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80425B1 - 스티어링 칼럼 구조 - Google Patents

스티어링 칼럼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80425B1
KR102080425B1 KR1020187021013A KR20187021013A KR102080425B1 KR 102080425 B1 KR102080425 B1 KR 102080425B1 KR 1020187021013 A KR1020187021013 A KR 1020187021013A KR 20187021013 A KR20187021013 A KR 20187021013A KR 102080425 B1 KR102080425 B1 KR 1020804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ring
rotary connector
side wall
steering column
rota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210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14894A (ko
Inventor
히로후미 우츠노미야
마사토시 우시야마
Original Assignee
후루카와 덴키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후루카와 에이에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루카와 덴키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후루카와 에이에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후루카와 덴키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801148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148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04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04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00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 B62D1/02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vehicle-mounted
    • B62D1/16Steering colum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transmission of signals between vehicle parts or subsystems
    • B60R16/027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transmission of signals between vehicle parts or subsystems between relatively movable parts of the vehicle, e.g. between steering wheel and colum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00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 B62D1/02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vehicle-mounted
    • B62D1/04Hand whe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JPISTONS; CYLINDERS; SEALINGS
    • F16J1/00Pistons; Trunk pistons; Plung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9/00Rotary current collectors, distributors or interrup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eering Controls (AREA)

Abstract

액체가 회전 커넥터에 도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스티어링 칼럼 구조를 제공한다. 스티어링 칼럼 구조 (1) 는, 회전 커넥터 (10) 와, 스티어링 칼럼 커버 (20) 와, 스티어링 칼럼 커버 (20) 사이에 간극부 (4) 를 형성하여 장착된 스티어링 로어 커버 (30) 를 구비한다. 스티어링 칼럼 커버 (20) 는, 간극부 (4) 를 획정하는 제 1 측벽부 (23) 와, 제 1 측벽부 (23) 에 형성되고 또한 회전 커넥터 (10) 가 삽입 통과된 제 1 삽입 통과공 (24) 을 갖는다. 스티어링 로어 커버 (30) 는, 제 1 측벽부 (23) 에 대향 배치되고 또한 제 1 측벽부(23) 와 함께 간극부 (4) 를 획정하는 제 2 측벽부 (34) 와, 제 2 측벽부 (34) 에 형성되고 또한 회전 커넥터 (10) 가 삽입 통과된 제 2 삽입 통과공 (35) 을 갖고 있다. 제 1 측벽부 (23) 는, 회전 커넥터 (10) 의 상방이고 당해 회전 커넥터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 제 1 둑부 (25) 를 갖고 있다.

Description

스티어링 칼럼 구조
본 발명은, 차량에 장착되는 스티어링 칼럼 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회전 커넥터를 내부에 수용하는 스티어링 칼럼 구조에 관한 것이다.
사륜 자동차 등의 차량에 있어서, 조타용의 스티어링 휠과 스티어링 샤프트의 연결부에, 에어백 장치 등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회전 커넥터 (SRC) 가 장착되어 있다. 회전 커넥터는, 스티어링 샤프트에 둘러싸여 장착되어 있고, 또, 이 회전 커넥터와 스티어링 샤프트의 단부를 내포하도록 스티어링 칼럼 커버가 장착되어 있다. 또, 스티어링 휠측에는, 그 스티어링 휠의 보스부를 내포하도록 스티어링 로어 커버가 장착되어 있다.
상기 스티어링 커버 구조에 있어서, 스티어링 칼럼 커버는 스티어링 휠의 조타에 의해 회동 (回動) 되지 않고, 한편, 스티어링 로어 커버는, 스티어링 휠과 일체적으로 고정되어 있고, 스티어링 휠의 조타에 따라 회동된다. 그리고, 스티어링 휠의 조타시에 이들 커버가 간섭하지 않도록, 스티어링 칼럼 커버 및 스티어링 로어 커버가, 스티어링 샤프트의 축 방향에 관하여 소정 간격으로 배치되어 있다.
상기 구성에서는, 예를 들어 운전자가 잘못하여 음료물 등의 액체를 스티어링 로어 커버에 흘린 경우나, 스티어링 로어 커버의 상벽부에서 결로가 발생한 경우, 액체가 스티어링 로어 커버와 스티어링 칼럼 커버의 간극부에 흘러들어, 회전 커넥터에 도달하는 경우가 있다. 이 결과, 액체가 회전 커넥터 내부에 침입하여, 회전 커넥터 내부에 배치된 1 차 몰드 버스바와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 (FFC) 의 접속부에 「녹청」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또, 액체에 포함되는 수분이나 염분 등에 의해, 회전 커넥터의 외부 장치와의 커넥터부 (접점) 에 배치 형성된 도체부에 「녹청」이 발생하여, 회전 커넥터의 통전시의 전기 저항값이 증대되고, 규격 이상의 전기 저항값이 되어, 에어백 등의 외부 장치가 오작동할 우려가 있다.
그래서 종래, 회전 커넥터 내로의 음료수 등의 침입을 방지하기 위해, 고정 케이스 (스테이터) 와, 그 고정 케이스에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도록 장착된 회전 케이스 (로테이터) 와, 고정 케이스와 회전 케이스에 의해 형성되는 환상의 내부 공간에 권회되어 수용된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 (FFC) 을 구비하는 회전 커넥터에 있어서, 회전 케이스와 고정 케이스 사이에 형성되는 간극이 연직 하방을 향하여 개방된 구조가 제안되어 있다 (특허문헌 1).
일본 공개실용신안공보 평5-32222호
그러나, 상기 종래 기술에서는, 회전 커넥터에 액체가 흘려지는 것을 전제로하여, 회전 커넥터 자체를 내부에 액체 등이 침입하기 어려운 구조로 하는 것이며, 스티어링 칼럼 커버나 스티어링 로어 커버 등의 스티어링 커버 구조에 대해서는 전혀 제안되어 있지 않다. 특히, 회전 커넥터의 회전 케이스에는, (1) 스티어링 휠의 스위치류로부터 인출된 케이블과 접속되는 커넥터부와, (2) 스티어링 휠에 장착되는 에어백 장치 등의 전기 회로와 접속되는 에어백 접속용 커넥터가 부착된 리드 케이블이 집합된 회전 케이스측 포스트부가 배치 형성되어 있다. 이 회전 케이스측 포스트부에는, 에어백 접속용 커넥터가 부착된 리드 케이블을 이 포스트부에 배치 형성, 고정시키기 위한 끼워 맞춤홈이나 로크공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회전 케이스측 포스트부에 도달한 액체가, 상기 끼워 맞춤홈이나 로크공 등에 저류된다. 그리고, 회전 케이스의 회전 운동 등에 의해 당해 액체가 이윽고 회전 커넥터 내부의 1 차 몰드 버스바와 FFC 의 접속부에까지 도달하여, 당해 접속부에 녹청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이 때문에, 운전자가 잘못하여 음료물 등의 액체를 스티어링 로어 커버에 흘린 경우에도, 당해 액체가 회전 커넥터에 도달하지 않도록, 스티어링 칼럼 구조 자체에 대책을 강구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액체가 회전 커넥터에 도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회전 커넥터 내부에서의 녹청의 발생을 방지하여, 당해 회전 커넥터의 전기 저항값의 증대를 방지하는 것이 가능한 스티어링 칼럼 구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관련된 스티어링 칼럼 구조는, 스티어링 샤프트의 단부에 둘러싸여 장착된 회전 커넥터와, 상기 스티어링 샤프트의 단부를 내포하도록 배치된 스티어링 칼럼 커버와, 상기 스티어링 샤프트의 단부에 연결된 스티어링 휠 중앙부를 내포하도록 배치되고, 또한 상기 스티어링 샤프트의 축 방향에 관하여 상기 스티어링 칼럼 커버와의 사이에 간극부를 형성하여 장착된 스티어링 로어 커버를 구비하고, 상기 스티어링 칼럼 커버는, 상기 간극부를 획정하는 제 1 측벽부와, 상기 제 1 측벽부에 형성되고 또한 상기 회전 커넥터가 삽입 통과된 제 1 삽입 통과공을 갖고, 상기 스티어링 로어 커버는, 상기 제 1 측벽부에 대향 배치되고 또한 상기 제 1 측벽부와 함께 상기 간극부를 획정하는 제 2 측벽부와, 상기 제 2 측벽부에 형성되고 또한 상기 회전 커넥터가 삽입 통과된 제 2 삽입 통과공을 갖고, 상기 스티어링 칼럼 커버의 상기 제 1 측벽부 및 상기 스티어링 로어 커버의 상기 제 2 측벽부 중 적어도 일방이, 상기 회전 커넥터의 상방이고 당해 회전 커넥터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 제 1 둑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1 둑부는, 상기 회전 커넥터의 외경에 상당하는 길이로 당해 회전 커넥터의 직경 방향에 대응하여 형성된다.
또, 상기 제 1 둑부는, 상기 제 1 삽입 통과공 및 상기 제 2 삽입 통과공 중 적어도 일방의 둘레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된다.
상기 제 1 둑부는, 상기 제 1 측벽부 및 상기 제 2 측벽부 중 어느 일방에 형성되어 있고, 또한 상기 제 1 측벽부 및 상기 제 2 측벽부 중 타방을 향하여 돌출된 돌조부여도 된다.
상기 제 1 측벽부 및 상기 제 2 측벽부 중 어느 일방에 형성된 상기 돌조부가, 상기 제 1 측벽부 및 상기 제 2 측벽부 중 타방에 형성된 상기 제 1 삽입 통과공 또는 상기 제 2 삽입 통과공에 삽입 통과되어도 된다.
상기 제 1 둑부는, 상기 제 1 측벽부 및 상기 제 2 측벽부 중 어느 일방에 형성된 홈부여도 된다.
상기 회전 커넥터는, 고정 케이스와, 상기 고정 케이스에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도록 장착된 회전 케이스를 갖고, 또한, 상기 회전 케이스가 상기 스티어링 휠측에 위치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회전 케이스의 상측 단면이, 상기 스티어링 샤프트의 축 방향에 관하여, 상기 스티어링 로어 커버의 상기 제 2 측벽부보다 상방에 위치하고 있다.
또, 상기 회전 커넥터는, 그 회전 커넥터의 축 방향과 수직인 면내 방향으로, 상기 고정 케이스와 상기 회전 케이스의 슬라이딩면을 갖고, 상기 슬라이딩면이, 상기 스티어링 샤프트의 축 방향에 관하여, 상기 스티어링 로어 커버의 상기 제 2 측벽부보다 상방에 위치하고 있어도 된다.
상기 회전 커넥터는, 상기 회전 케이스의 상측 단면에 형성된 회전 케이스측 포스트부를 추가로 갖고, 상기 회전 케이스측 포스트부가, 상기 스티어링 휠이 중립 위치인 상태에서, 상기 회전 커넥터의 6 시 방향에 위치하고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스티어링 칼럼 커버는, 간극부를 획정하는 제 1 측벽부와, 제 1 측벽부에 형성되고 또한 회전 커넥터가 삽입 통과된 제 1 삽입 통과공을 갖는다. 또, 스티어링 로어 커버는, 제 1 측벽부에 대향 배치되고 또한 제 1 측벽부와 함께 간극부를 획정하는 제 2 측벽부와, 제 2 측벽부에 형성되고 또한 회전 커넥터가 삽입 통과된 제 2 삽입 통과공을 갖는다. 그리고, 스티어링 칼럼 커버의 제 1 측벽부 및 스티어링 로어 커버의 제 2 측벽부 중 적어도 일방이, 회전 커넥터의 상방이고 당해 회전 커넥터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 제 1 둑부를 갖고 있다. 따라서, 운전자의 부주의에 의해 스티어링 칼럼 구조에 흘려진 음료물이나 결로에 의해 발생한 물 등의 액체가, 스티어링 칼럼 커버와 스티어링 로어 커버의 간극부에 침입한 경우에도, 제 1 측벽부에 형성된 제 1 둑부에 의해 당해 액체를 막을 수 있다. 따라서, 액체가 회전 커넥터에 도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회전 커넥터 내부에서의 녹청의 발생을 방지하여, 당해 회전 커넥터의 전기 저항값의 증대를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상기 제 1 둑부는, 상기 제 1 삽입 통과공의 둘레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되고, 또, 회전 커넥터의 직경에 상당하는 길이에 걸쳐 연장 돌출되어 있기 때문에, 액체가 회전 커넥터에 도달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 회전 커넥터에 있어서의 회전 케이스의 상측 단면이, 스티어링 샤프트의 축 방향에 관하여, 스티어링 로어 커버의 제 2 측벽부보다 상방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상기 간극부에 침입한 액체가 제 2 측벽부를 따라 흐른 경우에도, 회전 케이스의 상측 단면에 형성된 회전 케이스측 포스트부에 액체가 도달하기 어려워져, 회전 케이스측 포스트부에 형성된 끼워 맞춤홈이나 로크공에 액체가 저류되는 경우도 없다. 따라서 회전 커넥터 내부에서의 녹청의 발생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회전 커넥터에 있어서의 고정 케이스와 회전 케이스의 슬라이딩면이, 스티어링 샤프트의 축 방향에 관하여, 스티어링 로어 커버의 제 2 측벽부보다 상방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회전 케이스측 포스트부에 형성된 끼워 맞춤홈이나 로크공에 액체가 저류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 당해 슬라이딩면에도 액체가 도달하기 어려워져, 슬라이딩면으로부터 회전 커넥터 내로 액체가 침입하는 것을 방지 수 있어, 회전 커넥터 내부에서의 녹청의 발생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련된 스티어링 칼럼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2 는 도 1 에 있어서의 스티어링 칼럼 커버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 은 도 1 의 스티어링 칼럼 구조에 있어서의 회전 커넥터의 배치를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이다.
도 4 는 도 3 에 있어서의 회전 커넥터의 배치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이다.
도 5 는 도 3 에 있어서의 스티어링 칼럼 커버의 제 1 둑부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이다.
도 6 은 도 3 에 있어서의 스티어링 칼럼 커버의 제 1 둑부의 다른 변형예를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이다.
도 7 의 (a) 및 (b) 는, 도 1 에 있어서의 스티어링 커버 구조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은,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스티어링 칼럼 구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2 는, 도 1 에 있어서의 스티어링 칼럼 커버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또한, 도 1 의 스티어링 칼럼 구조는 그 일례를 나타내는 것이며, 본 발명에 관련된 스티어링 칼럼 구조의 구성은, 도 1 에 한정되지 않는 것으로 한다.
도 1 및 도 2 에 있어서, 스티어링 칼럼 구조 (1) 는, 스티어링 샤프트 (2) 의 단부 (2a) 에 둘러싸여 장착된 회전 커넥터 (10) (SRC) 와, 스티어링 샤프트 (2) 의 단부 (2a) 를 내포하도록 배치된 스티어링 칼럼 커버 (20) 와, 스티어링 샤프트 (2) 의 단부 (2a) 에 연결된 스티어링 휠 (3) 중앙부의 스티어링 휠 지지판 (3a) 을 내포하도록 배치되고, 또한 스티어링 샤프트 (2) 의 축 방향 (도면 중의 X 방향) 에 관하여 스티어링 칼럼 커버 (20) 와의 사이에 간극부 (4) (도 3 참조) 를 형성하여 장착된 스티어링 로어 커버 (30) 를 구비한다.
회전 커넥터 (10) 의 스티어링 칼럼 커버 (20) 측에는, 스티어링 칼럼 모듈 (5) 이 장착되어 있다. 스티어링 칼럼 모듈 (5) 은, 스티어링 샤프트 (2) 가 회동 가능하게 축 지지된 케이싱 (6) 과, 케이싱 (6) 의 횡방향 양측에 배치된 칼럼 스위치 (7, 7) 와, 이들 칼럼 스위치에 장착된 레버 (8, 8) 를 갖고 있다. 또, 회전 커넥터 (10) 의 스티어링 로어 커버 (30) 측에는, 스티어링 휠 (3) 의 스티어링 휠 지지판 (3a) 에 에어백 장치 (9) 가 장착되어 있다.
회전 커넥터 (10) 는, 조타용의 스티어링 휠 (3) 과 스티어링 샤프트 (2) 의 연결부에 장착되어 있고, 에어백 장치 (9) 등에 케이블 (9a) 을 통하여 전력을 공급한다 (도 3 참조).
스티어링 칼럼 커버 (20) 는, 회전 커넥터 (10) 와 스티어링 샤프트 (2) 의 단부 (2b) 를 내포하도록 장착되어 있다. 또, 스티어링 로어 커버 (30) 는, 스티어링 칼럼 커버 (20) 와 스티어링 휠 (3) 사이에 배치되고, 스티어링 휠 (3) 의 스티어링 휠 지지판 (3a) 을 내포하도록 장착되어 있다. 상기 스티어링 칼럼 커버 (20) 및 스티어링 로어 커버 (30) 는, 스티어링 커버 구조를 구성한다.
스티어링 칼럼 커버 (20) 는 스티어링 휠 (3) 의 조타에 의해 회동되지 않고, 한편, 스티어링 로어 커버 (30) 는, 스티어링 휠 (3) 과 일체적으로 고정되어 있고, 스티어링 휠 (3) 의 조타에 따라 회동된다. 스티어링 칼럼 커버 (20) 및 스티어링 로어 커버 (30) 는, 스티어링 휠 (3) 의 조타시에 간섭하지 않도록, 스티어링 샤프트 (2) 의 축 방향에 관하여 소정 간격으로 배치되어 있다.
스티어링 칼럼 커버 (20) 는,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측 커버 (20a) 와 상측 커버 (20b) 로 구성되어 있고, 상하로 2 분할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하측 커버 (20a) 는, 스티어링 샤프트 (2) 의 축 방향을 따라 형성된 바닥벽부 (21a) 및 1 쌍의 측벽부 (22a, 22a) 와, 스티어링 샤프트 (2) 의 직경 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간극부 (4) 를 획정하는 측벽부 (23a) 와, 측벽부 (23a) 에 형성된 반원상의 절결부 (24a) 를 갖고 있다. 바닥벽부 (21a), 1 쌍의 측벽부 (22a, 22a) 및 측벽부 (23a) 는, 예를 들어 수지로 일체 성형된 것이다.
상측 커버 (20b) 는, 스티어링 샤프트 (2) 의 축 방향을 따라 형성된 상벽부 (21b) 및 1 쌍의 측벽부 (22b, 22b) 와, 스티어링 샤프트 (2) 의 직경 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간극부 (4) 를 획정하는 측벽부 (23b) 와, 측벽부 (23b) 에 형성된 반원상의 절결부 (24b) 를 갖고 있다. 상벽부 (21b), 1 쌍의 측벽부 (22b, 22b) 및 측벽부 (23b) 는, 예를 들어 수지로 일체 성형된 것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스티어링 칼럼 커버 (20) 는 상하로 2 분할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일체 성형된 것이어도 된다.
하측 커버 (20a) 와 상측 커버 (20b) 가 서로 끼워맞춰진 상태에 있어서 (도 2), 스티어링 칼럼 커버 (20) 는, 간극부 (4) 를 획정하는 제 1 측벽부 (23) 와, 제 1 측벽부 (23) 에 형성되고 또한 회전 커넥터 (10) 가 삽입 통과된 원상의 제 1 삽입 통과공 (24) 을 갖는다. 즉 제 1 측벽부 (23) 는, 측벽부 (23a, 23b) 로 구성되고, 제 1 삽입 통과공 (24) 은, 절결부 (24a, 24b) 로 구성되어 있다.
스티어링 로어 커버 (30) 는, 상벽부 (32) 와, 스티어링 샤프트 (2) 의 축 방향을 따라 형성된 1 쌍의 측벽부 (33, 33) 와, 제 1 측벽부 (23) 에 대향 배치되고 또한 제 1 측벽부 (23) 와 함께 간극부 (4) 를 획정하는 제 2 측벽부 (34) 와, 제 2 측벽부 (34) 에 형성되고 또한 회전 커넥터 (10) 가 삽입 통과된 원상의 제 2 삽입 통과공 (35) 을 갖고 있다. 상벽부 (32), 1 쌍의 측벽부 (33, 33) 및 제 2 측벽부 (34) 는, 예를 들어 수지를 주성분으로 하는 재료로 일체 성형된 것이다.
스티어링 칼럼 커버 (20) 의 제 1 측벽부 (23) 는, 회전 커넥터 (10) 의 상방이고 당해 회전 커넥터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 제 1 둑부 (25) 를 갖고 있다. 「회전 커넥터 (10) 에 대응하는 위치」란, 예를 들어, 제 1 측벽부 (23) 의 경사 방향을 투영선으로 하는 투영면에 있어서, 제 1 둑부 (25) 가 회전 커넥터 (10) 의 적어도 일부와 중복되는 위치를 말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1 둑부 (25) 는, 회전 커넥터 (10) 의 외경에 상당하는 길이로 당해 회전 커넥터의 직경 방향에 대응하여 형성되어 있고, 제 1 삽입 통과공 (24) 의 둘레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되어 있다. 제 1 삽입 통과공 (24) 이 원상인 경우, 제 1 둑부 (25) 는, 예를 들어 연직 방향을 0 °로 하여 중심각 ±60 °∼ ±90 °에 대응하는 길이로 원호상으로 연속적으로 형성된다. 이로써, 음료물 등의 액체가 예기치 않게 간극부 (4) 에 침입하였을 때, 당해 액체가 제 1 둑부 (25) 에 의해 막힌다.
제 1 둑부 (25) 는, 예를 들어, 제 2 측벽부 (34) 를 향하여 돌출되고 또한 스티어링 칼럼 커버 (20) 와 일체로 형성된 돌조부이다. 이 돌조부는, 장척상의 돌기 (ridge) 이고, 제 1 삽입 통과공 (24) 의 둘레 가장자리를 따라 원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돌조부의 폭 방향 단면 형상은, 간극부 (4) 내에서 흐르는 액체를 막는 것이 가능한 형상이면 되고, 예를 들어 사각형이나 사다리꼴이다.
도 3 은, 도 1 의 스티어링 칼럼 구조 (1) 에 있어서의 회전 커넥터 (10) 의 배치를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이다. 동 도면에 있어서, 회전 커넥터 (10) 는, 고정 케이스 (11) (스테이터) 와, 고정 케이스 (11) 에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도록 장착된 회전 케이스 (12) (로테이터) 를 갖고, 또한, 회전 케이스 (12) 가 스티어링 휠 (3) 측에 위치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 회전 커넥터 (10) 는, 고정 케이스 (11) 의 하측 단면 (11b) 에 스티어링 휠 (3) 과는 반대측으로 연장 돌출되어 형성되고, 또한 차량 본체로부터 회전 커넥터 (10) 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커넥터부 (14) 와, 회전 케이스 (12) 의 상측 단면 (12a) 에 스티어링 휠 (3) 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되고, 또한 에어백 장치 (9) 등의 외부 장치와 케이블 (9a) 을 통하여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한 회전 케이스측 포스트부 (15) 를 갖고 있다. 회전 케이스측 포스트부 (15) 에는, 케이블 (9a) 에 장착된 케이블측 커넥터와 걸어맞추기 위한 끼워 맞춤홈이나 로크공 (도시 생략) 이 형성되어 있다.
이 회전 커넥터 (10) 는, 그 회전 커넥터의 축 방향 (도면 중의 X 방향) 과 수직인 면내 방향으로, 고정 케이스 (11) 의 상측 단면 (11a) 과 회전 케이스 (12) 의 하측 단면 (12b) 이 슬라이딩하는 슬라이딩면 (S) 을 갖고 있다.
회전 케이스 (12) 의 상측 단면 (12a) 은, 스티어링 샤프트 (2) 의 축 방향에 관하여, 스티어링 로어 커버 (30) 의 제 2 측벽부 (34) 보다 상방에 위치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회전 케이스 (12) 의 상측 단면 (12a) 은, 스티어링 샤프트 (2) 의 축 방향에 관하여, 스티어링 로어 커버 (30) 의 제 2 측벽부 (34) 의 외면 (34a) 으로부터 거리 (L1) 만큼 이간되어 배치된다. 회전 커넥터 (10) 를 상기 위치에 배치함으로써, 간극부 (4) 에 침입한 액체가 제 1 측벽부 (23) 를 따라 흐른 경우에도, 회전 케이스 (12) 의 상측 단면 (12a) 에 형성된 회전 케이스측 포스트부 (15) 에 액체가 도달하기 어려워, 회전 케이스측 포스트부 (15) 에 형성된 끼워 맞춤홈이나 로크공에 액체가 저류되는 경우가 없다.
또,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고정 케이스 (11) 와 회전 케이스 (12) 의 슬라이딩면 (S) 이, 스티어링 샤프트 (2) 의 축 방향에 관하여, 스티어링 로어 커버 (30) 의 제 2 측벽부 (34) 보다 상방에 위치하고 있어도 된다. 구체적으로는, 회전 케이스 (12) 의 상측 단면 (12a) 이, 스티어링 샤프트 (2) 의 축 방향에 관하여, 스티어링 로어 커버 (30) 의 제 2 측벽부 (34) 의 외면 (34a) 으로부터 거리 (L1') 만큼 이간되어 배치되고, 또한, 슬라이딩면 (S) 이, 스티어링 샤프트 (2) 의 축 방향에 관하여, 스티어링 로어 커버 (30) 의 제 2 측벽부 (34) 의 외면 (34a) 으로부터 거리 (L2) 만큼 이간되어 배치되어도 된다. 회전 케이스 (12) 를 상기 위치에 배치함으로써, 회전 케이스측 포스트부 (15) 에 형성된 끼워 맞춤홈이나 로크공에 액체가 저류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 슬라이딩면 (S) 에도 액체가 도달하기 어려워져, 슬라이딩면 (S) 으로부터 회전 커넥터 (10) 내로 액체가 침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커넥터부 (14) 및 회전 케이스측 포스트부 (15) 는, 스티어링 휠 (3) 이 중립 위치인 상태에서, 회전 커넥터 (10) 의 6 시 방향에 위치하고 있다. 스티어링 휠 (3) 의 중립 위치란, 로크·투·로크의 소정 회전수 (예를 들어, 3 ∼ 4 회전) 에 있어서, 스티어링 휠 (3) 을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켰을 때의 회전수 (예를 들어, 1.5 ∼ 2 회전) 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켰을 때의 회전수 (예를 들어, 1.5 ∼ 2 회전) 가 동등해지는 위치를 말한다. 스티어링 휠 (3) 은, 통상적으로, 상기 중립 위치에 있고, 운전자가 차량 주행시에 스티어링 휠을 조타했을 때, 당해 조타에 따라 회전 케이스측 포스트부 (15) 가 회전한다. 만일, 스티어링 휠 (3) 이 중립 위치인 상태에서, 회전 케이스측 포스트부가 회전 커넥터 (10) 의 12 시 방향에 위치하고 있으면, 운전자가 잘못하여 액체를 스티어링 칼럼 구조 (1) 에 흘린 경우, 액체가 회전 케이스측 포스트부를 통하여 회전 커넥터 내로 침입하기 쉽다. 그래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스티어링 휠 (3) 이 중립 위치인 상태에서, 회전 케이스측 포스트부 (15) 를 6 시 방향에 위치시킴으로써, 간극부 (4) 의 상부 개구 (4a) 로부터 회전 케이스측 포스트부 (15) 까지의 최대 거리를 확보할 수 있어, 상부 개구 (4a) 로부터 침입한 액체가 회전 케이스측 포스트부 (15) 에 도달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도 5 는, 도 3 에 있어서의 스티어링 칼럼 커버 (20) 의 제 1 둑부 (25) 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이다. 도 3 의 제 1 둑부 (25) 는 돌조부이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도 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둑부 (25a) 가 홈부여도 된다. 또, 홈부는, 제 1 삽입 통과공 (24) 의 둘레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되어 있어도 되고, 회전 커넥터 (10) 의 외경에 상당하는 길이로 당해 회전 커넥터의 직경 방향에 대응하여 형성되어도 된다. 본 구성에 의하면, 간극부 (4) 에 침입한 액체가 홈부에 막힌다. 또, 홈부를 제 1 삽입 통과공 (24) 의 둘레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함으로써, 간극부 (4) 에 침입한 액체를 회전 커넥터 (10) 의 직경 방향 외측을 지나 스티어링 칼럼 커버 (20) 의 하방으로 가이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간극부 (4) 에 침입한 액체가 회전 커넥터 (10) 에 도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6 은, 도 3 에 있어서의 제 1 둑부 (25) 의 다른 변형예를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이다. 도 3 의 제 1 둑부 (25) 는, 제 2 측벽부 (34) 를 향하여 돌출되어 있지만, 도 6 의 제 1 둑부 (25b) 는, 그 돌출 높이가 규정된다. 구체적으로는, 제 1 둑부 (25b) 는, 제 2 측벽부 (34) 를 향하여 돌출되고, 또한 적어도 스티어링 로어 커버 (30) 의 제 2 삽입 통과공 (35) 내에 도달하는 돌출 높이를 갖고 있어도 된다. 이 때, 제 1 둑부의 돌출 방향 단부 (25b-1) 는, 제 2 삽입 통과공 (35) 내에 위치하거나, 혹은 스티어링 샤프트 (2) 의 축 방향에 관하여 제 2 삽입 통과공 (35) 보다 스티어링 휠 (3) 측, 즉 스티어링 로어 커버 (30) 의 내부 공간 (A) 에 위치하고 있다. 제 2 삽입 통과공 (35) 이 원상이고, 또한 제 1 둑부 (25b) 가 원호상인 경우, 이들이 동심으로 배치되고, 제 1 둑부 (25b) 의 외경이 제 2 삽입 통과공 (35) 의 공경보다 작고, 또한 직경 방향에 관하여 제 2 삽입 통과공 (35) 과 제 1 둑부 (25b) 사이에 소정의 클리어런스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스티어링 칼럼 구조 (1) 의 길이 방향 단면에서 보았을 때, 회전 커넥터 (10) 의 상방에 있어서의 간극부 (4) 의 형상이 L 자형이 되고, 간극부 (4) 의 상부 개구 (4a) 로부터 회전 커넥터 (10) 까지의 통로 거리가 길어지기 때문에, 간극부 (4) 에 침입한 액체가 회전 커넥터 (10) 에 도달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스티어링 칼럼 커버 (20) 는, 간극부 (4) 를 획정하는 제 1 측벽부 (23) 와, 제 1 측벽부 (23) 에 형성되고 또한 회전 커넥터 (10) 가 삽입 통과된 제 1 삽입 통과공 (24) 을 갖는다. 또, 스티어링 로어 커버 (30) 는, 제 1 측벽부 (23) 에 대향 배치되고 또한 제 1 측벽부 (23) 와 함께 간극부 (4) 를 획정하는 제 2 측벽부 (34) 와, 제 2 측벽부 (34) 에 형성되고 또한 회전 커넥터 (10) 가 삽입 통과된 제 2 삽입 통과공 (35) 을 갖는다. 그리고, 스티어링 칼럼 커버 (20) 의 제 1 측벽부 (23) 가, 회전 커넥터 (10) 의 상방이고 당해 회전 커넥터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 제 1 둑부 (25, 25a, 25b) 를 갖고 있다. 따라서, 운전자의 부주의에 의해 스티어링 칼럼 구조 (1) 에 흘려진 음료물이나 결로에 의해 발생한 물 등의 액체가, 스티어링 칼럼 커버 (20) 와 스티어링 로어 커버 (30) 의 간극부 (4) 에 침입한 경우에도, 제 1 측벽부 (23) 에 형성된 제 1 둑부 (25, 25a, 25b) 에 의해 당해 액체를 막을 수 있다. 따라서, 액체가 회전 커넥터 (10) 에 도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회전 커넥터 (10) 내부에서의 녹청의 발생을 방지하여, 당해 회전 커넥터의 전기 저항값의 증대를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특히, 회전 커넥터 (10) 내에 배치된 1 차 몰드 버스바와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의 접속부에서의 녹청의 발생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제 1 둑부 (25, 25a, 25b) 는, 제 1 삽입 통과공 (24) 의 둘레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되고, 또, 회전 커넥터 (10) 의 직경에 상당하는 길이에 걸쳐 연장되어 있기 때문에, 액체가 회전 커넥터 (10) 에 도달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 회전 커넥터 (10) 에 있어서의 회전 케이스 (12) 의 상측 단면 (12a) 이, 스티어링 샤프트 (2) 의 축 방향에 관하여, 스티어링 로어 커버 (30) 의 제 2 측벽부 (34) 보다 상방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간극부 (4) 에 침입한 액체가 제 1 측벽부 (23) 를 따라 흐른 경우에도, 회전 케이스 (12) 의 상측 단면 (12a) 에 형성된 회전 케이스측 포스트부 (15) 에 액체가 도달하기 어려워져, 회전 케이스측 포스트부 (15) 에 형성된 끼워 맞춤홈이나 로크공에 액체가 저류되는 경우도 없다. 따라서 회전 커넥터 (10) 내부에서의 녹청의 발생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회전 커넥터 (10) 에 있어서의 고정 케이스 (11) 와 회전 케이스 (12) 의 슬라이딩면 (S) 이, 스티어링 샤프트 (2) 의 축 방향에 관하여, 스티어링 로어 커버 (30) 의 제 2 측벽부 (34) 보다 상방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회전 케이스측 포스트부 (15) 에 형성된 끼워 맞춤홈이나 로크공에 액체가 저류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 당해 슬라이딩면에도 액체가 도달하기 어려워져, 슬라이딩면으로부터 회전 커넥터 (10) 내로 액체가 침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회전 커넥터 (10) 내부에서의 녹청의 발생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도 7 의 (a) 및 (b) 는, 도 1 에 있어서의 스티어링 칼럼 구조 (1) 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이다. 도 1 의 스티어링 커버 구조에 있어서는 스티어링 칼럼 커버 (20) 가 제 1 둑부 (25) 를 갖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도 7(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티어링 로어 커버 (30) 가 제 1 둑부 (36) 를 갖고 있어도 된다. 구체적으로는, 스티어링 로어 커버 (30) 는, 회전 커넥터 (10) 의 상방이고 당해 회전 커넥터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 제 1 둑부 (36) 를 갖고 있다. 제 1 둑부 (36) 는, 제 2 삽입 통과공 (35) 의 둘레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되어도 되고, 회전 커넥터 (10) 의 외경에 상당하는 길이로 당해 회전 커넥터의 직경 방향에 대응하여 형성되어도 된다. 또, 제 1 둑부 (36) 는, 측벽부 (23b) 를 향하여 돌출되고 또한 적어도 스티어링 칼럼 커버 (20) 의 제 1 삽입 통과공 (24) 내에 도달하는 돌출 높이를 갖고 있어도 된다. 제 1 삽입 통과공 (24) 이 원상이고, 또한 제 1 둑부 (36) 가 원호상인 경우, 이들이 동심으로 배치되고, 제 1 둑부 (36) 의 외경이 제 1 삽입 통과공 (24) 의 구멍 직경보다 작고, 또한 직경 방향에 관하여 제 1 삽입 통과공 (24) 과 제 1 둑부 (36) 사이에 소정의 클리어런스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구성에 의해서도, 간극부 (4) 에 침입한 액체가 회전 커넥터 (10) 에 도달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 도 7(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티어링 로어 커버 (30) 가, 회전 커넥터 (10) 의 상방이고 당해 회전 커넥터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 돌조부 (36a) (제 1 둑부) 를 갖고, 스티어링 칼럼 커버 (20) 가, 회전 커넥터 (10) 의 상방이고 당해 돌조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 홈부 (25c) (다른 제 1 둑부) 를 갖고 있어도 된다. 이 때, 돌조부 (36a) 는 제 2 삽입 통과공 (35) 의 둘레 가장자리에, 홈부 (25c) 는 제 1 삽입 통과공 (24) 의 둘레 가장자리에 각각 형성되어 있다. 또, 돌조부 (36a) 의 돌출 방향 단부 (36a-1) 는, 홈부 (25c) 의 가장 안쪽면 (25c-1) 을 향하여 돌출되고 또한 홈부 (25c) 의 내부 공간 (B) 에 위치하고 있다. 홈부 (25c) 가 원호상이고, 또한 돌조부 (36a) 가 원호상인 경우, 이들이 동심으로 배치되고, 직경 방향에 관하여 홈부 (25c) 와 돌조부 (36a) 사이에 소정의 클리어런스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스티어링 칼럼 구조 (1) 의 길이 방향 단면에서 보았을 때, 회전 커넥터 (10) 의 상방에 있어서의 간극부 (4) 의 형상이 U 자형이 되어, 간극부 (4) 의 상부 개구 (4a) 로부터 회전 커넥터 (10) 까지의 통로 거리가 더욱 길어지기 때문에, 간극부 (4) 에 침입한 액체가 회전 커넥터 (10) 에 도달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이상, 상기 실시형태에 관련된 스티어링 칼럼 구조에 대하여 서술하였지만, 본 발명은 기술된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기술 사상에 기초하여 각종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제 1 둑부 (25) 는, 제 1 삽입 통과공 (24) 의 둘레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되지 않아도 되고, 예를 들어 직선상의 제 1 둑부가 회전 커넥터 (10) 의 상방이고 당해 회전 커넥터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어도 된다. 이 경우, 제 1 둑부가 회전 커넥터 (10) 의 외경에 상당하는 길이로 당해 회전 커넥터의 직경 방향에 대응하여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구성에 의해서도, 간극부 (4) 에 침입한 액체가 회전 커넥터 (10) 에 도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도 7(b) 에 있어서, 스티어링 로어 커버 (30) 가 돌조부 (36a) 를 갖고, 스티어링 칼럼 커버 (20) 가 홈부 (25c) 를 갖고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스티어링 로어 커버 (30) 가 홈부를 갖고, 스티어링 칼럼 커버 (20) 가 돌조부를 갖고 있어도 된다. 본 구성에 의해서도, 상기와 동일한 효과를 발휘 수 있다.
1 : 스티어링 칼럼 구조
2 : 스티어링 샤프트
2a : 단부
3 : 스티어링 휠
3a : 스티어링 휠 지지판
4 : 간극부
4a : 상부 개구
5 : 스티어링 칼럼 모듈
6 : 케이싱
7, 7 : 칼럼 스위치
8, 8 : 레버
9 : 에어백 장치
9a : 케이블
10 : 회전 커넥터
11 : 고정 케이스
11a : 상측 단면
11b : 하측 단면
12 : 회전 케이스
12a : 상측 단면
12b : 하측 단면
20 : 스티어링 칼럼 커버
20a : 하측 커버
20b : 상측 커버
21a : 바닥벽부
21b : 상벽부
22a, 22a : 1 쌍의 측벽부
22b, 22b : 1 쌍의 측벽부
23 : 제 1 측벽부
23a : 측벽부
23b : 측벽부
24 : 제 1 삽입 통과공
24a : 절결부
24b : 절결부
25 : 제 1 둑부
25a : 제 1 둑부
25b : 제 1 둑부
25b-1 : 돌출 방향 단부
25c : 홈부
25c-1 : 가장 안쪽면
30 : 스티어링 로어 커버
32 : 상벽부
33, 33 : 1 쌍의 측벽부
34 : 제 2 측벽부
34a : 외면
35 : 제 2 삽입 통과공
36 : 제 1 둑부
36a : 돌조부
36a-1 : 돌출 방향 단부
A : 내부 공간
B : 내부 공간
S : 슬라이딩면
L1 : 거리
L1' : 거리
L2 : 거리

Claims (9)

  1. 스티어링 샤프트의 단부에 둘러싸여 장착된 회전 커넥터와,
    상기 스티어링 샤프트의 단부를 내포하도록 배치된 스티어링 칼럼 커버와,
    상기 스티어링 샤프트의 단부에 연결된 스티어링 휠 중앙부를 내포하도록 배치되고, 또한 상기 스티어링 샤프트의 축 방향에 관하여 상기 스티어링 칼럼 커버 사이에 간극부를 형성하여 장착된 스티어링 로어 커버를 구비하고,
    상기 스티어링 칼럼 커버는,
    상기 간극부를 획정하는 제 1 측벽부와, 상기 제 1 측벽부에 형성되고 또한 상기 회전 커넥터가 삽입 통과된 제 1 삽입 통과공을 갖고,
    상기 스티어링 로어 커버는, 상기 제 1 측벽부에 대향 배치되고 또한 상기 제 1 측벽부와 함께 상기 간극부를 획정하는 제 2 측벽부와, 상기 제 2 측벽부에 형성되고 또한 상기 회전 커넥터가 삽입 통과된 제 2 삽입 통과공을 갖고,
    상기 스티어링 칼럼 커버의 상기 제 1 측벽부 및 상기 스티어링 로어 커버의 상기 제 2 측벽부 중 적어도 일방은 제 1 둑부를 갖고, 상기 제 1 둑부는 상기 회전 커넥터의 상방이고 당해 회전 커넥터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고,
    상기 제 1 둑부는, 상기 제 1 측벽부 및 상기 제 2 측벽부 중 어느 일방에 형성된 홈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티어링 칼럼 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둑부는, 상기 회전 커넥터의 외경에 상당하는 길이로 당해 회전 커넥터의 직경 방향에 대응하여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티어링 칼럼 구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둑부는, 상기 제 1 삽입 통과공 및 상기 제 2 삽입 통과공 중 적어도 일방의 둘레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티어링 칼럼 구조.
  4. 스티어링 샤프트의 단부에 둘러싸여 장착된 회전 커넥터와,
    상기 스티어링 샤프트의 단부를 내포하도록 배치된 스티어링 칼럼 커버와,
    상기 스티어링 샤프트의 단부에 연결된 스티어링 휠 중앙부를 내포하도록 배치되고, 또한 상기 스티어링 샤프트의 축 방향에 관하여 상기 스티어링 칼럼 커버 사이에 간극부를 형성하여 장착된 스티어링 로어 커버를 구비하고,
    상기 스티어링 칼럼 커버는,
    상기 간극부를 획정하는 제 1 측벽부와, 상기 제 1 측벽부에 형성되고 또한 상기 회전 커넥터가 삽입 통과된 제 1 삽입 통과공을 갖고,
    상기 스티어링 로어 커버는, 상기 제 1 측벽부에 대향 배치되고 또한 상기 제 1 측벽부와 함께 상기 간극부를 획정하는 제 2 측벽부와, 상기 제 2 측벽부에 형성되고 또한 상기 회전 커넥터가 삽입 통과된 제 2 삽입 통과공을 갖고,
    상기 스티어링 칼럼 커버의 상기 제 1 측벽부 및 상기 스티어링 로어 커버의 상기 제 2 측벽부 중 적어도 일방은 제 1 둑부를 갖고, 상기 제 1 둑부는 상기 회전 커넥터의 상방이고 당해 회전 커넥터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고,
    상기 회전 커넥터는, 고정 케이스와, 상기 고정 케이스에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도록 장착된 회전 케이스를 갖고, 또한, 상기 회전 케이스가 상기 스티어링 휠 측에 위치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회전 케이스의 상측 단면이, 상기 스티어링 샤프트의 축 방향에 관하여, 상기 스티어링 로어 커버의 상기 제 2 측벽부보다 상방에 위치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티어링 칼럼 구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커넥터는, 그 회전 커넥터의 축 방향과 수직인 면내 방향으로, 상기 고정 케이스와 상기 회전 케이스의 슬라이딩면을 갖고,
    상기 슬라이딩면이, 상기 스티어링 샤프트의 축 방향에 관하여, 상기 스티어링 로어 커버의 상기 제 2 측벽부보다 상방에 위치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티어링 칼럼 구조.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커넥터는, 상기 회전 케이스의 상측 단면에 형성되고 또한 외부 장치와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한 회전 케이스측 포스트부를 추가로 갖고,
    상기 회전 케이스측 포스트부가, 상기 스티어링 휠이 중립 위치인 상태에서, 상기 회전 커넥터의 6 시 방향에 위치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티어링 칼럼 구조.
  7. 삭제
  8. 삭제
  9. 삭제
KR1020187021013A 2016-02-22 2017-02-10 스티어링 칼럼 구조 KR10208042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6-031061 2016-02-22
JP2016031061 2016-02-22
PCT/JP2017/004843 WO2017145786A1 (ja) 2016-02-22 2017-02-10 ステアリングコラム構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4894A KR20180114894A (ko) 2018-10-19
KR102080425B1 true KR102080425B1 (ko) 2020-02-21

Family

ID=596850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21013A KR102080425B1 (ko) 2016-02-22 2017-02-10 스티어링 칼럼 구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894557B2 (ko)
EP (1) EP3421325B1 (ko)
JP (1) JP6790060B2 (ko)
KR (1) KR102080425B1 (ko)
CN (1) CN108473153B (ko)
WO (1) WO201714578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346307A (zh) * 2021-06-24 2021-09-03 淄博职业学院 一种滑线连接器、转向驱动系统、转向系统及车辆
CN114735070A (zh) * 2022-05-09 2022-07-12 浙江吉利控股集团有限公司 一种包含新型线束转换装置的方向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99349A (ja) * 2000-01-17 2001-07-24 Suzuki Motor Corp ステアリングホイールとコラムカバーとの合わせ部構造
JP2001332432A (ja) * 2000-05-24 2001-11-30 Alps Electric Co Ltd 非接触式信号伝送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114410A1 (de) * 1981-04-09 1982-10-28 Daimler-Benz Ag, 7000 Stuttgart "vorrichtung zur stromuebertragung zwischen gegeneinander drehbaren teilen einer kraftwagenlenkung"
US4616224A (en) * 1983-03-16 1986-10-07 Sheller-Globe Corporation Multifunction steering wheel
JPS59227535A (ja) * 1983-06-04 1984-12-20 Aisin Seiki Co Ltd 集中制御式ステアリングホイ−ル装置
JPS6080950A (ja) * 1983-10-11 1985-05-08 Nissan Motor Co Ltd ステアリング装置
DE3741130C1 (de) * 1987-12-04 1989-05-11 Daimler Benz Ag Lenkung fuer Kraftwagen
US5139281A (en) * 1991-03-11 1992-08-18 General Motors Corporation Automotive steering column
JPH0532222A (ja) 1991-07-17 1993-02-09 Kubota Corp 包装装置
JPH0532222U (ja) 1991-10-02 1993-04-27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回転コネクタ
JP3482332B2 (ja) * 1997-12-17 2003-12-22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角度検出機能付き回転コネクタ
JP3482333B2 (ja) * 1997-12-25 2003-12-22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角度検出機能付き回転コネクタ
JP2000150275A (ja) * 1998-11-12 2000-05-30 Alps Electric Co Ltd 非接触式信号伝送装置
JP2004120900A (ja) * 2002-09-26 2004-04-15 Tokai Rika Co Ltd ステアリングロールコネクタとステアリングホイールとの接続構造
JP2011199349A (ja) 2010-03-17 2011-10-06 Fujitsu Ltd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及び画像処理用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5117528B2 (ja) * 2010-03-30 2013-01-16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回転コネクタ装置
CN102823081B (zh) * 2010-03-30 2015-06-10 古河电气工业株式会社 旋转连接器装置
JP5331052B2 (ja) * 2010-04-22 2013-10-30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回転コネクタの嵌合構造
CN102823096B (zh) * 2010-05-10 2015-11-25 古河电气工业株式会社 旋转连接器装置
JP5041449B2 (ja) * 2010-11-19 2012-10-03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回転コネクタ装置
WO2012067257A1 (ja) * 2010-11-19 2012-05-24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回転コネクタ装置
JP5624972B2 (ja) * 2011-10-31 2014-11-12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回転コネクタ装置
JP6124020B2 (ja) * 2014-08-29 2017-05-10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帯電電荷低減装置
JP6754377B2 (ja) * 2016-01-08 2020-09-09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回転コネクタ装置
EP3447857A4 (en) * 2016-03-31 2020-08-26 Furukawa Electric Co., Ltd. ROTATING CONNECTOR
WO2017170650A1 (ja) * 2016-03-31 2017-10-05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回転コネクタ装置
JP6706864B2 (ja) * 2016-05-26 2020-06-10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回転コネクタおよび回転コネクタの固定構造
JP6696840B2 (ja) * 2016-06-21 2020-05-20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回転コネクタ装置
WO2018047581A1 (ja) * 2016-09-12 2018-03-15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回転コネクタ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99349A (ja) * 2000-01-17 2001-07-24 Suzuki Motor Corp ステアリングホイールとコラムカバーとの合わせ部構造
JP2001332432A (ja) * 2000-05-24 2001-11-30 Alps Electric Co Ltd 非接触式信号伝送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421325B1 (en) 2021-03-31
JP6790060B2 (ja) 2020-11-25
KR20180114894A (ko) 2018-10-19
US20180354544A1 (en) 2018-12-13
EP3421325A4 (en) 2019-10-16
US10894557B2 (en) 2021-01-19
CN108473153A (zh) 2018-08-31
EP3421325A1 (en) 2019-01-02
JPWO2017145786A1 (ja) 2018-12-13
CN108473153B (zh) 2021-06-08
WO2017145786A1 (ja) 2017-08-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47275B2 (en) Rotary connector device
US10686286B2 (en) Rotary connector device
KR102080425B1 (ko) 스티어링 칼럼 구조
EP2244344B1 (en) Waterproof structure of electric junction box
JP6469510B2 (ja) 電気接続箱及びワイヤハーネス
US8808008B2 (en) Rotatable connector device
JP6573078B2 (ja) 電気接続箱の排水構造
JP5546657B1 (ja) 車載用電子制御装置
JP2013182736A (ja) 電子部品ユニットの防滴構造
US5904585A (en) Rotary connector
JP6605337B2 (ja) 回転コネクタ
KR20110099972A (ko) 회전 각도 센서 유닛
EP3736947B1 (en) Motor unit and electric power steering device
JP5737049B2 (ja) 電気接続部材
KR101323047B1 (ko) 인서트 몰딩 방식의 캡부를 구비하는 회전 각도 센서 유닛
US11843210B2 (en) Rotary connector device
US20230208248A1 (en) Motor unit
JP4241496B2 (ja) コントロールモジュール
KR102509428B1 (ko) 스테이터 및 이를 포함하는 모터
US20130140166A1 (en) Handle Switch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