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52765B1 - 자동차의 선적용 후크의 접합구조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선적용 후크의 접합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52765B1
KR100552765B1 KR1020040020381A KR20040020381A KR100552765B1 KR 100552765 B1 KR100552765 B1 KR 100552765B1 KR 1020040020381 A KR1020040020381 A KR 1020040020381A KR 20040020381 A KR20040020381 A KR 20040020381A KR 100552765 B1 KR100552765 B1 KR 1005527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ont side
shipping
vehicle
hook
side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203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95170A (ko
Inventor
김성대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203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52765B1/ko
Publication of KR200500951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951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527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527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06Foundation trenches ditches or narrow shafts
    • E02D17/08Bordering or stiffening the sides of ditches trenches or narrow shafts for found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20/00Temporary installations or construc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견인이나 선적을 위한 선적용 후크가 서브 프레임의 외측에 용접으로 일체 형성된 구조를 갖는 것인 바, 그 구조는 차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되는 형태로 형성된 프론트 사이드 멤버와, 이 프론트 사이드 멤버의 전/후방부위에 볼팅 결합되어 고정되고 각각 엔진과 변속기를 탑재하는 서브 프레임과, 그 서브 프레임의 양측 모서리에 외측으로 돌출되게 일체로 결합된 선적용 후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에 따르면 본 발명은 외력에 의한 하중이 전달될 경우에, 사이드 멤버의 내측 프론트 사이드 패널에 집중되지 않게 되므로, 국부적인 하중의 집중에 따른 부재의 강성 약화를 배제할 수 있는 효과가 있게 된다.

Description

자동차의 선적용 후크의 접합구조{join structure for a shipping hook of vehicle}
도 1은 종래 자동차의 전방차체에 선적용 후크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요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선적용 후크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라 자동차의 전방차체에 선적용 후크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도 4의 요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도 4 내지 도 5에 도시된 선적용 후크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프론트 사이드 멤버 30 : 서브 프레임
35 : 볼트 40 : 선적용 후크
42 : 고정공
본 발명은 자동차의 선적용 후크의 접합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의 견인이나 선적시 차체를 지지하는 선적용 후크를 결합하는 전방차체의 프론트 사이드 멤버의 단면구조를 변경시킴으로써, 선적용 후크에 강한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에 있어 프론트 사이드 멤버의 특정부위로 하중이 집중되는 현상을 배제할 수 있도록 하는 자동차의 선적용 후크의 접합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차체는 여러 종류의 금속판이 프레스성형 등의 제조공정을 통해 제작된 다음 각각의 성형품들이 용접 및 체결 등의 접합공정이나, 기타 여러 종류의 적절한 조립공정을 거쳐 제작이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다.
그 중에서 차량의 전방차체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체의 양측부로 차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되는 형태로 형성된 프론트 사이드 멤버(10)와, 이 프론트 사이드 멤버(10)의 전방측 선단부위를 차체의 횡방향을 따라 연결하는 라디에이터 서포트 멤버(20) 및, 상기 프론트 사이드 멤버(10)의 후방측 선단부위를 차체의 횡방향을 따라 연결하는 카울패널(22) 및, 상기 프론트 사이드 멤버(10)의 전/후방부위로 각각 엔진과 변속기를 탑재하는 서브 프레임(도시안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프론트 사이드 멤버(10)의 전방측 선단부의 외측에는 견인이나 차량의 선적시 차체를 지지하기 위한 선적용 후크(24)가 결합되는 바, 이 선적용 후크(24)의 장착부위는 도 2 내지 이의 장착부위 단면을 도시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다.
즉, 상기 프론트 사이드 멤버(10)는 외측 프론트 사이드 패널(12)과 내측 프 론트 사이드 패널(14), 외측 연장 패널(16) 및, 내측 연장 패널(18)이 각각 상하로 이중의 폐단면을 형성하도록 접합되고, 상기 외측 연장 패널(16)과 내측 연장 패널(18) 사이를 면착하도록 보강 패널(19)이 접합되며, 상기 외측 프론트 사이드 패널(12)과 외측 연장 패널(16)에 걸쳐 상기 선적용 후크(24)의 상단부가 나사체결되어 고정된다.
여기서, 외측 프론트 사이드 패널(12)의 하측에는 외측 연장 패널(16)이 접합되어 하향되게 연장되고, 상기 내측 프론트 사이드 패널(14)의 하측부위는 상기 외측 프론트 사이드 패널(12)과 외측 연장 패널(16) 사이의 접합부위를 향해 절곡되어 상기 외측 연장 패널(16)의 내측으로 면착된다.
그리고, 상기 내측 프론트 사이드 패널(14)의 하측에는 내측 연장 패널(18)이 접합되어 하향되게 연장되고, 이 내측 연장 패널(18)의 하단부는 상기 외측 연장 패널(16)의 하단부와 접합되도록 연장절곡된다.
또한, 상기 보강 패널(19)은 상기 내측 연장 패널(18)의 내측으로 면착되어 상기 외측 연장 패널(16)의 하단부의 내측으로 면착된다.
한편, 상기 선적용 후크(24)는 이의 상측 마운팅부가 외측 프론트 사이드 패널(12)과 외측 연장 패널(16), 내측 프론트 사이드 패널(14)의 하측부를 각각 순차적으로 관통하는 볼트(B)를 매개로 하여 고정되는 바, 이 볼트(B)는 내측 프론트 사이드 패널(14)의 내측면에 접합된 용접너트(N)에 체결되어진다.
또한, 상기 선적용 후크(24)의 하측 마운팅부는 외측 연장 패널(16)과, 내측 프론트 사이드 패널(14)의 하단부와 보강 패널(19) 사이의 면착부 사이를 순차적으 로 관통하는 볼트(B)를 매개로 하여 고정되는 바, 이 볼트(B)는 내측 프론트 사이드 패널(14)의 하단부와 보강 패널(19) 사이의 면착부 사이에서 접합된 용접너트(N)에 체결되어진다.
그런데, 상기와 같이 프론트 사이드 멤버(10)상에 결합되는 선적용 후크(24)는 이에 강한 외력이 가해질 경우에 있어, 외력에 의한 하중이 모두 선적용 후크(24)를 통해 프론트 사이드 멤버(10)의 외측 연장 패널(16)로 집중되고, 이 외측 연장 패널(16)로 전달된 하중은 다시 상기 내측 프론트 사이드 패널(14)로 집중으로 작용하게 된다.
이 결과, 상기 프론트 사이드 멤버(10)에서는 국부적인 하중의 집중현상이 유발되어 선적용 후크(24)를 장착하고 있는 프론트 사이드 멤버(10)의 강성을 취약하게 하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차량의 견인이나 선적시 차체를 지지하도록 전방차체의 프론트 사이드 멤버상에 결합되는 선적용 후크를 섀시 서브 프레임의 모서리에 일체로 구성함으로써, 외부로부터 전달되는 하중이 프론트 사이드 멤버의 특정부위에 한정하여 집중되지 않도록 하여 부재의 강성 약화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자동차의 선적용 후크의 접합구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프론트 사이드 멤버의 하측에 볼트로 장착되는 서브 프레임과,
상기 서브 프레임의 양측 모서리 부위에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일체로 용접되고 중간부위에 선적을 위한 고정용 로프가 통과될 정도의 고정공이 형성된 선적용 후크를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 선적용 후크가 접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요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6은 도 4 내지 도 5에 도시된 선적용 후크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인 바,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을 위해 종래 전방차체에 선적용 후크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 1 내지 도 3에서와 동일한 참조부위에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병기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선적용 후크의 접합구조는, 차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되는 형태로 형성된 프론트 사이드 멤버(10)와, 이 프론트 사이드 멤버(10)의 전/후방부위에 볼팅 결합되어 고정되고 각각 엔진과 변속기를 탑재하는 서브 프레임(30)과, 그 서브 프레임(30)의 양측 모서리에 외측으로 돌출되게 일체로 결합된 선적용 후크(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더 상세히 설명하면, 본 발명은 서브 프레임(30)의 양측 선단부의 외측에는 차량의 견인이나 선적시 차체를 지지하기 위한 선적용 후크(40)가 용접에 의해 일체로 결합되어 있는 바, 이 선적용 후크(40)의 장착부위는 도 5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다.
즉, 차량의 견인이나 선적시 차체를 지지하기 위한 선적용 후크(40)를 결합하고 있는 서브 프레임(30)은 프론트 사이드 멤버(10)의 하측면과 볼트(35)로 볼팅 결합되어 고정되고, 이는 선적용 후크(40)가 위치하는 곳이 사이드 멤버와는 관계없는 곳에 위치하게 됨을 의미한다.
또, 선적용 후크(40)는 중간부를 중심으로 양측이 서로 대칭되는 형상으로 절곡되고, 그 양측단부가 서브 프레임(30)의 양측 모서리 선단부와 면 접촉되도록 용접됨으로써, 그 중간부에 선적을 위해 바닥면과 연결된 고정용 로프(50)가 통과될 정도의 고정공(42)이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선적용 후크(40)는 고정용 로프(50)에 외력이 가해질 경우 충분히 견딜 수 있는 강성을 갖도록 솔리드(solid)타입의 봉형상을 갖는 것이다.
미설명부호 "36"은 서브 프레임(30)과 사이드 멤버의 볼팅 결합시 개재 설치되는 부쉬를 나타낸 것이다.
이러한 구조를 갖는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 선적용 후크(40)의 접합구조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선적용 후크(40)의 양측 단부가 서브 프레임(30)의 양측 모서리 부위에 외측으로 돌출되게 일체로 용접 결합시킨 후에, 고정용 로프(50)를 그 선적용 후크(40)의 중앙에 위치한 고정공(42)을 통해 통과시켜 고정하고자 하는 운반차량이나 선박의 임의의 장소에 고정시킴으로써, 선적되는 차량이 외부의 흔들림에도 상관없이 견고하게 고정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접합구조상, 프론트 사이드 멤버(10)측으로 강한 외력이 가해질 경우에도, 외력에 의한 하중이 사이드 멤버(10)에만 한정되게 작용하게 되므로, 초기 하중을 충분히 흡수할 수 있는 강성이 향상되는 이점을 갖게 된다.
즉, 선적중인 차량에 강한 외력이 전달되어, 서브 프레임(30)과는 관계없이 사이드 멤버(10)측에만 작용하게 될 경우에는 선적용 후크(40)의 찌그러짐 현상을 예방할 수 있으며, 하중이 사이드 멤버(10)의 내측 프론트 사이드 패널(14)에 집중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하중이 집중되지 않음에 따라, 국부적인 하중의 집중에 따른 강성의 취약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차량의 견인이나 선적을 위한 선적용 후크가 서브 프레임의 외측에 용접으로 일체 형성된 구조를 갖는 것인 바, 이에 따르면 본 발명은 외력에 의한 하중이 전달될 경우에, 사이드 멤버의 내측 프론트 사이드 패널에 집중되지 않게 되므로, 국부적인 하중의 집중에 따른 부재의 강성 약화를 배제할 수 있는 효과가 있게 된다.

Claims (1)

  1. 프론트 사이드 멤버(10)의 하측에 볼트(35)로 장착되는 서브 프레임(30)과,
    상기 서브 프레임(30)의 양측 모서리 부위에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일체로 용접되고 중간부위에 선적을 위한 고정용 로프(50)가 통과될 정도의 고정공(42)이 형성된 선적용 후크(40)를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선적용 후크의 접합구조.
KR1020040020381A 2004-03-25 2004-03-25 자동차의 선적용 후크의 접합구조 KR1005527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20381A KR100552765B1 (ko) 2004-03-25 2004-03-25 자동차의 선적용 후크의 접합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20381A KR100552765B1 (ko) 2004-03-25 2004-03-25 자동차의 선적용 후크의 접합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95170A KR20050095170A (ko) 2005-09-29
KR100552765B1 true KR100552765B1 (ko) 2006-02-20

Family

ID=372757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20381A KR100552765B1 (ko) 2004-03-25 2004-03-25 자동차의 선적용 후크의 접합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52765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95170A (ko) 2005-09-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84858B2 (en) Rear vehicle body structure
JP4654917B2 (ja) 車体後部構造
KR101108451B1 (ko) 차량 전방 구조
JP5240820B2 (ja) 小型フレーム車両のトレーリングアームマウンティング装置
JP5115243B2 (ja) 自動車のリヤバンパ支持構造
JP4910882B2 (ja) サスクロスメンバ取付け構造
JP5109124B2 (ja) 車体下部の補強構造
JP5326752B2 (ja) ショックアブソーバー取付け部構造
JP5228781B2 (ja) 車体前部構造
JP4069605B2 (ja) 車両の下部車体構造
JP2008260448A (ja) フロント・アンダーラン・プロテクタの取付構造
KR100552765B1 (ko) 자동차의 선적용 후크의 접합구조
KR100440287B1 (ko) 자동차의 선적용 후크의 접합구조
JP3324450B2 (ja) 車両荷台のフロア構造
KR200156543Y1 (ko) 대형트럭의 샤시프레임 체결구조
KR200155333Y1 (ko) 자동차 차체의 연료 탱크 브라켓
WO2015189909A1 (ja) サスペンション装置
JP2006282089A (ja) 車体後部構造
JP3394461B2 (ja) 自動車のトランスポートフック取付け構造
KR20090130599A (ko) 스토퍼 일체형 부시 앗세이
KR0134097Y1 (ko) 자동차 토션빔 엑슬에의 스핀들 취부구조
JPS6242624Y2 (ko)
KR100756632B1 (ko) 후륜 현가장치의 마운팅 구조
KR19980027982A (ko) 프런트 사이드 멤버와 라디에이터 서포트 로워멤버의 결합구조
KR19980032416U (ko) 차량의 리어 써스팬션 쇽업소오버의 장착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0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3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30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30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