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27611A - 자동차 해체기용 펜치 구조체 - Google Patents

자동차 해체기용 펜치 구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27611A
KR20180127611A KR1020170062574A KR20170062574A KR20180127611A KR 20180127611 A KR20180127611 A KR 20180127611A KR 1020170062574 A KR1020170062574 A KR 1020170062574A KR 20170062574 A KR20170062574 A KR 20170062574A KR 20180127611 A KR20180127611 A KR 201801276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k
link pins
members
fitted
lock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625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86843B1 (ko
Inventor
엄수용
Original Assignee
대모 엔지니어링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모 엔지니어링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모 엔지니어링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625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86843B1/ko
Publication of KR201801276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276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68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68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00Crushing or disintegrating by reciprocating members
    • B02C1/02Jaw crushers or pulverisers
    • B02C1/06Jaw crushers or pulverisers with double-acting jaw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00Crushing or disintegrating by reciprocating members
    • B02C1/02Jaw crushers or pulverisers
    • B02C1/08Jaw crushers or pulverisers with jaws coacting with rotating roll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39/00Locking of screws, bolts or nuts
    • F16B39/02Locking of screws, bolts or nuts in which the locking takes place after screwing down
    • F16B39/10Locking of screws, bolts or nuts in which the locking takes place after screwing down by a plate, spring, wire or ring immovable with regard to the bolt or object and mainly perpendicular to the axis of the bol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 F16B5/02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fastening members using screw-threa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dgs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간단한 구성으로 자동차 해체기용 펜치 기구의 너트풀림을 방지할 수 있도록 그 구조가 개선된 자동차 해체기용 펜치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자동차 해체기의 유압 작동 붐의 선단에 부착되어 한 쌍의 좌,우측 작동암이 실린더에 의해 개폐되는 펜치 기구로서, 상기 좌,우측 작동암을 연결하며 좌,우측 단부에 연결공이 형성된 전,후방측 링크부재와, 상기 전,후방측 링크부재의 연결공에 관통되고 상기 좌,우측 작동암에 끼워지며 단부에 체결홈이 형성된 제1,2링크핀과, 상기 연결공에 관통된 제1,2링크핀에 끼워지는 와셔부재와, 상기 제1,2링크핀의 단부에 체결되는 제1,2너트부재와, 양측 단부에 상기 제1,2너트부재가 각각 수용되는 수용공이 형성되고 상기 수용공의 내주면에 상기 제1,2너트부재의 외주면에 접촉되는 톱니부가 형성되는 록플레이트와, 일단부가 상기 제1,2링크핀의 체결홈에 체결되고 타단부가 상기 록플레이트의 외측에 밀착되는 볼트부재로 구성된다.

Description

자동차 해체기용 펜치 구조체{CUTTING PLIERS STRUCTURE FOR CAR-DISMANTLER}
본 발명은 자동차 해체기용 펜치 구조체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간단한 구성으로 자동차 해체기용 펜치 기구의 너트풀림 및 제1,2링크핀의 풀림을 방지할 수 있도록 그 구조가 개선된 자동차 해체기용 펜치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 보유 대수의 증가와 함께 수명을 다한 자동차에 대한 폐차 처리는 심각한 사회 문제로 대두되고 있으며, 폐차 처리할 때 발생하는 폐기물량을 줄이면서 폐차를 구성하는 구성부품의 재질을 수거하여 재활용하는 방안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즉, 차량을 장기간 사용한 다음에 수명을 다한 자동차는 폐차장 등에서 해체가 이루어져 고철 및 일부의 구성부품이 재활용되고 있다.
그런데, 통상 종래의 폐차 처리방법은 프레스를 이용하여 차체를 압축함으로써 그 부피를 최소화시키는 정도이며, 이와 같이 압축된 차체는 제철소 등에서 재활용되어 다시 사용되고 있으나, 압축물에는 철만이 아니라 차체에 부착된 각종 재질, 예컨대 플라스틱이나 그 밖의 다른 재질이 혼재해 있음으로써 재활용에 상당한 어려움이 있었다.
또한, 기존의 폐차 처리방법은 대부분 각종 부품을 떼어내지 않은 상태에서 차체를 압축하기 때문에 폐기물량이 늘어나고, 또 고부가가치의 합성수지류가 그대로 폐기처분되는 실정에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이유로 폐기물량이 늘어남으로써 폐기물 매립장 부족 문제가 발생되고, 또 고부가가치를 갖는 자동차 재료의 자원 재활용 측면에서 심각한 자원 낭비가 발생되고 있다.
따라서, 자동차를 폐차할 때 구성부품의 재질에 따라 분리하여 재활용 가능한 부품은 재활용하고, 재활용이 가능하지 않은 것은 폐기 처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자동차의 패널(Panel)류는 차량으로부터 쉽게 분리가 가능하고, 고철로서의 효용가치도 높음으로 사람이 직접 작업하여 분리할 수 있었다.
이에 종래 폐차 처리방법은 분리하기 쉬운 철재 위주의 부품재와 재활용 가치가 있는 플라스틱 부품, 예를 들어 버퍼 등을 해체하는 수준에서 이루어지고 있었다.
그러나, 이와 같은 경우에도 대부분 적은 인원의 작업자가 부품을 해체하게 되면서 선별작업의 효율이 상당히 저하되어 많은 재활용 자원이 소모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한 선행기술로는 일본 특허등록 제4641376호 "스크랩 해체 작업차"(등록일자 : 2010.07.07)에 개시된 바와 같이, 자주 차량의 차체 상에 선회가능하게 탑재된 기복가능한 유압 작동 붐과, 붐의 선단에 장착되고 원격조작에 의해 개폐동작하는 스크랩 해체 작업용 핀쳐와, 차체의 앞부분 또는 뒷부분에 기복구동가능하게 구비된 개폐구동가능한 좌우 한 쌍의 작업암을 구비하되, 상기 한 쌍의 작업암 중 한쪽 암측에는 간격을 두고 배치된 적어도 2개의 파단날을 갖는 제1파단수단이 장착되고, 다른 쪽 암측에는 제1파단수단의 적어도 2개의 파단날의 간격부분에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된 적어도 1개의 파단날을 갖는 제2파단수단이 장착되며, 상기 제1파단수단과 제2파단수단으로 작업암의 닫힘동작에 의해 스크랩 대상물을 양쪽에서 가압하여 파단하는 파단공구가 구성된 것이다.
종래 차량 해체기와 관련된 다른 선행기술로는 일본 특허등록 제4889304호 "자동차 해체기"(등록일자 : 2012.03.07)에 개시된 바와 같이, 자동차를 해체할 때에 사용되는 자동차 해체기로서, 해체기 본체에 가동기구를 통해 장착된 클램핑 장치; 상기 해체기 본체로부터 돌출되는 형태를 이루며, 돌출방향 선단측을 상하운동가능하게 한 상태로 기단측이 상기 해체기 본체에 장착된 차체 누름용 암; 및 상기 해체기 본체에 장착되며 상기 차체 누름용 암을 상하운동시키는 상하방향 이동수단과; 상기 해체기 본체에 장착되며, 상기 차체 누름용 암의 선단측을 상기 해체기 본체의 폭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차체 누름용 암에 있어서 폭방향 이동수단의 연결부위보다도 선단측에는 선단이 뾰족한 형태의 돌기부가 상기 차체 누름용 암의 본체부분에 대하여 착탈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본체부분의 선단에서 차체 누름용 암의 돌출방향으로 돌출하도록 설치되어 있는 것이다.
그런데, 기존 작업용 유압 작동 붐 선단에는 한 쌍의 작동암으로 구성된 펜치 기구가 마련되며, 상기 작동암이 링크핀과 좌,우 양측 링크를 기준으로 실린더의 힘에 의해 개폐 가능하도록 배치되어 있으나, 작동시 진동으로 인해 너트가 분리되어 링크핀과 펜치 기구가 이탈될 우려가 있다.
일본 특허등록 제4641376호 "스크랩 해체 작업차"(등록일자 : 2010.07.07) 일본 특허등록 제4889304호 "자동차 해체기"(등록일자 : 2012.03.07)
본 발명은 상기한 제반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간단한 구성으로 자동차 해체기용 펜치 기구의 너트풀림 및 제1,2링크핀의 풀림을 방지할 수 있도록 그 구조가 개선된 자동차 해체기용 펜치 구조체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자동차 해체기의 유압 작동 붐의 선단에 부착되어 한 쌍의 좌,우측 작동암이 실린더에 의해 개폐되는 펜치 기구로서, 상기 좌,우측 작동암을 연결하며 좌,우측 단부에 연결공이 형성된 전,후방측 링크부재와, 상기 전,후방측 링크부재의 연결공에 관통되고 상기 좌,우측 작동암에 끼워지며 단부에 체결홈이 형성된 제1,2링크핀과, 상기 연결공에 관통된 제1,2링크핀에 끼워지는 와셔부재와, 상기 제1,2링크핀의 단부에 체결되는 제1,2너트부재와, 양측 단부에 상기 제1,2너트부재가 각각 수용되는 수용공이 형성되고 상기 수용공의 내주면에 상기 제1,2너트부재의 외주면에 접촉되는 톱니부가 형성되는 록플레이트와, 일단부가 상기 제1,2링크핀의 체결홈에 체결되고 타단부가 상기 록플레이트의 외측에 밀착되는 볼트부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2너트부재의 외측에 끼워지며 상기 와셔부재와 록플레이트 사이에 개재되는 스페이서부재를 더 구비한다.
상기 볼트부재는 접시머리볼트인 것이다.
상기 제1,2링크핀의 회전을 방지하는 회전방지수단을 더 구비하되, 상기 회전방지수단은 상기 제1,2링크핀의 단부 헤드의 일측에 평면 형태로 형성되는 접촉면과, 상기 전방측 링크부재의 좌,우 양측에 상기 접촉면과 대응되도록 단턱구조로 형성된 지지면으로 이루어진 것이다.
본 발명은 한 쌍의 작동암을 연결하는 링크연결구조에서 간단한 구성으로 전,후방측 링크부재에 끼워지는 제1,2링크핀의 너트 풀림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제1,2링크핀과 전방측 링크부재가 서로 평면 형태로 면 접촉되는 구조로 결합됨에 따라 외부 진동에 의한 제1,2링크핀의 회전 및 풀림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그리고, 본 발명은 전,후방측 링크부재의 길이가 기존 링크부재의 길이보다 더 길게 형성되어 한 쌍의 작동암이 차량의 엔진블록을 파지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또, 본 발명은 스페이서부재가 와셔부재와 록플레이트 사이에 개재됨에 따라 록플레이트의 두께를 얇게 형성시킬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해체기용 펜치 구조체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펜치 구조체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조립도.
도 4는 본 발명의 조립 구조 단면도.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해체기용 펜치 구조체는,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자동차 해체기의 유압 작동 붐(미도시됨)의 선단에 부착되어 한 쌍의 좌,우측 작동암이 실린더에 의해 개폐되는 펜치 기구(100)를 구비하며, 상기 좌,우측 작동암(110,120)을 연결하며 좌,우측 단부에 연결공(230)이 형성된 전,후방측 링크부재(210,220)와, 상기 전,후방측 링크부재(210,220)의 연결공(230)에 관통되고 상기 좌,우측 작동암(110,120)에 끼워지며 단부에 체결홈(203)이 형성된 제1,2링크핀(202,204)과, 상기 연결공(230)에 관통된 제1,2링크핀(202,204)에 끼워지는 와셔부재(310)와, 상기 제1,2링크핀(202,204)의 단부에 체결되는 제1,2너트부재(410,420)와, 양측 단부에 상기 제1,2너트부재(410,420)가 각각 수용되는 수용공(510)이 형성되고 상기 수용공(510)의 내주면에 상기 제1,2너트부재(410,420)의 외주면에 접촉되는 톱니부(515)가 형성되는 록플레이트(500)와, 일단부가 상기 제1,2링크핀(202,204)의 체결홈(203)에 체결되고 타단부가 상기 록플레이트(500)의 외측에 밀착되는 볼트부재(600)로 이루어진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펜치 기구(100)는 유압 작동 붐의 단부에 로테이터 회전 가능한 회전브라켓(102)과, 상기 회전브라켓(102)의 하측에 연결되는 작동브라켓(105)에 의해 지지된다.
상기 펜치 기구(100)는 한 쌍의 작동암(110,120)이 복동 실린더(115)에 의해 회전됨에 따라 개폐동작되는 구조를 갖는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한 쌍의 작동암(110,120)은 링크와 힌지축(130)을 매개로 회전 가능한 구조를 가지며, 링크와의 연결을 위해 결합공(140)이 형성된 구조를 갖는다.
상기 전,후방측 링크부재(210,220)는 상기 좌,우측 작동암(110,120)의 단부를 연결하도록 전,후 양측에 마련되고, 제1,2링크핀(202,204)이 좌,우측 작동암(110,120)의 결합공(140)과 연결공(230)에 끼워짐에 따라 좌,우측 작동암(110,120)의 연결부위를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게 된다.
상기 좌,우측 작동암(110,120)은 서로 마주보는 측면에 전,후방측 링크부재(210,220)가 접촉되도록 안착홈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2링크핀(202,204)은 일단부가 타단부보다 외경 폭이 더 작게 형성되고, 일단부의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며, 타단부에 헤드가 형성된 구조를 갖는다.
상기 제1,2너트부재(410,420)는 제1,2링크핀(202,204)의 일단부에 체결되어 제1,2링크핀(202,204)의 이탈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 록플레이트(500)는 좌,우 양측에 제1,2너트부재(410,420)가 수용되는 수용공(510)이 형성되고, 수용공(510)의 내주면에 상기 제1,2너트부재(410,420)의 각진 외측면을 지지하도록 다수의 산으로 구성된 톱니 형태의 톱니부(515)가 형성된다.
상기 톱니부(515)는 각 산의 단부가 제1,2너트부재(410,420)의 각진 외측면에 접촉되어 제1,2너트부재(410,420)의 회전을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와셔부재(310)는 후방측 링크부재(220)의 연결공(230)에 근접되게 배치되고, 와셔부재(310)와 록플레이트(500) 사이에 스페이서부재(320)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스페이서부재(320)는 상기 제1,2너트부재(410,420)의 외측에 끼워지며 상기 와셔부재(310)와 록플레이트(500) 사이에 개재되어 록플레이트(500)의 두께를 얇게 형성시키더라도 충분한 강성을 부여할 수 있다.
상기 볼트부재(600)는 일단부가 제1,2링크핀(202,204)의 체결홈(203)에 체결되도록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체결부(610)와, 타단부가 록플레이트(500)의 수용공(510) 외측을 덮는 헤드부(620)로 구성되어서 제1,2너트부재(410,420)의 외측 이탈을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또한, 상기 볼트부재(600)는 접시머리볼트를 채용할 수 있다.
상기 제1,2링크핀(202,204)의 회전을 방지하는 회전방지수단(800)을 더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회전방지수단(800)은 상기 제1,2링크핀(202,204)의 단부 헤드의 일측에 평면 형태로 형성되는 접촉면(810)과, 상기 전방측 링크부재(210)의 좌,우 양측에 상기 접촉면(810)과 대응되도록 단턱구조로 형성된 지지면(820)으로 이루어진 것이다.
상기 접촉면(810)과 지지면(820)은 제1,2링크핀(202,204)과 전방측 링크부재(210)가 서로 마주보는 면에 평면 형태로 형성되어 면 접촉됨에 따라, 진동 등의 외부 요인에 따른 제1,2링크핀(202,204)의 회전을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미설명부호 "700"은 힌지축(130)의 단부에 끼워지는 커버플레이트(700)를 나타낸 것이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조립구조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측 작동암(110,120)의 개폐동작을 지지하기 위해 좌,우측 작동암(110,120)의 결합공(140) 전,후 양측에 전,후방측 링크부재(210,220)를 밀착시킨 후에, 전,후방측 링크부재(210,220)의 연결공(230)과 좌,우측 작동암(110,120)의 결합공(140)에 제1,2링크핀(202,204)이 관통되도록 결합된 후에, 후방측 링크부재(220)의 외측으로 돌출된 제1,2링크핀(202,204)의 단부에 와셔부재(310), 스페이서부재(320), 제1,2고정너트(410,420), 록플레이트(500) 및 볼트부재(600)가 순차적으로 조립된다.
이때, 상기 제1,2고정너트(410,420)는 스페이서부재(320)와 록플레이트(500)의 내부에 수용되도록 조립되고, 볼트부재(600)의 체결부(610)가 제1,2링크핀(202,204)의 단부에 형성된 체결홈(203) 내에 삽입되고 체결된다.
또한, 록플레이트(500)의 수용공(510) 내에 형성된 톱니부(515)는 각 산의 단부가 각진 제1,2고정너트(410,420)의 외주면에 접촉되도록 조립되므로, 진동 등의 외부요인으로 진동력이 제1,2고정너트(410,420)에 전달되더라도 제1,2고정너트(410,420)의 회전을 방지하여 너트 풀림현상을 예방할 수 있다.
또한, 볼트부재(600)가 제1,2링크핀(202,204)의 체결홈(203)에 각각 체결되므로, 제1,2고정너트(410,420)의 후방측 이탈을 방지하도록 후방측에서 지지함과 아울러, 외부 진동이 제1,2링크핀(202,204)에 전달되더라도 제1,2링크핀(202,204)의 전방측 이탈을 예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한 쌍의 작동암(110,120)을 연결하는 링크연결구조에서 간단한 구성으로 전,후방측 링크부재(210,220)에 끼워지는 제1,2링크핀(202,204)의 너트 풀림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제1,2링크핀(202,204)과 전방측 링크부재(210)가 서로 평면 형태로 면 접촉되는 구조로 결합됨에 따라 외부 진동에 의한 제1,2링크핀(202,204)의 회전 및 풀림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그리고, 본 발명은 전,후방측 링크부재(210,220)의 길이가 기존 링크부재의 길이보다 더 길게 형성되어 한 쌍의 작동암(110,120)을 이용하여 차량의 엔진블록을 파지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또, 본 발명은 스페이서부재(320)가 와셔부재(310)와 록플레이트(500) 사이에 개재됨에 따라 록플레이트(500)의 두께를 얇게 형성시킬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앞서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한정되어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 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즉, 이상에서와 같이 설명한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0 : 펜치 기구 102 : 회전브라켓
105 : 작동브라켓 110,120 : 작동암
115 : 실린더 130 : 힌지축
140 : 결합공 202, 204 : 제1,2링크핀
210,220 : 전,후방측 링크부재 230 : 연결공
310 : 와셔부재 320 : 스페이서부재
410,420 : 제1,2고정너트 500 : 록플레이트
510 : 수용공 515 : 톱니부
600 : 볼트부재 610 : 체결부
620 : 헤드부 700 : 커버플레이트
800 : 회전방지수단 810 : 접촉면
820 : 지지면

Claims (4)

  1. 자동차 해체기의 유압 작동 붐의 선단에 부착되어 한 쌍의 좌,우측 작동암(110,120)이 실린더(115)에 의해 개폐되는 펜치 기구(100)로서,
    상기 좌,우측 작동암(110,120)을 연결하며 좌,우측 단부에 연결공(230)이 형성된 전,후방측 링크부재(210,220)와,
    상기 전,후방측 링크부재(210,220)의 연결공(230)에 관통되고 상기 좌,우측 작동암(110,120)에 끼워지며 단부에 체결홈(203)이 형성된 제1,2링크핀(202,204)과,
    상기 연결공(230)에 관통된 제1,2링크핀(202,204)에 끼워지는 와셔부재(310)와,
    상기 제1,2링크핀(202,204)의 단부에 체결되는 제1,2너트부재(410,420)와,
    양측 단부에 상기 제1,2너트부재(410,420)가 각각 수용되는 수용공(510)이 형성되고 상기 수용공(510)의 내주면에 상기 제1,2너트부재(410,420)의 외주면에 접촉되는 톱니부(515)가 형성되는 록플레이트(500)와,
    일단부가 상기 제1,2링크핀(202,204)의 체결홈(203)에 체결되고 타단부가 상기 록플레이트(500)의 외측에 밀착되는 볼트부재(600)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해체기용 펜치 구조체.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2너트부재(410,420)의 외측에 끼워지며 상기 와셔부재(310)와 록플레이트(500) 사이에 개재되는 스페이서부재(320)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해체기용 펜치 구조체.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볼트부재(600)는 접시머리볼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해체기용 펜치 구조체.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2링크핀(202,204)의 회전을 방지하는 회전방지수단(800)을 더 구비하되,
    상기 회전방지수단(800)은 상기 제1,2링크핀(202,204)의 단부 헤드의 일측에 평면 형태로 형성되는 접촉면(810)과,
    상기 전방측 링크부재(210)의 좌,우 양측에 상기 접촉면(810)과 대응되도록 단턱구조로 형성된 지지면(820)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해체기용 펜치 구조체.
KR1020170062574A 2017-05-19 2017-05-19 자동차 해체기용 펜치 구조체 KR1019868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2574A KR101986843B1 (ko) 2017-05-19 2017-05-19 자동차 해체기용 펜치 구조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2574A KR101986843B1 (ko) 2017-05-19 2017-05-19 자동차 해체기용 펜치 구조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27611A true KR20180127611A (ko) 2018-11-29
KR101986843B1 KR101986843B1 (ko) 2019-06-11

Family

ID=645670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62574A KR101986843B1 (ko) 2017-05-19 2017-05-19 자동차 해체기용 펜치 구조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86843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183558U (ko) * 1978-06-19 1979-12-26
JPS586004U (ja) * 1981-07-07 1983-01-14 株式会社東芝 ボルトの緩み防止装置
JPH01100915U (ko) * 1987-12-25 1989-07-06
KR19980022017A (ko) * 1996-09-20 1998-06-25 김영귀 래트럴 링크 체결구조
JP2000249131A (ja) * 1999-02-26 2000-09-12 Hinode Ltd ボルトまたはナットの回り止め構造
JP2009101323A (ja) * 2007-10-25 2009-05-14 Hitachi Constr Mach Co Ltd エンジン破砕アタッチメントとエンジン解体機
JP4641376B2 (ja) 2003-12-22 2011-03-02 株式会社とわに スクラップ解体作業車
JP4889304B2 (ja) 2006-01-12 2012-03-07 コベルコ建機株式会社 自動車解体機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183558U (ko) * 1978-06-19 1979-12-26
JPS586004U (ja) * 1981-07-07 1983-01-14 株式会社東芝 ボルトの緩み防止装置
JPH01100915U (ko) * 1987-12-25 1989-07-06
KR19980022017A (ko) * 1996-09-20 1998-06-25 김영귀 래트럴 링크 체결구조
JP2000249131A (ja) * 1999-02-26 2000-09-12 Hinode Ltd ボルトまたはナットの回り止め構造
JP4641376B2 (ja) 2003-12-22 2011-03-02 株式会社とわに スクラップ解体作業車
JP4889304B2 (ja) 2006-01-12 2012-03-07 コベルコ建機株式会社 自動車解体機
JP2009101323A (ja) * 2007-10-25 2009-05-14 Hitachi Constr Mach Co Ltd エンジン破砕アタッチメントとエンジン解体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86843B1 (ko) 2019-06-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13522508A (ja) 重作業用の設定変更可能なせん断圧砕解体機械
KR20080050563A (ko) 교체 가능한 조 조립체를 갖는 굴착기용 파쇄 장치
US5438772A (en) Tool for implements
JP2577181B2 (ja) 万能解体機
JP4889304B2 (ja) 自動車解体機
KR101986843B1 (ko) 자동차 해체기용 펜치 구조체
JPS6217059B2 (ko)
CN112359891B (zh) 工作装置和工程机械
DE1478785A1 (de) Durch Schlagenergie betaetigter mechanischer Schraubenschluessel in Verbindung mit einem einen kraftbetaetigten hin- und hergehenden Hammer aufweisenden Schlagwerkzeug
KR100683000B1 (ko) 분전반용 부스바 성형장치
US20200023371A1 (en) Double acting demolition device and utility machine for demolishing structures
KR101599357B1 (ko) 자동차 해체장치
CN213165414U (zh) 一种破拆机器人用破拆头
KR100814475B1 (ko) 건설장비용 핀 결합구조
CN211965578U (zh) 一种防盗门生产用冲孔装置
JP3101717B2 (ja) スクラップ解体作業車
JP4477259B2 (ja) 建設機械の旋回フレーム
JPH067182Y2 (ja) 塊状コンクリ−ト破砕装置
KR101616834B1 (ko) 자동차 해체기용 작동암장치
CN213925884U (zh) 一种方便安装的自动工具锚
CN210799633U (zh) 一种单向安拆的多功能紧固装置
KR102346967B1 (ko) 전기자동차 해체기용 집게
JPH0451872Y2 (ko)
JP2003010704A (ja) 家屋解体用掴み装置
JPH08109748A (ja) 電柱破砕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