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19937A - 자동차 도어 가니쉬 - Google Patents

자동차 도어 가니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19937A
KR20180119937A KR1020170053679A KR20170053679A KR20180119937A KR 20180119937 A KR20180119937 A KR 20180119937A KR 1020170053679 A KR1020170053679 A KR 1020170053679A KR 20170053679 A KR20170053679 A KR 20170053679A KR 20180119937 A KR20180119937 A KR 201801199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cket
main body
door
door garnish
fastening mea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536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41195B1 (ko
Inventor
박민수
Original Assignee
(주)엘지하우시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엘지하우시스 filed Critical (주)엘지하우시스
Priority to KR10201700536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41195B1/ko
Publication of KR201801199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199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11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11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3/00Elements for body-finishing, identifying, or decorating; Arrangements or adaptations for advertising purposes
    • B60R13/04External Ornamental or guard strips; Ornamental inscriptive devices there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0Sealing arrangements
    • B60J10/30Seal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fasten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0Sealing arrangements
    • B60J10/80Seal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opening panels, e.g. do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7Facilitating assembling or moun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Interior And Exterior Ornaments, Soundproofing, And Insu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본체와 브래킷이 일체로 형성됨으로써 제조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 장착 작업의 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것은 물론 외관의 미려함을 더욱 높일 수 있도록 하고 사이드실 몰딩과의 사이 기밀 유지 효과를 높일 수 있도록 하는 자동차 도어 가니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 도어 가니쉬{door garnish for vehicle}
본 발명은 자동차 도어 가니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본체와 브래킷이 일체로 형성됨으로써 제조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 장착 작업의 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것은 물론 외관의 미려함을 더욱 높일 수 있도록 하고 사이드실 몰딩과의 사이 기밀 유지 효과를 높일 수 있도록 하는 자동차 도어 가니쉬에 관한 것이다.
차량에 마련되는 도어 패널 자체는 밋밋하므로 볼륨감을 기대에 미치지 못해 외관의 미감이 저하되는 못하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자동차 제조 업체에서는 차량의 도어 패널 하단부에 장식물, 즉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5-0049108호(공개일 : 2005. 05. 25.) 등에 개시된 바와 같은 도어 가니쉬를 장착하여 볼륨감을 부여함으로써 외관의 미감을 높이고 있다.
한편, 최근 차량 도어에 적용되는 도어 가니쉬는 랩도어 방식, 즉 차량의 도어 하부 사이드실에 결합하는 사이드실 몰딩의 상단부를 감싸는 형태로 형성되므로 볼륨감 부여에 의해 외관의 미감이 높아질 뿐만 아니라 사이드실 몰딩과 도어 사이를 통한 이물질 및 소음의 유입 차단 효과를 높일 수 있다.
다만, 도어 가니쉬와 사이드실 몰딩과의 사이는 미세하게라도 이격, 다시 말해 도어 가니쉬 내면과 사이드실 몰딩의 외면 사이에 단차가 발생 될 수밖에 없으므로 이에 의해 기밀 유지 효과가 저하되는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고자 도어 가니쉬 본체(이하 '본체') 내면의 하단부에 도어 가니쉬용 브래킷(이하 '브래킷')을 장착하여 브래킷이 사이드실 몰딩의 웨더스트립에 밀착되도록 함으로써 사이드실 몰딩과의 사이 단차 발생을 최소화하고 있다.
그러나, 브래킷이 장착된 종래 도어 가니쉬(A')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별물형 브래킷(20'), 즉 본체(10')와 별도로 제조된 브래킷(20') 체결수단의 물림 등을 통해 본체(10') 내면에 결합하는 것이었던바, 본체(10')와 브래킷(20')의 제작이 별개로 진행됨에 따라 제조 공정이 번거로워지는 문제가 있었을 뿐만 아니라 브래킷(20')의 결합 과정에서 상당한 시간이 소요되므로 전체 도어 가니쉬(A') 장착 작업의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별물형 브래킷(20')을 본체(10')에 적용하는 경우, 브래킷(20')과 본체(10') 사이에 단차가 발생하므로 외관의 미려함이 저하될 뿐만 아니라 브래킷(20')과 본체(10') 사이의 틈으로의 이물질 및 소음 유입에 의해 사이드실 몰딩과의 사이 기밀 유지 효과가 저하되는 문제가 있었다.
상기의 이유로 해당분야에서는 제조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 장착 작업의 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것은 물론 외관의 미려함을 더욱 높일 수 있도록 하고 사이드실 몰딩과의 사이 기밀 유지 효과를 높일 수 있도록 하는 자동차 도어 가니쉬의 개발을 시도하고 있으나, 현재까지는 만족할만한 결과를 얻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실정을 감안하여 제안된 것으로, 도어 가니쉬에 별물형 브래킷을 적용하였을 때 도어 가니쉬와 브래킷의 제작이 별개로 진행됨에 따라 제조 공정이 번거로워졌던 문제 및 브래킷의 결합 과정에서 상당한 시간이 소요되므로 전체 도어 가니쉬 장착 작업의 효율이 저하되었던 문제를 해소할 수 있도록 하는 자동차 도어 가니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도어 가니쉬에 별물형 브래킷을 적용하였을 때 브래킷과 도어 가니쉬 사이에 단차가 발생함에 따라 외관의 미려함이 저하되었던 문제 및 브래킷과 도어 가니쉬 사이의 틈으로 이물질 및 소음이 유입되어 사이드실 몰딩과의 사이 기밀 유지 효과가 저하되었던 문제를 해소할 수 있도록 하는 자동차 도어 가니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 도어 가니쉬는, 차량의 도어 하단부 및 사이드실 몰딩 외면을 감싸도록 형성되는 본체; 및 상기 본체 내면에 결합되어 그 일부가 상기 사이드실 몰딩에 장착되는 웨더스트립에 밀접하는 브래킷;을 포함하되, 상기 브래킷의 일단과 상기 본체의 하단 사이를 따라 일체로 이어지도록 형성되는 이음매;를 더 포함하고, 상기 브래킷은 상기 이음매를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다.
상기 본체는 내면에 횡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복수의 체결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브래킷은 일 면에 횡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복수의 체결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체결수단은 홈 또는 돌기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이음매는 그 두께가 상기 브래킷의 두께에 비해 얇게 형성된다.
상기 이음매는, 그 두께가 상기 브래킷의 두께에 비해 얇게 형성되되, 0.2-0.5mm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 도어 가니쉬는, 브래킷이 이음매에 의해 본체와 일체로 연결되는바, 브래킷을 별도 제작한 후 결합시키는데 따르는 번거로움을 덜 수 있는 것은 물론 브래킷과 본체 사이에 단차 발생으로 인한 외관의 미감 저하 및 사이드실 몰딩과의 사이 기밀 유지 효과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 도어 가니쉬는, 이음매의 두께가 비교적 얇게 형성되는바, 브래킷이 이음매를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므로 본체와 브래킷 결합시 브래킷을 본체 내면측으로 회동시킴에 따라 브래킷의 체결수단과 본체의 체결수단 간의 물림이 용이해질 수 있어 장착 작업의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 도어 가니쉬에서 브래킷이 펼쳐진 상태의 외형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 도어 가니쉬에서 브래킷이 접힌 상태의 외형을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 도어 가니쉬에서 브래킷이 접힌 상태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 도어 가니쉬에서 브래킷의 회동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 도어 가니쉬가 차량의 도어에 적용된 형태를 보인 예시도.
도 6은 종래 도어 가니쉬에서 본체와 브래킷의 결합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이하, 첨부 도면에 의거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 도어 가니쉬(A)는, 본체(10), 브래킷(20) 및 이음매(30)를 포함한다.
상기 본체(10)는 차량의 도어(100) 하단부 및 사이드실 몰딩(200) 외면을 감싸도록 형성된다.
이와 같은 상기 본체(10)는 내면에 횡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복수의 체결수단(11)을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본체(10)의 상기 체결수단(11)과 아래에서 설명하는 상기 브래킷(20)의 체결수단(21)이 서로 물리도록 함으로써 상기 본체(10) 내면에 상기 브래킷(20)이 결합된다.
이때, 상기 체결수단(11)은 홈 또는 돌기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홈 형태로 형성되는 상기 체결수단(11)이 돌기 형태로 형성되는 상기 체결수단(21)과 물리거나, 돌기 형태로 형성되는 상기 체결수단(11)이 홈 형태로 형성되는 상기 체결수단(21)과 물림에 따라 상기 본체(10)와 상기 브래킷(20)이 결합된다.
한편, 상기 본체(10)는 사출 성형, 즉 금형(도면상 미도시) 내에 용융 상태의 합성수지를 주입한 후 경화시킴으로써 형성된다.
이때, 상기 본체(10)는 상기 도어(100) 하단부 및 사이드실 몰딩(200)의 외면을 감쌀 수 있는 것이라면 어떠한 형태 및 구조이더라도 무방하므로 상기 본체(10)의 형태 및 구조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상기 본체(10)와 상기 도어(100) 간의 결합은 결합 상태가 견고히 유지될 수 있는 것이라면 통상의 어떠한 결합 방식을 따르더라도 무방한바, 상기 본체(10)와 상기 도어(100) 간의 결합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는 바이며, 그 예로는 홀과 후크의 물림 방식이 될 수 있다.
상기 브래킷(20)은 상기 본체(10) 내면에 결합되어 그 일부가 상기 사이드실 몰딩(200)에 장착되는 웨더스트립(210)에 밀접한다.
이와 같은 상기 브래킷(20)은 일 면, 더욱 구체적으로 상기 본체(10)에 결합된 상태에서의 내면에 횡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복수의 체결수단(21)를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브래킷(20)의 상기 체결수단(21) 각각이 상기 본체(10)의 상기 체결수단(11) 각각에 물림에 따라 상기 브래킷(20)이 상기 본체(10) 내면에 결합된다.
이때, 상기 브래킷(20)의 상기 체결수단(21)은 돌기 형태 또는 홈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돌기 형태로 형성되는 상기 체결수단(21)이 홈 형태로 형성되는 상기 체결수단(11)과 물리거나, 홈 형태로 형성되는 상기 체결수단(21)이 돌기 형태로 형성되는 상기 체결수단(11)과 물림에 따라 상기 본체(10)와 상기 브래킷(20)이 결합된다.
한편, 상기 브래킷(20)은 상기 본체(10) 성형을 위한 금형에 상기 브래킷 성형부(도면상 미도시)가 형성됨에 따라 상기 본체(10) 형성 과정에 의해 상기 본체(10)와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이음매(30)는 상기 브래킷(20)의 일단과 상기 본체(10)의 하단 사이를 따라 일체로 이어지도록 형성된다.
이와 같은 상기 이음매(30)는 그 두께(T1)가 상기 브래킷(20)의 두께(T2)에 비해 얇게 형성됨으로써 상기 이음매(30)의 두께 특성상 상기 이음매(30)를 중심으로 상기 브래킷(20)의 회동이 가능하다.
이때, 상기 이음매(30)는, 그 두께(T1)가 상기 브래킷(20)의 두께(T2)에 비해 얇게 형성되되, 0.2-0.5mm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이음매(30)의 두께(T1)가 0.2mm 미만인 경우,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충격, 특히 상기 브래킷(20)이 상기 본체(10) 내면에 결합되는 과정에서 미치는 충격 등에 의해 찢기는 등 쉽게 손상될 수 있고, 상기 이음매(30)의 두께(T1)가 0.5mm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이음매(30)에 의한 상기 브래킷(20)의 지지가 견고하여 상기 브래킷(20)의 회동이 불가한바, 상기 이음매(30)는 그 두께(T1)가 0.2-0.5mm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이음매(30)는 상기 본체(10) 성형을 위한 상기 금형에 상기 브래킷 성형부와 더불어 이음매 성형부(도면상 미도시)가 형성됨에 따라 상기 본체(10) 형성 과정에 의해 상기 본체(10) 및 브래킷(20)과 일체로 형성된다.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 도어 가니쉬(A)에서 상기 본체(10)와 상기 브래킷(20)의 결합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서 상기 본체(10)는 내면에 횡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복수의 상기 체결수단(11)을 포함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상기 브래킷(20)은 일면에 횡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복수의 상기 체결수단(21)를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본체(10)의 상기 체결수단(11)과 상기 브래킷(20)의 상기 체결수단(21)이 서로 물리도록 함으로써 상기 브래킷(20)이 상기 본체(10) 내면에 결합된다.
다만, 상기 브래킷(20)은 상기 본체(10)와 일체로 형성되는바, 상기 브래킷(20)의 상기 체결수단(21) 각각이 상기 본체(10)의 상기 체결수단(11) 각각에 물리기 위해서는 상기 브래킷(20)의 회동이 요구되므로 상기 브래킷(20) 회동 과정에서 상기 브래킷(20)이 손상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 상기 브래킷(20)의 일단과 상기 본체(10)의 하단 사이를 따라 일체로 이어지도록 형성되는 상기 이음매(30)는 그 두께(T1)가 상기 브래킷(20)의 두께(T2)에 비해 얇게 형성, 특히 0.2-0.5mm로 형성되는바, 상기 이음매(30)의 두께 특성상 상기 브래킷(20)의 회동, 더욱 구체적으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음매(30)를 중심으로 상기 브래킷(20)의 상하 회동이 원활하므로 상기 브래킷(20)의 체결수단(21)과 상기 본체(10)의 체결수단(11)을 서로 물리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브래킷(20)을 상측으로 회동시키더라도 상기 브래킷(20)의 손상이 방지된다.
이와 같이 상기 브래킷(20)이 상기 이음매(30)에 의해 상기 본체(10)와 연결됨으로써 상기 본체(10) 형성 과정에서 상기 브래킷(20)이 일체로 형성될 수 있는바, 상기 브래킷(20)을 상기 본체(10)와 별개로 제조한 후 상기 본체(10)에 결합시킬 때에 비해 제조가 용이해질 뿐만 아니라 공수가 절감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의 상기 이음매(30)는 제품 제조가 용이할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제품 외관의 미감을 향상시킨다.
즉, 상기 이음매(30)에 의해 상기 본체(10) 하단과 상기 브래킷(20) 하단 사이가 매끄럽게 연결되므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도어(100)에 장착되었을 때 외관의 미감이 향상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의 상기 이음매(30)는 제품 제조가 용이할 수 있도록 하고, 제품 외관의 미감을 향상시킬 뿐 아니라 상기 사이드실 몰딩(200)과의 사이 기밀 유지 효과를 향상시킨다.
즉,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 도어 가니쉬(A)가 상기 도어(100)에 적용되었을 때 상기 도어(100) 하부 상기 사이드실 몰딩(200)의 상기 웨더스트립(210)에 밀착되는 상기 브래킷(20)의 하단과 상기 본체(10)의 하단이 상기 이음매(30)에 의해 연결됨에 따라 상기 브래킷(20) 하단과 상기 본체(10) 하단 사이에서의 틈 발생, 다시 말해 단차 발생이 방지되는바, 상기 브래킷(20) 하단과 상기 본체(10) 하단 사이의 틈을 통한 이물질 및 소음 유입 등이 방지될 수 있어 이에 의해 상기 사이드실 몰딩(200)과의 사이 기밀 유지 효과가 향상된다.
상기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 도어 가니쉬(A)는, 상기 브래킷(20)이 상기 이음매(30)에 의해 상기 본체(10)와 일체로 연결되는바, 상기 브래킷(20)을 별도 제작한 후 결합시키는데 따르는 번거로움을 덜 수 있는 것은 물론 상기 브래킷(20)과 상기 본체(10) 사이에 단차 발생으로 인한 외관의 미감 저하 및 상기 사이드실 몰딩(200)과의 사이 기밀 유지 효과 저하를 방지할 수 있고, 상기 이음매(30)의 두께가 비교적 얇게 형성되는바, 상기 브래킷(20)이 상기 이음매(30)를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므로 상기 본체(10)와 상기 브래킷(20) 결합시 상기 브래킷(20)을 상기 본체(10) 내면측으로 회동시킴에 따라 상기 브래킷(20)의 상기 체결수단(21)과 상기 본체(10)의 상기 체결수단(11) 간의 물림이 용이해질 수 있어 장착 작업의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므로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변경 가능하며, 그와 같은 변경은 이하 청구범위 기재에 의하여 정의되는 본 발명의 보호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 10' : 본체 11 : 체결수단
11a : 탄성편 20, 20' : 브래킷
21 : 체결수단 30 : 이음매
100 : 도어 200 : 사이드실 몰딩
210 : 웨더스트립 A, A' : 도어 가니쉬
T1 : 이음매 두께 T2 : 브래킷 두께

Claims (6)

  1. 차량의 도어 하단부 및 사이드실 몰딩 외면을 감싸도록 형성되는 본체; 및
    상기 본체 내면에 결합되어 그 일부가 상기 사이드실 몰딩에 장착되는 웨더스트립에 밀접하는 브래킷;을 포함하되,
    상기 브래킷의 일단과 상기 본체의 하단 사이를 따라 일체로 이어지도록 형성되는 이음매;를 더 포함하고,
    상기 브래킷은 상기 이음매를 중심으로 회동 가능한 것인 자동차 도어 가니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내면에 횡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복수의 체결수단을 포함하는 것인 자동차 도어 가니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브래킷은 일 면에 횡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복수의 체결수단을 포함하는 것인 자동차 도어 가니쉬.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수단은 홈 또는 돌기 형태로 형성되는 것인 자동차 도어 가니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음매는 그 두께가 상기 브래킷의 두께에 비해 얇게 형성되는 것인 자동차 도어 가니쉬.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이음매는, 그 두께가 상기 브래킷의 두께에 비해 얇게 형성되되, 0.2-0.5mm로 형성되는 것인 자동차 도어 가니쉬.
KR1020170053679A 2017-04-26 2017-04-26 자동차 도어 가니쉬 KR1021411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3679A KR102141195B1 (ko) 2017-04-26 2017-04-26 자동차 도어 가니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3679A KR102141195B1 (ko) 2017-04-26 2017-04-26 자동차 도어 가니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9937A true KR20180119937A (ko) 2018-11-05
KR102141195B1 KR102141195B1 (ko) 2020-08-04

Family

ID=643292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53679A KR102141195B1 (ko) 2017-04-26 2017-04-26 자동차 도어 가니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41195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1623U (ko) 2019-01-14 2020-07-22 정재필 자동차 도어 가니쉬
KR20200105276A (ko) * 2019-02-28 2020-09-07 박래영 차량용 번호판 장착대
KR20230126524A (ko) * 2022-02-23 2023-08-30 (주)엘엑스하우시스 차량용 랩도어 가니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83477A (ja) * 2008-09-05 2010-04-15 Toyota Auto Body Co Ltd 車体保護用の被覆部材
JP2012218649A (ja) * 2011-04-12 2012-11-12 Honda Motor Co Ltd 車両用外装部材
CN203601170U (zh) * 2013-12-03 2014-05-21 东风汽车公司 车门防擦条粘贴胶带的翻转固定结构
JP2016068632A (ja) * 2014-09-26 2016-05-09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側部構造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83477A (ja) * 2008-09-05 2010-04-15 Toyota Auto Body Co Ltd 車体保護用の被覆部材
JP2012218649A (ja) * 2011-04-12 2012-11-12 Honda Motor Co Ltd 車両用外装部材
CN203601170U (zh) * 2013-12-03 2014-05-21 东风汽车公司 车门防擦条粘贴胶带的翻转固定结构
JP2016068632A (ja) * 2014-09-26 2016-05-09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側部構造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1623U (ko) 2019-01-14 2020-07-22 정재필 자동차 도어 가니쉬
KR20200105276A (ko) * 2019-02-28 2020-09-07 박래영 차량용 번호판 장착대
KR20230126524A (ko) * 2022-02-23 2023-08-30 (주)엘엑스하우시스 차량용 랩도어 가니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41195B1 (ko) 2020-08-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88043B2 (en) Sliding window assembly
US7410203B2 (en) Glass run
JP4921258B2 (ja) 自動車用ルーフサイドウエザストリップ
JP6700979B2 (ja) 自動車ドア用グラスラン
KR20180119937A (ko) 자동차 도어 가니쉬
JP2013184627A (ja) ガラスラン
US10457121B2 (en) Encapsulated fixed window module for a motor vehicle
CN107585005B (zh) 顶侧密封条的附接结构
JP2007076441A (ja) ガラスラン
JP2010221870A (ja) ドアウエザストリップの取付構造
JP2007091010A (ja) 自動車用ガラスラン
JP4434077B2 (ja) ウエザストリップ及びその製造方法
JP5696633B2 (ja) オープニングトリムウエザストリップ
JP4458484B2 (ja) 自動車用ガラスラン
JP6552268B2 (ja) フロントピラーの被覆構造
JP5440876B2 (ja) ガラスラン
JP7077274B2 (ja) 車両用ドアシール材
JP2009227241A (ja) ウエザストリップ
JP2009202817A (ja) 自動車用可動ルーフパネルのシール構造
JP4929872B2 (ja) 自動車のドアのシール構造
JP3713166B2 (ja) 自動車用ウェザーストリップ
KR100552176B1 (ko) 차량 후방 도어 프레임의 웨더스트립 설치구조
KR101240719B1 (ko) 자동차용 바디 사이드 웨더스트립
JP3699305B2 (ja) 車両用ドアのシール部構造
JP5533228B2 (ja) 自動車のドア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