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35787A - 광섬유 절단 장치 - Google Patents

광섬유 절단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35787A
KR20180135787A KR1020177023087A KR20177023087A KR20180135787A KR 20180135787 A KR20180135787 A KR 20180135787A KR 1020177023087 A KR1020177023087 A KR 1020177023087A KR 20177023087 A KR20177023087 A KR 20177023087A KR 20180135787 A KR20180135787 A KR 201801357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ade
blade member
optical fiber
pivoting
b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230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98646B1 (ko
Inventor
가쓰미 사사키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후지쿠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후지쿠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후지쿠라
Publication of KR201801357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357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86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86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25Preparing the ends of light guides for coupling, e.g. cut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1/00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 B26D1/01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 B26D1/12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having a cutting member moving about an axis
    • B26D1/14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having a cutting member moving about an axis with a circular cutting member, e.g. disc cutter
    • B26D1/141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having a cutting member moving about an axis with a circular cutting member, e.g. disc cutter for thin material, e.g. for sheets, strip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3/00Cutting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cut made; Apparatus therefor
    • B26D3/08Making a superficial cut in the surface of the work without removal of material, e.g. scoring, incis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5/00Arrangements for operating and controlling machines or device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5/08Means for actuating the cutting member to effect the cut
    • B26D5/10Hand or foot actuated means

Abstract

본 발명의 광섬유 절단 장치는, 광섬유의 길이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된 한 쌍의 클램프를 가지는 기대와, 원판형의 날 부재를 가지고, 상기 날 부재를 상기 한 쌍의 클램프 사이에서 이동시켜, 상기 광섬유의 표면을 상기 날 부재의 외주 에지부에 접촉시켜 흠집을 내는 날 부재 이동대와, 상기 광섬유의 흠집부를 가압하여 굽혀 상기 광섬유를 절단하는 가압 부재를 구비한다. 상기 날 부재는, 상기 광섬유에 접촉하는 외주 에지부의 위치를 변경하기 위해 상기 날 부재 이동대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게 고정되고, 상기 기대는, 상기 기대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게 고정된 회동 부재로서, 그것을 회동시킴으로써동력을 전달하여 상기 날 부재를 회동시키는 회동 부재를 더 가지고, 상기 날 부재와 상기 회동 부재 사이의 동력 전달이 해제 가능하다.

Description

광섬유 절단 장치
본 발명은, 광섬유 절단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원은, 2017년 3월 24일자에 일본에 출원된 특허출원 제2017-059454호에 기초하여 우선권을 주장하고, 그 내용을 여기에 원용한다.
광섬유 절단 장치에 있어서, 광섬유[광섬유 심선(心線)]를 절단할 때는, 먼저, 날 부재를 광섬유에 접촉시켜 광섬유의 표면에 초기 흠집을 낸다(加傷). 그 후, 광섬유 중 초기 흠집을 낸 부위를 눌러굽힘으로써, 광섬유를 절단한다. 날 부재는, 광섬유에 초기 흠집을 낼 때마다 마모된다. 그러므로, 종래에는, 날 부재 중 광섬유에 접촉하는 부위를 변경하는 것이 고려되고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
특허문헌 1에는, 모터(구동원)의 구동력에 의해 날 부재를 회동(回動)시킴으로써, 광섬유에 대한 날 부재의 접촉 부위를 변경하는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일본 공개특허 평6-186436호 공보
그러나,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장치에서는, 날 부재를 회동하기 위한 캠이, 광섬유의 표면을 흠집을 내기 위해 날 부재를 이동시키는 날 부재 이동대에 설치되어 있다. 그러므로, 캠을 구동시키는 모터(구동원)를 날 부재 이동대에 설치하기 위해 모터에 접속하는 배선을 길게 할 필요가 있는 등, 날 부재를 회동하기 위한 기구(機構)가 복잡해져 버린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날 부재를 회동하기 위한 기구의 간소화를 도모할 수 있는 광섬유 절단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관한 광섬유 절단 장치는, 광섬유의 길이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된 한 쌍의 클램프(clamp)를 가지는 기대(基臺; base)와, 원판형의 날 부재를 가지고, 상기 날 부재를 상기 한 쌍의 클램프 사이에서 이동시켜, 상기 광섬유의 표면을 상기 날 부재의 외주 에지부에 접촉시켜 흠집을 내는 날 부재 이동대와, 상기 광섬유의 흠집부를 가압하여 굽혀 상기 광섬유를 절단하는 가압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날 부재는, 상기 광섬유에 접촉하는 외주 에지부의 위치를 변경하기 위해 상기 날 부재 이동대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게 고정되고, 상기 기대는, 상기 기대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게 고정된 회동 부재로서, 그것을 회동시킴으로써 동력을 전달하여 상기 날 부재를 회동시키는 회동 부재를 더 가지고, 상기 날 부재와 상기 회동 부재 사이의 동력 전달이 해제 가능하다.
상기 광섬유 절단 장치에 있어서, 상기 날 부재와 상기 회동 부재 사이의 동력 전달은, 상기 날 부재 이동대가 소정 위치로 이동한 경우에만 가능해도 된다.
상기 광섬유 절단 장치에 있어서, 상기 날 부재와 상기 회동 부재 사이의 동력 전달은, 상기 회동 부재의 회동 위치에 따라 해제되어도 된다.
또한, 상기 광섬유 절단 장치에 있어서, 상기 날 부재와 상기 회동 부재 사이의 동력 전달은, 상기 날 부재에 작용하는 토크가 소정값 이상으로 된 경우에 해제되어도 된다.
또한, 상기 광섬유 절단 장치에 있어서, 상기 회동 부재는, 전자력에 의해 회동시켜도 된다.
또한, 상기 광섬유 절단 장치에 있어서, 상기 날 부재 이동대는, 상기 날 부재 이동대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게 고정되고, 사용자에 의한 회동에 의해 동력을 전달하여 상기 날 부재를 회동시키는 수동 조작용 회동 부재를 더 가지고, 상기 기대는, 내부에 수용한 상기 날 부재 이동대의 상기 수동 조작용 회동 부재를 외부로 노출시키는 창을 더 가져도 된다.
또한, 상기 광섬유 절단 장치에 있어서, 상기 창은, 상기 기대의 바닥면 및/또는 측면에 설치되어도 된다.
또한, 상기 광섬유 절단 장치에 있어서, 상기 기대는, 상기 수동 조작용 회동 부재를 덮는 오회전 방지용의 커버를 더 가져도 된다.
또한, 상기 광섬유 절단 장치에 있어서, 상기 수동 조작용 회동 부재는, 상기 날 부재 이동대가 소정 위치로 이동한 경우에만, 상기 창으로부터 외부로 노출되어도 된다.
또한, 상기 광섬유 절단 장치는, 상기 날 부재 및 상기 회동 부재 중 하나 이상을 소정의 회동 위치에 유지하는 유지 기구를 더 구비해도 된다.
또한, 상기 광섬유 절단 장치는, 상기 날 부재와 상기 회동 부재, 및 상기 수동 조작용 회동 부재 중 하나 이상을 소정의 회동 위치에 유지하는 유지 기구를 더 구비해도 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날 부재의 회동을 모터 등의 구동원에 의해 구동하는 경우에는, 구동원을 기대에 설치된 회동 부재에 접속하면 된다. 즉, 구동원을 기대에 설치할 수 있다. 따라서, 구동원에 접속하기 위한 배선(전기 배선)을 짧게 할 수 있는 등, 날 부재를 회동하기 위한 기구의 간소화를 도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한 광섬유 절단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한 광섬유 절단 장치를 나타낸 단면도(斷面圖)이다.
도 3은 도 1 및 도 2의 광섬유 절단 장치에 있어서, 기대에 장착된 회동 부재, 제1 위치에 배치된 날 부재 이동대, 및 날 부재 이동대에 장착된 날 부재, 날 부재 고정 부재, 수동 조작용 회동 부재, 가압 부재 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IV-IV 화살표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3에 나타낸 구성에 있어서, 날 부재 및 가압 부재를 날 부재 이동대로부터 분리해 낸 상태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에 나타낸 구성으로부터 날 부재 이동대를 제거한 상태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7a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한 광섬유 절단 장치에 구비하는 날 부재 고정 부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b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한 광섬유 절단 장치에 구비하는 날 부재 고정 부재를 나타낸 정면도이며, 도 7a에 나타낸 VIIb 방향으로부터 본 도면이다.
도 7c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한 광섬유 절단 장치에 구비하는 날 부재 고정 부재를 나타낸 배면도이며, 도 7a에 나타낸 VIIc 방향으로부터 본 도면이다.
도 8은 도 3, 도 5, 도 6에 나타낸 구성에 있어서, 기대에 장착된 회동 부재와, 날 부재 이동대에 장착된 날 부재 고정 부재, 수동 조작용 회동 부재 및 중계 부재와의 위치 관계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9는 도 1 및 도 2의 광섬유 절단 장치에 있어서, 기대에 장착된 회동 부재, 제2 위치에 배치된 날 부재 이동대, 및 날 부재 이동대에 장착된 날 부재, 날 부재 고정 부재, 수동 조작용 회동 부재, 가압 부재 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에 나타낸 구성에 있어서, 기대에 장착된 회동 부재와, 날 부재 이동대에 장착된 날 부재 고정 부재, 수동 조작용 회동 부재 및 중계 부재와의 위치 관계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관한 광섬유 절단 장치에 있어서, 날 부재 이동대가 제1 위치에 배치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광섬유 절단 장치에 있어서, 날 부재 이동대가 제2 위치에 배치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관한 광섬유 절단 장치에 있어서, 날 부재 이동대가 제1 위치에 배치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관한 광섬유 절단 장치의 일 실시형태에 대하여, 도 1∼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광섬유 절단 장치(1)는, 한 쌍의 클램프(11, 12)를 가지는 기대(10)와, 원판형의 날 부재(13)를 가지는 날 부재 이동대(14)와, 가압 부재(15)를 구비한다. 기대(10)는, 베이스부(110)와, 커버부(17)를 구비한다. 커버부(17)는, 베이스부(110)에 대하여 회동축(回動軸)(16)을 중심으로 하여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한 쌍의 클램프(11, 12)는, 광섬유(100)의 길이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한 쌍의 클램프(11, 12)는, 광섬유(100)를 파지(把持)한다. 각 클램프(11, 12)는, 광섬유(100)를 상하 방향(도 1 및 도 2에 있어서 상하 방향)으로부터 끼워넣는 하부 클램프(11A, 12A) 및 상부 클램프(11B, 12B)를 가진다. 하부 클램프(11A, 12A) 및 상부 클램프(11B, 12B) 중 서로 대향하는 부위[광섬유(100)를 끼워넣는 부위]에는, 고무 등의 탄성 패드가 설치되어 이루어진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한 쌍의 하부 클램프(11A, 12A)는, 베이스부(110)의 상면(10a)에 배치되어 있다. 한편, 한 쌍의 상부 클램프(11B, 12B)는, 커버부(17)에 설치되어 있다.
커버부(17)를 베이스부(110)에 대하여 폐쇄함으로써, 한 쌍의 클램프(11, 12)에 의해 광섬유(100)를 파지할 수 있다.
날 부재 이동대(14)[이하, 날대(14)라고 함]는, 날 부재(13)를 한 쌍의 클램프(11, 12) 사이에서 이동시켜, 광섬유(100)의 표면을 날 부재(13)의 외주 에지부에 접촉시켜 흠집을 낸다. 날대(14)는, 날 부재(13)를 한 쌍의 클램프(11, 12) 사이를 통하도록 기대(10)에 대하여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날대(14)는 베이스부(110)에 대하여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날대(14)의 이동 방향은, 적어도 날 부재(13)에 의해 광섬유(100)의 표면을 흠집을 낼 수 있도록, 한 쌍의 클램프(11, 12)에 파지된 광섬유(100)의 길이 방향으로 교차하는 방향이면 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날대(14)의 이동 방향은, 한 쌍의 클램프(11, 12)에 파지된 광섬유(100)의 길이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이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날대(14)는 베이스부(110)의 내부에 수용되어 있다. 이에 따라 날 부재(13)의 대부분은 베이스부(110)의 내부에 배치되고, 날 부재(13)의 일부만이 베이스부(110)의 상면(10a)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다. 그리고, 날대(14)의 이동 방향은, 베이스부(110)의 상면(10a)에 따른 방향이다.
본 실시형태의 날대(14)에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샤프트(32)가 삽통(揷通)되어 있다. 샤프트(32)는, 베이스부(110)의 내부에 장착되고, 날대(14)를 베이스부(110)에 대하여 소정의 직선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궤도이다. 즉, 날대(14)는, 샤프트(32)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도 1∼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한 날대(14)에 구비하는 원판형의 날 부재(13)는, 그 원판 평면이 날대(14)의 이동 방향을 따르도록 배치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날 부재(13)의 원판 평면은 광섬유(100)의 길이 방향[한 쌍의 클램프(11, 12)의 배열 방향]에 직교하고 있다.
날 부재(13)는, 그 이동 경로의 도중 (이동 도중)에 있어서 날 부재(13)의 외주 에지부[날끝(cutting edge)]이 한 쌍의 클램프(11, 12)에 파지된 광섬유(100)의 표면에 접촉함으로써, 광섬유(100)의 표면을 흠집을 낸다.
날 부재(13)는, 광섬유(100)의 표면에 접촉하는 외주 에지부의 위치를 변경하기 위해 날대(14)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게 고정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날 부재(13)는, 날 부재(13)의 축선(A1)[도 2에 있어서 지면(紙面)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선]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로써, 광섬유(100)에 접촉하는 날 부재(13)의 외주 에지부의 위치가 변경 가능하게 되어 있다.
광섬유(100)를 흠집을 낼 때는, 날 부재(13)의 외주 에지부 중 주위 방향의 소정 길이[이하, 날 부재(13)의 접촉 길이라고 함]가, 광섬유(100)의 표면에 접촉한다. 그러므로, 광섬유(100)에 접촉하는 날 부재(13)의 외주 에지부의 위치를 변경할 때는, 날 부재(13)의 접촉 길이에 대응하는 각도 단위로, 날 부재(13)를 회동시키면 된다. 날 부재(13)의 접촉 길이는, 날 부재(13)의 외주 에지부의 전체 주위를 복수의 영역으로 등분 비율로 한 길이이면 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날 부재(13)의 접촉 길이는, 날 부재(13)의 외주 에지부의 전체 주위를 16등분한 길이로 되어 있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압 부재(15)는, 날 부재(13)에 의해 흠집을 낸 광섬유(100)의 흠집부를 가압하여 굽혀 광섬유(100)를 절단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가압 부재(15)는, 전술한 상부 클램프(11B, 12B)와 마찬가지로, 커버부(17)에 설치되어 있다. 커버부(17)를 베이스부(110)에 대하여 폐쇄함으로써, 가압 부재(15)에 의해 광섬유(100)를 가압하여 굽힐 수가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커버부(17)의 회동축(16)은, 날 부재(13)의 축선(A1)과 평행으로 되어 있다, 즉 날 부재(13) 및 날대(14)의 이동 방향에 직교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의 커버부(17)는, 커버부 본체(18)와, 한 쌍의 상부 클램프(11B, 12B)가 장착된 클램프 장착부(19)와, 가압 부재(15)가 장착된 가압 부재 장착부(20)를 구비한다. 커버부 본체(18), 클램프 장착부(19) 및 가압 부재 장착부(20)는, 서로 독립적으로 베이스부(110)에 대하여 회동축(16)을 중심으로 하여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클램프 장착부(19) 및 가압 부재 장착부(20)는, 커버부(17)를 폐쇄하는 방향에 있어서 커버부 본체(18)보다 전방측에 위치하고 있다.
커버부 본체(18)와 클램프 장착부(19)와의 사이에는, 제1 스프링(21)이 설치되어 있다. 제1 스프링(21)의 탄성력에 의해, 광섬유(100)에 대한 한 쌍의 클램프(11, 12)의 파지력(把持力)을 확보할 수 있다. 커버부 본체(18)와 가압 부재 장착부(20)와의 사이에는, 제2 스프링(22)이 설치되어 있다. 제2 스프링(22)은, 가압 부재(15)의 가압에 의해, 광섬유(100)에 대하여 가압하여 휨력을 인가할 수 있다.
클램프 장착부(19)는, 커버부 본체(18)에 형성된 걸림 클릭(23)에 의해 커버부 본체(18)에 걸려져 있다. 이로써, 클램프 장착부(19)가 제1 스프링(21)의 가압력에 의해 커버부 본체(18)로부터 과도하게 이격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또한, 가압 부재 장착부(20)는, 클램프 장착부(19)에 형성된 걸림부(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클램프 장착부(19)에 걸려져 있다. 이로써, 가압 부재 장착부(20)가 제2 스프링(22)의 가압력에 의해 커버부 본체(18) 및 클램프 장착부(19)로부터 과도하게 이격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광섬유 절단 장치(1)는, 광섬유(100)의 파지, 흠집 내기, 가압하여 굽힘, 절단의 과정이 커버부(17)를 베이스부(110)에 대하여 폐쇄하는 것만으로, 일련의 동작으로서 실현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하, 이 점에 대하여 설명한다.
베이스부(110)의 내부에는, 날대(14)를 탄성력에 의해 이동시키는 스프링(24)이 설치되어 있다. 스프링(24)의 일단(一端)은 날대(14)에 유지되고, 스프링(24)의 타단은 베이스부(110)에 유지되어 있다. 스프링(24)은, 날대(14)의 이동에 따라 날대(14)의 이동 방향으로 신축된다.
베이스부(110)의 내부에는, 커버부(17)에 일체로 형성된 압입(押入) 돌기부(25)가 배치되어 있다. 압입 돌기부(25)는, 커버부(17)를 베이스부(110)에 대하여 개방할 때, 커버부(17)의 회동축(16)으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날대(14)를 압입하여 이동시킨다. 이 때, 스프링(24)은, 탄성적으로 수축해도 되지만, 본 실시형태에서는 탄성적으로 신장된다.
또한, 베이스부(110)의 내부에는, 커버부(17)를 베이스부(110)에 대하여 개방한 상태에 있어서, 날대(14)에 거는 걸림 부재(engaging member)(26)가 설치되어 있다. 걸림 부재(26)는, 날대(14)에 거는 것에 의해, 날대(14)를 압입 돌기부(25)에 의해 압입된 위치(도 1 및 도 2에 나타낸 위치)에 유지한다.
한편, 커버부(17)에는, 해제 돌기부(27)가 형성되어 있다. 해제 돌기부(27)는, 커버부(17)가 베이스부(110)에 대하여 폐쇄될 때, 걸림 부재(26)에 가압되어 걸림 부재(26)에 의한 날대(14)의 걸림 상태를 해제한다. 즉, 커버부(17)를 베이스부(110)에 대하여 폐쇄하면, 날대(14)[및 날 부재(13)]가, 스프링(24)의 탄성력에 의해, 한 쌍의 클램프(11, 12)의 사이를 지나도록, 날대(14)가 커버부(17)의 회동축(16)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걸림 부재(26)에 의한 날대(14)의 걸림 상태를 해제하는 타이밍은, 커버부(17)를 베이스부(110)에 대하여 폐쇄할 때, 한 쌍의 클램프(11, 12)에 의해 광섬유(100)를 파지한 후이면 된다. 이로써, 광섬유(100)가 한 쌍의 클램프(11, 12)에 파지된 상태에서, 날 부재(13)에 의해 광섬유(100)의 표면에 흠집을 낼 수 있다.
또한, 날대(14) 및 가압 부재 장착부(20)에는, 커버부(17)를 베이스부(110)에 대하여 폐쇄했을 때 서로 접촉하는 위치 결정 볼록부(28, 29)가 형성되어 있다. 날대(14) 및 가압 부재 장착부(20)의 위치 결정 볼록부(28, 29)가 서로 접촉된 상태에서는, 가압 부재(15)가 광섬유(100)의 위쪽으로 간격을 두고 위치한다.
위치 결정 볼록부(28, 29)끼리의 접촉 상태를 해제하는 타이밍은, 전술한 걸림 부재(26)에 의한 날대(14)의 걸림 상태가 해제되고, 날대(14)가 스프링(24)의 탄성력에 의해 한 쌍의 클램프(11, 12)의 사이를 지나도록 커버부(17)의 회동축(16)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한 후, 즉 날 부재(13)에 의해 광섬유(100)의 표면을 흠집을 낸 후이면 된다.
위치 결정 볼록부(28, 29)끼리의 접촉이 해제됨으로써, 가압 부재 장착부(20)와 커버부 본체(18)와의 사이에 배치된 제2 스프링(22)의 탄성력에 의해, 가압 부재(15)가 광섬유(100)에 가압된다. 이로써, 광섬유(100)의 흠집이 성장하여 광섬유(100)가 절단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광섬유 절단 장치(1)는, 베이스부(110)에 대하여 커버부(17)를 폐쇄할 때까지의 동안에, 광섬유(100)를 한 쌍의 하부 클램프(11A, 12A) 상에 유지하는 구조를 가진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형태의 광섬유 절단 장치(1)는, 광섬유(100)를 협지한 상태로 유지하는 섬유 홀더(30)를 구비한다. 섬유 홀더(30)는, 베이스부(110)의 상면(10a)에 형성된 위치 결정 오목부(31)에 수용 가능하게 되어 있다. 섬유 홀더(30)를 위치 결정 오목부(31)에 수용한 상태에서는, 섬유 홀더(30)에 유지된 광섬유(100)를 베이스부(110)나 커버부(17)[한 쌍의 클램프(11, 12)]나 날 부재(13), 가압 부재(15)에 대하여 위치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위치 결정 오목부(31)는, 한 쌍의 하부 클램프(11A, 12A)의 배열 방향으로 연장되는 홈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위치 결정 오목부(31)의 폭 치수는, 섬유 홀더(30)의 폭 치수에 대응하고 있다. 그러므로, 섬유 홀더(30)를 위치 결정 오목부(31)에 수용한 상태에서는, 섬유 홀더(30)가 베이스부(110)에 대하여 위치 결정 오목부(31)의 폭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이 규제된다. 이로써, 섬유 홀더(30)에 유지된 광섬유(100)를, 위치 결정 오목부(31)의 폭 방향에 있어서, 베이스부(110)나 커버부(17)[한 쌍의 클램프(11, 12)나 날 부재(13), 가압 부재(15)]에 대하여 위치결정할 수 있다.
한 쌍의 하부 클램프(11A, 12A)의 배열 방향에서의 위치 결정 오목부(31)의 제1 단(31a)은, 한쪽의 하부 클램프(11A)에 인접하여 위치한다. 위치 결정 오목부(31)의 제1 단(31a)에는, 한쪽의 하부 클램프(11A)를 향하는 섬유 홀더(30)의 전면(前面)(30a)이 접촉 가능하다. 한편, 위치 결정 오목부(31)의 제2 단(31b)은, 베이스부(110)의 측면(10b)으로 개구되어 있다.
그러므로, 섬유 홀더(30)의 전면(30a)을 위치 결정 오목부(31)의 제1 단(31a)에 접촉시킴으로써, 섬유 홀더(30)에 유지된 광섬유(100)를, 위치 결정 오목부(31)의 길이 방향[한 쌍의 하부 클램프(11A, 12A)의 배열 방향]에 있어서, 베이스부(110)나 커버부(17)[한 쌍의 클램프(11, 12)]나 날 부재(13), 가압 부재(15)]에 대하여 위치결정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의 광섬유 절단 장치(1)에서는, 도 3∼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한 기대(10)가 회동 부재(42)를 더 구비한다. 회동 부재(42)는, 기대(10)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게 고정된다. 또한, 회동 부재(42)는, 이것을 회동시킴으로써 동력을 전달하여 날 부재(13)를 회동시킨다. 날 부재(13)와 회동 부재(42)의 사이의 동력 전달은, 해제 가능하다. 이하, 이 구성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날 부재(13)는, 날 부재 고정 부재(41)[이하, 고정 부재(41)라고 함]을 가진다. 고정 부재(41)는, 예를 들면, 날 부재(13)와 일체로 형성되어도 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고정 부재(41)는 날 부재(13)와 별개로 형성된 상에서, 날 부재(13)에 일체로 고정되어 있다. 이로써, 고정 부재(41)는 날 부재(13)와 함께 날대(14)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게 고정되어 있다.
도 4∼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고정 부재(41)는, 원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축 방향으로부터 본 고정 부재(41)의 중심 부분에는, 날대(14)로부터 돌출하는 원기둥형의 날축(43)을 삽통시키는 원형상의 삽통공(揷通孔)(44)이 형성되어 있다. 삽통공(44)의 내경(內徑) 치수는, 날축(43)의 외경(外徑) 치수에 대응하고 있다. 그러므로, 고정 부재(41)를 날대(14)의 날축(43)에 삽통시킨 상태에서는, 고정 부재(41)가 날대(14)에 대하여 축선(A1)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날대(14)의 날축(43)은, 고정 부재(41)와 마찬가지로, 날 부재(13)에도 삽통된다. 이로써, 날 부재(13)가 날대(14)에 대하여 축선(A1)을 회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고정 부재(41) 및 날 부재(13)를 날대(14)의 날축(43)에 장착된 상태에 있어서, 날 부재(13) 및 고정 부재(41)는, 축 방향으로 중첩하여 배치된다. 축 방향으로 서로 대향하는 날 부재(13) 및 고정 부재(41)의 대향면에는, 날 부재(13) 및 고정 부재(41)를 서로 거는 요철부(凹凸部)가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요철부는, 고정 부재(41)의 대향면에 형성된 볼록부(45)와, 날 부재(13)의 대향면에 형성되어 고정 부재(41)의 볼록부(45)가 삽입되는 삽입부(46)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날 부재(13)의 삽입부(46)는, 예를 들면, 바닥이 있는 오목부라도 바람직하지만,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날 부재(13)의 삽입부(46)는, 축 방향으로 관통하는 관통공이다. 고정 부재(41)의 볼록부(45)가 날 부재(13)의 삽입부(46)에 삽입되므로, 날 부재(13) 및 고정 부재(41)가 날대(14)에 대하여 일체로 회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도 4∼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날 부재(13) 및 고정 부재(41)는, 축 방향에 있어서 날대(14)와 가압 부재(47)와의 사이에 끼워넣어짐으로써, 날대(14)에 유지된다. 구체적으로는, 고정 부재(41) 및 날 부재(13)를 날대(14)의 날축(43)에 순차적으로 장착한 후에, 나사(48)의 축부(軸部)를 날 가압 부재(47)에 통한 다음, 날축(43)에 형성된 나사공(49)에 나사장착한다. 이로써, 고정 부재(41), 날 부재(13) 및 가압 부재(47)를, 날대(14)와 나사(48)의 헤드부와의 사이에 끼워, 날 부재(13) 및 고정 부재(41)를 날대(14)에 유지할 수 있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날 부재(13)와 가압 부재(47)와의 사이에는, 스프링 부재(50)가 설치되어 있다. 스프링 부재(50)는, 상기한 나사(48) 등에 의해 가압 부재(47)를 날 부재(13)를 향해 가압함으로써 탄성변형되고, 날 부재(13)를 고정 부재(41)를 향해 가압한다. 이로써, 날대(14)에 장착된 날 부재(13)가 축 방향으로 덜컹거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가압 부재(47)에는, 날 부재(13)의 삽입부(46)에 삽입되는 볼록부(51)가 형성되어 있다. 이로써, 날 부재(13) 및 가압 부재(47)를 날대(14)에 대하여 일체로 회동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도 3, 도 5,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압 부재(47)에는, 날 부재(13)의 회동 위치[특히 광섬유(100)에 접촉하는 날 부재(13)의 외주 에지부의 위치]를 나타내는 눈금(52)이 형성되어 있다.
눈금(52)은, 도시한 예와 같이, 광섬유(100)에 접촉하는 날 부재(13)의 외주 에지부의 16개소의 위치를 숫자로 나타내도 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눈금(52)은, 도시한 예와 같이 가압 부재(47)의 외주면(外周面)에 형성되어도 바람직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회동 부재(42)는, 전술한 고정 부재(41)[날 부재(13)]에 걸어맞춤 가능하다. 회동 부재(42)가 고정 부재(41)에 걸어맞추어진 상태에서는, 회동 부재(42)를 회동시켰을 때 고정 부재(41)에 동력을 전달하여, 날 부재(13) 및 고정 부재(41)를 회동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회동 부재(42)는 베이스부(110)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다.
날 부재(13)와 회동 부재(42)의 사이의 동력 전달은, 예를 들면, 회동 부재(42)의 회동 위치(회동 각도)에 관계없이, 해제되어도 된다. 즉, 회동 부재(42)는, 회동 부재(42)의 회동 위치에 관계없이 고정 부재(41)에 걸어맞추어져도 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날 부재(13)와 회동 부재(42)의 사이의 동력 전달은, 회동 부재(42)의 회동 위치에 따라 해제된다. 즉, 본 실시형태의 회동 부재(42)는, 회동 부재(42)의 회동 위치에 따라서 고정 부재(41)에 대하여 걸어맞추어지는 걸어맞춤 상태와 걸어맞추어지지 않은 분리 상태로 전환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본 실시형태의 회동 부재(42)는, 도 6 및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고정 부재(41)에 걸어맞추어지는 걸어맞춤부(53)와, 고정 부재(41)에 걸어맞추어지지 않은 비걸어맞춤부(54)를 가진다. 걸어맞춤부(53)와 비걸어맞춤부(54)는, 회동 부재(42)의 회동 방향으로 배열되어 있다. 즉, 본 실시형태의 회동 부재(42)에서는, 걸어맞춤부(53)가 주위 방향의 일부에 형성되어 있다. 걸어맞춤부(53)의 수는, 예를 들면, 1개라도 되고, 복수라도 된다. 걸어맞춤부(53)의 수가 복수인 경우, 복수의 걸어맞춤부(53)는, 회동 부재(42)의 회동 방향으로 등간격(等間隔)으로 배열되어 있게 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걸어맞춤부(53)의 수는 2개이다. 이로써, 회동 부재(42)의 회동 위치에 따라 고정 부재(41)와 회동 부재(42)가 걸어맞추어지는 걸어맞춤 상태와, 걸어맞추어지지 않은 분리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의 회동 부재(42)는, 전자력에 의해 회동시킨다. 즉, 본 실시형태의 광섬유 절단 장치(1)는, 회동 부재(42)를 회동 구동하는 모터(55)(구동원)를 구비한다. 모터(55)는, 모터 본체(56)와, 통전 등에 의해 모터 본체(56)에 대하여 회전하는 모터 축부(57)와, 모터 감속기(500)를 구비한다. 모터(55)는, 장착 부재(58) 등을 통하여 베이스부(110)[기대(10)]에 고정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회동 부재(42)는, 모터 축부(57)에 장착되어 있다. 즉, 본 실시형태의 회동 부재(42)는, 모터(55)를 통하여 기대(10)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모터(55)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대(10)의 외면[도 1에 있어서 베이스부(110)의 상면(10a)]에 설치된 조작 스위치(59)(예를 들면, 푸시 버튼 스위치)를 조작함으로써 동작한다. 조작 스위치(59)를 조작했을 때, 모터(55)는, 날 부재(13)가 소정 각도만큼 회동하도록 회동 부재(42)를 회동 구동한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광섬유 절단 장치(1)는, 도 6 및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회동 부재(42) 및 모터 축부(57)의 회동 위치를 측정하는 회동 위치 측정부(60)를 구비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회동 위치 측정부(60)는, 발광부(61)과, 수광부(62)와, 회동 부재(42) 및 모터 축부(57)의 회동 위치에 따라 발광부(61)와 수광부(62)와의 사이에 위치하는 차폐판(63)을 구비한다. 차폐판(63)은, 회동 부재(42), 모터 축부(57)의 축선(A1)을 중심으로 하는 반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회동 위치 측정부(60)에 있어서 측정된 회동 부재(42) 및 모터 축부(57)의 회동 위치는, 회동 부재(42)를 소정 각도만큼 회동시키는 모터(55)의 제어에 이용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광섬유 절단 장치(1)에서는, 도 3, 도 5, 도 6, 도 8∼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날 부재(13)와 회동 부재(42)의 사이의 동력 전달이, 날대(14)가 소정 위치로 이동한 경우에만 가능하다. 이하, 이 점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날 부재(13) 및 고정 부재(41)가 날대(14)에 설치되고, 회동 부재(42)가 기대(10)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고정 부재(41)와 회동 부재(42)가, 날대(14)의 이동 방향(도 8에 있어서 좌우 방향)으로 배열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로써, 회동 부재(42)는, 날대(14)가 소정 위치로 이동한 경우에만, 고정 부재(41)와 걸어맞춤 상태로 된다. 구체적으로, 날대(14)는, 도 3, 도 5, 도 6,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고정 부재(41) 및 회동 부재(42)가 서로 걸어맞춤 가능한 제1 위치 P1와, 도 9, 도 10에 예시한 바와 같이 고정 부재(41) 및 회동 부재(42)가 서로 걸어맞추어지지 않은 제2 위치 P2와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즉, 날대(14)를 제1 위치 P1와 제2 위치 P2와의 사이에서 이동시킴으로써, 고정 부재(41)와 회동 부재(42)가, 서로 걸어맞추어지는 걸어맞춤 상태와, 서로 걸어맞추어지지 않은 분리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도 6, 도 8, 도 10에 있어서는, 날대(14)가 생략되어 있으므로, 날대(14)에 장착된 날 부재(13)에 의해 날대(14)의 제1 위치 P1, 제2 위치 P2를 나타내고 있다.
날대(14)의 제1 위치 P1은, 예를 들면, 커버부(17)를 베이스부(110)에 대하여 폐쇄함으로써 날 부재(13)에 의해 광섬유(100)의 표면을 흠집을 내도록 날대(14)가 이동한 후의 위치라도 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날대(14)의 제1 위치 P1은,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커버부(17)를 베이스부(110)에 대하여 개방함으로써 날대(14)가 이동한 위치이다.
한편, 날대(14)의 제2 위치 P2는, 날대(14)가 제1 위치 P1로부터 이동함으로써, 고정 부재(41)가 회동 부재(42)로부터 이격된 위치이면 임의라도 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날대(14)의 제2 위치 P2는, 커버부(17)를 베이스부(110)에 대하여 폐쇄함으로써 날 부재(13)에 의해 광섬유(100)의 표면을 흠집을 내도록 날대(14)가 이동한 후의 위치이다.
고정 부재(41)와 회동 부재(42)는, 예를 들면, 직접 걸어맞추어져도 바람직하지만,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4∼도 6,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중계 부재(64)를 통하여 걸어맞추어진다. 중계 부재(64)는, 고정 부재(41)와 마찬가지로, 날대(14)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게 고정되어 있다. 즉, 날대(14)는, 중계 부재(64)를 더 구비한다. 중계 부재(64)의 축은, 날 부재(13)의 축선(A1)과 평행으로 되어 있다.
중계 부재(64)는, 적어도 회동 부재(42)에 대하여 날대(14)의 이동 방향으로 배열되도록 배치되어 있으면 되고, 고정 부재(41)에 대하여 임의의 위치에 배치되어 이루어진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중계 부재(64)는 고정 부재(41)의 하방측에 배치되어 있다.
이상의 구성에 있어서는, 회동 부재(42)가 중계 부재(64)에 걸어맞추어짐으로써, 회동 부재(42)의 회동이 중계 부재(64)에 전달되고, 중계 부재(64)가 회동한다. 또한, 중계 부재(64)의 회동이 고정 부재(41)에 전달되어 고정 부재(41)가 회동한다. 즉, 날 부재(13)가 회동한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광섬유 절단 장치(1)에서는, 날대(14)가 수동 조작용 회동 부재(65)[이하, 조작 부재(65)라고 함]를 더 구비한다. 조작 부재(65)는, 날대(14)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게 고정되어 있다. 조작 부재(65)는, 사용자[광섬유 절단 장치(1)를 취급하는 작업자]에 의한 회동에 의해 동력을 전달하여 날 부재(13)를 회동시킨다. 즉, 조작 부재(65)는, 날 부재(13)를 수동으로 회동시키기 위해,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조작하는 부재이다. 조작 부재(65)의 축은, 날 부재(13)의 축선(A1)과 평행으로 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조작 부재(65)는, 고정 부재(41)[날 부재(13)]에 걸어맞추어짐으로써 고정 부재(41)를 회동시킨다. 조작 부재(65)는, 예를 들면, 고정 부재(41)나 회동 부재(42)에 직접 걸어맞추어져도 바람직하지만, 본 실시형태에서는 중계 부재(64)를 통하여 고정 부재(41)나 회동 부재(42)에 걸어맞추어져 있다. 조작 부재(65)는, 회동 부재(42)에 간섭하지 않도록, 고정 부재(41)나 중계 부재(64)에 대하여 임의의 위치에 배치되어 이루어진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조작 부재(65)는 고정 부재(41)나 중계 부재(64)의 하방측에 배치되어 있다.
조작 부재(65)는, 사용자의 손가락으로 조작하기 위한 조작부(66)를 구비한다. 조작부(66)는, 원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조작부(66)의 외주(外周)에는, 복수의 오목부(67)가 형성되어 있다.
복수의 오목부(67)는 조작부(66)의 주위 방향으로 등간격으로 배열되어 있다. 각각의 오목부(67)는, 조작부(66)를 축 방향에서 볼 때 원호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로써, 사용자의 손가락끝을 오목부(67)에 피트시킬 수 있어, 조작 부재(65)를 손가락에 의해 간단하게 회동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이상의 구성에 있어서는, 사용자가 조작 부재(65)를 조작하여 회동시킴으로써, 조작 부재(65)의 회동이 중계 부재(64)에 전달되고, 중계 부재(64)가 회동한다. 또한, 중계 부재(64)의 회동이 고정 부재(41)에 전달되어 고정 부재(41)가 회동한다. 즉, 날 부재(13)가 회동한다.
도 2, 도 8,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조작 부재(65)는, 고정 부재(41)나 회동 부재(42)와 마찬가지로, 베이스부(110)의 내부에 배치된다. 단, 조작 부재(65)[특히 조작부(66)]는, 베이스부(110)[기대(10)]의 외부로 노출된다. 즉, 베이스부(110)는, 조작 부재(65)를 베이스부(110)의 외부로 노출시키는 창(10D)을 더 구비한다. 창(10D)은, 예를 들면, 베이스부(110)의 측면(10b)에만 설치되어도 되고, 베이스부(110)의 측면(10b) 및 바닥면(10c)의 양쪽에 설치되어도 된다. 즉, 조작 부재(65)는, 예를 들면, 베이스부(110)의 측면(10b)에만 노출되어도 되고, 베이스부(110)의 측면(10b) 및 바닥면(10c)의 양쪽에 노출되어도 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창(10D)은 베이스부(110)의 바닥면(10c)에 설치되어 있다. 즉, 조작 부재(65)는 베이스부(110)의 바닥면(10c)에 노출되어 있다. 여기서, 베이스부(110)의 측면(10b)은 베이스부(110)의 상면(10a)에 인접하는 베이스부(110)의 면이며, 베이스부(110)의 바닥면(10c)은 베이스부(110)의 상면(10a)과는 반대로 향하는 베이스부(110)의 면이다. 도시한 예에 있어서, 조작 부재(65)의 조작부(66)는, 베이스부(110)의 바닥면(10c)(외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있지 않지만, 예를 들면, 돌출되어도 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날대(14)의 조작 부재(65)는, 이동 방향에서의 날대(14)의 위치에 관계없이, 항상 베이스부(110)의 외부로 노출된다. 즉, 조작 부재(65)는, 날대(14)가 제1 위치 P1 및 제2 위치 P2의 어딘가에 배치되어 있어도, 베이스부(110)의 외부로 노출된다.
본 실시형태의 광섬유 절단 장치(1)에 있어서, 베이스부(110)[기대(10)]는, 예를 들면, 도 8,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창(10D)으로부터 외부로 노출되는 조작 부재(65)를 덮는 오회전 방지용의 커버(68)를 더 가져도 된다. 커버(68)는, 예를 들면, 창(10D)의 일부만을 막도록 배치되어도 바람직하지만, 도시한 예에서는 창(10D) 전체를 막도록 배치되어 있다. 커버(68)는, 베이스부(110)에 대하여 착탈(着脫) 가능하게 장착되어도 되고, 베이스부(110)에 대하여 베이스부(110)의 창(10D)을 개폐하도록 장착되어도 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광섬유 절단 장치(1)는, 도 5, 도 6, 도 8,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고정 부재(41)[날 부재(13)], 회동 부재(42), 조작 부재(65), 및 중계 부재(64) 중 하나 이상를, 소정의 회동 위치에 유지하는 유지 기구(70)(래치 기구)를 더 구비한다.
본 실시형태의 유지 기구(70)는, 고정 부재(41)를 소정의 회동 위치에 유지한다. 유지 기구(70)는, 소정값 이상의 가동(可動) 토크가 고정 부재(41)에 작용했을 때, 고정 부재(41)가 소정의 회동 위치로부터 회동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유지 기구(70)는, 고정 부재(41)의 외주에 형성된 복수의 걸림부(71)와, 고정 부재(41)의 외주에 탄성적으로 가압됨으로써 고정 부재(41) 중 어느 하나의 걸림부(71)에 걸리는 피걸림 부재(72)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복수의 걸림부(71)는, 고정 부재(41)의 주위 방향으로 등간격으로 배열되어 있다. 걸림부(71)의 수는, 광섬유(100)에 접촉하는 날 부재(13)의 외주 에지부의 위치의 수(외주 에지부의 전체 주위를 등분 비율로 한 수)에 대응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걸림부(71)의 수는, 16이다.
피걸림 부재(72)가 어느 하나의 걸림부(71)에 걸리는 것에 의해, 고정 부재(41)가 소정의 회동 위치에 유지된다. 또한, 소정값 이상의 가동 토크가 고정 부재(41)에 작용했을 때는, 피걸림 부재(72)의 탄성력에 저항하여 피걸림 부재(72)가 이동함으로써, 걸림부(71)와 피걸림 부재(72)와의 걸림 상태가 해제된다. 이로써, 고정 부재(41)가 소정의 회동 위치로부터 회동할 수 있다.
이하, 본 실시형태의 유지 기구(70)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각각의 걸림부(71)는, 예를 들면, 직경 방향에 있어서 고정 부재(41)의 외측으로 돌출하는 볼록부라도 되지만, 본 실시형태에서는 직경 방향에 있어서 고정 부재(41)의 외측으로 개구되는 오목부(73)이다.
걸림부(71)를 이루는 오목부(73)는, 고정 부재(41)를 축 방향에서 볼 때 V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도 7a∼도 7c, 도 8,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오목부(73)의 2개의 내측면(73a, 73b)은, 고정 부재(41)의 직경 방향에 대하여 고정 부재(41)의 주위 방향으로 서로 역방향으로 경사져 있다. 고정 부재(41)의 직경 방향에 대한 오목부(73)의 2개의 내측면(73a, 73b)의 경사 각도는 서로 같다. 이로써, 걸림부(71)를 이루는 오목부(73)의 개구 방향이, 고정 부재(41)의 직경 방향으로 일치하고 있다. 복수의 걸림부(71)는, 걸림 기어(74)를 구성하고 있다.
도 5, 도 6, 도 8,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피걸림 부재(72)는, 밴드판형으로 형성된 판스프링이다. 피걸림 부재(72)의 길이 방향의 제1 단부(端部)는, 날대(14)에 고정되어 있다. 도 8,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피걸림 부재(72)의 길이 방향의 제2 단부에는, 고정 부재(41)의 걸림부(71)에 거는 피걸림부(75)가 형성되어 있다.
피걸림부(75)는, 예를 들면, 볼록부인 걸림부(71)가 삽입 가능한 오목부라도 된다. 본 실시형태의 피걸림부(75)는, 오목부(73)인 걸림부(71)에 삽입 가능한 볼록부(76)이다. 피걸림부(75)를 이루는 볼록부(76)는, 판스프링에 절곡 가공을 행함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볼록부(76)는, 임의의 형상으로 형성되어 바람직하지만, 본 실시형태에서는 고정 부재(41)에 형성된 오목부(73)에 대응하는 V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피걸림 부재(72)의 볼록부(76)는, 피걸림 부재(72)가 탄성적으로 휨 변형된 상태로 고정 부재(41)의 오목부(73)에 삽입된다. 이로써, 피걸림 부재(72)의 피걸림부(75)가, 피걸림 부재(72)의 탄성력에 의해 고정 부재(41)의 외주에 탄성적으로 가압되어, 피걸림부(75)가 걸림부(71)에 걸린다. 이 상태에 있어서, 소정값 이상의 가동 토크가 고정 부재(41)에 작용했을 때는, 피걸림 부재(72)의 탄성력에 저항하여 피걸림 부재(72)의 볼록부(76)가 고정 부재(41)의 오목부(73)로부터 빠져 나온다. 이로써, 걸림부(71)와 피걸림부(75)와의 걸림 상태가 해제되고, 고정 부재(41)는 소정의 회동 위치로부터 회동할 수 있다.
상기한 유지 기구(70)에 있어서, 고정 부재(41)가 소정의 회동 위치로부터 회동 가능해지는 가동 토크의 크기는, 예를 들면, 피걸림 부재(72)의 탄성력이나 고정 부재(41)의 오목부(73)의 내측면(73a, 73b)의 경사 각도 등을 변경함으로써 조정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광섬유 절단 장치(1)에서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날대(14)에 장착된 고정 부재(41), 조작 부재(65) 및 중계 부재(64)의 위쪽이, 커버부(80)에 의해 덮혀져 있다. 본 실시형태의 커버부(80)에는, 제1 커버부(80A)와, 제2 커버부(80B)와, 제3 커버부(80C)가 있다. 제1 커버부(80A)는, 고정 부재(41) 및 중계 부재(64)의 일부[특히 후술하는 제1 중계 기어(84A)]를 위쪽으로부터 덮는다. 제2 커버부(80B)는, 중계 부재(64)의 잔부(殘部)[특히 후술하는 제2 중계 기어(84B)] 및 조작 부재(65)의 일부[특히 후술하는 조작 부재(65)의 기어(83)]를 위쪽으로부터 덮는다. 제3 커버부(80C)는, 조작 부재(65)의 조작부(66)를 위쪽으로부터 덮는다. 커버부(80)는, 도시한 예와 같이 날대(14)에 일체로 형성되어도 바람직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음에, 본 실시형태의 광섬유 절단 장치(1)에 있어서, 고정 부재(41)[날 부재(13)], 회동 부재(42), 조작 부재(65), 중계 부재(64)의 걸어맞춤 구조에 대하여, 도 4∼도 10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고정 부재(41), 회동 부재(42), 조작 부재(65), 중계 부재(64)의 걸어맞춤 구조[예를 들면, 고정 부재(41)와 중계 부재(64)가 걸어맞추어지는 구조, 회동 부재(42)와 중계 부재(64)가 걸어맞추어지는 구조, 조작 부재(65)와 중계 부재(64)가 걸어맞추어지는 구조]는, 기어를 이용하여 구성되어 있다. 즉, 고정 부재(41), 회동 부재(42), 조작 부재(65), 중계 부재(64)는, 각각 기어(81, 82, 83, 84)를 구비한다.
도 4∼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고정 부재(41)의 기어(81)[이하, 회동 전달 기어(81)라고 함]는, 회동 부재(42)의 기어(82)나 조작 부재(65)의 기어(83)에 직접 걸어맞추어져도 바람직하지만, 본 실시형태에서는, 중계 부재(64)의 기어(84)에 걸어맞추어진다. 회동 전달 기어(81)는, 예를 들면, 전술한 유지 기구(70)의 걸림 기어(74)와 별개로 형성한 후 일체로 고정되어도 바람직하지만, 본 실시형태에서는, 걸림 기어(74)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회동 전달 기어(81)와 걸림 기어(74)는, 고정 부재(41)의 축 방향으로 배열되어 있다.
회동 전달 기어(81)의 톱니수, 걸림 기어(74)의 톱니수는, 임의라도 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회동 전달 기어(81)의 톱니수는, 걸림 기어(74)의 톱니수의 정수배(整數倍)로 되어 있다. 도시한 예에서는, 걸림 기어(74)의 톱니수가 16이며, 회동 전달 기어(81)의 톱니수가 32으로 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의 고정 부재(41)에서는, 회동 전달 기어(81)와 걸림 기어(74)와의 사이에 구획벽부(85)가 형성되어 있다. 구획벽부(85)는, 회동 전달 기어(81)에 걸어맞추어지는 중계 부재(64)의 기어(84)가 걸림 기어(74)에 간섭하거나, 걸림 기어(74)에 걸리는 피걸림 부재(72)[특히 피걸림부(75)]가 회동 전달 기어(81)에 간섭하거나 하는 것을 방지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도 6, 도 8∼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회동 부재(42)의 기어(82)가 중계 부재(64)의 기어(84)에 걸어맞추어진다. 회동 부재(42)의 기어(82)는, 예를 들면, 회동 부재(42)의 전체 주위에 톱니를 배열하여 구성되어도 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회동 부재(42)의 기어(82)는, 회동 부재(42)의 주위 방향의 일부에 톱니를 형성하여 구성되어 있다. 즉,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회동 부재(42)의 기어(82)는, 간헐 기어이다.
회동 부재(42)의 기어(82) 중, 톱니가 형성되어 있는 부분이 전술한 걸어맞춤부(53)에 상당하고, 톱니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부분이 전술한 비걸어맞춤부(54)에 상당한다. 동일한 걸어맞춤부(53)를 구성하는 톱니의 수는, 임의라도 되지만, 본 실시형태에서는 4개이다.
회동 부재(42)의 기어(82)는, 모터(55)가 정지하고 있는 상태에 있어서, 중계 부재(64)의 기어(84)와 걸어맞추어지지 않다. 즉, 회동 부재(42)는, 비걸어맞춤부(54)가 중계 부재(64)의 기어(84)에 대향하도록 배치되고, 중계 부재(64)와 접촉하지 않는다. 회동 부재(42)의 기어(82)는, 모터(55)에 의해 회동 구동되고 있을 때만, 중계 부재(64)의 기어(84)와 걸어맞추어진다.
본 실시형태의 회동 부재(42)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2개의 걸어맞춤부(53)가 회동 부재(42)의 주위 방향으로 등간격으로 배열되어 있다. 그러므로, 회동 부재(42)는, 조작 스위치(59)를 조작할 때마다, 모터(55)의 구동력에 의해 180°회동하고, 중계 부재(64)와 걸어맞추어지지 않은 회동 위치에서 정지한다. 그리고, 걸어맞춤부(53)의 수가 1개인 경우, 회동 부재(42)는, 조작 스위치(59)를 조작할 때마다, 모터(55)의 구동력에 의해 360°회동하고, 중계 부재(64)와 걸어맞추어지지 않은 회동 위치에서 정지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도 4,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조작 부재(65)의 기어(83)가 중계 부재(64)의 기어(84)에 걸어맞추어진다. 조작 부재(65)의 기어(83)는, 예를 들면, 전술한 조작부(66)와 별개로 형성한 후 고정되어도 바람직하지만, 본 실시형태에서는 조작부(66)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조작 부재(65)의 기어(83)와 조작부(66)과는 조작 부재(65)의 축 방향으로 배열되어 있다. 조작 부재(65)의 기어(83)의 톱니수는, 임의라도 된다.
중계 부재(64)의 기어(84)[이하, 중계 기어(84)라고 함]의 수는, 예를 들면, 1개라도 되지만,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4, 도 6, 도 8,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2개이다. 2개의 중계 기어(84, 84)는, 예를 들면, 일체로 형성하여 구성되어도 바람직하지만, 본 실시형태에서는, 별개로 형성한 후 서로 고정되어 있다. 2개의 중계 기어(84, 84)는, 중계 부재(64)의 축 방향으로 배열되어 있다.
2개의 중계 기어(84, 84)의 직경 치수 및 톱니수는, 서로 다르게 하고 있다. 2개의 중계 기어(84, 84) 중 제1 중계 기어(84A)는, 고정 부재(41)의 회동 전달 기어(81)에 걸어맞추어진다.
제2 중계 기어(84B)는, 서로 주위 방향의 상이한 위치에 있어서 회동 부재(42)의 기어(82) 및 조작 부재(65)의 기어(83)와 각각 걸어맞추어진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제1 중계 기어(84A)의 직경 치수가 제2 중계 기어(84B)의 직경 치수보다 작고, 제1 중계 기어(84A)의 톱니수가 제2 중계 기어(84B)의 톱니수보다 적다.
구체적인 제1 중계 기어(84A)의 톱니수, 제2 중계 기어(84B)의 톱니수는, 임의라도 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2 중계 기어(84B)의 톱니수는, 제1 중계 기어(84A)의 톱니수의 정수배로 되어 있다. 도시한 예에서는, 제1 중계 기어(84A)의 톱니수가 16이며, 제2 중계 기어(84B)의 톱니수가 32로 되어 있다.
다음에, 본 실시형태의 광섬유 절단 장치(1)에 있어서, 광섬유(100)에 접촉하는 날 부재(13)의 외주 에지부의 위치를 변경하는 동작의 일례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3, 도 5, 도 6,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날대(14)를 제1 위치 P1에 배치한 상태에 있어서, 모터(55)의 구동력을 이용하여 날 부재(13)를 회동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이 경우, 사용자는, 기대(10)에 설치된 조작 스위치(59)(도 1 참조)를 조작하면 된다.
사용자가 조작 스위치(59)를 조작했을 때는, 모터(55)가 회동 부재(42)를 회동 구동한다. 모터(55)는, 회동 부재(42)를 우측 주위, 좌측 주위 중 어느 한쪽으로 회동시키면 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모터(55)는 회동 부재(42)를 180°회동시킨다. 회동 부재(42)의 회동은, 중계 부재(64)를 통하여 고정 부재(41)에 전달된다. 여기서, 고정 부재(41)에는 소정값 이상의 가동 토크가 작용하므로, 유지 기구(70)에 의한 고정 부재(41)의 걸림부(71)[하나의 걸림부(71)]와 피걸림 부재(72)와의 걸림 상태가 해제된다. 이로써, 고정 부재(41) 및 날 부재(13)가 회동 부재(42)의 회동 방향에 대응하는 방향으로 회동한다.
여기서, 중계 부재(64)와 걸어맞추어지는 회동 부재(42)의 걸어맞춤부(53)는, 회동 부재(42)의 주위 방향의 일부에만 형성되어 있다. 그러므로, 회동 부재(42)의 걸어맞춤부(53)는, 회동 부재(42)가 180°회동하는 동안에, 중계 부재(64)와 일시적으로 걸어맞추어져, 중계 부재(64) 및 이에 걸어맞추어지는 고정 부재(41)를 소정 각도만큼 회동시킨다. 이 때, 고정 부재(41)가 회동하는 소정 각도는, 날 부재(13)에 의해 광섬유(100)를 흠집을 낼 때 광섬유(100)에 접촉하는 날 부재(13)의 접촉 길이에 대응한다. 즉, 회동 부재(42)가 180°회동함으로써, 날 부재(13)의 접촉 길이에 대응하는 각도 단위로 날 부재(13)를 회동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한 바와 같이 고정 부재(41) 및 날 부재(13)가 회동한 후의 상태에서는, 유지 기구(70)의 피걸림 부재(72)가 하나의 걸림부(71)에 인접하는 다른 걸림부(71)에 걸린다. 즉, 고정 부재(41) 및 날 부재(13)는, 유지 기구(70)에 의해 회동하지 않도록 유지된다. 또한, 회동 부재(42)는, 중계 부재(64)와 걸어맞추어지지 않은 회동 위치에서 정지한다. 즉, 회동 부재(42)는, 그 비걸어맞춤부(54)가 중계 부재(64)에 대향하도록 배치되고, 날 부재(13)와 회동 부재(42)의 사이의 동력 전달이 해제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광섬유 절단 장치(1)에서는, 도 3, 도 5, 도 6, 도 8∼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날대(14)를 제1 위치 P1 및 제2 위치 P2의 어딘가에 배치해도, 사용자가 조작 부재(65)의 조작부(66)를 조작함으로써, 날 부재(13)를 수동으로 회동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조작 부재(65)는, 우측 주위, 좌측 주위 중 어디로도 회동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사용자가 조작 부재(65)를 회동시켰을 때는, 조작 부재(65)의 회동이, 중계 부재(64)를 통하여 고정 부재(41)에 전달된다. 여기서, 고정 부재(41)에 소정값 이상의 가동 토크가 작용하면, 유지 기구(70)에 의한 고정 부재(41)의 걸림부(71)[하나의 걸림부(71)]와 피걸림 부재(72)와의 걸림 상태가 해제된다. 이로써, 고정 부재(41) 및 날 부재(13)가 조작 부재(65)의 회동 방향에 대응하는 방향으로 회동한다.
그 후, 날 부재(13)가 그 접촉 길이에 대응하는 각도 단위로 회동하면, 피걸림 부재(72)가 자체의 탄성력에 의해 하나의 걸림부(71)에 인접하는 다른 걸림부(71)에 걸리고, 고정 부재(41) 및 날 부재(13)는, 유지 기구(70)에 의해 회동하지 않도록 유지된다.
사용자는, 피걸림 부재(72)가 다른 걸림부(71)에 걸릴 때 생기는 진동이나 음을 손가락이나 귀로 느껴 취함으로써, 날 부재(13)가 그 접촉 길이에 대응하는 각도 단위로 회동한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가압 부재(47)에 형성된 눈금(52)을 관찰하는 것으로도 날 부재(13)의 회동 위치를 알 수 있다. 즉, 날 부재(13)를 수동으로 회동시켜도, 날 부재(13)의 접촉 길이에 대응하는 각도 단위로 날 부재(13)를 회동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한 바와 같이 날 부재(13)를 수동으로 회동시킬 때, 회동 부재(42)는, 전술한 바와 같이 중계 부재(64)와 걸어맞추어지지 않은 회동 위치에서 정지하고 있다. 그러므로, 도 6,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만일 날대(14)가 제1 위치 P1에 배치되어 있어도, 조작 부재(65)의 회동은, 중계 부재(64)로부터 회동 부재(42)에 전달되지 않는다. 즉, 조작 부재(65)를 회동시켜도, 모터(55)에 부하가 걸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사용자가, 조작 스위치(59)를 연속하여 조작하거나, 조작 부재(65)를 계속 돌리거나 함으로써, 날 부재(13)를 접촉 길이의 정수배(2배, 3배 등)의 길이에 대응하는 각도만큼 회동시킬 수도 있다. 이로써, 날 부재(13)의 외주 에지부의 소정 영역이 결여 등의 문제점이 있는 경우, 날 부재(13)의 소정 영역이 광섬유(100)의 흠집을 내는 데 사용되지 않도록, 날 부재(13)의 소정 영역을 간단하게 스킵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광섬유 절단 장치(1)에 의하면, 날 부재(13)가 날대(14)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게 고정되고, 날 부재(13)를 회동시키는 회동 부재(42)가 기대(10)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게 고정되어 있다. 그러므로, 날 부재(13)의 회동을 모터(55) 등의 구동원에 의해 구동하는 경우에는, 구동원을 기대(10)에 설치된 회동 부재(42)에 접속하면 된다. 즉, 구동원을 베이스부(110)[기대(10)]에 설치할 수 있다. 따라서, 구동원에 접속하기 위한 배선(전기 배선)을 짧게 할 수 있는 등, 날 부재(13)를 회동하기 위한 기구의 간소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모터(55) 등의 구동원을 베이스부(110)[기대(10)]에 대하여 이동하는 날대(14)에 설치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구동원이나 배선의 열화(劣化)를 작게 억제할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광섬유 절단 장치(1)에 의하면, 구동원의 구동력을 회동 부재(42)로부터 전달하여 날 부재(13)를 회동시키는 기구(전달 기구)를, 회동하는 부재에만 따라서 구성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전달 기구가, 회동하는 부재[고정 부재(41), 회동 부재(42), 조작 부재(65), 중계 부재(64)]만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그러므로, 예를 들면, 특허문헌 1과 같이, 상기한 전달 기구가, 구동원의 회동 운동을 작동 핀의 직선 운동으로 변환하는 기구나, 작동 핀의 직선 운동을 날 부재의 회동 운동으로 변환하는 기구를 포함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전달 기구에 문제점이 생기는 것을 바람직하게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운동 변환 기구를 포함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전달 기구를 심플하게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광섬유 절단 장치(1)에 있어서, 날대(14)에 설치된 날 부재(13)와 기대(10)에 설치된 회동 부재(42)의 사이의 동력 전달은, 해제 가능하다. 그러므로, 날 부재(13)와 회동 부재(42)의 사이의 동력 전달을 해제함으로써, 날 부재(13)를 수동으로 회동시켜도, 모터(55) 등의 구동원에 부하가 걸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구동원의 보호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만일, 모터(55) 등의 구동원, 구동원을 구동시키기 위한 전원(예를 들면, 전지)이나 제어 회로 등에 문제점이 생기거나 해도, 날 부재(13)와 회동 부재(42)의 사이의 동력 전달을 해제함으로써, 날 부재(13)를 수동으로 회동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광섬유 절단 장치(1)에 있어서, 날 부재(13)와 회동 부재(42)의 사이의 동력 전달은, 날대(14)가 소정 위치(제1 위치 P1)로 이동한 경우에만 가능하게 되어 있다. 그러므로, 날대(14)를 소정 위치 이외의 위치(제2 위치 P2)에 배치함으로써, 모터(55) 등의 구동원에 부하를 주지 않고, 또한 구동원 등에 문제점이 생겨도, 날 부재(13)를 수동으로 회동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광섬유 절단 장치(1)에 있어서, 날 부재(13)와 회동 부재(42)의 사이의 동력 전달은, 회동 부재(42)의 회동 위치에 따라 해제된다. 구체적으로는, 회동 부재(42)가, 고정 부재(41)에 걸어맞추어지는 걸어맞춤부(53)와, 고정 부재(41)에 걸어맞추어지지 않은 비걸어맞춤부(54)를 회동 부재(42)의 회동 방향으로 배열하여 구성되어 있다. 그러므로, 날대(14)가 제1 위치 P1에 배치되어 있어도, 회동 부재(42)의 회동 위치에 따라 고정 부재(41)와 회동 부재(42)가 걸어맞추어지는 걸어맞춤 상태와, 걸어맞추어지지 않은 분리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즉, 날대(14)가 제1 위치 P1에 배치되어 있어도, 회동 부재(42)에 접속된 구동원에 부하를 주지 않고, 또한 구동원 등에 문제점이 생겨도, 날 부재(13)를 수동으로 회동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광섬유 절단 장치(1)에 의하면, 모터(55) 등의 구동원이 정지하고 있는 상태에 있어서, 날 부재(13)와 회동 부재(42)의 사이의 동력 전달이 해제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회동 부재(42)는, 비걸어맞춤부(54)가 중계 부재(64)나 고정 부재(41)에 대향하도록 배치된다. 그러므로, 회동 부재(42)가 중계 부재(64)나 고정 부재(41)와 접촉되지 않는다. 이로써, 고정 부재(41)와 회동 부재(42)를 걸어맞춤 상태로부터 분리 상태로 전환하는 동작[예를 들면, 날대(14)를 제1 위치 P1로부터 제2 위치 P2와 이동시키는 동작]을 행하지 않고, 수동, 구동원에 의한 구동 중 어느 하나라도 날 부재(13)를 회동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날대(14)를 제2 위치 P2로부터 제1 위치 P1으로 이동시켰을 때, 회동 부재(42)와, 중계 부재(64)나 고정 부재(41)가 충돌하는 것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회동 부재(42)나 중계 부재(64), 고정 부재(41)의 보호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광섬유 절단 장치(1)에 의하면, 날대(14)는, 사용자에 의한 회동에 의해 동력을 전달하여 날 부재(13)를 회동시키는 조작 부재(65)를 가진다. 또한, 기대(10)는, 내부에 수용한 날대(14)의 조작 부재(65)를 외부로 노출시키는 창(10D)을 가진다. 그러므로, 날 부재(13)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있어서 수동으로 날 부재(13)를 회동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이로써, 수동으로 날 부재(13)를 회동시킬 때, 사용자의 손이 날 부재(13)에 접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날 부재(13)가 노출되는 베이스부(110)의 상면(10a)과는 다른 방향을 향하는 베이스부(110)의 바닥면(10c)나 측면(10b)에, 조작 부재(65)를 노출시키는 경우에는, 수동으로 날 부재(13)를 회동시킬 때, 사용자의 손이 날 부재(13)에 접하는 것을 더욱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광섬유 절단 장치(1)에 있어서, 기대(10)가, 내부에 수용한 날대(14)의 조작 부재(65)를 덮는 오회전 방지용의 커버(68)를 가지는 경우에는, 뜻하지 않게 조작 부재(65)에 외력이 작용하여 날 부재(13)가 뜻하지 않게 회동하여 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광섬유 절단 장치(1)는, 고정 부재(41)를 소정의 회동 위치에 유지하는 유지 기구(70)를 구비한다. 이로써, 날 부재(13)가 뜻하지 않게 회동하여 버리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유지 기구(70)는, 고정 부재(41)의 외주에 배열된 복수의 걸림부(71)와, 고정 부재(41)의 외주에 탄성적으로 가압됨으로써 어느 하나의 걸림부(71)에 거는 피걸림 부재(72)를 구비한다. 또한, 소정값 이상의 가동 토크가 고정 부재(41)에 작용했을 때, 걸림부(71)와 피걸림 부재(72)와의 걸림 상태가 해제된다. 이로써, 소정값 이상의 가동 토크를 고정 부재(41)에 작용시킴으로써, 고정 부재(41) 및 날 부재(13)를 회동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날 부재(13)를 복수의 회동 위치에 있어서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날 부재(13)를 수동으로 회동시킬 때, 피걸림 부재(72)가 다른 걸림부(71)에 걸릴 때 생기는 진동이나 음을 손가락이나 귀로 느껴 취할 수 있다. 이로써, 사용자는, 날 부재(13)의 회동 위치가 변경된 것을 손가락의 감촉 등으로 인식할 수 있다.
상기한 유지 기구(70)와 관련된 효과는, 유지 기구(70)가 회동 부재(42), 조작 부재(65), 중계 부재(64)를 소정의 회동 위치에 유지하도록 구성되어도, 마찬가지로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광섬유 절단 장치(1)에서는, 고정 부재(41)에서의 회동 전달 기어(81)의 톱니수가 걸림 기어(74)의 톱니수의 정수배이며, 또한 중계 부재(64)에서의 제1 중계 기어(84A)의 톱니수가 제2 중계 기어(84B)의 톱니수의 정수배다. 그러므로, 회동 부재(42)의 기어(82)와 제2 중계 기어(84B)가 항상 걸어맞추어져 있지 않아도, 피걸림 부재(72)가 걸림 기어(74)의 걸림부(71)에 걸리게 하고 있는 상태에서는, 제2 중계 기어(84B)를, 회동 부재(42)의 기어(82)와 제2 중계 기어(84B)가 정확하게 걸어맞추어지는 회동 위치[회동 부재(42)의 기어(82)의 톱니가 제2 중계 기어(84B)의 톱니의 사이에 원활하게 들어가는 것이 가능한 위치]에 배치할 수 있다.
이로써, 회동 부재(42)의 기어(82)가 회동했을 때, 회동 부재(42)의 기어(82)의 톱니 및 제2 중계 기어(84B)의 톱니의 선단끼리가 충돌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회동 부재(42)의 기어(82)의 톱니 및 제2 중계 기어(84B)의 톱니의 선단끼리가 충돌함으로써, 회동 부재(42) 및 중계 부재(64)가 회동할 수 없도록 되어 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만일, 모터(55)가 정지하고 있는 상태에 있어서 회동 부재(42)의 걸어맞춤부(53)가 중계 부재(64)의 기어(84)에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있었다고 해도, 날대(14)를 제2 위치 P2로부터 제1 위치 P1으로 이동시켰을 때 회동 부재(42)의 기어(82)의 톱니 및 제2 중계 기어(84B)의 톱니의 선단끼리가 충돌하는 것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회동 부재(42)의 기어(82) 및 제2 중계 기어(84B)의 보호를 도모할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광섬유 절단 장치(1)에 의하면, 날대(14)에 장착된 고정 부재(41), 조작 부재(65), 중계 부재(64)의 위쪽이, 커버부(80)에 의해 덮혀져 있다. 그러므로, 이물질이, 고정 부재(41), 조작 부재(65), 중계 부재(64)에 도달하는 것을 바람직하게 억제할 수 있다. 특히, 고정 부재(41), 조작 부재(65), 중계 부재(64)의 위쪽에서 날 부재(13)에 의해 광섬유(100)의 표면을 흠집을 낼 때 발생하는 섬유 칩이, 고정 부재(41), 조작 부재(65), 중계 부재(64)에 도달하는 것을 바람직하게 억제할 수 있다. 이로써, 섬유 칩 등의 이물질에 기초하여, 고정 부재(41), 회동 부재(42), 조작 부재(65), 중계 부재(64)의 상호의 걸어맞춤 상태에 문제점이 생기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회동 부재(42)나 조작 부재(65)로부터 고정 부재(41)에 대한 회동의 전달이, 이물질에 의해 저해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상세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주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 있어서 각종 변경을 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광섬유 절단 장치에 있어서, 조작 부재는, 예를 들면, 날대가 소정 위치로 이동한 경우에만, 기대의 창으로부터 외부로 노출되어도 된다. 예를 들면, 도 11,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조작 부재(65)는, 날대(14)(날 부재(13)가 제1 위치 P1에 배치된 상태로 베이스부(110)[기대(10)]의 창(10E)으로부터 외부로 노출되지 않고, 날대(14)[날 부재(13)]가 제2 위치 P2에 배치된 상태로 베이스부(110)의 창(10E)으로부터 외부로 노출되어도 된다. 또한, 조작 부재(65)는, 예를 들면, 날대(14)[날 부재(13)]가 제2 위치 P2에 배치된 상태로 베이스부(110)의 창(10E)으로부터 외부로 노출되지 않고, 날대(14)[날 부재(13)]가 제1 위치 P1에 배치된 상태로 베이스부(110)의 창(10E)으로부터 외부로 노출되어도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조작 부재(65)를 베이스부(110)[기대(10)]의 창(10E)으로부터 외부로 노출시키기 위해서는, 예를 들면, 베이스부(110)의 창(10E)의 크기를 조정하면 된다. 구체적으로는, 날대(14)의 이동 방향에서의 베이스부(110)의 창(10E)의 길이 치수를, 도 8, 도 10에 예시한 상기 실시형태의 베이스부(110)의 창(10D)보다 짧게 하면 된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조작 부재(65)를 베이스부(110)의 외부로 노출시키기 위해서는, 예를 들면, 도 8, 도 10에 예시한 베이스부(110)의 창(10D)의 일부만을 덮는 커버를 베이스부(110)에 설치해도 된다.
날대(14)가 소정 위치에 배치되었을 때만, 조작 부재(65)가 기대(10)의 창(10E)[창(10D)]으로부터 외부로 노출되는 경우, 날대(14)가 소정 위치 이외에 배치되었을 때, 뜻하지 않게 조작 부재(65)에 외력이 작용하여 날 부재(13)가 뜻하지 않게 회동하여 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고정 부재(41) 및 회동 부재(42)가 서로 걸어맞추어지지 않은 제2 위치 P2에 날대(14)가 배치되었을 때만, 조작 부재(65)가 베이스부(110)의 외부로 노출되는 경우에는, 조작 부재(65)를 조작함으로써 날 부재(13)를 회동시킬 때, 회동 부재(42)가 회동하여 모터(55) 등의 구동원에 부하가 걸리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광섬유 절단 장치는, 예를 들면, 회동 가능하게 된 날 부재(고정 부재), 회동 부재, 조작 부재, 중계 부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부재(회동 가능 부재)의 한쪽의 회동 방향(제1 회동 방향)으로의 회동을 규제하고, 다른 쪽의 회동 방향(제2 회동 방향)으로의 회동을 허용하는 회동 규제 기구(래칫 기구)를 구비해도 된다.
회동 규제 기구는, 예를 들면, 유지 기구와 별개로 설치되어도 되고, 예를 들면,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유지 기구(70F)에 포함되어도 된다.
도 13에 예시하는 유지 기구(70F)에서는, 걸림 기어(74F)의 걸림부(71F)를 이루는 오목부(73F)의 개구 방향이, 고정 부재(41F)(회동 가능 부재)의 직경 방향에 대하여 제1 회동 방향 RF1(도 13에 있어서 좌측 주위의 방향)과 경사져 있다. 구체적으로는, V자형으로 형성된 오목부(73F)의 2개의 내측면(73Fa, 73Fb) 중 제1 회동 방향 RF1의 전방측에 위치하는 전방측 내측면(73Fa)이, 고정 부재(41F)의 직경 방향에 대하여 제1 회동 방향 RF1 측으로 크게 경사져 있다. 오목부(73F) 중 제1 회동 방향 RF1의 후방측에 위치하는 후방측 내측면(73Fb)은, 예를 들면, 고정 부재(41F)의 직경 방향에 대하여 경사지지 않고 고정 부재(41F)의 직경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후방측 내측면(73Fb)은, 예를 들면, 고정 부재(41F)의 직경 방향에 대하여, 전방측 내측면(73Fa)보다 작은 경사 각도로 제1 회동 방향 RF1 측으로 경사져도 된다. 즉, 유지 기구(70F)의 걸림 기어(74F)는, 래칫 기어(91F)를 구성하고 있다. 유지 기구(70F)에 있어서 피걸림 부재(72F)의 피걸림부(75F)를 이루는 볼록부(76F)는, 걸림부(71F)를 이루는 오목부(73F)에 삽입 가능하면 임의의 형상으로 형성되어 바람직하지만, 도시한 예에서는 오목부(73F)의 형상에 대응하는 V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유지 기구(70F)에서는, 날 부재(13)의 제2 회동 방향 RF2(도 13에 있어서 우측 주위의 방향)으로의 회동이 허용되어 제1 회동 방향 RF1으로의 회동이 규제된다. 즉, 도 13에 예시한 유지 기구(70F)는 회동 규제 기구(90F)를 포함한다.
광섬유 절단 장치가 상기한 회동 규제 기구(90F)를 구비함으로써, 광섬유(100)의 표면을 흠집을 내어 소모된 날 부재(13)의 외주 에지부의 소정의 영역이, 잘못하여 다시 광섬유(100)의 흠집을 내는데 사용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광섬유 절단 장치에 있어서, 날 부재(고정 부재), 회동 부재, 조작 부재, 중계 부재의 상호의 걸어맞춤 구조는, 기어를 이용하여 구성되는 것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마찰 기어나 벨트 등을 이용하여 구성되어도 된다.
본 발명의 광섬유 절단 장치에 있어서, 날 부재(고정 부재)나 조작 부재와 회동 부재 사이의 동력 전달은, 예를 들면, 날 부재나 조작 부재에 작용하는 토크가 소정 위치 이상으로 된 경우에 해제되어도 된다. 즉, 본 발명의 광섬유 절단 장치는, 예를 들면, 날 부재나 조작 부재에 작용하는 토크가 소정 위치 이상으로 된 경우에, 날 부재나 조작 부재와 회동 부재 사이의 동력 전달을 해제하는 토크 리미터부를 구비해도 된다. 토크 리미터부는, 예를 들면, 마찰력을 이용한 것이라도 되고, 자력(磁力)을 이용한 것이라도 된다.
토크 리미터부가 마찰력을 이용한 것인 경우, 토크 리미터부는, 예를 들면, 회동 부재와 중계 부재나 날 부재(고정 부재)를 마찰력에 의해 걸어맞추어지는 구성, 조작 부재와 중계 부재나 날 부재(고정 부재)를 마찰력에 의해 걸어맞추어지는 구성이라도 된다. 또한, 날 부재(고정 부재)와 조작 부재가 이들에 권취된 벨트에 의해 연결됨으로써 걸어맞추어지는 경우, 마찰력을 이용한 토크 리미터부는, 예를 들면, 회동 부재와 벨트가 마찰력에 의해 걸어맞추어지는 구성이라도 된다.
토크 리미터부가 자력을 이용한 것인 경우, 토크 리미터부는, 예를 들면, 날 부재(고정 부재)나 조작 부재, 회동 부재, 중계 부재에 설치되는 자기(磁氣) 커플링이라도 된다.
광섬유 절단 장치가 상기한 토크 리미터부를 구비하는 경우에는, 만일, 날대가 제1 위치에 배치되고, 또한 날 부재(고정 부재)나 조작 부재와 회동 부재가 걸어맞추어져 있어도, 날 부재(고정 부재)나 조작 부재에 작용하는 가동 토크가 소정값 이상으로 된 경우에, 날 부재(고정 부재)나 조작 부재의 회동이 회동 부재에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로써, 날 부재(고정 부재)나 조작 부재를 수동으로 회동시켰을 때 회동 부재에 접속되는 모터 등의 구동원에 걸리는 부하를 경감하여, 구동원의 보호를 도모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소정값을 모터 등의 구동원의 축부(모터 축부)의 회전에 필요로 하는 토크 이하로 함으로써, 날 부재(고정 부재)나 조작 부재를 수동으로 회동시켰을 때 구동원의 축부가 회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구동원을 확실하게 보호할 수 있다. 또한, 구동원 등에 문제점이 생겨도, 날 부재를 수동으로 회동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광섬유 절단 장치가 토크 리미터부를 구비하는 경우에는, 날 부재(고정 부재)나 조작 부재와 회동 부재와의 동력 전달을 해제하는 동작(예를 들면, 날대를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로 이동시키는 동작)을 행하지 않고, 수동 및 구동원에 의한 구동 중 어느 하나라도 날 부재를 회동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1: 광섬유 절단 장치, 10: 기대, 10a: 상면, 10b: 측면, 10c: 바닥면, 10D, 10E: 창, 11, 12: 클램프, 11A, 12A: 하부 클램프, 11B, 12B: 상부 클램프, 13: 날 부재, 14: 날대(날 부재 이동대), 15: 가압 부재, 17: 커버부, 41, 41F: 고정 부재(날 부재 고정 부재), 42: 회동 부재, 53: 걸어맞춤부, 54: 비걸어맞춤부, 55: 모터(구동원), 64: 중계 부재, 65: 조작 부재(수동 조작용 회동 부재), 68: 커버, 70, 70F: 유지 기구, 71, 71F: 걸림부, 72, 72F: 피걸림 부재, 73, 73F: 오목부, 74, 74F: 걸림 기어, 75, 75F: 피걸림부, 76, 76F: 볼록부, 81: 회동 전달 기어[고정 부재(41)의 기어], 82: 회동 부재(42)의 기어, 83: 조작 부재(65)의 기어, 84: 중계 기어[중계 부재(64)의 기어], 84A: 제1 중계 기어, 84B: 제2 중계 기어, 90F: 회동 규제 기구, 91F: 래칫 기어, 100: 광섬유, 110: 베이스부

Claims (11)

  1. 광섬유의 길이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된 한 쌍의 클램프(clamp)를 구비하는 기대(base);
    원판형의 날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날 부재를 상기 한 쌍의 클램프 사이에서 이동시켜, 상기 광섬유의 표면을 상기 날 부재의 외주 에지부에 접촉시켜 흠집을 내는(加傷) 날 부재 이동대; 및
    상기 광섬유의 흠집부를 가압하여 굽혀 상기 광섬유를 절단하는 가압 부재;
    를 포함하고,
    상기 날 부재는, 상기 광섬유에 접촉하는 외주 에지부의 위치를 변경하기 위해 상기 날 부재 이동대에 대하여 회동(回動) 가능하게 고정되고,
    상기 기대는, 상기 기대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게 고정된 회동 부재로서, 상기 회동 부재를 회동시킴으로써 동력을 전달하여 상기 날 부재를 회동시키는 상기 회동 부재를 더 구비하고,
    상기 날 부재와 상기 회동 부재 사이의 동력 전달이 해제 가능한,
    광섬유 절단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날 부재와 상기 회동 부재 사이의 동력 전달은, 상기 날 부재 이동대가 소정 위치로 이동한 경우에만 가능한, 광섬유 절단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날 부재와 상기 회동 부재 사이의 동력 전달은, 상기 회동 부재의 회동 위치에 따라 해제되는, 광섬유 절단 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날 부재와 상기 회동 부재 사이의 동력 전달은, 상기 날 부재에 작용하는 토크가 소정값 이상으로 된 경우에 해제되는, 광섬유 절단 장치.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 부재는, 전자력에 의해 회동시키는, 광섬유 절단 장치.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날 부재 이동대는, 상기 날 부재 이동대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게 고정되고, 사용자에 의한 회동에 의해 동력을 전달하여 상기 날 부재를 회동시키는 수동 조작용 회동 부재를 더 구비하고,
    상기 기대는, 내부에 수용한 상기 날 부재 이동대의 상기 수동 조작용 회동 부재를 외부로 노출시키는 창을 더 구비하는, 광섬유 절단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창은, 상기 기대의 바닥면 및/또는 측면에 설치되어 있는, 광섬유 절단 장치.
  8.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기대는, 상기 수동 조작용 회동 부재를 덮는 오회전 방지용의 커버를 더 구비하는, 광섬유 절단 장치.
  9. 제6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동 조작용 회동 부재는, 상기 날 부재 이동대가 소정 위치로 이동한 경우에만, 상기 창으로부터 외부로 노출되는, 광섬유 절단 장치.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날 부재 및 상기 회동 부재 중 하나 이상을 소정의 회동 위치에 유지하는 유지 기구(機構)를 더 포함하는, 광섬유 절단 장치.
  11. 제6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날 부재와 상기 회동 부재, 및 상기 수동 조작용 회동 부재 중 하나 이상을 소정의 회동 위치에 유지하는 유지 기구를 더 포함하는, 광섬유 절단 장치.
KR1020177023087A 2017-03-24 2017-04-07 광섬유 절단 장치 KR10199864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7-059454 2017-03-24
JP2017059454 2017-03-24
PCT/JP2017/014539 WO2018173301A1 (ja) 2017-03-24 2017-04-07 光ファイバ切断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35787A true KR20180135787A (ko) 2018-12-21
KR101998646B1 KR101998646B1 (ko) 2019-07-10

Family

ID=613415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23087A KR101998646B1 (ko) 2017-03-24 2017-04-07 광섬유 절단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EP (1) EP3401715B1 (ko)
KR (1) KR101998646B1 (ko)
CN (2) CN206892394U (ko)
WO (1) WO201817330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73301A1 (ja) * 2017-03-24 2018-09-27 株式会社フジクラ 光ファイバ切断装置
US11065778B2 (en) 2017-03-24 2021-07-20 Fujikura Ltd. Optical fiber cutter
KR102395830B1 (ko) * 2020-08-07 2022-05-09 솔텍인포넷 주식회사 역회전 방지기어를 이용하여 블레이드를 일방으로만 등간격으로 회전시키는 휴대용 광섬유 절단 장치
CN113038717B (zh) * 2021-04-08 2022-03-01 无锡豪帮高科股份有限公司 一种硅麦集成电路的精确切割装置
JPWO2023277074A1 (ko) * 2021-06-30 2023-01-05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61104A (ja) * 1984-08-31 1986-03-28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光フアイバの全自動融着接続装置
JPH06186436A (ja) 1992-12-21 1994-07-08 Sumitomo Electric Ind Ltd 光ファイバ心線の自動切断装置
JP2012194465A (ja) * 2011-03-17 2012-10-11 Sei Optifrontier Co Ltd 光ファイバカッタ
KR20140124717A (ko) * 2012-02-20 2014-10-27 (주)이노인스트루먼트 광섬유 절단기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40313A (en) * 1975-12-29 1977-08-09 William John Lustgraaf Precision circular saw blade grinding machine
US4730763A (en) * 1984-07-12 1988-03-15 Trw Inc. Means and method for scoring and severing an optical fiber
US5253412A (en) * 1991-04-12 1993-10-19 The Furukawa Electric Co., Ltd. Tip processing apparatus for jacketed optical fibers
JPH05232327A (ja) * 1992-02-18 1993-09-10 Furukawa Electric Co Ltd:The 融着機の光ファイバ切断装置
JPH05232346A (ja) * 1992-02-18 1993-09-10 Furukawa Electric Co Ltd:The 融着機の光ファイバ切断装置
CN2341782Y (zh) * 1998-11-03 1999-10-06 南京华尔光通信有限公司 光纤切断器
US20020064355A1 (en) * 2000-11-29 2002-05-30 Ware Scot K. Automatic fiber preparation unit for splicing
CN101210980A (zh) * 2006-12-28 2008-07-02 中国科学院半导体研究所 一种光纤切割装置
JP2011209071A (ja) * 2010-03-29 2011-10-20 Seiko Instruments Inc ビッグデイト表示機構及びこれを備えた時計
CN103529515B (zh) * 2013-10-30 2016-08-17 上海电缆研究所 光纤涂覆层端面处理方法及装置
WO2018173301A1 (ja) * 2017-03-24 2018-09-27 株式会社フジクラ 光ファイバ切断装置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61104A (ja) * 1984-08-31 1986-03-28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光フアイバの全自動融着接続装置
JPH06186436A (ja) 1992-12-21 1994-07-08 Sumitomo Electric Ind Ltd 光ファイバ心線の自動切断装置
JP2012194465A (ja) * 2011-03-17 2012-10-11 Sei Optifrontier Co Ltd 光ファイバカッタ
KR20140016942A (ko) * 2011-03-17 2014-02-10 에스이아이 옵티프론티어 가부시키가이샤 광섬유 커터
KR20140124717A (ko) * 2012-02-20 2014-10-27 (주)이노인스트루먼트 광섬유 절단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8627917A (zh) 2018-10-09
EP3401715B1 (en) 2020-04-29
EP3401715A1 (en) 2018-11-14
EP3401715A4 (en) 2019-04-24
WO2018173301A1 (ja) 2018-09-27
CN206892394U (zh) 2018-01-16
CN108627917B (zh) 2021-10-08
KR101998646B1 (ko) 2019-07-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98646B1 (ko) 광섬유 절단 장치
JP4046051B2 (ja) ヘアカッターの刈り高さ調整機構
KR102236551B1 (ko) 도막 전사구
WO2012124778A1 (ja) 光ファイバカッタ
US20080062444A1 (en) Angle adjustment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4046052B2 (ja) ヘアカッターのコーム振動防止構造
KR19990088206A (ko) 스위치드릴럭턴스기기용라미네이션세트
US11065778B2 (en) Optical fiber cutter
WO2017222049A1 (ja) 電動工具
KR19990088210A (ko) 플라이어를포함하는다기능휴대용공구
EP1547808B1 (en) Lock mechanism of sliding member and transfer device
US20090220203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cessing at Least One Optical Waveguide
JP6273399B1 (ja) 光ファイバ切断装置
CN108700711B (zh) 光纤切割器
JP7122326B2 (ja) 光ファイバ切断機、および光ファイバ切断方法
JP2019098416A (ja) 電動把持装置
US10272549B2 (en) Hinged ratchet wrench
CN109941813B (zh) 转印用具
WO2023276952A1 (ja) 光ファイバカッタ
JP6981217B2 (ja) 転写具
JP4427511B2 (ja) コイン挿入装置
JP2023163120A (ja) 操作装置
JP2023163119A (ja) 操作装置
JP4822950B2 (ja) コントロールケーブルの端末支持装置
JP2006292785A (ja) 光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