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23679A - 습식 도장 부스 순환수 처리제 및 습식 도장 부스 순환수의 처리 방법 - Google Patents

습식 도장 부스 순환수 처리제 및 습식 도장 부스 순환수의 처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23679A
KR20180123679A KR1020187026998A KR20187026998A KR20180123679A KR 20180123679 A KR20180123679 A KR 20180123679A KR 1020187026998 A KR1020187026998 A KR 1020187026998A KR 20187026998 A KR20187026998 A KR 20187026998A KR 20180123679 A KR20180123679 A KR 201801236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irculating water
powder
aluminum salt
wet
booth circul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269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91952B1 (ko
Inventor
유타 아리모토
Original Assignee
쿠리타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쿠리타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쿠리타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801236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236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19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19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01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using flocculating ag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30Control equipment
    • B01D21/305Control of chemical properties of a component, e.g. control of p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2/00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 B05B12/16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4/00Arrangements for collecting, re-using or eliminating excess spraying material
    • B05B14/40Arrangements for collecting, re-using or eliminating excess spraying material for use in spray booths
    • B05B14/41Arrangements for collecting, re-using or eliminating excess spraying material for use in spray booths by cleaning the walls of the boo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4/00Arrangements for collecting, re-using or eliminating excess spraying material
    • B05B14/40Arrangements for collecting, re-using or eliminating excess spraying material for use in spray booths
    • B05B14/46Arrangements for collecting, re-using or eliminating excess spraying material for use in spray booths by washing the air charged with excess material
    • B05B14/462Arrangements for collecting, re-using or eliminating excess spraying material for use in spray booths by washing the air charged with excess material and separating the excess material from the washing liquid, e.g. for recover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6/00Spray booths
    • B05B16/40Construction elemen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floors, walls or ceil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8Control or steering systems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subclass C02F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5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flocculation or precipitation of suspended impuriti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5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flocculation or precipitation of suspended impurities
    • C02F1/523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flocculation or precipitation of suspended impurities using inorganic agents
    • C02F1/5245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flocculation or precipitation of suspended impurities using inorganic agents using basic salts, e.g. of aluminium and ir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6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neutralisation; pH adjust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71Paint detackifiers or coagulants, e.g. for the treatment of oversprays in paint spraying install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3/00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 C02F2103/14Paint was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9/00Controlling or monitoring parameters in water treatment
    • C02F2209/06Controlling or monitoring parameters in water treatment pH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Separation Of Suspended Particles By Flocculating Agents (AREA)
  • Physical Water Treatments (AREA)

Abstract

비교적 적은 약제 첨가량으로, 또, pH 조정을 위한 알칼리제 이외에 2 개의 약제를 필요로 하지 않고, 1 제로 용제계 도료를 함유하는 습식 도장 부스 순환수의 불점착화 처리를 효율적으로 실시한다. 염기도 60 % 이상의 알루미늄염과 알칼리제를 용제계 도료를 함유하는 습식 도장 부스 순환수에 첨가하여, pH 7 이상, 바람직하게는 7.5 이상에서 용제계 도료의 불점착화를 실시한다. 미리 조제된 알루미늄염 분말과 알칼리제 분말의 분말 혼합품을 사용하여 간편하게 처리를 실시할 수도 있다.

Description

습식 도장 부스 순환수 처리제 및 습식 도장 부스 순환수의 처리 방법
본 발명은, 용제계 도료를 함유하는 습식 도장 부스 순환수 중의 도료를 불점착화 처리하는 습식 도장 부스 순환수 처리제 및 습식 도장 부스 순환수의 처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 전기 기기, 금속 제품 등의 도장 공정에서는 스프레이 도장이 실시되고 있고, 피도물 (被塗物) 에 도착되지 않는 오버 스프레이 페인트 (잉여 도료) 가 다량으로 발생한다. 그 발생량은, 도착 효율이 높은 정전 도장을 제외하면 사용 도료의 50 % 에서 60 % 정도에도 달한다. 따라서, 도장 공정의 환경으로부터 잉여 도료를 제거, 회수할 필요가 있다. 잉여 도료의 포집에는, 통상적으로, 수세에 의한 습식 도장 부스가 채용되어 있고, 수세수는 순환 사용된다. 순환수 중에 도료가 잔류하여 축적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순환수 중의 잉여 도료를 응집 분리하는 것이 실시되고 있다.
도료는 크게 나누어, 용제로서 시너 등의 유기 용제만을 사용한 용제계 도료와, 물을 사용한 수성 도료가 있다. 용제계 도료는, 수성 도료에 비해, 내후성이나 내치핑성 등이 우수하고, 특히 자동차용의 상도 (上塗) 클리어 도장에 있어서는 많이 사용되고 있다. 용제계 도료는, 순환수 중에 도입된 잉여 도료의 입자의 점착성이 높기 때문에, 여러 설비에 부착되어 극심한 오염을 일으키거나, 응집되어 큰 덩어리가 되어 로딩을 발생시키기 쉽다.
이 때문에, 용제계 도료를 함유하는 습식 도장 부스 순환수의 응집 처리에 있어서는, 용제계 도료를 불점착화하는 것이 중요해진다.
습식 도장 부스 순환수의 처리에 있어서, 알루미늄계 무기 응집제를 사용하는 것은 공지되어 있다. 특허문헌 1 에는, 수성 도료와 용제계 도료를 함유하는 습식 도장 부스 순환수의 처리에, 타닌과 카티온 모노머의 공중합체와 폴리염화알루미늄의 혼합물을 사용하는 것이 제안되어 있다. 특허문헌 2 에는, 수성 도료를 대상으로, 무기 응집제와 고분자 응집 보조제를 병용하는 것이 제안되어 있다.
용제계 도료의 불점착화제로는, 점토 광물, 페놀 수지, 타닌 등을 사용하는 예가 있다. 그러나, 이것들은 불점착화를 위해서 카티온성의 약제를 병용 첨가할 필요가 있다. 특허문헌 3 에서는, 페놀 수지와 알킬아민·에피클로르하이드린 축합물 등의 카티온계 폴리머를 습식 도장 부스 순환수에 소정의 비율로 첨가하는 방법이 제안되어 있다.
특허문헌 3 에 기재되는 바와 같이, 용제계 도료의 불점착제로서 페놀 수지 등의 아니온성의 약제가 알려져 있지만, 이것들은, 카티온성의 약제와 병용하여, 양 약제의 첨가량을 제어하여 순환수의 이온 밸런스를 유지하기 위해서, 번잡한 약주 (藥注) 제어가 필요하다.
USP5,614,103 일본 공개특허공보 소52-71538호 일본 특허공보 제4069799호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여, 번잡한 약주 제어를 필요로 하지 않고, 1 제로 용제계 도료를 함유하는 습식 도장 부스 순환수의 불점착화 처리를 효율적으로 실시할 수 있는 습식 도장 부스 순환수 처리제 및 습식 도장 부스 순환수의 처리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예의 검토를 거듭한 결과, 종래 일반적으로 알루미늄계 무기 응집제로서 사용되고 있는 폴리염화알루미늄 (염기도 50 % 정도) 이나 황산 밴드에 비해, 염기도 60 % 이상의 고염기성의 알루미늄염이, 용제계 도료의 불점착화 효과가 우수하고, 이 고염기성 알루미늄염이면, 다른 약제를 병용하지 않고, 알칼리제에 의해 pH 7 이상, 바람직하게는 pH 7.5 이상으로 조정하는 것만으로, 용제계 도료에 대해 높은 불점착화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을 알아내었다.
즉, 본 발명은 이하를 요지로 한다.
[1] 용제계 도료를 함유하는 습식 도장 부스 순환수 처리제로서, 염기도 60 % 이상의 알루미늄염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도장 부스 순환수 처리제.
[2][1]에 있어서, 상기 알루미늄염이 염기성 염화알루미늄으로서, 알루미늄과 염소의 질량비 Al/Cl 이 1.0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도장 부스 순환수 처리제.
[3][1]또는[2]에 있어서, 상기 알루미늄염과 알칼리제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도장 부스 순환수 처리제.
[4][3]에 있어서, 상기 알루미늄염 분말과 알칼리제 분말의 분말 혼합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도장 부스 순환수 처리제.
[5][4]에 있어서, 상기 알루미늄염 분말과 상기 알칼리제 분말의 혼합 비율이, 상기 혼합품을 상기 습식 도장 부스 순환수에 첨가했을 때의 pH 가 7 이상이 되도록 조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도장 부스 순환수 처리제.
[6][4]또는[5]에 있어서, 상기 알칼리제 분말이 탄산나트륨 분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도장 부스 순환수 처리제.
[7][1]내지[6]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알루미늄염이 고염기성 염화알루미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도장 부스 순환수 처리제.
[8] 용제계 도료를 함유하는 습식 도장 부스 순환수의 처리 방법으로서, 염기도 60 % 이상의 알루미늄염을 그 습식 도장 부스 순환수에 첨가하고, 그 습식 도장 부스 순환수의 pH 를 7 이상으로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도장 부스 순환수의 처리 방법.
[9][8]에 있어서, 상기 알루미늄염이 염기성 염화알루미늄으로서, 알루미늄과 염소의 질량비 Al/Cl 이 1.0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도장 부스 순환수의 처리 방법.
[10][8]또는[9]에 있어서, 상기 습식 도장 부스 순환수에 상기 알루미늄염과 알칼리제를 첨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도장 부스 순환수의 처리 방법.
[11][10]에 있어서, 상기 알루미늄염의 분말과 알칼리제의 분말의 혼합물을 상기 습식 도장 부스 순환수에 첨가하는 방법으로서, 그 혼합물 첨가 후의 그 습식 도장 부스 순환수의 pH 가 7 이상이 되도록, 그 알루미늄염의 분말과 그 알칼리제의 분말의 혼합 비율을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도장 부스 순환수의 처리 방법.
본 발명에 의하면, 번잡한 약주 제어를 필요로 하지 않고, 1 제로 용제계 도료를 함유하는 습식 도장 부스 순환수의 불점착화 처리를 효과적으로 실시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불점착화를 위한 약제는, 염기도 60 % 이상의 알루미늄염과 필요에 따라 사용되는 알칼리제만이어도 되고, 종래와 같이 아니온계의 약제와 카티온계의 약제를 병용한 2 제를 소정의 비율로 약주 제어할 필요가 없다. 또, 처리시의 pH 도 7 이상, 바람직하게는 7.5 이상이면 된다.
도 1 은, 실시예에서 사용한 실험 장치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이하에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작용 기구]
본 발명에 있어서는, 용제계 도료의 불점착화를 위한 약제로서, 염기도 60 % 이상의 알루미늄염, 바람직하게는 염기성 염화알루미늄을 사용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염기도는, JIS K 1475-1996 에 따라 측정된 값이다. 염기성 염화알루미늄은 일반식[Al2(OH)nCl6-nm (0 < n < 6, m ≤ 10) 으로 나타내고, 염기도는 (n/6) × 100 (%) 로 하여 계산할 수 있다. 그리고, 염기성 염화알루미늄을 사용한 경우에는, 알루미늄과 염소의 질량비 Al/Cl 은 1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1.2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서는, 알루미늄과 염소의 질량비 Al/Cl 의 상한은 2 이하, 바람직하게는 1.9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알루미늄 및 염소는 각각 발광 분광 분석법 및 이온 크로마토 그래프법 등에 의해 측정할 수 있다. 일반적인 PAC (염기도 = 50 %) 나 저염기성의 PAC (염기도 = 34 %), 황산 밴드와 비교하여, 염기도 60 % 이상의 PAC 등의 알루미늄염, 특히 Al/Cl 이 1 이상인 염기성 염화알루미늄은, 용제계 도료의 불점착화 효과가 우수하다. 이와 같은 염기도 60 % 이상의 알루미늄염은, Al2O3 에 대한 Cl 함유량이 적고, 부식 이온의 혼입량을 삭감할 수 있는 점에 있어서도 유리하다. 또한, 일반적인 PAC 나 저염기성의 PAC 의 Al/Cl 은 0.4 ∼ 0.8 정도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염기도 60 % 이상의 알루미늄염이 용제계 도료의 불점착화 효과가 우수한 작용 기구의 상세한 것은 분명하지 않지만, 산성의 알루미늄염이 pH 의 상승에 의해 석출, 플록화될 때, pH 7.5 이상이면, 고염기성 알루미늄염 유래의 Al(OH)3 의 플록이 많이 생성되고, 이것이 불점착화에 대해 유효하게 작용하고 있는 것이라고 생각된다.
동일한 알루미늄염에서도 염기도의 차이에 의해 불점착화 효과가 상이한 것은, 석출되는 플록 직경에 의한 것이라고 생각된다. 예를 들어, 염기도 50 % 의 PAC 를 사용한 경우, 석출되는 플록의 평균 입자경은 pH 7.0 에서 10 ㎛ 정도인데에 반해, 염기도 60 % 의 알루미늄염이면, pH 7.0 에서 평균 입자경 2 ㎛ 의 미세한 플록이 생성됨으로써, 용제계 도료의 점착성이 보다 효과적으로 저감되는 것으로 추정된다.
[알루미늄염]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알루미늄염은, 염기도 60 % 이상의 고염기성의 알루미늄염 (이하, 「고염기성 알루미늄염」이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다) 이다. 특히 염기도 60 % 이상의 염기성 염화알루미늄 (이하 「고염기성 염화알루미늄」이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다) 을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고염기성 염화알루미늄을 사용한 경우에는, 알루미늄과 염소의 질량비 Al/Cl 은 1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1.2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알루미늄과 염소의 질량비 Al/Cl 의 상한은 2 이하, 바람직하게는 1.9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염기도가 상이한 알루미늄염을 2 종 이상 병용해도 되고, 혼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알칼리제]
본 발명에 있어서는, 고염기성 알루미늄염과 함께, 필요에 따라 알칼리제를 병용하여 습식 도장 부스 순환수의 pH 를 7 이상, 바람직하게는 7.5 이상으로 조정한다. 습식 도장 부스 순환수의 pH 가 7 미만이면, 고염기성 알루미늄염에 의한 용제계 도료의 불점착화 효과를 충분히 얻을 수 없는 경우가 있다.
알칼리제로는 수산화나트륨 (가성 소다), 수산화칼륨, 수산화칼슘 (소석회), 탄산나트륨의 1 종 또는 2 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이것들 중, 분말로 제공되는 소석회나 탄산나트륨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고염기성 알루미늄염의 분말과의 분말 혼합품으로서 일제화 (一劑化) 할 수 있어, 취급성이 우수하다.
[약제 첨가량]
습식 도장 부스 순환수에 대한 고염기성 알루미늄염의 첨가량은, 습식 도장 부스 순환수 중의 용제계 도료의 농도나 점착성에 따라, 충분한 불점착화 효과가 얻어지도록 적절히 결정된다. 고염기성 알루미늄염의 첨가량이 지나치게 적으면 충분한 불점착화 효과가 얻어지지 않고, 지나치게 많아도 첨가량에 알맞는 효과는 얻어지지 않아 약제 비용이나 응집 오니 발생량의 증가 등의 면에서 바람직하지 않다. 일반적으로는, 습식 도장 부스 순환수에 대해 Al2O3 환산의 첨가량으로서 5 ∼ 60 ㎎/ℓ 정도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습식 도장 부스 순환수 중의 용제계 도료 고형분에 대해, Al2O3 환산의 첨가량이 0.5 ∼ 5 중량% 정도가 되도록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알칼리제는 필요에 따라, 습식 도장 부스 순환수의 pH 가 7 이상, 바람직하게는 7.2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7.5 이상이 되도록 첨가된다. 통상적으로 수처리에 있어서의 알루미늄염에 의한 응집 처리에서의 pH 영역은 약 6 ∼ 7 이지만, 본 발명에 있어서, 고염기성 알루미늄염은, 응집 목적이 아니고, 석출된 알루미늄 플록이 용제계 도료를 불점착화시키기 위해서 사용하기 때문에, pH 7 이상, 바람직하게는 pH 7.2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pH 7.5 이상으로 pH 조정한다. pH 의 상한에 대해서는, 불점착화의 효과 면에 있어서는 특별히 제한은 없지만, 약제 비용, 장치의 내알칼리성의 관점에서, 통상적으로 8.5 이하이다.
[첨가 형태·첨가 지점]
고염기성 알루미늄염과 알칼리제의 첨가 형태로는 특별히 제한은 없고, 이것들은 따로 따로 첨가해도 되고, 미리 혼합하여 일제화하여 첨가해도 된다.
약제의 첨가 위치에도 특별히 제한은 없고, 습식 도장 부스 순환수의 순환액에 첨가해도 되고, 순환수조에 첨가해도 되지만, 잉여 도료에 대해 고농도로 약제를 첨가시키는 관점에서, 순환 라인에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염기성 알루미늄염과 알칼리제를 따로 따로 첨가하는 경우에는, 동일한 약주점 또는 인접한 약주점에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염기성 알루미늄염, 알칼리제를 2 제로 하여 따로 따로 첨가하는 경우도, 미리 일제화하여 첨가하는 경우도, 분말의 형태로 첨가해도 되고, 물에 용해시켜 액체로 하여 첨가해도 된다. 특히, 고염기성 알루미늄염과 알칼리제를 미리 혼합하여 일제화한 것을 첨가하는 경우, 고염기성 알루미늄염 분말과 알칼리제의 분말을 혼합하여, 분말 혼합품으로서 첨가할 수도 있다. 즉, 본 발명의 습식 도장 부스 순환수 처리제는, 고염기성 알루미늄염 분말과 알칼리제 분말의 분말 혼합품이어도 된다. 이 경우, 습식 도장 부스 순환수에 첨가했을 때에, pH 7 이상, 바람직하게는 pH 7.2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pH 7.5 이상이 되도록 알루미늄염 분말과 알칼리제 분말의 혼합 비율을 미리 조정해 두는 것에 의해, 1 제의 분말 약제로 양호한 작업성 하에서 용제계 도료의 불점착화 처리를 실시할 수 있다.
분말 혼합품에 있어서의 고염기성 알루미늄염 분말과 알칼리제 분말의 혼합 비율은, 처리 대상의 습식 도장 부스 순환수의 수질에 따라 적절히 결정된다. 알칼리제로서 탄산나트륨을 사용하는 경우, 고염기성 알루미늄염 : 탄산나트륨의 혼합 비율은, 중량비로 1 : 0.1 ∼ 1 의 범위에서 적절히 설정된다.
이와 같은 분말 혼합품의 경우, 흡습이나 분말끼리의 고착 등을 방지하기 위해서, 점토 광물이나 탄산칼슘 등의 무기 소재를 배합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고염기성 알루미늄염과 pH 조정을 위한 알칼리제만의 첨가로, 이온성의 조정을 필요로 하지 않고, 불점착화 처리를 효율적으로 실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해 불점착화된 용제계 도료를 함유하는 알루미늄 플록은, 순환수조의 수면으로 부상하기 때문에, 이것을 사람의 손에 의해 회수하거나, 플로트가 부착되어 있어, 물의 표면을 흡인할 수 있는 펌프를 사용하여, 공지된 슬러지 회수 장치를 이용하여 계외로 배출할 수 있다.
실시예
이하에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사용 약제]
이하의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는, 처리 약제로서 이하의 것을 사용하였다. 또한, 이하에 있어서, 염기도는, JIS K 1475-1996 에 규정된 방법으로 측정한 것이다. 또, Al203 환산 농도 및 Cl 이온 농도는 각각 발광 분광 분석법 및 이온 크로마토그래프법에 의해 측정한 것이다. 그리고, 알루미늄과 염소의 질량비 Al/Cl 은, Al203 환산 농도 및 Cl 이온 농도에 기초하여 산출한 값이다.
약제 1 : PAC 수용액 (다이메이 화학사 제조 PAC 「타이팩 6010」, 염기도 : 50.0 %, Al2O3 환산 농도 : 10 중량%, Cl 이온 농도 : 8.2 중량%, Al/Cl 질량비 : 0.6, 비중 : 1.2)
약제 2 : 고염기성 염화알루미늄 수용액 (염기도 : 62.7 %, Al2O3 환산 농도 : 23 중량%, Cl 이온 농도 : 7.6 중량%, Al/Cl 질량비 : 1.6, 비중 : 1.3)
약제 3 : 페놀 수지의 알칼리 수용액 (군에이 화학사 제조 페놀 수지 「레지 탑 4324」20 중량% 와, 48 % 가성 소다 10 중량% 와, 순수 70 중량% 의 혼합액, 비중 1.1)
약제 4 : 고염기성 염화알루미늄 분말 (염기도 : 62.7 %, Al2O3 환산 함유량 : 46 중량%, Cl 이온 농도 : 15.2 중량% (환산 농도), Al/Cl 질량비 : 1.6) 과 탄산나트륨 분말의 혼합품 (용해 후의 pH 가 시험 조건의 pH 가 되도록, 탄산나트륨의 양을 조정한 것)
약제 5 : 알킬아민·에피클로르하이드린 축합물의 수용액 (알킬아민·에피클로르하이드린 축합물 농도 : 50 중량%, 비중 1.15)
약제 6 : PAC 수용액 (토신 화학사 제조 PAC 「W-PAC」, 염기도 : 약 33.6 %, Al2O3 환산 농도 : 10 중량%, Cl 이온 농도 : 11.5 중량%, Al/Cl 질량비 : 0.5, 비중 : 1.2)
약제 7 : 황산알루미늄 수용액 (Al2O3 환산 농도 : 8 중량%, 비중 1.3)
[공시 도료]
공시 도료로는, 용제계 자동차용 클리어 도료를 사용하였다.
[시험 방법]
시험 방법은 이하와 같다.
도 1 에 나타내는 실험 장치를 사용하여 시험을 실시하였다. 이 실험 장치는, 순환수조 (1) 내의 순환수를 100 ℓ/분으로 펌프 (P) 에 의해 순환하고, 순환수조 상부의 도료가 분무되는 수막판 (2) 상에 유하 (流下) 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이다. 3 은 도료 분무 장치이고, 11 은 순환 배관, 12 는 순환수를 계외로 배출하기 위한 배출 배관, 13 은 배기 배관, V1, V2 는 밸브, F 는 배기팬이다.
습식 도장 부스 순환수에 이하의 약제를 각각 소정 농도로 첨가한 후, 황산 또는 가성 소다에 의해 소정의 pH 로 조정하여 장치를 가동시켰다 (단, 실시예 2 에서는, 약제 4 의 첨가만으로 pH 조정). 다음으로, 공시 도료를 10 g/분으로 2 분간 스프레이하고, 그 후 장치를 정지시켰다.
장치의 정지 직후에 순환수조의 수면으로 부상한 슬러지의 점착성 (직후 불점착성) 을 지촉 (指觸) 으로 조사하고, 하기 기준으로 평가하였다.
이 슬러지를 용기에 취하고, 24 시간 방치 후의 슬러지의 점착성 (건조 후 불점착성) 을 동일하게 지촉에 의해 평가하였다.
<평가 기준>
◎ : 점착 없음
○ : 점착 없지만, 손가락으로 이기면 용이하게 굳어진다
△ : 약간 점착 있음
× : 점착 큼
비교예 1 : 약제 첨가하지 않음
비교예 2 : 약제 1 을 6.3 ㎖ (Al2O3 환산 농도 15 ㎎/ℓ) 첨가
비교예 3 : 약제 3 을 3.4 ㎖ (수지 순분 15 ㎎/ℓ) 또는 5.1 ㎖ (수지 순분 22.5 ㎎/ℓ) 첨가함과 함께, 약제 5 를 0.2 g 병용 첨가
비교예 4 : 약제 6 을 6.3 ㎖ (Al2O3 환산 농도 15 ㎎/ℓ) 첨가
비교예 5 : 약제 7 을 7.2 ㎖ (Al2O3 환산 농도 15 ㎎/ℓ) 첨가
실시예 1 : 약제 2 를 2.5 ㎖ (Al2O3 환산 농도 15 ㎎/ℓ) 첨가
실시예 2 : 약제 4 로서, 고염기성 염화알루미늄 분말/탄산나트륨 분말 혼합 비 (g) 를 1.63/0, 1.63/0.13, 또는 1.63/0.49 로 한 것 (모두 Al2O3 환산 농도 15 ㎎/ℓ) 을 첨가
비교예 1 ∼ 5 및 실시예 1, 2 의 결과를 표 1 ∼ 7 에 나타낸다.
Figure pct00001
Figure pct00002
Figure pct00003
Figure pct00004
Figure pct00005
Figure pct00006
Figure pct00007
[고찰]
상기의 시험 결과로부터 다음의 것을 알 수 있다.
Al2O3 환산 농도 및 pH 를 일정하게 한 시험 중에서, 염기도가 높은 염화알루미늄염만이 불점착 효과가 있고, 또 그 중에서도 pH 를 7.0 이상, 보다 불점착을 잘 발휘시키기 위해서는 pH 7.5 이상으로 함으로써, 불점착성 효과가 유효하게 발휘된다 (표 2, 4 ∼ 7).
고염기성 염화알루미늄은, 소재 순분으로서 보았을 때, 표 3 에 나타내는 기존 기술의 수지 (약제 3 + 약제 5) 보다 적은 첨가량으로 우수한 불점착 효과를 발휘한다.
pH 7.0 에서의 직후 불점착성으로 비교해도, 고염기성 염화알루미늄은 종래보다 직후 불점착성이 양호하고, pH 에 의한 영향도 잘 받지 않는다.
약제 4 의 분말 혼합품의 경우, 순환수의 부패에 의한 pH 의 저하 등을 고려하여, 고염기성 염화알루미늄 : 탄산나트륨의 배합 비율을 바꾸어, 탄산나트륨의 양을 늘리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을 특정한 양태를 사용하여 상세하게 설명했지만, 본 발명의 의도와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한 변경이 가능한 것은 당업자에게 분명하다.
본 출원은, 2016년 3월 31일자로 출원된 일본 특허출원 2016-071912 에 기초하고 있고, 그 전체가 인용에 의해 원용된다.

Claims (11)

  1. 용제계 도료를 함유하는 습식 도장 부스 순환수 처리제로서, 염기도 60 % 이상의 알루미늄염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도장 부스 순환수 처리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알루미늄염이 염기성 염화알루미늄으로서, 알루미늄과 염소의 질량비 Al/Cl 이 1.0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도장 부스 순환수 처리제.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알루미늄염과 알칼리제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도장 부스 순환수 처리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알루미늄염 분말과 알칼리제 분말의 분말 혼합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도장 부스 순환수 처리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알루미늄염 분말과 상기 알칼리제 분말의 혼합 비율이, 상기 혼합품을 상기 습식 도장 부스 순환수에 첨가했을 때의 pH 가 7 이상이 되도록 조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도장 부스 순환수 처리제.
  6. 제 4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알칼리제 분말이 탄산나트륨 분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도장 부스 순환수 처리제.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알루미늄염이 고염기성 염화알루미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도장 부스 순환수 처리제.
  8. 용제계 도료를 함유하는 습식 도장 부스 순환수의 처리 방법으로서, 염기도 60 % 이상의 알루미늄염을 그 습식 도장 부스 순환수에 첨가하고, 그 습식 도장 부스 순환수의 pH 를 7 이상으로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도장 부스 순환수의 처리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알루미늄염이 염기성 염화알루미늄으로서, 알루미늄과 염소의 질량비 Al/Cl 이 1.0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도장 부스 순환수의 처리 방법.
  10. 제 8 항 또는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습식 도장 부스 순환수에 상기 알루미늄염과 알칼리제를 첨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도장 부스 순환수의 처리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알루미늄염의 분말과 알칼리제의 분말의 혼합물을 상기 습식 도장 부스 순환수에 첨가하는 방법으로서, 그 혼합물 첨가 후의 그 습식 도장 부스 순환수의 pH 가 7 이상이 되도록, 그 알루미늄염의 분말과 그 알칼리제의 분말의 혼합 비율을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도장 부스 순환수의 처리 방법.
KR1020187026998A 2016-03-31 2017-03-24 습식 도장 부스 순환수 처리제 및 습식 도장 부스 순환수의 처리 방법 KR10219195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6071912 2016-03-31
JPJP-P-2016-071912 2016-03-31
PCT/JP2017/012039 WO2017170234A1 (ja) 2016-03-31 2017-03-24 湿式塗装ブース循環水処理剤及び湿式塗装ブース循環水の処理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23679A true KR20180123679A (ko) 2018-11-19
KR102191952B1 KR102191952B1 (ko) 2020-12-16

Family

ID=599655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26998A KR102191952B1 (ko) 2016-03-31 2017-03-24 습식 도장 부스 순환수 처리제 및 습식 도장 부스 순환수의 처리 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0745302B2 (ko)
EP (1) EP3437707B1 (ko)
JP (1) JP6233549B1 (ko)
KR (1) KR102191952B1 (ko)
CN (1) CN108778444A (ko)
ES (1) ES2924105T3 (ko)
WO (1) WO201717023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478775B1 (en) 2016-07-01 2021-08-18 Ecolab USA Inc. Low chloride paint detackifier
JP6998729B2 (ja) * 2017-10-31 2022-01-18 東亞合成株式会社 地盤改良剤組成物及びその利用
US10954399B2 (en) 2018-06-14 2021-03-23 Ecolab Usa Inc. Addition of caustic soda for improving detackifier stability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71538A (en) 1975-12-12 1977-06-15 Kansai Paint Co Ltd Process for treating waste water from spray booth
JPH05228477A (ja) * 1991-05-28 1993-09-07 Calgon Corp 水系塗料を含む系からの固形分の改良された除去方法
US5614103A (en) 1993-06-22 1997-03-25 Betzdearborn, Inc. Methods for detackifying paint spray booth water
WO2007082122A2 (en) * 2006-01-06 2007-07-19 Nextchem, Llc Polyaluminum chloride and aluminum chlorohydrate, processes and compositions: high-basicity and ultra high-basicity products
JP4069799B2 (ja) 2003-05-13 2008-04-02 栗田工業株式会社 湿式塗装ブース循環水の処理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48721A (en) * 1991-03-13 1993-09-28 The Dow Chemical Company Prepregs containing a fiber and a thermoplastic polybenzazole copolymer matrix
US5167830A (en) * 1991-03-15 1992-12-01 Diversey Corporation Dicyanadiamide formaldehyde paint detackifier
US5240509A (en) * 1991-05-28 1993-08-31 Calgon Corporation Method for removing solids from systems containing water-based paints
FR2687394B1 (fr) * 1992-02-18 1994-03-25 Elf Atochem Sa Nouveaux polychlorosulfates d'aluminium, procede pour leur preparation et leurs applications.
US5562833A (en) 1995-02-03 1996-10-08 Betz Laboratories, Inc. Dual feed paint detackification program
CN1257046A (zh) * 1998-12-15 2000-06-21 中国科学院生态环境研究中心 高碱化度钙型聚合氯化铝硅复合混凝剂及其制备方法
JP2000264627A (ja) 1999-03-12 2000-09-26 Kanto Denka Kogyo Co Ltd 塩基性塩化アルミニウムの塩基度向上方法
JP4104773B2 (ja) 1999-03-24 2008-06-18 朝日化学工業株式会社 浄水用凝集剤の製造方法
US7338604B2 (en) * 2002-11-01 2008-03-04 Henkel Kommanditgesellschaft Auf Aktien Process for recycling paint flush solution
JP4471209B2 (ja) * 2004-10-05 2010-06-02 ダイヤアクア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オーバースプレー塗料捕集水の処理方法
JP2006247456A (ja) 2005-03-08 2006-09-21 Kurita Water Ind Ltd 湿式塗装ブース循環水の処理方法
JP4697130B2 (ja) * 2006-12-15 2011-06-08 栗田工業株式会社 湿式ブース循環水の処理方法
JP4953458B2 (ja) * 2008-02-28 2012-06-13 多木化学株式会社 新規な塩基性塩化アルミニウム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その用途
JP6102318B2 (ja) * 2013-02-18 2017-03-29 栗田工業株式会社 湿式塗装ブース循環水の処理方法
WO2015145479A1 (ja) * 2014-03-24 2015-10-01 伯東株式会社 湿式塗装ブース循環水処理剤及び処理方法
JP2015188846A (ja) * 2014-03-28 2015-11-02 栗田工業株式会社 水処理剤及び水処理方法
JP2015221404A (ja) * 2014-05-22 2015-12-10 栗田工業株式会社 塗料廃液の処理方法
US20170197852A1 (en) * 2014-07-23 2017-07-13 Kurita Water Industries Ltd. Method and system for treating circulating water circulating through wet paint booth
JP6507531B2 (ja) * 2014-09-04 2019-05-08 栗田工業株式会社 湿式塗装ブース循環水処理剤及び湿式塗装ブース循環水処理方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71538A (en) 1975-12-12 1977-06-15 Kansai Paint Co Ltd Process for treating waste water from spray booth
JPH05228477A (ja) * 1991-05-28 1993-09-07 Calgon Corp 水系塗料を含む系からの固形分の改良された除去方法
US5614103A (en) 1993-06-22 1997-03-25 Betzdearborn, Inc. Methods for detackifying paint spray booth water
JP4069799B2 (ja) 2003-05-13 2008-04-02 栗田工業株式会社 湿式塗装ブース循環水の処理方法
WO2007082122A2 (en) * 2006-01-06 2007-07-19 Nextchem, Llc Polyaluminum chloride and aluminum chlorohydrate, processes and compositions: high-basicity and ultra high-basicity product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7170234A1 (ja) 2017-10-05
KR102191952B1 (ko) 2020-12-16
JPWO2017170234A1 (ja) 2018-04-05
JP6233549B1 (ja) 2017-11-22
US10745302B2 (en) 2020-08-18
EP3437707B1 (en) 2022-07-06
EP3437707A4 (en) 2019-10-23
EP3437707A1 (en) 2019-02-06
CN108778444A (zh) 2018-11-09
ES2924105T3 (es) 2022-10-04
US20190119132A1 (en) 2019-04-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123679A (ko) 습식 도장 부스 순환수 처리제 및 습식 도장 부스 순환수의 처리 방법
CN100469461C (zh) 一种用于喷漆房的漆雾处理方法
JP2009022852A (ja) 湿式塗装ブース循環水の処理方法
US20040000329A1 (en)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paint overspray removal processes
EP0293129B1 (en) Process for detackification of paint spray operation wastes using melamine formaldehyde
ES2802201T3 (es) Método de tratamiento para hacer circular agua de cabina de recubrimiento de tipo húmedo
JPH01307411A (ja) エチレンアクリル酸共重合体含有水性濃厚物ならびにラッカーおよび有機塗料組成物の凝集方法
WO2015141666A1 (ja) 湿式塗装ブース循環水処理剤
JP6567132B2 (ja) 湿式塗装ブース循環水の処理方法
JPS6034790A (ja) 散水した吹付室中のラツカー及び塗料の凝集法
JP2017029894A (ja) 湿式塗装ブース循環水の処理方法
US5147558A (en) One drum activator catalyzed paint detackification program
JP2005103361A (ja) 塗料ミスト処理剤及び処理方法
JP5681828B1 (ja) 湿式塗装ブース循環水の処理方法
JP4220890B2 (ja) 塗料滓沈降剤、塗料滓沈降剤を含有する塗装ブース循環水処理剤およびこれらを用いた塗装ブース循環水の処理方法
WO2018154822A1 (ja) 湿式塗装ブース循環水用処理剤
CA1336388C (en) Unitary blend of cationic polymer and anionic salt as a paint detackifier in paint spray booth systems
TWI640497B (zh) Wet coating room circulating water treatment agent and treatment method
JPH0970561A (ja) 塗装ブース処理剤
JPH08259896A (ja) 湿式塗装ブース処理剤
JPH057878A (ja) 塗料含有廃水の処理方法
JP2009149817A (ja) 水性路面標示塗料用硬化促進剤分散液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