차량.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동 변속레버는 제1방향 또는 상기 제1방향과 반대인 제2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는 차량.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수동 변속레버가 상기 제1방향으로 소정 각도 회전하면, 시프트 다운(-) 변속 명령을 입력 받고,
    상기 수동 변속레버가 상기 제2방향으로 소정 각도 회전하면, 시프트 업(+) 변속 명령을 입력 받는 차량.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 변속레버가 상기 D 변속단에 위치하였을 때, 상기 수동 변속레버는 회전이 허용되도록 마련되고,
    상기 자동 변속레버가 상기 P, R, N 변속단 중 어느 하나에 위치하였을 때, 상기 수동 변속레버의 회전이 제한되도록 마련되는 차량.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변속레버는 상기 자동 변속레버와 상기 수동 변속레버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는 상기 자동 변속레버와 상기 수동 변속레버 각각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차량.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 변속레버는, 상기 자동 변속레버의 일 면으로부터 상기 자동 변속레버의 내측으로 함몰되어 형성되는 삽입홈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는 상기 수동 변속레버가 제1방향으로 소정 각도 이상 회전하면 상기 삽입홈에 삽입되도록 마련되는 차량.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가 상기 삽입홈에 삽입되면, 상기 수동 변속레버와 상기 자동 변속레버는 함께 회전하도록 마련되는 차량.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수동 변속레버와 상기 자동 변속레버가 함께 상기 제1방향으로 소정 각도 회전하면, 시프트 다운(-) 변속 명령을 입력 받고,
    상기 수동 변속레버와 상기 자동 변속레버가 함께 상기 제1방향과 반대인 제2방향으로 소정 각도 회전하면, 시프트 업(+) 변속 명령을 입력 받는 차량.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가 상기 삽입홈에 삽입되었을 때, 상기 수동 변속레버가 상기 제1방향과 반대인 제2방향으로 소정 각도 이상 회전하면 상기 연결부가 상기 삽입홈으로부터 이탈되도록 마련되는 차량.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홈은, 상기 삽입홈의 테두리에 경사지게 마련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연결부가 상기 삽입홈에 삽입되는 것과 상기 연결부가 상기 삽입홈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가이드하는 차량.
  12.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자동 변속레버와 상기 수동 변속레버 각각에 대해 교차하는 방향으로 배치되는 차량.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 변속레버와 상기 수동 변속레버는 나란하게 배치되는 차량.
KR1020170093459A 2017-07-24 2017-07-24 변속 장치를 포함하는 차량 KR1023817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3459A KR102381747B1 (ko) 2017-07-24 2017-07-24 변속 장치를 포함하는 차량
US15/802,620 US10215274B2 (en) 2017-07-24 2017-11-03 Vehicle including transmission apparatus
CN201711145466.0A CN109296742B (zh) 2017-07-24 2017-11-17 具有变速器装置的车辆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3459A KR102381747B1 (ko) 2017-07-24 2017-07-24 변속 장치를 포함하는 차량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1047A true KR20190011047A (ko) 2019-02-01
KR102381747B1 KR102381747B1 (ko) 2022-04-04

Family

ID=650187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93459A KR102381747B1 (ko) 2017-07-24 2017-07-24 변속 장치를 포함하는 차량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0215274B2 (ko)
KR (1) KR102381747B1 (ko)
CN (1) CN109296742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307330B (zh) * 2019-06-27 2021-12-21 武汉路特斯汽车有限公司 一种电子换挡器及应用其的汽车
CN110843519B (zh) * 2019-11-28 2021-10-22 爱驰汽车有限公司 换挡总成以及汽车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55018A (ko) * 2000-12-28 2002-07-08 이계안 자동변속기의 변속레버장치
US20030000763A1 (en) * 1999-12-23 2003-01-02 Morgan Colling Control arrangement for a vehicle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151977A (en) * 1999-02-26 2000-11-28 Freightliner Corporation Lever assembly for an electronically controllable vehicle transmission
SE517386C2 (sv) 2001-06-05 2002-06-04 Volvo Lastvagnar Ab Växelspaksenhet för fordon
JP2007030854A (ja) * 2005-07-22 2007-02-08 Yasuo Kato オートマチック車両の汎用シフトノブ装置
DE102007005253A1 (de) * 2007-02-02 2008-08-07 Deere & Company, Moline Bedienvorrichtung für ein Fahrzeug
JP2009073375A (ja) 2007-09-21 2009-04-09 Suzuki Motor Corp シフトレバー構造
CN203162119U (zh) * 2013-01-29 2013-08-28 安徽江淮汽车股份有限公司 双离合器变速器的手自一体换挡操纵机构
KR101421957B1 (ko) 2013-08-06 2014-07-2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오르간 타입 전자식 변속 레버
KR101585473B1 (ko) 2014-09-17 2016-01-1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노브 변환형 전자식 변속레버
KR101704161B1 (ko) 2015-01-16 2017-02-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노브 조작 타입 스포츠 모드 구현 변속 레버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000763A1 (en) * 1999-12-23 2003-01-02 Morgan Colling Control arrangement for a vehicle
KR20020055018A (ko) * 2000-12-28 2002-07-08 이계안 자동변속기의 변속레버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81747B1 (ko) 2022-04-04
CN109296742B (zh) 2021-01-29
US20190024785A1 (en) 2019-01-24
CN109296742A (zh) 2019-02-01
US10215274B2 (en) 2019-0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751984B (zh) 一种车辆用显示设备以及一种车辆
EP2725263B1 (en) Automobile paddle shifters with first and second positions
US8006798B2 (en) Vehicle having a shift lever on a handlebar thereof
CN101977808B (zh) 带具有倒档的半自动变速器的车辆
KR20160083721A (ko)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하는 차량
US9002597B2 (en) Automobile paddle shifters with secondary paddles
US9719595B2 (en) Active rev-matching for manual transmissions
KR20190011047A (ko) 변속 장치를 포함하는 차량
KR101657656B1 (ko)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하는 차량
KR102406658B1 (ko) 변속 장치를 포함하는 차량
CN107795685B (zh) 用于车辆的线控换挡模块照明策略
KR102425035B1 (ko) 변속 장치를 포함하는 차량
JP2005087580A (ja) ゲーム兼用自動車
JP2001058522A (ja) 自動車用計器類表示装置
KR102362697B1 (ko) 차량, 및 그 제어방법
US20180363764A1 (en) Vehicl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EP1555462A1 (en) Method and control device to ensure the correct operation of a range selector in a vehicle transmission
KR20190042209A (ko) 차량, 및 그 제어방법
JP2006160012A (ja) 車両走行制御装置
JP2006194399A (ja) 車両の変速機用入力装置および車両の変速方法
KR20190029872A (ko) 차량, 및 그 제어방법
JP2006142944A (ja) 表示装置
KR20180136185A (ko) 차량, 및 그 제어방법
JPH07332477A (ja) 自動変速機の変速操作装置
JP2005058242A (ja) コンバインの操作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