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06038A - 막 분리 장치, 막 엘리먼트 배치 구조, 막 카세트 및 막 유닛 - Google Patents

막 분리 장치, 막 엘리먼트 배치 구조, 막 카세트 및 막 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06038A
KR20190006038A KR1020187038190A KR20187038190A KR20190006038A KR 20190006038 A KR20190006038 A KR 20190006038A KR 1020187038190 A KR1020187038190 A KR 1020187038190A KR 20187038190 A KR20187038190 A KR 20187038190A KR 20190006038 A KR20190006038 A KR 201900060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mbrane
pair
collecting
water collecting
treated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381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67229B1 (ko
Inventor
나리타 타이치
이시모토 시게오
Original Assignee
메이덴샤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16108645A external-priority patent/JP6222284B1/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6183565A external-priority patent/JP6222320B1/ja
Application filed by 메이덴샤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메이덴샤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1900060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60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72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72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3/00Apparatus in general for separation processes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 B01D63/08Flat membrane modu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3/00Apparatus in general for separation processes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 B01D63/08Flat membrane modules
    • B01D63/082Flat membrane modules comprising a stack of flat membr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3/00Apparatus in general for separation processes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 B01D63/08Flat membrane modules
    • B01D63/082Flat membrane modules comprising a stack of flat membranes
    • B01D63/0821Membrane plate arrangements for submerged ope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9/00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structure or properties;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69/06Flat membra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dialysis, osmosis or reverse osmosi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02Aerobic processes
    • C02F3/12Activated sludge processes
    • C02F3/1236Particular type of activated sludge installations
    • C02F3/1268Membrane bioreactor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13/00Details relating to membrane modules or apparatus
    • B01D2313/02Specific tightening or locking mechanisms
    • B01D2313/025Specific membrane hold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13/00Details relating to membrane modules or apparatus
    • B01D2313/06External membrane module supporting or fix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13/00Details relating to membrane modules or apparatus
    • B01D2313/12Specific discharge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13/00Details relating to membrane modules or apparatus
    • B01D2313/21Specific headers, end ca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13/00Details relating to membrane modules or apparatus
    • B01D2313/44Cartridge typ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15/00Details relating to the membrane module operation
    • B01D2315/06Submerged-type; Immersion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19/00Membrane assemblies within one housing
    • B01D2319/04Elements in parallel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AREA)

Abstract

피처리액을 수용하는 처리조(2), 피처리액에 침지되는 막 유닛(3), 및 안내기구(4)를 구비한 막 분리 장치(1)가 제공된다. 안내기구(4)는 파지부(14)와 안내부(15)로 구성된다. 파지부(14)는 막 유닛(3)를 구성하는 막 카세트(5)의 측면부에 설치되고, 안내부(15)는 처리조(2)에 고정되어 있다. 안내부(15)는 탱크벽 고정부(15a), 상부 연장부(15b), 파지부(15c), 하부 연장부(15d) 및 탱크바닥 고정부(15e)를 갖는다. 막 유닛(3)을 처리조(2)에 고정할 때, 파지부(14)는 피파지부(15c)에 끼워 넣어서 막 유닛(3)을 처리조(2) 내의 소정 위치로 안내한다.

Description

막 분리 장치, 막 엘리먼트 배치 구조, 막 카세트 및 막 유닛
본 발명은 막 분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히, 막 유닛의 승강을 보조하는 안내기구를 갖는 막 분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평판상 막 엘리먼트를 구비한 막 카세트 및 그 막 카세트를 갖는 막 유닛에 관한 것이다.
종래, 하수 처리나 산업 폐수 처리에서의 고액 분리 수단으로서 막 분리 장치가 적용되어 왔다. 막 분리 장치는 생물 처리조 또는 응집 처리조에 침지되어 폐수에 함유된 오염 물질에 대해 생물학적 처리 또는 응집 처리를 행한 후 고액 분리하여 고형물과 수성 성분으로 분리하는 장치이다. 막 분리 장치에서, 작동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분리막 표면상에 슬러지가 축적된다. 따라서, 피처리 액체에 폭기 공기를 공급하여 에어 리프트 상승류를 발생시키고, 이 상승류에 의해 분리막 표면에 전단력이 가해져서 막 표면의 슬러지가 제거된다. 또한, 분리막 표면에의 슬러지의 축적이 너무 많은 경우에는 분리막을 구비한 막 유닛을 처리조로부터 끌어 올려 분리막을 세정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처리조에 체류하는 처리액은 미생물이나 현탁 물질 등의 현탁에 의해 불투명하기 때문에 침지한 막 분리 장치의 위치를 탱크의 상측으로부터 육안 관찰하거나 체크하는 것은 곤란하다. 또한, 막 유닛을 침지시킬 때 막 유닛의 자세 및/또는 위치를 일정하게 안내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막 유닛을 처리조 내외로 취입하기가 어렵다.
따라서, 종래의 막 분리 장치에서는, 승강을 보조하는 안내기구를 설치함으로써, 막 유닛의 입출을 용이하게 하고 있다(예컨대, 특허 문헌 1, 2).
예를 들면,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막 분리 장치(22)는,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처리조(24)내에 복수의 고정 부재(승강 가이드)(23)를 설치하고, 막유닛(25)의 일정한 자세를 유지하기 위해 고정 부재들(23)사이로 막유닛을 강하시킨다. 또한, 막 유닛(25)은 룸 섹션(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음)을 구비하고, 이 룸 섹션은 공기로 채워져, 막 유닛(25)의 상승을 안정적으로 행하게 한다.
또한, 특허 문헌 2에 기재된 막 분리 장치(26)에서는,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처리조(27)의 내 벽면측에 다단 가이드 유닛(28)이 배치되어 있다. 이 중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유닛(28)은 처리될 액체의 수위보다 높은 높이에 배치된다. 이 막 분리 장치(26)에서는, 가이드 유닛(28)이 벽면에 설치된다. 따라서, 막 유닛(29)의 설치 위치를 용이하게 결정할 수 있다. 또한, 막 유닛(29)을 반입 또는 반출할 때, 수위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된 가이드 유닛(28)에 의해 막 유닛(29)의 설치 위치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막 분리 장치로서, 예를 들면, 특허 문헌 3에 기재된 막 카세트가 알려져 있다. 이 막 카세트에서는, 프레임 내에 복수의 평판 막 엘리먼트가 소정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특히, 이 막 엘리먼트는 프레임으로부터 인출가능하게 프레임의 안내 홈에 장착된다.
그러나, 특허 문헌 3의 막 카세트에서는 각 막 엘리먼트가 가요성 튜브를 통해 커넥터에 의해 막 카세트의 집수 파이프에 연결된다. 따라서, 유지 보수시에 막 엘리먼트를 착탈할 때, 가요성 튜브 및 커넥터의 착탈 조작에 장시간을 필요로 한다. 특히, 막 카세트의 설치 규모에 따라, 설치될 막 엘리먼트의 수는 수천 내지 수만개가 된다. 따라서 유지 관리에는 상당한 인력이 필요하다. 또한, 막 엘리먼트의 탈착 작업 중에 필터 본체가 손상되거나 파손되지 않도록 주의 깊은 취급이 필요하다.
따라서, 막 카세트와 집수 파이프를 연결하기 위한 가요성 튜브를 필요로 하지 않는 막 카세트로서, 특허 문헌 4에 개시된 막 카세트가 알려져 있다. 이 막 카세트의 막 엘리먼트는 평판 세라믹 필터와, 이 세라믹 필터의 양단부에 설치된 집수부로 구성된다. 이 막 엘리먼트의 집수관부 및 집수부는 랙에 체결된다. 이것에 의해, 복수의 막 엘리먼트가 랙내에서 지지된다.
특허 문헌 1: 일본국 특허 공개 공보 제 평 11-319511호. 특허 문헌 2: 일본국 특허 공개공보 제 2014-46275호. 특허 문헌 3: 일본국 특허 공개공보 제 2009-148743호. 특허 문헌 4: 미국 특허출원 공개 제 2009/0236295호.
특허 문헌 1의 막 분리 장치(22)에서는, 도 16b에 나타난 바와 같이, 도입시에 고정 부재(23)의 선단 네 귀퉁이에 막 유닛(25)을 정확하게 끼워 넣는 것이 필요하다. 막 분리 장치(22)가 대형인 경우, 막 유닛(25)의 낙하 동작을 수동으로 하지 않는 한, 고정 부재(23) 사이에 막 유닛(25)을 넣기가 어려웠다. 또한, 처리조(24)의 저부에 고정된 복수의 고정부재(23)를 수면 부근까지 연장할 필요가 있다. 이것은 생산 비용을 증가시킨다.
또한, 특허 문헌 2의 막 분리 장치(26)에서는, 도 17a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한쪽 벽에 설치된 가이드 유닛(28)에 삽입하는 것이 용이하지만, 다른 벽에 구비된 가이드 유닛(28)에 축(30)을 삽입하는 것은 어려웠다. 또한 모든 가이드 유닛은 독립적이다. 따라서, 가이드 유닛(28)을 벽에 설치하는 인력이 필요하다.
또한, 특허 문헌 4와 유사한 막 카세트에서는, 막 엘리먼트와 집수 파이프 및 그 부속 부재 등을 연결하는 가요성 튜브의 착탈 조작이 불필요해진다. 따라서, 조립 동작성능 및 유지 보수성능이 특허 문헌 3과 유사한 막 카세트와 비교하여 개선되어 있다.
그러나, 폐수 처리에 사용되는 수조에 복수의 막 카세트를 배치하는 경우, 각 막 카세트로부터 처리수를 취출하는 집수 배관이 필요하게 된다. 이 집수 배관은 수조에 복수의 막 카세트를 설치하기 전후에 각 막 카세트에 부착된다. 예를 들면, 특허 문헌 4의 막 카세트를 수조에 쌓는 경우에는, 다른 배관을 통해 집수배관이 각 막 카세트의 집수파이프에 접속하게 된다.
특허 문헌 4와 유사한 막 카세트는 단일체로서의 취급 특성이 향상되지만, 복수의 막 카세트에 의해 막 유닛을 구성하는 경우, 막 유닛의 조립 및 막 엘리먼트의 점검 또는 교환시의 작업성이 효율적이지 않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있어서, 막 분리 장치는 피처리액을 그 내부에 수용하는 처리조; 처리조의 높이 방향을 따라 적층되고 피처리액의 여과를 행하는 여과막을 각각 구비한 복수의 막 카세트; 상기 처리조 내에 설치되어 상기 막 카세트를 소정 위치로 안내하는 안내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막 카세트 중 적어도 2개의 막 카세트 각각은 상기 안내부에 대해 슬라이드 가능한 한 쌍의 파지부를 가지며, 상기 안내부는 상기 파지부 사이에 끼워지는 피파지부를 갖는다.
본 발명의 막 분리 장치의 일 실시 형태에 있어서, 안내부는 처리조의 벽면 및 처리조의 바닥면에 고정된다.
본 발명의 막 분리 장치의 일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상기 피파지부의 상단부는 피처리액 밖으로 노출된다.
본 발명의 막 분리 장치의 일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상기 피파지부는 한 쌍의 파이프, 한 쌍의 막대 형상 부재 또는 판형 부재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막 분리 장치의 일 실시 형태에 있어서, 산기 프레임은 상기 적층된 막 카세트 아래에 구비된다.
본 발명의 막 분리 장치의 일 실시 형태에 있어서, 막 엘리먼트의 배치 구조는, 고액 분리를 행하는 여과 본체부, 상기 고액분리에 의해 얻어진 처리수를 상기 여과본체부의 일단부로부터 집수하는 집수부, 및 상기 여과 본체부의 다른 단부를 액밀하게 밀봉하는 밀봉부를 각각 구비한 복수의 막엘리먼트; 상기 막 엘리먼트의 상기 집수부와 상기 밀봉부가 상기 막엘리먼트가 병렬 정렬되도록 위치되는 한쌍의 하부 파지부; 및 상기 집수부의 상단부와 연결되는 상태에서 상기 처리수를 상기 집수부로부터 집수하는 처리수 집합부;로 이루어진다.
상기 배치구조의 일 실시예는 상기 막 엘리먼트의 최외측에 배열된 두개의 막 엘리먼트와 평행하게 배열되는 상태로 상기 한 쌍의 하부 파지부에 부착되는 한 쌍의 커버부를 더 포함한다.
상기 배치 구조의 일 실시예는 상기 한 쌍의 커버부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밀봉부의 상단부를 파지하는 상부 파지부를 더 포함한다.
상기 배치 구조의 일 실시예는, 상기 한 쌍의 커버부에 회전 가능하게 또는 견고하게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처리수 집합부가 부착되는 취부 부재를 더 포함한다.
상기 취부 부재의 일 실시예는 처리수 집합부가 부착되는 취부 본체부; 및 상기 한쌍의 커버부의 대향면에 회전 가능하게 또는 견고하게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취부 본체부를 수평으로 지지하는 한 쌍의 지지부;를 포함한다.
상기 상부 파지부의 일 실시예는 상기 한 쌍의 커버부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어 상기 밀봉부의 파지를 해제할 수 있도록 된다.
상기 배치 구조의 일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상기 집수부는 그 상단부에 상기 처리수 집합부에 끼워지는 처리수 취출부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배치 구조의 일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상기 집수부와 처리수 집합부 사이에 상기 처리수 취출부를 병렬 정렬시킨 클립판부가 개재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있어서, 막 엘리먼트를 구비한 막 카세트는, 고액 분리를 행하는 여과 본체부, 상기 고액분리에 의해 얻어진 처리수를 여과본체부의 일단부로부터 집수하는 집수부, 및 상기 여과 본체부의 다른 단부를 액밀하게 밀봉하는 밀봉부를 각각 구비한 복수의 막엘리먼트; 상기 막 엘리먼트의 상기 집수부와 상기 밀봉부가 상기 막엘리먼트가 병렬 정렬되도록 위치되는 한쌍의 하부 파지부; 및 상기 집수부의 상단부와 연결되는 상태에서 상기 처리수를 상기 집수부로부터 집수하는 처리수 집합부;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막 카세트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막 카세트는 상기 한 쌍의 하부 파지부 및 상기 처리수 집합부에 취부되어 상기 막 엘리먼트의 최외측에 배치된 양 막 엘리먼트에 평행하게 정렬되는 한 쌍의 커버부; 및 상기 막 카세트를 리프팅하는 기구가 연결되고 상기 한 쌍의 커버부에 취부될 수 있는 파지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 있어서, 막 유닛은 상기 막 카세트를 적층한 적층 막 카세트로 이루어진다.
상기 본 발명에 따르면, 막 분리 장치에 막 유닛을 설치하는 것이 용이해진다. 또한, 막 엘리먼트를 배치하기 위한 구조를 유닛화하면 유지 보수성이 향상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막 분리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a는 L 자 형상의 파지부를 갖는 막 카세트의 평면도이다.
도 2b는 F 자 형상 파지부를 갖는 막 카세트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막 분리 장치의 안내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는 안내부가 막 카세트의 파지부사이에 끼워진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막 분리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막 분리 장치의 안내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막 분리 장치의 다른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의 막 엘리먼트의 배치 구조의 정면도이다.
도 9는 커버부가 제거된 동일한 실시예의 배치 구조의 정면도이다.
도 10a는 상기 실시예의 상부 또는 하부 파지부에서의 수용 본체부의 평면도이다.
도 10b는 수용 본체부의 정면도이다.
도 10c는 수용 본체부의 측면도이다.
도 10d는 취부부의 배면도이다.
도 10e는 취부부의 종단면도이다.
도 11a는 상기 실시예의 처리수 집합부의 부분 횡단면을 포함한 평면도이다.
도 11b는 처리수 집합부의 일부 종단면을 포함한 정면도이다.
도 11c는 처리 집합부의 선 AA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2a는 상기 실시예의 막 카세트의 평면도이다.
도 12b는 상기 막 카세트의 측면도이다.
도 12c는 상기 막 카세트의 헤더부의 측면도이다.
도 12d는 막 카세트의 푸터부의 측면도이다.
도 12e는 상기 실시예의 상부 파지부의 작동예에 대한 설명도이다.
도 13a는 파지부를 구비한 동일한 실시예의 막 카세트의 평면도이다.
도 13b는 상기 막 카세트의 측면도이다.
도 14a는 상기 실시예의 클립 판의 길이방향 측면도이다.
도 14b는 상기 클립 판의 평면도이다.
도 14c는 클립 판의 짧은 방향의 측면도이다.
도 15a는 본 발명의 제 4실시예에 있어서의 막 유닛의 측면도이다.
도 15b는 상기 막 유닛의 정면도이다.
도 16a는 종래 기술의 막 분리 장치의 종단면도이다.
도 16b는 종래 기술의 막 분리 장치의 횡단면도이다.
도 17a는 종래 기술의 막 분리 장치의 종단면도이다.
도 17b는 종래의 막 분리 장치의 횡단면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설명하다.
[제 1실시예]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막 분리 장치(1)는 피처리액을 수용하기 위한 처리조(2), 피처리액에 침지되는 막 유닛(3), 및 막 유닛(3)을 소정의 위치로 안내하는 안내 기구(4)를 구비하고 있다. 막 유닛(3)은 복수의 막 카세트(5)와 산기(散氣) 프레임(6)으로 구성된다.
도 2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막 카세트(5)에는 막 엘리먼트(7), 집합집수부(8), 파지부(9) 및 사이드 커버(10)가 설치되어 있다. 막 카세트(5)는 그의 상부 및 하부측에서 개방되고 내부에 막 엘리먼트(7)가 구비된 구조를 갖는다. 도 2b에 도시된 막 카세트(11)는 막 카세트(5)의 다른 예이며, 이후에 상세히 설명하는 파지부(16)의 형상은 막 카세트(5)의 파지부 형상과 다르다. 따라서, 막 카세트(11)에서, 막 카세트(5)와 동일한 구조는 동일한 부호로 표시되고,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된다.
막 엘리먼트(7)는, 예를 들면, 세라믹 평막(flat membrane)이며, 세라믹 막이 형성된 판면이 서로 대향하는 상태로 집합집수부(8)와 파지부(9) 사이에 지지되어 있다. 세라믹 평막은, 예를 들면 투수성 세라믹 판으로 이루어지는 기재의 외표면에 분리 기능을 갖는 세라믹 막을 형성한 것이다. 외표면에 형성된 세라믹 막을 통과한 여과액은, 기재의 내부에 형성된 집수 경로(도시하지 않음)를 통과하여, 집합집수부(8)로 이송된다. 막 엘리먼트(7)는 세라믹 평막과 같은 여과막에 한정되지 않는다. 다공성 막으로서 고액 분리 기능 및/또는 역 삼투 기능을 갖는 필터 막이면, 정밀 여과막, 한외 여과막, 나노 여과막, 역삼투막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막 엘리먼트(7)로서 세라믹 평막과 같은 무기 재료로 이루어진 여과막뿐만 아니라 폴리올레핀계, 불소 수지계 등의 유기 재료로 이루어지는 여과막을 사용할 수도 있다.
집합집수부(8)와 파지부(9)는 막 엘리먼트(7)를 지지하는 상태로 서로 대향하여 배치된다. 대향 배치된 집합집수부(8) 및 파지부(9)의 측면 개구부에는 사이드 커버(10)가 각각 배치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막 카세트(5)는 각각의 집합집수부가 서로 연통하도록 연결되고, 도시되지 않은 볼트, 너트 등의 고정 수단을 사용하여 고정되어 일체형 몸체를 형성한다. 막 카세트(5)는 예를 들어 1 내지 10단으로 적층된다. 집합집수부(8)의 상하에는 다른 집합집수부(8)와 연통 가능한 통수공(8a)이 형성되어 있다. 막 카세트(5)를 적층시킴으로써 집합집수부가 서로 연통되어 피처리액의 통로를 형성한다. 막 엘리먼트(7)에 의해 분리된 피처리액은 이 통로를 통과하여 외부로 취출된다. 또한, 산기 프레임(6)이 적층된 막 카세트(5) 아래에 구비된다. 산기 프레임(6)에는 산기 파이프(12)가 형성되고, 산기 파이프(12)로부터 공급 포트(13)에 연결된 송풍기(도시하지 않음)로부터 공급된 공기가 산기되어진다. 산기 파이프(12)로부터 산기된 공기에 의해 상승류가 발생하고, 이 상승류가 적층된 각 막 카세트(5)의 막 엘리먼트(7)의 스크러빙을 행한다. 이로써, 오염 물질은 막 엘리먼트(7)의 표면에 거의 부착되지 않는다.
산기파이프(12)로서는, 예를 들면 산기 구멍이 형성된 중공관이나 산기부가 설치된 세라믹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도시는 생략하지만 막 유닛(3)을 들어올리기 위한 치구 등이 상부에 설치된 막 카세트(5)에 부착되어, 막 유닛이 와이어 등을 이용하여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안내기구(4)는 막 카세트(5)의 측부에 설치된 파지부(14)와 처리조(2)에 설치된 안내부(15)로 구성되어 있다.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지부(14)는 예를 들어 막 카세트(5)의 파지부(9)로부터 수평 방향으로 돌출하도록 구비된다. 파지 부(14)의 형상은 L 자형 파지부(14)(도 2a에 도시)에 한정되지 않고, 도 2b에 도시하는 F 자형 파지부일 수 있다. 또한, 파지부(14)(및 파지부(16))에 관해서는, 막 카세트(5)의 한쪽에만 제공하는 실시예뿐만 아니라, 대향하는 양측 모두에 이들을 제공하는 실시예도 가능하다. 또한, 처리조(2)내에 복수의 막 유닛(3)을 배치하는 경우, 배치된 막 유닛(3) 각각에 안내부(15)가 구비된다.
파지부(14)는 파지부(9)로부터 연장되는 한 쌍의 돌출부(14a) 및 각각 하나의 돌출부(14a)의 단부로부터 다른 돌출부(14a)를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연장부(14b)를 갖는다. 안내부(15)의 피파지부(15c)가 파지부(9)와 연장부(14b) 사이에 느슨하게 끼워진 상태로 제공된다. 파지부(14)가 L 자형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막 카세트(5)의 파지부(9)를 안내부(15)의 피파지부(15c)에 강제 접촉시킴으로써 안내부(15) 및 파지부(14)의 위치를 용이하게 결정할 수 있다. 따라서, 막 유닛(3)의 설치가 용이해진다. 막 유닛(3)을 설치 한 후에는, 파지부(9)와 피파지부(15c)의 접촉에 의해 막 유닛(3)의 안정성이 향상된다.
또한, 파지부(16)는, 도 2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파지부(9)로부터 연장되는 한 쌍의 돌출부(16a), 각각의 돌출부(16a)의 단부로부터 다른 돌출부(16a) 방향으로 각각 연장되는 제1연장부(16b), 및 제 1연장부(16b)와 평행하게 돌출부(16a)로부터 연장되는 제 2연장부(16c)를 가진다. 피파지부(15c)가 제 1연장부(16b)와 제 2연장부(16c) 사이에 느슨하게 끼워진 상태로 제공된다. 파지(16)는 F 자형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파지부(9)와 피파지부(15c)가 분리된 상태가 된다. 그 결과, 막 카세트(5)를 이동시킬 때, 피파지부(15c)와 슬라이딩 접촉하는 표면이 작아진다. 이에 따라, 피파지부(15c)와의 접촉에 의한 막 카세트(5)의 파손 위험이 적어진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내부(15)는 탱크벽 고정부(15a), 상부 연장부(15b), 피파지부(15c), 하부 연장부(15d) 및 탱크바닥 고정부(15e)를 구비한다. 안내부(15)의 재료로서는, 예를 들면 내식성이 우수한 스테인레스 강이 적합하다. 안내부(15)의 재료는 막 카세트(5)의 상승 및 하강에 장애가 되지 않는 강도를 갖는다면 스테인리스 강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내식성을 갖는 다른 재료(후술하는 제 2실시예에 따른 막 분리 장치(17)의 안내부(19)의 재료도 유사함) 일 수 있다.
탱크벽 고정부(15a)는 처리조(2)의 벽면에 볼트, 너트 등과 같은 고정 수단을 사용하여 고정된다. 또한, 탱크 바닥 고정부(15e)는 처리조(2)의 바닥면에 볼트, 너트 등의 고정 수단을 이용하여 고정된다.
상부 연장부(15b)는 탱크벽 고정부(15a)와 피파지부(15c)의 상부 사이에 구비된다. 상부 연장부(15b)는, 예를 들어 단일 파이프이고, 피파지부(15c)의 상부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어 그 상단부가 벽을 향해 수직으로 구부러져 처리조(2)의 벽에 고정되는 구조를 갖는다. 상부 연장 부(15b)는 하나의 파이프가 그 높이 방향으로 일정한 길이를 갖지 않고 피파지부(15c)의 상부로부터 벽을 향해 연결되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하부 연장부(15d)는, 예를 들어, 단일 파이프이고, 피파지부(15c)의 바닥부와 탱크 바닥 고정부(15e)와의 사이에 설치되고, 피파지부(15c)를 지지한다. 막 유닛(3)의 높이는 통상 4m 이상이다. 따라서, 안내부(15)는 그보다 높은 높이가 요구된다. 안내부(15)가 길면, 안내부(15)의 운반이 어려워진다. 따라서, 하부 연장부(15d)와 피파지부(15c) 사이에 끼워맞춤 연결부(15f)가 설치되어 있다. 이 끼워맞춤 연결부(15f)는 필수적인 것은 아니며, 하부 연장부(15d)와 피파지부(15c)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피파지부(15c)는 처리조(2)의 높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한 쌍의 배관을 갖는다. 피파지부(15c)는 한 쌍의 파이프를 갖기 때문에, 피파지부(15c)가 파지부(14)들 사이에 끼워질 일정한 폭이 형성된다. 한 쌍의 파이프 대신에, 선택적으로 피파지부(15c)를 판(플레이트) 부재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2a 및 도 2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피파지부(15c)는 L 자형 파지부(14)(또는 F 자형 파지부(16)) 사이에 끼워 넣어진다.
안내부(15)는 파이프 대신에 막대 형상 부재로 형성될 수도 있다. 안내부(15)의 단면 형상(파이프, 막대 등)은 원형 대신에 타원형, 직사각형 등의 다각형 일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막 유닛(3)이 처리조(2)에 설치될 때, 파지부(14)는 미리 처리조(2)에 고정된 안내부(15)의 피파지부(15c)에 끼워진다. 그리고, 파지부(14)가 피파지부(15c)상에서 슬라이드함으로써, 막 유닛(3)을 처리조(2)의 소정 위치로 안내한다.
안내부(15)는 수면상에 피파지부(15c)의 일부(상단부)가 보이는 상태로 되도록 고정된다. 막 유닛(3)의 파지부(14)는 피파지부(15c) 위에 위치되고, 그 다음 막 유닛(3)은 파지부(14)를 피파지부(15c)에 맞추기 위해 수직으로 낮추어진다. 이와 같이 하여, 파지부(14)가 피파지부(15c)에 삽입된다.
파지부(14)는 적어도 2개의 위치에서 피파지부(15c)에 장착된다. 이로써, 막 유닛(3)을 안정되게 승강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적어도 2개의 위치에서 끼워 맞춤된 상태에서 막 유닛(3)을 승강시킬 수 있는 한, 막 유닛(3) 내의 막 카세트(5)의 일부는 파지부(14)로부터 자유롭게 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막 분리 장치(1)에 의하면, 파지부(14)를 피파지부(15c)에 순차적으로 끼워 넣음으로써 막 유닛(3)을 처리조(2)에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안내부(15)는 처리조(2)의 벽면과 탱크벽 고정부(15a) 사이 및 처리조(2)의 바닥면과 탱크바닥 고정부(15e) 사이의 두 위치에서 고정된다. 따라서, 안내부(15)는 용이하게 고정된다. 특히, 안내부(15)의 피파지부(15c)는 하부 연장부(15d)에 의해 단일 부재로 지지됨으로써, 안내부(15)를 고정하기 위한 부재의 수가 적고, 안내부(15)의 설치가 용이해진다. 즉, 막 유닛(3)을 소정의 위치로 안내하는 안내기구(4)를 부착하기 쉬워진다. 또한, 안내부(15)는 처리조(2)의 벽면 및 저면에 고정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막 유닛(3)의 변위를 억제할 수 있어, 안내부(15)에 장착된 막 유닛(3)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안내부(15)의 피파지부(15c)의 상부가 수면 상부에 드러나게 함으로써, 파지부(14)의 끼워 맞춤 위치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 또한, 피파지부(15c)는 일정한 폭을 가지므로, 막 유닛(3)의 변위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막 유닛(3)을 구성하는 막 카세트(5) 중, 하단에 설치된 막 카세트(5)에 파지부(14)가 설치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막 유닛(3)의 상승 위치 및 하강 위치를 수면 위로부터 확인할 수 있다. 삽입 위치를 수면 위에서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수류의 영향을 받지 않고 용이하게 삽입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특히, 복수의 막 유닛(3)를 일직선 상으로 배열하는 경우, 수 표면위에서 파지부(14) 사이에 피파지부(15c)를 삽입함으로써 수중에서의 막 유닛(3)의 접촉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파지부(14)를 피파지부(15c)에 적어도 2개소에 장착한 상태로 함으로써, 막 유닛(3)을 안정되게 승강시킬 수 있다. 파지부(14)가 피파지부(15c)에 끼워지는 위치의 수를 증가시킴으로써, 막 유닛(3)의 변위를 더욱 억제할 수 있다.
막 카세트(5)의 한 방향으로 파지부(14)를 제공함으로써, 단일 작업자이더라도 파지부(14)를 안내부(15)에 끼워 맞춰 막 유닛(3)을 처리조(2)에 고정시킴으로써 막 유닛(3)의 설치 작업이 용이해진다.
[제 2실시예]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막 분리 장치는 안내부의 구조가 제 1실시예에 따른 막 분리 장치(1)와 다르다. 따라서, 제 1실시예에 따른 막 분리 장치(1)와 유사한, 막 유닛(3) 및 막 카세트(5)와 같은 구조는 동일한 부호로 표시되고, 그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막 분리 장치(17)는 피처리액을 수용하는 처리조(2), 피처리액에 침지되는 막 유닛(3), 및 안내기구(18)를 구비한다. 안내기구(18)는 막 카세트(5)의 측부에 설치된 파지부(14)와 처리조(2)에 설치된 안내부(19)로 구성되어 있다.
안내부(19)는, 도 6에 도시 한 바와 같이, 탱크벽 고정부(19a), 상부 연장부(19b), 피파지부(19c) 및 탱크바닥 고정부(19d)를 구비하고 있다.
탱크벽 고정부(19a)는 볼트, 너트 등과 같은 고정 수단을 사용하여 처리조(2)의 벽면에 고정된다. 또한, 탱크바닥 고정부(19d)는 처리조(2)의 바닥면에 볼트, 너트 등의 고정 수단을 이용하여 고정된다.
상부 연장부(19b)는 제 1실시예의 안내부(15)의 상부 연장부(15b)와 유사하고, 탱크벽 고정부(19a)와 피파지부(19c)의 상부 사이에 구비된다.
피파지부(19c)는 탱크바닥 고정부(19d)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파이프를 갖는다. 피파지부(19c)는 한 쌍의 파이프를 갖기 때문에, 파지부(14) 사이에 피파지부(19c)가 끼워지는 일정한 폭을 갖는다. 각 파이프는 탱크바닥 고정부(19d)에 고정되고 상향 연장되도록 설치된다. 피파지부(19c)는 도 2에 도시된 피파지부(15c)와 유사하게, 파지부(14)(또는 파지부(16)) 사이에 끼워져(파지되어)있다. 또한, 한 쌍의 파이프 대신에 판 형상 부재를 사용하여 피파지부(19c)의 일부(또는 전체)를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피파지부는 연결부(19e)를 구비하고 있어서, 피파지부(19c)를 이송할 때, 분리하여 이송할 수 있다. 연결부(19e)는 필수적인 것은 아니며, 피파지부(19c)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안내부(19)는 또한 파이프 대신에 막대 형상 부재로 형성될 수 있다. 안내부(19)의 단면 형상(파이프, 막대 등)은 원형 대신에 타원형, 직사각형 등의 다각형 일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막 유닛(3)이 처리조(2)에 설치될 때, 파지부(14)는 미리 처리조(2)에 고정된 안내부(19)의 피파지부(19c)에 끼워 맞춰진다. 그리고, 파지부(14)가 피파지부(19c)상에서 슬라이드함으로써, 막 유닛(3)은 처리조(2)의 소정 위치로 안내된다.
안내부(19)는 수면위에 피파지부(19c)의 일부(상단부)가 보이는 상태로 고정되어 있다. 막 유닛(3)의 파지부(14)를 피파지부(19c)의 상부 일정위치에 위치시킨 후, 파지부(14)를 피파지부(19c)에 맞추기 위해, 막 유닛(3)를 수직 하강시킨다. 이와 같이, 파지부(14)가 피파지부(19c)에 삽입된다.
파지부(14)는 적어도 두 위치에서 피파지부(19c)에 고정된다. 이로써, 막 유닛(3)을 안정되게 승강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적어도 2개의 위치에서 끼워 맞춤된 상태에서 막 유닛(3)을 승하강시킬 수 있는 한, 막 유닛(3) 내의 막 카세트(5)의 일부는 파지부(14)로부터 자유롭게 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막 분리 장치(17)에서, 피파지부(19c)는 처리조(2)의 바닥면까지 연장되어 탱크바닥 고정부(19d)에 고정된다. 따라서, 이 막 분리 장치(17)에 의하면, 막 유닛(3)의 저부의 파지부(14)가 설치될 때까지, 파지부(14)와 피파지부(19c)가 항상 접촉하고 있다. 결과적으로, 제 1실시예에 따른 막 분리 장치(17)가 갖는 유리한 효과에 더하여 막 유닛(3)을 보다 안전하게 설치할 수 있다.
또한, 막 유닛(3)를 구성하는 막 카세트의 바닥의 막 카세트(5)에 파지부(14)가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는, 막 유닛(3)의 설치가 완료될 때까지 막 유닛(3)의 바닥에 있는 파지부(14)가 피파지부(19c)밖으로 나오지 않는다. 따라서, 막 유닛(3)의 바닥에 있는 막 카세트에 파지부(14)가 구비되는 경우, 막 유닛(3)의 바닥에 있는 막 카세트(5)를 제외한 다른 막 카세트(5)는 피파지부(19c)를 파지하는 위치의 수가 2개가 되도록 임의의 파지부를 구비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상, 본 발명의 막 분리 장치를 구체적인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막 분리 장치는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적절하게 변형할 수 있고, 그 변형된 것도 역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속한다.
상기 실시예의 설명에서는 주로 도 2a에 도시된 L 자형 파지부(14)를 갖는 막 카세트(5)로 구성된 막 유닛(3)가 예시되어 있다. 그러나, 도 2b에 도시된 막 카세트(11)로 구성된 막 유닛에 의해서도 유사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즉, 안내기구(4, 18)는 L 자형 파지부(14)와 안내부(15, 19)로 이루어지는 실시예뿐만 아니라 F 자형 파지부(16)와 안내부(15,19)로 이루어지는 실시예도 가능하다.
또한, 안내부(15, 19)는 처리조(2)의 벽면 등에 고정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7에 도시된 막 분리 장치(20)와 같이, 처리조(2)의 측벽으로서 발판(21)이나 빔 등을 설치하고, 안내부(15, 19)를 거기에 고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막 엘리먼트 배치 구조는 다음의 실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제 3실시예]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막 엘리먼트의 배치 구조의 일례이며, 고-액 분리에 사용되는 막 엘리먼트(220)를 병렬로 갖추고 있다.
(막 카세트(100)의 일 실시예)
막 카세트(100)는, 고액 분리용의 복수의 막 엘리먼트(220)가 병렬 배열된 한 쌍의 하부 파지부(61)를 가지며, 처리수 집합부(40)가 막 엘리먼트(220)의 헤더(집수부)(222)의 상단부에 연결된 상태에서 고액 분리된 물을 헤더(222)로부터 수집하기 위한 처리수 집합부(40)를 가진다.
처리수는 이 처리수를 흡입하는 흡입 펌프(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처리수 집합부(40)로부터 취출된다. 흡입 펌프를 사용하지 않고, 막 카세트(100)가 침지되어 있는 탱크내에서, 피처리액의 압력 헤드(수두압)를 이용하여 피처리액을 무동력으로 여과하는 것도 선택적으로 가능하다.
막 카세트(100)는 복수의 막 엘리먼트(220) 중 가장 바깥 쪽의 쌍방의 막 엘리먼트(220)들과 병렬 배치된 상태로 하부 파지부(61)에 장착되는 한 쌍의 커버부로서의 사이드 커버(50)를 더 구비한다.
이 한 쌍의 사이드 커버(50)에는, 하부 파지부(61) 상에 병렬 배치된 복수의 막 엘리먼트(220)의 푸터(밀봉부)(223)의 상단부를 파지하는 상부 파지부(62)와, 처리수 집합부(40)가 부착되는 취부부재(70)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특히, 상부 파지부(62)는 푸터(223)의 파지를 해제할 수 있도록 사이드 커버(50)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한편, 취부 부재(70)는 사이드 커버(50)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거나 견고하게 장착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헤더(222)의 처리수 취출부(224)를 정렬시키는 클립 판부(clip plate section)(80)가 복수의 막 엘리먼트(220)의 헤더(222)와 처리수 집합부(40) 사이에 개재되어 있다.
(막 엘리먼트(220)의 일 실시예)
도 8 및 도 9에 예시된 막 엘리먼트(220)에 고액분리에 사용되는 여과본체부(221), 이 여과본체부(221)의 일단부로부터 고액 분리 처리수를 모으는 헤더(header)(222), 및 여과본체부(221)의 다른 단부를 액밀하게(액체차단으로) 밀봉하는 푸터(footer)(223)를 구비한다.
여과 본체부(221)는 평판 여과 부재를 포함하다. 이 여과 부재의 내부에는, 고액 분리 처리수를 흘릴 수 있는 공간으로서 유로 또는 간극이 형성되어 있다. 여과 부재의 구체적인 실시예로서, 투수성의 평판상 지지체 상에 여과막을 형성한 것을 들 수 있다. 여과 기능이 있으면 충분하다. 따라서, 특정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여과 본체부(221), 헤더(222) 및 푸터(223)를 구성하는 재료로서는, 고액 분리 기술에 적용되는 금속, 세라믹 등의 공지의 무기 재료, 고분자 수지등의 공지의 유기 재료를 들 수 있다. 상기 구성재료는 여과본체부(221), 헤더(222) 및 푸터(223)가 막카세트(100)로 조립될 때 여과본체부(221)를 세정하기 위한 기액 혼합류에 의해 파손되지 않는 강도를 갖는 것이면 족하며 특히, 한정되지 않는다.
헤더(222) 및 푸터(223)는 본딩, 용접 또는 몰딩에 의해 여과 본체부(221)의 일단부 및 타단부에 각각 액밀하게(액체 차단으로) 고정된다.
헤더(222)는 그 상단부에 처리수 집합부(40)에 끼워지는 처리수 취출부(224)가 형성되어 있다. 처리수 취출부(224)에는 상술한 여과 본체부(221), 헤더(222) 및 푸터(223)와 같은 구성 재료가 적용된다. 처리수 취출부(224)로서 원통형상을 들 수 있지만, 선택적으로 횡단면으로 원 이외의 삼각형 또는 사각형으로 예시된 다각형상을 적용할 수 있다.
막 엘리먼트(220)의 다른 형태로서, 여과몸체부(221)의 주연부에 설치되고 전술한 무기 재료 또는 유기 재료로 만들어진 프레임과, 이 프레임의 일끝단부 표면에 일체로 구성된 처리수 취출부(224)를 구비한 실시예를 사용하는 것이 선택적이다.
(하부 파지부(61) 및 상부 파지부(62)의 일 실시예)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파지부(61)와 상부 파지부(62)는 동일한 구성 엘리먼트로 형성되고, 사이드 커버(50)가 부착될 때 서로에 대하여 상하 반전 관계에 있다.
하부 파지부(61) 또는 상부 파지부(62)는 막 엘리먼트(220)의 헤더(222) 또는 푸터(223)를 병렬로 지지하는 수용 본체부(31), 이 수용 본체부(31)를 수평으로 지지하는 지지부(32), 및 이 지지부(32), 사이드 커버(50) 및 단부 커버(90)가 부착되는 취부부(33)로 구성되어 있다.
도 1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용 본체부(31)는 헤더(222) 또는 푸터(223)를 수직으로 지지하는 복수의 홈(34)이 등 간격으로 형성되어 복수의 막 엘리먼트(220)를 병렬 정렬시킨다. 또한, 도 10 a~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수용본체부(31)의 체결홀(37)와 체결되는 체결부(35)가 수용 본체부(31)의 취부부(33)에 대향하는 취부면에 돌출 형성되어 있다.
홈(34)의 길이는 개개의 막 엘리먼트(220)의 길이가 개별적인 차이를 가지더라도, 헤더(222) 및 푸터(223)가 홈(34) 내에 위치될 수 있도록 확보된다. 예를 들어, 홈(34)의 길이는 여과본체부(221)의 횡 방향을 따라 푸터(223)의 외경보다 길게 설정된다. 푸터(223)를 내부에 배치하기 위한 홈(34)의 폭은 푸터(223)의 폭보다 어느 정도 넓게 설정된다.
취부부(33)는 U 자 형상의 횡단면을 갖는 부재로 형성된다. 그 정면 본체부에는 이 정면 본체부와 단부 커버(90)를 함께 고정하기 위한 볼트와 너트 등의 파스너(체결구)(도시하지 않음)의 취부홀(36)과, 수용본체부(31)의 체결부(35)가 체결되는 체결홀(37)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취부부(33)의 양 측면 본체부에는 이들 측면 본체부와 측면 커버(50)를 고정하기 위한 체결구의 취부홀(38)이 형성된다. 도 10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취부홀(38)은 L 자형 긴 구멍으로 형성되고, 하부 취부홀(38)은 수직 방향을 따라 긴 구멍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실시예에 따라서, 상부 파지부(62)가 양 사이드 커버(50)에 부착된 상태에서, 푸터(223)를 파지하고 해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수용 본체부(31)를 구성하는 재료의 예는 에틸렌 프로필렌 디엔 고무이지만,이 재료에 한정되지 않는다. 막 카세트(100)의 사용 환경에 따라, 공지된 강도 및 내약품성을 갖는 탄성 부재가 적절히 선택되어 적용될 수 있다.
지지부(32) 및 취부부(33)는 스테인레스 강(예를 들면, SUS304) 등의 강재로 이루어지는 강판을 구부림으로써 형성된다. 또한, 지지부(32) 및 취부부(33)의 재질에 따라서, 체결구(fasners), 본딩 또는 용접에 의해 이 지지부(32)를 취부부(33)에 고정할 수도 있다.
(처리수 집합부(40)의 실시예)
처리수 집합부(40)는 집수 본체부(41), 상단 파이프부(42) 및 하단 파이프부(43)로 형성된다.
집수 본체부(41)는,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클립판부(80)에 의해 병렬로 배열된 복수의 헤더(222)의 처리수 취출부(224)가 집수 본체부(41)에 끼워진 상태에서, 막 엘리먼트(220)의 처리수 취출부(224)로부터 처리수를 도입시킨다.
도 8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집수 본체부(41)는 처리수 취출부(224)가 끼워지는 접속홀(44), 이 접속 홀(44)들과 연통하는 집수로(45), 이 집수로(45)와 연통하는 연통수로(46), 및 연통수로(46)와 연통하는 수로(47)를 구비하고 있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속 홀(44)은 집수 본체부(41)의 길이 방향으로 등 간격으로 배치되고, 그 내경은 처리수 취출부(224)의 외경에 대응하는 직경으로 설정된다. 집수로(45)는 집수 본체부(41)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된다.
상단 파이프부(42)는 집수 본체부(41)의 상단부에 수직으로 연결되어 수로(47)와 연통하여 처리수가 집수 본체부(41)로부터 배출되도록 한다.
상기 하단 파이프부(43)는 집수 본체부(41)의 하단부에 수직으로 연결되어 수로(47)와 연통하여, 본 실시예의 막 카세트(100)의 바로 아래에 배치된 또다른 막 카세트(100)의 상단 파이프부(42)로부터 공급된 처리수가 집수 본체부로 공급되도록 한다.
집수 본체부(41), 상단 파이프부(42) 및 하단 파이프부(43)를 구성하는 재료는 폴리 비닐 클로라이드 수지에 의해 예시된다. 그러나 이 재료에만 국한되지는 않는다. 막 카세트(100)의 사용 환경에 따라, 공지의 강도 및 내약품성을 갖는 강재 또는 수지 재료가 적절하게 선택되어 적용될 수 있다.
집수 본체부(41), 상단 파이프부(42) 및 하단 파이프부(43)는 재료에 기초하여 용접, 접착제 및 볼트 고정과 같은 공지된 방법에 의해 함께 연결된다.
막 카세트(100)가 적층되는 경우, 하나의 막 카세트(100)의 상단 파이프부(42)는 이 상단 파이프부(42)의 상부 주연부가 이 막 카세트(100)의 직상부에 배치된 다른 막 카세트(100)의 하단 파이프부(43)의 하부 단부 부근 내부 주연부에 끼워진다. 이 상단 파이프부(42)는 고무 탄성체로 된 지수 부재(48)를 통해 다른 막 카세트(100)의 하단 파이프부(43)와 액밀하게 밀봉 연결된다.
또한, 집수 본체부(41)는 클립 판부(80)와 집수 본체부(41) 사이에 지수 부재로서 고무 탄성체로 이루어지는 ○링을 끼워서 처리수 취출부(224)에 액밀하게 밀봉 연결되어 있다.
(사이드 커버(50)의 실시예)
사이드 커버(50)는 긴 판부재로 형성된다. 사이드 커버(50)를 구성하는 재료로서는, 스테인리스 등의 강재(SUS304등)를 들 수 있다. 사용 환경에 따라, 강도, 내수성, 내약품성, 내후성 및 내식성이 공지된 강재 또는 수지 부재가 적절하게 선택되거나 조합되어 적용된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이드 커버(50)에는 하부 파지부(61), 상부 파지부(62) 및 취부 부재(70)를 사이드 커버(50)에 체결하기 위한 파스너의 취부홀(51)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막 카세트(100)의 사용 조건에 따라서, 리프팅 기구가 연결된 파지부(52)가 사이드 커버(50)에 적절하게 부착된다.
(취부 부재(70)의 일 실시예)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취부 부재(70)는 처리수 집합부(40)가 부착되는 취부 본체부(71)와, 취부 본체부(71)를 수평 상태로 지지하는 한 쌍의 지지부(72)로 구성되고, 상기 한쌍의 지지부(72)는 한 쌍의 사이드 커버(50)의 대향면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거나 견고하게 고정된다.
취부 본체부(71) 및 지지부(72) 각각은, 예를 들면, 긴 판형상의 스테인리스 강으로 형성되고, 굽힘 가공이나 용접에 의해 일체로 성형되어 취부 부재(70)가 구성된다.
취부 본체부(71)에는 이 취부 본체부(71)와 처리수 집합부(40)의 하면을 고정하기 위한 파스너의 취부 홀(73)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지지부(72)의 상단 근방 및 하단 근방에는, 지지부(72) 및 사이드 커버(50)를 체결하기 위한 파스너의 취부홀(73)이 형성되어 있다.
(클립 판부(80)의 실시예)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립 판부는 평판형 부재로 형성된다. 이 클립 판 본체부(81)에는, 배치된 막 엘리먼트(220)의 수에 따라 클립판 본체부(81)의 길이 방향을 따라 등 간격으로 배치되는, 막 엘리먼트(220)의 처리수 취출부(224)의 복수의 관통홀(82)이 형성되어 있다.
처리수 취출부(224)와 처리수 집합부(40)와의 사이에서 지수를 행하기 위한 지수 부재(도시하지 않음)를 배치하기 위한 홈부(83)가 처리수 집합부(40)에 대향하는 관통홀(82)의 출구 외주연부에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처리수 취출부(224)와 처리수 집합부(40) 사이에 지수 부재를 안정적으로 삽입할 수 있다.
클립 판부(80)의 재질로서는, 폴리 염화 비닐 수지 등의 고분자 수지로 예시되는 공지의 유기물을 들 수 있지만, 금속, 세라믹 등으로 예시되는 무기물도 선택적으로 시용될 수 있다.
지수 부재는 ○링으로 예시되지만, 처리수 취출부(224)의 파이프 형상에 대응하는 실시예가 채택될 수 있다. 지수 부재를 구성하는 재료로서는, 막 카세트(100)의 사용 환경에 따라 방수용의 공지된 탄성 부재가 적당히 선택되어 사용된다. 에틸렌 프로필렌 디엔 고무, 에틸렌 프로필렌 고무, 폴리 테트라 플루오로 에틸렌, 불소계 고무, 실리콘계 고무 등으로부터 적절하게 선택된다.
관통홀(82)의 내경은 처리수 취출부(224)의 외경보다 상대적으로 크게 설정된다. 특히, 클립판 본체부(81)의 처리수 취출부(224)들 사이의 거리를 일정한 오차 이하로 유지시킴으로써, 모든 처리수 취출부(224)가 처리수 집합부(40)에 설치될 때 처리수 취출부(224)의 수평 방향으로의 이동이 제한 될 수 있는 정도의 직경으로 설정하는 것이 더 좋다.
클립 판부(80)를 배치하기 위한 헤더(222)의 상단면이 수평이 아닌 경우에는, 도 14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상단면에 대향하는 클립 판부(80)의 끝단면이 상기 상단부의 경사상태로 대응하는 경사로 형성되면, 클립판부(80)와 처리수 집합부(40)의 접속면을 보정하여 수평으로 할 수 있다.
(막 카세트(100)의 조립 순서의 실시예)
도 8 및 9를 참조하여, 막 카세트(100)의 조립 순서를 설명한다.
우선, 막 엘리먼트(220)의 헤더(222) 및 푸터(223)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된 하부 파지부(61)의 취부부(33)에 사이드 커버(50)를 파스너로 고정한다. 그 다음, 상부 파지부(62) 및 취부 부재(70)는 사이드 커버(50)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된 상태로 양 사이드 커버(50)에 부착된다. 그 후, 헤더(222) 및 푸터(223)에 대응하는 하부 파지부(61)의 모든 홈(34)에 막 엘리먼트(220)의 헤더(222) 및 푸터(223)가 배치된다. 그리고, 상부 파지부(62) 및 취부 부재(70)를 회전시켜 양 사이드 커버(50)의 대향면의 고정 위치에 배치한 후, 파스너로 대향면에 고정한다. 또한, 양 단부 커버(90)는 하부 파지부(61), 상부 파지부(62) 및 취부 부재(70)에 파스너에 의해 고정된다.
이어서, 정렬된 막 엘리먼트(220)의 처리수 취출부(224)에 클립 판부(80)를 장착한다. 또한, 클립 판부(80)의 홈부(83)에는 지수 부재가 배치된다. 그리고, 처리수 집합부(40)의 집수 본체부(41)가 이들 처리수 취출부(224)에 접속되면 집수 본체부(41)가 취부 부재(70)의 취부 본체부(71)에 위치된다. 이 집수 본체부(41)에는 상단 파이프부(42) 및 하단 파이프부(43)가 미리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집수 본체부(41)가 취부 본체부(71)에 파스너로 고정되면, 막 카세트(100)의 조립이 완료된다.
단부 커버(90)를 헤더(222) 측면의 하부 파지부(61) 및 취부 부재(70), 및 푸터(223) 측면의 하부 파지부(61) 및 상부 파지부(62)에 미리 고정시켜 두면, 막 카세트(100)의 조립 작업 효율이 향상된다.
(제 3실시예의 효과)
이상의 막 카세트(100)에서, 복수의 막 엘리먼트의 헤더(222)와 푸터(223)가 하부 파지부(61) 상에 병렬로 배치된다. 또한, 이들 막 엘리먼트(220)의 헤더(222)의 상단부는 처리수 집합부(40)에 접속되어 있다. 따라서, 복수의 막 엘리먼트(220)의 헤더(222)의 상단부로부터 처리수 집합부(40)를 제거하면 임의의 막 엘리먼트(220)의 교환이 용이해지고, 막 카세트 (100)를 유닛화할 때 유지관리가 효율화된다.
특히, 막 엘리먼트(220)의 푸터(223) 및 헤더(222)를 파지하는 상부 파지부(62) 및 취부 부재(70)는 사이드 커버(50)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된다. 따라서, 막 엘리먼트(220)의 고정 작업 및 해제 작업이 용이해진다. 이는 막 카세트(100)의 조립 작업성을 향상시킨다. 상기 설명에서, 상부 파지부(62) 및 취부 부재(70)가 사이드 커버(50)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는 실시예가 예시되어 있다. 그러나, 막 엘리먼트(220)의 설치 및/또는 교체가 처리수 집합부(40)를 제거함으로써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는 경우에, 상부 파지부(62)만이 사이드 커버(50)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는 실시예를 채택하는 것은 선택적이다.
또한, 처리수 집합부(40)는 취부 부재(70)의 취부 본체부(71)에 고정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사이드 커버(50)에서 처리수 집합부(40)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또한, 헤더(222)의 상단부에는 처리수 집합부(40)에 끼워 맞춰지는 처리수 취출부(224)가 설치되어 있다. 이로써, 처리수 집합부(40)의 헤더(222)에 대한 상대적인 위치결정을 용이하게 하여 접속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처리수 취출부(224)를 정렬하기 위한 클립 판부(80)는 헤더(222)와 처리수 집합부(40)사이에 개재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막 엘리먼트(220) 정렬시 위치 결정이 용이해진다. 또한, 처리수 취출부(224)를 처리수 집합부(40)에 신속하게 넣고 꺼낼 수 있다. 따라서, 처리수 취출부(224)의 접속 작업성이 향상된다. 또한, 클립 판부(80) 및 지수 부재 모두를 사용함으로써, 헤더(222)와 처리수 집합부(40) 사이의 액체 기밀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 4실시예]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예를 들어 도 15에 도시된 막 유닛(110)을 들 수 있다.
막 유닛(110)은 처리 대상 액체에 침지되어 고액 분리 처리에 사용되는 막 유닛이며, 막 카세트(100)를 적층하여 이루어지는 카세트 적층부(120)와, 카세트 적층부(120)의 막 카세트(100)에 공기를 공급하는 산기부(130)로 이루어져 있다.
도면에 도시된 막 유닛(110)에서, 2개의 카세트 적층부(120)가 병렬로 배치된다. 정렬된 카세트 적층부(120)의 수 및 적층된 막 카세트(100)의 수는 도면에 예시된 실시예의 것에 한정되지 않고, 처리될 액체의 처리량에 따라 적절하게 설정된다.
(카세트 적층부(120)의 실시예)
카세트 적층부(120)는 복수의 막 카세트(100)가 높이 방향으로 적층되어 형성되어 있다. 하나의 막 카세트(100)의 상단 파이프부(42)는 그 바로 위에 배치된 다른 막 카세트의 하단 파이프부(43)와 지수 부재(48)를 통해 액밀하게(액체 차단으로) 연결된다.
바닥에 배치된 막 카세트(100)의 하단 파이프부(43)의 하단 개구부는 미리 밀봉 덮개(141)에 의해 액밀하게 밀봉되어 있다. 한편, 최상부 막 카세트(100)의 상단 파이프부(42)의 상단 개구부에는 플랜지부(151)가 설치되어 있다. 이 플랜지부(151)에는, 상단 파이프부(42)로부터 공급된 고액 분리 처리수를 계(system) 외로 이송하는 이송관(161)의 플랜지부(171)가 액밀하게 접속되어 있다.
카세트 적층부(120)에 있어서, 높이 방향으로 서로 인접하는 막 카세트(100)의 사이드 커버(50)의 상부 주연부 및 하부 주연부가 미리 수평 방향으로 굴곡가공되어 있다. 이들 상부 주연부 및 하부 주연부에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막 카세트(100)의 사이드 커버(50)와 하부 막 카세트(100)의 사이드 커버(50)를 연결하기 위한 파스너의 취부홀(51)이 형성되어 있다. 상부 막 카세트(100)의 하부 주연부와 하부 막 카세트(100)의 상부 주연부를 파스너로 연결함으로써, 막 카세트(100)는 높이 방향으로 적층된다.
또한, 막 카세트(100)의 최상부의 막 카세트(100) 사이드 커버(50)에는, 도 1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파지부(52)가 부착되어 있고, 이들 파지부(52)에는 도시하지 않은 승강기구가 연결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막 유닛(110)이 설치되어 있는 처리조에 대하여 카세트 적층부(120)를 반입 반출할 수 있게 된다.
(산기부(130)의 일 실시예)
산기부(130)는 산기 파이프(131)와 산기 프레임(132)을 구비한다. 산기 파이프(131)는 시스템 외부의 송풍기로부터 공급된 공기를 산기시킨다. 산기 파이프(131)에는 폐수 처리 기술에서 채택되는 공지의 산기 장치를 적절하게 적용하면 충분하다.
카세트 적층부(120)는 산기 프레임(132)의 상단부에 기립 및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고, 상기 산기 프레임(132)은 카세트 적층부(120) 직하부에 산기 파이프(131)를 수용하는 프레임본체로 형성되어 있다. 이 프레임 본체는 막 유닛이 설치된 수조 바닥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산기 프레임(132)의 프레임 본체 상단부에는 카세트 적층부(120)를 위치시키기 위해 돌출된 위치 결정 핀(도시되지 않음)이 구비된다. 이들 위치 결정 핀은 카세트 적층부(120)의 바닥에 배치된 막 카세트(100)의 사이드 커버(50)의 하부 주연부에 있는 파스너의 취부 홀(51)에 삽입됨으로써 카세트 적층부(120)를 산기 프레임(132)상에 위치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막 유닛(110)의 사용 환경에 따라, 사이드 커버(50)와 마찬가지로, 공지의 강도 및 내약품성을 가지는 강재 또는 수지 부재가 적절하게 선택되어 산기 프레임(132)의 구성 재료에 적용된다.
또한, 산기부(130)와 카세트 적층부(120)를 1대 1로 대응시키면, 카세트 적층 부(120)와 산기 프레임(132)을 미리 연결시킬 경우 카세트 적층부(120)와 산기 프레임(132)의 단위를 일체로 수조로부터 반출입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도 15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카세트 적층부(120)를 수조에 대하여 반출입시킬 때, 수조내에는 한 쌍의 안내관(181)이 기립 상태로 설치되어 카세트 적층부(120) 승강을 안내한다. 다른 한편으로, 도 13a 및 도 1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세트 적층부(120)의 각 막 카세트(100)의 양 사이드 커버(50)에는 안내 파이프(181)가 느슨하게 끼워지는 한 쌍의 가이드 수용체(53)가 장착되어 있다.
(막 유닛(110)의 조립 순서의 일례)
도 15를 참조하여, 막 유닛(110)의 조립 순서 예를 설명하다.
먼저, 막 카세트(100)의 사이드 커버(50)의 하부 주연부 및 상부 주연부의 취부 홀(51)에 도면에 도시하지 않은 제동 핀이 삽입된 상태에서 2개의 막 카세트(100)가 상하로 사전 배치된다. 다음에, 막 카세트(100)는 제동 핀을 제거한 후에 취부홀(51)에 파스너를 취부함으로써 적층된다. 동일한 도면에 예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과정을 반복함으로써 10단의 막 카세트(100)가 적층된 카세트 적층부(120)가 완성된다.
리프팅 기구가 막 카세트(100)의 상부의 파지부(52)에 연결되어 카세트 적층부(120)를 들어 올린 다음 수조에 넣는다. 그 후, 이 카세트 적층부(120)는 바닥의 막 카세트(100)가 산기 프레임(132)의 위치 결정 핀에 의해 위치결정된 상태에서 산기 프레임(132)에 고정된다. 그리고, 이송 파이프(161)의 플랜지부(171)는 최상부 막 카세트(100)의 플랜지부(151)에 액밀하게 접속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동일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2열로 배열된 카세트 적층부(120)는 수조내의 산기부(130)에 고정되어 막 유닛(110)을 완성시킨다.
막 유닛(110)의 유지 보수시에 막 엘리먼트(들)(220)를 교체하는 경우, 먼저 이송 파이프(161)의 플랜지부(171)가 카세트 적층부(120)의 플랜지부(151)로부터 제거된다. 그리고, 파지부(52)는 카세트 적층부(120)의 최상부에서 막 카세트(100)의 사이드 커버(50)에 취부된다. 또한, 리프팅 기구가 파지부(52)에 연결된 상태에서, 산기 프레임(132)상의 카세트 적층부(120)의 고정이 해제된다. 그리고, 카세트 적층부(120)를 리프팅기구에 의해 들어 올려 수조로부터 꺼낸다. 이 카세트 적층부(120) 반출에 있어서 최상부 막 카세트(100)를 먼저 취출한 후, 다른 막 카세트(100)를 취출하여 모든 막 카세트(100)를 분리하다.
그리고, 처리수 집합부(40)가 취부 본체부(71)로부터 제거된다. 또한, 막 카세트(100)의 취부 부재(70) 및 상부 파지부(62)의 상부 파스너가 제거된 후, 취부 부재(70) 및 상부 파지부(62)가 사이드 커버(50)의 외측으로 회전된다. 이로써, 막 엘리먼트(들)(220)의 교체가 이행된다. 또한, 막 유닛(110)을 작동시킬 때, 수조에 피처리수가 없는 경우, 수조에서 막 유닛(110)의 유지 보수 작업을 수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 설명에서는, 상부 파지부(62) 및 취부 부재(70)가 사이드 커버(50)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는 실시예가 제시되었지만, 상부 파지부(62) 및 취부 부재(70)가 사이드 커버 (50)에 부착되는 형태는 본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상부 파지부(62)를 사이드 커버(50)의 외측으로 회전시키고, 처리수 집합부(40)를 제거함으로써 막 엘리먼트(220)를 설치 및 교체할 수 있는 경우에는, 상부 파지부(62)만이 사이드 커버(50)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는 실시예도 선택적으로 채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효과)
상술한 막 유닛(110)에 의하면, 막 카세트(100)를 적층하는 과정에서 하나의 막 카세트(100)의 하단 파이프부(43)와 그 직하부에 있는 다른 막 카세트(100)의 상단 파이프부(42)를 직접 연결할 수 있다. 따라서, 복수의 막 카세트(100)로 막 유닛(110)을 구성하는 경우, 가요성 튜브가 필요 없고, 막 카세트(100)의 상호 접속이 간단해진다. 이는 막 유닛(110)의 조립 및 막 엘리먼트의 검사 및 교체시 작업성을 현저히 향상시킨다.
본 발명의 막 분리 장치, 막 엘리먼트, 막카세트 및 믹유닛의 배치 구조가 적용될 수 있는 분야는 물 및 폐수 분야 및 각종 산업 폐수 등이며, 이들은 처리수를 처리하는 수조에 장치된다.
1, 17, 20 : 막 분리 장치
2 : 처리조
3 : 막 유닛
4, 18 : 안내기구
5, 11 : 막 카세트
6 : 산기 프레임
7 : 막 엘리먼트(여과막)
8 : 집합 집수부
9 : 파지부
10 : 사이드 커버
12 : 산기 파이프
13 : 공급 포트
14, 16 :. 파지부
14a, 16a : 돌출부, 14b : 연장부
16b : 제 1연장부, 16c : 제 2연장부
15, 19 : 안내부
15a: 탱크벽 고정부, 15b:상부 연장부, 15c: 피파지부, 15d:하부 연장부, 15e: 탱크 바닥 고정부, 15f: 접속부,
19a: 탱크벽 고정부, 19b: 상부 연장부, 19c: 피파지부, 19d: 탱크 바닥 고정부, 19e: 접속부
21 : 발판
100: 막 카세트
220: 막 엘리먼트, 221: 여과 본체부, 222:헤더(집수부), 223:푸터(밀봉부), 224 : 처리수 취출부
40: 처리수 집합부, 41: 집수 본체부, 42: 상단 파이프부, 43: 하단 파이프 부
50: 사이드 커버(커버부), 52: 파지부, 53:가이드 수용체
61 : 하부 파지부
62 : 상부 파지부
70:취부 부재, 71:취부 본체부, 72:지지부
80 : 클립판부
110: 막 유닛
120 : 카세트 적층부
130: 산기부, 131: 산기 파이프, 132: 산기 프레임
181 : 안내 파이프

Claims (16)

  1. 피처리액을 그 내부에 수용하는 처리조;
    처리조의 높이 방향을 따라 적층되고 피처리액의 여과를 행하는 여과막을 각각 구비한 복수의 막 카세트;
    상기 처리조 내에 설치되어 상기 막 카세트를 소정 위치로 안내하는 안내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막 카세트 중 적어도 2개의 막 카세트 각각은 상기 안내부에 대해 슬라이드 가능한 한 쌍의 파지부를 가지며, 상기 안내부는 상기 한 쌍의 파지부 사이에 끼워지는 피파지부를 가지고, 상기 한쌍의 파지부는 상기 막카세트의 일측부로부터 연장되는 한 쌍의 돌출부와 상기 한 쌍의 돌출부에 의해 상기 피파지부를 파지하는 한 쌍의 연장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막 분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부는 처리조의 벽면 또는 발판(foothold) 및 처리조의 바닥면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막 분리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피파지부의 상단부는 피처리액 밖으로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막 분리 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피파지부는 한 쌍의 파이프, 한 쌍의 막대 형상 부재 또는 판형 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막 분리 장치.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산기 프레임이 상기 적층된 막 카세트 아래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막 분리 장치.
  6. 고액 분리를 행하는 여과 본체부, 상기 고액분리에 의해 얻어진 처리수를 여과본체부의 일단부로부터 집수하는 집수부, 및 상기 여과 본체부의 다른 단부를 액밀하게 밀봉하는 밀봉부를 각각 구비한 복수의 막엘리먼트;
    상기 막 엘리먼트의 상기 집수부와 상기 밀봉부가 상기 막엘리먼트가 병렬 정렬되도록 위치되는 한쌍의 하부 파지부; 및
    상기 집수부의 상단부와 연결되는 상태에서 상기 처리수를 상기 집수부로부터 집수하는 처리수 집합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집수부가 그 상단부에 상기 처리수 집합부에 끼워지는 처리수 취출부를 구비하여 형성되고,
    상기 처리수 취출부를 병렬 정렬하는 클립판부가 상기 집수부와 상기 처리수 집합부의 사이에 개재되고,
    상기 처리수 집합부는 집수 본체부, 상단 파이프부 및 하단 파이프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집수 본체부는 상기 집수본체부의 길이방향으로 등간격으로 배치되고 상기 처리수 취출부가 끼워지는 접속홀, 상기 접속홀들과 연통하는 집수로, 상기 집수로와 연통하는 연통 수로, 및 상기 연통수로와 연통하는 수로로 형성되고,
    상기 상단 파이프부 및 상기 하단 파이프부가 각각 상기 집수 본체부의 상단부와 하단부에 수직으로 연결되어 상기 수로와 연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막 엘리먼트의 배치 구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막 엘리먼트의 최외측에 배열된 두개의 막 엘리먼트와 평행하게 배열되는 상태로 상기 한 쌍의 하부 파지부에 부착되는 한 쌍의 커버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막 엘리먼트의 배치 구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커버부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밀봉부의 상단부를 파지하는 상부 파지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막 엘리먼트의 배치 구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커버부에 회전 가능하게 또는 견고하게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처리수 집합부가 부착되는 취부 부재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막 엘리먼트의 배치 구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취부부재가 상기 처리수 집합부가 부착되는 취부 본체부; 및 상기 한쌍의 커버부의 대향면에 회전 가능하게 또는 견고하게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취부 본체부를 수평으로 지지하는 한 쌍의 지지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막 엘리먼트의 배치 구조.
  11. 제8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파지부가 상기 한 쌍의 커버부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어 상기 밀봉부의 파지를 해제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막 엘리먼트의 배치 구조
  12. 삭제됨
  13. 삭제됨
  14. 고액 분리를 행하는 여과 본체부, 상기 고액분리에 의해 얻어진 처리수를 여과본체부의 일단부로부터 집수하는 집수부, 및 상기 여과 본체부의 다른 단부를 액밀하게 밀봉하는 밀봉부를 각각 구비한 복수의 막엘리먼트;
    상기 막 엘리먼트의 상기 집수부와 상기 밀봉부가 상기 막엘리먼트가 병렬 정렬되도록 위치되는 한쌍의 하부 파지부; 및
    상기 집수부의 상단부와 연결되는 상태에서 상기 처리수를 상기 집수부로부터 집수하는 처리수 집합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집수부가 그 상단부에 상기 처리수 집합부에 끼워지는 처리수 취출부를 구비하여 형성되고,
    상기 처리수 취출부를 병렬 정렬하는 클립판부가 상기 집수부와 상기 처리수 집합부의 사이에 개재되고,
    상기 처리수 집합부는 집수 본체부, 상단 파이프부 및 하단 파이프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집수 본체부는 상기 집수본체부의 길이방향으로 등간격으로 배치되고 상기 처리수 취출부가 끼워지는 접속홀, 상기 접속홀들과 연통하는 집수로, 상기 집수로와 연통하는 연통 수로, 및 상기 연통수로와 연통하는 수로로 형성되고,
    상기 상단 파이프부 및 상기 하단 파이프부가 각각 상기 집수 본체부의 상단부와 하단부에 수직으로 연결되어 수로와 연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막 엘리먼트를 구비한 막 카세트.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하부 파지부 및 상기 처리수 집합부에 취부되어 상기 막 엘리먼트의 최외측에 배치된 양 막 엘리먼트에 평행하게 정렬되는 한 쌍의 커버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막 카세트를 리프팅하는 기구가 연결되는 파지부가 상기 한 쌍의 커버부에 취부됨을 특징으로 하는 막 카세트.
  16. 제 15항의 막 카세트가 적층된 막 유닛.

KR1020187038190A 2016-05-31 2017-04-28 막 분리 장치, 막 엘리먼트 배치 구조, 막 카세트 및 막 유닛 KR10196722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6-108645 2016-05-31
JP2016108645A JP6222284B1 (ja) 2016-05-31 2016-05-31 膜エレメントの配置構造、膜カセット及び膜ユニット
JPJP-P-2016-183565 2016-09-21
JP2016183565A JP6222320B1 (ja) 2016-09-21 2016-09-21 膜分離装置
PCT/JP2017/016959 WO2017208707A1 (ja) 2016-05-31 2017-04-28 膜分離装置、膜エレメントの配置構造、膜カセット及び膜ユニッ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6038A true KR20190006038A (ko) 2019-01-16
KR101967229B1 KR101967229B1 (ko) 2019-04-16

Family

ID=604794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38190A KR101967229B1 (ko) 2016-05-31 2017-04-28 막 분리 장치, 막 엘리먼트 배치 구조, 막 카세트 및 막 유닛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2) US10940440B2 (ko)
KR (1) KR101967229B1 (ko)
CN (1) CN109311703B (ko)
CA (2) CA3079461C (ko)
SA (1) SA518400553B1 (ko)
SG (2) SG10201911673PA (ko)
TW (2) TWI647006B (ko)
WO (1) WO201720870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897832B1 (ja) * 2020-03-23 2021-07-07 株式会社明電舎 支持構造および膜濾過装置
JP2022064709A (ja) * 2020-10-14 2022-04-26 株式会社クボタ 膜処理装置
WO2022080584A1 (ko) 2020-10-16 2022-04-21 주식회사 오케이오 다단 하중조절형 이동대차
JP7380731B2 (ja) * 2022-03-17 2023-11-15 株式会社明電舎 濾過システム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18248A (ja) * 1993-01-25 1994-08-09 Kubota Corp 膜分離ユニット装着装置
JPH11319511A (ja) 1998-05-15 1999-11-24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浄化槽
JP2008246371A (ja) * 2007-03-30 2008-10-16 Kubota Corp 膜エレメントおよび浸漬型平膜ろ過装置
JP2009148743A (ja) 2007-11-28 2009-07-09 Kubota Corp 浸漬型膜分離装置および膜カートリッジ
US20090236295A1 (en) 2006-05-08 2009-09-24 Itn Nanovation Ag Immersion filter unit for wastewater treatment and production of drinking water
JP2011255305A (ja) * 2010-06-09 2011-12-22 Kubota Corp 水処理設備および水処理機器の吊り上げ装置
JP2012148229A (ja) * 2011-01-18 2012-08-09 Kubota Corp 膜分離装置
JP2014046275A (ja) 2012-08-31 2014-03-17 Toray Ind Inc 膜ろ過装置
JP2014076417A (ja) * 2012-10-10 2014-05-01 Meidensha Corp 膜モジュール、膜ユニット
WO2014157487A1 (ja) * 2013-03-27 2014-10-02 株式会社クボタ 吊り上げ装置、吊り上げセット及び水処理設備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255835B (en) * 1994-01-07 1995-09-01 Kubota Kk Filtration membrane module
JPH08309161A (ja) * 1995-05-17 1996-11-26 Kurita Water Ind Ltd 浸漬型膜分離装置の平膜エレメント
KR101331675B1 (ko) * 2007-10-12 2013-11-26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중공사막 모듈의 장착 시스템 및 그 방법
WO2009118785A1 (ja) * 2008-03-27 2009-10-01 株式会社クボタ 膜モジュールおよび膜カセット
US20110005994A1 (en) * 2008-03-27 2011-01-13 Hidetoshi Masutani Membrane element and membrane module
CN101980765B (zh) * 2008-03-27 2015-11-25 株式会社久保田 膜分离装置及膜盒
JP5409079B2 (ja) * 2009-03-31 2014-02-05 株式会社クボタ 膜分離装置
JP5472312B2 (ja) * 2009-10-26 2014-04-16 株式会社明電舎 膜モジュール、膜ユニット及び膜分離装置
CN102258943A (zh) * 2010-05-31 2011-11-30 四川深蓝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浸入式中空纤维膜组件
CN104411643B (zh) * 2012-07-10 2017-10-24 东丽株式会社 元件单元、分离膜模块、分离膜元件的装卸方法

Patent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18248A (ja) * 1993-01-25 1994-08-09 Kubota Corp 膜分離ユニット装着装置
JPH11319511A (ja) 1998-05-15 1999-11-24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浄化槽
US20090236295A1 (en) 2006-05-08 2009-09-24 Itn Nanovation Ag Immersion filter unit for wastewater treatment and production of drinking water
JP2008246371A (ja) * 2007-03-30 2008-10-16 Kubota Corp 膜エレメントおよび浸漬型平膜ろ過装置
JP2009148743A (ja) 2007-11-28 2009-07-09 Kubota Corp 浸漬型膜分離装置および膜カートリッジ
JP2011255305A (ja) * 2010-06-09 2011-12-22 Kubota Corp 水処理設備および水処理機器の吊り上げ装置
JP2012148229A (ja) * 2011-01-18 2012-08-09 Kubota Corp 膜分離装置
JP2014046275A (ja) 2012-08-31 2014-03-17 Toray Ind Inc 膜ろ過装置
JP2014076417A (ja) * 2012-10-10 2014-05-01 Meidensha Corp 膜モジュール、膜ユニット
WO2014157487A1 (ja) * 2013-03-27 2014-10-02 株式会社クボタ 吊り上げ装置、吊り上げセット及び水処理設備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3026022C (en) 2020-07-21
TWI647006B (zh) 2019-01-11
TW201841675A (zh) 2018-12-01
SG10201911673PA (en) 2020-02-27
US20190329182A1 (en) 2019-10-31
KR101967229B1 (ko) 2019-04-16
TW201742664A (zh) 2017-12-16
SG11201810460UA (en) 2018-12-28
CA3079461C (en) 2022-04-26
CN109311703B (zh) 2020-02-11
TWI686235B (zh) 2020-03-01
US10940440B2 (en) 2021-03-09
CN109311703A (zh) 2019-02-05
US20200360863A1 (en) 2020-11-19
CA3026022A1 (en) 2017-12-07
US11235285B2 (en) 2022-02-01
SA518400553B1 (ar) 2022-09-18
WO2017208707A1 (ja) 2017-12-07
CA3079461A1 (en) 2017-1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67229B1 (ko) 막 분리 장치, 막 엘리먼트 배치 구조, 막 카세트 및 막 유닛
KR101437818B1 (ko) 배관 일체형 분리막 프레임과 이를 이용한 분리막 모듈 유닛
US9446970B2 (en) Membrane module unit and assembly method, disassembly method, and maintenance method for same, and water-treatment apparatus
EP0937494A2 (en) Membrane separation system
JP5488156B2 (ja) 膜ユニット及び膜分離装置
JPWO2008001730A1 (ja) 濾過装置
JPH11300177A (ja) 膜分離装置
KR101713927B1 (ko) 카세트 타입용 mbr 분리막의 여과장치
WO2010123238A2 (en) Method for cleaning filtering membrane
CN101925395B (zh) 中空纤维膜元件、用于中空纤维膜元件的框架以及膜过滤装置
WO2017110283A1 (ja) 膜エレメントの配置構造、膜カセット及び膜ユニット
JP4716829B2 (ja) 膜分離ユニット
JP6222284B1 (ja) 膜エレメントの配置構造、膜カセット及び膜ユニット
EP1676817A1 (en) Submergible membrane filtration module
JP2011110496A (ja) 中空糸膜モジュール、膜分離方法及び水処理装置
JP4929220B2 (ja) 浸漬型膜分離装置
KR100441752B1 (ko) 여과막 모듈과 여과막 모듈 가이드가 분리된 형태의 침지형 오폐수 처리 장치
JP2002186838A (ja) 浸漬型膜分離装置
JP6222320B1 (ja) 膜分離装置
JP2015208694A (ja) 膜モジュールの支持構造
KR100509556B1 (ko) 중공사막 모듈 유닛
JP2017196600A (ja) 中空糸膜カセ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