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10588A - 건설 기계의 조작 레버 장치 - Google Patents

건설 기계의 조작 레버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10588A
KR20180110588A KR1020180024667A KR20180024667A KR20180110588A KR 20180110588 A KR20180110588 A KR 20180110588A KR 1020180024667 A KR1020180024667 A KR 1020180024667A KR 20180024667 A KR20180024667 A KR 20180024667A KR 20180110588 A KR20180110588 A KR 201801105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k
console
lock release
consoles
le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246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37294B1 (ko
Inventor
궈리앙 유안
와타루 이사카
Original Assignee
히다치 겡키 가부시키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히다치 겡키 가부시키 가이샤 filed Critical 히다치 겡키 가부시키 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801105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105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72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72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08Superstructures; Supports for superstruc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75Arm-rests
    • B60N2/763Arm-rests adjustable
    • B60N2/767Angle adjust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75Arm-rests
    • B60N2/763Arm-rests adjustable
    • B60N2/77Height adjust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75Arm-rests
    • B60N2/79Adaptations for additional use of the arm-rests
    • B60N2/797Adaptations for additional use of the arm-rests for use as electrical control means, e.g. switch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16Cabins, platforms, or the like, for driver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16Cabins, platforms, or the like, for drivers
    • E02F9/166Cabins, platforms, or the like, for drivers movable, tiltable or pivoting, e.g. movable seats, dampening arrangements of cabi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0Drives; Control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0Drives; Control devices
    • E02F9/2004Control mechanisms, e.g. control lever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4Safety devices, e.g. for preventing overload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GCONTROL DEVICES OR SYSTEMS INSOFAR A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ONLY
    • G05G5/00Means for preventing, limiting or returning the movements of parts of a control mechanism, e.g. locking controlling member
    • G05G5/005Means for preventing, limiting or returning the movements of parts of a control mechanism, e.g. locking controlling member for preventing unintentional use of a control mechanism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GCONTROL DEVICES OR SYSTEMS INSOFAR A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ONLY
    • G05G1/00Controlling members, e.g. knobs or handles; Assemblies or arrangements thereof; Indicating position of controlling members
    • G05G1/04Controlling members for hand actuation by pivoting movement, e.g. lever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GCONTROL DEVICES OR SYSTEMS INSOFAR A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ONLY
    • G05G1/00Controlling members, e.g. knobs or handles; Assemblies or arrangements thereof; Indicating position of controlling members
    • G05G1/58Rests or guides for relevant parts of the operator's body
    • G05G1/62Arm res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Transportation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onent Parts Of Construction Machinery (AREA)
  • Mechanical Control Devices (AREA)
  • Operation Control Of Excavators (AREA)

Abstract

좌, 우의 콘솔(20, 36)의 전측에는, 콘솔(20, 36)을 임의의 위치에 고정하는 록 기구(25, 41)를 각각 설치한다. 각 록 기구(25, 41)에는, 콘솔(20, 36)을 고정하는 록 상태와 콘솔(20, 36)의 고정을 해제하는 록 해제 상태를 전환하는 록 해제 레버(31, 44)를 각각 설치한다. 각 록 해제 레버(31, 44)는, 록 기구(25,41)로부터 좌, 우 방향의 외측으로 연장되어 각각 설치됨과 함께, 록 해제 레버(31, 44)의 선단측이 하방향으로 경사진 경사 자세에서 록 상태로 하고, 상방향으로 회전 운동된 수평 자세에서 록 해제 상태로 하여 설정된다. 각 콘솔(20, 36)의 전측이며 록 해제 레버(31, 44)의 상측에는, 록 해제 상태에서 콘솔(20,36)을 상, 하 방향으로 요동시키는 손잡이부(35, 48)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Description

건설 기계의 조작 레버 장치{CONTROL LEVER DEVICE FOR CONSTRUCTION MACHINE}
본 발명은, 예를 들면 유압 셔블 등의 건설 기계에 이용되는 건설 기계의 조작 레버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설 기계로서의 유압 셔블은, 자주(自走)가 가능한 하부 주행체와, 하부 주행체 상에 선회 장치를 개재하여 선회 동작이 가능하게 탑재된 상부 선회체와, 상부 선회체에 부앙(俯仰) 동작이 가능하게 설치된 프론트 장치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상부 선회체 전측에는, 오퍼레이터가 탑승하는 캡이 설치되어 있다. 이 캡 내에는, 오퍼레이터가 착좌하는 운전석과, 운전석의 좌, 우 양측에 위치하여 프론트 장치와 선회 장치를 조작하는 좌, 우의 작업용의 조작 레버 장치와, 운전석의 전측에 위치하여 하부 주행체를 주행 조작하는 좌, 우의 주행용의 조작 레버·페달이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운전석에는, 다향한 체형의 오퍼레이터가 착좌한다. 이 때문에, 오퍼레이터가 편한 자세로 조작할 수 있도록, 좌, 우의 조작 레버 장치에는, 운전석에 대한 높이 위치가 조정 가능하게 된 것이 있다. 이 높이 위치가 조정 가능한 각 조작 레버 장치는, 고정 프레임에 장착된 후측을 지지점으로 하여 전측이 상, 하 방향으로 요동이 가능한 콘솔과, 각 콘솔에 설치되어 프론트 장치를 조작하는 조작 레버와, 콘솔의 전측이 상측을 향해 요동하도록 콘솔을 가압하는 가압 부재와, 콘솔에 설치되어, 이 콘솔을 임의의 위치에 고정하는 록 기구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또한, 록 기구에 의한 콘솔의 고정, 고정의 해제를 조작하는 조절 레버는, 조작 레버의 후측 위치에 상측으로 돌출하여 설치되어 있다(특허 문헌 1).
이 특허 문헌 1에서는, 조작 레버의 높이를 조정하는 경우에, 일방의 손으로 조절 레버를 조작하여 록 기구에 의한 콘솔의 고정을 해제한다. 이 록 해제 상태에서, 타방의 손으로 콘솔을 요동시켜 적절한 높이 위치에 맞추고, 일방의 손으로 조절 레버를 조작하여 콘솔을 록하고 있다.
일본 공개특허 특개2008-63891호 공보
그런데, 특허 문헌 1에 의한 것은, 좌, 우의 조작 레버 장치의 높이 조정을 각각 행하는 경우에, 조절 레버의 조작과 콘솔의 요동 동작에 양 손이 필요해진다. 이 때문에, 좌, 우의 조작 레버 장치의 높이 조정을 한 쪽씩 행하지 않으면 안되어, 조정 작업 시간이 길어진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좌, 우의 조작 레버 장치의 높이 조정을 한 쪽씩 행한 경우, 좌, 우의 조작 레버 장치의 높이 위치를 맞추는 것이 어렵고, 이 점에 있어서도 조정 작업 시간이 길어진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서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좌, 우의 조작 레버 장치의 높이 조정을 각각 한쪽 손으로 행할 수 있어, 높이 조정의 작업 시간을 짧게 할 수 있게 한 건설 기계의 조작 레버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에 의한 건설 기계의 조작 레버 장치는, 운전석의 좌, 우 양측에 각각 배치되어, 고정 프레임에 장착된 후측을 지지점으로 하여 전측이 상, 하 방향으로 요동이 가능한 좌, 우의 콘솔과, 상기 좌, 우의 콘솔에 각각 설치되어 프론트 장치를 조작하는 조작 레버와, 상기 좌, 우의 콘솔의 전측이 상측을 향해 요동하도록 상기 좌, 우의 콘솔을 구성하는 각 콘솔을 가압하는 가압 부재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건설 기계의 조작 레버 장치에 있어서, 상기 각 콘솔의 전측에는, 상기 각 콘솔을 임의의 위치에 고정하는 록 기구가 각각 설치되고, 상기 각 록 기구에는, 상기 각 콘솔을 고정하는 록 상태 및 상기 각 콘솔의 고정을 해제하는 록 해제 상태를 전환하는 록 해제 레버가 각각 설치되며, 상기 각 록 해제 레버는, 상기 각 록 기구로부터 상기 운전석에 대하여 좌, 우 방향의 외측으로 연장되어 각각 설치됨과 함께, 상기 각 록 해제 레버의 선단측이 하방향으로 경사진 경사 자세에서 상기 록 상태로 하고, 상기 경사 자세로부터 상 방향으로 회전 운동된 수평 자세에서 상기 록 해제 상태로 하여 설정되고, 상기 각 콘솔의 전측에서 상기 각 록 해제 레버의 상측에는, 상기 각 록 해제 레버에 의해 고정을 해제한 상기 록 해제 상태에서 상기 각 콘솔을 상, 하 방향으로 요동시키는 손잡이부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조작 레버 장치의 높이의 조정을 한쪽 손으로 행할 수 있어, 높이 조정의 작업 시간을 짧게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적용되는 유압 셔블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2는 플로어 부재, 운전석 지지대, 고정 프레임, 운전석, 좌측 조작 레버 장치 및 우측 조작 레버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플로어 부재, 운전석 지지대, 고정 프레임, 운전석, 좌측 조작 레버 장치 및 우측 조작 레버 장치를 전측에서 본 전면(前面)도이다.
도 4는 도 2 중의 고정 프레임, 좌측 조작 레버 장치 및 우측 조작 레버 장치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고정 프레임, 좌측 조작 레버 장치 및 우측 조작 레버 장치를 콘솔 커버를 제거한 상태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 중의 좌측 조작 레버 장치와 우측 조작 레버 장치를 분해하여 고정 프레임과 함께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 중의 고정 프레임의 우측 부분과 분해한 우측 조작 레버 장치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고정 프레임의 우측 베이스 프레임, 우측 콘솔 지지 브래킷 및 우측 전방 세로판을 조립한 상태에서 확대하여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는 우측 조작 레버 장치 우측 콘솔을 단체(單體)로 확대하여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0은 우측 조작 레버 장치 우측 콘솔의 전측 부분을 가상선으로 나타내고, 우측 록 기구의 동작 부분을 실선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1은 록 기구의 동작 부분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록 기구의 동작 부분을 분해하여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과 관련된 건설 기계의 조작 레버 장치의 실시 형태를, 건설 기계로서의 유압 셔블의 조작 레버 장치를 예로 들어, 도 1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에 있어서, 건설 기계로서의 유압 셔블(1)은, 자주가 가능한 하부 주행체(2)와, 하부 주행체(2) 상에 선회 장치(3)를 개재하여 선회 동작이 가능하게 지지된 상부 선회체(4)와, 상부 선회체(4)의 전측에 부앙 동작이 가능하게 설치되어, 토사의 굴삭 작업 등을 행하는 프론트 장치(5)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상부 선회체(4)는, 베이스가 되는 선회 프레임(6)과, 선회 프레임(6)에 탑재된 엔진, 유압 펌프, 열 교환기, 제어 밸브 등(모두 도시 생략)을 덮은 외장 커버(7)와, 선회 프레임(6)의 좌측 전부(前部)에 배치하여 설치된 캡(8)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캡(8)은, 예를 들면 캡 박스(9)의 하측을 플로어 부재(10)(도 2, 도 3 참조)로 덮음으로써 상자형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플로어 부재(10) 상에는, 후술의 운전석(17), 좌측 조작 레버 장치(18), 우측 조작 레버 장치(19)가 설치되어 있다.
플로어 부재(10)는, 전, 후 방향으로 장척인 직사각형 형상의 판체로서 형성되고, 그 전, 후 방향의 중간 위치에는, 운전석 지지대(11)가 설치되어 있다. 운전석 지지대(11)는, 운전석(17)을 위치 조정이 가능하게 지지하는 받침대를 구성하고 있다. 운전석 지지대(11)는, 상, 하 방향에서 편평한 상자형 형상으로 형성된 지지 베이스(11A)와, 지지 베이스(11A) 상에 설치되어, 운전석(17), 좌측 조작 레버 장치(18), 우측 조작 레버 장치(19)를, 전, 후 방향 및 상, 하 방향으로 위치 조정하는 위치 조정 기구(11B)와, 위치 조정 기구(11B) 상에 설치된 후술의 고정 프레임(12)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예를 들면, 위치 조정 기구(11B)는, 운전석(17)의 착석감을 양호하게 하기 위한 서스펜션 기구(도시 생략)를 구비하고 있다.
여기서, 위치 조정 기구(11B)는, 운전석(17)과 좌측 조작 레버 장치(18) 및 우측 조작 레버 장치(19)를 함께 이동시키는 것이다. 한편, 운전석(17)에는, 다양한 체형의 오퍼레이터가 착좌한다. 이에 의해, 오퍼레이터에 따라 최적인 조작 레버(37, 21)의 위치가 상이하다. 따라서, 좌, 우의 조작 레버 장치(18, 19)는, 조작 레버(37, 21)가 설치된 전측 부분을 운전석(17)에 대하여 상, 하 방향으로 위치 조정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운전석 지지대(11)의 고정 프레임(12)은, 위치 조정 기구(11B)의 상측에 배치되고, 운전석(17)과 각 조작 레버 장치(18, 19)를 장착하는 장착 베이스로 되어 있다. 도 4,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고정 프레임(12)은, 좌, 우로 이간하여 배치되고 전, 후 방향으로 연장된 좌측 베이스 프레임(12A)과 우측 베이스 프레임(12B)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이 좌측 베이스 프레임(12A)과 우측 베이스 프레임(12B)은, 좌, 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전측 연결 프레임(12C)과 후측 연결 프레임(12D)에 의해 일체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각 베이스 프레임(12A, 12B) 상에는, 운전석(17)이 장착되어 있다.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좌측 콘솔 지지 브래킷(13)은, 좌측 베이스 프레임(12A)의 후측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우측 콘솔 지지 브래킷(14)은, 우측 베이스 프레임(12B)의 후측에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좌측 콘솔 지지 브래킷(13)과 우측 콘솔 지지 브래킷(14)은, 좌, 우 방향에서 대칭이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우측 콘솔 지지 브래킷(14)의 구성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하고, 좌측 콘솔 지지 브래킷(13)의 구성에 대한 설명은, 우측 콘솔 지지 브래킷(14)에 대응하는 부호를 붙여 생략하는 것으로 한다.
도 7,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우측 콘솔 지지 브래킷(14)은, 평면부(14A)와, 평면부(14A)의 좌, 우 방향의 외측으로부터 솟아오르는 세로면부(14B)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세로면부(14B)의 후측 위치이고, 또한 평면부(14A)보다 높은 위치에는, 지지 통(14C)이 설치되고, 이 지지 통(14C)은, 좌, 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원통체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이 지지 통(14C)의 중심 축선 O-O(도 7 참조)의 위치는, 우측 콘솔(20)을 요동할 때의 지지점의 위치로 되어 있다. 또한, 평면부(14A)의 전측 위치에는, 댐퍼 장착부(14D)가 설치되고, 이 댐퍼 장착부(14D)는, 좌, 우 방향의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다. 지지 통(14C)에는, 우측 콘솔(20)의 지지축(20D)이 삽입 장착된다. 댐퍼 장착부(14D)의 선단부에는, 후술하는 우측 댐퍼(22)의 로드(22B)의 선단이 장착된다.
우측 콘솔 지지 브래킷(14)은, 평면부(14A)가 예를 들면 2개의 볼트(14E)를 이용하여 우측 베이스 프레임(12B)에 장착되어 있다. 이 경우, 평면부(14A)에 좌, 우 방향으로 장척인 볼트 삽입 통과 홈을 형성함으로써, 우측 콘솔 지지 브래킷(14)을 좌, 우 방향으로 위치 조정이 가능하게 할 수도 있다. 이 조정 기능은, 좌측 콘솔 지지 브래킷(13), 좌측 전방 세로판(15), 우측 전방 세로판(16)에도 적용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좌측 콘솔 지지 브래킷(13)은, 우측 콘솔 지지 브래킷(14)과 마찬가지로, 평면부(13A), 세로면부(13B), 지지 통(13C), 댐퍼 장착부(13D)를 가지고, 2개의 볼트(13E)를 이용하여 좌측 베이스 프레임(12A)에 장착되어 있다. 지지 통(13C)에는, 좌측 콘솔(36)의 지지축(36D)이 삽입 장착된다. 댐퍼 장착부(13D)의 선단부에는, 후술하는 좌측 댐퍼(38)의 로드측이 장착된다.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좌측 전방 세로판(15)은, 좌측 베이스 프레임(12A)의 전측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우측 전방 세로판(16)은, 우측 베이스 프레임(12B)의 전측에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좌측 전방 세로판(15)과 우측 전방 세로판(16)은, 좌, 우 방향에서 대칭이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우측 전방 세로판(16)의 구성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하고, 좌측 전방 세로판(15)의 구성에 대한 설명은, 우측 전방 세로판(16)에 대응하는 부호를 붙여 생략하는 것으로 한다.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우측 전방 세로판(16)은, 후술의 우측 콘솔(20)에 설치된 레버 장착 프레임(20B)의 내측면부(20B2)에 대면하는 세로판체로서 형성되어 있다. 우측 전방 세로판(16)의 좌, 우 방향의 내면측(우측 베이스 프레임(12B)측)에는, 장착부(16A)가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어 설치되어 있다. 우측 전방 세로판(16)의 전측 위치에는, 복수 개, 예를 들면 5개의 계합(engaging) 구멍(16B~16F)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우측 전방 세로판(16)의 전, 후 방향의 중간 위치에는, 가이드 홈(16G)이 설치되어 있다. 우측 전방 세로판(16)은, 장착부(16A)가 예를 들면 2개의 볼트(16H)를 이용하여 우측 베이스 프레임(12B)에 장착되어 있다. 또한, 계합 구멍은, 2~4개 또는 6개 이상 설치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5개의 계합 구멍(16B~16F)은, 후술하는 우측 록 기구(25)의 일부를 구성하고 있다. 각 계합 구멍(16B~16F)은, 우측 콘솔 지지 브래킷(14)의 지지 통(14C)의 중심 축선(O-O)을 중심으로 하고, 이 중심 축선(O-O)으로부터 우측 전방 세로판(16)의 전측 위치까지를 반경으로 하는 원호를 따라 배치하여 설치되어 있다. 각 계합 구멍(16B~16F)은, 상, 하 방향으로 원하는 간격을 가지고, 우측 전방 세로판(16)의 판 두께 방향(좌, 우 방향)으로 관통하는 둥근 구멍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각 계합 구멍(16B~16F)에는, 후술하는 록 핀(26)의 선단부(26B)를 선택적으로 끼울 수 있다.
가이드 홈(16G)은, 후술하는 우측 가이드 기구(24)의 일부를 구성하고 있다. 가이드 홈(16G)은, 각 계합 구멍(16B~16F)보다 후측에 위치하여 상, 하 방향으로 연장되어 설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가이드 홈(16G)은, 우측 콘솔 지지 브래킷(14)의 지지 통(14C)의 중심 축선(O-O)을 중심점으로 하는 원호를 따른 원호 홈(만곡 홈)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좌측 전방 세로판(15)은, 우측 전방 세로판(16)과 마찬가지로, 장착부(15A), 각 계합 구멍(15B~15F), 가이드 홈(15G)을 가지고, 2개의 볼트(도시 생략)를 이용하여 좌측 베이스 프레임(12A)에 장착되어 있다. 각 계합 구멍(15B~15F)은, 후술하는 좌측 록 기구(41)의 일부를 구성하고 있다. 가이드 홈(15G)은, 후술하는 좌측 가이드 기구(40)의 일부를 구성하고 있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운전석(17)은, 운전석 지지대(11) 상에 설치되어 있다. 운전석(17)은, 오퍼레이터가 착좌하는 것으로, 고정 프레임(12)의 각 베이스 프레임(12A, 12B) 상에 장착되어 있다.
이어서, 본 실시 형태에 의한 건설 기계의 조작 레버 장치로서의 유압 셔블(1)의 좌측 조작 레버 장치(18)와 우측 조작 레버 장치(19)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여기서, 좌측 조작 레버 장치(18)와 우측 조작 레버 장치(19)는, 좌, 우 방향에서 대칭이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우측 조작 레버 장치(19)의 구성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고, 좌측 조작 레버 장치(18)의 구성의 설명에 대해서는, 발명과 관련된 부분(좌측 록 기구(41))을 제외하고, 우측 조작 레버 장치(19)를 구성하는 각 부품에 대응하는 부호를 붙여 생략하는 것으로 한다.
도 4 내지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우측 조작 레버 장치(19)는, 운전석(17)의 우측에 위치하여 고정 프레임(12)에 장착되어 있다. 우측 조작 레버 장치(19)는, 우측 콘솔(20), 우측 조작 레버(21), 우측 댐퍼(22), 우측 가이드 기구(24), 우측 록 기구(25), 우측 손잡이부(35)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우측 콘솔(20)은, 좌측 콘솔(36)과 함께 콘솔을 구성하는 것이다. 이 우측 콘솔(20)은, 운전석(17)의 좌, 우 방향의 우측에 배치되어 있다. 도 7,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우측 콘솔(20)은, 고정 프레임(12)에 장착된 우측 콘솔 지지 브래킷(14)의 후측을 지지점으로 하여 전측이 상, 하 방향으로 요동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우측 콘솔(20)은, 전, 후 방향으로 연장된 메인 프레임(20A)과, 메인 프레임(20A)의 전부에 설치된 박스 형상의 레버 장착 프레임(20B)과, 레버 장착 프레임(20B)의 전면부(20B1)에 설치된 록 케이스(20C)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메인 프레임(20A)의 후측에는, 좌, 우 방향의 내측을 향해 돌출되는 지지축(20D)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메인 프레임(20A)의 후측에는 댐퍼 장착부(20E)가 설치되고, 이 댐퍼 장착부(20E)는, 지지축(20D)보다 상측, 또한 전측에 위치하여, 좌, 우 방향의 외측을 향해 돌출되어 있다.
레버 장착 프레임(20B)의 좌, 우 방향의 내측 위치에는, 내측면부(20B2)가 설치되어 있다. 내측면부(20B2)에는, 우측 전방 세로판(16)의 가이드 홈(16G)에 대응하는 위치에 나사 구멍(20F)이 설치되어 있다. 이 나사 구멍(20F)에는, 후술하는 우측 가이드 기구(24)의 가이드 볼트(24A)가 나사 장착된다. 여기서, 나사 구멍(20F)은, 내측면부(20B2)로부터 내측(좌, 우 방향의 좌측)으로 돌출된 원형 시트(20G)의 중앙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원형 시트(20G)의 두께 치수(축 방향의 높이 치수)는, 우측 전방 세로판(16)의 두께 치수보다 약간 큰 치수로 설정되어 있다. 이에 따라, 우측 전방 세로판(16)은, 내측면부(20B2)와 가이드 볼트(24A)의 헤드부와의 사이에 약간의 간극을 두고 끼울 수 있다. 한편, 레버 장착 프레임(20B)의 상면부(20B3)는, 후술의 우측 조작 레버(21)가 장착되는 것으로, 중앙에 레버 삽입 통과 개구(20B4)가 형성되어 있다.
록 케이스(20C)는, 직사각형 형상의 판재의 길이 방향의 양단측을 C자 형상 내지 U자 형상으로 절곡함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록 케이스(20C)는, 전면(20C1), 좌, 우 방향의 내측에 위치하는 내면(20C2) 및 좌, 우 방향의 외측에 위치하는 외면(20C3)을 가지고 있다. 록 케이스(20C)의 전면(20C1)에는, 우측 록 기구(25)의 회전 운동축(30)이 회전 운동 가능하게 삽입 통과되는 축 베어링(20C4)이 설치되어 있다. 한편, 내면(20C2)에는, 록 핀(26)의 선단측이 삽입 통과되는 핀 베어링(20C5)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외면(20C3)에는, 핀 베어링(20C5)과 동일 축선상에 위치하여 록 핀(26)의 기단측이 삽입 통과되는 핀 베어링(20C6)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록 케이스(20C)에는, 전면(20C1)의 상측 위치에 커버 장착 시트(20C7)가 설치되고, 전면(20C1)의 하측 위치에 커버 장착 시트(20C8)가 설치되어 있다. 이들 커버 장착 시트(20C7, 20C8)에는, 후술하는 우측 콘솔 커버(34)의 전측 부분을 장착하기 위한 볼트(도시 생략)가 나사 장착된다.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우측 콘솔(20)은, 지지축(20D)이 고정 프레임(12)에 장착된 우측 콘솔 지지 브래킷(14)의 지지 통(14C)에 회전 운동 가능하게 삽입 장착되어 있다. 이에 따라, 우측 콘솔(20)은, 지지축(20D)(중심 축선(O-O))을 중심으로 하여 전측을 상, 하 방향으로 요동시켜 높이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우측 조작 레버(21)는, 좌측 조작 레버(37)와 함께 조작 레버를 구성하는 것이다. 이 우측 조작 레버(21)는, 우측 콘솔(20)의 레버 장착 프레임(20B)에 설치되어 있다. 이 우측 조작 레버(21)는, 선회 장치(3), 프론트 장치(5) 중 적어도 일방을 조작하는 것이다. 우측 조작 레버(21)는, 레버 장착 프레임(20B)의 상면부(20B3)에 장착되는 감압 밸브형의 파일럿 밸브(21A)와, 파일럿 밸브(21A)로부터 레버 삽입 통과 개구(20B4)를 거쳐 상측으로 연장된 레버부(21B)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또한, 파일럿 밸브(21A)는, 파일럿 호스를 통하여 제어 밸브(모두 도시 생략)에 접속되어 있다.
우측 댐퍼(22)는, 좌측 댐퍼(38)와 함께 댐퍼를 구성하는 것이다. 이 우측 댐퍼(22)는, 고정 프레임(12)측의 우측 콘솔 지지 브래킷(14)과 우측 콘솔(20)의 메인 프레임(20A)의 사이에 설치되어 있다. 이 우측 댐퍼(22)는, 우측 콘솔(20)의 전측이 상측을 향해 요동하도록 우측 콘솔(20)을 가압하는 가압 부재를 구성하고 있다. 우측 댐퍼(22)는, 예를 들면 가스 스프링으로서 형성되어, 튜브(22A)측이 우측 콘솔(20)의 댐퍼 장착부(20E)에 장착되고, 로드(22B)측이 우측 콘솔 지지 브래킷(14)의 댐퍼 장착부(14D)에 장착되어 있다.
우측 아암 레스트(23)는, 오퍼레이터가 우측 팔꿈치를 올리는 것으로, 운전석(17)의 우측방에 배치되어 있다. 우측 아암 레스트(23)는, 그 후측의 브래킷(23A)이 우측 콘솔(20)의 메인 프레임(20A)의 후부에 대하여 높이 조정이 가능한 상태로 장착되어 있다.
우측 가이드 기구(24)는, 좌측 가이드 기구(40)와 함께 가이드 기구를 구성하는 것이다. 이 우측 가이드 기구(24)는, 고정 프레임(12)측의 우측 전방 세로판(16)과 우측 콘솔(20)의 레버 장착 프레임(20B)의 사이에 설치되어 있다. 우측 가이드 기구(24)는, 우측 콘솔(20) 전측이 상, 하 방향으로 요동될 때에, 좌, 우 방향으로 덜컹거리지 않고 우측 전방 세로판(16)을 따르도록 가이드하는 것이다. 우측 가이드 기구(24)는, 상기 서술한 우측 전방 세로판(16)에 설치되어 있는 가이드 홈(16G)과, 레버 장착 프레임(20B)의 내측면부(20B2)에 설치되어 있는 나사 구멍(20F)과, 가이드 홈(16G)에 삽입 통과되어 나사 구멍(20F)에 나사 장착되어 있는 가이드 볼트(24A)로 구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우측 가이드 기구(24)는, 가이드 홈(16G)에 의해 우측 콘솔(20)의 전측이 상, 하 방향으로 요동하는 것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게다가, 우측 가이드 기구(24)는, 우측 전방 세로판(16)을 레버 장착 프레임(20B)의 내측면부(20B2)와 가이드 볼트(24A)의 헤드부(와셔)에 의해 약간의 간극을 두고 끼워짐으로써, 우측 콘솔(20)의 전측이 좌, 우 방향으로 덜컹거리지 않도록 가이드할 수 있다.
이어서, 본 실시 형태의 특징 부분을 이루는 우측 록 기구(25)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 우측 록 기구(25)는, 좌측 록 기구(41)와 함께 록 기구를 구성하는 것이다. 우측 록 기구(25)는, 우측 콘솔(20)을 임의의 위치에 고정하는 것이다. 도 10 내지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우측 록 기구(25)는, 상기 서술한 우측 전방 세로판(16)의 5개의 계합 구멍(16B~16F)과, 우측 콘솔(20)의 록 케이스(20C)와, 후술의 록 핀(26), 스프링 부재(29), 회전 운동축(30), 록 해제 레버(31), 변환 부재(32)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록 핀(26)은, 우측 콘솔(20)의 록 케이스(20C)에 설치되어 있다. 록 핀(26)은, 수평 방향이 되는 축방향으로 직선 동작함으로써, 우측 전방 세로판(16)의 각 계합 구멍(16B~16F)에 대하여 삽탈되는 것이다. 록 핀(26)은, 좌, 우 방향으로 장척인 원기둥체로 이루어지고, 길이 방향의 중간 위치에는 직경 방향으로 관통하여 핀 삽입 구멍(26A)(도 12 참조)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록 핀(26)의 선단부(26B)는, 각 계합 구멍(16B~16F)에 끼우기 쉽도록 테이퍼 형상으로 직경이 축소되어 있다.
여기서, 록 핀(26)의 기단측은, 록 케이스(20C)의 핀 베어링(20C6)에 부시(26C)를 개재하여 삽입 통과되고, 록 핀(26)의 선단측은, 록 케이스(20C)의 핀 베어링(20C5)에 부시(26C)를 개재하여 삽입 통과되어 있다. 이에 따라, 록 핀(26)은, 록 케이스(20C)에 대하여 수평 방향(좌, 우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할 수 있도록 지지되어 있다. 록 핀(26)은, 선단부(26B)가 록 케이스(20C)의 핀 베어링(20C5)으로부터 돌출된 록 위치(도 10에 나타내는 위치)와, 선단부(26B)가 핀 베어링(20C5) 내로 들어간 록 해제 위치와의 사이에서 이동되는 것이다.
한편, 록 핀(26)의 외주측에는, 원환 형상의 스프링 베어링(27)이 밖에 끼워져 설치되어 있다. 이 스프링 베어링(27)에는, 직경 방향으로 관통하여 핀 삽입 구멍(27A)이 형성되어 있다. 스프링 베어링(27)은, 핀 삽입 구멍(27A)이 록 핀(26)의 핀 삽입 구멍(26A)과 연통하도록 록 핀(26)의 길이 방향의 중간 위치에 배치된다. 이 위치에서, 각 핀 삽입 구멍(26A, 27A)에 연결 핀(28)이 삽입됨으로써, 스프링 베어링(27)은 록 핀(26)에 장착되어 있다. 한편, 연결 핀(28)은, 각 핀 삽입 구멍(26A, 27A)에 삽입된 상태에서, 양단부가 스프링 베어링(27)으로부터 돌출되어 있으며, 이 돌출 단부는, 변환 부재(32)의 각 굴곡판부(32B)에 형성된 긴 홈(32B1)에 계합할 수 있다.
스프링 부재(29)는, 록 핀(26)의 외주측에 위치하여, 부시(26C)와 스프링 베어링(27)의 사이에 설치되어 있다. 스프링 부재(29)는, 예를 들면 압축 코일 스프링으로 형성되며, 록 핀(26)을 각 계합 구멍(16B~16F)측을 향해 가압하는 것이다.
회전 운동축(30)은, 록 핀(26)보다 상측에 위치하고, 또한 록 케이스(20C)에 대하여, 전, 후 방향으로 연장되어 설치되어 있다. 또한, 회전 운동축(30)의 선단측은, 우측 콘솔(20)의 전면부, 즉, 록 케이스(20C)의 전면(20C1)으로부터 외부로 돌출되어 있다. 회전 운동축(30)은, 록 케이스(20C)의 베어링(20C4)에 부시(30A)를 개재하여 회전 가능하게 삽입 통과되어 있다. 또한, 회전 운동축(30) 중, 록 케이스(20C) 내의 기단측은, 편평한 직방체 형상의 장착부(30B)가 되고, 이 장착부(30B)에는, 판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여 볼트 삽입 통과 구멍(30C)이 설치되어 있다. 한편, 회전 운동축(30)의 선단측은, 록 케이스(20C)로부터 전측으로 연장되어 있다.
록 해제 레버(31)는, 우측 콘솔(20)을 고정하는 록 상태 및 고정을 해제하는 록 해제 상태를 전환하는 것이다. 록 해제 레버(31)는, 회전 운동축(30)의 선단 위치로부터 좌, 우 방향의 외측(우측)을 향해 연장되어 설치되어 있다. 이 록 해제 레버(31)는, 회전 운동축(30)의 선단부로부터 L자 형상으로 절곡되어 연장되어, 오퍼레이터에 의해 조작되는 그립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록 해제 레버(31)는, 록 핀(26)이 록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록 상태에서, 선단측이 하방향으로 경사진 경사 자세가 된다.
한편, 록 해제 레버(31)는, 경사 자세로부터 상방향으로 회전 운동되어 수평이 된 수평 자세(도 3 중에 2점 쇄선으로 나타내는 자세)로 록 핀(26)을 록 해제 위치에 배치할 수 있다(록 해제 상태). 이에 따라, 록 해제 레버(31)는, 록 해제 상태에서 후술의 우측 손잡이부(35)와 평행해지기 때문에, 우측 손잡이부(35)와 함께 록 해제 레버(31)를 손에 쥔 채의 상태에서도 우측 콘솔(20)을 용이하게 올림 동작과 내림 동작을 할 수 있다.
변환 부재(32)는, 회전 운동축(30)과 록 핀(26)의 사이에 설치되어 있다. 이 변환 부재(32)는, 록 해제 레버(31)에 의한 회전 운동축(30)의 회전 운동 동작을 록 핀(26)의 직선 동작으로 변환하는 것이다. 변환 부재(32)는, 회전 운동축(30)의 장착부(30B)에 대면하는 장착판부(32A)와, 장착판부(32A)의 전, 후 방향의 양단으로부터 굴곡하여 록 핀(26)측으로 굴곡된 한 쌍의 굴곡판부(32B)로 구성되어 있다. 장착판부(32A)의 하면측에는, 나사 구멍을 이루는 용접 너트(32C)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각 굴곡판부(32B)의 선단부에는, 연결 핀(28)을 슬라이딩 가능하게 사이에 끼우는 긴 홈(32B1)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변환 부재(32)는, 장착판부(32A)가 회전 운동축(30)의 장착부(30B)에 맞닿고, 이 상태에서 회전 운동축(30)의 볼트 삽입 통과 구멍(30C)에 삽입 통과된 볼트(33)를 용접 너트(32C)에 나사 장착함으로써, 회전 운동축(30)과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변환 부재(32)는, 록 해제 레버(31)가 화살표(a) 방향으로 회전 운동 조작되었을 때에, 각 굴곡판부(32B)를 화살표(b) 방향으로 회전 운동시킨다. 이에 따라, 변환 부재(32)는, 각 굴곡판부(32B)의 긴 홈(32B1)에 계합된 연결 핀(28)을 통하여 록 핀(26)을 화살(c) 방향으로 직선적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도 2 내지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우측 콘솔 커버(34)는, 우측 콘솔(20), 우측 조작 레버(21)의 파일럿 밸브(21A), 우측 댐퍼(22), 우측 록 기구(25)를 덮어 설치되어 있다. 우측 콘솔 커버(34)는, 전면(34A), 상면(34B), 내측면(34C) 및 외측면(34D)을 가지는 전, 후 방향으로 장척인 상자형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우측 콘솔 커버(34)는, 전측이 우측 콘솔(20)의 록 케이스(20C)에 설치된 커버 장착 시트(20C7, 20C8)에 볼트(도시 생략)를 이용하여 장착되고, 후측이 우측 콘솔(20)에 설치된 도면에 나타내지 않은 장착 시트에 볼트를 이용하여 장착되어 있다.
우측 콘솔(20)의 전측이 되는 우측 콘솔 커버(34)의 전면(34A)에는, 록 해제 레버(31)의 상측에 위치하여 손잡이부로서의 우측 손잡이부(35)가 외부로 돌출되어 설치되어 있다. 이 우측 손잡이부(35)는, 록 해제 레버(31)에 의해 우측 록 기구(25)에 의한 고정을 해제한 록 해제 상태에서, 우측 콘솔(20)을 상, 하 방향으로 요동시키는 것이다. 우측 손잡이부(35)는, 록 해제 레버(31)의 상측을 덮도록, 좌, 우 방향으로 평행하게 연장되면서 전방에 돌출된 덮개 형상을 이루고 있다. 또한, 우측 손잡이부(35)는, 상측에서 손바닥으로 누를 수 있고, 이 상태에서 손의 손가락이 록 해제 레버(31)에 닿도록, 이 록 해제 레버(31)의 상측의 근방 위치에 배치하여 설치되어 있다.
우측 손잡이부(35)는, 우측 록 기구(25)의 록 해제 상태에서는, 손을 얹어 하측으로 누름으로써, 우측 댐퍼(22)의 가압력에 저항하여 우측 콘솔(20)의 전측을 하방향으로 요동시킬 수 있다. 한편, 우측 손잡이부(35)에 가한 힘을 뺌으로써, 우측 댐퍼(22)의 가압력에 의해 우측 콘솔(20)의 전측을 상 방향으로 요동시킬 수 있다.
또한, 좌측 조작 레버 장치(18)는, 우측 조작 레버 장치(19)와 대략 마찬가지로, 메인 프레임(36A), 레버 장착 프레임(36B), 록 케이스(36C), 지지축(36D), 댐퍼 장착부(36E), 나사 구멍(도시 생략)을 가지고 있는 좌측 콘솔(36)과, 감압 밸브형의 파일럿 밸브(37A), 레버부(37B)를 가지고 있는 좌측 조작 레버(37)와, 좌측 댐퍼(38)와, 좌측 아암 레스트(39)와, 상기 서술한 좌측 전방 세로판(15)의 가이드 홈(15G), 레버 장착 프레임(36B)의 상기 나사 구멍, 가이드 볼트(40A)로 이루어지는 좌측 가이드 기구(40)와, 상기 서술한 좌측 전방 세로판(15)의 5개의 계합 구멍(15B~15F), 좌측 콘솔(36)의 록 케이스(36C), 록 핀(42), 스프링 부재(도시 생략), 회전 운동축(43), 록 해제 레버(44), 변환 부재(45), 볼트(46)로 이루어지는 좌측 록 기구(41)와, 좌측 콘솔 커버(47)와, 좌측 손잡이부(48)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계합 구멍은, 2~4개 또는 6개 이상 설치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본 실시 형태의 특징 부분의 하나인 좌측 록 기구(41)는, 록 해제 레버(44)가 회전 운동축(43)의 선단 위치로부터 좌, 우 방향의 외측(좌측)을 향해 연장되어 설치되어 있다. 또한, 록 해제 레버(44)는, 록 해제 레버(31)와 마찬가지로, 록 핀(42)이 록 위치에 배치되어 있을 때에, 선단측이 하방향으로 경사진 경사 자세가 된다. 한편, 록 해제 레버(44)는, 경사 자세로부터 상방향으로 회전 운동되어 수평이 된 수평 자세(도 3 중에 2점 쇄선으로 나타내는 자세)로 록 핀(42)을 록 해제 위치에 배치할 수 있다.
여기서, 우측의 록 해제 레버(31)와 좌측의 록 해제 레버(44)는, 각각 좌, 우 방향의 외측을 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오른손으로 우측의 록 해제 레버(31)를 조작하고, 왼손으로 좌측의 록 해제 레버(44)를 조작할 때에, 오퍼레이터에 대하여 좌, 우에서 동일한 조작 감각을 부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우측의 록 해제 레버(31)와 좌측의 록 해제 레버(44)를 안정적으로 조작할 수 있어, 좌, 우의 조작 레버 장치(18, 19)의 높이 조정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의한 유압 셔블(1)은, 상기 서술과 같은 구성을 가지는 것으로, 이어서, 그 작동에 대하여 설명한다.
캡(8) 내에 올라타 운전석(17)에 착좌한 오퍼레이터는, 주행용의 조작 레버·페달(도시 생략)을 조작함으로써, 하부 주행체(2)를 주행시킬 수 있다. 또한, 좌, 우의 조작 레버 장치(18, 19)에 설치된 조작 레버(37, 21)를 틸팅 조작함으로써, 선회 장치(3)를 선회 동작시키거나, 프론트 장치(5)를 부앙동시키거나 하여 토사의 굴삭 작업을 행할 수 있다.
이어서, 오퍼레이터의 체격, 기호, 작업 내용 등에 따라, 우측 조작 레버 장치(19)의 우측 조작 레버(21), 좌측 조작 레버 장치(18)의 좌측 조작 레버(37)의 높이 위치를 조정하는 경우의 작업의 일례에 대하여 설명한다.
오퍼레이터는, 운전석(17)에 착좌한 상태에서, 오른손의 손바닥을 우측 콘솔 커버(34)의 전측에 설치된 우측 손잡이부(35)에 대고, 오른손의 손가락을 우측 손잡이부(35)의 하측 근방에 가로 방향으로 배치된 록 해제 레버(31)에 건다. 마찬가지로, 왼손의 손바닥을 좌측 콘솔 커버(47)의 전측에 설치된 좌측 손잡이부(48)에 대고, 왼손의 손가락을 좌측 손잡이부(48)의 하측 근방에 가로 방향으로 배치된 록 해제 레버(44)에 건다. 이 상태에서, 좌측 록 해제 레버(31)와 우측 록 해제 레버(44)를 상방향으로 회전 운동시킨다. 이에 따라, 고정 프레임(12)측에 대한 각 록 기구(25, 41)에 의한 고정을 해제하여 록 해제 상태로 할 수 있다. 이 경우, 손바닥을 각 손잡이부(35, 48)에 댐으로써, 손가락에 힘을 효과적으로 작용시킬 수 있기 때문에, 약간의 힘으로 각 록 해제 레버(31, 44)를 회전 운동시킬 수 있다.
그리고, 좌, 우의 록 기구(25, 41)에 의한 고정을 해제하면, 손바닥으로 각 손잡이부(35, 48)를, 하측으로 누름으로써, 댐퍼(22, 38)의 가압력에 저항하여 콘솔(20, 36)의 전측을 하방향으로 요동시킬 수 있다. 한편, 손잡이부(35, 48)에 가한 힘을 뺌으로서, 댐퍼(22, 38)의 가압력에 의해 콘솔(20, 36)의 전측을 상방향으로 요동시킬 수 있다. 이 때, 록 해제 레버(31, 44)는, 손잡이부(35, 48)와 평행해지도록 수평으로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손잡이부(35, 48)와 함께 록 해제 레버(31, 44)를 쥔 상태를 용이하게 유지할 수 있다.
좌, 우의 조작 레버(21, 37)의 높이 위치가 원하는 높이 위치에 배치되면, 각 록 해제 레버(31, 44)를 놓는다. 이에 따라, 각 록 기구(25, 41)는, 록 해제 레버(31, 44)를 놓는 동작과 연동하여 콘솔(20, 36)을 고정 프레임(12)측에 고정할 수 있어, 조작 레버(21, 37)를 원하는 높이 위치에서 록 상태로 할 수 있다.
이렇게 하여,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각 콘솔(20, 36)의 전측에는, 콘솔(20, 36)을 임의의 위치에 고정하는 록 기구(25, 41)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록 기구(25, 41)에는, 콘솔(20, 36)을 고정하는 록 상태 및 콘솔(20, 36)의 고정을 해제하는 록 해제 상태를 전환하는 록 해제 레버(31, 44)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또한, 록 해제 레버(31, 44)는, 록 기구(25, 41)로부터 운전석(17)에 대하여 좌, 우 방향의 외측으로 연장되어 각각 설치됨과 함께, 록 해제 레버(31, 44)의 선단측이 하방향으로 경사진 경사 자세에서 록 상태로 하고, 경사 자세로부터 상방향으로 회전 운동된 수평 자세에서 록 해제 상태로 하여 설정되어 있다. 게다가, 콘솔(20, 36)의 전측이며 록 해제 레버(31, 44)의 상측에는, 록 해제 레버(31, 44)에 의해 고정을 해제한 록 해제 상태에서 콘솔(20, 36)을 상, 하 방향으로 요동시키는 손잡이부(35, 48)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이 경우, 각 록 기구(25, 41)(록 해제 레버(31, 44))를 조작 레버 장치(19, 18)의 콘솔(20, 36)의 전측에 각각 설치함으로써, 콘솔(20, 36)의 요동 지지점(중심 축선(O-O))의 위치로부터 록 해제 레버(31, 44)까지의 거리 치수를 크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오퍼레이터는, 각 조작 레버 장치(19, 18)를 가장 가벼운 힘으로 요동시킬 수 있다.
이 결과, 우측 조작 레버(21)의 높이 조정을 오른손만으로 행할 수 있고, 좌측 조작 레버(37)의 높이 조정을 왼손만으로 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우측 조작 레버(21)와 좌측 조작 레버(37)의 높이 조정의 작업을 동시에 행할 수 있어, 조정 작업 시간을 짧게 할 수 있다. 게다가, 우측 조작 레버(21)와 좌측 조작 레버(37)의 높이 조정의 작업을 동시에 행함으로써, 각각 조정한 경우와 비교하여 조정하기 쉽기 때문에, 조정 작업 시간을 짧게 할 수 있다.
좌, 우의 록 해제 레버(44, 31)는, 회전 운동축(43, 30)의 선단 위치로부터 좌, 우 방향의 외측을 향해 연장되어 있다. 게다가, 좌, 우의 록 해제 레버(44, 31)는, 선단측이 하방향으로 경사진 경사 자세에서 록 핀(42, 26)을 록 위치에 배치하고, 상기 경사 자세로부터 상방향으로 회전 운동된 수평 자세에서 록 핀(42, 26)을 록 해제 위치에 배치하고 있다. 따라서, 각 록 해제 레버(44, 31)는, 경사 자세와 수평 자세의 사이의 조작을 좌, 우에서 동일한 감각으로 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각 록 해제 레버(44, 31)의 조작을 안정되게 행할 수 있어, 좌, 우의 조작 레버 장치(18, 19)의 높이 조정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한편, 우측 콘솔(20)의 전측이 되는 우측 콘솔 커버(34)의 전면(34A)에는, 록 해제 레버(31)의 상측에 위치하여 우측 손잡이부(35)가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우측 손잡이부(35)에 오른손의 손바닥을 댐으로써, 손가락으로 록 해제 레버(31)를 조작할 수 있는 것에 더해, 록 해제 레버(31)에 의해 록을 해제한 상태에서 우측 콘솔(20)의 전측을 상, 하 방향으로 요동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우측 조작 레버 장치(19)의 높이 조정을 한 손으로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좌측 조작 레버 장치(18)의 높이 조정에 대해서도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좌, 우의 록 기구(25, 41)는, 고정 프레임(12)측에 상, 하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5개 설치된 계합 구멍(16B~16F, 15B~15F)과, 콘솔(20, 36)에 설치되어 축방향으로 직선 동작함으로써 복수의 계합 구멍(16B~16F, 15B~15F) 중 어느 하나의 계합 구멍에 대하여 삽탈되는 록 핀(26, 42)과, 록 핀(26, 42)을 계합 구멍(16B~16F, 15B~15F)를 향해 가압하는 스프링 부재(29)와, 전, 후 방향으로 연장된 선단측이 콘솔(20, 36)(콘솔 커버 34, 47)의 전면(34A, 47A)으로부터 외부로 돌출됨과 함께, 선단 위치에 록 해제 레버(31, 44)가 장착된 회전 운동축(30, 43)과, 록 해제 레버(31, 44)에 의한 회전 운동축(30, 43)의 회전 운동 동작을 록 핀(26, 42)의 직선 동작으로 변환하는 변환 부재(32, 45)에 의해 각각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우측 록 기구(25)는, 변환 부재(32)에 의해 록 해제 레버(31)의 화살표 방향으로의 회전 운동 조작을, 록 핀(26)을 화살표 방향으로 직선적으로 이동시키는 동작으로 변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우측 록 기구(25)의 조작성을 높일 수 있고, 이 점에 있어서도, 조정 작업을 단시간에 간단하게 행할 수 있다. 좌측 록 기구(41)에 대해서도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좌, 우의 록 해제 레버(44, 31)와 손잡이부(48, 35)를, 콘솔(36, 20)의 전측에 각각 배치함으로써, 캡(8)의 내부의 좌, 우 방향의 공간을 압박하지 않는다. 이에 따라, 운전석(17)을 넓게 할 수 있어, 작업 시의 오퍼레이터의 쾌적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고정 프레임(12)은, 좌, 우로 이간하여 배치된 좌측 베이스 프레임(12A)과 우측 베이스 프레임(12B)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좌측 베이스 프레임(12A)과 우측 베이스 프레임(12B)의 후측에는, 지지점(중심 축선(O-O))을 가지는 콘솔 지지 브래킷(13, 14)이 각각 설치되고, 좌측 베이스 프레임(12A)과 우측 베이스 프레임(12B)의 전측에는, 각 계합 구멍(15B~15F, 16B~16F)을 가지는 전방 세로판(15, 16)이 각각 설치되어 있다. 이에 따라, 좌측 베이스 프레임(12A)에는, 좌측 콘솔 지지 브래킷(13)과 좌측 전방 세로판(15)을 개재하여 좌측 콘솔(36)을 위치 조정이 가능하게 장착할 수 있다. 또한, 우측 베이스 프레임(12B)에는, 우측 콘솔 지지 브래킷(14)과 우측 전방 세로판(16)을 개재하여 우측 콘솔(20)을 위치 조정이 가능하게 장착할 수 있다.
우측 콘솔(20)과 우측 전방 세로판(16)의 사이에는, 우측 콘솔(20)이 요동될 때에 우측 전방 세로판(16)을 따르도록 가이드하는 우측 가이드 기구(24)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우측 가이드 기구(24)는, 우측 전방 세로판(16)에 설치되어 우측 콘솔 지지 브래킷(14)의 지지점(중심 축선(O-O))을 중심점으로 하여 상, 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원호 형상의 가이드 홈(16G)과, 우측 전방 세로판(16)에 대면하는 우측 콘솔(20)의 레버 장착 프레임(20B)의 내측면부(20B2)에 가이드 홈(16G)에 대응하여 설치되어 있는 나사 구멍(20F)과, 가이드 홈(16G)에 삽입 통과되어 나사 구멍(20F)에 나사 장착되어 있는 가이드 볼트(24A)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우측 가이드 기구(24)는, 우측 전방 세로판(16)을 레버 장착 프레임(20B)의 내측면부(20B2)와 가이드 볼트(24A)의 헤드부에 의해 끼울 수 있고, 우측 콘솔(20)의 전측이 좌, 우 방향으로 덜컹거리지 않도록 가이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우측 콘솔(20)을 좌, 우 방향으로부터 끼우는 구조로 할 필요가 없어지기 때문에, 우측 조작 레버 장치(19)의 구성을 간략화할 수 있다. 좌측 조작 레버 장치(18)에 대해서도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실시 형태에서는, 건설 기계의 조작 레버 장치로서 유압 셔블(1)의 조작 레버 장치(18, 19)를 예로 들어 설명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면 유압 크레인, 휠 로더 등의 다른 건설 기계에도 널리 적용할 수 있다.
1 유압 셔블(건설 기계)
5 프론트 장치
12 고정 프레임
12A 좌측 베이스 프레임
12B 우측 베이스 프레임
13 좌측 콘솔 지지 브래킷
14 우측 콘솔 지지 브래킷
15 좌측 전방 세로판
15B~15F, 16B~16F 계합 구멍
15G, 16G 가이드 홈
16 우측 전방 세로판
17 운전석
18 좌측 조작 레버 장치
19 우측 조작 레버 장치
20 우측 콘솔
20A, 36A 메인 프레임
20B, 36B 레버 장착 프레임
20C, 36C 록 케이스
20C1 전면(전면부)
20D, 36D 지지축
20F 나사 구멍
21 우측 조작 레버
22 우측 댐퍼(가압 부재)
24 우측 가이드 기구
24A, 40A 가이드 볼트
25 우측 록 기구
26, 42 록 핀
29 스프링 부재
30, 43 회전 운동축
31, 44 록 해제 레버
32, 45 변환 부재
34 우측 콘솔 커버
34A, 47A 전면
35 우측 손잡이부
36 좌측 콘솔
37 좌측 조작 레버
38 좌측 댐퍼(가압 부재)
40 좌측 가이드 기구
41 좌측 록 기구
47 좌측 콘솔 커버
48 좌측 손잡이부
O-O 중심 축선(지지점)

Claims (4)

  1. 운전석의 좌, 우 양측에 각각 배치되어, 고정 프레임에 장착된 후측을 지지점으로 하여 전측이 상, 하 방향으로 요동이 가능한 좌, 우의 콘솔과,
    상기 좌, 우의 콘솔에 각각 설치되어 프론트 장치를 조작하는 조작 레버와,
    상기 좌, 우의 콘솔의 전측이 상측을 향해 요동하도록 상기 좌, 우의 콘솔을 구성하는 각 콘솔을 가압하는 가압 부재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건설 기계의 조작 레버 장치에 있어서,
    상기 각 콘솔의 전측에는, 상기 각 콘솔을 임의의 위치에 고정하는 록 기구가 각각 설치되고,
    상기 각 록 기구에는, 상기 각 콘솔을 고정하는 록 상태 및 상기 각 콘솔의 고정을 해제하는 록 해제 상태를 전환하는 록 해제 레버가 각각 설치되며,
    상기 각 록 해제 레버는, 상기 각 록 기구로부터 상기 운전석에 대하여 좌, 우 방향의 외측으로 연장되어 각각 설치됨과 함께, 상기 각 록 해제 레버의 선단측이 하방향으로 경사진 경사 자세에서 상기 록 상태로 하고, 상기 경사 자세로부터 상방향으로 회전 운동된 수평 자세에서 상기 록 해제 상태로 하여 설정되고,
    상기 각 콘솔의 전측에서 상기 각 록 해제 레버의 상측에는, 상기 각 록 해제 레버에 의해 고정을 해제한 상기 록 해제 상태에서 상기 각 콘솔을 상, 하 방향으로 요동시키는 손잡이부가 각각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 기계의 조작 레버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프레임의 좌, 우의 양측 전측에는, 상, 하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의 계합 구멍이 각각 설치되고,
    상기 각 록 기구는, 축 방향으로 직선 동작함으로써 상기 복수의 계합 구멍 중 어느 하나의 계합 구멍에 대하여 삽탈되는 록 핀과, 상기 록 핀을 상기 계합 구멍을 향해 가압하는 스프링 부재와, 전, 후 방향으로 연장된 선단측이 상기 각 콘솔의 전면부로부터 외부로 돌출됨과 함께 선단측에 상기 록 해제 레버가 장착된 회전 운동축과, 상기 록 해제 레버에 의한 상기 회전 운동축의 회전 운동 동작을 상기 록 핀의 직선 동작으로 변환하는 변환 부재를 포함하여 각각 구성되며,
    상기 록 상태에서는, 상기 록 핀이 상기 복수의 계합 구멍 중 어느 하나의 계합 구멍에 대하여 삽입 통과되고, 상기 록 해제 상태에서는, 상기 록 핀이 상기 어느 하나의 계합 구멍으로부터 이탈됨으로써 고정이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 기계의 조작 레버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프레임은, 좌, 우로 이간하여 배치된 좌측 베이스 프레임과 우측 베이스 프레임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좌측 베이스 프레임과 상기 우측 베이스 프레임의 후측에는, 상기 지지점을 가지는 콘솔 지지 브래킷이 각각 설치되며,
    상기 좌측 베이스 프레임과 상기 우측 베이스 프레임의 전측에는, 상기 복수의 계합 구멍을 가지는 전방 세로판이 각각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 기계의 조작 레버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각 콘솔과 상기 각 전방 세로판의 사이에는, 상기 각 콘솔이 요동될 때에 상기 전방 세로판을 따르도록 가이드하는 가이드 기구가 각각 설치되고,
    상기 각 가이드 기구는, 상기 각 전방 세로판에 설치되어 상기 콘솔 지지 브래킷의 상기 지지점을 중심점으로 하여 상, 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원호 형상의 가이드 홈과, 상기 전방 세로판에 대면하는 상기 콘솔의 내측면부에 상기 가이드홈에 대응하여 설치되어 있는 나사 구멍과, 상기 가이드 홈에 삽입 통과되어 상기 나사 구멍에 나사 장착되어 있는 가이드 볼트에 의해 각각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 기계의 조작 레버 장치.
KR1020180024667A 2017-03-29 2018-02-28 건설 기계의 조작 레버 장치 KR10203729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7-065526 2017-03-29
JP2017065526A JP6606117B2 (ja) 2017-03-29 2017-03-29 建設機械の操作レバー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0588A true KR20180110588A (ko) 2018-10-10
KR102037294B1 KR102037294B1 (ko) 2019-10-28

Family

ID=615571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24667A KR102037294B1 (ko) 2017-03-29 2018-02-28 건설 기계의 조작 레버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0612211B2 (ko)
EP (1) EP3392416B1 (ko)
JP (1) JP6606117B2 (ko)
KR (1) KR102037294B1 (ko)
CN (1) CN108691328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147328B2 (ja) * 2018-07-27 2022-10-05 コベルコ建機株式会社 建設機械のキャブ
CN109934571B (zh) * 2019-03-15 2023-06-16 山东一脉物联网科技有限公司 一种自助式商品检测与定价售卖方法
KR102016287B1 (ko) * 2019-07-02 2019-08-29 안국수 굴삭기용 콘솔박스
JP7348792B2 (ja) * 2019-09-30 2023-09-21 株式会社小松製作所 キャブおよび作業車両
JP7237035B2 (ja) * 2020-02-27 2023-03-10 日立建機株式会社 建設機械
CN117897535A (zh) 2022-02-10 2024-04-16 日立建机株式会社 工程机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81360U (ja) * 1992-04-02 1993-11-05 株式会社クボタ 建機の運転部
JP2005248580A (ja) * 2004-03-04 2005-09-15 Sumitomo (Shi) Construction Machinery Manufacturing Co Ltd 建設機械用コンソールボックスの位置決め装置
JP2008063891A (ja) 2006-09-11 2008-03-21 Sumitomo (Shi) Construction Machinery Manufacturing Co Ltd 建設機械のコンソールボックスのチルト角度調節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L8200614A (nl) * 1982-02-17 1983-09-16 Rotterdamsche Droogdok Mij Bedrijfsvoertuig.
US4646869A (en) * 1985-07-29 1987-03-03 Dresser Industries, Inc. Adjustable control console
JPH05214740A (ja) * 1992-02-05 1993-08-24 Kubota Corp 作業車の操作具取付構造
JPH0624048U (ja) * 1992-08-29 1994-03-29 油谷重工株式会社 建設機械の操縦装置
JPH0633538U (ja) * 1992-10-08 1994-05-06 アラコ株式会社 リクライニングシート
JP3034795B2 (ja) * 1996-04-25 2000-04-17 住友建機株式会社 建設機械の操作レバーコンソールのチルト装置
KR980009677A (ko) * 1996-07-31 1998-04-30 김무 중장비용 안전레버장치
JPH10266270A (ja) * 1997-03-26 1998-10-06 Yutani Heavy Ind Ltd 油圧ショベルの操縦装置
KR100430399B1 (ko) * 2001-12-18 2004-05-04 볼보 컨스트럭션 이키프먼트 홀딩 스웨덴 에이비 중장비 조종박스의 높낮이 조절장치
JP2004008443A (ja) * 2002-06-06 2004-01-15 Kariya Mokuzai Kogyo Kk 回転台及びこれを用いた椅子
US6971279B2 (en) * 2003-02-12 2005-12-06 Volvo Construction Equipment Holding Sweden Ab Control lever safety apparatus for heavy equipment
US6971194B2 (en) * 2003-06-24 2005-12-06 Cnh America Llc Modular backhoe-excavator control station
JP2005146678A (ja) * 2003-11-17 2005-06-09 Sumitomo (Shi) Construction Machinery Manufacturing Co Ltd 建設機械用コンソールボックスの位置決め装置
JP2007326469A (ja) * 2006-06-08 2007-12-20 Komatsu Ltd 建設機械の操縦席および建設機械
KR100910168B1 (ko) * 2007-04-16 2009-07-31 볼보 컨스트럭션 이키프먼트 홀딩 스웨덴 에이비 웨이트 밸런싱을 갖는 높낮이 조절장치가 구비된 중장비용콘솔박스
JP4486662B2 (ja) * 2007-06-15 2010-06-23 キャタピラージャパン株式会社 建設機械のコンソール高さ調整装置
JP6342258B2 (ja) * 2014-08-05 2018-06-13 住友建機株式会社 建設機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81360U (ja) * 1992-04-02 1993-11-05 株式会社クボタ 建機の運転部
JP2005248580A (ja) * 2004-03-04 2005-09-15 Sumitomo (Shi) Construction Machinery Manufacturing Co Ltd 建設機械用コンソールボックスの位置決め装置
JP2008063891A (ja) 2006-09-11 2008-03-21 Sumitomo (Shi) Construction Machinery Manufacturing Co Ltd 建設機械のコンソールボックスのチルト角度調節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37294B1 (ko) 2019-10-28
CN108691328B (zh) 2021-02-19
EP3392416A1 (en) 2018-10-24
JP6606117B2 (ja) 2019-11-13
US20180282971A1 (en) 2018-10-04
US10612211B2 (en) 2020-04-07
EP3392416B1 (en) 2020-02-12
JP2018168566A (ja) 2018-11-01
CN108691328A (zh) 2018-10-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110588A (ko) 건설 기계의 조작 레버 장치
EP1982864B1 (en) Combination of a seat and console boxes
JP7195872B2 (ja) 作業車両
EP1982865B1 (en) Height adjustment device for heavy equipment console box having weight balancing
US11383753B2 (en) Traveling vehicle
JP2007326469A (ja) 建設機械の操縦席および建設機械
KR20040108002A (ko) 자동차용 틸트 스티어링 장치
JP4504299B2 (ja) 建設機械の操作手段のロック構造
JP2001026949A (ja) 運転席部におけるアームレスト
WO2013018869A1 (ja) 車両用シート
WO2024043003A1 (ja) 操作機構及び作業車
WO2024043002A1 (ja) 作業車
KR100976916B1 (ko) 건설기계의 조향조정장치
JP4760773B2 (ja) 建設機械の操作ペダル装置
JPS6344295Y2 (ko)
JP2012131253A (ja) 建設機械におけるチルトステアリング装置
JP2003227147A (ja) 建設機械の操縦レバー用のリストレスト
JP2018204241A (ja) 建機用アームレスト装置
JP2012136050A (ja) 建設機械のアームレスト装置
JPH0624048U (ja) 建設機械の操縦装置
WO2023153348A1 (ja) 建設機械
JPH0455105Y2 (ko)
JP2021003960A (ja) 作業車両用コンソールユニット
JP2583554Y2 (ja) 産業車両の作業機操作レバー装置
JP2012046111A (ja) 位置調整式操舵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