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24235A - 햅틱 피드백을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전자 장치 - Google Patents

햅틱 피드백을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전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24235A
KR20180124235A KR1020170058415A KR20170058415A KR20180124235A KR 20180124235 A KR20180124235 A KR 20180124235A KR 1020170058415 A KR1020170058415 A KR 1020170058415A KR 20170058415 A KR20170058415 A KR 20170058415A KR 20180124235 A KR20180124235 A KR 201801242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uch
controller
haptic
pattern
proces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584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89063B1 (ko
Inventor
고승훈
유대현
이헌석
차은미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584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89063B1/ko
Priority to EP18798430.7A priority patent/EP3605278B1/en
Priority to PCT/KR2018/005360 priority patent/WO2018208093A1/ko
Priority to US16/611,710 priority patent/US11204645B2/en
Priority to CN201880031147.3A priority patent/CN110622108B/zh
Publication of KR201801242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242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890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890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6Input arrangements with force or tactile feedback as computer generated output to the us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06F1/3234Power saving characterised by the action undertaken
    • G06F1/325Power saving in peripheral device
    • G06F1/3265Power saving in display devi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46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the device orientation or free movement in a 3D space, e.g. 3D mice, 6-DOF [six degrees of freedom] pointers using gyroscopes, accelerometers or tilt-senso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using force sensing means to determine a posi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using force sensing means to determine a position
    • G06F3/04146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using force sensing means to determine a position using pressure sensitive conductive elements delivering a boolean signal and located between crossing sensing lines, e.g. located between X and Y sensing line lay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5Pressure sensors for measuring the pressure or force exerted on the touch surface without providing the touch posi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터치를 감지하는 터치 센서, 액츄에이터, 상기 터치 센서로부터 수신한 터치 신호에 기반하여 터치 이벤트를 생성하는 터치 컨트롤러, 및 햅틱 컨트롤러(haptic controller)를 포함하고, 상기 햅틱 컨트롤러는, 상기 터치 컨트롤러와 직접적인 통신에 의하여 상기 터치 컨트롤러로부터 생성된 터치 이벤트를 수신하고, 상기 터치 이벤트의 수신에 응답하여 상기 액츄에이터를 구동하는, 전자 장치가 개시된다. 이 외에도 명세서를 통해 파악되는 다양한 실시 예가 가능하다.

Description

햅틱 피드백을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전자 장치{METHOD AND ELECTRONIC DEVICE FOR PROVIDING HAPTIC FEEDBACK}
본 문서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은, 사용자의 터치에 응답하여 햅틱 피드백을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전자 장치에 관한 것이다.
스마트폰, 태블릿 PC, 스마트 워치 등과 같은 전자 장치는 사용자의 터치에 반응하여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킬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는 사용자의 터치에 응답하여 적절한 햅틱 피드백(예: 진동)을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는 햅틱 피드백을 통해, 터치가 정확하게 이루어졌는지 확인할 수 있고 대응되는 동작이 실행되는 것을 분명하게 인식할 수 있다.
햅틱 피드백의 제공에 있어,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plication processor)는 터치 컨트롤러 및 햅틱 컨트롤러(haptic controller)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사용자의 터치가 입력되면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는 어웨이크 모드(awake mode)로 동작하고 햅틱 피드백을 제공하기 위해 상기 햅틱 컨트롤러를 제어할 수 있다. 전력 소모를 줄이기 위해 슬립 모드(sleep mode)로 동작하는 도중에 사용자의 반복적인 터치가 입력되는 경우,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는 슬립 모드로 동작하지 못하고, 어웨이크 모드로 계속하여 동작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사용자의 반복적인 터치는 전자 장치의 전력 소모를 가중시키고, 배터리 사용 시간을 단축시키는 문제를 발생시킬 수 있다. 한편,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가 슬립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에 사용자의 터치가 입력되면,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는 동작 모드의 전환이 선행되어야 하므로 터치가 입력된 즉시에 햅틱 피드백을 제공하기 곤란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 예들은, 터치 컨트롤러 및 햅틱 컨트롤러가 상호간에 직접적으로 통신하거나 일 구성으로 구현됨으로써,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의 개입(intervention)없이 사용자에게 즉각적인 햅틱 피드백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되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터치를 감지하는 터치 센서, 액츄에이터, 상기 터치 센서로부터 수신한 터치 신호에 기반하여 터치 이벤트를 생성하는 터치 컨트롤러, 및 햅틱 컨트롤러(haptic controller)를 포함하고, 상기 햅틱 컨트롤러는, 상기 터치 컨트롤러와 직접적인 통신에 의하여 상기 터치 컨트롤러로부터 생성된 터치 이벤트를 수신하고, 상기 터치 이벤트의 수신에 응답하여 상기 액츄에이터를 구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문서에 개시되는 일 실시 예에 따른 방법은, 터치를 감지하는 동작, 상기 터치 센서로부터 수신한 터치 신호에 기반하여 터치 컨트롤러가 터치 이벤트를 생성하는 동작, 햅틱 컨트롤러가 상기 터치 컨트롤러와 직접적인 통신에 의하여 상기 터치 컨트롤러로부터 생성된 터치 이벤트를 수신하고, 상기 터치 이벤트를 수신함에 응답하여 액츄에이터를 구동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따르면, 전자 장치는 터치 컨트롤러와 햅틱 컨트롤러 사이의 직접적인 통신에 의해 사용자에게 햅틱 피드백을 제공함으로써,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의 구동 횟수를 줄이고 빠른 응답속도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는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가 슬립 모드인 상황에서도 사용자의 터치에 대응하여 즉각적인 햅틱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다.
이 외에, 본 문서를 통해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파악되는 다양한 효과들이 제공될 수 있다.
도 1은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네트워크 환경 내의 전자 장치의 블록도를 나타낸다.
도 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슬립 모드로 동작하는 전자 장치를 나타낸다.
도 3a는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입력된 터치의 처리와 햅틱 피드백의 구현을 위한 전자 장치의 블록도를 나타낸다.
도 3b는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입력된 터치의 처리와 햅틱 피드백의 구현을 위한 제2 프로세서를 가지는 전자 장치의 블록도를 나타낸다.
도 4는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터치 컨트롤러의 블록도를 나타낸다.
도 5는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가, 터치에 대응하여 햅틱 피드백을 제공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6a는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가, 터치의 패턴에 대응하여 다양한 햅틱 피드백을 제공하고 프로세서의 모드를 전환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6b는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가, 터치의 패턴에 대응하여 다양한 햅틱 피드백을 제공하고 지정된 GUI를 디스플레이에 출력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7은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가, 터치가 이루어진 위치에 기초한 다양한 햅틱 피드백을 제공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8은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가 즉각적인 햅틱 피드백을 제공하는 방법을 나타낸다.
도 9는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가 터치가 이루어진 위치에 기초한 다양한 햅틱 피드백을 제공하는 방법을 나타낸다.
도 10은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웨어러블(wearable) 전자 장치가 즉각적인 햅틱 피드백을 제공하는 방법을 나타낸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 또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재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 예의 다양한 변경(modification), 균등물(equivalent), 및/또는 대체물(alternative)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네트워크 환경(100) 내의 전자 장치(101)의 블록도 이다.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다양한 형태의 장치가 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예를 들면, 휴대용 통신 장치(예: 스마트폰), 컴퓨터 장치(예: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태블릿 PC(tablet PC), 랩탑 PC(, 데스크톱 PC, 워크스테이션, 또는 서버), 휴대용 멀티미디어 장치(예: 전자 책 리더기 또는 MP3 플레이어), 휴대용 의료 기기(예: 심박, 혈당, 혈압, 또는 체온 측정기), 카메라, 또는 웨어러블 장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웨어러블 장치는 액세서리 형(예: 시계, 반지, 팔찌, 발찌, 목걸이, 안경, 콘택트 렌즈, 또는 머리 착용 형 장치(head-mounted-device(HMD)), 직물 또는 의류 일체형(예: 전자 의복), 신체 부착 형(예: 스킨 패드 또는 문신), 또는 생체 이식 형 회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 예들에서, 전자 장치는, 예를 들면, 텔레비전, DVD(digital video disk) 플레이어, 오디오 장치, 오디오 액세서리 장치(예: 스피커, 헤드폰, 또는 헤드 셋), 냉장고, 에어컨, 청소기, 오븐, 전자레인지, 세탁기, 공기 청정기, 셋톱 박스, 홈 오토메이션 컨트롤 패널, 보안 컨트롤 패널, 게임 콘솔, 전자 사전, 전자 키, 캠코더, 또는 전자 액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는 네비게이션 장치, 위성 항법 시스템(GN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EDR(event data recorder)(예: 차량/선박/비행기 용 블랙박스(black box)), 자동차 인포테인먼트 장치(예: 차량용 헤드-업 디스플레이), 산업용 또는 가정용 로봇, 드론(drone), ATM(automated teller machine), POS(point of sales) 기기, 계측 기기(예: 수도, 전기, 또는 가스 계측 기기), 또는 사물 인터넷 장치(예: 전구, 스프링클러 장치, 화재 경보기, 온도 조절기, 또는 가로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전술한 기기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또한, 예를 들면, 개인의 생체 정보(예: 심박 또는 혈당)의 측정 기능이 구비된 스마트폰의 경우처럼, 복수의 장치들의 기능들을 복합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사용자라는 용어는 전자 장치를 사용하는 사람 또는 전자 장치를 사용하는 장치(예: 인공지능 전자 장치)를 지칭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여, 네트워크 환경(100)에서 전자 장치(101)(예: 전자 장치(301a))는 근거리 무선 통신(198)을 통하여 전자 장치(102)와 통신하거나, 또는 네트워크(199)를 통하여 전자 장치(104) 또는 서버(108)와 통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서버(108)을 통하여 전자 장치(104)와 통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버스(110), 프로세서(120)(예: 프로세서(310a)), 메모리(130), 입력 장치(150)(예: 마이크 또는 마우스), 표시 장치(160), 오디오 모듈(170), 센서 모듈(176), 인터페이스(177), 햅틱 모듈(179), 카메라 모듈(180), 전력 관리 모듈(188), 및 배터리(189), 통신 모듈(190), 및 가입자 식별 모듈(196)을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 예에서는, 전자 장치(101)는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예: 표시 장치(160) 또는 카메라 모듈(180))를 생략하거나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적으로 구비할 수 있다.
버스(110)는, 구성요소들(120-190)을 서로 연결하고, 구성요소들 간의 신호(예: 제어 메시지 또는 데이터)를 전달하는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중앙처리장치(central processing unit, CPU),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plication processor, AP), GPU(graphics processing unit), 카메라의 ISP(image signal processor), 또는 CP(communication processor)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SoC(system on chip) 또는 SiP(system in package)로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예를 들면, 운영 체제 또는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하여 프로세서(120)에 연결된 전자 장치(101)의 적어도 하나의 다른 구성요소(예: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을 제어할 수 있고, 각종 데이터 처리 및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다른 구성요소들(예: 통신 모듈(190))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수신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휘발성 메모리(132)에 로드하여 처리하고, 결과 데이터를 비휘발성 메모리(134)에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30)는, 휘발성 메모리(132)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134)를 포함할 수 있다. 휘발성 메모리(132)는, 예를 들면, RAM(random access memory)(예: DRAM, SRAM, 또는 SDRAM)로 구성될 수 있다. 비휘발성 메모리(134)는, 예를 들면,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OTPROM(one time PROM), EPROM(erasable PROM), EEPROM(electrically EPROM), mask ROM, flash ROM, 플래시 메모리, HDD(hard disk drive), 또는 SSD(solid state drive)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비휘발성 메모리(134)는, 전자 장치(101)와의 연결 형태에 따라, 그 안에 배치된 내장 메모리(136), 또는 필요 시에만 연결하여 사용 가능한 스탠드-얼론(stand-alone) 형태의 외장 메모리(138)로 구성될 수 있다. 외장 메모리(138)는 플래시 드라이브(flash drive), 예를 들면, CF(compact flash), SD(secure digital), Micro-SD, Mini-SD, xD(extreme digital), MMC(multi-media card), 또는 메모리 스틱을 포함할 수 있다. 외장 메모리(138)는 유선(예: 케이블 또는 USB(universal serial bus)) 또는 무선(예: Bluetooth)을 통하여 전자 장치(101)와 기능적으로 또는 물리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메모리(130)는, 예를 들면, 전자 장치(101)의 적어도 하나의 다른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예를 들어, 프로그램(140)에 관계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프로그램(140)은, 예를 들면, 커널(141), 라이브러리(143), 어플리케이션 프레임워크(145), 또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interchangeably "어플리케이션")(147)을 포함할 수 있다.
입력 장치(150)는, 마이크, 마우스, 또는 키보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키보드는 물리적인 키보드로 연결되거나, 표시 장치(160)를 통해 가상 키보드로 표시될 수 있다.
표시 장치(160)는, 디스플레이, 홀로그램 장치, 또는 프로젝터 및 해당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는, 예를 들면, 액정 디스플레이(LCD), 발광 다이오드(LED) 디스플레이,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 디스플레이, 마이크로 전자기계 시스템(MEMS) 디스플레이, 또는 전자 종이(electronic paper)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는,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유연하게, 투명하게, 또는 착용할 수 있게 구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는 사용자의 터치, 제스처, 근접, 또는 호버링(hovering) 입력을 감지할 수 터치 회로(touch circuitry) 또는 터치에 대한 압력의 세기를 측정할 수 있는 압력 센서(interchangeably "force sensor")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터치 회로 또는 압력 센서는 디스플레이와 일체형으로 구현되거나, 또는 디스플레이와는 별도의 하나 이상의 센서들로 구현될 수 있다. 홀로그램 장치는 빛의 간섭을 이용하여 입체 영상을 허공에 보여줄 수 있다. 프로젝터는 스크린에 빛을 투사하여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스크린은, 예를 들면, 전자 장치(101)의 내부 또는 외부에 위치할 수 있다.
오디오 모듈(170)은, 예를 들면, 소리와 전기 신호를 쌍방향으로 변환시킬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오디오 모듈(170)은, 입력 장치(150)(예: 마이크)를 통해 소리를 획득하거나, 또는 전자 장치(101)에 포함된 출력 장치(미 도시)(예: 스피커 또는 리시버), 또는 전자 장치(101)와 연결된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예: 무선 스피커 또는 무선 헤드폰) 또는 전자 장치(106)(예: 유선 스피커 또는 유선 헤드폰))를 통해 소리를 출력할 수 있다.
센서 모듈(176)은, 예를 들면, 전자 장치(101)의 내부의 작동 상태(예: 전력 또는 온도), 또는 외부의 환경 상태(예: 고도, 습도, 또는 밝기)를 계측 또는 감지하여, 그 계측 또는 감지된 상태 정보에 대응하는 전기 신호 또는 데이터 값을 생성할 수 있다. 센서 모듈(176)은, 예를 들면, 제스처 센서, 자이로 센서, 기압 센서, 마그네틱 센서, 가속도 센서, 그립 센서, 근접 센서, 컬러(color) 센서(예: RGB(red, green, blue) 센서), IR(infrared) 센서, 생체 센서(예: 홍채 센서, 지문 센서, 또는 HRM(heartbeat rate monitoring) 센서, 후각(electronic nose) 센서, EMG(electromyography) 센서, EEG(Electroencephalogram) 센서, ECG(Electrocardiogram) 센서), 온도 센서, 습도 센서, 조도 센서, 또는 UV(ultra violet)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센서 모듈(176)은 그 안에 속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들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회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 예에서는, 전자 장치(101)는 프로세서(120) 또는 프로세서(120)와는 별도의 프로세서(예: 센서 허브)를 이용하여, 센서 모듈(176)을 제어할 수 있다. 별도의 프로세서(예: 센서 허브)를 이용하는 경우에, 전자 장치(101)는 프로세서(120)가 슬립(sleep) 상태에 있는 동안, 프로세서(120)를 깨우지 않고 별도의 프로세서의 작동에 의하여 센서 모듈(176)의 동작 또는 상태의 적어도 일부를 제어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177)는, 일 실시 예에 따르면,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USB, 광 인터페이스(optical interface), RS-232(recommended standard 232), D-sub(D-subminiature), MHL(mobile high-definition link) 인터페이스, SD카드/MMC(multi-media card) 인터페이스, 또는 오디오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 단자(178)는 전자 장치(101)와 전자 장치(106)를 물리적으로 연결시킬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연결 단자(178)는, 예를 들면, USB 커넥터, SD 카드/MMC 커넥터, 또는 오디오 커넥터(예: 헤드폰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햅틱 모듈(179)은 전기적 신호를 기계적인 자극(예: 진동 또는 움직임) 또는 전기적인 자극으로 변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햅틱 모듈(179)은 사용자에게 촉각 또는 운동 감각과 관련된 자극을 제공할 수 있다. 햅틱 모듈(179)은 예를 들면, 모터, 압전 소자, 또는 전기 자극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 모듈(180)은, 예를 들면, 정지 영상 및 동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카메라 모듈(180)은,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하나 이상의 렌즈(예: 광각 렌즈 및 망원 렌즈, 또는 전면 렌즈 및 후면 렌즈), 이미지 센서,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 또는 플래시(예: 발광 다이오드 또는 제논 램프(xenon lamp) 등)를 포함할 수 있다.
전력 관리 모듈(188)은 전자 장치(101)의 전력을 관리하기 위한 모듈로서, 예를 들면, PMIC(power management integrated circuit)의 적어도 일부로서 구성될 수 있다.
배터리(189)는, 예를 들면, 1차 전지, 2차 전지, 또는 연료 전지를 포함하여 외부 전원에 의해 재충전되어, 상기 전자 장치(101)의 적어도 하나의 구성 요소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통신 모듈(190)은, 예를 들면, 전자 장치(101)와 외부 장치(예: 제1 외부 전자 장치(102), 제2 외부 전자 장치(104), 또는 서버(108)) 간의 통신 채널 수립 및 수립된 통신 채널을 통한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의 수행을 지원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통신 모듈(190)은 무선 통신 모듈(192) 또는 유선 통신 모듈(194)을 포함하고, 그 중 해당하는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제1 네트워크(198)(예: Bluetooth 또는 IrDA(infrared data association)와 같은 근거리 통신 네트워크) 또는 제2 네트워크(199)(예: 셀룰러 네트워크와 같은 원거리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외부 장치와 통신할 수 있다.
무선 통신 모듈(192)은, 예를 들면, 셀룰러 통신, 근거리 무선 통신, 또는 GNSS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셀룰러 통신은, 예를 들면, LTE(long-term evolution), LTE-A(LTE Advance),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wideband CDMA),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WiBro(Wireless Broadband), 또는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을 포함할 수 있다. 근거리 무선 통신은, 예를 들면, Wi-Fi(wireless fidelity), Wi-Fi Direct, Li-Fi(light fidelity), Bluetooth, BLE(Bluetooth low energy), Zigbee, NFC(near field communication), MST(magnetic secure transmission), RF(radio frequency), 또는 BAN(body area network)을 포함할 수 있다. GNSS는, 예를 들면,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Glona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Beidou Navigation Satellite System(이하 "Beidou") 또는 Galileo(the European global satellite-based navigation system)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GPS"는 "GNSS"와 상호 호환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무선 통신 모듈(192)은, 셀룰러 통신을 지원하는 경우, 예를 들면, 가입자 식별 모듈(196)을 이용하여 통신 네트워크 내에서 전자 장치(101)의 구별 및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무선 통신 모듈(192)은 프로세서(120)(예: AP)와 별개인 CP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런 경우, CP는, 예를 들면, 프로세서(120)가 인액티브(예: 슬립) 상태에 있는 동안 프로세서(120)를 대신하여, 또는 프로세서(120)가 액티브 상태에 있는 동안 프로세서(120)과 함께, 전자 장치(101)의 구성요소들(110-196) 중 적어도 하나의 구성 요소와 관련된 기능들의 적어도 일부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무선 통신 모듈(192)은 셀룰러 통신 모듈,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 또는 GNSS 통신 모듈 중 해당하는 통신 방식만을 지원하는 복수의 통신 모듈들로 구성될 수 있다.
유선 통신 모듈(194)은, 예를 들면, LAN(local area network), 전력선 통신 또는 POTS(plain old telephone service)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네트워크(198)는,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1)와 제1 외부 전자 장치(102)간의 무선으로 직접 연결을 통해 명령 또는 데이터를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는 Wi-Fi 다이렉트 또는 Bluetooth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네트워크(199)는,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1)와 제2 외부 전자 장치(104)간의 명령 또는 데이터를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는 텔레커뮤니케이션 네트워크(예: LAN(local area network)나 WAN(wide area network)와 같은 컴퓨터 네트워크, 인터넷(internet), 또는 텔레폰(telephone) 네트워크)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상기 명령 또는 상기 데이터는 제2 네트워크에 연결된 서버(108)를 통해서 전자 장치(101)와 제2 외부 전자 장치(104)간에 송신 또는 수신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외부 전자 장치(102, 104) 각각은 전자 장치(101)와 동일한 또는 다른 종류의 장치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에서 실행되는 동작들의 전부 또는 일부는 다른 하나 또는 복수의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 104), 또는 서버(108)에서 실행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가 어떤 기능이나 서비스를 자동으로 또는 요청에 의하여 수행해야 할 경우에, 전자 장치(101)는 기능 또는 서비스를 자체적으로 실행시키는 대신에 또는 추가적으로, 그와 연관된 적어도 일부 기능을 다른 장치(예: 전자 장치(102, 104), 또는 서버(108))에게 요청할 수 있다. 다른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 104), 또는 서버(108))는 요청된 기능 또는 추가 기능을 실행하고, 그 결과를 전자 장치(101)로 전달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수신된 결과를 그대로 또는 추가적으로 처리하여 요청된 기능이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예를 들면, 클라우드 컴퓨팅, 분산 컴퓨팅, 또는 클라이언트-서버 컴퓨팅 기술이 이용될 수 있다.
도 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슬립 모드로 동작하는 전자 장치를 나타낸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는 동작 모드(operation mode)로서 어웨이크 모드 및 슬립 모드를 지원할 수 있다. 어웨이크 모드는 프로세서가 요구된 모든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모드를 나타낼 수 있다. 슬립 모드는 전자 장치의 전원 공급은 이루어지고 있으나 프로세서의 일부 기능을 제한함으로써 전력 소비를 최소화하는 모드를 나타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슬립 모드로 동작하는 전자 장치에서, 예컨대, 통신 모듈, 카메라 모듈, 센서 모듈, 오디오 모듈 등은 제한된 기능만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모듈들은 지정된 조건이 만족되면, 프로세서에 인터럽트(interrupt)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슬립 모드로 동작하는 프로세서는, 각 모듈로부터 인터럽트 신호를 수신함에 응답하여 어웨이크 모드로 전환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일 실시에 따른 전자 장치(201a, 201b)가 도시되어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201a, 201b)의 디스플레이(210a, 210b)는 프로세서의 동작 모드에 따라 온/오프(on/off)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슬립 모드로 동작하는 전자 장치(201b)의 디스플레이(210b)는 오프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슬립 모드로 동작하는 전자 장치(201a)에서, 디스플레이(210a)에 포함된 일부 화소는 부분적으로 오프되고, 다른 일부의 화소들은 AOD(always on display)의 구현을 위해 온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다른 일부의 화소들은 디지털 시계(220a)를 표현하기 위해 온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슬립 모드로 동작하는 전자 장치(201a, 201b)에 있어서, 디스플레이(210a, 210b)는 사용자의 터치(2a, 2b)를 지정된 영역(211a, 211b)을 통해 인식할 수 있다. 사용자의 터치(2a, 2b)가 상기 지정된 영역(211a, 211b)의 외부에서 이루어진 경우, 전자 장치(201a, 201b)는 상기 사용자의 터치(2a, 2b)를 인식하지 않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지정된 영역(211a, 211b)은 디스플레이(210a, 210b) 영역의 일부 또는 전부이거나 별개의 디스플레이 영역에 해당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201a)를 참조하면, 상기 지정된 영역(211a)은 디스플레이(210a)의 하단 중앙에 위치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전자 장치(201b)를 참조하면, 상기 지정된 영역(211b)은 디스플레이(210b)의 측면에 위치하는 서브 디스플레이 영역에 해당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서브 디스플레이 영역은 단일 구성으로 구현된 디스플레이(210a, 210b)의 측면 일부를 의미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사용자의 터치(2a, 2b)가 상기 지정된 영역(211a, 211b)의 내부에서 이루어진 경우, 전자 장치(201a, 201b)는 상기 사용자의 터치(2a, 2b)를 인식하고 지정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지정된 동작은 상기 사용자의 터치(2a, 2b)가 지정된 터치 패턴(touch pattern)에 대응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지정된 터치 패턴은 탭(tap), 더블 탭, 또는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로 터치 무브(touch move)하는 제스처를 포함할 수 있다. 탭은 사용자의 터치가 특정 위치를 포함하는 영역에서 이루어진 후 제거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더블 탭은 상기 탭이 지정된 시간 간격 이내에 두 번 이루어지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상기 터치 무브는 사용자의 터치가 제1 위치를 포함하는 영역에서 이루어진 후 제거되지 않은 상태로 제1 위치를 포함하지 않고 제2 위치를 포함하는 영역으로 이동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터치 무브는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로 직선 이동하는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터치 무브는 2개 위치간 이동으로 한정되지 않고 3개 이상의 위치간 이동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의 터치(2a, 2b)가 지정된 터치 패턴에 대응되면 전자 장치(201a, 201b)는 사용자에게 지정된 햅틱 피드백을 제공하고 디스플레이(210a, 210b)를 온 시키거나, AOD의 구현을 위해 온 되어있는 일 부 화소들을 오프 시키거나, 지정된 컨텐츠를 출력하거나, 또는 지정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킬 수 있다. 상기 사용자의 터치(2a, 2b)가 지정된 터치 패턴에 대응되지 않으면 전자 장치(201a, 201b)는 디스플레이(210a, 210b)의 오프 상태를 유지하거나 또는 AOD의 구현을 위해 일부 화소들만을 온 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201a)를 참조하면, 상기 지정된 터치 패턴은 디스플레이(210a)의 지정된 영역(211a) 내부의 하단에서 윗 방향으로 터치 무브하는 제스처(212a)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의 터치(2a)가 상기 지정된 터치 패턴에 대응되면, 전자 장치(201a)는 사용자에게 지정된 햅틱 피드백을 제공함과 아울러 결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고 지정된 결제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디스플레이(210a)에 출력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전자 장치(201b)를 참조하면, 상기 지정된 터치 패턴은 디스플레이(210b)의 지정된 영역(211b)에서, 위에서 아래로, 다시 아래에서 위로 터치 무브하는 제스처(212b)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의 터치(2b)가 상기 지정된 터치 패턴에 대응되면, 전자 장치(201b)는 사용자에게 지정된 햅틱 피드백을 제공하는 동시에 날짜, 시간, 온도 등의 정보를 제공하는 GUI를 상기 지정된 영역(211b)에 출력할 수 있다.
도 3a는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입력된 터치의 처리와 햅틱 피드백의 구현을 위한 전자 장치(301a)의 블록도를 나타낸다.
도 3a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301a)는 프로세서(310a),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320a). 디스플레이(330a), 터치-햅틱 컨트롤 블록(340a) 및 액츄에이터(350a)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301a)는, 도 3a에 도시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를 생략하거나, 다른 구성 요소를 추가적으로 구비할 수도 있다.
프로세서(310a)는, 예를 들면, 전자 장치(301a)의 다른 구성요소들에 대한 제어 또는 통신에 관하여, 필요한 연산이나 데이터 처리를 실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서, 프로세서(310a)는 CPU, CP, 센서허브, 또는 AP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310a)는 슬립 모드 및 어웨이크 모드를 포함하는 동작 모드를 지원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320a)는 프로세서(310a)로부터 이미지 데이터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 패널(331a)을 상기 이미지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320a)는 프로세서(310a)로부터 수신한 이미지 데이터에 대응하는 이미지 신호를 미리 설정된 프레임수로 디스플레이 패널(331a)에 공급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330a)는 디스플레이 패널(331a), 터치 센서(332a) 및 압력 센서(333a)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디스플레이(330a)는 상기 구성요소들(331a, 332a, 333a) 중 적어도 하나를 생략하거나, 다른 구성 요소를 추가적으로 구비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331a)은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320a)로부터 이미지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331a)은 상기 이미지 신호에 기반하여 다양한 컨텐츠(예: 텍스트, 이미지, 비디오, 아이콘, GUI, 또는 심볼 등)를 표시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디스플레이에 출력한다"는 "디스플레이 패널에 출력한다"와 동일한 의미로 이해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디스플레이 패널(331a)은 터치 센서(332a) 및 압력 센서(333a)와 중첩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패널(331a) 및 터치 센서(332a)가 결합하는 경우, 상기 결합체는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로 참조될 수 있다.
터치 센서(332a)는 디스플레이(330a)의 전체 출력 영역으로부터 사용자의 터치를 감지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사용자의 터치는 직접 터치 또는 근접 터치(예: 호버링)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의 터치가 발생하면 터치 센서(332a)에서는 지정된 물리량(예: 전압, 광량, 저항, 전하량, 커패시턴스 등)이 변화할 수 있고, 터치 센서(332a)는 터치 컨트롤러(341a)에 상기 물리량의 변화를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전송되는 물리량의 변화는 “터치 신호”로 참조될 수 있다.
압력 센서(333a)는 디스플레이(330a)의 전체 또는 일부 영역으로부터 외부 압력(혹은, 힘)을 감지할 수 있다. 예컨대, 압력 센서(333a)에서는 사용자의 손가락이 디스플레이(330a)에 가한 압력을 감지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사용자의 터치가 발생하면 상기 압력 센서(333a)에서는 상기 터치에 의해 지정된 물리량(예: 압력 센서의 전극 사이에 형성된 정전용량, 압력 센서를 형성하는 인덕터에 유도된 전류량, 압력 센서를 형성하는 도전체의 저항, 압력 센서를 형성하는 피에조 물질에 의해 발생된 전류 또는 전압차 등)이 변화할 수 있고, 압력 센서(333a)는 터치 컨트롤러(342a)에 상기 물리량의 변화를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전송되는 물리량의 변화는 “압력 신호”로 참조될 수 있다.
터치-햅틱 컨트롤 블록(340a)은 입력된 터치를 처리하고 지정된 햅틱 패턴에 기초하여 액츄에이터를 구동할 수 있다. 일 실시 예 따르면, 터치-햅틱 컨트롤 블록(340a)은 터치 컨트롤러(341a) 및 햅틱 컨트롤러(342a)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터치-햅틱 컨트롤 블록은 단일의 IC(integrated circuit)의 적어도 일부로 포함되어 구현될 수 있다.
터치 컨트롤러(341a)는 터치 센서(332a) 및/또는 압력 센서(333a)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터치 센서(332a) 또는 압력 센서(333a)로부터 수신된 터치 신호 또는 압력 신호에 기반하여 상기 터치에 관한 데이터(예: 터치가 이루어진 위치의 좌표 데이터(X, Y) 또는 상기 터치의 입력 값(Z) 등)를 산출할 수 있다.
햅틱 컨트롤러(342a)는 터치 컨트롤러(341a)로부터 인터럽트 신호를 수신함에 응답하여 액츄에이터(350a)를 구동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햅틱 컨트롤러(342a)는 상기 인터럽트 신호를 수신함에 있어, 터치 컨트롤러(341a)와 직접적인 통신을 할 수 있다. 상기 직접적인 통신은 전자 장치(301a)의 프로세서(310a)를 통하지 않는 상호간의 통신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인터럽트 신호는 터치 이벤트(31a)에 해당할 수 있다.
액츄에이터(350a)는 햅틱 컨트롤러(342a)에 의해 구동되며, LRA(linear resonant actuator) 또는 ERM(eccentric rotating mass)에 해당할 수 있다. LRA는 무게추와 스프링, 코일이 만들어내는 공진 현상을 이용하여 진동을 발생시키는 액츄에이터에 해당할 수 있다. ERM은 구동 전압에 의해 편심자가 회전함으로써 진동을 발생시키는 액츄에이터에 해당할 수 있다.
아래 서술되는 다양한 실시 예에서, 프로세서(310a)는 슬립 모드로 동작하고 디스플레이(330a)는 오프되거나 AOD의 구현을 위해 일부 화소만 부분적으로 온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터치 센서(332a)는 사용자의 터치를 감지하면, 터치 신호를 터치 컨트롤러(341a)에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사용자의 터치는 특정한 패턴을 형성하여 이루어질 수 있고, 상기 터치 신호는 상기 특정한 패턴에 기초하여 연속적으로 발생할 수 있다. 터치 컨트롤러(341a)는 상기 연속적인 터치 신호로부터 상기 터치가 이루어진 위치의 좌표 데이터(X, Y)를 연속적으로 산출함으로써 상기 특정한 패턴을 획득할 수 있다. 터치 컨트롤러(341a)는 상기 획득된 터치의 패턴이 지정된 패턴에 대응되는지 판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서 상기 지정된 패턴은 복수의 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지정된 패턴은, 탭, 더블 탭, 또는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로 터치 무브하는 제스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터치 컨트롤러(341a)는 사용자의 터치가 지정된 패턴에 대응되면 햅틱 컨트롤러(342a)에 터치 이벤트(31a)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햅틱 컨트롤러(342a)는 상기 터치 이벤트를 수신함에 응답하여 인터럽트가 발생하고 액츄에이터(350a)를 구동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터치 컨트롤러(341a)는 상기 판단된 터치 패턴에 따라 사용자에게 제공될 햅틱 패턴을 결정할 수 있다. 터치 컨트롤러(341a)는 상기 결정된 햅틱 패턴에 대한 정보를 햅틱 컨트롤러(342a)에 전송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서 햅틱 패턴은 햅틱 피드백(예: 진동)의 강도, 시간, 횟수,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터치 컨트롤러(341a)는 사용자의 터치 신호가 디스플레이(330a)의 영역 중 지정된 영역(예: 도 2의 211a, 211b)에서 이루어진 터치에 대응하는지 판단한 후에 터치 패턴의 대응 여부를 판단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의 터치가 지정된 영역의 외부에서 감지되는 경우, 터치 컨트롤러(341a)는 상기 터치 신호를 인식하지 않고, 지정된 패턴에 대응되는지 여부를 판단하지 않을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면, 터치 컨트롤러(341a)는 사용자의 터치가 지정된 영역에서 감지되면, 상기 감지된 터치가 지정된 터치 패턴에 대응되는지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지정된 영역은 터치가 이루어지는 경우 특정한 동작이 수행되는 영역에 해당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특정한 동작은 물리적인 홈 버튼(home button)을 누름에 대응하는 동작에 해당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터치 컨트롤러(341a)는 터치 신호가 상기 지정된 영역에서 이루어진 터치에 대응하는지 여부에 따라 복수의 햅틱 패턴 중 어느 하나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햅틱 패턴에 대한 정보를 햅틱 컨트롤러(342a)에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터치 컨트롤러(341a)는 상기 터치가 상기 지정된 영역의 내부에서 이루어진 경우와 외부에서 이루어진 경우를 구별하고, 햅틱 패턴을 서로 상이한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터치 컨트롤러(341a)는 상기 지정된 영역과 터치가 이루어진 위치의 거리에 기초하여 햅틱 패턴을 결정할 수도 있다. 터치 컨트롤러(341a)는, 상기 지정된 영역의 중심 위치와 상기 터치가 이루어진 위치 사이의 거리를 산출할 수 있다. 터치 컨트롤러(341a)는 상기 산출된 거리에 기초하여 복수 개의 햅틱 패턴 중 어느 하나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햅틱 패턴에 대한 정보를 햅틱 컨트롤러(342a)에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터치가 이루어진 위치가 상기 지정된 영역에 가까워질수록 햅틱 피드백의 강도가 세지도록 설정할 수 있다.
상기 지정된 영역의 중심 위치는, 예컨대, 상기 지정된 영역을 이루는 형태에 있어 무게 중심으로 이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지정된 영역이 삼각형인 경우, 상기 지정된 영역의 중심 위치는 상기 삼각형의 세 중선(median)이 교차하는 위치로 이해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터치 컨트롤러(341a)는 압력 센서(333a)에서 측정된 터치의 압력을 추가로 고려하여 햅틱 패턴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터치 컨트롤러(341a)는 측정된 터치의 압력이 지정된 값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한 후에 사용자의 터치가 지정된 터치 패턴에 대응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판단에 따라 햅틱 패턴이 결정되면, 상기 햅틱 패턴에 대한 정보는 햅틱 컨트롤러(342a)에 전송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터치 컨트롤러(341a)는 상기 측정된 터치의 압력만을 기초로 햅틱 패턴을 결정할 수도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햅틱 컨트롤러(342a)는 터치 컨트롤러(341a)로부터 햅틱 패턴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햅틱 컨트롤러(342a)는 상기 햅틱 패턴에 기초하여 액츄에이터(350a)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터치 컨트롤러(341a)는 사용자의 터치가 지정된 패턴에 대응되는 경우, 전자 장치(301a)가 햅틱 피드백의 제공과 함께 추가적인 동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프로세서(310a)에 터치 이벤트(32a-1)를 발생시킬 수 있다. 상기 터치 이벤트(32a-1)는 햅틱 컨트롤러로 전송되는 터치 이벤트(31a)와 독립적일 수 있다. 프로세서(310a)는 터치 컨트롤러(341a)로부터 상기 터치 이벤트(32a-1)를 수신함에 응답하여 인터럽트가 발생하고 동작 모드를 슬립 모드에서 어웨이크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310a)는 터치 이벤트(32a-1)를 수신하는 경우, 동작 모드를 슬립 모드에서 어웨이크 모드로 전환하고, 지정된 GUI를 디스플레이(330a)에 출력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GUI는 디스플레이(330a)의 전체 영역 중 지정된 영역에 출력될 수 있다. 상기 지정된 영역은, 예컨대, 상기 터치가 이루어진 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디스플레이(330a)의 지정된 영역에서 지정된 터치 패턴에 대응하는 터치를 입력하는 경우, 프로세서(310a)는 동작 모드를 어웨이크 모드로 전환하고 결제 어플리케이션에 의한 GUI(예: 미리 선택된 결제 카드의 GUI)를 출력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도 8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메인 디스플레이(810a)의 측면에 위치한 서브 디스플레이(820a) 영역에서 위에서 아래로 다시 아래에서 위로 터치 무브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터치 무브가 지정된 터치 패턴에 대응되면 프로세서(310a)는 동작 모드를 어웨이크 모드로 전환하고, 날짜, 시간, 온도 등을 나타내는 GUI를 상기 터치가 이루어진 서브 디스플레이(820a)영역에 출력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터치 이벤트(32a-2)는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320a)에 전송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320a)는 상기 터치 이벤트(32a-2)를 수신함에 응답하여 지정된 GUI가 디스플레이(330a)에 출력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실시 예에서, 프로세서(310a)는 동작 모드를 슬립 모드로 유지할 수 있다.
도 3b는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입력된 터치의 처리와 햅틱 피드백의 구현을 위한 제2 프로세서를 가지는 전자 장치(301b)의 블록도를 나타낸다.
전자 장치(301b)는 제1 프로세서(310b),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320b). 디스플레이(330b), 액츄에이터(350b), 햅틱 컨트롤러(360b), 및 터치 컨트롤러(370b)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b의 설명에 있어서 도 3a에서 설명된 구성에 대한 중복된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
터치 컨트롤러(370b)는 터치 센서(332b-1) 또는 압력 센서(333b)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제1 프로세서(310b)와 구별되는 별개의 제2 프로세서(371b)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2 프로세서(371b)는 제1 프로세서(310b)가 슬립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터치 컨트롤러(370b)와 햅틱 컨트롤러(360b) 사이의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2 프로세서(371b)는 사용자의 터치가 지정된 패턴에 대응되는지 판단할 수 있다. 제2 프로세서(371b)는 사용자의 터치가 지정된 터치 패턴에 대응되면 터치 이벤트(31b)를 생성하여 햅틱 컨트롤러(360b)에 전송할 수 있다. 상기 터치 이벤트(31b)가 햅틱 컨트롤러(360b)에 전송되면 햅틱 컨트롤러(360b)는 인터럽트가 발생하고 액츄에이터(350b)를 구동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2 프로세서(371b)는 사용자의 터치에 대응되는 터치 패턴에 따라 햅틱 패턴을 결정할 수 있다. 상기 결정된 햅틱 패턴에 대한 정보는 햅틱 컨트롤러(360b)에 전송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2 프로세서(371b)는 사용자의 터치가 디스플레이(330b)의 영역 중 지정된 영역(예: 도 2의 211a, 211b)에서 이루어졌는지 판단한 후에 터치 패턴의 대응 여부를 판단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의 터치가 지정된 영역의 외부에서 감지되는 경우, 제2 프로세서(371b)는 상기 터치 신호를 인식하지 않고, 지정된 패턴에 대응되는지 여부를 판단하지 않을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면, 제2 프로세서(371b)는 사용자의 터치가 지정된 영역에서 감지되면, 상기 감지된 터치가 지정된 터치 패턴에 대응되는지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지정된 영역은 터치가 이루어지는 경우 특정한 동작이 수행되는 영역에 해당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특정한 동작은 물리적인 홈 버튼(home button)을 누름에 대응하는 동작에 해당할 수 있다.
일 실시의 예에서 제2 프로세서(371b)는 터치 신호가 상기 지정된 영역에 이루어진 터치에 대응하는지 여부에 따라 복수 개의 햅틱 패턴 중 어느 하나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햅틱 패턴에 대한 정보를 햅틱 컨트롤러(360b)에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터치 컨트롤러(341a)는 상기 터치가 상기 지정된 영역의 내부에서 이루어진 경우와 외부에서 이루어진 경우를 구별하고, 햅틱 패턴을 서로 상이한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2 프로세서(371b)는 상기 지정된 영역과 터치가 이루어진 위치의 거리에 기초하여 햅틱 패턴을 결정할 수도 있다. 제2 프로세서(371b)는, 상기 지정된 영역의 중심 위치와 상기 터치가 이루어진 위치 사이의 거리를 산출할 수 있다. 제2 프로세서(371b)는 상기 산출된 거리에 기초하여 복수 개의 햅틱 패턴 중 어느 하나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햅틱 패턴에 대한 정보를 햅틱 컨트롤러(360b)에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터치가 이루어진 위치가 상기 지정된 영역에 가까워질수록 햅틱 피드백의 강도가 세지도록 설정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2 프로세서(371b)는 압력 센서(333b)에서 측정된 터치의 압력을 추가로 고려하여 햅틱 패턴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 프로세서(371b)는 측정된 터치의 압력이 지정된 값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한 후에 사용자의 터치가 지정된 터치 패턴에 대응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판단에 따라 햅틱 패턴이 결정되면, 상기 햅틱 패턴에 대한 정보는 햅틱 컨트롤러(342b)에 전송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제2 프로세서(371b)는 상기 측정된 터치의 압력만을 기초로 햅틱 패턴을 결정할 수도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2 프로세서(371b)는 사용자의 터치가 지정된 패턴에 대응되면, 전자 장치(301b)가 햅틱 피드백의 제공과 함께 추가적인 동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제1 프로세서(310b)에 터치 이벤트(32b-1)를 발생시킬 수 있다. 상기 터치 이벤트(32b-1)는 햅틱 컨트롤러로 전송되는 터치 이벤트(31b)와 독립적일 수 있다. 슬립 모드로 동작하는 제1 프로세서(310b)가 터치 이벤트(32b-1)를 수신하면 인터럽트가 발생하고 동작 모드를 어웨이크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제1 프로세서(310b)는 터치 이벤트(32b-1)를 수신하면 동작 모드를 슬립 모드에서 어웨이크 모드로 전환하고, 지정된 GUI를 디스플레이(330b)에 출력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터치 이벤트(32b-2)는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320b)에 전송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320b)는 상기 터치 이벤트(32b-2)를 수신함에 응답하여 지정된 GUI가 디스플레이(330b)에 출력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실시 예에서, 제1 프로세서(310b)는 동작 모드를 슬립 모드로 유지할 수 있다.
도 4는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터치 컨트롤러(400)의 블록도를 나타낸다.
터치 컨트롤러(400)는 터치 센서(460) 또는 압력 센서(470)에서 전송된 터치 신호를 분석하고 처리할 수 있다. 터치 컨트롤러(400)은 터치 AFE(analog front end)(410), 하드웨어 가속기(hardware accelerator)(440), 버스(450), 메모리(420), 및 마이크로 컨트롤 유닛(micro control unit(MCU))(430)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터치 컨트롤러(400)는 도 3a의 터치 컨트롤러(341a)에 대응할 수 있다.
터치 AFE(410)는 터치 센서(460) 또는 압력 센서(470)에서 측정된 물리량(예: 전압, 광량, 저항, 전하량, 커패시턴스 등)을 나타내는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메모리(420)는 사용자의 터치에 대한 데이터, 터치가 인식될 디스플레이상의 영역에 대한 데이터, 지정된 터치 패턴에 대한 데이터, 또는 지정된 햅틱 패턴에 대한 데이터 등을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사용자의 터치에 대한 데이터는 터치가 이루어진 위치, 터치 패턴, 터치가 이루어진 압력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메모리(420)는 터치 신호가 지정된 영역에서 이루어진 터치에 대응하는지 판단하는 알고리즘, 터치 패턴을 비교하는 알고리즘, 또는 햅틱 패턴을 결정하는 알고리즘 등이 구현된 명령어들(instructions)을 저장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에 따르면, 메모리(420)는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또는 eNVM(embedded non-volatile memory)을 포함할 수 있다.
마이크로 컨트롤 유닛(430)은 메모리(420)에 저장된 상기 데이터들에 대하여 상기 명령어들을 실행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마이크로 컨트롤 유닛(430)은 사용자의 터치가 입력되었는지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마이크로 컨트롤 유닛(430)은 사용자의 터치가 이루어진 위치를 산출할 수 있고, 지정된 영역 내부에서 터치가 이루어졌는지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마이크로 컨트롤 유닛(430)은 사용자의 터치가 지정된 터치 패턴에 대응되는지 판단할 수 있다. 사용자의 터치가 지정된 터치 패턴에 대응되는 경우, 햅틱 컨트롤러에 터치 이벤트(예: 도 3a의 31a)를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가 햅틱 피드백의 제공과 함께 GUI의 출력을 비롯한 추가적인 동작을 수행하는 경우, 마이크로 컨트롤 유닛(430)은 터치 패턴의 대응 여부에 따라 프로세서 또는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에 터치 이벤트(예: 도 3a의 32a-1 또는 32a-2)를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마이크로 컨트롤 유닛(430)은 사용자의 터치 패턴에 따라 햅틱 패턴을 결정할 수 있고, 결정된 햅틱 패턴에 대한 정보를 햅틱 컨트롤러에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마이크로 컨트롤 유닛(430)은 사용자의 터치가 이루어진 위치와 지정된 영역의 중심 위치 사이의 거리를 계산하고, 그 거리에 따라 햅틱 패턴을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마이크로 컨트롤 유닛(430)은 결정된 햅틱 패턴에 대한 정보를 햅틱 컨트롤러에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마이크로 컨트롤 유닛(430)은 압력 센서(470)에서 검출된 터치의 압력이 지정된 값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마이크로 컨트롤 유닛(430)은 사용자의 압력이 지정된 값 이상인 경우에 상기 터치가 지정된 터치 패턴에 대응되는지 판단할 수 있다.
하드웨어 가속기(440)는 마이크로 컨트롤 유닛(430)의 컴퓨팅 리소스를 보완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하드웨어 가속기(440)는 상기 터치 센서(460)에서 검출된 터치의 위치(좌표)를 고속으로 산출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하드웨어 가속기(440)는 터치 센서(460) 상의 좌표를 산출하기 위한 함수를 하드웨어로 구현한 것으로서, 좌표 산출을 위한 소프트웨어를 실행하는 마이크로 컨트롤 유닛(430)에 비하여 상기 터치가 이루어진 위치를 정확하고 빠르게 산출할 수 있다.
버스(450)는 터치 AFE(410), 메모리(420), 마이크로 컨트롤 유닛(430), 및 하드웨어 가속기(440) 상호간에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게 하는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도 5는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가, 사용자의 터치에 대응하여 햅틱 피드백을 제공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터치가 지정된 터치 패턴에 대응되는 경우 전자 장치는 사용자에게 햅틱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다.
동작 501에서 터치 센서는 사용자의 터치가 입력되었는지를 감지할 수 있다. 사용자의 터치가 입력되지 않았다면 터치 센서는 입력될 때까지 계속하여 감지할 수 있다. 터치 센서가 사용자의 터치를 감지하면 동작 503을 수행할 수 있다.
동작 503에서 터치 컨트롤러는 터치 센서가 감지한 사용자의 터치 패턴을 인식할 수 있다.
동작 505에서 터치 컨트롤러는 사용자의 터치 패턴이 지정된 터치 패턴에 대응하는지 판단할 수 있다. 지정된 터치 패턴에 대응하지 않으면, 터치 컨트롤러는 상기 터치를 무시할 수 있고 터치 센서는 다시 사용자의 터치를 감지할 수 있다. 지정된 터치 패턴에 대응하면 동작 507을 수행할 수 있다.
동작 507에서 터치 컨트롤러는 터치 이벤트(예: 도 3a의 31a)를 생성하고 햅틱 컨트롤러에 전송할 수 있다.
동작 509에서 햅틱 컨트롤러는 터치 이벤트의 수신에 응답하여 액츄에이터를 구동함으로써 햅틱 피드백을 구현할 수 있다.
상기에 따라, 전자 장치는 사용자에게 햅틱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다.
도 6a는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가, 터치의 패턴에 대응하여 다양한 햅틱 피드백을 제공하고 프로세서의 동작 모드를 전환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6a를 참조하면, 사용자의 터치가 지정된 영역에서 지정된 패턴으로 이루어진 경우, 전자 장치는 사용자에게 다양한 햅틱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고, 프로세서의 동작 모드를 어웨이크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동작 601a에서 프로세서는 슬립 모드를 유지할 수 있다.
동작 603a에서 터치 센서는 사용자의 터치가 입력되었는지를 감지할 수 있다. 사용자의 터치가 입력되지 않았다면 터치 센서는 입력될 때까지 계속하여 감지할 수 있고, 프로세서는 슬립 모드를 유지할 수 있다. 터치 센서가 사용자의 터치를 감지하면 동작 605a를 수행할 수 있다.
동작 605a에서 터치 컨트롤러는 사용자의 터치가 이루어진 위치를 산출할 수 있다.
동작 607a에서 터치 컨트롤러는 사용자의 터치가 지정된 영역(예: 도 2a의 211a)에서 이루어졌는지 판단할 수 있다. 사용자의 터치가 지정된 영역에서 이루어지지 않았다면, 터치 컨트롤러는 상기 터치를 무시할 수 있고 터치 센서는 다시 사용자의 터치를 감지할 수 있으며, 프로세서는 슬립 모드를 유지할 수 있다. 사용자의 터치가 지정된 영역에서 이루어졌다면, 동작 609a를 수행할 수 있다.
동작 609a에서 터치 컨트롤러는 터치 센서가 감지한 사용자의 터치 패턴을 인식할 수 있다.
동작 611a에서 터치 컨트롤러는 사용자의 터치 패턴이 지정된 터치 패턴에 대응하는지 판단할 수 있다. 지정된 터치 패턴에 대응하지 않으면, 터치 컨트롤러는 상기 터치를 무시할 수 있고 터치 센서는 다시 사용자의 터치를 감지할 수 있으며, 프로세서는 슬립 모드를 유지할 수 있다. 사용자의 터치가 지정된 터치 패턴에 대응하면 동작 613, 615, 및 621을 수행할 수 있다.
동작 613a에서 터치 컨트롤러는 햅틱 컨트롤러에 대하여 터치 이벤트(예: 도3a의 31a)를 생성하고 전송할 수 있다.
동작 615a에서 터치 컨트롤러는 사용자의 터치 패턴에 대응하는 햅틱 패턴을 결정할 수 있다.
동작 617a에서 터치 컨트롤러는 상기 결정된 햅틱 패턴에 대한 정보를 햅틱 컨트롤러에 전송할 수 있다.
동작 619a에서 햅틱 컨트롤러는 터치 이벤트의 수신에 응답하여 액츄에이터를 구동함으로써 햅틱 피드백을 구현할 수 있다.
동작 621a에서 터치 컨트롤러는 터치 이벤트(예: 도 3a의 32a-1)를 생성하고 프로세서에 전송할 수 있다.
동작 623a에서 프로세서는 동작 모드를 슬립 모드에서 어웨이크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어웨이크 모드로 동작함으로써, 해당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시키거나 해당 GUI를 디스플레이에 출력할 수 있다.
상기에 따라, 전자 장치는 사용자의 터치 패턴에 대응하여 다양한 햅틱 피드백을 제공하고 프로세서의 동작 모드를 전환할 수 있다.
도 6b는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가, 터치의 패턴에 대응하여 다양한 햅틱 피드백을 제공하고 지정된 GUI를 디스플레이에 출력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6b를 참조하면, 사용자의 터치가 지정된 영역에서 지정된 패턴으로 이루어진 경우, 전자 장치는 사용자에게 다양한 햅틱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고, 프로세서의 동작 모드를 슬립 모드로 유지하면서 지정된 GUI를 출력할 수 있다.
도 6b의 동작들에 있어, 동작 601b부터 동작 619b까지는 도 6a에서 동작 601a부터 동작 619a까지의 동작들에 대응할 수 있다.
동작 622b에서 터치 컨트롤러는 터치 이벤트(예: 도 3a의 32a-2)를 생성하고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에 전송할 수 있다.
동작 624b에서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는 대응된 터치 패턴에 해당하는 지정된 GUI를 디스플레이에 출력할 수 있다. 이 경우 프로세서는 동작 모드를 슬립 모드로 유지할 수 있다.
상기에 따라, 전자 장치는 사용자의 터치 패턴에 대응하여 다양한 햅틱 피드백을 제공하고 프로세서의 동작 모드를 슬립 모드로 유지하면서 지정된 GUI를 디스플레이에 출력할 수 있다.
도 7은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가, 터치가 이루어진 위치에 기초한 다양한 햅틱 피드백을 제공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사용자의 터치가 지정된 영역에 이루어진 경우, 전자 장치는 터치가 이루어진 위치와 타겟 영역 사이의 거리에 기초하여 다양한 햅틱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타겟 영역은 지정된 영역의 내부에 존재하고, 터치가 이루어지는 경우 특정한 동작이 수행되는 영역에 해당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특정한 동작은 물리적인 홈 버튼(home button)을 누름에 대응하는 동작에 해당할 수 있다.
동작 701에서 터치 센서는 사용자의 터치가 입력되었는지를 감지할 수 있다. 사용자의 터치가 입력되지 않았다면 터치 센서는 사용자의 터치가 입력될 때까지 계속하여 감지할 수 있다. 터치 센서가 사용자의 터치를 감지하면 동작 703을 수행할 수 있다.
동작 703에서 터치 컨트롤러는 사용자의 터치가 이루어진 위치를 산출할 수 있다.
동작 705에서 터치 컨트롤러는 사용자의 터치가 지정된 영역(예: 도 2a의 211a)에서 이루어 졌는지 판단할 수 있다. 사용자의 터치가 지정된 영역에서 이루어지지 않았다면, 터치 컨트롤러는 상기 터치를 무시할 수 있고 터치 센서는 다시 사용자의 터치를 감지할 수 있으며, 프로세서는 슬립 모드를 유지할 수 있다. 사용자의 터치가 지정된 영역에서 이루어졌다면, 동작 707 및 709를 수행할 수 있다.
동작 707에서 터치 컨트롤러는 터치 이벤트(예: 도 3a의 31a)를 생성하고 햅틱 컨트롤러에 전송할 수 있다.
동작 709에서 터치 컨트롤러는 상기 지정된 영역 내부의 타겟 영역의 중심 위치와 터치가 이루어진 위치 사이의 거리를 측정할 수 있다.
동작 711에서 터치 컨트롤러는 상기 측정된 거리에 기초하여 햅틱 패턴을 결정할 수 있다.
동작 713에서 터치 컨트롤러는 상기 결정된 햅틱 패턴에 대한 정보를 햅틱 컨트롤러에 전송할 수 있다.
동작 715에서 햅틱 컨트롤러는 터치 이벤트의 수신에 응답하여 액츄에이터를 구동함으로써 햅틱 피드백을 구현할 수 있다.
상기에 따라, 전자 장치는 사용자의 터치가 이루어진 위치에 기초하여 다양한 햅틱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다.
도 8은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가 즉각적인 햅틱 피드백을 제공하는 방법을 나타낸다.
도 8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801a)의 메인 디스플레이(810a) 및 서브 디스플레이(820a)는 프로세서의 동작 모드에 따라 온/오프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가 슬립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에 메인 디스플레이(810a) 및 서브 디스플레이(820a)는 오프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가 슬립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에 상기 메인 디스플레이(810a)에 포함된 일부 화소는 부분적으로 오프되고, 다른 일부의 화소들은 AOD의 구현을 위해 온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다른 일부의 화소들은 디지털 시계를 표현하기 위해 온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가 슬립 모드인 경우, 서브 디스플레이(820a)는 터치를 인식할 수 있는 지정된 영역(예: 도 2b의 211b)이 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상기 지정된 영역인 서브 디스플레이(820a)를 터치 하는 경우 사용자의 터치(8a)가 지정된 터치 패턴(830a)에 대응하면, 전자 장치(801a)는 즉각적인 햅틱 피드백(840a)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가 동작 모드를 슬립 모드로 유지하는 동안에도 전자 장치(801a)는 즉각적인 햅틱 피드백(840a)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801a)에서 사용자의 터치(8a)가 지정된 터치 패턴(830a)에 대응하는 경우 슬립 모드로 동작 중인 프로세서는 인터럽트 신호에 응답하여 동작 모드를 어웨이크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801b)에서 프로세서의 동작 모드가 어웨이크 모드로 전환되면, 프로세서는 사용자의 터치(8a)에 해당하는 지정된 GUI를 디스플레이에 출력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GUI는 전체 디스플레이 영역 중에서 지정된 영역에 출력될 수 있다. 상기 지정된 영역은, 예컨대, 사용자의 터치(8a)가 이루어진 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GUI는 메인 디스플레이(810b)와 구별되고 사용자의 터치(8a)가 이루어진 서브 디스플레이(820b)에 출력 될 수 있다. 이 경우, 메인 디스플레이(810a)는 오프되거나 AOD의 구현을 위해 일부 화소들만 부분적으로 온되는 것으로 유지될 수 있다.
도 9는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가 터치가 이루어진 위치에 기초한 다양한 햅틱 피드백을 제공하는 방법을 나타낸다.
도 9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901)에서 디스플레이(910)는 프로세서의 동작 모드에 따라 온/오프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서 프로세서가 슬립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에 디스플레이(910)는 오프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디스플레이(910)에 포함된 일부 화소는 부분적으로 오프되고, 다른 일부의 화소들은 AOD의 구현을 위해 온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다른 일부의 화소들은 디지털 시계를 표현하기 위해 온될 수 있다. 프로세서가 슬립 모드인 경우, 디스플레이(910)는 사용자의 터치(9)를 인식할 수 있는 지정된 영역(920)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지정된 영역(920)은 디스플레이(910) 영역의 전부 또는 일부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지정된 영역(920)은 타겟 영역(930)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타겟 영역(930)은 터치가 이루어지는 경우 특정한 동작이 수행되는 영역에 해당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특정한 동작은 물리적인 홈 버튼에 대응하는 동작에 해당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서 상기 타겟 영역(930)은 지정된 영역(920)의 전부 또는 일부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901)는, 사용자의 터치(9)가 타겟 영역(930) 내부에서 이루어지면 즉각적인 햅틱 피드백(940)을 제공하고, 사용자의 터치(9)가 타겟 영역(930) 외부에서 이루어지면 햅틱 피드백을 제공하지 않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901)는, 사용자의 터치(9)가 지정된 영역(920)에서 이루어진 경우, 터치가 이루어진 위치와 타겟 영역(930)의 중심 위치 사이의 거리에 기초하여 햅틱 피드백을 다르게 제공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901)는, 사용자의 터치(9)가 제1 위치(950)에서 이루어진 경우 제1 햅틱 피드백(960)을 제공하고 사용자의 터치(9)가 제2 위치(970)에서 이루어진 경우 제2 햅틱 피드백(980)을 제공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서 타겟 영역(930)에 더 가까운 제1 위치(950)에서의 햅틱 피드백(960)이 제2 위치(970)에서의 햅틱 피드백(980)보다 강도가 더 세도록 설정될 수 있다.
도 10은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웨어러블 전자 장치가 즉각적인 햅틱 피드백을 구현하는 방법을 나타낸다.
전자 장치(1001)은 화면을 출력하기 위한 제1 영역(1010) 및 제1 영역(1010)의 둘레에 위치한 제2 영역(1020)을 포함하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로서 스마트 워치, 스마트 밴드 등의 장치일 수 있다. 제1 영역(1010)은 전자 장치의 중앙에 위치한 디스플레이이고, 제2 영역(1020)은 상기 제1 영역(1010)의 둘레를 따라 배치된 베젤 또는 서브 디스플레이에 해당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제2 영역(1020)은 터치 또는 압력을 인식할 수 있는 영역에 해당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영역(1010)의 형태는 다양한 도형이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영역(1010)은 원, 타원, 사각형 등의 형태가 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영역(1010)은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출력하고 사용자에게 다양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으며, 출력되는 화면이 지정된 동작에 의하여 다른 화면으로 전환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제2 영역(1020)을 터치하는 것에 의하여 제1 디스플레이(1010)의 화면이 다른 화면으로 전환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터치는 탭, 더블 탭, 또는 터치 무브 등의 제스처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2 영역(1020)을 제어하는 프로세서는 슬립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서 프로세서가 슬립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사용자가 제2 영역(1020)을 터치 무브함에 따라 전자 장치(1001)는 사용자에게 햅틱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1001)는 사용자가 제2 영역(1020)을 터치 무브하는 각도에 기초하여 햅틱 피드백을 다르게 제공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1001)는, 사용자의 터치(10)가 제1 위치(1030)까지 터치 무브된 경우 제1 햅틱 피드백(1040)을 제공하고, 사용자의 터치(10)가 제2 위치(1050)까지 터치 무브된 경우 제2 햅틱 피드백(1060)을 제공하며, 사용자의 터치(10)가 제3 위치(1070)까지 터치 무브된 경우 제3 햅틱 피드백(1080)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더 길게 터치 무브한 햅틱 피드백의 강도가 더 세도록 설정될 수 있다. 예컨대, 전자 장치(1001)는 제1 햅틱 피드백(1040)보다 제2 햅틱 피드백(1060)이 더 세고, 제2 햅틱 피드백(1060)보다 제3 햅틱 피드백(1080)이 더 세도록 설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터치 컨트롤러와 햅틱 컨트롤러 사이의 통신에 있어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에 의하지 않고 상호간에 직접적으로 신호 전달이 이루어짐으로써 사용자에게 햅틱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다. 그 결과,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는 슬립 모드를 유지할 수 있고, 동작 횟수를 줄임으로써 배터리의 과도한 전력 소모를 예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사용자의 터치가 있는 경우,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에 의해 제어되는 방법에 비하여 신호 전송 체계가 단순화 되기 때문에 더 빠른 응답 속도를 제공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가 슬립 모드로 동작하는 상태에서 사용자의 터치에 대한 햅틱 피드백을 제공하는 경우, 종래에는 사용자의 터치 감지 후 햅틱 피드백의 구현에 앞서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가 동작 모드의 전환이 선행되어갸 했기 때문에 사용자의 터치에 대한 즉각적인 햅틱 피드백이 곤란하였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가 슬립 모드를 유지하는 경우에도 터치 컨트롤러 및 햅틱 컨트롤러 사이의 직접적인 통신이 가능하기 때문에 사용자의 터치에 대한 즉각적인 햅틱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터치를 감지하는 터치 센서, 액츄에이터, 상기 터치 센서로부터 수신한 터치 신호에 기반하여 터치 이벤트를 생성하는 터치 컨트롤러, 및 햅틱 컨트롤러(haptic controller)를 포함하고, 상기 햅틱 컨트롤러는, 상기 터치 컨트롤러와 직접적인 통신에 의하여 상기 터치 컨트롤러로부터 생성된 터치 이벤트를 수신하고, 상기 터치 이벤트의 수신에 응답하여 상기 액츄에이터를 구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터치 컨트롤러 및 상기 햅틱 컨트롤러는 단일의 IC의 적어도 일부로 포함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전자 장치는 슬립 모드 및 어웨이크 모드를 지원하는 프로세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터치 컨트롤러는 상기 터치 신호로부터 획득되는 상기 터치의 패턴이 지정된 패턴에 대응되면, 상기 슬립 모드로 동작하는 프로세서가 어웨이크 모드로 전환되도록 터치 이벤트를 상기 프로세서에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터치 센서와 결합되는 디스플레이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터치 컨트롤러로부터 수신한 터치 이벤트에 적어도 기반하여 지정된 GUI를 상기 디스플레이에 출력하도록 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GUI를 상기 디스플레이의 전체 영역 중 상기 터치가 이루어진 위치를 포함하는 지정된 영역에 출력하도록 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터치 컨트롤러는 상기 터치 신호로부터 획득되는 상기 터치의 패턴에 기초하여 복수 개의 햅틱 패턴 중 어느 하나를 결정할 수 있다. 터치 컨트롤러는 상기 결정된 햅틱 패턴과 관련된 정보를 상기 햅틱 컨트롤러에 전송하고, 상기 햅틱 컨트롤러는 상기 터치 이벤트를 수신함에 적어도 기반하여 상기 결정된 햅틱 패턴에 따라 상기 액츄에이터를 구동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터치 컨트롤러는 하드웨어 가속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하드웨어 가속기는 상기 터치가 이루어진 위치를 산출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터치 컨트롤러는 상기 터치 신호가 지정된 터치 패턴에 대응되는지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터치 컨트롤러는 상기 터치 신호가 적어도 하나의 지정된 영역에서 감지되는 터치에 대응하는지 판단하고, 상기 터치 신호가 상기 지정된 영역에서 이루어진 터치에 대응하는지 여부에 따라 복수개의 햅틱 패턴 중 어느 하나를 결정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서 상기 터치 컨트롤러는 상기 결정된 햅틱 패턴과 관련된 정보를 상기 햅틱 컨트롤러에 전송할 수 있고 상기 햅틱 컨트롤러는 터치 이벤트를 수신함에 응답하여 상기 결정된 햅틱 패턴에 따라 상기 액츄에이터를 구동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터치 컨트롤러는 지정된 영역의 중심 위치와 상기 터치가 이루어진 위치 사이의 거리에 기초하여 복수개의 햅틱 패턴 중 어느 하나를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지정된 터치 패턴은 탭, 더블 탭, 또는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로 터치 무브하는 제스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전자 장치는 터치의 압력을 측정하는 압력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터치 컨트롤러는 상기 측정된 압력이 지정된 값 이상인 경우, 상기 터치 신호에 기반하여 터치 이벤트를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슬립 모드 및 어웨이크 모드를 지원하고, 상기 슬립 모드로 동작하는 제1 프로세서, 터치를 감지하는 터치 센서, 상기 터치 센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제2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터치 컨트롤러, 액츄에이터 및 상기 액츄에이터를 구동하기 위한 햅틱 컨트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프로세서는, 상기 터치 센서로부터 수신한 터치 신호에 기반하여 터치 이벤트를 상기 햅틱 컨트롤러에 전송하고, 상기 햅틱 컨트롤러는 상기 터치 이벤트를 수신함에 응답하여 상기 액츄에이터를 구동하고, 상기 제2프로세서는, 상기 제1 프로세서가 상기 어웨이크 모드로 동작하도록 상기 제1 프로세서에 터치 이벤트를 전송하도록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 예들 및 이에 사용된 용어들은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해당 실시 예의 다양한 변경, 균등물, 및/또는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A 또는 B", "A 및/또는 B 중 적어도 하나", "A, B 또는 C" 또는 "A, B 및/또는 C 중 적어도 하나" 등의 표현은 함께 나열된 항목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제2," "첫째," 또는 "둘째,"등의 표현들은 해당 구성요소들을, 순서 또는 중요도에 상관없이 수식할 수 있고, 한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뿐 해당 구성요소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어떤(예: 제1) 구성요소가 다른(예: 제2) 구성요소에 "(기능적으로 또는 통신적으로)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다른 구성요소(예: 제 3 구성요소)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하도록 설정된(adapted to or configured to)"은 상황에 따라, 예를 들면, 하드웨어적 또는 소프트웨어적으로 "~에 적합한," "~하는 능력을 가지는," "~하도록 변경된," "~하도록 만들어진," "~를 할 수 있는," 또는 "~하도록 설계된"과 상호 호환적으로(interchangeably) 사용될 수 있다. 어떤 상황에서는, "~하도록 구성된 장치"라는 표현은, 그 장치가 다른 장치 또는 부품들과 함께 "~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문구 "A, B, 및 C를 수행하도록 설정된 (또는 구성된) 프로세서"는 해당 동작들을 수행하기 위한 전용 프로세서(예: 임베디드 프로세서), 또는 메모리 장치(예: 메모리 130)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들을 실행함으로써, 해당 동작들을 수행할 수 있는 범용 프로세서(예: CPU 또는 AP)를 의미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용어 "모듈"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firmware)로 구성된 유닛(unit)을 포함하며, 예를 들면, 로직, 논리 블록, 부품, 또는 회로 등의 용어와 상호 호환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모듈"은, 일체로 구성된 부품 또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는 최소 단위 또는 그 일부가 될 수 있다. "모듈"은 기계적으로 또는 전자적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어떤 동작들을 수행하는, 알려졌거나 앞으로 개발될,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 칩, FPGAs(field-programmable gate arrays), 또는 프로그램 가능 논리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장치(예: 모듈들 또는 그 기능들) 또는 방법(예: 동작들)의 적어도 일부는 프로그램 모듈의 형태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예: 메모리(130))에 저장된 명령어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명령어가 프로세서(예: 프로세서(120))에 의해 실행될 경우, 프로세서가 상기 명령어에 해당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하드디스크, 플로피디스크, 마그네틱 매체(예: 자기테이프), 광기록 매체(예: CD-ROM, DVD, 자기-광 매체(예: 플롭티컬 디스크), 내장 메모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명령어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코드 또는 인터프리터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구성 요소(예: 모듈 또는 프로그램 모듈) 각각은 단수 또는 복수의 개체로 구성될 수 있으며, 전술한 해당 서브 구성 요소들 중 일부 서브 구성 요소가 생략되거나, 또는 다른 서브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대체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일부 구성 요소들(예: 모듈 또는 프로그램 모듈)은 하나의 개체로 통합되어, 통합되기 이전의 각각의 해당 구성 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기능을 동일 또는 유사하게 수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모듈, 프로그램 모듈 또는 다른 구성 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들은 순차적, 병렬적, 반복적 또는 휴리스틱(heuristic)하게 실행되거나, 적어도 일부 동작이 다른 순서로 실행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다른 동작이 추가될 수 있다.

Claims (20)

  1. 전자 장치에 있어서,
    터치를 감지하는 터치 센서;
    액츄에이터(actuator);
    상기 터치 센서로부터 수신한 터치 신호에 기반하여 터치 이벤트를 생성하는 터치 컨트롤러; 및
    햅틱 컨트롤러(haptic controller)를 포함하고, 상기 햅틱 컨트롤러는,
    상기 터치 컨트롤러와 직접적인 통신에 의하여 상기 터치 컨트롤러로부터 생성된 터치 이벤트를 수신하고,
    상기 터치 이벤트의 수신에 응답하여 상기 액츄에이터를 구동하는, 전자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터치 컨트롤러 및 상기 햅틱 컨트롤러는 단일의 IC(integrated circuit)의 적어도 일부로 포함되는, 전자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슬립 모드(sleep mode) 및 어웨이크 모드(awake mode)를 지원하는 프로세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터치 컨트롤러는 상기 터치 신호로부터 획득되는 상기 터치의 패턴이 지정된 패턴에 대응되면, 상기 슬립 모드로 동작하는 프로세서가 어웨이크 모드로 전환되도록 터치 이벤트를 상기 프로세서에 전송하는, 전자 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터치 센서와 결합되는 디스플레이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터치 컨트롤러로부터 수신한 터치 이벤트에 적어도 기반하여 지정된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상기 디스플레이에 출력하도록 하는, 전자 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GUI를 상기 디스플레이의 전체 영역 중 상기 터치가 이루어진 위치를 포함하는 지정된 영역에 출력하도록 하는, 전자 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터치 컨트롤러는, 상기 터치 신호로부터 획득되는 상기 터치의 패턴에 기초하여 복수 개의 햅틱 패턴 중 어느 하나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햅틱 패턴과 관련된 정보를 상기 햅틱 컨트롤러에 전송하며,
    상기 햅틱 컨트롤러는, 상기 터치 이벤트를 수신함에 적어도 기반하여 상기 결정된 햅틱 패턴에 따라 상기 액츄에이터를 구동하는 전자 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터치 컨트롤러는 하드웨어 가속기(hardware accelerator)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하드웨어 가속기는 상기 터치가 이루어진 위치를 산출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터치 컨트롤러는 상기 터치 신호로부터 획득되는 상기 터치의 패턴이 지정된 터치 패턴에 대응되는지 판단하는, 전자 장치.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터치 컨트롤러는,
    상기 터치 신호가 적어도 하나의 지정된 영역에서 감지되는 터치에 대응하는지 판단하고,
    상기 터치 신호가 상기 지정된 영역에서 이루어진 터치에 대응하는지 여부에 따라 복수개의 햅틱 패턴 중 어느 하나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햅틱 패턴과 관련된 정보를 상기 햅틱 컨트롤러에 전송하며,
    상기 햅틱 컨트롤러는 상기 터치 이벤트를 수신함에 응답하여 상기 결정된 햅틱 패턴에 따라 상기 액츄에이터를 구동하는, 전자 장치.
  10.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터치 컨트롤러는 지정된 영역의 중심 위치와 상기 터치가 이루어진 위치 사이의 거리에 기초하여 복수개의 햅틱 패턴 중 어느 하나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햅틱 패턴과 관련된 정보를 상기 햅틱 컨트롤러에 전송하며,
    상기 햅틱 컨트롤러는 상기 터치 이벤트를 수신함에 응답하여 상기 결정된 햅틱 패턴에 따라 상기 액츄에이터를 구동하는, 전자 장치.
  11.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지정된 터치 패턴은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로 터치 무브(touch move)하는 제스처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12.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지정된 터치 패턴은 탭(tap) 또는 더블 탭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1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터치의 압력을 측정하는 압력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터치 컨트롤러는 상기 측정된 압력이 지정된 값 이상인 경우, 상기 터치 신호에 기반하여 터치 이벤트를 생성하는, 전자 장치.
  14. 전자 장치에 있어서,
    슬립 모드(sleep mode) 및 어웨이크 모드(awake mode)를 지원하고, 상기 슬립 모드로 동작하는 제1 프로세서;
    터치를 감지하는 터치 센서;
    상기 터치 센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제2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터치 컨트롤러;
    액츄에이터(actuator); 및
    상기 액츄에이터를 구동하기 위한 햅틱 컨트롤러(haptic controller);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프로세서는, 상기 터치 센서로부터 수신한 터치 신호에 기반하여 터치 이벤트를 상기 햅틱 컨트롤러에 전송하고,
    상기 햅틱 컨트롤러는 상기 터치 이벤트를 수신함에 응답하여 상기 액츄에이터를 구동하고,
    상기 제2프로세서는, 상기 제1 프로세서가 상기 어웨이크 모드로 동작하도록 상기 제1 프로세서에 터치 이벤트를 전송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15. 전자 장치의 햅틱 피드백(haptic feedback) 제공 방법에 있어서,
    터치를 감지하는 동작;
    터치 센서로부터 수신한 터치 신호에 기반하여 터치 컨트롤러가 터치 이벤트를 생성하는 동작;
    햅틱 컨트롤러(haptic controller)가 상기 터치 컨트롤러와 직접적인 통신에 의하여 상기 터치 컨트롤러로부터 생성된 터치 이벤트를 수신하고, 상기 터치 이벤트를 수신함에 응답하여 액츄에이터(actuator)를 구동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방법.
  16.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터치 신호로부터 획득되는 상기 터치의 패턴이 지정된 패턴에 대응되면, 슬립 모드(sleep mode)로 동작하는 프로세서가 어웨이크 모드(awake mode)로 전환되도록 상기 터치 컨트롤러가 터치 이벤트를 상기 프로세서에 전송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방법.
  17.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터치 컨트롤러로부터 수신한 터치 이벤트에 적어도 기반하여 지정된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디스플레이에 출력하도록 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방법.
  18.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터치 컨트롤러가 상기 터치 신호로부터 획득되는 상기 터치의 패턴에 기초하여 복수 개의 햅틱 패턴 중 어느 하나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햅틱 패턴과 관련된 정보를 상기 햅틱 컨트롤러에 전송하는 동작; 및
    상기 햅틱 컨트롤러가 상기 터치 이벤트를 수신함에 적어도 기반하여 상기 결정된 햅틱 패턴에 따라 상기 액츄에이터를 구동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방법.
  19.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터치 컨트롤러 내부에 존재하는 하드웨어 가속기(hardware accellerator)가 상기 터치가 이루어진 위치를 산출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방법.
  20.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터치 신호로부터 획득되는 상기 터치의 패턴이 지정된 터치 패턴에 대응되는지 판단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방법.
KR1020170058415A 2017-05-11 2017-05-11 햅틱 피드백을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전자 장치 KR1023890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8415A KR102389063B1 (ko) 2017-05-11 2017-05-11 햅틱 피드백을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전자 장치
EP18798430.7A EP3605278B1 (en) 2017-05-11 2018-05-10 Method for providing haptic feedback, and electronic device for performing same
PCT/KR2018/005360 WO2018208093A1 (ko) 2017-05-11 2018-05-10 햅틱 피드백을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전자 장치
US16/611,710 US11204645B2 (en) 2017-05-11 2018-05-10 Method for providing haptic feedback, and electronic device for performing same
CN201880031147.3A CN110622108B (zh) 2017-05-11 2018-05-10 提供触觉反馈的方法以及执行该方法的电子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8415A KR102389063B1 (ko) 2017-05-11 2017-05-11 햅틱 피드백을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전자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24235A true KR20180124235A (ko) 2018-11-21
KR102389063B1 KR102389063B1 (ko) 2022-04-22

Family

ID=641048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58415A KR102389063B1 (ko) 2017-05-11 2017-05-11 햅틱 피드백을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전자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1204645B2 (ko)
EP (1) EP3605278B1 (ko)
KR (1) KR102389063B1 (ko)
CN (1) CN110622108B (ko)
WO (1) WO2018208093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294496B2 (en) 2019-08-05 2022-04-05 Samsung Electronics Co., Ltd Operation method based on touch input and electronic device thereof
US11442545B2 (en) 2019-06-19 2022-09-13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having vibration electrodes in vibration area and method of driving the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272919B (zh) * 2018-11-16 2022-06-17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像素驱动电路、显示基板、终端及其驱动方法
KR20200143609A (ko) * 2019-06-14 2020-12-2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CN115033091B (zh) * 2021-03-03 2023-08-11 上海艾为电子技术股份有限公司 一种降低手持移动设备功耗的方法及装置
CN116917852A (zh) * 2022-02-17 2023-10-20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电子设备和操作电子设备的方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080349A1 (en) * 2009-10-02 2011-04-07 Research In Motion Limited Method of waking up and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configured to perform the same
US20110260990A1 (en) * 2010-04-22 2011-10-27 Maxim Integrated Products, Inc. System integration of tactile feedback and touchscreen controller for near-zero latency haptics playout
KR20140051590A (ko) * 2012-10-23 2014-05-02 삼성전자주식회사 터치 디바이스의 ui 표시방법 및 장치
KR20160046401A (ko) * 2014-10-20 2016-04-29 삼성전자주식회사 보안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US20160266679A1 (en) * 2015-03-10 2016-09-15 Apple Inc. Multi-chip touch architecture for scalability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11861B1 (en) 1998-06-23 2001-04-03 Immersion Corporation Tactile mouse device
US6429846B2 (en) * 1998-06-23 2002-08-06 Immersion Corporation Haptic feedback for touchpads and other touch controls
JP5823962B2 (ja) 2009-07-22 2015-11-25 イマージョン コーポレーションImmersion Corporation 操作ジェスチャの入力中に,及び,仮想装置の操作に関連して,複雑な触覚刺激を提供するシステム及び方法
KR101672212B1 (ko) * 2010-06-15 2016-11-04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방법
KR101328348B1 (ko) * 2011-11-04 2013-11-11 삼성전기주식회사 접촉 감지 장치 및 그 운영 방법
KR102091077B1 (ko) 2012-12-14 2020-04-14 삼성전자주식회사 입력 유닛의 피드백을 제어하는 휴대 단말 및 방법과, 이를 제공하는 상기 입력 유닛 및 방법
KR101444091B1 (ko) 2013-08-06 2014-09-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
KR20150068175A (ko) 2013-12-11 2015-06-19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의 동작 방법
KR102223277B1 (ko) * 2014-01-06 2021-03-05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
CN103995665A (zh) * 2014-04-14 2014-08-20 深圳市汇顶科技股份有限公司 移动终端及其在待机状态进入应用程序的实现方法、系统
WO2017035794A1 (zh) * 2015-09-01 2017-03-09 华为技术有限公司 显示器操作的方法、装置、用户界面及存储介质
US9898903B2 (en) * 2016-03-07 2018-02-20 Immersion Corpor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haptic surface elements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080349A1 (en) * 2009-10-02 2011-04-07 Research In Motion Limited Method of waking up and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configured to perform the same
US20110260990A1 (en) * 2010-04-22 2011-10-27 Maxim Integrated Products, Inc. System integration of tactile feedback and touchscreen controller for near-zero latency haptics playout
KR20140051590A (ko) * 2012-10-23 2014-05-02 삼성전자주식회사 터치 디바이스의 ui 표시방법 및 장치
KR20160046401A (ko) * 2014-10-20 2016-04-29 삼성전자주식회사 보안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US20160266679A1 (en) * 2015-03-10 2016-09-15 Apple Inc. Multi-chip touch architecture for scalability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442545B2 (en) 2019-06-19 2022-09-13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having vibration electrodes in vibration area and method of driving the same
US11294496B2 (en) 2019-08-05 2022-04-05 Samsung Electronics Co., Ltd Operation method based on touch input and electronic device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0622108B (zh) 2022-06-07
US20210141454A1 (en) 2021-05-13
US11204645B2 (en) 2021-12-21
KR102389063B1 (ko) 2022-04-22
EP3605278A4 (en) 2020-04-15
EP3605278A1 (en) 2020-02-05
CN110622108A (zh) 2019-12-27
WO2018208093A1 (ko) 2018-11-15
EP3605278B1 (en) 2023-1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55957B2 (en) Electronic device for variably displaying display position of object on expansion area of display and method of displaying
CN110622108B (zh) 提供触觉反馈的方法以及执行该方法的电子装置
EP3293723A1 (en) Method, storage medium, and electronic device for displaying images
KR20180097384A (ko)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 제어 방법
CN105610471B (zh) 无线数据输入和输出方法和设备
KR20180090503A (ko) 지문 센서를 제어하기 위한 장치 및 그 방법
KR20170053280A (ko) 복수의 전자장치 사이에서 가상 객체를 표시하는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KR20170054944A (ko) 무선 전력 송수신을 제어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KR102386480B1 (ko) 전자 기기의 입력 식별 방법 및 장치
KR102324964B1 (ko) 외부 입력 장치의 입력을 처리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CN110036363B (zh) 调整屏幕尺寸的方法及用于其的电子装置
KR102656528B1 (ko) 전자 장치, 외부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와 외부 전자 장치를 연결하기 위한 방법
KR102365678B1 (ko) 외부 장치를 이용한 화면 출력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KR102504308B1 (ko) 디스플레이의 밝기를 제어하는 방법, 전자 장치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CN105892572B (zh) 用于显示内容的方法和装置
KR20180089085A (ko) 어플리케이션을 전환하기 위한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KR20170119963A (ko) 커버 장치와 상기 커버 장치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20190130770A (ko) Vr/ar 콘텐트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KR20180065727A (ko) 객체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KR20180014614A (ko)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터치 이벤트 처리 방법
EP3338167B1 (en) Electronic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210085696A (ko) 전자 장치의 움직임을 결정하는 방법 및 이를 사용하는 전자 장치
KR20180014575A (ko)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
KR20200017292A (ko) 음성 인식 방법 및 그 방법을 지원하는 전자 장치
EP2991371B1 (en) Audio data processing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support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