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31752A - 주사기 절단 및 분리 배출 장치 - Google Patents

주사기 절단 및 분리 배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31752A
KR20190131752A KR1020180056524A KR20180056524A KR20190131752A KR 20190131752 A KR20190131752 A KR 20190131752A KR 1020180056524 A KR1020180056524 A KR 1020180056524A KR 20180056524 A KR20180056524 A KR 20180056524A KR 20190131752 A KR20190131752 A KR 201901317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yringe
cutting
coupled
needle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565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43483B1 (ko
Inventor
오광빈
김유화
정재학
김남영
노주환
윤지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뮨
Priority to KR10201800565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43483B1/ko
Publication of KR201901317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317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34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34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2Needles; Details of needles pertaining to their connection with syringe or hub; Accessories for bringing the needle into, or holding the needle on, the body; Devices for protection of needles
    • A61M5/3205Apparatus for removing or disposing of used needles or syringes, e.g. containers; Means for protection against accidental injuries from used needles
    • A61M5/3278Apparatus for destroying used needles or syring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2Needles; Details of needles pertaining to their connection with syringe or hub; Accessories for bringing the needle into, or holding the needle on, the body; Devices for protection of needles
    • A61M5/3205Apparatus for removing or disposing of used needles or syringes, e.g. containers; Means for protection against accidental injuries from used needles
    • A61M5/321Means for protection against accidental injuries by used need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2Needles; Details of needles pertaining to their connection with syringe or hub; Accessories for bringing the needle into, or holding the needle on, the body; Devices for protection of needles
    • A61M5/3205Apparatus for removing or disposing of used needles or syringes, e.g. containers; Means for protection against accidental injuries from used needles
    • A61M5/321Means for protection against accidental injuries by used needles
    • A61M2005/3212Blunting means for the sharp end of the need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2Needles; Details of needles pertaining to their connection with syringe or hub; Accessories for bringing the needle into, or holding the needle on, the body; Devices for protection of needles
    • A61M5/3205Apparatus for removing or disposing of used needles or syringes, e.g. containers; Means for protection against accidental injuries from used needles
    • A61M5/3278Apparatus for destroying used needles or syringes
    • A61M2005/3279Breaking syringe nozzles or needle hub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2Needles; Details of needles pertaining to their connection with syringe or hub; Accessories for bringing the needle into, or holding the needle on, the body; Devices for protection of needles
    • A61M5/3205Apparatus for removing or disposing of used needles or syringes, e.g. containers; Means for protection against accidental injuries from used needles
    • A61M5/3278Apparatus for destroying used needles or syringes
    • A61M2005/3282Apparatus for destroying used needles or syringes using mechanical means, e.g. mill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mat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ccommodation For Nursing Or Treatment T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주사기 절단 및 분리 배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주사기 절단 및 분리 배출 장치는 내측 공간을 통해 주사기의 투입이 가능하도록 형성된 투입부재, 제1 장공을 구비하는 상부 쉘과, 상기 상부 쉘에 결합되며 상기 제1 장공과 연통하는 제2 장공을 구비하는 하부 쉘과, 상기 제1, 2 장공을 통해 직선 방향으로 이동하며 상기 투입부재를 전후로 이송시키는 이송부와, 상기 이송부를 이동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본체, 상기 본체의 하측에 배치되어 상기 본체와 결합 가능하게 형성되는 커버몸체와, 상기 투입부재의 전진 이송 시 주사기의 바늘부를 절삭하도록 상기 커버몸체에 구비된 절삭날과, 상기 투입부재를 통해 투입된 주사기의 바늘부를 관통시키는 형상을 가지며, 상기 투입부재의 전진 이송 시 상기 절삭날에 의해 상기 바늘부가 절단되도록 상기 절삭날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상기 바늘부의 이송 방향을 안내하는 포지셔닝 슬릿을 포함하는 일체형 커버, 및 상기 일체형 커버가 개방된 상부를 덮어 결합되며, 상기 절단된 바늘부를 낙하시켜 수용하는 내부의 밀폐 공간을 갖는 손상성 폐기물 통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주사기 절단 및 분리 배출 장치{SYRINGE CUTTING AND SEPARATING DEVICE}
본 발명은 주사기 절단 및 분리 배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주사기는 의료도구 중 하나로서, 몸속에 약물을 투입하거나 또는 혈액을 채혈하는 등의 용도로 사용된다. 다만, 한번 사용한 주사기는 각종 법정전염병과 감염성 질병의 감염을 일으키는 원인이 될 수 있으므로, 반드시 안전하게 폐기되어야 한다.
구체적인 예로서, 병원 등의 의료기관에서 치료용 도구로서 사용된 주사기는 2차 감염을 예방하기 위해 재사용이 금지된다.
이와 같이, 병원 등에서 사용된 주사기는 필수적으로 폐기과정을 거치게 되는데, 폐기과정에서 주사기를 그대로 폐기하는 것이 아니라 주사기의 바늘과 몸체를 분리해서 폐기한다. 이러한 분리 과정에서 자상사고가 발생되는 등 안전 상의 위험이 따르게 된다. 예컨대, 폐주사기에 대한 2차 감염을 차단하기 위해 일부 국가의 병원들은 주사기 사용 후 고열로 용융 산화시키는 장치 등을 이용하여 즉석에서 처리하는 기기를 사용하고 있으나, 국내 병원들은 기존의 감염성폐기물 처리방법(예: 수집 후 일괄처리)을 고수하고 있다. 기존의 감염성폐기물 처리방법은 손으로 직접 또는 손상성 폐기물통의 뚜껑에 위치한 돌기를 이용하여 직접 바늘을 제거해야 했기에 그 과정에서 피나 오염된 약재가 튀는 등의 2차 오염이 유발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방지하고자, 폐기할 주사기의 바늘을 안전하게 제거할 수 있는 방안이 소개되고 있다.
다만, 현재까지 알려진 주사기 바늘 제거 장치의 경우 한번에 하나의 주사기의 바늘을 제거하는 형태로서, 바늘 제거 작업의 효율이 낮았으며, 주사기의 투입은 물론 바늘이 제거된 몸체를 일일이 작업자가 분리 배출해야 하는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선행기술로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1995-0002795호가 있으며, 상기 선행문헌에는 주사침 처리장치에 관한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주사기 사용 후 바늘만을 절단하고, 절단된 바늘은 손상성 폐기물 통에 즉시 투입하여 밀폐시킨 다음 위생적으로 폐기할 수 있으며, 바늘이 제거된 주사기 몸체는 일반 폐기물로 물리적으로 분리하여 폐기할 수 있는 주사기 절단 및 분리 배출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주사기 절단 및 분리 배출 장치는 내측 공간을 통해 주사기의 투입이 가능하도록 형성된 투입부재; 제1 장공을 구비하는 상부 쉘과, 상기 상부 쉘에 결합되며 상기 제1 장공과 연통하는 제2 장공을 구비하는 하부 쉘과, 상기 제1, 2 장공을 통해 직선 방향으로 이동하며 상기 투입부재를 전후로 이송시키는 이송부와, 상기 이송부를 이동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본체; 상기 본체의 하측에 배치되어 상기 본체와 결합 가능하게 형성되는 커버몸체와, 상기 투입부재의 이송 시 주사기의 바늘부를 절삭하도록 상기 커버몸체에 구비된 절삭날과, 상기 투입부재를 통해 투입된 주사기의 바늘부를 관통시키는 형상을 가지며, 상기 투입부재의 전진 이송 시 상기 절삭날에 의해 상기 바늘부가 절단되도록 상기 절삭날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상기 바늘부의 이송 방향을 안내하는 포지셔닝 슬릿을 포함하는 일체형 커버; 및 상기 일체형 커버가 개방된 상부를 덮어 결합되며, 상기 절단된 바늘부를 낙하시켜 수용하는 내부의 밀폐 공간을 갖는 손상성 폐기물 통;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투입부재는, 상부에 위치하며, 주사기의 투입이 용이하도록 상향으로 갈수록 중공단면이 확장된 형상을 갖는 호퍼형 상단몸체; 및 상기 호퍼형 상단몸체의 하부에 연결 형성되며, 상기 호퍼형 상단몸체 하단부의 중공단면과 동일한 크기를 가지며 설정길이로 하향 연장 형성되는 관형 하단몸체를 포함하는 관형 하단몸체;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호퍼형 상단몸체와 상기 관형 하단몸체는 동일한 소재를 이용하여 일체형 구조를 이루도록 제공되되, 투명하거나 또는 반투명하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교환 또는 세척이 가능한 투명 또는 반투명의 연질 또는 비연질 소재를 이용하여 제작할 수 있으며, 주사기의 투입을 용이하게 한 구조로서 본체 자체의 부식 및 오염을 방지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투입부재는 일정 주기(예: 손상성 폐기물 통 교환 주기 등)별로 교환하거나 세척하여 재사용할 수 있는데, 본체의 이송부에 가볍게 결합시키는 방식으로 용이하게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송부는 관형 몸체를 구비하며, 상기 관형 하단몸체는 상기 관형 몸체를 관통하여 내측으로 삽입 가능한 크기 및 형상을 가지며, 상기 관형 몸체의 상하 높이에 대응하는 길이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 쉘은, 상기 제1 장공을 따라 하향 돌출되어 상기 하부 쉘과 결합 시 상기 제2 장공을 향해 연장되는 내부돌기와, 상기 상부 쉘의 일측에 마련되며, 전원 공급을 위한 배터리가 수납되는 배터리 수납 팩이 슬라이딩 결합되는 수납 홈과, 상기 수납 홈이 마련된 일측을 제외한 상기 내부돌기의 외측을 통해 ㄷ 형상으로 제공되어 ㄷ형 회로기판과 상기 구동부를 내장하여 설치공간부를 구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ㄷ형 회로기판은 상부 쉘에 내장되는데, 예를 들어, 전원 및 충전 회로, 모터 작동 회로, 주사기 투입을 감지하는 투입 감지 센서, 다수의 리미트 스위치, 작동 감지 스위치 및 정보 표시용 LED 등을 다수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부 쉘은, 상기 상부 쉘과 결합 시 상기 배터리 수납 팩이 삽입된 상기 수납 홈을 개폐하도록 상기 하부 쉘의 일측에 힌지 연결되어 회동하는 회동 커버와, 상기 하부 쉘의 타측에서 상기 구동부의 구동모터를 내측에 수용하도록 박스 형상으로 하향 돌출되는 장착 돌기와, 상기 하부 쉘의 배면에서 상기 제2 장공의 외측으로 이격하여 상기 제2 장공의 길이 방향을 따라 직선 형상으로 나란히 하향 돌출되는 복수의 직선돌기를 구비하며, 상기 하부 쉘과 상기 상부 쉘 간의 결합 부위를 통해 소정의 크기를 갖는 직선 형상 틈새가 마련되고, 상기 이송부는 상기 직선 형상 틈새를 관통하는 연결 플레이트를 구비하고 상기 연결 플레이트를 통해 상기 구동부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동부는, 상하로 관통된 제1 직선 가이드 홀이 구비된 제1 길이 방향 프레임과, 상기 제1 길이 방향 프레임과 나란하게 배치되며 상기 제1 직선 가이드 홀과 평행을 이루어 상하로 관통된 제2 직선 가이드 홀이 구비된 제2 길이 방향 프레임과, 상기 제1, 2 길이 방향 프레임을 교차하여 연결하는 폭 방향 프레임을 포함하는 구동프레임; 상기 폭 방향 프레임의 하부에 배치되어 회전력을 발생시키며, 회전축에 구동기어가 결합되는 구동모터; 상기 제1 길이 방향 프레임에 고정된 전, 후방 지지블록에 의해 상기 제1 길이 방향 프레임을 하측에 나란하게 결합되는 제1 스크류와, 상기 제1 스크류의 회전에 연동하여 전, 후 이동하며 상기 제1 직선 가이드 홀 내에 삽입되는 제1 삽입 돌기를 갖는 제1 직선이송블록과, 상기 제1 스크류의 후단에 결합되는 제1 회전몸체와, 상기 제1 회전몸체로부터 후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구동기어와 기어 연결되는 피동기어를 포함하는 제1 스크류 블록 조립체; 상기 제2 길이 방향 프레임에 고정된 전, 후방 지지블록에 의해 상기 제2 길이 방향 프레임을 하측에 나란하게 결합되는 제2 스크류와, 상기 제2 스크류의 회전에 연동하여 전, 후 이동하며 상기 제2 직선 가이드 홀 내에 삽입되는 제2 삽입 돌기를 갖는 제2 직선이송블록과, 상기 제2 스크류의 후단에 결합되는 제2 회전몸체를 포함하는 제2 스크류 블록 조립체; 및 상기 제1, 2 회전몸체 사이를 연결하여 회전력을 전달하는 연동벨트;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동프레임을 통해 구동모터와 한 쌍의 스크류가 장착되며 이송부는 한 쌍의 스크류의 회전에 연동하여 전후 이동하는 제1, 2 직선이송블록에 결합되어 직선 운동을 하게 된다. 이 경우, 구동모터의 토크를 강화시키기 위해 구동기어와 기어 연결되는 피동기어를 제1 스크류의 후단에 직접 연결할 수 있으며, 단일의 구동모터를 이용하면서도 연동벨트를 사용하여 제1, 2 스크류를 동시에 구동시킬 수 있으며, 제1, 2 직선이송블록의 상단으로 돌출된 제1, 2 삽입 돌기가 제1, 2 직선 가이드 홀을 따라 전후로 안내되어 이동하므로 구동프레임 자체가 레일 역할을 하여 별도의 레일이 요구되지 않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이송부의 양측으로 돌출 형성된 복수의 연결 플레이트는 상기 하부 쉘과 상기 상부 쉘 간의 결합 부위에 마련된 직선 형상 틈새를 통해 상기 제1, 2 직선이송블록까지 연장되며, 상기 복수의 연결 플레이트와 상기 제1, 2 직선이송블록은 체결나사를 이용하여 체결될 수 있다. 여기서, 이송부는 상, 하부 쉘 사이의 결합 부위에 마련된 미세한 직선 형상의 틈새를 통해 제1, 2 직선이송블록과 연결될 수 있어 구동부의 외부 노출을 최소화시킬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본체 내부의 부식 및 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일체형 커버는 상기 하부 쉘의 장착 돌기가 삽입 고정되는 장착 홈을 구비하고, 상기 절삭날은 상기 포지셔닝 슬릿의 말단 위치에 대응하여 상기 커버몸체의 배면을 통해 교체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장착 홈을 기준으로 상기 포지셔닝 슬릿의 반대 편에는 일반 폐기물을 투입 가능한 일반 폐기물 투입 홀이 제공되고, 상기 일반 폐기물 투입 홀은 별도로 회동 조작되는 개폐 플레이트에 의해 개폐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손상성 폐기물 통의 내측 상단에는 개방 부위가 확장된 단차형상부가 구비되고, 상기 커버몸체의 가장자리에는 외측으로 더 돌출된 테두리확장부가 구비되며, 상기 테두리확장부는 상기 단차형상부에 안착되어 상기 손상성 폐기물 통의 내부를 밀폐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일체형 커버는 상부 일측을 통해 포지셔닝 슬릿이 위치하고, 상부 중앙에는 하부 쉘의 장착 돌기가 삽입 고정되도록 장착 돌기의 형상에 대응하는 장착 홈이 위치하고, 상부 타측에는 일반 폐기물을 투입 가능한 일반 폐기물 투입 홀이 위치한다. 그리고 절삭날이 포지셔닝 슬릿의 외관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지 않을 수 있어 사고 위험을 줄일 수 있으며, 사용자의 감염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일체형 커버 상에 장착 홈을 마련하여 사용자는 본체를 손쉽게 일체형 커버 위에 올리는 작업만으로도 장착이 가능할 수 있으며, 일반 폐기물 투입 홀의 개폐 플레이트를 닫은 상태에서 손상성 폐기물 통을 신속하게 밀봉시켜 폐기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주사기 절단 및 분리 배출 장치의 폐기물 투입구 또는 투입구 측면에 바늘이 박히는 것을 고려하여 투입구 및 투입구 측면에 보강 층이 더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주사기 절단 및 분리 배출 장치는 주사기의 투입을 감지할 수 있다. 그리고 영상 분석을 통해 주사기의 투입 여부와 투입된 주사기의 종류의 분석이 가능할 수 있다. 나아가, 주사기의 투입 감지를 통해 획득된 정보를 이용하여 주사기의 처방, 사용 이력과 비교하여 폐기시의 데이터를 수집하여, 주사기의 라이프 사이클을 전체적으로 모니터링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주사기 사용 후 바늘만을 절단하고, 절단된 바늘은 손상성 폐기물 통에 즉시 투입하여 밀폐시킨 다음 위생적으로 폐기할 수 있으며, 바늘이 제거된 주사기 몸체는 일반 폐기물로 물리적으로 분리하여 폐기할 수 있다. 그 결과 주사기의 폐기 과정이 위생적이며, 주사기의 재사용이 방지될 수 있으며, 주사기의 폐기 중 자상사고 감염 등을 예방할 수 있으며, 폐기 비용을 절약하고 폐기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유리한 기술적인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절삭날이 결합된 커버부의 구성은 손상성 폐기물 통과 동시에 밀봉하여 폐기할 수 있어 별도의 커버부 착탈 작업이 요구되지 않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본체에는 교체 사용 가능한 깔때기 형상의 주사기 투입부가 장착됨에 따라, 주사기의 투입이 용이하며, 본체의 부식 및 오염을 예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주사기 투입부를 일정 주기(예: 손상성 폐기물 통의 교환 주기 등)로 교환 또는 세척할 수 있어 보다 위생적인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본체의 쉘을 통해 배터리 커버부가 외부로 개폐 가능하게 형성되어 배터리 교환이 손쉬우며, 본체의 하부에는 다수의 돌기가 구비되어 커버부와의 결합 시 위치 정렬이 손쉬운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이송부는 본체를 구성하는 상, 하부 쉘 사이의 미세한 틈새만을 통해 스크류 블록과 연동되어, 구동부의 외부 노출을 최소화하고 구동부의 부식 또는 오염을 방지하여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회로기판은 본체를 구성하는 상부 쉘의 내측에 삽입 장착될 수 있어, 상, 하부 쉘의 결합 시 외부 노출이 방지되어 부식 또는 오염을 방지하여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구동부는 회로기판과 마찬가지로 상부 쉘에 조립 가능한데, 한 쌍의 스크류는 벨트로 연동되어 단일의 모터를 사용하면서도 이송부가 흔들림 없이 수평 자세를 안정적으로 유지하면서 일정한 속도로 이송할 수 있도록 해주는 장점이 있다. 나아가, 스크류 블록과 구동부 프레임 자체가 레일 역할을 하므로 별도의 레일부재의 사용을 배제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술한 효과와 더불어 본 발명의 구체적인 효과는 이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을 설명하면서 함께 기술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사기 절단 및 분리 배출 장치를 간략히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사기 절단 및 분리 배출 장치를 간략히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사기 절단 및 분리 배출 장치를 간략히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사기 절단 및 분리 배출 장치를 간략히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사기 절단 및 분리 배출 장치를 간략히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사기 절단 및 분리 배출 장치를 구성하는 투입부재와 본체를 간략히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사기 절단 및 분리 배출 장치를 구성하는 투입부재와 본체를 간략히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사기 절단 및 분리 배출 장치의 본체를 구성하는 이송부와 구동부를 간략히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사기 절단 및 분리 배출 장치의 본체를 구성하는 이송부와 구동부를 간략히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사기 절단 및 분리 배출 장치의 본체를 구성하는 상부 쉘과 하부 쉘을 결합 형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사기 절단 및 분리 배출 장치의 본체를 구성하는 상부 쉘과 하부 쉘이 분리된 모습을 보여주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사기 절단 및 분리 배출 장치의 본체를 구성하는 상부 쉘의 배면 형상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사기 절단 및 분리 배출 장치의 본체를 간략히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사기 절단 및 분리 배출 장치의 작동 방식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사기 절단 및 분리 배출 장치를 이용하여 주사기의 절단 및 분리 배출되는 작용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사기 절단 및 분리 배출 장치의 일체형 커버와 손상성 폐기물 통이 결합된 모습을 간략히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사기 절단 및 분리 배출 장치의 일체형 커버를 간략히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사기 절단 및 분리 배출 장치의 일체형 커버를 간략히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사기 절단 및 분리 배출 장치의 일체형 커버를 간략히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사기 절단 및 분리 배출 장치의 일체형 커버를 간략히 도시한 배면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 차례, 순서 또는 개수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다른 구성 요소가 "개재"되거나, 각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를 통해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구현함에 있어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성요소를 세분화하여 설명할 수 있으나, 이들 구성요소가 하나의 장치 또는 모듈 내에 구현될 수도 있고, 혹은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수의 장치 또는 모듈들에 나뉘어져서 구현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사기 절단 및 분리 배출 장치를 간략히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주사기 절단 및 분리 배출 장치를 간략히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3은 주사기 절단 및 분리 배출 장치를 간략히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4는 주사기 절단 및 분리 배출 장치를 간략히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주사기 절단 및 분리 배출 장치(1000)는 투입부재(100), 본체(200), 일체형 커버(300), 및 손상성 폐기물 통(400)을 포함한다.
투입부재(100)는 내측 공간을 통해 주사기(S)의 투입이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본체(200)는 제1 장공(211)을 구비하는 상부 쉘(210)과, 상부 쉘(210)에 결합되며 제1 장공(211)과 연통하는 제2 장공(231)을 구비하는 하부 쉘(230)을 포함한다. 여기서, 제1, 2 장공(211, 231)은 본체(200)의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직사각형의 홀을 의미하는데, 후술할 이송부(260)가 이동하는 공간으로 이용된다.
이송부(260)는 제1, 2 장공(211, 231)을 통해 직선 방향으로 이동하는데, 투입부재(100)는 이송부(260)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이송부(260)의 직선 방향 이동에 연동하여 투입된 주사기를 전후로 이송시킬 수 있다.
본체(200)는 이송부(260)와 함께 이송부(260)의 이동에 필요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270)를 포함한다.
일체형 커버(300)는 본체(200)의 하측에 배치되어 본체(200)와 결합 가능하게 형성되는 커버몸체(310)를 포함하며, 이에 더하여 커버몸체(310)를 통해 구비된 절삭날(350)과 포지셔닝 슬릿(340)을 더 포함한다.
커버몸체(310)는 후술할 손상성 폐기물 통(400)의 개방된 상부를 덮어 결합되어 손상성 폐기물 통(400)을 외부로부터 밀봉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커버몸체(310)는 손상성 폐기물 통(400)의 개방된 상부의 크기 및 형상에 대응하는 뚜껑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절삭날(350, 도 20 참조)은 투입부재(100)의 전진 이송 시 주사기의 바늘부를 절삭하는 커팅 수단으로서, 커버몸체(310)를 통해 교체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예컨대, 복수의 체결 나사를 통해 조립되어 구비될 수 있다.
포지셔닝 슬릿(340)은 투입부재(100)를 통해 투입된 주사기의 바늘부만을 관통시키는 다수의 슬릿 홀을 갖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포지셔닝 슬릿(340)은 절삭날(350)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주사기의 바늘부를 이송시키도록 바늘부의 이송 방향을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이로써, 투입부재(100)가 이송부(260)에 의해 전진 이송되면 포지셔닝 슬릿(340)을 관통하여 아래로 돌출된 주사기의 바늘부는 절삭날(350)에 의해 절단될 수 있다.
손상성 폐기물 통(400)은 개방된 상부를 제외한 나머지 면이 전부 밀폐된 구조를 갖는 박스 형상의 용기로서, 개방된 상부에는 일체형 커버(300), 즉 커버몸체(310)가 덮여 뚜껑 형태로 결합된다.
이와 같은 구조를 갖는 손상성 폐기물 통(400)은 바늘부의 절단 후 낙하된 바늘부를 수용하여 밀폐 보관한다.
도 5는 주사기 절단 및 분리 배출 장치를 간략히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투입부재(100)는 호퍼형 상단몸체(110)와, 관형 하단몸체(120)를 포함한다.
호퍼형 상단몸체(110)는 투입부재(100)의 상부에 위치하며, 주사기의 투입이 용이하도록 상향으로 갈수록 중공단면이 확장된 형상을 갖는 호퍼형 구조를 가질 수 있다.
관형 하단몸체(120)는 호퍼형 상단몸체(110)의 하부에 연결되는데, 바람직하게는 호퍼형 상단몸체(110) 하단부의 중공단면과 동일한 크기를 가지며 설정길이로 하향 연장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때, 관형 하단몸체(120)는 이송부(260)의 내측에 삽입될 수 있는 크기 및 형상을 갖는다.
또한, 호퍼형 상단몸체(110)와 관형 하단몸체(120)는 동일한 소재를 이용하여 일체형 구조를 갖도록 사출 등의 방법으로 투명 또는 반투명한 형태로 성형 제작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투입부재(100)는 사용 후 교환되거나 또는 사용 후 세척이 가능한 부재로서, 투명 또는 반투명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그리고 투입부재(100)는 연질 또는 비연질 소재로 제작 가능한데, 주사기의 투입을 용이하게 해주며, 이로써 본체(200)의 부식 및 오염을 방지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서, 투입부재(100)는 일정 주기, 예를 들어 손상성 폐기물 통의 교환 주기에 따라 함께 교환하여 사용하거나 세척하여 재사용할 수 있다. 특히 투입부재(100)의 하단부를 이루는 관형 하단몸체(120)는 이송부(260)에 손쉽게 슬라이딩 삽입시켜 사용자가 손쉽게 장착하여 사용하거나 사용 후 탈거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6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투입부재, 본체 간의 결합 관계 및 본체를 구성하는 세부 구성요소의 결합 및 작동 관계를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도 6 및 도 7은 투입부재와 본체를 간략히 도시한 사시도 및 분해사시도이며, 도 8 및 도 9는 이송부와 구동부를 간략히 도시한 사시도 및 분해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10은 상부 쉘과 하부 쉘을 결합 형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11은 상부 쉘과 하부 쉘이 분리된 모습을 보여주는 분해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12는 상부 쉘의 배면 형상을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13은 본체를 간략히 도시한 저부사시도이다.
이송부(260)는 도 6 내지 도 9에 도시되 바와 같이 관형 몸체(261)를 구비한다. 이에 따라, 투입부재(100, 도 5 참조)의 하단부, 즉 관형 하단몸체(120, 도 5 참조)는 관형 몸체(261)를 관통하여 내측으로 삽입 될 수 있다. 이 때문에, 바람직하게는 투입부재의 관형 하단몸체(120, 도 5 참조)는 이송부(260)의 관형 몸체(261)의 상하 높이에 대응하는 길이를 갖도록 연장시켜 형성할 수 있다.
본체(200)는 상부 쉘(210)을 포함할 수 있다. 상부 쉘(210)은 제1 장공(211)을 따라 하향 돌출되어 하부 쉘(230)과 결합 시 상기 제2 장공(231)을 향해 연장되는 내부돌기(212)를 구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내부돌기(212)는 제1, 2 장공(211, 231)과 동일한 형상으로 돌출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부 쉘(210)은 도 7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에 수납 홈(213)을 구비할 수 있다. 수납 홈(213)은 상부 쉘(210)의 일측에 마련되며, 전원 공급을 위한 배터리(216)가 수납되는 배터리 수납 팩(215)이 슬라이딩 결합되는 홈 부위를 의미한다.
이에 더하여, 상부 쉘(210)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을 통해 설치공간부(217)를 구비할 수 있다. 설치공간부(217)는 수납 홈(213)이 마련된 일측을 제외한 내부돌기(212)의 외측을 통해 ㄷ 형상으로 제공되어 ㄷ형 회로기판(250)과 구동부(270)의 일부를 내장하여 결합시킬 수 있는 공간으로 이용된다. 이에 따라, ㄷ형 회로기판(250)은 상부 쉘(210)의 내측에 안정적으로 수납 가능하며, 외부로부터 차단될 수 있어 부식 또는 오염 등을 방지할 수 있으며, 내구 수명을 증가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ㄷ형 회로기판(250)은 전원 및 충전 회로, 모터 작동 회로, 주사기 투입을 감지하는 투입 감지 센서, 다수의 리미트 스위치, 작동 감지 스위치 및 정보 표시용 LED 등을 다수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관용의 센싱 수단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체(200)는 상부 쉘(210)의 하측에 결합되는 하부 쉘(230)을 포함할 수 있다. 하부 쉘(230)은 도 7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쉘(210)과 결합 시 수납 홈(213)을 개폐하는 회동 커버(232)를 구비한다. 회동 커버(232)는 하부 쉘(230)의 일측 단부를 통해 힌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하부 쉘(230)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착 돌기(233)를 구비할 수 있다. 장착 돌기(233)는 하부 쉘(230)의 타측에서 구동부(270)의 구동모터(273)를 내측에 수용하도록 박스 형상으로 하향 돌출된 돌출 부위를 말한다. 장착 돌기(233)는 일체형 커버(300)의 장착 홈(330, 도 17 참조)에 끼워지는데, 이러한 끼움 결합을 통해 본체(200)와 일체형 커버(300, 도 17 참조) 간의 결합이 이루어진다. 또한, 하부 쉘(230)의 배면에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직선돌기(237)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복수의 직선돌기(237)는 하부 쉘(230)의 배면에서 제2 장공(231)의 외측으로 이격하여 제2 장공(23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직선 형상으로 나란히 하향 돌출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본체(200)는 복수의 직선돌기(237)에 의해 일체형 커버(300)의 상부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안정적으로 안착될 수 있다.
한편, 하부 쉘(230)과 상부 쉘(210) 간의 결합 부위를 통해 미세한 크기의 직선 형상 틈새(235, 도 13 참조)가 제공될 수 있다. 이송부(260)는 연결 플레이트(263, 도 10 참조)를 구비하는데, 연결 플레이트(263, 도 10 참조)는 직선 형상 틈새(235, 도 13 참조)를 관통하여 구동부(270)(더 구체적으로는, 제1, 2 직선이송블록)에 연결되며, 직선 이동에 필요한 구동력을 제공받을 수 있다.
구동부(270)는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프레임(271), 구동모터(273), 제1 스크류 블록 조립체(275), 제2 스크류 블록 조립체(277), 및 연동벨트(274)를 포함한다.
구동프레임(271)은 제1 길이 방향 프레임(2713)과, 제2 길이 방향 프레임(2715)과, 폭 방향 프레임(2711)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제1 길이 방향 프레임(2713)은 상하로 관통된 제1 직선 가이드 홀(2714)을 구비한다. 그리고 제2 길이 방향 프레임(2715)은 제1 길이 방향 프레임(2713)과 나란하게 배치되는데, 제1 직선 가이드 홀(2714)과 평행을 이루어 상하로 관통된 제2 직선 가이드 홀(2716)을 구비한다. 그리고 폭 방향 프레임(2711)은 제1, 2 길이 방향 프레임(2713, 2715)을 교차하여 연결한다.
구동모터(273)는 폭 방향 프레임(2711)의 하부에 배치되며, 회전력을 발생시키는데, 발생된 회전력은 구동모터(273)의 회전축에 결합된 구동기어(2731)를 통해 출력된다.
제1 스크류 블록 조립체(275)는 제1 스크류(2751)와, 제1 직선이송블록(2752)과, 제1 회전몸체(2754)와, 피동기어(2755)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는, 제1 스크류(2751)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길이 방향 프레임(2713)에 고정된 전, 후방 지지블록(2757, 2759)에 의해 제1 길이 방향 프레임(2713)을 하측에 나란하게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직선이송블록(2752)은 제1 스크류(2751)의 회전에 연동하여 전, 후 이동하며 제1 직선 가이드 홀(2714) 내에 삽입되는 제1 삽입 돌기(2753)를 갖는다. 그리고 제1 회전몸체(2754)는 제1 스크류(2751)의 후단에 결합된다. 그리고 제1 회전몸체(2754)의 후방에는 구동기어(2731)와 기어 연결되는 피동기어(2755)가 돌출 구비된다. 이로써, 구동모터(273)의 회전축에 결합된 구동기어(2731)를 통해 출력된 회전력은 제1 회전몸체(2754)와 제1 스크류(2751)를 함께 회전시키며, 제1 직선이송블록(2752)을 전, 후 이동시킨다.
제2 스크류 블록 조립체(277)는 제2 스크류(2771)와, 제2 직선이송블록(2772)과, 제2 회전몸체(2774)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는, 제2 스크류(2771)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길이 방향 프레임(2715)에 고정된 전, 후방 지지블록(2777, 2779)에 의해 제2 길이 방향 프레임(2715)을 하측에 나란하게 결합된다. 그리고 제2 직선이송블록(2772)은 제2 스크류(2771)의 회전에 연동하여 전, 후 이동하며 제2 직선 가이드 홀(2716) 내에 삽입되는 제2 삽입 돌기(2773)를 갖는다. 그리고 제2 회전몸체(2774)는 제2 스크류(2771)의 후단에 결합된다. 이때, 제1, 2 회전몸체(2754, 2774) 사이에는 서로 간의 동력을 전달하여 함께 회전하도록 구성되는 연동벨트(274)가 더 구비되어, 제1, 2직선이송블록(2752, 2772)은 동일한 변위 및 속도를 가지면서 전, 후로 이동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동프레임(271)을 통해 구동모터(273)와 제1, 2 스크류(2751, 2771)가 장착되고, 이송부(260)는 제1, 2 스크류(2751, 2771)의 회전에 연동하여 전후 이동하는 제1, 2 직선이송블록(2752, 2772)에 결합되어 직선 운동을 할 수 있다. 이때, 구동모터(273)의 회전축에 결합되는 구동기어(2731)가 제1 스크류(2751)의 후단에 결합된 피동기어(2755)와 직접 기어 연결됨에 따라 토크를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연동벨트(274)를 사용함으로써 단일의 구동모터(273)를 이용하여 제1, 2 스크류(2751, 2771)를 동시에 회전시킬 수 있어 효율을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제1, 2 직선이송블록(2752, 2772)의 상단으로 돌출된 제1, 2 삽입 돌기(2753, 2773)가 제1, 2 직선 가이드 홀(2714, 2716)을 따라 전후로 안내되어 직선 이동을 하므로 구동프레임(271) 자체가 레일 역할을 하여 별도의 레일이 요구되지 않는 장점이 있다.
한편, 이송부(260)의 양측으로 돌출 형성된 복수의 연결 플레이트(263, 도 9 참조)는 하부 쉘(230)과 상부 쉘(210) 간의 결합 부위에 마련된 직선 형상 틈새(235, 도 13 참조)를 통해 제1, 2 직선이송블록(2752, 2772)까지 연장될 수 있다. 그리고 복수의 연결 플레이트(263, 도 9 참조)와 제1, 2 직선이송블록(2752, 2772)은 체결나사(265, 도 9 참조)를 이용하여 체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이송부(260)는 상, 하부 쉘(210, 230) 사이의 결합 부위에 마련된 미세한 직선 형상의 틈새를 통해 제1, 2 직선이송블록(2752, 2772)과 연결될 수 있어 구동부(270)의 외부 노출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그 결과 주사기의 절단 작업 중 주사기 몸체부 또는 바늘부를 통해 본체(200)의 내부로 수분이 침투하는 것을 최대한 억제할 수 있으며, 이로써 본체(200) 내부의 부식 및 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주사기 절단 및 분리 배출 장치의 작동 방식에 관하여 도 14 및 도 15를 참조하여 간략히 살펴보기로 한다.
도 14는 주사기 절단 및 분리 배출 장치의 작동 방식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들이고, 도 15는 주사기 절단 및 분리 배출 장치를 이용하여 주사기의 절단 및 분리 배출되는 작용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이송부(260, 도9 참조)는 구동부(270, 도 9 참조)에 포함된 제1, 2 직선이송블록(2752, 2772, 도 9 참조)과 연결되어 상, 하부 쉘(210, 230)을 관통하는 제1, 2 장공(211, 231)을 따라 본체(200)의 길이 방향으로 전, 후 이동할 수 있다.
도 1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송부(260, 도 9 참조)에 투입부재(100)가 결합되고, 투입부재(100)를 통해 주사기(S)가 투입될 수 있다. 도 1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투입부재(100)를 통해 주사기(S)가 투입되면, 도 14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투입부재(100)는 이송부(260, 도 9 참조)와 함께 본체(200)의 길이 방향(W)으로 직선 이동한다. 그리고 주사기(S)도 투입부재(100)와 본체(200)의 길이 방향(W)으로 이송되며 일체형 커버(300)에 결합된 절삭날(350, 도 20 참조)에 의해 주사기(S)의 바늘부(S1, 도 15 참조)는 절단된다.
도 15의(a)를 참조하면, 투입부재(100)가 본체(200)의 길이 방향으로 이송되며, 이때, 주사기(S)의 바늘부(S1)가 일체형 커버(300)에 결합된 절삭날(350, 도 20 참조)에 의해 절단되는 과정을 확인할 수 있다. 절단된 바늘부(S1)는 손상성 폐기물 통(400) 내부로 낙하되어 주사기 몸체부(S2)와 별도로 분리 배출될 수 있다. 도 15의 (b)를 참조하면 주사기 몸체부(S2)는 바늘부(S1)와 다른 경로를 통해 배출되는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이하, 도 16 내지 도 20을 참조하여 일체형 커버 및 손상성 폐기물 통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6은 주사기 절단 및 분리 배출 장치의 일체형 커버와 손상성 폐기물 통이 결합된 모습을 간략히 도시한 도면이고, 도 17 내지 도 20은 주사기 절단 및 분리 배출 장치의 일체형 커버를 도시한 사시도, 정면도, 평면도, 배면도이다.
도 16 내지 도 20을 참조하면, 일체형 커버(300)는 커버몸체(310)와, 절삭날(350), 포지셔닝 슬릿(340)을 포함한다.
커버몸체(310)는 본체(200, 도 15 참조)의 하측에 배치되어 본체(200)와 결합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절삭날(350, 도 20 참조)은 투입부재(100, 도 15 참조)의 전진 이송 시 주사기의 바늘부(S1, 도 15 참조)를 절삭하도록 커버몸체(310)에 구비된다.
포지셔닝 슬릿(340)은 투입부재(100)를 통해 투입된 주사기의 바늘부(S1)를 관통시키는 형상을 가진다. 그리고 투입부재(100, 도 15 참조)의 전진 이송 시 절삭날(350, 도 20 참조)에 의해 전진 이송하는 바늘부(S1, 도 15 참조)가 절단되도록 절삭날(350, 도 20 참조)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바늘부(S1, 도 15 참조)의 이송을 안내한다.
한편, 손상성 폐기물 통(400)은 절단된 바늘부(S1, 도 15 참조)를 낙하시켜 수용하는 박스 형태의 용기로서, 상부만이 개방되며, 개방된 상부를 제외한 나머지 면이 밀폐된 공간을 가질 수 있다. 일체형 커버(300)는 손상성 폐기물 통(400)의 개방된 상부를 덮어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서, 손상성 폐기물 통(400)의 내측 상단에는 개방 부위가 확장된 단차형상부(410, 도 5 참조)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커버몸체(310)의 가장자리에는 외측으로 더 돌출된 테두리확장부(320)가 구비될 수 있다. 테두리확장부(320)는 단차형상부(410)에 안착되어 손상성 폐기물 통(400)의 내부를 밀폐시킬 수 있다. 즉, 단차진 결합 부위를 통해 손상성 폐기물 통(400)과 일체형 커버(300) 간의 밀봉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일체형 커버(300)는 하부 쉘(230)의 장착 돌기(233, 도 5 참조)가 삽입되어 위치 고정될 수 있는 장착 홈(330)을 구비할 수 있는데, 장착 홈(330)의 위치 및 형상은 장착 돌기(233, 도 5 참조)의 위치 및 형상에 따라 조금씩 변경되어도 무방하다.
그리고 절삭날(350, 도 20 참조)은 포지셔닝 슬릿(340)의 말단 위치에 대응하여 커버몸체(310)의 배면을 통해 교체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서 절삭날(350)은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지셔닝 슬릿(340)의 말단 부위에 배치되는데, 포지셔닝 슬릿(340)의 슬릿 홀 방향에 교차하는 형태로 커버 몸체(310)의 가장자리에 근접하여 설치 고정된다.
한편, 장착 홈(330)을 기준으로 절삭날(350, 도 20 참조)과 포지셔닝 슬릿(340)이 배치된 반대 편에는 일반 폐기물을 투입 가능한 일반 폐기물 투입 홀(360)이 제공될 수 있는데, 그 상부에는 일반 폐기물 투입 홀(360)은 개폐하기 위한 개폐 플레이트(370)가 회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일체형 커버(300)는 상부 일측을 통해 포지셔닝 슬릿(240)이 위치하고, 상부 중앙에는 하부 쉘(230)의 장착 돌기(233, 도 5 참조)가 삽입 고정되도록 장착 돌기의 형상에 대응하는 장착 홈이 위치한다. 그리고 상부 타측에는 일반 폐기물을 투입 가능한 일반 폐기물 투입 홀(360)이 위치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절삭날(350, 도 20 참조)이 포지셔닝 슬릿(340)의 외관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 구조를 가짐에 따라 안전 사고의 위험을 줄일 수 있으며 사용자의 감염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는 일체형 커버(300) 상에 본체(200, 도 15 참조)를 손쉽게 안착시켜 결합하거나 또는 결합된 본체를 손쉽게 들어 올리는 작업만으로도 본체와 일체형 커버(300) 간의 결합 및 분리가 가능해질 수 있어, 사용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그리고 일반 폐기물 투입 홀(360)의 개폐 플레이트(370)를 닫은 상태에서 손상성 폐기물 통을 신속하게 밀봉시켜 폐기할 수 있다.
한편, 폐기물 투입구 또는 폐기물 투입구 측면에 바늘이 박히는 것을 고려하여 투입구 및 투입구 측면에 보강 층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주사기의 투입을 감지할 수 있다. 그리고 영상 분석을 통해 주사기의 투입 여부와 투입된 주사기의 종류의 분석이 가능한 이미지 프로세싱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는데, 이는 교체 또는 업그레이드가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주사기 투입을 감지함으로써 획득된 정보를 이용하여 주사기의 처방, 사용 이력과 비교하여 폐기시의 데이터를 수집하여, 주사기의 라이프 사이클을 전체적으로 모니터링 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유리한 기술적 효과가 있다.
첫째, 주사기 사용 후 바늘만을 절단하고, 절단된 바늘은 손상성 폐기물 통에 즉시 투입하여 밀폐시킨 다음 위생적으로 폐기할 수 있으며, 바늘이 제거된 주사기 몸체는 일반 폐기물로 물리적으로 분리하여 폐기할 수 있다. 그 결과 주사기의 폐기 과정이 위생적이며, 주사기의 재사용이 방지될 수 있으며, 주사기의 폐기 중 자상사고 감염 등을 예방할 수 있으며, 폐기 비용을 절약하고 폐기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유리한 기술적인 효과가 있다.
둘째, 절삭날이 결합된 커버부의 구성은 손상성 폐기물 통과 동시에 밀봉하여 폐기할 수 있어 별도의 커버부 착탈 작업이 요구되지 않는 장점이 있다.
셋째, 본체에는 교체 사용 가능한 깔때기 형상의 주사기 투입부가 장착됨에 따라, 주사기의 투입이 용이하며, 본체의 부식 및 오염을 예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주사기 투입부를 일정 주기(예: 손상성 폐기물 통의 교환 주기 등)로 교환 또는 세척할 수 있어 보다 위생적인 장점이 있다.
넷째, 본체의 쉘을 통해 배터리 커버부가 외부로 개폐 가능하게 형성되어 배터리 교환이 손쉬우며, 본체의 하부에는 다수의 돌기가 구비되어 커버부와의 결합 시 위치 정렬이 손쉬운 장점이 있다.
다섯째, 이송부는 본체를 구성하는 상, 하부 쉘 사이의 미세한 틈새만을 통해 스크류 블록과 연동되어, 구동부의 외부 노출을 최소화하고 구동부의 부식 또는 오염을 방지하여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여섯째, 회로기판은 본체를 구성하는 상부 쉘의 내측에 삽입 장착될 수 있어, 상, 하부 쉘의 결합 시 외부 노출이 방지되어 부식 또는 오염을 방지하여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일곱째, 구동부는 회로기판과 마찬가지로 상부 쉘에 조립 가능한데, 한 쌍의 스크류는 벨트로 연동되어 단일의 모터를 사용하면서도 이송부가 흔들림 없이 수평 자세를 안정적으로 유지하면서 일정한 속도로 이송할 수 있도록 해주는 장점이 있다. 나아가, 스크류 블록과 구동부 프레임 자체가 레일 역할을 하므로 별도의 레일부재의 사용을 배제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술한 효과와 더불어 본 발명의 구체적인 효과는 이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을 설명하면서 함께 기술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대해서 예시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자명하다.
S: 주사기
S1: 바늘부
S2: 몸체부
1000: 주사기 절단 및 분리 배출 장치
100: 투입부재
110: 호퍼형 상단몸체
120: 관형 하단몸체
200: 본체
210: 상부 쉘
211: 제1 장공
212: 내부돌기
213: 수납 홈
215: 배터리 수납 팩
216: 배터리
217: 설치공간부
230: 하부 쉘
231: 제2 장공
232: 회동 커버
233: 장착 돌기
234: 장착 돌기 내부 홈
235: 직선 형상 틈새
237: 직선돌기
250: 회로기판
260: 이송부
261: 관형 몸체
263: 연결 플레이트
265: 체결나사
270: 구동부
271: 구동프레임
2711: 폭 방향 프레임
2713: 제1 길이 방향 프레임
2714: 제1 직선 가이드 홀
2715: 제2 길이 방향 프레임
2716: 제2 직선 가이드 홀
273: 구동모터
2731: 구동기어
274: 연동벨트
275: 제1 스크류 블록 조립체
2751: 제1 스크류
2752: 제1 직선이송블록
2753: 제1 삽입 돌기
2754: 제1 회전몸체
2755: 피동기어
2757: 전방 지지블록
2759: 후방 지지블록
277: 제2 스크류 블록 조립체
2771: 제2 스크류
2772: 제2 직선이송블록
2773: 제2 삽입 돌기
2774: 제2 회전몸체
2777: 전방 지지블록
2779: 후방 지지블록
300: 일체형 커버
310: 커버몸체
320: 테두리확장부
330: 장착 홈
340: 포지셔닝 슬릿
350: 절삭날
360: 일반 폐기물 투입 홀
370: 개폐 플레이트
400: 손상성 폐기물 통
410: 단차형상부

Claims (10)

  1. 내측 공간을 통해 주사기의 투입이 가능하도록 형성된 투입부재;
    제1 장공을 구비하는 상부 쉘과, 상기 상부 쉘에 결합되며 상기 제1 장공과 연통하는 제2 장공을 구비하는 하부 쉘과, 상기 제1, 2 장공을 통해 직선 방향으로 이동하며 상기 투입부재를 전후로 이송시키는 이송부와, 상기 이송부를 이동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본체;
    상기 본체의 하측에 배치되어 상기 본체와 결합 가능하게 형성되는 커버몸체와, 상기 투입부재의 전진 이송 시 주사기의 바늘부를 절삭하도록 상기 커버몸체에 구비된 절삭날과, 상기 투입부재를 통해 투입된 주사기의 바늘부를 관통시키는 형상을 가지며, 상기 투입부재의 전진 이송 시 상기 절삭날에 의해 상기 바늘부가 절단되도록 상기 절삭날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상기 바늘부의 이송 방향을 안내하는 포지셔닝 슬릿을 포함하는 일체형 커버; 및
    상기 일체형 커버가 개방된 상부를 덮어 결합되며, 상기 절단된 바늘부를 낙하시켜 수용하는 내부의 밀폐 공간을 갖는 손상성 폐기물 통;
    을 포함하는 주사기 절단 및 분리 배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투입부재는,
    상부에 위치하며, 주사기의 투입이 용이하도록 상향으로 갈수록 중공단면이 확장된 형상을 갖는 호퍼형 상단몸체; 및
    상기 호퍼형 상단몸체의 하부에 연결 형성되며, 상기 호퍼형 상단몸체 하단부의 중공단면과 동일한 크기를 가지며 설정길이로 하향 연장 형성되는 관형 하단몸체를 포함하는 관형 하단몸체;
    를 포함하는 주사기 절단 및 분리 배출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호퍼형 상단몸체와 상기 관형 하단몸체는 동일한 소재를 이용하여 일체형 구조를 이루도록 제공되되, 투명하거나 또는 반투명하게 형성되는
    주사기 절단 및 분리 배출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부는 관형 몸체를 구비하며, 상기 관형 하단몸체는 상기 관형 몸체를 관통하여 내측으로 삽입 가능한 크기 및 형상을 가지며, 상기 관형 몸체의 상하 높이에 대응하는 길이로 연장 형성되는
    주사기 절단 및 분리 배출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쉘은,
    상기 제1 장공을 따라 하향 돌출되어 상기 하부 쉘과 결합 시 상기 제2 장공을 향해 연장되는 내부돌기와,
    상기 상부 쉘의 일측에 마련되며, 전원 공급을 위한 배터리가 수납되는 배터리 수납 팩이 슬라이딩 결합되는 수납 홈과,
    상기 수납 홈이 마련된 일측을 제외한 상기 내부돌기의 외측을 통해 ㄷ 형상으로 제공되어 ㄷ형 회로기판을 내장하는 설치공간부를 구비하는
    주사기 절단 및 분리 배출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쉘은,
    상기 하부 쉘의 타측에서 상기 구동부의 구동모터를 내측에 수용하도록 박스 형상으로 하향 돌출되는 장착 돌기와,
    상기 하부 쉘의 배면에서 상기 제2 장공의 외측으로 이격하여 상기 제2 장공의 길이 방향을 따라 직선 형상으로 나란히 하향 돌출되는 복수의 직선돌기를 구비하며,
    상기 하부 쉘과 상기 상부 쉘 간의 결합 부위를 통해 소정의 크기를 갖는 직선 형상 틈새가 마련되고, 상기 이송부는 상기 직선 형상 틈새를 관통하는 연결 플레이트를 구비하는
    주사기 절단 및 분리 배출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하로 관통된 제1 직선 가이드 홀이 구비된 제1 길이 방향 프레임과, 상기 제1 직선 가이드 홀과 평행을 이루는 제2 직선 가이드 홀이 구비된 제2 길이 방향 프레임과, 상기 제1, 2 길이 방향 프레임을 연결하는 폭 방향 프레임을 포함하는 구동프레임;
    상기 폭 방향 프레임의 하부에 배치되어 회전력을 발생시키며, 회전축에 구동기어가 결합되는 구동모터;
    상기 제1 길이 방향 프레임을 하측에 나란하게 결합되는 제1 스크류와, 상기 제1 스크류의 회전에 연동하여 전, 후 이동하는 제1 직선이송블록과, 상기 제1 스크류의 후단에 결합되는 제1 회전몸체와, 상기 제1 회전몸체로부터 후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구동기어와 연결되는 피동기어를 포함하는 제1 스크류 블록 조립체;
    상기 제2 길이 방향 프레임을 하측에 나란하게 결합되는 제2 스크류와, 상기 제2 스크류의 회전에 연동하여 전, 후 이동하는 제2 직선이송블록과, 상기 제2 스크류의 후단에 결합되는 제2 회전몸체를 포함하는 제2 스크류 블록 조립체; 및
    상기 제1, 2 회전몸체 사이를 연결하여 회전력을 전달하는 연동벨트;
    를 포함하는 주사기 절단 및 분리 배출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부의 양측으로 돌출 형성된 복수의 연결 플레이트와 상기 제1, 2 직선이송블록은 체결나사를 이용하여 연결되는
    주사기 절단 및 분리 배출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일체형 커버는 상기 하부 쉘의 장착 돌기가 삽입 고정되는 장착 홈을 구비하고,
    상기 장착 홈을 기준으로 상기 포지셔닝 슬릿의 반대 편에는 일반 폐기물을 투입 가능한 일반 폐기물 투입 홀이 제공되고,
    상기 일반 폐기물 투입 홀은 별도로 회동 조작되는 개폐 플레이트에 의해 개폐되는
    주사기 절단 및 분리 배출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손상성 폐기물 통의 내측 상단에는 개방 부위가 확장된 단차형상부가 구비되고, 상기 커버몸체의 가장자리에는 외측으로 더 돌출된 테두리확장부가 구비되며, 상기 테두리확장부는 상기 단차형상부에 안착되어 상기 손상성 폐기물 통의 내부를 밀폐시키는
    주사기 절단 및 분리 배출 장치.
KR1020180056524A 2018-05-17 2018-05-17 주사기 절단 및 분리 배출 장치 KR1021434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6524A KR102143483B1 (ko) 2018-05-17 2018-05-17 주사기 절단 및 분리 배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6524A KR102143483B1 (ko) 2018-05-17 2018-05-17 주사기 절단 및 분리 배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1752A true KR20190131752A (ko) 2019-11-27
KR102143483B1 KR102143483B1 (ko) 2020-08-11

Family

ID=687298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56524A KR102143483B1 (ko) 2018-05-17 2018-05-17 주사기 절단 및 분리 배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4348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177431A (zh) * 2021-11-23 2022-03-15 孙弟 一种使用过注射器针头针管分类装置
KR20220109791A (ko) * 2021-01-29 2022-08-05 인천대학교 산학협력단 바늘이 구비된 의료기구용 안전처리장치

Citation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469750A (en) * 1967-03-24 1969-09-30 Becton Dickinson Co Automatic syringe disposal device
US4255996A (en) * 1979-11-19 1981-03-17 American Hospital Supply Corporation Needle destroyer with improved mechanical advantage
EP0123247A2 (en) * 1983-04-15 1984-10-31 Biosafety Systems, Inc. Hypodermic needle disposal system
JPS62227367A (ja) * 1986-03-28 1987-10-06 井上 昭治 針処理装置
WO1990000074A1 (en) * 1988-07-04 1990-01-11 Eiji Kiyono Injection needle remover
EP0370336A2 (fr) * 1988-11-15 1990-05-30 Bruno Germain Dispositif monocoque polyfonctionnel pour le démontage et le stockage étanche d'instruments médicaux et chirurgicaux
GB2254787A (en) * 1991-04-15 1992-10-21 Errol Arthur Landsberg A device for use in detaching hypodermic needles
JPH0680428U (ja) * 1993-05-06 1994-11-15 再春環境工程有限公司 注射器廃棄処理装置
KR970057083U (ko) * 1996-04-04 1997-11-10 조재만 주사기니들수거함
KR200238184Y1 (ko) * 1999-05-17 2001-09-25 이기형 일회용 주사기의 주사바늘 분리수거기
KR200257312Y1 (ko) * 2001-09-13 2001-12-24 (주)신아양행 일회용 주사기의 주사바늘 회수용기
KR200257319Y1 (ko) * 1998-10-30 2002-05-13 이기형 일회용주사기의주사바늘절단기
US20040188295A1 (en) * 2001-07-11 2004-09-30 Nick Hansen Sharps containers
KR101417752B1 (ko) * 2013-12-16 2014-07-14 마이다스시스템주식회사 주사기의 니들 자동 분리수거기
KR101462118B1 (ko) * 2014-07-11 2014-12-09 주식회사 헤즈테크놀로지 주사용 캐눌라 제거기
KR20170003370A (ko) * 2015-06-30 2017-01-09 김성수 감염성 폐기물의 밀폐용기
US20170209230A1 (en) * 2014-07-31 2017-07-27 Nipro Corporation Syringe needle disposal container

Patent Citation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469750A (en) * 1967-03-24 1969-09-30 Becton Dickinson Co Automatic syringe disposal device
US4255996A (en) * 1979-11-19 1981-03-17 American Hospital Supply Corporation Needle destroyer with improved mechanical advantage
EP0123247A2 (en) * 1983-04-15 1984-10-31 Biosafety Systems, Inc. Hypodermic needle disposal system
JPS62227367A (ja) * 1986-03-28 1987-10-06 井上 昭治 針処理装置
WO1990000074A1 (en) * 1988-07-04 1990-01-11 Eiji Kiyono Injection needle remover
EP0370336A2 (fr) * 1988-11-15 1990-05-30 Bruno Germain Dispositif monocoque polyfonctionnel pour le démontage et le stockage étanche d'instruments médicaux et chirurgicaux
GB2254787A (en) * 1991-04-15 1992-10-21 Errol Arthur Landsberg A device for use in detaching hypodermic needles
JPH0680428U (ja) * 1993-05-06 1994-11-15 再春環境工程有限公司 注射器廃棄処理装置
KR970057083U (ko) * 1996-04-04 1997-11-10 조재만 주사기니들수거함
KR200257319Y1 (ko) * 1998-10-30 2002-05-13 이기형 일회용주사기의주사바늘절단기
KR200238184Y1 (ko) * 1999-05-17 2001-09-25 이기형 일회용 주사기의 주사바늘 분리수거기
US20040188295A1 (en) * 2001-07-11 2004-09-30 Nick Hansen Sharps containers
KR200257312Y1 (ko) * 2001-09-13 2001-12-24 (주)신아양행 일회용 주사기의 주사바늘 회수용기
KR101417752B1 (ko) * 2013-12-16 2014-07-14 마이다스시스템주식회사 주사기의 니들 자동 분리수거기
KR101462118B1 (ko) * 2014-07-11 2014-12-09 주식회사 헤즈테크놀로지 주사용 캐눌라 제거기
US20170209230A1 (en) * 2014-07-31 2017-07-27 Nipro Corporation Syringe needle disposal container
KR20170003370A (ko) * 2015-06-30 2017-01-09 김성수 감염성 폐기물의 밀폐용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09791A (ko) * 2021-01-29 2022-08-05 인천대학교 산학협력단 바늘이 구비된 의료기구용 안전처리장치
CN114177431A (zh) * 2021-11-23 2022-03-15 孙弟 一种使用过注射器针头针管分类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43483B1 (ko) 2020-08-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93574B1 (ko) 주사기 바늘 제거 장치
EP2742926B1 (en) Infusion mixing device
KR101165489B1 (ko) 정제 충전 장치
CN111376318B (zh) 注射器切割及分离排出装置
KR20190131752A (ko) 주사기 절단 및 분리 배출 장치
EP1875856A1 (en) Endoscope cleaning/disinfecting device
KR101936943B1 (ko) 사용 주사기 처리 장치
KR102324167B1 (ko) 주사기 절단 및 분리 배출 장치의 연결판 및 이를 포함하는 주사기 절단 및 분리 배출 장치
KR20130120995A (ko) 광 파이버 커터 수납 케이스
KR20190131753A (ko) 주사기 절단 및 분리 배출 장치
EP3797676A1 (en) Endoscope reprocessor
KR102119020B1 (ko) 주사기 절단 및 분리 배출 장치의 분리판
CN213158524U (zh) 自动剪输液管针头的利器盒
WO2008047661A1 (en) Partition plate usable for v-measure in medicine holding machine
CN114194713B (zh) 安瓿瓶配液装置、系统
KR102119013B1 (ko) 주사기 절단 및 분리 배출 장치
JP2002019705A (ja) 薬剤分包機
TWI707706B (zh) 用於藥物輸送裝置的廢棄物容器、和用於在廢棄物容器內處理的藥物輸送裝置
KR102620815B1 (ko) 바늘이 구비된 의료기구용 안전처리장치
CN114308985B (zh) 一种静配中心细胞毒性药物泄露应急回收装置
CN220916115U (zh) 宠物粪便打包机构及宠物厕所
CN214494372U (zh) 一种可随身携带的利器盒
CN211224906U (zh) 收纳容器及医用利器收纳装置
CN113023018B (zh) 一种金属杆自动拆包装置
CN211534856U (zh) 一种方便分类每个病人用药的锐器盒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