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79651B1 - 채혈관 자동 공급 시스템 - Google Patents

채혈관 자동 공급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79651B1
KR102379651B1 KR1020210052586A KR20210052586A KR102379651B1 KR 102379651 B1 KR102379651 B1 KR 102379651B1 KR 1020210052586 A KR1020210052586 A KR 1020210052586A KR 20210052586 A KR20210052586 A KR 20210052586A KR 102379651 B1 KR102379651 B1 KR 1023796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od collection
collection tube
unit
transfer
vess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525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정현
Original Assignee
(주)에이티솔루션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이티솔루션즈 filed Critical (주)에이티솔루션즈
Priority to KR10202100525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7965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796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796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3/00Control devices, e.g. for safety, warning or fault-correcting
    • B65G43/08Control devices operated by article or material being fed, conveyed or discharg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CLABELLING OR TAGGING MACHINES, APPARATUS, OR PROCESSES
    • B65C3/00Labelling other than flat surfaces
    • B65C3/06Affixing labels to short rigid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5/00Conveyors having endless load-conveying surfaces, i.e. belts and like continuous members, to which tractive effort is transmitted by means other than endless driving elements of similar configuration
    • B65G15/30Belts or like endless load-carriers
    • B65G15/32Belts or like endless load-carriers made of rubber or plastics
    • B65G15/42Belts or like endless load-carriers made of rubber or plastics having ribs, ridges, or other surface projections
    • B65G15/44Belts or like endless load-carriers made of rubber or plastics having ribs, ridges, or other surface projections for impelling the loa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1/00Supporting or protective framework or housings for endless load-carriers or traction elements of belt or chain conveyors
    • B65G21/20Means incorporated in, or attached to, framework or housings for guiding load-carriers, traction elements or loads supported on moving surfaces
    • B65G21/2045Mechanical means for guiding or retaining the load on the load-carrying surface
    • B65G21/2063Mechanical means for guiding or retaining the load on the load-carrying surface comprising elements not movable in the direction of load-transport
    • B65G21/2072Laterial guidance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37/00Combinations of mechanical conveyors of the same kind, or of different kinds, of interest apart from their application in particular machines or use in particular manufacturing proc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34Devices for discharging articles or materials from conveyor 
    • B65G47/46Devices for discharging articles or materials from conveyor  and distributing, e.g. automatically, to desired poi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35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7/00Indexing codes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configuration and additional features of a handling device, e.g. Conveyors
    • B65G2207/18Crossing convey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atic Analysis And Handling Material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채혈관 자동 공급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채혈관 자동 공급 시스템에 있어서, 사용자로부터 개인정보를 입력받는 입력부; 상기 입력부에 입력된 개인정보를 채혈관에 라벨링하는 라벨부; 상기 라벨부로부터 상기 채혈관을 전달받아 라벨링된 정보에 따라 분류하는 분류부; 및 상기 분류부로부터 상기 채혈관을 전달받아 작업공간의 바닥을 통해 해당 공급처로 상기 채혈관을 이송시키는 이송부;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으로, 입력부를 통해 개인정보를 입력받아 라벨부를 통해 채혈관에 개인정보를 라벨링하고, 이송부를 통해 라벨링된 채혈관을 작업공간의 바닥을 통해 해당 공급처로 이송시킴으로써, 채혈관을 작업공간의 바닥을 통해 해당 공급처로 이송시킴에 따라 채혈관을 신속하게 이송시킬 수 있는 것은 물론, 공간활용이 우수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채혈관 자동 공급 시스템{SYSTEM FOR AUTOMATIC SUPPLYING OF TEST TUBES}
본 발명은 채혈관 자동 공급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신속하고 정확한 채혈검사를 진행하기 위해 사용되는 채혈관 자동 공급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현재, 병원업무는 통합관리시스템이 구축되어 접수, 수납, 진료 등의 업무를 일괄 처리되고 있다. 또한, 통신기술의 발달로 응급 상황이 아닌 경우에는 인터넷을 통한 예약을 수행하여 대기 시간을 최소화 하면서 신속한 의료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게 되었다. 그리고 병원 내부에서는 멀티미디어 단말기를 이용하여 대기환자에 대한 안내를 수행함으로써, 환자의 대기 시간을 단축시키고 있다.
이외 에도, 통신기술, 데이터 전송 기술, 영상의료 기술, 디스플레이 장치 기술 등의 급속한 발달에 의해 원격진료, 원격건강검진, 의료기관 업무 통합 등이 이루어져, 의료서비스의 질이 현저히 향상되었다.
이러한 종래기술의 예로는 한국공개특허공보 제2001-78969호의 "실시간 예약정보 조회 방법 및 그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한국공개특허공보 제2003-9755호의 "병원 업무 관리 시스템", 한국공개특허공보 제 2005-70620호의 "멀티미디어 단말기를 이용한 대기환자 안내시스템 및 그 방법", 한국공개특허공보 제2009-128964호의 "인터넷 통신망을 활용한 원격 건강검진 프랜차이즈 서비스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그러나 의료서비스에 대한 통합관리시스템이 구축된 상황에서도, 채혈관련 의료서비스의 경우에는 환자의 불편함이 크게 해소되지 못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3차 진료를 수행하는 종합 병원 등의 대형 병원의 경우, 외래 채혈실에 오는 환자들이 채혈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먼저, 채혈실로 들어와서 번호대기표를 뽑고 대기한다. 이 후 번호대기표의 순번이 도래하면, 병원직원이 병원 운영프로그램에 환자 인적사항(병원 등록번호 또는 주민등록번호)을 입력한 뒤에 채혈 번호표를 발급한다. 이 경우, 채혈 환자가 많은 경우에는 채혈 번호표를 발급 받은 후에도 장시간을 대기하여야 채혈을 할 수 있다.
즉, 종래에는 대형 병원에서 채혈 검사를 받고자 하는 경우, 상술한 바와 같이, 환자가 대기표와 채혈번호표를 두 장 받아 채혈을 진행하게 되므로, 두 번을 대기해야 하는 불편함을 겪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오전 시간 (09:00~12:00)에는 채혈 환자가 많아 환자로부터 강한 불만 사항이 접수되는 일이 빈번하였다. 따라서 채혈실 내부 임상병리사들과 환자들 모두 심한 스트레스 속에서 채혈을 진행하는 경우가 다반사이다.
또한, 종래에는 채혈을 수행하는 경우, 환자가 받은 채혈 진료 오더 용지를 직원이 확인한 후 검체용기를 선택하고, 환자의 이름을 적거나, 바코드를 부착한 후 채혈된 혈액을 보관하게 되는데, 이와 같이 수작업에 의한 검체용기의 선택 및 식별정보 기입 작업은 직원의 피곤의 누적 등에 의해 오기 또는 환자 사이의 검체용기의 바뀜현상 등이 일어나 의료 사고가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 또한 있었다.
대한민국특허청 등록번호 제10-1500331호 대한민국특허청 공개번호 제10-2020-0113445호 대한민국특허청 공개번호 제10-2014-0071281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환자의 채혈검사 접수를 보다 정확하고 용이하게 접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은 물론, 채혈관의 관리 취급이 용이한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채혈관 자동 공급 시스템은, 채혈관 자동 공급 시스템에 있어서, 사용자로부터 개인정보를 입력받는 입력부; 상기 입력부에 입력된 개인정보를 채혈관에 라벨링하는 라벨부; 상기 라벨부로부터 상기 채혈관을 전달받아 라벨링된 정보에 따라 분류하는 분류부; 및 상기 분류부로부터 상기 채혈관을 전달받아 작업공간의 바닥을 통해 해당 공급처로 상기 채혈관을 이송시키는 이송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이송부는, 상기 분류부로부터 상기 채혈관을 전달받아 이송시키는 제1 이송벨트가 구비되고, 상기 제1 이송벨트의 단부에 직교되도록 배치되어 상기 채혈관을 전달받아 이송시키는 제2 이송벨트가 구비되며, 상기 제2 이송벨트는 상기 제1 이송벨트보다 상기 채혈관을 더 빠르게 이송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이송벨트 및 제2 이송벨트에는 원통 형상의 상기 채혈관을 경사와 상관없이 이송시킬 수 있도록 등간격으로 제1 이송턱 및 제2 이송턱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이송턱 및 제2 이송턱에는 상기 채혈관이 회전되도록 제1 회전롤러 및 제2 회전롤러가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이송벨트 및 제2 이송벨트의 각 양측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상방으로 연장된 제1 가드 및 제2 가드가 형성되고,
상기 제2 가드는 상기 제1 이송벨트와 마주보는 측면이 개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채혈관 자동 공급 시스템에 따르면, 입력부를 통해 개인정보를 입력받아 라벨부를 통해 채혈관에 개인정보를 라벨링하고, 이송부를 통해 라벨링된 채혈관을 작업공간의 바닥을 통해 해당 공급처로 이송시킴으로써, 채혈관을 작업공간의 바닥을 통해 해당 공급처로 이송시킴에 따라 채혈관을 신속하게 이송시킬 수 있는 것은 물론, 공간활용이 우수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채혈관 자동 공급 시스템의 블럭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의 블럭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이송부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이송부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채혈관 자동 공급 시스템의 불럭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의 블럭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이송부의 측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이송부의 평면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채혈관 자동 공급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채혈관 자동 공급 시스템의 블럭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의 블럭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이송부의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이송부의 평면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채혈관 자동 공급 시스템은 작업공간의 바닥을 토해 채혈관을 이송시킴으로써 신속한 이송 및 공간활용이 우수한 특징이 있다.
이러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본 실시예에 따른 채혈관 자동 공급 시스템(100)은, 채혈관 자동 공급 시스템에 있어서, 입력부(110), 라벨부(120), 분류부(130) 및 이송부(140)를 포함한다.
상기 입력부(110)는 사용자로 하여금 개인정보가 입력되는 것으로, PC컴퓨터 등의 사용자 컴퓨터 또는 키오스크 등 안내용 단말기 등으로 구성된다.
상기 라벨부(120)는 상기 입력부(110)로부터 개인정보를 전달받아 개인정보를 상기 채혈관(T)에 라벨링하는 것으로, 채혈관 라벨 부착장치로 구성된다.
상기 분류부(130)는 상기 라벨부(120)로부터 개인정보가 라벨링된 채혈관(T)을 전달받아 분류하는 것으로, 채혈관 분류장치로 구성된다.
상기 이송부(140)는 상기 분류부(130)로부터 상기 채혈관(T)을 전달받아 작업공간의 바닥(10)을 통해 해당 공급처로 상기 채혈관(T)을 이송시킨다.
구체적으로, 상기 이송부(140)는 상기 작업공간의 상기 바닥(10) 내에 형성된 공간부(11)에 설치되고, 상기 바닥(10)에는 일정간격으로 상기 이송부(140)와 마주보는 위치에 유리판(12)이 설치된다.
또한, 상기 이송부(140)는 상기 분류부(130)로부터 상기 채혈관(T)을 전달받아 이송시키는 제1 이송벨트(141)가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제1 이송벨트(141)는 일측이 상기 분류부(130)에 형성된 배출구(131)의 하단에 배치된다.
상기 제1 이송벨트(141)는 제1 구동모터(142)에 의해 작동되는 제1 구동롤러(142a)에 의해 구동된다.
상기 제1 이송벨트(141)의 양측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제1 가드(141a)가 설치된다.
상기 제1 가드(141a)는 상기 제1 이송벨트(141)를 통해 이송되는 상기 채혈관(T)이 경로를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양측에 상방으로 돌출된다.
또한, 상기 제1 이송벨트(141)의 타단에는 상기 제1 이송벨트(141)에 의해 이송되는 상기 채혈관(T)이 경사에 의해 안내되도록 형성된 안내가이드(143)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제1 이송벨트(141)의 타단에는 상기 제1 이송벨트(141)와 직교되도록 배치된 제2 이송벨트(144)가 구비된다.
상기 제2 이송벨트(144)는 상기 안내가이드(143)의 단부에 밀착되어, 상기 제1 이송벨트(141)로부터 이송되는 상기 채혈관(T)이 상기 안내가이드(143)의 경사를 통해 상기 제2 이송벨트(144)로 안내된다.
또한, 상기 제2 이송벨트(144)는 상기 제2 구동모터(145)에 의해 작동되는 제2 구동롤러(145a)에 의해 구동된다.
여기서, 상기 제2 이송벨트(144)의 양측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제2 가드(144a)가 설치된다.
상기 제2 가드(144a)는 상기 제2 이송벨트(144)를 통해 이송되는 상기 채혈관(T)이 경로를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양측에 상방으로 돌출된다.
이때, 상기 제2 가드(144a)에는 상기 안내가이드(143)와 마주보는 위치에 개구(144b)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2 이송벨트(144)의 외주면에는 등간격을 따라 제2 이송턱(144c)이 돌출된다.
여기서, 상기 제2 이송턱(144c)은 원통 형상으로 형성된 상기 채혈관(T)이 상기 제2 이송벨트(144)에 의해 이송 시 회전되며 유동되는 것을 방지한다.
특히, 상기 제2 이송턱(144c)은 상기 제2 이송벨트(144)의 경사 발생 시 상기 채혈관(T)이 유동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에 따라, 상기 이송부(140)를 통해 상기 채혈관(T)을 해당 공급처까지 이송시킬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채혈관 자동 공급 시스템의 불럭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의 블럭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이송부의 측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이송부의 평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채혈관 자동 공급 시스템(200)은, 채혈관 자동 공급 시스템에 있어서, 입력부(210), 라벨부(220), 분류부(230) 및 이송부(240)를 포함한다.
상기 입력부(210)는 사용자로 하여금 개인정보가 입력되는 것으로, PC컴퓨터 등의 사용자 컴퓨터 또는 키오스크 등 안내용 단말기 등으로 구성된다.
상기 라벨부(220)는 상기 입력부(210)로부터 개인정보를 전달받아 개인정보를 상기 채혈관(T)에 라벨링하는 것으로, 채혈관 라벨 부착장치로 구성된다.
상기 분류부(230)는 상기 라벨부(220)로부터 개인정보가 라벨링된 채혈관(T)을 전달받아 분류하는 것으로, 채혈관 분류장치로 구성된다.
상기 이송부(240)는 상기 분류부(230)로부터 상기 채혈관(T)을 전달받아 작업공간의 바닥(10)을 통해 해당 공급처로 상기 채혈관(T)을 이송시킨다.
구체적으로, 상기 이송부(240)는 상기 작업공간의 상기 바닥(10) 내에 형성된 공간부(11)에 설치되고, 상기 바닥(10)에는 일정간격으로 상기 이송부(240)와 마주보는 위치에 유리판(12)이 설치된다.
또한, 상기 이송부(240)는 상기 분류부(230)로부터 상기 채혈관(T)을 전달받아 이송시키는 제1 이송벨트(241)가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제1 이송벨트(241)는 일측이 상기 분류부(230)에 형성된 배출구(231)의 하단에 배치된다.
상기 제1 이송벨트(241)는 제1 구동모터(242)에 의해 작동되는 제1 구동롤러(242a)에 의해 구동된다.
상기 제1 이송벨트(241)의 양측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제1 가드(241a)가 설치된다.
상기 제1 가드(241a)는 상기 제1 이송벨트(241)를 통해 이송되는 상기 채혈관(T)이 경로를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양측에 상방으로 돌출된다.
또한, 상기 제1 이송벨트(241)의 타단에는 상기 제1 이송벨트(241)에 의해 이송되는 상기 채혈관(T)이 경사에 의해 안내되도록 형성된 안내가이드(243)가 구비된다.
나아가, 상기 제1 이송벨트(241)의 외주면에는 등간격을 따라 제1 이송턱(241b)이 돌출된다.
여기서, 상기 제1 이송턱(241b)은 원통 형상으로 형성된 상기 채혈관(T)이 상기 제1 이송벨트(241)에 의해 이송 시 회전되며 유동되는 것을 방지한다.
특히, 상기 제1 이송턱(241b)은 상기 제1 이송벨트(241)의 경사 발생 시 상기 채혈관(T)이 유동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상기 제1 이송턱(241b)에는 양측이 외측으로 노출되도록 결합되고, 제1 회전모터(246)에 의해 회전되는 제1 회전롤러(246a)가 구비된다.
상기 제1 회전롤러(246a)는 상기 채혈관(T)에 채혈된 혈액이 응고되는 것을 방지 하기 위해 상기 제1 이송턱(241b)에 인접한 상기 채혈관(T)을 회전시킨다.
그리고, 상기 제1 이송벨트(241)의 타단에는 상기 제1 이송벨트(241)와 직교되도록 배치된 제2 이송벨트(244)가 구비된다.
상기 제2 이송벨트(244)는 상기 안내가이드(243)의 단부에 밀착되어, 상기 제1 이송벨트(241)로부터 이송되는 상기 채혈관(T)이 상기 안내가이드(243)의 경사를 통해 상기 제2 이송벨트(244)로 안내된다.
또한, 상기 제2 이송벨트(244)는 상기 제2 구동모터(245)에 의해 작동되는 제2 구동롤러(245a)에 의해 구동된다.
여기서, 상기 제2 이송벨트(244)의 양측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제2 가드(244a)가 설치된다.
상기 제2 가드(244a)는 상기 제2 이송벨트(244)를 통해 이송되는 상기 채혈관(T)이 경로를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양측에 상방으로 돌출된다.
이때, 상기 제2 가드(244a)에는 상기 안내가이드(243)와 마주보는 위치에 개구(244b)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2 이송벨트(244)의 외주면에는 등간격을 따라 제2 이송턱(244c)이 돌출된다.
여기서, 상기 제2 이송턱(244c)은 원통 형상으로 형성된 상기 채혈관(T)이 상기 제2 이송벨트(244)에 의해 이송 시 회전되며 유동되는 것을 방지한다.
특히, 상기 제2 이송턱(244c)은 상기 제2 이송벨트(244)의 경사 발생 시 상기 채혈관(T)이 유동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상기 제2 이송턱(244c)에는 양측이 외측으로 노출되도록 결합되고, 제2 회전모터(247)에 의해 회전되는 제2 회전롤러(247a)가 구비된다.
상기 제2 회전롤러(247a)는 상기 채혈관(T)에 채혈된 혈액이 응고되는 것을 방지 하기 위해 상기 제2 이송턱(244c)에 인접한 상기 채혈관(T)을 회전시킨다.
또한, 상기 제1 구동모터(242) 및 제2 구동모터(245)는 제어부(250) 및 변속기(251)에 의해 속도 조절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어부(250)는 상기 변속기(251)를 통해 상기 제2 구동모터(245)가 상기 제1 구동모터(242)보다 빠르게 작동되도록 제어한다.
이에 따라, 상기 제2 이송벨트(244)가 상기 제1 이송벨트(241)보다 빠르게 구동되어, 상기 제1 이송벨트(241)로부터 이송되는 상기 채혈관(T)이 체증되는 것을 방지한다.
한편, 상기 분류부(230)는 상기 배출구(231)를 통해 상기 채혈관(T) 배출 시, 상기 채혈관(T)이 공병일 경우 공병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채혈관(T) 내에 혈액이 수용된 경우 회전신호를 생성한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250)는 상기 분류부(230)로부터 공병신호나 회전신호를 수신받아 공병신호 수신 시 상기 제1 회전모터(246) 및 제2 회전모터(247)의 작동을 정지시키고, 회전신호 수신 시 상기 제1 회전모터(246) 및 제2 회전모터(247)를 작동시킨다.
이에 따라, 상기 이송부(240)는 상기 분류부(230)로부터 전달되는 상기 채혈관(T)의 혈액 유무에 따라 상기 제1 회전모터(246) 및 제2 회전모터(247)를 통해 상기 체혈관(10)을 회전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채혈관 자동 공급 시스템에 따르면, 입력부를 통해 개인정보를 입력받아 라벨부를 통해 채혈관에 개인정보를 라벨링하고, 이송부를 통해 라벨링된 채혈관을 작업공간의 바닥을 통해 해당 공급처로 이송시킴으로써, 채혈관을 작업공간의 바닥을 통해 해당 공급처로 이송시킴에 따라 채혈관을 신속하게 이송시킬 수 있는 것은 물론, 공간활용이 우수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바닥 11: 공간부
12: 유리판 100: 시스템
110: 입력부 120: 라벨부
130: 분류부 131: 배출구
140: 이송부 141: 제1 이송벨트
141a: 제1 가드 142: 제1 구동모터
142a: 제1 구동롤러 143: 안내가이드
144: 제2 이송벨트 144a: 제2 가드
144b: 개구 144c: 제2 이송턱
145: 제2 구동모터 145a: 제2 구동롤러

Claims (5)

  1. 채혈관 자동 공급 시스템에 있어서,
    사용자로부터 개인정보를 입력받는 입력부;
    상기 입력부에 입력된 개인정보를 채혈관에 라벨링하는 라벨부;
    상기 라벨부로부터 상기 채혈관을 전달받아 라벨링된 정보에 따라 분류하는 분류부; 및
    상기 분류부로부터 상기 채혈관을 전달받아 작업공간의 바닥을 통해 해당 공급처로 상기 채혈관을 이송시키는 이송부;를 포함하고,
    상기 이송부는,
    상기 분류부로부터 상기 채혈관을 전달받아 이송시키는 제1 이송벨트가 구비되며,
    상기 제1 이송벨트의 단부에 직교되도록 배치되어 상기 채혈관을 전달받아 이송시키는 제2 이송벨트가 구비되고,
    상기 제2 이송벨트는 상기 제1 이송벨트보다 상기 채혈관을 더 빠르게 이송시키며,
    상기 제1 이송벨트 및 제2 이송벨트에는 원통 형상의 상기 채혈관을 경사와 상관없이 이송시킬 수 있도록 등간격으로 제1 이송턱 및 제2 이송턱이 형성되고,
    상기 제1 이송턱 및 제2 이송턱에는 상기 채혈관이 회전되도록 제1 회전롤러 및 제2 회전롤러가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혈관 자동 공급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이송벨트 및 제2 이송벨트의 각 양측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상방으로 연장된 제1 가드 및 제2 가드가 형성되고,
    상기 제2 가드는 상기 제1 이송벨트와 마주보는 측면이 개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혈관 자동 공급 시스템.
KR1020210052586A 2021-04-22 2021-04-22 채혈관 자동 공급 시스템 KR1023796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2586A KR102379651B1 (ko) 2021-04-22 2021-04-22 채혈관 자동 공급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2586A KR102379651B1 (ko) 2021-04-22 2021-04-22 채혈관 자동 공급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79651B1 true KR102379651B1 (ko) 2022-03-29

Family

ID=809973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2586A KR102379651B1 (ko) 2021-04-22 2021-04-22 채혈관 자동 공급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79651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59339A (ja) * 1996-08-21 1998-03-03 Techno Medica:Kk 試験管用ラベル自動貼付装置及び試験管用ラベル自動貼付装置を用いた試験管準備システム
KR20140071281A (ko) 2011-05-18 2014-06-11 테크노 메디카 캄파니 리미티드 채혈관 자동 준비 시스템
KR101500331B1 (ko) 2014-07-03 2015-03-10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채혈실 자동접수 및 검체 관리시스템 및 그 방법
JP2018132315A (ja) * 2017-02-13 2018-08-23 小林クリエイト株式会社 試験管準備装置
KR101948735B1 (ko) * 2017-05-02 2019-04-30 에너지움 주식회사 컨베이어 유닛 및 이를 이용한 시험관 이송 장치
KR20200113445A (ko) 2019-03-25 2020-10-07 주식회사 와이즈메디텍 수직방향 채혈관 공급 처리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59339A (ja) * 1996-08-21 1998-03-03 Techno Medica:Kk 試験管用ラベル自動貼付装置及び試験管用ラベル自動貼付装置を用いた試験管準備システム
KR20140071281A (ko) 2011-05-18 2014-06-11 테크노 메디카 캄파니 리미티드 채혈관 자동 준비 시스템
KR101500331B1 (ko) 2014-07-03 2015-03-10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채혈실 자동접수 및 검체 관리시스템 및 그 방법
JP2018132315A (ja) * 2017-02-13 2018-08-23 小林クリエイト株式会社 試験管準備装置
KR101948735B1 (ko) * 2017-05-02 2019-04-30 에너지움 주식회사 컨베이어 유닛 및 이를 이용한 시험관 이송 장치
KR20200113445A (ko) 2019-03-25 2020-10-07 주식회사 와이즈메디텍 수직방향 채혈관 공급 처리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470177B (zh) 一种用于采血管的处理系统
EP2873977B1 (en) Double-decker tube dispenser
JP6113193B2 (ja) バーコード読み取り式試験管ホルダ
US10495658B2 (en) Automatic analyzer
JP2009526232A5 (ko)
JPH11304812A (ja) 検体処理システム
JP2008032652A (ja) 自動分析装置
KR102379651B1 (ko) 채혈관 자동 공급 시스템
CN109243043B (zh) 一种智慧医疗系统和方法
CN110993082B (zh) 一种智能采血管理系统及其管理方法
JP6499872B2 (ja) 検体移載装置及び検体搬送システム
CN108732366A (zh) 智能医疗检测系统
JPH02306165A (ja) 容器の移送システム
CN208156785U (zh) 医院自助取药控制系统
CN207606006U (zh) 一种用于采血管的处理系统
JP2002357612A (ja) 検体処理システム
CN108305672A (zh) 智能采血管理系统
CN207217124U (zh) 一种用于采血的控制系统
KR101500331B1 (ko) 채혈실 자동접수 및 검체 관리시스템 및 그 방법
CN107697382A (zh) 一种用于采血的全自动控制方法及控制系统
JP2011169840A (ja) 試料の分析処理におけるデータ出力方法、分析装置、分析システム、前記方法を実施するためのプログラム、およびこのプログラムの記憶媒体
CN116413461A (zh) 兼容性诊断流水线系统
Alsharkh et al. Delivering Excellence: Combined Expertise Of Medical Nurses And Lab Technicians In Healthcare
Alenazi et al. Bringing Excellence: Mutual Proficiency Of Nurses And Para Medical In Healthcare
JP2019211372A (ja) 自動分析装置および試料の搬送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