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54320A - 사용 주사기 처리 장치 - Google Patents

사용 주사기 처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54320A
KR20180054320A KR1020160152136A KR20160152136A KR20180054320A KR 20180054320 A KR20180054320 A KR 20180054320A KR 1020160152136 A KR1020160152136 A KR 1020160152136A KR 20160152136 A KR20160152136 A KR 20160152136A KR 20180054320 A KR20180054320 A KR 201800543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yringe
needle
unit
cutting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521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36943B1 (ko
Inventor
김유화
강찬성
민효준
오광빈
이가연
정재학
최호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뮨
Priority to KR10201601521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36943B1/ko
Publication of KR201800543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543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69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69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5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having means for preventing re-use, or for indicating if defective, used, tampered with or unsteri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5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having means for preventing re-use, or for indicating if defective, used, tampered with or unsterile
    • A61M2005/5006Having means for destroying the syringe barrel, e.g. by cutting or pierc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27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preventing use
    • A61M2205/273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preventing use preventing reuse, e.g. of disposabl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ccommodation For Nursing Or Treatment Tables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주사기 투입시 바늘을 자동으로 분리함과 아울러 몸체를 파쇄하여, 바늘과 몸체를 분리 배출하도록 하고, 필요에 따라 다른 부속장치의 탈부착을 통해 기능의 추가 또는 배제가 가능하도록 하여, 일회용 주사기의 재사용을 방지하면서도 사용자의 편의성 및 장비의 운용성이 향상되도록 하는 사용 주사기 처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사용된 주사기 처리 장치는 케이스에 형성되는 투입구를 통해 삽입되는 바늘이 테이퍼에 결합된 주사기의 상기 테이퍼를 절단하기 위해 한쌍으로 이루어지는 절단날을 구비하는 절단부; 및 상기 절단부에 의해 분리된 바늘을 상기 주사기의 본체와 분리하여 배출하기 위해 회전에 의해 상기 바늘을 배출구로 이송하는 회전체를 구비하는 배출부;를 구비하는 분리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사용 주사기 처리 장치{USED SYRINGES PROCESSING UNIT}
본 발명은 사용 주사기 처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주사기 투입시 바늘을 자동으로 분리함과 아울러 몸체를 파쇄하여, 바늘과 몸체를 분리 배출하도록 하고, 필요에 따라 다른 부속장치의 탈부착을 통해 기능의 추가 또는 배제가 가능하도록 하여, 일회용 주사기의 재사용을 방지하면서도 사용자의 편의성 및 장비의 운용성이 향상되도록 하는 사용 주사기 처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회용 주사기는 1회 사용 후 폐기함으로써 안전하면서도 손쉽게 사용되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일회용 주사기는 소독 불량, 주사기 재사용에 따른 2차 감염, 전염을 방지하는 점에서 매우 유용한 의료도구이며, 유리 또는 금속주사기를 소독하여 재사용하는 것과 비교할 때 비용적으로 저렴한 장점이 있다.
이러한 일회용 주사기는 통상 사용 후 금속으로 이루어진 바늘 부분과 합성수지로 이루어진 몸체를 분리하여 각각 폐기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의료현장에서는 바쁜 업무 상황 또는 주사기와 바늘의 분리 어려움으로 인해 적절한 분리에 의한 폐기가 이루어지지 않는 실정이다.
이러한 문제 중 견고하게 끼워지는 바늘 분리를 용이하게 하기 위한 장치들이 개발되어 있으나, 바늘 분리에 비교적 긴 시간이 소요되고, 주사기의 장치 장착이 불편하여 이용실적이 저조한 실정이다. 이외에도 걸림턱 형태의 바늘 분리 구조가 구비된 기구가 개발되었으나, 사용자의 번거로움으로 인해 이 역시도 사용이 적극적으로 이루어지지 않는 실정이다.
특히, 기존의 장치들은 바늘 분리 또는 절단 기능만을 제공하여, 몸체의 폐기와 처리를 위해서는 별도의 장비를 구성해야 하는 불편함이 발생된다. 특히 이와 같이 별도의 장치를 추가적으로 구비하는 경우 장비 구비에 따른 구매 및 유지 비용 증가와 실제 사용시 휴대성의 저하로 인한 불편함이 수반되어, 부적절한 폐기를 유발하는 이유가 되고 있다.
공개실용신안 20-2008-0001377호(공개일 2008.05. 27)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주사기 투입시 바늘을 자동으로 분리함과 아울러 몸체를 파쇄하여, 바늘과 몸체를 분리 배출하도록 하고, 필요에 따라 다른 부속장치의 탈부착을 통해 기능의 추가 또는 배제가 가능하도록 하여, 일회용 주사기의 재사용을 방지하면서도 사용자의 편의성 및 장비의 운용성이 향상되도록 하는 사용 주사기 처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사용된 주사기 처리 장치는 케이스에 형성되는 투입구를 통해 삽입되는 바늘이 테이퍼에 결합된 주사기의 상기 테이퍼를 절단하기 위해 한 쌍으로 이루어지는 절단날을 구비하는 절단부; 및 상기 절단부에 의해 분리된 바늘을 상기 주사기의 본체와 분리하여 배출하기 위해 회전에 의해 상기 바늘을 배출구로 이송하는 회전체를 구비하는 배출부;를 구비하는 분리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분리부는 상기 절단부와 상기 투입구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투입구를 통해 삽입되는 상기 주사기의 실린더 외부를 한쌍의 그립에 의해 가압하여 고정하는 홀더;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배출부는 상기 회전체가 상기 절단날과 상기 배출구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홀더 또는 상기 절단날은 모터; 상기 모터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는 크랭크; 및 상기 크랭크의 서로 다른 반면에 일단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이 한 쌍의 상기 그립 각각에 결합되거나, 한 쌍의 상기 절단날 각각에 결합되는 한 쌍의 크랭크 암;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주사기 본체는 상기 바늘이 배출되는 배출구와는 다른 제2배출구를 통해 배출되고, 상기 제2배출구와 수거함 사이에는 상기 주사기 본체가 상기 수거함으로 슬라이딩 되도록 안내하는 슬라이더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분리부는 상기 투입구와 연통되고 일측으로 상기 투입구를 확장시키며, 확장된 상기 투입구를 통해 삽입된 상기 주사기를 상기 절단부로 이송하는 이송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분리부에 탈착 또는 부착되도록 구성되는 확장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확장부는 선체가 간격을 가지도록 이격된 코일 또는 스크류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선체의 상기 간격에 안착된 상기 주사기를 상기 회전체에 의해 회전하여 이송하는 이송수단과 상기 주사기의 이송 방향으로 상기 이송수단을 일부를 노출시키고, 상기 주사기의 이송시 상기 주사기 본체를 안내하도록 연장된 투입구가 형성되는 가이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분리부는 상기 슬라이더에 의해 본체 상에 고정되고, 상기 본체는 상기 분리부의 제어를 위한 회로부; 상기 분리부에 동력제공을 위한 전원부; 상기 분리부의 동작을 감지하기 위한 센서부; 및 상기 회로부에 의해 작성된 정보를 별도의 단말장치에 전달하기 위한 통신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통신부는 상기 단말장치와 구분되는 정보태그의 정보를 읽어오거나, 상기 단말장치에 의해 작성된 정보를 상기 정보태그에 기재하기 위한 태그리더를 더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사용 주사기 처리 장치는 주사기 투입시 바늘을 자동으로 분리함과 아울러 몸체를 파쇄하여, 바늘과 몸체를 분리 배출하도록 하고, 필요에 따라 다른 부속장치의 탈부착을 통해 기능의 추가 또는 배제가 가능하도록 하여, 일회용 주사기의 재사용을 방지하면서도 사용자의 편의성 및 장비의 운용성이 향상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사용 주사기 처리 장치의 전면 사시도.
도 2는 제1실시예에 따른 사용 주사기 처리 장치의 후면 사시도.
도 3은 제1실시예에 다른 사용 주사기 처리 장치의 사용 예시도.
도 4는 분리부의 내부 구성에 대한 분해 사시도.
도 5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분리부가 결합된 경우의 예를 도시한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분리부의 구성을 도시한 예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설명하기로 한다. 첨부된 도면들에서 구성에 표기된 도면번호는 다른 도면에서도 동일한 구성을 표기할 때에 가능한 한 동일한 도면번호를 사용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의 기능 또는 공지의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도면에 제시된 어떤 특징들은 설명의 용이함을 위해 확대 또는 축소 또는 단순화된 것이고, 도면 및 그 구성요소들이 반드시 적절한 비율로 도시되어 있지는 않다. 그러나 당업자라면 이러한 상세 사항들을 쉽게 이해할 것이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사용 주사기 처리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사용예시도들로써,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사용 주사기 처리 장치의 전면 사시도, 도 2는 제1실시예에 따른 사용 주사기 처리 장치의 후면 사시도이고, 도 3은 제1실시예에 다른 사용 주사기 처리 장치의 사용 예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사용 주사기 처리 장치는 스마트 단말(5), 정보태그(7) 및 분리장치(1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장치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운반수레(1)에 설치되어 이용될 수 있다.
운반수레(1)는 주사기 처리 장치를 설치하여 이동하며 사용하기 위한 수단으로 이용될 수 있다. 이러한 운반수레(1)는 병원, 약국과 같은 의료시설에서 환자의 처치를 위해 사용되는 일반적인, 플라스틱, 금속으로 제조된 수레일 수 있다. 이러한 운반수레(1)의 상단 일측에는 도시된 바와 같이 분리장치(10)가 탈부착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의료인의 스마트 단말(5)이 거치되어 의료인 스마트 단말(5)을 이용하여 분리장치의 작동정보 및 환자의 치료정보를 확인하여 이용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운반수레(1)에는 분리되어 폐기되어 주사기 본체의 수거를 위한 수거함(30a)이 분리장치(10)에 대응되어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수거함(30a)은 경질 합성수지, 연질합성수지 또는 금속과 같은 재질로 제조되며, 제시된 형태 외에 봉투, 그물망과 같은 다양한 형태로 제조되어 운반수레(1)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하기에서는 수거함(30a)이 도시된 형태와 같이 일측이 개구된 용기형태인 경우의 예를 위주로 설명을 진행하기로 한다.
스마트 단말(5)은 운반수레(1)에 거치되거나, 의료인이 소지하여 사용되며, 분리장치(10)와 근거리 무선 통신, 유선 데이터 통신 방식에 의해 연결되어 분리장치(10)를 통해 전달되는 정보를 수신하여 출력한다. 구체적으로 스마트 단말(5)은 분리장치(10)와 통신채널을 형성하고, 통신채널을 통해 분리장치(10)의 동작정보를 수신하거나, 분리장치(10)를 통해 확인되는 치료정보를 전달받는다. 그리고, 스마트 단말(5)은 동작정보 또는 치료정보를 출력하여 제공한다. 여기서, 동작정보는 분리장치의 동작에 관계된 것으로 분리장치(10)로부터 수집되는 폐기된 주사기의 수량, 주사기의 종류, 절단장치의 누적 사용량 및 교체필요 여부와 같은 정보일 수 있다. 또한, 치료정보는 분리장치(10)가 정보태그(7)와 같은 정보매체로부터 수집된 정보를 전달한 것으로, 정보태그(7)가 할당된 환자의 치료를 위한 정보들로, 환자의 병명, 처방, 상태 및 경과와 같은 정보가 전달된다.
또한, 스마트 단말(5)은 분리장치(10)에서 치료정보와 동작정보의 연계 분석을 통한 정보를 치료정보나 동작정보에 부가하여 전달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치료정보에 기록된 처방에 주사약 처방이 포함되어 있고 이에 대한 용량이 기재되어 있는 경우, 분리장치(10)가 해당 환자의 정보태그(7)가 통신 연결된 상태에서 다음 정보태그(7)가 연결되기 전 또는 연결 해제 후 미리 지정된 시간의 경과전에 폐기되는 주사기 정보를 확인하여 처방에 따른 치료가 이루어졌는지 확인하고 확인결과를 치료정보 또는 동작정보에 부가하여 전달할 수 있으며, 이 전달되는 정보를 출력하여 의료인이 정확한 처치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거나, 처치의 수행여부를 확인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스마트 단말(5)은 의료인이 사용하는 스마트 폰, 스마트 패드, 노트북과 같은 데이터 처리 및 출력이 가능하고, 분리장치와 유무선 데이터 통신에 의해 연결가능한 장치일 수 있다. 또는, 분리장치(10)에 전용으로 설치되어 전용 데이터 버스에 의해 연결된 고정형 장치일 수 있으나, 이로써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스마트 단말(5)은 블루투스, 와이파이와 같은 근거리 무선통신 방식에 의해 분리장치(10)와 통신채널을 형성할 수 있으나, 이로써만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공지의 유무선 데이터 통신을 이용하여 통신을 수행하고,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정보태그(7)는 환자의 치료정보가 저장되며, 저장된 치료정보를 분리장치(10)에 전달하거나, 분리장치(10)에 의해 갱신된 치료정보를 저장한다. 이러한 정보태그(7)는 분리장치(10)와 유무선 통신채널에 의해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특히, 정보태그(7)는 기록된 정보의 유지, 다른 장치와의 혼선을 배제하기 위해 근거리영역통신(NFC : Near Field Communication)과 같은 방식을 이용하여 치료정보를 전달하거나, 갱신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정보태그(7)는 RFID, 지그비와 같은 통신방식에 의해 분리장치(10)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으며, RFID 태그인 경우 분리장치(10)에 태그리더(11)가 포함되어 구성될 수 있다.
분리장치(10)는 사용된 주사기의 바늘을 분리함과 아울러 주사기 본체의 재사용 방지를 위한 폐기처리를 수행하고, 분리된 바늘과 주사기 본체를 분리배출하여 각각의 수거함에 수거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분리장치(10)는 동작의 여부, 폐기한 주사기의 수량 및 종류, 절단장치의 교체 시기 도래 여부, 절단장치의 누적 사용량과 같은 정보를 포함하는 동작정보를 생성하고 이를 스마트 단말(5)에 전달한다. 그리고, 분리장치(10)는 정보태그(7)에 저장된 치료정보를 수신하여 스마트 단말(5)에 전달함과 아울러, 스마트 단말(5)에 의해 갱신되는 치료정보를 정보태그(7)에 기록하거나 전달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분리장치(10)는 스마트 단말(5) 또는 정보태그(7)와의 통신을 위한 유무선 통신수단 예를들어, USB 인터페이스, 와이파이, 블루투스, 지그비, RFID 리더(11)와 같은 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이외에도 공지의 통신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특히, 분리장치(10)가 RFID 리더(11)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경우 정보태그(7)를 거치할 수 있는 형태의 리더(11)가 구성될 수 있으며, 도 2와 같이 정보태그(7)가 RFID 리더(11)의 상단에 거치 및 접촉되어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분리장치(10)는 주사기의 분리 배출을 위한 분리부(40), 분리된 주사기 본체의 배출을 위한 가이드(45) 및 본체부(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체부(20)는 분리장치(10)가 운반수레(1)에 거치되도록 함과 아울러, 내부 공간에 분리장치(10)의 운영을 위한 회로부(미도시)와 전원부(미도시)가 마련된다. 또한, 본체부(20)에는 에는 정보태그(7) 및 스마트단말(5)과의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통신수단이 마련될 수 있다. 이 통신수단은 회로부에 회로형태로 포함될 수 있고, 유선 통신을 이용하는 경우 본체부(20)의 외부에 통신케이블의 연결을 위한 인터페이스가 마련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정보태그(7)가 RFID와 같은 NFC로 구성되는 경우 이를 정보태그(7)의 치료정보를 읽어오기 위한 리더(11)가 본체부(20)의 일부 또는 별도로 마련될 수 있으나, 이로써만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만약 정보태그(7)가 마그네틱 카드와 같은 형태로 구성되는 경우 마그네틱에 기재된 정보를 읽어오고나 갱신하여 기록할 수 있는 카드리더로 구성될 수도 있다.
아울러, 본체부(20)의 내부에는 전원부(미도시)가 마련될 수 있다. 이 전원부는 상시전원과 연결을 위한 케이블과 플러그, 상시전원 변압 및 변환하기 위한 변압기 및 컨버터를 포함할 수도 있으나, 이동성을 보장하기 위해 충전지를 이용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전원부가 충전지를 이용하여 구성되는 경우 전원부에는 충전지의 충방전을 위한 충전회로가 구성될 수 있으며, 충전회로와 외부 전원을 연결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또는 케이블이 본체부(20)의 케이스에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본체부(20)의 외관 형태는 평평한 판형 블럭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일례로 제시된 것일뿐 이로써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본체부(20)가 가이드(45)의 내부에 내장되고, 운반수레(1)에 거치 또는 고정하기 위한 결합부재가 본체부(20)를 대신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분리부(40)는 가이드(45)에 의해 본체부(20)에 결합 및 고정된다. 이 분리부(40)는 투입구(41)를 통해 투입된 주사기의 바늘과 주사기 본체를 분리하고, 분리된 바늘과 주사기 본체를 각각 분리하여 배출한다. 이를 위해 분리부(40)는 하부가 개방되어 가이드(45)와 연통되어, 바늘이 분리된 주사기 본체를 가이드(45)를 통해 배출하고, 바늘은 투입구(41)와 대응되는 면에 형성되는 배출구를 통해 배출하게 된다. 이를 위해 분리부(40)의 하부에는 가이드(45)가 결합되고, 배면에는 분리된 바늘의 수납을 위한 수거함(30b)이 마련된다. 이 분리부(40)의 내부에는 삽입된 주사기의 살균을 위한 자외선 램프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분리부(40)의 케이스 외부에는 동작여부 및 정상동작 여부를 표시하기 위한 유색 광원이 설치될 수 있으나, 이로써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분리부(40)는 주사기의 본체와 바늘을 안정적으로 분기하기 위해 홀더, 절단부 및 배출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이에 대해서는 별도의 도면을 참조하여 하기에서 좀 더 상세히 설명을 하기로 한다.
가이드(45)는 분리부(40)에서 분리된 주사기의 본체가 배출되어 제1수거함(30a)에 수납되도록 안내하는 역할과 함께, 분리부(40)를 본체부(20)와 이격하여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가이드(45)는 내부 배선을 통해 전원부와 분리부(40)를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분리부(40)의 동력원이 가동되도록 함과 아울러, 회로부와 분리부(40)를 연결하여 분리부(40)에 구성되는 센서로부터의 데이터가 본체부(20)에 전달될 수 있게 하는 역할을 한다. 이 가이드(45)는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부(20)로부터 분리부(40)를 일정거리 이격시킴으로써 의료인과 같은 사용자들이 주사기를 투입하기 유리한 높이에 분리부(40)가 위치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구체적으로 가이드(45)는 슬라이더(45a)와 펜스(45b)로 구성될 수 있다. 슬라이더(45a)는 도시된 바와 같이 분리부(40)의 케이스 하단이 개구된 부분과 연결되고, 타단은 본체부(20)에 결합된다. 그리고, 슬라이더(45a)는 양측 가장자리가 중앙부분(47)과 단차지게 형성되어 돌출된 가이드(46)가 형성된다. 즉 가이드(46)가 분리부(40)와 본체부(20)를 잇는 가상의 선과 나란하게 중앙부분(47)보다 돌출되게 형성됨으로써 분리된 주사기 본체가 분리부(40)의 하단을 통과하여 중앙부분(47)을 미끄러지는 형태로 배출이 된다. 그리고, 슬라이더(45a)를 통해 낙하는 주사기 본체는 슬라이더(45a)의 타측 종단에 투입구가 일치되게 배치되는 제1수납함(30a)으로 투하되어 수납된다.
이때, 슬라이더(45a)로부터 주사기 본체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펜스가(45b)가 설치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펜스(45b)는 슬라이더(45a)의 타측 종단에 터널 또는 벽체를 형성하는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고 슬라이더(45a)의 전 부분에 구성될 수도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하단에만 한정적으로 형성된 경우의 예를 위주로 설명을 진행하기로 한다. 이러한 펜스(45b)는 슬라이더(45a)의 중앙부분(46)을 따라 이동하는 주사기 본체가 충격 등에 의해 슬라이더(45a)로 이탈되어 낙하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슬라이더(45a)에 결합된다. 이 슬라이더(45a)는 합성수지, 금속, 종이와 같은 재질을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으며, 판을 회곡하여 형성되고 회곡된 양측 종단이 슬라이더(45a)에 결합되도록 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슬라이더(45a)는 아크릴, 폴리에틸렌, 폴리 카보네이트와 같은 투명 합성수지를 이용하여 시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나, 이로써만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분리부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로써, 도 4는 분리부의 내부 구성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4 및 도 4는 구성의 설명을 위해 개략적으로 표현된 것으로, 이들을 구성하기 위한 세부 구성에서는 설명되지 않은 기계적 구성이 포함될 수 있으며, 생략된 구성이 불필요한 구성은 아니다. 생략된 구성은 당업자라면 공지의 기술을 적용하여 도 4 및 도 4를 통해 용이하게 구성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분리부(40)는 전술한 도 1 내지 도 3을 통해 설명한 바와 같이 전면부에 주사기를 투입하기 위한 투입구(41)가 형성된다. 그리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면에는 분리된 주사바늘을 배출하기 위해 배출구(42)가 형성된다. 주사기는 투입구(41)에 바늘 부분이 먼저 진입되는 형태로 삽입되며, 분리부(40)는 삽입된 주사기의 바늘과 본체가 연결되는 노즐 부분을 절단하여 바늘과 주사기 본체를 분리하게 된다.
이러한 분리부(40)는 케이스(43)의 내부에 주사기의 본체와 바늘을 분리하기 위해 내부에 주사기 본체를 고정하는 홀더(50), 절단부(60), 배출부(70) 및 센서부(8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전기적 연결관계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생략되어 도시되어 있으며, 이는 기계적 작동을 방해하지 않는 형태로 배선될 수 있다.
홀더(50)는 주사기의 진입이 감지되는 경우 동작하여 주사기 본체를 고정하며, 바늘이 분리되는 경우 주사기 본체의 고정을 해제하여 주사기 본체가 배출될 수 있게 한다. 이를 위해 홀더(50)는 그립(51), 크랭크암(52), 크랭크(53) 및 제1모터(54) 및 레일(55)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립(51)은 크랭크암(52) 및 크랭크(53)를 통해 전달되는 제1모터의 회전력에 따라 레일(55)을 이동하여 주사기 본체를 가압하여 고정하거나, 가압을 해제하여 본체의 고정을 해제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그립(51 : 51a, 51b)은 쌍의로 구성되고, 레일(53)을 따라 일방향으로 왕복하도록 결합된다. 여기서, 크립(51)이 레일을 따라 수직으로 이동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와 수직인 방향을 레일(55)이 배치되어 도면에서 좌우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고정하거나 고정을 해제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그립(51)의 일측 종단에는 주사기 본체를 고정하기 위한 접촉부(56)가 형성될 수 있다. 접촉부(56)는 단면형상이 원형인 주사기 본체를 안정적으로 고정하기 위해 그립(51)의 일부분을 만곡된 홈 형태로 가공하여 형성되거나, 가압력을 높이기 위해 연질 접촉면과 같은 별도의 수단이 결합되어 형성될 수 있다. 특히, 이 접촉부(56)에는 접촉센서(92)가 구성되어, 고정된 주사기의 정보를 취득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립(51)의 타측 종단은 도시된 바와 같이 한쌍의 크랭크 암(52 :52a, 52b)가 한쌍의 그립(51a, 51b)에 각각 결합된다. 이를 통해 크랭크(52)가 회전하는 경우 크랭크 암(52)에 의해 그립(51)이 이동하게 되며, 그립(51)의 이동을 레일(55)에 의해 일방향으로 제한함으로써 그립(51)이 레일을 따라 승강 또는 하강하게 된다.
크랭크 암(52)은 도시된 바와 같이 한쌍으로 구성되고 한쌍의 크랭크 암(52) 각각의 일단이 한쌍의 그립(51) 각각의 종단에 결합된다. 그리고 크랭크암(52)의 타단은 크랭크(53)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크랭크(53)에 의해 발생되는 회전력에 의해 그립(51)을 레일(55)을 따라 이동시키게 된다. 이러한 크랭크암(52)의 일단을 도시된 바와 같이 회곡된 형태로 마주보게 배치될 수 있으나, 그립(51)과의 결합위치 또는 크랭크(53)의 직경과 크랭크(53)와의 결합위치에 따라 회곡되지 않은 형태로 이용될 수도 있다.
크랭크 암(52)의 타단은 도시된 바와 같이 크랭크(53)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특히, 크랭크 암(52) 각각의 종단은 크랭크(53)의 중심을 사이에 두고 서로 다른 반원에 결합된다. 크랭크 암(52)이 크랭크(53)의 중심을 지나는 가상의 지름선의 양측(중심을 사이에 두고)에 배치됨으로서 회전에 의해 한쪽 크랭크암(52a)이 상승방향으로 이동하면, 다른 크랭크암(52b)이 하강하는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이러한 서로 다른 방향의 이동이 그립(51)에 전달되어 그립(51)이 모아지는 방향 또는 벌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여기서, 크랭크(53)가 원형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반드시 원형일 필요는 없으며 제시된 바에 의해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크랭크(53)는 제1모터(54)에 결합되어 제1모터(54)의 동작에 따라 회전하여 크랭크암(52)을 이동시키게 된다. 이를 위해 크랭크(53)는 감속기로 구성되는 기어셋(미도시)에 의해 제1모터(54)와 연결될 수 있다.
제1모터(54)는 전원부와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받으며, 회로부의 제어에 따라 정회전 또는 역회전하여 크랭크를 회전시킨다. 이 제1모터(54)는 회전각도, 회전횟수의 제어가 가능한 서보모터일 수 있으나, 이로써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제1모터(54)와 크랭크(53)의 동력전달은 풀리와 벨트에 의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으나, 동력전달 효율과 배치를 통해서 결정해야 하는 것으로 제시된 바에 의해서만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절단부(60)는 홀더(50)에 의해 고정된 주사기의 본체와 바늘을 절단하여 분리하는 역할을 한다. 구체적으로 절단부(60)는 실린더에 해당하는 겉통의 종단에 형성되는 테이퍼(바늘을 끼울 수 있게 겉통에 비해 좁게 형성되는 부분)을 절단하여, 바늘과 주사기 본체를 분리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절단부(60)는 홀더(50)와 배출구 사이에 배치되며, 홀더(50)에 의한 주사기 고정이 확인되면, 회로부의 제어에 의해 동작하여 테이퍼를 절단하게 된다.
이를 위해 절단부(60)는 절단날(61), 절단암(62), 크랭크암(63), 제2크랭크(64) 및 제2모터(65)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절단날(61)은 제2모터(65)로부터 생성되어, 크랭크(64), 크랭크암(63) 및 절단암(62)을 통해 전달되는 힘에 의해 모아지거나 벌어지는 동작을 수행하고, 모아지는 과정에서 테이퍼를 절단하여 바늘과 본체를 분리한다. 이러한 절단날(61)은 한쌍으로 구성되며, 절단암(62)에 끼움결합되거나, 볼트와 같은 체결수단에 의해 탈부착이 가능한 형태로 결합된다. 특히, 절단날(61)은 적은 힘으로도 테이퍼를 자를 수 있도록 날일 만곡된 타원형으로 형성된다.
절단암(62)은 한쌍의 축(미도시)에 의해 가위 형태로 결합되고, 일단에 절단날(61)이 결합된다. 그리고, 절단암(62)의 축을 사이에 두고 타단에는 각각 크랭크암(63)이 결합된다. 한쌍의 크랭크암(63)은 일단이 절단암(62)의 타단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은 제2크랭크(64)에 결합된다. 이때, 크랭크암(63)은 홀더(50)와 마찬가지로 크랭크의 서로 다른 반면에 결합되어 회전에 의해 서로 다른 방향으로 승강 또는 하강함으로써 한쌍의 크랭크암(63)의 움직임이 대를 이루게 되고 이를 통해 절단암(62)을 벌리거나 모아지게 하는 역할을 한다.
제2크랭크(64)는 제2모터(65)에 의해 회전하여 서로 다른 반면에 결합된 크랭크암(63)을 이동시킨다. 이 제2크랭크(64) 및 제2모터(65)는 홀더(50)에서 설명된 크랭크 및 모터와 동일한 작용효과를 가지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배출부(70)는 절단된 바늘을 배출구(42)를 통해 외부로 배출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배출부(70)는 바늘을 배출하기 위해 회전하는 회전체(71)와 이를 회전시키기 위한 제3모터(7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회전체(71)는 절단되는 바늘을 일시적으로 받치는 역할을 함과 아울러, 제3모터(72)에 의해 배출방향으로 회전하여 바늘을 배출구(42)를 통해 배출하게 된다. 이러한 회전체(71)는 바늘의 낙하점에 배치되며, 단면형상이 원형으로 형성되어 원주 부위에 바늘을 이송시키기 위한 수단이 마련된 원통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이 원통형 회전체(71)가 회전하는 동안 분리된 바늘이 회전체(71)의 외면에 접촉하면 회전력에 의해 회전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며, 이 이동방향에 형성되는 배출구(42)를 통해 배출되어 제2수거함(30b)에 수거된다. 이러한 회전체(71)에서 바늘을 지지 및 배출하는 수단은 브러쉬와 같은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로써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회전력을 전달하고 적절한 마찰력을 제공할 수 있는 재질과 형태이면 어떠한 형태를 이용해도 무방하다.
이러한 회전체(71)는 회전축에 기어 또는 벨트에 의해 연결되는 제3모터(72)에 의해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게 된다. 제3모터(72)는 회로부의 제어에 따라 전원부의 전원을 공급받아 회전하여 회전체(71)를 회전시키게 된다.
센서부(90 : 91, 92)는 회로부가 각 모터(54, 65, 72)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사용정보를 획득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측정을 수행하고 측정데이터를 회로부에 구성되는 제어수단에 전달한다. 구체적으로 센서부(90)는 동작감지센서(91)과 접촉센서(9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동작 감지센서(91)는 케이스 내부 또는 투입구(41) 또는 배출구(42)에 설치되어, 주사기의 투입, 분리된 바늘의 배출을 감지하고 감지결과를 회로부에 전달하게 된다. 그리고, 접촉센서(92)는 홀더(50)의 그립(51)에 설치되어 홀더(50)에 고정되는 주사기의 직경, 주사기의 고정여부를 감지하고 감지결과를 회로부에 전달한다.
회로부에 구성되는 제어수단은 동작감지센서(91)에서 주사기의 투입이 감지되면, 홀더(50)를 구동시키고, 홀더(50)에 설치된 접촉센서(92)의 데이터를 대기한다. 이때 접촉센서(92)로부터 주사기의 고정 여부와 고정된 주사기의 직경을 감지한 정보가 전달되면, 절단부(60)를 구동시켜 테이퍼를 절단함과 아울러, 동작정보에 절단한 주사기의 종류, 절단 횟수, 시간과 같은 정보를 기록하게 된다. 아울러, 회로부의 제어수단은 다른 동작감지센서(91)에 의해 바늘 및 주사기 본체의 배출을 확인하거나, 동작 후 일정시간이 경과하는 경우 홀더(50)에 의한 고정을 해제하여, 주사기 본체가 배출될 수 있게 함과 아울러, 분리부(40)의 동작을 중지시키게 된다.
도 5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분리부가 결합된 경우의 예를 도시한 예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분리부의 구성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분리부는 확장이 가능한 형태로 구성된다. 이를 통해 분리부는 복수의 주사기를 실장하고, 실장된 순서대로 순차적으로 분리하여 배출할 수 있게 된다.
이 확장분리부(110)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실시예에 기재된 분리부(40)의 일측면에 결합되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특히, 제1실시예의 분리부(40)에 구성되는 배출부(70)의 회전체(71)가 회전하는 축의 연장방향과 나란한 방향에서 결합되어 확장될 수 있다.
이 확장분리부(110)는 결합된 상태에서 주사기의 투입구(113)가 축의 연장방향과 나란하게 길게 형성되며, 투입구(113)의 어디에든 주사기를 투입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이 투입구(113)는 절단부(60)의 위치로 주사기를 이동하는 과정에서 주사기의 이탈을 방지하는 레일 또는 가이드의 역할을 한다. 여기서, 투입구(113)의 종단을 다른 부분보다 넓게 형성하여, 넓은 부분으로 주사기를 투입하고, 넓은 부분에 투입된 주사기가 이송수단(119)의 회전에 따라 이송수단(119)의 선체 사이에 삽입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확장분리부(110)의 내측에는 주사기를 절단부(60) 방향으로 이송하기 위한 이송수단(119)과 이송수단(119)의 거치 및 주사기의 이동시 레일 또는 가이드의 역할을 하기 위한 가이드재(115)가 구성된다.
이송수단(119)은 회전체(71)와 연결되어 회전체(71)의 회전에 따라 회전한다. 이 이송수단(119)은 도시된 바와 같이 코일 또는 스크류 형상으로 형성되고, 코일을 이루는 선체 또는 스크류의 날이 일정간격으로 이격되도록 구성되며, 이 선체 또는 스크류 날의 사이에 삽입된 주사기를 회전에 의해 가이드 부재(115)를 따라 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가이드 부재의 일단은 회전체(71)의 연결부에 형성되는 단면형태와 쌍을 이루는 형태로 형성된다. 여기서, 이 연결부는 이송수단(119)와 회전체(71)를 결합시키기 위한 결합수단이 구성될 수 있으나, 이로써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좀 더 구체적으로 회전체(71)의 연결부를 코일의 형태와 동일하게 형성하여, 이송수단(119)을 자른 일부가 회전체(71)의 측면에 위치하도록 함으로써, 회전체(71)의 회전시 자른 일부의 단면이 이송수단(119)의 단부를 밀도록 함으로써 이송수단(119)을 회전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다만, 이때 이송수단(119)의 단부와 자른 일부의 단면간의 접촉면적을 증가하기 위해 이송수단(119)과 자른 일부가 접촉되는 면의 면적을 넓히기 위한 보조수단을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하기 위해 구체적인 실시 예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구체적인 실시 예와 동일한 구성 및 작용에만 국한되지 않고, 여러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그와 같은 변형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해야 하며,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어야 한다.
1 : 운반수레 5 : 스마트 단말
7 : 정보태그 10 : 분리장치
20 : 본체부 30, 30a, 30b : 수거함
40 : 분리부 41, 113 : 투입구
42 : 배출구 45 : 슬라이더
46 : 가이드 47 : 중앙부분
50 : 홀더 51 : 그립
52 : 크랭크암 53 : 크랭크
54 : 제1모터 60 : 절단부
61 : 절단날 62 : 절단암
63 : 크랭크암 64 : 제2크랭크
65 : 제2모터 70 : 배출부
71 : 회전체 72 : 제3모터
90 : 센서부 91 : 동작감지센서
92 : 접촉감지센서

Claims (8)

  1. 케이스에 형성되는 투입구를 통해 삽입되는 바늘이 테이퍼에 결합된 주사기의 상기 테이퍼를 절단하기 위해 한 쌍으로 이루어지는 절단날을 구비하는 절단부; 및
    상기 절단부에 의해 분리된 바늘을 상기 주사기의 본체와 분리하여 배출하기 위해 회전에 의해 상기 바늘을 배출구로 이송하는 회전체를 구비하는 배출부;를 구비하는 분리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 주사기 처리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부는 상기 절단부와 상기 투입구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투입구를 통해 삽입되는 상기 주사기의 실린더 외부를 한쌍의 그립에 의해 가압하여 고정하는 홀더;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배출부는 상기 회전체가 상기 절단날과 상기 배출구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 주사기 처리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 또는 상기 절단날은
    모터;
    상기 모터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는 크랭크; 및
    상기 크랭크의 서로 다른 반면에 일단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이 한쌍의 상기 그립 각각에 결합되거나, 한 쌍의 상기 절단날 각각에 결합되는 한 쌍의 크랭크 암;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 주사기 처리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주사기 본체는 상기 바늘이 배출되는 배출구와는 다른 제2배출구를 통해 배출되고,
    상기 제2배출구와 수거함 사이에는 상기 주사기 본체가 상기 수거함으로 슬라이딩 되도록 안내하는 슬라이더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 주사기 처리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부는
    상기 투입구와 연통되고 일측으로 상기 투입구를 확장시키며, 확장된 상기 투입구를 통해 삽입된 상기 주사기를 상기 절단부로 이송하는 이송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분리부에 탈착 또는 부착되도록 구성되는 확장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 주사기 처리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확장부는
    선체가 간격을 가지도록 이격된 코일 또는 스크류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선체의 상기 간격에 안착된 상기 주사기를 상기 회전체에 의해 회전하여 이송하는 이송수단과
    상기 주사기의 이송 방향으로 상기 이송수단을 일부를 노출시키고, 상기 주사기의 이송시 상기 주사기 본체를 안내하도록 연장된 투입구가 형성되는 가이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 주사기 처리 장치.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부는 상기 슬라이더에 의해 본체 상에 고정되고,
    상기 본체는
    상기 분리부의 제어를 위한 회로부;
    상기 분리부에 동력제공을 위한 전원부;
    상기 분리부의 동작을 감지하기 위한 센서부; 및
    상기 회로부에 의해 작성된 정보를 별도의 단말장치에 전달하기 위한 통신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 주사기 처리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상기 단말장치와 구분되는 정보태그의 정보를 읽어오거나, 상기 단말장치에 의해 작성된 정보를 상기 정보태그에 기재하기 위한 태그리더를 더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 주사기 처리 장치.
KR1020160152136A 2016-11-15 2016-11-15 사용 주사기 처리 장치 KR1019369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2136A KR101936943B1 (ko) 2016-11-15 2016-11-15 사용 주사기 처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2136A KR101936943B1 (ko) 2016-11-15 2016-11-15 사용 주사기 처리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4320A true KR20180054320A (ko) 2018-05-24
KR101936943B1 KR101936943B1 (ko) 2019-04-09

Family

ID=622967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52136A KR101936943B1 (ko) 2016-11-15 2016-11-15 사용 주사기 처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36943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09428A1 (ko) * 2018-07-03 2020-01-09 주식회사 뮨 주사기 절단 및 분리 배출 장치의 분리판
WO2020141759A1 (ko) * 2018-12-31 2020-07-09 주식회사 뮨 주사기 절단 및 분리 배출 장치
KR20200093421A (ko) * 2019-01-28 2020-08-05 홍기근 자동 주사바늘 분리수거 장치
KR20200093294A (ko) * 2019-01-28 2020-08-05 홍기근 자동 주사바늘 분리수거 장치
KR20220035637A (ko) * 2020-09-14 2022-03-22 정준영 주사기 재사용 방지를 위한 주사기 수거 및 폐기 처리 관리시스템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35911A (en) * 1976-08-23 1977-07-19 Nethercutt Henry W Syringe destroyer with needle disposing cannister
US5287609A (en) * 1993-05-21 1994-02-22 Chang Chin Ming Syringe disposal system
KR20080001377U (ko) 2008-05-07 2008-05-27 이동우 의료폐기물 수거용기
KR101205653B1 (ko) * 2012-02-16 2012-11-27 김영수 주사바늘조립체의 주사바늘 파손장치 및 그 방법
KR101249725B1 (ko) * 2012-09-10 2013-04-03 홍기근 주사바늘분리처리기
KR20150027479A (ko) * 2013-09-04 2015-03-12 홍기근 주사바늘분리처리기
EP3085325A1 (en) * 2015-04-20 2016-10-26 Carebay Europe Ltd. Device for handling medicament delivery devices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35911A (en) * 1976-08-23 1977-07-19 Nethercutt Henry W Syringe destroyer with needle disposing cannister
US5287609A (en) * 1993-05-21 1994-02-22 Chang Chin Ming Syringe disposal system
KR20080001377U (ko) 2008-05-07 2008-05-27 이동우 의료폐기물 수거용기
KR101205653B1 (ko) * 2012-02-16 2012-11-27 김영수 주사바늘조립체의 주사바늘 파손장치 및 그 방법
KR101249725B1 (ko) * 2012-09-10 2013-04-03 홍기근 주사바늘분리처리기
KR20150027479A (ko) * 2013-09-04 2015-03-12 홍기근 주사바늘분리처리기
EP3085325A1 (en) * 2015-04-20 2016-10-26 Carebay Europe Ltd. Device for handling medicament delivery devices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09428A1 (ko) * 2018-07-03 2020-01-09 주식회사 뮨 주사기 절단 및 분리 배출 장치의 분리판
WO2020141759A1 (ko) * 2018-12-31 2020-07-09 주식회사 뮨 주사기 절단 및 분리 배출 장치
KR20200093421A (ko) * 2019-01-28 2020-08-05 홍기근 자동 주사바늘 분리수거 장치
KR20200093294A (ko) * 2019-01-28 2020-08-05 홍기근 자동 주사바늘 분리수거 장치
KR20220035637A (ko) * 2020-09-14 2022-03-22 정준영 주사기 재사용 방지를 위한 주사기 수거 및 폐기 처리 관리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36943B1 (ko) 2019-04-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36943B1 (ko) 사용 주사기 처리 장치
TWI480212B (zh) Collection of blood vessels and blood collection device
CN101080306B (zh) 具有手持式工具机箱的装置
JP6776434B2 (ja) 曲げ加工プレス
CN105708555A (zh) 一种自动吐带的止血带机
KR20140124486A (ko) 시험관용 라벨 자동 부착 장치
WO2013122286A1 (ko) 주사바늘조립체의 주사바늘 파손장치 및 그 방법
JP2020099770A (ja) 薬剤払出装置
US20210150846A1 (en) An apparatus for handling and delivering dose medication pouches
AU2022341176A1 (en) Devices, systems and methods for treating the skin
CN213911666U (zh) 一种智能采血仪
JP4362334B2 (ja) 採血管準備装置
JP5311623B2 (ja) 自動調剤装置及び調剤システム
CN106044168A (zh) 一种静脉针外壳的出料装置
KR101948735B1 (ko) 컨베이어 유닛 및 이를 이용한 시험관 이송 장치
CN205916750U (zh) 一种静脉针外壳的出料装置
JP4484472B2 (ja) 採血管自動準備システム
JP2008120404A (ja) チューブディスペンサー
CN216154226U (zh) 新型迷你智能采血贴标设备
KR20190131752A (ko) 주사기 절단 및 분리 배출 장치
CN114194713B (zh) 安瓿瓶配液装置、系统
CN102049055B (zh) 用于灭菌器的自动供料系统
CN206447323U (zh) 试管准备机
CN213911665U (zh) 一种多血辫自动热合的智能采血仪
JP5412645B2 (ja) 自動調剤装置及び調剤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