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57319Y1 - 일회용주사기의주사바늘절단기 - Google Patents

일회용주사기의주사바늘절단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57319Y1
KR200257319Y1 KR2019980020893U KR19980020893U KR200257319Y1 KR 200257319 Y1 KR200257319 Y1 KR 200257319Y1 KR 2019980020893 U KR2019980020893 U KR 2019980020893U KR 19980020893 U KR19980020893 U KR 19980020893U KR 200257319 Y1 KR200257319 Y1 KR 20025731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tter
needle
syringe
hole
disposable syri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2089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08999U (ko
Inventor
김승렬
이영석
Original Assignee
이기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기형 filed Critical 이기형
Priority to KR201998002089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57319Y1/ko
Publication of KR2000000899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0899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5731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57319Y1/ko

Links

Landscapes

  • Accommodation For Nursing Or Treatment Tables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일회용 주사기의 주사바늘 절단기에 관한 것으로, 종래에는 폐기실 또는 폐기통에 모아진 일회용 주사기의 각종 부품들 중에서 분리수거가 이루어지지 않았을 경우, 분리수거 취급자들은 이를 꺼내어 분리해 내야되는데 이러한 작업은 매우 위험스러워 조심스럽게 많은 시간과 인력을 투입하여 작업을 실시해야 함으로 시간적 경제적 손실을 가져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도 2내지 도 6에 표현된 바와 같이, 상부몸체(12)내에 고정된 원판형의 상부컷터(32)와 회동가능한 하부컷터(40)로 이루어진 컷터부(16)를 설치하여 주사바늘을 주사기로부터 절단시킴과 동시에 안전하게 수거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하부몸체(14)의 내부에 갖취진 수거공간부(48)에 절단된 주사바늘이 모여지게 되고, 직접적으로 환자의 피부와 접촉을 가지지 않은 주사기몸체는 별도의 수거함 또는 폐기통에 넣는 것으로 처리과정이 끝나게 됨으로 의료종사자나 폐기물 취급자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으며, 특히 그 처리과정이 단순하면서도 분리수거를 확실하게 실시할 수 있으므로 시간적으로나 경제적으로 그 효율성을 증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일회용 주사기의 주사바늘 절단기
본 고안은 일회용 주사기의 주사바늘 절단기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원통형의 몸체내에 고정된 원판형의 상부컷터와 회동가능한 하부컷터로 이루어진 컷터부를 설치하여 주사바늘을 주사기로부터 절단시킴과 동시에 안전하게 수거할 수 있도록 한 일회용 주사기의 주사바늘 절단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병원이나 의원과 같은 의료기관에서는 치료받고 있는 환자들을 다른 병원균으로부터 2차감염을 예방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하고 있는 주사기는 반드시 일회 사용하고 폐기처리 할 수 있는 일회용 주사기를 사용하도록 되어있다.
상기와 같은 주사기(1)는 첨부된 도 1 에 표현된 바와 같이 프라스틱재의 주사기몸체(2)와 금속재의 주사바늘(3) 및 주사바늘(3)을 보호하기 위한 프라스틱재의 보호캡(4)으로 이루어져 살균처리 된 상태로 비닐지(5)로 밀폐 포장되어 병원이나 의원과 같은 의료기관에 공급되고 있다.
이와 같은 종래의 일회용 주사기(1)는 현재 병원이나 의원과 같은 의료기관에서 보편적으로 널리 사용하고 있는데, 일회용 주사기(1)를 의료기관에서 사용하는 순서를 설명하면 먼저 주사기(1)를 밀폐된 상태로 포장하고 있는 비닐지(5)를 제거하고, 보호캡(4)이 끼워져 있는 주사바늘(3)을 주사기몸체(2)에 끼워 일체를 이루게 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주사바늘(3)에 끼워져 있는 보호캡(4)을 제거하고 주사기에 주사액을 일반적인 방법으로 흡입 충진시킨 후 다시 보호캡(4)을 끼운 상태에서 주사실 또는 병실로 이동하여 환자에게 주사액을 투입하게 되는데, 이때 환자의 주사부위를 먼저 소독처리 하고 주사바늘에 끼워져 있는 보호캡(4)을 제거한 후, 환자에게 주사액을 투입하게 된다.
이와 같이 환자에게 주사액을 투입한 주사기(1)는 주사바늘(3)에 보호캡(4)을 다시 끼운 다음 주사기 폐기실 또는 폐기통으로 이동하여 프라스틱재인 보호캡(4)과 주사기몸체(2)는 프라스틱재 수거용 페기통에 버리고, 금속재인 주사바늘(3)은 금속재 수거용 폐기통에 버려 주사기(1)의 각 부품을 재질에 따라 분리 수거하여 폐기된다.
이때, 주사바늘(3)에 끼워져 있는 보호캡(4)을 여러번에 걸쳐 반복적으로 끼우거나 분리할 때, 여러 가지 문제점이 발생이 되는데 이를 설명하면 먼저 일회용 주사기를 직접적으로 가장 많이 상용하는 의사나 간호사와 같은 의료종사자들은 환자에게 사용되어 병원균에 감염된 주사바늘(3)에 찔리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되어 주사바늘(3)에 의해 환자를 치료하고 있던 의사나 간호사와 같은 의료 종사자들이 병원균에 감염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페기실 또는 폐기통에 분리수거된 일회용 주사기(1)의 각 부품들을 수거해 가는 분리수거 취급자들은 어떤 병에 걸려 치료를 받고있는지도 모르는 다수의 환자들에게 사용된 주사바늘(3)을 수거하기 위해 손으로 직접 만지다 보면, 본인도 모를게 각종 병원균에 완전히 노출된 상태에서 수거작업을 하게됨으로 각종 병원균에 감염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폐기실 또는 폐기통에 모아진 일회용 주사기(1)의 각종 부품들 중에서 분리수거가 이루어지지 않았을 경우, 분리수거 취급자들은 이를 꺼내어 분리해 내야되는데, 이러한 작업은 매우 위험스러워 조심스럽게 많은 시간과 인력을 투입하여 작업을 실시해야 함으로 시간적 경제적 손실을 가져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의 일회용 주사기가 지닌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원통형의 상부몸체 내에 고정된 원판형의 상부컷터와 회동가능한 하부컷터로 이루어진 컷터부를 설치하여 주사바늘을 주사기로부터 절단시킴과 동시에 안전하게 수거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사용한 주사바늘을 분리수거 할 때 온갖 병원균으로 부터취급자를 보호하면서 안전하고 신속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한 일회용 주사기의 주사바늘 절단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경사면으로 이루어진 삽입홀을 갖춘 상부몸체와 하단부에 회동가능 하도록 흡착판을 갖춘 하부몸체가 강제 끼움식으로 결합하여 원통형상의 절단기를 구성하되, 상기 상부몸체의 내부에는 상부경사날을 갖춘 상부홀과 다수의 고정홀 및 결합너트부를 갖춘 너트힌지축이 설치된 상부컷터를 설치하고, 상부컷터의 상부홀 및 너트힌지축과 일치하는 위치에 하부경사날을 갖춘 하부홀과 결합홀이 형성된 하부컷터를 설치하고, 하부컷터의 일측을 연장시켜서 연질의 고무패드가 끼워진 컷터손잡이를 갖추게 하며, 상부몸체의 외주면 일측에 개구부를 형성하되, 그 일측에 고정손잡이를 부착하여 일체를 이루게 하고, 하부몸체는 그 내부에 수거공간부를 갖추게 하며, 하단 중앙부에 결합홈을 갖추게 하여 연질의 고무재로 형성된 원판형의 흡착판을 결합시켜서 일정위치에 고정설치 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따라서, 환자에게 주사액을 투입하기 위해 사용한 일회용 주사기의 주사바늘을 절단기의 상부몸체에 형성된 삽입홀에 끼워 넣고, 고정손잡이와 하부컷터부의 컷터손잡이를 잡아 쥐는 것으로 주사기몸체와 주사바늘이 결합되는 부위가 절단이 되면서 하부몸체의 수거공간부에 절단된 주사바늘은 모아지게 되고, 직접적으로 환자의 피부와 접촉을 가지지 않은 주사기몸체는 별도의 수거함 또는 폐기통에 넣는 것으로 각종 병원균에 노출된 주사기의 사용후 처리과정이 끝나게 됨으로서, 의료종사자나 폐기물 취급자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으며, 특히 그 처리과정이 단순하면서도 분리수거를 확실하게 실시할 수 있으므로 시간적으로나 경제적인 재활용 측면에서 그 효율성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도 1 은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일회용 주사기를 나타낸 사시도,
도 2 는 본 고안에 따른 주사바늘 절단기의 전체 사시도,
도 3 은 본 고안에 따른 주사바늘 절단기의 분해 사시도,
도 4 는 본 고안에 따른 컷터부를 나타낸 확대 사시도,
도 5 는 본 고안에 따른 절단기의 종단면도,
도 6 의 (가)와 (나)는 본 고안에 따른 컷터부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이다.
< 도면중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절단기, 12 - 상부몸체,
14 - 하부몸체, 16 - 컷터부,
18 - 경사면, 20 - 삽입홀,
22 - 흡착판, 24 - 상부경사날,
25 - 상부홀, 26 - 고정홀,
28 - 결합너트부, 30 - 너트회전축,
32 - 상부컷터, 34 - 하부경사날,
36 - 하부홀, 38 - 결합홀,
40 - 하부컷터, 42 - 컷터손잡이,
44 - 개구부, 46 - 고정손잡이,
48 - 수거공간부, 50 - 리턴스프링,
52 - 흡착판결합홈.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고하여 그 구성과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경사면(18)으로 이루어진 삽입홀(20)을 갖추고, 그 내부에 컷터부(16)를 갖춘 상부몸체(12)와 하단부에 회동가능 하도록 흡착판(22)을 갖춘하부몸체(14)가 강제 끼움식으로 결합하여 원통형의 절단기(10)를 구성하되, 상기 상부몸체(12)의 내부에는 상부경사날(24)을 갖춘 상부홀(25)과 다수의 고정홀(26) 및 결합너트부(28)를 갖춘 너트회전축(30)이 돌출된 상부컷터(32)를 설치하고, 상부컷터(32)의 상부홀(24) 및 너트회전축(30)과 일치하는 위치에 하부경사날(34)을 갖춘 하부홀(36)과 결합홀(38)이 형성된 하부컷터(40)를 설치하고, 하부컷터(40)의 일측을 연장시켜서 컷터손잡이(42)를 갖추게 하며, 상부몸체(12)의 내주면에 고정된 리턴스프링(50)의 일단을 하부컷터(40)의 중앙 일측에 설치하고, 상부몸체(12)의 외주면 일측에 개구부(44)를 형성하며, 그 일측에 고정손잡이(46)를 부착하여 일체를 이루게 하고, 하부몸체(14)는 그 내부에 수거공간부(48)를 갖추게 하며, 하단 중앙부에 결합홈(52)을 갖추게 하여 원판형의 흡착판(22)을 결합시켜서 일정위치에 고정설치 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도면중 미 설명부호 60은 상부컷터(32)를 상부몸체(12)의 내측에 고정설치하기 위한 고정보울트이고, 62는 하부컷터(40)를 상부컷터(32)의 너트회전축(30)에 고정시키기 위한 결합보울트이며, 64는 하부컷터(40)를 일정한 위치로 복귀시키는 리턴스프링(50)의 일단을 걸어 놓는 하부컷터(40)의 중앙 양측에 형성된 관통홀 이다.
예시도면 도 2 와 도 3 은 본 고안에 따른 주사바늘 절단기의 전체 사시도와 분해사시도로서, 절단기(10)는 상부몸체(12)와 하부몸체(14)로 구분가능 하도록 형성되어 강제끼움식으로 결합을 이루어 전체형상이 원통형으로 형성되어있다.
상기 상부몸체(12)의 상부에는 경사면(18)을 갖춘 삽입홀(20)이 형성되어 있고, 외주면 일측에는 개구부(44)가 형성되고, 그 일측에 고정손잡이(46)가 견고하게 일체를 이루도록 설치되고, 그 내부에는 상부컷터(32)와 하부컷터(40)로 이루어진 컷터부(16)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상부컷터(32)는 원판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그 중앙부에 상부경사날(24)을 갖춘 상부홀(25)이 형성되고, 그 주변에 다수의 고정홀(26)이 형성되어 고정보울트에 의해 상부몸체(12)의 내측에 견고하게 결합되어 고정설치 되며, 그 하단 일측에 결합너트부(28)를 갖춘 너트회전축(30)이 돌출된 상태로 설지되어 있다.
또한, 하부컷터(40)는 일측에 하부경사날(34)을 갖춘 하부홀(36)과 결합홀(38)이 상기 상부컷터(32)의 상부홀(25)과 너트회전축(30)와 일치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결합홀(38)에 너트회전축(30)가 끼워지면서 결합보울트(62)에 의해 일체를 이루게 되며, 결합홀(38)의 양측에는 리턴스프링(50)의 일단이 걸리게 되는 관통홀(64)이 형성되고, 다른 일측은 연장시켜서 연질의 고무재로 성형된 고무패드를 끼워 컷터손잡이(42)가 갖춰저 있다.
상기 하부몸체(14)는 측단면상 컵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어 그 내부에 수거공간부(48)를 갖추고 있으며, 그 하단부의 중앙에는 결합홈(48)을 형성시켜서 연질의 고무재로 형성된 원판형의 흡착판(20)이 결합되어 하부몸체(14)를 일정위치에 고정설치 할 수 있도록 되어있다.
예시도면 도 4 와 5 및 도 6 은 본 고안의 요부인 컷터부를 나타낸 확대사시도와 절단기의 종단면도 및 컷터부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측면도로서, 일반적으로사용되고 있는 일회용 주사기를 사용한 후 절단기(10)의 상부에 형성되어 있는 삽입홀(20)에 주사바늘이 향하도록 밀어 넣고, 한손으로 상부몸체(12)의 측면에 견고하게 설치된 고정손잡이(46)를 잡고 하부컷터(40)의 컷터손잡이(42)를 잡아서 당기면 하부컷터(40)는 상부컷터(32)의 너트회전축(30)과 축결합되어 있으므로 너트회전축(30)를 회전축으로 하여 움직이면서 주사바늘을 절단시키게 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리턴스프링(50)에 의해 항상 일정한 방향으로 잡아 당겨 있고 개구부(44)를 통해 외부로 돌출 되어 있는 하부컷터(40)의 컷터손잡이(42)와 개구부(44)의 일측에 고정설치 된 고정손잡이(46)를 한손으로 잡아서 쥐면 하부컷터(40)는 상부컷터(32)의 너트회전축(30)를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하게 됨으로 상·하부홀(25)(36)이 어긋나면서 끼워져 있던 주사바늘은 절단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주사바늘을 절단한 후 쥐고 있던 컷터손잡이(42)를 놓게 되면 하부컷터(40)는 그 중앙 일측에 설치된 리턴스프링의 작용으로 컷터손잡이(42)는 원래의 위치로 복귀하게되며 개구부(44)의 크기에 의하여 하부컷터(40)의 운동이 제한되고, 상부홀(25)과 하부홀(36)은 동일한 위치에서 일치하게 되어 또 다른 주사바늘을 절단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하부몸체(14)의 하단부 중앙에 형성된 결합홈(52)에 연질의 고무재질로 성형된 일반적인 흡착판(22)을 결합함으로서, 흡착판(22)을 중심으로 자유로이 회전 가능하여 사용한 일회용 주사기를 들고 있는 사람이 어느 위치에 있어도 사용자가 용이하도록 고정손잡이(46)를 잡고 회전시켜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상·하부홀(25)(36)에 갖춰져 있는 상·하부경사날(24)(34)은 그 재질이 특수강(S K D - 11)에 열처리하여 그 경도가 57HRC정도이며, 40°정도의 경사각을 이루고 있는 원형의 테이퍼로써 주사바늘 절단시 주사바늘이 옆으로 밀려나지 않게됨으로, 주사기와 주사바늘의 결합부위가 간단하게 절단이 되고, 절단된 주사바늘은 하부몸체(14)의 수거공간부(48)에 쌓이게 되어 그 수거가 용이하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의료기관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일회용 주사기의 주사바늘을 절단하여 수거하는 과정을 보편적인 하나의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많은 변형이 가능하여 본 고안의 요지라 할 수 있는 컷터부(16)의 재질과 그 경도 및 상·하부경사날(24)(34)의 각도를 한정한 것은 아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상부몸체(12)내에 고정된 원판형의 상부컷터(32)와 회동 가능한 하부컷터(40)로 이루어진 컷터부(16)를 설치하여 주사바늘을 주사기로부터 절단시킴과 동시에 안전하게 수거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하부몸체(14)의 내부에 갖춰진 수거공간부(48)에 절단된 주사바늘이 모여지게 되고, 직접적으로 환자의 피부와 접촉을 가지지 않은 주사기몸체는 별도의 수거함 또는 폐기통에 넣는 것으로 처리과정이 끝나게 됨으로 의료종사자나 폐기물 취급자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으며, 특히 그 처리과정이 단순하면서도 분리수거를 확실하게 실시할 수 있으므로 시간적으로나 경제적인 재활용 측면에서 그 효율성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내부에 컷터부를 갖춘 상부몸체와 수납공간부를 갖춘 하부몸체로 이루어진 원통형의 주사바늘 절단기에 있어서, 상기 상부몸체(12)는 경사면(18)으로 이루어진 삽입홀(20)을 갖추고, 그 내부에 상부컷터(32)와 하부컷터(40)로 이루어진 컷터부(16)를 설치하되, 상기 상부컷터(32)는 상부경사날(24)을 갖춘 상부홀(25)과 다수의 고정홀(26) 및 결합너트부(28)를 갖춘 너트회전축(30)을 설치하고, 상기 하부컷터(40)는 하부경사날(34)을 갖춘 하부홀(36)과 결합홀(38)을 형성하며, 상부몸체(12)의 내주면과 하부컷터(40)의 중앙일측에 리턴스프링(50)을 설치하고, 상기 하부몸체(14)는 그 하단 중앙부에 결합홈(52)을 형성하여 원판형의 흡착판(22)을 결합시켜서 일정위치에 고정설치 할 수 있도록 한 일회용 주사기의 주사바늘 절단기.
KR2019980020893U 1998-10-30 1998-10-30 일회용주사기의주사바늘절단기 KR20025731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20893U KR200257319Y1 (ko) 1998-10-30 1998-10-30 일회용주사기의주사바늘절단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20893U KR200257319Y1 (ko) 1998-10-30 1998-10-30 일회용주사기의주사바늘절단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8999U KR20000008999U (ko) 2000-05-25
KR200257319Y1 true KR200257319Y1 (ko) 2002-05-13

Family

ID=695222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20893U KR200257319Y1 (ko) 1998-10-30 1998-10-30 일회용주사기의주사바늘절단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57319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31752A (ko) * 2018-05-17 2019-11-27 주식회사 뮨 주사기 절단 및 분리 배출 장치
KR20190131753A (ko) * 2018-05-17 2019-11-27 주식회사 뮨 주사기 절단 및 분리 배출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93573B1 (ko) * 2017-12-08 2018-08-30 주식회사 뮨 주사기 바늘 제거 장치
CN111227953B (zh) * 2019-05-29 2023-12-15 重庆医药高等专科学校 锐器预处理装置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31752A (ko) * 2018-05-17 2019-11-27 주식회사 뮨 주사기 절단 및 분리 배출 장치
KR20190131753A (ko) * 2018-05-17 2019-11-27 주식회사 뮨 주사기 절단 및 분리 배출 장치
KR102143483B1 (ko) 2018-05-17 2020-08-11 주식회사 뮨 주사기 절단 및 분리 배출 장치
KR102143485B1 (ko) 2018-05-17 2020-08-11 주식회사 뮨 주사기 절단 및 분리 배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8999U (ko) 2000-05-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242035B1 (en) Disposable device for sharps
EP0744183B1 (en) Hardpack shield for a pivoting needle guard
JP3745422B2 (ja) 保護バリヤーアセンブリィ
US4994068A (en) Combination sterile pad support and lancet containing lancet disposal element
US4863435A (en) Safety hypodermic syringe
US5718689A (en) Free-standing safety cap for permanently storing contaminated medical instruments
US5190169A (en) Device and method for the safe securing and disposal of sharps from medical tools
KR101215053B1 (ko) 안전 메스와 안전 메스용 블레이드 카트리지 및 블레이드 카트리지를 메스 핸들에 부착시키는 방법
US6183449B1 (en) Safety caps for sharps
US5047019A (en) Device for the safe removal and disposal of sharps from medical tools
US7021463B2 (en) Pen needle sharps port
JPS61234873A (ja) 針防具
US6158314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abling and disposing of a single-use hypodermic syringe
KR200257319Y1 (ko) 일회용주사기의주사바늘절단기
EP0569233A1 (en) Sharps handling apparatus
JPH02500882A (ja) 容器
CN211686758U (zh) 一种具有切割功能的利器盒
US7392903B2 (en) Bedside disposal of contaminated sharps
CN213084276U (zh) 一种剪切式锐器盒
CN211140453U (zh) 一种带有毁形刀具的利器盒
EP2366417A2 (en) Device for cutting needles for sanitary use
KR200238184Y1 (ko) 일회용 주사기의 주사바늘 분리수거기
JPH062677Y2 (ja) 注射針を外して収納する注射針収納具
KR200384581Y1 (ko) 감염성 폐기물 전용 용기
CN217489451U (zh) 一种新型锐器盒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1203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