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35637A - 주사기 재사용 방지를 위한 주사기 수거 및 폐기 처리 관리시스템 - Google Patents

주사기 재사용 방지를 위한 주사기 수거 및 폐기 처리 관리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35637A
KR20220035637A KR1020200117630A KR20200117630A KR20220035637A KR 20220035637 A KR20220035637 A KR 20220035637A KR 1020200117630 A KR1020200117630 A KR 1020200117630A KR 20200117630 A KR20200117630 A KR 20200117630A KR 20220035637 A KR20220035637 A KR 202200356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yringe
collection box
collection
spac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176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68344B1 (ko
Inventor
정준영
Original Assignee
정준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준영 filed Critical 정준영
Priority to KR10202001176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68344B1/ko
Publication of KR202200356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356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683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83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2Needles; Details of needles pertaining to their connection with syringe or hub; Accessories for bringing the needle into, or holding the needle on, the body; Devices for protection of needles
    • A61M5/3205Apparatus for removing or disposing of used needles or syringes, e.g. containers; Means for protection against accidental injuries from used need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11/00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refu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001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leaning or sterilising syringes or need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5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having means for preventing re-use, or for indicating if defective, used, tampered with or unsterile
    • A61M5/5086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having means for preventing re-use, or for indicating if defective, used, tampered with or unsterile for indicating if defective, used, tampered with or unsteri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14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Accessori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27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preventing use
    • A61M2205/273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preventing use preventing reuse, e.g. of disposab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35Communication
    • A61M2205/3576Communication with non implanted data transmission devices, e.g. using external transmitter or receiv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6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with identification means
    • A61M2205/6063Optical identification system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esthesi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conomics (AREA)
  • Epidemiolog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 Accommodation For Nursing Or Treatment Tables (AREA)
  • Refuse Collection And Transf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단에 주사 바늘이 결합되며, 내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중공의 주사액 수용공간이 마련되는 실린더; 및 상기 실린더 후단 측으로부터 상기 주사액 수용공간에 수밀(水密)상태를 유지하면서 전후 이동될 수 있도록 삽입되는 플런저;를 포함하며, 상기 실린더의 측벽에 제1식별태그가 내장 설치되고, 상기 플런저 후단 누름판에 제2식별태그가 내장 설치되는 주사기의 재사용 방지를 위한 상기 주사기 수거 및 폐기 처리 관리시스템에 있어서, 병원 내 설치되어, 사용 전의 주사기 별 상기 제1식별태그 및 제2식별태그 각각에 기록된 식별코드를 읽어 두 개의 식별코드를 하나의 제1페어링 정보로 생성하는 제1리더기; 상기 제1리더기를 통해 생성된 주사기 별 제1페어링 정보가 수신되며, 수신된 제1페어링 정보를 기반으로 사용 전 상태의 주사기 내역이 기록된 제1주사기 관리 정보를 생성하여 내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관리서버; 및 상기 병원 내 설치되어, 상기 주시기 중 사용이 완료된 주사기가 투입되며, 사용 완료 후 투입되는 주사기 중 상기 제1식별태그 및 제2식별태그 각각에 기록된 식별코드 모두가 읽어지는 주사기에 한해 내부에 삽입 설치된 수거함으로 이동시키는 주사기 수거장치;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주사기 재사용 방지를 위한 주사기 수거 및 폐기 처리 관리시스템 {MANAGEMENT SYSTEM FOR COLLECTION AND DISPOSAL SYRINGES TO PREVENT REUSE}
본 발명은 주사기 재사용 방지를 위해 병원 내에서는 사용 전 상태의 주사기와 사용 후 상태의 주사기 수량 및 내역을 구분하여 관리할 수 있으며, 사용이 완료된 주사기를 별도의 수거 장치 내에 모으고, 이와 같이 모아진 사용 완료 상태의 주사기들을 폐기 시설까지 이동시켜 최종 폐기 처리되는 과정에 이르기까지 주사기의 현재 위치 및 처리 상태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며 관리할 수 있는 주사기 수거 및 폐기 처리 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의료용 주사기는 의료 환경 내에서 다양한 병원균이나 바이러스, 혈액 등에 직접적으로 노출되기 때문에 사용 후에는 쉽게 오염이 발생하며, 이를 재사용할 시 2차 감염의 문제가 발생하기 쉽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의료용 주사기는 일회용으로 이용되고 있다.
다만, 이러한 일회용으로 사용되어야 할 의료용 주사기를 재사용 하는 경우가 지속 발생되고 있는데, 이로 인한 주사액 오염 및 집단 감염 확산의 문제가 지속적으로 발생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주사기의 병원 내 입고 시점에서부터 사용 후 수거하여 최종적으로 폐기 시설로 옮겨져 폐기 처리가 완전히 완료되는 시점까지의 주사기의 상태 및 위치 이력을 종합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기술이 지속적으로 요구되고 있다.
또한, 병원 내에서 사용이 완료된 주사기를 수거하는 과정에서부터 원천적으로 수거 후에는 주사기의 재사용 자체가 완전히 불가능하도록 하고, 이와 같이 수거되는 주사기의 상태를 수거 업체의 방문 전까지 안전하게 보관하기 위한 기술의 개발이 필요하다.
이와 관련하여 주사기 재사용 방지를 위해 주사기의 사용 이력을 관리 또는 감독하기 위해 마련된 종래기술에 대한 선행문헌에는 일본 등록특허공보 JP 4977057호의 "의료 유체 및 그 용기에 관하는 정보를 관리하는 시스템 및 방법"(이하, '종래기술'이라고 함)이 있다.
하지만, 종래기술을 비롯한 기존의 주사기 사용 이력을 관리 혹은 감독하는 시스템의 경우, 주사기를 구성하는 부속품의 일부만을 분리하여 재사용할 수 있는 가능성이 여전히 존재할 뿐만 아니라, 병원 내에서 사용 후 안전하게 주사기가 수거되더라도 병원 외 환경으로 수거된 주사기가 이동되는 과정에서 여전히 주사기 재사용을 시도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아울러, 종래기술을 비롯한 기존의 주사기 사용 이력을 관리 혹은 감독하는 시스템의 경우, 사용이 완료된 주사기를 수거하는 용기 혹은 장치가 단순히 내부에 투입되는 사용 완료 상태의 주사기를 밀폐된 공간에 모으는 역할을 수행하는 기능만을 제공할 뿐, 내부에 수거된 주사기에 묻어있던 각종 병원균이나 바이러스, 혈액 등의 오염원이 계속 축적되거나 더욱 심각하게는 넓게 퍼지며 증폭되어 병원 내 환경의 위생문제를 악화시킬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작된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주사기를 구성하는 부속품의 일부만을 분리하여 재사용할 수 있는 가능성을 완전히 배제시키고, 주사기 사용 후의 수거단계에서부터 수거업체에 의한 회수 및 이송단계, 최종적으로 폐기 시설 내에서의 폐기 처리단계에 이르기까지 모든 과정에서 주사기의 현재 처리 상태와 단계상의 위치에 관한 각종 정보를 언제든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여 관리할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하는데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작된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 후 수거되는 주사기 자체 및 주사기 내부에 잔류한 각종 오염원들을 효과적으로 제거하여 수거를 위해 모여지는 사용 완료 상태의 주사기의 누적으로 인한 오염원 증가, 외부로의 오염원 누출, 오염원으로 인한 각종 감염 문제들을 완전히 차단시킬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주사기 재사용 방지를 위한 주사기 수거 및 폐기 처리 관리시스템은, 전단에 주사 바늘이 결합되며, 내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중공의 주사액 수용공간이 마련되는 실린더; 및 상기 실린더 후단 측으로부터 상기 주사액 수용공간에 수밀(水密)상태를 유지하면서 전후 이동될 수 있도록 삽입되는 플런저;를 포함하며, 상기 실린더의 측벽에 제1식별태그가 내장 설치되고, 상기 플런저 후단 누름판에 제2식별태그가 내장 설치되는 주사기의 재사용 방지를 위한 상기 주사기 수거 및 폐기 처리 관리시스템에 있어서, 병원 내 설치되어, 사용 전의 주사기 별 상기 제1식별태그 및 제2식별태그 각각에 기록된 식별코드를 읽어 두 개의 식별코드를 하나의 제1페어링 정보로 생성하는 제1리더기; 상기 제1리더기를 통해 생성된 주사기 별 제1페어링 정보가 수신되며, 수신된 제1페어링 정보를 기반으로 사용 전 상태의 주사기 내역이 기록된 제1주사기 관리 정보를 생성하여 내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관리서버; 및 상기 병원 내 설치되어, 상기 주시기 중 사용이 완료된 주사기가 투입되며, 사용 완료 후 투입되는 주사기 중 상기 제1식별태그 및 제2식별태그 각각에 기록된 식별코드 모두가 읽어지는 주사기에 한해 내부에 삽입 설치된 수거함으로 이동시키는 주사기 수거장치;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주사기 수거장치는, 내부 공간이 상측의 주사기 식별 공간, 중간의 주사기 전처리 공간 및 하측의 수거함 배치 공간으로 구획되어 있으며, 상면 상에는 개방 시 상기 주사기 식별 공간과 외부를 연통시킬 수 있는 투입구가 마련되고, 상기 주사기 식별 공간을 형성하는 가변 프레임이 하강 이동하며 기울어질 시 상기 주사기 식별공간과 상기 주사기 전처리 공간이 연통될 수 있으며, 상기 주사기 전처리 공간과 상기 수거함 배치 공간을 상하로 구획하는 높이 상에 개방 시 상기 주사기 전처리 공간과 상기 수거함 배치 공간을 연통 시킬 수 있는 수거함 이동구가 마련되는 본체; 상기 주사기 식별 공간을 형성하는 프레임 상 상기 주사기 식별 공간에 투입 안착된 상기 주사기의 실린더와 마주하는 측벽 프레임 외측에 설치되어, 상기 제1식별태그에 기록된 제1식별코드를 읽는 제1식별모듈; 상기 주사기 식별 공간을 형성하는 프레임 상 상기 주사기 식별 공간에 투입 안착된 상기 주사기의 주사 바늘 및 플런저와 마주하는 양쪽 측벽 프레임 외측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제2식별태그에 기록된 제2식별코드를 읽는 한 쌍의 제2식별모듈; 및 사용 완료 후 투입되는 상기 주사기가 개방된 상기 투입구를 통해 상기 주사기 식별 공간에 투입되어 상기 제1식별모듈을 통해 제1식별코드가 읽힘과 동시에 상기 제2식별모듈을 통해 제2식별코드 또한 읽힐 경우, 읽어진 제1식별코드 및 제2식별코드를 페어링하여 제2페어링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관리서버에 전송하고, 상기 주사기 식별 공간을 형성하는 가변 프레임을 하강 이동시켜 상기 주사기 전처리 공간으로 식별이 완료된 주사기가 이동될 수 있도록 하는 제어모듈;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본체는, 작동상태에 따라 상기 투입구의 개폐를 조절할 수 있는 투입구 개폐부; 상기 주사기 식별 공간을 형성하는 프레임 상 바닥면을 포함하는 상기 가변 프레임 일측에 연결되어 작동상태에 따라 상기 가변 프레임을 상하로 기울여 상기 주사기 식별공간에 투입된 상기 주사기의 상기 주사기 전처리 공간으로의 이동 여부를 조절할 수 있는 프레임 가변부; 및 상기 주사기 전처리 공간상에 경사면을 형성하는 프레임 구조로서, 경사면의 하단부가 상기 수거함 이동구를 향하고, 경사면의 상단부가 상기 프레임 가변부의 작동에 의해 상기 가변 프레임이 최하단의 위치로 기울어졌을 경우의 상기 가변 프레임 최하단부와 접해 경사면의 상호 연결이 이루어질 수 있는 이동 경사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제1식별모듈 및 제2식별모듈을 통해 읽어진 제1식별코드와 제2식별코드를 페이링하여 제2페어링 정보를 생성하는 페어링 정보 생성부; 상기 관리서버와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상기 페어링 정보 생성부를 통해 생성된 제2페어링 정보를 상기 관리서버에 전송하는 통신부; 및 상기 투입구 개폐부 및 프레임 가변부의 작동상태를 제어하는 동작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통신부로부터 수신되는 제2페어링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제1주사기 관리 정보를 갱신하고, 사용이 완료된 상태의 주사기 내역이 기록된 제2주사기 관리 정보를 생성하여 내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다.
여기서, 상기 가변 프레임은 상기 프레임 가변부의 작동에 의해 상기 가변 프레임이 최상단의 위치로 기울어져 상기 주사기 식별 공간을 닫힌 공간으로 형성할 시 상기 주사기 식별 공간을 형성하는 프레임 상의 바닥면에 해당하게 되는 상기 가변 프레임의 일부 면이 하방으로 기울어진 구조로 마련된다.
그리고 상기 주사기 수거장치는, 상기 주사기 식별공간으로부터 상기 주사기 전처리 공간으로 떨어진 상기 주사기가 경사 이동하게 되는 상기 이동 경사부의 상부 경사면을 마주보는 상기 본체 내부 상기 주사기 전처리 공간상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이동 경사부의 상부 경사면 측으로 UV광을 조사하는 UV 살균모듈;을 더 포함한다.
아울러, 상기 본체는, 작동상태에 따라 상기 수거함 배치 공간에 해당하는 수거함 설치홈의 개폐를 조절할 수 있는 설치홈 개폐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주사기 수거장치는, 내부에 주사기 수거 공간이 마련되고, 상기 설치홈 개폐부가 개방된 상태에서 상기 수거함 설치홈에 삽입 설치 가능하며, 상기 수거함 설치홈에 삽입 설치되어 상기 수거함 배치 공간에 배치될 시 상부면의 상기 수거함 이동구 아래 대응되는 위치에 상하로 개방된 수거함 개방구가 구비되는 주사기 수거함;을 더 포함하며, 상기 주사기 수거함은, 작동상태에 따라 상기 수거함 개방구의 개폐를 조절하여 상기 수거함 이동구와 상기 수거함 개방구를 통한 상기 주사기 전처리 공간과 상기 주사기 수거 공간 간의 연통 여부가 조절될 수 있도록 하는 개방구 개폐부; 상기 주사기 수거함 내부 상측 상기 수거함 개방구 주변부에 상기 수거함 개방구로 유입되는 주사기를 감지하여, 수거된 주사기의 개수에 대한수거 수량 정보를 생성하는 수거 감지부; 상기 주사기 수거함 하부 바닥면 측에 약액 흡수패드의 설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소정의 설치공간을 형성하고, 상부면에 다수의 약액 이동구가 구비되어 상기 주사기 수거 공간에 모여진 사용 완료 상태의 상기 주사기로부터 유출되는 약액이 상기 약액 흡수패드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하는 패드 설치부; 상기 개방구 개폐부의 작동상태를 제어하는 수거함 제어부; 상기 제어모듈의 통신부와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구축하여, 상기 통신부를 통해 제2페어링 정보를 수신하는 수거함 통신부; 및 상기 수거함 통신부를 통해 수신되는 제2페어링 정보 및 상기 수거 감지부를 통해 생성되는 수거 수량 정보를 기록 저장하는 정보 저장부;를 포함하며, 상기 동작 제어부는 프레임 가변부의 작동상태 제어를 통해 상기 가변 프레임의 위상을 아래로 회전시켜 상기 주사기 식별공간에 투입된 상기 주사기가 상기 주사기 전처리 공간으로 이동되도록 한 뒤, 다시 상기 가변 프레임의 위상을 위로 회전시켜 최초 상태로 회복시키는 일련의 과정이 완료되고 나면 수거함 제어명령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수거함 통신부에 전송되도록 하며, 상기 수거함 통신부로 상기 수거함 제어명령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수거함 제어부는 상기 개방구 개폐부의 작동상태 제어를 통해 상기 수거함 개방구를 개방시켜 상기 주사기 전처리 공간을 거친 상기 주사기가 상기 수거함 이동구와 상기 수거함 개방구를 통과하여 상기 주사기 수거 공간에 수거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주사기 수거함은, 상기 주사기 수거함 내부 상측 상기 수거함 개방구 아래에 하방으로 기울어진 경사면을 형성하여 상기 수거함 개방구로 유입되는 상기 주사기가 부딪쳐 매번 상기 주사기 수거 공간 내 다양한 임의 위치에 모일 수 있도록 하는 수거함 경사부;를 더 포함한다.
아울러, 상기 동작 제어부는 상기 설치홈 개폐부의 작동상태를 제어하고, 상기 주사기 재사용 방지를 위한 주사기 수거 및 폐기 처리 관리시스템은, 상기 동작 제어부의 제어를 통해 상기 설치홈 개폐부가 개방된 상기 주사기 수거장치의 상기 수거함 설치홈으로부터 상기 주사기 수거함을 꺼내 상기 주사기 수거함을 주사기 폐기시설로 이동시키는 운반차량에 설치되는 제2리더기;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2리더기는, 정보의 저장 공간을 제공하는 제1메모리부; 상기 주사기 수거함의 상기 정보 저장부에 저장된 제2페어링 정보를 읽어 상기 제1메모리부에 저장하는 제1정보 리딩부; 상기 운반차량의 위치정보를 생성하는 GPS부; 및 상기 관리서버와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상기 제1메모리부에 저장된 제2페어링 정보와 상기 GPS부를 통해 생성되는 상기 운반차량의 위치정보를 기 설정된 주기마다 페어링한 제3페어링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관리서버에 전송하는 수거함 위치 알림부;를 포함하며,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수거함 위치 알림부로부터 수신되는 제3페어링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제2주사기 관리 정보를 갱신하고, 상기 운반차량을 통해 주사기 폐기시설로 이동 중인 상태의 주사기 내역이 시간에 따라 상기 운반차량의 위치정보와 함께 기록된 제3주사기 관리 정보를 생성하여 내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다.
아울러, 상기 주사기 재사용 방지를 위한 주사기 수거 및 폐기 처리 관리시스템은, 상기 주사기 폐기시설 내에 설치되며, 상기 운반차량을 통해 상기 주사기 폐기시설로 이동되어 온 상기 주사기 수거함에 폐기 권한정보를 전송하는 제3리더기;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3리더기는, 정보의 저장 공간을 제공하며, 폐기 권한정보가 저장된 제2메모리부; 상기 주사기 수거함의 상기 정보 저장부에 저장된 제2페어링 정보를 읽어 상기 제2메모리부에 저장하는 제2정보 리딩부; 상기 주사기 수거함의 상기 수거함 통신부와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상기 제2메모리부에 저장된 폐기 권한정보를 상기 주사기 수거함에 전송하는 권한정보 전송부; 상기 관리서버와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상기 제2메모리부에 저장된 제2페어링 정보와 상기 권한정보 전송부를 통해 상기 주사기 수거함에 상기 제2메모리부에 저장된 폐기 권한정보를 전송할 시 생성되는 폐기 알림정보를 페어링한 제4페어링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관리서버에 전송하는 폐기 알림부;를 포함하며, 상기 주사기 수거함의 상기 정보 저장부 내에는 정당한 폐기 권한정보의 인증을 위한 인증 기준정보가 기 설정 저장된다.
여기서, 상기 주사기 수거함은, 상기 주사기 수거함 일측에 상기 주사기 수거함 내부에 수거되어 모인 상기 주사기를 꺼낼 수 있도록 개폐 가능한 문 형태로 구비된 개폐부분 및 작동상태에 따라 상기 개폐부분의 개폐 가능 여부를 조절하기 위해 상기 개폐부분 일측에 설치되는 잠금부분을 포함하는 수거함 개폐부; 및 상기 제3리더기의 상기 권한정보 전송부로부터 상기 수거함 통신부를 통해 수신되는 폐기 권한정보를 상기 정보 저장부 내에 저장된 인증 기준정보와 비교하는 폐기 권한 인증을 통해, 일치하는 인증 기준정보가 존재할 시 상기 잠금부분의 작동상태를 해제상태로 제어하여 상기 개폐부분이 개폐 가능한 상태가 되도록 하는 폐기 권한 인증부;를 포함하며,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폐기 알림부로부터 수신되는 제4페어링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제3주사기 관리 정보를 갱신하고, 상기 주사기 폐기시설로 이동되어 폐기 처리되는 상태의 주사기 내역이 기록된 제4주사기 관리 정보를 생성하여 내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주사기를 사용 후 주사기 수거장치에 투입하여 수거함에 모으기 위해서는 주사기의 실린더와 플런저 각각에 설치된 개별 식별태그를 모두가 읽어지는 경우가 전제되도록 하여 주사기의 일부 구성품만을 분리하여 재사용할 경우 바로 확인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주사기 자체의 재사용뿐만 아니라 일부 구성품의 재사용까지도 사전에 차단할 수 있다.
둘째, 주사기의 병원 내 입고 시점, 주사기의 사용 후 수거장치로의 투입 시점, 수거장치 내 수거함을 수거업체가 회수하여 운송차량을 통해 폐기시설로 이동시키는 시점, 폐기시설 내에 도착한 수거함을 열어 내부에 수거된 사용완료 상태의 주사기를 폐기 처리하는 시점 각각에 위치한 주사기들의 상태 내역 및 현황을 관리자가 언제나 실시간을 확인하여 모니터링 함으로써, 종합적인 주사기의 처리 상태 및 재사용 방지를 효율적으로 관리 감독할 수 있다.
셋째, 사용 후 주사기 수거장치 내에 투입되는 주사기를 UV 살균을 통해 살균 처리할 뿐만 아니라 장치 내부 공간의 공기 역시 살균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오염원의 잔존을 최대한 없애고, 최종적으로 수거함에 떨어져 주사기가 모여진 상태에서 주사기 내 잔류하고 있던 약액 성분들이 누출되더라도 아래 배치된 약액 흡수패드에 흡수되어 수거함 내부가 오염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주사기 재사용 방지를 위한 주사기 수거 및 폐기 처리 관리시스템을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주사기 재사용 방지를 위한 주사기 수거 및 폐기 처리 관리시스템의 세부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주사기 수거 및 폐기 처리 관리시스템 내 주사기 수거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주사기 수거 및 폐기 처리 관리시스템 내 주사기 수거장치의 주사기 수거함 분리 형태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이다.
도5는 발명에 따른 주사기 수거 및 폐기 처리 관리시스템 내 주사기 수거장치의 주사기 식별 과정에서의 내부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6은 발명에 따른 주사기 수거 및 폐기 처리 관리시스템 내 주사기 수거장치의 주사기 전처리 및 수거 과정에서의 내부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되, 이미 주지된 기술적 부분에 대해서는 설명의 간결함을 위해 생략하거나 압축하기로 한다.
<주사기 재사용 방지를 위한 주사기 수거 및 폐기 처리 관리시스템의 구성요소에 관한 설명>
먼저, 본 발명의 주사기 재사용 방지를 위한 주사기 수거 및 폐기 처리 관리시스템(1000)에 대해 이하에서 도1 내지 도2의 구성도 및 블록도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주사기 재사용 방지를 위한 주사기 수거 및 폐기 처리 관리시스템(1000)은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리더기(100); 관리서버(200); 주사기 수거장치(300); 제2리더기(400) 제3리더기(500) 및 관리단말(600);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주사기 재사용 방지를 위한 주사기 수거 및 폐기 처리 관리시스템(1000)을 통해 관리 기능의 적용 대상이 되는 주사기(10)는 해당 시스템 내 각종 구성간의 연계를 위해 특정 구성의 부가 및 구조적 변형을 거친 주사기(10)가 적용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주사기 재사용 방지를 위한 주사기 수거 및 폐기 처리 관리시스템(1000)에 이용되는 주사기(10)는 주사 바늘(11), 실린더(12), 플런저(13)를 비롯해, 제1식별태그(12T) 및 제2식별태그(13T) 또한 포함한다.
여기서, 실린더(12)는 전단에 주사 바늘(11)이 결합되며, 내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중공의 주사액 수용공간이 마련되는 구성으로서, 이러한 실린더(12)의 측벽에 제1식별태그(12T)가 내장 설치된다.
이러한 제1식별태그(12T) 및 제2식별태그(13T)는 각각의 실린더(12) 및 플런저(13)를 구분할 수 있는 고유의 식별코드를 담고 있는 기록 수단으로, RFID 리더기를 통해 내부에 기록 저장된 식별코드를 읽을 수 있도록 마련되는 RFID 태그의 형태에서부터 통신 네트워크를 구축하거나 태그로 접속 가능한 러더기를 통해 내부 데이터베이스와 같은 별도의 저장 공간에 기록 저장된 식별코드를 읽거나 제공받아 확인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정보 저장모듈 등 다양한 실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플런저(13)는 실린더(12) 후단 측으로부터 주사액 수용공간에 수밀(水密)상태를 유지하면서 전후 이동될 수 있도록 삽입되며, 플런저(13) 후단 누름판(13B)에 제2식별태그(13T)가 내장 설치된다.
제1리더기(100)는 병원(H) 내 설치되어, 사용 전의 주사기(10) 별 제1식별태그(12T) 및 제2식별태그(13T) 각각에 기록된 식별코드를 읽어 두 개의 식별코드를 하나의 제1페어링 정보로 생성하고, 생성된 제1페어링 정보를 아래 설명될 관리서버(200)에 전송한다.
이에 따라, 제1페어링 정보는 현재 병원(H) 내로 입고된 주사기(10)에 대한 정보를 해당 주사기(10) 각각을 구성하는 실린더(12) 및 플런저(13)에 대한 고유식별정보끼리 짝을 이루는 형태를 갖추게 된다.
따라서 제1페어링 정보를 통해서 관리자는 현재 병원(H) 내에 입고되어 사용 전인 상태의 주사기(10)가 몇 개이고 어떤게 있는지에 대한 내역을 확인할 수 있고, 그 중 실린더(12) 및 플런저(13) 각각이 분리되지 않고 하나의 페어를 이루고 있는지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관리서버(200)는 제1리더기(100)를 통해 생성된 주사기 별 제1페어링 정보가 수신되며, 수신된 제1페어링 정보를 기반으로 사용 전 상태의 주사기 내역이 기록된 제1주사기 관리 정보를 생성하여 내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다.
구체적으로, 관리서버(200)는 제1데이터베이스(410)에 제1리더기(100)를 통해 생성 후 수신되는 제1페어링 정보를 저장하며, 이와 같이 저장된 제1페어링 정보를 관리서버(200)에 접속한 관리단말(600)이 확인 요청할 경우 사용 전 상태의 주사기 내역을 관리자가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병원(H) 내 입고된 후 제1리더기(100)를 통한 1차 내역 검증이 완료된 주사기(10)들은 각 부서에 배치되어 사용되게 되는데, 일회성을 사용이 완료되고 나면 의사는 사용 완료 상태의 주사기(10)를 주사기 수거장치(300)에 투입하여 주사기가 한꺼번에 회수되어 폐기처리 시설로 이동될 수 있도록 주사기 수거함(360)에 모이도록 함과 동시에 근본적인 주사기 재사용을 차단시킨다.
주사기 수거장치(300)는 병원(H) 내 설치되어, 주시기(10) 중 사용이 완료된 주사기(10)가 투입되며, 사용 완료 후 투입되는 주사기(10) 중 제1식별태그(12T) 및 제2식별태그(13T) 각각에 기록된 식별코드 모두가 읽어지는 주사기에 한해 내부에 삽입 설치된 수거함(360)으로 이동시킨다.
이를 위해, 주사기 수거장치(300)는 도3 내지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310), 제1식별모듈(320), 제2식별모듈(330), 제어모듈(340), UV 살균모듈(350) 및 주사기 수거함(360)을 포함한다.
우선, 본체(310)는 주사기 수거장치(300)의 전체 하우징에 해당하는 부분으로, 내부 공간이 상측의 주사기 식별 공간(T1), 중간의 주사기 전처리 공간(T2) 및 하측의 수거함 배치 공간(T3)으로 구획되어 있다.
또한, 도3 및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310)의 상면 상에는 개방 시 주사기 식별 공간(T1)과 외부를 연통시킬 수 있는 투입구(311H)가 마련되고, 이와 같은 투입구 개폐부(311)의 작동상태에 따라 개폐가 조절된다.
예를 들어, 투입구 개폐부(311)는 투입구(311H)을 상측을 덮는 덮개 구조 및 해당 덮개 구조의 전후 이동을 위한 이동축과 구동모터 등을 포함하도록 마련되어 덮개 구조를 일방향으로 이동시킬 경우 투입구(311H)를 노출시켜 주사기 식별 공간(T1)과 외부가 이어지도록 함으로써 사용이 완료된 주사기(10)의 투입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고, 덮개 구조를 타방향으로 이동시킬 경우 투입구(311H)를 덮어 사기 식별 공간(T1)과 외부가 분리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이 완료된 주사기(10)의 투입이 이루어질 수 없도록 한다.
여기서, 본체(310) 내 주사기 식별 공간(T1)은 상면이 투입구(311H)에 해당되어 상측으로 노출된 육면체 구조를 이룸으로서 형성되는데, 이러한 주사기 식별 공간(T1)의 구조는 측벽 일부를 형성하는 고정 프레임(312)과 측벽 나머지와 바닥면에 해당하는 구조를 형성하는 가변 프레임(313)으로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주사기 식별 공간(T1) 형성하는 프레임 중 가변 프레임(313)은 상하로 회전 이동하며 기울기의 조절이 가능한데, 이러한 가변 프레임(313)이 하강 회전 이동하며 기울어질 시 주사기 식별공간(T1)과 주사기 전처리 공간(T2)이 연통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가변 프레임(313)의 위상 조절은 아래 설명될 프레임 가변부(314)의 작동상태에 의해 결정된다.
구체적으로, 프레임 가변부(314)는 도5 및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사기 식별 공간(T1)을 형성하는 프레임 상 바닥면(313B)을 포함하는 가변 프레임(313) 일측에 연결되어 작동상태에 따라 가변 프레임(313)을 상하로 기울여 회전 이동시킴으로써, 주사기 식별공간(T1)에 투입된 주사기(10)의 주사기 전처리 공간(T2)으로의 이동 여부를 조절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프레임 가변부(314)는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 프레임(313) 일측에 연결되는 로드, 로드의 전후 이동을 수행하는 피스톤 및 구동 실린더의 구성을 포함하도록 마련되어 작동상태에 따라 가변 프레임(313)의 기울임 정도를 달리할 수 있다.
정리하면, 프레임 가변부(314)의 작동에 의해 가변 프레임(313)이 최상의 위치에 위상을 이루고 있을 경우, 가변 프레임(313)과 고정 프레임(312)은 아래가 막힌 홈 구조의 주사기 식별공간(T1)을 형성하게 되고, 가변 프레임(313)이 최하의 위치에 위상을 이루고 있을 경우, 가변 프레임(313)이 하방으로 기울어져 고정 프레임(312)과 이격되며 아래가 열린 구조의 주사기 식별공간(T1)을 형성함으로써 주사기 식별공간(T1) 내에서 식별과정을 거친 주사기(10)가 아래로 떨어져 주사기 전처리 공간(T2)으로 도6과 같이 이동될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이와 같은 주사기 전처리 공간(T2)으로의 이동을 안내하는 경사면을 가변 프레임(313)에 포함되는 바닥면(313B)이 아래 설명될 이동 경사부(315)와 함께 연결되어 형성하게 된다.
또한, 가변 프레임(313)은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 가변부(314)의 작동에 의해 가변 프레임(313)이 최상단의 위치로 기울어져 주사기 식별 공간(T1)을 닫힌 공간으로 형성할 시 주사기 식별 공간(T1)을 형성하는 프레임 상의 바닥면(313B)에 해당하게 되는 가변 프레임(313)의 일부 면이 하방으로 기울어진 구조로 마련됨이 바람직하다.
이는 가변 프레임(313)의 기본 위상에서 주사기 식별 공간(T1)을 형성하는 프레임 상의 바닥면(313B)에 해당하게 되는 가변 프레임(313)의 일부 면이 설치면에 평행한 상태가 아니라 하방으로 기울어진 경사면을 형성함으로써, 만약 주사기 식별 공간(T1)에 투입된 주사기(10)로부터 잔류해있던 약액이 누수되어 무분별하게 주사기 전처리 공간(T2)로 흘러내려 작동상태를 가지는 구성들에 영향을 주거나 특정 내부 구조상 고립되어 정체됨으로써 제거되지 못하고 지속적으로 내부 공기질에 영향을 주거나 추후 장치를 관리 혹은 사용하는 사람에게 튈 수 있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구조적 특징이다.
즉, 가변 프레임(313)이 주사기 식별 공간(T1)을 닫힌 공간으로 형성하는 기본 위상에서 주사기 식별 공간(T1)을 형성하는 프레임 상의 바닥면(313B)에 해당하게 되는 가변 프레임(313)의 일부 면이 하방으로 기울어진 경사면을 형성하기 때문에 주사기(10)로부터 잔류해있던 약액이 누수되어 흐르더라도 이동 경사부(315)를 따라 경사면을 이동하여 수거함 이동구(315H)로 이동됨으로써, 추후 주사기 수거함(360)의 수거함 개방구(361H)가 개방 될 시 주사기 수거함(360) 내부로 흘러들어가 주사기 수거함(360) 바닥에 설치된 약액 흡수패드(363P)에 흡수 처리될 수 있다.
여기서, 이동 경사부(315)는 주사기 전처리 공간(T2)상에 경사면을 형성하는 프레임 구조로서, 형성 위치가 경사면의 하단부가 주사기 전처리 공간(T2)을 형성하는 본체(310)의 내부 측벽과 수거함 이동구(315H)를 형성하도록 수거함 이동구(315H)측을 향하고, 경사면의 상단부가 프레임 가변부(314)의 작동에 의해 가변 프레임(313)이 최하단의 위치로 기울어졌을 경우의 가변 프레임(313) 최하단부와 접해 경사면의 상호 연결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마련된다.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경사부(315)는 아래가 열린 구조의 주사기 식별공간(T1)으로부터 떨어지는 주사기(10)가 가변 프레임(313)에 포함되는 바닥면(313B)의 기울어진 경사면을 따라 이동되는 과정이 연장될 수 있도록 하여, 최종적으로 주사기 전처리 공간(T2)과 수거함 배치 공간(T3) 간의 연통을 위해 개방된 수거함 이동구(315H)를 지나도록 한다.
이와 관련하여, 본체(310)에는 주사기 전처리 공간(T2)과 수거함 배치 공간(T3)을 상하로 구획하는 높이 상에 개방 시 주사기 전처리 공간(T2)과 수거함 배치 공간(T3)을 연통 시킬 수 있는 수거함 이동구(315H)가 구비된다.
여기서, 수거함 이동구(315H)는 이동 경사부(315) 최하단과 주사기 전처리 공간(T2)을 형성하는 본체(310)의 내부 측벽 사이의 개방 공간으로 이동 경사부(315) 상측면을 따라 아래로 이동되어 온 주사기(10)가 최종적으로 수거함 배치 공간(T3)에 설치된 주사기 수거함(360) 내부로 유입될 수 있도록 하는 구멍에 해당한다.
다음으로, 제1식별모듈(320)은 주사기 식별 공간(T1)을 형성하는 프레임 상 주사기 식별 공간(T1)에 투입 안착된 주사기(10)의 실린더(12)와 마주하는 측벽 프레임 외측에 설치되어, 제1식별태그(12T)에 기록된 제1식별코드를 읽게 된다.
또한, 제2식별모듈(330)은 한 쌍을 이루는 구성으로, 주사기 식별 공간(T1)을 형성하는 프레임 상 주사기 식별 공간(T1)에 투입 안착된 주사기(10)의 주사 바늘(11) 및 플런저(13)와 마주하는 양쪽 측벽 프레임 외측에 각각 설치되어, 제2식별태그(13T)에 기록된 제2식별코드를 읽게 된다.
여기서, 제2식별모듈(330)은 양 쪽에 마주하도록 한 쌍을 이루어 설치되게 되는데, 이는 주사기 식별 공간(T1)에 투입되는 주사기(10)의 방향이 일정하지 않기 때문에 플런저(13) 내에 설치된 제2식별태그(13T)의 위치가 매번 달라질 수 있기 때문이다.
다음으로, 제어모듈(340)은 사용 완료 후 투입되는 주사기(10)가 개방된 투입구(311H)를 통해 주사기 식별 공간(T1)에 투입되어 제1식별모듈(320)을 통해 제1식별코드가 읽힘과 동시에 제2식별모듈(330)을 통해 제2식별코드 또한 읽힐 경우, 읽어진 제1식별코드 및 제2식별코드를 페어링하여 제2페어링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관리서버(200)에 전송할 수 있는 컨트롤러의 구성으로, 본체(310) 내에 설치된다.
이와 더불어, 제어모듈(340)은 주사기 식별 공간(T1)을 형성하는 가변 프레임(313)을 하강 이동시켜 주사기 전처리 공간(T2)으로 식별이 완료된 주사기(10)가 이동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제어모듈(340)은 페어링 정보 생성부(341), 통신부(342), 동작 제어부(343)를 포함한다.
여기서, 페어링 정보 생성부(341)는 제1식별모듈(320) 및 제2식별모듈(330)을 통해 읽어진 제1식별코드와 제2식별코드를 페이링하여 제2페어링 정보를 생성한다.
또한, 통신부(342)는 관리서버(200) 및 아래 설명될 수거함 통신부(365)와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구축하여 정보, 신호 혹은 명령의 송, 수신을 수행하게 되는 구성으로, 페어링 정보 생성부(341)를 통해 생성된 제2페어링 정보를 관리서버(200)에 전송한다.
이를 통해 통신부(342)로부터 제2페어링 정보를 수신한 관리서버(200)는 제2페어링 정보를 기반으로 제1데이터베이스(210) 내에 기록 저장된 제1주사기 관리 정보를 갱신하고, 사용이 완료된 상태의 주사기 내역이 기록된 제2주사기 관리 정보를 생성하여 내부 제2데이터베이스(220)에 구분하여 기록 저장한다.
구체적으로, 관리서버(200)는 제2페어링 정보를 분석하여, 제1데이터베이스(210) 내에 기록 저장된 제1주사기 관리 정보 중 제2페어링 정보에 따른 페어링된 제1식별코드와 제2식별코드에 대응되는 정보들을 삭제하여 정보의 갱신을 수행하게 되는데, 이는 제2페어링 정보에 포함된 제1식별코드 및 제2식별코드에 대응되는 주사기(10)는 제1주사기 관리 정보에 따라 사용 전인 상태가 아니라 제2주사기 관리 정보에 반영되어 사용 후 주사기 수거장치(300) 내에 투입된 주사기(10)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관리자는 관리단말(600)을 통해 관리서버(200)에 접속하여 현재 사용 전 상태의 주사기(10)의 내역 및 수량을 확인하고자 할 경우 제1데이터베이스(210) 내에 저장된 제1주사기 관리 정보를 제공받아 확인하고, 현재 사용 후 주사기 수거장치(300)에 투입된 주사기(10)의 내역 및 수량을 확인하고자 할 경우 제2데이터베이스(220) 내에 저장된 제2주사기 관리 정보를 제공받아 확인하여 각각의 정보를 파악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동작 제어부(343)는 투입구 개폐부(311), 설치홈 개폐부(316), 프레임 가변부(314), 제1식별모듈(320), 제2식별모듈(330), UV 살균모듈(350)의 작동상태를 제어하는 컨트롤러의 구성으로, 본체(310) 일측에 제어 명령 신호의 입력 생성을 위해 마련된 별도의 터치 패널(301S)을 주사기(10)의 사용 후 투입 및 수거 처리에 관한 동작을 수행하고자 하는 의사 또는 간호사가 조작하여 특정 제어 명령 신호를 발생시킴으로서, 해당 신호에 기반을 두고 각 구성들의 동작을 제어하게 된다.
다음으로, UV 살균모듈(350)은 주사기 식별공간(T1)으로부터 주사기 전처리 공간(T2)으로 떨어진 주사기(10)가 경사 이동하게 되는 이동 경사부(315)의 상부 경사면을 마주보는 본체(310) 내부 주사기 전처리 공간(T2)상의 일측에 설치되어, 이동 경사부(315)의 상부 경사면 측으로 UV광을 조사하는 살균모듈에 해당한다.
이와 같은 UV 살균모듈(350)을 통해 조사되는 UV광이 이동 경사부(315)의 상부 경사면을 따라 하강 이동되는 주사기(10)에 조사됨으로써, 주사기(10)의 살균 처리가 이루어질 뿐만 아니라. 주사기 전처리 공간(T2) 내에 채워진 공기층의 살균까지도 지속 이루어지게 된다.
다음으로, 주사기 수거함(360)은 내부에 주사기 수거 공간(360T)이 마련된 일종의 수거 용기로서, 본체(310)의 하부 수거함 배치 공간(T3) 상에 삽입 설치된다.
이를 위해, 본체(310)의 하부 수거함 배치 공간(T3)을 형성하는 일면은 작동상태에 따라 수거함 배치 공간(T3)에 해당하는 수거함 설치홈(T3)의 개폐를 조절할 수 있는 설치홈 개폐부(316)로 마련된다.
이러한 설치홈 개폐부(316)는 힌지 구조의 문 형태로 형성되며, 동작 제어부(343)에 의해 개폐가 조절되기 때문에 주사기 수거장치(300)의 사용자는 터치 패널(301S)에 설치홈 개폐부(316)의 열림 또는 닫힘을 명령하는 제어 신호를 입력 생성함으로서 문 형태의 설치홈 개폐부(316)를 열거나 닫아 내부에 주사기 수거함(360)을 설치하거나 내부로부터 주사기 수거함(360)을 꺼낼 수 있다.
따라서 설치홈 개폐부(316)가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방된 상태에서 주사기 수거함(360)은 수거함 설치홈(T3)에 삽입 설치 가능하다.
더욱 구체적으로, 동작 제어부(343)에 의해 설치홈 개폐부(316)의 열림 또는 닫힘이 제어되는 기능을 주사기 수거함(360)의 회수를 통해 운송차량(C)에 실어 주사기 폐기시설로의 이동을 수행하는 정당한 권한을 가진 수거업체의 직원이 지는 ID카드를 이용한 별도의 인증 과정을 거쳐 활성화되도록 함으로써, 아무나 주사기 수거함(360)을 주사기 수거장치(300)로부터 꺼내거나 주사기 수거장치(300)에 설치하지 못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주사기 수거함(360)은 수거함 설치홈(T3)에 삽입 설치되어 수거함 배치 공간(T3)에 배치될 시 상부면의 수거함 이동구(315H) 아래 대응되는 위치에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로 개방된 수거함 개방구(361H)가 구비된다.
이러한 수거함 개방구(361H)는 주사기 수거함(360) 상측에 설치되는 개방구 개폐부(361)의 작동상태에 따라 개폐가 조절된다.
다시 말해, 개방구 개폐부(361)는 작동상태에 따라 수거함 개방구(361H)의 개폐를 조절하여 수거함 이동구(315H)와 수거함 개방구(361H)를 통한 주사기 전처리 공간(T2)과 주사기 수거 공간(T3) 간의 연통 여부가 조절될 수 있다.
그리고 주사기 수거함(360) 내부 상측 수거함 개방구(361H) 주변부에는 수거함 개방구(361H)로 유입되는 주사기(10)를 감지하여, 수거된 주사기의 개수에 대한 수거 수량 정보를 생성하는 수거 감지부(362)의 센서가 설치된다.
이러한 수거 감지부(362)에 의해 센싱되어 카운트되는 수거함 개방구(361H)로 유입되는 주사기(10)의 개수에 대한 수거 수량 정보는 아래 설명될 수거함 통신부(365)를 통해 관리서버(200)로 보내져 제2주사기 관리 정보의 신뢰성 검증에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수거 감지부(362)에 의해 센싱되어 카운트되는 수거함 개방구(361H)로 유입되는 주사기(10)의 개수에 대한 수거 수량 정보는 주사기 수거함(360) 일측에 설치된 디스플레이 모듈로서의 정보 표시부(360S)에 출력 표시되어 주사기 수거함(360)을 회수할 시 내부에 모아진 주사기(10)의 개수를 안을 열어보지 않고도 바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만약, 관리서버(200)에서 주사기 수거함(360)의 수거함 통신부(365)로부터 수신한 수거 수량 정보와 주사기 수거장치(300)의 제어모듈(340) 내 통신부(342)로부터 수신한 제2페어링 정보를 기반으로 생성된 제2주사기 관리 정보를 비교하여 현재 사용이 완료된 상태로 주사기 수거장치(300)로의 수거가 진행된 주사기의 개수가 상호 차이가 발생할 경우, 관리서버(200)는 오류발생 알림정보를 생성하여 관리단말(600)에 전송하거나 정당한 권한을 가진 수거업체의 직원의 단말로 전송하여 오류발생 문제를 확인하고 해결할 수 있도록 알려준다.
이 외에도, 주사기 수거함(360)은 수거함 손잡이(360A), 패드 설치부(363), 수거함 제어부(364), 수거함 통신부(365), 정보 저장부(366), 배터리(360B), 충전 포트(360P), 수거함 경사부(367), 수거함 개폐부(368) 및 폐기 권한 인증부(369)를 포함한다.
우선, 수거함 손잡이(360A)는 주사기 수거함(360)의 전체 본체 하우징을 이루는 외부 구조 상 일측에 설치되어 주사기 수거함(360)의 파지 및 이송에 있어 작업 편의성을 부여하기 위한 손잡이 구조에 해당한다.
다음으로, 패드 설치부(363)는 주사기 수거함(360) 하부 바닥면 측에 약액 흡수패드(363P)의 설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소정의 설치공간을 형성하고, 상부면에 다수의 약액 이동구(363H)가 구비되어 주사기 수거 공간(360T)에 모여진 사용 완료 상태의 주사기(10)로부터 유출되는 약액이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약액 흡수패드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통해, 주사기 수거 공간(360T)에 모여진 사용 완료 상태의 주사기(10)로부터 잔류해있던 약액이 누수되어 흘러 내리더라도 아래 에 위치한 다수의 약액 이동구(363H)를 통해 약액이 약액 흡수패드(363P)에 흡수 처리됨으로써, 약액이 지속적으로 내부 공간에 고여 발생하는 오염문제를 완전히 해결할 수 있다.
다음으로, 수거함 제어부(364)는 앞 서 설명한 개방구 개폐부(361)의 작동상태를 제어하는 컨트롤러로서, 이 외에도 아래 설명될 수거함 통신부(365), 수거함 개폐부(368) 및 폐기 권한 인증부(369)의 작동상태 역시 제어할 수 있다.
이와 연계되어, 수거함 통신부(365)는 제어모듈(340)의 통신부(342) 및 관리서버(200)와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구축하여, 통신부(342)를 통해 제2페어링 정보를 수신하고 관리서버(200)에 수거 수량 정보를 전송한다.
이와 같은 수거함 통신부(365)를 통해 수신되는 제2페어링 정보 및 수거 감지부(362)를 통해 생성되는 수거 수량 정보는 정보 저장부(366)의 메모리 구성 내에 기록 저장된다.
여기서, 동작 제어부(343)를 통한 프레임 가변부(314)의 작동에 기반을 둔 가변 프레임(313)의 기울임 정도에 따른 주사기 식별 공간(T1) 바닥면의 개폐 제어 및 수거함 제어부(364)를 통한 개방구 개폐부(361)의 개페 제어는 기 설정된 사항에 따라 순차적으로 진행된다.
구체적으로, 동작 제어부(343)는 프레임 가변부(314)의 작동상태 제어를 통해 가변 프레임(313)의 위상을 아래로 회전시켜 주사기 식별공간(T1)에 투입된 상기 주사기(10)가 주사기 전처리 공간(T2)으로 이동되도록 한 뒤, 다시 가변 프레임(313)의 위상을 위로 회전시켜 최초 상태로 회복시키는 일련의 과정이 완료되고 나면 수거함 제어명령 신호를 생성하여 통신부(342)를 통해 수거함 통신부(368)에 전송되도록 한다.
이에 이어져, 수거함 통신부(368)로 수거함 제어명령 신호가 수신되면, 수거함 제어부(364)는 개방구 개폐부(361)의 작동상태 제어를 통해 수거함 개방구(361H)를 개방시켜 주사기 전처리 공간(T2)을 거친 주사기(10)가 수거함 이동구(315H)와 수거함 개방구(361H)를 통과하여 주사기 수거 공간(360T)에 수거될 수 있도록 한다.
다음으로, 주사기 수거함(360)은 내부에 설치된 개방구 개폐부(361), 수거함 제어부(364), 수거함 통신부(365), 정보 저장부(366), 수거함 개폐부(368) 및 폐기 권한 인증부(369)의 작동에 필요한 전력을 공급하기 위해 내부에 전력의 충전이 이루어질 수 있는 배터리(360B)가 내장 설치되고, 이에 연계되어 배터리(360B)의 충전을 위해 외부전원으로부터 전기 에너지를 공급하기 위한 충전 포트(360P)가 일측에 구비된다.
그리고 주사기 수거함(360)은 내부 주사기 수거 공간(360T) 상에 외측으로부터 중심측으로 하강하며 경사면을 형성하는 수거함 경사부(367)가 수거함 개방구(361H) 아래에 형성된다.
이러한, 수거함 경사부(367)는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사기 수거함(360) 내부 상측 수거함 개방구(361H) 아래에 하방으로 기울어진 경사면을 형성하여 수거함 개방구(361H)로 유입되는 주사기(10)가 부딪치며 매번 주사기 수거 공간 내 다양한 임의 위치에 모일 수 있도록하여 사기 수거함(360) 내부 상측 수거함 개방구(361H) 바로 아래에만 주사기(10)가 모이지 않고 내부 공간에 골고루 펴지며 모아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수거함 개폐부(368)는 주사기 수거함(360) 일측에 주사기 수거함(360) 내부 주사기 수거 공간(360T)에 수거되어 모인 주사기(10)를 꺼낼 수 있도록 개폐 가능한 문 형태로 구비된 개폐부분(368a) 및 작동상태에 따라 개폐부분(368a)의 개폐 가능 여부를 조절하기 위해 개폐부분(368a) 일측에 설치되는 잠금부분(368b)을 포함한다.
다시 말해, 주사기 수거함(360) 내부 주사기 수거 공간(360T)에 수거되어 모인 주사기(10)를 꺼내기 위해서는 개폐부분(368a)을 열어 공간을 개방시킨 뒤 꺼내야 하는데, 기본적으로 잠금부분(368b)의 작동에 의해 개폐부분(368a)의 개폐가 불가능한 상태를 기본으로 하고, 추후 설명될 폐기 권한의 정당한 인증 절차를 거친 경우에 한해 잠금부분(368b)의 작동이 풀리며 개폐부분(368a)을 열 수 있게 된다.
이와 관련하여, 폐기 권한 인증부(369)는 아래 설명될 제3리더기(500)의 권한정보 전송부(530)로부터 수거함 통신부(365)를 통해 수신되는 폐기 권한정보를 정보 저장부(366) 내에 저장된 인증 기준정보와 비교하는 폐기 권한 인증을 통해, 일치하는 인증 기준정보가 존재할 시 잠금부분(368b)의 작동상태를 해제상태로 제어하여 개폐부분(368a)이 개폐 가능한 상태가 되도록 한다.
따라서 주사기 수거함(360) 내부 정보 저장부(366)에는 정당한 폐기 권한정보의 인증을 위한 인증 기준정보가 기 설정 저장되어 있다.
제2리더기(400)는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작 제어부(343)의 제어를 통해 설치홈 개폐부(316)가 개방된 주사기 수거장치(300)의 수거함 설치홈(T3)으로부터 주사기 수거함(360)을 꺼내 주사기 폐기시설(D)로 이동시키는 운반차량(C)에 설치된다.
이러한 제2리더기(400)는 주사기 수거함(360)을 꺼내 주사기 폐기시설(D)로 이동시키는 운반차량(C)에서 정보를 읽어 새로운 정보를 생성한 뒤, 기 설정된 주기마다 생성되는 정보를 관리서버(200)에 제공하기 위해 제1메모리부(410), 제1정보 리딩부(420), GPS부(430) 및 수거함 위치 알림부(440)를 포함한다.
우선, 제1메모리부(410)는 정보의 저장 공간을 제공하는 메모리 구성으로서, 제1정보 리딩부(420)를 통해 주사기 수거함(360)의 정보 저장부(366)에 저장된 제2페어링 정보를 읽어, 읽혀진 제2페어링 정보가 옮겨져 내부에 저장될 수 있다.
다음으로, GPS부(430)는 운반차량(C)의 위치정보를 생성하는 GPS 모듈에 해당된다.
마지막으로, 수거함 위치 알림부(440)는 관리서버(200)와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제1메모리부(410)에 저장된 제2페어링 정보와 GPS부(430)를 통해 생성되는 운반차량(C)의 위치정보를 기 설정된 주기마다 페어링한 제3페어링정보를 생성하여 관리서버(200)에 전송한다.
이를 통해, 관리서버(200)는 수거함 위치 알림부(440)로부터 수신되는 제3페어링 정보를 기반으로 제2주사기 관리 정보를 갱신하고, 운반차량(C)을 통해 주사기 폐기시설(D)로 이동 중인 상태의 주사기 내역이 시간에 따라 운반차량(C)의 위치정보와 함께 기록된 제3주사기 관리 정보를 생성하여 내부 제3데이터베이스(230)에 구분하여 기록 저장한다.
구체적으로, 관리서버(200)는 제3페어링 정보를 분석하여, 제2데이터베이스(220) 내에 기록 저장된 제2주사기 관리 정보 중 제3페어링 정보에 따른 페어링된 제1식별코드와 제2식별코드에 대응되는 정보들을 삭제하여 정보의 갱신을 수행하게 되는데, 이는 제3페어링 정보에 포함된 제1식별코드 및 제2식별코드에 대응되는 주사기(10)는 제2주사기 관리 정보에 따라 사용 후 주사기 수거장치(300) 내에 투입되어 모인 상태가 아니라 제3주사기 관리 정보에 반영되어 주사기 수거함(360)이 주사기 수거장치(300)로부터 분리 배출되어 수거업체에 의해 운반차량(C)에 실려 주사기 폐기시설(D)로 이동 중인 주사기(10)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관리자는 관리단말(600)을 통해 관리서버(200)에 접속하여 주사기 수거함(360) 내에 수거되어 현재 수거업체에 의해 운반차량(C)에 실려 주사기 폐기시설(D)로 이동 중인 주사기(10)의 내역 및 수량 그리고 현재의 위치를 확인하고자 할 경우 제3데이터베이스(230) 내에 저장된 제3주사기 관리 정보를 제공받아 확인하여 각각의 정보를 파악할 수 있다.
제3리더기(500)는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사기 폐기시설(D) 내에 설치되며, 운반차량(C)을 통해 주사기 폐기시설(D)로 이동되어 온 주사기 수거함(360)에 폐기 권한정보를 전송한다.
이와 관계하여 제3리더기(500)는 제2메모리부(510), 제2정보 리딩부(520), 권한정보 전송부(530) 및 폐기 알림부(540)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2메모리부(510)는 정보의 저장 공간을 제공하며, 폐기 권한정보가 저장된 메모리 구성이다.
이러한 제2메모리부(510) 내 기록 저장된 폐기 권한정보는 주사기 수거함(360)의 수거함 개폐부(368)을 열어 수거된 주사기(10)를 꺼내 폐기 처리하기 위한 일련의 권한 인증 과정을 수행함에 기반이되는 정보이다.
따라서 제2정보 리딩부(520)는 주사기 수거함(360)의 정보 저장부(366)에 저장된 제2페어링 정보를 읽어 제2메모리부(510)에 옮겨져 저장될 수 있게 한다.
또한, 권한정보 전송부(530)는 주사기 수거함(360)의 수거함 통신부(365)와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제2메모리부(510)에 저장된 폐기 권한정보를 주사기 수거함(360)에 전송한다.
이를 통해, 제3리더기(500)의 권한정보 전송부(530)로부터 폐기 권한정보가 통신부(365)를 통해 수신될 경우, 폐기 권한 인증부(369)는 수신된 폐기 권한정보를 정보 저장부(366) 내에 저장된 인증 기준정보와 비교하여 일치하는 인증 기준정보가 존재할 시 잠금부분(368b)의 작동상태를 해제상태로 제어하여 개폐부분(368a)이 개폐 가능한 상태가 되게 하여 수거함 개폐부(368)을 열어 수거된 주사기(10)를 꺼내 폐기 처리할 수 있게 한다.
마지막으로, 폐기 알림부(540)는 관리서버(200)와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제2메모리부(510)에 저장된 제2페어링 정보와 권한정보 전송부(530)를 통해 주사기 수거함(360)에 제2메모리부(510)에 저장된 폐기 권한정보를 전송할 시 생성되는 폐기 알림정보를 페어링한 제4페어링정보를 생성하여 관리서버(200)에 전송한다.
이에 따라, 관리서버(200)는 폐기 알림부(540)로부터 수신되는 제4페어링정보를 기반으로 제3주사기 관리 정보를 갱신하고, 주사기 폐기시설(D)로 이동되어 폐기 처리되는 상태의 주사기 내역이 기록된 제4주사기 관리 정보를 생성하여 내부 제4데이터베이스(240)에 분류하여 기록 저장한다.
구체적으로, 관리서버(200)는 제4페어링 정보를 분석하여, 제3데이터베이스(230) 내에 기록 저장된 제2주사기 관리 정보 중 제3페어링 정보에 따른 페어링된 제1식별코드와 제2식별코드에 대응되는 정보들을 삭제하여 정보의 갱신을 수행하게 되는데, 이는 제4페어링 정보에 포함된 제1식별코드 및 제2식별코드에 대응되는 주사기(10)는 제3주사기 관리 정보에 따라 주사기 수거함(360)이 주사기 수거장치(300)로부터 분리 배출되어 수거업체에 의해 운반차량(C)에 실려 주사기 폐기시설(D)로 이동 중인 상태가 아니라 제4주사기 관리 정보에 반영되어 주사기 폐기시설(D) 내에서 주사기 수거함(360)로부터 꺼내져 폐기 처리된 주사기(10)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관리자는 관리단말(600)을 통해 관리서버(200)에 접속하여 주사기 폐기시설(D) 내에서 주사기 수거함(360)로부터 꺼내져 폐기 처리된 주사기(10)의 내역 및 수량을 확인하고자 할 경우 제4데이터베이스(240) 내에 저장된 제4주사기 관리 정보를 제공받아 확인하여 각각의 정보를 파악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해서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보호범위는 아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0 : 주사기 수거 및 폐기 처리 관리시스템
100 : 제1리더기
200 : 관리서버
210 : 제1데이터베이스 220 : 제2데이터베이스
230 : 제3데이터베이스 240 : 제4데이터베이스
300 : 주사기 수거장치
310 : 본체
310S : 터치패널 311 : 투입구 개폐부
311H : 투입구 312 : 고정 프레임
313 : 가변 프레임 314 : 프레임 가변부
315 : 이동 경사부 315H : 수거함 이동구
316 : 설치홈 개폐부
320 : 제1식별모듈 330 : 제2식별모듈
340 : 제어모듈
341 : 페어링 정보 생성부 342 : 통신부
343 : 동작 제어부
350 : UV 살균모듈
360 : 주사기 수거함
360S : 정보 표시부 361H : 수거함 개방구
361 : 개방구 개폐부 362 : 수거 감지부
363 : 패드 설치부
363P : 약액 흡수패드 363H : 약액 이동구
364 : 수거함 제어부 365 : 수거함 통신부
366 : 정보 저장부 360B : 배터리
360P : 충전 포트 367 : 수거함 경사부
368 : 수거함 개폐부
368a : 개폐부분 368b : 잠금부분
369 : 폐기 권한 인증부 360A : 수거함 손잡이
400 : 제2리더기
410 : 제1메모리부 420 : 제1정보 리딩부
430 : GPS부 440 : 수거함 위치 알림부
500 : 제3리더기
510 : 제2메모리부 520 : 제2정보 리딩부
530 : 권한정보 전송부 540 : 폐기 알림부
600 : 관리단말
10 : 주사기
11 : 주사바늘 12 : 실린더
12T : 제1식별태그 13 : 플런저
13B : 누름판 13T : 제2식별태그
B : 병원
C : 운반차량
D : 주사기 폐기시설

Claims (9)

  1. 전단에 주사 바늘이 결합되며, 내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중공의 주사액 수용공간이 마련되는 실린더; 및 상기 실린더 후단 측으로부터 상기 주사액 수용공간에 수밀(水密)상태를 유지하면서 전후 이동될 수 있도록 삽입되는 플런저;를 포함하며, 상기 실린더의 측벽에 제1식별태그가 내장 설치되고, 상기 플런저 후단 누름판에 제2식별태그가 내장 설치되는 주사기의 재사용 방지를 위한 상기 주사기 수거 및 폐기 처리 관리시스템에 있어서,
    병원 내 설치되어, 사용 전의 주사기 별 상기 제1식별태그 및 제2식별태그 각각에 기록된 식별코드를 읽어 두 개의 식별코드를 하나의 제1페어링 정보로 생성하는 제1리더기;
    상기 제1리더기를 통해 생성된 주사기 별 제1페어링 정보가 수신되며, 수신된 제1페어링 정보를 기반으로 사용 전 상태의 주사기 내역이 기록된 제1주사기 관리 정보를 생성하여 내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관리서버; 및
    상기 병원 내 설치되어, 상기 주시기 중 사용이 완료된 주사기가 투입되며, 사용 완료 후 투입되는 주사기 중 상기 제1식별태그 및 제2식별태그 각각에 기록된 식별코드 모두가 읽어지는 주사기에 한해 내부에 삽입 설치된 수거함으로 이동시키는 주사기 수거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기 재사용 방지를 위한 주사기 수거 및 폐기 처리 관리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사기 수거장치는,
    내부 공간이 상측의 주사기 식별 공간, 중간의 주사기 전처리 공간 및 하측의 수거함 배치 공간으로 구획되어 있으며, 상면 상에는 개방 시 상기 주사기 식별 공간과 외부를 연통시킬 수 있는 투입구가 마련되고, 상기 주사기 식별 공간을 형성하는 가변 프레임이 하강 이동하며 기울어질 시 상기 주사기 식별공간과 상기 주사기 전처리 공간이 연통될 수 있으며, 상기 주사기 전처리 공간과 상기 수거함 배치 공간을 상하로 구획하는 높이 상에 개방 시 상기 주사기 전처리 공간과 상기 수거함 배치 공간을 연통 시킬 수 있는 수거함 이동구가 마련되는 본체;
    상기 주사기 식별 공간을 형성하는 프레임 상 상기 주사기 식별 공간에 투입 안착된 상기 주사기의 실린더와 마주하는 측벽 프레임 외측에 설치되어, 상기 제1식별태그에 기록된 제1식별코드를 읽는 제1식별모듈;
    상기 주사기 식별 공간을 형성하는 프레임 상 상기 주사기 식별 공간에 투입 안착된 상기 주사기의 주사 바늘 및 플런저와 마주하는 양쪽 측벽 프레임 외측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제2식별태그에 기록된 제2식별코드를 읽는 한 쌍의 제2식별모듈; 및
    사용 완료 후 투입되는 상기 주사기가 개방된 상기 투입구를 통해 상기 주사기 식별 공간에 투입되어 상기 제1식별모듈을 통해 제1식별코드가 읽힘과 동시에 상기 제2식별모듈을 통해 제2식별코드 또한 읽힐 경우, 읽어진 제1식별코드 및 제2식별코드를 페어링하여 제2페어링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관리서버에 전송하고, 상기 주사기 식별 공간을 형성하는 가변 프레임을 하강 이동시켜 상기 주사기 전처리 공간으로 식별이 완료된 주사기가 이동될 수 있도록 하는 제어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기 재사용 방지를 위한 주사기 수거 및 폐기 처리 관리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작동상태에 따라 상기 투입구의 개폐를 조절할 수 있는 투입구 개폐부;
    상기 주사기 식별 공간을 형성하는 프레임 상 바닥면을 포함하는 상기 가변 프레임 일측에 연결되어 작동상태에 따라 상기 가변 프레임을 상하로 기울여 상기 주사기 식별공간에 투입된 상기 주사기의 상기 주사기 전처리 공간으로의 이동 여부를 조절할 수 있는 프레임 가변부; 및
    상기 주사기 전처리 공간상에 경사면을 형성하는 프레임 구조로서, 경사면의 하단부가 상기 수거함 이동구를 향하고, 경사면의 상단부가 상기 프레임 가변부의 작동에 의해 상기 가변 프레임이 최하단의 위치로 기울어졌을 경우의 상기 가변 프레임 최하단부와 접해 경사면의 상호 연결이 이루어질 수 있는 이동 경사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제1식별모듈 및 제2식별모듈을 통해 읽어진 제1식별코드와 제2식별코드를 페이링하여 제2페어링 정보를 생성하는 페어링 정보 생성부;
    상기 관리서버와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상기 페어링 정보 생성부를 통해 생성된 제2페어링 정보를 상기 관리서버에 전송하는 통신부; 및
    상기 투입구 개폐부 및 프레임 가변부의 작동상태를 제어하는 동작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통신부로부터 수신되는 제2페어링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제1주사기 관리 정보를 갱신하고, 사용이 완료된 상태의 주사기 내역이 기록된 제2주사기 관리 정보를 생성하여 내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기 재사용 방지를 위한 주사기 수거 및 폐기 처리 관리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 프레임은 상기 프레임 가변부의 작동에 의해 상기 가변 프레임이 최상단의 위치로 기울어져 상기 주사기 식별 공간을 닫힌 공간으로 형성할 시 상기 주사기 식별 공간을 형성하는 프레임 상의 바닥면에 해당하게 되는 상기 가변 프레임의 일부 면이 하방으로 기울어진 구조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기 재사용 방지를 위한 주사기 수거 및 폐기 처리 관리시스템.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주사기 수거장치는,
    상기 주사기 식별공간으로부터 상기 주사기 전처리 공간으로 떨어진 상기 주사기가 경사 이동하게 되는 상기 이동 경사부의 상부 경사면을 마주보는 상기 본체 내부 상기 주사기 전처리 공간상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이동 경사부의 상부 경사면 측으로 UV광을 조사하는 UV 살균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기 재사용 방지를 위한 주사기 수거 및 폐기 처리 관리시스템.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작동상태에 따라 상기 수거함 배치 공간에 해당하는 수거함 설치홈의 개폐를 조절할 수 있는 설치홈 개폐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주사기 수거장치는,
    내부에 주사기 수거 공간이 마련되고, 상기 설치홈 개폐부가 개방된 상태에서 상기 수거함 설치홈에 삽입 설치 가능하며, 상기 수거함 설치홈에 삽입 설치되어 상기 수거함 배치 공간에 배치될 시 상부면의 상기 수거함 이동구 아래 대응되는 위치에 상하로 개방된 수거함 개방구가 구비되는 주사기 수거함;을 더 포함하며,
    상기 주사기 수거함은,
    작동상태에 따라 상기 수거함 개방구의 개폐를 조절하여 상기 수거함 이동구와 상기 수거함 개방구를 통한 상기 주사기 전처리 공간과 상기 주사기 수거 공간 간의 연통 여부가 조절될 수 있도록 하는 개방구 개폐부;
    상기 주사기 수거함 내부 상측 상기 수거함 개방구 주변부에 상기 수거함 개방구로 유입되는 주사기를 감지하여, 수거된 주사기의 개수에 대한수거 수량 정보를 생성하는 수거 감지부;
    상기 주사기 수거함 하부 바닥면 측에 약액 흡수패드의 설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소정의 설치공간을 형성하고, 상부면에 다수의 약액 이동구가 구비되어 상기 주사기 수거 공간에 모여진 사용 완료 상태의 상기 주사기로부터 유출되는 약액이 상기 약액 흡수패드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하는 패드 설치부;
    상기 개방구 개폐부의 작동상태를 제어하는 수거함 제어부;
    상기 제어모듈의 통신부와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구축하여, 상기 통신부를 통해 제2페어링 정보를 수신하는 수거함 통신부; 및
    상기 수거함 통신부를 통해 수신되는 제2페어링 정보 및 상기 수거 감지부를 통해 생성되는 수거 수량 정보를 기록 저장하는 정보 저장부;를 포함하며,
    상기 동작 제어부는 프레임 가변부의 작동상태 제어를 통해 상기 가변 프레임의 위상을 아래로 회전시켜 상기 주사기 식별공간에 투입된 상기 주사기가 상기 주사기 전처리 공간으로 이동되도록 한 뒤, 다시 상기 가변 프레임의 위상을 위로 회전시켜 최초 상태로 회복시키는 일련의 과정이 완료되고 나면 수거함 제어명령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수거함 통신부에 전송되도록 하며,
    상기 수거함 통신부로 상기 수거함 제어명령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수거함 제어부는 상기 개방구 개폐부의 작동상태 제어를 통해 상기 수거함 개방구를 개방시켜 상기 주사기 전처리 공간을 거친 상기 주사기가 상기 수거함 이동구와 상기 수거함 개방구를 통과하여 상기 주사기 수거 공간에 수거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기 재사용 방지를 위한 주사기 수거 및 폐기 처리 관리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주사기 수거함은,
    상기 주사기 수거함 내부 상측 상기 수거함 개방구 아래에 하방으로 기울어진 경사면을 형성하여 상기 수거함 개방구로 유입되는 상기 주사기가 부딪쳐 매번 상기 주사기 수거 공간 내 다양한 임의 위치에 모일 수 있도록 하는 수거함 경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기 재사용 방지를 위한 주사기 수거 및 폐기 처리 관리시스템.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 제어부는 상기 설치홈 개폐부의 작동상태를 제어하고,
    상기 주사기 재사용 방지를 위한 주사기 수거 및 폐기 처리 관리시스템은,
    상기 동작 제어부의 제어를 통해 상기 설치홈 개폐부가 개방된 상기 주사기 수거장치의 상기 수거함 설치홈으로부터 상기 주사기 수거함을 꺼내 상기 주사기 수거함을 주사기 폐기시설로 이동시키는 운반차량에 설치되는 제2리더기;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2리더기는,
    정보의 저장 공간을 제공하는 제1메모리부;
    상기 주사기 수거함의 상기 정보 저장부에 저장된 제2페어링 정보를 읽어 상기 제1메모리부에 저장하는 제1정보 리딩부;
    상기 운반차량의 위치정보를 생성하는 GPS부; 및
    상기 관리서버와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상기 제1메모리부에 저장된 제2페어링 정보와 상기 GPS부를 통해 생성되는 상기 운반차량의 위치정보를 기 설정된 주기마다 페어링한 제3페어링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관리서버에 전송하는 수거함 위치 알림부;를 포함하며,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수거함 위치 알림부로부터 수신되는 제3페어링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제2주사기 관리 정보를 갱신하고, 상기 운반차량을 통해 주사기 폐기시설로 이동 중인 상태의 주사기 내역이 시간에 따라 상기 운반차량의 위치정보와 함께 기록된 제3주사기 관리 정보를 생성하여 내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기 재사용 방지를 위한 주사기 수거 및 폐기 처리 관리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주사기 재사용 방지를 위한 주사기 수거 및 폐기 처리 관리시스템은,
    상기 주사기 폐기시설 내에 설치되며, 상기 운반차량을 통해 상기 주사기 폐기시설로 이동되어 온 상기 주사기 수거함에 폐기 권한정보를 전송하는 제3리더기;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3리더기는,
    정보의 저장 공간을 제공하며, 폐기 권한정보가 저장된 제2메모리부;
    상기 주사기 수거함의 상기 정보 저장부에 저장된 제2페어링 정보를 읽어 상기 제2메모리부에 저장하는 제2정보 리딩부;
    상기 주사기 수거함의 상기 수거함 통신부와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상기 제2메모리부에 저장된 폐기 권한정보를 상기 주사기 수거함에 전송하는 권한정보 전송부;
    상기 관리서버와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상기 제2메모리부에 저장된 제2페어링 정보와 상기 권한정보 전송부를 통해 상기 주사기 수거함에 상기 제2메모리부에 저장된 폐기 권한정보를 전송할 시 생성되는 폐기 알림정보를 페어링한 제4페어링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관리서버에 전송하는 폐기 알림부;를 포함하며,
    상기 주사기 수거함의 상기 정보 저장부 내에는 정당한 폐기 권한정보의 인증을 위한 인증 기준정보가 기 설정 저장되며,
    상기 주사기 수거함은,
    상기 주사기 수거함 일측에 상기 주사기 수거함 내부에 수거되어 모인 상기 주사기를 꺼낼 수 있도록 개폐 가능한 문 형태로 구비된 개폐부분 및 작동상태에 따라 상기 개폐부분의 개폐 가능 여부를 조절하기 위해 상기 개폐부분 일측에 설치되는 잠금부분을 포함하는 수거함 개폐부; 및
    상기 제3리더기의 상기 권한정보 전송부로부터 상기 수거함 통신부를 통해 수신되는 폐기 권한정보를 상기 정보 저장부 내에 저장된 인증 기준정보와 비교하는 폐기 권한 인증을 통해, 일치하는 인증 기준정보가 존재할 시 상기 잠금부분의 작동상태를 해제상태로 제어하여 상기 개폐부분이 개폐 가능한 상태가 되도록 하는 폐기 권한 인증부;를 포함하며,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폐기 알림부로부터 수신되는 제4페어링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제3주사기 관리 정보를 갱신하고, 상기 주사기 폐기시설로 이동되어 폐기 처리되는 상태의 주사기 내역이 기록된 제4주사기 관리 정보를 생성하여 내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기 재사용 방지를 위한 주사기 수거 및 폐기 처리 관리시스템.
KR1020200117630A 2020-09-14 2020-09-14 주사기 재사용 방지를 위한 주사기 수거 및 폐기 처리 관리시스템 KR1024683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7630A KR102468344B1 (ko) 2020-09-14 2020-09-14 주사기 재사용 방지를 위한 주사기 수거 및 폐기 처리 관리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7630A KR102468344B1 (ko) 2020-09-14 2020-09-14 주사기 재사용 방지를 위한 주사기 수거 및 폐기 처리 관리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35637A true KR20220035637A (ko) 2022-03-22
KR102468344B1 KR102468344B1 (ko) 2022-11-17

Family

ID=809918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17630A KR102468344B1 (ko) 2020-09-14 2020-09-14 주사기 재사용 방지를 위한 주사기 수거 및 폐기 처리 관리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68344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082918A1 (en) * 2000-03-22 2004-04-29 Docusys, Inc. Drug delivery and monitoring system
US20040129781A1 (en) * 2003-01-08 2004-07-08 Kreiner Barrett M. System and method for utilizing RF tags to collect data concerning post-consumer resources
US20080139866A1 (en) * 2006-11-09 2008-06-12 Fisher Cherie K Receptacle for medical refuse
JP2008200503A (ja) * 2005-04-06 2008-09-04 Mallinckrodt Inc 医療流体及びその容器に関する情報を管理するシステム及び方法
KR101783894B1 (ko) * 2016-08-01 2017-10-10 박중현 주사기 폐기 장치
KR20180054320A (ko) * 2016-11-15 2018-05-24 주식회사 뮨 사용 주사기 처리 장치
CN111268327A (zh) * 2020-04-07 2020-06-12 西安汇智医疗集团有限公司 一种手术室专用的医疗垃圾智能管理系统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082918A1 (en) * 2000-03-22 2004-04-29 Docusys, Inc. Drug delivery and monitoring system
US20040129781A1 (en) * 2003-01-08 2004-07-08 Kreiner Barrett M. System and method for utilizing RF tags to collect data concerning post-consumer resources
JP2008200503A (ja) * 2005-04-06 2008-09-04 Mallinckrodt Inc 医療流体及びその容器に関する情報を管理するシステム及び方法
US20080139866A1 (en) * 2006-11-09 2008-06-12 Fisher Cherie K Receptacle for medical refuse
KR101783894B1 (ko) * 2016-08-01 2017-10-10 박중현 주사기 폐기 장치
KR20180054320A (ko) * 2016-11-15 2018-05-24 주식회사 뮨 사용 주사기 처리 장치
CN111268327A (zh) * 2020-04-07 2020-06-12 西安汇智医疗集团有限公司 一种手术室专用的医疗垃圾智能管理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68344B1 (ko) 2022-1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534356B2 (en) Medical products storage device including access control
US11900749B2 (en) Fully automated self-divesting cluster screening system
CA2916610C (en) Secure medication transport
KR101069237B1 (ko) 혈액 백들을 수취하고, 보관하고, 배포하기 위한 장치 및방법
CN104700210B (zh) 医疗废弃物监控管理系统
CN109230081B (zh) 一种基于机器人的垃圾管理方法及系统
CN105730935A (zh) 一种医疗废弃物物联网管理的系统和方法
CN105809215A (zh) 一种物联网源头精细化管理医疗废物的系统和方法
US20170061095A1 (en) System and method for bedside medication dispensing
KR20140145132A (ko) 보안 제한을 갖는 제품들의 자동 저장 및 반출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
CN107436998B (zh) 智能药箱、智能药箱的解锁方法以及药物管理系统
CN111985869B (zh) 一种智慧医疗废物暂存库及其出入库操作方法
KR20220035637A (ko) 주사기 재사용 방지를 위한 주사기 수거 및 폐기 처리 관리시스템
CN111467512A (zh) 一种商用消毒柜的智能控制系统
KR101816606B1 (ko) 다양한 전자 센서 모듈에 의한 마약류를 포함하는 특별 관리 의료 제품의 저장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CN111815873B (zh) 一种高安全性储物柜管理方法及系统
CN113674468A (zh) 一种基于金融场所业务库的安全管理系统
CN111429667A (zh) 药品管控机器人及药品管控系统
CN114852553A (zh) 智慧污物间污物处理方法及其装置
CN114558869B (zh) 输液袋回收甄别方法及其系统
CN115006574A (zh) 一种用于自助终端的内部票据消毒方法、系统及介质
CN116758678A (zh) 一种精麻毒药品管控柜、系统及方法
KR20220073887A (ko) 약장 관리 시스템
CN116434428A (zh) 一种药物智能管控柜及方法
CN114590503A (zh) 智慧污物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