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22500A - 컨베이어 유닛 및 이를 이용한 시험관 이송 장치 - Google Patents

컨베이어 유닛 및 이를 이용한 시험관 이송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22500A
KR20180122500A KR1020170056181A KR20170056181A KR20180122500A KR 20180122500 A KR20180122500 A KR 20180122500A KR 1020170056181 A KR1020170056181 A KR 1020170056181A KR 20170056181 A KR20170056181 A KR 20170056181A KR 20180122500 A KR20180122500 A KR 201801225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conveyor
test tube
main body
horizon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561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48735B1 (ko
Inventor
강정훈
이강희
배용탁
윤성호
Original Assignee
에너지움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너지움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너지움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561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48735B1/ko
Publication of KR201801225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225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87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87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35/00Mechanical convey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G35/06Mechanical convey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prising a load-carrier moving along a path, e.g. a closed path, and adapted to be engaged by any one of a series of traction elements spaced along the pa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37/00Combinations of mechanical conveyors of the same kind, or of different kinds, of interest apart from their application in particular machines or use in particular manufacturing proc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3/00Control devices, e.g. for safety, warning or fault-correcting
    • B65G43/08Control devices operated by article or material being fed, conveyed or discharg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35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3/00Indexing code relating to control or detection of the articles or the load carriers during conveying
    • B65G2203/02Control or detection
    • B65G2203/0208Control or detection relating to the transported articles
    • B65G2203/0233Position of the art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3/00Indexing code relating to control or detection of the articles or the load carriers during conveying
    • B65G2203/04Detection means
    • B65G2203/042Sens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7/00Indexing codes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configuration and additional features of a handling device, e.g. Conveyors
    • B65G2207/14Combination of conveyors

Abstract

본 발명은 시험관을 수평 이송 및 하강 이송뿐만 아니라 안정적으로 상승 이송시킬 수 있도록 하여, 다양한 설치 공간 내에서 주변에 제약받지 않고 다양한 구조로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컨베이어 유닛 및 이를 이용한 시험관 이송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컨베이어 유닛과, 환자 정보가 라벨링된 시험관을 상기 컨베이어 유닛으로 공급하는 공급유닛과, 상기 컨베이어 유닛과 연결되도록 설치되며, 상기 컨베이어 유닛을 통해 상승 이송된 상기 시험관을 수평 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수평 컨베이어 유닛과, 상기 수평 컨베이어 유닛과 연결되도록 설치되며, 상기 수평 컨베이어 유닛을 통해 수평 이송된 상기 시험관을 하강 이송시키는 하강 이송 유닛 및 상기 하강 이송 유닛을 통해 이송된 시험관이 공급되어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출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험관 이송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컨베이어 유닛 및 이를 이용한 시험관 이송 장치{Conveyer unit and test tube transferring apparatus for using thereof}
본 발명은 시험관 이송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병원, 연구소, 대학 등에서 다루어지는 시험관을 자동으로 이송해 주는 시험관 이송 장치에 관한 것이다.
혈액, 동, 식물의 견본, 화학물 등의 각종 샘플을 보관하기 위해서는 한쪽이 막힌 길쭉한 관 형태의 시험관이 사용된다. 이러한 시험관은 내부에 담겨진 샘플 정보가 기입된 라벨을 부착한 상태에서 사용함으로써, 작업의 효율을 높이도록 하고 있다.
특히, 병원 등의 의료기관에서, 채혈된 혈액은 담겨진 채혈의 양, 채혈의 검사형태 등에 따라 다양한 종류의 시험관이 사용되고 있다. 시험관에는 채혈 날짜 및 시간과, 채혈한 사람의 성명, 성별, 나이 등의 개인 정보가 바코드 등에 의해 표시된다. 바코드는 바코드 라벨 등의 정보 라벨로 인쇄되어서, 시험관의 외주면에 부착된다.
이러한 다량, 다종의 시험관에 대해 작업자가 정보를 기입하는 작업은 상당한 작업량을 필요로 하는 것이며, 이러한 반복된 기입 작업으로부터 관련 정보가 오 기입되는 사례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따라서, 최근에는 이러한 혈액 등의 해당 견본을 담기 전, 시험관 더미로부터 필요로 하는 시험관을 선택하고, 이렇게 선택된 시험관의 표면에 환자 또는 시험대상물에 대한 문자정보 또는 바코드와 같은 전자정보를 인자한 라벨을 부착하는 자동화된 시험관용 라벨 부착 장치가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라벨 부착 장치에 의해 라벨링된 시험관은 환자로부터 혈액샘플을 채혈한 후, 혈액샘플을 검사하기 위하여 시험관 이송 장치를 이용하여 이송하였다.
그러나 종래의 시험관 이송 장치는 시험관을 이송시키기 위해서는 사각 틀 구조의 카세트에 다수개의 시험관을 모두 수납시킨 후 이송시키는 구조가 주로 사용되었다. 즉, 종래의 시험관 이송 장치는 카세트에 다수개의 시험관을 수납시킨 다음 이송시키는 구조이기 때문에 레벨 부착 장치를 통해 레벨 부착이 완료된 시험관을 레벨부착 완료 즉시 인라인(in-line)으로 이송시키지 못해 이송시간이 오래 걸리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다수개의 시험관의 수납되는 카세트의 부피가 커서 시험관 이송 장치를 설치하는 과정에서 주변 장애물로 인해 공간상의 많은 제약을 받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레벨부착이 완료된 하나의 시험관을 바로 인라인으로 이송시킬 수 있도록 하여 시험관의 이송시간을 최대한 단축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과 더불어 다양한 설치 공간 내에서 주변에 제약받지 않고 다양한 구조로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컨베이어 유닛 및 이를 이용한 시험관 이송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길이가 긴바 형상으로 형성되어 지면에 대해 수직하게 설치되는 컨베이어 유닛 본체와, 상기 컨베이어 유닛 본체의 하부측에 설치되며, 공급되는 상기 시험관을 수용하는 공간이 형성된 컨베이어 유닛 공급부와, 상기 컨베이어 유닛 본체의 내부에 길이 방향을 따라 설치된 컨베이어 벨트와, 상기 컨베이어 벨트의 상면에 연속적으로 적층되게 설치되며, 2개가 적층된 사이 부분에 형성되는 공간에 상기 컨베이어 유닛 공급부를 통해 공급된 상기 시험관이 수납되어 상기 컨베이어 벨트를 따라 이송되면서 상기 시험관을 수직으로 이송시키는 복수개의 수납 부재와, 상기 컨베이어 유닛 본체의 상부측에 설치되며, 상기 수납 부재를 통해 상승 이송된 상기 시험관을 배출시키는 컨베이어 유닛 배출부 및 상기 컨베이어 벨트를 구동시키는 컨베이어 벨트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 유닛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컨베이어 유닛과, 환자 정보가 라벨링된 시험관을 상기 컨베이어 유닛으로 공급하는 공급유닛과, 상기 컨베이어 유닛과 연결되도록 설치되며, 상기 컨베이어 유닛을 통해 상승 이송된 상기 시험관을 수평 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수평 컨베이어 유닛과, 상기 수평 컨베이어 유닛과 연결되도록 설치되며, 상기 수평 컨베이어 유닛을 통해 수평 이송된 상기 시험관을 하강 이송시키는 하강 이송 유닛 및 상기 하강 이송 유닛을 통해 이송된 시험관이 공급되어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출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험관 이송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시험관 이송 장치는 복수개의 수납 부재를 컨베이어 벨트에 설치하여 시험관을 이송 시키는 컨베이어 유닛이 구비됨에 따라 단순한 구조에 의해 레벨부착이 완료된 하나의 시험관을 바로 인라인으로 이송시킬 수 있어 시험관의 이송시간을 최대한 단축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컨베이어 유닛과, 수평 컨베이어 유닛 및 하강 이송 유닛이 구비됨에 따라 시험관을 수평 이송 및 하강 이송뿐만 아니라 안정적으로 상승 이송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다양한 설치 공간 내에서 주변에 제약받지 않고 다양한 구조로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하강 이송 유닛에 감속부가 구비된 것에 의해 시험관의 낙하 시, 시험관의 파손을 방지하여 안전하게 시험관을 배출유닛으로 이송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베이어 유닛의 외관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베이어 유닛 공급부의 구조를 확대해서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도 3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2개의 수납 부재가 설치된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도 3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납 부재의 다른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베이어 벨트에 수납 부재가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도 5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베이어 유닛 배출부의 구조를 확대해서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험관 이송 장치의 전면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험관 이송 장치의 후면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급유닛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베이어 유닛의 배출부를 통해 시험관이 제1 수평 컨베이어부로 이송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각 수평 컨베이어부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각 수평 컨베이어부의 구조에서 커버가 오픈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12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각 턴 컨베이어부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 수평 컨베이어부와 제2 수평 컨베이어부를 제1 턴 컨베이어부를 통해 연결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2 수평 컨베이어부와 제3 수평 컨베이어부를 제2 턴 컨베이어부를 통해 연결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강 이송 유닛의 외관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다른 하강 이송 유닛의 내부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감속부에 의해 시험관의 낙하 속도를 감속시키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강 이송 유닛와 배출유닛의 연결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때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 도 1 내지 도 18을 참조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먼저,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험관을 상승 이송시키는 컨베이어 유닛을 설명하면 이하와 같다.
먼저,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베이어 유닛의 외관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베이어 유닛 공급부의 구조를 확대해서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다음, 도 3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2개의 수납 부재가 설치된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납 부재의 다른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다음,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베이어 벨트에 수납 부재가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베이어 유닛 배출부의 구조를 확대해서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베이어 유닛(200)은 크게 컨베이어 유닛 본체(210)와, 컨베이어 유닛 공급부(220)와, 수납 부재(230)와, 컨베이어 벨트(240)와, 컨베이어 유닛 배출부(250) 및 컨베이어 벨트 구동부(26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컨베이어 유닛 본체(210)는 길이가 긴바 형상으로 형성되어 지면에 대해 수직하게 설치되어 후술하는 복수개의 수납 부재(230)의 상승 이송을 가이드 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베이어 유닛 공급부(220)는 컨베이어 유닛 본체(210)의 하부 측에 설치되며, 공급되는 시험관을 수용하는 공간이 마련된다.
컨베이어 벨트(240)는 컨베이어 유닛 본체(210)의 내부에 길이 방향을 따라 길게 감기도록 설치되며, 후술하는 수납 부재(230)가 설치된 상태로 컨베이어 유닛 본체(210) 내부에서 상승 및 하강을 하면서 회전을 한다.
도 3a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의 수납 부재(230)는 컨베이어 벨트(240)의 상면에 연속적으로 적층되게 설치되며, 2개가 적층된 사이 부분에 형성되는 공간에 컨베이어 유닛 공급부(220)를 통해 공급된 시험관이 수납될 수 있다. 이때, 각 수납 부재(230)는 컨베이어 벨트(240)와 함께 이송되면서 시험관을 수직 방향으로 상승 이송시킨다. 이러한 수납 부재(230)는 수납 부재 본체(231)와, 수납 프레임(232) 및 푸시 프레임(233)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수납 부재 본체(231)는 사각 박스 형상으로 형성되어 수납 부재(230)의 외관을 이루며, 컨베이어 벨트(240)에 순차적으로 적층되게 설치된다.
수납 프레임(232)은 수납 부재 본체(231)의 상면에 평평한 상태로 형성되어 경사판(221)에 의해 슬라이딩 되어 이송된 시험관이 눕혀진 상태로 수납 시킨다.
푸시 프레임(233)은 수납 부재 본체(231)의 하단부에 돌출 형성되며, 수납 부재(230)의 하부에 설치되는 다른 수납 부재(230)의 수납 프레임(232)에 수납된 시험관을 컨베이어 벨트(240)의 최상부에서 회전 동작에 의해 밀어 후술하는 수평 컨베이어 유닛(300)으로 이송시키는 역할을 한다.
한편, 상부에 설치되는 상기 수납 부재(230)의 푸시 프레임(233)과 그 하부에 설치되는 수납 부재(230)의 수납 프레임(232)에 의해 시험관이 수납되는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복수개의 수납 부재(230)는 컨베이어 벨트(240)에 순차적으로 적층되는 방식으로 설치되고, 컨베이어 벨트(240)와 함께 컨베이어 유닛 본체(210) 내부에서 반복해서 상하 회전된다.
즉, 컨베이어 벨트(240)와 함께 회전되는 수납 부재(230)는 컨베이어 벨트(240)의 상하측 끝단 부분에서 방향이 변경되어 상승 및 하강 이송을 반복하게 된다.
이때, 컨베이어 벨트(240)와 함께 상승 이송되는 수납 부재(230)가 컨베이어 벨트(240)의 상측 끝단에서 방향이 변경되면서 회전이 이루어진다. 즉, 수납 부재(230)가 회전되면서 푸시 프레임(233)이 하부측에 설치된 다른 수납 부재(230)의 수납 프레임(232)에 수납된 시험관을 밀면서 회전하게 되어 다른 수납 부재(230)의 수납 프레임(232)에 수납된 시험관을 컨베이어 유닛 배출부(250)를 통해 수평 컨베이어 유닛(300) 측으로 이송시키게 된다.
한편,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원발명의 수납 부재(300)의 다른 예로 수납 부재 본체(231)는 전면 부위가 수납 프레임(232)의 전단으로부터 푸시 프레임(233)을 향해 하향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수납 부재 본체(231)가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 것은 컨베이어 유닛 공급부(220)를 통해 공급된 시험관이 수납 부재 본체(231)의 하향 경사진 부분을 따라 이송되어 시험관을 수납 공간 상에 더욱 안정적으로 수납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베이어 유닛 배출부(250)는 수납 부재(230)에 수납되어 상승 이송된 시험관을 후술하는 시험관 이송 장치의 수평 컨베이어 유닛(300) 측으로 배출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때, 컨베이어 유닛 배출부(250)는 수평 컨베이어 유닛(300)의 일측과 연결된 상태로 설치된다.
컨베이어 벨트 구동부(260)는 컨베이어 유닛 본체(210)의 일측에 설치되어 컨베이어 벨트(240)를 벨트 구동에 의해 이송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때,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컨베이어 벨트 구동부(260)는 통상의 벨트를 이용한 구동 방법으로써,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모터와, 제공된 구동력에 의해 구동력을 전달하는 벨트와 벨트의 장력을 조절하기 위한 다수의 롤러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베이어 유닛(200)은 시험관의 진입을 감지하는 제1 감지 센서(280)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즉, 제1 감지 센서(280)는 컨베이어 유닛 공급부(220)의 일측에 설치되며, 컨베이어 유닛 공급부(220)로 공급되는 시험관을 감지한다.
이때, 제1 감지 센서(280)에 의해 시험관이 감지되면 컨베이어 벨트(240)가 구동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수광부와 발광부로 이루어진 적외선 센서가 사용된 것이 제시되었지만, 제1 감지 센서(280)는 적외선 시험관을 감지할 후 있는 센서면 어느 센서라도 사용될 수 있다. 예들 들면, 광 센서, 근접 센서, 포토 센서 등 다양한 센서가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베이어 유닛(200)은 컨베이어 유닛 본체(210)의 전방측을 덮도록 설치되어 각 수납 부재(230)에 수납된 시험관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컨베이어 유닛 커버(270)가 더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컨베이어 유닛 커버(270)는 외부에서 시험관의 이동되는 상태를 관찰할 수 있도록 투명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다음, 도 6 내지 도 18을 참조하여 이상 전술한 바와 같은 컨베이어 유닛(200)이 구비된 시험관 이송 장치(1000)에 관해서 설명하면 이하와 같다.
먼저,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험관 이송 장치의 전면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험관 이송 장치의 후면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다음,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급유닛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베이어 유닛의 배출부를 통해 시험관이 수평 제1 컨베이어부로 이송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다음,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각 수평 컨베이어부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각 수평 컨베이어부의 구조에서 커버가 오픈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며, 도 12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각 턴 컨베이어부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다음,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 수평 컨베이어부와 제2 수평 컨베이어부를 제1 턴 컨베이어부를 통해 연결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2 수평 컨베이어부와 제3 수평 컨베이어부를 제2 턴 컨베이어부를 통해 연결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강 이송 유닛의 외관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다음,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다른 하강 이송 유닛의 내부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감속부에 의해 시험관의 낙하 속도를 감속시키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며,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강 이송 유닛와 배출유닛의 연결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험관 이송 장치는 크게 컨베이어 유닛(200)과, 공급유닛(100)과, 수평 컨베이어 유닛(300)과, 하강 이송 유닛(400) 및 배출유닛(50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컨베이어 유닛은 상기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험관을 상승 이송시키기 위한 컨베이어 유닛(200)이 적용된다.
이때,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급유닛(100)은 환자의 정보가 부착된 시험관이 공급되며, 이러한 공급유닛(100)은 외관을 이루는 공급유닛 본체(110)와, 호퍼부(120)와, 공급유닛 스캔부(130)와 공급유닛 에러 수납부(140) 및 공급유닛 배출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공급유닛 본체(110)는 공급유닛(100)의 외관을 이룬다.
이때, 호퍼부(120)는 공급유닛 본체(110)의 상부에 설치되며, 환자의 정보가 부착된 시험관이 슬라이딩 되면서 투입된다.
공급유닛 스캔부(130)는 공급유닛 본체(110)의 내부에 설치되며, 호퍼부(120)를 통해 투입된 시험관에 라벨링된 환자의 정보를 스캔하여 환자의 정확한 정보가 라벨링된 시험관인지 판독하게 된다.
공급유닛 에러 수납부(140)는 공급유닛 본체(110)의 일측에 설치되며, 공급유닛 스캔부(130)에 의해 스캔된 환자의 정보가 비정상적인 경우 이송되어 수납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공급유닛 배출부(150)는 공급유닛 본체(110)의 전면측에 설치되며, 공급유닛 스캔부(130)에 의해 스캔된 환자의 정보가 정상적인 경우 컨베이어 유닛(200) 측으로 시험관을 배출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때, 컨베이어 유닛 공급부(220)는 공급유닛 배출부(150)와 맞닿도록 설치되어 공급유닛 배출부(150)를 통해 배출된 시험관이 공급된다.
한편, 컨베이어 유닛 공급부(220)에는 공급유닛 배출부(150)측으로부터 컨베이어 유닛 본체(210) 측 방향을 향해 하향 경사지게 설치되어 공급유닛 배출부(150)를 통해 배출된 시험관이 슬라이딩 이송되어 공급되도록 하는 경사판(221)이 마련될 수 있다.
즉, 공급유닛 배출부(150)를 통해 배출된 시험관은 컨베이어 유닛 공급부(220)로 유입되면서 상승 이송될 준비를 하게 된다.
도 9 내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평 컨베이어 유닛(300)은 컨베이어 유닛(200)을 통해 상승 이송된 시험관을 수평으로 이송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수평 컨베이어 유닛(300)은 제1 수평 컨베이어부(310)와, 제1 턴 컨베이어부(320)와, 제2 수평 컨베이어부(330)와, 제2 턴 컨베이어부(340)와, 제3 수평 컨베이어부(35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수평 컨베이어 유닛(300)은 시험관을 대략 "ㄷ" 자 방향으로 수평 이송시키기 위해 3개의 수평 컨베이어부(310,330,350) 및 2개의 턴 컨베이어부(320,340)가 설치된 것이 제시되었지만, 수평 이송 방향 및 거리에 따라 다양한 개수의 수평 컨베이어부 및 턴 컨베이어부가 조합된 구조로 설치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평 컨베이어 유닛(300)은 제1 수평 컨베어어부(310)와 제2 수평 컨베이어부(330)가 제1 턴 컨베이어부(320)에 의해 동일 평면상에서 수직하게 연결되고, 제2 수평 컨베이어부(330)와 제3 수평 컨베어부(350)가 제2 턴 컨베이어부(340)에 의해 동일 평면상에서 수직하게 연결된 것이 제시된다.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수평 컨베이어부(310)는 컨베이어 유닛(200)의 상단에 설치된 컨베이어 유닛 배출부(250)와 수직되게 연결되어 컨베이어 유닛(200)으로부터 상승 이송된 시험관을 수평 이송 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제1 수평 컨베이어부(310)는 일측이 컨베이어 유닛 배출부(250)와 연결되도록 설치되며 제1 수평 컨베이어부(310)의 외관을 이루는 제1 수평 컨베이어부 본체(311)와, 제1 수평 컨베이어부 본체(311)의 내부에 설치되어 시험관을 수평 이송시키는 제1 수평 컨베이어 벨트(312)와, 제1 수평 컨베이어부 본체(311)의 일측에 설치되며 제1 수평 컨베이어 벨트(312)를 구동시키는 제1 수평 컨베이어 벨트 구동부(313) 및 제1 수평 컨베이어부 본체(311)의 상부에 설치되어 수평 이송되는 시험관의 이탈을 방지하는 제1 수평 컨베이어부 커버(314)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턴 컨베이어부(320)는 일측이 제1 수평 컨베이어부(310)의 타측과 연결되어 제1 수평 컨베이어부(310)를 통해 이송된 시험관의 이송 방향을 전환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제1 턴 컨베이어부(320)는 일측이 제1 수평 컨베이어부 본체(311)의 타측과 연결되도록 설치되며 제1 턴 컨베이어부(320)의 외관을 이루는 제1 턴 컨베이어부 본체(321)와, 제1 턴 컨베이어부 본체(321)의 내부에 설치되어 회전되는 제1 턴 컨베이어 벨트(322)와, 제1 턴 컨베이어부 본체(321)의 일측에 설치되며 제1 턴 컨베이어 벨트(322)를 구동시키는 제1 턴 컨베이어 벨트 구동부(323)와, 제1 턴 컨베이어부 본체(321)의 상단에 돌출 형성되되, 시험관의 이송 방향이 변경되도록 라운드지게 형성되어 시험관의 이송 방향을 전환시키는 제1 방향 전환 부재(324) 및 사각 박스 형상으로 형성되되, 제1 턴 컨베이어부 본체(321)가 수용되도록 설치되어 제1 방향 전환 부재(324)에 의해 방향이 전환되는 시험관의 이탈을 방지하는 제1 가이드 박스(325)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제1 방향 전환 부재(324)로 제1 턴 컨베이어부 본체(341)의 일측에 마련되어 시험관의 이송 방향 전환을 안내하는 보조 컨베이어가 사용될 수도 있다.
즉, 제1 수평 컨베이어 벨트(310)에 의해 수평 이송되는 시험관이 제1 턴 컨베이어부(320)의 제1 턴 컨베이어부 본체(321)에 유입되면, 보조 컨베이어가 구동되며, 유입된 시험관이 구동되는 보조 컨베이어에 접촉되면서 이송 방향이 전환되고, 제1 턴 컨베이어 벨트(322)와 함께 시험관을 이송시켜 제2 수평 컨베이어 벨트(332)로 이송될 수 있도록 한다.
다시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수평 컨베이어부(330)는 일측이 제1 턴 컨베이어부(320)의 타측과 연결되어 제1 턴 컨베이어부(320)를 통해 방향 전환된 시험관을 수평 이송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제2 수평 컨베이어부(330)는 일측이 상기 제1 턴 컨베이어부 본체(321)의 타측과 연결되도록 설치되며 제2 수평 컨베이어부(330)의 외관을 이루는 제2 수평 컨베이어부 본체(331)와, 제2 수평 컨베이어부 본체(331)의 내부에 설치되며 시험관을 수평 이송시키는 제2 수평 컨베이어 벨트(332)와, 제2 수평 컨베이어부 본체(331)의 일측에 설치되며 제2 수평 컨베이어 벨트(332)를 구동시키는 제2 수평 컨베이어 벨트 구동부(333) 및 제2 수평 컨베이어부 본체(331)의 상부에 설치되어 수평 이송되는 시험관의 이탈을 방지하는 제2 수평 컨베이어부 커버(334)를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턴 컨베이어부(340)는 일측이 제2 수평 컨베이어부(330)의 타측과 연결되어 제2 수평 컨베이어부(330)를 통해 이송된 시험관의 이송 방향을 전환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제2 턴 컨베이어부(340)는 일측이 제2 수평 컨베어어부 본체(331)의 타측과 연결되도록 설치되며 제2 턴 컨베이어부(340)의 외관을 이루는 제2 턴 컨베이어부 본체(341)와, 제2 턴 컨베이어부 본체(341)의 내부에 설치되는 제2 턴 컨베이어 벨트(342)와, 제2 턴 컨베이어부 본체(341)의 일측에 설치되며 제2 턴 컨베이어 벨트(342)를 구동시키는 제2 턴 컨베이어 벨트 구동부(343)와, 제2 턴 컨베이어부 본체(341)의 상단에 돌출 형성되되, 시험관의 이송 방향이 변경되도록 라운드지게 형성되어 시험관의 이송 방향을 전환시키는 제2 방향 전환 부재(344) 및 사각 박스 형상으로 형성되되, 제2 턴 컨베이어부 본체(341)가 수용되도록 설치되어 제2 방향 전환 부재(344)에 의해 방향 전환되는 시험관의 이탈을 방지하는 제2 가이드 박스(345)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제2 방향 전환 부재(344)로 제2 턴 컨베이어부 본체(341)의 일측에 마련되어 시험관의 이송 방향 전환을 안내하는 보조 컨베이어가 사용될 수도 있다.
즉, 제2 수평 컨베이어 벨트(330)에 의해 수평 이송되는 시험관이 제2 턴 컨베이어부(340)의 제2 턴 컨베이어부 본체(341)에 유입되면, 보조 컨베이어가 구동되며, 유입된 시험관이 구동되는 보조 컨베이어에 접촉되면서 이송 방향이 전환되고, 제2 턴 컨베이어 벨트(342)와 함께 시험관을 이송시켜 제3 수평 컨베이어 벨트(352)로 이송될 수 있도록 한다.
다시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수평 컨베이어부(350)는 일측이 제2 턴 컨베이어부(340)의 타측과 연결되어 제2 턴 컨베이어부(340)를 통해 방향 전환된 시험관을 수평 이송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제3 수평 컨베이어부(350)는 일측이 상기 제2 턴 컨베이어부 본체(341)의 타측과 연결되도록 설치되며 제3 수평 컨베이어부(350)의 외관을 이루는 제3 수평 컨베이어부 본체(351)와, 제3 수평 컨베이어부 본체(351)의 내부에 설치되며, 시험관을 수평 이송시키는 제3 수평 컨베이어 벨트(352)와, 제3 수평 컨베이어부 본체(351)의 일측에 설치되며 제3 수평 컨베이어 벨트(352)를 구동시키는 제3 수평 컨베이어 벨트 구동부(353) 및 제3 수평 컨베이어부 본체(351)의 상부에 설치되어 수평 이송되는 시험관의 이탈을 방지하는 제3 수평 컨베이어부 커버(354)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각 수평 컨베이어부 커버(314,334,354) 및 각 가이드 박스(325,345)는 외부에서 시험관의 이동되는 상태를 관찰할 수 있도록 투명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각 수평 컨베이어 벨트 구동부(313,333,353) 및 각 턴 컨베이어 벨트 구동부(323,343)는 통상의 벨트를 이용한 구동 방법으로써,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모터와, 제공된 구동력에 의해 구동력을 전달하는 벨트와 벨트의 장력을 조절하기 위한 다수의 롤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 컨베이어 유닛(300)은 컨베이어 유닛(200)을 통해 상승 이송된 시험관이 제1 수평 컨베이어부(310)의 제1 수평 컨베이어 벨트(312)에 의해 수평 이송되고, 제1 수평 컨베이어 벨트(310)에 의해 수평 이송되는 시험관은 제1 턴 컨베이어부(320)의 제1 턴 컨베이어 벨트(322)에 의해 제2 수평 컨베이어부(330)의 제2 수평 컨베이어 벨트(332)로 이송된다. 이때, 시험관은 제1 턴 컨베이어부(320)의 제1 방향 전환 부재(324)에 의해 이송 방향이 전환된 상태로 제2 수평 컨베이어 벨트(332)로 이송된다.
다음,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수평 컨베이어부(330)에 의해 수평 이송된 시험관은 제2 턴 컨베이어부(340)의 제2 턴 컨베이어 벨트(342)에 의해 제3 수평 컨베어이부(350)의 제3 수평 컨베이어 벨트(352)로 이송된다. 이때, 시험관은 제2 턴 컨베이어부(340)의 제2 방향 전환 부재(344)에 의해 이송 방향이 변경된 상태로 제3 수평 컨베이어 벨트(352)로 이송되어 제3 수평 컨베이어 벨트(352)에 의해 계속해서 수평 이송된다.
결과적으로 수평 컨베이어 유닛(300)은 3개의 수평 컨베이어부(310,330,350)와 각 수평 컨베이어부 사이에 배치된 2개의 턴 컨베이어부(320,340)를 통해 ㄷ자 방향의 경로를 따라 수평 이송 시킬 수 있다.
도 15 및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강 이송 유닛(400)은 수평 컨베이어 유닛(200)과 연결되도록 설치되며, 수평 컨베이어 유닛(200)을 통해 이송된 시험관을 하강 이송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하강 이송 유닛(400)은 하강 이송 유닛 본체(410)와, 방향 전환 가이드부(420)와, 낙하 가이드부(430)와, 방향 전환 배출부(440) 및 하강 이송 유닛 커버(45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하강 이송 유닛 본체(410)는 길이가 긴바 형상으로 형성되어 지면에 대해 수직하게 설치된다.
방향 전환 가이드부(420)는 하강 이송 유닛 본체(410)의 상부에 수평 컨베이어 유닛(300)의 제3 수평 컨베이어부(350) 연결되도록 설치되며, 수평 이송되는 시험관의 이송 방향을 전환시켜 수직 방향으로 낙하시키는 역할을 한다.
즉, 방향 전환 가이드부(420)는 컨베이어 유닛(200)을 통해 상승 이송되고 수평 컨베이어 유닛(300)을 통해 수평 이송된 시험관을 수직 낙하시켜 배출유닛(500) 측으로 보내기 위해 제공된 것이다.
낙하 가이드부(430)는 방향 전환 가이드부(420)를 통해 방향이 전환되어 수직 낙하되는 시험관의 낙하 방향을 안내하는 역할을 하며, 이러한 낙하 가이드부(430)는 낙하 가이드 부재(431) 및 고정부재(43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낙하 가이드 부재(431)는 하강 이송 유닛 본체(410)의 내부에 길이 방향을 따라 길게 설치되고, 상단 및 하단에는 시험관이 유입 및 배출되는 유입구(431a) 및 배출구(431b)가 마련될 수 있다. 이때, 유입구(431a)가 마련된 낙하 가이드 부재(431)의 상단은 방향 전환 가이드부(420)와 연결 설치되어 방향 전환 가이드부(420)를 지나 낙하되는 시험관이 낙하 가이드 부재의 유입구(431a) 측으로 유입되어 낙하 가이드 부재(431)를 따라 수직 낙하된다.
고정부재(432)는 낙하 가이드 부재(431)를 하강 이송 유닛 본체(410)의 내부에 고정시킨다.
방향 전환 배출부(440)는 하강 이송 유닛 본체(410)의 하부측에 설치되어 수직 낙하되는 시험관의 방향을 전환시켜 배출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즉, 방향 전환 배출부(440)는 그 끝단이 라운드지게 형성되어 하강 이송 유닛(400)을 통해 수직 낙하되는 시험관을 배출유닛(500) 측으로 수평한 상태로 방향을 전환시켜 이송시킬 수 있도록 한다.
하강 이송 유닛 커버(450)는 하강 이송 유닛 본체(410)의 전방측을 덮도록 설치되고, 하강 이송 유닛 커버(450)는 외부에서 시험관이 낙하되는 상태를 관찰할 수 있도록 투명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도 16 및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강 이송 유닛(400)은 하강 이송 유닛 본체(410)의 하단부에 설치되어 낙하되는 시험관의 낙하 속도를 감속시키는 감속부(460)가 더 포함될 수 있으며, 이러한 감속부(460)는 한쌍의 감속 롤러(461) 및 스펀지부재(462)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한쌍의 감속 롤러(461)는 낙하되는 시험관이 통과되도록 이격 설치되고, 각 감속 롤러가(461) 회전되면서 시험관의 낙하 속도를 제어하게 된다.
스펀지부재(462)는 각 감속 롤러(461)의 외주면 둘레를 감싸도록 설치되어 낙하되는 시험관과 접촉되면서 시험관의 낙하 속도를 감속시키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시험관과 접촉시켜 시험관의 낙하 속도를 감속시키는 구성으로서 스펀지부재(462)가 사용된 것이 제시되었지만, 일 예로, 고무부재 및 모(毛)부재 등 시험관과 접촉되어 속도를 감속시킬 수 있는 구성이라면 다양한 부재가 사용될 수 있어 굳이 제한하지는 않는다.
이때, 한쌍의 감속 롤러(461) 사이에 낙하 가이드 부재(431)가 배치되며, 낙하 가이드 부재(431)의 양측면에는 각 스펀지부재(462)와 낙하되는 시험관이 접촉될 수 있도록 개방홀(431c)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하강 이송 유닛(400)은 하강 이송 유닛으로 진입하는 시험관을 감지하는 제2 감지센서(4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제2 감지센서(480)는 방향 전환 가이드부(420)의 일측에 설치되며, 방향 전환 가이드부(420)로 진입하는 시험관을 감지한다. 이때, 제2 감지센서가 시험관을 감지하면 감속부(460)가 구동된다. 이러한 제1 감지 센서(480)는 시험관을 감지할 수 있는 센서면 어느 센서라도 설치될 수 있다. 예들 들면, 적외선 센서, 근접 센서, 광 센서, 포토 센서 등 다양한 센서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하강 이송 유닛(500)은 일측은 방향 전환 배출부(440)와 연결되고 타측은 배출유닛(500)과 연결되어 방향 전환 배출부(440)를 통해 배출된 시험관을 배출유닛(500)으로의 공급을 안내하는 연결 컨베이어부(470)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연결 컨베이어부(470)는 연결 컨베이어부(470)의 외관을 이루는 연결 컨베이어부 본체(471)와, 연결 컨베이어부 본체(471)의 내부에 설치되는 연결 컨베이어 벨트(472)와, 연결 컨베이어부 본체(471)의 일측에 설치되며 연결 컨베이어 벨트(472)를 구동시키는 연결 컨베이어 벨트 구동부(473) 및 연결 컨베이어부 본체(471)의 상부에 설치되어 연결 컨베이어 벨트(472)를 통해 이송되는 시험관의 이탈을 방지하는 연결 컨베이어부 커버(474)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출유닛(500)은 하강 이송 유닛(400)을 통해 이송된 시험관이 공급되어 외부로 배출시키는 역할을 하며, 이러한 배출유닛(500)은 배출유닛 본체(510)와, 배출유닛 유닙부(520)와, 배출유닛 스캔부(530)와, 배출유닛 에러 수납부(540) 및 배출유닛 배출부(55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배출유닛 본체(510)는 연결 컨베이어부(470)의 일측에 설치되며 배출유닛(500)의 외관을 이룬다.
배출유닛 유입부(520)는 배출유닛 본체(510)의 일측에 형성되되, 연결 컨베이어부(470)와 연결되도록 형성되어 연결 컨베이어부(470)을 통해 이송된 시험관이 유입된다.
배출유닛 스캔부(530)는 배출유닛 본체(510)의 내부에 설치되며, 배출유닛 유입부(520)를 통해 유입된 시험관에 라벨링된 환자의 정보를 다시 스캔하여 공급유닛(100)에서 스캔된 환자의 정보와 일치하는지 판독한다.
배출유닛 에러 수납부(530)는 배출유닛 본체(510)의 전방측에 설치되며, 배출유닛 스캔부(530)에 의해 스캔된 시험관의 환자 정보가 일치하지 않을 경우 이송되어 수납될 수 있도록 역할을 한다.
배출유닛 배출부(550)는 배출유닛 본체(510)의 일측에 설치되며, 배출유닛 스캔부(530)에 의해 스캔된 시험관의 환자 정보가 일치하는 경우 이송되어 배출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상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베이어 유닛이 구비된 시험관 이송 장치의 작동 과정을 설명하면 이하와 같다.
먼저, 공급 유닛(100)의 호퍼부(120)를 통해 환자의 정보가 라벨링된 시험관을 연속적으로 투입한다.
이때, 투입된 시험관은 공급유닛 스캔부(130)를 통해 환자의 정보가 정확하게 라벨링된 상태인지 판독하여 비정상적인 상태일 경우 공급유닛 에러 수납부(140)로 이송시켜 수납되도록 하고, 정상적인 상태일 경우 공급유닛 배출부(150)로 이송시켜 배출되도록 한다.
다음, 공급유닛 배출부(150)로 배출된 시험관은 컨베이어 유닛 공급부(220)로 공급된다. 이때, 컨베이어 유닛 공급부(220)에 설치된 경사판(221)에 의해 시험관은 슬라이딩 이송되면서 공급된다.
이때, 컨베이어 유닛 공급부(200)로 시험관이 공급되면 제1 감지 센서(280)가 시험관이 공급된 것을 감지하여 컨베이어 벨트 구동부(260)를 구동시키게 된다.
다음, 컨베이어 유닛 공급부(220)로 공급된 복수개의 시험관은 컨베이어 벨트(240)에 설치된 하나의 수납 부재(230)에 수납되고, 이어서 다른 수납 부재(230)에 연속적으로 수납된다. 이때, 시험관은 수납 부재(230)의 상면에 형성된 수납 프레임(232)에 눕혀진 상태로 수납된다.
다음, 컨베이어 벨트 구동부(260)의 구동력에 의해 컨베이어 벨트(240)가 상승 이송하게 되며, 이와 함께 컨베이어 벨트(240)에 설치된 수납 부재(230)가 상승 이송하게 되면서 시험관이 상승 이송하게 된다.
이때, 컨베이어 벨트(240)와 함께 상승 이송되는 수납 부재(230)는 컨베이어 벨트(240)의 상측 끝단에서 방향이 변경되면서 회전이 이루어진다. 여기서, 수납 부재(230)가 회전되면서 푸시 프레임(233)이 하부측의 다른 수납 부재(230) 의 수납 프레임(232)에 수납된 시험관을 밀면서 회전하게 되어 다른 수납 부재(230)의 수납 프레임(232)에 수납된 시험관을 컨베이어 유닛 배출부(250)를 통해 수평 컨베이어 유닛(300) 측으로 이송시킨다.
다음, 수평 컨베이어 유닛(300) 측으로 이송된 시험관은 제1 수평 컨베이어부(310)의 제1 수평 컨베이어 벨트(312)에 의해 수평 이송되고, 제1 수평 컨베이어 벨트(312)에 의해 수평 이송되는 시험관은 제1 턴 컨베이어부(320)의 제1 턴 컨베이어 벨트(322)에 의해 제2 수평 컨베이어부(330)의 제2 수평 컨베이어 벨트(332)로 이송된다. 이때, 시험관은 제1 턴 컨베이어부(320)의 제1 방향 전환 부재(324)에 의해 이송 방향이 전환된 상태로 제2 수평 컨베이어 벨트(332)로 이송된다.
다음, 제2 수평 컨베이어부(330)에 의해 수평 이송된 시험관은 제2 턴 컨베이어부(340)의 제2 턴 컨베이어 벨트(342)에 의해 제3 수평 컨베어이부의 제3 수평 컨베이어 벨트(352)로 이송된다. 이때, 시험관은 제2 턴 컨베이어부(340)의 제2 방향 전환 부재(344)에 의해 이송 방향이 변경된 상태로 제3 수평 컨베이어 벨트(352)로 이송되어 제3 수평 컨베이어 벨트(352)에 의해 계속해서 수평 이송된다.
다음, 제3 수평 컨베이어 벨트(352)에 의해 수평 이송된 시험관은 하강 이송 유닛(400)의 방향 전환 가이드부(420)에 의해 수평 이송되는 시험관의 이송 방향을 전환시켜 수직 방향으로 낙하시킨다.
이때, 방향 전환 가이드부(420) 시험관이 진입하게 되면 제2 감지 센서(480)가 시험관을 감지하여 감속부(460)를 작동시키게 된다.
다음, 방향 전환 가이드부(420)를 통해 수직 낙하되는 과정에서 시험관은 낙하 가이드부(430)의 낙하 가이드 부재(431)에 마련된 유입구(431a)를 통해 유입되어 낙하 가이드 부재(431)의 안내를 받으면서 낙하된다.
다음, 낙하 가이드 부재(431)의 안내를 받으면서 낙하되는 시험관은 하강 이송 유닛(400)의 하부측에 설치된 한쌍의 스펀지부재(462)에 접촉하게 된다. 이때, 각 스펀지부재(462)는 각 감속 롤러(451)의 회전에 의해 회전되는 속도가 제어되어 스펀지부재(462)와 접촉되는 시험관의 낙하 속도록 감속시키게 된다.
다음, 낙하 속도가 감속되어 낙하되는 시험관은 하강 이송 유닛(400)의 방향 전환 배출부(440)를 통해 방향이 전환된 상태로 연결 컨베이어부(470) 측으로 배출된다.
다음, 연결 컨베이어부(470) 측으로 배출된 시험관은 연결 컨베이어 벨트(472)에 의해 이송되어 배출유닛(500)의 유입부로 유입된다.
다음, 배출유닛(500) 유입부로 유입된 시험관은 배출유닛 스캔부(530)에 의해 시험관에 라벨링된 환자의 정보를 다시 스캔하여 공급유닛(100)에서 스캔된 환자의 정보와 일치하는지 판독한다.
다음, 배출유닛 스캔부(530)에 의해 스캔된 환자의 정보가 일치하지 않을 경우 이송되어 배출유닛 에러 수납부(540)에 수납되고, 환자 정보가 일치하는 경우 이송되어 배출유닛 배출부(550)를 통해 배출된다.
이상으로 본 발명에 관하여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였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는 얼마든지 수정 및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1000: 시험관 이송 장치 100: 공급유닛
110: 공급유닛 본체 120: 호퍼부
130: 공급유닛 스캔부 140: 공급유닛 에러 수납부
150: 공급유닛 배출부 200: 컨베이어 유닛
210: 컨베이어 유닛 본체 220: 컨베이어 유닛 공급부
221: 경사판 230: 수납 부재
231: 수납 부재 본체 232: 수납 프레임
233: 푸시 프레임 240: 컨베이어 벨트
250: 컨베이어 유닛 배출부 260: 컨베이어 벨트 구동부
270: 컨베이어 유닛 커버 280: 제1 감지 센서
300: 수평 컨베이어 유닛 310: 제1 수평 컨베이어부
311: 제1 수평 컨베이어부 본체 312: 제1 수평 컨베이어 벨트
313: 제1 수평 컨베이어 벨트 구동부 314: 제1 수평 컨베이어부 커버
320: 제1 턴 컨베이어부 321: 제1 턴 컨베이어부 본체
322: 제1 턴 컨베이어 벨트 323: 제1 턴 컨베이어 벨트 구동부
324: 제1 방향 전환 부재 325: 제1 가이드 박스
330: 제2 수평 컨베이어부 331: 제2 수평 컨베이어부 본체
332: 제2 수평 컨베이어 벨트 333: 제2 수평 컨베이어 벨트 구동부
334: 제2 수평 컨베이어부 커버 340: 제2 턴 컨베이어부
341: 제2 턴 컨베이어부 본체 342: 제2 턴 컨베이어 벨트
343: 제2 턴 컨베이어 벨트 구동부 344: 제2 방향 전환 부재
345: 제2 가이드 박스 350: 제3 수평 컨베이어부
351: 제3 수평 컨베이어부 본체 352: 제3 수평 컨베이어 벨트
353: 제3 수평 컨베이어 벨트 구동부 354: 제3 수평 컨베이어부 커버
400: 하강 이송 유닛 410: 하강 이송 유닛 본체
420: 방향 전환 가이드부 430: 낙하 가이드부
431: 낙하 가이드 부재 431a: 유입구
431b: 배출구 431c: 개방홀
432: 고정부재 440: 방향 전환 배출부
450: 하강 이송 유닛 커버 460: 감속부
461: 한쌍의 감속 롤러 462: 스폰지부재
470: 연결 컨베이어부 480: 제2 감지 센서
471: 연결 컨베이어부 본체 472: 연결 컨베이어 벨트
473: 연결 컨베이어 벨트 구동부 474: 연결 컨베이어부 커버
500: 배출유닛 510: 배출유닛 본체
520: 배출유닛 유입부 530: 배출유닛 스캔부
540: 배출유닛 에러 수납부 550: 배출유닛 배출부

Claims (21)

  1. 길이가 긴바 형상으로 형성되어 지면에 대해 수직하게 설치되는 컨베이어 유닛 본체(210);
    상기 컨베이어 유닛 본체(210)의 하부측에 설치되며, 공급되는 상기 시험관을 수용하는 공간이 형성된 컨베이어 유닛 공급부(220);
    상기 컨베이어 유닛 본체(210)의 내부에 길이 방향을 따라 설치된 컨베이어 벨트(240);
    상기 컨베이어 벨트(240)의 상면에 연속적으로 적층되게 설치되며, 2개가 적층된 사이 부분에 형성되는 공간에 상기 컨베이어 유닛 공급부(220)를 통해 공급된 상기 시험관이 수납되어 상기 컨베이어 벨트(240)를 따라 이송되면서 상기 시험관을 수직으로 이송시키는 복수개의 수납 부재(230);
    상기 컨베이어 유닛 본체(210)의 상부측에 설치되며, 상기 수납 부재(430)를 통해 상승 이송된 상기 시험관을 배출시키는 컨베이어 유닛 배출부(250); 및
    상기 컨베이어 벨트(240)를 구동시키는 컨베이어 벨트 구동부(26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 유닛.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 부재(230)는
    상기 수납 부재(230)의 외관을 이루는 수납 부재 본체(231);
    상기 수납 부재 본체(231)의 상면에 형성되어 상기 시험관이 눕혀진 상태로 수납되는 수납 프레임(232); 및
    상기 수납 부재 본체(231)의 하단부에 돌출 형성되며, 하부에 설치된 다른 수납 부재의 수납 프레임(232)에 수납되어 이송되는 시험관을 회전 동작에 의해 밀어 상기 수평 컨베이어 유닛으로 이송시키는 푸시 프레임(233);을 포함하되,
    상부에 설치되는 상기 수납 부재(230)의 푸시 프레임(233)과 그 하부에 설치되는 수납 부재(230)의 수납 프레임(232)에 의해 상기 시험관이 수납되는 공간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 유닛.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 부재 본체(231)는 전면 부위가 상기 수납 프레임(232)의 전단으로부터 상기 푸시 프레임(233)을 향해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 유닛.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컨베이어 유닛(200)은
    상기 컨베이어 유닛 본체(210)의 전방측을 덮도록 설치되어 상기 각 수납 부재에 수납된 시험관이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컨베이어 유닛 커버(270)가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 유닛.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컨베이어 유닛(200)은
    상기 컨베이어 유닛 공급부(220)의 일측에 설치되며, 상기 컨베이어 유닛 공급부(220)로 공급되는 시험관을 감지하는 제1 감지 센서(280)가 더 포함되고,
    상기 제1 감지 센서(280)에 의해 시험관이 감지되면 상기 컨베이어 벨트(240)가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 유닛.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컨베이어 유닛(200);
    환자 정보가 라벨링된 시험관을 상기 컨베이어 유닛(200)으로 공급하는 공급유닛(100);
    상기 컨베이어 유닛(200)과 연결되도록 설치되며, 상기 컨베이어 유닛(200)을 통해 상승 이송된 상기 시험관을 수평 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수평 컨베이어 유닛(300);
    상기 수평 컨베이어 유닛(300)과 연결되도록 설치되며, 상기 수평 컨베이어 유닛(300)을 통해 수평 이송된 상기 시험관을 하강 이송시키는 하강 이송 유닛(400); 및
    상기 하강 이송 유닛(400)을 통해 이송된 시험관이 공급되어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출유닛(5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험관 이송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유닛(110)은
    외관을 이루는 공급유닛 본체(110);
    상기 공급유닛 본체(110)의 상부에 제공되어 시험관이 투입되는 호퍼부(120);
    상기 공급유닛 본체(110)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호퍼부(120)로 투입된 상기 시험관에 라벨링된 환자 정보를 스캔하는 공급유닛 스캔부(130);
    상기 공급유닛 본체(110)의 일측에 설치되며, 상기 공급유닛 스캔부(130)에 의해 스캔된 환자의 정보가 비정상적인 경우 이송되어 수납되는 공급유닛 에러 수납부(140); 및
    상기 공급유닛 본체(110)의 전면측에 설치되며, 상기 공급유닛 스캔부(130)에 의해 스캔된 환자의 정보가 정상적인 경우 상기 컨베이어 유닛 측으로 시험관을 배출시키는 공급유닛 배출부(1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험관 이송 장치.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 컨베이어 유닛(300)은
    상기 상승 컨베어어 유닛(200)의 상단과 수직되게 연결되는 제1 수평 컨베이어부(310);
    일측이 상기 제1 수평 컨베이어부(310)의 타측과 연결되며, 상기 제1 수평 컨베이어부(310)를 통해 이송된 시험관의 이송 방향을 전환시키는 제1 턴 컨베이어부(320);
    일측이 상기 제1 턴 컨베이어부(320)의 타측과 연결되며, 상기 제1 턴 컨베이어부(320)를 통해 방향 전환된 상기 시험관을 수평 이송시키는 제2 수평 컨베이어부(330);
    일측이 상기 제2 수평 컨베이어부(330)의 타측과 연결되며, 상기 제2 수평 컨베이어부(330)를 통해 이송된 시험관의 이송 방향을 전환시키는 제2 턴 컨베이어부(340); 및
    일측이 상기 제2 턴 컨베이어부(340)의 타측과 연결되며, 상기 제2 턴 컨베이어부(340)를 통해 방향 전환된 상기 시험관을 수평 이송시키는 제3 수평 컨베이어부(3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험관 이송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수평 컨베이어부(310)는
    일측이 상기 컨베이어 유닛(200)의 상부와 연결되도록 설치되며, 상기 제1 수평 컨베이어부(310)의 외관을 이루는 제1 수평 컨베이어부 본체(311);
    상기 제1 수평 컨베이어부 본체(311)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시험관을 수평 이송시키는 제1 수평 컨베이어 벨트(312);
    상기 제1 수평 컨베이어부 본체(311)의 일측에 설치되며, 상기 제1 수평 컨베이어 벨트(312)를 구동시키는 제1 수평 컨베이어 벨트 구동부(313); 및
    상기 제1 수평 컨베이어부 본체(311)의 상부에 설치되어 수평 이송되는 시험관의 이탈을 방지하는 제1 수평 컨베이어부 커버(31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험관 이송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턴 컨베이어부(320)는
    일측이 상기 제1 수평 컨베이어부 본체(311)의 타측과 연결되도록 설치되며, 상기 제1 턴 컨베이어부(320)의 외관을 이루는 제1 턴 컨베이어부 본체(321);
    상기 제1 턴 컨베이어부 본체(321)의 내부에 설치되어 회전되는 제1 턴 컨베이어 벨트(322);
    상기 제1 턴 컨베이어부 본체(321)의 일측에 설치되며, 상기 제1 턴 컨베이어 벨트(322)를 구동시키는 제1 턴 컨베이어 벨트 구동부(323);
    상기 제1 턴 컨베이어부 본체(321)의 상단에 돌출 형성되되, 상기 시험관의 이송 방향이 전환되도록 라운드지게 형성되어 상기 시험관의 이송 방향을 전환시키는 제1 방향 전환 부재(324); 및
    사각 박스 형상으로 형성되되, 상기 제1 턴 컨베이어부 본체(321)가 수용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제1 방향 전환 부재(324)에 의해 방향 전환되는 시험관의 이탈을 방지하는 제1 가이드 박스(32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험관 이송 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수평 컨베이어부(330)는
    일측이 상기 제1 턴 컨베이어부 본체(321)의 타측과 연결되도록 설치되며, 상기 제2 수평 컨베이어부(330)의 외관을 이루는 제2 수평 컨베이어부 본체(331);
    상기 제2 수평 컨베이어부 본체(331)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시험관을 수평 이송시키는 제2 수평 컨베이어 벨트(332);
    상기 제2 수평 컨베이어부 본체(331)의 일측에 설치되며, 상기 제2 수평 컨베이어 벨트(332)를 구동시키는 제2 수평 제2 수평 컨베이어 벨트 구동부(333); 및
    상기 제2 수평 컨베이어부 본체(331)의 상부에 설치되어 수평 이송되는 시험관의 이탈을 방지하는 제2 수평 컨베이어부 커버(33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험관 이송 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턴 컨베이어부(340)는
    일측이 상기 제2 수평 컨베어어부 본체의 타측과 연결되도록 설치되며, 상기 제2 턴 컨베이어부(340)의 외관을 이루는 제2 턴 컨베이어부 본체(341);
    상기 제2 턴 컨베이어부 본체(341)의 내부에 설치되는 제2 턴 컨베이어 벨트(342);
    상기 제2 턴 컨베이어부 본체(341)의 일측에 설치되며, 상기 제2 턴 컨베이어 벨트(342)를 구동시키는 제2 턴 컨베이어 벨트 구동부(343);
    상기 제2 턴 컨베이어부 본체(341)의 상단에 돌출 형성되되, 상기 시험관의 이송 방향이 전환되도록 라운드지게 형성되어 상기 시험관의 이송 방향을 전환시키는 제2 방향 전환 부재(344); 및
    사각 박스 형상으로 형성되되, 상기 제2 턴 컨베이어부 본체(341)가 수용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제2 방향 전환 부재(344)에 의해 방향 전환되는 시험관의 이탈을 방지하는 제2 가이드 박스(34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험관 이송 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수평 컨베이어부(350)는
    일측이 상기 제2 턴 컨베이어부 본체(341)의 타측과 연결되도록 설치되며, 상기 제3 수평 컨베이어부(350)의 외관을 이루는 제3 수평 컨베이어부 본체(351);
    상기 제3 수평 컨베이어부 본체(351)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시험관을 수평 이송시키는 제3 수평 컨베이어 벨트(352);
    상기 제3 수평 컨베이어부 본체(351)의 일측에 설치되며, 상기 제3 수평 컨베이어 벨트(352)를 구동시키는 제3 수평 컨베이어 벨트 구동부(353); 및
    상기 제3 수평 컨베이어부 본체(351)의 상부에 설치되어 수평 이송되는 시험관의 이탈을 방지하는 제3 수평 컨베이어부 커버(35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험관 이송 장치.
  14.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하강 이송 유닛(400)은
    길이가 긴바 형상으로 형성되어 지면에 대해 수직하게 설치되는 하강 이송 유닛 본체(410);
    상기 하강 이송 유닛 본체(410)의 상부에 상기 수평 컨베이어 유닛(300)과 연결되도록 설치되며, 상기 수평 이송되는 시험관의 이송 방향을 전환시켜 수직 방향으로 낙하시키기 위한 방향 전환 가이드부(420);
    상기 방향 전환 가이드부(420)를 통해 방향이 전환되어 수직 낙하되는 시험관의 낙하 방향을 안내하는 낙하 가이드부(430);
    상기 하강 이송 유닛 본체(410)의 하부측에 설치되어 상기 수직 낙하되는 상기 시험관의 방향을 전환시켜 배출되도록 하는 방향 전환 배출부(440); 및
    상기 하강 이송 유닛 본체(410)의 전방측을 덮도록 설치된 하강 이송 유닛 커버(4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험관 이송 장치.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낙하 가이드부(430)는
    상기 하강 이송 유닛 본체(410)의 내부에 길이 방향을 따라 길게 설치되고, 상단 및 하단에는 상기 시험관이 유입되어 배출되는 유입구(431a) 및 배출구(431b)가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유입구(431a)가 방향 전환 가이드부(420)와 연결되도록 설치되는 낙하 가이드 부재(431); 및
    상기 낙하 가이드 부재(431)를 하강 이송 유닛 본체(410)의 내부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부재(43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험관 이송 장치.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하강 이송 유닛(400)은
    상기 하강 이송 컨베이어 본체의 하단부에 설치되어 낙하되는 상기 시험관의 낙하 속도를 감속시키는 감속부(460)가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험관 이송 장치.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감속부(460)는
    상기 낙하되는 시험관이 통과되도록 이격 설치되어 회전되는 한쌍의 감속 롤러(461); 및
    상기 각 감속롤러(461)의 외주면 둘레를 감싸도록 설치되어 상기 낙하되는 시험관과 접촉되면서 상기 시험관의 낙하 속도를 감속시키는 스펀지부재(462);를 포함하고,
    상기 한쌍의 감속 롤러(461)는 사이에 상기 낙하 가이드 부재(431)가 배치되며, 상기 낙하 가이드 부재(431)의 양측면에는 상기 각 스펀지부재(462)와 상기 낙하되는 시험관이 접촉될 수 있도록 개방홀(431c)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험관 이송 장치.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하강 이송 유닛(400)은
    상기 방향 전환 가이드부(420)의 일측에 설치되며, 상기 방향 전환 가이드부(420)로 진입하는 상기 시험관을 감지하는 제2 감지 센서(480)가 더 포함되고,
    상기 제2 감지 센서(480)에 의해 시험관이 감지되면 상기 감속부(460)가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험관 이송 장치.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하강 이송 유닛(400)은
    일측이 상기 방향 전환 배출부(440)와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배출유닛(500)과 연결되어 상기 방향 전환 배출부(440)를 통해 배출된 시험관을 상기 배출유닛(500)으로의 공급을 안내하는 연결 컨베이어부(470)가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험관 이송 장치.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컨베이어부(470)는
    상기 연결 컨베이어부(470)의 외관을 이루는 연결 컨베이어부 본체(471);
    상기 연결 컨베이어부 본체(471)의 내부에 설치되는 연결 컨베이어 벨트(472);
    상기 연결 컨베이어부 본체(471)의 일측에 설치되며, 상기 연결 컨베이어 벨트(472)를 구동시키는 연결 컨베어어 벨트 구동부(473); 및
    상기 연결 컨베이어 본체의 상부에 설치되며, 상기 연결 컨베이어 벨트(472)를 통해 이송되는 시험관의 이탈을 방지하는 연결 컨베이어부 커버(47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험관 이송 장치.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유닛(500)은
    상기 연결 컨베이어부(470)의 일측에 설치되며, 배출유닛(500)의 외관을 이루는 배출유닛 본체(510);
    상기 배출유닛 본체(510)의 일측에 형성되되, 상기 연결 컨베이어부(470)와 연결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연결 컨베이어부(470)를 통해 이송된 상기 시험관이 유입되는 배출유닛(500) 유입부;
    상기 배출유닛 본체(510)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공급유닛 스캔부(130)를 통해 스캔된 환자의 정보가 일치하는지 다시 스캔하는 배출유닛 스캔부(530);
    상기 배출유닛 본체(510)의 전방측에 설치되며, 상기 스캔부에 의해 스캔된 상기 시험관의 환자 정보가 일치하지 않을 경우 이송되어 수납되는 배출유닛 에러 수납부(530); 및
    상기 배출유닛 본체(510)의 일측에 설치되며, 상기 스캔부에 의해 스캔된 상기시험관의 환자 정보가 일치하는 경우 이송되어 배출시키는 배출유닛 배출부(5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험관 이송 장치.
KR1020170056181A 2017-05-02 2017-05-02 컨베이어 유닛 및 이를 이용한 시험관 이송 장치 KR1019487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6181A KR101948735B1 (ko) 2017-05-02 2017-05-02 컨베이어 유닛 및 이를 이용한 시험관 이송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6181A KR101948735B1 (ko) 2017-05-02 2017-05-02 컨베이어 유닛 및 이를 이용한 시험관 이송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22500A true KR20180122500A (ko) 2018-11-13
KR101948735B1 KR101948735B1 (ko) 2019-04-30

Family

ID=643978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56181A KR101948735B1 (ko) 2017-05-02 2017-05-02 컨베이어 유닛 및 이를 이용한 시험관 이송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4873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203625A (zh) * 2019-04-12 2019-09-06 上海泰瑞电子科技有限公司 消音垫生产的传送及收纳机构
KR20210054872A (ko) * 2019-11-06 2021-05-14 비에스메디칼 주식회사 진공채혈관 선별공급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79651B1 (ko) * 2021-04-22 2022-03-29 (주)에이티솔루션즈 채혈관 자동 공급 시스템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74289A (ja) * 2004-03-24 2005-10-06 Ids:Kk 血液検体搬送分析システム
KR20080026514A (ko) * 2006-09-20 2008-03-25 가부시키가이샤 아이디에스 검체 전처리 및 반송 장치
KR20120031607A (ko) * 2010-09-27 2012-04-04 에너지움 주식회사 모노레일형 물품 이송장치
JP2016534330A (ja) * 2013-10-23 2016-11-04 インペコ ホールディング リミテッドInpeco Holding Ltd. 異なる高さに設置された実験室自動システム間で生体物質試料を移送する装置
US20170101272A1 (en) * 2015-10-07 2017-04-13 Roche Diagnostics Operations, Inc. Laboratory distribution system for conveying test tube holders
JP6193126B2 (ja) * 2011-12-28 2017-09-06 株式会社日立ハイテクノロジーズ 試験管搬送用ホルダー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74289A (ja) * 2004-03-24 2005-10-06 Ids:Kk 血液検体搬送分析システム
KR20080026514A (ko) * 2006-09-20 2008-03-25 가부시키가이샤 아이디에스 검체 전처리 및 반송 장치
KR20120031607A (ko) * 2010-09-27 2012-04-04 에너지움 주식회사 모노레일형 물품 이송장치
JP6193126B2 (ja) * 2011-12-28 2017-09-06 株式会社日立ハイテクノロジーズ 試験管搬送用ホルダー
JP2016534330A (ja) * 2013-10-23 2016-11-04 インペコ ホールディング リミテッドInpeco Holding Ltd. 異なる高さに設置された実験室自動システム間で生体物質試料を移送する装置
US20170101272A1 (en) * 2015-10-07 2017-04-13 Roche Diagnostics Operations, Inc. Laboratory distribution system for conveying test tube holders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203625A (zh) * 2019-04-12 2019-09-06 上海泰瑞电子科技有限公司 消音垫生产的传送及收纳机构
CN110203625B (zh) * 2019-04-12 2024-02-20 上海泰瑞电子科技有限公司 消音垫生产的传送及收纳机构
KR20210054872A (ko) * 2019-11-06 2021-05-14 비에스메디칼 주식회사 진공채혈관 선별공급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48735B1 (ko) 2019-04-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48735B1 (ko) 컨베이어 유닛 및 이를 이용한 시험관 이송 장치
JP5439107B2 (ja) ラック回収ユニット
US9110043B2 (en) Cuvette supplying device and specimen analyzer
US10001498B2 (en) Sample sorting apparatus, sample processing system, and sample sorting method
JP4910341B2 (ja) 錠剤充填装置
US7314596B2 (en) Apparatus for sensing coagulation of blood sample
EP2299281B1 (en) Rack collecting unit and sample processing apparatus
JP2007309675A (ja) サンプルラック供給回収装置
EP3746798B1 (en) Sample receiving system
JP5781316B2 (ja) ピペットチップ供給装置
JP5342389B2 (ja) 検体処理装置及び検体の搬送装置
KR20110112085A (ko) 약품보관 및 약품 인출입 자동화 관리시스템
KR20180054320A (ko) 사용 주사기 처리 장치
EP0819470A1 (en) Automatic bar code label applying apparatus for test tubes
JP2010085270A (ja) 検体容器供給装置
JP2004061136A (ja) 検体移載装置
JP2014149162A (ja) 搬送装置、検体移し替え装置、検体移し替えシステムおよび検体移し替え方法
JP7384663B2 (ja) 検体容器の取出装置および搬送システム
CN109765393A (zh) 耗材盒定位落料机构及化学发光检测仪
JP7373396B2 (ja) 検体容器下降装置
JP2013140060A (ja) バケット式チューブディスペンサー
KR102347220B1 (ko) 채혈관용 라벨 부착장치
CN218272343U (zh) 阅片仪
JP2004061137A (ja) 検体移載装置
KR102012177B1 (ko) 티켓묶음 자동 적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