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23277B1 -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23277B1
KR102223277B1 KR1020140001434A KR20140001434A KR102223277B1 KR 102223277 B1 KR102223277 B1 KR 102223277B1 KR 1020140001434 A KR1020140001434 A KR 1020140001434A KR 20140001434 A KR20140001434 A KR 20140001434A KR 102223277 B1 KR102223277 B1 KR 1022232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unit
tap
state
screen
mobile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014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81692A (ko
Inventor
윤성영
박정민
남궁설
이지은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014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23277B1/ko
Priority to EP14004435.5A priority patent/EP2891969A1/en
Priority to US14/589,810 priority patent/US9807694B2/en
Priority to CN201510005361.XA priority patent/CN104767874B/zh
Publication of KR201500816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816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232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232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51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local events, e.g. events related to user activity
    • H04W52/0254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local events, e.g. events related to user activity detecting a user operation or a tactile contact or a motion of the devi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06F1/3206Monitoring of events, devices or parameters that trigger a change in power modality
    • G06F1/3215Monitoring of peripheral devices
    • G06F1/3218Monitoring of peripheral devices of display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06F1/3206Monitoring of events, devices or parameters that trigger a change in power modality
    • G06F1/3231Monitoring the presence, absence or movement of us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06F1/3234Power saving characterised by the action undertaken
    • G06F1/325Power saving in peripheral device
    • G06F1/3262Power saving in digitizer or table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06F1/3234Power saving characterised by the action undertaken
    • G06F1/325Power saving in peripheral device
    • G06F1/3265Power saving in display devi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06F1/3234Power saving characterised by the action undertaken
    • G06F1/3287Power saving characterised by the action undertaken by switching off individual functional units in the computer syste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6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with means for preventing unauthorised or fraudulent calling
    • H04M1/667Preventing unauthorised calls from a telephone set
    • H04M1/67Preventing unauthorised calls from a telephone set by electronic mea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48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 H04M1/7245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according to context-related or environment-related condi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48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 H04M1/7246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to restrict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 H04M1/724631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to restrict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by limiting the access to the user interface, e.g. locking a touch-screen or a keypad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30/00Aspects of power supply; Aspects of display protection and defect management
    • G09G2330/02Details of power systems and of start or stop of display operation
    • G09G2330/021Power management, e.g. power saving
    • G09G2330/022Power management, e.g. power saving in absence of operation, e.g. no data being entered during a predetermined tim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2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touch pad, a touch sensor or a touch detect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10/00Energy efficient computing, e.g. low power processors, power management or thermal managem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부가 활성화된 상태에서 소정 시간 동안 사용자 입력이 인가되지 않으면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비활성화된 상태로 전환하는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단말기 본체, 상기 본체를 두드리는 탭(tap)을 감지하는 감지부, 상기 본체의 전면에 배치되고, 제1 활성화 상태에서 화면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제1 활성화 상태에서 소정 시간 동안 사용자 입력이 인가되지 않으면,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활성화 상태에서 비활성화 상태로 전환하는 자동 잠금 기능을 실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자동 잠금 기능이 실행된 후 기준시간 이내에 상기 본체에 기 설정된 조건에 대응되는 탭이 감지되면,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2 활성화 상태로 전환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상기 제1 활성화 상태에서 표시된 화면정보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이로써, 사용자는 물체를 두드리는 간단한 제스처로 자동 잠금 기능이 실행되기 직전에 표시되던 화면을 다시 이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FOR THE MOBILE TERMINAL}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부가 활성화된 상태에서 소정 시간 동안 사용자 입력이 인가되지 않으면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비활성화된 상태로 전환하는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단말기(terminal)는 이동 가능 여부에 따라 이동 단말기(mobile/portable terminal) 및 고정 단말기(stationary terminal)로 나뉠 수 있다. 다시 이동 단말기는 사용자의 직접 휴대 가능 여부에 따라 휴대(형) 단말기(handheld terminal) 및 거치형 단말기(vehicle mount terminal)로 나뉠 수 있다.
이와 같은 단말기는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예를 들어,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음악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생, 게임, 방송 수신 등의 복합적인 기능들을 갖춘 멀티미디어 기기(multimedia player)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
이러한 단말기의 기능 지지 및 증대를 위해, 단말기의 구조적인 부분 및/또는 소프트웨어적인 부분을 개량하는 것이 고려되고 있다.
나아가, 단말기의 기능을 디스플레이부가 비활성화된 상태에서도 단말기에 대한 간단한 조작을 통해 간편하게 제어할 수 있는 새로운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고 있다.
본 발명의 일 목적은 제어명령이 소정 시간 동안 사용자로부터 인가되지 않으면 실행되는 자동 잠금 기능을 간단하게 취소할 수 있는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목적은 상기 자동 잠금 기능과 관련된 설정 값을 변경하는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목적은 비활성화된 디스플레이부에 물체를 두드리는 탭(tap)을 인가하여 단말기를 제어할 수 있는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부가 활성화된 상태에서 소정 시간 동안 사용자 입력이 인가되지 않으면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비활성화된 상태로 전환하는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단말기 본체, 상기 본체를 두드리는 탭(tap) 및 터치 중 적어도 하나를 감지하는 감지부, 상기 본체의 전면에 배치되고, 제1 활성화 상태에서 화면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제1 활성화 상태에서 소정 시간 동안 제어명령이 사용자로부터 인가되지 않으면,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활성화 상태에서 비활성화 상태로 전환하는 자동 잠금 기능을 실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자동 잠금 기능이 실행된 후 기준시간 이내에 상기 적어도 하나에 의해 형성되며 기 설정된 조건에 대응되는 사용자 입력이 감지되면,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2 활성화 상태로 전환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상기 제1 활성화 상태에서 표시된 화면정보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된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제2 활성화 상태와 관련된 활성화 시간을 설정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상기 제2 활성화 상태로 전환된 후 상기 활성화 시간 동안 제어명령이 사용자로부터 인가되지 않으면,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비활성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기 설정된 조건에 대응되는 사용자 입력은, 상기 본체를 제1 기준 횟수만큼 두드리는 제1 탭, 및 상기 제1 탭이 가해진 후 기 설정된 시간 이내에 상기 본체를 제2 기준 횟수만큼 두드리는 제2 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활성화 시간은, 상기 감지된 사용자 입력에 포함된 탭의 횟수 및 세기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가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된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시각적, 촉각적 및 청각적 방식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활성화 시간을 안내하는 가이드 정보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이동 단말기는, 상기 본체의 일 면에 배치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끄거나 켜도록 형성되는 버튼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된 사용자 입력에 포함된 탭의 횟수가 기 설정된 횟수보다 많으면, 상기 자동 잠금 기능을 비활성화하며, 상기 버튼부가 가압되기 전까지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상기 제2 활성화 상태로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된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활성화 시간을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을 수 있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된 화면정보 상에 상기 활성화 시간의 입력과 관련된 그래픽 객체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그래픽 객체가 표시된 상태에서, 제1 지점에서 감지된 터치가 제2 지점으로 연속적으로 이동하면, 상기 감지된 터치의 이동 거리에 근거하여 상기 활성화 시간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그래픽 객체가 표시되는 위치는, 상기 제1 지점의 위치에 따라 달라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된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된 화면정보 상에 바로가기 아이콘을 표시하며, 상기 바로가기 아이콘은 상기 바로가기 아이콘에 대응되는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바로가기 아이콘의 종류는 상기 제1 활성화 상태에서 실행된 애플리케이션의 종류에 따라 달라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본체를 두드리는 탭이 가해지는 대상 지점은 상기 본체 및 상기 본체를 벗어난 지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상기 비활성화 상태로 전환된 후 기준시간 이내에 상기 본체에 상기 기 설정된 조건과 불일치 하는 사용자 입력이 감지되면, 사용자에 의한 제어명령의 수신이 제한되는 잠금상태를 해제하기 위한 암호정보를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을 수 있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2 활성화 상태로 전환하고, 상기 암호정보의 입력과 관련된 잠금화면을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비활성화 상태에서 상기 제2 활성화 상태로 전환시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화면정보는 상기 자동 잠금 기능이 실행되기 직전에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된 화면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제어방법은, 본체의 전면에 배치되는 디스플레이부가 활성화된 제1 활성화 상태에서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화면정보를 표시하는 단계, 상기 제1 활성화 상태에서 소정 시간 동안 제어명령이 사용자로부터 인가되지 않으면,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활성화 상태에서 비활성화 상태로 전환하는 자동 잠금 기능을 실행하는 단계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상기 비활성화 상태로 전환된 후 기준시간 이내에 상기 본체를 두드리는 탭 및 터치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여 형성되며 기 설정된 조건에 대응되는 사용자 입력이 감지되면,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2 활성화 상태로 전환하고, 상기 제1 활성화 상태에서 표시된 화면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이동 단말기의 제어방법은, 상기 감지된 사용자 입력에 근거하여 상기 제2 활성화 상태와 관련된 활성화 시간을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상기 제2 활성화 상태로 전환된 후 상기 활성화 시간 동안 제어명령이 사용자로부터 인가되지 않으면,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비활성화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이동 단말기의 제어방법은, 상기 감지된 탭에 응답하여, 시각적, 촉각적 및 청각적 방식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활성화 시간을 안내하는 가이드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기 설정된 조건에 대응되는 탭은, 상기 본체를 제1 기준 횟수만큼 두드리는 제1 탭, 및 상기 제1 탭이 가해진 후 기 설정된 시간 이내에 상기 본체를 제2 기준 횟수만큼 두드리는 제2 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이동 단말기의 제어방법은, 상기 감지된 탭에 응답하여 상기 활성화 시간을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을 수 있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된 화면정보 상에 상기 활성화 시간의 입력과 관련된 그래픽 객체를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그래픽 객체가 표시된 상태에서, 상기 제2 탭에 대응하는 터치가 제1 지점에서 제2 지점으로 연속적으로 이동하면, 상기 터치의 이동 거리에 근거하여 상기 활성화 시간을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는, 단말기 본체, 상기 본체를 두드리는 탭(tap) 및 터치 중 적어도 하나를 감지하는 감지부, 상기 본체의 전면에 배치되고, 활성화 상태에서 화면정보를 제1 밝기로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활성화 상태에서 활성화 시간 동안 제어명령이 사용자로부터 인가되지 않으면, 상기 화면정보의 밝기를 상기 제1 밝기와 다른 제2 밝기로 조절하고, 상기 화면정보가 상기 제2 밝기로 표시되는 중에 상기 적어도 하나에 의하여 형성되며 기 설정된 조건에 대응하는 사용자 입력이 감지되면, 상기 화면정보의 밝기를 상기 제1 밝기로 전환하며, 상기 감지된 사용자 입력에 근거하여 상기 활성화 시간을 재설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는 디스플레이부가 활성화된 상태에서 소정시간 동안 사용자 입력이 인가되지 않으면,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비활성화 상태로 전환하는 자동 잠금 기능을 실행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는 상기 자동 잠금 기능이 실행된 후 기준시간 내에 기 설정된 조건에 해당하는 탭이 감지되면,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활성화하고, 상기 자동 잠금 기능이 실행되기 직전에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던 화면정보를 표시한다. 이로써, 사용자는 물체를 두드리는 간단한 제스처로 자동 잠금 기능이 실행되기 직전에 표시되던 화면을 다시 이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를 나타내는 블록도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가 동작 가능한 통신 시스템의 개념도
도 3a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일 예를 전면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3b는 도 3a에 도시된 이동 단말기의 후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도 5a, 도 5b, 도 5c 및 도 5d는 도 4에 도시된 제어방법을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자동 잠금 기능의 실행 중에 탭에 근거하여 상기 자동 잠금 기능을 취소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탭에 의하여 디스플레이부가 활성화된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화면정보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도 8a, 도 8b, 도 8c 및 도 9a 및 도 9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탭의 특성에 따라 활성화 상태와 관련된 설정 값을 다르게 설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도 10a 및 도 10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특정 위치에 탭이 감지되는 경우 활성화 상태와 관련된 설정 값을 다르게 설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도 11a 및 도 1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잘못된 탭이 인가된 경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화면정보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도 12a, 도 12b 및 도 12c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디스플레이부를 활성화 상태로 유지하기 위한 활성화 시간을 설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사용자 입력에 근거하여 잠금상태의 단계를 조절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도 14a, 도 14b, 도 14c, 도 15a 및 도 1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사용자 입력에 의하여 선택된 콘텐츠를 잠금화면에 추가하고, 잠금화면에 표시되는 콘텐츠를 실시간으로 업데이트 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실행되는 스크린 프리즈(screen freeze)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됨을 유의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이동 단말기에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슬레이트 PC(slate PC), 태블릿 PC(tablet PC), 울트라북(ultrabook)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에 따른 구성은 이동 단말기에만 적용 가능한 경우를 제외하면, 디지털 TV, 데스크탑 컴퓨터 등과 같은 고정 단말기에도 적용될 수도 있음을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상기 이동 단말기(100)는 무선 통신부(110), A/V(Audio/Video) 입력부(120), 사용자 입력부(130), 센싱부(140), 출력부(150), 메모리(160), 인터페이스부(170), 제어부(180) 및 전원 공급부(19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그보다 많은 구성요소들을 갖거나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들을 갖는 이동 단말기가 구현될 수도 있다.
이하, 상기 구성요소들에 대해 차례로 살펴본다.
무선 통신부(110)는 이동 단말기(1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또는 이동 단말기(100)와 이동 단말기(100)가 위치한 네트워크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부(110)는 방송 수신 모듈(111), 이동통신 모듈(112), 무선 인터넷 모듈(113), 근거리 통신 모듈(114) 및 위치정보 모듈(115)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방송 수신 모듈(111)은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의 방송 관리 서버로부터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된 정보를 수신한다.
상기 방송 채널은 위성 채널, 지상파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리 서버는,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생성하여 송신하는 서버 또는 기 생성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제공받아 단말기에 송신하는 서버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방송 신호는, TV 방송 신호, 라디오 방송 신호, 데이터 방송 신호를 포함할 뿐만 아니라, TV 방송 신호 또는 라디오 방송 신호에 데이터 방송 신호가 결합한 형태의 방송 신호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방송 채널, 방송 프로그램 또는 방송 서비스 제공자에 관련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이동통신망을 통하여도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상기 이동통신 모듈(112)에 의해 수신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다양한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의 EPG(Electronic Program Guide) 또는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의 ESG(Electronic Service Guide) 등의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상기 방송 수신 모듈(111)은, 예를 들어, DMB-T(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Terrestrial), DMB-S(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Satellite), MediaFLO(Media Forward Link Only),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 ISDB-T(Integrated Services Digital Broadcast-Terrestrial) 등의 디지털 방송 시스템을 이용하여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물론, 상기 방송 수신 모듈(111)은, 상술한 디지털 방송 시스템뿐만 아니라 다른 방송 시스템에 적합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방송 수신 모듈(111)을 통해 수신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는 메모리(160)에 저장될 수 있다.
이동통신 모듈(112)은,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상기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동통신 모듈(112)은 화상통화모드 및 음성통화모드를 구현하도록 이루어진다. 화상통화모드는 상대방의 영상을 보면서 통화하는 상태를 지칭하고, 음성통화모드는 상대방의 영상을 보지 않으면서 통화를 하는 상태를 지칭한다. 화상통화모드 및 음성통화모드를 구현하기 위하여 이동통신 모듈(112)은 음성 및 영상 중 적어도 하나를 송수신하도록 형성된다.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이동 단말기(100)에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WLAN(Wireless LAN), WiFi(Wireless Fidelity) Direct, DLNA(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이 이용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114)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을 말한다.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 기술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WB(Ultra Wideband), ZigBee,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위치정보 모듈(115)은 이동 단말기의 위치를 획득하기 위한 모듈로서, 그의 대표적인 예로는 GPS(Global Position System) 모듈 또는 WiFi(Wireless Fidelity) 모듈이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A/V(Audio/Video) 입력부(12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것으로, 여기에는 카메라(121)와 마이크(122)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카메라는(121)는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될 수 있다.
카메라(121)에서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메모리(160)에 저장되거나 무선 통신부(110)를 통하여 외부 기기로 전송될 수 있다. 또한, 카메라(121)에서 획득되는 화상 프레임으로부터 사용자의 위치 정보 등이 산출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사용 환경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도 있다.
마이크(122)는 통화모드 또는 녹음모드, 음성인식 모드 등에서 마이크로폰(Microphone)에 의해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통화모드인 경우 이동통신 모듈(112)을 통하여 이동통신 기지국으로 송신 가능한 형태로 변환되어 출력될 수 있다. 마이크(122)에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 받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잡음(noise)을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사용자로부터 인가되는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명령에 따른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 (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정전),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감지부(또는 센싱부, 140)는 이동 단말기(100)의 개폐 상태, 이동 단말기(100)의 위치, 사용자 접촉 유무, 이동 단말기의 방위, 이동 단말기의 가속/감속 등과 같이 이동 단말기(100)의 현 상태를 감지하여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감지 신호 (또는 센싱 신호)를 발생시킨다. 예를 들어 감지부(140)는 이동 단말기(100)가 슬라이드 폰 형태인 경우 슬라이드 폰의 개폐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또한, 감지부(140)는 전원 공급부(190)의 전원 공급 여부, 인터페이스부(170)의 외부 기기 결합 여부 등을 감지할 수도 있다.
출력부(150)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이에는 디스플레이부(151), 음향 출력 모듈(153), 알람부(154) 및 햅틱 모듈(155)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출력)한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가 통화 모드인 경우 통화와 관련된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한다. 이동 단말기(100)가 화상 통화 모드 또는 촬영 모드인 경우에 디스플레이부(151)는 촬영 또는/및 수신된 영상 또는 UI, GUI를 표시한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전자잉크 디스플레이(e-ink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들 중 일부 디스플레이는 그를 통해 외부를 볼 수 있도록 투명형 또는 광투과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는 투명 디스플레이라 호칭될 수 있는데,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의 대표적인 예로는 TOLED(Transparant OLED) 등이 있다. 디스플레이부(151)의 후방 구조 또한 광 투과형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사용자는 단말기 바디의 디스플레이부(151)가 차지하는 영역을 통해 단말기 바디(body)의 후방에 위치한 사물을 볼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의 구현 형태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51)가 2개 이상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에는 복수의 디스플레이부들이 하나의 면에 이격되거나 일체로 배치될 수 있고, 또한 서로 다른 면에 각각 배치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부(151)는 입체영상을 표시하는 입체 디스플레이부(152)로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입체영상은 3차원 입체영상(3-dimensional stereoscopic image)을 나타내며, 3차원 입체 영상(3-dimensional stereoscopic image)은 모니터나 스크린 상에서 사물이 위치한 점진적 깊이(depth)와 실체(reality)를 현실 공간과 동일하게 느낄 수 있도록 한 영상이다. 3차원 입체 영상은 양안시차(binocular disparity)를 이용하여 구현된다. 양안시차란 떨어져 있는 두 눈의 위치에 의하여 이루어지는 시차를 의미하는 것으로, 두 눈이 서로 다른 2차원 화상을 보고 그 화상들이 망막을 통하여 뇌로 전달되어 융합되면 입체 영상의 깊이 및 실제감을 느낄 수 있게 된다.
상기 입체 디스플레이부(152)에는 스테레오스코픽 방식(안경 방식), 오토 스테레오스코픽 방식(무안경 방식), 프로젝션 방식(홀로그래픽 방식) 등의 3차원 디스플레이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가정용 텔레비전 수신기 등에 많이 이용되는 스테레오스코픽 방식에는 휘스톤 스테레오스코프 방식 등이 있다.
상기 오토 스테레오스코픽 방식의 예로서, 패럴렉스 배리어(parallex barrier) 방식, 렌티큘러(lenticular) 방식, 집적영상(integral imaging) 방식, 스위츠블 렌즈(switchable lens) 등이 있다. 프로젝션 방식에는 반사형 홀로그래픽 방식, 투과형 홀로그래픽 방식 등이 있다.
일반적으로 3차원 입체 영상은 좌 영상(좌안용 영상)과 우 영상(우안용 영상)으로 구성된다. 좌 영상과 우 영상이 3차원 입체 영상으로 합쳐지는 방식에 따라, 좌 영상과 우 영상을 한 프레임 내 상하로 배치하는 탑-다운(top-down) 방식, 좌 영상과 우 영상을 한 프레임 내 좌우로 배치하는 L-to-R(left-to-right, side by side) 방식, 좌 영상과 우 영상의 조각들을 타일 형태로 배치하는 체커 보드(checker board) 방식, 좌 영상과 우 영상을 열 단위 또는 행 단위로 번갈아 배치하는 인터레이스드(interlaced) 방식, 그리고 좌 영상과 우 영상을 시간 별로 번갈아 표시하는 시분할(time sequential, frame by frame) 방식 등으로 나뉜다.
또한, 3차원 썸네일 영상은 원본 영상 프레임의 좌 영상 및 우 영상으로부터 각각 좌 영상 썸네일 및 우 영상 썸네일을 생성하고, 이를 합쳐서 하나의 3차원 썸네일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썸네일(thumbnail)은 축소된 화상 또는 축소된 정지영상을 의미한다. 이렇게 생성된 좌 영상 썸네일과 우 영상 썸네일은 좌 영상과 우 영상의 시차에 대응하는 깊이감(depth)만큼 화면 상에서 좌우 거리차를 두고 표시됨으로써 입체적인 공간감을 나타낼 수 있다.
3차원 입체영상의 구현에 필요한 좌 영상과 우 영상은 입체 처리부(미도시)에 의하여 입체 디스플레이부(152)에 표시될 수 있다. 입체 처리부는 3D 영상을 입력받아 이로부터 좌 영상과 우 영상을 추출하거나, 2D 영상을 입력받아 이를 좌 영상과 우 영상으로 전환하도록 이루어진다.
한편, 디스플레이부(151)와 터치 동작을 감지하는 센서(이하, '터치 센서'라 함)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는 경우(이하, '터치 스크린'이라 함)에, 디스플레이부(151)는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예를 들어, 터치 필름, 터치 시트, 터치 패드 등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터치 센서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특정 부위에 가해진 압력 또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특정 부위에 발생하는 정전 용량 등의 변화를 전기적인 입력신호로 변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터치 대상체가 터치 센서 상에 터치 되는 위치 및 면적뿐만 아니라, 터치 시의 압력까지도 검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터치 대상체는 상기 터치 센서에 터치를 인가하는 물체로서, 예를 들어, 손가락, 터치펜 또는 스타일러스 펜(Stylus pen), 포인터 등이 될 수 있다.
터치 센서에 대한 터치 입력이 있는 경우, 그에 대응하는 신호(들)는 터치 제어기로 보내진다. 터치 제어기는 그 신호(들)를 처리한 다음 대응하는 데이터를 제어부(180)로 전송한다. 이로써,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부(151)의 어느 영역이 터치 되었는지 여부 등을 알 수 있게 된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터치 스크린에 의해 감싸지는 이동 단말기의 내부 영역 또는 상기 터치 스크린의 근처에 근접 센서(141)가 배치될 수 있다. 근접 센서(141)는 상기 센싱부(140)의 일 예로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근접 센서(141)는 소정의 검출면에 접근하는 물체, 혹은 근방에 존재하는 물체의 유무를 전자계의 힘 또는 적외선을 이용하여 기계적 접촉이 없이 검출하는 센서를 말한다. 근접 센서(141)는 접촉식 센서보다는 그 수명이 길며 그 활용도 또한 높다.
상기 근접 센서(141)의 예로는 투과형 광전 센서, 직접 반사형 광전 센서, 미러 반사형 광전 센서, 고주파 발진형 근접 센서, 정전 용량형 근접 센서, 자기형 근접 센서, 적외선 근접 센서 등이 있다. 상기 터치 스크린이 정전식인 경우에는 전도성을 갖는 물체(이하, 포인터라 함)의 근접에 따른 전계의 변화로 상기 포인터의 근접을 검출하도록 구성된다. 이 경우 상기 터치 스크린(터치 센서)은 근접 센서로 분류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터치 스크린 상에 포인터가 접촉되지 않으면서 근접되어 상기 포인터가 상기 터치 스크린 상에 위치함이 인식되도록 하는 행위를 "근접 터치(proximity touch)"라고 칭하고, 상기 터치 스크린 상에 포인터가 실제로 접촉되는 행위를 "접촉 터치(contact touch)"라고 칭한다. 상기 터치 스크린 상에서 포인터로 근접 터치가 되는 위치라 함은, 상기 포인터가 근접 터치될 때 상기 포인터가 상기 터치 스크린에 대해 수직으로 대응되는 위치를 의미한다.
상기 근접센서(141)는, 근접 터치와, 근접 터치 패턴(예를 들어, 근접 터치 거리, 근접 터치 방향, 근접 터치 속도, 근접 터치 시간, 근접 터치 위치, 근접 터치 이동 상태 등)을 감지한다. 상기 감지된 근접 터치 동작 및 근접 터치 패턴에 상응하는 정보는 터치 스크린상에 출력될 수 있다.
입체 디스플레이부(152)와 터치 센서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는 경우(이하, '입체 터치스크린'이라 함)나, 입체 디스플레이부(152)와 터치 동작을 감지하는 3차원 센서가 서로 조합되는 경우에는 상기 입체 디스플레이부(152)는 3차원의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상기 3차원 센서의 예로서, 상기 센싱부(140)는 근접 센서(141), 입체 터치센싱부(142), 초음파 센싱부(143), 카메라 센싱부(144)를 포함할 수 있다.
근접센서(141)는 전자계의 힘 또는 적외선을 이용하여 기계적 접촉이 없이 터치를 가하는 감지대상(예를 들어, 사용자의 손가락이나 스타일러스 펜)와 검출면과의 거리를 측정한다. 단말기는 이러한 거리를 이용하여 입체영상의 어느 부분이 터치되었는지를 인식하게 된다. 특히, 터치스크린이 정전식인 경우에는 상기 감지대상의 근접에 따른 전계의 변화로 상기 감지대상의 근접 정도를 검출하고, 이러한 근접 정도를 이용하여 3차원상의 터치를 인식하도록 구성된다.
입체 터치센싱부(142)는 터치 스크린상에 가해지는 터치의 세기나 지속시간을 감지하도록 이루어진다. 예를 들어, 입체 터치센싱부(142)는 터치를 가하는 압력을 감지하고, 가압력이 강하면 이를 단말기의 내부를 향하여 터치 스크린과 보다 멀리 위치한 객체에 대한 터치로 인식한다.
초음파 센싱부(143)는 초음파를 이용하여, 감지대상의 위치정보를 인식하도록 이루어진다.
초음파 센싱부(143)는, 예를 들어 광 센서와 복수의 초음파 센서로 이루어질 수 있다. 광 센서는 광을 감지하도록 형성되며, 초음파 센서는 초음파를 감지하도록 형성된다. 광이 초음파보다 매우 빠르기 때문에, 광이 광 센서에 도달하는 시간은 초음파가 초음파 센서에 도달하는 시간보다 매우 빠르다. 따라서, 광을 기준 신호로 초음파가 도달하는 시간과의 시간차를 이용하여 파동 발생원의 위치를 산출할 수 있게 된다.
카메라 센싱부(144)는 카메라(121), 포토 센서, 레이저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카메라(121)와 레이저 센서는 서로 조합되어, 3차원 입체영상에 대한 감지대상의 터치를 감지한다. 카메라에 의하여 촬영된 2차원 영상에 레이저 센서에 의하여 감지된 거리정보가 더해지면, 3차원 정보가 획득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포토 센서가 디스플레이 소자에 적층될 수 있다. 포토 센서는 터치 스크린에 근접한 감지대상의 움직임을 스캐닝하도록 이루어진다. 보다 구체적으로, 포토 센서는 행/열에 Photo Diode와 TR(Transistor)를 실장하여 Photo Diode에 인가되는 빛의 양에 따라 변화되는 전기적 신호를 이용하여 포토 센서 위에 올려지는 내용물을 스캔한다. 즉, 포토 센서는 빛의 변화량에 따른 감지대상의 좌표 계산을 수행하며, 이를 통하여 감지대상의 위치정보를 획득하게 된다.
가속도 센서(145)는 단말기 본체의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속도 센서는 본체의 공간 움직임을 x축, y축 및 z축을 기준으로 감지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가속도 센서(145)는 단말기 본체의 가속도, 진동, 충격 등의 동적 힘뿐만 아니라, 이동 속도, 각속도 등을 측정할 수 있다.
음향 출력 모듈(153)은 호신호 수신, 통화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방송수신 모드 등에서 무선 통신부(110)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16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음향 출력 모듈(153)은 이동 단말기(100)에서 수행되는 기능(예를 들어, 호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하기도 한다. 이러한 음향 출력 모듈(153)에는 리시버(receiver),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알람부(154)는 이동 단말기(100)의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이동 단말기(100)에서 발생 되는 이벤트의 예로는 호 신호 수신, 메시지 수신, 키 신호 입력, 터치 입력 등이 있다. 알람부(154)는 비디오 신호나 오디오 신호 이외에 다른 형태, 예를 들어 진동을 이용하여,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다. 상기 비디오 신호나 오디오 신호는 디스플레이부(151)나 음향 출력 모듈(153)을 통해서도 출력될 수 있어서, 디스플레이부(151) 및 음향 출력 모듈(153)은 알람부(154)의 일부로 분류될 수도 있다.
햅틱 모듈(haptic module)(155)은 사용자가 느낄 수 있는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킨다. 햅틱 모듈(155)이 발생시키는 촉각 효과의 대표적인 예로는 진동이 될 수 있다. 햅택 모듈(155)이 발생하는 진동의 세기와 패턴 등은 사용자의 선택 또는 제어부의 설정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햅틱 모듈(155)은 서로 다른 진동을 합성하여 출력하거나 순차적으로 출력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155)은, 진동 외에도, 접촉 피부면에 대해 수직 운동하는 핀 배열, 분사구나 흡입구를 통한 공기의 분사력이나 흡입력, 피부 표면에 대한 스침, 전극(eletrode)의 접촉, 정전기력 등의 자극에 의한 효과와, 흡열이나 발열 가능한 소자를 이용한 냉온감 재현에 의한 효과 등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다.
햅틱 모듈(155)은 직접적인 접촉을 통해 촉각 효과의 전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손가락이나 팔 등의 근 감각을 통해 촉각 효과를 느낄 수 있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155)은 이동 단말기(100)의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 있다.
메모리(160)는 제어부(180)의 동작을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폰북, 메시지, 정지영상, 동영상 등)을 임시 저장할 수도 있다. 상기 메모리(160)는 상기 터치 스크린 상의 터치 입력시 출력되는 다양한 패턴의 진동 및 음향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6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및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는 인터넷(internet)상에서 상기 메모리(16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와 관련되어 동작될 수도 있다.
인터페이스부(170)는 이동 단말기(10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 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한다. 인터페이스부(170)는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이동 단말기(100) 내부의 각 구성요소에 전달하거나, 이동 단말기(100)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유/무선 헤드셋 포트(port), 외부 충전기 포트(port), 유/무선 데이터 포트(port),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port),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이어폰 포트(port) 등이 인터페이스부(170)에 포함될 수 있다.
한편, 식별 모듈은 이동 단말기(100)의 사용 권한을 인증하기 위한 각종 정보를 저장한 칩으로서, 사용자 인증 모듈(user identify module; UIM), 가입자 인증 모듈(subscriber identity module; SIM), 범용 사용자 인증 모듈(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USIM)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이하 '식별 장치')는, 스마트 카드(smart card) 형식으로 제작될 수 있다. 따라서 식별 장치는 상기 인터페이스부(170)를 통하여 단말기(100)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터페이스부(170)는 이동 단말기(100)가 외부 크래들(cradle)과 연결될 때 상기 크래들로부터의 전원이 상기 이동 단말기(100)에 공급되는 통로가 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상기 크래들에서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가 상기 이동 단말기(100)로 전달되는 통로가 될 수 있다. 상기 크래들로부터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 또는 상기 전원은 상기 이동 단말기(100)가 상기 크래들에 정확히 장착되었음을 인지하기 위한 신호로 동작될 수 있다.
제어부(controller, 180)는 통상적으로 이동 단말기(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과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한다. 제어부(180)는 멀티미디어 재생을 위한 멀티미디어 모듈(181)을 구비할 수도 있다. 멀티미디어 모듈(181)은 제어부(180) 내에 구현될 수도 있고, 제어부(180)와 별도로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터치 스크린 상에서 행해지는 필기 입력 또는 그림 그리기 입력을 각각 문자 및 이미지로 인식할 수 있는 패턴 인식 처리를 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이동 단말기의 상태가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면, 애플리케이션들에 대한 사용자의 제어 명령의 입력을 제한하는 잠금상태를 실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잠금상태에서 상기 디스플레이부(151)를 통해 감지되는 터치 입력에 근거하여 상기 잠금상태에서 표시되는 잠금화면을 제어할 수 있다.
전원 공급부(19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 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여기에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 예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된 것을 이용하여 컴퓨터 또는 이와 유사한 장치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여기에 설명되는 실시 예는 ASICs(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processor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s), 기타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인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일부의 경우에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 예들은 제어부(180) 자체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절차 및 기능과 같은 실시 예들은 별도의 소프트웨어 모듈들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소프트웨어 모듈들 각각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하나 이상의 기능 및 작동을 수행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코드는 적절한 프로그램 언어로 쓰여진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으로 소프트웨어 코드가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소프트웨어 코드는 메모리(160)에 저장되고, 제어부(180)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를 통해 실시 가능한 통신 시스템에 대하여 살펴본다.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가 동작 가능한 통신 시스템의 개념도이다.
먼저, 도 2a를 살펴보면, 통신 시스템은, 서로 다른 무선 인터페이스 및/또는 물리 계층을 이용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통신 시스템에 의해 이용 가능한 무선 인터페이스에는,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FDMA), 시분할 다중 접속(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TDMA), 코드 분할 다중 접속(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 범용 이동통신 시스템(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s, UMTS)(특히, LTE(Long Term Evolution)), 이동통신 글로벌 시스템(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GSM)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CDMA에 한정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CDMA 무선 통신 시스템을 포함한 모든 통신 시스템 적용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CDMA 무선 통신 시스템은,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100),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Base Station, BS)(270),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 제어부(Base Station Controllers, BSCs)(275), 이동 스위칭 센터(Mobile Switching Center, MSC)(280)를 포함할 수 있다. MSC(280)는, 일반 전화 교환망(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 PSTN)(290) 및 BSCs(275)와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BSCs(275)는, 백홀 라인(backhaul line)을 통하여, BS(270)와 짝을 이루어 연결될 수 있다. 백홀 라인은, E1/T1, ATM, IP, PPP, Frame Relay, HDSL, ADSL 또는 xDSL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서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복수의 BSCs(275)가 도 2a에 도시된 시스템에 포함될 수 있다.
복수의 BS(270) 각각은 적어도 하나의 섹터를 포함할 수 있고, 각각의 섹터는, 전방향성 안테나 또는 BS(270)로부터 방사상의 특정 방향을 가리키는 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섹터는, 다양한 형태의 안테나를 두 개 이상 포함할 수도 있다. 각각의 BS(270)는, 복수의 주파수 할당을 지원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복수의 주파수 할당은 각각 특정 스펙트럼(예를 들어, 1.25MHz, 5MHz 등)을 가질 수 있다.
섹터와 주파수 할당의 교차는, CDMA 채널이라고 불릴 수 있다. BS(270)은 는, 기지국 송수신 하부 시스템(Base Station Transceiver Subsystem, BTSs)이라고 불릴수 있다. 이러한 경우, 하나의 BSC(275) 및 적어도 하나의 BS(270)를 합하여 “기지국”이라고 칭할 수 있다. 기지국은, 또한 "셀 사이트"를 나타낼 수도 있다. 또는, 특정 BS(270)에 대한 복수의 섹터들 각각은, 복수의 셀 사이트로 불릴 수도 있다.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송 송신부(Broadcasting Transmitter, BT)(295)는, 시스템 내에서 동작하는 단말기들(100)에게 방송 신호를 송신한다. 도 1에 도시된 방송 수신 모듈(111)은, BT(295)에 의해 전송되는 방송 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단말기(100) 내에 구비된다.
뿐만 아니라, 도 2a에서는, 위성 위치 확인 시스템(Global Positioning System, GPS)의 위성(300)을 도시한다. 상기 위성(300)은, 이동 단말기(100)의 위치를 파악하는 것을 돕는다. 도 2a에서는 두 개의 위성이 도시되어 있지만, 유용한 위치 정보는, 두 개 이하 또는 이상의 위성들에 의해 획득될 수도 있다. 도 1에 도시된 위치정보 모듈(115)은, 원하는 위치 정보를 획득하기 위하여 도 2a에 도시된 위성(300)과 협력한다. 여기에서는, GPS 추적 기술뿐만 아니라 위치를 추적할 수 있는 모든 기술들을 이용하여 이동 단말기(100)의 위치가 추적될 수 있다. 또한, GPS 위성(300) 중 적어도 하나는, 선택적으로 또는 추가로 위성 DMB 전송을 담당할 수도 있다.
무선 통신 시스템의 전형적인 동작 중, BS(270)는, 이동 단말기(100)로부터 역 링크 신호를 수신한다. 이때, 이동 단말기(100)는, 호를 연결 중이거나, 메시지를 송수신 중이거나 또는 다른 통신 동작을 수행하고 있다. 특정 기지국(270)에 의해 수신된 역 링크 신호들 각각은, 특정 기지국(270)에 의해 내에서 처리된다. 상기 처리 결과 생성된 데이터는, 연결된 BSC(275)로 송신된다. BSC(275)는, 기지국들(270) 간의 소프트 핸드오프(soft handoff)들의 조직화를 포함하여, 호 자원 할당 및 이동성 관리 기능을 제공한다. 또한, BSCs(275)는, 상기 수신된 데이터를 MSC(280)로 송신하고, MSC(280)는, PSTN(290)과의 연결을 위하여 추가적인 전송 서비스를 제공한다. 또한, 이와 유사하게 PSTN(290)은 MSC(280)와 연결되고, MSC(280)는 BSCs(275)와 연결되고, BSCs(275)는 이동 단말기(100)로 순 링크 신호가 전송되도록 BS(270)를 제어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2b에서는 와이파이 위치추적 시스템(WPS: WiFi(Wireless Fidelity) Positioning System)을 이용하여, 이동 단말기의 위치정보를 획득하는 방법에 대하여 살펴본다.
와이파이 위치추적 시스템(WPS: WiFi Positioning System, 300)은 이동 단말기(100)에 구비된 WiFi모듈 및 상기 WiFi모듈과 무선신호를 송신 또는 수신하는 무선 AP(Wireless Access Point, 320)를 이용하여, 이동 단말기(100)의 위치를 추적하는 기술로서, WiFi를 이용한 W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기반의 위치 측위 기술을 의미한다.
와이파이 위치추적 시스템(300)은 와이파이 위치측위 서버(310), 이동 단말기(100), 상기 이동 단말기(100)와 접속된 무선 AP(330), 임의의 무선 AP정보가 저장된 데이터 베이스(330)를 포함할 수 있다.
와이파이 위치측위 서버(310)는 이동 단말기(100)의 위치정보 요청 메시지(또는 신호)에 근거하여, 이동 단말기(100)와 접속된 무선 AP(320)의 정보를 추출한다. 상기 이동 단말기(100)와 접속된 무선 AP(320)의 정보는 이동 단말기(100)를 통해 상기 와이파이 위치측위 서버(310)로 전송되거나, 무선 AP(320)에서 와이파이 위치측위 서버(310)로 전송될 수 있다.
상기 이동 단말기(100)의 위치정보 요청 메시지에 근거하여, 추출되는 무선 AP의 정보는 MAC Address, SSID, RSSI, 채널정보, Privacy, Network Type, 신호세기(Signal Strength) 및 노이즈 세기(Noise Strength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와이파이 위치측위 서버(310)는 위와 같이, 이동 단말기(100)와 접속된 무선 AP(320)의 정보를 수신하여, 미리 구축된 데이터베이스(330)에 포함된 정보와 상기 수신된 무선 AP(320)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이동 단말기(100)의 위치정보를 추출(또는 분석)한다.
한편, 도 2b에서는 일 예로서, 이동 단말기(100)와 접속되어 있는 무선 AP를 제1, 제2 및 제3 무선 AP(320)로 도시하였다. 그러나, 이동 단말기(100)와 접속되는 무선 AP의 수는 이동 단말기(100)가 위치한 무선 통신환경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와이파이 위치추척 시스템(300)은 이동 단말기(100)가 적어도 하나의 무선 AP와 접속되는 경우, 이동 단말기(100)의 위치를 추적하는 것이 가능하다.
다음으로, 임의의 무선 AP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 베이스(330)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데이터 베이스(330)에는 서로 다른 위치에 배치된 임의의 무선 AP들의 다양한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상기 데이터 베이스(300)에 저장되는 임의의 무선 AP들의 정보는 MAC Address, SSID, RSSI, 채널정보, Privacy, Network Type, 무선 AP의 위경도 좌표, 무선 AP가 위치한 건물명, 층수, 실내 상세 위치정보(GPS 좌표 이용가능), AP소유자의 주소, 전화번호 등의 정보일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데이터베이스(330)에는 임의의 무선 AP정보 및 상기 임의의 무선 AP에 대응되는 위치정보가 함께 저장되어 있으므로, 와이파이 위치측위 서버(310)는 상기 데이터베이스(330)에서 이동 단말기(100)에 접속된 무선 AP(320)의 정보와 대응되는 무선 AP정보를 검색하고, 검색된 무선 AP정보에 매칭된 위치정보 추출함으로써, 이동 단말기(100)의 위치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그리고, 이렇게 추출된 이동 단말기(100)의 위치정보는 상기 와이파이 위치측위 서버(310)를 통해 이동 단말기(100)로 전송됨으로써, 이동 단말기(100)는 위치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하, 상기 도 1에서 살펴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 또는 이동 단말기의 구성요소들이 배치된 이동 단말기 또는 이동 단말기의 구조를 살펴본다.
도 3a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100)의 일 예를 전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개시된 이동 단말기(100)는 바 형태의 단말기 바디를 구비하고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여기에 한정되지 않고, 와치 타입, 클립 타입, 안경 타입 또는 2 이상의 바디들이 상대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폴더 타입, 플립 타입, 슬라이드 타입, 스윙 타입, 스위블 타입 등 다양한 구조에 적용될 수 있다.
바디는 외관을 이루는 케이스(프레임, 하우징, 커버 등)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케이스는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로 구분될 수 있다.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는 각종 전자부품들이 내장된다.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중간 케이스가 추가로 배치될 수 있으며, 배터리(191)를 덮는 배터리 커버(103)가 리어 케이스(102)에 착탈 가능하게 구성될 수도 있다.
케이스들은 합성수지를 사출하여 형성되거나 금속, 예를 들어 스테인레스 스틸(STS), 알루미늄(Al), 티타늄(Ti) 등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단말기 바디의 전면에는 디스플레이부(151), 제1음향출력모듈(153a), 제1카메라(121a), 제1조작유닛(131) 등이 배치되며, 측면에는 마이크(122), 인터페이스부(170), 제2조작유닛(132) 등이 구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출력)하도록 이루어진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정보를 시각적으로 표현하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전자잉크 디스플레이(e-ink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151)는 터치 방식에 의하여 제어 명령을 입력 받을 수 있게 터치감지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 상의 어느 한 곳에 대하여 터치가 이루어지면 터치감지수단은 이를 감지하고 그 터치된 위치에 대응하는 내용이 입력되게 구성될 수 있다. 터치 방식에 의하여 입력되는 내용은 문자 또는 숫자이거나, 각종 모드에서의 지시 또는 지정 가능한 메뉴항목 등일 수 있다.
터치감지수단은 디스플레이부(151)에서 출력되는 시각 정보가 보일 수 있도록 투광성으로 형성되며, 밝은 곳에서 터치스크린의 시인성(visibility)을 높이기 위한 구조가 포함될 수 있다. 도 3a에 의하면, 디스플레이부(151)는 프론트 케이스(101)의 전면(front surface)의 대부분을 차지한다.
디스플레이부(151)의 양단부 중 일 단부에 인접한 영역에는 제1음향출력모듈(153a)과 제1카메라(121a)가 배치되고, 다른 단부에 인접한 영역에는 제1조작유닛(131)과 마이크(122)가 배치된다. 제2조작유닛(132, 도 3b 참조), 인터페이스부(170) 등은 단말기 바디의 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제1음향출력모듈(153a)은 통화음을 사용자의 귀에 전달시키는 리시버(receiver) 또는 각종 알람음이나 멀티미디어의 재생음을 출력하는 라우드 스피커(loud speaker)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제1음향출력모듈(153a)로부터 발생되는 사운드는 구조물 간의 조립틈을 따라 방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외관상 음향 출력을 위하여 독립적으로 형성되는 홀이 보이지 않거나, 숨겨져 이동 단말기(100)의 외관이 보다 심플해질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사운드의 방출을 위한 홀이 윈도우에 형성될 수 있다.
제1카메라(121a)는 화상통화 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 받기 위해 조작되는 것으로서, 제1 및 제2조작유닛(131, 13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및 제2조작유닛(131, 132)은 조작부(manipulating portion)로도 통칭될 수 있으며, 터치, 푸쉬, 스크롤 등 사용자가 촉각적인 느낌을 가면서 조작하게 되는 방식(tactile manner)이라면 어떤 방식이든 채용될 수 있다.
본 도면에서는 제1 조작유닛(131)이 터치키(touch key)인 것을 기준으로 예시하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제1 조작유닛(131)은 푸시키(mechanical key)가 되거나, 터치키와 푸시키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제1 및/또는 제2조작유닛들(131, 132)에 의하여 입력되는 내용은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조작유닛(131)은 메뉴, 홈키, 취소, 검색 등과 같은 명령을 입력 받고, 제2조작유닛(132)은 제1음향출력모듈(153a)에서 출력되는 음향의 크기 조절 또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터치 인식 모드로의 전환 등과 같은 명령을 입력 받을 수 있다.
마이크(122)는 사용자의 음성, 기타 소리 등을 입력 받도록 형성된다. 마이크(122)는 복수의 개소에 구비되어 스테레오 음향을 입력 받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70)는 이동 단말기(100)가 외부기기와 데이터 교환 등을 할 수 있게 하는 통로가 된다. 예를 들어, 인터페이스부(170)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이어폰과 연결하기 위한 접속단자, 근거리 통신을 위한 포트{예를 들어 적외선 포트(IrDA Port), 블루투스 포트(Bluetooth Port), 무선 랜 포트(Wireless LAN Port) 등}, 또는 이동 단말기(10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 단자들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이러한 인터페이스부(170)는 SIM(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또는 UIM(User Identity Module), 정보 저장을 위한 메모리 카드 등의 외장형 카드를 수용하는 소켓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도 3b는 도 3a에 도시된 이동 단말기(100)의 후면 사시도이다.
도 3b를 참조하면, 단말기 바디의 후면, 다시 말해서 리어 케이스(102)에는 제2카메라(121b)가 추가로 장착될 수 있다. 제2카메라(121b)는 제1카메라(121a, 도 3a 참조)와 실질적으로 반대되는 촬영 방향을 가지며, 제1카메라(121a)와 서로 다른 화소를 가지는 카메라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카메라(121a)는 화상 통화 등의 경우에 사용자의 얼굴을 촬영하여 상대방에 전송함에 무리가 없도록 저 화소를 가지며, 제2카메라(121b)는 일반적인 피사체를 촬영하고 바로 전송하지는 않는 경우가 많기에 고 화소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및 제2카메라(121a, 121b)는 회전 또는 팝업(pop-up) 가능하게 단말기 바디에 설치될 수도 있다.
제2카메라(121b)에 인접하게는 플래시(123)와 거울(124)이 추가로 배치된다. 플래시(123)는 제2카메라(121b)로 피사체를 촬영하는 경우에 피사체를 향해 빛을 비추게 된다. 거울(124)은 사용자가 제2카메라(121b)를 이용하여 자신을 촬영(셀프 촬영)하고자 하는 경우에, 사용자 자신의 얼굴 등을 비춰볼 수 있게 한다.
단말기 바디의 후면에는 제2음향출력모듈(153b)이 추가로 배치될 수도 있다. 제2음향출력모듈(153b)은 제1음향출력모듈(153a, 도 3a 참조)과 함께 스테레오 기능을 구현할 수 있으며, 통화시 스피커폰 모드의 구현을 위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
단말기 바디의 측면에는 통화 등을 위한 안테나 외에 방송신호 수신용 안테나(미도시)가 추가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방송수신모듈(111, 도 1 참조)의 일부를 이루는 안테나는 단말기 바디에서 인출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단말기 바디에는 이동 단말기(10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부(190, 도 1 참조)가 구비된다. 전원공급부(190)는 단말기 바디에 내장되거나, 단말기 바디의 외부에서 착탈 가능하게 구성되는 배터리(191)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도면에서는 배터리 커버(103)가 배터리(191)를 덮도록 리어 케이스(102)에 결합되어 배터리(191)의 이탈을 제한하고, 배터리(191)를 외부 충격과 이물질로부터 보호하는 것을 예시하고 있다.
또한, 위에서 살펴본 것과 같은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이 가능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는, 이동 단말기 본체 또는 본체를 벗어난 지점을 두드리는 탭(tap, 또는 탭 제스처(tap gesture))에 대응하여, 이동 단말기의 기능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가 활성화된 상태에서 소정의 시간 동안 사용자 입력이 인가되지 않으면(또는, 제어명령이 사용자로부터 인가되지 않으면),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비활성화 상태로 전환하는 자동 잠금 기능이 실행된다. 자동 잠금 기능이 실행되면,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부를 비활성화하고, 상기 비활성화된 디스플레이부에 인가되는 터치를 무시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는, 탭 및 터치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여 형성되는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디스플레이부를 활성화하고, 자동 잠금 기능이 실행되기 직전에 표시되던 화면정보를 표시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이동 단말기에 대한 터치입력을 가하지 않더라도, 물체를 두드리는 간단한 제스처로, 이동 단말기와 관련된 기능에 대한 제어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물체를 두드리는 탭에 근거하여 새로운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는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과 함께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상기 이동 단말기(100, 도 1 참조)는 감지부(140), 디스플레이부(151) 및 제어부(180)를 구비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에서는, 본체의 전면에 배치되는 디스플레이부가 활성화된 제1 활성화 상태에서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화면정보를 표시하는 단계가 진행된다(S410).
여기에서, "디스플레이부(151)가 활성화된 활성화 상태"란 디스플레이부(151)를 조명하는 내부에 구비된 조명이 온(on) 상태임을 의미한다. 즉, 상기 디스플레이부(151)가 활성화된 상태에서 디스플레이부(151)에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따른 다양한 화면정보가 표시된다.
이때, 화면정보는 디스플레이부(151) 상에 출력되는 것이 가능한 그래픽 이미지로서, 그 종류에 무관하다. 예를 들어, 상기 화면정보는 애플리케이션의 실행화면이 될 수 있으며, 전자문서 화면, 음악 재생화면, 주소록 화면, 홈 스크린 페이지일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화면정보는 홈 스크린 페이지(home screen page)일 수 있다. 상기 홈 스크린 페이지에는 적어도 하나의 객체가 포함되며, 상기 객체는 이동 단말기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의 아이콘(icon) 또는 위젯(widget)일 수 있다. 홈 스크린 페이지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애플리케이션들에 의한 실행화면이 중첩하여 하나의 화면정보로 표시될 수도 있다.
다음으로, 상기 제1 활성화 상태에서 제어명령이 소정 시간 동안 사용자로부터 인가되지 않으면, 디스플레이부를 활성화 상태에서 비활성화 상태로 전환하는 자동 잠금 기능을 실행하는 단계가 진행된다(S430).
제어부(180)는 화면정보가 표시되는 중에 사용자의 제어 또는 자동 잠금 기능의 실행 설정에 근거하여 자동 잠금 기능을 실행한다. 자동 잠금 기능은 사용자 의도와 무관하게 배터리가 소모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소정 시간 동안 사용자 입력이 인가되지 않거나, 디스플레이부를 끄거나 켜도록 형성되는 신호입력부(또는, 버튼부)가 가압되면, 활성화 상태의 디스플레이부(151)를 비활성화 상태로 전환하는 기능을 의미한다. 자동 잠금 기능이 실행되면, 디스플레이부(151)가 비활성화된 상태에서 의도하지 않은 터치입력이 인가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여기에서, "디스플레이부(151)가 비활성화된 비활성화 상태"란 디스플레이부(151)를 조명하는 내부에 구비된 조명이 오프(off) 상태임을 의미한다. 즉, 상기 디스플레이부(151)가 비활성화된 상태에서는 디스플레이부(151)에는 어떠한 정보 또는 그래픽 이미지(graphic image)가 표시되지 않는다.
한편, 자동 잠금 기능의 실행 조건인 소정 시간은 단말기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으며, 사용자에 의하여 변경될 수도 있다.
한편, 자동 잠금 기능이 실행되면, 제어부(180)는 자동 잠금 기능이 실행되기 직전에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던 화면정보를 저장한다. 이때, 제어부(180)는 해당 화면정보를 표시하기 위해 실행하여야 하는 애플리케이션의 종류, 해당 화면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링크 정보 등을 화면정보와 함께 메모리(160)에 저장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상기 비활성화 상태로 전환된 후 기준시간 이내에 상기 본체에 기 설정된 조건에 대응되는 사용자 입력이 감지되면,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2 활성화 상태로 전환하고, 상기 제1 활성화 상태에서 표시된 화면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단계가 진행된다(S450).
기 설정된 조건에 대응되는 사용자 입력은, 본체 또는 본체를 벗어나는 지점을 두드리는 탭(tap) 및 상기 본체에 대한 터치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여 형성된다. 예를 들어, 기 설정된 조건에 대응되는 사용자 입력은, 소정의 영역을 연속해서 두 번 두드리는 탭으로 정의되거나, 기 설정된 시간만큼 터치를 유지하는 롱 터치로 정의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기 설정된 조건에 대응되는 사용자 입력이 물체를 두드리는 탭에 의하여 형성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기 설정된 조건에 대응되는 사용자 입력은 탭 및 터치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여 다양한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감지부(140)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활성화 여부와 관계없이 본체에 가해지는 사용자 입력을 감지하고, 감지된 사용자 입력이 기 설정된 조건에 대응하는지를 판단한다.
여기에서, 탭(tap) 또는 탭 제스처(tap gesture)는 이동 단말기의 본체(100) 또는 물체를 두드리는 제스처를 의미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탭은, 손가락 등의 탭 대상체로 이동 단말기 본체(100) 또는 물체를 가볍게 치는 동작 또는 탭 대상체를 이동 단말기 본체(100) 또는 물체에 가볍게 접촉시키는 동작으로 이해되어 질 수 있다.
한편, 이러한 탭을 인가하는 탭 대상체는, 이동 단말기 본체(100) 또는 물체에 외력을 가할 수 있는 사물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손가락(지문이 있는 부분), 스타일러스 펜(stylus pen), 펜(pen), 포인터, 주먹(손가락 관절) 등이 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탭 대상체는, 반드시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 터치입력을 가할 수 있는 사물에 제한되지 않고, 이동 단말기 본체(100) 또는 물체에 외력을 가할 수 있는 사물이기만 하면 그 종류가 무관하다.
한편, 탭이 가해지는 물체는, 단말기 본체 및 상기 본체를 벗어나는 지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이동 단말기의 입력영역은 단말기 본체의 외부로 확장될 수 있다. 따라서, 단말기 본체를 벗어난 지점에서 상기 탭을 감지할 수 있는 지점은 가상의 입력영역이 된다.
또한, 상기 가상의 입력영역은 단말기가 놓이는 장소나 대상, 또는 탭의 강도에 따라 넓이가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단말기가 테이블 등에 놓인 경우, 사용자가 테이블을 두드리면, 상기 단말기의 움직임이 발생하며 이를 통하여 상기 탭이 감지될 수 있다. 이에, 상기 두드림의 강도가 커지면, 상기 가상의 입력영역은 보다 커지게 된다. 다른 예로서, 상기 단말기 본체를 사용자가 들고 있는 경우에는 상기 가상의 입력영역은 사라질 수 있다.
한편, 탭을 감지하는 단계에서는, 적어도 두 번 이상의 탭이 제한시간 이내에 가해지는 경우에 한하여, 이동 단말기의 제어를 목적으로 하는 "톡톡(또는, knock-on)"이 감지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151)에 대하여 터치를 가하는 것이 가능한 터치 대상체에 의하여, 한 번의 탭이 디스플레이부(151)에 가해지는 경우, 제어부(180)는 상기 한 번의 탭을 터치입력으로 인식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부(151)가 비활성화된 상태에서는 사용자에 의한 제어명령의 수신이 제한되므로, 사용자 입력이 탭이 아닌 터치입력으로 인식되는 경우, 제어부(180)는 상기 사용자 입력을 무시할 수 있다.
따라서, 감지부(140, 또는 센싱부)는 제한시간 이내에 연속적으로 가해지는 적어도 두 번 이상(또는 복수)의 탭이 가해진 경우에 한하여, 감지된 탭을 기 설정된 탭과 비교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적어도 두 번 이상의 탭들이 제한시간 이내에 연속적으로 센싱되는 것을 "톡톡(또는, knock-on)"이라 호칭한다. 예를 들어, 제1 탭이 감지된 시점으로부터 제한시간 이내에 제2 탭이 감지되면, "톡톡"이 감지된 것으로 볼 수 있다. 따라서, 이하에서 "톡톡"이 감지되었다고 함은, 단말기 본체 또는 상기 본체를 벗어나는 지점에 물체가 두드려지는 것이 실질적으로 복수 번 감지되었음을 의미할 수 있다.
한편, 감지부(140)가 터치 센서에 해당하는 경우, 상기 감지부(140)는 상기 디스플레이부(151)의 활성화 여부에 따라 서로 다른 방식으로 "톡톡"을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디스플레이부(151)가 활성화된 경우, 사용자 입력에 즉시 반응할 수 있어야 하므로, 터치 센서는 활성화 상태를 유지하는 액티브 모드(active mode)를 실행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디스플레이부(151)가 비활성화된 경우, 배터리를 절약하기 위하여, 상기 터치 센서는 활성화 상태와 비활성화 상태가 기 설정된 주기로 전환되는 도즈 모드(doze mode)를 실행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부(151)가 비활성화된 경우, 터치 센서는 상기 도즈 모드를 실행하고, 기 설정된 주기마다 활성화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터치 센서가 활성화되는 주기가 짧을수록, 디스플레이부(151)에 가해지는 "톡톡"을 감지하는 속도가 빨라지지만, 그에 따라 터치 센서에 의해 소모되는 전력이 커진다. 이와 달리, 터치 센서가 활성화되는 주기가 길수록, 감지부(140)에 의해 소모되는 전력은 작아지지만, 디스플레이부(151)에 가해지는 터치를 감지하는 속도는 느려진다.
따라서, 기 설정된 주기는 디스플레이부(151)에 가해지는 터치를 감지함에 있어 감지 속도가 사용자에게 인식되지 않을 정도로 빠르면서도, 전력 소모의 효율이 증대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기 설정된 주기는 터치 센서가 1초에 30번(30Hz) 정도 활성화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이는, 디스플레이부(151)가 비활성화된 상태에서 터치를 인식할 수 있는 최소 전류 수준에 해당할 수 있다.
한편, 터치 센서는 디스플레이부(151)가 비활성화된 상태에서 도즈 모드를 실행하되, 상기 디스플레이부(151)에 제1 탭이 가해지면, 상기 액티브 모드를 실행할 수 있다. 즉, 터치 센서는 상기 디스플레이부(151)가 비활성화된 상태에서 탭이 인가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이후에 인가될 탭을 더욱 정확히 감지할 수 있도록 액티브 모드를 실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엑티브 모드가 실행되는 경우, 터치 센서는 1초에 120번(120Hz) 정도 활성화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80)는 제1 탭이 가해진 시점으로부터 일정한 시간 이내에 제2 탭이 감지되지 않는 경우, 상기 터치 센서는 액티브 모드를 도즈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이는, 사용자가 의도하지 않은 탭이 발생한 것이므로, 단말기에 오작동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한편, 감지부(140)는 터치 센서뿐만 아니라, 본체의 움직임을 이용하여 탭을 감지하는 가속도센서, 본체 주변에 발생하는 소리를 이용하여 탭을 감지하는 소리센서, 상기 본체 주변에 위치하는 물체의 유무에 근거하여 탭을 감지하는 근접센서 및 상기 본체에 가해지는 압력을 이용하여 탭을 감지하는 압력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터치 센서와 마찬가지로, 감지부(140)에 포함된 나머지 센서들도 디스플레이부(151)가 비활성화된 상태에서 비활성화되거나 기 설정된 주기로 활성화될 수 있다. 이는, 센서들에 의한 전력소모를 감소시키기 위함이다.
즉, 디스플레이부(151)가 비활성화된 상태에서 제1 탭이 감지되는 경우, 이후에 인가될 제2 탭을 더욱 정확히 감지하기 위하여, 제어부(180)는 상기 감지부(140)에 포함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센서들을 활성화시킬 수 있다. 상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센서들은 터치 센서, 마이크 센서, 근접 센서, RGB 센서, 압력 센서 등을 포함하며, "톡톡"의 특성(탭의 세기/탭의 위치/제1 탭과 제2 탭 간의 시간 간격/탭의 대상체/탭의 강도/탭의 면적/탭의 패턴 등)을 구분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터치 센서는, 본체에 배치되어 상기 본체에 발생하는 터치를 이용하여 탭을 감지할 수 있다. 또한, 터치 센서는 탭이 인가되는 위치를 산출할 수 있으며, 상기 탭이 터치 되는 면적을 이용하여 탭의 대상체(예를 들어, 손가락, 손톱, 손바닥 등)를 구분할 수 있다.
다른 예로, 마이크 센서는 본체 주변에 발생하는 소리를 이용하여 탭을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소리는 고유의 주파수 특성이 있기 때문에, 수신되는 음성정보의 주파수 특성을 이용하여 탭의 대상체(예를 들어, 손가락, 손톱, 손바닥, 펜 등), 탭의 특성을 구분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가속도 센서에 의하여 "톡톡"이 감지된 경우라도, 제어부(180)는 근접센서에 의하여 본체의 전면에 인접한 물체를 탐지한 경우, "톡톡"을 리젝(reject)할 수 있다. 이는, 가방 속에 들어간 이동 단말기(100)가 가방의 흔들림에 의하여 오작동 될 수 있기 때문이다.
또 다른 예로, RGB 센서는 탭의 대상체에 대한 색상을 센싱하고, 센싱된 색을 이용하여 대상체의 종류를 구분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RGB 센서에 의하여 손가락과 터치펜을 구분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압력 센서는 본체에 가해지는 압력을 이용하여 탭을 감지할 수 있으며, 상기 탭에 의하여 발생한 압력의 강도를 산출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특정 방향으로 압력이 가해지면 결정체의 표면에서 전기가 발생하는 성질을 이용하는 피에조(piezo) 센서(또는, 충격 센서)가 탭을 감지할 수 있다. 가속도 센서가 수백 헤르쯔(Hz)에 해당하는 움직임을 감지한다면, 피에조 센서는 수천 헤르쯔(kHz)에 해당하는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기 때문에, 단말기의 움직임(또는 충격)을 더욱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제어부(180)는 피에조 센서를 이용하여 상술한 탭의 대상체 및 패턴을 파악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피에조 센서는 물체에 충격을 발생시키는 대상체나 탭의 패턴에 따라 발생하는 물리적인 패턴이 상이하기 때문에, 실험적으로 획득한 물리적 패턴을 이용하여 탭의 대상체 및 탭의 패턴을 파악할 수 있다. 상기 실험적으로 획득한 물리적 패턴은 공장 출시 단계에서 작성되어 메모리(160)에 저장될 수 있으며, 주기적으로 업데이트되거나, 사용자에 의하여 변경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는, 이동 단말기 본체에 대한 탭을 감지하기 위하여, 가속도 센서 및 터치 센서 중 어느 하나만을 사용하거나, 가속도 센서 및 터치 센서를 순차적으로 사용하거나, 또는 가속도 센서 및 터치 센서를 동시에 사용할 수 있다. 한편, 탭을 감지하기 위하여, 가속도 센서만을 사용하는 모드는, 제1 모드, 터치 센서를 사용하는 모드는 제2 모드로 명명될 수 있고, 가속도 센서 및 터치 센서를 모두 활용(동시에 또는 순차적으로 사용 가능)하는 모드는 제3 모드 또는 하이브리드(hybrid) 모드로 명명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제어부(180)는 상술한 센서들에서 발생하는 감지신호를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톡톡"이 감지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로써, 탭이 감지되는 위치 등 탭의 특성을 보다 정확하게 파악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본체를 복수 번 두드리는 "톡톡"이 감지되면, 감지된 "톡톡"이 메모리(160)에 저장된 조건에 대응하는 탭(또는, 기 설정된 탭)과 매칭되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기 설정된 탭은, 복수 번의 탭들에 의하여 형성된다. 이때, 상기 탭들이 가하여진 횟수, 상기 탭들이 가하여진 절대/상대 위치, 상기 탭들의 입력 속도(또는, 장단), 상기 탭들이 가하여진 순서, 한 번의 탭에 포함된 탭 대상체의 수(예를 들어, 한 손가락 탭 또는 두 손가락 탭), 탭이 가하여진 면적, 탭의 세기, 탭에 의한 본체와의 접촉이 유지되는지 여부(tap and hold) 등에 따라 기 설정된 탭은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기 설정된 탭이 제1 및 제2 탭에 의하여 설정되는 실시 예들을 후술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제3 탭 등과 같이 두 번 또는 그 이상의 탭들에 의하여 다양한 패턴이 기 설정된 탭으로 설정될 수 있다.
실시 예에 있어서, 제어부(180)는 탭이 가하여진 절대 위치에 근거하여 감지된 탭의 패턴을 구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 설정된 패턴은, 단말기 본체 또는 상기 본체를 벗어나는 제1 지점을 한 번 두드리는 제1 탭을 인가한 때로부터 제1 시간이 경과한 뒤에, 상기 본체 또는 상기 본체를 벗어나는 제2 지점을 한 번 두드리는 제2 탭을 인가하는 것일 수 있다. 이때, 제어부(180)는 단말기 본체의 전면이 외부로 확장된 가상의 영역을 2차원 좌표평면으로 가정하고, 상기 제1 및 제2 지점의 절대위치를 기준으로 패턴을 설정할 수 있다. 즉, 상기 제1 및 제2 탭이 각각 상기 제1 및 제2 지점에 정확하게 인가되는 경우에야 비로소, 제어부(180)는 감지된 탭의 패턴이 기 설정된 패턴에 해당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실시 예에 있어서, 제어부(180)는 제1 탭 및 제2 탭의 상대위치에 근거하여 감지된 탭의 패턴을 구분할 수 있다. 중력방향을 기준으로 하는 가상의 기준축을 기준으로, 최초로 인가된 제1 탭의 위치로부터 기 설정된 거리와 각도를 만족하는 위치에 제2 탭이 인가되는 경우, 제어부(180)는 감지된 탭의 패턴이 기 설정된 패턴에 해당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탭이 감지된 제1 위치로부터 5cm 떨어지고, 상기 제1 위치를 원점으로 하며, 중력방향을 기준으로 하는 가상의 기준축을 기준으로 30도 각도를 형성하는 위치가 제2 탭이 감지되어야 할 제2 위치로 설정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설정된 패턴이 상대위치에 근거하는 경우, 제2 탭이 인가되어야 할 위치는 제1 탭이 인가되는 위치에 따라 가변된다.
실시 예에 있어서, 제어부(180)는 제1 탭 및 제2 탭의 시간 차에 근거하여 감지된 탭의 패턴을 구분할 수 있다. 즉, 탭이 입력되는 속도(또는, 장단)에 따라 서로 다른 패턴이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1초 안에 탭이 두 번 입력되는 패턴과 세 번 입력되는 패턴은 상이한 패턴에 해당한다.
뿐만 아니라, 제어부(180)는 모스 부호처럼 탭 대상체의 접촉 해제 여부에 근거하여 감지된 탭의 패턴을 구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물체를 가볍게 치는 동작은 모스 부호의 도트(점)에 대응하고, 물체에 접촉된 상태에서 일정시간 동안 접촉을 해제하지 않는 동작(이하, '탭 앤 홀드(tap and hold)' 라고 호칭)은 모스 부호의 대시(선)에 대응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예를 들어, '톡톡', '톡-톡', '톡톡-'은 두 번의 탭이 인가된 경우이지만, 서로 다른 패턴에 해당한다.
또한, 제어부(180)는 한 번의 탭에 포함되어 있는 탭 대상체의 개수를 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두 개의 손가락으로 탭을 하는 경우, 한 번의 탭에 두 개의 탭 대상체가 포함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산출되는 탭 대상체의 개수에 근거하여 탭의 패턴을 구분할 수 있다.
이 밖에도, 탭의 세기(강 또는 약), 탭 대상체의 종류(손가락 또는 터치 펜), 탭의 면적(엄지 또는 검지), 탭의 순서, 탭이 가해진 영역 등에 따라 감지된 탭의 패턴을 구분할 수 있다.
즉, 기 설정된 탭은 탭이 가해진 횟수, 위치, 속도, 강도, 영역, 탭 대상체의 종류 및 개수 중 적어도 하나에 근거하여 달라질 수 있다.
한편, 제어부(180)는 탭이 가해진 횟수, 위치, 속도, 강도, 영역, 탭 대상체의 종류 및 개수 중 적어도 하나에 근거하여 감지된 탭의 패턴을 기 설정된 패턴(또는, 기 설정된 탭)과 비교할 수 있다. 기 설정된 탭에 대한 정보는 메모리(160)에 저장되며, 제어부(180)는 비교 결과에 따른 일치율을 수치화할 수 있으며, 일치율이 기준 값보다 큰 경우 감지된 탭이 기 설정된 탭에 해당한다고 판단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80)는 감지된 "톡톡"이 기 설정된 탭에 해당하면, 디스플레이부를 비활성화 상태에서 활성화 상태로 전환하고, 제1 활성화 상태에서 표시된 화면정보를 표시한다. 이러한 기능을 "스크린 온(screen on)"이라고 호칭한다.
일반적으로 디스플레이부가 비활성화된 상태에서 비활성화되기 직전에 표시되던 화면정보가 다시 표시되기 위해서는, 디스플레이부를 다시 활성화하기 위한 신호입력부(또는, 버튼부)의 가압이 필요하다. 상기 신호입력부가 가압되면, 디스플레이부는 비활성화 상태에서 활성화 상태로 전환되고, 의도치 않은 터치에 의하여 오작동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잠금화면이 활성화된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된다. 계속해서, 잠금화면상에 잠금해제를 위한 터치입력이 입력되어야만 비로소 화면정보가 표시된다. 즉, 사용자는 복수 번의 입력들을 이동 단말기에 인가하여야만(또는, 복수 번의 단계들을 거쳐야지만), 자동 잠금 기능이 실행되기 직전의 화면을 다시 확인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자동 잠금 기능이 암호 잠금 기능과 연동되는 경우, 자동 잠금 기능이 실행됨과 동시에 이동 단말기가 잠금상태로 전환된다. 여기에서, 잠금상태는 사용자에 의한 제어명령의 수신이 제한되는 상태를 의미하며, 특정인에 의하여 설정된 암호가 입력되어야만 잠금이 해제되는 상태를 말한다. 이러한 잠금상태에 디스플레이부(151)가 활성화되는 경우, 잠금화면은 암호를 입력받도록 형성되는 가상 키패드 등이 포함된다.
이와 달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는, 자동 잠금 기능이 실행된 후에 단말기를 "톡톡"하고 두드리는 제스처가 감지되면, 곧바로 디스플레이부(151)를 활성화하고 자동 잠금 기능이 실행되기 직전의 화면정보를 다시 표시한다. 자동 잠금 기능은 소정 시간 동안 사용자 입력이 인가되지 않으면 자동으로 실행되기 때문에, 자동 잠금 기능이 사용자 의도에 반하여 실행될 수도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의 이동 단말기에 의하면, 단말기를 두드리는 단순한 제스처에 의하여 자동 잠금 기능과 암호 잠금 기능이 취소되고, 단말기는 원래 상태로 되돌아가기 때문에 사용자 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다.
즉, 상술한 바와 같은 구동방식에 의하면, 디스플레이부(151)가 비활성화된 상태에서 탭이 감지되면 자동 잠금 기능이 실행되기 직전의 화면정보가 다시 표시되기 때문에, 간편한 유저 인터페이스가 구현된다.
또한, 종래에는 잠금상태를 해제하기 위해서 버튼 등을 이용하여 디스플레이부(151)를 활성화하고, 잠금화면에 포함된 가상 키패드를 이용하여 암호를 입력해야하는 단점이 있었으나, 상기의 예시에서는 이러한 단점을 해결한다. 결론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는 비활성화된 상태에서 복수 번의 탭들에 의하여 곧바로 잠금해제되며, 기 설정된 화면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잠금화면이 표시된 디스플레이부에 암호를 입력하지 않아도 단말기를 잠금해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디스플레이부가 비활성화된 상태에서도 사용자는 새로운 형태로 단말기를 제어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제1 활성화 상태와 제2 활성화 상태는 디스플레이부가 활성화 상태에 있는 것을 의미한다. 제1 및 제2 와 같은 서수적 표현은 자동 잠금 기능이 실행되기 전의 활성화 상태와 실행된 후의 활성화 상태를 구분하기 위해 사용되었다. 예를 들어, 제1 활성화 상태는 자동 잠금 기능이 실행되기 전의 활성화 상태를 의미하고, 제2 활성화 상태는 스크린 온 기능이 실행된 후의 활성화 상태를 의미한다.
한편, 상기 제1 활성화 상태에서 표시된 화면정보가 제2 활성화 상태에서도 그대로 표시되어야 하기 때문에, 제어부(180)는 자동 잠금 기능이 실행되기 직전에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되던 화면정보를 메모리(160)에 저장한다. 화면정보에 애플리케이션에 의한 실행화면이 포함되는 경우, 제어부(180)는 상기 실행화면을 표시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 정보와 자동 잠금 기능이 실행되기 직전에 표시되던 실행화면의 링크 정보를 메모리(160)에 저장한다. 복수의 실행화면들이 포함된 경우, 각 실행화면에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 정보 등이 저장된다. 스크린 온 기능이 실행되어 디스플레이부(151)가 제2 활성화 상태가 되는 경우, 제어부(180)는 메모리(160)에 저장된 정보를 이용하여 제1 활성화 상태에서 표시되던 화면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한다.
다만, 제1 활성화 상태에서 표시된 화면정보와 제2 활성화 상태에서 표시되는 화면정보가 반드시 일치해야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제1 활성화 상태에서 카메라와 관련된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어 카메라와 관련된 실행화면이 표시되고, 상기 실행화면에 상기 카메라에 포착된 영상이 포함될 수 있다. 계속해서, 카메라와 관련된 실행화면이 화면정보로 표시되는 중에 자동 잠금 기능이 실행되고, 이후 탭에 의하여 제2 활성화 상태가 되면, 상기 카메라와 관련된 애플리케이션의 실행화면이 화면정보로 표시된다. 다만, 본체의 움직임에 따라 카메라에 포착된 영상은 달라질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제어부(180)는 "톡톡"에 의하여 스크린 온 기능이 실행되는 경우, 디스플레이부(151)에 제1 활성화 상태에서 표시되던 화면정보 상에 최근실행 앱 목록(recent apps) 또는 즐겨찾기 앱 목록(favorite apps)을 표시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부(151)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최근실행 앱 목록 또는 즐겨찾기 앱 목록이 표시될 수 있다. 이는 디스플레이부(151)가 "톡톡"에 의하여 비활성화 상태에서 활성화 상태로 전환된 만큼, 편리하게 화면을 전환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한편, 최근실행 앱 목록은 적어도 하나의 바로가기 아이콘을 포함하며, 상기 바로가기 아이콘은 상기 바로가기 아이콘에 대응되는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바로가기 아이콘의 종류는 상기 제1 활성화 상태에서 실행된 애플리케이션의 종류에 따라 달라진다.
한편, 제2 활성화 상태에서 표시되는 상기 최근실행 앱 목록 또는 상기 즐겨찾기 앱 목록은 사용자의 입력 또는 제어부에 의해 디스플레이부(151)에서 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크린 온 기능일 실행된 시점으로부터 소정의 시간이 지나면, 상기 최근실행 앱 목록 또는 상기 즐겨찾기 앱 목록은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되지 않을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있어서,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부(151)가 비활성화 상태에서 감지부(140)에 의하여 감지된 탭에 응답하여 제2 활성화 상태와 관련된 활성화 시간을 설정한다. 그리고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부(151)가 제2 활성화 상태로 전환된 후 상기 설정된 활성화 시간 동안 사용자 입력이 인가되지 않으면, 디스플레이부(151)를 비활성화한다.
즉, 자동 잠금 기능은, 제1 활성화 상태에서는 소정 시간 동안 사용자 입력이 인가되지 않으면 실행되며. 제2 활성화 상태에서는 상기 설정된 활성화 시간 동안 사용자 입력이 인가되지 않으면 실행된다. 즉, "톡톡"에 의하여 제2 활성화 상태가 실행되면, 제어부(180)는 소정 시간이 아닌 활성화 시간에 기초하여 자동 잠금 기능을 실행한다. 예를 들어, 제1 활성화 상태에서는 "10초" 동안 사용자 입력이 인가되지 않으면 자동 잠금 기능이 실행되고, 제2 활성화 상태에서는 "1분" 동안 사용자 입력이 인가되지 않으면 자동 잠금 기능이 실행될 수 있다.
"톡톡"에 의하여 디스플레이부(151)가 다시 활성화되는 것(또는, 스크린 온 기능이 실행된 것)은 사용자가 계속해서 이동 단말기를 사용할 의사가 있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톡톡"에 의하여 스크린 온 기능이 실행되면, 제어부(180)는 소정의 시간보다 상대적으로 긴 활성화 시간을 임시로 설정하고, 상기 활성화 시간에 기초하여 자동 잠금 기능을 실행한다. "톡톡"에 의하여 스크린 온 기능이 실행되면 활성화 시간이 설정되지만, 상기 활성화 시간은 한시적으로만 적용된다. 즉, "톡톡"이 아닌 다른 이유로 디스플레이부(151)가 활성화되면, 자동 잠금 기능은 활성화 시간이 아닌 디폴트로 설정된 소정 시간에 기초하여 실행된다.
한편, 본 발명에 있어서, 메모리(160)에는 이동 단말기가 스크린 온 기능을 실행하기 위한 복수의 기 설정된 탭들에 대한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기 설정된 탭들 각각에는 서로 다른 활성화 시간을 설정하기 위한 제어정보가 대응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메모리(160)에는 상기 복수의 기 설정된 탭들 각각에 대응되는 서로 다른 활성화 정보를 설정하기 위한 제어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즉, 상기 복수의 기 설정된 탭들 중 어느 탭이 감지되는지에 따라, 제어부(180)에 의하여 설정되는 활성화 시간이 달리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80)는 기 설정된 제1 탭이 감지되면, 제1 시간을 활성화 시간으로 설정하고, 상기 제1 탭과 다른 제2 탭이 감지되면, 상기 제1 시간과 다른 제2 시간을 활성화 시간으로 설정할 수 있다.
즉, 제어부(180)는 감지부(140)에 의하여 감지된 탭에 응답하여 스크린 온 기능을 실행하고, 상기 감지된 탭에 근거하여 서로 다른 활성화 시간을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활성화 시간은 감지된 탭의 횟수 및 세기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가변될 수 있다.
한편, 스크린 온 기능을 실행하기 위한 기 설정된 탭과, 상기 기 설정된 탭에 대응하는 활성화 시간은 단말기의 공장 출고시 메모리(160)에 저장되거나, 단말기의 사용자에 의하여 추가, 삭제 및 편집될 수 있다.
한편, 복수의 기 설정된 탭들 중 어느 하나의 탭은 스크린 온 기능을 실행하고 자동 잠금 기능을 비활성화하기 위한 탭일 수 있다. 자동 잠금 기능이 비활성화되면, 디스플레이부(151)는 상기 디스플레이부(151)를 끄거나 켜도록 형성되는 신호입력부(또는, 버튼부)가 가압되기 전까지 활성화 상태를 유지한다. 예를 들어, 상기 신호입력부는 전원 버튼이며, 자동 잠금 기능이 비활성화된 상태에서 디스플레이부(151)는 상기 전원 버튼이 사용자에 의하여 눌러져야만 비로소 비활성화된다. 즉, 활성화 시간이 무한으로 설정될 수 있다.
한편, 복수의 기 설정된 탭들 중 어느 하나의 탭은 스크린 온 기능을 실행하고, 활성화 시간을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을 수 있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된 화면정보 상에 활성화 시간의 입력과 관련된 그래픽 객체를 표시하기 위한 탭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크린 온 기능을 실행하기 위하여 기 설정된 탭은 본체를 제1 기준 횟수만큼 두드리는 제1 탭 및 상기 제1 탭이 가해진 후 기 설정된 시간 이내에 상기 본체를 제2 기준 횟수만큼 두드리는 제2 탭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 탭이 상기 본체와 접촉된 상태에서 해제되지 않고 접촉을 유지하는 경우, 제어부(180)는 상기 제2 탭에 대응하는 위치에 상기 그래픽 객체를 표시할 수 있다. 그래픽 객체가 표시되는 위치는 제2 탭이 감지된 위치에 따라 가변된다.
한편, 그래픽 객체가 표시된 상태에서, 상기 제2 탭은 상기 제2 탭에 대응하는 위치에서부터 시작되어 연속적으로 이동하는 드래그 입력으로 변환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80)는 상기 제2 탭에 대응하는 위치를 기준으로 상기 드래그 입력의 이동 거리를 산출하고, 산출된 이동 거리에 근거하여 활성화 시간을 설정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180)는 드래그 입력이 제1 거리만큼 이동하면 활성화 시간을 제1 시간으로 설정하고, 상기 제1 거리와 다른 제2 거리만큼 이동하면 활성화 시간을 상기 제1 시간과 다른 제2 시간으로 설정한다. 이로써, 사용자는 간편한 방법으로 활성화 시간을 다양하게 설정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제어부(180)는 "톡톡"이 감지됨에 따라 스크린 온 기능을 실행하고, 상기 스크린 온 기능과 관련된 가이드 정보(또는, 안내정보)를 디스플레이부(151)에 출력시킬 수 있다. 이러한, 가이드 정보는 탭이 정확하게 입력되었는지를 안내하는 정보일 수 있고, 상기 스크린 온 기능의 실행에 따라 설정된 활성화 시간을 안내하는 정보일 수 있으며, 자동 잠금 기능이 비활성되었음을 안내하는 정보일 수 있다. 이러한 가이드 정보는, 시각, 청각 및 촉각 중 적어도 하나의 방식을 통하여 출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크린 온 기능이 실행되었습니다. 활성화 시간으로 1분이 설정 되었습니다"와 같은 음성 메시지가 스피커에 의하여 출력되거나, 그래픽 이미지가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톡톡"에 의하여 스크린 온 기능이 실행되거나, 자동 잠금 기능이 비활성화되면,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부(151) 가장자리에 하이라이트 처리를 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부를 활성화 상태로 유지하는 활성화 시간이 "톡톡"에 의하여 변경되면, 상기 디스플레이부(151)의 가장자리에 시각적 효과를 가미될 수 있다.
이로써, 사용자는 스크린 온 기능과 관련된 정보를 안내받을 수 있다.
한편,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디스플레이부(151)가 비활성화된 상태에서 "톡톡"이 감지되었으나, 감지된 탭이 기 설정된 탭에 매칭되지 않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어부(180)는 잠금상태를 해제하지 않으며, 디스플레이부(151)를 비활성화된 상태로 유지한다. 즉, 제어부(180)는 감지된 탭을 무시한다. 다만, 사용자에게 탭이 잘못 인가되었음을 안내하기 위하여, 본체의 전면에 배치된 발광부를 이용하여 실행할 수 있는 기능이 없음(또는, 탭의 패턴이 잘못 입력되었음)을 안내한다. 예를 들어, 발광부는 적색 조명을 복수 번 깜빡임으로써, 탭의 패턴이 잘못 입력되었음을 안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기 설정된 탭에 해당하지 않는 "톡톡"이 연속적으로 감지될 수 있다. 즉, 매칭되지 않는 탭이 기준 시간이내에 기준 횟수만큼 반복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부(151)를 활성화하고, 암호를 입력받도록 형성되는 잠금화면을 표시한다. 실패 케이스가 반복되는 것은 사용자가 기 설정된 탭을 잘못 알고 있는 경우에 해당하므로, 제어부(180)는 잠금을 해제할 수 있는 잠금화면을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한다. 이후, 사용자는 잠금화면에 터치 입력을 인가하여 잠금상태를 해제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80)는 자동 잠금 기능이 실행된 시점으로부터 설정된 기준시간 이내에 기 설정된 탭이 감지되는 경우에 한하여 스크린 온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즉, 자동 잠금 기능의 실행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51)가 비활성화된 시점으로부터 기준시간 이내에 기 설정된 탭이 감지되는 경우에는 스크린 온 기능이 실행되지만, 이와 달리 기준시간 이후에 기 설정된 탭이 감지되는 경우에는 스크린 온 기능이 실행되지 않는다. 이는, 사용자가 의도하지 않은 순간에 자동 잠금 기능이 실행되었을 때, 상기 자동 잠금 기능을 간편하고 빠른 방법으로 취소하기 위한 기능이 자동 잠금 기능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기준시간은 예를 들어 2초처럼 짧은 시간으로 설정될 수 있다. 한편, 자동 잠금 기능이 실행된 시점으로부터 기준시간이 지나면, 사용자의 의도에 의하여 자동 잠금 기능이 실행된 것이므로, 단말기는 제어명령의 입력이 제한되는 잠금상태로 전환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사용자는 스크린 온 기능을 실행하기 위한 사용자 고유의 탭을 등록하거나 편집할 수 있으며, 상술한 기준시간을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다. 이로써, 사용자에게 맞춤형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동방식에 의하면, 사용자는 자동 자금 기능이 실행된 단말기 본체 또는 본체가 놓여있는 물체를 "톡톡"하고 두드림으로써, 자동 잠금 기능이 실행되기 전의 상태로 되돌릴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는 사용자에게 보다 직관적이고, 비교적 간단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4에서 살펴본 제어방법에 따라 이동 단말기를 제어하는 방법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과 함께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먼저, 자동 자금 기능이 실행되어 디스플레이부(151)가 비활성화된 상태에서 "톡톡"에 근거하여 스크린 온 기능을 실행하는 방법에 대하여 살펴본다. 도 5a, 도 5b, 도 5c 및 도 5d는 도 4에 도시된 제어방법을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는, 디스플레이부(151)가 활성화된 상태에서 소정 시간 동안 사용자 입력이 인가되지 않으면 상기 디스플레이부(151)를 비활성화 상태로 전환하는 자동 잠금 기능이 실행될 수 있다. 한편, 자동 잠금 기능과 암호 잠금 기능이 연동되면, 자동 잠금 기능이 실행됨과 동시에 이동 단말기는 잠금상태가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는, 디스플레이부(151)가 비활성화된 상태(또는 오프된 상태)에서도 이동 단말기 본체 또는 물체가 두드려지는 것을 감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51)가 비활성화된 상태에서, 기준시간 이내에 이동 단말기 본체 또는 물체가 기 설정된 방법으로 두드려지는 경우,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부(151)를 활성화 상태로 전환시킬 수 있다.
이때, 제어부(180)는 자동 잠금 기능이 실행된 시점(또는, 디스플레이부가 비활성화된 시점)부터 시간 카운팅을 시작하고, 기준시간 이내에 기 설정된 탭이 인가되는지를 판단한다. 상기 기준시간이 지나면, 제어부(180)는 감지되는 탭을 무시한다. 제어부(180)는 배터리 소모를 줄이기 위하여 상기 기준시간이 지나면 감지부(140)를 비활성화하거나 기 설정된 주기로 활성화할 수 있다.
계속해서, 제어부(180)는 기 설정된 탭이 감지되는 것에 대응하여, 디스플레이부(151)의 조명을 온 시킬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80)는 자동 잠금 기능이 실행되기 직전에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된 화면정보를 다시 상기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할 수 있다. 만약, 이동 단말기가 잠금상태였다면, 잠금상태는 해제상태로 전환되고, 디스플레이부(151) 상에는 잠금화면 대신에 상기 화면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즉, 해제상태로 전환될 때, 디스플레이부(151) 상에 가장 처음에 출력되는 화면은, 잠금상태가 실행되기 전 가장 최근에 디스플레이부(151) 상에 출력되었던 화면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a의 (a)에 도시된 것과 같이, 홈 스크린 페이지가 표시되고 있던 중, 소정 시간 동안 이동 단말기 상에 제어명령이 인가되지 않은 경우, 도 5a의 (b)에 도시된 것과 같이, 디스플레이부(151)의 조명이 꺼질 수 있다(이러한 경우를, 'Time out으로, 디스플레이부(151) 조명이 오프 되었다' 또는 '자동 잠금 기능이 실행되었다'고 표현할 수 있음). 이후, 제어부(180)는 기준시간 이내에 본체(100)가 기 설정된 방법에 의하여 탭되면, 도 5a의 (c)에 도시된 것과 같이, 조명이 오프되기 전 출력되고 있었던 화면정보, 즉 홈 스크린 페이지를 다시 출력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있어서,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부(151)가 비활성화 상태에서 감지된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제2 활성화 상태와 관련된 활성화 시간을 설정한다. 그리고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부(151)가 제2 활성화 상태로 전환된 후 상기 설정된 활성화 시간 동안 사용자 입력이 인가되지 않으면, 디스플레이부(151)를 비활성화한다.
상기 활성화 시간은 감지된 사용자 입력에 따라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사용자 입력이 감지되면, 제1 활성화 시간이 설정되고, 상기 제1 사용자 입력과 다른 제2 사용자 입력이 감지되면, 상기 제1 활성화 시간과 다른 제2 활성화 시간이 설정될 수 있다.
이러한 활성화 시간이 설정되면,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부(151)의 일부 영역에 설정된 활성화 시간과 관련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상기 활성화 시간과 관련된 정보는, 설정된 활성화 시간 및 자동 잠금 기능이 실행되기까지 남은 나머지 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나머지 시간은 분 또는 초 단위로 카운팅되며, 상기 나머지 시간이 카운팅 되는 것이 디스플레이부(151)에 시각적으로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a의 (c)에 도시된 것과 같이, 이동 단말기(100)의 상태정보가 표시되는 상태정보 영역(또는, 인디케이터, 510)에 활성화 시간과 관련된 정보(512)가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는 활성화 시간과 관련된 정보를 확인함으로써, 자동 잠금 기능이 실행되기까지 남은 시간을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로부터 제어명령이 인가되면, 제어부(180)는 나머지 시간을 리셋하고, 사용자로부터 제어명령이 인가된 시점으로부터 다시 카운팅을 시작한다. 예를 들어, 설정된 활성화 시간이 5분이고, 나머지 시간이 2분인 시점에서 터치가 감지되면, 제어부(180)는 상기 나머지 시간을 리셋하고, 상기 터치가 해제된 시점으로부터 5분을 다시 카운팅하기 시작한다.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활성화 시간과 관련된 정보에 대한 터치가 감지되면, 제어부(180)는 자동 잠금 기능과 관련된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실행화면을 이용하여, 자동 잠금 기능을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하거나, 활성화 시간을 재설정할 수 있다.
한편, 도 5b의 (a)에 도시된 것과 같이, 임의의 기능(예를 들어, 카메라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고 있던 중, 자동 잠금 기능이 실행되면, 도 5b의 (b)에 도시된 것과 같이, 디스플레이부(151)가 비활성화될 수 있다. 한편, 기준시간 내에 기 설정된 탭이 감지되면, 도 5a의 (c)에 도시된 것과 같이, 스크린 온 기능이 실행될 때에 상기 임의의 기능에 대응하는 실행화면이 다시 표시될 수 있다. 즉, 제어부(180)는 상기 임의의 기능(예를 들어, 카메라 촬영 기능)을 동일하게 활성화시킬 수 있다. 이때, 본체의 위치가 변화함에 따라, 카메라에 포착된 영상은 달라질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도 5c의 (a)에 도시된 것과 같이, 책상 위에 이동 단말기가 놓여있는 상태에서 디스플레이부(151)에 홈 스크린 페이지가 표시될 수 있다. 그리고, 도 5c의 (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소정 시간 동안 제어명령이 입력되지 않으면, 자동 잠금 기능이 실행되어 디스플레이부(151)가 비활성화될 수 있다. 이때, 도 5c의 (c)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어부(180)는 본체와 닿아있는 물체에 가해지는 탭이 기 설정된 탭과 매칭되면, 스크린 온 기능을 실행하고, 홈 스크린 페이지를 다시 표시할 수 있다.
한편, 스크린 온 기능은 디스플레이부(151)가 비활성화된 상태뿐만 아니라, 활성화된 상태에서도 실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d의 (a)에 도시된 것과 같이, 자동 잠금 기능이 실행되어 디스플레이부(151)가 비활성화될 수 있다. 이후, 도 5d의 (b)에 도시된 것과 같이, 디스플레이부(151)를 끄거나 켜도록 형성되는 신호입력부(132)가 가압되면,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부(151)를 활성화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151)에 잠금화면을 표시한다. 계속해서, 도 5d의 (c)에 도시된 것과 같이, 잠금화면이 표시된 상태에서 기 설정된 조건에 대응하는 사용자 입력이 인가될 수 있다. 자동 잠금 기능이 실행된 시점으로부터 기준시간 이내 상기 사용자 입력이 인가되면, 도 5d의 (d)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어부(180)는 상기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디스플레이부(151)에 자동 잠금 기능이 실행되기 전에 표시되던 화면정보를 표시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는, 단말기 또는 물체를 두드리는 간단한 방법으로 이동 단말기를 자동 자금 기능이 실행되기 전의 상태로 되돌릴 수 있다. 이를 통해 제어부(180)는 사용자에게 보다 친숙한 UX(User Experience)를 제공할 수 있다.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자동 잠금 기능의 실행 중에 탭에 근거하여 상기 자동 잠금 기능을 취소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6a를 참조하면, 제어부(180)는 자동 잠금 기능이 실행되면, 활성화 상태의 디스플레이부(151)를 단계적으로 비활성화시킬 수 있다. 즉,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부를 조명하는 내부에 구비된 조명의 밝기를 단계적으로 어둡게 조절하다가, 최종에는 조명을 완전히 오프(off) 시킬 수 있다. 이는 사용자에게 자동 잠금 기능이 실행될 예정임을 안내하기 위함이다.
이때, 제어부(180)는, 도 6a에 도시된 것과 같이, 자동 잠금 기능이 실행되어 디스플레이부(151)가 비활성화된 상태뿐만 아니라, 도 6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자동 잠금 기능이 실행 중인 상태(또는, 화면정보의 밝기가 단계적으로 어두워지는 과정)에서도 기 설정된 조건에 대응하는 탭이 감지되면 스크린 온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디스플레이부(151)가 비활성화된 상태에서 "톡톡"이 감지되는 경우를 전제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다만, 이하에서 기재되는 실시 예들은 디스플레이부(151)가 활성화 상태에서 비활성화 상태로 전환되는 중에 "톡톡"이 감지되는 경우에도 적용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는, 스크린 온 기능이 실행된 경우, 디스플레이부(151) 상에 자동 잠금 기능이 실행되기 전에 표시되었던 화면정보를 표시한다. 뿐만 아니라,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부(151)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최근실행 앱 목록이나 즐겨찾기 앱 목록을 표시할 수 있다. 이러한 앱 목록은 적어도 하나의 바로가기 아이콘을 포함하며, 설정된 조건에 따라 앱 목록에 포함된 바로가기 아이콘의 종류 및 순서 중 적어도 하나가 변경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바로가기 아이콘은 상기 바로가기 아이콘에 대한 터치에 응답하여 바로가기로 설정된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도록 형성된다.
예를 들어, 도 7을 참조하면, 카메라 애플리케이션의 실행에 따른 실행화면이 화면정보로 표시되는 중에 자동 잠금 기능이 실행되어 디스플레이부(151)가 비활성화 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 이후, 기 설정된 조건에 대응하는 탭이 감지되면, 제어부(180)는 스크린 온 기능을 실행하고, 자동 잠금 기능이 실행되기 전에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던 화면정보를 다시 표시한다.
한편,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부(151)의 일부 영역(720)에 최근실행 앱 목록을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최근실행 앱 목록에 포함된 바로가기 아이콘의 종류는 최근에 실행된 애플리케이션의 종류에 따라 가변된다. 또한, 최근 실행 앱 목록은 일정시간이 지나거나, 상기 일부 영역(720)에 해당하는 창을 닫거나, 상기 창을 디스플레이부(151)의 경계로 끌어내리는 제스처 등에 의하여 디스플레이부(151) 상에서 사라질 수 있다. 이로써, 사용자는 홈 버튼 등을 누르지 않아도 디스플레이부(151) 상에 표시된 앱 목록을 이용하여 특정 애플리케이션을 빠르게 실행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스크린 온 기능을 실행하기 위하여 기 설정된 복수의 탭들 중 어느 하나에 의하여 활성화 상태와 관련된 설정 값을 다르게 설정하는 방법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도 8a, 도 8b, 도 8c 및 도 9a 및 도 9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탭의 특성에 따라 활성화 상태와 관련된 설정 값을 다르게 설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는, 디스플레이부(151)가 비활성화된 상태에서도 이동 단말기 본체 또는 물체가 두드려지는 것을 감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51)가 비활성화된 상태에서, 기준시간 이내에 기 설정된 조건에 대응하는 탭이 감지되는 경우, 제어부(180)는 스크린 온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스크린 온 기능을 실행함과 동시에 활성화 상태와 관련된 활성화 시간을 설정할 수 있다. 활성화 시간은 스크린 온 기능의 실행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51)가 활성화된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부(151)가 활성화 상태를 유지하는 시간을 의미한다. 상기 활성화 시간 동안 사용자로부터 제어명령이 인가되지 않으면, 디스플레이부(151)는 다시 비활성화 상태로 전환된다.
한편, 활성화 시간은 다양할 수 있는데, 제어부(180)는 메모리(160)에 저장된 복수의 탭들 중에서 어느 탭이 감지되었는지에 따라 서로 다른 활성화 시간을 설정할 수 있다. 즉, 활성화 시간은 감지된 탭의 속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80)는 감지된 탭의 횟수, 감지된 탭의 세기, 감지된 탭 대상체의 개수 등에 따라 서로 다른 활성화 시간을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80)는 감지된 탭의 횟수가 많을수록 활성화 시간을 보다 길게 설정할 수 있다. 도 8a에 도시된 것과 같이, 연속으로 두 번 두드리는 "톡톡"이 감지되면, 활성화 시간이 1분으로 설정되고, 도 8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연속으로 세 번 두드리는 "톡톡"이 감지되면, 활성화 시간이 5분으로 설정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제어부(180)는 감지된 탭의 세기가 강할수록 활성화 시간을 보다 길게 설정할 수 있다. 9a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1 세기로 두드리는 "톡톡"이 감지되면, 활성화 시간이 5분으로 설정되고, 도 9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제1 세기보다 상대적으로 약한 제2 세기로 두드리는 "톡톡"이 감지되면, 활성화 시간이 1분으로 설정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제어부(180)는 감지된 탭에 대응하여, 상기 스크린 온 기능의 실행에 따라 설정된 활성화 시간에 대한 가이드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이러한 가이드 정보는, 시각, 청각 및 촉각 중 적어도 하나의 방식을 통하여 출력될 수 있다.
이는 사용자가 단말기를 많이 두드릴수록 또는 단말기를 세게 두드릴수록 자동 자금 기능의 취소를 강렬히 원하는 것으로 해석되기 때문이다. 이로써 사용자에게 보다 직관적인 사용자 인터페이스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80)는 감지된 탭의 횟수가 기 설정된 횟수보다 많으면, 스크린 온 기능을 실행하되 자동 잠금 기능을 비활성화할 수 있다. 즉, 제어부(180)는 감지된 탭에 응답하여 스크린 온 기능을 실행하지만, 디스플레이부(151)를 끄거나 켜도록 형성되는 버튼부에 사용자 입력이 가해지기 전까지 디스플레이부(151)를 활성화 상태로 유지한다. 예를 들어, 자동 잠금 기능이 비활성화되면, 사용자에 의하여 전원 버튼이 눌러져야만 비로소 디스플레이부(151)가 비활성화된다. 이로써, 사용자는 사용자가 원하는 순간에 디스플레이부(151)를 비활성화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도 8c의 (d)에 도시된 것과 같이, 자동 잠금 기능이 비활성화되면, 디스플레이부(151) 가장자리에 하이라이트 처리를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151)의 가장자리에 대한 깜빡임 처리, 강조 처리, 색변경 처리 등의 시각적 효과를 가미할 수 있다. 이러한 하이라이트 처리는, 자동 잠금 기능이 비활성화되는 경우뿐만 아니라, 디스플레이부(151)의 활성화 시간이 "톡톡"에 의하여 변경되는 경우에도 적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는, 서로 다른 "톡톡"의 특성에 따라 서로 다른 활성화 시간을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서로 다른 "톡톡"의 특성은, 사용자가 통상적, 관념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특성일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제어부(180)는 사용자에게 보다 친숙한 UX(User Experience)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0a 및 도 10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특정 위치에 탭이 감지되는 경우 활성화 상태와 관련된 설정 값을 다르게 설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제어부(180)는 본체의 특정 위치에 감지되는 "톡톡"에 응답하여 활성화 상태와 관련된 설정 값을 변경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가 활성화된 상태에서 이동 단말기의 특정 위치에 "톡톡"이 가해지는 경우,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활성화 시간을 변경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180)는 자동 잠금 기능을 비활성화시키거나 활성화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0a의 (a)에 도시된 것과 같이, 디스플레이부(151)가 활성화되어 화면정보를 표시하는 중, 전면 카메라(121)가 배치된 위치에 기 설정된 탭이 감지되는 경우, 제어부(180)는 자동 잠금 기능을 비활성화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80)는 자동 잠금 기능이 바활성화됨을 알리기 위하여, 디스플레이부(151)의 가장자리를 하이라이트 처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151)의 가장자리에 강조 처리, 색 변경 처리 등의 시각적 효과를 가미할 수 있다.
또한, 도 10a의 (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자동 잠금 기능이 비활성화된 상태에서 전면 카메라(121)가 배치된 위치에 기 설정된 탭이 감지되는 경우, 제어부(180)는 자동 잠금 기능을 활성화시킬 수 있다.
한편, 제어부(180)는 도 10b의 (a)에 도시된 것과 같이, 디스플레이부(151)가 비활성화된 상태에서, 전면 카메라(121)가 배치된 위치에 기 설정된 탭이 감지되는 경우, 최근실행 앱 목록을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0b의 (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최근실행 앱 목록에 포함된 바로가기 아이콘들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80)는, 도 10b의 (c)에 도시된 것과 같이, 자동 잠금 기능을 비활성화하고, 선택된 바로가기 아이콘에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부(151)가 비활성화된 상태에서, 디스플레이부(151)를 두드리는 복수 번의 탭들이 감지되었으나, 상기 감지된 탭들에 의하여 형성되는 패턴이 잠금해제를 위한 동작 패턴과 매칭되지 않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잘못된 탭이 인가된 경우와 관련된 제어방법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도 11a 및 도 1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잘못된 탭이 인가된 경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화면정보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이동 단말기에 스크린 온 기능과 관련이 없는 탭들(또는, 기 설정된 조건에 매칭되지 않는 탭)이 감지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어부(180)는 스크린 온 기능을 실행하지 않고, 디스플레이부(151)를 비활성화된 상태로 유지한다. 즉, 제어부(180)는 감지된 탭을 무시(ignore)한다. 다만, 사용자에게 탭이 잘못 인가되었음을 안내하기 위하여, 발광부를 이용하여 실행할 수 있는 기능이 없음(또는, 탭의 패턴이 잘못 입력되었음)을 안내한다. 예를 들어, 발광부는 적색 조명을 복수 번 깜빡임으로써, 탭의 패턴이 잘못 입력되었음을 안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기 설정된 조건에 매칭되지 않는 탭들이 연속적으로 감지될 수 있다. 즉, 스크린 온 기능과 관련이 없는 탭들이 기준 시간이내에 기준 횟수만큼 반복적으로 감지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부(151)를 활성화하되, 잠금화면를 표시한다. 잘못된 탭들이 반복적으로 입력되는 것은 사용자가 기 설정된 탭을 잘못 알고 있는 경우에 해당하므로, 제어부(180)는 잠금을 해제할 수 있는 잠금화면을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한다. 이후, 사용자는 탭이 아니라, 잠금화면에 터치를 입력하여 홈 스크린 페이지로 진입할 수 있다.
자동 잠금 기능이 암호 잠금 기능과 연동되는 경우, 도 11a의 (c)에 도시된 것과 같이, 잠금화면은 암호를 입력받도록 형성되는 가상 키패드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80)는 기 설정된 조건에 매칭되지 않는 탭들이 연속적으로 감지되는 경우, 잠금화면을 표시하되, 상기 잠금화면의 배경 이미지로 자동 잠금 기능이 실행되기 직전의 화면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1b의 (a)에 도시된 것과 같이, 홈 스크린 페이지가 표시되는 중에 자동 잠금 기능이 실행될 수 있다. 이후, 도 11b의 (b)에 도시된 것과 같이, 기 설정된 조건에 매칭되지 않는 탭들이 연속적으로 감지되면, 제어부(180)는, 도 11b의 (c)에 도시된 것과 같이, 잠금화면의 배경 이미지로 홈 스크린 페이지를 표시할 수 있다. 이때, 배경 이미지는 이미지에 불과하므로 아이콘이 표시된 위치에 터치가 인가되도 해당 아이콘에 의한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지 않는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는 기 설정된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여 스크린 온 기능이 실행될 뿐만 아니라, 활성화 시간을 설정하기 위한 그래픽 객체가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2a, 도 12b 및 도 12c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디스플레이부를 활성화 상태로 유지하기 위한 활성화 시간을 설정하는 방법을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는, 자동 잠금 기능이 실행된 시점으로부터 기준시간 이내에 기 설정된 사용자 입력이 인가되면, 스크린 온 기능이 실행된다. 예를 들어, 본체를 연속해서 두 번 두드리는 사용자 입력이 인가되거나, 기 설정된 시간동안 터치를 유지하는 롱 터치하는 사용자 입력이 인가되면 스크린 온 기능이 실행될 수 있다.
한편, 기 설정된 사용자 입력에 포함된 마지막 탭/터치가 단말기와 접촉된 상태에서 해제되지 않고 접촉을 유지하는 경우(이를, '홀드(hold)'라고 호칭함), 제어부(180)는 상기 마지막 탭/터치에 대응하는 위치에 활성화 기능을 설정하도록 형성되는 그래픽 객체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지막 탭이 홀드되는 경우, 제어부(180)는 스크린 온 기능을 실행하고, 마지막 탭/터치가 감지된 위치를 중심점으로 하는 원형 모양의 그래픽 객체(1210)를 표시할 수 있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중심점을 "제1 위치"라고 호칭하며, 상기 제1 위치를 나타내는 십자가 모양의 식별자(1212)를 도면에 도시하였다.
계속해서, 도 12a의 (d)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마지막 탭/터치는 제1 위치에서부터 제2 위치로 연속적으로 이동하는 드래그 입력으로 전환될 수 있다. 즉, 터치는 해제되지 않고, 연속해서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제2 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터치가 해제되지 않고 이동함에 따라, 이동 방향 및 이동 거리에 근거하여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되는 그래픽 객체의 크기를 변경할 수 있다(1210→1210').
한편, 제어부(180)는 상기 제1 위치와 상기 제2 위치 사이의 거리에 대응하는 활성화 시간을 산출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180)는 드래그 입력이 제1 거리만큼 이동하면, 상기 제1 거리에 대응하는 제1 활성화 시간을 산출하고, 상기 제1 거리보다 더 긴 제2 거리만큼 이동하면, 상기 제1 활성화 시간보다 더 긴 제2 활성화 시간을 산출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산출된 활성화 시간에 대한 정보(1220)를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된 활성화 시간(1220)을 이용하여 설정될 활성화 시간을 확인할 수 있고, 원하는 활성화 시간이 설정되도록 드래그 입력을 인가할 수 있다.
이때, 그래픽 객체의 크기가 드래그 입력에 따라 변형되기 때문에(1210→1210'), 사용자에게 직관적인 인터페이스가 제공될 수 있다.
계속해서, 드래그 입력으로 전환된 터치가 임의 위치에서 해제되면, 제어부(180)는 제1 위치와 임의 위치의 거리에 근거하여 활성화 시간을 설정할 수 있다.
한편, 활성화 시간은 최소 시간과 최대 시간 사이에서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최소 시간은 3초로 설정되고, 최대 시간은 15분으로 설정될 수 있다. 제1 위치와 터치가 해제된 임의 위치 사이의 거리가 상기 최소 시간에 대응하는 거리보다 짧은 경우, 제어부(180)는 자동 잠금 기능을 실행하거나, 그래픽 객체를 다시 표시하거나, 활성화 시간을 디폴트 시간으로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2b의 (a) 및 (b)를 참조하면, 제어부(180)는 기 설정된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활성화 시간을 설정하도록 형성되는 관련된 그래픽 객체(1230)를 표시할 수 있다. 이후, 드래그 입력에 의하여 그래픽 객체의 크기가 변경될 수 있으며(1230→1230'), 이동 거리에 대응하는 활성화 시간과 관련된 정보(1240)가 표시될 수 있다.
이후, 터치가 해제되면, 해제된 위치를 기준으로 활성화 시간이 설정되며, 자동 잠금 기능이 실행되기 전에 표시되던 화면정보가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된다.
한편,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부(151)의 일부 영역에 설정된 활성화 시간과 관련된 정보(1260)를 표시할 수 있다. 상기 활성화 시간과 관련된 정보(1260)는, 설정된 활성화 시간 및 자동 잠금 기능이 실행되기까지 남은 나머지 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나머지 시간은 분 또는 초 단위로 카운팅되며, 상기 나머지 시간이 카운팅 되는 것이 디스플레이부(151)에 시각적으로 표시될 수 있다.
한편, 도 12c의 (a)를 참조하면, 이동 단말기(100)는 디스플레이부(151) 상에 화면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여기에서 화면정보는 디스플레이부(151) 상에 출력되는 것이 가능한 그래픽 이미지로서, 그 종류에 무관하다. 예를 들어, 상기 화면정보는 동영상 재생 애플리케이션의 실행화면이 될 수 있다.
상기 화면정보가 표시되는 중에 소정 시간 동안 사용자에 의한 제어명령이 입력되지 않으면, 자동 잠금 기능이 실행되고, 상기 화면정보를 저장한다. 메모리(160)에 저장되는 화면정보는 자동 잠금 기능이 실행되는 때의 화면정보이다. 즉, 사용자가 마지막으로 본 실행화면이 저장된다.
도 12c의 (b)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부(151)는 자동 잠금 기능이 실행되어 비활성화된 상태로 전환된다. 이후, 기 설정된 사용자 입력이 감지되고 상기 기 설정된 사용자 입력에 포함된 복수의 탭들 중 마지막 탭이 홀드(hold) 되는 경우, 도 12c의 (c)에 도시된 것과 같이, 디스플레이부(151)는 활성화되고, 잠금화면이 표시될 수 있다. 여기서 잠금화면은 특정화면(예: 대기화면, 홈 스크린 페이지 등) 또는 다른 화면정보의 노출을 차단하거나 제한하도록 형성되는 이미지를 말한다.
도 12c의 (c)를 참조하면, 제어부(180)는 상기 마지막 탭에 대응하는 터치를 감지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80)는 상기 터치에 근거한 잠금 화면의 일 영역을 상기 메모리(160)에 저장된 화면정보의 일부로 전환시킬 수 있다. 즉, 상기 디스플레이부(151)는 상기 터치된 지점을 포함하여 기 설정된 정도로 확장된 일 영역에 상기 잠금화면 대신 상기 화면정보의 일부를 표시한다.
터치에 근거하여 전환되는 상기 디스플레이부(151)의 일 영역을 전환범위로 정의한다. 상기 전환범위의 크기는 일반적으로 성인 집게 손가락 끝의 크기보다 약간 더 크게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전환범위는 터치된 지점을 기준으로 동일한 길이만큼 확장된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삼각형, 사각형, 별 모양, 물방울 모양, 사람의 윤곽 등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화면정보의 일부가 표시되는 상기 전환범위는 입체감을 느끼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전환범위의 화면정보는 상기 잠금화면의 나머지 영역보다 튀어나와 보이도록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전환범위는 물방울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전환범위의 화면정보는 물방울에 투영되는 것과 같이 출력될 수 있다. 즉, 상기 화면정보는 굴절된 것과 같은 형상으로 표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부(151)를 터치하면 물방울이 형성되는 것과 같은 심미감을 느낄 수 있다.
한편, 도 12의 (d)에 도시된 것과 같이, 마지막 탭에 대응하는 터치가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로 연속적으로 이동함에 따라 전환범위가 확장될 수 있다. 상기 제1 위치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드래그 입력이 감지되면, 상기 전환범위는 드래깅되는 방향으로 확장된다. 즉, 잠금화면으로부터 전환되는 화면정보의 일부(311)의 정도가 증가한다.
또한, 상기 제1 위치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드래그 입력이 감지되면, 상기 전환범위의 크기는 다시 축소된다. 즉, 드래그 입력의 방향에 근거하여 전환범위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자동 잠금 기능이 실행되기 전에 표시되었던 화면정보를, 기 설정된 이미지의 일부로 볼 수 있으므로 스크린 온 기능을 실행하지 않아도 간단한 정보를 편리하게 제공받을 수 있다.
한편,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제2 위치로 이동한 드래그 입력이 해제되면, 제어부(180)는 스크린 온 기능을 실행하고, 상기 제1 및 제2 위치 사이의 거리에 근거하여 활성화 시간을 설정할 수 있다. 활성화 시간이 설정되는 방법에 대해서는 도 12a를 참조하여 상술하였으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한편, 제2 위치로 이동한 드래그 입력이 해제되었으나, 제1 및 제2 위치 사이의 거리가 최소 시간에 대응하는 거리보다 짧은 경우, 제어부(180)는 스크린 온 기능을 실행하지 않고, 잠금화면을 계속해서 표시한다.
드래그 입력에 의하여 스크린 온 기능이 실행될 뿐만 아니라, 잠금화면과 메모리에 저장된 화면정보가 동시에 표시될 수 있기 때문에 동적인 인터페이스가 제공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사용자 입력에 근거하여 잠금상태의 단계를 조절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는 단말기의 보안상태가 단계적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기의 보안상태는 터치에 의하여 제어명령을 인가할 수 있는 해제상태, 터치에 의한 제어명령의 입력이 제한되는 제1 보안상태, 터치에 의한 제어명령의 입력이 제한되며 상대적으로 간단한 암호(예를 들어, 8자리 미만의 암호 입력, 터치 궤적)의 입력이 요구되는 제2 보안상태, 상대적으로 복잡한 암호(예를 들어, 8자리 이상의 암호 입력, 지문 인식, 얼굴 인식, 음성 인식 등)의 입력이 요구되는 제3 보안상태 등과 같이 단계적으로 구현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부(151)가 활성화된 상태에서 서로 떨어진 위치에서 동시에 인가된 제1 및 제2 터치가 상호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이동하는 경우, 상술한 단말기의 보안상태를 변경할 수 있다. 즉, 두 손가락을 화면에 대고 좁히는 핀치 인(pinch in) 제스처가 감지되면, 제어부(180)는 보안상태를 단계적으로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3에 도시된 것과 같이, 터치에 의하여 제어명령을 인가할 수 있는 해제상태는 핀치 인(pinch in)에 의하여 잠금화면을 표시하는 제1 보안상태나 암호의 입력이 요구되는 제2 보안상태로 변경될 수 있다. 이로써, 사용자는 간단한 방법으로 보안상태(또는, 보안레벨)를 변경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는, 특정 애플리케이션의 실행시에 실행화면으로 표시되는 정보 중 적어도 일부가 잠금화면에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14a, 도 14b, 도 14c, 도 15a 및 도 1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사용자 입력에 의하여 선택된 콘텐츠를 잠금화면에 추가하고, 잠금화면에 표시되는 콘텐츠를 실시간으로 업데이트 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는, 이동 단말기에 설치된 복수의 애플리케이션들 중 어느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고, 디스플레이부(151)에는 실행중인 애플리케이션의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GUI)가 표시될 수 있다. 실행화면에는 애플리케이션에 의하여 생산되거나 서버로부터 수신되며, 이미지, 동영상, 텍스트 및 아이콘의 형태로 구현되는 시각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문자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면,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메시지들이 시각정보로 표시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80)는 실행화면이 표시된 상태에서 사용자 입력에 근거하여 잠금화면에 추가하고자 하는 시각정보를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행화면이 표시된 상태에서 디스플레이부(151) 상의 서로 떨어진 위치에 제1 내지 제3 터치가 동시에 인가될 수 있다. 상기 제1 내지 제3 터치가 상호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이동하는 경우, 상기 제1 내지 제3 터치가 위치한 영역에 표시되는 시각정보가 선택될 수 있다. 시각정보를 선택하는 이러한 사용자 입력을 "세 손가락 핀치 인"이라고 호칭한다.
한편, 상기 세 손가락 핀치 인에 의하여 선택된 시각정보는 상기 제1 내지 제3 터치가 해제됨과 동시에 잠금화면의 일 영역에 추가될 수 있다. 즉,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부(151)에 잠금화면이 표시되어야 할 때, 잠금화면 상에 상기 선택된 시각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이러한 기능을 "앱 스냅샷(app snapshot)" 기능이라고 호칭한다.
한편, 잠금화면 상에서 상기 선택된 시각정보가 표시되는 영역의 크기 및 위치는 사용자 입력에 근거하여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80)는 상기 선택된 시각정보를 잠금화면 상에 표시하기 위하여, 관련된 애플리케이션을 디스플레이의 백그라운드(background)로 실행할 수 있다. 즉, 잠금화면을 표시하되, 애플리케이션을 멀티태스킹으로 실행하고, 상기 애플리케이션에 의하여 산출된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잠금화면에 표시되는 시각정보를 실시간 업데이트 할 수 있다.
한편, 앱 스냅샷 기능에 의하여 잠금화면에 추가되는 시각정보는 다양할 수 있는데, 제어부(180)는 실행중인 애플리케이션의 종류 및 실행화면 중에서 세 손가락 핀치 인이 인가되는 영역에 근거하여 서로 다른 시각정보를 잠금화면에 추가시킬 수 있다.
실시 예에 있어서, 도 14a의 (a)에 도시된 것과 같이, 날씨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면, 복수의 도시들에 대한 날씨정보가 리스트 형식으로 표시될 수 있다. 계속해서, 도 14a의 (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세 손가락 핀치 인에 의하여 "서울"이 선택되면, 선택된 "서울"의 날씨정보에 대한 앱 스냅샷 기능이 실행된다. 즉, 도 14a의 (c) 및 (d)에 도시된 것과 같이, 잠금화면 상에 "서울"의 날씨정보가 실시간으로 표시될 수 있다.
실시 예에 있어서, 도 14b의 (a)에 도시된 것과 같이, 내비게이션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면, 길을 안내하는 내비게이션 정보(1420)가 실행화면에 표시되고, 세 손가락 핀치 인에 의하여 상기 내비게이션 정보(1420)가 선택될 수 있다.
한편, 선택된 내비게이션 정보가 잠금화면에서 표시되는 영역의 크기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세 손가락 핀치 인으로 내비게이션 정보(1420)가 선택된 후, 상기 세 손가락 핀치 인에 포함되는 제1 내지 제3 터치의 움직임에 따라 잠금화면에서 표시되는 영역의 크기가 변경될 수 있다. 즉, 도 14b의 (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내비게이션 정보(1420)가 선택된 상태에서 상기 제1 내지 제3 터치가 상호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면, 잠금화면에서 표시되는 영역의 크기는 축소될 수 있다(1420→1422). 반대로,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제1 내지 제3 터치가 해제되지 않고 상호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면, 상기 잠금화면에서 표시되는 영역의 크기는 확대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80)는, 상기 제1 내지 제3 터치가 해제되면, 상기 내비게이션 정보(1420)에 대한 앱 스냅샷 기능을 수행하며, 잠금화면에서 상기 내비게이션 정보를 표시할 영역의 크기를 설정한다.
실시 예에 있어서, 도 14c의 (a)에 도시된 것과 같이, 데이터의 다운로드 또는 애플리케이션의 설치에 따른 프로그레스 바가 세 손가락 핀치 인에 의하여 선택될 수 있다. 계속해서, 도 14c의 (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세 손가락 핀치 인에 포함되는 제1 내지 제3 터치의 움직임에 따라 잠금화면에서 표시되는 영역의 크기가 변경될 수 있다.
또한, 도 14의 (c)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제1 내지 제3 터치가 나란한 방향으로 연속해서 이동하는 경우, 제어부(180)는 실행화면 대신에 잠금화면을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내지 제3 터치의 움직임에 따라 잠금화면에 추가할 시각정보의 표시 위치가 변경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상기 제1 내지 제3 터치가 해제되면, 앱 스냅샷 기능을 실행하고, 상기 제1 내지 제3 터치가 해제된 영역에 시각정보를 추가한다.
한편, 하나의 실행화면에는 복수의 시각정보가 포함될 수 있으며, 제어부(180)는 세 손가락 핀치에 근거하여 상기 복수의 시각정보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뮤직 애플리케이션에서 재생 기능이 실행되면, 재생화면에는 재생되는 음악의 간략 정보(1520), 앨범 자켓(1510), 가사 등에 해당하는 복수의 시각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한편, 도 1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 손가락 핀치 인에 의하여 앨범 자켓(1510)이 선택되면, 재생되는 음악의 앨범자켓이 잠금화면에 실시간으로 표시될 수 있다. 이와 달리, 도 1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 손가락 핀치 인에 의하여 간략 정보(1520)가 선택되면, 재생되는 음악의 간략 정보가 잠금화면에 실시간으로 표시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뮤직 애플리케이션이 활성화되는 동안 잠금화면에 추가된 시각정보는 계속해서 업데이트 될 수 있다. 즉, 뮤직 애플리케이션이 종료되면, 이후 잠금화면에 추가된 시각정보는 잠금화면에서 제외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 의하면, 잠금상태에서도 잠금화면의 일부 영역에 특정 애플리케이션의 실행에 따른 실행화면이 표시되기 때문에, 잠금상태를 해지하지 않아도 간단한 정보를 편리하게 제공받을 수 있다.
또한, 잠금 상태에서도 실시간으로 업데이트 되는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으며, 화면정보가 출력되는 위치, 크기 등의 변경이 가능하므로 사용자는 편의에 따라 정보를 배열할 수 있다.
또한, 실행화면이 표시되는 표시범위를 제어하여 잠금상태를 해제할 수 있고, 동시에 상기 실행화면에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을 활성화시킬 수 있는바, 사용자는 이동 단말기를 더욱 편리하게 작동시킬 수 있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실행되는 스크린 프리즈(screen freeze)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이동 단말기의 전면에는 단말기를 제어하기 위한 네비게이션 키(navigation key)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키는, 예를 들어, 이전 화면을 표시하기 위한 백 키(back key), 홈 스크린 페이지를 표시하기 위한 홈 키(home key) 및 메뉴를 표시하기 위한 메뉴 키(menu key)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키는 본체에 물리적인 형태로 형성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디스플레이부(151) 상에 아이콘(또는, 소프트키)으로 표시될 수도 있다.
제어부(180)는, 도 16의 (a)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네비게이션 키에 포함된 복수의 키들 중에서 적어도 두 개의 키들에 대하여 동시에 터치가 입력되는 경우, 스크린 프리즈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스크린 프리즈 기능이 실행되면, 디스플레이부(151)는 활성화된 상태에서 제어명령의 입력이 제한된다. 다만, 디스플레이부(151) 상에 표시된 내용을 상하 또는 좌우로 움직이는 스크롤(scroll) 명령의 입력은 제한되지 않는다. 즉, 스크롤 명령을 제외한 나머지 제어명령의 입력이 제한된다.
예를 들어, 도 1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하이퍼링크가 포함된 웹 페이지가 표시된 상태에서 스크린 프리즈 기능이 실행되면, 특정 하이퍼링크에 대한 터치가 감지되도 제어부(180)는 하이퍼링크에 연결된 웹페이지를 표시하지 않는다. 즉, 제어부(180)는 스크린 프리즈 기능이 실행된 상태에서 디스플레이부(151)에 인가되는 터치를 무시한다. 다만, 제어부(180)는 스크롤링을 위한 플리킹(flicking) 입력이 입력되면, 상기 플리킹 입력에 근거하여 스크롤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이로써, 터치에 의하여 의도하지 않은 링크가 클릭되거나, 아이콘이 선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80)는 도 16의 (b) 및 (c)에 도시된 것과 같이, 스크린 프리즈 기능이 실행되면, 스크린 프리즈 기능과 관련된 정보(1640, 1650)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크린 프리즈 기능과 관련된 정보는 스크린 프리즈 기능의 활성화 여부, 스크린 프리즈 기능이 활성화되는 시간(또는, 스크린 프리즈 기능이 종료되는 시간), 스크린 프리즈 기능을 비활성화시키거나 시간을 연장하기 위한 메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상기 메뉴에 대한 터치가 입력되면, 도 16의 (d)에 도시된 것과 같이, 스크린 프리즈 기능과 관련된 상세 메뉴를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상세 메뉴를 이용하여 스크린 프리즈 기능의 활성화 시간을 연장하거나, 스크린 프리즈 기능을 비활성화시킬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스크린 프리즈 기능의 실행에 대응하여 네비게이션 키를 비활성화시키고, 상기 네비게이션 키의 내부에 구비된 조명을 오프(off)시킬 수 있다. 이로써, 사용자는 네비게이션 키가 작동되지 않는 것을 인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것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는 자동 잠금 기능이 실행된 상태에서 단말기 본체 또는 본체가 놓여있는 물체에 가해진 탭에 응답하여 자동 잠금 기능을 취소함으로써, 사용자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스크린 온 기능이 실행되면, 자동 잠금 기능이 실행되기 전에 표시되었던 화면정보가 다시 표시되기 때문에, 기존에 표시되던 화면정보를 다시 확인하고자 하는 사용자의 니즈를 해결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는, 감지된 탭의 특성에 근거하여 디스플레이부(151)가 활성화 상태를 유지하는 활성화 시간을 설정하기 때문에, 사용자에게 직관적인 인터페이스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전술한 방법은, 프로그램이 기록된 매체에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상기와 같이 설명된 이동 단말기는 상기 설명된 실시 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 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 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Claims (20)

  1. 단말기 본체;
    상기 본체를 두드리는 탭(tap) 및 터치 중 적어도 하나를 감지하는 감지부;
    상기 본체의 전면에 배치되고, 제1 활성화 상태에서 화면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제1 활성화 상태에서 소정 시간 동안 제어명령이 사용자로부터 인가되지 않으면,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활성화 상태에서 비활성화 상태로 전환하는 자동 잠금 기능을 실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자동 잠금 기능이 실행된 후 기준시간 이내에 상기 적어도 하나에 의해 형성되며 기 설정된 조건에 대응되는 사용자 입력이 감지되면,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2 활성화 상태로 전환하고,
    상기 사용자 입력은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연속해서 두드리는 복수의 탭들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탭들 중 마지막 탭이 상기 디스플레이부와 접촉된 상태에서 해제되지 않고 접촉을 유지하는 경우, 상기 마지막 탭이 인가된 위치를 기준으로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일부 영역에 상기 제1 활성화 상태에서 표시된 화면정보를 표시하며,
    상기 마지막 탭이 해제되지 않고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로 이동하는 경우, 상기 제2 위치에 근거하여 상기 일부 영역의 크기를 조절하고, 상기 제1 위치 및 상기 제2 위치의 거리에 근거하여 상기 제2 활성화 상태가 유지되는 활성화 시간을 설정하며, 상기 활성화 시간은 상기 거리에 따라 가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된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제2 활성화 상태와 관련된 활성화 시간을 설정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상기 제2 활성화 상태로 전환된 후 상기 활성화 시간 동안 제어명령이 사용자로부터 인가되지 않으면,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비활성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기 설정된 조건에 대응되는 사용자 입력은,
    상기 본체를 제1 기준 횟수만큼 두드리는 제1 탭, 및 상기 제1 탭이 가해진 후 기 설정된 시간 이내에 상기 본체를 제2 기준 횟수만큼 두드리는 제2 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활성화 시간은, 상기 감지된 사용자 입력에 포함된 탭의 횟수 및 세기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가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된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시각적, 촉각적 및 청각적 방식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활성화 시간을 안내하는 가이드 정보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6.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일 면에 배치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끄거나 켜도록 형성되는 버튼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된 사용자 입력에 포함된 탭의 횟수가 기 설정된 횟수보다 많으면, 상기 자동 잠금 기능을 비활성화하며, 상기 버튼부가 가압되기 전까지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상기 제2 활성화 상태로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된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된 화면정보 상에 바로가기 아이콘을 표시하며, 상기 바로가기 아이콘은 상기 바로가기 아이콘에 대응되는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바로가기 아이콘의 종류는 상기 제1 활성화 상태에서 실행된 애플리케이션의 종류에 따라 달라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를 두드리는 탭이 가해지는 대상 지점은 상기 본체 및 상기 본체를 벗어난 지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상기 비활성화 상태로 전환된 후 기준시간 이내에 상기 본체에 상기 기 설정된 조건과 불일치 하는 사용자 입력이 감지되면,
    사용자에 의한 제어명령의 수신이 제한되는 잠금상태를 해제하기 위한 암호정보를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을 수 있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2 활성화 상태로 전환하고, 상기 암호정보의 입력과 관련된 잠금화면을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4. 삭제
  15. 본체의 전면에 배치되는 디스플레이부가 활성화된 제1 활성화 상태에서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화면정보를 표시하는 단계;
    상기 제1 활성화 상태에서 소정 시간 동안 제어명령이 사용자로부터 인가되지 않으면,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활성화 상태에서 비활성화 상태로 전환하는 자동 잠금 기능을 실행하는 단계;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상기 비활성화 상태로 전환된 후 기준시간 이내에 상기 본체를 두드리는 탭 및 터치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여 형성되며 기 설정된 조건에 대응되는 사용자 입력이 감지되면,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2 활성화 상태로 전환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입력은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연속해서 두드리는 복수의 탭들로 이루어지며, 상기 복수의 탭들 중 마지막 탭이 상기 디스플레이부와 접촉된 상태에서 해제되지 않고 접촉을 유지하는 경우, 상기 마지막 탭이 인가된 위치를 기준으로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일부 영역에 상기 제1 활성화 상태에서 표시된 화면정보를 표시하는 단계;
    상기 마지막 탭이 해제되지 않고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로 이동하는 경우, 상기 제2 위치에 근거하여 상기 일부 영역의 크기를 조절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위치 및 상기 제2 위치의 거리에 근거하여 상기 제2 활성화 상태가 유지되는 활성화 시간을 설정하며, 상기 활성화 시간은 상기 거리에 따라 가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제어방법.
  16.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된 사용자 입력에 근거하여 상기 제2 활성화 상태와 관련된 활성화 시간을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상기 제2 활성화 상태로 전환된 후 상기 활성화 시간 동안 제어명령이 사용자로부터 인가되지 않으면,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비활성화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제어방법.
  17. 제16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된 탭에 응답하여, 시각적, 촉각적 및 청각적 방식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활성화 시간을 안내하는 가이드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제어방법.
  18.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기 설정된 조건에 대응되는 탭은,
    상기 본체를 제1 기준 횟수만큼 두드리는 제1 탭, 및 상기 제1 탭이 가해진 후 기 설정된 시간 이내에 상기 본체를 제2 기준 횟수만큼 두드리는 제2 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제어방법.
  19. 제18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된 탭에 응답하여 상기 활성화 시간을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을 수 있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된 화면정보 상에 상기 활성화 시간의 입력과 관련된 그래픽 객체를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그래픽 객체가 표시된 상태에서, 상기 제2 탭에 대응하는 터치가 제1 지점에서 제2 지점으로 연속적으로 이동하면, 상기 터치의 이동 거리에 근거하여 상기 활성화 시간을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제어방법.
  20. 삭제
KR1020140001434A 2014-01-06 2014-01-06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 KR1022232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1434A KR102223277B1 (ko) 2014-01-06 2014-01-06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
EP14004435.5A EP2891969A1 (en) 2014-01-06 2014-12-29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14/589,810 US9807694B2 (en) 2014-01-06 2015-01-05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CN201510005361.XA CN104767874B (zh) 2014-01-06 2015-01-06 移动终端及其控制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1434A KR102223277B1 (ko) 2014-01-06 2014-01-06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81692A KR20150081692A (ko) 2015-07-15
KR102223277B1 true KR102223277B1 (ko) 2021-03-05

Family

ID=523917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01434A KR102223277B1 (ko) 2014-01-06 2014-01-06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9807694B2 (ko)
EP (1) EP2891969A1 (ko)
KR (1) KR102223277B1 (ko)
CN (1) CN10476787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582057B1 (en) * 2013-03-15 2021-11-24 MTD Products Inc Autonomous mobile work system comprising a variable reflectivity base station
US9612736B2 (en) * 2013-07-17 2017-04-04 Korea Advanced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User interface method and apparatus using successive touches
KR20150098115A (ko) * 2014-02-19 2015-08-2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US20150379915A1 (en) * 2014-06-27 2015-12-31 Lenovo (Beijing) Co., Ltd. Method for processing information and electronic device
KR101610872B1 (ko) * 2014-08-04 2016-05-12 티더블유모바일 주식회사 접속 아이콘 정보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US9516215B1 (en) * 2014-09-16 2016-12-06 Isaac Datikashvili System and method for deterring the ability of a person to capture a screen presented on a handheld electronic device
KR20160045428A (ko) * 2014-10-17 2016-04-27 삼성전자주식회사 잠금 해제 방법 및 장치
US9602983B1 (en) * 2015-02-03 2017-03-21 Amazon Technologies, Inc. Sending messages or performing predefined actions other than unlocking on a mobile device using unlocking mechanism
KR20160099397A (ko) 2015-02-12 2016-08-22 삼성전자주식회사 제한된 실행 환경에서 결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JP6497549B2 (ja) * 2015-03-05 2019-04-10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電子機器、タッチ操作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04951340B (zh) * 2015-06-12 2018-07-06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信息处理方法及装置
KR20170014764A (ko) * 2015-07-31 2017-02-08 삼성전자주식회사 화면 제어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US9729740B2 (en) * 2015-09-21 2017-08-08 Toshiba Tec Kabushiki Kaisha Image display device
CN105338177B (zh) 2015-09-30 2018-10-19 小米科技有限责任公司 信息延迟广播方法及装置
CN105208225A (zh) * 2015-10-15 2015-12-30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降低智能手表功耗的方法及装置
CN106708399A (zh) * 2015-11-17 2017-05-24 天津三星通信技术研究有限公司 用于具有双侧边曲面屏幕的电子终端的触控方法和设备
KR102442779B1 (ko) 2015-11-24 2022-09-14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용자 인증 방법 및 장치
US10275016B2 (en) * 2015-12-21 2019-04-30 Intel Corporation Smart power adapters and related systems and methods
CN105607834B (zh) * 2015-12-22 2019-02-12 小米科技有限责任公司 屏幕控制方法、装置及终端
WO2017139571A1 (en) * 2016-02-11 2017-08-17 Marcio Marc Abreu Enabling and disabling a display of mobile communication device
KR20170106055A (ko) * 2016-03-11 2017-09-20 삼성전자주식회사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gui를 제공하는 영상 출력 장치 및 영상 출력 방법
US10572137B2 (en) * 2016-03-28 2020-02-25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Intuitive document navigation with interactive content elements
KR102514963B1 (ko) * 2016-04-18 2023-03-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CN106028131B (zh) * 2016-06-24 2021-07-16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控制方法、装置及系统
KR20180020517A (ko) * 2016-08-18 2018-02-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KR102473790B1 (ko) * 2016-08-30 2022-12-05 삼성전자 주식회사 저전력 상태에서 시간 정보 제공 방법 및 이 방법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US11076261B1 (en) 2016-09-16 2021-07-27 Apple Inc. Location systems for electronic device communications
US10521107B2 (en) 2016-09-24 2019-12-31 Apple Inc. Devices, methods, and graphical user interfaces for selecting and interacting with different device modes
CN106571026B (zh) * 2016-11-03 2019-06-04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终端显示屏的控制方法、终端和信号控制系统
CN106537887B (zh) * 2016-11-04 2019-06-21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终端控制方法及终端
CN108108141A (zh) * 2016-11-25 2018-06-01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切换终端音量模式的方法及装置
US10848483B2 (en) * 2016-12-08 2020-11-24 Ricoh Company, Ltd. Shared terminal, communication system, and display control method, and recording medium
KR102429485B1 (ko) * 2016-12-13 2022-08-0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및 방법
CN106873870A (zh) * 2017-01-06 2017-06-20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终端交互方法及其装置、终端及电子设备
JP6669087B2 (ja) * 2017-01-27 2020-03-18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表示装置
US20180314815A1 (en) * 2017-04-30 2018-11-01 II Roland K. Bowler Hand-held electronic device with locking interface
KR102389063B1 (ko) 2017-05-11 2022-04-22 삼성전자주식회사 햅틱 피드백을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전자 장치
CN107330319B (zh) * 2017-06-29 2020-12-18 广东源泉科技有限公司 一种交互控制方法、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US10564420B2 (en) * 2017-10-02 2020-02-18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idair interaction with electronic pen projection computing system
CN107831885B (zh) * 2017-10-27 2021-03-26 深圳市万普拉斯科技有限公司 Doze模式切换方法、装置、移动终端及可读存储介质
US10559146B2 (en) * 2017-12-12 2020-02-11 Saudi Arabian Oil Company Role-based locking system for plants unattended premises
DK201870334A1 (en) 2018-05-07 2019-12-05 Apple Inc. DEVICES, METHODS, AND GRAPHICAL USER INTERFACES FOR PROACTIVE MANAGEMENT OF NOTIFICATIONS
CN109117071A (zh) * 2018-07-16 2019-01-01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屏幕显示控制方法和装置
US20200187908A1 (en) * 2018-12-18 2020-06-18 General Electric Company Method and systems for touchscreen user interface controls
CN109462699B (zh) * 2018-12-26 2020-10-23 惠州Tcl移动通信有限公司 移动终端的Doze模式的控制方法
KR20200099846A (ko) * 2019-02-15 2020-08-25 삼성메디슨 주식회사 초음파 진단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10607432B1 (en) * 2019-09-04 2020-03-31 Motorola Mobility Llc Locking a touch screen of a mobile device
CN112037465B (zh) * 2020-03-02 2022-02-22 电子科技大学 疫情防控方法、装置、服务器及存储介质
AU2020233622B2 (en) * 2020-05-11 2022-03-10 Apple Inc. System, method and user interface for supporting scheduled mode changes on electronic devices
CN111880886B (zh) * 2020-07-31 2024-04-30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屏保图片的选取方法及装置、存储介质
US11341830B2 (en) 2020-08-06 2022-05-24 Saudi Arabian Oil Company Infrastructure construction digital integrated twin (ICDIT)
US11687053B2 (en) 2021-03-08 2023-06-27 Saudi Arabian Oil Company Intelligent safety motor control center (ISMCC)
US11379106B1 (en) 2021-05-12 2022-07-05 Apple Inc. Devices, methods, and graphical user interfaces for adjusting the provision of notifications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9925289D0 (en) * 1999-10-27 1999-12-29 Ibm Method and means for adjusting the timing of user-activity-dependent changes of operational state of an apparatus
CN1314263C (zh) * 2002-04-22 2007-05-02 汤姆森许可公司 用于控制视频信号处理装置以防止屏幕老化的方法和装置
US20070050604A1 (en) * 2005-08-29 2007-03-01 Searete Llc, A Limited Liability Corporation Of The State Of Delaware Fetch rerouting in response to an execution-based optimization profile
US7389434B2 (en) * 2005-08-30 2008-06-17 Microsoft Corporation Keep awake heuristic
KR101414609B1 (ko) * 2007-09-11 2014-07-03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1642725B1 (ko) * 2010-04-14 2016-08-11 삼성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의 잠금 기능 운용 방법 및 장치
EP2618626B1 (en) * 2010-09-13 2018-05-23 Taiwa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Company, Ltd.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operation thereof
KR101677639B1 (ko) * 2011-05-06 2016-11-18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전자기기 및 이의 제어방법
US20130009915A1 (en) * 2011-07-08 2013-01-10 Nokia Corporation Controlling responsiveness to user inputs on a touch-sensitive display
KR101962445B1 (ko) * 2011-08-30 2019-03-26 삼성전자 주식회사 터치 스크린을 갖는 휴대 단말기 및 그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US9071970B2 (en) * 2011-12-05 2015-06-30 Sony Corporation Terminal device
KR101880240B1 (ko) * 2011-12-28 2018-07-23 브리티쉬 텔리커뮤니케이션즈 파블릭 리미티드 캄퍼니 이동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 방법
US9262604B2 (en) * 2012-02-01 2016-02-16 Blackberry Limited Method and system for locking an electronic device
KR101296869B1 (ko) * 2012-02-23 2013-08-14 주식회사 팬택 터치 기반으로 동작되는 휴대 단말 및 그 동작 방법
RU2523040C2 (ru) * 2012-10-02 2014-07-20 ЭлДжи ЭЛЕКТРОНИКС ИНК. Регулировка яркости экрана для мобильного устройства
US9134856B2 (en) * 2013-01-08 2015-09-15 Sony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user interface of a device based on vibratory signal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4767874A (zh) 2015-07-08
CN104767874B (zh) 2020-01-31
US9807694B2 (en) 2017-10-31
KR20150081692A (ko) 2015-07-15
EP2891969A1 (en) 2015-07-08
US20150195789A1 (en) 2015-07-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23277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
US10509511B2 (en) Mobile terminal performing a different operation based on a type of a tap applied to a display and control method thereof
EP2975500B1 (en) Mobile terminal, adapted for executing various functions with only one input while a display is in an off state
KR102127925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KR102153436B1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2065045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US20160170542A1 (en)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for
EP3557391B1 (en)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2130797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
KR102124801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KR20150056353A (ko)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어방법
KR102023393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2156140B1 (ko)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어방법
KR102157143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KR102291879B1 (ko) 영상표시장치 및 그것의 제어방법
KR102124523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2053861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KR20140133083A (ko)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어방법
KR102135354B1 (ko)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어방법
KR102037929B1 (ko)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어방법
KR102019116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