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96869B1 - 터치 기반으로 동작되는 휴대 단말 및 그 동작 방법 - Google Patents

터치 기반으로 동작되는 휴대 단말 및 그 동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96869B1
KR101296869B1 KR1020120018503A KR20120018503A KR101296869B1 KR 101296869 B1 KR101296869 B1 KR 101296869B1 KR 1020120018503 A KR1020120018503 A KR 1020120018503A KR 20120018503 A KR20120018503 A KR 20120018503A KR 101296869 B1 KR101296869 B1 KR 1012968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uch
input
portable terminal
gesture
p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185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형근
문성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팬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팬택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팬택
Priority to KR10201200185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96869B1/ko
Priority to US13/713,500 priority patent/US10055037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968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968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06F3/03547Touch pads, in which fingers can move on a surfa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2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a single-body enclosure integrating a flat display, e.g.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5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for image manipulation, e.g. dragging, rotation, expansion or change of colou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6Multi-sensing digitiser, i.e. digitiser using at least two different sensing technologies simultaneously or alternatively, e.g. for detecting pen and finger, for saving power or for improving position detection

Abstract

휴대 단말은, 전원과, 하나 이상의 터치 센서를 포함하는 제1 입력 영역 및 복수의 터치 센서를 포함하는 제2 입력 영역을 포함하며, 제1 입력 영역 및 제2 입력 영역에 대한 터치 제스처를 입력받고, 터치 제스처에 대한 터치 감지 신호를 생성하는 터치 패널과, 터치 감지 신호에 따라 휴대 단말의 전원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터치 패널에 포함된 터치 센서들을 각각 제어하는 터치 감지부와, 전원 제어 신호에 따라 전원을 데이터 처리부로 공급하는 전원 제어부와, 휴대 단말의 기능 수행을 위한 데이터를 처리하는 데이터 처리부를 포함하고, 제1 입력 영역 및 제2 입력 영역은 서로 이격되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터치 기반으로 동작되는 휴대 단말 및 그 동작 방법{Portable terminal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based on touch input}
본 발명은 휴대 단말에 관한 것으로, 터치 입력에 기반하여 동작하는 휴대 단말 및 동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휴대 단말의 전원을 켜기 위해서는 휴대 단말의 외곽에 설치된 전원 키(Power On Key)가 이용된다. 전원 키는 기존에는 택트 스위치(tact switch) 부품을 이용하거나, FPCB(Flexible PCB)에 돔(dome) 스위치를 이용한다. 사용자가 전원 키를 눌러 전자기기에 전원이 공급되면, 전원 키는 휴대 단말의 엔드/홀드(End/Hold) 기능 등의 이벤트 입력 키로 이용된다.
휴대 단말의 볼륨 키(Volume Key)도 전원 키(Power On Key)와 같이 휴대 단말의 외곽에 별도로 설치된다. 볼륨 키는 택트 스위치, FPCB 형태의 돔 스위치 및 조그 키 등의 형태를 가진다. 이와 같이 전원 키 및 볼륨 키는 기계적 스위치로 구성되어, 파워 온/오프, 홀드, 볼륨 업/다운의 이벤트를 휴대 단말의 CPU로 전송하여, 전원 키 및 볼륨 키로 입력된 사용자 입력 동작에 따른 이벤트를 실행한다. 그러나, 이러한 기계적 형태의 스위치를 사용함으로 기구 및 디자인적인 제약 사항이 높다. 또한, 기계적 형태의 스위치는 사용 횟수 및 시간이 지날수록 급격하게 신뢰성이 낮아지는 문제점이 있다.
디자인 개선 및 신뢰도 향상이 가능한 터치 기반의 휴대 단말 및 동작 방법을 제공한다.
일 측면에 따른 휴대 단말은, 전원과, 하나 이상의 터치 센서를 포함하는 제1 입력 영역 및 복수의 터치 센서를 포함하는 제2 입력 영역을 포함하며, 제1 입력 영역 및 제2 입력 영역에 대한 터치 제스처를 입력받고, 터치 제스처에 대한 터치 감지 신호를 생성하는 터치 패널과, 터치 감지 신호에 따라 휴대 단말의 전원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터치 패널에 포함된 터치 센서들을 각각 제어하는 터치 감지부와, 전원 제어 신호에 따라 전원을 데이터 처리부로 공급하는 전원 제어부와, 휴대 단말의 기능 수행을 위한 데이터를 처리하는 데이터 처리부를 포함하고, 제1 입력 영역 및 제2 입력 영역은 서로 이격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기존의 휴대 단말의 외곽에 기계적 스위치 대신에 터치 기반의 파워 키 및 볼륨 키를 형성할 수 있으므로, 휴대 단말의 디자인을 개선할 수 있고, 휴대 단말의 동작의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 패널의 구조에 의해, 터치 제스처의 인식률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 기반의 휴대 단말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의 휴대 단말의 터치 감지부의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원 제어 및 홀드 제어를 위한 터치 입력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워 온 제어를 위한 터치 입력에 따른 터치 감지부의 신호 펄스를 나타내는 타이밍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홀드 온 제어를 위한 터치 입력에 따른 터치 감지부의 신호 펄스를 나타내는 타이밍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에에 따른 볼륨 제어를 위한 터치 입력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볼륨 제어를 위한 터치 입력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볼륨 숏 키 및 볼륨 롱 키에 따른 터치 감지부의 사용자 인터럽트 신호의 펄스를 나타내는 타이밍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의 상태 모델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원 제어 제스처에 따른 휴대 단말의 동작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 패널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래그 제스처에 따른 제2 입력 영역의 감지 신호의 펄스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터치 패널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터치 패널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터치 패널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 기반의 휴대 단말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휴대 단말(100)은 터치 패널(110), 터치 감지부(120), 전원 제어부(130), 전원(140), 데이터 처리부(150) 및 LED(160)를 포함한다. 휴대 단말(100)은 휴대 전화, MP3 플레이어, 스마트 폰, 개인용 컴퓨터 등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도 1에는 설명을 간명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되었으나, 휴대 단말(100)의 내부에는 휴대 단말(100)에 대한 파워 온 상태에서 애플리케이션 제어를 위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받고 사용자 입력에 따른 애플리케이션 수행결과를 표시하는 터치 스크린이 포함되고, 또한 다양한 통신 모듈, GPS 수신기, 메모리 등 다양한 기능 모듈들이 추가될 수 있다. 휴대 단말(100)은 기계적 형태의 스위치 모듈이 최소화되어, 통상의 휴대 단말의 기계적 형태의 스위치 모듈로 구성되는 파워 키, 홀드 키 및 볼륨 키 대신에 터치 입력 방식의 터치 패널(110)이 포함된다.
터치 패널(110)은 휴대 단말(100)의 애플리케이션 제어를 위한 일반적인 터치 스크린과는 별도로 설치되고 동작된다. 터치 패널(110)은 터치 감지부(120)의 제어에 따라 활성화되거나 비활성화될 수 있다. 터치 패널(110)은 제1 입력 영역(112) 및 제2 입력 영역(114)을 포함한다. 터치 패널(110)은 제1 입력 영역 및 제2 입력 영역에 대한 터치 제스처를 입력받고, 터치 제스처에 대한 터치 감지 신호를 생성한다.
제1 입력 영역(112)은 하나 이상의 터치 입력을 수신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터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입력 영역(114)은 복수의 터치 입력을 수신할 수 있는 복수의 터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입력 영역(112) 및 제2 입력 영역(114)에 포함되는 터치 센서는, 정전용량 방식 터치 센서, 저항막 방식 터치 센서 및 가압 센서 등 다양한 형태의 터치 센서로 구성될 수 있다.
제1 입력 영역(112) 및 제2 입력 영역(114)은 하나의 FPCB(flexible PCB)상에 설치될 수도 있고, 서로 독립적인 FPCB 상에 설치될 수도 있다. 도 1에는 제1 입력 영역(112) 및 제2 입력 영역(114)이 휴대 단말(100)의 좌측면에 설치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제1 입력 영역(112)은 휴대 단말(100)의 상단 측면부에 설치되고, 제2 입력 영역(114)은 휴대 단말(100)의 옆 측면부에 설치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제1 입력 영역(112)은 휴대 단말(100)의 옆 측면부에 설치되고, 제2 입력 영역은 휴대 단말(100)의 후면부에 설치될 수 있다.
제1 입력 영역(112)에 대한 사용자의 터치 제스처 입력에 따라 휴대 단말(100)의 전원 제어가 수행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휴대 단말(100)의 모드 변경(예를 들어, 홀드 온 모드)이 수행될 수 있는 등 휴대 단말(100)의 다른 기능이 수행될 수 있다. 제2 입력 영역(114)에 대한 사용자의 터치 제스처 입력에 따라 휴대 단말(100)의 볼륨 크기 제어를 수행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휴대 단말(100)의 애플리케이션 수행 상태에 따라, 페이지 넘김 등을 수행할 수 있다.
제1 입력 영역(112) 및 제2 입력 영역(114)에 대한 사용자의 터치 제스처 입력에 따른 터치 감지 신호는 터치 감지부(120)로 전달된다.
터치 감지부(120)에는 전원(140)이 연결되어, 터치 패널(110)의 일부 또는 전체에 전류를 공급하여, 터치 패널(110)의 일부 또는 전부를 활성화(또는 비활성화)하여 터치 패널(11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터치 감지부(120)는 터치 패널(110)로부터 입력되는 터치 제스처에 따른 터치 감지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터치 감지 신호에 따른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전원 제어부(130) 및 데이터 처리부(150)로 각 제어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이하에서, 터치 감지 신호에 따라 터치 감지부(120)로부터 전원 제어부(130)로 전달되는 제어 신호는 전원 제어 신호라 하고, 터치 감지부(120)로부터 데이터 처리부(150)로 전달되는 제어 신호는 사용자 입력 인터럽트 신호라 한다.
터치 감지부(120)는, 복수의 터치 감지 신호를 수신하는 복수의 입출력 단자(I/O 1, I/O 2, I/O 3, I/O 4, I/O 5)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입출력 단자 중 하나의 입출력 단자(I/O 1)는 제1 입력 영역(112)과 연결되고, 복수의 입출력 단자 중 나머지 입출력 단자들(I/O 2, I/O 3, I/O 4, I/O 5)은 제2 입력 영역(114)과 연결될 수 있다. 제1 입력 영역(112)에 복수의 터치 센서가 포함된 경우에, 터치 감지부(120)에 제1 입력 영역(112)의 복수의 터치 센서에 연결된 복수의 입출력 단자가 포함될 수도 있다.
터치 감지부(120)는 휴대 단말(100)의 상태 및 입력되는 터치 제스처에 따른 터치 감지 신호에 따라서, 전원 제어부(130)로 전원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제공한다. 전원 제어 신호는 POWER의 약자로 PWR 신호라 할 수 있다. 또한, 터치 감지부(120)는 터치 제스처에 따른 터치 감지 신호에 따라 사용자 입력 인터럽트 신호를 데이터 처리부(150)로 전달할 때, I2C와 같은 데이터 버스 통해 데이터 처리부(150)와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할 수 있다.
전원 제어부(130)는 휴대 단말(100)에 포함되는 데이터 처리부(150)를 포함하는 각 기능 모듈들에 전원(140)을 적절하게 공급하도록 제어한다. 전원 제어부(130)는 전원 제어 신호에 따라 휴대 단말(100)에 전원을 공급을 개시, 종료 및 제어할 수 있다.
터치 감지부(120)에서 전원 제어부(130)로 제공되는 전원 제어 신호는 휴대 단말(100)의 상태 및 터치 제스처에 따른 터치 감지 신호에 따라서 복수의 파형을 가질 수 있다. 전원 제어 신호는 전원 제어부(130)가 휴대 단말(100)을 파워 온 상태로 하도록 하는 전원 공급 개시 제어 신호, 전원 제어부(130)가 휴대 단말(100)을 파워 오프 상태로 하도록 하는 전원 공급 종료 제어 신호, 전원 제어부(130)가 휴대 단말(100)을 홀드 온 상태로 하는 홀드 온 제어 신호 및 전원 제어부(130)가 휴대 단말(100)을 홀드 온 상태에서 파워 온 상태로 되돌리는 홀드 해제 제어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전원 제어부(130)는 전원 공급 개시 제어 신호의 수신에 따라 휴대 단말(100)에 전원을 공급하여 휴대 단말(100)이 정상 동작하는 액티브 모드에 따른 전원 제어를 하고, 전원 공급 종료 제어 신호의 수신에 따라 휴대 단말(100)에 전원 공급을 중단할 수 있다. 또한, 전원 제어부(130)는 홀드 온 제어 신호의 수신에 따라 휴대 단말(100)의 홀드 온 상태로 하여 동작이 수행되지 않는 모듈(예를 들어, 터치 스크린)로의 전원 공급을 차단할 수 있다. 전원 제어부(130)는 홀드 해제 제어 신호의 수신에 따라 휴대 단말(100)이 정상 동작하는 액티브 모드에 따른 전원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휴대 단말(100)이 파워 오프된 상태에서, 터치 감지 신호에 따라 휴대 단말(100)의 전원 공급 개시 제어 신호를 생성한다. 터치 감지부(120)는 휴대 단말(100)의 전원 공급이 개시된 파워 온인 상태에서는, 터치 감지 신호에 따라 사용자 입력 인터럽트 신호를 생성하여 데이터 처리부(150)로 전달할 수 있다.
데이터 처리부(150)는 휴대 단말(100)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을 구동한다. 데이터 처리부(150)는 전원 제어부(130)가 전원 공급 개시 제어 신호를 수신함에 따라 전원을 공급받고, 휴대 단말(100)의 기능을 수행한다.
터치 감지부(120)는 휴대 단말(100)의 파워 오프시에 제1 입력 영역(112)만을 활성화하고, 제2 입력 영역(114)은 비활성화시킴으로써, 휴대 단말(100)의 파워 오프 상태에서의 전력 소모를 최소화할 수 있다. 제1 입력 영역(112)을 통해 터치 감지 신호가 제1 기간 이상 입력되면, 터치 감지부(120)는 제2 입력 영역(114)을 활성화시킬 수 있다. 제2 입력 영역(114)이 활성화된 상태에서, 제2 입력 영역(114)에 드래그 터치 감지 신호가 입력되면, 터치 감지부(120)는 휴대 단말의 전원 공급 개시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터치 감지부(120)는 제2 입력 영역(114)이 활성화되었음을 사용자에게 시각적으로 알리기 위하여 LED(160)로 전원을 공급하여, LED(160)가 발광하도록 할 수 있다. LED(160)는 선택적으로 휴대 단말(100)에 포함될 수 있고, LED(160) 외에 다른 형태의 발광 소자 또는 오디오 출력 소자가 이용될 수도 있는 등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한편, 휴대 단말(100)의 파워 온 상태에서, 제2 입력 영역(114)을 통해 터치 제스처가 입력되면, 터치 감지부(120)는 입력된 터치 제스처에 대응하는 사용자 입력 인터럽트 신호를 데이터 처리부(150)로 전송하고, 데이터 처리부(150)는 수신된 인터럽트에 따라 실행중인 애플리케이션을 제어할 수 있다.
전원(140)는 휴대 단말(100)에 착탈가능한 형태의 배터리 또는 고정형 배터리일 수 있으며, 외부 전원에 의해 충전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휴대 단말(100)의 터치 감지부(120)의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터치 감지부(120)는 컨트롤러(210) 및 메모리(220)를 포함할 수 있다. 컨트롤러(210)에는 도 1의 복수의 입출력 단자(I/O 0 내지 I/O 5)가 포함될 수 있다. 컨트롤러(210)는 메모리(220)에 저장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터치 감지부(120)의 동작을 수행한다. 컨트롤러(210)는 터치 패드(110)로부터 입력되는 터치 입력 또는 터치 제스처를 인식할 수 있는 알고리즘을 수행할 수 있다.
컨트롤러(210)는 복수의 입출력 단자(I/O 0 내지 I/O 5)를 각각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하여, 터치 패널(110)을 제어할 수 있다. 컨트롤러(210)는 휴대 단말(100)이 파워 오프된 상태에서, 복수의 터치 감지 신호에 따라 휴대 단말(100)의 전원 공급 개시 제어 신호를 생성한다. 컨트롤러(210)는 휴대 단말(100)의 전원 공급이 개시된 파워 온인 상태에서는, 복수의 터치 감지 신호에 따라 사용자 입력 인터럽트 신호를 생성하여 데이터 처리부(150)로 전달할 수 있다.
컨트롤러(210)는 내부에 데이터 처리부(150)에 의해 액세스되는 레지스터(212)를 포함할 수 있다. 레지스터(212)의 제1 어드레스에는 휴대 단말(100)의 동작 모드를 나타내는 상태 정보가 기록될 수 있다. 휴대 단말(100)의 동작 모드에 따라 휴대 단말(100)이 각 동작 모드로 진입할 때마다, 도 1의 데이터 처리부(150)는 해당 동작 모드를 나타내는 상태 정보를 레지스터(212)의 제1 레지스터에 제1 레지스터 값으로 기록할 수 있다. 컨트롤러(210)는 레지스터(212)에 설정된 상태 값에 따라서, 터치 패드(110)의 일부를 비활성화하거나, 터치 패드(110)의 터치 입력을 감지하는 스캐닝 주기를 변경할 수 있다.
컨트롤러(210)는 레지스터(212)의 제2 어드레스에 터치 패널(110)로 입력된 터치 제스처를 나타내는 제스처 상태 정보를 제2 레지스터 값으로 기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컨트롤러(210)는 제2 입력 영역(114)에 대한 터치 제스처를 인식하여, 드래그 방향을 나타내는 제2 레지스터 값을 기록할 수 있다. 이 경우, 데이터 처리부(150)는 사용자 입력 인터럽트 신호가 수신되면, 컨트롤러(210)의 제2 어드레스에 액세스하여 제스처 상태 정보에 대응하는 제2 레지스터 값을 읽고, 사용자 입력 인터럽트 신호 및 제스처 상태 정보를 이용하여 터치 제스처에 따른 애플리케이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제2 레지스터 값은 볼륨 업 제스처 및 볼륨 다운 제스처를 식별하는 정보로, 볼륨 업 제스처에 대응하는 제1 제스처 정보 또는 볼륨 다운 제스처에 대응하는 제2 제스처 정보일 수 있다. 사용자 입력 인터럽트 신호는 제2 입력 영역(114)으로 입력된 드래그 제스처에 걸린 시간을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컨트롤러(210)는 터치 입력을 감지하고, 감지된 터치 제스처 입력이 미리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오동작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감지된 터치 입력을 무시하고, 오동작 조건을 만족하지 않는 경우, 터치 제스처 입력에 대한 전원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전원 제어부(130)로 전달하고, 터치 제스처 입력에 따른 사용자 입력 인터럽트 신호를 데이터 처리부(150)로 전달할 수 있다. 오동작 조건은 휴대 단말(100)의 상태에 따라 인식가능한 미리 설정된 터치 제스처 입력마다 선택적으로 하나 이상 설정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원 제어 및 홀드 제어를 위한 터치 입력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터치 패드(110)는 제1 입력 영역(112) 및 제2 입력 영역(114)을 포함한다. 여기에서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입력 영역(112)는 하나의 터치 센서(A)가 포함되고, 제2 입력 영역(114)에는 복수의 터치 센서(B, C, D 및 E)이 포함되어 있다고 가정한다. 제2 입력 영역(114)의 복수의 터치 센서(B, C, D 및 E)는 드래그(drag) 제스처가 입력될 수 있도록 일렬로 배열될 수 있으며, 배열 방향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 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고, 다른 방법으로 수평 방향 또는 사선 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다.
휴대 단말(100)의 파워 온/오프 제스처 입력은, 터치 센서(A)를 제1 기간 이상으로 누른 후, 제2 입력 영역(114)의 복수의 터치 센서(B, C, D 및 E)에 순차적인 터치가 이루어지는 드래그 제스처가 입력되는 '롱 키 터치&드래그(long key touch & drag)' 입력일 수 있다.
상세하게는, 휴대 단말(100)의 파워 오프 상태에서, 터치 센서(A)만 활성화된다. 이 상태에서, 터치 센서(A)에 제1 기간 이상 터치 입력이 수신되면, 제2 입력 영역(114)의 복수의 터치 센서(B, C, D 및 E)가 활성화될 수 있다. 휴대 단말(100)은 제2 입력 영역(114)의 활성화를 도 1의 LED(160)를 ON으로 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다. 활성화된 제2 입력 영역(114)의 복수의 터치 센서(B, C, D 및 E)를 통해 드래그 제스처가 입력되면, 휴대 단말(100)의 각 기능 모듈에 전원이 공급되어 정상 동작이 가능한 파워 온 상태가 될 수 있다. 한편, 휴대 단말(100)의 파워 온 상태에서, '롱 키 터치&드래그(long key touch & drag)'가 입력되면, 휴대 단말(100)이 파워 오프 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
터치 감지부(120)는 '롱 키 터치&드래그(long key touch & drag)'에 대한 오동작이 발생하는 것을 감지하기 위하여, 터치 입력이 '롱 키 터치&드래그'에 대한 오동작 조건을 만족하지 않는지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롱 키 터치&드래그(long key touch & drag)'에 대한 제1 오동작 조건은, 터치 센서(A)가 눌러져 터치 감지 신호가 감지된 경우에, 터치 센서들(C, D 및 E)에도 터치 감지 신호가 감지되는 조건이고, 제2 오동작 조건은 터치 센서(E)가 눌러져 터치 감지 신호가 감지된 경우에, 터치 센서들(A, B 및 C)에도 터치 감지 신호가 감지되는 조건이고, 제3 오동작 조건은, 3개의 터치 센서 이상에서 동시에 터치 신호가 감지되는 조건일 수 있다. 터치 감지부(120)는 '롱 키 터치&드래그' 제스처 입력이 인식되는 과정에 제1, 제2 및 제3 오동작 조건이 만족되지 않는 경우 '롱 키 터치&드래그' 제스처에 대응하는 전원 제어 신호 및 사용자 입력 인터럽트 신호를 생성하고, 제1, 제2 및 제3 오동작 조건이 만족되는 경우 입력된 터치 제스처를 무시할 수 있다.
한편, 휴대 단말(100)의 홀드 온/오프 제스처 입력은, 터치 센서(A)를 제1 기간 미만으로 누른 후, 제2 입력 영역(114)의 복수의 터치 센서(B, C, D 및 E)에 순차적인 터치가 이루어지는 드래그 제스처가 입력되는 '숏 키 터치&드래그(short key touch & drag)' 입력일 수 있다. 휴대 단말(100)이 파워 온 상태에서, '숏 키 터치&드래그'가 입력되면, 휴대 단말(100)의 터치 스크린(도시되지 않음)으로의 터치 입력이 처리되지 않는 홀드 온 상태로 되고, 홀드 온 상태에서 '숏 키 터치&드래그' 입력이 수신되면 다시 정상 동작이 가능한 홀드 오프 상태(또는 액티브 상태)로 된다.
터치 감지부(120)는 '숏 키 터치&드래그(short key touch & drag)'에 대한 오동작이 발생하는 것을 감지하기 위하여, 터치 입력이 '숏 키 터치 & 드래그'에 대한 오동작 조건을 만족하지 않는지 결정할 수 있다. '숏 키 터치 & 드래그 제스처에 대한 오동작 조건은 '롱 키 터치&드래그' 제스처에 대한 오동작 조건과 동일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워 온 제어를 위한 터치 입력에 따른 터치 감지부(120)의 신호 펄스를 나타내는 타이밍도이다.
휴대 단말(100)의 파워 오프 상태에서, 제1 입력 영역(112)의 터치 센서 A에 제1 기간 (예를 들어, 1s)이상의 롱 키가 입력되면, 터치 감지부(120)는 LED(160)를 ON으로 하여, 사용자에게 제1 입력 영역(112)에 롱 키가 입력되었음을 알릴 수 있다. 또한, 터치 센서 A에 제1 기간(예를 들어, 1s)이상의 롱 키가 입력됨에 따라, 제2 입력 영역(114)의 복수의 터치 센서(B, C, D 및 E)가 활성화되고, 복수의 터치 센서(B, C, D 및 E)로 드래그 제스처가 입력되면, 터치 감지부(120)는 전원 제어부(130)로 전원 제어 신호로서 전원 공급 개시 제어 신호를 공급함으로써 휴대 단말(100)이 파워 온 상태로 된다. 전원 공급 개시 제어 신호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약 2초간 신호가 변동되는 제1 파형을 가질 수 있다.
파워 온 상태에서, 롱 키 터치&드래그 제스처가 입력되면, 터치 감지부(120)는 전원 제어부(130)로 전원 공급 종료 제어 신호를 공급함으로써 휴대 단말(100)이 파워 오프 상태로 된다. 전원 공급 종료 제어 신호는 전원 공급 개시 제어 신호와 동일한 파형을 가질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홀드 온 제어를 위한 터치 입력에 따른 터치 감지부(120)의 신호 펄스를 나타내는 타이밍도이다.
휴대 단말(100)의 파워 온 상태에서, 제1 입력 영역(112)의 터치 센서 A에 제1 기간(예를 들어, 1s) 미만(예를 들어, 200ms)의 숏 키가 입력되고, 복수의 터치 센서(B, C, D 및 E)로 드래그 제스처가 입력되면, 터치 감지부(120)는 전원 제어부(130)로 홀드 개시 제어 신호를 공급함으로써 휴대 단말(100)의 일부 기능이 중단되어 휴대 단말(100)의 일부에 전원 공급을 차단 또는 조정하는 홀드 온 상태로 된다. 홀드 개시 제어 신호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약 50ms 간 신호가 변동되는 제2 파형을 가질 수 있다.
홀드 온 상태에서 숏 키 터치&드래그 제스처가 입력되면, 터치 감지부(120)는 전원 제어부(130)로 홀드 해제 제어 신호를 공급함으로써 휴대 단말(100)이 파워 오프 상태로 된다. 홀드 해제 제어 신호는 홀드 온 제어 신호와 동일한 파형을 가질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에에 따른 볼륨 제어를 위한 터치 입력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휴대 단말(100)의 파워 온 상태에서, 제2 입력 영역(114)의 복수의 터치 센서(B, C, D 및 E)로 드래그 제스처는, 제2 입력 영역(114)의 복수의 터치 센서(B, C, D 및 E)로 드래그 입력에 대한 드래그의 마지막 위치의 터치 센서의 감지 신호 지속 시간(예를 들어, 터치 센서가 정전용량 방식인 경우, 정전용량 변화 지속 시간) 및 드래그 방향에 따라 분류될 수 있다. 드래그 입력에 대한 드래그의 마지막 위치의 터치 센서의 감지 신호 지속 시간은 데이터 처리부(150)에서 드래그에 걸린 시간으로 구분될 수 있다.
드래그의 마지막 위치의 터치 센서의 정전용량 변화가 제2 기간 미만 지속된 경우에는, 볼륨 숏 키 제스처라고 부르고, 정전용량 변화가 제2 기간 이상 지속된 경우에는, 볼륨 롱 키 제스처라고 부를 수 있다. 드래그의 방향에 따라 복수의 터치 센서(B, C, D 및 E)가 수직 방향으로 위에서 아래로 일렬로 배열된 경우에, 아래에서 위 방향(즉, 터치 센서 E로부터 터치 센서 B의 방향)으로 드래그가 입력된 경우에는 볼륨 업 키 제스처라고 부르고, 위에서 아래 방향(즉, 터치 센서 B로부터 터치 센서 E의 방향)으로 드래그가 입력된 경우에는 볼륨 다운 키 제스처라고 부를 수 있다.
볼륨 업 숏 키 제스처 및 볼륨 다운 숏 키 제스처는 드래그 앤 플릭(Drag & Flick)으로 부르고, 볼륨 업 롱 키 제스처 및 볼륨 다운 롱 키 제스처는 드래그 앤 스탑(Drag & Stop)으로 부를 수 있다.
도 6의 도면부호 610을 참조하면, 제2 입력 영역(114)의 복수의 터치 센서(B, C, D 및 E)의 아래에서 위 방향(즉, 터치 센서 E로부터 터치 센서 B의 방향)으로 드래그 앤 플릭(Drag & Flick)(601)이 입력되면, 터치 감지부(120)는 드래그 앤 플릭에 따른 사용자 입력 인터럽트 신호를 데이터 처리부(150)로 제공한다. 데이터 처리부(150)는 수신된 사용자 입력 인터럽트 신호에 따라 실행중인 애플리케이션을 제어한다. 터치 제스처가 드래그 앤 플릭인 경우, 이터 처리부(120)는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의 종류에 따라 볼륨 제어 및 페이지 넘김 중 적어도 하나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도면 부호 601과 같은 키 동작은 볼륨 업 숏 키 제스처라고도 부를 수 있다.
예를 들어, 데이터 처리부(150)는 오디오 재생 애플리케이션이 실행중인 경우, 도면부호 610과 같은 드래그 앤 플릭 제스처(601) 입력에 따라 볼륨 업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데이터 처리부(150)가 웹 애플리케이션 실행에 따라 웹 페이지를 제공하고 있거나 전자책 애플리케이션 실행에 따라 전자책의 페이지를 제공하고 있는 경우에는, 도면부호 610과 같은 드래그 앤 플릭 제스처(601) 입력에 따라 이전 페이지로의 페이지 넘김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데이터 처리부(150)가 실행중인 애플리케이션에 따라 드래그 앤 플릭 제스처 입력의 결과는 이 외에도 다양한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터치 감지부(120)는 '볼륨 업 숏 키'에 대한 오동작이 발생하는 것을 감지하기 위하여, 터치 입력이 '볼륨 업 숏 키'에 대한 오동작 조건을 만족하는지 결정할 수 있다. '볼륨 업 숏 키'에 대한 제1 오동작 조건은 터치 센서 E가 눌려져 감지되는 경우, 터치 센서 A, 터치 센서 B 및 터치 센서 C 중 적어도 하나가 눌러져 있는 경우이고, 제2 오동작 조건은 터치 센서 C 및 터치 센서 D가 눌려진 경우 터치 센서 A가 동시에 눌려진 경우이고, 제3 오동작 조건은 3개 이상의 터치 센서가 동시에 눌려진 경우일 수 있다.
도 6의 도면부호 620을 참조하면, 제2 입력 영역(114)의 복수의 터치 센서(B, C, D 및 E)의 위에서 아래 방향(즉, 터치 센서 B로부터 터치 센서 E의 방향)으로 드래그 앤 플릭(602)이 입력되면, 터치 감지부(120)는 드래그 앤 플릭에 따른 사용자 입력 인터럽트 신호를 데이터 처리부(150)로 제공한다. 데이터 처리부(150)는 수신된 인터럽트에 따라 실행중인 애플리케이션을 제어한다. 이러한 키 동작은 볼륨 다운 숏 키 동작이라고 부를 수 있다.
예를 들어, 데이터 처리부(150)는 오디오 재생 애플리케이션이 실행중인 경우, 도면부호 620과 같은 드래그 앤 플릭 제스처(602) 입력에 따라 볼륨 다운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데이터 처리부(150)가 웹 애플리케이션 실행에 따라 웹 페이지를 제공하고 있거나 전자책 애플리케이션 실행에 따라 전자책의 페이지를 제공하고 있는 경우에는, 도면부호 610과 같은 드래그 앤 플릭 제스처(602) 입력에 따라 다음 페이지로의 페이지 넘김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볼륨 다운 숏 키'에 대한 제1 오동작 조건은 터치 센서 B가 눌려져 감지되는 경우, 터치 센서 D, 터치 센서 E 중 적어도 하나가 눌러져 있는 경우이고, 제2 오동작 조건은 터치 센서 B 및 터치 센서 C가 눌려진 경우 터치 센서 E가 동시에 눌려진 경우이고, 제3 오동작 조건은 3개 이상의 터치 센서가 동시에 눌려진 경우일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볼륨 제어를 위한 터치 입력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의 도면부호 710을 참조하면, 제2 입력 영역(114)의 복수의 터치 센서(B, C, D 및 E)의 아래에서 위 방향(즉, 터치 센서 E로부터 터치 센서 B의 방향)으로 드래그 앤 스탑(Drag & Stop)(701)이 입력되면, 터치 감지부(120)는 드래그 앤 스탑에 따른 사용자 입력 인터럽트 신호를 데이터 처리부(150)로 제공한다. 드래그 앤 스탑 제스처는 사용자가 드래그의 마지막 위치에서 플릭에 비하여 터치를 길게 입력하는 경우로, 드래그의 마지막 위치의 터치 센서의 정전용량 변화도 그에 따라 스탑에 비하여 길게 감지된다. 터치 제스처가 드래그 앤 스탑인 경우, 데이터 처리부(150)는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의 종류에 따라 볼륨 제어 및 페이지 넘김 중 적어도 하나의 동작을 정상 동작에 비하여 고속으로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키 동작은 볼륨 업 롱 키 동작이라고 부를 수 있다.
예를 들어, 데이터 처리부(150)는 오디오 재생 애플리케이션이 실행중인 경우, 도면부호 710과 같은 드래그 앤 스탑 제스처(701) 입력에 따라 볼륨 업 동작을 고속으로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드래그 데이터 처리부(150)가 웹 애플리케이션 실행에 따라 웹 페이지를 제공하고 있거나 전자책 애플리케이션 실행에 따라 전자책의 페이지를 제공하고 있는 경우에는, 도면부호 710과 같은 드래그 앤 스탑 제스처(701) 입력에 따라 이전 페이지로의 페이지 넘김 동작을 고속으로 수행할 수 있다. 데이터 처리부(150)가 실행중인 애플리케이션에 따라 드래그 앤 스탑 제스처 입력의 결과는 이 외에도 다양한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도 7의 도면부호 720을 참조하면, 제2 입력 영역(114)의 복수의 터치 센서(B, C, D 및 E)의 위에서 아래 방향(즉, 터치 센서 B로부터 터치 센서 E의 방향)으로 드래그 앤 스탑(702)이 입력되면, 터치 감지부(120)는 드래그 앤 스탑에 따른 사용자 입력 인터럽트 신호를 데이터 처리부(150)로 제공한다. 데이터 처리부(150)는 수신된 인터럽트 신호에 따라 실행중인 애플리케이션을 제어한다. 이러한 키 동작은 볼륨 다운 롱 키 동작이라고 부를 수 있다.
예를 들어, 데이터 처리부(150)는 오디오 재생 애플리케이션이 실행중인 경우, 도면부호 720과 같은 드래그 앤 스탑 제스처(702) 입력에 따라 볼륨 다운 동작을 고속으로 수행할 수 있다. 데이터 처리부(150)가 웹 애플리케이션 실행에 따라 웹 페이지를 제공하고 있거나 전자책 애플리케이션 실행에 따라 전자책의 페이지를 제공하고 있는 경우에는, 도면부호 710과 같은 드래그 앤 스탑 제스처(702) 입력에 따라 다음 페이지로의 페이지 넘김 동작을 고속으로 수행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볼륨 숏 키 및 볼륨 롱 키에 따른 터치 감지부의 사용자 입력 인터럽트 신호의 펄스를 나타내는 타이밍도이다.
터치 감지부(120)가 데이터 처리부(150)로 사용자 입력 인터럽트 신호를 전송할 때,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데이터 처리부(150)가 볼륨 업 동작 및 볼륨 다운 동작시 롱 키와 숏 키를 구분하도록 할 수 있다.
제2 입력 영역(114)의 복수의 터치 센서(B, C, D 및 E)의 드래그 시작 위치의 터치 센서의 누름(press) 시작 시점에서 제1 인터럽트 신호(801)를 데이터 처리부(150)로 보내고, 드래그 종료 위치의 터치 센서의 누름 해제(release) 시점에서 제2 인터럽트 신호(802)를 데이터 처리부(150)로 보낼 수 있다.
데이터 처리부(150)는 볼륨 업 동작 및 볼륨 다운 동작시 드래그 & 플릭 제스처 및 드래그 & 스탑 제스처를 구분하기 위하여 제2 입력 영역(114)의 복수의 터치 센서(B, C, D 및 E) 중 드래그 시작 위치의 터치 센서의 누름(press) 시작 시점에 대응하는 제1 인터럽트 신호(801)에서부터 드래그 종료 위치의 터치 센서의 누름 해제(release) 시점에 대응하는 제2 인터럽트 신호(802) 사이의 드래그에 걸린 시간을 이용할 수 있다. 데이터 처리부(150)는 드래그에 걸린 시간이 특정 시간(예를 들어, 500ms) 이상인 경우에는, 롱 키 입력으로 인식하고, 특정 시간(예를 들어, 500ms) 미만인 경우에는, 숏 키 입력으로 인식할 수 있다.
상세하게는, 데이터 처리부(150)는 제1 인터럽트 신호(801)가 수신되면 터치 감지부(120)의 레지스터(122)의 제2 어드레스에 액세스하여, 제2 레지스터 값을 판독하고, 제2 인터럽트 신호(802)가 수신되면, 드래그에 걸린 시간에 대응하는 제1 인터럽트 신호(801)와 제2 인터럽트 신호(802) 사이의 시간을 결정하고, 제1 인터럽트 신호(801)와 제2 인터럽트 신호(802) 사이의 시간 및 제2 레지스터 값이 나타내는 제스처 상태 정보를 이용하여 터치 제스처를 결정할 수 있다.
제1 인터럽트 신호(801)와 제2 인터럽트 신호(802) 사이에 걸린 시간이 특정 시간 미만이고, 제2 레지스터 값이 볼륨 업 제스처를 나타내면, 터치 제스처를 볼륨 업 숏 키로 인식하고, 제1 인터럽트 신호(801)와 제2 인터럽트 신호(802) 사이에 걸린 시간이 특정 시간 미만이고, 제2 레지스터 값이 볼륨 다운 제스처를 나타내면, 터치 제스처를 볼륨 다운 숏 키로 인식할 수 있다. 제1 인터럽트 신호(801)와 제2 인터럽트 신호(802) 사이에 걸린 시간이 특정 시간 이상이고, 제2 레지스터 값이 볼륨 업 제스처를 나타내면, 터치 제스처를 볼륨 업 롱 키로 인식하고, 제1 인터럽트 신호(801)와 제2 인터럽트 신호(802) 사이에 걸린 시간이 특정 시간 이상이고, 제2 레지스터 값이 볼륨 다운 제스처를 나타내면, 터치 제스처를 볼륨 다운 롱 키로 인식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터치 패널(110)의 제2 입력 영역(114)의 터치 센서(E)로부터 누름이 시작되어 터치 센서(B)까지 누름 해제가 이루어지거나, 터치 센서(B)로부터 누름이 시작되어 터치 센서(E)까지 누름 해제가 이루어지는 경우 볼륨 업 또는 볼륨 다운을 위한 제스처를 감지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드래그 제스처의 인식 허용 기준을 나타내는 제스처율을 만족하면 정상적인 드래그 제스처로 인식할 수 있다. 제스처율은, 예를 들어, 드래그 되는 터치 센서들의 80%에서 터치 감지 신호가 순차적으로 입력되는 것으로 정해질 수 있다. 이 경우, 터치 감지부(120)는 터치 센서(D)부터 터치 센서(B)까지의 드래그 제스처를 볼륨 업 제스처로 감지하고, 터치 센서(C)로부터 터치 센서(E)까지의 드레그 제스처를 볼륨 다운 제스처로 감지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의 상태 모델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휴대 단말(100)의 동작 모드는 파워 오프 모드(910), 액티브 모드(920), 홀드 온 모드(930) 및 터치 슬립 모드(940)를 포함한다.
파워 오프 모드(910)는 휴대 단말(100)에 전원이 공급되지 않는 파워 오프 상태이다. 파워 오프 모드(910)에서는 터치 감지부(120)만 ON인 상태이고, 터치 감지부(120)는 터치 패널(110)의 전원 키 입력 영역(114)만 활성화한다. 파워 오프 모드(910)에서 파워 온 제스처 입력시 화살표(901)와 같이 액티브 모드(920)로 전환된다. 액티브 모드(920)에서 파워 오프 제스처 입력시 화살표(902)와 같이 파워 오프 모드(910)로 전환된다.
액티브 모드(920), 홀드 온 모드(930) 및 터치 슬립 모드(940)는 휴대 단말(100)이 파워 온인 상태의 모드이다.
액티브 모드(920)는 휴대 단말(100)에 전원이 공급되고, 터치 패널(110) 및 터치 스크린(도시되지 않음)이 모두 활성화되어 모든 기능이 정상 동작되고,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으며, 사용자 입력에 따른 애플리케이션 동작이 수행될 수 있는 상태를 나타낸다.
홀드 온 모드(930)에서는 휴대 단말(100)의 일부 기능이 중단되어, 일부 모듈에만 전원이 공급될 수 있다. 홀드 온 모드(930)에서, 터치 패널(110)의 제1 입력 영역(112)은 활성화되어 있고, 제2 입력 영역(114)은 비활성화되어, 제1 입력 영역(112)으로의 사용자의 터치 입력만 감지될 수 있는 상태를 나타낸다. 홀드 온 모드(930)는 액티브 모드(920)에서 사용자가 홀드 온 키 제스처(숏키 터치 & 드래그)를 입력하면 화살표(903)와 같이 진입하게 된다. 홀드 온 모드(903)에서 홀드 오프 제스처(숏키 터치 & 드래그) 입력시 화살표(904)와 같이 진입하게 된다.
터치 슬립 모드(940)는 액티브 모드(920)에서, 일정 시간 동안 터치 패널(110)으로 사용자의 터치 입력이 없는 경우 화살표(906)와 같이 터치 감지부(120)가 진입하는 모드를 나타낸다. 즉, 터치 감지부(120)외의 휴대 단말(100)의 상태는 액티브 모드(920)와 동일하다. 터치 슬립 모드(940)는 일정 기간 터치 입력이 없는 경우이므로, 터치 감지부(120)는 액티브 모드(920)에서의 터치 감지부(120)가 터치를 인식하는데 이용되는 전력 소모를 감소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 터치 슬립 모드(940)에 터치 패널(100)로 터치 입력시 화살표(605)와 같이 액티브 모드(920)로 전환된다.
데이터 처리부(150)는 파워 오프 모드, 액티브 모드 및 홀드 온 모드에 따라 동작되고, 각 동작 모드로 진입할 때마다, 각 상태에 대응하는 레지스터 값을 터치 감지부(120)의 레지스터(212)의 제1 어드레스에 제1 레지스터 값으로서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데이터 처리부(150)는 파워 오프 모드로 진입할 때, 터치 감지부(120)의 레지스터(212)의 제1 어드레스에 0xF0 값을 제1 레지스터 값으로 설정하고, 액티브 모드로 진입할 때, 레지스터(212)의 제1 어드레스에 0xF4 값을 상태 정보로 설정하고, 파워 오프 모드로 진입할 때, 레지스터(212)의 제1 어드레스에 0xF8 값을 상태 정보로 설정할 수 있다.
터치 감지부(120)는 설정된 제1 레지스터 값에 따라 터치 패널(110)을 제어할 수 있다. 파워 오프 모드(910) 및 홀드 온 모드(930)에서는 터치 패널(110)의 제1 입력 영역(112)만 활성화시키고, 액티브 모드(920)에서는 터치 패널(110)의 제1 입력 영역(112) 및 제2 입력 영역(114) 모두를 활성화시키고, 터치 슬립 모드(940)에서는 제1 입력 영역(112) 및 제2 입력 영역(114) 모두를 활성화시키되 액티브 모드(920)보다 저전력을 소모하도록 터치 패널(110)을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가 원치 않는 터치 키가 입력된 경우에는, 휴대 단말(100)의 모드가 변경된 경우에도, 일정 시간(예를 들어, 5초) 이상 추가적인 터치 입력이 없는 경우, 휴대 단말은 원래의 동작 모드로 되돌아갈 수 있다. 예를 들어, 터치 슬립 모드(940)에서 터치 입력이 감지되어, 휴대 단말(100)의 상태가 액티브 모드(920)로 전환된 경우, 추가적인 터치 입력이 감지되지 않으면, 휴대 단말(100)은 다시 터치 슬립 모드(940)로 되돌아갈 수 있다. 이는, 홀드 온 모드(930) 및 파워 오프 모드(910)에서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원 제어 제스처에 따른 휴대 단말의 동작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휴대 단말(100)의 파워 오프 상태에서는 터치 패널(110)의 제1 입력 영역(112)만이 활성화된 상태이다(1010).
제1 입력 영역(112)을 통해 터치 감지 신호가 제1 기간 이상 입력되는 롱 키가 입력되면(1020), 터치 감지부(120)는 제2 입력 영역(114)을 활성화한다(1030).
제2 입력 영역(114)이 활성화된 상태에서(1030), 제2 입력 영역(114)에 파워 온 제스처에 해당하는 드래그 터치 감지 신호가 입력되면(1040), 터치 감지부(120)는 휴대 단말(100)의 전원 공급 개시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1050), 전원 공급 개시 제어 신호에 따라 전원 제어부(130)는 휴대 단말 전체에 전원을 공급하고, 휴대 단말(100)이 정상 동작 상태가 된다(1060).
도 11은 도 1의 터치 패널(110)의 정면 구조를 나타낸다. 터치 패널(110)은 전술한 바와 같이 FPCB상에 형성된 복수의 터치 센서로 구성될 수 있다. 터치 패널(110)은 제1 입력 영역(112) 및 제2 입력 영역(114)을 포함하고, 제1 입력 영역(112) 및 제2 입력 영역(114)은 일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된다.
제1 입력 영역(112)으로 입력되는 터치 제스처 및 제2 입력 영역(114)으로 입력되는 터치 제스처에 따라 휴대 단말(100)의 동작이 달라지므로, 제1 입력 영역(112) 및 제2 입력 영역(114)을 일정 간격 이격하여 설치함으로써, 휴대 단말(100)의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휴대 단말(100)이 액티브 모드일 때, 볼륨 조정 등을 위한 제2 입력 영역(114)의 제스처 입력시 제1 입력 영역(112)으로 터치가 입력되어, 휴대 단말(100)이 홀드 온 상태로 되거나 파워 오프 상태로 전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입력 영역(112)에는 하나의 터치 센서(1110)가 포함되고, 제2 입력 영역(114)에는 복수의 터치 센서(1120, 1130, 1140 및 1150)가 포함될 수 있다. 제1 입력 영역(112)에 하나 이상의 터치 센서가 포함될 수도 있다. 제2 입력 영역(114)의 복수의 터치 센서(1120, 1130, 1140 및 1150)는 드래그 제스처를 입력받을 수 있도록 일렬로 배열될 수 있다.
복수의 터치 센서(1110, 1120, 1130, 1140 및 1150)는 각각 FPCB상에 사용자 터치가 이루어지는 터치 패드로 형성되어 구성될 수 있다. 복수의 터치 센서(1110, 1120, 1130, 1140 및 1150)가 정전용량 방식의 터치 센서로 구성되는 경우, 터치 패드는 도전체로 구성될 수 있다. 복수의 터치 센서(1110, 1120, 1130, 1140, 1150)의 터치 접촉면에 대응하는 각 터치 패드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형일 수 있으며, 원형, 타원형 등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터치 센서(1110, 1120, 1130, 1140 및 1150)는 FPCB 내층에 설치된 복수의 전송 채널을 통해 도 1의 터치 감지부(120)의 입출력 단자(I/O 1, I/O 2, I/O 3, I/O 4 및 I/O 5)와 각각 연결되고, 터치 감지부(120)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따라 활성화되고, 터치에 대응하는 터치 감지 신호를 터치 감지부(120)의 각 입출력 단자(I/O 1, I/O 2, I/O 3, I/O 4 및 I/O 5)로 전달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래그 제스처에 따른 제2 입력 영역의 감지 신호의 펄스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제2 입력 영역(114)에 포함된 복수의 터치 센서(1120, 1130, 1140 및 1150)에 드래그 제스처가 입력되면, 각 터치 센서(1120, 1130, 1140 및 1150)에 순차적으로 터치 감지 신호가 생성되어 터치 감지부(120)로 전달된다.
제2 입력 영역(114)에 위에서 아래로 드래그 제스처가 입력되면,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치 감지 신호가 생성된다. 터치 센서(1120)의 터치 감지 신호 펄스(1210), 터치 센서(1130)의 터치 감지 신호 펄스(1220), 터치 센서(1140)의 터치 감지 신호 펄스(1230) 및 터치 센서(1150)의 터치 감지 신호 펄스(1240) 사이의 간격은 드래그 제스처의 속도 및 드래그 제스처시의 손가락 접촉 면적에 따라 변화된다. 터치 감지 신호 펄스들(1210, 1220, 1230 및 1240) 사이의 간격은 터치 감지 신호 펄스의 피크 값 사이의 간격 또는 후술할 중복 구간으로 측정될 수 있다.
제1 속도로 드래그 제스처 입력시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은 신호 펄스가 발생되는 경우, 제1 속도보다 느린 드래그 제스처 입력시에는 터치 감지 신호 펄스들(1210, 1220, 1230 및 1240) 사이의 간격은 더 벌어지고, 제1 속도보다 빠른 드래그 제스처 입력시에는 터치 감지 신호 펄스들(1210, 1220, 1230 및 1240) 사이의 간격이 더 좁아질 수 있다. 또한, 동일한 속도의 드래그 제스처 입력시에 손가락의 제2 입력 영역(114)에 대한 접촉 면적이 클수록 터치 감지 신호 펄스들(1210, 1220, 1230 및 1240) 사이의 간격이 더 좁아진다.
터치 감지 신호 펄스들(1210, 1220, 1230 및 1240) 중 적어도 2 이상의 감지 신호가 동시에 임계치 이상이 되는 구간을 중복 구간이라고 할 수 있다. 여기에서, 임계치는, 터치 센서가 정전용량 방식의 터치 센서인 경우, 정전용량 변화 값으로 설정될 수 있고, 터치 센서의 종류에 따라 다양한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터치 감지 신호 펄스들(1210, 1220, 1230 및 1240) 사이의 간격이 좁아져서, 터치 감지 신호 펄스들(1210, 1220, 1230 및 1240) 사이의 중복 구간이 일정 구간 이하가 되면, 드래그 제스처의 인식률이 저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드래그 제스처 입력에도 한 터치 감지부(120)는 제2 입력 영역(114)의 터치 센서들(1120, 1130, 1140 및 1150)에 순차적으로 터치가 입력되는 드래그 제스처로 인식하지 못하고, 각 터치 센서들(1120, 1130, 1140 또는 1150)에 하나 또는 2개의 터치가 있는 것으로 인식되어, 드래그 제스처 입력이 무시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터치 센서(1120, 1130, 1140 및 1150)의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단면에 각각 위치되는 터치 패드는, 복수의 터치 센서로 특정 속도로 드래그 제스처 입력시에, 복수의 터치 센서(1120, 1130, 1140 및 1150)로 감지되는 감지 신호의 중복 구간이 미리 설정된 임계 구간 이상이 되도록 설계된다.
이를 위해, 복수의 터치 센서의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단면에 각각 대응하는 터치 패드에서, 다른 터치 패드와 인접하는 위치의 각 터치 패드의 단부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꺽임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톱니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라운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터치 패널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입력 영역(112)에는 터치 센서(1310)가 포함되고, 제2 입력 영역(114)에는 복수의 터치 센서(1320, 1330, 1340 및 1350)가 포함될 수 있다. 복수의 터치 센서(1320, 1330, 1340 및 1350)의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단면에 각각 위치되는 터치 패드에서, 다른 터치 패드와 인접하는 위치의 각 터치 패드의 단부(1311, 1312, 1313, 1314, 1315, 1316)는 'V'자와 같은 꺽임 형상을 가진다. 각 터치 패드의 단부(1311, 1312, 1313, 1314, 1315, 1316)는 역 'V'자와 같은 꺽임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터치 패널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입력 영역(112)에는 터치 센서(1410)가 포함되고, 제2 입력 영역(114)에는 복수의 터치 센서(1420, 1430, 1440 및 1450)가 포함될 수 있다. 복수의 터치 센서(1420, 1430, 1440 및 1450)의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단면에 각각 위치되는 터치 패드에서, 다른 터치 패드와 인접하는 위치의 각 터치 패드의 단부(1411, 1412, 1413, 1414, 1415, 1416)는 톱니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터치 패널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입력 영역(112)에는 터치 센서(1510)가 포함되고, 제2 입력 영역(114)에는 복수의 터치 센서(1520, 1530, 1540 및 1550)가 포함될 수 있다. 복수의 터치 센서(1520, 1530, 1540 및 1550)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단면에 각각 위치되는 터치 패드가 형성되고, 다른 터치 패드와 인접하는 위치의 각 터치 패드의 단부(1511, 1512, 1513, 1514, 1515, 1516)는 'U'자 형의 라운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양상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될 수 있다. 상기의 프로그램을 구현하는 코드들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당해 분야의 컴퓨터 프로그래머에 의하여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디스크 등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 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본질적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특허 청구범위에 기재된 내용과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다양한 실시 형태가 포함되도록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7)

  1. 전원;
    하나 이상의 터치 센서를 포함하는 제1 입력 영역 및 복수의 터치 센서를 포함하는 제2 입력 영역을 포함하며, 제1 입력 영역 및 제2 입력 영역에 대한 터치 제스처를 입력받고, 터치 제스처에 대한 터치 감지 신호를 생성하는 터치 패널;
    상기 터치 감지 신호에 따라 휴대 단말의 전원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터치 패널에 포함된 터치 센서들을 각각 제어하는 터치 감지부;
    상기 전원 제어 신호에 따라 전원을 데이터 처리부로 공급하는 전원 제어부; 및
    휴대 단말의 기능 수행을 위한 데이터를 처리하는 데이터 처리부;를 포함하고,
    제1 입력 영역 및 제2 입력 영역은 서로 이격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입력 영역에 포함되는 복수의 터치 센서는 일렬로 배열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
  3. 제1항에 있어서,
    복수의 터치 센서의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단면에 각각 대응하는 터치 패드는, 복수의 터치 센서로 특정 속도로 드래그 제스처 입력시에, 복수의 터치 센서로 감지되는 감지 신호 중 2 이상의 감지 신호가 동시에 임계치 이상이 되는 중복 구간이 미리 설정된 임계 구간 이상이 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
  4. 제1항에 있어서,
    복수의 터치 센서의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단면에 각각 위치되는 터치 패드는, 다른 터치 패드와 인접하는 위치의 각 터치 패드의 단부가 꺽임 형상을 가지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
  5. 제1항에 있어서,
    복수의 터치 센서의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단면에 각각 위치되는 터치 패드는, 다른 터치 패드와 인접하는 위치의 각 터치 패드의 단부가 톱니 형상을 가지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
  6. 제1항에 있어서,
    복수의 터치 센서의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단면에 각각 위치되는 터치 패드는, 다른 패드와 인접하는 위치의 각 패드의 단부가 라운드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 단말의 전원 공급이 개시된 파워 온 상태에서, 상기 제2 입력 영역을 통해 터치 제스처가 입력되면, 상기 터치 감지부는 입력된 터치 제스처에 대응하는 사용자 입력 인터럽트 신호를 데이터 처리부로 전송하고, 상기 데이터 처리부는 수신된 사용자 입력 인터럽트 신호에 따라 실행중인 애플리케이션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
KR1020120018503A 2012-02-23 2012-02-23 터치 기반으로 동작되는 휴대 단말 및 그 동작 방법 KR1012968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8503A KR101296869B1 (ko) 2012-02-23 2012-02-23 터치 기반으로 동작되는 휴대 단말 및 그 동작 방법
US13/713,500 US10055037B2 (en) 2012-02-23 2012-12-13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operating a mobile terminal based on touch inpu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8503A KR101296869B1 (ko) 2012-02-23 2012-02-23 터치 기반으로 동작되는 휴대 단말 및 그 동작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96869B1 true KR101296869B1 (ko) 2013-08-14

Family

ID=490023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18503A KR101296869B1 (ko) 2012-02-23 2012-02-23 터치 기반으로 동작되는 휴대 단말 및 그 동작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10055037B2 (ko)
KR (1) KR10129686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672627B1 (en) * 2013-05-09 2017-06-06 Amazon Technologies, Inc. Multiple camera based motion tracking
KR102223277B1 (ko) * 2014-01-06 2021-03-05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
JP2015146102A (ja) 2014-02-03 2015-08-13 株式会社ワコム センサコントローラ、センサコントローラを備えたセンサデバイス、センサデバイスが搭載された電子機器およびアプリケーションソフトウェアの復旧方法
US20150227263A1 (en) * 2014-02-12 2015-08-13 Kobo Inc. Processing a page-transition action using an acoustic signal input
US20150242112A1 (en) * 2014-02-26 2015-08-27 Microsoft Corporation Human interface device with touch sensor
US9645633B2 (en) * 2015-03-31 2017-05-09 Synaptics Incorporated Single receiver superdoze mode
JP6143023B2 (ja) * 2015-11-19 2017-06-07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電子機器、タッチ操作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20180020386A (ko) * 2016-08-18 2018-02-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의 동작 방법
CN107908353B (zh) * 2016-09-30 2020-12-18 禾瑞亚科技股份有限公司 电子系统、触控处理装置与其方法
CN107422913A (zh) * 2017-07-24 2017-12-01 安徽华米信息科技有限公司 电子设备及其触摸屏控制方法
US11768527B2 (en) * 2021-04-23 2023-09-26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Data center component replacement
CN114647478B (zh) * 2022-05-23 2022-09-13 武汉中科通达高新技术股份有限公司 数据看板生成方法、装置、计算机设备及存储介质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37694A (ko) * 2002-10-29 2004-05-07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전력소모를 줄이기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75685B1 (ko) * 1997-04-11 2000-12-15 윤종용 펜과 터치패널을 이용한 휴대용 정보 단말기의 시동장치 및 시동방법
US7800592B2 (en) * 2005-03-04 2010-09-21 Apple Inc. Hand held electronic device with multiple touch sensing devices
US7208916B1 (en) * 2001-02-16 2007-04-24 Intermec Ip Corp. Battery system including two temperature sensors
US20030117376A1 (en) * 2001-12-21 2003-06-26 Elen Ghulam Hand gesturing input device
US7656393B2 (en) * 2005-03-04 2010-02-02 Apple Inc. Electronic device having display and surrounding touch sensitive bezel for user interface and control
FI20030660A0 (fi) * 2003-05-02 2003-05-02 Nokia Corp Menetelmä päätelaitteen tehonsäästöön langattomassa lähiverkossa ja päätelaite
WO2005008444A2 (en) * 2003-07-14 2005-01-27 Matt Pallakoff System and method for a portbale multimedia client
US7577925B2 (en) * 2005-04-08 2009-08-18 Microsoft Corporation Processing for distinguishing pen gestures and dynamic self-calibration of pen-based computing systems
GB0519315D0 (en) * 2005-07-21 2005-11-02 Southwing S L Personal communications systems
WO2009071123A1 (en) * 2007-12-06 2009-06-11 Nokia Corporation Power reduction for touch screens
US9082117B2 (en) * 2008-05-17 2015-07-14 David H. Chin Gesture based authentication for wireless payment by a mobile electronic device
CN101598966A (zh) * 2008-06-06 2009-12-09 深圳富泰宏精密工业有限公司 显示双画面的触控装置及其控制方法
US20100073303A1 (en) * 2008-09-24 2010-03-25 Compal Electronics, Inc. Method of operating a user interface
US8368658B2 (en) * 2008-12-02 2013-02-05 At&T Mobility Ii Llc Automatic soft key adaptation with left-right hand edge sensing
KR101534109B1 (ko) * 2008-12-23 2015-07-07 삼성전자주식회사 정전용량형 터치 패널 및 이를 포함하는 정전용량형 터치 시스템
KR101613086B1 (ko) * 2009-01-05 2016-04-29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기기에서 디스플레이 방법 및 장치
US9001071B2 (en) * 2009-02-23 2015-04-07 Novatek Microelectronics Corp. Energy-efficient touch panel device and related method
US8963844B2 (en) * 2009-02-26 2015-02-24 Tara Chand Singhal Apparatus and method for touch screen user interface for handheld electronic devices part I
US20100235787A1 (en) * 2009-03-11 2010-09-16 Mitel Networks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accessing internet protocol phone based applications
KR101537706B1 (ko) * 2009-04-16 2015-07-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1365792B1 (ko) * 2009-04-28 2014-02-20 닛본 덴끼 가부시끼가이샤 터치 패널, 터치 패널의 제조 방법 및 전자 기기
KR101633332B1 (ko) * 2009-09-30 2016-06-24 엘지전자 주식회사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TW201214237A (en) * 2010-09-16 2012-04-01 Asustek Comp Inc Touch display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5683997B2 (ja) * 2011-02-24 2015-03-11 京セラ株式会社 電子機器
US9104288B2 (en) * 2011-03-08 2015-08-11 Nokia Technologies Oy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quick access to media functions from a locked screen
TWI463361B (zh) * 2011-07-13 2014-12-01 Compal Electronics Inc 觸控面板之局部控制方法與系統
US8754872B2 (en) * 2011-09-15 2014-06-17 Microsoft Corporation Capacitive touch controls lockout
KR101953382B1 (ko) * 2011-09-21 2019-03-04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단말기의 표시제어장치 및 방법
US8723824B2 (en) * 2011-09-27 2014-05-13 Apple Inc. Electronic devices with sidewall displays
EP2761763A4 (en) * 2011-09-30 2015-07-22 Intel Corp ACTIVATING A MOBILE DEVICE THROUGH USER-EFFECTIVE GRIP
TWI581135B (zh) * 2011-09-30 2017-05-01 加拿都公司 觸感薄膜、觸感裝置及電子裝置
EP2769272A1 (en) * 2011-10-18 2014-08-27 Slyde Watch SA A method and circuit for switching a wristwatch from a first power mode to a second power mode
US9058168B2 (en) * 2012-01-23 2015-06-16 Blackberry Limited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a display
US9158372B2 (en) * 2012-10-30 2015-10-13 Google Technology Holdings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user interaction data storage
US20140145927A1 (en) * 2012-11-29 2014-05-29 Htc Corporation Method for Provid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Related Electronic Device
KR102157858B1 (ko) * 2013-11-18 2020-09-21 삼성전자주식회사 전력 소모를 줄일 수 있는 전자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37694A (ko) * 2002-10-29 2004-05-07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전력소모를 줄이기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30222288A1 (en) 2013-08-29
US10055037B2 (en) 2018-08-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96869B1 (ko) 터치 기반으로 동작되는 휴대 단말 및 그 동작 방법
US20130222295A1 (en) Mobile terminal to operate based on touch input,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US11409435B2 (en) Sensor managed apparatus,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AU2018282404B2 (en) Touch-sensitive button
US10579127B2 (en) Apparatus for driving a touch pad and a portable terminal having the same
US9696821B2 (en) Data input system, active stylus and method of controlling of active stylus
CN106030483B (zh) 使用压感触摸的触摸屏的功率模式的动态切换
KR101242620B1 (ko) 터치 센서 제어기에서의 터치 신호 처리 방법 및 그 장치
US20110260987A1 (en) Dual screen electronic device
JP3156466U (ja) 省電管理装置
KR101343610B1 (ko) 터치 기반으로 동작되는 휴대 단말 및 그 동작 방법
EP2887188B1 (en) Control system for a gesture sensing arrangement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gesture sensing arrangement
KR101369429B1 (ko) 터치 기반으로 동작되는 휴대 단말 및 그 동작 방법
WO2015005847A1 (en) Partial detect mode
CN112416137B (zh) 计算装置及其控制方法
KR101415184B1 (ko) 터치 기반으로 동작되는 휴대 단말 및 그 동작 방법
CN104932811A (zh) 便携式电子设备及便携式电子设备唤醒显示屏的方法
US20100110021A1 (en) Electronic device equipped with interactive display screen and processing method for interactive displaying
CN105892915B (zh) 一种信息处理方法及电子设备
CN111966248B (zh) 一种触控装置、电子设备及信息处理方法
CN115167692A (zh) 一种触控方法及触控装置、存储介质
CN112470106A (zh) 手写感应装置及其低功耗控制电路、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8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