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22017A - 래트럴 링크 체결구조 - Google Patents

래트럴 링크 체결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22017A
KR19980022017A KR1019960041076A KR19960041076A KR19980022017A KR 19980022017 A KR19980022017 A KR 19980022017A KR 1019960041076 A KR1019960041076 A KR 1019960041076A KR 19960041076 A KR19960041076 A KR 19960041076A KR 19980022017 A KR19980022017 A KR 199800220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teral link
cross member
fastening
fastening structure
bra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410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우제양
Original Assignee
김영귀
기아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귀, 기아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영귀
Priority to KR10199600410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22017A/ko
Publication of KR199800220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22017A/ko

Links

Abstract

본 발명은 래트럴 링크를 크로스 맴버에 체결할 때 브라켓을 추가하여, 크로스 멤버의 체결 부위의 강성을 강화한 래트럴 링크 체결구조에 관한 것이다.
래트럴 링크(65)의 후방 연결림(66)이 와셔(12)를 사이에 두고 볼트(44)에 의해, 크로스 멤버(1)의 측면에 형성된 체결 구멍(3)에 체결되는 래트럴 링크 체결구조에 있어서, 상기 와셔(12)와 후방 연결림(66) 사이에 브라켓(40)을 추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브라켓을 추가하여 래트럴 링크의 체결 강도가 향상되고, 또한 크로스 멤버의 상품성 및 신뢰성이 향상된다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래트럴 링크 체결구조
본 발명은 래트럴 링크 체결구조에 관한 것이며, 보다 상세히는 래트럴 링크를 크로스 멤버에 체결할 때 브라켓을 추가하여, 크로스 멤버의 체결 부위의 강성을 강화한 래트럴 링크 체결구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경우를 도1 내지 도3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1 및 도2를 참조하면, 종래의 래트럴 링크는 프론트 래트럴 링크(65)와 리어 래트럴 링크(77)로 구별된다.
상기 프론트 래트럴 링크(65)는 원통형의 후방 연결림(66)과, 이 후방 연결림(66)의 반대측에 구비된 원통형의 전방 연결림(67)으로 구성된다.
상기 리어 래트럴 링크(77)는 원통형의 후방 연결림(78)과, 이 후방 연결림(78)의 반대측에 구비된 원통형의 전방 연결림(79)으로 구성된다.
상기 후방 연결림(66,78)은 와셔(12,13)를 사이에 두고 볼트(10,18)에 의해 각각 리어 크로스 멤버(1)의 체결 구멍(3)에 체결된다. 그리고, 프론트 래트럴 링크(65)의 전방 연결림(67)은 너클(20)에 부착된 캐리어(21)의 제1림(22)옆에 위치한다. 리어 래트럴 링크(77)의 전방 연결림(79)은 너클(20)에 부착된 캐리어(21)의 제2림(23)옆에 위치한다.
상기 제1림(22)의 하부에는 트레일 링크(30)가 부착되고, 너클(20)에는 또한 스트러트 조립체(31) 및 스테빌라이저 바아(33)가 장착된다.
이와 같이 종래의 래트럴 링크는 프론트쪽에 2개, 리어쪽에 2개가 취부된다.
도3을 참조하면, 도3은 종래의 래트럴 링크 체결구조의 단면도로서, 크로스 멤버(1)의 측면에 형성된 체결 구멍(3)의 안쪽에는 용접 너트(11)가 용접되어 있고, 래트럴 링크(65)의 후방 연결림(66)은 와셔(12)를 사이에 두고 볼트(10)에 의해 상기 체결 구멍(3)에 체결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구성의 종래의 래트럴 링크 체결구조는 체결강도가 약해서 휠의 상하 운동에 의해 래트럴 링크가 볼트를 중심으로 회전할 때, 용접 너트가 용접된 크로스 멤버의 체결 구멍 부위 및 볼트에 크랙이 발생하는 경우가 발생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크로스 멤버의 상부면에 용접되는 브라켓을 추가하여 래트럴 링크의 결합 강도를 향상시킨 래트럴 링크 체결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래트럴 링크 체결구조의 일예로서, 래트럴 링크의 후방 연결림이 와셔를 사이에 두고 볼트에 의해, 크로스 멤버의 측면에 형성된 체결 구멍에 체결되는 래트럴 링크 체결구조에 있어서, 상기 와셔와 후방 연결림 사이에 브라켓을 추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본 발명에 따른 래트럴 링크 체결구조는 래트럴 링크의 체결강도가 향상된다.
도 1은 종래의 래트럴 링크 체결구조의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래트럴 링크 체결구조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종래의 래트럴 링크 체결구조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래트럴 링크 체결구조의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리어 크로스 멤버 65 : 프론트 래트럴 링크
66,78 : 후방 연결림 3 : 체결 구멍
10,18,44 : 볼트 11 : 용접 너트
12,13 : 와셔 20 : 너클
21 : 캐리어 22 : 제1림
22 : 제2림 30 : 트레일 링크
31 : 스트러트 조립체 33 : 스테빌라이저 바아
67,79 : 후방 연결림 77 : 리어 래트럴 링크
80 : 긴 스크류
40 : 브라켓트 41 : 수평부
42 : 수직부 43 : 체결 구멍
50 : 상부면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제4도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4를 참조하면, 크로스 멤버(1)의 측면에 형성된 체결 구멍(3)의 안쪽에는 용접 너트(11)가 용접되어 있고, 래트럴 링크(65)의 후방 연결림(66)은 브라켓(40) 및 와셔(12)를 사이에 두고 볼트(44)에 의해 상기 체결 구멍(3)에 체결된다.
상기 브라켓(40)은 크로스 멤버(1)의 상부면(50)에 용접되는 수평부(41)와, 상기 수평부(41)의 좌측 단부에서 수직으로 연장된 수직부(42)와, 상기 수직부(42)의 일부에 형성된 체결 구멍(43)으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해 본 발명의 래트럴 링크 체결구조는 래트럴 링크가 크로스 멤버와 브라켓에 의해 양쪽에서 지지되므로, 용접너트가 용접된 크로스 멤버의 체결 구멍 부위 및 볼트에 발생하는 크랙을 방지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래트럴 링크 체결구조는 브라켓을 추가하여 래트럴 링크의 체결 강도가 향상되고, 또한 크로스 멤버의 상품성 및 신뢰성이 향상된다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래트럴 링크 체결구조를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의 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Claims (2)

  1. 래트럴 링크(65)의 후방 연결림(66)이 와셔(12)를 사이에 두고 볼트(44)에 의해, 크로스 멤버(1)의 측면에 형성된 체결 구멍(3)에 체결되는 래트럴 링크 체결구조에 있어서, 상기 와셔(12)와 후방 연결림(66) 사이에 브라켓(40)을 추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래트럴 링크 체결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40)은 크로스 멤버(1)의 상부면(50)에 용접되는 수평부(41)와, 상기 수평부(41)의 좌측 단부에서 수직으로 연장된 수직부(42)와, 상기 수직부(42)의 일부에 형성된 체결 구멍(43)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래트럴 링크 체결구조.
KR1019960041076A 1996-09-20 1996-09-20 래트럴 링크 체결구조 KR1998002201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41076A KR19980022017A (ko) 1996-09-20 1996-09-20 래트럴 링크 체결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41076A KR19980022017A (ko) 1996-09-20 1996-09-20 래트럴 링크 체결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2017A true KR19980022017A (ko) 1998-06-25

Family

ID=665212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41076A KR19980022017A (ko) 1996-09-20 1996-09-20 래트럴 링크 체결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22017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27611A (ko) * 2017-05-19 2018-11-29 대모 엔지니어링 주식회사 자동차 해체기용 펜치 구조체
KR101987704B1 (ko) * 2018-11-20 2019-06-11 동림산업 주식회사 굴착용 해머의 너트 풀림방지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27611A (ko) * 2017-05-19 2018-11-29 대모 엔지니어링 주식회사 자동차 해체기용 펜치 구조체
KR101987704B1 (ko) * 2018-11-20 2019-06-11 동림산업 주식회사 굴착용 해머의 너트 풀림방지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35004B1 (ko) 프런트 스트럿어셈블리의 상단 마운팅부 구조
JP2926721B2 (ja) スタビライザ取付構造
CN100355613C (zh) 车辆用悬架支撑部结构
JP3219758B2 (ja) 車両のリヤサスペンション取付構造
KR19980022017A (ko) 래트럴 링크 체결구조
JP3185839B2 (ja) 車体後部の補強構造
JPH06239121A (ja) リアサスペンション
KR100316958B1 (ko) 자동차용 현가장치의 로어암과 볼죠인트암의 결합구조
KR100440311B1 (ko) 자동차의 프론트 쇽업소버와 어퍼암 장착구조
KR200187946Y1 (ko) 프런트 스트러트 마운팅 구조
KR0117830Y1 (ko) 버스의 후레임 보강구조
KR100395123B1 (ko) 차량의 프론트 앤드 보디 구조
KR0125845Y1 (ko) 엔진 마운팅 브라켓
KR100217668B1 (ko) 서브프레임과 로어암의 장착구조
KR100539434B1 (ko) 부분 정비성을 갖는 차량용 서브프레임
KR200156543Y1 (ko) 대형트럭의 샤시프레임 체결구조
KR100199727B1 (ko) 자동차의 후방현가장치용 후방 트레일링아암
KR19980050491U (ko) 자동차의 서브프레임 마운팅 구조
KR950003033Y1 (ko) 자동차의 전면패널과 펜더에이프런(fenderapron)의 결합구조
KR100552765B1 (ko) 자동차의 선적용 후크의 접합구조
KR100305813B1 (ko) 차량용 현가장치의 트레일링 암 장착 구조
KR970002610Y1 (ko) 자동차의 후론트 패널
KR19980082489A (ko) 토션 빔식 현가 장치의 스태빌라이저 고정 구조
JPH09136663A (ja) リヤサスペンションのスプリングブラケット取付構造
KR200247120Y1 (ko) 자동차의 헤드램프 서포트 패널 보강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