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23540A - 일방향 클러치 - Google Patents

일방향 클러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23540A
KR20180123540A KR1020187029723A KR20187029723A KR20180123540A KR 20180123540 A KR20180123540 A KR 20180123540A KR 1020187029723 A KR1020187029723 A KR 1020187029723A KR 20187029723 A KR20187029723 A KR 20187029723A KR 20180123540 A KR20180123540 A KR 201801235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af spring
roller
piece
connecting piece
re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297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15302B1 (ko
Inventor
신지 니시오
도모아키 데라다
세이이치 다카다
Original Assignee
엔티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16063881A external-priority patent/JP2017180518A/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6063873A external-priority patent/JP6773430B2/ja
Application filed by 엔티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엔티엔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801235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235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153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53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41/00Freewheels or freewheel clutches
    • F16D41/06Freewheels or freewheel clutches with intermediate wedging coupling members between an inner and an outer surfa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41/00Freewheels or freewheel clutches
    • F16D41/06Freewheels or freewheel clutches with intermediate wedging coupling members between an inner and an outer surface
    • F16D41/064Freewheels or freewheel clutches with intermediate wedging coupling members between an inner and an outer surface the intermediate members wedging by rolling and having a circular cross-section, e.g. balls
    • F16D41/066Freewheels or freewheel clutches with intermediate wedging coupling members between an inner and an outer surface the intermediate members wedging by rolling and having a circular cross-section, e.g. balls all members having the same size and only one of the two surfaces being cylindrical
    • F16D41/067Freewheels or freewheel clutches with intermediate wedging coupling members between an inner and an outer surface the intermediate members wedging by rolling and having a circular cross-section, e.g. balls all members having the same size and only one of the two surfaces being cylindrical and the members being distributed by a separate cage encircling the axis of rot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41/00Freewheels or freewheel clutches
    • F16D41/06Freewheels or freewheel clutches with intermediate wedging coupling members between an inner and an outer surface
    • F16D41/069Freewheels or freewheel clutches with intermediate wedging coupling members between an inner and an outer surface the intermediate members wedging by pivoting or rocking, e.g. sprags
    • F16D41/07Freewheels or freewheel clutches with intermediate wedging coupling members between an inner and an outer surface the intermediate members wedging by pivoting or rocking, e.g. sprags between two cylindrical surfaces
    • F16D41/076Freewheels or freewheel clutches with intermediate wedging coupling members between an inner and an outer surface the intermediate members wedging by pivoting or rocking, e.g. sprags between two cylindrical surfaces the wedging coupling members being non-releasably joined to form a single annular piece, e.g. either the members being integral projections from the piece, or the piece being an elastic ring cast round the radial centres of the me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41/00Freewheels or freewheel clutches
    • F16D41/06Freewheels or freewheel clutches with intermediate wedging coupling members between an inner and an outer surface
    • F16D2041/0605Spring 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raking Arrangements (AREA)

Abstract

판스프링(15)이 부착되는 리테이너(14)의 기둥부(14b)에, 판스프링(15)의 각 압박편(15b)을 지지하는 연결편(15c)보다 롤러(13)에 가까운 측에서 롤러(13)의 쐐기형 공간(16) 확대측으로의 이동을 규제하는 스토퍼(14f)를 설치함으로써, 공전 시에 쐐기형 공간(16)의 확대측으로 이동하는 롤러(13)가 판스프링(15)의 압박편(15b)을 설계값 이상으로 변형시키는 경우에도, 롤러(13)가 판스프링(15)의 연결편(15c)에 충돌하지 않고, 판스프링(15)의 연결편(15c)에 이상 마모가 발생하지 않도록 한 일방향 클러치이다.

Description

일방향 클러치
본 발명은 낚시 도구 릴 등에 이용되는 일방향 클러치에 관한 것이다.
일방향 클러치는, 내륜의 직경 방향 외측에 외륜을 동축으로 배치하고, 내륜의 외주에 원통면을 형성하며, 외륜의 내주에 일방향으로 경사지는 캠면을 복수 형성하고, 그 원통면과 각 캠면 사이에 둘레 방향의 일측에서 점차 협소해지는 쐐기형 공간을 형성하며, 각 쐐기형 공간에 편입시킨 롤러를 외륜에 고정된 리테이너로 구름운동(轉動) 가능하게 유지하고, 리테이너에 부착한 탄성 부재로 각 롤러를 쐐기형 공간의 협소부로 압입하여 내륜 및 외륜과 결합시키고 있는 것이 많다(예컨대, 하기 특허문헌 1 참조.).
상기와 같은 구성의 일방향 클러치를 이용한 낚시 도구 릴의 일례를 도 1에 도시한다. 이 낚시 도구 릴은, 일방향 클러치(1)의 내주에 클러치축(2)을 통해 메인 기어축(3)을 통과시키고, 그 메인 기어축(3)의 일단측에 핸들(4)을 부착하며, 메인 기어축(3)의 타단측에 부착한 구동 기어(5)를, 낚싯줄이 감겨지는 스풀(6)의 회전축(7)에 부착한 종동 기어(8)와 맞물리게 하고 있다. 그리고, 일방향 클러치(1)는, 도시는 생략하지만, 외륜이 고정되어 있고, 내륜이 클러치축(2)을 통해 메인 기어축(3)과 일체화되어 있다.
이 낚시 도구 릴에서는, 낚싯바늘에 걸린 물고기 등으로부터 스풀(6)에 낚싯줄이 풀리는 방향의 토크가 가해졌을 때에는, 일방향 클러치(1)의 롤러가 내외륜과 결합하여, 내륜과 일체로 메인 기어축(3)이 잠김으로써, 스풀(6)이 정지하여 낚싯줄이 풀리지 않도록 되어 있다. 한편, 핸들(4)로 메인 기어축(3)을 일방향 클러치(1)의 내륜과 일체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일방향 클러치(1)의 롤러가 탄성 부재의 탄력에 대항하여 쐐기형 공간의 확대측으로 이동해서, 그 롤러와 내외륜의 결합이 해제됨으로써, 내륜과 일체로 메인 기어축(3)이 공전하고, 그 회전이 구동 기어(5) 및 종동 기어(8)를 통해 스풀(6)의 회전축(7)에 전달되기 때문에, 스풀(6)에 낚싯줄을 감을 수 있다.
특허문헌 1: 일본 실용신안 공고 평성 제1-34751호 공보
그런데, 낚시 도구 릴은, 일반적으로, 핸들을 돌렸을 때에 회전 불균일이 없이 매끄럽게 스풀을 돌릴 수 있는 것이 요구된다. 이 때문에,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낚시 도구 릴에 이용되는 일방향 클러치에서는, 공전 토크의 저감 및 안정화가 요구되게 된다.
이러한 요구에 대해, 본 발명자들은, 도 20 및 도 21a, 도 21b에 도시된 일방향 클러치를 개발하였다. 이 일방향 클러치의 기본적인 구성은, 전술한 종래의 것과 동일하며, 내륜(51)의 직경 방향 외측에 외륜(52)을 동축으로 배치하고, 내륜(51)의 외주에 원통면(51a)을 형성하며, 외륜(52)의 내주에 일방향으로 경사지는 캠면(52a)을 복수 형성하고, 그 원통면(51a)과 각 캠면(52a) 사이에 둘레 방향의 일측에서 점차 협소해지는 쐐기형 공간(53)을 형성하며, 각 쐐기형 공간(53)에 편입시킨 롤러(54)를 외륜(52)에 고정된 리테이너(55)로 구름운동 가능하게 유지하고, 리테이너(55)에 부착한 탄성 부재로서의 판스프링(56)으로 각 롤러(54)를 쐐기형 공간(53)의 협소부로 압입하여 내륜(51) 및 외륜(52)과 결합시키고 있다.
여기서, 상기 리테이너(55)는, 외륜(52)에 부착되는 한 쌍의 환형부(55a)와, 그 환형부(55a)끼리를 연결하는 복수의 기둥부(55b)로 이루어지고, 그 기둥부(55b)끼리의 사이에 롤러(54)를 하나씩 유지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판스프링(56)은, 리테이너(55)의 기둥부(55b)에 장착되는 단면 L자 형상의 장착편(56a)과, 롤러(54)의 내륜(51)을 향하는 측의 반원통면을 압박하는 한 쌍의 압박편(56b)과, 각 압박편(56b)이 압박하는 롤러(54)에 대향하는 위치에서 장착편(56a)과 각 압박편(56b)을 연결하는 연결편(56c)으로 이루어진다.
이 일방향 클러치는, 상기 특허문헌 1에 기재된 것에 비해, 판스프링(56)의 한 쌍의 압박편(56b)을 폭이 좁은 형상으로 하여 스프링 상수가 작아지도록 하고, 공전 시에 각 압박편(56b)이 롤러(54)를 직경 방향 외측으로 압박하여 롤러(54)와 내륜(51)의 마찰이 작아지도록 했기 때문에, 공전 토크를 안정적으로 저감할 수 있다.
그러나, 이 일방향 클러치를 캔틸레버 지지 구조의 낚시 도구 릴에 이용한 경우에는, 다음과 같은 내구성의 문제가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즉, 캔틸레버 지지 구조의 낚시 도구 릴에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풀(6)의 회전축(7)은 양단부가 볼 베어링(9)으로 지지되어 있으나, 메인 기어축(3)은 구동 기어(5)가 부착된 타단부밖에 볼 베어링(9)으로 지지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일방향 클러치(1)도 레이디얼 하중을 받게 된다. 이 때문에, 도 1의 일방향 클러치(1)에 도 20 및 도 21a, 도 21b에 도시된 것을 이용한 경우, 핸들(4)로 메인 기어축(3)을 공전 방향으로 회전시켰을 때에, 쐐기형 공간(53)의 확대측으로 이동하는 롤러들(54) 중 일부의 것이, 이동 방향으로 큰 편하중을 받아 판스프링(56)의 압박편(56b)을 설계값 이상으로 변형시켜, 판스프링(56)의 연결편(56c)에 충돌하는 경우가 있다. 그리고, 이 롤러(54)의 판스프링 연결편(56c)에의 충돌이 반복되면, 판스프링 연결편(56c)이 이상 마모되어 파단되어 버린다.
이에 대해, 판스프링(56)의 압박편(56b)의 스프링 상수를 크게 하면, 롤러(54)의 판스프링 연결편(56c)에의 충돌을 발생시키기 어렵게 하여 일방향 클러치(1)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나, 그 경우에는 공전 토크가 커지기 쉽다.
그래서, 본 발명은 공전 토크가 작고, 또한 안정적으로 장기간 사용할 수 있는 일방향 클러치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입력 토크가 가해지는 내륜과, 상기 내륜의 직경 방향 외측에 내륜과 동축으로 배치되는 외륜과, 상기 내륜과 외륜 사이에 편입되는 복수의 롤러와, 상기 각 롤러를 구름운동 가능하게 유지하는 리테이너와, 상기 각 롤러를 미리 정해진 방향으로 압박하는 복수의 판스프링을 구비하고, 상기 내륜의 외주에 원통면이 형성되고, 상기 외륜의 내주에는 일방향으로 경사지는 캠면이 복수 형성되며, 상기 내륜의 원통면과 외륜의 각 캠면 사이에는 둘레 방향의 일측에서 점차 협소해지는 쐐기형 공간이 형성되고, 이들 각 쐐기형 공간에 상기 롤러가 배치되며, 상기 리테이너는, 상기 외륜에 부착되는 한 쌍의 환형부가 복수의 기둥부에 의해 연결되고, 그 기둥부끼리의 사이에 상기 롤러를 유지하며, 상기 판스프링이 상기 리테이너의 각 기둥부에 부착되어 상기 롤러를 쐐기형 공간의 협소부로 압입하는 일방향 클러치에 있어서, 상기 판스프링은, 상기 리테이너의 기둥부에 장착되는 장착편과, 상기 롤러의 내륜을 향하는 측의 반원통면을 압박하는 압박편과, 상기 압박편이 압박하는 롤러에 대향하는 위치에서 상기 장착편과 압박편을 연결하는 연결편을 구비하고, 상기 리테이너 또는 상기 판스프링에, 상기 판스프링의 연결편보다 롤러에 가까운 측에서 롤러의 쐐기형 공간 확대측으로의 이동을 규제하는 스토퍼가 설치되는 구성을 채용한다.
상기한 구성에 의하면, 판스프링의 압박편이 롤러의 내륜을 향하는 측의 반원통면을 압박하기 때문에, 압박편을 스프링 상수가 작은 것으로 함으로써, 공전 토크를 안정적으로 저감할 수 있고, 쐐기형 공간의 확대측으로 이동하는 롤러가 판스프링의 압박편을 설계값 이상으로 변형시키는 경우에도, 그 롤러의 이동은 리테이너 또는 판스프링의 연결편과 상이한 부위에 설치되는 스토퍼에 규제되기 때문에, 롤러가 판스프링의 연결편에 충돌하는 일이 없어, 판스프링의 연결편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고, 안정적으로 장기간 사용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스토퍼는, 상기 판스프링의 압박편보다 직경 방향 외측 또는 직경 방향 내측에서, 상기 리테이너의 기둥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판스프링의 연결편이, 상기 롤러의 축 방향 중앙부에 대향하는 위치에서 직경 방향으로 연장되는 경우에는, 상기 리테이너의 스토퍼는, 상기 판스프링의 압박편보다 직경 방향 외측에서 판스프링의 연결편의 양측에 한 쌍으로 설치되거나, 혹은 상기 판스프링의 압박편보다 직경 방향 내측에서 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구성으로 하면 된다.
한편, 상기 스토퍼를 판스프링에 설치하는 경우이며, 상기 판스프링의 연결편이 롤러의 축 방향 중앙부에 대향하는 위치에서 직경 방향으로 연장되는 경우, 상기 스토퍼는, 상기 판스프링의 장착편으로부터 연결편의 양측으로 한 쌍으로 돌출되거나, 혹은 상기 판스프링의 압박편의 압박 단부 또는 연결 단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하면 된다.
본 발명의 일방향 클러치는, 전술한 바와 같이, 판스프링의 압박편이 롤러의 내륜을 향하는 측의 반원통면을 압박하도록 하고, 리테이너 또는 판스프링의 연결편과 상이한 부위에 설치한 스토퍼로, 롤러가 판스프링의 연결편에 충돌하지 않도록 한 것이기 때문에, 공전 토크의 저감과 내구성의 확보를 양립할 수 있다.
도 1은 일방향 클러치를 이용한 낚시 도구 릴의 일례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2는 제1 실시형태의 일방향 클러치의 주요부의 종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일방향 클러치의 내외륜을 제외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4a는 도 2의 내외륜을 제외한 상면도이다.
도 4b는 도 4a의 정면도이다.
도 5는 도 2에 대응하는 일방향 클러치의 동작의 설명도이다.
도 6은 도 4a에 대응하는 일방향 클러치의 동작의 설명도이다.
도 7은 제2 실시형태의 일방향 클러치의 주요부의 종단면도이다.
도 8a는 도 7의 내외륜을 제외한 상면도이다.
도 8b는 도 8a의 정면도이다.
도 9는 도 7에 대응하는 일방향 클러치의 동작의 설명도이다.
도 10은 도 8a에 대응하는 일방향 클러치의 동작의 설명도이다.
도 11은 제3 실시형태의 일방향 클러치의 주요부의 종단면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일방향 클러치의 내외륜을 제외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13a는 도 11의 내외륜을 제외한 상면도이다.
도 13b는 도 13a의 정면도이다.
도 14는 도 11에 대응하는 일방향 클러치의 동작의 설명도이다.
도 15는 도 13a에 대응하는 일방향 클러치의 동작의 설명도이다.
도 16은 제4 실시형태의 일방향 클러치의 주요부의 종단면도이다.
도 17a는 도 16의 내외륜을 제외한 상면도이다.
도 17b는 도 17a의 정면도이다.
도 18은 제5 실시형태의 일방향 클러치의 주요부의 종단면도이다.
도 19a는 도 18의 내외륜을 제외한 상면도이다.
도 19b는 도 19a의 정면도이다.
도 20은 종래의 일방향 클러치의 주요부의 종단면도이다.
도 21a는 도 20의 1개의 롤러 부근의 내외륜을 제외한 상면도이다.
도 21b는 도 21a의 정면도이다.
이하, 도 1 내지 도 19에 기초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도 2 내지 도 6은 제1 실시형태를 도시한다. 이 일방향 클러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캔틸레버 지지 구조의 낚시 도구 릴에 이용되는 것으로, 기본적인 구성은, 전술한 도 20 및 도 21a, 도 21b에 도시된 것과 동일하다.
즉, 이 일방향 클러치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륜(11)과, 내륜(11)의 직경 방향 외측에 내륜(11)과 동축으로 배치되는 외륜(12)과, 내륜(11)과 외륜(12) 사이에 편입되는 복수의 롤러(13)와, 각 롤러(13)를 구름운동 가능하게 유지하는 리테이너(14)와, 각 롤러(13)를 미리 정해진 방향으로 압박하는 복수의 판스프링(15)을 구비한다. 그리고, 도시는 생략하지만, 외륜(12)은 낚시 도구 릴에 고정되고, 내륜(11)은 클러치축을 통해 메인 기어축과 일체화되며, 메인 기어축에 부착된 핸들로부터 입력 토크가 가해지도록 이루어진다(도 1 참조).
상기 내륜(11)의 외주에는 원통면(11a)이 형성되고, 외륜(12)의 내주에는 일방향으로 경사지는 캠면(12a)이 복수 형성되며, 내륜(11)의 원통면(11a)과 외륜(12)의 각 캠면(12a) 사이에 둘레 방향의 일측에서 점차 협소해지는 쐐기형 공간(16)이 형성된다. 그리고, 이들 각 쐐기형 공간(16)에 상기 롤러(13)가 하나씩 배치된다.
그리고, 도 4a, 도 4b에도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리테이너(14)는, 한 쌍의 환형부(14a)와 그 환형부(14a)끼리를 연결하는 복수의 기둥부(14b)로 이루어지고, 각 환형부(14a)의 외주에 형성된 복수의 감합(嵌合) 돌출부(14c)가, 각각 외륜(12)의 캠면(12a)과 이것에 연속되는 곡면으로 형성되는, 포켓에 끼워 넣어지며, 각 환형부(14a)가 외륜(12)에 부착된 상태에서, 기둥부(14b)끼리의 사이에 롤러(13)를 구름운동 가능하게 유지한다.
리테이너(14)의 기둥부(14b)는, 그 일측면의 축 방향 중앙부에 돌출편(14d)이 형성되고, 돌출편(14d)을 축 방향으로 사이에 두는 위치에 판스프링(15)을 부착하기 위한 한 쌍의 돌기(14e)가 형성된다. 그 돌출편(14d)은, 직경 방향 내측으로 중심에 가까워질수록 둘레 방향으로 크게 돌출되고, 롤러(13)의 직경 방향 내측으로의 탈락을 저지한다. 또한, 기둥부(14b)의 타측면에는, 롤러(13)를 향해 돌출되는 한 쌍의 스토퍼(14f)가 설치된다.
상기 판스프링(15)은, 리테이너(14)의 기둥부(14b)의 외주면과 일측면에 장착되는 단면 L자 형상의 장착편(15a)과, 롤러(13)의 내륜(11)을 향하는 측의 반원통면을 압박하는 한 쌍의 압박편(15b)이, 롤러(13)의 축 방향 중앙부에 대향하는 위치에서 직경 방향으로 연장되는 연결편(15c)에 의해 연결된다[각 압박편(15b)이 연결편(15c)으로 지지된다].
판스프링(15)의 장착편(15a)에서, 리테이너(14)의 기둥부(14b)의 일측면을 따라 연장되는 부위에, 리테이너(14)의 돌출편(14d)과 한 쌍의 돌기(14e)가 각각 끼워 넣어지는 노치(15d)와 감합 구멍(15e)이 형성된다. 또한, 연결편(15c)은 장착편(15a)의 타측 가장자리와 한 쌍의 압박편(15b)의 공통의 연결 단부를 연결하고, 각 압박편(15b)은, 연결 단부로부터 축 방향에 대해 비스듬히 연장되며, 그 선단이 압박 단부가 된다. 그리고, 그 장착편(15a)과 연결편(15c)이 리테이너(14)의 기둥부(14b)를 둘레 방향 양측으로부터 끼움으로써, 판스프링(15) 전체가 리테이너(14)의 기둥부(14b)에 부착되고, 각 압박편(15b)이 롤러(13)를 쐐기형 공간(16)의 협소부로 압입하여 내륜(11) 및 외륜(12)과 결합시킨다.
또한, 판스프링(15)이 상기한 바와 같이 리테이너(14)의 기둥부(14b)에 부착됨으로써, 리테이너(14)의 한 쌍의 스토퍼(14f)가, 판스프링(15)의 압박편(15b)보다 직경 방향 외측이자 판스프링(15)의 연결편(15c)의 양측의 위치에서, 롤러(13)에 대향하도록 이루어진다.
이 일방향 클러치는, 상기한 구성이며, 내륜(11)에 도 2에 있어서의 반시계 방향의 토크가 가해져도, 판스프링(15)의 압박편(15b)에 눌려진 롤러(13)가 내륜(11) 및 고정된 외륜(12)과 결합하고 있기 때문에, 내륜(11)은 회전하지 않는다. 한편, 내륜(11)에 도 2에 있어서의 시계 방향의 토크가 가해졌을 때에는, 롤러(13)가 판스프링(15)의 탄력에 대항하여 쐐기형 공간(16)의 확대측으로 이동해서, 그 롤러(13)와 내륜(11) 및 외륜(12)의 결합이 해제됨으로써, 내륜(11)이 공전한다.
여기서, 판스프링(15)의 압박편(15b)은, 전술한 도 11, 도 12의 것과 마찬가지로, 폭이 좁은 형상이며 스프링 상수를 작게 할 수 있는 데다가, 롤러(13)의 내륜(11)을 향하는 측의 반원통면을 압박하고 있어, 공전 시에 롤러(13)를 직경 방향 외측으로 압박하여 롤러(13)와 내륜(11)의 마찰을 작게 할 수 있기 때문에, 공전 토크를 안정적으로 저감할 수 있다.
게다가, 내륜(11) 정지 상태로부터 공전 상태로 전환될 때에, 일방향 클러치가 받는 레이디얼 하중 등에 의해, 쐐기형 공간(16)의 확대측으로 이동하는 롤러들(13) 중 일부의 것이 판스프링(15)의 압박편(15b)을 설계값 이상으로 변형시키는 경우에도,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롤러(13)의 이동은 판스프링(15)의 연결편(15c)보다 롤러(13)에 가까운 측에서 리테이너(14)의 스토퍼(14f)에 규제되기 때문에, 그 롤러(13)가 판스프링(15)의 연결편(15c)에 충돌하는 일은 없다. 따라서, 캔틸레버 지지 구조의 낚시 도구 릴에 이용되어도, 판스프링(15)의 연결편(15c)에 이상 마모가 발생할 우려는 없고, 안정적으로 장기간 사용할 수 있다.
도 7 내지 도 10은 제2 실시형태를 도시한다. 이 실시형태는, 도 7 및 도 8a,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실시형태의 판스프링(15)의 연결편(15c)을 짧게 하고, 리테이너(14)에는, 제1 실시형태의 연결편(15c)의 양측의 한 쌍의 스토퍼(14f)를 대신하여, 판스프링(15)의 압박편(15b)보다 직경 방향 내측에서 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스토퍼(14g)를 설치한 것이다.
이 제2 실시형태에서도,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륜(11) 정지 상태로부터 공전 상태로 전환될 때에, 일부의 롤러(13)가 판스프링(15)의 압박편(15b)을 설계값 이상으로 변형시켜도, 리테이너(14)의 스토퍼(14g)가 판스프링(15)의 연결편(15c)보다 롤러(13)에 가까운 측에서 롤러(13)의 쐐기형 공간(16) 확대측으로의 이동을 규제하여, 그 롤러(13)의 판스프링 연결편(15c)에의 충돌을 저지할 수 있기 때문에, 공전 토크의 저감과 내구성의 확보를 양립할 수 있다.
도 11, 도 12 및 도 13a, 도 13b는 제3 실시형태를 도시한다. 이 실시형태는, 제1, 제2 실시형태의 리테이너(14)의 스토퍼(14f, 14g)를 없애고, 판스프링(15)에, 장착편(15a)의 타측 가장자리로부터 연결편(15c)의 양측으로 돌출되어 롤러(13)에 대향하는 한 쌍의 스토퍼(15f)를 설치한 것이다.
이 제3 실시형태에서는, 도 14 및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륜(11) 정지 상태로부터 공전 상태로 전환될 때에, 일부의 롤러(13)가 판스프링(15)의 압박편(15b)을 설계값 이상으로 변형시켜도, 그 롤러(13)의 이동이 판스프링(15)의 연결편(15c)보다 롤러(13)에 가까운 측에서 판스프링(15)의 한 쌍의 스토퍼(15f)에 규제되어, 그 롤러(13)가 판스프링(15)의 연결편(15c)에 충돌하지 않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제1, 제2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공전 토크의 저감과 내구성의 확보를 양립할 수 있다.
도 16 및 도 17a, 도 17b는 제4 실시형태를 도시한다. 이 실시형태는, 제3 실시형태의 판스프링(15)의 한 쌍의 스토퍼(15f)를 없애고, 그 대신에 각 압박편(15b)의 압박 단부를 축 방향 내측으로 절곡하여 스토퍼(15g)를 형성한 것이다.
도 18 및 도 19a, 도 19b는 제5 실시형태를 도시한다. 이 실시형태는, 제3, 제4 실시형태의 판스프링(15)의 스토퍼(15f, 15g) 대신에, 각 압박편(15b)의 공통의 연결 단부의 직경 방향 내측 가장자리로부터 절곡되어 직경 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는 스토퍼(15h)를 설치한 것이다.
전술한 제4, 제5 실시형태에서도, 제3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내륜(11) 정지 상태로부터 공전 상태로 전환될 때에, 일부의 롤러(13)가 판스프링(15)의 압박편(15b)을 설계값 이상으로 변형시켜도, 판스프링(15)의 스토퍼(15g, 15h)가 연결편(15c)보다 롤러(13)에 가까운 측에서 롤러(13)의 쐐기형 공간(16) 확대측으로의 이동을 규제하여, 그 롤러(13)의 판스프링 연결편(15c)에의 충돌을 저지할 수 있기 때문에, 공전 토크의 저감과 내구성의 확보를 양립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전술한 각 실시형태와 같은 캔틸레버 지지 구조의 낚시 도구 릴에 이용되는 일방향 클러치에 한하지 않고, 레이디얼 하중을 받는 것과 같은 조건에서 사용되는 일방향 클러치에 특히 효과적으로 적용할 수 있다.
1: 일방향 클러치 2: 클러치축
3: 메인 기어축 4: 핸들
5: 구동 기어 6: 스풀
7: 회전축 8: 종동 기어
9: 볼 베어링 11: 내륜
11a: 원통면 12: 외륜
12a: 캠면 13: 롤러
14: 리테이너 14a: 환형부
14b: 기둥부 14f, 14g: 스토퍼
15: 판스프링 15a: 장착편
15b: 압박편 15c: 연결편
15f, 15g, 15h: 스토퍼 16: 쐐기형 공간

Claims (7)

  1. 입력 토크가 가해지는 내륜과, 상기 내륜의 직경 방향 외측에 내륜과 동축으로 배치되는 외륜과, 상기 내륜과 외륜 사이에 편입되는 복수의 롤러와, 상기 각 롤러를 구름운동(轉動) 가능하게 유지하는 리테이너와, 상기 각 롤러를 미리 정해진 방향으로 압박하는 복수의 판스프링을 구비하고,
    상기 내륜의 외주에 원통면이 형성되고, 상기 외륜의 내주에는 일방향으로 경사지는 캠면이 복수 형성되며, 상기 내륜의 원통면과 외륜의 각 캠면 사이에는 둘레 방향의 일측에서 점차 협소해지는 쐐기형 공간이 형성되고, 이들 각 쐐기형 공간에 상기 롤러가 배치되며, 상기 리테이너는, 상기 외륜에 부착되는 한 쌍의 환형부가 복수의 기둥부에 의해 연결되고, 그 기둥부끼리의 사이에 상기 롤러를 유지하며, 상기 판스프링이 상기 리테이너의 각 기둥부에 부착되어 상기 롤러를 쐐기형 공간의 협소부로 압입하는 일방향 클러치에 있어서,
    상기 판스프링은, 상기 리테이너의 기둥부에 장착되는 장착편과, 상기 롤러의 내륜을 향하는 측의 반원통면을 압박하는 압박편과, 상기 압박편이 압박하는 롤러에 대향하는 위치에서 상기 장착편과 압박편을 연결하는 연결편을 구비하고, 상기 리테이너 또는 상기 판스프링에, 상기 판스프링의 연결편보다 롤러에 가까운 측에서 롤러의 쐐기형 공간 확대측으로의 이동을 규제하는 스토퍼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방향 클러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는, 상기 판스프링의 압박편보다 직경 방향 외측 또는 직경 방향 내측에서, 상기 리테이너의 기둥부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방향 클러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판스프링의 연결편은, 상기 롤러의 축 방향 중앙부에 대향하는 위치에서 직경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스토퍼는, 상기 판스프링의 압박편보다 직경 방향 외측에서 판스프링의 연결편의 양측에 한 쌍으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방향 클러치.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판스프링의 연결편은, 상기 롤러의 축 방향 중앙부에 대향하는 위치에서 직경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스토퍼는, 상기 판스프링의 압박편보다 직경 방향 내측에서 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방향 클러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판스프링의 연결편은, 상기 롤러의 축 방향 중앙부에 대향하는 위치에서 직경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스토퍼는, 상기 판스프링의 장착편으로부터 연결편의 양측으로 한 쌍으로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방향 클러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판스프링의 연결편은, 상기 롤러의 축 방향 중앙부에 대향하는 위치에서 직경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스토퍼는, 상기 판스프링의 압박편의 압박 단부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방향 클러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판스프링의 연결편은, 상기 롤러의 축 방향 중앙부에 대향하는 위치에서 직경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스토퍼는, 상기 판스프링의 압박편의 연결 단부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방향 클러치.
KR1020187029723A 2016-03-28 2017-03-28 일방향 클러치 KR10231530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6-063881 2016-03-28
JP2016063881A JP2017180518A (ja) 2016-03-28 2016-03-28 ワンウェイクラッチ
JP2016063873A JP6773430B2 (ja) 2016-03-28 2016-03-28 ワンウェイクラッチ
JPJP-P-2016-063873 2016-03-28
PCT/JP2017/012655 WO2017170559A1 (ja) 2016-03-28 2017-03-28 ワンウェイクラッチ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23540A true KR20180123540A (ko) 2018-11-16
KR102315302B1 KR102315302B1 (ko) 2021-10-19

Family

ID=599646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29723A KR102315302B1 (ko) 2016-03-28 2017-03-28 일방향 클러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2315302B1 (ko)
CN (1) CN109072995B (ko)
WO (1) WO2017170559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09637A (ko) 2021-07-09 2023-01-17 지엠비코리아 주식회사 일방향 클러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425533B (zh) * 2020-04-26 2021-06-15 徐州徐工传动科技有限公司 一种具有侧插膜片式滚针结构的重载型单向离合器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434751A (en) 1987-07-30 1989-02-0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Printing method
JPH064434U (ja) * 1990-12-26 1994-01-21 キヤノン株式会社 一方向ローラクラッチ
JPH0643369U (ja) * 1992-11-18 1994-06-07 光洋精工株式会社 一方向クラッチ
JP2000074099A (ja) * 1998-08-26 2000-03-07 Koyo Seiko Co Ltd 一方向クラッチ
JP2010190250A (ja) * 2009-02-16 2010-09-02 Nsk Ltd 一方向クラッチ
JP2012047321A (ja) * 2010-08-30 2012-03-08 Jtekt Corp 一方向クラッチ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84441U (ja) * 1984-05-18 1985-12-06 エヌティエヌ株式会社 ロ−ラワンウエイクラツチのロ−ラ保持器
DE19614512C2 (de) * 1996-04-12 1999-05-27 Schaeffler Waelzlager Ohg Klemmrollenfreilauf
DE19733026C2 (de) * 1997-07-31 2001-04-12 Schaeffler Waelzlager Ohg Verfahren zum Federsetzen eines bogenförmigen Federelementes eines Klemmrollenfreilaufs
JP4240169B2 (ja) * 1999-03-29 2009-03-18 株式会社ジェイテクト 一方向クラッチおよび一方向クラッチ内蔵プーリ
JP3883751B2 (ja) * 1999-08-11 2007-02-21 Ntn株式会社 ローラクラッチ
JP2004257402A (ja) * 2003-02-24 2004-09-16 Nsk Ltd ローラクラッチ及びローラクラッチ内蔵型プーリ装置
JP2005299884A (ja) * 2004-04-15 2005-10-27 Nsk Ltd 一方向クラッチ及びクラッチ内蔵型プーリ装置
JP5353869B2 (ja) * 2005-12-14 2013-11-27 日本精工株式会社 自動車の補機用一方向クラッチ内蔵型プーリ装置
CN101561039B (zh) * 2009-05-20 2011-05-18 江苏南方轴承股份有限公司 双支撑滚针轴承之滑轮总成
CN101701612B (zh) * 2009-11-04 2011-07-06 江苏南方轴承股份有限公司 一种超越离合器
CN202418243U (zh) * 2012-02-22 2012-09-05 温州静音轴承有限公司 一种单向轴承
FR3013787A1 (fr) * 2013-11-25 2015-05-29 Skf Ab Roue libre a corps roulants et procede de fabrication d'une telle roue libre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434751A (en) 1987-07-30 1989-02-0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Printing method
JPH064434U (ja) * 1990-12-26 1994-01-21 キヤノン株式会社 一方向ローラクラッチ
JPH0643369U (ja) * 1992-11-18 1994-06-07 光洋精工株式会社 一方向クラッチ
JP2000074099A (ja) * 1998-08-26 2000-03-07 Koyo Seiko Co Ltd 一方向クラッチ
JP2010190250A (ja) * 2009-02-16 2010-09-02 Nsk Ltd 一方向クラッチ
JP2012047321A (ja) * 2010-08-30 2012-03-08 Jtekt Corp 一方向クラッチ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09637A (ko) 2021-07-09 2023-01-17 지엠비코리아 주식회사 일방향 클러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9072995A (zh) 2018-12-21
CN109072995B (zh) 2021-05-07
WO2017170559A1 (ja) 2017-10-05
KR102315302B1 (ko) 2021-10-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44947B2 (en) Pulley unit
US7740118B2 (en) Roller-type one-way clutch
EP1939479B1 (en) Torque limiter-incorporating one-way clutch
JP5160918B2 (ja) ローラ型ワンウェイクラッチ
US7861836B2 (en) Roller-type one-way clutch
JP5037399B2 (ja) ローラ型ワンウェイクラッチ
EP3026298A1 (en) Pulley device with embedded unidirectional clutch
JP5274050B2 (ja) ローラ型ワンウェイクラッチ
JP5065128B2 (ja) 一方向クラッチ
JP2010096327A (ja) ローラ型ワンウェイクラッチ
JP2009030790A (ja) 一方向クラッチ
KR20180123540A (ko) 일방향 클러치
US20170009821A1 (en) Rotation transmission device
JP6773430B2 (ja) ワンウェイクラッチ
WO2015068318A1 (ja) ローラ型ワンウェイクラッチ及び側板
JP2017180518A (ja) ワンウェイクラッチ
JP2005016555A (ja) ワンウェイクラッチ及びワンウェイクラッチの取付け構造
JP6217366B2 (ja) 一方向クラッチ
JP5858530B2 (ja) 一方向クラッチ
JP2016121769A (ja) 一方向クラッチおよび逆入力防止クラッチ
JP4893997B2 (ja) 一方向クラッチ
JP2015183746A (ja) 一方向クラッチ
JP2007016863A (ja) 針状ころ軸受
US20080190728A1 (en) One-way clutch
JP2021067286A (ja) 逆入力防止クラッ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