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38184Y1 - 일회용 주사기의 주사바늘 분리수거기 - Google Patents

일회용 주사기의 주사바늘 분리수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38184Y1
KR200238184Y1 KR2019990008404U KR19990008404U KR200238184Y1 KR 200238184 Y1 KR200238184 Y1 KR 200238184Y1 KR 2019990008404 U KR2019990008404 U KR 2019990008404U KR 19990008404 U KR19990008404 U KR 19990008404U KR 200238184 Y1 KR200238184 Y1 KR 20023818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edle
plate
syringe
support plate
coll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0840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20925U (ko
Inventor
김승렬
이영석
Original Assignee
이기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기형 filed Critical 이기형
Priority to KR201999000840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38184Y1/ko
Publication of KR2000002092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2092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3818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38184Y1/ko

Link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 Accommodation For Nursing Or Treatment Tabl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Anesthesiology (AREA)
  • Hemat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일회용 주사기의 주사바늘 분리수거기에 관한 것으로, 종래에는 환자에게 사용한 주사기를 폐기실 또는 폐기통에서 수거하여 주사바늘을 분리수거하기 위한 분리작업을 실시해 왔으나, 이 작업은 환자의 병원균이 분리작업을 실시하는 작업자에게 이차감염의 위험이 있어, 많은 시간과 인력을 투입하여 매우 조심스럽게 실시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도 2내지 도 6에 표현된 바와 같이, 회동가능한 지지판(12)과 분리판(14)이 설치된 덮개판(10)과 수거기본체(30)로 이루어져 주사기(1)가 지지판(12)의 삽입홀(26)과 분리판(14)의 이중홈(28)에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주사기(1)를 수직하방향으로 눌러주는 것만으로 주사바늘(3)을 주사기(1)로 부터 안전하게 분리수거 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의료종사자나 폐기물 취급자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으며, 특히 그 처리과정이 단순하면서도 분리수거를 정확하게 실시할 수 있으므로 시간적으로나 경제적인 재활용 측면에서 그 효율성이 증대되는 효과를 얻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일회용 주사기의 주사바늘 분리수거기{Separately gathering equipment for injection needle of disposable injector.}
본 고안은 일회용 주사기의 주사바늘 수거기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수거기본체의 상부판에 회동가능한 지지판과 분리판을 설치하여 사용한 일회용 주사기를 집어넣고 누르는 것으로 주사바늘이 주사기로 부터 분리되어 주사기 사용자(의료인)나 분리수거자의 안전을 보다 확실히 확보할 수 있도록 한 일회용 주사기의 주사바늘 분리수거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병원이나 의원과 같은 의료기관에서는 치료받고 있는 환자들을 다른 병원균으로 부터 2차감염을 예방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하고 있는 주사기는 반드시 일회 사용하고 폐기처리 할 수 있는 일회용 주사기를 사용하도록 되어있다.
상기와 같은 일회용 주사기는 첨부된 도 1 에 표현된 바와 같이 프라스틱재의 주사기몸체(2)와 금속재의 주사바늘(3) 및 주사바늘(3)을 보호하기 위한 프라스틱재의 보호캡(4)으로 이루어져 살균처리된 상태로 비닐지(5)로 밀폐포장되어 병원이나 의원과 같은 의료기관에 공급되고 있다.
상기 일회용 주사기(1)는 현재 병원이나 의원과 같은 의료기관에서 보편적으로 널리 사용하고 있는데, 일회용 주사기(1)를 의료기관에서 사용하는 순서를 설명하면 먼저 주사기(1)를 밀폐된 상태로 포장하고 있는 비닐지(5)를 제거하고, 보호캡(4)이 끼워져 있는 주사바늘(3)을 주사기몸체(2)에 끼워 일체를 이루게 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주사바늘(3)에 끼워져 있는 보호캡(4)을 제거하고 주사기에 주사액을 흡입 충진시킨 후, 다시 보호캡(4)을 끼운 상태에서 주사실 또는 병실로 이동하여 환자에게 주사액을 투입하게 되는데, 이때 환자의 주사부위를 먼저 소독처리 하고 주사바늘에 끼워져 있는 보호캡(4)을 제거한 후, 환자에게 주사액을 투입하게 된다.
이와 같이 환자에게 주사액을 투입한 주사기(1)는 주사바늘(3)에 보호캡(4)을 다시 끼운 다음 주사기 폐기실 또는 폐기통으로 이동하여 프라스틱재인 보호캡(4)과 주사기몸체(2)는 프라스틱재 수거용 페기통에 버리고, 금속재인 주사바늘(3)은 금속재 수거용 폐기통에 버려 주사기(1)의 각 부품을 재질에 따라 분리 수거하여 페기하게 된다.
이때, 주사바늘(3)에 끼워져 있는 보호캡(4)을 여러번에 걸쳐 반복적으로 끼우거나 분리할 때, 여러 가지 문제점이 발생이 되는데 이를 설명하면 먼저 일회용 주사기를 직접적으로 가장 많이 사용하는 의사나 간호사와 같은 의료종사자들은 병원균에 노출된 주사바늘(3)에 찔리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되어 주사바늘(3)에 의해 환자를 치료하고 있던 의사나 간호사와 같은 의료 종사자들이 병원균에 감염되었다.
또한, 폐기실 또는 폐기통에 분리수거된 일회용 주사기(1)의 각 부품들을 수거해 가는 분리수거 취급자들은 어떤 병에 걸려 치료를 받고 있는지도 모르는 다수의 환자들에게 사용된 주사바늘(3)을 수거하기 위해 손으로 직접 만지다 보면 본인도 모르게 각종 병원균에 완전히 노출된 상태에서 수거작업을 하게 됨으로 각종 병원균에 감염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폐기실 또는 폐기통에 모아진 일회용 주사기(1)의 각종 부품들중에서 분리수거가 이루어지지 않았을 경우, 분리수거 취급자들은 이를 꺼내어 분리해 내야되는데 이러한 작업은 매우 위험스러워 조심스럽게 많은 시간과 인력을 투입하여 작업을 실시해야 함으로 시간적 경제적 손실을 가져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의 일회용 주사기가 지닌 문제점을 해소하기위해 안출된 것으로, 수거기본체의 상부판에 회동가능한 지지판과 분리판을 설치하여 사용한 일회용 주사기를 집어넣고 누르는 것으로 주사바늘이 주사기로 부터 분리되어 주사기 사용자(의료인)나 분리수거자의 안전을 보다 확보할 수 있도록 한 일회용 주사기의 주사바늘 수거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자 형상의 지지판과
'┓'자 형상의 분리판이 회동가능하도록 설치된 상부판과 직사각형상의 수거기본체로 이루어지되, 상기 상부판은 그 중앙에 관통홀을 형성하고, 상기 관통홀의 양측에 힌지축을 갖춘 수직하방향의 지지부를 형성하며, 상기 지지부에 지지판과 분리판을 결합시키되, 상기 지지판의 일단이 분리판의 상부에 위치하고, 상기 분리판과 일측의 지지부사이에는 복원스프링을 설치하며, 특히 지지판과 분리판에는 삽입홀과 직경이 서로 다른 이중홈을 형성하여 주사기의 주사바늘을 분리해 수거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따라서, 환자에게 주사액을 투입한 일회용 주사기의 주사바늘을 상부판의 관통홀을 통해 외부에 노출된 지지판의 삽입홀에 주사바늘을 포함한 주사기의 하부를 삽입하고, 수직하방으로 압력을 가하면 상기 지지판이 회동되면서 분리판을 눌러줘분리판이 회동되고, 이때 분리판의 이중홈에 주사바늘의 상단부가 걸리게 되어 회동되는 분리판에 의해 주사바늘이 분리가 되므로, 각종 병원균에 노출된 주사기의 처리과정이 끝나게 되어 의료종사자나 폐기물 취급자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으며, 특히 그 처리과정이 단순하면서도 분리수거를 확실하게 실시할 수 있으므로 시간적으로나 경제적인 효율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도 1 은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일회용 주사기를 나타낸 사시도,
도 2 는 본 고안에 따른 주사바늘 분리수거기의 전체 사시도,
도 3 은 도 2의 종단면도,
도 4 는 본 고안에 따른 주사바늘 분리수거기의 요부 확대사시도,
도 5 의 (가)와 (나) 및 (다)는 본 고안에 따른 주사바늘 분리수거기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종단면도이다.
< 도면중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덮개판, 12 - 지지판,
14 - 분리판, 16 - 관통홀,
18·19 - 힌지축, 20·22 - 지지부,
24 - 복원스프링, 26 - 삽입홀,
28 - 이중홀, 30 - 수거기본체.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고하여 그 구성과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자 형상의 지지판(12)과 ' ┓'자 형상의 분리판(14)이 회동가능하도록 설치된 덮개판(10)과 직사각형상의 수거기본체(30)로 이루어지되, 상기 덮개판(10)은 그 중앙에 관통홀(16)을 형성하고, 상기 관통홀(16)의 양측에 힌지축(18)(19)을 갖춘 수직하방향의 지지부(20)(22)를 형성하며, 상기 지지부(20)(22)에 지지판(12)과 분리판(14)을 결합시키되, 상기 지지판(10)의 일단이 분리판(12)의 상부에 위치하고, 상기 분리판(14)과 일측의 지지부(22)사이에는 복원스프링(24)을 설치하며, 특히 지지판(10)과 분리판(12)에는 삽입홀(26)과 직경이 서로다른 이중홈(28)을 형성하여 주사기의 주사바늘을 분리해 수거할 수 있도록 한 일회용 주사기의 주사바늘 수거기이다.
상기 수거기본체(30)의 일면은 필요에 따라 덮개판(10)의 중앙에 형성된 관통홀(16)을 밀봉시킬 수 있는 단층면(32)을 갖추게 하여 상기 관통홀(16)을 밀봉시키는 밀봉시트(34)가 부착되어 있다.
도면중 미 설명부호 40과 42는 힌지축(18)(19)에 끼워지는 지지판(12)과 분리판(14)을 고정시켜주는 고정너트 이고, 44는 복원스프링(24)을 걸수 있도록 지지부(22)의 상부에 형성된 걸이부이며, 46은 수거기본체(30)에 내장되어 수거되는 주사바늘(3)을 모아 폐기처리 할 수 있는 수거용기이고, 주사기의 각 부분에 대한 부호와 그 설명은 종래의 설명을 인용하여 설명한다.
예시도면 도 2 와 도 3 은 본 고안에 따른 주사바늘 절단기의 전체 사시도와 종단면도이고, 예시도면 도 4 는 본 고안에 따른 주사바늘 수거기의 요부 확대 사시도로서, 분리된 주사바늘(3)을 수거할 수 있도록 직사각형상으로 이루어진 수거기본체(30)와 상기 수거기본체(30)의 상부에 얹어져 강제끼움식으로 결합되는 덮개판(10)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전체형상이 직사각육면체를 이루고 있다.
상기 덮개판(10)은 그 중앙에 직사각형상의 관통홀(16)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관통홀(16)의 양측 하부에는 힌지축(18)(19)을 갖춘 수직하방향의 지지부(20)(22)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지지부(20)(22)에는 '┏ '형상의 지지판(12)과 ' ┓'형상의 분리판(14)이 힌지축(18)(19)에 의해 축결합을 이루어 회동가능하도록 일체를 이루고, 특히 상기 지지판(12)이 분리판(14)의 상부에 얹어진 상태로 결합을 이루고 있다.
상기 지지판(12)과 분리판(14)에는 각각 삽입홀(26)과 직경이 상이한 이중홀(28)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분리판(14)의 일측과 지지부(22)의 걸이부(44) 사이에는 복원스프링(24)이 탄지되어 있어 지지판(12)과 함께덮개판(10)의 하면에 밀착상태를 이루고 있다.
예시도면 도 5 의 (가)와 (나) 및 (다)는 본 고안에 따른 주사바늘 수거기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종단면도로서, 덮개판(10)의 중앙에 형성되어 있는 관통홀(16)을 통해 외부에 노출되어 있는 지지판(12)의 삽입홀(26)에 주사바늘(3)이 삽입되면 상기 삽입홀(26)의 상단에 주사기몸체(6)의 하단부가 걸리게 되고, 주사바늘(3)의 상단부는 분리판(14)의 이중홀(28) 하단부에 걸리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주사기(1)를 수직하방향으로 밀어주게 되면 지지부(20)의 힌지축(18)에 축결합을 이루고 있는 지지판(12)이 화살표(시계방향)와 같이 회전됨과 동시에 지지판(12)이 분리판(14)을 하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이중홀(28)에 걸려있는 주사바늘(3)은 분리판(14)이 하방향(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되고, 이와는 반대로 지지판(12)이 시계방향으로 회전됨으로 주사바늘(3)이 결합된 상태의 주사기몸체(2)는 도면상 우측으로 이동되면서 자연적으로 분리판(14)의 이중홈(28) 안쪽으로 끼워지게 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주사기(1)를 수직하방향으로 밀어주게 되면 분리판(14)의 이중홈(28)에 걸려 있는 주사바늘(3)은 주사기몸체(2)로 부터 분리가 되어 수거기본체(30)에 주사바늘(3)이 모아지게 되고, 주사기몸체(2)를 지지판(12)의 삽입홀(26)로 부터 빼내게 되면 분리판(14)의 일측에 설치되어 있는 복원스프링(24)의 탄발력에 의해 분리판(14)을 복원(시계방향)시키면서,지지판(12)을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서 덮개판(10)의 하면에 밀착되는 원상태를 이루게 된다.
이와 같이 주사기(1)로 부터 분리된 주사바늘(3)은 수거기본체(30) 내에 수거가 되어 일정양의 주사바늘(3)이 수거되면, 수거기본체(30)의 일면의 단층면(32)에 부착되어 있는 밀봉시트(34)를 이용하여 덮개판(10)의 관통홀(16)을 밀봉시킨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수거기본체(30)와 덮개판(10)을 분리시키고, 수거기본체(30)내에 내장된 수거용기(46)을 탈거시키고 새로운 수거용기(46)를 끼워넣어 재사용을 할 수 있도록 되어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을 이용하면 의료기관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일회용 주사기의 주사바늘을 간단하게 수거할 수 있으며, 상기 수거기본체(30)와 지지판(12)과 분리판(14)을 갖춘 덮개판(10)의 형상은 보편적인 하나의 예를 들어 설명한 것으로,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그 형상과 구성의 변형이 가능하며, 본 고안의 요지라 할 수 있는 회동가능한 지지판(12)과 분리판(14)의 재질, 그 경도 및 그 각도를 한정한 것은 아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회동가능한 지지판(12)과 분리판(14)이 설치된 덮개판(10)과 수거기본체(30)로 이루어져 주사기(1)가 지지판(12)의 삽입홀(26)과 분리판(14)의 이중홈(28)에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주사기(1)를 수직하방향으로 눌러주는 것만으로 주사바늘(3)을 주사기(1)로 부터 안전하게 분리수거 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의료종사자나 폐기물 취급자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으며, 특히 그 처리과정이 단순하면서도 분리수거를 확실하게 실시할 수 있으므로 시간적으로나 경제적인 재활용 측면에서 그 효율성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 '자 형상의 지지판(12)과 ' ┓'자 형상의 분리판(14)이 회동가능하도록 설치된 덮개판(10)과 직사각형상의 수거기본체(30)로 이루어지되, 상기 덮개판(10)은 그 중앙에 관통홀(16)을 형성하고, 상기 관통홀(16)의 양측에 힌지축(18)(19)을 갖춘 수직하방향의 지지부(20)(22)를 형성하며, 상기 지지부(20)(22)에 지지판(12)과 분리판(14)을 결합시키되, 상기 지지판(12)의 일단이 분리판(14)의 상부에 위치하고, 상기 분리판(14)과 일측의 지지부(22)사이에는 복원스프링(24)을 설치하며, 특히 지지판(12)과 분리판(14)에는 삽입홀(26)과 직경이 서로 다른 이중홈(28)을 형성하여 주사기의 주사바늘을 분리해 수거할 수 있도록 한 일회용 주사기의 주사바늘 분리수거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수거기본체(30)의 일면에는 밀봉시트(34)를 갖출수 있도록 하여 덮개판(10)의 중앙에 형성된 관통홀(16)을 필요에 따라 밀봉시킬 수 있도록 하고, 수거기본체(30)의 내부에는 수거용기(46)을 내장하여 원활하게 주사바늘을 수거할 수 있도록 한 일회용 주사기의 주사바늘 분리수거기.
KR2019990008404U 1999-05-17 1999-05-17 일회용 주사기의 주사바늘 분리수거기 KR20023818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8404U KR200238184Y1 (ko) 1999-05-17 1999-05-17 일회용 주사기의 주사바늘 분리수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8404U KR200238184Y1 (ko) 1999-05-17 1999-05-17 일회용 주사기의 주사바늘 분리수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20925U KR20000020925U (ko) 2000-12-15
KR200238184Y1 true KR200238184Y1 (ko) 2001-09-25

Family

ID=547629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08404U KR200238184Y1 (ko) 1999-05-17 1999-05-17 일회용 주사기의 주사바늘 분리수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38184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31753A (ko) * 2018-05-17 2019-11-27 주식회사 뮨 주사기 절단 및 분리 배출 장치
KR20190131752A (ko) * 2018-05-17 2019-11-27 주식회사 뮨 주사기 절단 및 분리 배출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392429B (zh) * 2022-02-28 2023-11-28 周萍 一种一次性注射器回收处理箱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31753A (ko) * 2018-05-17 2019-11-27 주식회사 뮨 주사기 절단 및 분리 배출 장치
KR20190131752A (ko) * 2018-05-17 2019-11-27 주식회사 뮨 주사기 절단 및 분리 배출 장치
KR102143483B1 (ko) 2018-05-17 2020-08-11 주식회사 뮨 주사기 절단 및 분리 배출 장치
KR102143485B1 (ko) 2018-05-17 2020-08-11 주식회사 뮨 주사기 절단 및 분리 배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20925U (ko) 2000-1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608476B2 (ja) 鋭利物を安全にバッグに入れる装置
US5395338A (en) Surgical instrument sharp end foil
US5584816A (en) Hardpack shield for a pivoting needle guard
US4913309A (en) Disposal container and transport case for infectious and hazardous waste material
KR200238184Y1 (ko) 일회용 주사기의 주사바늘 분리수거기
JPH02206462A (ja) 採血針処理装置
CN101466323A (zh) 医疗用品的无菌包装
JP3705416B2 (ja) 手術用縫合針カウンター
TWM502672U (zh) 生物醫療廢棄物回收裝置
CN205381604U (zh) 一种医用利器盒
KR100287780B1 (ko) 일회용 주사기의 주사바늘 자동절단기
KR200257319Y1 (ko) 일회용주사기의주사바늘절단기
KR100896347B1 (ko) 일회용 주사기의 주사바늘 회수용기
CN212038483U (zh) 废弃血液透析穿刺针处理盒
CN215019147U (zh) 一种无接触针头取出的锐器盒
CN210064072U (zh) 一种医疗锐器收容装置
RU83061U1 (ru) Контейнер для отходов, преимущественно медицинских
JP3030234U (ja) 使用済み注射針離脱器具
CN213851086U (zh) 一种多功能治疗盘
CN215384679U (zh) 一种适用于股静脉穿刺手术的耗材容纳包
CN214181351U (zh) 一种锐器脱离处理箱
JPH01250255A (ja) 注射針処理器
CN215938613U (zh) 一种改良式安全型医疗利器盒
JPH0326275A (ja) 医療器具の針のための安全除去・処理装置
CN211094750U (zh) 一种改良型多功能治疗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706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