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15165A - 기액 분리용 어큐뮬레이터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기액 분리용 어큐뮬레이터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15165A
KR20180115165A KR1020170047518A KR20170047518A KR20180115165A KR 20180115165 A KR20180115165 A KR 20180115165A KR 1020170047518 A KR1020170047518 A KR 1020170047518A KR 20170047518 A KR20170047518 A KR 20170047518A KR 20180115165 A KR20180115165 A KR 201801151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hole
tube
gas
wel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475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태식
장수용
Original Assignee
송태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태식 filed Critical 송태식
Priority to KR10201700475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115165A/ko
Publication of KR201801151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1516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3/00Arrangements for separating or purifying gases or liquids; Arrangements for vaporising the residuum of liquid refrigerant, e.g. by heat
    • F25B43/006Accumul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1/00Processes relevant to this subclas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purposes, but not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23K31/02Processes relevant to this subclas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purposes, but not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relating to soldering or weld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3/00Arrangements for separating or purifying gases or liquids; Arrangements for vaporising the residuum of liquid refrigerant, e.g. by heat
    • F25B43/003Fil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101/00Articles made by soldering, welding or cutting
    • B23K2101/04Tubular or hollow art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upply Devices, Intensifiers, Converters, And Telemo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액 분리용 어큐뮬레이터 제조방법은 파이프의 일측을 축관하는 단계; 상기 축관된 파이프의 일측 끝단을 커팅하는 단계; 상기 커팅된 파이프의 끝단을 드릴링하여 상기 끝단의 적어도 일부가 막힌 홀을 뚫는 단계; 상기 홀을 용접을 통하여 막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기액 분리용 어큐뮬레이터 제조방법{METHOD FOR MANUFACTURING ACCUMULATOR FOR SEPARATING LIQUID AND VAPOR}
본 발명은 기액 분리용 어큐뮬레이터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기액 분리용 어큐뮬레이터는 냉동기에서는 증발기와 압축기와의 사이에 설치되어 냉매액과 냉매 가스를 나누는 기액분리기 역할을 한다. 이에 따라 분리된 가스는 압축기로 이송되고, 액체는 다시 증발기로 되돌려져 압축기의 액침입에 의한 효율 감소를 방지한다.
이와 같은 기액 분리용 어큐뮬레이터는 축관 후 커팅 과정에서 이물질이 파이프의 홀을 막아 이후에 실시되는 용접의 쇠물이 파이프의 홀로 유입되는 것을 방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용접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지 않아 기액 분리용 어큐뮬레이터의 내구성을 떨어뜨릴 수 있다.
공개특허 10-2005-0080349 (공개일자 : 2005년 08월 12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액 분리용 어큐뮬레이터 제조방법은 파이프의 절단 과정에서 발생하는 홀 막힘으로 인한 용접 불량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본 출원의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는 또 다른 과제는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파이프의 일측을 축관하는 단계; 상기 축관된 파이프의 일측 끝단을 커팅하는 단계; 상기 커팅된 파이프의 끝단을 드릴링하여 상기 끝단의 적어도 일부가 막힌 홀을 뚫는 단계; 상기 홀을 용접을 통하여 막는 단계를 포함하는 기액 분리용 어큐뮬레이터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홀을 통하여 상기 용접에 의한 쇳물이 침투하여 상기 홀을 막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기액 분리용 어큐뮬레이터 제조방법은 플레이트 부재를 말아서 용접함으로써 상기 파이프를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기액 분리용 어큐뮬레이터 제조방법은 상기 파이프의 측면에 홀을 형성하여 기체가 유출되는 제1 튜브를 삽입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기액 분리용 어큐뮬레이터 제조방법은 상기 파이프의 타측을 축관하는 단계, 상기 축관된 파이프의 타측 끝단을 커팅하는 단계, 상기 커팅된 파이프의 끝단을 드릴링하여 상기 끝단에 홀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홀에 액체를 유입시키는 제2 튜브를 삽입하는 단계, 상기 제2 튜브를 용접을 통하여 상기 파이프에 고정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파이프 측면의 홀은 상기 파이프의 일측 및 타측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기액 분리용 어큐뮬레이터 제조방법은 상기 파이프의 일측 및 타측 사이의 제1 위치의 파이프 영역을 함몰시키는 단계, 상기 제1 위치의 파이프 영역에 걸쳐지도록 거름망을 상기 파이프 내부에 배치하는 단계, 상기 파이프의 타측과 가까운 제2 위치를 함몰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거름망 표면에 탄소나노튜브가 부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액 분리용 어큐뮬레이터 제조방법은 파이트의 축관 및 커팅 후 드릴링 및 용접을 수행함으로써 파이프의 홀 막힘으로 인한 용접 불량을 방지할 수 있다.
본 출원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는 또 다른 효과는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액 분리용 어큐뮬레이터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된 기액 분리용 어큐뮬레이터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2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액 분리용 어큐뮬레이터 제조방법을 나타낸다.
도 8은 파이프를 형성하는 과정을 나타낸다.
도 9는 제2 튜브가 구비된 파이프의 타측을 나타낸다.
도 10은 제1 튜브를 구비하는 과정을 나타낸다.
도 11은 기액 분리용 어큐뮬레이터에 구비되는 거름망을 나타낸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내용을 보다 쉽게 개시하기 위하여 설명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첨부된 도면의 범위로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용이하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액 분리용 어큐뮬레이터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된 기액 분리용 어큐뮬레이터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액 분리용 어큐뮬레이터는 파이프(110), 제1 튜브(130) 및 제2 튜브(150)를 포함할 수 있다.
액체가 제2 튜브(150)를 통하여 파이프(110)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파이프(110) 내부에 있는 액체로부터 기화된 기체는 제1 튜브(130)를 통하여 파이프(110)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액 분리용 어큐뮬레이터 제조방법을 나타낸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이프(110)가 파이프 지그(210)에 물려 고정될 수 있다. 이 때 축관용 롤러(230)는 파이프 지그(210) 근처에서 대기하고 있을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이프 지그(210)가 고속으로 회전하고, 축관용 롤러(230) 역시 고속으로 회전하면서 파이프(110)의 일측으로 이동하여 파이프(110)의 일측에 접촉할 수 있다. 고속으로 회전하는 축관용 롤러(230)는 파이프(110)의 일측에 압력을 가함으로써 파이프(110)의 일측을 축관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이프(110)의 일측이 설계 직경까지 줄어들 때까지 축관용 롤러(230)는 파이프(110)의 일측을 축관하며 이후 축관용 롤러(230)는 파이프(110)의 일측으로부터 떨어질 수 있다.
이 때 축관된 파이프(110)의 일측이 과도하게 길어질 수 있으므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축관된 파이프(110)의 일측 끝단을 커팅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팅 과정에서 파이프(110)의 쇳가루나 찌꺼기 일부가 파이프(110) 일측의 홀을 막거나 축관하는 과정에서 홀이 막힐 수 있으므로 커팅된 파이프(110)의 끝단을 드릴링하여 적어도 일부가 막힌 홀을 뚫는다.
이후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홀을 용접을 통하여 막음으로써 도 1의 파이프(110) 일측과 같이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용접 과정에서 쇳물이 파이프(110)의 홀에 흘러들어 홀을 막을 수 있다.
앞서 설명된 드릴링 과정없이 용접이 이루어질 경우, 홀에 있는 찌꺼기 등이 쇠물이 홀로 유입되는 것을 방해할 수 있다. 쇠물이 홀로 충분히 유입되지 않으면 파이프(110) 일측의 강도가 약화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액 분리용 어큐뮬레이터 제조방법은 축관 및 커팅 후 드릴링 과정을 거쳐 용접을 진행함으로써 용접 과정에서의 쇳물이 홀로 충분히 유입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축관된 파이프(110) 일측의 강도가 향상될 수 있다.
한편,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액 분리용 어큐뮬레이터 제조방법은 플레이트 부재(250)를 말아서 용접함으로써 파이프(110)를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액 분리용 어큐뮬레이터 제조방법은 파이프(110)의 타측을 축관하는 단계, 축관된 파이프(110)의 타측 끝단을 커팅하는 단계, 커팅된 파이프(110)의 끝단을 드릴링하여 끝단에 홀을 형성하는 단계, 홀에 액체를 유입시키는 제2 튜브(150)를 삽입하는 단계, 제2 튜브(150)를 용접을 통하여 파이프(110)에 고정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제2 튜브(150)는 도 1을 통하여 설명된 바와 같이, 액체를 파이프(110) 내부로 유입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축관, 커팅 및 드릴링에 대해서는 앞서 상세히 설명하였으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된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액 분리용 어큐뮬레이터 제조방법은 파이프(110) 측면에 홀을 형성하여 기체가 유출되는 제1 튜브(130)를 삽입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1 튜브(130)는 도 1의 기체를 유출시키기 위한 것일 수 있다.
도 10을 통하여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파이프(110) 측면의 홀은 파이프(110)의 일측 및 타측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도 1을 통하여 설명된 바와 같이, 제2 튜브(150)가 제1 튜브(130)에 하측에 위치할 경우, 제2 튜브(150)를 통하여 액체가 유입되어 파이프(110) 내부에 저장되고, 액체의 일부로부터 기화된 기체는 제2 튜브(150)의 상부에 위치한 제1 튜브(130)를 통하여 파이프(110) 외부로 유출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액체로부터 기화된 기체가 파이프(110) 내부에서 상승하여 제1 튜브(130)를 통하여 유출되어야 하므로 제1 튜브(130)가 연결되는 파이프(110) 측면의 홀은 막혀있는 파이프(110)의 일측과 제1 튜브(130)가 설치되는 파이프(110) 타측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액 분리용 어큐뮬레이터 제조방법은 파이프(110)의 일측 및 타측 사이의 제1 위치의 파이프(110) 영역을 함몰시키는 단계, 제1 위치의 파이프(110) 영역에 걸쳐지도록 거름망(170)을 파이프(110) 내부에 배치하는 단계, 파이프(110)의 타측과 가까운 제2 위치를 함몰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위치 및 제2 위치의 파이프(110) 영역의 함몰은 축관용 롤러(230)에 의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위치 및 제2 위치의 파이프(110) 영역의 직경이 줄어들 수 있다.
거름망(170)은 제1 위치 및 제2 위치의 함몰된 파이프(110) 영역들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제1 위치 및 제2 위치의 함몰된 파이프(110) 영역은 거름망(170)이 이탈되는 것을 막는 걸림턱의 역할을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거름망(170)은 제2 튜브(150)를 통하여 유입된 액체의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따라서 거름망(170)은 제1 튜브(130)가 연결된 파이프(110)의 홀에 비하여 제2 튜브(150)가 구비된 파이프(110)의 타측에 가깝게 설치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도 11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거름망(170)과 파이프(110)의 일측 사이에 제1 튜브(130)가 연결된 파이프(110)의 홀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거름망(170) 표면에 탄소나노튜브가 부착될 수 있다. 탄소나노튜브는 제2 튜브(150)를 통하여 유입되는 액체의 미세한 이물질을 흡착할 수 있다. 즉, 거름망(170)의 홀 직경에 따라 비교적 큰 액체의 이물질이 걸러지고 탄소나노튜브에 의하여 액체의 미세한 이물질이 제거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 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
파이프(110)
제1 튜브(130)
제2 튜브(150)
거름망(170)
파이프 지그(210)
축관용 롤러(230)
플레이트 부재(250)

Claims (8)

  1. 파이프의 일측을 축관하는 단계;
    상기 축관된 파이프의 일측 끝단을 커팅하는 단계;
    상기 커팅된 파이프의 끝단을 드릴링하여 상기 끝단의 적어도 일부가 막힌 홀을 뚫는 단계;
    상기 홀을 용접을 통하여 막는 단계
    를 포함하는 기액 분리용 어큐뮬레이터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홀을 통하여 상기 용접에 의한 쇳물이 침투하여 상기 홀을 막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액 분리용 어큐뮬레이터 제조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플레이트 부재를 말아서 용접함으로써 상기 파이프를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액 분리용 어큐뮬레이터 제조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의 측면에 홀을 형성하여 기체가 유출되는 제1 튜브를 삽입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액 분리용 어큐뮬레이터 제조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의 타측을 축관하는 단계, 상기 축관된 파이프의 타측 끝단을 커팅하는 단계, 상기 커팅된 파이프의 끝단을 드릴링하여 상기 끝단에 홀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홀에 액체를 유입시키는 제2 튜브를 삽입하는 단계, 상기 제2 튜브를 용접을 통하여 상기 파이프에 고정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액 분리용 어큐뮬레이터 제조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 측면의 홀은 상기 파이프의 일측 및 타측 사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액 분리용 어큐뮬레이터 제조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의 일측 및 타측 사이의 제1 위치의 파이프 영역을 함몰시키는 단계, 상기 제1 위치의 파이프 영역에 걸쳐지도록 거름망을 상기 파이프 내부에 배치하는 단계, 상기 파이프의 타측과 가까운 제2 위치를 함몰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액 분리용 어큐뮬레이터 제조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거름망 표면에 탄소나노튜브가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액 분리용 어큐뮬레이터 제조방법.
KR1020170047518A 2017-04-12 2017-04-12 기액 분리용 어큐뮬레이터 제조방법 KR2018011516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7518A KR20180115165A (ko) 2017-04-12 2017-04-12 기액 분리용 어큐뮬레이터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7518A KR20180115165A (ko) 2017-04-12 2017-04-12 기액 분리용 어큐뮬레이터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5165A true KR20180115165A (ko) 2018-10-22

Family

ID=641024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47518A KR20180115165A (ko) 2017-04-12 2017-04-12 기액 분리용 어큐뮬레이터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11516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81433B1 (ko) 2023-05-03 2023-09-21 주식회사 와이케이테크 기액 분리용 어큐뮬레이터 제조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81433B1 (ko) 2023-05-03 2023-09-21 주식회사 와이케이테크 기액 분리용 어큐뮬레이터 제조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040587B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piston rod
KR20180115165A (ko) 기액 분리용 어큐뮬레이터 제조방법
JP6200154B2 (ja) オイルセパレータ及び該オイルセパレータを製造する方法
US20040245323A1 (en) Fusion-welding of defective components to preclude expulsion of contaminants through the weld
EP2361698A1 (en) Gas Well Connector and Method of using same
JP2004169983A (ja) 遠心分離式油分離器及び遠心分離式油分離器の製造方法及び冷媒装置
US20170128867A1 (en) Virtual impactor filter assembly and method
JP2008249242A (ja) 冷凍サイクル用アキュムレータ
KR200437783Y1 (ko) 어큐뮤레이터 용접용 산화방지장치
JP2008303982A (ja) 配管補修具および配管補修方法
JPH07276121A (ja) 管穿孔機
JPH09267207A (ja) 管体穿孔用ホールソー
JP2006029684A (ja) オイルセパレータ及び極低温装置
JP5302889B2 (ja) 含油スラッジの減量化装置
JPH07132204A (ja) 双方向流水管の夾雑物除去装置
JP5303106B2 (ja) 空気調和機及び既設冷媒配管を再利用した空気調和機の施工方法
JP5072961B2 (ja) 特に金属材料用の穴あけ工具
JP6271387B2 (ja) 油抜き治具、および、これを備えた油回収装置
JP2017082890A (ja) ドレントラップ用ストレーナ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2121036A (ja) サンプリング及び補修方法
JP2006194346A (ja) サドル分水栓の交換方法およびサドル分水栓とサドル分水栓交換器との組合体
JP4721864B2 (ja) ガス遮断治具、これを用いた水取器撤去作業工法及び継手交換作業工法
JP2007017060A (ja) 冷媒気液分離器及び冷媒気液分離器の製造方法
JP2013022703A (ja) 夾雑物回収方法
WO2020194645A1 (ja) 分離器、油分離器、気液分離器および空気調和装置、ならびに分離器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