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04724A - 회전 커넥터 및 회전 커넥터의 고정 구조 - Google Patents

회전 커넥터 및 회전 커넥터의 고정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04724A
KR20190004724A KR1020187033775A KR20187033775A KR20190004724A KR 20190004724 A KR20190004724 A KR 20190004724A KR 1020187033775 A KR1020187033775 A KR 1020187033775A KR 20187033775 A KR20187033775 A KR 20187033775A KR 20190004724 A KR20190004724 A KR 201900047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aw
rotary connector
retaining
claws
engag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337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59101B1 (ko
Inventor
슈지 히라이
가즈따까 가미야
도시히꼬 고스기
시게오 시게야마
노부유끼 이시구레
요시오 치바
구니히꼬 이께가메
히데끼 마츠무라
다다시 우스야
Original Assignee
후루카와 덴키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도요타지도샤가부시키가이샤
카부시키가이샤 토카이리카덴끼 세이사쿠쇼
후루카와 에이에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루카와 덴키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도요타지도샤가부시키가이샤, 카부시키가이샤 토카이리카덴끼 세이사쿠쇼, 후루카와 에이에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후루카와 덴키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900047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47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91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91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5/00Flexible or turnable line connectors, i.e. the rotation angle being limited
    • H01R35/04Turnable line connectors with limited rotation angle with frictional contact me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transmission of signals between vehicle parts or subsystems
    • B60R16/027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transmission of signals between vehicle parts or subsystems between relatively movable parts of the vehicle, e.g. between steering wheel and colum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00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 B62D1/02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vehicle-mounted
    • B62D1/04Hand wheels
    • B62D1/10Hubs; Connecting hubs to steering columns, e.g. adjustabl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005Guiding, mounting, polarizing or locking means; Extractors
    • H01R12/7011Locking or fixing a connector to a PCB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5/00Flexible or turnable line connectors, i.e. the rotation angle being limited
    • H01R35/02Flexible line connectors without frictional contact members
    • H01R35/025Flexible line connectors without frictional contact members having a flexible conductor wound around a rotation axi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9/00Rotary current collectors, distributors or interrupters
    • H01R39/02Details for dynamo electric machin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201/00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R2201/26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for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Steering Controls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Snaps, Bayonet Connections, Set Pins, And Snap Rings (AREA)

Abstract

회전 커넥터의 덜걱거림이나, 회전 커넥터가 하니스의 배선 상태에 따라 부상되는 것을 방지하여, 스티어링 휠과의 접촉에 의한 이음의 발생 등의 문제를 억제한다. 회전 커넥터(11)를 콤비네이션 스위치(21)에 고정하는 돌편(15) 및 돌편(15)이 걸림 지지되는 피걸림 지지부(22a)를 갖고, 돌편(15)의 선단부에는, 가로 방향으로 돌출되는 걸림 지지 갈고리(31)가 형성된 회전 커넥터(11)의 고정 구조에 있어서, 돌편(15)의 걸림 지지 갈고리(31)에, 걸림 지지 갈고리(31)를 변위시켜 걸림 지지 방향으로 부세하는 가요성을 가진 부세부(15a)를 일체로 구비한다. 걸림 지지 갈고리(31)에는, 피걸림 지지부(22a)의 걸림 지지측 코너부(23)에 대하여 대향측으로부터 비스듬히 맞닿는 맞닿음면(32)을 형성한다.

Description

회전 커넥터 및 회전 커넥터의 고정 구조
본 발명은, 차량의 스티어링 휠의 아래에 구비되는 회전 커넥터를 콤비네이션 스위치에 대하여 고정하는 회전 커넥터에 관한 것이며, 보다 상세하게는 고정 상태에 있어서의 이음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회전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회전 커넥터는 예를 들어 에어백 시스템 등의 전기적 접속 수단으로서 사용되는 것이다. 회전 커넥터는 에어백을 탑재하는 스티어링 휠에 고정되는 로테이터와, 이 로테이터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스테이터를 갖고, 로테이터와 스테이터로 형성되는 내부 공간에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을 권회 상태로 수납하고 있다. 이 구성에 의해, 스티어링 휠의 회전에 수반하여 로테이터가 회전해도 전기적 접속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회전 커넥터를 콤비네이션 스위치에 대하여 고정하는 고정 구조에는, 나사를 사용하는 경우보다도 간단히 고정 작업을 할 수 있도록 걸림 지지가 사용되고 있다. 즉,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전 커넥터(101)의 스테이터(102)에는 돌편(103)이 형성되고, 콤비네이션 스위치의 브래킷에는, 도 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돌편(103)이 걸림 지지되는 피걸림 지지부(104)가 형성되어 있다.
돌편(103)은 횡단면 직사각형의 막대 형상이며, 선단부에는, 가로 방향으로 돌출됨과 함께 피걸림 지지부(104)에 대하여 상대 이동하여 피걸림 지지부(104)를 넘었을 때에 피걸림 지지부(104)에 걸림 지지되는 걸림 지지 갈고리(105)가 형성되어 있다.
고정 시에 돌편(103)은, 걸림 지지 갈고리(105)가 피걸림 지지부(104)에 걸림 지지되는 전단에서 탄성 변형되고, 걸림 지지 갈고리(105)가 피걸림 지지부(104)를 넘은 후에 탄성 복귀하여 평상 상태로 되돌아가, 걸림 지지 갈고리(105)를 피걸림 지지부(104)의 대향측에 걸림 지지시킨다.
그러나, 이와 같은 걸림 지지 구조에서는, 탄성 변형한 돌편(103)이 원래의 형상으로 되돌아가도록 하기 위해, 걸림 지지 갈고리(105)와 이것에 대향하는 피걸림 지지부(104) 사이에 일정한 클리어런스를 형성해 둘 필요가 있다. 이 때문에, 돌편(103)의 삽입 방향에서의 덜걱거림이 발생하는 난점이 있다.
이러한 덜걱거림이 발생하는 상태이면 이음이 발생하기 쉽다. 게다가, 회전 커넥터(101)는 도 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티어링 휠(106)과 콤비네이션 스위치(107) 사이에 설치되는 것이며, 회전 커넥터(101)에는 전기적 접속을 위한 하니스가 스티어링 휠측과 스티어링 칼럼측에 접속되어 있기 때문에, 하니스(도시하지 않음)의 배선 상태에 따라서는 도 19에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 같이 하니스가 회전 커넥터(101)를 밀어올려 버리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에는, 밀어올려진 회전 커넥터(101)가 스티어링 휠(106)과 접촉하여 이음의 발생이나 그 밖의 문제를 초래하는 경우가 있었다.
회전 커넥터의 덜걱거림을 방지하기 위해, 하기 특허문헌 1과 같은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이 설치 구조는, 덜걱거림을 방지하기 위한 변위 흡수 부재를 구비한다는 것이며, 콤비네이션 스위치에 대하여 탄성적으로 닿는 탄성편이나 쿠션재를 스테이터에 설치하고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서는, 변위 흡수 부재가 회전 커넥터를 끝까지 밀어올린 상태로 하므로, 회전 커넥터가 예상하지 못하게 부상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러나, 회전 커넥터와 콤비네이션 스위치 사이에 스페이스가 필요하고, 또한 여분의 재료나 부재가 필요로 된다. 이 때문에 소형화나 저비용화는 불가능하다. 또한, 특히 쿠션재를 구비하는 경우에는 재료의 열화나 쿠션재의 탈락이 생각되어, 효과의 지속의 점에서 어려움이 있다.
특허 제3273540호 공보
따라서 본 발명은 덜걱거림이나 회전 커넥터의 예상하지 못한 부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한다.
그를 위한 수단은, 콤비네이션 스위치에 대하여 고정하는 돌편을 갖고, 해당 돌편의 선단부에는, 가로 방향으로 돌출되는 걸림 지지 갈고리가 형성된 회전 커넥터로서, 상기 돌편에 있어서의 상기 걸림 지지 갈고리에 일체 형성되며, 상기 걸림 지지 갈고리를 변위시켜 걸림 지지 방향으로 부세하는 가요성을 가진 부세부와, 상기 걸림 지지 갈고리에 형성되며, 피걸림 지지부에 대하여 비스듬히 맞닿는 맞닿음면을 구비한 회전 커넥터이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다른 수단은, 회전 커넥터를 콤비네이션 스위치에 대하여 고정하는 돌편 및 해당 돌편이 걸림 지지되는 피걸림 지지부를 갖고, 상기 돌편의 선단부에는, 가로 방향으로 돌출되는 걸림 지지 갈고리가 형성된 회전 커넥터의 고정 구조로서, 상기 돌편에 있어서의 상기 걸림 지지 갈고리에 일체 형성되며, 상기 걸림 지지 갈고리를 변위시켜 걸림 지지 방향으로 부세하는 가요성을 가진 부세부와, 상기 걸림 지지 갈고리에 형성되며, 상기 피걸림 지지부에 대하여 비스듬히 맞닿는 맞닿음면을 구비한 회전 커넥터의 고정 구조이다.
이들 구성에서는, 돌편과 피걸림 지지부 사이에서 상대 이동을 행하여 돌편을 피걸림 지지부를 향하여 이동시키면, 돌편의 걸림 지지 갈고리가 피걸림 지지부에 닿아 적어도 부세부가 휘어, 걸림 지지 갈고리가 가로 방향으로 이동한다. 부세부가 휨으로써 걸림 지지 갈고리의 이동은 허용되고, 한층 더한 이동에 의해 걸림 지지 갈고리가 피걸림 지지부를 넘은 후, 걸림 지지 갈고리는 걸림 지지 방향으로 이동하여 피걸림 지지부에 걸림 지지된다. 이때 걸림 지지 갈고리의 맞닿음면이 피걸림 지지부, 구체적으로는 피걸림 지지부의 걸림 지지측의 코너 부분에 대하여 비스듬히 맞닿아 돌편과 피걸림 지지부 사이의 위치 관계를 유지한다. 따라서 덜걱거림이나 회전 커넥터의 예측하지 못한 부상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양태로서, 상기 맞닿음면이 경사면 또는 오목 형상의 라운드면인 회전 커넥터로 할 수 있다.
이 구성에서는, 맞닿음면은 무단계로 피걸림 지지부에 걸림 지지하고, 또한 부세부에 의한 부세력을 양호하게 작용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양태로서, 상기 부세부가 상기 돌편에 있어서의 상기 걸림 지지 갈고리보다 기부측의 부분에 형성된 회전 커넥터로 할 수 있다.
이 구성에서는, 돌편의 전부 또는 일부를 구성하는 부세부가 걸림 지지 갈고리를 지지하고, 휘면서 경도되는 탄성 변형에 의해 부세력을 발휘한다. 부세부의 변형 동작은 심플하며, 돌편의 형상의 간소화에도 이바지하는 것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양태로서, 상기 맞닿음면이 가로 방향으로 한 쌍 형성된 회전 커넥터로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맞닿음면을 가로 방향 외측을 향하여 한 쌍 구비하고, 피걸림 지지부가 1개의 구멍에 있어서의 서로 대향하는 부분에 설치되는 구성이면 된다.
이 구성에서는, 한 쌍의 맞닿음면이 모두 피걸림 지지부에 걸림 지지되어, 돌편과 피걸림 지지부 사이의 위치 관계를 보다 강력하게 보유 지지할 수 있다.
이 구성의 경우에는, 상기 부세부가 한 쌍의 상기 맞닿음면을 연결하는 부위에 형성된 것이어도 된다.
이 구성에서 부세부는 한 쌍의 맞닿음면을 가로 방향으로 돌출하도록 부세하여, 돌편에 있어서의 걸림 지지 갈고리보다 기부측의 부분에만 부세부를 설치하는 경우에 비해 부세력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이 구성의 경우에는, 한 쌍의 상기 맞닿음면을 연결하는 부위가 상기 돌편의 선단을 형성하는 것이면 된다.
이 구성에서 한 쌍의 맞닿음면을 연결하는 부위는, 돌편의 선단을 예를 들어 끝이 가늘어 피걸림 지지부에 삽입하기 쉬운 형상으로 함으로써, 맞닿음면의 확실하고 양호한 걸림 지지 상태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양태로서, 상기 걸림 지지 갈고리에 있어서의 상기 맞닿음면의 삽입 방향 선단 위치의 근방에, 상기 맞닿음면으로부터 180도보다 작은 각도로 연속하여 상기 걸림 지지 갈고리 중 가로 방향으로 가장 돌출되는 돌기부가 형성된 회전 커넥터로 할 수 있다.
이 구성에서는, 돌기부는, 돌편의 피걸림 지지부와의 사이에서 삽입을 행하여 걸림 지지 갈고리가 피걸림 지지부를 통과하였을 때에 부세력에 의해 복원하려고 하여, 걸림 지지 갈고리가 피걸림 지지부를 넘은 것을 촉각과 소리로써 고정 작업을 행하는 사람에게 알린다. 일단 피걸림 지지부를 넘은 돌기부는 회전 커넥터의 일정 이상의 부상을 확실하게 저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덜걱거림이나 회전 커넥터의 예측하지 못한 부상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회전 커넥터의 하면측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2는 콤비네이션 스위치의 주요부를 도시하는 정면도.
도 3은 고정 구조의 분리 상태를 도시하는 일부 단면 측면도.
도 4는 고정 구조의 걸림 지지 상태의 단면도.
도 5는 다른 예에 관한 고정 구조의 분리 상태를 도시하는 일부 단면 측면도.
도 6은 콤비네이션 스위치의 주요부를 도시하는 정면도.
도 7은 도 5에 도시한 고정 구조의 걸림 지지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8은 다른 예에 관한 고정 구조에 있어서의 돌편의 측면도(도 8의 (a))와, 고정 상태의 단면도(도 8의 (b)).
도 9는 다른 예에 관한 고정 구조의 돌편의 사시도.
도 10은 도 9의 돌편의 일부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11은 도 9의 돌편에 있어서의 걸림 지지 갈고리의 측면도(도 11의 (a))와 평면도(도 11의 (b)).
도 12는 도 9의 돌편의 단면도.
도 13은 도 9의 고정 구조에 있어서의 돌편의 단면도(도 13의 (a))와, 고정 상태의 단면도(도 13의 (b)).
도 14는 다른 예에 관한 고정 구조에 있어서의 돌편의 측면도(도 14의 (a))와, 고정 상태의 단면도(도 14의 (b)).
도 15는 다른 예에 관한 고정 구조에 있어서의 돌편의 측면도(도 15의 (a))와, 고정 상태의 단면도(도 15의 (b)).
도 16은 다른 예에 관한 고정 구조에 있어서의 돌편의 측면도(도 16의 (a))와, 고정 상태의 단면도(도 16의 (b)).
도 17은 종래 기술에 관한 회전 커넥터의 하면측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18은 종래 기술에 관한 고정 구조의 걸림 지지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19는 종래 기술에 관한 회전 커넥터의 고정 부분의 개략 구조를 도시하는 측면도.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일 형태를, 이하 도면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1에 도시한 회전 커넥터(11)의 개략 구조를 설명한다.
이 회전 커넥터(11)는 자동차의 스티어링 휠과 콤비네이션 스위치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것이다. 도 1에는 회전 커넥터(11)의 하면, 즉 도 2에 도시한 콤비네이션 스위치(21)에 대하여 고정하는 측의 면을 도시하고 있다. 콤비네이션 스위치(21)에는 고정을 위해 복수의 받침부(22)가 형성되어 있다.
회전 커넥터(11)는 중앙에 원형의 구멍을 갖는 대략 고리 형상이며, 하면측에 위치하는 고정측 부재로서의 스테이터(12)와, 상면측에 위치하는 회전측 부재로서의 로테이터(13)를 구비한다. 스테이터(12)와 로테이터(13)는 합성 수지제이다.
스테이터(12)는, 대략 고리 형상을 이루는 고정측 링판 부재(12a)와, 이 고정측 링판 부재(12a)에 있어서의 외주측 부위의 상면에 걸림 결합하여 일체화되는 평면에서 보아 원형을 이루는 외주 통 부재(12b)를 포함하고 있다.
스테이터(12)의 외주측에는, 외측으로 돌출되는 좌우 2개의 커넥터 하우징(14)이 형성되어 있다. 커넥터 하우징(14)에는 커넥터(도시하지 않음)가 내장된다. 이들 커넥터 하우징(14)의 위치는, 자동차에의 조립 시에 하측으로 되는 양측 부분이다.
스테이터(12)의 고정측 링판 부재(12a)의 하면에는, 콤비네이션 스위치(21)에 고정하기 위한 돌편(15)을 갖는다. 돌편(15)은 고정측 링판 부재(12a)의 외주 부위에 있어서의 3개소에, 이들을 연결하면 삼각형을 이루도록 배설된다. 3개의 돌편(15)의 형성 위치는, 스테이터(12)에 있어서의 전술한 2개의 커넥터 하우징(14)의 근방 위치(12x, 12y)와, 이들 커넥터 하우징(14)으로부터 이격된 위치(12z)이다.
로테이터(13)는 도시하지 않은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이 수용되는 고리 형상을 이루는 수용 공간을 스테이터(12) 상에 형성할 수 있도록, 단면 대략 역L자 형상을 이루는 고리 형상으로 형성된다. 도 1 중, 참조 부호 13a는 로테이터(13)에 일체 형성된 커넥터 하우징이며, 여기에도 커넥터(도시하지 않음)가 내장된다.
다음으로, 회전 커넥터(11)의 고정 구조를 구성하는 돌편(15)과, 이 돌편(15)이 걸림 지지되는 피걸림 지지부(22a)를 가진 받침부(22)에 대하여 설명한다.
돌편(15)은 받침부(22)와의 사이의 거리에 기초하여 설정된 적절한 길이의 막대 형상이며, 선단부에는 걸림 지지 갈고리(31)가 형성되어 있다. 이 걸림 지지 갈고리(31)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로 방향, 즉 돌편(15)의 긴 변 방향에 대한 가로 방향으로 돌출됨과 함께 받침부(22)에 대하여 상대 이동하여 받침부(22)의 피걸림 지지부(22a)를 넘은 후에 피걸림 지지부(22a)에 걸림 지지되는 것이다.
걸림 지지 갈고리(31)에는, 걸림 지지 갈고리(31)를 변위시켜 걸림 지지 방향으로 부세하는 가요성을 가진 부세부(15a)를 일체로 구비한다. 또한 걸림 지지 갈고리(31)에는 받침부(22)의 걸림 지지측 코너부(23)에 대하여 대향측으로부터 비스듬히 맞닿는 맞닿음면(32)이 형성되어 있다. 이 맞닿음면(32)은 맞닿음 상태에 있어서 부세부(15a)를 휘게 하여 받침부(22)에 대하여 부세력을 발휘시키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바꾸어 말하면, 맞닿음면(32)은 받침부(22)의 피걸림 지지부(22a)에 있어서의 걸림 지지측 코너부(23)와 평상 상태에 있어서 간섭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도 1, 도 3에 도시한 예에서는, 걸림 지지 갈고리(31)는 돌편(15)의 본체인 막대 형상부(16)의 편측으로만 돌출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막대 형상부(16)는 횡단면 직사각형이며 기부로부터 걸림 지지 갈고리(31)까지 동일한 굵기이다. 걸림 지지 갈고리(31)는 막대 형상부(16)의 횡단면에 있어서의 긴 변을 구성하는 하나의 면에 형성되어 있다. 걸림 지지 갈고리(31)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측면에서 보아 대략 삼각 형상으로 돌출되는 것이며, 선단으로부터 후방을 향하여 돌출되도록 기울어져 있는 종동면(33)은 외부를 향하여 불룩해지는 볼록 곡면으로 형성되어 있다. 종동면(33)은 고정 시에 받침부(22)에 닿아 변형 작용을 받는 부분이다.
이 종동면(33)의 하단에는 막대 형상부(16)의 방향으로 향하는 수평면(34)이 형성되고, 이 수평면(34)과 막대 형상부(16) 사이에, 전술한 맞닿음면(32)이 형성되어 있다. 맞닿음면(32)은 평평한 경사면으로 형성되어 있다. 맞닿음면(32)은 경사면이 아니라 오목 형상의 라운드면이어도 된다. 맞닿음면(32)의 경사 각도는 적절히 설정되지만, 예를 들어 막대 형상부(16)의 긴 변 방향에 대하여 30도 내지 60도, 바람직하게는 45도 정도의 각도이면 된다. 도 1 중, 참조 부호 35는 경량화를 위한 오목부이다.
종동면(33)과 수평면(34)이 결합하는 코너 부분은, 걸림 지지 갈고리(31)에 있어서의 맞닿음면(32)의 삽입 방향 선단 위치의 근방에서 맞닿음면(32)으로부터 180도보다 작은 각도로 연속하여 걸림 지지 갈고리(31) 중 가로 방향으로 가장 돌출되는 돌기부(36)이다.
이와 같은 걸림 지지 갈고리(31)를 막대 형상부(16)의 일측에 구비한 형상의 돌편(15)의 경우에는, 막대 형상부(16)가 걸림 지지 갈고리(31)를 갖는 방향과 그 반대의 방향으로 탄성 변형하여 휘어 걸림 지지 갈고리(31)를 변위시키므로, 막대 형상부(16)의 전체, 즉 돌편(15)에 있어서의 걸림 지지 갈고리(31)보다 기부측의 전체가 전술한 부세부(15a)를 구성하게 된다.
돌편(15)의 뿌리 부분에 있어서의 휨 방향측의 부분에는, 구석 라운드면(17)이 형성되어 있다.
걸림 지지 갈고리(31)가 걸림 지지되는 받침부(22)는, 도 2,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적어도 걸림 지지 갈고리(31)가 걸림 지지되는 판 형상의 피걸림 지지부(22a)를 갖는 형상이면 되고, 사방이 둘러싸인 구멍 형상이 아니어도 된다.
도 2에 도시한 3개의 받침부(22)는 판 형상의 피걸림 지지부(22a)의 양측에, 걸림 지지된 걸림 지지 갈고리(31)를 규제하는 측벽(24)을 구비하고 있다. 3개의 받침부(22) 중 스테이터(12)의 커넥터 하우징(14)에 가까운 위치의 받침부(22)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피걸림 지지부(22a)에 있어서의 이면측, 즉 삽입 방향의 면에 걸림 지지 갈고리(31)의 선단측 부분을 규제하는 측벽(24)을 갖고 있다. 다른 1개의 받침부(22)는 피걸림 지지부(22a)의 양측에 외측으로 돌출되는 측벽(24)을 갖고 세 방면이 둘러싸인 형상이다. 어느 피걸림 지지부(22a)도 삽입측의 가장자리에 모따기면(22b)이 형성되어 있다.
돌편(15)의 형성 위치는, 전술한 바와 같이 걸림 지지 갈고리(31)의 맞닿음면(32)이 받침부(22)에 있어서의 피걸림 지지부(22a)의 걸림 지지측 코너부(23)에 맞닿았을 때에 받침부(22)에 대하여 부세력을 발휘시키도록, 받침부(22)와의 관계에 있어서 설정된다. 구체적으로는, 도 3에 가상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평상 상태에 있어서 맞닿음면(32)과 간섭하는 위치에 받침부(22)의 걸림 지지측 코너부(23)가 위치하도록 양쪽의 위치 관계를 설정한다. 간섭의 정도는, 부세부(15a)의 가요성(탄성)이나 걸림 지지 갈고리(31)의 크기, 형상 등에 따라서 적절히 설정된다.
전술한 바와 같은 돌편(15)의 구성은, 3개소의 돌편(15) 중, 적어도 커넥터 하우징(14)(도 1 참조)에 가까운 위치의 2개의 돌편(15)에 채용한다. 이것은, 커넥터 하우징(14)에 하니스(도시하지 않음)가 접속되기 때문이며, 커넥터 하우징(14)에 가까운 부분이 하니스의 배선 상태에 따라 부상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모든 개소의 돌편(15)에 전술한 구성의 돌편(15)을 사용해도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회전 커넥터(11)의 고정 구조에서는, 회전 커넥터(11)를 콤비네이션 스위치(21)에 대하여 이동시켜 돌편(15)을 받침부(22)에 대하여 삽입하도록 함으로써 고정을 행할 수 있다.
도 3에 실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은 상태로부터 돌편(15)을 받침부(22)를 향하여 이동시키면, 돌편(15)의 걸림 지지 갈고리(31)의 종동면(33)이 받침부(22)의 모따기면(22b)에 닿아 부세부(15a), 즉 막대 형상부(16)가 젖혀지도록 휜다. 이 휨에 의해, 걸림 지지 갈고리(31)는 피걸림 지지부(22a)로부터 이격되어 가로 방향으로 이동한다. 즉 변위한 걸림 지지 갈고리(31)가 받침부(22)의 피걸림 지지부(22a)를 통과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걸림 지지 갈고리(31)가 피걸림 지지부(22a)를 통과하면, 부세부(15a)가 탄성 복귀하려고 한다. 이때 걸림 지지 갈고리(31)의 돌기부(36)가 받침부(22)의 걸림 지지측 코너부(23)로부터 세차게 벗어나, 걸림 지지 갈고리(31)가 받침부(22)의 피걸림 지지부(22a)를 넘은 것을 진동과 소리에 의해 인식할 수 있다. 탄성 복귀하려고 하는 부세부(15a)는 걸림 지지 갈고리(31)를 걸림 지지 방향, 즉 피걸림 지지부(22a)를 향하여 변위시켜,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맞닿음면(32)을 피걸림 지지부(22a)의 걸림 지지측 코너부(23)에 맞닿게 한다. 이 맞닿음에 의해 돌편(15)과 받침부(22) 사이의 위치 관계를 보유 지지한다. 이때, 맞닿음면(32)이 맞닿음 상태에 있어서 부세부(15a)를 휘게 하여 피걸림 지지부(22a)의 걸림 지지측 코너부(23)에 대하여 부세력을 발휘시키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으므로, 부세부(15a)는 평상 상태로 되돌아가지 않고 부세부(15a)에 의한 부세력은 계속해서 작용한 상태이다.
이 때문에, 회전 커넥터(11)의 부상이, 덜걱거림과 함께 방지된다. 게다가, 맞닿음면(32)은 경사면이기 때문에 무단계로 피걸림 지지부(22a)에 걸림 지지되므로 공차 등에 관계없이 확실한 고정이 가능하고, 또한 부세부(15a)에 의한 부세력을 양호하게 작용시켜 고정 강도를 확보할 수 있다.
걸림 지지 갈고리(31)의 돌기부(36)는, 전술한 바와 같이 걸림 지지 갈고리(31)가 피걸림 지지부(22a)를 통과한 것을 촉각과 소리로 고정 작업을 행하는 사람에게 알림과 함께, 피걸림 지지부(22a)를 일단 넘은 돌기부(36)는 회전 커넥터(11)의 일정 이상의 부상을 확실하게 저지한다.
돌편(15)은 걸림 지지 갈고리(31)보다도 기부측의 부위를 부세부(15a)로 한 구성이며 전술한 바와 같이 휘면서 경도되는 것이므로, 부세부의 변형 동작은 심플하며, 돌편(15) 전체의 형상을 간소하게 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제조 비용을 억제하고 제작 정밀도를 높이는 것이 가능하다.
회전 커넥터(11)를 빼낼 때에는, 걸림 지지 갈고리(31)에 형성된 오목부(35)에 드라이버 등이 적당한 지그를 걸거나 하여 걸림 지지 갈고리(31)를 걸림 지지가 해제되는 방향으로 변위시킨다.
이상과 같이, 회전 커넥터(11)의 고정 작업은, 회전 커넥터(11)의 돌편(15)을 받침부(22)에 대하여 삽입하도록 이동시키는 것만으로 되어, 매우 간단하다. 그리고 걸림 지지 상태는, 걸림 지지 갈고리(31)의 맞닿음면(32)이 부세부(15a)에 의한 부세력으로 압박된 상태에서 유지되므로, 회전 커넥터(11)의 덜걱거림은 물론, 예측하지 못한 부상을 방지할 수 있다. 게다가, 그를 위한 구조는, 돌편(15)이나 걸림 지지 갈고리(31)의 구성과, 돌편(15)과 받침부(22)의 위치 관계의 설정, 바꾸어 말하면 맞닿음면(32)과 받침부(22)의 간섭량의 설정에 의해 얻어지므로, 종래의 변위 흡수 부재를 사용하는 구조와는 달리, 회전 커넥터(11)나 이것을 고정하는 부분의 대형화, 제조 비용의 상승을 억제할 수 있다. 변위 흡수 부재로서 쿠션재를 구비한 경우와 같은 재료의 열화의 우려도 없어, 원하는 효과를 장기간에 걸쳐 유지할 수 있다는 효과도 있다.
이하, 회전 커넥터(11)의 고정 구조의 다른 예를 설명한다. 이 설명에 있어서, 전술한 구성과 동일 또는 유사한 부위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5는 회전 커넥터(11)의 고정 구조를 구성하는 돌편(15)과 받침부(22)의 분리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이 고정 구조에 있어서의 돌편(15)은 걸림 지지 갈고리(31)의 맞닿음면(32)이 가로 방향으로 한 쌍 형성된 것이며, 받침부(22)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멍 형상, 즉 사방이 둘러싸인 형상이다.
돌편(15)은 부세부(15a)로서의 막대 형상부(16)의 선단에, 가로 방향의 좌우 양측으로 돌출되는 대략 마름모꼴 프레임 형상의 걸림 지지 갈고리(31)를 구비하고 있다. 걸림 지지 갈고리(31)의 기부측 부분에는, 2개의 갈고리 후단 측부(37)를 동일 경사로 분기하도록 구비하고 있다. 갈고리 후단 측부(37)의 경사 각도는, 돌편(15)의 긴 변 방향에 대하여 예를 들어 30도 정도 등으로 적절히 설정된다. 이들 갈고리 후단 측부(37)의 외측면이 맞닿음면(32)이다. 즉, 걸림 지지 갈고리(31)의 맞닿음면(32)은 가로 방향 외측을 향하여 한 쌍 형성되어 있다. 도시예의 맞닿음면(32)은 평평한 경사면을 포함하지만, 오목 형상의 라운드면을 포함하는 맞닿음면(32)이어도 된다.
끝이 벌어진 2개의 갈고리 후단 측부(37)의 끝에는 갈고리 선단 측부(38)를 연장 설치하고, 이들 갈고리 선단 측부(38)의 선단끼리는 수속한 후 서로 접하고 있다. 갈고리 선단 측부(38)는 돌편(15)의 선단을 형성하는 것이며 측면에서 보아 대략 삼각 형상이며 끝이 가는 형상이다. 이들 2개의 갈고리 선단 측부(38)와 이것에 접하는 부위는 막대 형상부(16)와 함께 부세부(15a)이다. 즉, 막대 형상부(16) 외에, 한 쌍의 맞닿음면(32)을 연결하는 부위인 갈고리 선단 측부(38)와 이것에 접하는 부분도 부세부(15a)이다. 돌편은 이와 같은 구성이므로, 부세부(15a)는 돌편(15)의 긴 변 방향으로 복수 구비되게 된다.
걸림 지지 갈고리(31)에 있어서의 막대 형상부(16)의 축심상, 즉 갈고리 후단 측부(37)와 갈고리 선단 측부(38)의 좌우 방향의 중간 위치에는, 각각 돌편(15)의 긴 변 방향으로 연장되는 규제축(39)이 형성되어 있다. 각각의 규제축(39)은 평상 상태에 있어서 접촉하지 않도록, 바꾸어 말하면 양자간에 간극이 생기는 길이로 형성되어 있다. 이들 규제축(39)은 걸림 지지 갈고리(31)를 받침부(22)에 삽입할 때에 걸림 지지 갈고리(31)가 필요 이상으로 편평하게 변형되어 삽입되지 않게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며, 이것을 실현할 수 있도록 규제축(39)의 길이가 설정되어 있다.
이와 같은 돌편(15)의 걸림 지지 갈고리(31)를 받치는 받침부(22)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멍 형상이다. 즉 받침부(22)는 정면에서 보아 직사각형의 관통 구멍(22c)을 갖고, 이 관통 구멍(22c)의 2개의 긴 변을 가로 또는 대략 가로로 향하게 하고 있다. 이들 긴 변이, 1개의 구멍에 있어서의 서로 대향하는 부분에 설치한 피걸림 지지부(22a)이며, 여기에 걸림 지지 갈고리(31)의 맞닿음면(32)이 맞닿는다. 맞닿음면(32)은 평상 상태에 있어서 받침부(22)의 걸림 지지측 코너부(23)와 적절히 간섭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의 회전 커넥터(11)의 고정 구조에서는, 돌편(15)의 걸림 지지 갈고리(31)를 받침부(22)에 대하여 삽입하면, 걸림 지지 갈고리(31)는 받침부(22)의 구멍 가장자리의 피걸림 지지부(22a)에 닿아 갈고리 선단 측부(38)의 종동면(33)에 의해 가는 형상으로 탄성 변형하면서 받침부(22)에 진입한다. 걸림 지지 갈고리(31)의 선단, 즉 갈고리 선단 측부(38)는 삼각 형상이므로, 삽입하는 위치가 설령 어긋나도 원활한 삽입을 실현할 수 있다. 삽입 시에 갈고리 선단 측부(38)가 편평하게 퍼지려고 해도, 규제축(39)의 단부면끼리가 서로 맞닿음으로써, 그와 같은 변형을 저지하기 때문에, 걸림 지지 갈고리(31)는 당초의 세로로 긴 마름모꼴로 유지된다. 이 때문에 받침부(22)에 대한 확실한 삽입이 가능하다.
삽입에 따라서 갈고리 선단 측부(38)와 갈고리 후단 측부(37)는 협폭으로 변형되어, 갈고리 선단 측부(38)와 갈고리 후단 측부(37)의 경계 부분, 즉 걸림 지지 갈고리(31) 중에서 가장 옆으로 돌출되어 있는 부분이 받침부(22)의 피걸림 지지부(22a)를 통과하면,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갈고리 후단 측부(37)의 외측면, 즉 맞닿음면(32)이 받침부(22)의 걸림 지지측 코너부(23)에 맞닿는다. 그리고 갈고리 선단 측부(38)와 갈고리 후단 측부(37)가 탄성 복귀하려고 함으로써, 맞닿음면(32)은 받침부(22)에 있어서의 피걸림 지지부(22a)의 걸림 지지측 코너부(23)에 강하게 닿아, 돌편(15)과 받침부(22) 사이의 위치 관계가 덜걱거림없이 보유 지지된다.
맞닿음면(32)은 맞닿음 상태에 있어서 부세부(15a), 이 경우에는 주로 갈고리 선단 측부(38)와 이것에 접하는 부분을 휘게 하여 피걸림 지지부(22a)에 대하여 부세력을 발휘시키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으므로, 맞닿음 상태에서는 항상 부세력이 작용하고 있다. 게다가 이와 같이 부세력이 작용한 상태에서의 걸림 지지를 가로 방향의 양측의 2개소에서 동시에 행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부세력을 높일 수 있음과 함께 고정 시의 안정성이 양호하여, 보다 강한 고정 상태가 얻어진다. 따라서, 덜걱거림은 물론, 하니스에 의해 회전 커넥터(11)를 부상시키는 힘이 작용해도, 이것을 강력하게 저지할 수 있다.
게다가, 맞닿음면(32)은 경사면이므로 무단계로 피걸림 지지부(22a)에 걸림 지지된다. 이 때문에 제작 오차나 공차에 관계없이 확실한 고정이 가능하고, 또한 부세부(15a)에 의한 부세력을 양호하게 작용시켜 고정 강도를 확보할 수 있다.
또한 걸림 지지 갈고리(31)의 선단, 즉 갈고리 선단 측부(38)는 삼각 형상으로 걸리는 일이 없는 삽입하기 쉬운 형태이다. 이 때문에, 작업성은 양호하며, 확실하고 양호한 걸림 지지 상태를 용이하게 얻을 수 있다.
회전 커넥터(11)를 빼낼 때에는, 걸림 지지 갈고리(31)에 형성된 공간, 예를 들어 규제축(39) 사이의 간극 등에 드라이버 등의 적당한 지그를 걸거나, 걸림 지지 갈고리(31)를 집거나 하여 걸림 지지 갈고리(31)를 걸림 지지가 해제되는 방향으로 휘게 한다.
도 8의 (a)는 회전 커넥터(11)의 고정 구조를 구성하는 돌편(15)과 받침부(22)의 관계를 도시하고 있다. 이 고정 구조에 있어서의 돌편(15)은 걸림 지지 갈고리(31)의 맞닿음면(32)이 가로 방향으로 한 쌍 형성된 것이며, 받침부(22)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구멍 형상이다.
돌편(15)은 부세부(15a)로서의 막대 형상부(16)의 선단에, 가로 방향의 좌우 양측으로 돌출되는 걸림 지지 갈고리(31)를 구비하고 있다. 걸림 지지 갈고리(31)는 막대 형상부(16)의 선단으로부터 가로 방향으로 돌출되면서 막대 형상부(16)의 기부 방향을 향하여 비스듬히 연장되는 갈고리 선단 측부(38)와, 이 갈고리 선단 측부(38)의 후단으로부터 막대 형상부(16)를 향하여 비스듬히 연장되는 갈고리 후단 측부(37)를 갖는다. 갈고리 후단 측부(37)의 후단은 자유단으로 되어 있고, 갈고리 후단 측부(37)의 끝과 막대 형상부(16) 사이에는 탄성 변형을 위한 간극이 있다.
갈고리 선단 측부(38)과 이것에 인접하는 갈고리 후단 측부(37)의 기부는, 걸림 지지 갈고리(31)를 변위시켜 걸림 지지 방향으로 부세하는 가요성을 가진 부세부(15a)를 구성한다. 또한 갈고리 후단 측부(37)의 외측면이 맞닿음면(32)이고, 맞닿음면(32)이 가로 방향 외측을 향하여 한 쌍 형성되게 된다. 이들 맞닿음면(32)은 평상 상태에 있어서 받침부(22)의 걸림 지지측 코너부(23)와 간섭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의 회전 커넥터(11)의 고정 구조에서는, 돌편(15)의 걸림 지지 갈고리(31)를 받침부(22)에 대하여 삽입하면, 걸림 지지 갈고리(31)는 받침부(22)의 구멍 가장자리의 피걸림 지지부(22a)에 닿아 좌우의 갈고리 선단 측부(38)를 갈고리 후단 측부(37)와 함께 닫는 방향으로 탄성 변형시키면서 받침부(22)에 진입한다. 갈고리 선단 측부(38)가 받침부(22)의 피걸림 지지부(22a)를 통과하면, 도 8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갈고리 선단 측부(38)가 벌어지는 방향으로 탄성 복귀하려고 하여, 갈고리 후단 측부(37)의 맞닿음면(32)이 받침부(22)의 걸림 지지측 코너부(23)에 맞닿는다. 이 맞닿음 상태를 부세부(15a)인 갈고리 선단 측부(38)와 이것에 인접하는 갈고리 후단 측부(37)의 기부가 부세력으로써 유지한다.
이에 의해, 돌편(15)과 받침부(22) 사이의 위치 관계가 덜걱거림없이 보유 지지되어, 회전 커넥터(11)의 부상이 방지된다. 이 외에, 도 7에 도시한 고정 구조와 마찬가지의 효과를 갖는다.
회전 커넥터(11)를 빼낼 때에는, 걸림 지지 갈고리(31)에 형성된 공간, 즉 막대 형상부(16)와 갈고리 선단 측부(38) 사이의 간극에 드라이버 등의 적당한 지그를 걸거나, 걸림 지지 갈고리(31)를 집거나 하여 걸림 지지 갈고리(31)를 걸림 지지가 해제되는 방향으로 변형시킨다.
도 9는 회전 커넥터(11)의 고정 구조를 구성하는 돌편(15)의 사시도이다. 이 돌편(15)은 전술한 2개의 예, 즉 도 5, 도 7에 도시한 예와, 도 8의 (a), 도 8의 (b)에 도시한 예와 마찬가지의 걸림 지지 구조를, 2개의 부재로 구성한 예이다.
돌편(15)은 스테이터(12)에 일체 형성된 돌편 부재(41)와, 이 돌편 부재(41)의 선단부에 설치하는 걸림 지지 갈고리 부재(42)를 포함한다. 걸림 지지 갈고리 부재(42)가 걸림 지지 갈고리(31)를 구성하는 부분이다.
돌편 부재(41)는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세폭 판 형상으로 연장되는 본체 판부(43)와, 이 본체 판부(43)의 양쪽 측연에서 본체 판부(43)의 표리 양면측으로 우뚝 솟아 있는 규제벽(44)을 갖는다. 본체 판부(43)는 선단측 부분에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보유 지지 구멍(45)을 갖고, 선단부는 두께가 얇게 형성되어 있다. 규제벽(44)은 보유 지지하는 걸림 지지 갈고리 부재(42)의 자세를 규제하기 위한 것이다. 규제벽(44) 중, 받침부(22)(도 7 참조)에 대하여 삽입되는 선단측의 부분(44a)은 받침부(22)에 삽입되도록 높이가 낮게 형성되고, 받침부(22)에 삽입되지 않는 후단측의 부분(44b)은 높이가 높게 형성되어 있다.
걸림 지지 갈고리 부재(42)는, 도 11의 (a)의 측면도, 도 11의 (b)의 평면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돌편 부재(41)의 본체 판부(43)의 표리 양면을 덮는 형상의 것이다. 걸림 지지 갈고리 부재(42)는, 본체 판부(43)의 보유 유지 구멍(45)에 보유 지지되는 대략 직육면체 블록 형상을 이루는 2개의 끼워 맞춤부(46)를, 간극을 두고 서로 대향하여 배설하고, 이들 끼워 맞춤부(46)의 보유 지지 구멍(45)으로부터 나오는 부분 중 폭 방향의 중간부에, 선단측으로 연장됨과 함께 끼워 맞춤부(46)끼리를 일체로 연결하고,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 판부(43)의 보유 지지 구멍(45)보다도 선단측의 부분에 설치되는 보유 지지 프레임(47)을 연속 설치하고 있다. 보유 지지 프레임(47)의 후단에는, 후방 경사 외측을 향하여 연장된 후 후방으로 연장되는, 걸림 지지 갈고리(31)를 걸림 지지 방향으로 부세하기 위한 부세부(15a)로서의 탄성 지지부(48)가 형성되어 있다.
탄성 지지부(48)의 선단의 좌우 양측에는, 갈고리 후단 측부(37)가 간극을 두고 연속 설치되고, 갈고리 후단 측부(37)의 선단에는 갈고리 선단 측부(38)가 보유 지지 프레임(47)과의 사이에 간극을 가지면서 형성되어 있다. 본체 판부(43)를 사이에 두고 쌍으로 되는 갈고리 선단 측부(38)끼리는 선단에 있어서 연결되어 있다. 갈고리 후단 측부(37)는 선단측 부분에 외면이 오목 형상인 라운드면을 포함하는 맞닿음면(32)을 갖고, 이 맞닿음면(32)을 갖는 부분보다 후단부측에는, 후방을 향하여 본체 판부(43)와의 사이에 간극을 갖는 상태에서 본체 판부(43)를 따라서 연장되는 후단 측부(49)가 연장 설치되어 있다. 후단 측부(49)의 후단부는 보유 지지 프레임(47)과 함께 폭 방향에서 일체로 연속 설치되어 있고, 중간부에는 위로 볼록한 조작용 볼록부(50)가 형성되어 있다.
한 쌍의 갈고리 선단 측부(38)는 선단측일수록 끝이 가늘어지도록 기우는 직선 형상의 외면, 즉 종동면(33)을 갖는다. 갈고리 선단 측부(38)는 탄성 지지부(48)와 함께 걸림 지지 갈고리(31), 구체적으로는 그 맞닿음면(32)을 걸림 지지 방향으로 부세하기 위한 부세부(15a)이다. 갈고리 선단 측부(38)와 갈고리 후단 측부(37)의 맞닿음면(32) 사이는 곡면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걸림 지지 갈고리 부재(42)는, 끼워 맞춤부(46)를 이격시켜 보유 지지 프레임(47)을 벌린 후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 판부(43)에 장착된다. 도 13의 (a)에 가상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걸림 지지 갈고리 부재(42)의 맞닿음면(32)은 받침부(22)의 걸림 지지측 코너부(23)와 간섭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의 돌편(15)을 갖는 회전 커넥터(11)의 고정 구조에서는, 돌편(15)의 선단 측부를 걸림 지지 갈고리 부재(42)와 함께 받침부(22)에 대하여 삽입하면, 걸림 지지 갈고리 부재(42)는 받침부(22)의 구멍 가장자리의 피걸림 지지부(22a)에 닿아 좌우의 갈고리 선단 측부(38)를 갈고리 후단 측부(37)와 함께 닫는 방향으로 탄성 변형시키면서 받침부(22) 내에 진입한다. 탄성 변형은 주로 갈고리 선단 측부(38)와 탄성 지지부(48)에서 이루어진다. 갈고리 선단 측부(38)가 받침부(22)를 통과하면, 도 13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갈고리 선단 측부(38)가 벌어지는 방향으로 탄성 복귀하려고 하여, 갈고리 후단 측부(37)의 맞닿음면(32)이 받침부(22)의 걸림 지지측 코너부(23)에 맞닿는다. 이 맞닿음 상태를 주로 갈고리 선단 측부(38)와 탄성 지지부(48)가 부세력으로써 유지한다.
이에 의해, 돌편(15)과 받침부(22) 사이의 위치 관계가 덜걱거림없이 유지되어, 회전 커넥터의 부상이 방지된다. 이 외에, 도 7, 도 8의 (b)에 도시한 고정 구조와 마찬가지의 효과를 갖는다.
회전 커넥터(11)를 빼낼 때에는, 걸림 지지 갈고리 부재(42)를 집거나 하여 걸림 지지가 해제되는 방향으로 휘게 한다.
도 14의 (a)는 회전 커넥터(11)의 고정 구조를 구성하는 돌편(15)과 받침부(22)의 관계를 도시하고 있다. 이 고정 구조는, 선단부에 걸림 지지 갈고리(31)를 갖는 돌편(15)을 2개, 간극을 두고 병설하여, 걸림 지지 갈고리(31)의 맞닿음면(32)을 가로 방향으로 한 쌍 설치하고 있고, 받침부(22)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은 구멍 형상이다.
돌편(15)은 부세부(15a)로서의 막대 형상부(16)의 선단에, 가로 방향의 일방측으로 돌출되는 걸림 지지 갈고리(31)를 구비하고 있다. 걸림 지지 갈고리(31)는 선단으로부터, 후방 경사 외측으로 경사지는 평면 형상의 종동면(33)과,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평면 형상의 최외면(51)과, 막대 형상부(16)를 향하여 후방 경사 내측으로 경사지는 평면 형상의 맞닿음면(32)을 갖는다. 도 14의 (a)에 가상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맞닿음면(32)은 평상 상태에 있어서 받침부(22)의 걸림 지지측 코너부(23)와 간섭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2개의 돌편(15)은 걸림 지지 갈고리(31)가 가로 방향의 외측을 향하도록 등을 맞댄 상태로 배설된다.
이와 같은 구성의 회전 커넥터(11)의 고정 구조에서는, 2개의 돌편(15)의 걸림 지지 갈고리(31)를 받침부(22)에 대하여 삽입하면, 걸림 지지 갈고리(31)의 종동면(33)은 받침부(22)의 구멍 가장자리의 피걸림 지지부(22a)에 닿아 돌편(15)끼리가 근접하는 방향으로 탄성 변형시키면서 받침부(22) 내에 진입한다. 걸림 지지 갈고리(31)의 최외면(51)이 받침부(22)를 통과하면, 도 14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2개의 돌편(15)이 벌어지는 방향으로 탄성 복귀하려고 하여, 걸림 지지 갈고리(31)의 맞닿음면(32)이 받침부(22)의 걸림 지지측 코너부(23)에 맞닿는다. 이 맞닿음 상태를 부세부(15a)로서의 막대 형상부(16)가 부세력으로써 유지한다.
이에 의해, 돌편(15)과 맞닿음면(32) 사이의 위치 관계가 덜걱거림없이 유지되어, 회전 커넥터(11)의 부상이 방지된다. 이 외에, 도 7, 도 8의 (b), 도 13의 (b)에 도시한 고정 구조와 마찬가지의 효과를 갖는다.
회전 커넥터(11)를 빼낼 때에는, 2개의 돌편(15)의 걸림 지지 갈고리(31)를 집거나 하여 걸림 지지가 해제되는 방향으로 휘게 한다.
도 15의 (a)는 회전 커넥터(11)의 고정 구조를 구성하는 돌편(15)과 받침부(22)의 관계를 도시하고 있다. 이 고정 구조는, 도 14의 (a)의 돌편(15)과 마찬가지로, 선단부에 걸림 지지 갈고리(31)를 갖는 돌편(15)을 2개, 간극을 두고 병설하여, 걸림 지지 갈고리(31)의 맞닿음면(32)을 가로 방향으로 한 쌍 설치하고, 받침부(22)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은 구멍 형상이다.
돌편(15)은 부세부(15a)로서의 막대 형상부(16)의 선단에, 가로 방향의 일방측으로 돌출되는 걸림 지지 갈고리(31)를 구비하고 있다. 걸림 지지 갈고리(31)는 선단측을 대략 삼각 형상으로 하여, 선단으로부터, 후방 경사 외측으로 경사지는 평면 형상의 종동면(33)과, 걸림 지지 갈고리(31) 중 가로 방향으로 가장 돌출되는 삼각 형상의 돌기부(36)와, 막대 형상부(16)를 향하여 후방 경사 내측으로 경사지는 평면 형상의 맞닿음면(32)을 갖는다.
맞닿음면(32)은 가로 방향의 외측을 향하여 한 쌍 설치하기 때문에, 2개의 돌편(15)은 걸림 지지 갈고리(31)가 외측을 향하도록 등을 맞댄 상태로 배설된다. 이들 맞닿음면(32)은, 도 15의 (a)에 가상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평상 상태에 있어서 받침부(22)의 걸림 지지측 코너부(23)와 간섭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2개의 돌편(15)의 사이에는 이들 돌편(15)의 편중된 변형을 규제하기 위한 막대 형상의 돌기(53)를 간극을 두고 구비하고 있다. 이 돌기(53)의 길이는, 돌편(15)의 탄성 변형 시에 걸림 지지 갈고리(31)의 형상과의 관계에 있어서 돌편(15)을 받아낼 수 있는 길이이다.
이와 같은 구성의 회전 커넥터(11)의 고정 구조에서는, 2개의 돌편(15)의 걸림 지지 갈고리(31)를 받침부(22)에 대하여 삽입하면, 걸림 지지 갈고리(31)의 종동면(33)은 받침부(22)의 구멍 가장자리의 피걸림 지지부(22a)에 닿아 돌편(15)끼리가 근접하는 방향으로 탄성 변형시키면서 받침부(22) 내에 진입한다. 걸림 지지 갈고리(31)의 돌기부(36)가 받침부(22)를 통과하면, 돌기부(36)는 진동과 소리에 의해 그것을 작업자에게 알린다. 그리고 도 15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2개의 돌편(15)이 벌어지는 방향으로 탄성 복귀하려고 하여 걸림 지지 갈고리(31)의 맞닿음면(32)이 받침부(22)의 걸림 지지측 코너부(23)에 맞닿는다. 이 맞닿음 상태를 부세부(15a)로서의 막대 형상부(16)가 부세력으로써 유지한다.
이에 의해, 돌편(15)과 받침부(22) 사이의 위치 관계가 덜걱거림없이 유지되어, 회전 커넥터(11)의 부상이 방지된다. 이 외에, 도 7, 도 8의 (b), 도 13의 (b), 도 14의 (b)에 도시한 고정 구조와 마찬가지의 효과를 갖는다.
회전 커넥터(11)를 빼낼 때에는, 2개의 돌편(15)의 걸림 지지 갈고리(31)를 집거나 하여 걸림 지지가 해제되는 방향으로 휘게 한다.
도 16의 (a)는 회전 커넥터(11)의 고정 구조를 구성하는 돌편(15)과 받침부(22)의 관계를 도시하고 있다. 이 고정 구조는, 1개의 돌편(15)의 선단측을, 간극을 두고 2개로 분할하여 가지부(55)를 설치하고, 이들 가지부(55)의 선단부에 걸림 지지 갈고리(31)를 형성하여, 한 쌍의 걸림 지지 갈고리(31)를 구비한 것이다. 받침부(22)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구멍 형상이다.
돌편(15)은 막대 형상의 기부(57)를 구비하고, 이 기부(57)의 끝에 2개의 가지부(55)를 선단측으로 곧게 연장 설치하고 있다. 도시예에서는 기부(57)를 굵게 하고 있으므로, 가지부(55)가 부세부(15a)로서의 기능을 행한다. 가지부(55)의 부세력은, 재질 등 외에 가지부(55)의 길이에 따라 조정할 수 있다.
가지부(55)의 대향면끼리의 하단은 오목 형상의 곡면(55a)으로 연속 설치되어 있다. 이들 가지부(55)의 선단부에, 가로 방향의 일방측으로 돌출되는 걸림 지지 갈고리(31)를 구비하고 있다. 걸림 지지 갈고리(31)는 대략 삼각 형상이며, 선단으로부터 순서대로, 선단측으로 돌출되는 조작용의 돌출편(59)과, 후방 경사 외측으로 경사지는 평면 형상의 종동면(33)과, 가지부(55)를 향하여 후방 경사 내측으로 경사지는 평면 형상의 맞닿음면(32)을 갖는다. 이들 맞닿음면(32)을 연결하는 부위인 가지부(55)와 곡면(55a)이 부세부(15a)를 구성한다.
맞닿음면(32)은 가로 방향의 외측을 향하여 한 쌍 설치되기 때문에, 2개의 가지부(55)는 걸림 지지 갈고리(31)가 외측을 향하도록 등을 맞댄 상태로 배설된다. 이들 맞닿음면(32)은, 도 16의 (a)에 가상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평상 상태에 있어서 받침부(22)의 걸림 지지측 코너부(23)와 간섭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의 회전 커넥터(11)의 고정 구조에서는, 돌편(15)의 걸림 지지 갈고리(31)를 받침부(22)에 대하여 삽입하면, 걸림 지지 갈고리(31)의 종동면(33)은 받침부(22)의 구멍 가장자리의 피걸림 지지부(22a)에 닿아 가지부(55)끼리가 근접하는 방향으로 탄성 변형하면서 받침부(22) 내에 진입한다. 걸림 지지 갈고리(31)의 종동면(33)이 받침부(22)를 통과하면, 도 16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2개의 가지부(55)가 벌어지는 방향으로 탄성 복귀하려고 하여, 한 쌍의 걸림 지지 갈고리(31)의 맞닿음면(32)이 받침부(22)의 걸림 지지측 코너부(23)에 맞닿는다. 이 맞닿음 상태를 부세부(15a)로서의 가지부(55)가 부세력으로써 유지한다.
이에 의해 돌편(15)과 받침부(22) 사이의 위치 관계가 덜걱거림없이 유지되어, 회전 커넥터(11)의 부상이 방지된다. 이 외에, 도 7, 도 8의 (b), 도 13의 (b), 도 14의 (b), 도 15의 (b)에 도시한 고정 구조와 마찬가지의 효과를 갖는다.
회전 커넥터(11)를 빼낼 때에는, 2개의 걸림 지지 갈고리(31)의 선단에 형성된 돌출편(59)을 집거나, 걸림 지지 갈고리(31)의 오목부(35)에 적당한 지그를 걸거나 하여 가지부(55)를 걸림 지지가 해제되는 방향으로 휘게 한다.
이상의 구성은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일 형태의 구성이며, 본 발명은 전술한 구성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밖의 구성을 채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맞닿음면을 가로 방향으로 한 쌍 형성하는 경우, 맞닿음면을 외측이 아니라 내측을 향하여 한 쌍의 맞닿음면이 서로 대향하도록 해도 된다.
11 : 회전 커넥터
15 : 돌편
15a : 부세부
21 : 콤비네이션 스위치
22 : 받침부
22a : 피걸림 지지부
23 : 걸림 지지측 코너부
31 : 걸림 지지 갈고리
32 : 맞닿음면
36 : 돌기부

Claims (8)

  1. 콤비네이션 스위치에 대하여 고정하는 돌편을 갖고, 해당 돌편의 선단부에는, 가로 방향으로 돌출되는 걸림 지지 갈고리가 형성된 회전 커넥터로서,
    상기 돌편에 있어서의 상기 걸림 지지 갈고리에 일체 형성되며, 상기 걸림 지지 갈고리를 변위시켜 걸림 지지 방향으로 부세하는 가요성을 가진 부세부와,
    상기 걸림 지지 갈고리에 형성되며, 피걸림 지지부에 대하여 비스듬히 맞닿는 맞닿음면을 구비한 회전 커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맞닿음면이 경사면 또는 오목 형상의 라운드면인 회전 커넥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부세부가 상기 돌편에 있어서의 상기 걸림 지지 갈고리보다 기부측의 부분에 형성된 회전 커넥터.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맞닿음면이 가로 방향으로 한 쌍 형성된 회전 커넥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부세부가 한 쌍의 상기 맞닿음면을 연결하는 부위에 형성된 회전 커넥터.
  6. 제5항에 있어서,
    한 쌍의 상기 맞닿음면을 연결하는 부위가 상기 돌편의 선단을 형성하는 것인 회전 커넥터.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 지지 갈고리에 있어서의 상기 맞닿음면의 삽입 방향 선단 위치의 근방에, 상기 맞닿음면으로부터 180도보다 작은 각도로 연속하여 상기 걸림 지지 갈고리 중 가로 방향으로 가장 돌출되는 돌기부가 형성된 회전 커넥터.
  8. 회전 커넥터를 콤비네이션 스위치에 대하여 고정하는 돌편 및 해당 돌편이 걸림 지지되는 피걸림 지지부를 갖고, 상기 돌편의 선단부에는, 가로 방향으로 돌출되는 걸림 지지 갈고리가 형성된 회전 커넥터의 고정 구조로서,
    상기 돌편에 있어서의 상기 걸림 지지 갈고리에 일체 형성되며, 상기 걸림 지지 갈고리를 변위시켜 걸림 지지 방향으로 부세하는 가요성을 가진 부세부와,
    상기 걸림 지지 갈고리에 형성되며, 상기 피걸림 지지부에 대하여 비스듬히 맞닿는 맞닿음면을 구비한 회전 커넥터의 고정 구조.
KR1020187033775A 2016-05-26 2017-04-28 회전 커넥터 및 회전 커넥터의 고정 구조 KR10215910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6-104762 2016-05-26
JP2016104762A JP6706864B2 (ja) 2016-05-26 2016-05-26 回転コネクタおよび回転コネクタの固定構造
PCT/JP2017/017003 WO2017203935A1 (ja) 2016-05-26 2017-04-28 回転コネクタおよび回転コネクタの固定構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4724A true KR20190004724A (ko) 2019-01-14
KR102159101B1 KR102159101B1 (ko) 2020-09-23

Family

ID=604127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33775A KR102159101B1 (ko) 2016-05-26 2017-04-28 회전 커넥터 및 회전 커넥터의 고정 구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587085B2 (ko)
EP (1) EP3467965A4 (ko)
JP (1) JP6706864B2 (ko)
KR (1) KR102159101B1 (ko)
CN (1) CN109196734B (ko)
WO (1) WO201720393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0425B1 (ko) * 2016-02-22 2020-02-21 후루카와 덴키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스티어링 칼럼 구조
JP6823726B2 (ja) * 2017-08-22 2021-02-03 アルプスアルパイン株式会社 回転コネクタ及びその組み立て方法
CN110620299B (zh) * 2019-08-28 2021-02-26 番禺得意精密电子工业有限公司 组合装置
JP7010871B2 (ja) * 2019-03-22 2022-01-26 ファナック株式会社 外れ防止機能を備えた部品組付構造及び自動組立システム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273540A (en) 1964-05-04 1966-09-20 Jr Gabriel Fuentes Poultry spur protector
JP2001001909A (ja) * 1999-06-22 2001-01-09 Tokai Rika Co Ltd ロールコネクタの取付構造
EP1182090A2 (en) * 2000-08-25 2002-02-27 Alps Electric Co., Ltd. Rotary connector with locking mechanism for preventing rotation of housing prior to installation onto steering device
JP2002151191A (ja) * 2000-11-09 2002-05-24 Iriso Denshi Kogyo Kk 電気コネクタ
EP1520998A1 (en) * 2003-09-30 2005-04-06 Piolax Inc. Clip
JP2007315467A (ja) * 2006-05-24 2007-12-06 Piolax Inc 部品の取付装置
JP2015207404A (ja) * 2014-04-18 2015-11-19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及び電子機器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61153A (en) * 1981-08-27 1985-12-31 Kitagawa Industries Co., Ltd. Cable clamp
EP1108899B1 (en) 1995-09-19 2004-09-22 Daiwa Kasei Kogyo Kabushiki Kaisha Flexible retaining leg for clamping means
JP3273540B2 (ja) 1996-02-07 2002-04-08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回転コネクタの取付構造
JP3682698B2 (ja) 1999-06-04 2005-08-10 株式会社パイオラックス 棒状体ホルダー
JP4299471B2 (ja) 2001-03-19 2009-07-22 株式会社パイオラックス 樹脂クリップ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273540A (en) 1964-05-04 1966-09-20 Jr Gabriel Fuentes Poultry spur protector
JP2001001909A (ja) * 1999-06-22 2001-01-09 Tokai Rika Co Ltd ロールコネクタの取付構造
EP1182090A2 (en) * 2000-08-25 2002-02-27 Alps Electric Co., Ltd. Rotary connector with locking mechanism for preventing rotation of housing prior to installation onto steering device
JP2002151191A (ja) * 2000-11-09 2002-05-24 Iriso Denshi Kogyo Kk 電気コネクタ
EP1520998A1 (en) * 2003-09-30 2005-04-06 Piolax Inc. Clip
JP2007315467A (ja) * 2006-05-24 2007-12-06 Piolax Inc 部品の取付装置
JP2015207404A (ja) * 2014-04-18 2015-11-19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及び電子機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9196734B (zh) 2020-07-10
CN109196734A (zh) 2019-01-11
JP2017212114A (ja) 2017-11-30
EP3467965A1 (en) 2019-04-10
WO2017203935A1 (ja) 2017-11-30
KR102159101B1 (ko) 2020-09-23
EP3467965A4 (en) 2020-01-29
JP6706864B2 (ja) 2020-06-10
US10587085B2 (en) 2020-03-10
US20190221979A1 (en) 2019-07-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01180B1 (ko) 전선 대 기판 커넥터
KR20190004724A (ko) 회전 커넥터 및 회전 커넥터의 고정 구조
US7661631B2 (en) Fixture
KR101655207B1 (ko) 전선 대 기판 커넥터
JPH087982A (ja) ラッチ付き電気コネクタ
KR20170070997A (ko) 커넥터의 록킹 구조 및 커넥터
JP5186289B2 (ja) ワイヤハーネス保持クリップ
JP2011085168A (ja) 取り付け構造、及び取り付け具
JP2003257525A (ja) コネクタ
JP6943917B2 (ja) コネクタ
JP4223033B2 (ja) パネル取付用コネクタ
JP7145399B2 (ja) コネクタ
JP2005190807A (ja) コネクタ
JP7454344B2 (ja) ライトアングルコネクタと接続対象物との嵌合構造及びライトアングルコネクタと接続対象物との嵌合方法
JP5410321B2 (ja) 複合端子金具
JP5186288B2 (ja) ワイヤハーネス保持クリップ
JP2007165158A (ja) コネクタ取付け用クランプ
JP2007165109A (ja) コネクタ取付け用クランプ
JP2007115632A (ja) ロック機構付き電気コネクタ
KR20150027298A (ko) 조인트 단자
JP2004311105A (ja) ロック機構
JP2013127847A (ja) コネクタ
JP2010073361A (ja) コネクタ
JP2010027438A (ja) コネクタ
JP2006260867A (ja) 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