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99972A - 회전 각도 센서 유닛 - Google Patents

회전 각도 센서 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99972A
KR20110099972A KR1020100019012A KR20100019012A KR20110099972A KR 20110099972 A KR20110099972 A KR 20110099972A KR 1020100019012 A KR1020100019012 A KR 1020100019012A KR 20100019012 A KR20100019012 A KR 20100019012A KR 20110099972 A KR20110099972 A KR 201100999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cover part
cover
cap
sensor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190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00587B1 (ko
Inventor
김상현
김영진
Original Assignee
한국오므론전장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오므론전장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오므론전장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000190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00587B1/ko
Publication of KR201100999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999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005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005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5/00Steer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15/02Steering position indicators ; Steering position determination; Steering aids
    • B62D15/021Determination of steering angle
    • B62D15/0215Determination of steering angle by measuring on the steering colum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11/00Component parts of measuring arrangement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 G01D11/24Housings ; Casings for instruments
    • G01D11/245Housings for sens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5Reducing production costs, e.g. by redesig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10/00Constructional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410/10Housings

Landscapes

  • Transmission And Conversion Of Sensor Element Outpu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회전 대상물체와 연결되는 회전축; 개방된 일측을 통하여 상기 회전축이 수용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개방된 일측에 구비되며 중앙에 상기 회전축이 관통되도록 제 1 관통홀을 구비하는 제 1 커버부와, 상기 제 1 커버부에서 상기 하우징의 외측에 위치되도록 형성되되, 상기 제 1 관통홀보다 큰 직경을 가지는 제 2 관통홀을 구비하는 제 2 커버부와, 상기 제 1 커버부와 상기 제 2 커버부를 연결시키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커버부; 및 상기 제 2 관통홀에 삽입되며, 상기 회전축이 관통되도록 중앙에 삽입홀이 형성되는 캡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각도 센서 유닛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회전 각도 센서 유닛은 사출성형에 의하여 커버부와 캡부를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제조 단가를 낮출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전체 제조비용 및 가격을 낮추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회전 각도 센서 유닛{Rotary Position Sensor Unit}
본 발명은 회전 각도 센서 유닛에 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 등에 있어서 연속적으로 변화하는 회전체의 회전 각도 변위를 체크하는 회전 각도 센서 유닛에 빗물과 같은 수분이 유입되지 않도록 함은 물론, 간단한 공정으로 제조할 수 있도록 하여 제조 단가를 낮출 수 있도록 하는 회전 각도 센서 유닛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회전 각도 센서 유닛은 연속적으로 변화하는 회전체의 물리적 변화량을 전기적 회로에서 응용하기 위해 사용하는 것으로, 운송차량의 엔진 스로틀 밸브의 개도량 제어나 스티어링 샤프트의 회전각제어, 전자식 가속페달의 답량제어, 중장비와 농기계의 위치제어 및 유체 이송밸브의 개폐측정 등에 사용되고 있다.
최근, 자동차 산업에 있어서의 회전 각도 센서 유닛은 주행 다이내믹 조절, 예컨대 전기 지원식 조향 시스템 등 주로 안전하고 편안한 차량 운행을 위해 사용되며, 이에 따라, 정밀도가 높은 동시에 견고한 회전 각도 센서 유닛에 대한 요구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회전 각도 센서 유닛은 전기저항식, 암호판 엔코더식, 홀센서식, 자기식, 자력식 등이 있으며, 최근에 사용되고 있는 회전 각도 센서 유닛은 변위각을 발생하는 회전체로서 영구자석을 이용하고, 이때 변위에 따른 자계의 세기를 홀(Hall) 소자를 이용하여 홀 소자에 유기되는 전압을 측정하여 회전각의 정도를 측정하는 것이 일반화되어 있다.
도 1은 종래 회전 각도 센서 유닛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회전 각도 센서 유닛은 회전대상물체(미도시)와 연결되는 회전체(2)와, 회전체(2)의 일측에 연결되며 회전체(2)의 회전에 의하여 회전되는 회전축(4)과, 회전체(2)가 회전되도록 안착되는 하우징(10)을 포함한다.
하우징(10)의 내부에는 중공의 공간부(11)가 구비되고, 그 상측은 개방되어 개방부(11a)가 형성된다. 그리고 개방부(11a)의 상측방향을 따라 후술하는 커버부(200)를 지지하도록 기둥 형상으로 지지부(11b)가 돌출 형성되며, 지지부(11b)의 개방된 상측으로 커버부(200)가 삽입된다. 그리고 공간부(11)에는 회전축(4)과 함께 회전하는 영구자석(6)과, 회전되는 상기 영구자석(6)의 자기장 방향 변화를 감지하도록 영구자석(6)의 하단에서 그 하측으로 수직으로 이격 위치되는 홀 소자(8)를 구비하는 기판(Printed Circuit Board, PCB)(7)이 수용된다. 그리고 하우징(10)의 외측부에는 연결구(18)가 형성되어, 외부의 커넥터(미도시)가 연결구(18)에 연결되도록 구성되며, 연결구(18)는 기판(7)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회전축(4)이 회전되면서 영구자석(6)의 자기장이 변화될 때, 홀 소자(8)로 유기되는 전압이 측정되어 회전대상물체의 회전각도가 감지되도록 구성된다.
한편, 하우징(10) 내부에 빗물과 같은 수분이 유입되면, 회전 각도 센서 유닛이 제 성능을 발휘하지 못하고, 오작동하게 되며, 이러한 회전 각도 센서 유닛의 오작동은 자칫 대형사고를 유발할 수도 있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하우징(10)에서 회전축(4)이 삽입되는 일측 개방부(11a)에 커버부(200)가 삽입된다. 그리고 커버부(200)의 중앙에는 회전축(4)이 삽입되도록 관통홀(200a)이 형성된다.
그리고 커버부(200)의 관통홀(200a) 상측에는 커버부 내부로 수분 등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회전축을 가이딩하도록 하기 위한 캡(220)이 삽입된다. 즉, 회전축(4)이 캡(220)에 형성된 삽입홀(220a)을 관통하여 커버부(200)의 관통홀(200a)을 따라 하우징(10) 내부에 위치된다. 그리고 캡(220)의 삽입홀(220a) 내주연에는 하우징(10) 내부로 물 등이 침투되지 못하도록 고무패킹부(260)가 형성되고, 캡(220)의 내부에는 캡(220)을 견고하게 지지하도록 지지링(240)이 삽입된다. 이처럼 캡(220) 내부에 삽입된 지지링(240)에 의하여 회전축(4)의 회전에 의한 흔들림으로부터 회전축(4)이 견고하게 지지되어, 캡(220)의 고무패킹부(260)와 회전축(4) 사이에 틈이 발생되지 않게 된다.
그런데 이처럼 캡(220)의 내부에 지지링(240)이 형성되고 캡(220)의 내주연에 고무패킹부(260)가 형성되는 공정은, 지지링(240) 외부에 캡(220)과 고무패킹부(260)를 몰딩하고, 이것을 커버부(200)에 억지로 끼워넣어야 하므로, 제조 공정이 복잡한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단순한 공정으로 캡부를 형성하도록 하고, 하우징 내부로 수분이 침투되지 못하도록 하는 회전 각도 센서 유닛을 제공하도록 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회전 대상물체와 연결되는 회전축; 개방된 일측을 통하여 상기 회전축이 수용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개방된 일측에 구비되며 중앙에 상기 회전축이 관통되도록 제 1 관통홀을 구비하는 제 1 커버부와, 상기 제 1 커버부에서 상기 하우징의 외측에 위치되도록 형성되되, 상기 제 1 관통홀보다 큰 직경을 가지는 제 2 관통홀을 구비하는 제 2 커버부와, 상기 제 1 커버부와 상기 제 2 커버부를 연결시키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커버부; 및 상기 제 2 관통홀에 삽입되며, 상기 회전축이 관통되도록 중앙에 삽입홀이 형성되는 캡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각도 센서 유닛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하우징은, 일측으로 상기 회전축이 수용되는 제 1 수용홈이 구비되고, 타측으로 상기 기판이 수용되도록 제 2 수용홈이 구비되되, 상기 제 1 수용홈과 상기 제 2 수용홈은 상호 독립된 공간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각도 센서 유닛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캡부에서 상기 제 1 커버부 방향으로 하나 이상의 제 1 결합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 1 커버부에서 상기 제 1 결합부와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제 1 결합부와 끼움 결합되는 제 2 결합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각도 센서 유닛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 2 관통홀의 내주연에는 하나 이상의 리브가 형성되고, 상기 캡부에서 상기 리브와 대응되는 위치에는 리브수용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각도 센서 유닛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 1 커버부와 상기 제 2 커버부와 상기 연결부는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각도 센서 유닛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캡부는 고무 또는 우래탄 재질을 포함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각도 센서 유닛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캡부는 상기 커버부 내에서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각도 센서 유닛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캡부는 상기 커버부 내에서 이중 사출 성형 또는 인서트(Insert) 사출 성형에 의하여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각도 센서 유닛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 1 관통홀의 내주연에는 부싱이 삽입되고, 상기 부싱내에 상기 회전축이 삽입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각도 센서 유닛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부싱의 외주연에는 제 1 걸림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 1 관통홀의 내주연에서 상기 제 1 걸림부와 대응되는 위치에는 상기 제 1 걸림부와 끼움 결합되도록 제 2 걸림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각도 센서 유닛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회전 각도 센서 유닛은 캡부를 커버부에 끼우기 위한 별도의 억지 끼움 공정 없이, 커버부에 캡부를 성형 몰딩시키는 단순한 공정으로, 커버부에 캡부를 고정 위치시킬 수 있게 되므로, 제조 공정이 간단해지며 이에 따라 전체 제조비용 및 가격을 다운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회전 각도 센서 유닛은 빗물과 같은 수분이 홀 소자 또는 기판으로 유입되지 않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회전 각도 센서 유닛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회전 각도 센서 유닛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회전 각도 센서 유닛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회전 각도 센서 유닛의 커버부와 캡부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2 실시예에 따른 회전 각도 센서 유닛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2 실시예에 따른 회전 각도 센서 유닛의 커버부와 캡부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회전 각도 센서 유닛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회전 각도 센서 유닛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회전 각도 센서 유닛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회전 각도 센서 유닛은 회전대상물체와 연결되는 회전체(2)와, 일측이 회전체(2)에 연결되며 회전체(2)의 회전에 의하여 회전되는 회전축(4)과, 회전축(4)의 타측에 결합되는 영구자석(6)과, 회전축(4)의 타측의 수직 하방 연장선상을 따라 영구자석(6)의 하측에 이격 위치되어 영구자석(6)의 회전 각도 변화를 감지하는 홀 소자(8)를 구비하는 기판(7)과, 상측으로 상기 회전축(4)과 상기 영구자석(6)이 수용되고, 하측으로 상기 기판(7)이 수용되는 하우징(10)과, 상기 하우징(10)의 상측에 삽입되어 상기 회전축(4)을 지지하는 커버부(20)와, 커버부(20)에 삽입되는 캡부(40)를 포함한다.
하우징(10)은 회전축(4), 영구자석(6), 커버부(20) 및 기판(7)이 수용되도록 그 내부에 중공의 공간부(11)가 구비되고, 그 상측은 개방되어 개방부(11a)가 구비된다. 그리고 개방부(11a)의 상측방향을 따라 후술하는 커버부(20)를 지지하도록 기둥 형상으로 지지부(11b)가 돌출 형성되며, 지지부(11b)의 개방된 상측으로 커버부(20)가 삽입된다.
한편, 하우징(10)의 하측은 하우징(10) 내부로 기판(7)이 수용되도록 개방되어 있으며, 이렇게 개방된 하우징(10) 하측에 서브커버(19)가 장착되어, 하우징(10)의 개방된 하측을 개폐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커버부(20)는 하우징(10)의 개방된 상측을 커버하고, 회전축(4)이 용이하게 회전되도록 가이드 하는 것으로, 하우징(10)의 개방된 상측에 삽입되며 중앙에 회전축(4)이 관통되도록 제 1 관통홀(21)을 구비하는 제 1 커버부(20a)와, 제 1 커버부(20a)에서 하우징(10)의 외측에 위치되도록 형성되되, 제 1 관통홀(21)보다 큰 직경을 가지는 제 2 관통홀(22)을 구비하는 제 2 커버부(20b)와, 제 1 커버부(20a)와 제 2 커버부(20b)를 연결시키는 연결부(2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제 1 커버부(20a), 제 2 커버부(20b) 및 연결부(20c)는 일체로 형성되며, 제 1 관통홀(21)과 제 2 관통홀(22)은 상호 연결되도록 형성되어, 회전축(4)이 제 2 관통홀(22)과 제 1 관통홀(21)을 통하여 하우징(10) 내부에 삽입되도록 구성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커버부(20)는 하우징(10) 내부에 별도로 삽입되도록 구성되었으나, 이를 한정하는 것은 아님 당연하고, 제조 공정의 간소화를 위하여, 커버부(20)는 하우징(10)에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제 1 관통홀(21)의 하측과 회전축(4) 사이에는 부싱(30)이 위치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제 1 관통홀(21) 내주연은 사출성형으로 인하여 울퉁불퉁할 수 있으며, 회전축(4)에 의하여 변형이 발생될 수 있는데, 이는 회전축(4)의 회전에 악영향을 끼칠 수 있다. 이를 해결하고자, 제 1 관통홀(21)의 하측 내주연에 금속 등의 견고한 재질로 형성되는 부싱(30)이 삽입되고, 부싱(30)에 회전축(4)이 삽입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부싱(30)의 외주연에는 오목하게 제 1 걸림부(31)가 형성되고, 관통홀의 내주연에서 부싱(30)의 제 1 걸림부(31)와 대응되는 위치에는 제 1 걸림부(31)가 끼움 결합되도록 제 2 걸림부(21a)가 형성되어, 부싱(30)이 관통홀에 견고하게 위치되도록 구성된다.
캡부(40)는 커버부(20)의 제 2 관통홀(22)에 삽입되어 제 2 관통홀(22)을 커버하는 것으로, 하기 도4를 통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회전 각도 센서 유닛의 커버부와 캡부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캡부(40)는 커버부(20)의 제 2 관통홀(22)에 삽입되는 것으로, 회전축(4)이 삽입되도록 중앙에 삽입홀(40a)이 형성된다. 그리고 삽입홀(40a)의 내주연 하측에는 회전축(4)이 흔들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부싱(30)보다 더 돌출되는 돌출부(40b)가 형성된다.
그리고 캡부(40)가 커버부(20)의 제 2 관통홀(22)에 삽입될 때, 캡부(40)에서 제 1 커버부(20a) 방향으로 하나 이상의 제 1 결합부(44)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제 1 커버부(20a)에서 상기 제 1 결합부(44)와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제 1 결합부(44)와 끼움결합되도록 제 2 결합부(21b)가 오목하게 형성되어, 캡부(40)의 제 1 결합부(44)가 제 1 커버부(20a)의 제 2 결합부(21b)와 끼움결합된다. 한편,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서 제 1 결합부(44)는 돌출 형성되고 제 2 결합부(21b)는 오목하게 형성되었으나, 이는 일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 설치 환경 등에 따라 제 1 결합부(44)가 오목하게 형성되고, 제 2 결합부(21b)가 돌출 형성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제 2 커버부(20b)의 제 2 관통홀(22)의 내주연에는 그 길이방향을 따라 하나 이상의 리브(22a)가 돌출 형성되고, 캡부(40)의 외주연에서 리브(22a)와 대응되는 위치에는 요홈 형상으로 리브수용부(42)가 형성되어, 캡부(40)의 리브수용부(42)가 제 2 커버부(20b)의 리브(22a)에 끼워진다. 이러한 제 2 결합부(21b)와 제 1 결합부(44)의 끼움 결합 및 리브(22a)와 리브수용부(42)의 끼움 결합에 의하여, 커버부(20)에 삽입되는 캡부(40)가 회전축(4)의 회전에 의하여 회전되지 않고 견고하게 커버부(20)에 고정 위치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서 리브(22a)가 제 2 커버부(20b)에 형성되고, 리브수용부(42)가 캡부(40)에 형성되도록 구성되었으나, 이는 일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 설치 환경 등에 따라, 리브(22a)가 캡부(40)에 형성되고, 리브수용부(42)가 제 2 커버부(20b)에 형성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캡부(40)는 밀착성과 수밀성을 가지는 우레탄, 고무 등의 플랙시블한 재질로 구성되고, 커버부(20)는 견고한 플라스틱 재질로 구성되어, 캡부(40)에 의하여 빗물 등의 외부 수분이 커버부(20)의 제 1 관통홀(21)로 침투되지 못하도록 구성된다.
한편, 본 발명의 도 4는 캡부(40)와 커버부(20)를 따로 도시하였으나, 이는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캡부(40)와 커버부(20)를 따로 도시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캡부(40)와 커버부(20)는 각각 별도로 형성된 후 결합되는 것이 아니라, 이중 사출 성형 또는 인서트(Insert) 사출 성형에 의하여 일체화 되어 형성된다. 즉, 부싱(30)이 삽입된 커버부(20)를 먼저 형성한 후, 이어서 캡부(40)가 상기 커버부(20) 내에서 성형 몰딩되도록 이중 사출 성형 또는 인서트(Insert) 사출 성형되어, 상기 커버부(20)와 캡부(40)가 일체화 되도록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이중 사출 성형 또는 인서트(Insert) 사출 성형은 제조과정에서 일반적으로 행해지는 사출성형방식으로써,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처럼 본 발명은 캡부(40)를 커버부(20)에 끼우기 위한 별도의 억지 끼움 공정 없이, 커버부(20)에 캡부(40)를 성형 몰딩시키는 단순한 공정으로, 커버부(20)에 캡부(40)를 위치시킬 수 있게 되어, 제조 공정이 간단해지며 이에 따라 전체 제조비용 및 가격을 다운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2 실시예에 따른 회전 각도 센서 유닛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2 실시예에 따른 회전 각도 센서 유닛은 하우징(10)의 내부 구조와, 캡부(40)와 커버부(20)의 제 1, 2 결합부( 44', 23a')의 길이가 상이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제 1 실시예와 동일하도록 구성된다.
즉,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2 실시예에 따른 회전 각도 센서 유닛은 회전대상물체와 연결되는 회전체(2)와, 일측이 회전체(2)에 연결되며 회전체(2)의 회전에 의하여 회전되는 회전축(4)과, 회전축(4)의 타측에 결합되는 영구자석(6)과, 회전축(4)의 타측의 수직 하방 연장선상을 따라 영구자석(6)의 하측에 이격 위치되어 영구자석(6)의 회전 각도 변화를 감지하는 홀 소자(8)를 구비하는 기판(7)과, 상측으로 상기 회전축(4)과 상기 영구자석(6)이 수용되고, 하측으로 상기 기판(7)이 수용되는 하우징(10)과, 상기 하우징(10)의 상측에 삽입되어 상기 회전축(4)을 지지하는 커버부(20)와, 커버부(20)에 삽입되는 캡부(40)를 포함한다.
여기서 하우징(10)은 회전축(4), 영구자석(6), 커버부(20) 및 기판(7)이 수용되도록 그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는데, 상기 공간은 분할부(15)에 의하여 두 개의 공간으로 구획된다. 즉, 하우징(10)의 내부 상측으로 제 1 수용홈(12)이 구비되고, 하우징(10)의 내부 하측으로 제 2 수용홈(14)이 구비되며, 제 1 수용홈(12)과 제 2 수용홈(14) 사이에 분할부(15)가 위치된다. 그리고 하우징(10)의 제 1 수용홈(12)의 개방된 상측을 통하여 회전축(4)과 영구자석(6)이 제 1 수용홈(12) 내부에 수용 위치되고, 제 2 수용홈(14)의 개방된 하측을 통하여 기판(7)이 제 2 수용홈(14) 내부에 수용 위치된다. 이때, 하우징(10)의 제 1 수용홈(12)과 제 2 수용홈(14)은 분할부(15)에 의하여 서로 분리되어 차폐되므로, 제 1 수용홈(12)에 인입된 수분 등은 제 2 수용홈(14)으로 침투되지 못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제 1 수용홈(12)의 개방된 상측으로 커버부(20)가 삽입되고, 제 2 수용홈(14)의 개방된 하측으로 서브커버(19)가 설치된다.
이처럼 하우징(10)의 제 1 수용홈(12)과 제 2 수용홈(14)이 분할부(15)에 의하여 서로 분리되어 차폐되므로, 제 1 수용홈(12) 내부로 빗물과 같은 수분이 유입된다 하더라도, 제 2 수용홈(14)으로 침투되지 못하도록 구성된다. 이에 따라 기판(7)의 상부에 위치되는 홀 소자(8)로 빗물과 같은 수분이 유입되지 못하게 되어, 외부에서 발생되는 수분 또는 물로부터 회전 각도 센서 유닛 내부가 안정적으로 방수되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커버부(20)의 제 1 커버부(20a)는 제 1 수용홈(12)의 개방된 상측에 삽입되어, 하우징(10)의 제 1 수용홈(12)의 개방된 상측을 커버하도록 구성되고, 커버부(20)의 제 2 커버부(20b)는 하우징(10) 외측에 위치된다. 그리고 제 1 커버부(20a)의 중앙에 제 1 관통홀(21)이 형성되고, 제 2 커버부(20b)의 중앙에 캡부(40)가 삽입되도록 제 1 관통홀(21) 보다 큰 직경을 가지는 제 2 관통홀(22)이 형성된다. 그리고 제 1 관통홀(21)과 제 2 관통홀(22)은 상호 연결되어, 회전축(4)이 제 2 관통홀(22)과 제 1 관통홀(21)을 통하여 하우징(10) 내부에 삽입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제 1 관통홀(21)의 내주연에 부싱(30)이 위치된다.
캡부(40)는 커버부(20)의 제 2 관통홀(22)에 삽입되어 제 2 관통홀(22)을 커버하는 것으로, 하기 도6을 통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2 실시예에 따른 회전 각도 센서 유닛의 커버부와 캡부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캡부(40)는 커버부(20)의 제 2 관통홀(22)에 삽입되는 것으로, 회전축(4)이 삽입되도록 중앙에 삽입홀(40a)이 형성된다. 그리고 캡부(40) 내주연에 상기 제 1 실시예의 돌출부(40b: 도 4 도시)는 설계 조건에 따라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그리고 캡부(40)가 커버부(20)의 제 2 관통홀(22)에 삽입될 때, 캡부(40)에서 제 1 커버부(20a) 방향으로 하나 이상의 제 1 결합부(44')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제 1 커버부(20a)에서 상기 제 1 결합부(44')와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제 1 결합부(44')와 끼움결합되도록 제 2 결합부(21b')가 관통 형성되어, 캡부(40)의 제 1 결합부(44')가 제 1 커버부(20a)의 제 2 결합부(21b')에 끼움결합된다.
그리고 제 2 커버부(20b)의 제 2 관통홀(22)의 내주연에 리브(22a)가 돌출 형성되고, 캡부(40)의 외주연에는 리브수용부(42)가 형성되어, 캡부(40)의 리브수용부(42)가 커버부(20)의 리브(22a)에 끼워진다. 이러한 제 2 결합부(21b')와 제 1 결합부(44')의 끼움 결합 및 리브(22a)와 리브수용부(42)의 끼움 결합에 의하여, 커버부(20)에 삽입되는 캡부(40)가 회전축(4)의 회전에 의하여 회전되지 않고 견고하게 커버부(20)에 고정 위치되도록 한다.
여기서 캡부(40)와 커버부(20)는 상기 도 4와 마찬가지로,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따로 도시한 것에 불과한 것임에 유념해야 한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캡부(40)와 커버부(20)는 상기 제 1 실시에와 같이, 이중 사출 성형 또는 인서트(Insert) 사출 성형에 의하여 성형 몰딩 되어 일체화 되도록 구성된다.
이처럼 본 발명은 캡부(40)를 커버부(20)에 끼우기 위한 별도의 공정 없이, 커버부(20)에 캡부(40)를 성형 몰딩 시키는 단순한 공정으로, 커버부(20)에 캡부(40)를 위치시킬 수 있게 되어, 제조 공정이 간단해지며 이에 따라 전체 제조비용 및 가격을 다운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서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회전체 4: 회전축
6: 영구자석 7: 기판
8: 홀 소자 10: 하우징
11: 공간부 11a: 개방부
11b: 지지부 12: 제 1 수용홈
14: 제 2 수용홈 15: 분할부
18: 연결구 19: 서브커버
20: 커버부 20a: 제 1 커버부
20b: 제 2 커버부 20c: 연결부
21: 제 1 관통홀 21a: 제 2 걸림부
21b, 21b': 제 2 결합부 22: 제 2 관통홀
22a: 리브 30: 부싱
31: 제 1 걸림부 40: 캡부
40a: 삽입홀 40b: 돌출부
42: 리브수용부 44, 44': 제 1 결합부

Claims (10)

  1. 회전 대상물체와 연결되는 회전축;
    개방된 일측을 통하여 상기 회전축이 수용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개방된 일측에 구비되며 중앙에 상기 회전축이 관통되도록 제 1 관통홀을 구비하는 제 1 커버부와, 상기 제 1 커버부에서 상기 하우징의 외측에 위치되도록 형성되되, 상기 제 1 관통홀보다 큰 직경을 가지는 제 2 관통홀을 구비하는 제 2 커버부와, 상기 제 1 커버부와 상기 제 2 커버부를 연결시키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커버부; 및
    상기 제 2 관통홀에 삽입되며, 상기 회전축이 관통되도록 중앙에 삽입홀이 형성되는 캡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각도 센서 유닛.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일측으로 상기 회전축이 수용되는 제 1 수용홈이 구비되고, 타측으로 상기 기판이 수용되도록 제 2 수용홈이 구비되되, 상기 제 1 수용홈과 상기 제 2 수용홈은 상호 독립된 공간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각도 센서 유닛.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캡부는 상기 제 1 커버부 방향으로 하나 이상의 제 1 결합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 1 커버부는 상기 제 1 결합부와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제 1 결합부와 끼움 결합되는 제 2 결합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각도 센서 유닛.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관통홀의 내주연에는 하나 이상의 리브가 형성되고,
    상기 캡부에서 상기 리브와 대응되는 위치에는 리브수용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각도 센서 유닛.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커버부와 상기 제 2 커버부와 상기 연결부는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각도 센서 유닛.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캡부는 고무 또는 우래탄 재질을 포함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각도 센서 유닛.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캡부는 상기 커버부 내에서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각도 센서 유닛.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캡부는 상기 커버부 내에서 이중 사출 성형 또는 인서트(Insert) 사출 성형에 의하여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각도 센서 유닛.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관통홀의 내주연에는 부싱이 삽입되고, 상기 부싱 내에 상기 회전축이 삽입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각도 센서 유닛.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부싱의 외주연에는 제 1 걸림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 1 관통홀의 내주연에서 상기 제 1 걸림부와 대응되는 위치에는 상기 제 1 걸림부와 끼움 결합되도록 제 2 걸림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각도 센서 유닛.
KR20100019012A 2010-03-03 2010-03-03 회전 각도 센서 유닛 KR1012005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00019012A KR101200587B1 (ko) 2010-03-03 2010-03-03 회전 각도 센서 유닛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00019012A KR101200587B1 (ko) 2010-03-03 2010-03-03 회전 각도 센서 유닛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99972A true KR20110099972A (ko) 2011-09-09
KR101200587B1 KR101200587B1 (ko) 2012-11-12

Family

ID=449526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00019012A KR101200587B1 (ko) 2010-03-03 2010-03-03 회전 각도 센서 유닛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0058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4824B1 (ko) * 2012-01-06 2014-01-23 한국오므론전장주식회사 결합력이 증대된 회전 각도 센서
KR20190135226A (ko) * 2018-05-28 2019-12-06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컨버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8854B1 (ko) * 2019-10-22 2020-03-13 박성민 평면자석을 활용한 선박의 러더센서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56245A (ja) * 2000-11-20 2002-05-31 Aisin Seiki Co Ltd 非接触式変位センサ
JP3899909B2 (ja) * 2001-11-28 2007-03-28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回転角度センサ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4824B1 (ko) * 2012-01-06 2014-01-23 한국오므론전장주식회사 결합력이 증대된 회전 각도 센서
KR20190135226A (ko) * 2018-05-28 2019-12-06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컨버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00587B1 (ko) 2012-1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47275B2 (en) Rotary connector device
CN105322721B (zh) 具有可卡锁的电子接口的传动-驱动单元
CN107317282A (zh) 电气接线箱和线束
CN106660425A (zh) 机电伺服驱动器
CN104470793B (zh) 旋转角传感器
US20210078631A1 (en) Sensor Device for a Steering System of a Vehicle
US8840311B2 (en) Rolling bearing with integrated sensor
US20160276907A1 (en) Electric Machine
KR101200587B1 (ko) 회전 각도 센서 유닛
CN104067461B (zh) 内置有传感器的旋转连接器
CN105229871B (zh) 用于在印刷电路板与电动机之间建立电接触的接触装置
JP6093323B2 (ja) 物理量測定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JP6864885B2 (ja) ステアリング装置
US8896296B2 (en) Relative angle sensing device with a hinged cable harness component
KR101323047B1 (ko) 인서트 몰딩 방식의 캡부를 구비하는 회전 각도 센서 유닛
WO2010143021A1 (en) Rolling bearing assembly with a sensor and process for manufacturing such a bearing assembly
CN105322703A (zh) 可插入的电子模块的传动-驱动单元
CN107112863B (zh) 电机装置
KR20100050670A (ko) 자성체를 구비하는 회전 각도 센서
KR102080425B1 (ko) 스티어링 칼럼 구조
JP2014058251A (ja) 電動キャスタ
KR20100029696A (ko) 회전 각도 센서 유닛
US20220281513A1 (en) Steering device for vehicle
KR200368533Y1 (ko) 자동차용 스피드센서
JP5284061B2 (ja) モー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9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