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31077A - 방출제어가 용이한 서방성 약물 미립자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방출제어가 용이한 서방성 약물 미립자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31077A
KR20180131077A KR1020170067639A KR20170067639A KR20180131077A KR 20180131077 A KR20180131077 A KR 20180131077A KR 1020170067639 A KR1020170067639 A KR 1020170067639A KR 20170067639 A KR20170067639 A KR 20170067639A KR 20180131077 A KR20180131077 A KR 201801310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lvent
sustained release
microparticles
drug
release dru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676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42026B1 (ko
Inventor
배병찬
박성훈
이태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웅제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64455100&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180131077(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웅제약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웅제약
Priority to KR10201700676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42026B1/ko
Priority to JP2019566591A priority patent/JP7038741B2/ja
Priority to PCT/KR2018/005785 priority patent/WO2018221884A1/ko
Priority to US16/618,219 priority patent/US20200113836A1/en
Priority to CN201880036707.4A priority patent/CN110944627A/zh
Publication of KR201801310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310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20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20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14Particulate form, e.g. powders, Processes for size reducing of pure drugs or the resulting products, Pure drug nanoparticles
    • A61K9/141Intimate drug-carrier mixtures characterised by the carrier, e.g. ordered mixtures, adsorbates, solid solutions, eutectica, co-dried, co-solubilised, co-kneaded, co-milled, co-ground products, co-precipitates, co-evaporates, co-extrudates, co-melts; Drug nanoparticles with adsorbed surface modifiers
    • A61K9/146Intimate drug-carrier mixtures characterised by the carrier, e.g. ordered mixtures, adsorbates, solid solutions, eutectica, co-dried, co-solubilised, co-kneaded, co-milled, co-ground products, co-precipitates, co-evaporates, co-extrudates, co-melts; Drug nanoparticles with adsorbed surface modifiers with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14Particulate form, e.g. powders, Processes for size reducing of pure drugs or the resulting products, Pure drug nanoparticles
    • A61K9/16Agglomerates; Granulates; Microbeadlets ; Microspheres; Pellets; Solid products obtained by spray drying, spray freeze drying, spray congealing,(multiple) emulsion solvent evaporation or extraction
    • A61K9/1682Proces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48Preparations in capsules, e.g. of gelatin, of chocolate
    • A61K9/50Microcapsules having a gas, liquid or semi-solid filling; Solid microparticles or pellets surrounded by a distinct coating layer, e.g. coated microspheres, coated drug crystals
    • A61K9/5005Wall or coating material
    • A61K9/5021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9/5026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polyvinyl pyrrolidone, poly(meth)acrylat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A61K31/44Non condensed pyridines; Hydrogenated derivatives thereof
    • A61K31/445Non condensed piperidines, e.g. piperoca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30Macromolecular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e.g. inorganic polyphosphates
    • A61K47/34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polyesters, polyamino acids, polysiloxanes, polyphosphazines, copolymers of polyalkylene glycol or poloxam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19Injectable compositions; Intramuscular, intravenous, arterial, subcutaneous administration; Compositions to be administered through the skin in an invasive mann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10Dispersions; Emulsions
    • A61K9/107Emulsions ; Emulsion preconcentrates; Micel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48Preparations in capsules, e.g. of gelatin, of chocolate
    • A61K9/50Microcapsules having a gas, liquid or semi-solid filling; Solid microparticles or pellets surrounded by a distinct coating layer, e.g. coated microspheres, coated drug crystals
    • A61K9/5005Wall or coating material
    • A61K9/5021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9/5031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polyethylene glycol, poly(lactide-co-glycolid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48Preparations in capsules, e.g. of gelatin, of chocolate
    • A61K9/50Microcapsules having a gas, liquid or semi-solid filling; Solid microparticles or pellets surrounded by a distinct coating layer, e.g. coated microspheres, coated drug crystals
    • A61K9/5089Process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Dermatolog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방출제어가 용이한 서방성 약물 미립자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제조방법은 종래의 미립자 제조공정에서 용매의 증발 온도를 조절하는 간단한 방법을 취한 것임에도 불구하고, 하기 실시예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초기 방출량을 쉽게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별도의 추가 공정을 필요로 하지 않기 때문에 약물 담지율이 매우 우수하며, 고온의 온도 조절을 필요로 하지 않기 때문에 열에 약한 약물의 안정성을 위협하는 요인이 없다.

Description

방출제어가 용이한 서방성 약물 미립자의 제조방법{Method of preparing sustained release drug microparticles with ease of release control}
본 발명은 방출제어가 용이한 서방성 약물 미립자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약물의 지속적인 방출을 위해 약물을 생분해성 고분자 미립자 내에 담지하는 기술이 개발되어 왔다. 그런데, 미립자 시스템으로 개발된 약물들은 빈번히 높은 초기 약물 방출이 문제되어 왔다.
미립자의 제조는 용매 증발법, 분무 건조법, 코아세르베이션법 등에 의해 수행되는데, 이 중 용매 증발법이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다.
용매 증발법은 예를 들어, O/W 또는 W/O/W의 에멀젼을 제조한 후 이로부터 용매를 증발시켜 미립자를 형성시키는 방법을 일컫는다. 용매 증발을 위해 사용되는 방법은 용매의 끓는점 가까이 온도를 높여 제거하는 방법이 가장 보편적이다. 그러나, 휘발성 용매의 끓는점 가까이부터 휘발을 시작하면 고분자의 Tg(Glass transition temperature)와 가까울 경우 결정형의 변형이 있을 수 있으며 미립자 표면의 포어가 발생하여 방출율이 변할 여지가 크다. 이는 곧 시험관내 방출이 빨라지며 생체 내에서도 부작용을 야기할 가능성이 크다는 것을 의미한다.
종래 기술들을 살펴보면, 특허문헌 1(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481859호)은 에멀젼으로부터 응집된 고분자 미립자를 얻고, 이를 알코올 수용액으로 처리하는 공정을 개시한다. 특허문헌 1은 알코올 수용액으로의 처리가 고분자의 Tg를 Tg△로 낮춤으로써 미립자의 내부 공극 구조를 감소시키고, 이에 따라 입자가 밀집화되어 약물의 초기 방출이 감소됨을 개시한다. 그러나, 알코올 수용액으로의 처리는 추가적 공정의 도입을 필요로 하는 것으로, 알코올 수용액 처리 후 회수 및 건조과정 중 고분자 미립자의 손실이 발생할 가능성이 크다. 또한, Tg가 높은 고분자를 사용할 경우에는 Tg와 가깝거나 더 높은 온도를 가해주어야 하므로 열에 약한 약제학적 활성성분의 경우 안정성을 보장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특허문헌 2(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583351호)는 생분해성 고분자로 이루어진 담체에 약물을 봉입한 미립자를 제조함에 있어 공용매를 사용한 용매교류증발법에 초기 회수 공정을 추가 도입함으로써 생리활성의 초기 과다방출을 억제하고, 잔류용매 제거율도 높이고자 시도하였다. 특허문헌 2에는 초기 회수 공정을 통해 소수성 용매인 메틸렌클로라이드는 완전히 경화되지 않은 미립자 표면을 통해 외부로 잘 빠져나가지 않지만 양친매성 용매인 디메틸설폭시드는 외부로 잘 빠져나간다는 점이 언급되어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 2에서도 소수성 용매를 제거하기 위해서는 여전히 용매를 증발시켜야 하므로 용매의 끓는점 가까이 온도를 높여 잔류 용매를 제거하는 종래의 방법을 사용하였다. 따라서, 휘발성 용매의 끓는점 가까이부터 휘발을 시작할 때 발생하는 상술한 문제점은 여전히 남아 있다.
따라서, 상기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면서, 동시에 약물의 초기 방출이 높지 않으면서 경구용 약물의 혈중 약물 농도를 초과하지 않는 약물동력학을 나타내는 서방성 약물 미립자의 제조방법이 요구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481859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583351호
본 발명은 약물의 초기 방출이 높지 않으면서 경구용 약물의 혈중 약물 농도를 초과하지 않는 약물동력학을 나타내는 서방성 약물 미립자의 제조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용매 중에 용해된 생분해성 고분자 및 약물의 혼합액을 수성 매질과 혼합하여 에멀젼을 얻고,
상기 에멀젼으로부터 용매를 증발시켜 약물을 함유하는 미립자를 형성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용매의 증발은 용매 증발 단계 전 온도로부터 용매의 끓는점±10℃의 범위내 온도에 이르도록 0.2 내지 2℃/min 속도로 가온함으로서 수행되는
서방성 약물 미립자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에멀젼을 얻고 에멀젼으로부터 미립자를 형성하는 과정은 종래의 방법과 유사하나, 용매 증발법을 수행함에 있어서 용매 증발 단계 전 온도로부터 용매의 끓는점±10℃의 범위 내 온도에 이르도록 서서히 가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서방성 약물 미립자의 제조방법에 따르면 서방성 약물 미립자로부터 약물의 초기 방출율을 현저히 감소시킬 수 있다. 약물의 초기 방출율은 서방성 미립자의 총 약물 방출 기간에 따라 상대적으로 정해질 수 있다.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본 발명에 있어서 약물의 초기 방출율이라 함은 서방성 미립자의 투여 후부터 약물이 완전히 방출될 때까지의 총 방출 기간 중 예컨대, 초기 1/6 내지 1/3에 해당하는 기간 내 약물 방출율을 의미한다. 하기 실시예에서 참고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예를 들어, 1달 방출 제형의 경우 약물의 초기 방출율은, 예컨대, 약 7일 이내에 서방성 미립자로부터 방출된 약물의 비율을 의미할 수 있다. 이 경우, 약물의 초기 방출율은 서방성 미립자 내의 최초 약물 로딩 농도와 투여 후 7일 이내의 특정 시점(예컨대, 투여 후 7일)에서 측정하였을 때 서방성 미립자에 남아 있는 약물의 양을 이용하여 구할 수 있다.
하기 실시예에서는 용매 증발의 온도를 다양하게 조절하여 얻어진 미립자들이 각기 다른 양상의 약물 초기 방출율을 나타낸다는 점을 보여준다. 발명자들은 이 점에 착안하여 약물의 초기 방출율을 조절할 수 있는 방법으로서, 용매 증발 단계 전 온도로부터 용매의 끓는점±10℃의 범위 내 온도로 서서히 가온하는 방법을 채택하였다. 본 발명의 방법에 따라 제조된 미립자로 인 비보(in vivo) PK 시험을 한 결과 실제 동물에서도 약물의 초기 방출이 제어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서방성 약물 미립자의 초기방출율은 1달 제형의 경우 7일 이내의 특정 시점(예컨대, 투여 후 7일)에서 측정하였을 때 50% 미만, 예컨대, 40 % 미만, 30 % 미만 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서방성 약물 미립자의 약물 방출은 약 수 주 또는 수 개월 간 유지될 수 있다. 약물의 방출 지속 기간은 미립자 제조시의 약물 봉입량, 생분해성 고분자의 종류, 블렌딩 비율, 첨가제의 함량 등에 따라 조절할 수 있으며, 이와 관련한 기술은 당업자에게 잘 알려져 있다. 따라서, 당업자는 환자에게 투여하고자 하는 약물의 종류, 투여량, 투여 형태, 질환의 중증도 등에 따라 적절한 약물 방출 지속 기간 및 방출 속도를 달리 설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서방성 약물 미립자를 포함하는 약학 제형의 투약 시 약물의 최고혈중농도는 해당 제형에 상응하는 용량의 경구용 약학 제형의 투약시의 최고혈중농도를 초과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1일 1회 10mg 약물 용량의 경구용 약학 제형을 대체하여 1개월 약물 방출 타입의 서방성 약물 미립자 함유 약학 제형(300mg 약물 용량)을 투약하는 경우, 본 발명에 따른 서방성 약물 미립자를 포함하는 약학 제형의 투약 시 약물의 최고혈중농도는 이에 상응하는 경구용 약학 제형 투약시 약물의 최고혈중농도를 초과하지 않는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서방성 약물 미립자를 포함하는 약학 제형은 동일한 활성성분 용량을 다회에 걸쳐 투여하는 경구용 약학 제형과 비교하여 생물학적 동등 수준의 최고혈중농도(Cmax)를 나타낸다. 여기에서, 최고혈중농도(Cmax)가 생물학적 동등 수준을 나타내는지는 의약품동등성 기준에 따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약사관련법규집 의약품동등성 시험기준의 생물학적 동등성 시험에 따라 대조약과 시험약의 최고혈중농도(Cmax)를 로그변환하여 통계처리하였을 때, 로그 변환한 평균치 차의 90% 신뢰구간에서 log 0.8 ~ log 1.25 이내를 충족하면 생물학적으로 동등한 것으로 한다.
한편, 용매 증발 단계 전 온도는 상온 또는 에멀젼을 제조한 후 용매 증발을 시작하고자 하였을 때 측정한 온도를 의미할 수 있다.
용매의 끓는점±10℃의 범위는 사용하고자 하는 용매에 따라 가온의 최종 목표 온도가 달라지기 때문에 주어진 값이다. 용매의 끓는점 근처에서 용매의 휘발이 이루어지므로 이를 용매의 끓는점±10℃의 범위로 지칭한 것이다. 상기 범위는 용매의 끓는점±10℃의 범위, 용매의 끓는점±8℃의 범위, 용매의 끓는점±6℃의 범위, 용매의 끓는점±4℃의 범위, 용매의 끓는점±2℃의 범위 등 하기 범위 내 하위 수치 범위들을 모두 포함한다.
용매 증발 단계 전 온도로부터 용매의 끓는점±10℃의 범위 내 온도에 이르도록하는 가온은 0.2 내지 2℃/min, 예컨대, 0.3 내지 1.5℃/min, 0.5 내지 1℃/min와 같은 속도로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제조방법은 종래의 미립자 제조공정에서 용매의 증발 온도를 조절하는 간단한 방법을 취한 것임에도 불구하고, 하기 실시예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초기 방출량을 쉽게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별도의 추가 공정을 필요로 하지 않기 때문에 약물 담지율이 매우 우수하며, 고온의 온도 조절을 필요로 하지 않기 때문에 열에 약한 약물의 안정성을 위협하는 요인이 없다.
본 발명의 한 구체예에서, 선택적으로 용매 증발 시 N2를 가할 수 있다. N2 는 용매의 증발을 가속화시켜 주는 역할을 하므로 필요에 따라 용매 증발 단계에서 N2 처리를 추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구체예에서, 생분해성 고분자는 폴리락타이드(PLA), 폴리글리코라이드(PGA), 폴리(락타이드-코-글리코라이드)(PLGA)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폴리(락타이드-코-글리코라이드) 공중합체 내 폴리락타이드와 폴리글리코라이드의 비율은 50:50 내지 95:5, 예컨대, 50:50, 65:35, 75:25, 또는 85:15 일 수 있다.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상기 생분해성 고분자는 4,000 내지 50,000의 중량평균분자량을 갖는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생분해성 고분자의 중량평균분자량은 4,000 내지 15,000의 중량평균분자량, 7,000 내지 17,000의 중량평균분자량, 5,000 내지 20,000의 중량평균분자량, 10,000 내지 18,000의 중량평균분자량, 18,000 내지 28,000의 중량평균분자량 등 상기 범위 내 하위 수치 범위들을 모두 포함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생분해성 고분자로서 Evonik Rohm GmbH사의 RESOMERTM라는 상품명의 폴리락타이드, 폴리글리코라이드, 폴리(락타이드-코-글리코라이드)를 사용할 수 있거나 이들을 블렌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예컨대, R202H, R202S, R203H, R203S, RG502H, RG503H, RG653H, RG752H, RG752S, RG753H, RG753S를 단독 또는 블렌딩하여 사용할 수 있다. 하기 실시예에서는 예컨대, RG203H, RG502H, RG752H 또는 이들을 폴리락타이드와 블렌딩한 생분해성 고분자를 사용하였다.
생분해성 고분자의 적합한 분자량이나 블렌딩하는 비율 등은 생분해성 고분자의 분해 속도 및 그에 따른 약물 방출 속도 등을 고려하여 당업자가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서방성 약물 미립자 내에 봉입되는 약물의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예를 들어, 난용성 약물일 수 있다. 서방성 약물 미립자 시스템에서 난용성 약물 봉입의 기본원리는 소수성 결합으로 인한 약물 봉입이다. 즉, 사용하는 생분해성 고분자의 소수성 부분과 난용성 약물의 소수성 사이에 서로 소수성 결합이 생기면서 봉입이 된다. 그러므로 일반적인 난용성 약물은 에멀젼화시 고분자의 소수성 부분이 약물을 감쌀 수 있으며 난용성 일수록 그 응집력이 강해진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생분해성 고분자의 분자량은 4,000 내지 50,000이고, 일반적인 난용성 약물의 분자량은 2,000 미만이므로 충분히 고분자들이 약물을 담지 할 수 있다. 따라서, 일반적인 난용성 약물은 모두 본 발명에 따른 서방성 약물 미립자 내에 봉입 가능하다.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서방성 약물 미립자 내에 봉입되는 약물의 예로는 프로게스테론(progesterone) 할로페리돌(haloperidol), 티오틱센(thiothixene), 올란자핀 (olanzapine), 클로자핀(clozapine), 브롬페리돌(bromperidol), 피모자이드(pimozide), 리스페리돈 (risperidone), 지프라시돈(ziprasidone), 다이아제팜(diazepam), 에틸 로플라제페이트(ethyl loflazepate), 알프라졸람(alprazolam), 네모나프라이드(nemonapride), 플루옥세틴(fluoxetine), 세르트랄린(sertraline), 베늘라팍신(venlafaxine), 도네페질(donepezil), 타크린(tacrine), 갈란타민(galantamine), 리바스티그민 (rivastigmine), 셀레길린(selegiline), 로피니롤(ropinirole), 페르골리드(pergolide), 트리헥시페니딜 (trihexyphenidyl), 브로모크립틴(bromocriptine), 벤즈트로핀(benztropine), 콜히친(colchicine), 노르다제팜 (nordazepam), 에티졸람(etizolam), 브로마제팜(bromazepam), 클로티아제팜(clotiazepam), 멕사졸람(mexazolam), 부스피론(buspirone), 고세렐린(goserelin), 루프롤리드(leuprolide), 옥트레오티드(octreotide), 세트로렐릭스(cetrorelix), 플루코나졸(fluconazole), 이트라코나졸(itraconazole), 미조리빈(mizoribine), 사이클로스포린(cyclosporin), 타크롤리무스(tacrolimus), 날록손(naloxone), 날트렉손(naltrexone), 클라드리빈(cladribine), 클로람부실(chlorambucil), 트레티노인(tretinoin), 카르무스틴(carmustine), 아나그렐리드 (anagrelide), 독소루비신(doxorubicin), 아나스트로졸(anastrozole), 이다루비신(idarubicin), 시스플라틴 (cisplatin), 닥티노마이신(dactinomycin), 도세탁셀(docetaxel), 파클리탁셀(paclitaxel), 랄티트렉세드 (raltitrexed), 에피루비신(epirubicin), 레트로졸(letrozole), 메플로퀸(mefloquine), 프리마퀸(primaquine), 옥시부티닌(oxybutynin), 톨터로딘(tolterodine), 알릴에스트레놀(allylestrenol), 로보스타틴(lovostatin), 심바스타틴(simvastatin), 프라바스타틴(pravastatin), 아토르바스타틴(atorvastatin), 알렌드로네이트 (alendronate), 랄록시펜(raloxifene), 옥산드롤론(oxandrolone), 에스트라디올(estradiol), 에티닐 에스트라디올 (ethinylestradiol), 에토노게스트렐(etonogestrel) 및 레보노르게스트렐(levonorgestrel)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약물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구체예에서, 상기 약물은 도네페질 일 수 있다. 현재 도네페질-함유 경구용 정제인 아리셉트TM정 (에자이사)은 1일 1회 취침 전 복용하는 제제로서, 5mg, 10mg, 23mg 용량의 정제가 시판 중에 있다. 그러나, 도네페질-함유 경구용 정제를 경구투여시 일부 환자에서 설사, 오심, 식욕감퇴, 근경련(muscle convulsion) 등의 위장관 부작용이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알쯔하이머 환자에게 1일 1회 취침 전 약물을 반복적으로 복용해야 하므로 복용편의성이 떨어져 지속적인 약리효과를 나타내는데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서방성 약물 미립자 내에 도네페질을 봉입하여 주사제로 만들면 환자의 복용편의성을 증대시키면서 동시에 지속적인 약리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서방성 약물 미립자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용매는 휘발성 용매일 수 있다. 용매는 고분자나 약물을 용해시키기 위해 사용되나, 미립자 내에 용매가 잔류하는 것은 약물의 안전성에 위협이 될 수 있다. 따라서, 용매 증발을 통해 용매 제거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는 휘발성 용매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용매는 알킬할라이드, 지방산 에스테르, 에테르, 방향족 탄화수소, 알코올 또는 이들의 2 이상의 혼합물이며,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용매는 메틸렌클로라이드, 클로로포름, 클로로에탄, 트리클로로에탄, 사염화탄소, 에틸아세테이트, 부틸아세테이트, 아세트산, 에틸에테르, 이소프로필 에테르, 벤젠, 톨루엔, 크실렌, 아세토니트릴, 이소프로판올, 메탄올, 에탄올 또는 이들의 2 이상의 혼합물일 수 있다.
하기 실시예에서는, 용매로 메틸렌클로라이드를 사용한 미립자의 제조방법을 제시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용매의 증발은 용매 증발 단계 전 온도로부터 용매의 끓는점±10℃의 범위내 온도로 서서히 가온하는 방법을 통해 수행된다. 메틸렌클로라이드의 끓는 점은 약 39.95도이므로, 본 발명의 제조방법을 적용하면, 상온으로부터 30 내지 50℃의 범위 내 온도에 이르도록 0.2 내지 2℃/min, 예컨대, 0.3 내지 1.5℃/min, 0.5 내지 1℃/min와 같은 속도로 서서히 가온함으로서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수성 매질은 에멀젼화제를 포함하는 수용액일 수 있다. 에멀젼화제는 안정한 에멀젼의 형성을 위해 사용되는 공지의 물질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에멀젼화제는 예를 들어,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예컨대, 소디움 올레에이트, 소디움 스테아레이트, 소디움 라우릴설페이트 등),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예컨대,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지방 에스테르 등), 폴리옥시에틸렌 캐스터 오일 유도체, 폴리비닐피롤리돈, 폴리비닐 알코올,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레시틴, 젤라틴 및 히알루론산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성분을 사용할 수 있다. 에멀젼화제를 포함하는 수용액 중의 에멀젼화제는 0.01 내지 10 %(w/v), 예컨대, 0.1 내지 5%(w/v)의 농도로 함유되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제조방법에 의해 얻어진 서방성 약물 미립자 및 이를 포함하는 약학 제형을 제공한다. 상기 서방성 약물 미립자는 부형제의 첨가에 따라 다양한 약학 제형으로 제제화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서방성 약물 미립자는 비경구 투여를 위한 주사제로 제제화될 수 있다. 주사제로 제형화되는 경우 상기 서방성 약물 미립자는 적절한 부형제의 첨가를 통해 수성 또는 유성 현탁액으로 제형화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약물 미립자가 현탁액으로 제형화되는 경우 당업자는 미립자가 우수한 분산성을 나타내는 분산매질을 선택하여 제형화할 수 있다. 또한 현탁제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방부제, 등장화제 등을 함께 첨가할 수 있을 것이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서방성 약물 미립자가 주사제로 제형화되는 경우, 상기 서방성 약물 미립자는 분산 매질과는 별도의 바이알에 존재할 수 있으며, 환자에게 투여 직전에 현탁액으로 제조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본 발명은 상기 제조방법에 따라 얻어진 서방성 약물 미립자, 분산 매질 및 주사기를 포함하는 키트를 제공한다. 다르게는, 상기 서방성 약물 미립자와 현탁액은 주사기에 충진되어 있되, 주사기 내 별도의 구획에 상호독립적으로 존재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미립자는 10 내지 500 um의 평균입자도를 갖는 것일 수 있다.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미립자는 10 내지 200um, 예컨대, 20 내지 100um 의 평균입자도를 갖는 것이 주사제로의 사용에 적합하다.
전체 미립자 내 바람직한 약물의 함량 비율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10 내지 40%일 수 있으며, 예컨대, 15 내지 35%, 20 내지 30%, 20 내지 27%, 20 내지 24% 등 상기 범위 내 하위 수치 범위들을 모두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제조방법은 종래의 미립자 제조공정에서 용매의 증발 온도를 조절하는 간단한 방법을 취한 것임에도 불구하고, 하기 실시예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초기 방출량을 쉽게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별도의 추가 공정을 필요로 하지 않기 때문에 약물 담지율이 매우 우수하며, 고온의 온도 조절을 필요로 하지 않기 때문에 열에 약한 약물의 안정성을 위협하는 요인이 없다.
도 1은 비교예 1 내지 3 및 실시예 1의 미립자로부터 도네페질이 방출되는 양상을 인비트로(in vitro)에서 측정한 결과를 보여준다.
도 2는 대조군과 비교예 2 및 실시예 1 의 인 비보 PK 결과를 나타낸다.
도 3은 대조군과 실시예 2 내지 5의 인 비보 PK 결과를 나타낸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 및 실험예를 통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 및 실험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이 이들 실시예 및 실험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 실시예 ]
실시예 1
제조예 1: 도네페질 함유 수중유 에멀젼의 제조
멸균수에 폴리비닐 알코올(PVA, 90% hydrolyzed, Mw = 20000 ~ 30000)을 용해시켜 0.5% w/v의 PVA 수용액을 제조하였다.
한편, 도네페질, 메틸렌클로라이드, 폴리락타이드(ResomerTM R 203 H, Poly(D,L-lactide), Mw 18,000-24,000)를 비커에 투입하고 교반하여 완전히 용해시킴으로써 폴리머/약물 용액을 제조하였다.
상기 PVA 수용액에 폴리머/약물 용액을 투입하고 교반하여 수중유(O/W) 에멀젼을 생성하였다.
생성된 수중유(O/W) 에멀젼을 1회 PVA 수용액에 재교반시켜 약물의 함량 소실을 최소화하였다. 이때 재순환 횟수는 1회에 국한되지는 않는다.
제조예 2: 도네페질 함유 미립자 제조
용매 증발법을 통해 상기 제조예 1의 수중유 에멀젼으로부터 도네페질 함유 미립자를 형성하였다. 이 때, 용매 증발을 위한 온도 조건의 설정에 따라 비교예 1 내지 3 및 실시예 1의 미립자를 형성할 수 있었다. 형성된 미립자를 1500 rpm으로 5분 동안 원심분리하여 얻고, 얻어진 미립자를 밤새 동결건조한 후 100 메쉬(180 um-80 um, 125um)의 체로 체과시켰다.
용매 증발을 위한 온도 조건의 설정에 따른 비교예 1 내지 3 및 실시예 1의 미립자의 제조
비교예 1 온도
N2 purge
RPM
Time
방치 시간
45℃
ON
120
4시간
2시간
비교예 2 온도
N2 purge
RPM
Time
방치 시간
45℃
OFF
120
4시간
2시간
비교예 3 온도
N2 purge
RPM
Time
방치 시간
35℃
OFF
120
4시간
2시간
실시예 1 온도
N2 purge
RPM
Time
방치 시간
25℃->45℃
OFF
120
4시간
2시간
본 제조예에서 온도 조절의 구체적인 방법은 다음과 같다.
1) Stainless 재질로 물의 순환이 가능한 워터자켓 형태로 제작된 반응기에 온도 조절을 위한 서큘레이터를 부착하였다. 45℃에서 휘발시에는 서큘레이터의 온도 세팅을 45℃로 조절한 후 45℃에 도달 시 에멀젼화된 용액을 (미립자 in PVA solution) 반응기에 넣고 4시간 동안 교반시켜 주었다.  
2) 35℃의 경우에는 서큘레이터 세팅값을 35℃로 조절한 후 35℃에 도달했을 때 용액을 투입하여 4시간 동안 교반시켜 주었다.
3) 25℃에서 45℃로 단계적으로 승온 시킬시에는 서큘레이터의 온도값을 25℃로 맞춘 후 25℃에 도달하였을 때 용액을 투입하며 이 때 다시 서큘레이터 온도값을 45℃로 조절하였다. 25℃에서 45℃로 올라가는 시간은 약 40분 정도이며, 이 40분을 포함하여 3시간 후에 다시 25℃로 세팅하여 온도를 내려주었다 (약 1시간 소요). 총 4시간 동안의 휘발 시간이 소요되었다.
실시예 2 내지 5: 도네페질 함유 미립자 제조
PLA 단독 고분자 대신 PLGA RG752H(PLA : PGA = 75:25) 또는 PLGA RG502H (PLA : PGA = 50:50)를 10~25% 블렌딩해 준 것을 제외하고는 하기 표 2의 조성에 따라 실시예 1의 미립자의 제조방법과 동일하게 하여 1달 약물 방출형의 미립자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1 내지 5의 조성
DPZ300IM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실시예4 실시예5  
Batch size (vials) 30
Donepezil free base 300 300 300 300 300 mg/vial
Methylene chloride 5000 5000 5000 5000 5000 mg/vial
R203H 950 855 760 855 760 mg/vial
RG502H - 95 190 - - mg/vial
RG752H - - - 95 190 mg/vial
Microsphere 1250 1250 1250 1250 1250 mg/vial
실시예 2
도네페질, 메틸렌클로라이드, 폴리락타이드(ResomerTM R203H, Poly(D,L-lactide), Mw 18,000-24,000), PLGA RG502H (PLA : PGA = 50:50) (RG502H 10% Blending)를 상기 표 2 (실시예2)에 나타낸 것과 같은 양을 비커에 투입하고 교반하여 완전히 용해시킴으로써 폴리머/약물 용액을 제조하였다.
상기 제조예 1과 동일한 수중유 에멀젼 방법으로부터 도네페질 함유 미립자를 형성하였고, 이 때 용매 증발을 위한 온도 조건의 설정은 실시예 1과 동일한 조건으로 실시하였다. 형성된 미립자를 1500 rpm으로 5분 동안 원심분리하여 얻고, 얻어진 미립자를 밤새 동결건조한 후 100 메쉬(180 um-80 um, 125um)의 체로 체과시켰다.
실시예 3
도네페질, 메틸렌클로라이드, 폴리락타이드(ResomerTM R203H, Poly(D,L-lactide), Mw 18,000-24,000), PLGA RG502H (PLA : PGA = 50:50)(RG502H 20% Blending)를 상기 표 2(실시예3)에 나타낸 것과 같은 양을 비커에 투입하고 교반하여 완전히 용해시킴으로써 폴리머/약물 용액을 제조하였다.
상기 제조예 1과 동일한 수중유 에멀젼방법으로부터 도네페질 함유 미립자를 형성하였고 이 때, 용매 증발을 위한 온도 조건의 설정은 실시예1과 동일한 조건으로 실시하였다. 형성된 미립자를 1500 rpm으로 5분 동안 원심분리하여 얻고, 얻어진 미립자를 밤새 동결건조한 후 100 메쉬(180 um-80 um, 125um)의 체로 체과시켰다.
실시예 4
도네페질, 메틸렌클로라이드, 폴리락타이드(ResomerTM R203H, Poly(D,L-lactide), Mw 18,000-24,000), PLGA RG752H (PLA : PGA = 75:25)(RG752H 10% Blending)를 상기 표2(실시예4)에 나타낸 것과 같은 양을 비커에 투입하고 교반하여 완전히 용해시킴으로써 폴리머/약물 용액을 제조하였다.
상기 제조예 1과 동일한 수중유 에멀젼방법으로부터 도네페질 함유 미립자를 형성하였고 이 때, 용매 증발을 위한 온도 조건의 설정은 실시예 1과 동일한 조건으로 실시하였다. 형성된 미립자를 1500 rpm으로 5분 동안 원심분리하여 얻고, 얻어진 미립자를 밤새 동결건조한 후 100 메쉬(180 um-80 um, 125um)의 체로 체과시켰다.
실시예 5
도네페질, 메틸렌클로라이드, 폴리락타이드(ResomerTM R 203 H, Poly(D,L-lactide), Mw 18,000-24,000) PLGA RG752H (PLA : PGA = 75:25)(RG752H 20% Blending)를 상기 표 2(실시예5)에 나타낸 것과 같은 양을 비커에 투입하고 교반하여 완전히 용해시킴으로써 폴리머/약물 용액을 제조하였다.
상기 제조예 1과 동일한 수중유 에멀젼방법으로부터 도네페질 함유 미립자를 형성하였고 이 때, 용매 증발을 위한 온도 조건의 설정은 실시예 1과 동일한 조건으로 실시하였다. 형성된 미립자를 1500 rpm으로 5분 동안 원심분리하여 얻고, 얻어진 미립자를 밤새 동결건조한 후 100 메쉬(180 um-80 um, 125um)의 체로 체과시켰다.
실험예 1: 약물 초기 방출율의 측정
비교예 1 내지 3 및 실시예 1의 미립자로부터 도네페질이 방출되는 양상을 인 비트로에서 측정하였다. 각 시험군마다 10mg의 미립자(도네페질 약 2.4mg함유)를 취하여 방출튜브에 넣고 버퍼를 넣어준 후 100 rpm으로 연속 쉐이킹하며 방출시켰다. 일정 시간 간격으로 UPLC를 사용하여 방출된 도네페질의 양을 측정하였고 측정된 양을 1Vial에 포함된 미립자 총량인 1250mg으로(도네페질 약 300mg함유) 환산하여 도 1에 표시하였다.
그 결과, 도 1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시간차 가온을 통해 용매를 증발시킨 실시예 1의 미립자가 도네페질 초기 방출 속도가 가장 낮았다.
실험예 2: 인 비보 PK 테스트
비교예 2 및 실시예 1의 미립자로부터의 도네페질의 방출 양상을 인 비보 PK 테스트를 통해 확인하였다.
수컷 Beagle dog에게 경구용 도네페질 염산염(대조약)을 3일 동안 24시간 간격으로 3회 경구투여하였고 이를 대조군으로 설정하였다. 1회당 도네페질 투여량은 3mg/head 였고, 투여액량은 1ml/head였다.
비교예 2와 실시예 1의 미립자 함유 1 ml 중 D-mannitol 50 ㎎, carboxymethyl cellulose Na 5 ㎎, 폴리소르베이트 80 적량, 주사용수 적량이 포함된 용액에 현탁시켜 제조하였으며, 1회당 도네페질 근육투여량은 약 90mg/head 였고, 투여액량은 3 ml/head였다. 각 군당 n=4로 실험을 진행하였다.
도 2는 대조군과 비교예 2 및 실시예 1 의 인 비보 PK 결과를 나타낸다. 도 2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실시예 1의 미립자는 경구로 투약한 대조약과 유사한 Cmax에 도달하였으며, 도네페질의 초기 방출율 또한 대조약 수준으로 유지되었다.
실험예 3: 인 비보 PK 테스트
실시예 2 내지 5의 미립자로부터의 도네페질의 방출 양상을 인 비보 PK 테스트를 통해 확인하였다.
수컷 Beagle dog에게 경구용 도네페질 염산염(대조약)을 3일 동안 24시간 간격으로 3회 경구투여하였고 이를 대조군으로 설정하였다. 1회당 도네페질 투여량은 1.24mg/head 였고, 투여액량은 1ml/head였다.
실시예 2 내지 5의 미립자를 1 ml 중 D-mannitol 50 ㎎, carboxymethyl cellulose Na 5 ㎎, 폴리소르베이트 80 적량, 주사용수 적량이 포함된 용액에 현탁시켜 제조하였으며, 1회당 도네페질 근육투여량은 약 37.2mg/head 였고, 투여액량은 0.6 ml/head였다. 각 군당 n=4로 실험을 진행하였다.
도 3은 대조군과 실시예 2 내지 5 의 인 비보 PK 결과를 나타낸다. 대조의 경우는 3일간 경구투여를 통해 같은 패턴이 나옴을 확인하여 30일간 매일 투여하여도 동일할 것으로 예상하였다. 도 3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실시예 2 내지 5는 경구로 투약한 대조약과 유사한 Cmax에 도달하였으며, 도네페질의 초기 방출율(약 7일이내의 방출율) 또한 대조약 수준으로 유지되었다.

Claims (16)

  1. 용매 중에 용해된 생분해성 고분자 및 약물의 혼합액을 수성 매질과 혼합하여 에멀젼을 얻고,
    상기 에멀젼으로부터 용매를 증발시켜 약물을 함유하는 미립자를 형성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용매의 증발은 용매 증발 단계 전 온도로부터 용매의 끓는점±10℃의 범위내 온도에 이르도록 0.2 내지 2℃/min 속도로 가온함으로서 수행되는
    서방성 약물 미립자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생분해성 고분자는 폴리락타이드(PLA), 폴리글리코라이드(PGA), 폴리(락타이드-코-글리코라이드)(PLGA)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서방성 약물 미립자의 제조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생분해성 고분자는 4,000 내지 50,000의 중량평균분자량을 갖는 것인
    서방성 약물 미립자의 제조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약물은 난용성 약물인
    서방성 약물 미립자의 제조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약물은 프로게스테론(progesterone), 할로페리돌(haloperidol), 티오틱센(thiothixene), 올란자핀 (olanzapine), 클로자핀(clozapine), 브롬페리돌(bromperidol), 피모자이드(pimozide), 리스페리돈 (risperidone), 지프라시돈(ziprasidone), 다이아제팜(diazepam), 에틸 로플라제페이트(ethyl loflazepate), 알프라졸람(alprazolam), 네모나프라이드(nemonapride), 플루옥세틴(fluoxetine), 세르트랄린(sertraline), 베늘라팍신(venlafaxine), 도네페질(donepezil), 타크린(tacrine), 갈란타민(galantamine), 리바스티그민 (rivastigmine), 셀레길린(selegiline), 로피니롤(ropinirole), 페르골리드(pergolide), 트리헥시페니딜 (trihexyphenidyl), 브로모크립틴(bromocriptine), 벤즈트로핀(benztropine), 콜히친(colchicine), 노르다제팜 (nordazepam), 에티졸람(etizolam), 브로마제팜(bromazepam), 클로티아제팜(clotiazepam), 멕사졸람(mexazolam), 부스피론(buspirone), 고세렐린(goserelin), 루프롤리드(leuprolide), 옥트레오티드(octreotide), 세트로렐릭스(cetrorelix), 플루코나졸(fluconazole), 이트라코나졸(itraconazole), 미조리빈(mizoribine), 사이클로스포린(cyclosporin), 타크롤리무스(tacrolimus), 날록손(naloxone), 날트렉손(naltrexone), 클라드리빈(cladribine), 클로람부실(chlorambucil), 트레티노인(tretinoin), 카르무스틴(carmustine), 아나그렐리드 (anagrelide), 독소루비신(doxorubicin), 아나스트로졸(anastrozole), 이다루비신(idarubicin), 시스플라틴 (cisplatin), 닥티노마이신(dactinomycin), 도세탁셀(docetaxel), 파클리탁셀(paclitaxel), 랄티트렉세드 (raltitrexed), 에피루비신(epirubicin), 레트로졸(letrozole), 메플로퀸(mefloquine), 프리마퀸(primaquine), 옥시부티닌(oxybutynin), 톨터로딘(tolterodine), 알릴에스트레놀(allylestrenol), 로보스타틴(lovostatin), 심바스타틴(simvastatin), 프라바스타틴(pravastatin), 아토르바스타틴(atorvastatin), 알렌드로네이트 (alendronate), 랄록시펜(raloxifene), 옥산드롤론(oxandrolone), 에스트라디올(estradiol), 에티닐 에스트라디올(ethinylestradiol), 에토노게스트렐(etonogestrel) 및 레보노르게스트렐(levonorgestrel)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약물인
    서방성 약물 미립자의 제조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약물은 도네페질인
    서방성 약물 미립자의 제조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매는 휘발성 용매인
    서방성 약물 미립자의 제조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매는 알킬할라이드, 지방산 에스테르, 에테르, 방향족 탄화수소, 알코올 또는 이들의 2 이상의 혼합물인 서방성 약물 미립자의 제조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매는 메틸렌클로라이드, 클로로포름, 클로로에탄, 트리클로로에탄, 사염화탄소, 에틸아세테이트, 부틸아세테이트, 아세트산, 에틸에테르, 이소프로필 에테르, 벤젠, 톨루엔, 크실렌, 메탄올, 이소프로판올, 아세토니트릴, 에탄올 또는 이들의 2 이상의 혼합물인 서방성 약물 미립자의 제조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수성 매질은 에멀젼화제를 포함하는 수용액인
    서방성 약물 미립자의 제조방법.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매는 메틸렌클로라이드이고,
    상기 용매의 증발은 상온으로부터 30 내지 50℃의 범위 내 온도에 이르도록 0.2 내지 2℃/min 속도로 가온함으로서 수행되는
    서방성 약물 미립자의 제조방법.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립자는 10 내지 500 um의 평균입자도를 갖는 것인
    서방성 약물 미립자의 제조방법.
  13.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의 제조방법에 의해 얻어진 서방성 약물 미립자.
  14. 제13항의 서방성 약물 미립자를 포함하는 약학 제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서방성 약물 미립자를 포함하는 약학 제형은 동일한 활성성분 용량을 다회에 걸쳐 투여하는 경구용 약학 제형과 비교하여 생물학적 동등 수준의 최고혈중농도(Cmax)를 나타내는 것인 약학 제형.
  16. 제13항의 서방성 약물 미립자, 분산매질, 및 주사기를 포함하는 키트.
KR1020170067639A 2017-05-31 2017-05-31 방출제어가 용이한 서방성 약물 미립자의 제조방법 KR1021420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7639A KR102142026B1 (ko) 2017-05-31 2017-05-31 방출제어가 용이한 서방성 약물 미립자의 제조방법
JP2019566591A JP7038741B2 (ja) 2017-05-31 2018-05-21 放出制御が容易な徐放性薬物微粒子の製造方法
PCT/KR2018/005785 WO2018221884A1 (ko) 2017-05-31 2018-05-21 방출제어가 용이한 서방성 약물 미립자의 제조방법
US16/618,219 US20200113836A1 (en) 2017-05-31 2018-05-21 Method of preparing sustained-release drug microparticles with easy release control
CN201880036707.4A CN110944627A (zh) 2017-05-31 2018-05-21 易于控制释放的缓释性药物微粒的制备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7639A KR102142026B1 (ko) 2017-05-31 2017-05-31 방출제어가 용이한 서방성 약물 미립자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31077A true KR20180131077A (ko) 2018-12-10
KR102142026B1 KR102142026B1 (ko) 2020-08-06

Family

ID=644551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67639A KR102142026B1 (ko) 2017-05-31 2017-05-31 방출제어가 용이한 서방성 약물 미립자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200113836A1 (ko)
JP (1) JP7038741B2 (ko)
KR (1) KR102142026B1 (ko)
CN (1) CN110944627A (ko)
WO (1) WO2018221884A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91333A1 (ko) * 2019-11-08 2021-05-14 환인제약 주식회사 지속 방출을 위한 마이크로스피어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259589B1 (ko) * 2020-11-30 2021-06-02 (주)인벤티지랩 미소구체 제조 시스템 및 미소구체 제조 방법
WO2021133051A1 (ko) * 2019-12-23 2021-07-01 환인제약 주식회사 로피니롤을 포함하는 마이크로스피어 및 이를 함유하는 주사제 조성물
WO2022010317A1 (ko) * 2020-07-09 2022-01-13 에이치엘비제약 주식회사 도네페질 함유 서방출성 plga 미립구의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S2952213T3 (es) 2020-02-06 2023-10-30 Ocular Therapeutix Inc Composiciones y métodos para tratar enfermedades oculares
JP2023513751A (ja) * 2020-02-14 2023-04-03 ジー2ジーバイオ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Glp-1アナログ、またはその薬学的に許容可能な塩を含む徐方型微粒球を含む薬学的組成物
CN111643483B (zh) * 2020-07-06 2022-03-29 济南大学 一种用于制备加兰他敏缓释微球的方法
KR102499988B1 (ko) * 2020-09-10 2023-02-15 플로메디 주식회사 약물 입자 담지율 향상을 위한 3차원 미세유체 반응기 및 이를 이용한 균일한 캡슐의 연속 일괄 제조방법
CN115006354A (zh) * 2022-06-16 2022-09-06 北京阳光诺和药物研究股份有限公司 一种利培酮-共混plga缓释微球及其制备方法
CN115155472B (zh) * 2022-07-07 2023-10-13 中科南京绿色制造产业创新研究院 一种采用相转化法制备聚合物微球的方法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00698A (ko) * 2000-06-28 2002-01-05 강재헌 다중 에멀젼법에 의한 서방출성 미립구의 제조방법
EP2074988A1 (en) * 2007-12-28 2009-07-01 Industrial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Sustained release composition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WO2009145594A2 (ko) * 2008-05-29 2009-12-03 남정선 약물전달체
KR20100026384A (ko) * 2008-08-29 2010-03-10 동국제약 주식회사 용매교류증발법에 의한 서방출성 미립구의 제조방법
KR20100094227A (ko) * 2009-02-18 2010-08-26 동국제약 주식회사 서방출성 미립구의 제조방법
KR20130097960A (ko) * 2012-02-27 2013-09-04 유종훈 초임계 유체를 이용한 젬시타빈 함유 폴리에스터계 생분해성 고분자 미립자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40120496A (ko) * 2013-04-03 2014-10-14 동국제약 주식회사 도네페질을 포함하는 비경구투여용 약제학적 조성물
KR101481859B1 (ko) 2011-05-20 2015-01-14 에스케이케미칼주식회사 초기 약물 방출이 감소된 고분자 미립자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제조된 고분자 미립자
KR101583351B1 (ko) 2014-11-28 2016-01-07 동국제약 주식회사 초기 방출 억제 및 잔류용매 제거율을 향상시킨 서방출성 미립구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60090581A (ko) * 2015-01-22 2016-08-01 주식회사 셀루메드 이중 약물 전달을 위한 다공성 생분해성 고분자 미립자 및 그의 제조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275089A1 (en) * 1993-11-19 2011-01-19 Alkermes Controlled Therapeutics, Inc. Preparation of biodegradable microparticles containing a biologically active agent
JPH09208488A (ja) * 1995-11-30 1997-08-12 Takeda Chem Ind Ltd 脳血管性痴呆治療剤
US7758778B2 (en) * 2005-09-07 2010-07-20 Southwest Research Institute Methods for preparing biodegradable microparticle formulations containing pharmaceutically active agents
ES2492641T3 (es) * 2005-12-22 2014-09-10 Novartis Ag Formulación de liberación sostenida que comprende octreótida y dos o más polímeros de poliláctida-co-glicólido
CN101167697B (zh) * 2006-10-26 2011-03-30 中国科学院上海药物研究所 多奈哌齐类化合物长效缓控释组合物及其制备方法
KR20090113449A (ko) * 2008-04-28 2009-11-02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유기용매 제거 시간 및 속도 제어를 통한 나노입자 제조방법
AR074603A1 (es) * 2008-12-15 2011-01-26 Novartis Ag Formulacion de deposito de octreotida con niveles de exposicion constantemente altos.uso. metodo. kit
KR101424163B1 (ko) 2010-12-24 2014-08-01 주식회사 삼양바이오팜 수난용성 약물 함유 서방성 마이크로입자 및 그 제조방법
KR101486132B1 (ko) 2013-03-20 2015-01-23 씨제이헬스케어 주식회사 졸-겔 변환 특성을 갖는 고분자를 이용한 미립구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미립구
KR101738127B1 (ko) 2014-08-08 2017-05-22 (주)비씨월드제약 약물 함유 서방성 미립자의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00698A (ko) * 2000-06-28 2002-01-05 강재헌 다중 에멀젼법에 의한 서방출성 미립구의 제조방법
EP2074988A1 (en) * 2007-12-28 2009-07-01 Industrial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Sustained release composition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WO2009145594A2 (ko) * 2008-05-29 2009-12-03 남정선 약물전달체
KR20100026384A (ko) * 2008-08-29 2010-03-10 동국제약 주식회사 용매교류증발법에 의한 서방출성 미립구의 제조방법
KR20100094227A (ko) * 2009-02-18 2010-08-26 동국제약 주식회사 서방출성 미립구의 제조방법
KR101481859B1 (ko) 2011-05-20 2015-01-14 에스케이케미칼주식회사 초기 약물 방출이 감소된 고분자 미립자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제조된 고분자 미립자
KR20130097960A (ko) * 2012-02-27 2013-09-04 유종훈 초임계 유체를 이용한 젬시타빈 함유 폴리에스터계 생분해성 고분자 미립자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40120496A (ko) * 2013-04-03 2014-10-14 동국제약 주식회사 도네페질을 포함하는 비경구투여용 약제학적 조성물
KR101583351B1 (ko) 2014-11-28 2016-01-07 동국제약 주식회사 초기 방출 억제 및 잔류용매 제거율을 향상시킨 서방출성 미립구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60090581A (ko) * 2015-01-22 2016-08-01 주식회사 셀루메드 이중 약물 전달을 위한 다공성 생분해성 고분자 미립자 및 그의 제조 방법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91333A1 (ko) * 2019-11-08 2021-05-14 환인제약 주식회사 지속 방출을 위한 마이크로스피어 및 이의 제조 방법
CN114867470A (zh) * 2019-11-08 2022-08-05 丸仁制药株式会社 用于持续释放的微球及其制备方法
WO2021133051A1 (ko) * 2019-12-23 2021-07-01 환인제약 주식회사 로피니롤을 포함하는 마이크로스피어 및 이를 함유하는 주사제 조성물
WO2022010317A1 (ko) * 2020-07-09 2022-01-13 에이치엘비제약 주식회사 도네페질 함유 서방출성 plga 미립구의 제조방법
KR102259589B1 (ko) * 2020-11-30 2021-06-02 (주)인벤티지랩 미소구체 제조 시스템 및 미소구체 제조 방법
WO2022114450A1 (ko) * 2020-11-30 2022-06-02 (주)인벤티지랩 미소구체 제조 시스템 및 미소구체 제조 방법
KR20220076269A (ko) * 2020-11-30 2022-06-08 (주)인벤티지랩 미소구체 제조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7038741B2 (ja) 2022-03-18
US20200113836A1 (en) 2020-04-16
KR102142026B1 (ko) 2020-08-06
CN110944627A (zh) 2020-03-31
JP2020522505A (ja) 2020-07-30
WO2018221884A1 (ko) 2018-1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42026B1 (ko) 방출제어가 용이한 서방성 약물 미립자의 제조방법
Jalil et al. Biodegradable poly (lactic acid) and poly (lactide-co-glycolide) microcapsules: problems associated with preparative techniques and release properties
KR100432677B1 (ko) 미립자
KR20190064509A (ko) 안전성 및 저장 안정성이 향상된 생분해성 미립구의 제조방법
US20130224257A1 (en) Method for preparing microspheres and microspheres produced thereby
CA2916301C (en) Preparation of polylactide-polyglycolide microparticles having a sigmoidal release profile
WO2018137631A1 (zh) 水难溶或微溶性药物缓释组合物及其制备方法
KR101900482B1 (ko) 미립구형 서방출 주사제 및 그의 제조방법
PL212531B1 (pl) Kompozycja o przedluzonym uwalnianiu leuproreliny, sposób wytwarzania kompozycji, srodek farmaceutyczny zawierajacy kompozycje i zastosowanie kompozycji, sposób wytwarzania polimeru kwasu mlekowego i kwasu glikolowego i zastosowanie polimeru
US11344503B2 (en) Cariprazine release formulations
US20150342893A1 (en) Celecoxib formulations useful for treating colorectal cancer
KR20210065921A (ko) 리바스티그민을 포함하는 장기지속형 제제 및 이의 제조방법
JP6249584B2 (ja) 薬物含有徐放性微粒子の製造方法
Martinez-Sancho et al. Poly (D, L-lactide-co-glycolide) microspheres for long-term intravitreal delivery of aciclovir: influence of fatty and non-fatty additives
JP7262576B2 (ja) 注射可能な長時間作用型ナルトレキソン微粒子組成物
RU2817016C2 (ru) Инъекционные композиции микрочастиц налтрексона длительного действия
He et al. Intra-Articular Injection of Dexamethasone Microparticles: Assessment in Carrageenan Induced Arthritic Rabbit with Statistical Evaluation Using Full Factorial Design
KR20240000405A (ko) 약물과 파모산을 함유하는 서방성 미립구
Alharbi Utilization of the In situ Gelation Technique in the Preparation of Long Acting Parenteral Formulations Containing Certain Hypolipidimic
Gupta et al. DEVELOPMENT AND CHARACTERIZATION OF MICROPARTICULATED DRUG DELIVERY SYSTEM OF CAPTOPRIL
Mahale Studies on design and evaluation of sustained release microparticles
EP3010962A1 (en) Preparation of polylactide-polyglycolide microparticles having a sigmoidal release profi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Z072 Maintenance of patent after cancellation proceedings: certified copy of decision transmitted [new post grant opposition system as of 20170301]
Z131 Decision taken on request for patent cancellation [new post grant opposition system as of 201703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